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942B1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942B1
KR102662942B1 KR1020200030007A KR20200030007A KR102662942B1 KR 102662942 B1 KR102662942 B1 KR 102662942B1 KR 1020200030007 A KR1020200030007 A KR 1020200030007A KR 20200030007 A KR20200030007 A KR 20200030007A KR 102662942 B1 KR102662942 B1 KR 102662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ate electrode
barrier layer
semiconductor devic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0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6883A (en
Inventor
장성재
강동민
배성범
윤형섭
조규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7/094,93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15951B2/en
Publication of KR20210056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8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9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layer which is used for its ferro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6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t least one ferro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31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 or gate, e.g. HFET, HIGFET, SISFET, HJFET, HE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Abstract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반도체 소자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의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의 베리어층; 상기 제 1 영역 상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소스 전극, 제 1 드레인 전극 및 이들 사이의 제 1 게이트 전극; 상기 제 2 영역 상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소스 전극, 제 2 드레인 전극 및 이들 사이의 제 2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게이트 전극과 상기 베리어층 사이에 개재되는 강유전체 패턴을 포함한다.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re provided. This semiconductor device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buffer layer on the substrate; a semiconductor layer on the buffer layer; A barrier layer on th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source electrode, a first drain electrode, and a first gate electrode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in the first area; a second source electrode, a second drain electrode, and a second gate electrode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in the second area; and a ferroelectric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barrier layer.

Figure R1020200030007
Figure R1020200030007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HEMT: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는 서로 다른 에너지 밴드갭(bandgap)을 가지는 반도체 물질의 이종접합 계면에서 분극(polarization)과 밴드 단절(band discontinuity)에 의해 발생하는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층을 반도체 소자의 채널층(전자가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이동하는 통로)으로 사용한다. 이런 HEMT 소자는 2DEG층에서의 높은 전자이동도로 인하여 고출력-고주파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다.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HEMT) is a 2DEG (2Dimensional Electron) generated by polarization and band discontinuity at the heterojunction interface of semiconductor materials with different energy bandgaps. The gas layer is used as a channel layer (a path through which electrons move from source to drain) of semiconductor devices. These HEMT devices are used in high-power-high-frequency systems due to the high electron mobility in the 2DEG lay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출력-고주파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유연한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semiconductor device that can be used in a high-output-high-frequency syst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불량을 줄이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that can reduce defects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의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의 베리어층; 상기 제 1 영역 상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소스 전극, 제 1 드레인 전극 및 이들 사이의 제 1 게이트 전극; 상기 제 2 영역 상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소스 전극, 제 2 드레인 전극 및 이들 사이의 제 2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게이트 전극과 상기 베리어층 사이에 개재되는 강유전체 패턴을 포함한다.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buffer layer on the substrate; a semiconductor layer on the buffer layer; a barrier layer on th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source electrode, a first drain electrode, and a first gate electrode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in the first area; a second source electrode, a second drain electrode, and a second gate electrode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in the second area; and a ferroelectric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barrier layer.

상기 기판은 유연할 수 있다. The substrate may be flexible.

상기 반도체 소자는 상기 기판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buffer layer.

상기 반도체 소자는 상기 기판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개재되는 육방정 질화붕소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buffer layer.

상기 제 1 소스 전극, 상기 제 1 드레인 전극, 상기 제 2 소스 전극 및 상기 제 2 드레인 전극은 상기 베리어층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층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source electrode, the first drain electrode, the second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may extend into the semiconductor layer through the barrier layer.

상기 강유전체 패턴은 복수개로 제공되어 제 1 방향을 따라 일 열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강유전체 패턴들의 측면들과 상부면들을 덮을 수 있다.The ferroelectric patterns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arranged in a row along a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gate electrode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to cover side surfaces and top surfaces of the ferroelectric patterns.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상기 제 1 소스 전극 및 상기 제 1 드레인 전극은 제 1 트랜지스터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 상기 제 2 소스 전극 및 상기 제 2 드레인 전극은 제 2 트랜지스터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는 양의 문턱전압을 가지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는 음의 문턱전압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gate electrode, the first source electrode, and the first drain electrode constitute a first transistor, and the second gate electrode, the second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constitute a second transistor, The first transistor may have a positive threshold voltage, and the second transistor may have a negative threshold voltage.

상기 반도체 소자는 상기 반도체층 내에 위치하는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2-Dimensional Electron Gas (2DEG) layer loc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layer.

상기 반도체 소자는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의 일측에서 상기 베리어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상부에 형성된 리세스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 영역의 내측벽에서 상기 강유전체의 측벽이 노출되며,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은 상기 리세스 영역의 내측벽과 바닥면을 덮을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includes a recess reg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arrier layer and the semiconductor layer, wherein a sidewall of the ferroelectric is exposed at an inner wall of the recess region, and the first The gate electrode may cover the inner wall and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area.

상기 반도체 소자는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반도체 층 사이,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베리어층의 측벽 사이,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강유전체의 측벽 사이에 개재된 제 3 절연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insulating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semiconductor layer, between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sidewall of the barrier layer, and between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sidewall of the ferroelectric. You can.

상기 반도체 소자는 상기 베리어층과 상기 강유전체 패턴 사이에 개재된 제 1 절연 패턴; 상기 강유전체 패턴과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제 2 절연 패턴; 및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의 상부면과 측면, 상기 제 1 절연 패턴의 측면, 상기 강유전체 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 2 절연 패턴의 측면과 접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device includes a first insulating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barrier layer and the ferroelectric pattern; a second insulating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ferroelectric pattern and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and side surface of the first gate electrode,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the side surface of the ferroelectric patter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은 상기 베리어층과 접할 수 있다.The second gate electrode may be in contact with the barrier layer.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희생 기판 상에 분리층, 버퍼층, 반도체층 및 베리어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제 1 소스 전극과 제 1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제 2 소스 전극과 제 2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소스 전극과 상기 제 1 드레인 전극 사이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강유전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유전체 패턴 상에 제 1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소스 전극과 상기 제 2 드레인 전극 사이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희생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ther problems includes sequentially stacking a separation layer, a buffer layer, a semiconductor layer, and a barrier layer on a first sacrificial substrate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step; forming a first source electrode and a first drain electrode on the barrier layer in the first area, and forming a second source electrode and a second drain electrode on the barrier layer in the second area; forming a ferroelectric pattern on the barrier layer between the first source electrode and the first drain electrode; forming a first gate electrode on the ferroelectric pattern and forming a second gate electrode on the barrier layer between the second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and removing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상기 분리층은 육방정 질화붕소층을 포함한다.The separation layer includes a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희생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 상에 제 1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접착층 상에 제 2 희생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forming a first adhesive layer on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gate electrode before removing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And it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second sacrificial substrate on the first adhesive layer.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상기 제 1 희생 기판의 전면을 덮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efore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forming a protective film cover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gate electrode are formed.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희생 기판을 제거한 후에, 상기 분리층 아래에 유연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flexible substrate under the separation layer after removing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희생 기판을 제거한 후에, 상기 분리층 아래에 제 2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접착층에 유연 기판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forming a second adhesive layer under the separation layer after removing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And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dhering a flexible substrate to the second adhesive layer.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강유전체 패턴 옆의 상기 베리어층과 상기 반도체 층의 일부를 식각하여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세스 영역의 내측벽과 바닥면을 덮는 제3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forming a recess region by etching a portion of the barrier layer and the semiconductor layer next to the ferroelectric pattern before forming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gate electrode; and forming a third insulating pattern covering the inner wall and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area.

상기 제 1 소스 전극, 상기 제 1 드레인 전극, 상기 제 2 소스 전극 및 상기 제 2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베리어층 상에 서로 이격된 금속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금속 패턴 내의 금속을 상기 베리어층 및 상기 반도체 층의 일부로 확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orming the first source electrode, the first drain electrode, the second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may include forming metal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arrier layer; and performing a heat treatment process to diffuse the metal in the metal pattern into parts of the barrier layer and the semiconductor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에서는 제 1 트랜지스터가 강유전체 패턴을 포함하고 핀 게이트 구조를 사용하므로, 핀의 폭의 감소와 드레인 전류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양의 문턱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출력과 주파수 특성의 열화가 없이 양의 문턱 전압을 가지는 HEMT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고출력-고주파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유연한 반도체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transistor includes a ferroelectric pattern and uses a fin gate structure, a decrease in fin width and drain current can be minimized and a positive threshold voltage can be achiev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EMT device with a positive threshold voltage without deterioration in output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This can provide a flexible semiconductor device that can be used in high-power-high-frequency sys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분리층으로 육방정 질화붕소층을 사용하므로써 버퍼층을 잘 형성할 수 있고, 제 1 희생 기판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로써 불량 없이 유연하며 신뢰성이 향상된 반도체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희생 기판을 재활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ffer layer can be well formed by using a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as a separation layer, and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can be easily separa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semiconductor devices that are defect-free, flexible, and have improved reliability. In addition,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can be recycl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A-A’ 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B-B’ 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강유전체 패턴의 분극 현상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10 및 도 11a 내지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2의 단면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1b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의 단면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1 is a plan view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taken along line A-A'.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
Figure 4 shows the polarization phenomenon of the ferroelectric pattern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10 and FIGS. 11A to 13A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cross-section of FIG. 2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B to 13B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cross-section of FIG. 3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that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Accordingly, the form of the illustration may be modifi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form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an etch area shown at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have a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of the devic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A-A' 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B-B' 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taken along line A-A'.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1000)는 기판(601)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601)은 제 1 영역(R1)과 제 2 영역(R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R1)은 양의 문턱전압을 가지는 트랜지스터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R2)은 음의 문턱전압을 가지는 트랜지스터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기판(601) 상에 기판 접착층(501), 분리층(101), 버퍼층(102), 반도체층(103), 베리어층(104)이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기판(601)은 유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판(60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접착층(501)은 제 BCB(Benzocyclobutene) 수지, 또는 왁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층(101)은 육방정 질화붕소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103)은 III-V족 반도체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103)은 바람직하게는 AlN, InN, GaN, AlGaN, InGaN, AlInN, AlGaInN, 및 GaAs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103)은 불순물로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버퍼층(102)은 상기 반도체층(103)과 격자 상수가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버퍼층(102)은 상기 반도체 층(103)보다 넓은 에너지 밴드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102)은 예를 들면 GaN 또는 AlN일 수 있다. 1 to 3, the semiconductor device 1000 according to this example includes a substrate 601. The substrate 601 may include a first region (R1) and a second region (R2). The first region R1 may be a transistor region having a positive threshold voltage. The second region R2 may be a transistor region having a negative threshold voltage. A substrate adhesive layer 501, a separation layer 101, a buffer layer 102, a semiconductor layer 103, and a barrier layer 104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601. The substrate 601 may be flexible. Preferably, the substrate 601 may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imide.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501 may include either BCB (Benzocyclobutene) resin or wax. The separation layer 101 may include a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The semiconductor layer 103 may be a group III-V semiconductor compound. The semiconductor layer 103 may preferabl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N, InN, GaN, AlGaN, InGaN, AlInN, AlGaInN, and GaAs. The semiconductor layer 103 may or may not be doped with impurities. The buffer layer 102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a lattice consta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miconductor layer 103. The buffer layer 102 may have a wider energy band gap than the semiconductor layer 103. The buffer layer 102 may be, for example, GaN or AlN.

상기 베리어층(104)은 상기 반도체층(103)과 이종접합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베리어층(104)은 Al, Ga, In 및 B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이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층(104)에는 불순물이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베리어층(104)은 상기 반도체층(103)과 격자 상수가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베리어층(104)은 상기 반도체 층(103)보다 넓은 에너지 밴드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103)과 상기 베리어층(104)의 이종 접합 계면에서 분극(polarizaion)과 밴드 단절(band discontinuity)에 의해서 2DEG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DEG층은 상기 반도체 층(103)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2DEG층은 HEMT 소자에서 전자가 이동하는 채널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barrier layer 104 may form a heterojunction with the semiconductor layer 103. The barrier layer 104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 Ga, In, and B, or a nitride thereof. The barrier layer 104 may or may not be doped with impurities. The barrier layer 104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a lattice consta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miconductor layer 103. The barrier layer 104 may have a wider energy band gap than the semiconductor layer 103. A 2DEG layer may be formed by polarization and band discontinuity at the heterojunction interface between the semiconductor layer 103 and the barrier layer 104. The 2DEG layer may be loc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layer 103. The 2DEG layer can be used as a channel layer through which electrons move in a HEMT device.

상기 제 1 영역(R1)에서 상기 베리어층(104) 상에 제 1 소스 전극(201sa)과 제 1 드레인 전극(201d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R2)에서 상기 베리어층(104) 상에 제 2 소스 전극(201sb)과 제 2 드레인 전극(201d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제 2 드레인 전극(201db)은 상기 베리어층(104)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층(103)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제 2 드레인 전극(201db)은 Ti, Al, Ni, Au, Pd, Cu, Co, 및 Pt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과 상기 베리어층(104) 및 상기 반도체층(103)을 구성하는 반도체 물질이 결합된 물질 또는 상기 금속과 상기 반도체 물질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제 2 드레인 전극(201db)은 각각 상기 베리어층(104)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A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and a first drain electrode 201da may be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104 in the first region R1. A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a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may be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104 in the second region R2.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first drain electrode 201da,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penetrate the barrier layer 104 into the semiconductor layer 103. It may be extended.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first drain electrode (201da),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are selected from among Ti, Al, Ni, Au, Pd, Cu, Co, and Pt. It may include a material in which at least one selected metal is combined with a semiconductor material constituting the barrier layer 104 and the semiconductor layer 103, or an alloy of the metal and the semiconductor material.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first drain electrode 201da,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may each protrude onto the barrier layer 104.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제 2 드레인 전극(201db) 상에는 배선 패턴들(203)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제 2 드레인 전극(201db)은 각각 2DEG층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은 상기 2DEG층에 의해 제 1 드레인 전극(201da)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 소스 전극(201sb)은 상기 2DEG층에 의해 제 2 드레인 전극(201db)과 연결될 수 있다.Wiring patterns 203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first drain electrode 201da,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respectively.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first drain electrode 201da,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may each contact the 2DEG layer.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may not b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electrode 201da by the 2DEG layer. However, the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through the 2DEG layer.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은 상기 배선 패턴들(203)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제 2 소스 전극(201s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드레인 전극(201da)은 상기 배선 패턴들(203)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제 2 드레인 전극(201d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선 패턴들(203)은 Ti, Al, Ni, Au, Pd, Cu, Co 및 Pt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제 2 드레인 전극(201db)은 서로 제 1 방향(X1)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방향(X1)과 교차하는 제 2 방향(X2)으로 연장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through one of the wiring patterns 203. The first drain electrode 201d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through another one of the wiring patterns 203. The wiring patterns 203 may include at least one metal selected from Ti, Al, Ni, Au, Pd, Cu, Co, and Pt.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the first drain electrode 201da, the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X1), and the first direction It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X2) intersecting (X1).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과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사이에서 강유전체 패턴(401p)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강유전체 패턴(401p)은 실리콘(Si), 알루미늄(Al), 또는 지르코늄(Zr)이 도핑된 HfO2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강유전체 패턴(401p)은 강유전체 물질인 PZT(Lead Zirconate Titanate), PLZT(Lanthanum-modified Lead Zirconate Titanate), BLT(Bismuth Lanthanum Titanate), BST(Barium Strontium Titanate), SBT(Strontium Bismuth Tantal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PZT는 [Pb(ZrxTi1-x)O3]로 0.2<x<0.8고, 상기 PLZT는 [(Pb1-yLay)(ZrxTi1-x)O3]로 0.2<x<0.8 및 0.01<y<0.2고, 상기 BLT는 [Bi4-xLaxTi3O12]로 0.l<x<2고, 상기 BST는 [(BaxSr1-x)TiO3]로 0.5<x<1 이며, 상기 SBT는 [SrxBiyTa2O9]로 0.5<x<1.5 및 1.5<y<3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 ferroelectric pattern 401p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and the first drain electrode 201da. The ferroelectric pattern 401p may include HfO2 doped with silicon (Si), aluminum (Al), or zirconium (Zr). Alternatively, the ferroelectric pattern 401p may be made of ferroelectric materials such as Lead Zirconate Titanate (PZT), Lanthanum-modified Lead Zirconate Titanate (PLZT), Bismuth Lanthanum Titanate (BLT), Barium Strontium Titanate (BST), and Strontium Bismuth Tantalate (SBT).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tho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For example, the PZT is 0.2<x<0.8 as [Pb(ZrxTi1-x)O3], and the PLZT is 0.2<x<0.8 and 0.01<y as [(Pb1-yLay)(ZrxTi1-x)O3]. <0.2, the BLT is 0.l<x<2 with [Bi4-xLaxTi3O12], the BST is 0.5<x<1 with [(BaxSr1-x)TiO3], and the SBT is 0.5< with [SrxBiyTa2O9]. It may be x<1.5 and 1.5<y<3,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강유전체 패턴(401p)은 상기 반도체층(103) 상에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강유전체 패턴(401p)은 예시적으로 3개가 도시되었으나 2개 이거나 또는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상기 강유전체 패턴들(401p)은 상기 제 2 방향(X2)으로 일 열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강유전체 패턴(401p)과 상기 베리어층(104) 사이에 제 1 절연 패턴(400p)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강유전체 패턴(401p) 상에는 제 2 절연 패턴(402p)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 패턴(400p)과 상기 제 2 절연 패턴(402p)은 각각 SiO, SiN, SiON, 또는 Al2O3, HfOx, LaOx, ZrOx과 같은 산화막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막 또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ferroelectric pattern 401p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on the semiconductor layer 103. In FIG. 1, three ferroelectric patterns 401p are shown as examples, but the number may be two or four or more. The ferroelectric patterns 401p may be arranged in one row in the second direction (X2). A first insulating pattern 400p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erroelectric pattern 401p and the barrier layer 104. A second insulating pattern 402p may be provided on the ferroelectric pattern 401p.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400p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402p each have at least one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selected from SiO, SiN, SiON, or oxide films such as Al2O3, HfOx, LaOx, and ZrOx. You ca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강유전체 패턴들(401p) 사이에서, 상기 베리어층(104) 및 상기 반도체층(103)에는 리세스 영역(RC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영역(RC1)의 내측벽에서 상기 베리어층(104), 상기 제 1 절연 패턴(400p), 상기 강유전체 패턴(401p) 및 제 2 절연 패턴(402p)의 측벽들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영역(RC1)의 내측벽과 바닥면은 제 3 절연 패턴(301)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제 3 절연 패턴(301)은 SiO, SiN, SiON, 또는 Al2O3, HfOx, LaOx, ZrOx과 같은 산화막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막 또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영역(RC1)은 도 1에서 제 1 방향(X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영역(RC1)에 의해 상기 반도체층(103)의 일부는 핀(fin)구조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3 , a recess region RC1 may be formed in the barrier layer 104 and the semiconductor layer 103 between the ferroelectric patterns 401p. The sidewalls of the barrier layer 104,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400p, the ferroelectric pattern 401p,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402p may be ex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region RC1. The inner wall and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region RC1 may be covered with a third insulating pattern 301.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301 may have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selected from SiO, SiN, SiON, or an oxide film such as Al2O3, HfOx, LaOx, or ZrOx. The recess area RC1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1 in FIG. 1 . A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layer 103 may have a fin structure due to the recess region RC1.

상기 제 2 절연 패턴(402p) 상에 제 1 게이트 전극(204a)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스 전극(201sb)과 상기 제 2 드레인 전극(201db) 사이에서 상기 베리어층(104) 상에 제 2 게이트 전극(204b)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204a)과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204b)은 각각 Ti, Al, Ni, Au, Pd, Cu, Co 및 Pt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204a)은 제 2 방향(X2)으로 연장되어 상기 강유전체 패턴들(401p)의 상부면들과 측면들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204a)은 상기 제 3 절연 패턴(301)과 접할 수 있다. A first gate electrode 204a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402p. A second gate electrode 204b may be positioned on the barrier layer 104 between the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The first gate electrode 204a and the second gate electrode 204b may each include at least one metal selected from Ti, Al, Ni, Au, Pd, Cu, Co, and Pt. The first gate electrode 204a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X2) to cover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ferroelectric patterns 401p. The first gate electrode 204a may contact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301.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204b)은 제 2 방향(X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204b)은 상기 베리어층(104)과 직접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204b)은 상기 베리어층(104)과 쇼트키(Schottky) 접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204b)과 상기 베리어층(104) 간의 에너지 밴드갭이 크기에 게이트 절연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204b)은 상기 베리어층(104)과 직접 접하는 경우 주파수 특성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The second gate electrode 204b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X2). The second gate electrode 204b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rrier layer 104. The second gate electrode 204b may form a Schottky junction with the barrier layer 104. Therefore, since the energy band gap between the second gate electrode 204b and the barrier layer 104 is large, a gate insulating film is not required. Additionally, when the second gate electrode 204b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rrier layer 104, frequency characteristics may be more advantageous.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204a)은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과 상기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드레인 전극(201da)보다는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에 더욱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204b)은 상기 제 2 소스 전극(201sb)과 상기 제 2 드레인 전극(201db)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드레인 전극(201db)보다는 상기 제 2 소스 전극(201sb)에 더욱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gate electrode 204a is located at the midpoint between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and the first drain electrode 201da, or is located closer to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da) than the first drain electrode 201da. It can be located closer to 201sa). The second gate electrode 204b is located at the midpoint between the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or is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source electrode (201db) than the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It can be located closer to 201sb).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204a),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204b), 상기 배선 패턴들(203) 및 상기 베리어층(104)은 보호막(302)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보호막(302)은 SiO, SiN, SiON, 또는 Al2O3, HfOx, LaOx, ZrOx과 같은 산화막 또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gate electrode 204a, the second gate electrode 204b, the wiring patterns 203, and the barrier layer 104 may be covered with a protective film 302. The protective film 302 may include an oxide film such as SiO, SiN, SiON, Al2O3, HfOx, LaOx, or ZrOx, or polyimide.

상기 제 1 영역(R1)에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204a),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 및 상기 제 1 드레인 전극(201da)은 제 1 트랜지스터(TR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R2)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204b), 상기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상기 제 2 드레인 전극(201db)은 제 2 트랜지스터(TR2)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R1)는 양의 문턱전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R2)은 음의 문턱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R1)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1000)는 HEMT 소자일 수 있다.In the first region R1, the first gate electrode 204a,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and the first drain electrode 201da may form a first transistor TR1. In the second region R2, the second gate electrode 204b, the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may form a second transistor TR2. The first transistor TR1 may have a positive threshold voltage. The second transistor TR2 may have a negative threshold voltage. The semiconductor device 1000 including the first transistor TR1 and the second transistor TR2 may be a HEMT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강유전체 패턴의 분극 현상을 나타낸다. Figure 4 shows the polarization phenomenon of the ferroelectric pattern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1000)는 유연한 기판(601)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204a)에 음의 전압을 (펄스 형태로) 인가하면, 강유전체 패턴(401p) 내에 도 4와 같이 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2DEG층에 존재하는 전자는 척력에 의해 밀려나고(또는 공핍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R1)은 양의 문턱전압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semiconductor device 1000 according to this example can be bent by the flexible substrate 601. When a negative voltage (in the form of a pulse) is applied to the first gate electrode 204a, polarization may be formed in the ferroelectric pattern 401p as shown in FIG. 4. As a result, electrons present in the 2DEG layer are repelled (or depleted) by a repulsive force, and as a result, the first transistor TR1 can have a positive threshold voltage.

HEMT 소자를 사용한 유연 집적회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문턱전압이 음(-)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와 양(+)을 가지는 소자가 하나의 기판에 동시에 제작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집적회로가 제작된 후 기판에서 집적회로를 분리하여 유연 기판과 접합시켜야 한다. 그러나 HEMT소자는 일반적으로 고농도 2DEG로 인하여 문턱전압이 음(-)의 값만을 가지게 된다. 양(+) 문턱전압을 가지는 HEMT 소자를 얻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지만, 공정의 어려움이나, 드레인 전류의 감소로 인하여 고출력-고주파 소자에서 필요로 하는 성능을 획득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1 트랜지스터(TR1)이 강유전체 패턴(401p)을 포함하고 핀(fin) 게이트 구조를 사용하므로, 핀의 폭과 드레인 전류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양의 문턱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출력과 주파수 특성의 열화가 없이 양의 문턱 전압을 가지는 HEMT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a flexible integrated circuit using a HEMT device, a semiconductor device with a negative (-) threshold voltage and a device with a positive (+) threshold voltage must be manufactured simultaneously on one substrate. Additionally, after the integrated circuit is manufactured, the integrated circuit must be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and bonded to the flexible substrate. However, HEMT devices generally have a threshold voltage of only negative (-) values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 of 2DEG. Various efforts are made to obtain a HEMT device with a positive threshold voltage, but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the performance required for a high-output-high-frequency device due to processing difficulties or a decrease in drain curren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transistor TR1 includes a ferroelectric pattern 401p and uses a fin gate structure, the reduction in fin width and drain current can be minimized and a positive threshold voltage can be obtain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EMT device with a positive threshold voltage without deterioration in output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도 5 내지 도 10 및 도 11a 내지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2의 단면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1b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의 단면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FIGS. 5 to 10 and FIGS. 11A to 13A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cross-section of FIG. 2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B to 13B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cross-section of FIG. 3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영역(R1)과 제 2 영역(R2)을 포함하는 제 1 희생 기판(100)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은 예를 들면 사파이어(sapphire), 실리콘(Si), 탄화규소(SiC)일 수 있다.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 상에 분리층(101), 버퍼층(102), 반도체층(103) 및 베리어층(104)을 차례로 적층한다. 상기 분리층(101)은 육방정 질화붕소층일 수 있다. 육방정 질화붕소는 2D (2-dimensional) 물질로 각 층과 층은 약한 반데르발스력 (Van del Waals force)으로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분리층(101)은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 상에 접촉하여 형성되며, 후속 공정에서 제 1 희생 기판(100)을 분리하기 위한 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02)은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과 상기 반도체층(103) 간의 열팽창 계수 및 격자 상수 차이를 완화시켜주기 위한 층일 수 있다. 상기 버퍼층(102), 반도체층(103) 및 베리어층(104)의 물질들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상기 분리층(101), 버퍼층(102), 반도체층(103) 및 베리어층(104)은 각각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ALD(Atomic Layer Deposition) 또는 SEG(Selective Epitaxial Growth)와 같은 증착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층(101)이 육방정 질화붕소이며 상기 버퍼층(102)이 질화갈륨을 포함하는 경우 동일한 질화물 기반의 반도체 소재이기에 육방정 질화 붕소 위에 질화갈륨을 성장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이로써 고품질의 질화갈륨 에피층인 버퍼층(102)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including a first region (R1) and a second region (R2) is provided.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may be, for example, sapphire, silicon (Si), or silicon carbide (SiC). A separation layer 101, a buffer layer 102, a semiconductor layer 103, and a barrier layer 104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The separation layer 101 may be a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Hexagonal boron nitride is a 2D (2-dimensional) material, and each layer can be bonded by weak Van der Waals force. The separation layer 101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and can be used as a layer to separate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in a subsequent process. The buffer layer 102 may be a layer to alleviate differences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nd lattice constant between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and the semiconductor layer 103. Materials of the buffer layer 102, semiconductor layer 103, and barrier layer 104 may be the same/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layer 101, buffer layer 102, semiconductor layer 103, and barrier layer 104 are each formed by a deposition process such as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ALD (Atomic Layer Deposition), or SEG (Selective Epitaxial Growth). can be formed. When the separation layer 101 is hexagonal boron nitride and the buffer layer 102 includes gallium nitride, it is easy to grow gallium nitride on hexagonal boron nitride because they are the same nitride-based semiconductor material. As a result, the buffer layer 102, which is a high-quality gallium nitride epitaxial layer, can be form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베리어층(104) 상에 금속 패턴들(2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들(200)은 Ti, Al, Ni, Au, Pd, Cu, Co 및 Pt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들(200)은 후속의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제 2 드레인 전극(201db)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들(200)은 증착 공정, 리프트-오프(Lift-Off) 및/또는 식각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패턴들(200)은 수 나노미터에서 수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metal patterns 200 may be formed on the barrier layer 104. The metal patterns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i, Al, Ni, Au, Pd, Cu, Co, and Pt. The metal patterns 200 may define the positions of the subsequent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first drain electrode 201da,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The metal patterns 200 may be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lift-off, and/or etching process. The metal patterns 200 may have a thickness of several nanometers to several micrometers.

도 7을 참조하면, 급속 열처리(Rapid Thermal Anealing, RTA)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금속 패턴들(200)을 활성화시켜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제 2 드레인 전극(201db)을 형성한다. 상기 급속 열처리 공정을 통해 금속 패턴들(200)에 포함된 금속들이 상기 베리어층(104)과 상기 반도체층(103)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금속들이 된다. 상기 베리어층(104)과 상기 반도체층(103)을 구성하는 물질과 합금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제 2 드레인 전극(201d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속 열처리 공정의 온도는 약 1000℃ 이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rapid thermal annealing (RTA) process is performed to activate the metal patterns 200 to form a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a first drain electrode 201da, and a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a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Through the rapid heat treatment process, metals included in the metal patterns 200 may diffuse into the barrier layer 104 and the semiconductor layer 103. This makes the above metals. An alloy is formed with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barrier layer 104 and the semiconductor layer 103 to form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the first drain electrode 201da, the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the second drain. An electrode 201db may be formed. The temperature of the rapid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about 1000°C or less.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베리어층(104)의 전면 상에 캐핑층(300)을 콘포말하게 형성한다. 상기 캐핑층(300)은 예를 들면 SiO, SiN, SiON, 또는 Al2O3, HfOx, LaOx, ZrOx과 같은 산화막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막 또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식각 공정 또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캐핑층(300)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제 2 드레인 전극(201db)의 상부면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capping layer 300 is conformally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rrier layer 104. For example, the capping layer 300 may have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selected from SiO, SiN, SiON, or an oxide layer such as Al2O3, HfOx, LaOx, or ZrOx. An etching process or a 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is performed to remove a portion of the capping layer 300 to form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the first drain electrode 201da, the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2 The upper surfaces of the drain electrode 201db may be exposed.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제 2 드레인 전극(201db)의 상부면들 상에 배선패턴들(203)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선 패턴들(203)을 형성하기 위해 증착 공정, 리프트-오프 및/또는 식각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배선패턴들(203)의 일부는 상기 캐핑층(300) 상에도 형성되어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제 2 소스 전극(201sb) 및 제 2 드레인 전극(201db) 중 일부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wiring patterns 203 are formed on upper surfaces of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the first drain electrode 201da, the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can be formed respectively. A deposition process, lift-off and/or 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form the wiring patterns 203. Some of the wiring patterns 203 are also formed on the capping layer 300 to form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the first drain electrode 201da, the second source electrode 201sb,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201db. )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소스 전극(201sa), 제 1 드레인 전극(201da) 사이에서, 상기 캐핑층(300)을 패터닝하여 상기 베리어층(104)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캐핑층(300) 상에 제 1 절연막(400), 강유전체막(401) 및 제 2 절연막(402)을 차례로 콘포말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유전체막(401)의 분극 특성 향상을 위해서 급속 열처리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속 열처리 공정 수 백 ℃ 이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barrier layer 104 may be exposed by patterning the capping layer 300 between the first source electrode 201sa and the first drain electrode 201da. A first insulating film 400, a ferroelectric film 401, and a second insulating film 402 may be sequentially formed on the capping layer 300. Additionally, a rapid heat treat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to improve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erroelectric film 401. At this time, the rapid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several hundred degrees Celsius or less.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절연막(402), 상기 강유전체막(401) 및 상기 제 1 절연막(400)을 차례대로 식각하여 제 2 절연 패턴들(402p), 강유전체 패턴들(401p) 및 제 1 절연 패턴들(400p)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절연막(400) 아래의 상기 캐핑층(300)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층(104)과 상기 반도체 층(103)의 일부를 식각하여 리세스 영역들(R1)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1A and 11B, the second insulating film 402, the ferroelectric film 401, and the first insulating film 400 are sequentially etched to form second insulating patterns 402p and ferroelectric patterns 401p. ) and form first insulating patterns 400p. The capping layer 300 below the first insulating film 400 is removed. Then, portions of the barrier layer 104 and the semiconductor layer 103 may be etched to form recess regions R1.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의 전면 상에 제 3 절연막(미도시)을 콘포말하게 적층한 후 식각하여 상기 리세스 영역(RC1)의 내측벽과 바닥면을 덮는 제 3 절연 패턴(30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의 전면 상에 게이트막(미도시)을 콘포말하게 적층하고 패터닝하여 상기 제 2 절연 패턴(402p) 및 상기 제 3 절연 패턴(301) 상에 제 1 게이트 전극(204a)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영역(R2)에서 상기 베리어층(104) 상에 제 2 게이트 전극(204b)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의 전면 상에 보호막(302)을 콘포말하게 적층한다. 보호막(302)은 소자의 표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베리어층(104) 표면에 존재하는 댕글링 본드(dangling bond)를 줄여 2DEG의 농도를 높이고, 드레인 전압에 의한 전류붕괴현상을 개선하여 고주파 특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드레인 전압에 의한 전기장을 약화시켜 항복전압을 증가시키는 역할도 한다. Referring to FIGS. 12A and 12B, a third insulating film (not shown) is conformally stack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and then etched to form the inner wall and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region RC1. A third insulating pattern 301 covering is formed. A gate film (not shown) is conformally stacked and patter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to form a first gate electrode (not shown) o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402p and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301. 204a), and a second gate electrode 204b is formed on the barrier layer 104 in the second region R2. A protective film 302 is conformally stack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The protective film 302 not only protects the surface of the device, but also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2DEG by reducing dangling bonds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barrier layer 104, and improves the current collapse phenomenon due to drain voltage to improve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It can be raised. In addition, it also serves to increase the breakdown voltage by weakening the electric field caused by the drain voltage.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보호막(302) 형성 후 베리어층(104)과 보호막(302) 간의 계면 특성의 향상을 위해서 급속 열처리를 할 수 있으나, 강유전체 패턴(401p)의 분극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온도에서 진행한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보호막(302) 형성 후 외부 바이어스(Bias) 인가를 위해서 배선 패턴(203)의 일부인 접촉 패트 영역을 개구할 수 있다. 접촉 패트 영역은 습식, 건식 또는 이를 혼용한 식각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보호막(302)을 식각하여 개구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rapid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to improve the interfac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barrier layer 104 and the protective film 302 after forming the protective film 302, but at a temperature that does not affect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erroelectric pattern 401p. It is carried out in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ontact pad area that is part of the wiring pattern 203 may be opened to apply an external bias after forming the protective film 302. The contact pad area can be opened by etching the protective film 302 using wet, dry, or a combination of these etching methods.

상기 보호막(302) 상에 희생 접착막(500)과 제 2 희생 기판(600)을 차례로 적층할 수 있다. 희생 접착막(500)은 BCB(Benzocyclobutene) 수지, 또는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희생 기판(600)은 사파이어(sapphire), 실리콘(Si), 탄화규소(SiC)일 수 있다.A sacrificial adhesive film 500 and a second sacrificial substrate 60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protective film 302. The sacrificial adhesive film 500 may be made of BCB (Benzocyclobutene) resin, wax, or the like. The second sacrificial substrate 600 may be sapphire, silicon (Si), or silicon carbide (SiC).

도 12a 및 도 12b 그리고,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을 상기 분리층(101)으로부터 분리한다. 도 12a 및 도 12b의 상태의 구조를 예를 들면 에천트(etchant)(예를 들면 알루미늄 에천트 또는 불산)에 담그면 육방정 질화붕소층으로 이루어진 상기 분리층(101)과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 사이에 에천트가 침투하면서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이 상기 분리층(10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육방정 질화붕소는 2D (2-dimensional) 물질로 각 층과 층은 약한 반데르발스력 (Van del Waals force)으로 접합되어 있어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이 대면적을 가질지라도)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의 분리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을 분리한 후에 기판 접착층(501)을 개재하여 기판(601)을 본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A and 12B and 13A and 13B,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layer 101. 12A and 12B, for example, when immersed in an etchant (e.g., aluminum etchant or hydrofluoric acid), the separation layer 101 made of a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and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 As the etchant penetrates between 100,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layer 101. At this time, hexagonal boron nitride is a 2D (2-dimensional) material, and each layer is bonded by weak Van der Waals force (even though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has a large area). Separation of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can be easily performed. After separating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the substrate 601 may be bonded via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501.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희생 기판(600)을 분리하고 상기 희생 접착막(500)을 제거하여 상기 보호막(302)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도 1 내지 도 3의 반도체 소자(1000)를 제조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 the second sacrificial substrate 600 may be separated and the sacrificial adhesive film 500 may be removed to expose the protective film 302 . In this way, the semiconductor device 1000 of FIGS. 1 to 3 can be manufactur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리층(101)으로 육방정 질화붕소층을 사용하므로써 버퍼층(102)을 잘 형성할 수 있고, 제 1 희생 기판(10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로써 불량 없이 유연하며 신뢰성이 향상된 반도체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희생 기판(100)을 재활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as the separation layer 101, the buffer layer 102 can be well formed, and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can be easily formed. It can be separa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semiconductor devices that are defect-free, flexible, and have improved reliability. In addition,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100 can be recycl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20)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의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의 베리어층;
상기 제 1 영역 상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소스 전극, 제 1 드레인 전극 및 이들 사이의 제 1 게이트 전극;
상기 제 2 영역 상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소스 전극, 제 2 드레인 전극 및 이들 사이의 제 2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게이트 전극과 상기 베리어층 사이에 개재되는 강유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의 일측에서 상기 베리어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상부에 형성된 리세스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 영역의 내측벽에서 상기 강유전체의 측벽이 노출되며,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은 상기 리세스 영역의 내측벽과 바닥면을 덮고,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반도체 층 사이,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베리어층의 측벽 사이,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강유전체의 측벽 사이에 개재된 제 3 절연 패턴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buffer layer on the substrate;
a semiconductor layer on the buffer layer;
a barrier layer on th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source electrode, a first drain electrode, and a first gate electrode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in the first area;
a second source electrode, a second drain electrode, and a second gate electrode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in the second area; and
It includes a ferroelectric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barrier layer,
It further includes a recess area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on top of the barrier layer and the semiconductor layer,
A side wall of the ferroelectric is exposed at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area,
The first gate electrode covers the inner wall and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area,
A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hird insulating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semiconductor layer, between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sidewall of the barrier layer, and between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sidewall of the ferroelectr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연한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is a flexible semiconducto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claim 1,
A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buffer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개재되는 육방정 질화붕소층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claim 1,
A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buffer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스 전극, 상기 제 1 드레인 전극, 상기 제 2 소스 전극 및 상기 제 2 드레인 전극은 상기 베리어층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층 내부로 연장되는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ource electrode, the first drain electrode, the second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penetrate the barrier layer and extend into the semiconductor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패턴은 복수개로 제공되어 제 1 방향을 따라 일 열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강유전체 패턴들의 측면들과 상부면들을 덮는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ferroelectric pattern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arranged in a row along a first direction,
The first gate electrode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to cover side surfaces and top surfaces of the ferroelectric patter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상기 제 1 소스 전극 및 상기 제 1 드레인 전극은 제 1 트랜지스터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 상기 제 2 소스 전극 및 상기 제 2 드레인 전극은 제 2 트랜지스터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는 양의 문턱전압을 가지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는 음의 문턱전압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ate electrode, the first source electrode, and the first drain electrode constitute a first transistor,
The second gate electrode, the second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constitute a second transistor,
The first transistor has a positive threshold voltage,
The second transistor is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negative threshold 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 내에 위치하는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층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claim 1,
A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2-Dimensional Electron Gas (2DEG) layer loc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층과 상기 강유전체 패턴 사이에 개재된 제 1 절연 패턴;
상기 강유전체 패턴과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제 2 절연 패턴; 및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의 상부면과 측면, 상기 제 1 절연 패턴의 측면, 상기 강유전체 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 2 절연 패턴의 측면과 접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insulating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barrier layer and the ferroelectric pattern;
a second insulating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ferroelectric pattern and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A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film in contact with a top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gate electrode, a sid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a side surface of the ferroelectric pattern, and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은 상기 베리어층과 접하는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gate electrode is a semiconductor device in contact with the barrier layer.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희생 기판 상에 분리층, 버퍼층, 반도체층 및 베리어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제 1 소스 전극과 제 1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제 2 소스 전극과 제 2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소스 전극과 상기 제 1 드레인 전극 사이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강유전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유전체 패턴 옆의 상기 베리어층과 상기 반도체 층의 일부를 식각하여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세스 영역의 내측벽과 바닥면을 덮는 제3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유전체 패턴 상에 제 1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소스 전극과 상기 제 2 드레인 전극 사이에서 상기 베리어층 상에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희생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sequentially stacking a separation layer, a buffer layer, a semiconductor layer, and a barrier layer on a first sacrificial substrate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forming a first source electrode and a first drain electrode on the barrier layer in the first area, and forming a second source electrode and a second drain electrode on the barrier layer in the second area;
forming a ferroelectric pattern on the barrier layer between the first source electrode and the first drain electrode;
forming a recess area by etching a portion of the barrier layer and the semiconductor layer next to the ferroelectric pattern;
forming a third insulating pattern covering the inner wall and bottom of the recess area;
forming a first gate electrode on the ferroelectric pattern and forming a second gate electrode on the barrier layer between the second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removing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은 육방정 질화붕소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separation lay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희생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 상에 제 1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접착층 상에 제 2 희생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Before removing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forming a first adhesive layer on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gate electrod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second sacrificial substrate on the first adhesive lay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상기 제 1 희생 기판의 전면을 덮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Before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protective film cover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gate electrode are form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희생 기판을 제거한 후에,
상기 분리층 아래에 유연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After removing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flexible substrate under the separation lay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희생 기판을 제거한 후에,
상기 분리층 아래에 제 2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접착층에 유연 기판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After removing the first sacrificial substrate,
forming a second adhesive layer below the separation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comprising adhering a flexible substrate to the second adhesive layer.
삭제delet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스 전극, 상기 제 1 드레인 전극, 상기 제 2 소스 전극 및 상기 제 2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베리어층 상에 서로 이격된 금속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금속 패턴 내의 금속을 상기 베리어층 및 상기 반도체 층의 일부로 확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Forming the first source electrode, the first drain electrode, the second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drain electrode includes:
forming metal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arrier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performing a heat treatment process to diffuse the metal in the metal pattern to a portion of the barrier layer and the semiconductor layer.
KR1020200030007A 2019-11-11 2020-03-11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662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94,931 US11315951B2 (en) 2019-11-11 2020-11-11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43763 2019-11-11
KR1020190143763 2019-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883A KR20210056883A (en) 2021-05-20
KR102662942B1 true KR102662942B1 (en) 2024-05-07

Family

ID=7614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007A KR102662942B1 (en) 2019-11-11 2020-03-11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9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849B1 (en) * 2021-06-03 2023-02-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Reconfigurable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device and threshold voltag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2278A1 (en) * 2011-09-29 2013-04-0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90058049A1 (en) * 2016-04-01 2019-02-21 Intel Corporation Ferroelectric-based field-effect transistor with threshold voltage switching for enhanced on-state and off-state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2278A1 (en) * 2011-09-29 2013-04-0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90058049A1 (en) * 2016-04-01 2019-02-21 Intel Corporation Ferroelectric-based field-effect transistor with threshold voltage switching for enhanced on-state and off-state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883A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6676B2 (en) Heterostructure power transistor with AlSiN passivation layer
JP556481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6462393B2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US7750369B2 (e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JP6356009B2 (en) Semiconductor device
JP5114947B2 (e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845872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IS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63029B1 (en) Low damage passivation layer for ⅲ-ⅴ based devices
EP2385544B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enhancement-mode HEMTs with self-aligned field plate
US10283632B2 (e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780613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mproved adhes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118556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170345921A1 (en) Powe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JP2011198837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403724B2 (en) Semiconductor wafer
JP2011049521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359035A1 (en)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TW201838178A (en) Semiconductor device
CN109148574B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62942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6021122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755330A (en)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31595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922936B1 (en) Semiconductor lithography alignment feature with epitaxy blocker
US1187612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