KR102662962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962B1
KR102662962B1 KR1020190037812A KR20190037812A KR102662962B1 KR 102662962 B1 KR102662962 B1 KR 102662962B1 KR 1020190037812 A KR1020190037812 A KR 1020190037812A KR 20190037812 A KR20190037812 A KR 20190037812A KR 102662962 B1 KR102662962 B1 KR 102662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ight
terminal
processor
emit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262A (ko
Inventor
강정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962B1/ko
Priority to PCT/KR2020/004353 priority patent/WO2020204542A1/ko
Priority to US17/436,508 priority patent/US11532285B2/en
Publication of KR2020011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20/062Adjustment of illumination source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tim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6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booting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테두리에 배치된 발광 프레임, 백라이트 구동부 및 디스플레이를 턴 온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백라이트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발광 프레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기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전 제품 중 하나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근 수년 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다만, TV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에만 본연의 기능을 다하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내에서 가장 눈에 띄는 위치에 자리잡은 검은 흉물로 전락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턴 오프된 경우에 조명으로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테두리에 배치된 발광 프레임, 백라이트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온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광 프레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발광 프레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디밍 신호에 기초하여 정전류의 크기를 조정하는 정전류 공급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된 선택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정전류 공급 회로부터 출력되는 정전류를 상기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발광 프레임 중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는 상기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전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제1 임계 시간 동안 상기 방전 회로가 동작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선택 신호의 레벨을 변경한 후 제2 임계 시간 이후에 상기 디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전압 및 상기 발광 프레임의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방전 회로의 동작 여부 또는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임계 시간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전압 및 상기 발광 프레임의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는 상기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전 회로는 일단이 상기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된 저항 및 일단이 상기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방전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방전 회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는 인버터,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직렬 연결되고, 제어 단자가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발광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 소자에 직렬 연결되고, 제어 단자가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 신호를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으로 인가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발광 프레임 중 하나로 상기 정전류가 제공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프레임은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와 단락된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중 하나로 레퍼런스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중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레퍼런스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프레임의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광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프레임은 상기 발광 프레임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테두리에 배치된 발광 프레임 및 백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온 또는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온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광 프레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발광 프레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에 디밍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에 포함된 정전류 공급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정전류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에 인가된 선택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정전류를 상기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발광 프레임 중 하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는 단계, 제1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전 회로가 동작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신호의 레벨을 변경한 후 제2 임계 시간 이후에 상기 디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 회로가 동작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전압 및 상기 발광 프레임의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방전 회로의 동작 여부 또는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임계 시간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전압 및 상기 발광 프레임의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 회로는 일단이 상기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된 저항 및 일단이 상기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방전 회로가 동작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방전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방전 회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는 인버터,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직렬 연결되고, 제어 단자가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발광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 소자에 직렬 연결되고, 제어 단자가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신호를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으로 인가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발광 프레임 중 하나로 상기 정전류가 제공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프레임에 포함된 제1 단자 및 상기 발광 프레임에 포함되며 상기 제1 단자와 단락된 제2 단자 중 하나로 레퍼런스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중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레퍼런스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프레임의 장착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프레임은 상기 발광 프레임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명으로서 동작하여 사용성이 강화되며, 별도의 백라이트 구동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구동부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 신호의 인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 프레임의 장착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회로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모드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확장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고,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 영역 별로 휘도를 표현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의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복수의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의 휘도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형광체는 발광 소재의 일종으로 각각 에너지를 흡수해 적색, 녹색, 청색 등의 광을 방출하는 물질로, 무기 형광체, 유기 형광체 및 Quantum Dot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픽셀 당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 LED 또는 엣지형 LED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가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이 없는 OLED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110)를 구동하는 전원과 후술할 발광 프레임(120)을 구동하는 전원 간의 차이가 크지 않도록 발광 프레임(120)이 구현된다면 얼마든지 본원의 기술이 적용 가능하다. 즉, 하나의 백라이트 구동부로 백라이트 유닛 또는 발광 프레임(120)을 시분할하여 제어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경우라도 무방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광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프레임(120)은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110)의 적어도 일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발광 소자는 LED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얼마든지 다른 유형의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유형의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발광 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방으로 광이 방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프레임(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C'A' 면을 통해 광이 방출되고, ABB'A' 면으로는 광이 방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프레임(120)의 ACC'A' 면은 광이 통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되고, ABB'A' 면은 광이 통과될 수 없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발광 프레임(120)이 삼각 기둥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발광 프레임(120)은 광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으로 방출되지 않는 형태라면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발광 프레임(120)은 광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방으로 방출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ABB'A' 면으로만 광이 방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ABC 면 또는 A'B'C' 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광이 방출될 수도 있다. 이때에도 발광 프레임(120)은 광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보다는 후방을 향해 방출되도록 광을 가이드하는 막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 프레임(120)은 내부에 자석을 구비하고, 자력을 통해 디스플레이(110)의 적어도 일 테두리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10)는 발광 프레임(120)에 구비된 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발광 프레임(120)에 구비된 자석에 대응되는 위치가 자력에 반응하는 물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발광 프레임(120), 백라이트 구동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40)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이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및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 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110)의 적어도 일 테두리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 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110)의 상하좌우 테두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서로 다른 유형의 발광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구분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1 발광 프레임과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발광 프레임(120)은 발광 프레임(120)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전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110)와 평행한 면을 기준으로 시청자 방향의 180도는 전방, 나머지 방향의 180도는 후방일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와 평행한 면을 기준으로 시청자 방향의 180도 이하의 각도만이 전방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방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0)에 대응되는 전방을 의미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고개를 돌릴 필요가 없는 위치에 있고, 사용자 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고개를 돌려야 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10)가 턴 오프되어 발광 프레임에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사용자 1은 차단막에 의해 발광 프레임(1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직접 노출되지 않으나, 사용자 2는 발광 프레임(1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직접 노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은 사용자 1이 위치한 일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10) 또는 발광 프레임(120)에 전원을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정전류를 디스플레이(110) 또는 발광 프레임(12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백라이트 구동부(130)의 구체적인 구성은 프로세서(140)의 동작과 함께 설명한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를 턴 온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백라이트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디스플레이(110)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발광 프레임(12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백라이트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을 종료하여 디스플레이(110)를 턴 오프하면 발광 프레임(12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백라이트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발광 프레임(12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를 턴 온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발광 프레임(120)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백라이트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프로세서(140)로부터 출력되는 디밍 신호에 기초하여 정전류의 크기를 조정하는 정전류 공급 회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40)로부터 제공된 선택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정전류 공급 회로부터 출력되는 정전류를 백라이트 유닛 및 발광 프레임(120) 중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제1 레벨의 선택 신호를 백라이트 구동부(130)로 인가하여 백라이트 구동부(130)에서 출력되는 정전류가 백라이트 유닛에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을 종료하여 디스플레이(110)를 턴 오프하는 경우, 제2 레벨의 선택 신호를 백라이트 구동부(130)로 인가하여 백라이트 구동부(130)에서 출력되는 정전류가 발광 프레임(120)에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신호의 제1 레벨은 하이(high) 레벨 및 로우(low) 레벨 중 하나일 수 있고, 선택 신호의 제2 레벨은 하이 레벨 및 로우 레벨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일 주기 동안 일정 시간 신호가 인가되는 주기 신호인 디밍 신호를 백라이트 구동부(130)에 인가하여 백라이트 구동부(130)에서 출력되는 정전류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이 반복되는 PWM 디밍 신호를 백라이트 구동부(130)에 인가하여 백라이트 구동부(130)에서 출력되는 정전류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디밍 신호의 주기에 대한 신호가 인가되는 시간의 비율을 듀티비라고 하며, PWM 디밍 신호의 경우 주기에 대한 하이 레벨의 비율이 듀티비가 된다.
프로세서(140)는 듀티비를 변경하여 백라이트 구동부(130)에서 출력되는 정전류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PWM 디밍 신호의 하이 레벨 구간을 길게 하고 PWM 디밍 신호의 로우 레벨 구간을 짧게 하여 백라이트 구동부(130)에서 출력되는 정전류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PWM 디밍 신호의 펄스 폭을 길게 하여 백라이트 구동부(130)에서 출력되는 정전류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전 회로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제1 임계 시간 동안 방전 회로가 동작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며, 선택 신호의 레벨을 변경한 후 제2 임계 시간 이후에 디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가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는 경우, 백라이트 구동부(130)도 정전류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전원 공급이 백라이트 유닛 및 발광 프레임(120)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스위칭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회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 및 발광 프레임(120)의 구동 전압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방전 회로를 통해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의 전압을 조정해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전압이 발광 프레임(120)의 구동 전압보다 높고,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발광 프레임(120)으로 전원 공급이 스위칭되는 경우, 방전 회로가 없다면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발광 프레임(120)으로 인가되어 과도 전류가 발생하고 의도치 않은 번쩍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전 회로가 구비되어 있다면,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의 전압을 낮추어 과도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선택 신호의 레벨을 변경하고, 변경 시점으로부터 제2 임계 시간 이후에 디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전압 및 발광 프레임(120)의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방전 회로의 동작 여부 또는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의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이 스위칭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 및 발광 프레임(120) 중 전원이 공급될 대상의 구동 전압이 될 때까지 방전 회로가 동작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감지된 전압이 스위칭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 및 발광 프레임(120) 중 전원이 공급될 대상의 구동 전압보다 낮다면, 프로세서(140)는 방전 회로가 동작하지 않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140)가 방전 회로를 유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즉, 프로세서(140)는 상황에 따라 제1 임계 시간을 변경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프로세서(140)는 기 설정된 제1 임계 시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임계 시간은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전압 및 발광 프레임(120)의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특히, 제1 임계 시간은 후술할 백라이트 구동부(130)에 포함된 커패시터 및 방전 회로에 포함된 저항의 값을 더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며, 방전 회로는 일단이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된 저항 및 일단이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40)는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방전 신호를 인가하여 방전 회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방전 회로를 동작시켜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킬 수 있다.
한편,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인버터, 백라이트 유닛에 직렬 연결되고, 제어 단자가 인버터의 입력단 및 인버터의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및 발광 프레임(120)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 소자에 직렬 연결되고, 제어 단자가 인버터의 입력단 및 인버터의 출력단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40)는 선택 신호를 인버터의 입력단으로 인가하여 백라이트 유닛 및 발광 프레임(120) 중 하나로 정전류가 제공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백라이트 구동부(13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는 도면을 통해 후술한다.
한편, 발광 프레임(120)은 제1 단자 및 제1 단자와 단락된 제2 단자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40)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하나로 레퍼런스 신호를 인가하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다른 하나로부터 레퍼런스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발광 프레임(120)의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발광 프레임(120)이 디스플레이(11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된 경우, 디스플레이(110)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백라이트 구동부(130)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상과 같은 동작을 통해 별도의 백라이트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조명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백라이트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백라이트 구동부(130) 및 발광 프레임(1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개별적으로 구비될 필요 없이, 백라이트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이용하여 발광 프레임(120)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르면, 발광 프레임(120)을 구동하기 위한 전용 구동부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발광 프레임(120)을 구동하기 위한 전용 구동부 만큼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턴 온된 경우 백라이트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10)가 턴 오프된 경우 발광 프레임(12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백라이트 구동부(130)만을 구비하더라도 백라이트 유닛 또는 발광 프레임(12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해 본원의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설명 및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백라이트 유닛이 LED로 구현되고, 발광 프레임(120)이 LED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얼마든지 다른 소자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프레임(1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a 및 도 3b의 발광 프레임(120)은 도 1의 디스플레이(110)의 상단에 배치된 발광 프레임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프레임(120)은 하부에 복수의 LED(310) 및 4개의 단자(320, 330, 340, 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발광 프레임(120) 내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복수의 LED(3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연결되어 PCB에 실장될 수 있다. 4개의 단자(320, 330, 340, 350) 중 두 개(340, 350)는 복수의 LED(310)에 정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로 복수의 LED(310)의 양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4개의 단자(320, 330, 340, 350) 중 나머지 두 개(320, 330)는 발광 프레임(120)이 디스플레이(1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단자로 서로 단락된 상태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나머지 두 개(320, 330)의 단자를 이용하여 현재 장착된 프레임이 발광 프레임(120)인지 또는 일반 프레임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일반 프레임의 경우 나머지 두 개(320, 330)의 단자에 대응되는 두 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두 개의 단자는 서로 단락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보드(Board), LED 구동부(Driver),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LED(410) 및 발광 프레임(120)에 포함된 복수의 제2 LED(420)를 포함할 수 있다.
TV 보드는 프로세서(140)를 포함하며, 기타 프로세서(140)를 보조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TV 보드를 프로세서(140)로서 설명한다.
SMPS는 110V, 220V 등의 상용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TV 보드(Board) 및 LED 구동부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LED 구동부는 디스플레이(110) 및 발광 프레임(120) 중 하나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SMPS 및 LED 구동부 중 디스플레이(110) 및 발광 프레임(120) 중 하나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백라이트 구동부(130)로서 설명한다.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종래의 백라이트 구동부에 방전 회로 및 디스플레이(110) 및 발광 프레임(120) 중 하나만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백라이트 구동부(130)의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은 종래와 차이가 없으며, 이를 위해 발광 프레임(120)에 포함된 복수의 제2 LED(420)가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LED(410)와 유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LED(420)의 종류 및 개수는 복수의 제1 LED(410)의 종류 및 개수가 동일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2 LED(420)의 구동 전압, 구동 전류 각각이 복수의 제1 LED(410)의 구동 전압, 구동 전류과 임계 값 미만의 차이를 갖는다면 얼마든지 다른 유형의 소자가 이용되더라도 무방하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제1 LED(410)의 구동 전압 및 복수의 제2 LED(420)의 구동 전압의 차이가 10~20% 등 일정 수준 이내의 차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선택 신호(Select), 방전 신호(Discharge), 디밍 신호(Dimming)를 이용하여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선택 신호, 방전 신호, 디밍 신호 각각은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 신호는 백라이트 구동부(130)에 연결된 복수의 제1 LED(410) 및 복수의 제2 LED(420)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며, 디밍 신호는 백라이트 구동부(130)의 출력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선택된 LED의 밝기를 조정하는 신호로, PWM 방식으로 출력되어 LED로 출력되는 전류의 평균값을 제어할 수 있다. 방전 신호는 백라이트 구동부(130) 내의 방전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레퍼런스 신호(Ref)를 발광 프레임(120)에 구비된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하나에 인가하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다른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Sense)하여 발광 프레임(120)의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레퍼런스 신호를 발광 프레임(120)에 구비된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하나에 인가하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다른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동일하면 발광 프레임(120)이 디스플레이(110)에 장착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구동부(130)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프로세서(140)로부터 출력되는 디밍 신호에 기초하여 정전류의 크기를 조정하는 정전류 공급 회로,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전 회로 및 전원 공급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커패시터(Co)를 포함하며, 방전 회로는 일단이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된 저항(Rd) 및 일단이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Md)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회로는 인버터,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LED(510)에 직렬 연결되고, 제어 단자가 인버터의 입력단 및 인버터의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M1) 및 발광 프레임(120)에 포함된 복수의 제2 LED(520)에 직렬 연결되고, 제어 단자가 인버터의 입력단 및 인버터의 출력단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M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회로는 일단이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1 저항 및 일단이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2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는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의 전압이 갑작스럽게 변하여 회로를 불안정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자이다. 다만, 복수의 제1 LED(510) 및 복수의 제2 LED(520) 중 구동 전압이 높은 광원을 구동한 이후 전압이 낮은 광원으로 스위칭되는 순간 정상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커패시터에 충전되어 있어 광원에 과도 전류가 인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광원은 순간적으로 번쩍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방전 회로가 구비되며, 프로세서(140)는 방전 신호를 인가하여 방전 회로가 동작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하이 레벨의 방전 신호를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인가하여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이 트랜지스터 및 저항을 통해 방전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제1 LED(510) 및 복수의 제2 LED(520) 중 하나로 전원을 인가하다가 다른 하나로 스위칭될 때마다 임계 시간 동안 방전 회로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임계 시간은 복수의 제1 LED(510)의 구동 전압 및 복수의 제2 LED(520)의 구동 전압 차이 만큼을 방전시키기 위한 시간일 수 있으며, 커패시터 및 저항에 따른 설계 용량을 증가시켜 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 짧게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하이 레벨의 선택 신호를 인버터의 입력단으로 인가하여 제1 트랜지스터를 온 시키고, 제2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복수의 제1 LED(51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로우 레벨의 선택 신호를 인버터의 입력단으로 인가하여 제2 트랜지스터를 온 시키고, 제1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복수의 제2 LED(52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5a에서는 LED의 cathode 전압이 고정된 회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도 5b와 같이 LED의 anode 전압이 고정된 형태로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프로세서(140)로부터 출력되는 디밍 신호에 기초하여 정전류의 크기를 조정하는 정전류 공급 회로,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전 회로 및 전원 공급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커패시터(Co)를 포함하며, 방전 회로는 일단이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된 저항(Rd), 일단이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Md), 일단이 트랜지스터(Md)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트랜지스터(Md)의 타단에 연결된 저항, 일단이 트랜지스터(Md)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어 트랜지스터의 일단에 연결된 저항 및 타단이 접지되고, 제어 단자가 프로세서(140)의 방전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와 연결된 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회로는 인버터, 제어 단자가 인버터의 입력단 및 인버터의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되고, 일단이 접지된 제1 중계 트랜지스터(Ma), 제어 단자가 인버터의 입력단 및 인버터의 출력단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일단이 접지된 제2 중계 트랜지스터(Mb), 제어 단자가 커패시터의 타단과 제1 중계 트랜지스터의 타단을 전압 분배 형태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LED(510)에 직렬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M1) 및 제어 단자가 커패시터의 타단과 제2 중계 트랜지스터의 타단을 전압 분배 형태로 연결되고, 발광 프레임(120)에 포함된 복수의 제2 LED(520)에 직렬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M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회로는 일단이 제1 중계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1 저항 및 일단이 제2 중계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2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은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 신호의 인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디밍 신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을 교번적으로 출력하는 구형파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디밍 신호가 하이 레벨일 때는 정전류 공급 회로가 전류를 출력하여 백라이트 구동부(130)에 연결된 LED가 점등되고, 디밍 신호가 로우 레벨일 때는 정전류 공급 회로가 전류를 출력하지 않아 백라이트 구동부(130)에 연결된 LED가 소등될 수 있다. 디밍 신호의 주파수는 사람의 눈으로 LED 광원의 점등과 소등을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게 설정되며, 사람의 눈은 LED 광원의 점등 구간과 소등 구간의 비율에 따라 조절되는 평균 밝기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제1 임계 시간(t2) 동안 방전 회로가 동작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30)로 방전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방전 신호는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방전시키는 신호로, 프로세서(140)는 먼저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여 커패시터에 더이상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백라이트 구동부(130)로 방전 신호를 인가하여 커패시터를 방전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밍 신호의 출력이 중지된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t1) 이후에 백라이트 구동부(130)로 방전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임계 시간(t2) 동안 커패시터를 방전한 후, 선택 신호의 레벨을 변경하여 백라이트 구동부(130)가 전원을 공급하는 광원을 스위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선택 신호의 레벨을 변경한 후 제2 임계 시간(t4) 이후에 디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의 t1, t2, t4의 경우에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나, t3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즉, 방전 신호가 인가되는 중에 선택 신호가 인가되어도 무방하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 프레임(120)의 장착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회로들이다.
프로세서(140)는 레퍼런스(Ref) 단자 및 센스(Sense)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퍼런스 단자 및 센스 단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를 통해 발광 프레임(120)의 두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퍼런스 단자는 풀 업 저항에 연결되어 하이 레벨이고, 센스 단자는 풀 다운 저항에 연결되어 로우 레벨일 수 있다. 이 경우, 레퍼런스 단자를 통해 하이 레벨의 레퍼런스 신호가 발광 프레임(120)으로 인가되며, 프로세서(140)는 센스 단자를 통해 하이 레벨이 수신되어 비교기의 두 입력이 동일한 것으로 식별되면, 발광 프레임(120)이 장착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도 7b와 같이 레퍼런스 단자는 풀 다운 저항에 연결되어 로우 레벨이고, 센스 단자는 풀 업 저항에 연결되어 하이 레벨일 수도 있다. 또는, 도 7c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레퍼런스 단자를 통해 기설정된 파형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고, 센스 단자는 풀 다운 저항에 연결된 상태일 수도 있다. 도 7b 및 도 7c 모두 비교기를 통해 레퍼런스 단자 및 센스 단자의 신호가 동일한지 판단하여 발광 프레임(120)의 장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모드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드, 조명 모드 및 OFF 모드를 가정하였으며, 디스플레이 모드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턴 온 상태와 동일하며, 발광 프레임(120)의 광원은 소등된 상태일 수 있다. 조명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과 음향이 모두 턴 오프되어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턴 오프 상태와 유사하나, 발광 프레임(120)의 광원은 점등되어 조명으로서 역할하는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사용자는 리모컨을 조작하여 발광 프레임(120)의 광원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이를 위한 최소한의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OFF 모드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턴 오프 상태와 동일하며, 발광 프레임(120)의 광원도 소등된 상태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OFF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리모컨 조작 또는 전원 스위치 조작 등을 감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OFF 모드인 동안 인터넷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의 백그라운드 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TV이며, 초기 모드가 디스플레이 모드인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프로세서(14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원이 최초로 인가되면 디스플레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810). 여기서, 초기 모드가 디스플레이 모드인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기 모드는 조명 모드일 수도 있다. 초기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화면 및 음성 출력을 off하고,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S815).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1 임계 시간 동안 방전 신호를 인가하고(S820), 선택 신호를 하이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S825). 이후, 프로세서(140)는 화면 출력, 음성 출력, 디밍 제어 등과 같이 TV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830). 프로세서(140)는 TV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전원 버튼의 누름이 감지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S830-1). 프로세서(140)는 전원 버튼의 누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TV 본연의 기능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원 버튼의 누름이 짧게 누름으로 감지되면 도 8b의 B 단계로 진입하게 되고, 전원 버튼의 누름이 길게 누름으로 감지되면 도 8c의 C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먼저, 도 8b의 조명 모드를 설명하면, 프로세서(140)는 레퍼런스 신호가 센스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835). 프로세서(140)는 레퍼런스 신호가 센스 단자를 통해 수신되지 않으면 도 8c의 C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프로세서(140)는 레퍼런스 신호가 센스 단자를 통해 수신되면 화면 및 음성 출력을 off하고,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S840).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1 임계 시간 동안 방전 신호를 인가하고(S845), 선택 신호를 로우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S850). 이후, 프로세서(140)는 디밍 제어 등과 같은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855). 프로세서(140)는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전원 버튼의 누름이 감지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S855-1). 프로세서(140)는 전원 버튼의 누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조명 기능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원 버튼의 누름이 짧게 누름으로 감지되면 도 8a의 A 단계로 진입하게 되고, 전원 버튼의 누름이 길게 누름으로 감지되면 도 8c의 C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도 8c의 OFF 모드를 설명하면, 프로세서(140)는 화면 및 음성 출력을 off하고,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S860). 이후, 프로세서(140)는 백그라운드 작업 등과 같은 대기 상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865). 프로세서(140)는 대기 상태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전원 버튼의 누름이 감지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S865-1). 프로세서(140)는 전원 버튼의 누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 상태 기능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원 버튼의 누름이 짧게 누름으로 감지되면 도 8a의 A 단계로 진입하게 되고, 전원 버튼의 누름이 길게 누름으로 감지되면 레퍼런스 신호가 센스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875). 프로세서(140)는 레퍼런스 신호가 센스 단자를 통해 수신되지 않으면 도 8a의 A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레퍼런스 신호가 센스 단자를 통해 수신되면 도 8b의 D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하나의 전원 버튼만을 조작하여 3개의 동작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프로세서(140)가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볼륨 업/다운 버튼 또는 채널 업/다운 버튼 등을 조작하여 광원의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드 및 OFF 모드에서 조명 모드가 추가되더라도 별도의 버튼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한편, 이상의 3개의 동작 모드는 발광 프레임(120)이 디스플레이(110)에 장착된 경우에 유효하다. 즉, 발광 프레임(120)이 아닌 일반 프레임이 디스플레이(110)에 장착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모드 및 OFF 모드만으로 동작하고, 전원 버튼을 조작하는 시간은 아무런 차이가 없을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발광 프레임(120)이 디스플레이(110)의 일 테두리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9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모든 테두리에 복수의 발광 프레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LED(910) 외에 복수의 발광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제2 LED(920-1~9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 LED(920-1)를 포함하는 발광 프레임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110)의 우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 LED(920-2)를 포함하는 발광 프레임도 4개의 단자(930, 940, 950, 96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단자(930, 940)는 복수의 제2 LED(920-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고, 나머지 두 개의 단자(950, 960)는 장착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단자일 수 있다.
도 9에서는 4개의 발광 프레임 각각에 구비된 장착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단자가 직렬 연결되어 있어, 프로세서(140)는 4개의 발광 프레임이 모두 연결되어야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4개 중 하나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전체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프로세서(140)는 4개의 발광 프레임 각각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단자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4개의 발광 프레임 각각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발광 프레임 각각에 구비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가 직렬 연결되어 있어, 프로세서(140)는 4개의 발광 프레임이 모두 연결되어야 복수의 제2 LED(920-1~920-4)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4개 중 하나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전체가 광을 방출하지 않게 되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일반 프레임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가 서로 단락되어 있어 일반 프레임이 연결되더라도 나머지 발광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제2 LED가 광을 방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에서는 4개의 발광 프레임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발광 프레임의 개수는 복수이기만 하면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확장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외에 제1 발광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제1 LED(상측 LED) 및 제2 발광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제2 LED(하측 LED)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복수의 제1 LED 및 복수의 제2 LED는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동 전압, 방출되는 광의 파장 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0a에서 백라이트 구동부(LED Driver, 130)는 디멀티플렉서(1010-1) 및 멀티플렉서(1010-2)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백라이트 구동부(130)는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와 별도로 연결된 상태이며, 이는 생략된 상태이다.
프로세서(TV Board, 140)는 디멀티플렉서(1010-1) 및 멀티플렉서(1010-2)를 제어하여 복수의 제1 LED 및 복수의 제2 LED를 시분할하여 구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어 신호(Signal)를 통해 디멀티플렉서(1010-1) 및 멀티플렉서(1010-2)를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제어 신호가 하이 레벨이면, 디멀티플렉서(1010-1)는 백라이트 구동부로부터 인가되는 정전류를 복수의 제1 LED로 제공하고, 멀티플레서(1010-2)는 복수의 제1 LED로부터 출력되는 정전류를 백라이트 구동부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 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디멀티플렉서(1010-1)는 백라이트 구동부로부터 인가되는 정전류를 복수의 제2 LED로 제공하고, 멀티플레서(1010-2)는 복수의 제2 LED로부터 출력되는 정전류를 백라이트 구동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b는 일정한 디밍 신호가 인가되더라도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발광 프레임(frame 1) 및 제2 발광 프레임(frame 2) 중 하나에만 디밍 신호에 따른 정전류가 인가됨을 도시하였다. 도 10b에서는 제1 발광 프레임(frame 1) 및 제2 발광 프레임(frame 2)의 신호를 디밍 신호로서 표시하였으나, 이는 디밍 신호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에 불과하고, 실제로 제1 발광 프레임(frame 1) 및 제2 발광 프레임(frame 2)에는 정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서로 다른 유형의 LED를 이용하더라도 하나의 백라이트 구동부(130)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시분할로 디밍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사람은 서로 다른 유형의 LED가 모두 턴 온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 10a에서는 디멀티플렉서(1010-1)가 두 개의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멀티플렉서(1010-2)가 두 개의 입력 포트를 구비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멀티플렉서(1010-1)는 네 개의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멀티플렉서(1010-2)는 네 개의 입력 포트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110)의 네 개의 테두리에 장착된 네 개의 발광 프레임과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디멀티플렉서(1010-1)는 여분의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멀티플렉서(1010-2)는 여분의 입력 포트를 구비하여 복수의 발광 프레임 중 일부에만 정전류가 인가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멀티플렉서(1010-1)의 여분의 출력 포트는 멀티플렉서(1010-2)의 여분의 입력 포트와 단락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서 디멀티플렉서(1010-1)는 두 개의 출력 포트 외에 추가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멀티플렉서(1010-2)는 두 개의 입력 포트 외에 추가 입력 포트를 구비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추가 출력 포트 및 추가 입력 포트로 정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복수의 제1 LED 및 복수의 제2 LED 모두 광을 방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의 디멀티플렉서(1010-1) 및 멀티플렉서(1010-2)의 시분할 제어를 통해 복수의 제1 LED 및 복수의 제2 LED 중 하나만이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테두리에 배치된 발광 프레임 및 백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방법은 먼저, 디스플레이를 턴 온 또는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를 식별한다(S1110). 그리고, 디스플레이를 턴 온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백라이트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발광 프레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S1120).
여기서, 제어하는 단계(S1120)는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백라이트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발광 프레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하는 단계(S1120)는 디스플레이를 턴 온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발광 프레임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백라이트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하는 단계(S1120)는 백라이트 구동부에 디밍 신호를 인가하여 백라이트 구동부에 포함된 정전류 공급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정전류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및 백라이트 구동부에 인가된 선택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정전류를 백라이트 유닛 및 발광 프레임 중 하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하는 단계(S1120)는 디스플레이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는 단계, 제1 임계 시간 동안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전 회로가 동작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선택 신호의 레벨을 변경한 후 제2 임계 시간 이후에 디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전 회로가 동작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전압 및 발광 프레임의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방전 회로의 동작 여부 또는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제1 임계 시간은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전압 및 발광 프레임의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방전 회로는 일단이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된 저항 및 일단이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방전 회로가 동작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방전 신호를 인가하여 방전 회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구동부는 인버터, 백라이트 유닛에 직렬 연결되고, 제어 단자가 인버터의 입력단 및 인버터의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및 발광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 소자에 직렬 연결되고, 제어 단자가 인버터의 입력단 및 인버터의 출력단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제공하는 단계는 선택 신호를 인버터의 입력단으로 인가하여 백라이트 유닛 및 발광 프레임 중 하나로 정전류가 제공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발광 프레임에 포함된 제1 단자 및 발광 프레임에 포함되며 제1 단자와 단락된 제2 단자 중 하나로 레퍼런스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다른 하나로부터 레퍼런스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발광 프레임의 장착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하는 단계(S1120)는 발광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된 경우,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백라이트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한편, 발광 프레임은 발광 프레임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명으로서 동작하여 사용성이 강화되며, 별도의 백라이트 구동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기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20 : 발광 프레임 130 : 백라이트 구동부
140 :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테두리에 배치된 발광 프레임;
    백라이트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온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광 프레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프레임은,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와 단락된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중 하나로 레퍼런스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중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레퍼런스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프레임의 장착 여부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발광 프레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디밍 신호에 기초하여 정전류의 크기를 조정하는 정전류 공급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된 선택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정전류 공급 회로부터 출력되는 정전류를 상기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발광 프레임 중 하나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는,
    상기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전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제1 임계 시간 동안 상기 방전 회로가 동작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선택 신호의 레벨을 변경한 후 제2 임계 시간 이후에 상기 디밍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밍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전압 및 상기 발광 프레임의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방전 회로의 동작 여부 또는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 시간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전압 및 상기 발광 프레임의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는,
    상기 정전류 공급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전 회로는,
    일단이 상기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된 저항; 및
    일단이 상기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방전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방전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는,
    인버터;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직렬 연결되고, 제어 단자가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발광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 소자에 직렬 연결되고, 제어 단자가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 신호를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으로 인가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발광 프레임 중 하나로 상기 정전류가 제공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테두리에 배치된 발광 프레임 및 백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광 프레임에 포함된 제1 단자 및 상기 발광 프레임에 포함되며 상기 제1 단자와 단락된 제2 단자 중 하나로 레퍼런스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중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레퍼런스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프레임의 장착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온 또는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온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광 프레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037812A 2019-04-01 2019-04-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2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12A KR102662962B1 (ko) 2019-04-01 2019-04-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0/004353 WO2020204542A1 (ko) 2019-04-01 2020-03-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7/436,508 US11532285B2 (en) 2019-04-01 2020-03-30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12A KR102662962B1 (ko) 2019-04-01 2019-04-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62A KR20200116262A (ko) 2020-10-12
KR102662962B1 true KR102662962B1 (ko) 2024-05-03

Family

ID=7266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812A KR102662962B1 (ko) 2019-04-01 2019-04-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32285B2 (ko)
KR (1) KR102662962B1 (ko)
WO (1) WO202020454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1116A (ja) * 2011-07-11 2013-01-31 Rohm Co Ltd Led駆動装置、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404A (ja) 2001-06-12 2002-12-20 Max Co Ltd 電動工具のモータ駆動回路
KR101361517B1 (ko) * 2007-02-26 2014-0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874163B1 (ko) 2007-04-03 2008-12-17 유니나 직시형 컬러 발광 프레임을 갖는 엘시디 모듈
KR20100027718A (ko) 2008-09-03 2010-03-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무드조명용 텔레비전
US8462276B2 (en) 2009-07-27 2013-06-11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lluminating a bezel
KR101152425B1 (ko) 2009-10-20 2012-06-07 주식회사 케이엔더블유 디스플레이 장치
RU2012140475A (ru) 2010-02-24 2014-03-27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возбудитель сид
US20180073720A1 (en) 2010-06-04 2018-03-15 Filip Marcel Denise Bruyneel Ambient light device
KR20120020843A (ko) * 2010-08-31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에 구비된 백라이트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장치
KR20130004250U (ko)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에스엘디 조명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이용한 감성 조명 및 디스플레이 융합 장치
KR101337520B1 (ko) 2012-05-17 201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310634B2 (en) 2013-12-23 2016-04-12 Google Inc. Aesthetic layer for display panels
KR102276226B1 (ko) 2015-04-20 202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발광 다이오드 구동방법
KR102298224B1 (ko) * 2015-07-16 2021-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664008B1 (ko) 2016-02-17 2016-10-10 주식회사 주신에이브이티 디스플레이 겸용 조명 융합 장치 및 그의 구동 제어 방법
KR101796709B1 (ko) 2016-11-23 2017-11-10 주식회사 토비스 테두리 발광 디스플레이장치
KR101882719B1 (ko) 2016-11-23 2018-07-27 (주)에스케이유앤지 휴대용 엘이디조명 겸용 경광등
JP6830364B2 (ja) 2017-01-13 2021-02-17 ローム株式会社 ソフトスタート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電源装置
US10614283B2 (en) 2017-03-07 2020-04-07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Devices with peripheral task bar display zone and under-LCD 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1116A (ja) * 2011-07-11 2013-01-31 Rohm Co Ltd Led駆動装置、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542A1 (ko) 2020-10-08
US11532285B2 (en) 2022-12-20
KR20200116262A (ko) 2020-10-12
US20220180826A1 (en)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004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 lower power user interface on an LCD panel through localized backlight control
TWI451386B (zh) 用於顯示器之背光系統
EP3510589B1 (en) Display apparatus and seam correction method thereof
TWI590221B (zh) 顯示單元,顯示方法及記錄媒體
US823765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03133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발광 다이오드 구동 방법
JP2009204825A (ja) 表示装置
US8358263B2 (en) Color control of a backlighting system
KR20170028623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JP2010032732A (ja) 液晶表示装置
KR102276226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발광 다이오드 구동방법
US9734766B2 (en) Lighting device, lighting control method, and display device
US996601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93293B2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driving method thereof
US20180144715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6629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13900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の光強度制御方法
KR20190105660A (ko) 초기 픽셀 재설정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544173B1 (ko) 백라이트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66728B1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102184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519570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WO2019203055A1 (ja) 表示装置
JP2016110099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093870A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