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054B1 -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054B1
KR101583054B1 KR1020140083124A KR20140083124A KR101583054B1 KR 101583054 B1 KR101583054 B1 KR 101583054B1 KR 1020140083124 A KR1020140083124 A KR 1020140083124A KR 20140083124 A KR20140083124 A KR 20140083124A KR 101583054 B1 KR101583054 B1 KR 101583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unit
transmission
charging unit
electrod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어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어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어벨
Priority to KR102014008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충전유닛과 송신충전유닛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접속되어도 충전되지 않고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접속된 다음 충전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인운반차(AGV)를 자동으로 충전하는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내측에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가 설치되며, 내부 중앙에 접지부(130)가 구성된 수신충전유닛(100); 상기 접지단자(100)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전극단자(110)와 접속될 수 있도록 외측에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210)가 장착되는 송신충전유닛(200); 상기 송신충전유닛(200)의 중앙 내부에 형성되는 장입부(240)에 결합되어 상,하로 가이드되면서 무인운반차(10)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전스위치(400); 상기 송신충전유닛(200)의 장입부(240) 내벽면에 설치되어 충전스위치(400)의 가이드에 따라 온(ON)/오프(OFF)되면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5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AUTOMATIC CHARGING SYSTEM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본 발명은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충전유닛과 송신충전유닛 각각에 장착되는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접속되어도 충전되지 않고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접속된 다음 충전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인운반차 또는 반송차의 자동충전장치는 한국 특허공보 1994-0000389호(출원번호 1991-0010006호, 91.6.17)와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 61-104739호에 소개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특징은 전원공급 장치에 접속되며 플로어로부터 돌출된 발신용 충전장치와 무인운반차에 탑재된 축전지를 충전시키도록 무인운반차의 하부면에 탄력적으로 돌출설치된 수신용 충전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무인운반차가 일정궤도를 주행할 때마다 간헐적으로 수신용 충전장치가 발신용 충전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무인운반차에 탑재된 축전지를 충전시켜 항상 만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종래의 자동충전장치에 있어 무인운반차의 하부면에 설치된 수신용 충전장치와 플로어에 설치된 발신용 충전장치의 전극 자체가 서로 돌출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전극은 무인운반차 및 지게차의 주행중 또는 충전작업중 각각의 전극에 작업자 또는 이동이 가능한 공장시설물 등이 접촉될 경우 장애요인이 되어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없었다.
또한 서로의 전극 자체가 극히 작은 충전장치로 되어 있으므로 무인운반차를 정확한 충전위치에서 정지시키지 않으면 서로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세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충전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종래의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장치는 한국 특허공개 1995-0034967(1995.12.28.공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정궤도로 주행되는 무인운반차에 정위치 자기센서를 설치하고 플로어에 정위치 자기마그네트를 매설하여 상기 정위치 자기마그네트의 자계에 의해 무인운반차가 정위치(충전위치)에 도달되게 하고, 전원공급장치와 접속되며 플로어상에 설치되는 발신용 충전장치를 플로어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아래에 위치되게 하되, 플러스(+), 마이너스(-)의 전극단자를 시소(seesaw)작동 가능하게 하여 수신용 충전장치의 전극단자와 접촉력을 증대시키고, 무인운반차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탑재된 축전지와 접속된 수신용 충전장치는 그 플러스(+), 마이너스(-)의 전극단자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하여 상기 발신용 충전장치와 접속되어 축전지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장치는 플러스(+), 마이너스(-)의 전극단자가 접속됨과 동시에 축전지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플러스(+), 마이너스(-)의 전극단자가 접속되면서 발생되는 스파크로 인해 충전장치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무인운반차를 충전하는 수신충전유닛에 장착되는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송신충전유닛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와 함께 별도의 충전스위치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무인운반차를 충전시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접속된 다음 충전스위치가 작동되면서 무인운반차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되어 종래에서처럼 플러스(+), 마이너스(-)의 전극단자의 접속과 함께 충전되지 않고 충전스위치의 접속까지 되어야 충전이 이루어짐으로써 과부하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는 무인운반차(AGV)를 자동으로 충전하는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내측에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가 설치되며, 내부 중앙에 접지부가 구성된 수신충전유닛; 상기 수신충전유닛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접속될 수 있도록 외측에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장착되는 송신충전유닛; 상기 송신충전유닛의 중앙 내부에 형성되는 장입부에 결합되면서 무인운반차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전스위치; 상기 송신충전유닛의 장입부 내에 설치되어 충전스위치의 가이드에 따라 온(ON)/오프(OFF)되면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스위치와 접지부는 무인운반차의 충전을 위해 전기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접속된 다음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무인운반차가 충전될 수 있도록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무인운반차를 자동으로 충전함에 있어 수신충전유닛과 송신충전유닛 각각에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장착되고 수신충전유닛과 송신충전유닛에 서로 접속되는 접지부와 충전스위치가 구비되면서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됨으로써 무인운반차를 충전시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접지된 다음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충전스위치가 접지부에 접속되면서 전원이 공급되어 무인운반차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접속되면서 발생되는 스파크로 인한 충전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접속되어도 충전되지 않고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접속된 상태에서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으로 충전스위치가 작동되어짐에 따라 무인운반차에 충전이 진행되어 종래에서처럼 플러스(+), 마이너스(-)의 전극단자의 접속만으로 충전이 이루어져 발생되는 과충전을 충전스위치의 작동으로 충전이 진행되거나 정지되게 함으로써 무인운반차의 원활한 충전은 물론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이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전체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접지단자와 충전단자의 접속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자동충전 전 상태를 도시한 내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접지단자와 충전단자의 접속중 상태를 도시한 작동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충전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다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9는 도 8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충전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전기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이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전체구성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접지단자와 충전단자의 접속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자동충전 전 상태를 도시한 내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접지단자와 충전단자의 접속중 상태를 도시한 작동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충전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다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9는 도 8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충전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의 전기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무인운반차(AGV)를 자동으로 충전하는 자동충전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은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수신충전유닛(100)은 내측에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가 설치되어진다.
한편, 상기 수신충전유닛(100)은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가 설치되는 내측면이 안쪽으로 함몰된 반구형, 원뿔형, 정사각뿔형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수신충전유닛(100)의 내측면에는 장착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 양끝단에 장착편(111)이 형성되면서 상기 장착편(111)이 장착홈(120)에 장착되어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가 수신충전유닛(100)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는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이 접속될 때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210)와 긴밀하게 접속되어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의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신충전유닛(100)에 탄성적으로 장착되어진다.
즉, 상기 장착편(111)의 하측 일부만 장착홈(120)에 장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장착홈(120)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이 접속되어질 때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110)와 수신유닛 전극단자(210)가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가면서 탄성적으로 접속되어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의 장착편(111) 전체 부위가 장착홈(120)에 장입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신충전유닛(100)의 내부 중앙에는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와 별도로 접지부(130)가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수신충전유닛(100)의 내벽면에는 양쪽으로 가이드홈(140)이 형성되어진다.
상기에서 가이드홈(140)은 수신충전유닛(100)의 하부 끝단에서부터 접지부(130)까지 내벽면을 따라 형성되어진다.
상기 수신충전유닛(100)의 상부 양쪽에는 끼움홈(15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50)에는 수신충전유닛(100)을 무인운반차(10)에 설치하기 위해 무인운반차(10)에 설치되는 연결판(300)이 결합되어진다.
즉, 상기 연결판(300)은 수신충전유닛(100)에 밀착되어지되 수신충전유닛(100)과 연결판(3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끼움홈(150)으로 결합되는 결합편(310)이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편(310)의 좌,우측에는 끼움홈(150)에 결합되면서 결합편(310)이 끼움홈(15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턱(311)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송신충전유닛(200)은 외측부에 수신충전유닛(100)에 구성되는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와 접속될 수 있도록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210)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송신충전유닛(200)은 수신충전유닛(100)과 동일한 형태로 상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된 반구형, 원뿔형, 정사각뿔형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무인운반차(10)의 안정적인 충전을 이룰 수 있도록 수신충전유닛(100)에 최대한 밀착되면서 접속된다.
상기 송신충전유닛(200)의 외측면에는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21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210) 양끝단에 장착편(211)이 형성되면서 상기 장착편(211)이 장착홈(220)에 장착되어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210)가 송신충전유닛(200)에 장착된다.
상기 송신충전유닛(200)의 외측면 양쪽에는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이 접속되어질 때 송신충전유닛(200)이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수신충전유닛(100)과 접속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140)을 따라 가이드되는 보강편(230)이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송신충전유닛(200)의 중앙부에는 장입부(2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입부(240)에는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210)와 별도로 접지부(130)와의 접속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시켜 무인운반차(10)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충전스위치(400)가 구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장입부(240) 내에는 충전스위치(4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S)이 구비되어진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입부(240)의 내벽면에는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이 접속되면서 수신충전유닛(100)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와 송신충전유닛(200)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210)가 접지되고 접지부(130)와 충전스위치(400)가 접지된 상태에서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의 접속이 완료되는 시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500)가 구비되어진다.
상기에서 리미트스위치(500)는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의 접속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충전스위치(400)가 리미트스위치(500)를 온(ON)시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장입부(240)의 내벽면 하부 즉 충전스위치(400)가 가이드되는 끝지점에서 충전스위치(400)의 측면 하부와 맞닿는 지점에 구비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에 상기 리미트스위치(500)는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이 접속되면서 충전스위치(400)가 리미트스위치(500)를 눌러주면서 온(ON)되어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이 떨어지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S)에 의해 충전스위치(400)가 탄성되면서 상기 충전스위치(400)가 리미트스위치(500)로부터 떨어져 리미트스위치(500)가 오프(OFF)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송신충전유닛(200)의 하부 양쪽에는 끼움홈(25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250)에는 송신충전유닛(200)을 플로어(20)에 설치하기 위해 플로어(20) 상에 설치되는 연결판(300a)이 결합되어진다.
즉, 상기 연결판(300a)은 송신충전유닛(200)에 밀착되어지되 송신충전유닛(200)과 연결판(300a)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에 끼움홈(250)으로 결합되는 결합편(310a)이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편(310a)의 좌,우측에는 끼움홈(250)에 결합되면서 결합편(310a)이 끼움홈(25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턱(311a)이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 예로 첨부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는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이 접속되면서 수신충전유닛(100)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와 송신충전유닛(200)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210)가 접지되고 접지부(130)와 충전스위치(400)가 접지된 상태에서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의 접속이 완료되는 시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토글스위치(600)가 구비되어진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은 무인운반차(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는 수신충전유닛(100)이 측벽(20)에 설치되는 송신충전유닛(200)에 접속되면서 무인운반차(10)를 충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은 릴레이 접점 및 다이오드로 한쪽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리미트스위치(500) 또는 토글스위치(600) 이외에 압력스위치 등 기타 다른 스위치로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무인운반차(10)를 충전시키고자 할 때 무인운반차(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는 수신충전유닛(100)을 측벽(20)에 설치되는 송신충전유닛(200)에 접속시킴에 따라 상기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이 상호 접속되면서 전기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송신충전유닛(200)으로 공급되는 전기가 수신충전유닛(100)을 통해 공급되면서 무인운반차(10)의 축전지(도시하지 않음)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이 접속되어 무인운반차(10)의 충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수신충전유닛(100)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와 송신충전유닛(200)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210)가 서로 접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와 송신유닛 전극단자(210)가 접속된 다음 상기 접지부(130)와 충전스위치(400)의 접속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서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보강편(230)이 가이드홈(140)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이 접속되어지면 상기 수신충전유닛(100)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와 송신충전유닛(200)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210)가 접지됨과 함께 상기 접지부(130)와 충전스위치(400)가 접지된 상태에서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이 서로 접속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접지부(130)와 충전스위치(400)가 접지되어 있어도 리미트스위치(500)가 오프(OFF)된 상태이므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130)와 충전스위치(400)가 접지된 상태에서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의 접속이 완료되어질 때 상기 접지부(130)와 접지되면서 장입부(240) 내에서 하부로 가이드되는 충전스위치(400)가 리미트스위치(500)를 놀러주어 리미트스위치(500)가 온(ON)되면서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무인운반차(10)가 충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충전스위치(400)가 리미트스위치(500)를 작동시켜 전원이 공급되면서 무인운반차(10)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이 떨어지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500)를 온(ON)시키고 있는 충전스위치(400)가 탄성스프링(S)에 의해 장입부(240) 내에서 상부로 가이드되며, 상기 충전스위치(400)의 가이드에 따라 리미트스위치(500)에서 충전스위치(400)가 떨어지면서 리미트스위치(500)가 오프(OFF)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수신충전유닛(100)과 송신충전유닛(200)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와 송신유닛 전극단자(210)가 접속되어도 무인운반차(10)가 충전되지 않고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와 송신유닛 전극단자(210)가 접속된 다음 리미트스위치(500)의 작동에 따라 접지부(130)와 충전스위치(400)에 전기가 공급되면서 무인운반차(10)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110)와 송신유닛 전극단자(210)가 접속된 다음 접지부(130)에 충전스위치(400)가 접속되면서 충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에서처럼 플러스(+), 마이너스(-)의 전극단자가 접속과 함께 충전됨에 따른 플러스(+), 마이너스(-)의 전극단자가 접속시 발생되는 스파크로 인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신충전유닛(200)의 끼움홈(250)에 연결판(300a)의 결합편(310a)이 장착되면서 송신충전유닛(200)이 연결판(300a)에 가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신충전유닛(100)의 끼움홈(150)에 연결판(300)의 결합편(310)이 장착되면서 수신충전유닛(100)이 연결판(300)에 가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짐으로써 송신충전유닛(200)과 수신충전유닛(100)의 접속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정확한 충전과 함께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무인운반차 20 : 측벽
100 : 수신충전유닛 110 : 수신유닛 전극단자
111,211 : 장착편 120,220 : 장착홈
130 : 접지부 140 : 가이드홈
150,250 : 끼움홈 200 : 송신충전유닛
210 : 송신유닛 전극단자 230 : 보강편
240 : 장입부 300,330a : 연결판
310,310a : 결합편 311,311a : 이탈방지턱
400 : 충전스위치 500 : 리미트스위치
600 : 토글스위치 S : 탄성스프링

Claims (11)

  1. 무인운반차(AGV)를 자동으로 충전하는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내측에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가 설치되며, 내부 중앙에 접지부가 구성된 수신충전유닛;
    상기 수신충전유닛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와 접속될 수 있도록 외측에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장착되며, 중앙 내부에 장입부가 형성된 송신충전유닛;
    상기 송신충전유닛의 장입부에 결합되며, 장입부 내에서 가이드되면서 무인운반차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전스위치; 및
    상기 송신충전유닛의 장입부 내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스위치의 가압에 의해 전원 공급을 온(ON)/오프(OFF)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유닛 전극단자에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신유닛 전극단자에는 상기 수신유닛 전극단자의 곡면부에 대응하는 곡면부가 형성되어 단자접촉이 용이한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충전유닛은,
    내측면에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 양끝단에 장착편이 형성되면서 상기 장착편이 장착홈에 장착되어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가 수신충전유닛에 장착되고,
    내벽면 양쪽에 접지부를 따라 하부 끝단까지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충전유닛의 상부에는 무인운반차의 하부면에 수신충전유닛을 설치할 수 있도록 무인운반차에 설치되는 연결판이 수신충전유닛에 밀착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충전유닛의 상부 양쪽에는 연결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의 하부에는 끼움홈으로 결합되어 수신충전유닛과 연결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편이 구성되되 결합편의 좌,우측에는 끼움홈에 결합되면서 장착편이 끼움홈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충전유닛은,
    외측면에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 양끝단에 장착편이 형성되면서 상기 장착편이 장착홈에 장착되어 플러스(+), 마이너스(-)의 송신유닛 전극단자가 송신충전유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충전유닛의 외측면 양쪽에는 수신충전유닛과 송신충전유닛이 접속될 때 송신충전유닛이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수신충전유닛과 접속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에 장입되면서 가이드되는 보강편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충전유닛의 하부에는 플로어에 송신충전유닛을 설치할 수 있도록 플로어에 설치되는 연결판이 송신충전유닛에 밀착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충전유닛의 하부 양쪽에는 연결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는 끼움홈으로 결합되어 송신충전유닛과 연결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편이 구성되되 상기 결합편의 좌,우측에는 끼움홈에 결합되면서 장착편이 끼움홈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부 내에는 충전스위치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충전유닛은 플러스(+), 마이너스(-)의 수신유닛 전극단자가 설치되는 내측면이 안쪽으로 함몰된 반구형, 원뿔형, 정사각뿔형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송신충전유닛은 수신충전유닛에 최대한 밀착되면서 접속될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수신충전유닛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KR1020140083124A 2014-07-03 2014-07-03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KR101583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124A KR101583054B1 (ko) 2014-07-03 2014-07-03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124A KR101583054B1 (ko) 2014-07-03 2014-07-03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054B1 true KR101583054B1 (ko) 2016-01-21

Family

ID=5530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124A KR101583054B1 (ko) 2014-07-03 2014-07-03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05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1772A (zh) * 2017-10-11 2018-04-10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引导车的自动充电装置
KR20180081641A (ko) * 2017-01-06 2018-07-17 박관철 무인운반차용 자동충전장치
CN108528252A (zh) * 2018-04-20 2018-09-14 深圳怡丰自动化科技有限公司 载车板、电动汽车以及车辆充电系统
CN109334500A (zh) * 2018-11-14 2019-02-15 湖南思控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自动导引运输车的自动充电对接机及自动导引运输车
CN109624762A (zh) * 2019-01-28 2019-04-16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充电装置及具有其的物流系统
KR102252713B1 (ko) * 2020-02-17 2021-05-17 설윤호 전기 수신 장치,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KR20220065218A (ko) 2020-11-13 2022-05-2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틸팅형 충전 단자유닛
KR20220065219A (ko) 2020-11-13 2022-05-2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가동형 충전 단자유닛
US11897350B2 (en) 2020-07-02 2024-02-1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aterials handling vehicle charging system comprising a floor-mounted charging plate
US12083909B2 (en) 2023-11-14 2024-09-10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aterials handling vehicle charging system comprising a floor-mounted charging pl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4967A (ko) * 1994-05-26 1995-12-28 석진철 무인운반차의 자동충전장치
JPH08205313A (ja) * 1995-01-23 1996-08-09 Hitachi Cable Ltd バッテリー自動充電装置
KR20090004237A (ko) * 2007-07-06 2009-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자동반송대차
KR20130129007A (ko) * 2012-05-18 2013-11-27 이진국 전기자동차용 전기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4967A (ko) * 1994-05-26 1995-12-28 석진철 무인운반차의 자동충전장치
JPH08205313A (ja) * 1995-01-23 1996-08-09 Hitachi Cable Ltd バッテリー自動充電装置
KR20090004237A (ko) * 2007-07-06 2009-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자동반송대차
KR20130129007A (ko) * 2012-05-18 2013-11-27 이진국 전기자동차용 전기접속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641A (ko) * 2017-01-06 2018-07-17 박관철 무인운반차용 자동충전장치
KR101951089B1 (ko) 2017-01-06 2019-02-22 박관철 무인운반차용 자동충전장치
CN107891772B (zh) * 2017-10-11 2024-01-09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引导车的自动充电装置
CN107891772A (zh) * 2017-10-11 2018-04-10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引导车的自动充电装置
CN108528252A (zh) * 2018-04-20 2018-09-14 深圳怡丰自动化科技有限公司 载车板、电动汽车以及车辆充电系统
CN108528252B (zh) * 2018-04-20 2024-02-23 深圳怡丰自动化科技有限公司 载车板、电动汽车以及车辆充电系统
CN109334500A (zh) * 2018-11-14 2019-02-15 湖南思控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自动导引运输车的自动充电对接机及自动导引运输车
CN109624762A (zh) * 2019-01-28 2019-04-16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充电装置及具有其的物流系统
KR102252713B1 (ko) * 2020-02-17 2021-05-17 설윤호 전기 수신 장치,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KR102356245B1 (ko) * 2020-02-17 2022-02-08 설윤호 회전 방식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KR20210104606A (ko) * 2020-02-17 2021-08-25 설윤호 회전 방식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전기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US11897350B2 (en) 2020-07-02 2024-02-1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aterials handling vehicle charging system comprising a floor-mounted charging plate
KR20220065218A (ko) 2020-11-13 2022-05-2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틸팅형 충전 단자유닛
KR20220065219A (ko) 2020-11-13 2022-05-2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가동형 충전 단자유닛
US12083909B2 (en) 2023-11-14 2024-09-10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aterials handling vehicle charging system comprising a floor-mounted charging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054B1 (ko) 무인운반차 자동충전시스템
US9966712B1 (en) Battery plug-in device for material handling equipment
US20170008409A1 (en) Vehicle charging system
DK2717109T3 (en) Charger for a self-propelled work apparatus
AU1304995A (en) Battery charging and transfer system
CN105005286A (zh) 一种agv的电池更换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60095029A (ko) 청소 시스템
CN102120452A (zh) 一种用于电动车辆的电荷利用控制系统
KR101416771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KR101600809B1 (ko) 측면 충전수단을 구비하는 자율주행 이동로봇과 이를 위한 충전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시스템
KR102446969B1 (ko) 차량의 충전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및 장치
CN106058340A (zh) 一种电动车组合电池包切换控制装置及方法
JPH08838A (ja) 電磁誘導充電方式の乗物玩具
CN106972477B (zh) 蓄电系统、蓄电元件的监视装置以及方法、记录介质
KR101281739B1 (ko)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및 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013362A (ko) 로봇의 배터리 자동교환 방법 및 시스템
CN113141044A (zh) 一种轨道机器人自动充电系统
KR101756243B1 (ko) 코드릴을 착탈하여 전원선 길이보다 먼 거리의 청소를 편리하게 하는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KR101380573B1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JP2006034432A (ja) 自走式クリーナユニット
JP2008131697A (ja) 移動ロボット充電システム及び移動ロボット充電方法
CN212304843U (zh) 对接充电触发装置、自动行走设备的充电站及割草系统
JP6636793B2 (ja) 電池パック
JP2001273945A (ja) 移動ロボットの外部電源接続構造
US11654783B2 (en) Electric lawnmower with coil for wireless charging and discharging of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