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245B1 - 회전 방식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방식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245B1
KR102356245B1 KR1020210060508A KR20210060508A KR102356245B1 KR 102356245 B1 KR102356245 B1 KR 102356245B1 KR 1020210060508 A KR1020210060508 A KR 1020210060508A KR 20210060508 A KR20210060508 A KR 20210060508A KR 102356245 B1 KR102356245 B1 KR 102356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ity
receiving
transmission
electric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606A (ko
Inventor
설윤호
Original Assignee
설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윤호 filed Critical 설윤호
Priority to KR1020210060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2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달 장치는, 전기를 소비하는 전기 소비 장치로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기를 제장하고 있는 전기 저장 장치와 상기 전기 소비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수신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전달 장치에 있어서,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전달단자부; 상기 전기 저장 장치와 상기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며, 일 측이 개구된 공간인 삽입 공간이 제공되도록 함입되어 전달함입부가 형성된 전달연결부; 및 상기 삽입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상기 제2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는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방식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ELECTRICAL TRANSMISSION DEVICE WITH A ROTARY ANTI-REMOVABLE MEANS THROUGH ROTATION METHOD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 방식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전기 전달 장치, 전기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전기를 소비하는 전기 소비 장치와 전기를 저장하는 전기 저장 장치를 서로 매개하는 전기 수신 장치,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인 비행체는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한다. 최근 무인 비행체는 정찰, 공격 등의 군사적 용도 이외에 영상 촬영, 무인 택배 서비스, 재해 관측 등 다양한 민간, 상업 분야에도 활용이 증가되고 있다 무인 비행체는 사람보다 이동성이 더욱 뛰어난 장점이 있지만, 베터리의 한계로 인해 운행 시간에 한계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무인 비행체가 충전될 수 있는 충전 시스템(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56909호, 2019. 12. 11, 등록)이 개발되어 적절한 장소에 설치가 되고 있다.
여기서, 무인 비행체의 정밀한 제어가 힘들기 때문에, 무선 충전 방식이 충전 시스템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다. 다만, 무선 충전 방식은 충전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무인 비행체가 충전되는데 많은 전력 낭비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수신 장치,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는, 전기를 소비하는 전기 소비 장치로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기를 저장하고 있는 전기 저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기 전달 장치와 상기 전기 소비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수신단자부; 및 상기 전기 소비 장치와 상기 수신단자부에 연결되는 수신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자부는, 제1 수신단자부와 상기 제1 수신단자부와 이격되는 제2 수신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수신단자부는, 상기 전기 전달 장치가 상기 전기 수신 장치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수신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연결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신단자부는, 상기 수신연결부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연결부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기 수신 장치와 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제1 수신단자부가 연결되는 수신본체부 및 상기 제1 수신단자부가 상기 전기 전달 장치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본체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수신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신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신단자부는, 상기 수신돌출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본체부는, 상기 제1 수신단자부와 상기 수신돌출부 사이에 고정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본체부의 측면이 함입된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본체부는, 상기 수신돌출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 수신본체부, 상기 수신돌출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수신단자부가 연결되는 제2 수신본체부 및 상기 수신돌출부와 상기 전기 소비 장치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2 수신본체부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수신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수신본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돌출부는, 상기 제3 수신본체부와 소정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 수신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고정 장치가 하단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연결부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의 상측 방향으로 상기 전기 소비 장치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전기 소비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연결부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전기 소비 장치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전기 소비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소비 장치로부터 이격된 상기 수신연결부가 상기 전기 소비 장치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기 소비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상기 수신연결부를 상기 전기 소비 장치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 조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달 장치는, 전기를 소비하는 전기 소비 장치로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기를 저장하고 있는 전기 저장 장치와 상기 전기 소비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수신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전달 장치에 있어서,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전달단자부; 및 상기 전기 저장 장치와 상기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는 전달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단자부는,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상기 제2 전달단자부와 이격되는 제2 전달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달단자부는, 상기 전기 전달 장치가 상기 전기 수신 장치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연결부는, 일 측이 개구된 공간인 삽입 공간이 제공되도록 함입되게 형성되는 전달함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달단자부는, 상기 삽입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는 부분인 상기 삽입 공간의 입구로부터 가장 먼 상기 전달함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달단자부는, 상기 전달함입부의 측 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상기 제2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는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전달함입부의 측 부에서부터 상기 삽입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전달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연결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위치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전달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전달함입부는, 상기 전달 내부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이 서로 연결시키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전달 내부 공간에 모두 위치되고,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관통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동력 제공부, 상기 동력 제공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제1 로드부 및 상기 제1 로드부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 로드부에 연결되는 제2 로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는, 전기를 소비하는 전기 소비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수신 장치; 및 전기를 저장하고 있는 전기 저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기 수신 장치에 전기를 전달하는 전기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수신 장치는,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졌으며, 제1 수신단자부 및 상기 전기 전달 장치가 상기 전기 수신 장치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수신단부와 이격되는 제2 수신단자부를 구비하는 수신단자부 및 상기 전기 소비 장치와 상기 수신단자부에 연결되는 수신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전달 장치는,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졌으며, 제1 전달단자부와 상기 전기 전달 장치가 상기 전기 수신 장치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이격되는 제2 전달단자부를 구비하는 전달단자부 및 상기 전기 저장 장치와 상기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는 전달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단자부는,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수신단자부는, 상기 제2 전달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제공 장치는, 상공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전기를 소비하는 무인 비행체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전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공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전기 저장 장치; 및 상기 전기 저장 장치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 저장 장치로부터 전기를 제공 받아 상기 전기 소비 장치로 전달하는 전기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전달 장치는,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전달단자부 및 상기 전기 저장 장치와 상기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는 전달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단자부는,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상기 제2 전달단자부와 이격되는 제2 전달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달단자부는, 상기 전기 전달 장치가 상기 무인 비행체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는, 상공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전기 제공 장치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무인 비행체에 있어서, 전력을 소비하여 상공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전기 소비 장치; 및 상기 전기 소비 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 제공 장치로부터 전기를 제공 받아 상기 전기 소비 장치로 전달하는 전기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수신 장치는,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수신단자부; 및 상기 전기 소비 장치와 상기 수신단자부에 연결되는 수신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자부는, 제1 수신단자부와 상기 제1 수신단자부와 이격되는 제2 수신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수신단자부는, 상기 전기 제공 장치가 상기 전기 수신 장치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수신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달 장치는, 전기를 소비하는 전기 소비 장치로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기를 저장하고 있는 전기 저장 장치와 상기 전기 소비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수신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전달 장치에 있어서,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전달단자부; 상기 전기 저장 장치와 상기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며, 일 측이 개구된 공간인 삽입 공간이 제공되도록 함입되어 전달함입부가 형성된 전달연결부; 및 상기 삽입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상기 제2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는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공간에 배치된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연결부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전달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전달함입부는, 상기 전달 내부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이 서로 연결시키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모든 이탈방지부가 상기 전달 내부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일부 이탈방지부가 상기 관통부와 상기 삽입 공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전달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동력 제공부, 상기 동력 제공부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 제공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제1 로드부 및 상기 제1 로드부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 로드부에 연결되는 제2 로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 공간의 둘레 상에 배치되게 상기 전달함입부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는 전기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 불량에 따른 충전이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잇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전달 장치가 연결되는 전기 저장 장치와 전기 수신 장치가 연결되는 전기 소비 장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가 연결된 전기 소비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달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달 장치와 전기 수신 장치가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가 전기 전달 장치에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 전달 장치가 연결되는 전기 저장 장치와 전기 수신 장치가 연결되는 전기 소비 장치의 다른 관계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전달 장치가 연결되는 전기 저장 장치와 전기 수신 장치가 연결되는 전기 소비 장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저장 장치(400)는 전기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전기 저장 장치(400)의 상단부에 태양광 패널이 위치되어,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 저장 장치(400)는 하늘을 부유하는 비행선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저장 장치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전기 저장 장치(400)는 지상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전기 전달 장치(300)는 상기 전기 저장 장치(400)에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전기 저장 장치(400)의 하측에 전기 전달 장치(300)가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소비 장치(200)는 전기 저장 장치(400)의 하측으로 접근 한 후 상승하여, 전기 전달 장치(300)와 전기 수신 장치(100)의 접점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전기 소비 장치(200)가 공기적 흐름인 대류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상기 전기 저장 장치(400)로 접근할 수 있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전기 전달 장치(300)는 상기 전기 저장 장치(400)로부터 전기를 전달 받아 후술하는 전기 수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전기 소비 장치(200)는 전기를 소비하여, 소정의 동작, 정보 처리 등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전기 소비 장치(200)는 로봇 또는 드론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가 포함하는 장치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전기 수신 장치(100)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와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전기 수신 장치(100)와 전기 전달 장치(30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가 연결된 전기 소비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100)는, 전기를 소비하는 전기 소비 장치(200)로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기를 저장하고 있는 전기 저장 장치(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기 전달 장치(300)와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수신 장치(100)에 있어서,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수신단자부(110) 및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와 상기 수신단자부(110)에 연결되는 수신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단자부(110)는 제1 수신단자부(111)와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와 이격되는 제2 수신단자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의 상측 방향으로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수신연결부(120)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전기 수신 장치(100)는 전기 소비 장치(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전기 수신 장치(100)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에 별도의 체결 부재 혹은 접착 물질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수신연결부(120)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와 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가 연결되는 수신본체부(121) 및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가 상기 전기 전달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본체부(121)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수신본체부(121)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신돌출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신연결부(12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신본체부(121)는 제1 방향(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3 수신본체부(121c), 상기 제3 수신본부의 단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제2 수신본체부(121b) 및 상기 제2 수신본체부(121b)의 단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신본체부(121a)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상기 수신본체부(121)는 상기 수신돌출부(122)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 수신본체부(121a), 상기 수신돌출부(122)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가 연결되는 제2 수신본체부(121b) 및 상기 수신돌출부(122)와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2 수신본체부(121b)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수신본체부(121b)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수신본체부(121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신돌출부(122)는 상기 제2 수신본체부(121b)의 측면으로부터 측 방향(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각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3 수신본체부(121c)의 일단부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3 수신본체부(121c)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수신본체부(121b)에 연결될 수 있다.
수신연결부(120)는 상기 제1 수신본체부(121a)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신확장부(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수신확장부(123)는 상기 수신돌출부(122)에서부터 상기 제1 수신본체부(121a)의 단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확장부(123)는 상기 제1 수신본체부(121a)가 벤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수신본체부(121a)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신단자부(112)는 상기 전기 전달 장치(300)가 상기 전기 수신 장치(100)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수신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는 상기 수신연결부(120), 구체적으로 제1 수신본체부(121a)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수신본체부(121a)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는 상기 제1 수신본체부(121a)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 전부 포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신단자부(112)는 상기 수신돌출부(122)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2 수신단자부(112)는 상기 수신돌출부(122)의 측면 전체를 포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와 상기 제2 수신단자부(112)는 도전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본체부(121), 상기수신돌출부(122) 및/또는 상기 수신확장부(123)는 비 도전성의 물질(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돌출부(122)와 상기 제3 수신본체부(121c)는 소정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수신돌출부(122)는 상기 제2 수신본체부(121b)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수신돌출부(122)와 상기 제3 수신본체부(121c)의 단차에 후술하는 고정 장치가 걸릴 수 있다.
상기 제3 수신본체부(121c)에 의해 상기 수신돌출부(122)와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3 수신본체부(121c)에 의해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가 후술하는 전기 전달 장치(300)에 충돌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수신 장치(100)는 상기 수신단자부(110)와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수신 전선부(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달 장치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달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달 장치(300)는 전기를 소비하는 전기 소비 장치(200)로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기를 저장하고 있는 전기 저장 장치(400)와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수신 장치(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전달 장치(300)에 있어서,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전달단자부(310) 및 상기 전기 저장 장치(400)와 상기 전달단자부(310)에 연결되는 전달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전달연결부(320)는 전기 전달 장치(30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전달연결부(320)가 상기 전기 전달 장치(300)에 연결되는 방향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전기연결부는 상기 전기 전달 장치(300)의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달연결부(320)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전달 내부 공간(S1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연결부(320)는 일 측이 개구된 공간인 삽입 공간(S200)이 제공되도록 함입되게 형성되는 전달함입부(32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달함입부(321)는 언덕진 형상의 삽입 공간(S200)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말로, 상기 전달함입부(321)의 상단(마루)에서 상기 전달 함입부의 하단 방향으로 상기 전달함입부(321)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함입부(321)는 상기 전달 내부 공간(S100)과 상기 삽입 공간(S200)이 서로 연결시키는 관통부(H32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달단자부(310)는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와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와 이격되는 제2 전달단자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는 상기 전달함입부(321)의 상단(마루)가 포함되도록 상기 전달함입부(3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는 상기 삽입 공간(S200)과 외부가 연결되는 부분인 상기 삽입 공간(S200)의 입구로부터 가장 먼 상기 전달함입부(3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는 상기 전달함입부(321)의 면을 따라서 상기 전달함입부(3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는 라운드진 면(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의 일면의 면적은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의 일면의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의 일면은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와 접촉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의 일면은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와 접촉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삽입 공간(S200) 상에서 상기 수신연결부(120)가 직립되게 위치되지 않아도,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와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전달 장치(300)가 상기 전기 수신 장치(100)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는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는 상기 전달함입부(321)의 측 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는 상기 관통부(H321)의 상측(마루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는 상기 전달함입부(321)의 일 높이에 대해서 상기 전달함입부(321)의 둘레 적어도 일부(바람직하게는 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의 일면의 면적은 상기 제2 수신단자부(112)의 일면의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의 일면은 상기 제2 수신단자부(112)와 접촉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신단자부(112)의 일면은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와 접촉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삽입 공간(S200) 상에서 상기 수신연결부(120)가 직립되게 위치되지 않아도, 상기 제2 수신단자부(112)와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전달 장치(300)는 상기 삽입 공간(S200)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와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에 연결되는 상기 전기 수신 장치(100)가 상기 삽입 공간(S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함입부(321)의 측 부에서부터 상기 삽입 공간(S200)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320)는 상기 전달연결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320)는 상기 전달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동력 제공부(331), 상기 동력 제공부(331)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 제공부(331)에 의해 회전 가능한 제1 로드부(332) 및 상기 제1 로드부(332)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 로드부(332)에 연결되는 제2 로드부(3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부(332)의 일단부는 상기 동력 제공부(33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로드부(332)의 타단부는 상기 제2 로드부(333)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로드부(332)와 상기 제2 로드부(333)는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로드부(332)와 상기 제2 로드부(333)가 이루는 각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로드부(333)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로드부(3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부(333)의 상면은 상기 제2 로드부(333)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2 로드부(333)의 타단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관통부(H321)는 상기 전달함입부(321)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부(320)는 각 각의 상기 전달함입부(3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탈방지부(320)가 각 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전달 장치(300)는 상기 전달단자부(310)와 상기 전기 저장 장치(4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달 전선부(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달 장치)와 전기 수신 장치가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전기 소비 장치에 저장된 전원이 부족해질 경우, 전기 소비 장치는 전기 저장 장치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기 수신 장치와 전기 전달 장치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전기 소비 장치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 수신 장치(100)의 제2 수신본체부(121b)가 상기 삽입 공간(S200) 내로 위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는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와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수신단자부(112)는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돌출부(122)에 의해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가 가이드되어,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는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는 상기 제2 수신단자부(112)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가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신확장부(123)는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에 접촉될 수도 있다.
상기 수신확장부(123)가 부도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수신확장부(123)가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에 접촉되어도, 전기 누전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모든 단자부들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가 미세하게 진동 또는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수신본체부(121b)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될 수 있으나, 상기 수신확장부(123)가 상기 제2 수신본체부(121b)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수신본체부(121)가 상기 삽입 공간(S200)의 가상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위치되지 않고,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각 각의 단자부들이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와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 각각이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와 상기 제2 수신단자부(112) 각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기적 연결에는 문제가 없을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32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320)는 상기 전기 수신 장치(100)가 상기 삽입 공간(S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32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320)는 상기 전기 수신 장치(100)가 상기 삽입 공간(S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320)는 상술한 고정 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320)는 상기 전달 내부 공간(S100)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이탈방지부(32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320)는 상기 전달 내부 공간(S100)에 모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탈방지부(320)의 제1 로드부(332) 및 제2 로드부(333) 모두가 상기 전달 내부 공간(S100)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각 각의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상기 이탈방지부(32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동력 제공부(331)에 의해 상기 제1 로드부(332)와 상기 제2 로드부(333)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부(333)의 일부가 상기 관통부(H321)를 통해 상기 전달 내부 공간(S100)에서 상기 삽입 공간(S200)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부(333)의 상면은 상기 수신돌출부(122)의 하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부(333)의 타단은 상기 수신돌출부(122)의 하단 또는 상기 제3 수신본체부(121c)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320)는 상기 수신돌출부(122)를 상기 전기 수신 장치(100)가 상기 전기 전달 장치(300)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320)가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320)는 상기 관통부(H321)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 공간(S200)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 공간(S200)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수신 장치(100)가 상기 삽입 공간(S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공간에 배치된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이탈방지부에 걸쳐지도록 상기 이탈방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기 전달 장치(300)와 상기 전기 수신 장치(100)가 전기적으로 연결 해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가 전기 전달 장치에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와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1100)의 수신본체부(121)는 상기 제1 수신단자부(111)와 상기 수신돌출부(122) 사이에 고정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본체부의 측면이 함입된 안착부(P10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수신확장부(123)의 측면이 함입되어 안착부(P1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각각의 단자부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이탈방지부(32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이탈방지부(320)의 제2 로드부(333)가 상기 안착부(P100)를 이루는 상기 수신확장부(123)에 접촉되어, 상기 수신본체부(121)가 하측 방향(일례로, 전기 수신 장치가 전기 전달 장치로 연결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통부(H1321)는 상기 제1 전달단자부(311)와 상기 제2 전달단자부(312) 사이에 상기 전달연결부(3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와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신 장치(1200)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로부터 이격된 상기 수신연결부(120)가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상기 수신연결부(120)를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 조립부(C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 수신 장치(1200)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기 수신 장치(1200)는 결합 조립부(C100)에 의해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전기 소비 장치(200)에 상기 전기 수신 장치(1200)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결합 조립부(C100)는 탄성 있는 밴드부 및 밴드부가 탄력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결합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결합 조립부(C100)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전기 수신 장치와 전기 전달 장치는 그 구조가 서로 바뀔 수가 있다.
일례로, 전기 수신 장치는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전달단자부 및 전기 수신 장치와 상기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는 전달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전기 전달 장치는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수신단자부 및 상기 전기 전달 장치와 상기 수신단자부에 연결되는 수신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 전달 장치가 연결되는 전기 저장 장치와 전기 수신 장치가 연결되는 전기 소비 장치의 다른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기 수신 장치(100)의 상기 수신연결부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전기 소비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기 전달 장치(300)는 상기 전기 저장 장치(40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을 경우, 전기 소비 장치는 전기 저장 장치의 상측으로 접근 한 후에 하강하여, 전기 전달 장치와 전기 수신 장치의 접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달 장치는 상기 삽입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상기 제2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는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 공간의 둘레 상에 배치되게 상기 전달함입부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 공간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수신 장치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이탈방지부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전달연결부의 일면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전달단자부와 제2 전달단자부 사이의 전달연결부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수축될 수 있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팽창되어 상기 전기 수신 장치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는 전기를 소비하는 전기 소비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수신 장치 및 전기를 저장하고 있는 전기 저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기 수신 장치에 전기를 전달하는 전기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 수신 장치는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졌으며, 제1 수신단자부 및 상기 전기 전달 장치가 상기 전기 수신 장치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수신단부와 이격되는 제2 수신단자부를 구비하는 수신단자부 및 상기 전기 소비 장치와 상기 수신단자부에 연결되는 수신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전달 장치는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졌으며, 제1 전달단자부와 상기 전기 전달 장치가 상기 전기 수신 장치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이격되는 제2 전달단자부를 구비하는 전달단자부 및 상기 전기 저장 장치와 상기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는 전달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신단자부는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수신단자부는 상기 제2 전달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제공 장치는, 상공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전기를 소비하는 무인 비행체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전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공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전기 저장 장치 및 상기 전기 저장 장치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 저장 장치로부터 전기를 제공 받아 상기 전기 소비 장치로 전달하는 전기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 전달 장치는,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전달단자부 및 상기 전기 저장 장치와 상기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는 전달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단자부는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상기 제2 전달단자부와 이격되는 제2 전달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달단자부는 상기 전기 전달 장치가 상기 무인 비행체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전달단자부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는, 상공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전기 제공 장치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무인 비행체에 있어서, 전력을 소비하여 상공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전기 소비 장치 및 상기 전기 소비 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 제공 장치로부터 전기를 제공 받아 상기 전기 소비 장치로 전달하는 전기 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수신 장치는,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수신단자부 및 상기 전기 소비 장치와 상기 수신단자부에 연결되는 수신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단자부는, 제1 수신단자부와 상기 제1 수신단자부와 이격되는 제2 수신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수신단자부는 상기 전기 제공 장치가 상기 전기 수신 장치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수신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전기 수신 장치 200 : 전기 소비 장치
300 : 전기 전달 장치 400 : 전기 저장 장치

Claims (7)

  1. 전기를 소비하는 전기 소비 장치로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기를 저장하고 있는 전기 저장 장치와 상기 전기 소비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수신장치 - 상기 전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신 연결부와 상기 수신 연결부에 연결되는 전도성의 물질인 수신 단자부를 구비함 -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전달 장치에 있어서,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신단자부와 접촉되는 전달단자부;
    상기 전기 저장 장치와 상기 전달단자부에 연결되며, 일 측이 개구된 언덕진 형상의 공간인 삽입 공간이 제공되도록 함입되어 전달함입부가 형성된 전달연결부; 및
    상기 전달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단자부는,
    상기 전달함입부의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신 연결부는,
    상기 전기 소비 장치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신본체부, 상기 수신본체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신돌출부 및 상기 수신돌출부의 측면에 연결되는 수신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전기 수신 장치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상기 수신돌출부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전기 전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전기 전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연결부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전달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전달함입부는,
    상기 전달 내부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이 서로 연결시키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모든 이탈방지부가 상기 전달 내부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일부 이탈방지부가 상기 관통부와 상기 삽입 공간 상에 위치되는,
    전기 전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전달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동력 제공부, 상기 동력 제공부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 제공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제1 로드부 및 상기 제1 로드부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 로드부에 연결되는 제2 로드부를 구비하는,
    전기 전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 공간의 둘레 상에 배치되게 상기 전달함입부의 일면에 연결되는,
    전기 전달 장치.
KR1020210060508A 2020-02-17 2021-05-11 회전 방식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KR102356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508A KR102356245B1 (ko) 2020-02-17 2021-05-11 회전 방식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99A KR102252713B1 (ko) 2020-02-17 2020-02-17 전기 수신 장치,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KR1020210060508A KR102356245B1 (ko) 2020-02-17 2021-05-11 회전 방식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099A Division KR102252713B1 (ko) 2020-02-17 2020-02-17 전기 수신 장치,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606A KR20210104606A (ko) 2021-08-25
KR102356245B1 true KR102356245B1 (ko) 2022-02-08

Family

ID=761582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099A KR102252713B1 (ko) 2020-02-17 2020-02-17 전기 수신 장치,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KR1020210060508A KR102356245B1 (ko) 2020-02-17 2021-05-11 회전 방식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099A KR102252713B1 (ko) 2020-02-17 2020-02-17 전기 수신 장치,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27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054B1 (ko) * 2014-07-03 2016-01-21 주식회사코어벨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KR101805440B1 (ko) 2016-08-08 2017-12-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드론 충전 스테이션의 고정 시스템
CN108602563A (zh) * 2016-02-10 2018-09-28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对多轴飞行器进行无线充电的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064A (ko) * 2018-08-02 2020-02-12 김호균 수직이착륙비행체 폴대형 착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054B1 (ko) * 2014-07-03 2016-01-21 주식회사코어벨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CN108602563A (zh) * 2016-02-10 2018-09-28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对多轴飞行器进行无线充电的结构
KR101805440B1 (ko) 2016-08-08 2017-12-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드론 충전 스테이션의 고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713B1 (ko) 2021-05-17
KR20210104606A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57165A1 (en) System for recharging remotely controlled aerial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rechargeable remotely controll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764652B2 (en) Apparatus for replenishing a vehicle energy source
US9975442B2 (en) Post-type apparatus for containing and charging unmanne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nd method of containing and charging unmanne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ing the same
CN1090391C (zh) 天线耦合装置,外部天线连接装置和机载外部天线连接装置
CN108473209B (zh) 一种控制方法、设备、无人机、充电基站及系统
KR101687014B1 (ko) 무인 비행체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방법
US11232714B2 (en) Device and system for docking an aerial vehicle
WO2018227153A1 (en) Drone implemented border patrol
US20170310047A1 (en) Automatic gravity connector
US20170371354A1 (en) Extensible quadrotor body
CN109070759A (zh) 用于能够进行地面移动的无人驾驶飞行器的对接再充电站
US20180319494A1 (en) Unmanned aerial roadside assist system
KR20190087910A (ko) 드론 충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드론 스테이션
KR101866920B1 (ko) 무인 이동형 및 고정형 무선 전원 공급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
TW202119835A (zh) 雷達致能之多車系統
CN102892630A (zh) 用于便携电子设备的承纳装置
KR101670476B1 (ko) 배달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356245B1 (ko) 회전 방식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EP3500021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KR102569286B1 (ko)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및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102467367B1 (ko) 이탈 방지 수단이 설치된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CN216805836U (zh) 组合式垂起无人机
CN103378338B (zh) 电池
CN205987166U (zh) 无人机的地面控制系统
CN103403965A (zh) 天线装置以及平面型无线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