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728B1 -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728B1
KR102662728B1 KR1020210190188A KR20210190188A KR102662728B1 KR 102662728 B1 KR102662728 B1 KR 102662728B1 KR 1020210190188 A KR1020210190188 A KR 1020210190188A KR 20210190188 A KR20210190188 A KR 20210190188A KR 102662728 B1 KR102662728 B1 KR 102662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rone
terminal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6180A (ko
Inventor
김종호
설윤호
Original Assignee
설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윤호 filed Critical 설윤호
Publication of KR2023004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0Air 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 B60Y2200/51Aeropl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의 중심부에 충전홈을 갖는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과, 상기 충전홈에 맞도록 형성된 충전돌출부를 갖는 충전장치가 임의의 구조물에 부착되어 드론의 충전을 임의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드론 및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충전홈과 상기 충전홈의 하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충전단자 및 상기 충전홈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환형의 제2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Drone compris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apparatus combined with charging assembly docking the charging module}
본 발명은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의 중심부에 충전홈을 갖는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과, 상기 충전홈에 맞도록 형성된 충전돌출부를 갖는 충전장치가 임의의 구조물에 부착되어 드론의 충전을 임의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드론 및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자율항법장치에 의하여 자동 조종되거나 무선 전파를 이용하여 원격 조종되는 무인 비행체를 의미한다.
드론은 기체에 사람이 타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조종한다는 점에서 무인항공기라는 표현도 같이 사용되고 있으며,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초기에는 공군기나 고사포의 연습사격에 적기 대신 표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는 정찰, 감시 및 대잠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한편, 드론의 용도가 다양화되면서 민간분야에서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완구, 영상 촬영, 배송(택배), 재해 관측 등의 분야에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각 목적에 맞게 사용되어야 하는데, 특히 배송이나 영상 촬영, 관측 등에 사용될 경우에 장시간 비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배터리 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중간에 충전을 하거나 드론 자체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성능 배터리 개발, 모터와 엔진을 같이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기체 무게 저감을 위한 경량화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충전 방식을 대체할만한 기술이 나오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종래기술로 드론이 충전될 수 있는 충전스테이션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충전스테이션은 드론이 스테이션에 접근하여 드론을 고정시킨 후 충전장치에 도킹하여 충전하거나 배터리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드론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충전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21616호 (발명의 명칭: 드론 충전 스테이션 및 시스템, 공개일: 2019. 03. 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의 중심부에 충전홈을 갖는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과, 상기 충전홈에 맞도록 형성된 충전돌출부를 갖는 충전장치가 임의의 구조물에 부착되어 드론의 충전을 임의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드론 및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충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충전홈과 상기 충전홈의 하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충전단자 및 상기 충전홈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환형의 제2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양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프로펠러 및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를 지지하는 복수의 프로펠러암을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는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암에 상기 충전홀이 구비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는 충전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어셈블리는, 상기 충전홈에 삽입되는 충전돌출부와 상기 충전돌출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접촉되는 제1 충전돌출부단자 및 상기 충전돌출부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충전단자와 접촉되는 제2 충전돌출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장치는 천장, 벽 또는 특정 구조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구조물은 로봇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중심부 상단에 충전홈을 형성하고 충전홈에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를 구비하여 충전홈에 충전장치의 충전어셈블리가 쉽게 도킹되어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충전단자가 탄력성을 구비하여 충전모듈와 충전어셈블리가 도킹 시에 충격을 줄이고 더욱 안정적으로 충전단자들이 접촉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는 임의의 고정물에 장착될 수 있고 드론의 충전모듈의 충전홈(암 충전포트)과 충전장치의 충전어셈블리의 충전돌출부(수 충전포트)가 임의의 위치에서 상호 결합이 가능하여 드론이 어느 위치나 어느 자세로도 충전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 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각 구성요소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한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드론은 무인비행체 및 동력이 없는 무인 항공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충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충전모듈(1000)은, 상기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충전홈(1100)과 상기 충전홈의 하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충전단자(1200) 및 상기 충전홈(1100)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환형의 제2 충전단자(1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전모듈(1000)은 드론(도면 부호 미도시)에 구비된 배터리(도면 미도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본 발명에서는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구비된다.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구비됨으로써 드론이 지면에 구비된 충전스테이션에 착륙하지 않아도 공중이나 비행하는 구조물이나 충전포트가 공중에 구비된 구조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드론의 상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드론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제1 충전단자(1200)는 상기 충전홈(1100)의 하단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홈(1100)이 깔대기 형상, 또는 역원뿔형상, 또는 팽이의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될 경우 하단의 중심부에 제1 충전단자(1200)가 형성되며, 플러스 전극이나 마이너스 전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충전단자(1300)는 상기 충전홈(1100)의 둘레를 따라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홈(1100)의 중간 높이에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링 형상일 수도 있고 후술하는 일부가 절단된 링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충전단자(1200)와 반대되는 전극을 가지면 되고, 상기 제1 충전단자(120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충전홈(1100)에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충전홈(1100)과 제1 충전단자(1200) 및 제2 충전단자(1300)는 충전홈(1100)(암 충전포트) 내부로 후술하는 충전장치의 충전어셈블리의 충전돌출부(수 충전포트)가 삽입됨으로써 암수 충전포트의 충전단자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쉽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환형의 제2 충전단자(1300`)는 일부분이 절단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충전단자(1300`)는 환형으로 형성되되, 일부분이 절단되어 일부가 절단된 링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일부분이 절단된 형태를 가질 경우, 드론의 충전홈(1100)에 후술하는 충전장치의 충전돌출부가 결합한 후에도 견고하게 충전단자들이 결합할 수 있고, 드론을 고정하는 효과가 가져올 수 있다.
즉. 제2 충전단자(1300`)의 환형의 지름보다 후술하는 충전장치의 충전돌출부의 높이상으로 가운데 부분(제2 충전단자와 결합되는 제2 충전돌출부단자)이 약간 더 크게 형성되면, 결합시에는 제2 충전단자(1300`)가 일부가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탄력성을 갖게 되고, 지름이 늘어나면서 충전장치의 충전돌출부가 결합하게 되고, 일종의 끼움결합이 된다.
또한, 드론이 공중에서 상부가 결합되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장치(도면 미도시)가 있으나, 고정장치 이외에 드론이 충전장치에 더욱 공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환형의 제2 충전단자(1300``)는 환형의 일부분의 두께 또는 높이가 다른 부분의 두께 또는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환형의 제2 충전단자(1300``)는 환형의 일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작거나 높이가 다른 부분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충전장치의 충전돌출부가 결합할 때 제2 충전단자(1300``)의 지름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한 후에는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환형의 제2 충전단자(1300``)는 탄성을 갖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도성 고무나 폴리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고무나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반 금속, 구리나 금, 은 등으로 형성되어도 어느 정도 탄성이나 탄력성을 갖기 때문에 상술한 구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특히, 높이나 두께를 탄성이나 탄력성 또는 충전돌출부의 가운데 부분(제2 충전단자와 결합하는 제2 충전돌출부단자)의 지름과 충전홈(1100)의 가운데 부분(제2 충전단자)의 지름과의 관계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충전단자의 지름의 크기와 제2 충전돌출부단자의 지름의 크기를 단계별로 나누어 매칭하고 각각의 지름의 크기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두께를 단계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지름의 크기의 차이가 커질수록 두께가 다른 부분(작은 부분)의 두께를 더 작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름의 크기의 차이가 커질수록 높이가 다른 부분(작은 부분)의 높이를 더 작게할 수 있다.
또는 두께나 높이가 다른 부분(작은 부분)에만 탄성이나 탄력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나머지 부분은 구리나 금 등 금속으로 형성되고 두께나 높높이가 다른 부분(작은 부분)만 전도성 고무나 폴리머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1000)을 구비한 드론은 양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프로펠러(1400) 및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를 지지하는 복수의 프로펠러암(1500)을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1400)는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암(1500)에 상기 충전홈(1100)이 구비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론(도면부호 미도시)은 양력을 발생키는 복수의 프로펠러(1400)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프로펠러(1400)는 프로펠러암(1500)에 장착될 때 충전홈(1100)이 구비된 방향(본 발명에서는 드론의 상단부)의 반대방향, 즉, 본 발명에서는 프로펠러암(1500)의 하방으로 장착된다.
충전홈(1100)에 후술하는 충전장치의 충전돌출부가 결합되게 되는데, 이렇게 결합될 때 프로펠러가 드론의 상부에 있을 경우, 결합을 방해할 수 있고, 또한 충전장치의 형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프로펠러(1400)가 프로펠러암(1500)에 대하여 하방으로 장착되면 충전홈(1100)과 충전돌출부가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는 충전어셈블리(2000)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어셈블리(2000)는, 상기 충전홈(1100)에 삽입되는 충전돌출부(2100)와 상기 충전돌출부(2100)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충전단자(1200)와 접촉되는 제1 충전돌출부단자(2200) 및 상기 충전돌출부(210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충전단자(1300)와 접촉되는 제2 충전돌출부단자(2300)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장치(도면부호 미도시)는 천장, 벽 또는 특정 구조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특정 구조물은 로봇암일 수 있다
상기 충전모듈(1000)을 구비한 드론은 충전모듈(1000)과 결합되는 충전어셈블리(2000)를 갖는 충전장치와 도킹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충전어셈블리(2000)는 수 충전포트이며, 충전모듈(1000)은 암 충전포트로 형성된다. 즉, 충전모듈(1000)의 충전홈(1100)에 충전어셈블리(2000)의 충전돌출부(2100)가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될 때 상기 충전홈(1100)의 하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충전단자(1200)와 상기 충전돌출부(2100)의 말단에 형성된 제1 충전돌출부단자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충전홈(1100)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제2 충전단자(1300, 100`, 1300``)는 상기 충전돌출부(210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제2 충전돌출부단자(2300)와 접촉하여 상기 드론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이러한 충전장치(도면부호 미도시)는 천장에 구비될 수도 있고, 벽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한 로봇암이나 특정구조물(차량의 상면 등에 형성된 구조물)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론이 어떠한 위치나 자세에서도 충전이 가능하며, 특히, 로봇암에 충전장치가 구비될 경우, 드론이 충전을 위하여 충전장치에 결합된 후, 고정장치에 의하여 고정되고, 이후에 로봇암이 작동하여 특정 위치로 드론을 배치할 수 있다.
로봇암에 충전장치가 구비될 경우, 드론이 충전을 하는 동안 일정위치, 즉 드론 보관 셀이나 드론 보관 창고, 드론 보관 건물 등에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는 로봇암에 충전장치가 탈부착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천장이나 벽에도 직접적으로 충전장치가 고정되어 드론이 충전할 수도 있지만, 천장이나 벽에 로봇암이 장착된 후에 로봇암에 충전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구조물, 전봇대나 차량의 상면에 장착된 구조물, 빌딩의 상단에 장착된 구조물, 아파트의 베란다에 장착된 구조물 등에도 충전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충전홈의 둘레를 따라서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충전단자가 충전홈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는 충전홈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가 높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경우에도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는 일부분이 절단된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는 일부분의 높이나 두께가 나머지 부분의 두께나 높이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효과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맞춰서 충전어셈블리에 형성된 제1 충전돌출부단자와 제2 충전돌출부단자는 충전돌출부의 가운데 부분 둘레를 따라서 상기 드론의 충전홈의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충전홈 둘레에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가 형성될 경우에는 충전돌출부의 둘레에 제1 충전돌출부단자와 제2 충전돌출부단자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1 충전돌출부단자와 제2 충전돌출부단자는 충전돌출부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 충전모듈
1100 : 충전홈
1200 : 제1충전단자
1300, 1300`, 1300`` : 제2충전단자
1400 : 프로펠러
1500 : 프로펠러암
2000 : 충전어셈블리
2100 : 충전돌출부
2200 : 제1충전돌출부단자
2300 : 제2충전돌출부단자

Claims (4)

  1.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충전홈;
    상기 충전홈의 하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충전단자; 및
    상기 충전홈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환형의 제2 충전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충전단자는,
    상기 충전홈의 둘레를 따라서 환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환형의 링 형상의 일부분의 두께 또는 높이가 다른 부분의 두께 또는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링 형상의 일부분은 탄성 또는 탄력성을 갖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링 형상의 일부분의 두께 또는 높이는 상기 충전홈의 지름의 크기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드론은,
    양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프로펠러; 및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를 지지하는 복수의 프로펠러암을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는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암에 상기 드론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충전홈이 구비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2. 삭제
  3. 제1항의 드론의 충전모듈과 결합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어셈블리는,
    상기 충전홈에 삽입되는 충전돌출부;
    상기 충전돌출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접촉되는 제1 충전돌출부단자; 및
    상기 충전돌출부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충전단자와 접촉되는 제2 충전돌출부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장치는 천장, 벽 또는 특정 구조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조물은 로봇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
KR1020210190188A 2021-09-29 2021-12-28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 KR102662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29197 2021-09-29
KR1020210129197 2021-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180A KR20230046180A (ko) 2023-04-05
KR102662728B1 true KR102662728B1 (ko) 2024-05-03

Family

ID=8588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188A KR102662728B1 (ko) 2021-09-29 2021-12-28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7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596B1 (ko) 2016-10-07 2018-04-24 주식회사 진흥테크 무인항공기 및 무인항공기 자동충전장치
US20180196418A1 (en) 2015-07-27 2018-07-12 Xworks Corporation Method for unattended operations using autonomous or remotely operated vehicles
KR101894662B1 (ko) * 2017-04-13 2018-09-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 및 드론 운용 시스템
KR102122755B1 (ko) 2019-10-23 2020-06-15 주식회사 네스앤텍 화면 터치 방식을 이용하는 짐벌 제어 방법
US20200290753A1 (en) * 2017-08-21 2020-09-17 Herotech8 Ltd Method and device for dock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a moveable docking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720A (ko) * 2015-01-28 2016-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 수직이착륙 비행체의 착륙 및 충전을 위한 도킹장치
KR102003392B1 (ko) 2017-08-23 2019-07-24 장백산 드론 충전 스테이션 및 시스템
KR20180039032A (ko) * 2018-03-23 2018-04-17 주식회사 진흥테크 무인항공기 및 무인항공기 자동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96418A1 (en) 2015-07-27 2018-07-12 Xworks Corporation Method for unattended operations using autonomous or remotely operated vehicles
KR101851596B1 (ko) 2016-10-07 2018-04-24 주식회사 진흥테크 무인항공기 및 무인항공기 자동충전장치
KR101894662B1 (ko) * 2017-04-13 2018-09-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 및 드론 운용 시스템
US20200290753A1 (en) * 2017-08-21 2020-09-17 Herotech8 Ltd Method and device for dock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a moveable docking station
KR102122755B1 (ko) 2019-10-23 2020-06-15 주식회사 네스앤텍 화면 터치 방식을 이용하는 짐벌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180A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6203B1 (en) Unmanned aerial vehicles, charging systems for the same and methods of charging the same
US11767131B2 (en) Docking station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180057165A1 (en) System for recharging remotely controlled aerial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rechargeable remotely controll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434885B2 (en) Landing platfor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10723456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having multi-rotor type rotary wing
US11565813B2 (en) Swarm-based firefighting drone and mass aerial drop system and method
US20200071001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docking system
US10577126B2 (en) Drone aircraft landing and docking systems
US20170101017A1 (en) Transportable ground station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00044463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automatic charging device
US20150014482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with inter-connecting wing sections
US20200115055A1 (en) Launched Unmanned Aerial Vehicle
EP3345831B1 (en) Drone capable of varying propeller arrangement shape
KR101895935B1 (ko) 무인항공기의 자동 충전 시스템
US9764835B1 (en) Aerial vehicle configuration
KR101689264B1 (ko) 무인 비행체, 이의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 방법
JP2018062324A (ja) 複数機連繋方式の電動回転翼式無人飛行機
KR102662728B1 (ko)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
KR101491924B1 (ko) 이착륙 비행체의 타워형 충전 및 격납시스템
US20200150693A1 (en) Rotorcraft and method of controlling rotorcraft
US11987403B2 (en) Method for destroying the enemy's targets using missiles launched from multicopter drones carried inside soldiers' backpacks
US11878815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self-centering and capture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20170026079A (ko) 도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비행체 충전소
Fetisov et al. Charging stations with open contact pads for maintenance of aerial robots
KR102356245B1 (ko) 회전 방식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