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775B1 -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ing battle using it - Google Patents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ing battle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775B1
KR102662775B1 KR1020210169481A KR20210169481A KR102662775B1 KR 102662775 B1 KR102662775 B1 KR 102662775B1 KR 1020210169481 A KR1020210169481 A KR 1020210169481A KR 20210169481 A KR20210169481 A KR 20210169481A KR 102662775 B1 KR102662775 B1 KR 102662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target
module
target inform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81431A (en
Inventor
권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디에스
Priority to KR102021016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775B1/en
Publication of KR2023008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4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775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14Indirect ai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기에 장착된 카메라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표적정보를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원격지의 지휘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시각화 함으로써 개인 총기사용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휘관용 통제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지휘 통제 신호를 시각화하여 각 병사들에게 인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호 의사전달 능력 향상, 정확한 지휘 정보 및 명령체계지원을 통해 전투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투 지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ramatically improve personal gun use ability by transmitting and visualizing target information acquired in real time through a camera device mounted on a firearm to a personal display device or a remote commander display device, as well as commander control. A targeting support system that visualizes command and control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device and makes them recognizable to each soldier, thereby improving mutu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maximizing combat power through accurate command information and command system support, and combat command using the same. It's about method.

Description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투 지휘 방법{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ING BATTLE USING IT}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d combat command method using the same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ING BATTLE USING IT}

본 발명은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투 지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총기에 장착된 카메라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표적정보를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원격지의 지휘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시각화 함으로써 개인 총기사용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휘관용 통제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지휘 통제 신호를 시각화하여 각 병사들에게 인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호 의사전달 능력 향상, 정확한 지휘 정보 및 명령체계지원을 통해 전투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투 지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d a combat command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arget information acquired in real time through a camera device mounted on a firearm is transmitted to a personal display device or a display device for a remote commander. Not only can personal gun use ability be dramatically improved through visualization, but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ander's control device are visualized and made recognizable to each soldier, improving mutual communication skills and providing accurate command information and orders. It is about a targeting support system that can maximize combat power through system support and a combat command method using it.

일반적으로, 총기류는 소총의 가늠자와 가늠쇠를 연하는 선상을 눈으로 직접 조준하여 사격하거나 조준경과 같은 광학 장비를 사용하여 사격함으로 이로 인해 조준을 하기 위해서 시간과 안정된 자세 그리고 엄폐 및 은폐위치가 적절하게 제공되지 않으면 그 사격의 정확도는 현저하게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firearms are fired by aiming directly with the eye at the line connecting the rifle's sights and sights, or by using optical equipment such as a scope. This requires time, a stable posture, and appropriate cover and concealment positions to aim.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f it was not provided, the accuracy of the shooting w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한편, 현재 총기류에 사용되는 광학 렌즈형 조준경은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사용자의 직접적인 시야를 통한 조준이 이루어져 사용되는 기기로써 개별 병사의 숙달을 위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기관총의 경우 조준하여 사격함에 있어 정확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일반 소화기와 달리 사용자의 노출이 많아 작전 시 생존 확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optical lens-type sights currently used in firearms are widely distributed and used, but as they are devices that aim through the user's direct field of vision, they require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individual soldiers to master, and in the case of machine guns, aim and fi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was significantly lower and, unlike regular fire extinguishers, the user was exposed to a lot, which lowered the probability of survival during operations.

또한, 기존의 부대 구성상 가장 작은 규모의 분대 기준으로 무전기가 보급됨으로 각개 병사들은 단위부대 지휘자 및 지휘관의 명령에만 의존해야 함으로 주변 상황 변화와 무관하게 하달된 명령을 수행해 작전 성공 확률 및 생존 확률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due to the existing unit structure, radios are supplied based on the smallest squad, so each soldier must rely only on the commands of the unit commander and commander, so the probability of operation success and survival is increased by executing orders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surrounding situation. There was also a problem where it dropped significantly.

또한, 무인 감시 장비를 이용한 카메라 영상을 통해 차량 탑재 및 비무장지대의 감시 장비로는 시험평가 되고 있지만 각각의 개인 병사들을 위한 정확한 조준 시스템은 적용된바 없다. 이로 인해 개인의 능력에 따라 명중률이 상당히 큰 편차를 보이고 있고 이는 장시간의 훈련을 통해서 보정할 수 있음으로 이로 인해 훈련탄의 소비 증가와 개인 화기 운용 능력 교육시간의 증가로 인해 팀 단위 및 단위 부대 단위의 전술 훈련이 중요함에도 그 교육시간이 감소하게 되고 줄어드는 병역자원 및 복무기간 단축으로 숙달된 병력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camera images using unmanned surveillance equipment are being tested and evaluated as vehicle-mounted and demilitarized zone surveillance equipment, but an accurate aiming system for each individual soldier has not been applied. As a resul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ability, and this can be corrected through long-term training. This results in increased consumption of training ammunition and increased training time for individual firearm operation skills at the team and unit level. Although tactical training is important, training time is decreasing, and securing skilled troops is becoming difficult due to dwindling military service resources and shortened service periods.

한국등록특허 제10-2299346호Korean Patent No. 10-2299346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총기에 장착된 카메라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표적정보를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원격지의 지휘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시각화 함으로써 개인 총기사용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휘관용 통제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지휘 통제 신호를 시각화하여 각 병사들에게 인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호 의사전달 능력 향상, 정확한 지휘 정보 및 명령체계지원을 통해 전투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투 지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arget information acquired in real time through a camera device mounted on a firearm is transmitted and visualized to a personal display device or a display device for a remote commander, thereby dramatically improving personal gun use ability. Not only can this be improved, but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ander control device can be visualized and recognized by each soldier, thereby improving mutu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maximizing combat power through accurate command information and command system support. The goal is to provide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d a combat command method using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100)은 총기에 설치되며, 총기 전방을 스캔하여 표적정보를 획득하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상기 표적정보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연결되어 상기 표적정보를 획득하며, 지휘관 조작에 기반하여 지휘 통제 신호를 생성 후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하는 지휘 통제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firearm and acquires target information through a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that scans the front of the gun and acquires target information. A display module 120 outputs the target information in a visible form and is connected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to acquire the target information, and provides a command an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ommander's manipulation. It may include a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at generates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or the display module 120.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과 연결되는 통신 장치(111), 카메라 장치(112), 적외선 LED 장치(113),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114), 지면을 기준으로 총열의 각도를 파악하는 각도센서장치(115), 현재 위치 상 고도를 파악하는 고도센서장치(116), 마이크 장치(117), 배터리 장치(118) 및 상기 통신 장치(111), 상기 카메라 장치(112), 상기 적외선 LED 장치(113), 상기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114), 상기 각도센서장치(115), 상기 고도센서장치(116), 상기 마이크 장치(117) 및 상기 배터리 장치(118)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111, a camera device 112, an infrared LED device 113, which are connected to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114), angle sensor device (115) that determines the angle of the barrel relative to the ground, altitude sensor device (116) that determines the altitude at the current location, microphone device (117), battery device (118)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11, the camera device 112, the infrared LED device 113, the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114, the angle sensor device 115, the altitude sensor device 116, and the microphone. It may include a system control unit 119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117 and the battery device 118.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119)는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시스템 파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장치(118)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 이상으로 승압하여 공급함으로써,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내에서 상기 배터리 장치(1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든 부품이 소손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system destru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system control unit 119 boosts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device 118 to a preset voltage or higher and supplies it, All par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device 118 withi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may be damag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119)는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삭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를 초기화 및 삭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ystem control unit 119 may initialize and delete software of the microprocessor i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when a system software de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119)는 상기 카메라 장치(112)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상기 표적정보로 변환하되, 각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별로 부여된 식별ID를 자동 입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ystem control unit 119 may convert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112 into the target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input the identification ID assigned to each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there i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128)는 상기 디스플레이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지면과의 각도를 토대로 상기 배터리 장치(127)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2)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ystem control unit 128 may control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device 127 to the display device 122 based on the angle of the display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with the ground. .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은 총기로부터 분리된 후 바닥면에 안착 및 거치가 가능하도록 거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may include a mounting means so that it can be seated and mounted on the floor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firearm.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상기 지휘 통제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다수의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전송되는 표적정보들에 입력된 식별ID를 확인한 후 기 등록된 식별ID에 해당하는 표적정보만을 선별 및 수신하는 통신 장치(121), 상기 통신 장치(121)를 통해 수신된 상기 표적정보 또는 상기 지휘 통제 신호를 가시화하여 출력하며, 플립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22), 마이크 장치(123), 스피커 장치(124), 위치정보 수신장치(125), 방위각 센서장치(126), 배터리 장치(127) 및 상기 통신 장치(12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2), 상기 마이크 장치(123), 상기 스피커 장치(124), 상기 위치정보 수신장치(125), 상기 방위각 센서장치(126) 및 상기 배터리 장치(127)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20 receives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also identifies the identification ID input to the targe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s 110. After checking, a communication device 121 that selects and receives only targ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registered identification ID, visualizes and outputs the target information or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21, and flip angle An adjustable display device 122, a microphone device 123, a speaker device 124,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125, an azimuth sensor device 126, a battery device 127,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21 ),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22, the microphone device 123, the speaker device 124,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125, the azimuth sensor device 126, and the battery device 127. It may include a system control unit 128 that do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128)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2)의 플립 각도를 토대로 상기 배터리 장치(127)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2)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ystem control unit 128 may control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device 127 to the display device 122 based on the flip angle of the display device 122.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2) 주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장치(12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제어부(128)는 상기 조도센서장치(129)에 의해 측정되는 조도를 토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2)의 밝기를 기 설정된 값이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20 further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device 129 that measures the illuminance around the display device 122, and the system control unit 128 controls the illuminance sensor device 129. Based on the illuminance measured by the display device 122,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device 122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maintain a preset valu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128)는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시스템 파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장치(127)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 이상으로 승압하여 공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 내에서 상기 배터리 장치(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든 부품이 소손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system destru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system control unit 128 boosts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device 127 to a preset voltage or more and supplies it, All componen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device 127 within the display module 120 may be damag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128)는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삭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를 초기화 하거나 삭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ystem control unit 128 may initialize or delete software of the microprocessor in the display module 120 when a system software de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은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연결되는 통신 장치(131), 상기 통신 장치(131)를 통해 수신된 상기 표적정보를 가시화하여 출력하고,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되는 상기 지휘 통제 신호를 지휘관 조작을 통해 입력 가능한 형태로 가시화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32), 마이크 장치(133), 스피커 장치(134), 위치정보 수신장치(135), 배터리 장치(136) 및 상기 통신 장치(13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2), 상기 마이크 장치(133), 상기 스피커 장치(134), 상기 위치정보 수신장치(135) 및 상기 배터리 장치(136)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131 connected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targe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31. A display device 132, a microphone device 133, and a speaker device 134 that visualize and output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each display module 120 in a form that can be input through the commander's manipulation. ),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135, battery device 136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31, the display device 132, the microphone device 133, the speaker device 134,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 135) and a system control unit 137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device 13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을 이용한 전투 지휘 방법은 총기에 설치되며, 총기 전방을 스캔하여 표적정보를 획득하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상기 표적정보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연결되어 상기 표적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지휘 통제 신호를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하는 지휘 통제모듈(130)을 포함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을 이용한 전투 지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각 총기 별로 할당된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 별로 식별ID를 부여하고 해당 식별ID에 해당하는 병사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각각의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별로 전송되는 표적정보를 획득하고, 지휘 통제 신호를 생성 후 상기 지휘 통제 신호에 대응하는 식별ID가 부여된 디스플레이 모듈(120)로 상기 지휘 통제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120) 상에 상기 지휘 통제 신호를 가시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mbat command method using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that is installed on a firearm and acquires target information by scanning the front of the firearm, and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 display module 120 that outputs the targe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in a visible form and is connected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to output the target information and the display module 120. Obtains output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a control terminal, and includes a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at transmits a command and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or the display module 120. In the combat command method using the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 identification ID is assigned to each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display module (120) assigned to each firearm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the identification ID is assigned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display module (120) assigned to each gun. A display module (120) that registers the corresponding soldier information, acquires target information transmitted for each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generates a command and control signal, and is then assigned an identification ID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It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visualizing and outputting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on the corresponding display module 120.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지휘관 조작을 통해 각 디스플레이 모듈(120) 별 위치확인이 요청되는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20) 별로 획득된 위치정보가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 상에 가시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when location confirmation for each display module 120 is requested through the commander's manipul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or each display module 120 is visualized o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 output step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특정 표적에 대하여, 특정 표적과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간의 레이저 거리측정정보 및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화력지원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해당 표적정보 획득모듈(110)과 상기 특정 표적 간의 거리, 고도 및 방위각을 산출한 후, 산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특정 표적의 위치를 좌표로 변환 후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가시화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특정 표적 위치의 좌표를 지휘 통제 모듈(13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와 연계된 화력지원부대 단말에 상기 좌표에 대한 화력지원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for a specific target, when fire support is requested based on the laser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between the specific target and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the display The module 120 calculates the distance, altitude, and azimuth betwee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specific target, converts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target into coordinates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and visualizes them on the display module 120. Outputting, transmitting the coordinates of the specific target location to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firing power for the coordinates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o a fire support unit terminal linked to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step of transmitting a support command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장거리 통신 장치(휴대용 무전기, 휴대폰 등)와 연동하여 장거리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최상위 지휘 통제 센터에 직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to enable long-distance communication in conjunction with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radio, mobile phone, etc.) to provid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highest command and control center. It can include steps that can be transmitted.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특정 표적에 대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120)를 통해 상기 특정 표적과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간의 레이저 거리측정정보 및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피아식별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해당 표적정보 획득모듈(110)과 상기 특정 표적 간의 거리, 고도 및 방위각을 산출한 후, 산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특정 표적의 위치를 좌표로 변환 후 가시화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기 등록된 전체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위치정보와, 상기 특정 표적의 좌표를 비교하여 피아식별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상기 특정 표적에 대한 피아식별 결과를 상기 피아식별을 요청한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laser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between the specific target and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through the specific display module 120 for a specific target. When enemy identification is requested,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calculates the distance, altitude, and azimuth betwee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specific target, and then coordinates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target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A step of visualizing and output after conversion, a step of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ntir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lready registered i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pecific target to identify a friend, and the command and control A step of transmitting the peer identification result for the specific target to the display module 120 that requested the peer identification to be output in the module 130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총기에 장착된 카메라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표적정보를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원격지의 지휘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시각화 함으로써 개인 총기사용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휘관용 통제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지휘 통제 신호를 시각화하여 각 병사들에게 인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호 의사전달 능력 향상, 정확한 지휘 정보 및 명령체계지원을 통해 전투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onal firearm use ability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by transmitting and visualizing target information acquired in real time through a camera device mounted on a firearm to a personal display device or a display device for a remote commander. Of course, by visualizing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ander's control device and making them recognizable to each soldier, it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combat power through improved mutual communication ability, accurate command information, and command system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명은 각개 병사의 전투력 향상을 위해 정확한 조준 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예비군 및 일반인들의 서바이벌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전투 및 훈련과 단위부대 지휘관 및 상급제대 지휘관의 지휘 결심 및 급변하는 전장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provides an accurate aiming device to improve the combat power of each soldi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various types of combat and training, such as survival of reserve forces and the general public, and command decisions of unit commanders and higher echelon commander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rapidly changing battlefield situation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존의 소총 및 기관총을 사용자의 시야를 통해서 직접 조준하는 것이 아니라 광학 카메라를 이용하여 직접 조준 방식이 아닌 간접 조준 방식을 통해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표적 조준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directly aiming existing rifles and machine guns through the user's field of view, there is an advantage of enabling more accurate and faster target aiming through an indirect aiming method rather than a direct aiming method using an optical camera. hav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상전투시 각 분대, 소대, 중대간의 지휘계통이 실제 각각의 병사의 위치에서 보고 듣고 지휘할 수 없어 지휘에 곤란한 상황이 많지만 이들의 카메라 영상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정확한 전장정보를 확인 할 수 있어 보다 효과 적인 지휘 및 작전 수행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ground combat, there are many situations in which command is difficult because the command chain between each squad, platoon, and company cannot actually see, hear, and command from the position of each soldier, but the battlefield is accurately displayed in real time through their camera imag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information, allowing for more effective command and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화된 표적 조준기를 이용할 경우 기존의 각각의 병사들의 개인 능력에 의해서 사격술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는 부분을 평준화 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격훈련을 최소화 시킬 수 있어 기본적으로 훈련탄의 소비를 최소화 시키고 사격장 주변의 소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n automated target sight, it is possible to equalize the areas where differences in shooting skills occur due to the individual abilities of each existing soldier, thereby minimizing shooting training, basically.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training ammunition and noise damage around the shooting rang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전 수행간 갑작스럽게 출몰하는 적을 신속하게 탐지 사격이 가능함으로 아군의 피해도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며 또한 피아식별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아군간의 불필요한 교전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ct and fire enemies that suddenly appear during the operation,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damage to friendly forc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identification of enemies, which is an advantage in avoiding unnecessary engagement between friendly forces. has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된 영상을 이용하여 훈련 및 작전의 성과 및 각각의 병사 및 사용자들의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개벌적으로 판단 확인 할 수가 있어 기존의 팀 단위 및 단위 부대의 훈련 평가에서 임무의 성공이냐 실패냐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함께 각각의 사용자의 그 상황에 따른 대처방법까지도 판단할 수 있어 효과적인 교육훈련의 분석이 이루어 질 수 있어 각각의 사용자들의 잘못된 점을 정확하게 지적 및 수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mance of training and operations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situation of each soldier and user can be individually judged and confirmed using stored images, so that the training of existing teams and unit units can be evaluated. Rather than judg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a mission, it is also possible to judge each user's response method according to the situation, so that eff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can be analyzed, and each user's mistakes can be accurately pointed out and corrected. It has the advantage of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특수작전부대의 전술 이동간 주간의 경우 비트 및 참호속에 들어갈 경우 주변 감시에 상당한 애로가 발생하는데 이때 카메라 모듈을 탈거하여 특정 위치에 설치하여 CCTV와 같이 활용할 수 있음으로 보다 안전하게 적정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최대한의 노출을 줄일 수 있어 작전 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특수 전 부대 및 일반 부대의 매복, 차단작전과 같은 특정 지역의 감시 작전간 비트 및 참호 속에서 엄폐 은폐를 할 경우 총열에 부착된 카메라를 탈거하여 특정 지역에 설치하여 사각지대의 감시를 위한 CCTV로 활용 가능토록 구성하여 보다 효과적인 감시 및 작전 수행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special operations forces' tactical movements during the day, when entering beats and trenches, significant difficulties arise in monitoring the surroundings. In this case, the camera module can be removed and installed in a specific location to be used like CCTV.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appropriateness more safely and reduce exposure as much as possible, thereby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operations. In particular, when conducting cover and concealment in beats and trenches during surveillance operations in specific areas such as ambush and interception operations of special warfare units and general units, the camera attached to the barrel is removed and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to monitor blind spots.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more effective surveillance and operation by being configured to be used as a CCTV.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와 사용자에게 이를 전달하는 장치와는 무선을 통해서 결합되는데 이때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의 무선 송신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총기에 부착해서 사용할 경우와 CCTV처럼 원거리에서 사용할 경우 서로 다른 출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소비전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and a device for transmitting it to the user are connected wirelessly, and at this time, the wireless transmission output of the device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and is attached to the firearm.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power consumption by being able to adjust the intensity of different outputs when used remotely and when used remotely like CCTV.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는 총기 및 헬멧 거치식 형태로 상황에 따라 사용자 눈 위치나 총기에 거치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불필요 시에는 위쪽으로 접어 올리거나 탈거하여 별도 휴대 할 수 있거나 총기류에 부착하여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that provides images to the user is in the form of a gun or helmet mounted type and can be used by mounting it on the user's eye position or a gun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en not needed, it can be folded upward or removed and carried separate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by attaching it to a firearm.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이저 거리측정 및 GPS 정보를 이용하여 적, 현재 사용자의 위치 및 아군 부대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고 특정 표적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어 정확한 포병 화력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좌표 획득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각개 병사의 지도상의 좌표 획득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현재 각개 병사 및 부대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 할 수 있음으로 포병화력이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상황을 최소화 하면서 정밀한 포격지원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enemy, the current user, and friendly troops can be confirmed using laser distance measurement and GPS information, and the coordinates of a specific target can be obtained to provide accurate artillery fire support. It is possible to acquire coordinates, which can reduce the error in acquiring coordinates on the map for each soldier, and also allows the current location of each soldier and unit to be accurately confirmed, minimizing the situation where artillery firepower causes damage to friendly forces and providing precise accurac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artillery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사격 시 표적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저장된 총기 별 궤적을 이용하여 표적거리 별 정확한 표적 조준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advantage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target when shooting using a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providing an accurate target aiming position for each target distance using the stored trajectory of each gu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100)이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거리 별로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휘 통제모듈(13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휘 통제모듈(130)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전투를 지휘하는 과정 및 각개 병사들이 이를 확인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지휘 통제모듈(130) 상에 출력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화면이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지휘자 또는 지휘관으로부터 각개 병사에 명령이 하달되는 전체 과정 및 각개 병사들이 명령을 수신 및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지휘 통제 신호가 각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GPS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및 부대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및 부대 위치를 확인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표격지원을 요청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각개 병사로부터 화력 지원이 요청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화력지원 좌표의 승인 또는 거절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각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이 주변 감시용 CCTV로 활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파악된 인원의 피아식별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파악된 인원의 피아식별이 진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적 발견 시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피아식별이 진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사망자의 모듈 혹은 분실된 모듈의 시스템 소손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각개 병사들의 위치 추적 및 파괴 명령을 하달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각개 병사 위치 정보 전송 및 파괴 명령이 수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절전모드 진입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절전모드 해제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표적정보에서 표적 지시선(사격 조준점)의 위치가 자동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표적정보에서 표적 지시선(사격 조준점)의 위치가 자동 조절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CCTV 모드가 수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개인용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모드 전환이 수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100 shown in FIG. 1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by distance through linkage with an external device.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shown in FIG. 1.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shown in FIG. 3.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module 120 shown in FIG. 1.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20 shown in FIG. 5.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shown in FIG. 1.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shown in FIG. 7.
FIG. 9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commanding a battle using the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100 shown in FIG. 1 and the process of each soldier confirming this.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creens of the multiple display modules 120 output o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re switched.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e entire process of issuing orders from a commander or commander to each soldier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the process of each soldier receiving and confirming the order.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mand an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display module 120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confirming individual and unit locations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i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uses GPS location information to confirm individual and unit locations.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requests strike support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Figure 16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requesting fire support from each soldier.
Figure 17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approval or rejection of fire support coordinates.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each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used as a CCTV for surrounding surveillance.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the progress of identification of people identifi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Figure 20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identifying a person identifi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Figure 21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enemy identification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when an enemy is discovered.
Figure 22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system damage to the deceased's module or the lost module is progressing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Figure 23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tracking the location of each soldier and issuing destruction orders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Figure 24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each soldier's location information and executing the destruction command.
Figure 25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FIG. 26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from the power saving mode.
Figure 2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arget indicator line (shooting aim point) is automatically adjusted i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Figure 28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arget indicator line (shooting aim point) is automatically adjusted i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Figure 29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CCTV mode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FIG. 30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mode switching of the personal display module 120 is performed.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elow, preferred embodiments are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present invention easier to understand,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100)이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거리 별로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휘 통제모듈(13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휘 통제모듈(130)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shows the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100 shown in Figure 1 linking with an external device.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how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distance.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shown in FIG. 3. It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110, and FIG. 5 is a drawing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module 120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20 shown in FIG. 5. It is a schematic drawing, and FIG. 7 is a drawing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shown in FIG. 1, and FIG. 8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shown in FIG. 7. It is a drawing.

도 1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100)은 크게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지휘 통제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8, the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largely include a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 display module 120, and a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You can.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은 각 병사 별 총기에 설치되며, 총기 전방의 모든 상황 및 표적을 스캔하여 표적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120) 또는 지휘 통제모듈(13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installed on each soldier's firearm, and acquires target information by scanning all situations and targets in front of the gun and transmits it to the display module 120 or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은 총기의 총열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거치대(미도시)를 통해 특정 장소에 CCTV 형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되는 표적정보(영상정보 포함)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지휘 통제모듈(130)에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arrel of a firearm, and in one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a CCTV format at a specific location through a separate holder (not shown). At this time, target information (including video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may be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rough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이를 위해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은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지휘 통제모듈(130)과 무선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는 통신 장치(111), 전방의 상황을 실시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장치(112), 적외선 LED 장치(113), 표적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114), 지면을 기준으로 총열이 기울어진 각도를 파악하는 각도센서장치(115), 현재 위치 상 고도를 파악하는 고도센서장치(116), 주변의 음성정보를 획득하는 마이크 장치(117), 각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장치(118) 및 각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111 connected to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via a wireless network, and a camera device that acquires image information by capturing the situation ahead in real time ( 112), infrared LED device (113),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114) that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target, angle sensor device (115) that determines the angle at which the barrel is tilted relative to the ground, and determines the altitude at the current location It is composed of an altitude sensor device 116 that acquires surrounding voice information, a microphone device 117 that acquires surrounding voice information, a battery device 118 that supplies power to each device, and a system control unit 119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It can b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메라 장치(112)를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처리하는 영상정보 처리부, 카메라 장치(112)를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정보 저장부, 배터리 장치(118)의 전압을 변환하는 배터리 전압 변환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배터리 장치(118)에서 이용 가능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외부 전압 변환부, 배터리 장치(118)의 충방전 상태를 판단하고, 완충여부 이상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시스템 제어부(119)로 전달하는 충전관리부, 사용자 조작을 통해 각 장치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사용자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112, an image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112, and a battery device 118. A battery voltage converter that converts the voltage, an external voltage converter that converts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 voltage usable by the battery device 118, determines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device 118,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fully charged. It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management unit that determines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system control unit 119, and a user operation unit that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through user manipulation.

통신 장치(111)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지휘 통제모듈(130)과 연결됨은 물론,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식을 통해 다양한 타 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등)와도 연결됨으로써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The communication device 111 is connected to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rough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and is also connected to various other devices (for example, mobile phones, etc.) through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becomes possible.

도 2와 같이,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지휘 통제모듈(130) 모두 통신 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거리에 따라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2, since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display module 120, and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re all equipped with communication devices,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is possible through linkage with external devices depending on the distance.

예를 들어, 단거리 통신의 경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과 디스플레이 모듈(120) 간에 블루투스, 지그비 혹은 와이파이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과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지휘 통제모듈(130)과도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지그비 혹은 와이파이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and wired network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ZigBee, or Wi-Fi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Also, like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ZigBee, or Wi-Fi can be performed.

중거리 통신의 경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과 디스플레이 모듈(120) 간에 블루투스, 지그비 혹은 와이파이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과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휴대폰 혹은 무전기와 같이 3G, 4G, 5G, LTE, VHF, AM/FM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외부의 휴대폰 혹은 무전기와 연결될 수 있고, 외부의 휴대폰 혹은 무전기는 다시 지휘 통제모듈(130)과 연결됨에 따라 중거리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case of mid-range communication,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and wired network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ZigBee, or Wi-Fi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At this time, the display module 12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mobile phone or radio using 3G, 4G, 5G, LTE, VHF, and AM/FM communication methods, and the external mobile phone or radio is again used for command and control. As it is connected to the module 130, medium-distance communication is achieved.

원거리 통신의 경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이 곧바로 휴대폰과 블루투스, 지그비 혹은 와이파이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과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진행하여 연결되고, 휴대폰은 다시 3G, 4G, 5G, LTE 등의 이동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의 휴대폰과 연결됨에 따라 원거리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case of long-distance communicatio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immediate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hrough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ZigBee, or Wi-Fi and wired network communication, and the mobile phone is then connected to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4G, 5G, and LTE.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mobile phone using this method, long-distance communication takes place.

적외선 LED 장치(113)는 야간 작전 시 어두운 전장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적외선을 조사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카메라 장치(112)에서 야간 상황에서도 선명한 화질의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infrared LED device 113 serves to irradiate infrared rays so that dark battlefield situations can be confirmed during night operations, and through this, the camera device 112 can acquire image information of clear quality even in night situations.

시스템 제어부(119)는 일종의 주 제어부 역할을 하며, 앞서 살펴본 각 장치들의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119)는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시스템 파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배터리 장치(118)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소손 가능한 전압 이상으로 승압하여 각 장치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내에서 배터리 장치(1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모든 부품이 소손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이 유실되거나, 혹은 병사의 사망으로 총기가 적에게 빼앗길 경우 시스템 제어부(119)의 이러한 시스템 소손을 통해 적이 이를 악용하는 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system control unit 119 serves as a kind of main control unit and controls all operations of each device discussed above. At this time, when a system destru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system control unit 119 increases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device 118 to a voltage higher than the voltage that can be destroyed and supplies it to each device, thereby obtaining target information. All component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device 118 within the module 110 and receive power are burnt out. Through this, i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lost or the firearm is taken by the enemy due to the death of a soldi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emy from abusing it through damage to the system of the system control unit 119.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 제어부(119)는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삭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를 초기화 하거나 삭제 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system control unit 119 may initialize or delete software of the microprocessor i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when a system software de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또한, 플립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지면과의 각도를 파악 정보를 토대로 각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필요치 않은 곳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장치(127)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게 된다. 촬영된 영상정보를 표적정보로 변환하되, 각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별로 부여된 식별ID를 자동 입력하게 된다.In addition,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device 127 is minimized by blocking the power supplied to each device to unnecessary areas based on the information that determines the angle of the flip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with the ground.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target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D assigned to each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automatically entered.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각 병사에게 지급되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 별로 식별ID를 부여하고, 부여된 식별ID에 대응하는 병사 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전송되는 표적정보 또는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12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정보는 각 모듈의 식별ID에 따라 자동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이다.In general,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an identification ID to each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display module 120 provided to each soldier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registers soldi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ssigned identification ID. I do it. Accordingly, targe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pecific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or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display module 120 can be automatically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of each module.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병사의 헬멧 또는 총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표적정보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병사로 하여금 직접 눈으로 표적을 조준하지 않고도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파악 및 자동 조준된 조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전송되는 지휘 통제 신호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사용자의 헬멧 또는 안경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display module 120 outputs the targe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n a recognizable form while fixed to the soldier's helmet or firearm, allowing the soldier to view the target information without directly aiming at the target with his eyes. The acquisition module 110 allows the user to identify and automatically check the aiming state. 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20 outputs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in a visible form. This display module 120 is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fixed to the user's helmet or glasses.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로부터 표적정보를 수신하며, 또한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지휘 통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121), 통신 장치(121)를 통해 수신된 표적정보 또는 지휘 통제 신호를 가시화하여 출력하며, 플립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22), 병사의 음성정보를 획득하는 마이크 장치(123), 지휘 통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지휘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124), 위성에서 송신되는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장치(125), 동서남북에 대한 정확한 각도정보,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방위각 센서장치(126), 각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장치(127) 및 각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20 receives target information from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also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121 that receives a command and control signal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a targe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21. A display device 122 that visualizes and outputs information or command and control signals and is provided to adjust the flip angle, a microphone device 123 that acquires voice information from soldiers, and outputs voice comman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A speaker device 124,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25 that receives GPS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satellite, an azimuth sensor device 126 that can measure accurate angle information and direction for east, west, south, and north, and supplies power to each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ttery device 127 that operates and a system control unit 128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신 장치(121)를 통해 전송되는 표적정보 또는 지휘 통제 신호에서 영상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분리하고 영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22)에서 표시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변환하는 영상 및 신호 처리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플립 각도를 조정하여 접혔는지 펼쳐졌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결과를 시스템 제어부(128)로 전송하는 플립 각도 검사부, 배터리 장치(127)의 전압을 변환하는 배터리 전압 변환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배터리 장치(127)에서 이용 가능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외부 전압 변환부, 배터리 장치(127)의 충방전 상태를 판단하고, 완충여부 이상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시스템 제어부(128)로 전달하는 충전관리부, 사용자 조작을 통해 각 장치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사용자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조작부는 별도로 유선을 이용해 분리 가능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formation in a form that can separate video information and data information from target information or command and control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21 and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deo on the display device 122. An image and signal processing unit that converts the display module 120 into a flip angle inspec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adjusts the flip angle of the display module 120 to determine whether it is folded or unfolded and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system control unit 128, and the battery device 127. A battery voltage converter that converts the voltage, an external voltage converter that converts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 voltage usable by the battery device 127, determines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device 127,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fully charged. It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management unit that determines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system control unit 128, and a user operation unit that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through user manipulation. At this time, the user control unit may be formed in a separable form using a separate wire.

시스템 제어부(128)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모든 제어를 담당하는 주 제어부로써, 표적정보 또는 지휘 통제 신호에서 영상 및 데이터 정보를 분리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122)에서 가시화되도록 변환하고, 사용할 수 있는 식별ID의 영상정보인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정보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The system control unit 128 is the main control unit in charge of all controls of the display module 120. It separates image and data information from target information or command and control signals, converts them to be visible on the display device 122, and provides usable information.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image information of an identification ID, only normal information can be output.

또한, 플립 각도 검사부로부터의 플립 각도 파악 정보를 토대로 각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필요치 않은 곳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장치(127)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게 된다.In addition,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device 127 is minimized by blocking power supplied to each device where it is not needed based on the flip angl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flip angle inspection unit.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22) 주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장치(12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시스템 제어부(128)는 조도센서장치(129)에 의해 측정되는 조도를 토대로 디스플레이 장치(122)의 밝기가 항시 기 설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자동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이를 통해 주야간 임주 수행 시 사용자에게 항시 정확한 표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20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device 129 that measures the illuminance around the display device 122, and the system control unit 128 operates based on the illuminanc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device 129.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device 122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always maintain a preset value. In particular, this allows accurate display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users at all times when performing rental operations day or night.

또한, 시스템 제어부(128)는 총열에 설치된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카메라 장치(112)를 통해 획득된 현재 표적과의 거리정보를 분리하여 각각의 거리 별로 디스플레이 장치(122)에 표시되는 표적 조2준선(십자 및 원형 형태)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총알의 진행 방향이 일직선형태로 진행하는 것이 아닌 웨이브 형태의 궤적을 가짐으로 표적의 거리에 따라서 동일한 조준을 하더라도 서로 다른 위치에 탄착군이 형성되는 것을 시스템적으로 자동적으로 오차를 보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 unit 128 separates th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target acqui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112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nstalled on the barrel and displays the target on the display device 122 for each distance. The position of the second reference line (cross and circular shape)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This is to systematically and automatically correct the error in the bullet group forming at different locations even if the same aim is made, depending on the distance to the target, as the bullet's direction of travel is not in a straight line but in a wave-shaped trajectory. .

또한, 시스템 제어부(128)는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시스템 파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배터리 장치(127)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소손 가능한 전압 이상으로 승압하여 각 장치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20) 내에서 배터리 장치(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모든 부품이 소손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유실되거나, 혹은 병사의 사망으로 총기가 적에게 빼앗길 경우 시스템 제어부(128)의 이러한 시스템 소손을 통해 적이 이를 악용하는 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ystem destru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system control unit 128 boosts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device 127 above the voltage that can be destroyed and supplies it to each device, thereby supplying the display module All part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device 127 within (120) and receive power are burnt out. Through this, if the display module 120 is lost or the gun is taken by the enemy due to the death of a soldi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emy from abusing it through damage to the system of the system control unit 128.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총기의 가늠쇠 뭉치에 고정 가능한 고정 레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고정 레일은 디스플레이 장치(122)를 상하좌우 90도 각도로 자유롭게 플립할 수 있도록 힌지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22)는 터치 스크린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module 120 may include a fixed rail that can be fixed to the sight assembly of the firearm. In this case, the fixed rail may be connected with a hinge so that the display device 122 can be freely flipped at an angle of 90 degrees up, down, left, and right, The display device 122 may be a touch screen.

지휘 통제모듈(130)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과 연결되어 표적정보를 획득하고 지휘관 조작에 기반하여 지휘 통제 신호를 생성 후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함으로써 상황에 맞는 전술 지휘 및 명령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지휘 통제모듈(130)은 지휘관이 소지 가능한 지휘관용 통제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is connected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to acquire target information, generates a command an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ommander's manipul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display module 120 to deliver tactical command and order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Make this possible.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may refer to a commander control terminal that the commander can possess.

지휘 통제모듈(130)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 연결되어,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표적정보를 수신하고 지휘관 조작을 통해 생성되는 지휘 통제 신호를 각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하는 통신 장치(131), 통신 장치(131)를 통해 수신된 표적정보를 가시화하여 출력함은 물론 각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되는 지휘 통제 신호를 지휘관 조작을 통해 입력 가능한 형태로 가시화하여 출력하며, 특히 지휘관 조작이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 형식으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32), 지휘관의 음성 정보를 입력하는 마이크 장치(133), 디스플레이 모듈(12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134), 위성에서 송신되는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장치(135), 각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장치(136) 및 각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is connected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receives targe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sends command and control signals generated through commander manipula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131 transmits to the display module 120, visualizes and outputs targe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31, and inputs command and control signals transmitted to each display module 120 through the commander's manipulation. It is visualized and output in a possible form, and in particular, the display device 132 is provided in a touch screen format to enable the commander's operation, the microphone device 133 for inputting the commander's voice information, and 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module 120. A speaker device 134 that outputs,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5 that receives GPS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satellite, a battery device 136 that supplies power to each device, and a system control unit 137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 and consists of.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32)는 지휘관에 의해서 화면 확대, 특정 영역 선택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기 등록된 전체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전체 디스플레이 모듈(12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한꺼번에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20) 별로 각각 서로 다른 지휘 통제 신호를 전송하여 개별적인 명령 전달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다수의 표적정보 획득모듈(110)들로부터 영상정보를 동시에 획득 후 이를 전체화면을 분할하여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120)에게 텍스트 및 그래픽 또는 영상을 통해 특정 지역, 특정 표적의 감시정찰 및 영상의 확대, 축소 등과 같이 다양한 명령을 하달하여 작전 시 지휘관의 작전 수립 및 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32 is provided to enable screen enlargement, selection and editing of a specific area by the commander, and collect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ll registered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s 110 and all display modules 120 at once. It is configured to enable monitoring, and is arranged to transmit different command and control signals for each display module 120 to enable individual command transmission. For example, after simultaneously acquiring imag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s 110, the entire screen can be divided and displayed simultaneously, and a specific area, a specific target can be displayed through text, graphics or images to the specific display module 120. It issues various orders, such as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and enlarging or reducing images, to help the commander in establishing and making decisions during operations.

다음으로는, 앞서 살펴본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100) 중에서도 특히 지휘 통제모듈(130)을 이용하여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제어하고 명령을 하달하는 상태 및 과정들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let's look at the states and processes of controlling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and issuing commands using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especially among the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100 discussed above. Do this.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전투를 지휘하는 과정 및 각개 병사들이 이를 확인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지휘 통제모듈(130) 상에 출력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화면이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지휘자 또는 지휘관으로부터 각개 병사에 명령이 하달되는 전체 과정 및 각개 병사들이 명령을 수신 및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지휘 통제 신호가 각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GPS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및 부대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및 부대 위치를 확인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포격지원을 요청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각개 병사로부터 화력 지원이 요청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화력지원 좌표의 승인 또는 거절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각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이 주변 감시용 CCTV로 활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파악된 인원의 피아식별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파악된 인원의 피아식별이 진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1은 적 발견 시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피아식별이 진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사망자의 모듈 혹은 분실된 모듈의 시스템 소손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3은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각개 병사들의 위치 추적 및 파괴 명령을 하달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각개 병사 위치 정보 전송 및 파괴 명령이 수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5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절전모드 진입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6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절전모드 해제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7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표적정보에서 표적 지시선(사격 조준점)의 위치가 자동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8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표적정보에서 표적 지시선(사격 조준점)의 위치가 자동 조절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9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CCTV 모드가 수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0은 개인용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모드 전환이 수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commanding a battle using the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100 shown in FIG. 1 and the process of each soldier confirming it, and FIG. 10 shows the process o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120 are switched, and Figure 11 shows the entire process of issuing commands from a commander or commander to each soldier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how each soldier executes the command. It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confirming, and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a command an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display module 120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display module 120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It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confirming individual and unit locations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confirming individual and unit locations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i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requests artillery support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Figure 16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requesting fire support from each soldier in order, and Figure 17 is the coordinates of fire support. It is a diagram showing the approval or rejection process in order, and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each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used as a CCTV for surrounding surveillance, and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each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used as a CCTV for surrounding surveillanc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progress of identification of identified personnel, and Figure 20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of personnel identifi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Figure 21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of personnel identifi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t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identifying a friend through the control module 130, and Figure 22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system damage to the deceased's module or the lost module is progressing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FIG. 23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tracking the location of each soldier and issuing a destruction command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FIG. 24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oldier and executing the destruction command. 25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and FIG. 26 shows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release process in order, and FIG. 2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arget indicator line (shooting aim point) is automatically adjusted i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FIG. 28 is a diagram showing the target information It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arget indicator line (shooting aim point) is automatically adjusted i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acquisition module 110, and Figure 29 shows the process in which the CCTV mode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performed. The drawings are shown in order, and FIG. 30 is a drawing showing the process of mode switching of the personal display module 120 in order.

도 9(a)를 살펴보면, 지휘자 혹은 지휘관의 지휘 통제모듈(130)의 디스플레이 장치(132)를 통해 특정 ID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특정 ID가 추출되고 영상 또는 정보 요청 전송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전송 명령의 ID를 분석한 후, 각개 병사들의 위치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한 후 만약 파악되었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32) 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만약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미수신 리스트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32)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Looking at Figure 9(a), when a specific ID is select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132 of the commander or commander's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selected specific ID is extracted and a video or information request transmission is input,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After analyzing the ID of the comm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oldier has been received. If so,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2.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a non-received list is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2). 132) It should be displayed on the page.

그 후, 각개 병사들의 모든 ID전송이 완료되는 경우 처음의 병사 ID를 선택하는 화면으로 전환되며, 모든 ID전송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에는 병사 ID 전환을 통해 다시 전송 명령의 ID를 분석하는 과정을 반복 진행하게 된다.Afterwards, when all ID transmissions for each soldier are completed, the screen switches to selecting the first soldier ID. If all ID transmissions are not completed,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ID of the transmission command is repeated through soldier ID switching. It will proceed.

또한, 도 9(b)와 같이 각개 병사들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각개 병사들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영상 및 정보 요청이 수신된 후 병사 ID가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병사 ID확인이 완료될 경우 영상 및 정보 전송을 개시하게 된다.In addition, looking at it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soldier as shown in Figure 9(b), after the video and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120 of each soldier, it goes through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soldier ID is correct, and the soldier ID confirmation is completed. If possible, video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will begin.

도 10을 살펴보면, 지휘 통제모듈(130)의 디스플레이 장치(132) 상에는 다수의 표적정보 획득모듈(1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가 전체 화면에서 각각 분할된 영역에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특정 영상을 선택할 경우, 지휘 통제모듈(130)의 디스플레이 장치(132) 상에는 'A 화면'이 출력된다. 여기에서, 'ALL 영역'이 선택될 경우에는 'B 화면'과 같이 영상정보가 전체 화면에서 각각 분할된 영역에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B 화면'에서 특정 영상을 선택할 경우 지휘 통제모듈(130)의 디스플레이 장치(132) 상에는 'D 화면'이 출력된다. 또한, 'B 화면' 상에서 '전부대 영역'이 선택될 경우에는 'C 화면'과 같이 지도 영역이 출력됨과 동시에 지도 상에 위치하고 있는 각 부대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된 부대가 선택될 경우에는 해당 부대에 속한 모든 영상들이 'B 화면'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0, on the display device 132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s 110 may be simultaneously output in each divided area of the entire screen. At this time, when a specific image is selected, 'A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2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Here, when 'ALL area' is selected, video information can be simultaneously output to each divided area of the entire screen, as in 'B screen'. Similarly, when a specific image is selected on the 'B screen', the '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2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dditionally, when the 'all unit area' is selected on the 'B screen', the map area is displayed as in the 'C screen' and the location of each unit located on the map can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when the displayed unit is selected, all images belonging to the unit may be displayed as 'B screen'.

또한, 명령 하달의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issuing an order, it proceeds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도 11(a)을 살펴보면, 먼저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명령이 작성되고 해당 명령이 포함된 화면이 캡쳐된 후,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특정 ID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특정 ID가 추출되고 영상 또는 정보 요청 전송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전송 명령의 ID를 분석한 후, 각개 병사들의 위치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한 후 만약 파악되었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32) 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만약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미수신 리스트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32)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Looking at Figure 11(a), first, a command is written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 screen containing the command is captured, and then when a specific ID is selected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selected specific ID is When extracted and a video or information request transmission is input, the ID of the transmission command is analyzed, and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oldier has been received is determined. If so,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2, and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2. If information is not received, a non-receipt list is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2.

그 후, 각개 병사들의 모든 ID전송이 완료되는 경우 처음의 병사 ID를 선택하는 화면으로 전환되며, 모든 ID전송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에는 병사 ID 전환을 통해 다시 전송 명령의 ID를 분석하는 과정을 반복 진행하게 된다.Afterwards, when all ID transmissions for each soldier are completed, the screen switches to selecting the first soldier ID. If all ID transmissions are not completed,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ID of the transmission command is repeated through soldier ID switching. It will proceed.

또한, 도 11(b)와 같이 각개 병사들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각개 병사들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영상 및 정보 요청이 수신된 후 병사 ID가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병사 ID확인이 완료될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수신된 명령이 디스플레이 되면서 수신 내용이 확인되게 된다.In addition, looking at it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soldier as shown in Figure 11(b), after the video and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120 of each soldier, it goes through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soldier ID is correct, and the soldier ID confirmation is completed. If so, the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120 is displayed and the received content is confirmed.

도 12를 살펴보면, 지휘 통제모듈(130)의 화면 상에 특정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전송된 영상 화면이 출력된 후, 지휘관 조작에 의해 해당 영상 화면의 특정 영역 선택 후 '확대 영역'이 선택될 경우, '해당 영역을 확대하라'와 같은 확대요청이 지휘 통제 신호에 포함된 상태에서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되며, 이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화면 상에는 '화면확대 요청'과 같은 텍스트가 팝업 형태로 뜨면서 확대가 필요한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fter the video screen transmitted through the specific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 specific area of the video screen is selected by the commander's manipulation and an 'enlarged area' is displayed. When selected, an enlargement request such as 'enlarge the relevant area'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isplay module 120 while included in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In this case, 'screen enlargement reques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module 120. 'Text such as ' may appear in a pop-up form, indicating the area that requires enlargement.

또한, 지휘 통제모듈(130)에서는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병사 및 부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Additionally,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can use GPS location information to check the locations of individual soldiers and units, and this is done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도 13을 살펴보면, 부대 및 부대 인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휘자 혹은 지휘관의 지휘 통제모듈(130)의 디스플레이 장치(132)를 통해 특정 ID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특정 ID가 추출되고 영상 또는 정보 요청 전송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전송 명령의 ID를 분석한 후, 각개 병사들의 위치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한 후 만약 파악되었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32) 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만약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미수신 리스트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32)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13, in order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unit and unit personnel, when a specific ID is select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132 of the commander or commander's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selected specific ID is extracted and an image or information request is made. When a transmission is input, the ID of the transmission command is analyzed, and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oldier has been received. If so,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2.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2. A non-receipt list is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2.

그 후, 각개 병사들의 모든 ID전송이 완료되는 경우 처음의 병사 ID를 선택하는 화면으로 전환되며, 모든 ID전송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에는 병사 ID 전환을 통해 다시 전송 명령의 ID를 분석하는 과정을 반복 진행하게 된다.Afterwards, when all ID transmissions for each soldier are completed, the screen switches to selecting the first soldier ID. If all ID transmissions are not completed,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ID of the transmission command is repeated through soldier ID switching. It will proceed.

또한, 도 13(b)와 같이 각개 병사들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각개 병사들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위치좌표 명령이 수신된 후 병사 ID가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병사 ID확인이 완료될 경우 각개 병사들의 위치를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looking at it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soldier as shown in FIG. 13(b), after a position coordinate command is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120 of each soldier, it goes through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soldier ID is correct, and the soldier ID confirmation is completed. In this case, the location of each soldier is transmitted.

도 14를 살펴보면, 최하위 제대 지휘관용 지휘 통제모듈(130)의 화면 상에 부대 내 인원들의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 정보가 분할된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위치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도 12(b)와 같이 팀 단위 및 개별 단위의 위치 정보가 지도 상에 표시된다.Looking at FIG. 14, video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of personnel within the unit may be displayed in a divided screen on the screen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for the lowest echelon commander, and in this case, the 'location area' When ' is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on a team and individual basis is displayed on the map, as shown in Figure 12(b).

또한, 마찬가지로 상위 제대 지휘관용 지휘 통제모듈(130)에서도 하위제대의 팀 단위 및 개별 단위 위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for commanders of higher echelons, location information on team and individual unit locations of lower echelons can be confirmed.

도 15를 살펴보면,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화면 상에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카메라 장치(112)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정보가 실시간으로 출력되는데, 이때, 특정 인원이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114)를 통한 특정 표적(혹은 특정 위치)까지의 거리, GPS 위치정보, 각도센서장치(115)를 통한 소총의 각도와 고도센서장치(116)를 통한 고도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화력지원 영역'을 선택하여 화력지원을 요청하는 경우, 지휘 통제모듈(130)에서는 현재 해당 병사의 위치(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GPS 위치정보)에서 표적까지의 거리, 고도 및 방위각을 계산하여 해당 특정 표적의 위치를 좌표로 변환하고, 이를 출력함으로써 지휘관으로 하여금 정확한 화력지원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 15,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112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output in real time on the screen of the soldier's display module 120. At this time, a specific person uses the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 Based on the distance to a specific target (or specific location) through 114), GPS location information, the angle of the rifle through the angle sensor device 115, and altitude information through the altitude sensor device 116, its display module (120) When requesting fire support by selecting a 'fire support area' through ),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provides the distance and altitud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oldier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to the target. and azimuth are calculated to convert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target into coordinates and output this to enable the commander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fire support.

이를 확인한 지휘관이 지휘 통제모듈(130)의 화면 상에 표시된 '승인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지휘 통제모듈(130)과 연계된 화력지원부대 단말에 해당 특정 표적의 좌표정보에 대하여 화력지원 명령이 전송되게 된다.When the commander who confirms this selects the 'approval area'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 fire support command is sent to the fire support unit terminal linked to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regard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arget. will be transmitted.

이는, 화력지원 요청이 있을 경우 각개 병사 및 전방 소부대에 이를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위험 지역 이탈을 통해 피해를 방지하고 화력지원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전방 지휘관 및 각개 병사들이 이에 대한 대응 행동을 취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This means that when fire support is requested, it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individual soldiers and frontline subunits to prevent damage by quickly leaving the dangerous area, and even when fire support is not possible, front commanders and individual soldiers can quickly take action in respon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there.

또한, 화력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야전 각개 병사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모듈(120) 상에 출력되는 화력지원 지시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화력지원 변경점을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n a situation where fire support is being provided, each soldier in the field can provide the same changes in fire support by checking the fire support instructions output on his display module 120 in real time.

도 16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화력지원 버튼이 입력되거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레이저 거리 측정 장치가 활성화되고, 지휘 통제모듈(130)에서는GPS 정보, 방위각, 거리정보, 고도 및 소총각도를 연산한 결과를 토대로 좌표값을 연산하게 된다. 좌표값 연산이 완료된 후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가 오프되고 좌표값이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표시된다. 만약 다음 좌표가 추가되는 경우 레이저 거리 측정 장치가 다시 활성화되고 앞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16, when the fire support button or voice is in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20, the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is activated, and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displays GPS information, azimuth, distance information, altitude, and rifle information. The coordinate value is calculated based on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angle. After the coordinate value calculation is completed, the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is turned off and the coordinate valu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20. If the next coordinate is added, the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is activated again and the previous process is repeated.

만약 다음 좌표가 추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최종 좌표/고도가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지도 상에 표시되고, 이는 지휘 통제모듈(130)에 수신되며, 수신이 승인되는 경우에는 화력지원 버튼이 녹색으로 활성화되고 수신이 승인되지 않을 경우에는 버튼이 회색으로 비활성화된 후 5초의 지연 과정을 거친 후 화면 초기화 및 측정 데이터를 삭제하게 된다.If the next coordinates are not added, the final coordinates/altitude are displayed on the map through the display module 120, which is received by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If the reception is approved, the fire support button turns green. If it is activated and reception is not approved, the button is grayed out and after a 5-second delay, the screen is initialized and the measurement data is deleted.

도 17을 살펴보면, 화력지원 좌표가 수신되면 송신 ID를 분석하고, 좌표 및 고도 정보가 지휘 통제모듈(130) 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만약 승인이 되면 화력지원 명령이 전송되고 거절되는 경우 거절명령이 전송된다.Referring to Figure 17, when fire support coordinates are received, the transmission ID is analyzed, the coordinates and altitude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if approved, a fire support command is transmitted, and if rejected, a rejection command is transmitted. .

도 18을 살펴보면,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은 총기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특히 특정 위치에 독립적으로 거치 가능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일반 보병부대의 목진지 점령, 차단작전, 매복 시 사각지대 감시용 CCTV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특수전 부대의 야간작전 및 휴식시 주변 감시용 CCTV로도 활용 가능하고 각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화면에서 지도 상에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별 설치장소가 GPS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될 수 있다.Looking at FIG. 18,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detachable from the firearm and is especially designed to be mounted independently at a specific location, so it can be used for occupying a stronghold for general infantry units, blocking operations, CCTV for blind spot monitoring in the event of an ambush, etc. It can be used as.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CCTV for surrounding surveillance during night operations and rest of special warfare units,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each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can be displayed on the map on the screen of each display module (120) based on GPS location information. there is.

도 1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무선 송수신 데이터에 개인 및 부대별 코드를 주기적으로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이를 통해 피아식별이 가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19, in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 and unit-specific codes are periodically included and transmitted in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thereby enabling identification of enemies.

보다 구체적으로, 병사는 주변의 부대 배치 상태를 자신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위치가 아닌 특정 위치에서 미식별 인원이 감지될 경우, 자신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식별 영역'을 선택하게 되면,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에서는 해당 미식별 인원까지의 거리 및 방위각을 자동으로 산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측정 좌표를 연산하게 되고, 좌표를 지휘 통제모듈(130)로 전송하게 된다. 지휘 통제모듈(130)에서는 이를 토대로 주변 부대 정보 및 아군 정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당 좌표에 대한 미식별 인원의 피아식별을 진행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soldier can check the deployment status of surrounding units in real time through his display module 120, so if an unidentified person is detected at a specific location other than their location, the soldier can check his display module 120. When an 'identification area' is selected,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utomatically calculates the distance and azimuth to the identified person and then calculates the measurement coordinates based on this, and calculates the coordinates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 is transmitted. Based on this,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compares and analyzes surrounding unit information and friendly forces information to identify unidentified personnel for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만약 아군일 경우에는 해당 피아식별을 요청한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화면 상에 녹색으로 아군임을 표시하는 텍스트 혹은 표시가 출력되고, 지휘관용 지휘 통제모듈(130)의 화면 상에도 마찬가지로 해당 병력이 아군임을 표시하는 텍스트 혹은 표시가 출력된다.If the soldier is an ally, text or a sign indicating that the soldier is an ally is displayed in gree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20 of the soldier requesting identification, and the soldier is similar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mander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ext or a sign indicating that it is an ally is displayed.

반대로 적군일 경우에는 해당 피아식별을 요청한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화면 상에 적색으로 적군임을 표시하는 텍스트 혹은 표시가 출력되고, 지휘관용 지휘 통제 모듈(130)의 화면 상에도 마찬가지로 해당 병력이 적군임을 표시하는 텍스트 혹은 표시가 출력된다. 이때, 적군임을 표시하는 텍스트 혹은 표시는 주기적으로 점멸될 수 있다.Conversely, in the case of an enemy force, text or a mark indicating that the soldier is an enemy force is displayed in r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20 of the soldier requesting identification, and the corresponding force is similar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mander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ext or a sign indicating that the enemy is an enemy is displayed. At this time, the text or sign indicating the enemy may flash periodically.

도 20을 살펴보면,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화면에 식별 버튼 또는 식별을 위한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가 활성화되고, GPS정보, 방위각, 거리정보가 연산된 후 이를 토대로 좌표값이 연산된다. 그 후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가 오프되고 해당 연산된 좌표값이 자동으로 지휘 통제모듈(130)로 전송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표적점이 점멸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0, when an identification button or a voice for identification is input to the screen of the soldier's display module 120, the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is activated, GPS information, azimuth, and distance information are calculated, and the coordinate value is calculated based on this. It is calculated. Afterwards, the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is turned off, the calculated coordinate value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the target point of the display module 120 blinks.

지휘 통제모듈(130)에서는 해당 분석 정보를 수신한 후 적 또는 아군을 확인하게 되며, 만약 적일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표적점이 적색으로 표시되고 아군일 경우에는 녹색으로 표시된다.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checks whether an enemy or ally is present afte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analysis information. If the target is an enemy, the target point of the display module 120 is displayed in red, and if it is an ally, it is displayed in green.

도 21을 살펴보면, 먼저 병사들의 디스플레이 모듈(120)로부터 피아식별이 요청되는 경우, 지휘 통제모듈(130)은 해당 병사의 수신 좌표를 확인하고 아군 좌표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병사가 아군인지 적군인지를 판단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1, when identification of a friend is requested from the soldier's display module 120,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checks the received coordinates of the soldier and extracts friendly coordinat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oldier is an ally or an enemy. You will judge.

만약 아군일 경우에는 위치 디스플레이가 녹색으로 점멸되어 해당 식별 정보가 해당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되고, 만약 적군일 경우에는 위치 디스플레이가 적색으로 점멸되어 해당 식별 정보가 해당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된다.If it is an ally, the location display flashes green and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oldier's display module 120. If it is an enemy, the location display flashes r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oldier's display module (120). 120).

도 22를 살펴보면, 각개 병사의 사망 또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분실 시 적에게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각 모듈(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원격으로 시스템 파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22, in order to prevent information leakage to the enemy when an individual soldier dies or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or display module 120 is lost,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module (target) is installed i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 system destruc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remotely to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or the display module 120.

이 경우, 도 16과 같이 지휘 통제모듈(130)의 화면 상에 사망 병사의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에 대한 영상화면에 해당 병사가 사망한 것이 표시되는데, 지휘관이 '위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시스템 파괴', '소프트웨어 삭제', '시스템 위치 추적'과 같은 선택 영역이 표시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6, the death of the soldier is displayed on the video screen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of the deceased soldier on the screen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the commander selects the 'location area' In this case, selection areas such as 'Destroy system', 'Delete software', and 'Track system location' are displayed.

'시스템 파괴'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모듈의 배터리 장치에서는 기존에 공급되던 전력을 승압하여 공급함으로써 모듈 내 모든 부품이 소손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적에게 해당 모듈이 탈취 또는 습득되더라도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f the 'system destruction' area is selected, the battery device of the module boosts the power that was previously supplied and supplies it, causing all parts in the module to burn ou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information leakage even if the module is stolen or acquired by an enemy.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사망 병사의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혹은 사망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특정 시점에서 다시 재가동되거나 동작되는 경우, 재가동 또는 동작 시점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자동으로 지휘 통제모듈(130)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적이 해당 모듈을 습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when the dead soldier's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or the dead soldier's display module 120 is restarted or operated again at a specific point in time, log data about the time of restart or operation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By sending it to (130),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enemy has acquired the module.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만약 지휘 통제모듈(130)이 분실되거나, 지휘관이 사망함에 따라 해당 지휘 통제모듈(130)이 적에게 습득된 경우, 타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앞서 살펴본 시스템 파괴 과정을 동일하게 진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i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is lost or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is acquired by the enemy due to the death of the commander, the system destruction process described above through another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You can also proceed in the same way.

도 23을 살펴보면,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특정 병사가 선택되는 경우, 위치 확인, 시스템 삭제, 시스템 파괴 선택이 가능한 메뉴가 표시된다. 만약 위치 확인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3회 접속을 자동으로 시작하고 접속이 가능한 경우 좌표 전송을 3회 요청하게 된다. 만약 좌표가 수신되는 경우 이는 지휘 통제모듈(13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23, when a specific soldier is selected i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 menu is displayed allowing selection of location confirmation, system deletion, and system destruction. If the location confirmation menu is selected, connection to the soldier's display module 120 is automatically initiated three times, and if connection is possible, coordinate transmission is requested three times. If coordinates are received, they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만약 시스템 삭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3회 접속을 자동으로 시작하고 접속이 가능한 경우 시스템 삭제 명령을 3회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전송 후 5초의 접속 대기 시간이 적용된다. 만약 접속이 되는 경우 시스템 삭제와 함께 송수신 목록이 삭제 되면서 지휘 통제모듈(13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If the system delete menu is selected, three connections to the soldier's display module 120 are automatically initiated, and if connection is possible, a system delete command is transmitted three times. At this time, a connection waiting time of 5 seconds is applied after transmission. If a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transmission/reception list is deleted along with system deletion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만약 시스템 파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3회 접속을 자동으로 시작하고 접속이 가능한 경우 시스템 파괴 명령을 3회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전송 후 5초의 접속 대기 시간이 적용된다. 만약 접속이 되는 경우 시스템 파괴와 함께 송수신 목록이 삭제 되면서 지휘 통제모듈(13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If the system destruction menu is selected, three connections to the soldier's display module 120 are automatically initiated, and if connection is possible, a system destruction command is transmitted three times. At this time, a connection waiting time of 5 seconds is applied after transmission. If a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system is destroyed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list is dele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도 24를 살펴보면,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위치 확인 명령이 3회 전송되는 경우 해당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대한 좌표값이 전송됨과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120) 상에 결과가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24, when a position confirmation command is transmitted three times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coordinate value for the soldier in question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res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20.

만약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시스템 삭제 명령이 3회 전송되는 경우 해당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삭제 시스템이 활성화 된다. 만약 시스템 파괴 명령이 3회 전송되는 경우 해당 병사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파괴 시스템이 활성화 된다.If a system deletion command is transmitted three times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deletion system of the display module 120 of the soldier is activated. If the system destruction command is transmitted three times, the destruction system of the soldier's display module 120 is activated.

도 25(a)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운용 중에 절전 모드 키가 입력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화면이 90도로 플립되어 접히는 경우 카메라 모드 절전 명령이 전송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통신 수신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Referring to FIG. 25(a), when the power saving mode key is input while the display module 120 is in operation, or the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20 is flipped 90 degrees and folded, a camera mode power saving command is transmitted and the display module 120 It enters this power saving mode and switches to a waiting state for communication reception.

도 25(b)를 살펴보면,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운영 중에 총구가 지면과 수직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도가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절전 명령이 전송되고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이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통신 수신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Referring to FIG. 25(b), when the angle of the muzzle is changed to point perpendicular to the ground during operation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 power saving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t enters this power saving mode and switches to a waiting state for communication reception.

도 26(a)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절전모드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90도 각도로 펼쳐지거나, 통신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절전 모드가 해제고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에 절전 해제 명령이 전송된다.Referring to FIG. 26(a), when the display screen is touched, the display module 120 is unfolded at a 90-degree angle, or commun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while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display module 120 is in progress, the display module 120 )'s power saving mode is canceled and a power saving release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또한 도 26(b)를 살펴보면,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절전모드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총구 방향이 지면과 수평을 향하도록 각도가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절전 해제 명령이 전송되고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절전모드가 해제된다.Also, looking at FIG. 26(b), when the angle of the muzzle direction is changed to point horizontal to the ground while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in progress, a power saving command is sent to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target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s released.

도 27 및 도 2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카메라 장치(112) 및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114)를 통해 표적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후, 거리에 따라 표적 지시선의 위치를 수정 및 보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27 and 28,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target through the camera device 112 and the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114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n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target indicator line according to the distance. can be provided by modifying and correcting it.

도면 상에서 녹색 원은 초기 표적 지시선을 의미하고, 도면 상에서 청색은 거리 탐지 후 보정된 표적 지시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은, 총기 별 진행 궤적을 자동 반영하여 표적 지시선의 위치를 자동으로 수정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표시해줌으로써, 병사로 하여금 보다 높은 탄착군 형성 및 높은 발사 정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The green circle in the drawing represents the initial target line, and the blue circle in the figure represents the corrected target line after distance detection. This point automatically reflects the progress trajectory of each gun, automatically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target indicator line, and then displays i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20, allowing the soldier to form a higher bullet group and have high firing accuracy.

도 29를 살펴보면, 무선 출력량 조절은 CCTV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과 거리가 상당함으로 무선 출력량을 조절하여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조절하게 되고, 영상 설정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CCTV의 경우 동일 지역을 지속적으로 촬영함으로 촬영되는 프레임 단위로 영상의 변화량이 설정값보다 높을 경우를 확인하기 위함이다.Looking at Figure 29, in the case of CCTV, the wireless output amount is adjusted to enable long-distance communication because the distance from the display module is considerable, and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video is more than the set value is performed continuously in the same area in the case of CCTV. This is to check if the amount of change in the video per frame captured is higher than the set value.

또한, 음성 설정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주간의 경우 주변 소음이 많아 사용되지 않고 야간일 경우에만 사용되는 것으로 직전의 소음보다 변화량이 설정값보다 높을 경우를 확인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voice is above the set value is not used during the day because there is a lot of surrounding noise, and is used only at night. This is to check if the amount of change compared to the previous noise is higher than the set valu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100: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110: 표적정보 획득모듈
111: 통신 장치
112: 카메라 장치
113: 적외선 LED 장치
114: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
115: 각도센서장치
116: 고도센서장치
117: 마이크 장치
118: 배터리 장치
119: 시스템 제어부
120: 디스플레이 모듈
121: 통신 장치
122: 디스플레이 장치
123: 마이크 장치
124: 스피커 장치
125: 위치정보 수신장치
126: 방위각 센서장치
127: 배터리 장치
128: 시스템 제어부
129: 조도센서장치
130: 지휘 통제모듈
131: 통신 장치
132: 디스플레이 장치
133: 마이크 장치
134: 스피커 장치
135: 위치정보 수신장치
136: 배터리 장치
137: 시스템 제어부
100: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110: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communication device
112: Camera device
113: Infrared LED device
114: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115: Angle sensor device
116: Altitude sensor device
117: Microphone device
118: Battery device
119: System control unit
120: display module
121: communication device
122: display device
123: Microphone device
124: Speaker device
125: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126: Azimuth sensor device
127: Battery device
128: System control unit
129: Illuminance sensor device
130: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1: communication device
132: display device
133: Microphone device
134: Speaker device
135: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136: Battery device
137: System control unit

Claims (18)

총기에 설치되며, 총기 전방을 스캔하여 표적정보를 획득하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상기 표적정보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연결되어 상기 표적정보를 획득하며, 지휘관 조작에 기반하여 지휘 통제 신호를 생성 후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하는 지휘 통제모듈(130);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상기 지휘 통제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다수의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전송되는 표적정보들에 입력된 식별ID를 확인한 후 기 등록된 식별ID에 해당하는 표적정보만을 선별 및 수신하는 통신 장치(121);
상기 통신 장치(121)를 통해 수신된 상기 표적정보 또는 상기 지휘 통제 신호를 가시화하여 출력하며, 플립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22);
마이크 장치(123);
스피커 장치(124);
위치정보 수신장치(125);
방위각 센서장치(126);
배터리 장치(127); 및
상기 통신 장치(12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2), 상기 마이크 장치(123), 상기 스피커 장치(124), 상기 위치정보 수신장치(125), 상기 방위각 센서장치(126) 및 상기 배터리 장치(127)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that is installed on the firearm and acquires target information by scanning the front of the firearm;
A display module 120 that outputs the targe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n a visible form; and
It is connected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to acquire the target information, and generates a command an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ommander's manipulation, and the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or the display module 120 ), including a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ransmitting to
The display module 120 is,
After receiving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checking the identification ID entered in the targe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s 110, the target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identification ID A communication device 121 that selects and receives only information;
a display device 122 that visualizes and outputs the target information or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21 and is provided to enable flip angle adjustment;
microphone device 123;
speaker device 124;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125;
Azimuth sensor device 126;
battery device 127;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21, the display device 122, the microphone device 123, the speaker device 124,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125, the azimuth sensor device 126, and the battery device 127 ),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comprising a system control unit 128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arg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과 연결되는 통신 장치(111);
카메라 장치(112);
적외선 LED 장치(113);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114);
지면을 기준으로 총열의 각도를 파악하는 각도센서장치(115);
현재 위치 상 고도를 파악하는 고도센서장치(116);
마이크 장치(117);
배터리 장치(118); 및
상기 통신 장치(111), 상기 카메라 장치(112), 상기 적외선 LED 장치(113), 상기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114), 상기 각도센서장치(115), 상기 고도센서장치(116), 상기 마이크 장치(117) 및 상기 배터리 장치(118)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 communication device 111 connected to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camera device 112;
infrared LED device 113;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114);
An angle sensor device (115) that determines the angle of the barrel relative to the ground;
An altitude sensor device (116) that determines the altitude of the current location;
microphone device 117;
battery device 118;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11, the camera device 112, the infrared LED device 113, the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114, the angle sensor device 115, the altitude sensor device 116, and the microphone device. (117) and a system control unit (119)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device (118).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119)는,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시스템 파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장치(118)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 이상으로 승압하여 공급함으로써,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내에서 상기 배터리 장치(1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든 부품이 소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ystem control unit 119,
When a system destru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device 118 is boosted and supplied to a preset voltage or higher, so that the battery withi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ll par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118 are burned o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119)는,
상기 카메라 장치(112)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상기 표적정보로 변환하되, 각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별로 부여된 식별ID를 자동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ystem control unit 119,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that converts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112 into the target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inputs the identification ID assigned to each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은,
총기로부터 분리된 후 바닥면에 안착 및 거치가 가능하도록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독립적인 무선 CCTV와 같이 운영과 영상 및 음성을 통하여 감시 영역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that includes a mounting means so that it can be placed and mounted on the floor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firearm, and is capable of operating like an independent wireless CCTV and managing the surveillance area through video and audio.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128)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2)의 플립 각도 및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각도를 토대로 상기 배터리 장치(127)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2)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ystem control unit 128,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device 127 to the display device 122 based on the flip angle of the display device 122 and the angle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2) 주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장치(12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제어부(128)는 상기 조도센서장치(129)에 의해 측정되는 조도를 토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2)의 밝기를 기 설정된 값이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module 120 is,
It further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device 129 that measures the illuminance around the display device 122,
The system control unit 128 is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device 122 to maintain a preset value based on the illuminanc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device 1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128)는,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로부터 시스템 파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장치(127)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 이상으로 승압하여 공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 내에서 상기 배터리 장치(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든 부품이 소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ystem control unit 128,
When a system destru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device 127 is boosted and supplied to a preset voltage or higher, so that the battery device ( 127)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ll parts electrically connected to it are burned o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은,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연결되는 통신 장치(131);
상기 통신 장치(131)를 통해 수신된 상기 표적정보를 가시화하여 출력하고,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되는 상기 지휘 통제 신호를 지휘관 조작을 통해 입력 가능한 형태로 가시화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32);
마이크 장치(133);
스피커 장치(134);
위치정보 수신장치(135);
배터리 장치(136); 및
상기 통신 장치(13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2), 상기 마이크 장치(133), 상기 스피커 장치(134), 상기 위치정보 수신장치(135) 및 상기 배터리 장치(136)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is,
A communication device 131 connected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A display device ( 132);
microphone device 133;
speaker device 134;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135;
battery device 136; and
A system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31, the display device 132, the microphone device 133, the speaker device 134,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135, and the battery device 136. (137);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comprising:
총기에 설치되며, 총기 전방을 스캔하여 표적정보를 획득하는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상기 표적정보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연결되어 상기 표적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지휘 통제 신호를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하는 지휘 통제모듈(130)을 포함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을 이용한 전투 지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을 통해, 각 총기 별로 할당된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 별로 식별ID를 부여하고 해당 식별ID에 해당하는 병사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각각의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별로 전송되는 표적정보를 획득하고, 지휘 통제 신호를 생성 후 상기 지휘 통제 신호에 대응하는 식별ID가 부여된 디스플레이 모듈(120)로 상기 지휘 통제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120) 상에 상기 지휘 통제 신호를 가시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을 이용한 전투 지휘 방법.
A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that is installed on the firearm and acquires target information by scanning the front of the gun, and a display module 120 that outputs the targe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in a visible form. And it is connected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to acquire the target information and output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2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terminal, and input it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In a combat command method using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including a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at transmits a command and control signal to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or the display module (120),
assigning an identification ID to each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display module (120) assigned to each firearm through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and registering soldi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and
Acquires target information transmitted for each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generates a command and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module 120 assigned an identification ID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A combat command method using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comprising a step of visualizing and outputting the command and control signal on the display module 120.
제11항에 있어서,
지휘관 조작을 통해 각 디스플레이 모듈(120) 별 위치확인이 요청되는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20) 별로 획득된 위치정보가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 상에 가시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을 이용한 전투 지휘 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When location confirmation for each display module (120) is requested through commander operation,
A combat command method using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further comprising: visualizing and outpu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or each display module (120) o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제11항에 있어서,
특정 표적에 대하여, 상기 특정 표적과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간의 레이저 거리측정정보 및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화력지원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표적정보 획득모듈(110)과 상기 특정 표적 간의 거리, 고도 및 방위각을 산출한 후, 산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특정 표적의 위치를 좌표로 변환 후 가시화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이들 정보를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와 연계된 화력지원부대 단말에 상기 좌표에 대한 화력지원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을 이용한 전투 지휘 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For a specific target, when fire support is requested based on the laser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between the specific target and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After calculating the distance, altitude and azimuth between the specific targets, converting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target into coordinates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visualizing them and outputting them through the display module 120, and converting this information to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 transmitting to; and
Transmitting a fire support command for the coordinates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o a fire support unit terminal linked to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further comprising: using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How to command a battle.
제11항에 있어서,
특정 표적에 대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120)를 통해 상기 특정 표적과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간의 레이저 거리측정정보 및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피아식별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해당 표적정보 획득모듈(110)과 상기 특정 표적 간의 거리, 고도 및 방위각을 산출한 후, 산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특정 표적의 위치를 좌표로 변환 후 가시화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기 등록된 전체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의 위치정보와, 상기 특정 표적의 좌표를 비교하여 피아식별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에서 상기 특정 표적에 대한 피아식별 결과를 상기 피아식별을 요청한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을 이용한 전투 지휘 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For a specific target, when peer identification is requested based on the laser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between the specific target and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through the specific display module 120, the Calculating the distance, altitude and azimuth betwee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specific target i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n converting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target into coordinates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visualizing and outputting them;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ll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s (110)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pecific target to identify enemies; and
A step of transmitting,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the result of identification of a friend for the specific target to the display module 120 that has requested the identification of a friend to be output; further comprising: using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How to command a batt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각각 무선 통신 기기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되는 상기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114)를 통해 측정된 거리 정보, 상기 고도센서장치(116)를 통해 측정된 고도, 및 총기 별 탄류의 궤적정보를 이용하여 조준 대상에 대한 조준점을 자동으로 설정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114 acquired through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the altitude measured through the altitude sensor device 116, and the trajectory information of ammunition for each gun,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iming point for the aiming target is automatically set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은,
각 병사들 별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부대 배치 현황 및 부대 구성도를 각 디스플레이 모듈(120)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is,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module 120 for each soldier is acquired and the troop deployment status and troop composition diagram are displayed on each display module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휘 통제모듈(130)은,
상기 표적정보 획득모듈(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원격으로 삭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조준 지원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mmand and control module 130 is,
A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oftware installed on th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can be remotely deleted.
KR1020210169481A 2021-11-30 2021-11-30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ing battle using it KR1026627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81A KR102662775B1 (en) 2021-11-30 2021-11-30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ing battle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81A KR102662775B1 (en) 2021-11-30 2021-11-30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ing battle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431A KR20230081431A (en) 2023-06-07
KR102662775B1 true KR102662775B1 (en) 2024-05-03

Family

ID=8676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481A KR102662775B1 (en) 2021-11-30 2021-11-30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ing battle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7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258B1 (en) * 2023-06-08 2023-11-01 옵티머스시스템 주식회사 Shell sumulated shooting simul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0389A (en) * 2006-06-13 2009-11-19 エル3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コーポレイション Clip-type night vision device
JP2010539584A (en) * 2007-09-14 2010-12-16 ミレニアム フォー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Data security device
JP2012002457A (en) * 2010-06-18 2012-01-05 Ihi Aerospace Co Ltd Shooting simul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414B1 (en) * 2003-04-23 2006-03-17 한창의 Cyber pointer system and it's control process
KR101448273B1 (en) * 2012-07-27 2014-10-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lex type sight by using TOLED
KR102030602B1 (en) * 2017-09-11 2019-10-10 주식회사 인퍼니 Method and apparatus for shooting simulation based on user equipment
WO2020106340A2 (en) * 2018-08-15 2020-05-28 Marsupial Holdings , Inc. Direct enhanced view optic
KR102299346B1 (en) 2020-07-29 2021-09-08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Tactical training system sharing the view field of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0389A (en) * 2006-06-13 2009-11-19 エル3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コーポレイション Clip-type night vision device
JP2010539584A (en) * 2007-09-14 2010-12-16 ミレニアム フォー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Data security device
JP2012002457A (en) * 2010-06-18 2012-01-05 Ihi Aerospace Co Ltd Shooting sim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431A (en)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681B1 (en) Remote gunshot system and method to observed target
US8104216B2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med shooting of sniper and observation of spotter
US9360283B1 (en) Shooting range target system
US20120327247A1 (en) Automated thermal scope set
CN104567543A (en) Sight system
EP2290315A2 (en) System for simulated firing exercise and method
US20140109458A1 (en) Integrated multifunction scope for optical combat identification and other uses
WO2008048116A1 (en) Monitoring engagement of a weapon
CN102597689A (en) Aiming assistance for sport competitions for visually challenged or blind persons
US11473875B2 (en) Weapon sighted camera system
KR102662775B1 (en) Target aim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ing battle using it
RU2697047C2 (en) Method of external target designation with indication of targets for armament of armored force vehicles samples
CN113848992B (en) Target detection positioning and automatic shooting system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rmed striking robot
CN103134386B (en) One is non-straight takes aim at video sighting system
KR1026643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riking appartus and remote controlled weapon system
CN205607257U (en) Visual formula sighting device
CN203190887U (en) Wireless video gun aiming system
CN110888442A (en) Fire-fighting robot and fire-fighting robot system based on cloud platform architecture
US11460270B1 (e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 smart camera to locate enemy and friendly forces
KR101779199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security video
US20230366649A1 (en) Combat training system
JP2019027661A (en) Shooting training system
US10976136B2 (en) Wireless vision equipment for weapons
RU2289083C2 (en) Method for support of fire of a group of portable antiaircraft guided missile systems and device for its realization
KR101664614B1 (en) Manless flight sensing apparatus and sniper weapon for realizing to situation of enemy position, image coll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