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709B1 - Safe driving support system - Google Patents

Safe driving suppor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709B1
KR102662709B1 KR1020230059340A KR20230059340A KR102662709B1 KR 102662709 B1 KR102662709 B1 KR 102662709B1 KR 1020230059340 A KR1020230059340 A KR 1020230059340A KR 20230059340 A KR20230059340 A KR 20230059340A KR 102662709 B1 KR102662709 B1 KR 10266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nit
detection sensor
pai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9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선
Original Assignee
이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선 filed Critical 이종선
Priority to KR102023005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7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7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5Anti-collision systems for passive traffic, e.g. including static obstacles, tre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도로에 설치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로 상의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지점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의 상부에 설치되고, 객체의 접근을 탐지하고 상기 객체의 접근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속도 표시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속도 표시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객체를 감지하는 제1 감지 센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제1 감지 센서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객체보다 크기가 작은 객체를 감지하는 제2 감지 센서 및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속도 측정부, 상기 정보 표시부, 상기 제1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감지 센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속도 측정부, 상기 제1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정보 표시부를 조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installed on a road, comprising a pair of body parts installed at two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road, and installed on top of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 a speed measuring unit that detects the approach of an object and measures the approaching speed of the object, an information display unit installed below the speed display unit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he pair A first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below the speed display unit in each of the body parts and detects the object, is installed below the first detection sensor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is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A second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bject smaller in size than the detected object is installed o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includes the speed measurement unit,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first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respectively.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operate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by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peed measurement unit, the first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Description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SAFE DRIVING SUPPORT SYSTEM}Safe driving support system{SAFE DRIVING SUPPORT SYSTEM}

본 발명은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위험도로에서 안전운전을 지원할 수 있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that can support safe driving on dangerous roads.

본 발명은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 관측이 불가능한 급커브길에서 운전차량의 진입시나 반대편 차량의 진입시 자동으로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작동하여 커브길에서의 도로 상황을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도로 안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safety display device on a curved road,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driving vehicle enters a sharp curve where forward observation is not possible or when an opposing vehicle enters, the road safety display device automatically operates to indicate the road safety on the curved road. This relates to road safety display devices that alert drivers by displaying the situation.

자동차는 현대인의 생활에 있어서 필수 생활용품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자동차의 증가에 따라 교통사고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은 운전자가 도로 지형에 대해 미리 숙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특히 운전자가 낯선 곳을 주행할 경우 전방의 급커브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여 과속으로 인해 도로를 이탈하게 되는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급커브길에 대한 도로 상황을 운전자에게 미리 인지시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Cars have become an essential household item in modern people's lives, and as the number of cars increases, traffic accidents are also increasing. The main cause of traffic accidents is often caused by the driver's failure to familiarize himself with the road terrain in advance. In particular, when driving in an unfamiliar area, the driver is unable to recognize the sharp curve ahead, causing the driver to deviate from the road due to speeding. occurs a lot. Many road safety display devices are being installed to prevent accidents by making drivers aware of road conditions on such sharp curves in advance.

일반적으로 도로의 커브길을 표시하기 위하여 도로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도로 안전 표시 장치는 도 1과 같이 직사각형의 금속평판(1)에 갈매기 모양(≪≪)의 반사지(2)를 부착하여 지지대(3) 상측에 고정시켜 설치하고, 차량의 불빛을 반사하여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커브길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운전자가 미리 급커브길에 대한 대비를 하도록 하여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a road safety display device installed along one side of a road to indicate the curve of the road attaches a chevron-shaped (≪≪) reflective sheet (2) to a rectangular metal plate (1) as shown in FIG. 1 and uses a support ( 3) It is fix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reflects the vehicle's lights to alert the driving driver to the curves in the road, allowing the driver to prepare in advance for sharp curves and preventing the vehicle from leaving the road. .

이러한 종래의 반사지(2)를 이용한 표지판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화되거나 먼지나 차량에서 발생하는 매연이 반사지(2) 표면에 쌓이게 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불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하지 못하여 도로 안전 표지판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못하게 되고, 반사지(2)가 자외선에 의해 표면이 갈라지거나 쉽게 훼손되어 주기적으로 반사지(2)를 보수하고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커브길에 고정된 도로 안전 표지판은 야간에 차량 주행시 전조등 불빛이 반사되어 운전자에게 전달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차량이 표지판에 가까이 접근하여야만 빛의 반사가 선명하게 인지되므로 운전자는 순간적으로 당황하게 되어 사고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Since the sign using such conventional reflective paper (2)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oxidizes over time or dust or soot from vehicles accumulates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paper (2), making it unable to effectively reflect the lights of driving vehicles. As a result, the function of the road safety sign cannot be properly performed, and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paper 2 is cracked or easily damaged by ultraviolet rays, resulting in the need to periodically repair and replace the reflective paper 2. In addition, road safety signs fixed on curves are installed so that when driving at night, the headlight light is ref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driver. The light reflection is clearly perceived only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sign, causing the driver to momentarily panic and cause an accident. Problems that lead to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로 안전 표지판으로 야간 운전자에게 먼 거리에서도 명확하게 표지판을 인지할 수 있도록 빛의 발산이 우수한 LED 를 이용한 안전 표지판이 개발되고 있다. LED를 이용한 표지판은 반사지를 이용한 표지판에 비해 빛의 발산이 우수하여 먼 거리에서도 인지가 가능하며,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o solve this problem, road safety signs using LEDs with excellent light emission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so that night drivers can clearly recognize the signs even from a distance. Signs using LED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recognized from a distance due to their superior light emission compared to signs using reflective paper,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due to their long lifespan.

그러나 종래의 안전 표지판은 급커브길에서의 차량 운행에서 운전자는 전방 관측이 불가능하므로 맞은 편에서 다른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당황하게 되고, 심지어 맞은편 차량과 충돌을 하게 되는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 표지판들은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대해서만 커브길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전방 관측이 어려운 커브길에서의 맞은 편 차량 진입 여부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한다.However, conventional safety signs make it impossible for drivers to observe ahead when driving on sharp curves, so they become confused when another vehicle approaches from the opposite direction, and many accidents even result in collisions with oncoming vehicles. These conventional safety signs only provide information about curves for the vehicle driven by the driver, and do not provide information about whether an oncoming vehicle enters the curve on a curve that is difficult to observe ahea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3555호 (2012. 07. 02 공개일자)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93555 (published on July 2, 20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양차선에서 운행하는 운전자 각각에게 서로 반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을 미리 대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designed to inform each driver driving on both lanes on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with information about an object entering the opposite road so that they can prepare for a dangerous situation in adva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도로에 설치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로 상의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지점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의 상부에 설치되고, 객체의 접근을 탐지하고 상기 객체의 접근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속도 표시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속도 표시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객체를 감지하는 제1 감지 센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제1 감지 센서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객체보다 크기가 작은 객체를 감지하는 제2 감지 센서 및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속도 측정부, 상기 정보 표시부, 상기 제1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감지 센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속도 측정부, 상기 제1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정보 표시부를 조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isclosed present invention is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installed on a road, comprising: a pair of body parts each installed at two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road,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 speed measuring unit installed at the top of the object, detecting the approach of an object and measuring the approaching speed of the object, installed below the speed display unit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A display unit, installed below the speed display unit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 firs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object, installed below the first detection sensor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the first detection sensor 1 Installed o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a second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 object smaller in size than the object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the speed measurement unit,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first detection sensor, and the first detection senso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detection sensors and operate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by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peed measurement unit, the first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information on objects entering the other road from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prepare in advance for a dangerous situation.

상기 제어부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 측정부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 신호로부터 상기 객체가 접근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표시부에 상기 객체의 접근을 표시하는 불빛을 발광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when the control unit in any one of the pair of body parts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pproaching from an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ed measurement unit, the pair of body parts An electrica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located on another one of the body parts, and the control unit located on the other body may emit light indicating the approach of the object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고, 주야간 관계없이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 확인을 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pare in advance for dangerous situa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objects entering the other road from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and can prepare for a dangerous situation in advance, regardless of day or night.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ability by being able to check object information.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라고 판단하면 상기 정보 표시부에서 발광하는 상기 불빛을 소정의 속도로 점멸할 수 있다.If the control unit located in the other of the pair of body parts determines that the speed of the objec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spe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may blink at a predetermined speed.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고, 주야간 관계없이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 확인을 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pare in advance for dangerous situa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objects entering the other road from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and can prepare for a dangerous situation in advance, regardless of day or night.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ability by being able to check object information.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정보 표시부에서 발광하는 상기 불빛을 상기 소정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점멸할 수 있다.If the control unit located in the other of the pair of body parts determines that the speed of the object exceeds a preset spe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may blink at a faster rate than the preset speed.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고, 주야간 관계없이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 확인을 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pare in advance for dangerous situa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objects entering the other road from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and can prepare for a dangerous situation in advance, regardless of day or night.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ability by being able to check object information.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제1 감지 센서의 하측에 설치되고, 접근하는 상기 객체를 향해 상기 속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객체의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may include a speed display unit installed below the first detection sensor and displaying the speed of the object measured by the speed measurement unit toward the approaching object.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위험도로에 진입할 시 운전자의 차량의 속도를 스스로 확인하게 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couraging safe driving by allowing the driver to check the speed of the vehicle when entering a dangerous road.

상기 제2 감지 센서는 일측을 감지하는 전측 감지부와 상기 일측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타측을 감지하는 후측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fron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one side and a rear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other side spac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one side.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paring in advance for dangerous situa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entering the other road from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측 감지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 받은 시간과 상기 후측 감지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 받은 시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객체의 정보를 분류하여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lassify and determine information on the objec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electric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ront sensor and the time when the electric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ar sensor.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paring in advance for dangerous situa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entering the other road from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의 차이가 0.2초 ~ 3초 사이이면 상기 객체를 자전거로 판단하고, 상기 시간의 차이가 3초를 초과하면 상기 객체를 사람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간의 차이가 0.2초 미만이면 상기 객체를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object as a bicycle if the time difference is between 0.2 and 3 seconds, determines the object as a person if the time difference exceeds 3 seconds, and determines the object as a person if the time difference is less than 0.2 seconds. The object may be determined to be a vehicle.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paring in advance for dangerous situa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entering the other road from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를 자전거로 판단하면,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표시부에 '반대편 접근중'이라는 형상의 불빛을 점멸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bicycle,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unit displays a message in the shape of 'approaching the other side'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light can blink.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paring in advance for dangerous situa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entering the other road from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를 차량으로 판단하면,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표시부에 '반대편 차량 접근중'이라는 형상의 불빛을 점멸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vehicle,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unit displays an image of 'opposite vehicle approaching'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light can blink.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paring in advance for dangerous situa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entering the other road from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를 자전거 또는 차량으로 판단하면,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표시부를 조작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bicycle or a vehicle, it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unit operate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o generate a warning sound. You can.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paring in advance for dangerous situa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entering the other road from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속도 측정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 센서에서 상기 객체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 대형차 접근 여부를 표시하는 대형차 접근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installed below the speed measuring unit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displaying whether the large vehicle is approaching by manipulating the control unit when the object is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트럭 및 버스 등과 같은 대형차의 접근 여부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epare in advance for dangerous situations by notifying the approach of large vehicles such as trucks and buses entering the other road on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상기 대형차 접근 표시부는 상기 제1 감지 센서가 상기 객체를 1개 감지하면 불빛을 소정 속도로 점멸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감지 센서가 상기 객체를 2개 이상 연속으로 감지하면 상기 소정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상기 불빛을 점멸할 수 있다.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flashes lights at a predetermined speed when the first detection sensor detects one object, and displays the light at a faster speed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when the first detection sensor detects two or more objects in succession. The light can blink at a rapid rate.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트럭 및 버스 등과 같은 대형차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paring in advance for dangerous situa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large vehicles such as trucks and buses entering the other road on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상기 대형차 접근 표시부는 대형차접근 여부를 표시할 때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may emit a warning sound when indicating whether a large vehicle is approaching.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트럭 및 버스 등과 같은 대형차의 접근을 운전자의 시각 및 청각으로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s the driver of the approach of large vehicles such as trucks and buses entering the other road on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so that the driver can prepare in advance for a dangerous situation. It work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 측정부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 신호로부터 상기 객체가 접근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정보 표시부에 상기 객체의 접근을 불빛으로 표시하고, 상기 정보 표시부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pproaching based on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ed measuring unit,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approach of the object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with light and generate a warning sound i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접근을 운전자의 시각 및 청각으로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forming the driver of the approach of an object entering the other road on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through the driver's vision and hearing, so that the driver can prepare in advance for a dangerous situ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를 알려서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information on objects entering the other road from a dangerous road such as a sharp curve road,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prepare in advance for a dangerous situ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주야간 관계없이 위험도로에서 상대편 도로로 진입하는 객체의 정보 확인을 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afety by being able to check information on objects entering the other road from a dangerous road regardless of day or night.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위험도로에 진입할 시 운전자의 차량의 속도를 스스로 확인하게 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couraging safe driving by allowing the driver to check the speed of the vehicle when entering a dangerous road.

도 1은 종래의 위험도로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를 위험도로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정보 표시부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속도 표시부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서 대형차 접근 표시부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A지점의 T1위치의 객체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도 3에서 A지점의 T2위치의 객체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road safety display device on a dangerous road.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of Figure 2 on a dangerous road.
FIG. 4 is a diagram showing only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in FIG. 2.
FIG. 5 is a diagram showing only the speed display unit in FIG. 2.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only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in FIG. 2.
Figure 7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usage diagram showing detection of an object at position T1 of point A in FIG. 3.
FIG. 9 is a usage state diagram illustrating detection of an object at position T2 of point A in FIG. 3.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an be ful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that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또한,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a first element (or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perated or executed on (ON) a second element (or component), the first element (or component) means that the second element (or component) is 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operated or execut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operated or executed, or that the second element (or component) is operated or executed through direct or indirect interaction.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f any element, component, device or system is said to contain a component consisting of a program or software, even if explicitly stated, that element, component, device or system refers to the hardware necessary for the execution or operation of that program or softwa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g., memory, CPU, etc.) or other programs or software (e.g., drivers necessary to run an operating system or hardware, etc.).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an element (or component) is implement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or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of software, hardware, or software and hard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를 위험도로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정보 표시부만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서 속도 표시부만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서 대형차 접근 표시부만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이고, 도 8은 도 3에서 A지점의 T1위치의 객체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도 3에서 A지점의 T2위치의 객체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installation of Figure 2 on a dangerous road, and Figure 4 shows only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in Figure 2. It is a diagram, FIG. 5 is a diagram showing only the speed display unit in FIG. 2, FIG. 6 is a diagram showing only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in FIG. 2, and FIG. 7 shows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ystem diagram, and FIG. 8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detection of an object at position T1 of point A in FIG. 3, and FIG. 9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detection of an object at position T2 of point A in FIG. 3. .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은 몸체부(100), 속도 측정부(200), 속도 표시부(300), 정보표시부(400), 제1 감지 센서(500), 제2 감지 센서(600),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 제어부(800)를 포함한다.2 to 9,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unit 100, a speed measurement unit 200, a speed display unit 300, an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and a It includes a first detection sensor 500, a second detection sensor 600, a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and a control unit 800.

몸체부(100)는 급커브 도로 등과 같은 위험 도로에 기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몸체부(100)는 위험 도로의 양차선 즉 진행하는 차선의 A지점과 마주하는 차선의 B지점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A지점과 B지점은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의 몸체부(100)는 서로 소정의 거리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0 may be installed standing upright on a dangerous road such as a road with sharp curves.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as a pair and may be formed in a pilla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body parts 100 may be installed on both lanes of a dangerous road, that is, at point A of the traveling lane and at point B of the opposing lane. And point A and point 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pair of body parts 100 can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속도 측정부(200)는 한 쌍의 몸체부(100) 각각의 최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속도 측정부(200)는 객체(O)의 접근을 탐지하고 객체(O)의 접근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speed measuring unit 200 may be installed at the top of each pair of body units 100. And the speed measurement unit 200 can detect the approach of the object O and measure the approach speed of the object O.

도 5를 참고하여 속도 표시부(300)는 접근하는 객체(O)를 향해 속도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접근 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자동차 등과 같은 객체(O)의 운전자가 자신의 속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운전자가 안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속도 표시부(300)는 한 쌍의 몸체부(100) 각각에서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속도 표시부(300)는 LED 전광판 등과 같이 전기 불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5 , the speed display unit 300 may display the approach speed measured by the speed measurement unit 200 toward the approaching object O. In other words, the driver of an object (O), such as a car, can be displayed so that he or she can recognize his or her own speed, thereby encouraging the driver to maintain a safe speed. The speed display unit 300 may be installed below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100. The speed display unit 300 may be a mean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electric light, such as an LED signboard.

도 4를 참고하여 정보 표시부(400)는 마주하는 상대편 차선에서 접근하는 객체(O)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정보 표시부(400)는 한 쌍의 몸체부(100) 각각에서 속도 표시부(30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정보 표시부(400)는 LED 전광판 등과 같이 전기 불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can inform the driver of information about an object O approaching from the opposite lane.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may be installed below the speed display unit 300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100.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may be a mean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electric light, such as an LED signboard.

도 2를 참고하여 제1 감지 센서(500)는 한 쌍의 몸체부(100)를 지나가는 객체(O) 중 크기가 비교적 큰 트럭, 버스 등과 같은 대형 차량(G)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감지 센서(500)는 한 쌍의 몸체부(100) 각각에서 속도 표시부(30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감지 센서(500)는 한 쌍의 몸체부(100)의 둘레부 중 정보 표시부(400)와 동일한 높이에서 정보 표시부(400)와 서로 다른 각도를 바라보도록 정보 표시부(400)의 인근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정보 표시부(400)는 다가오는 객체(O)를 향해 설치되고, 제1 감지 센서(500)는 몸체부(100)를 지나가는 객체(O)를 향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감지 센서(500)는 대형 차량의 상부를 감지하도록 대형 차량의 상부를 향한 방향(T3)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감지 센서(500)의 설치 위치의 높이가 대형 차량의 상부 높이와 일치한다면 제1 감지 센서(500)는 수평 방향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감지 센서(500)의 설치 위치가 대형 차량의 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면 제1 감지 센서(500)는 상측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may detect a relatively large vehicle (G) such as a truck or bus, among objects (O) passing through the pair of body parts (100).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may be installed below the speed display unit 300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100.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is installed near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among the peripheral portions of the pair of body parts 100 at the same height a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and facing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at different angles. It can be. That i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may be installed toward the approaching object O, and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may be installed toward the object O passing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T3 toward the top of the large vehicle to detect the top of the large vehicle. That is, if the height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matches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large vehicle,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can dete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is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top of a large vehicle,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can detect in an upwardly inclined direction.

도 3, 도 8, 도 9를 참고하여 제2 감지 센서(600)는 제1 감지 센서(500)에 의해 감지되는 대형 차량(G)보다 작은 차량(K)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감지 센서(600)는 한 쌍의 몸체부(100) 각각에서 제1 감지 센서(50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감지 센서(600)는 일측을 감지하는 전측 감지부(610)와 타측을 감지하는 후측 감지부(620)를 형성할 수 있다. With reference to FIGS. 3, 8, and 9,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00 may detect a vehicle (K) smaller than the large vehicle (G)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00 may be installed below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100.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00 may form a front detection unit 610 that detects one side and a rear detection unit 620 that detects the other side.

전측 감지부(610)는 객체의 접근 방향(T1)인 일측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후측 감지부(620)는 전측 감지부(610)와 동일 수평선상에 형성되고, 객체가 멀어지는 방향(T2)인 타측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The front detection unit 610 may be installed toward one side, which is the object's approach direction (T1). Additionally, the rear detection unit 620 may be form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front detection unit 610 and may be installed toward the other side, which is the direction T2 in which the object is moving away.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는 제1 감지 센서(500)에 의해 감지된 객체인 대형차(G)의 접근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는 한 쌍의 몸체부(100) 각각에서 속도 측정부(200)와 속도 표시부(3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는 LED 전광판 또는 경광등 등과 같이 전기 불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가 LED 전광판일 때 불빛의 형상을 트럭 또는 버스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may display whether the large vehicle G, which is an object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is approaching.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may be install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peed measurement unit 200 and the speed display unit 300 in each of the pair of body units 100. Referring to FIG. 6,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may be a mean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electric lights, such as an LED signboard or warning light. When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is an LED signboard, the shape of the light can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ruck or bus.

도 7을 참고하여 제어부(800)는 속도 측정부(200), 제1 감지 센서(500), 제2 감지 센서(600)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 신호에 의해 정보 표시부(400), 속도 표시부(300) 및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를 조작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한 쌍의 몸체부(100) 각각에 설치되는 중앙정보처리장치(CPU)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통신부(810)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90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통신부(810)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 등일 수 있고, 한 쌍의 몸체부(100)에 각각 설치된 제어부(800)끼리 무선 통신을 하게 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900)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 받거나, 한 쌍의 몸체부(100)에 설치된 태양열발전기기(미도시)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아서 제어부(800)를 통해 속도 측정부(200), 제1 감지 센서(500), 제2 감지 센서(600), 정보 표시부(400), 속도 표시부(300) 및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속도 측정부(200), 제1 감지 센서(500), 제2 감지 센서(600), 정보 표시부(400), 속도 표시부(300) 및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800)는 한 쌍의 몸체부(100) 중 어느 하나인 A지점에 설치된 몸체부(100a)와 다른 하나인 B지점에 설치된 몸체부(100b)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몸체부(100a)에 설치된 제어부(800)는 어느 하나의 몸체부(100a)에 설치된 속도 측정부(200), 제1 감지 센서(500), 제2 감지 센서(600)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고, 어느 하나의 몸체부(100a)에 설치된 정보 표시부(400), 속도 표시부(300) 및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를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몸체부(100b)에 설치된 제어부(800)는 다른 하나의 몸체부(100b)에 설치된 속도 측정부(200), 제1 감지 센서(500), 제2 감지 센서(600)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고, 다른 하나의 몸체부(100b)에 설치된 정보 표시부(400), 속도 표시부(300) 및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를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몸체부(100a)에 설치된 제어부(800)와 다른 하나의 몸체부(100b)에 설치된 제어부(800)는 서로 무선 통신하여 서로 전기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몸체부(100a)에 설치된 제어부(800)는 속도 측정부(200)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 신호로부터 객체가 접근한다고 판단하면, 다른 하나의 몸체부(100b)에 설치된 제어부(800)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다른 하나의 몸체부(100b)에 설치된 제어부(800)는 정보 표시부(400)에 객체의 접근을 표시하는 불빛을 발광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800)는 객체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라고 판단하면 정보 표시부(400)에서 발광하는 불빛을 소정의 속도로 점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00)는 객체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면 정보 표시부(400)에서 발광하는 불빛을 소정의 속도보다 빠르게 점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부(400)는 경고음 등과 같은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제어부(800)가 객체의 접근 시 정보 표시부(400)에 전기 신호를 전송하면 불빛을 발광함과 함께 소리를 발생시켜 객체의 운전자가 시각과 청각으로 인식하게 유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and the speed display unit 300 by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peed measurement unit 200,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00. and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can be operated. The control unit 800 may be a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PU) installed in each of the pair of body units 10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8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810 and can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900. The communication unit 81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enable the control units 800 installed in each pair of body units 100 to communicate wirelessly. The power supply unit 9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receives electricity, or receives electricity from a solar power generator (not shown) installed on the pair of body units 100, and uses the speed measuring unit 200 through the control unit 800. ), electricity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00,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the speed display unit 300, and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The control unit 8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ed measurement unit 200,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00,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the speed display unit 300, and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You can. The control unit 800 may be installed in one of the pair of body parts 100, the body part 100a installed at point A, and the other body part 100b installed at point B. And the control unit 800 installed in one of the body parts 100a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speed measurement unit 200,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00 installed in one of the body parts 100a. By receiving a signal,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the speed display unit 300, and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installed on one of the body parts 100a can be operated. And the control unit 800 installed in the other body part 100b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speed measurement unit 200,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00 installed in the other body part 100b. By receiving a signal,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the speed display unit 300, and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installed on the other body part 100b can be operated.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800 installed in one body unit 100a and the control unit 800 installed in the other body unit 100b can communicate wirelessly with each other to exchange electrical signals with each other. When the control unit 800 installed in one body unit 100a determines that an object is approaching from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ed measuring unit 200, it sends electricity to the control unit 800 installed in the other body unit 100b. Signals can be transmitted. Then, the control unit 800 installed in the other body unit 100b can cause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to emit a light indicating the approach of an object. Here, if the control unit 800 determines that the speed of the objec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speed, the control unit 800 may ca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to blink at a predetermined speed. Additionally, if the control unit 800 determines that the speed of the object exceeds the preset speed, the control unit 800 may ca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to blink fast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Additionally,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includes a speaker that generates a sound such as a warning sound, and when the control unit 800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to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when an object approaches, it emits light and generates a sound to detect the object. of drivers can be guided to recognize them through sight and hearing.

그리고 제어부(800)는 제1 감지 센서(500)에서 객체를 1개 감지하면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에서 발광하는 불빛을 소정 속도로 점멸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00)는 제1 감지 센서(500)에서 객체를 2개 이상 연속으로 감지하면 소정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불빛을 점멸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는 경고음 등과 같은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감지 센서(500)로부터 객체를 감지한 전기 신호를 제어부(800)가 전송 받으면 대형차 접근 표시부(700)에서 불빛을 발광하면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객체의 운전자가 시각과 청각으로 대형차의 접근을 인식하게 유도할 수 있다. And when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detects one object, the control unit 800 can displa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by blinking at a predetermined speed. Additionally, when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detects two or more objects in succession, the control unit 800 may display the light by flashing at a faster rate than a predetermined speed. In addition,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may include a speaker that generates a sound such as a warning sound, and when the control unit 800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detecting an object from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700 It can emit a light and emit a warn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Accordingly, the driver of the object can be guided to recognize the approach of a large vehicle through sight and hearing.

그리고 제어부(800)는 제2 감지 센서(600)의 전측 감지부(610)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 받은 시간과 후측 감지부(620)로부터 진기 신호를 전송 받은 시간의 차이에 따라 제2 감지 센서(600)에서 감지한 객체의 정보를 분류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800)는 전측 감지부(610)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 받은 후 후측 감지부(620)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 받는 시간의 차이가 0.2초 ~ 3초 사이이면 객체를 자전거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즉 제어부(800)는 전측 감지부(610)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 받은 후 후측 감지부(620)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 받는 시간의 차이가 3초를 초과하면 객체를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즉 제어부(800)는 전측 감지부(610)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 받은 후 후측 감지부(620)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 받는 시간의 차이가 0.2초 미만이면 객체를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00)는 하나의 몸체부(100a)에서 객체를 자전거로 판단하면, 다른 하나의 몸체부(100b)의 정보 표시부(400)에'반대편 접근중'이라는 형상의 불빛을 점멸하면서 경고음을 발생하여 B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A지점으로 자전거가 접근하고 있음을 시각과 청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00)는 하나의 몸체부(100a)에서 객체를 차량으로 판단하면, 다른 하나의 몸체부(100b)의 정보 표시부(400)에 '반대편 차량 접근중'이라는 형상의 불빛을 점멸하면서 경고음을 발생하여 B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A지점으로 차량이 접근하고 있음을 시각과 청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00)는 하나의 몸체부(100a)에서 객체를 사람으로 판단하면, 다른 하나의 몸체부(100b)에 설치된 제어부(800)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정보 표시부(400)를 조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 센서(500)는 제2 감지 센서(600)보다 먼저 객체를 감지하고, 제어부(800)는 제1 감지 센서(500)에서 객체를 감지하면 제2 감지 센서(600)의 작동을 소정 시간 동안 중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800)가 제2 감지 센서(600)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소정 시간은 제1 감지 센서(500)에서 감지된 객체가 몸체부(100)를 지나갈 수 있는 시간인 0.05초 ~ 0.1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감지 센서(500)에서 감지된 객체를 제2 감지 센서(600)가 재감지하여 제어부(800)가 대형 차량(G)을 작은 차량(K)으로 판단하거나 대형 차량(G) 한대가 지나가는 것을 대형 차량(G)과 작은 차량(K)이 각각 지나가는 것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800 generates a second detection sensor ( 600), information on the detected object can be classified and judged. That is, the control unit 800 can determine the object to be a bicycle if the difference in time between receiving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front sensor 610 and receiving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rear sensor 620 is between 0.2 and 3 seconds. .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800 can determine the object to be a person if the time difference between receiving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front sensor 610 and receiving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rear sensor 620 exceeds 3 seconds.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800 can determine the object to be a vehicle if the difference in time between receiving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front sensor 610 and receiving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rear sensor 620 is less than 0.2 seconds. And when the control unit 8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bicycle in one body unit 100a, the control unit 800 flashes a light in the shape of 'approaching the other side'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of the other body unit 100b and sounds a warning sound. This can cause the driver of a vehicle approaching point B to visually and audibly recognize that a bicycle is approaching point A. And when the control unit 8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vehicle in one body unit 100a, the control unit 800 flashes a light in the shape of 'opposite vehicle approaching'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of the other body unit 100b and sounds a warning sound. This can cause the driver of a vehicle approaching point B to visually and audibly recognize that a vehicle is approaching point A. And when the control unit 800 determines that an object is a person in one body unit 100a, it does not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800 installed in the other body unit 100b, thereby preventing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from being manipulated. It may not be possible. In additi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detects an object before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00, and the control unit 800 operates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00 when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detects an object. It can be stopp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ere, the predetermined time for the control unit 80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00 may be 0.05 to 0.1 seconds, which is the time for the object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to pass through the body unit 100. there is. Therefore,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00 re-detects the object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500, and the control unit 800 determines that the large vehicle (G) is a small vehicle (K) or that one large vehicle (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rror of judging that a large vehicle (G) and a small vehicle (K) are passing by, respectively.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patent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몸체부
200: 속도 측정부
300: 속도 표시부
400: 정보표시부
500: 제1 감지 센서
600: 제2 감지 센서
610: 전측 감지부
620: 후측 감지부
700: 대형차 접근 표시부
800: 제어부
100: body part
200: Speed measurement unit
300: Speed display unit
400: Information display unit
500: first detection sensor
600: second detection sensor
610: Front detection unit
620: Rear detection unit
700: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800: Control unit

Claims (15)

도로에 설치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로 상의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지점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의 상부에 설치되고, 객체의 접근을 탐지하고 상기 객체의 접근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속도 측정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속도 측정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객체를 감지하는 제1 감지 센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제1 감지 센서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객체보다 크기가 작은 객체를 감지하는 제2 감지 센서; 및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속도 측정부, 상기 정보 표시부, 상기 제1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감지 센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속도 측정부, 상기 제1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정보 표시부를 조작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지 센서는 일측을 감지하는 전측 감지부와 상기 일측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타측을 감지하는 후측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측 감지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 받은 시간과 상기 후측 감지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 받은 시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객체의 정보를 분류하여 판단하여, 상기 시간의 차이가 0.2초 ~ 3초 사이이면 상기 객체를 자전거로 판단하고, 상기 시간의 차이가 3초를 초과하면 상기 객체를 사람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간의 차이가 0.2초 미만이면 상기 객체를 차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In the safe driving support system installed on the road,
a pair of body parts each installed at two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road;
a speed measuring unit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to detect the approach of an object and measure the approaching speed of the object;
an information display unit installed below the speed measurement unit in each of the pair of body units and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a first detection sensor installed below the speed measurement unit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detecting the object;
a second detection sensor installed below the first detection sensor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detecting an object smaller in size than the object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and
It is installed o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ed measurement unit,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first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respectively, and the speed measurement unit, the first detection sensor, and the a control unit that operate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us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a second detection sensor; Includes,
The second detection sensor includes a fron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one side and a rear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other side spac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one side,
The control unit classifies and determines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ront sensor and the time when the electric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ar sensor, and the time difference is 0.2 to 3 seconds. Safe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is judged to be a bicycle if the time difference exceeds 3 seconds, the object is judged to be a person if the time difference is less than 0.2 seconds, and the object is judged to be a vehicle. Support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 측정부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 신호로부터 상기 객체가 접근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표시부에 상기 객체의 접근을 표시하는 불빛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In claim 1,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control unit in one of the pair of body parts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pproaching from the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ed measurement unit, it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 part i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the control unit in the other unit emits a light indicating the approach of the object i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라고 판단하면 상기 정보 표시부에서 발광하는 상기 불빛을 소정의 속도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In claim 2,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wherein when the control unit located in the other of the pair of body parts determines that the speed of the object is below a preset spe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blinks at a predetermined spe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정보 표시부에서 발광하는 상기 불빛을 상기 소정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In claim 3,
When the control unit located in the other of the pair of body parts determines that the speed of the object exceeds a preset spe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blinks at a faster rate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Safe driving support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제1 감지 센서의 하측에 설치되고, 접근하는 상기 객체를 향해 상기 속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객체의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In claim 1,
Safe driving, comprising a speed display unit installed below the first detection sensor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displaying the speed of the object measured by the speed measurement unit toward the approaching object. Suppor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를 자전거로 판단하면,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표시부에 '반대편 접근중'이라는 형상의 불빛을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In claim 1,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bicycle,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unit displays a message in the shape of 'approaching the other side'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by flashing ligh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를 차량으로 판단하면,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표시부에 '반대편 차량 접근중'이라는 형상의 불빛을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In claim 1,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vehicle,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unit displays an image of 'opposite vehicle approaching'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by flashing ligh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를 자전거 또는 차량으로 판단하면,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에 있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표시부를 조작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In claim 1,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bicycle or a vehicle,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unit operate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o generate a warning sound.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b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 각각에서 상기 속도 측정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 센서에서 상기 객체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 대형차 접근을 표시하는 대형차 접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In claim 1,
Safet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installed below the speed measuring unit in each of the pair of body parts and displaying the approach of the large vehicle by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object. Driving assistance system.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대형차 접근 표시부는,
상기 제1 감지 센서가 상기 객체를 1개 감지하면 불빛을 소정 속도로 점멸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감지 센서가 상기 객체를 2개 이상 연속으로 감지하면 상기 소정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상기 불빛을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In claim 12,
The large vehicle approach indicator,
When the first detection sensor detects one of the objects, the light is displayed by blinking at a predetermined speed,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rst detection sensor detects two or more objects in succession, the light flashes at a faster rate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대형차 접근 표시부는 대형차 접근을 표시할 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In claim 13,
A safe driving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arg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generates a warning sound when indicating the approach of a larg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 측정부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 신호로부터 상기 객체가 접근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정보 표시부에 상기 객체의 접근을 불빛으로 표시하고, 상기 정보 표시부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In claim 1,
Safe driving support, wherein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pproaching based on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ed measuring unit,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approach of the object with light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and generates a warning sound from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system.
KR1020230059340A 2023-05-08 2023-05-08 Safe driving support system KR1026627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340A KR102662709B1 (en) 2023-05-08 2023-05-08 Safe driving suppor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340A KR102662709B1 (en) 2023-05-08 2023-05-08 Safe driving suppor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709B1 true KR102662709B1 (en) 2024-04-30

Family

ID=9088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340A KR102662709B1 (en) 2023-05-08 2023-05-08 Safe driving suppor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70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879A (en) * 2003-02-21 2004-09-09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Variable road condition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variable road condition information board
KR101293555B1 (en) 2010-12-22 2013-08-16 한국광기술원 Guida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40154A (en) * 2018-10-08 2020-04-17 주식회사 만도 Large vehicle approach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82257B1 (en) * 2019-08-08 2020-11-24 주식회사 이테크놀리지 Vehicle traffic guidance system to prevent safety accident on curved road
KR20210156448A (en) * 2020-06-18 2021-12-2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JP2022095079A (en) * 2020-12-16 2022-06-28 日立Astemo株式会社 Object identification device, and object identific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879A (en) * 2003-02-21 2004-09-09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Variable road condition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variable road condition information board
KR101293555B1 (en) 2010-12-22 2013-08-16 한국광기술원 Guida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40154A (en) * 2018-10-08 2020-04-17 주식회사 만도 Large vehicle approach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82257B1 (en) * 2019-08-08 2020-11-24 주식회사 이테크놀리지 Vehicle traffic guidance system to prevent safety accident on curved road
KR20210156448A (en) * 2020-06-18 2021-12-2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JP2022095079A (en) * 2020-12-16 2022-06-28 日立Astemo株式会社 Object identification device, and object identific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11075A1 (en) Motorcycle and helmet providing advance driver assistance
KR20150139713A (en) Traffic accident notifying system using LED lamp
US20180222387A1 (en) Blind Zone Monitoring Method, License Plate Frame Device with Blind Zone Monitoring Function and Rearview Mirror
CN202463677U (en) Side anti-collision alarm device based on right turning of automobile
KR101889957B1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alarm device
KR101256041B1 (en) Road safety system at the pedestrian crossing of school zone
JP2009531766A (en) Warning device and method
KR20140046953A (en) Device and method for warning collision
KR20160129206A (en) Contraflow sensing and alarm system
KR20160134016A (en) A system for alaming danger signal a blind area
CN107199965A (en) The car plate rack device and blind area monitoring method monitored with blind area
KR100751774B1 (en) Safety traffic light for intersection
JP3499817B2 (en) Right turn driving support device
KR102138492B1 (en) sign device of road defensive driving
WO2013155583A1 (en) System for informing about and classing types of vehicle movement of approaching vehicles
JP3868193B2 (en) Road accident mirror combined use head accident prevention device
CN202923481U (en) Inside and outside synchronous warning device for vehicle steering
KR20190057870A (en) Road accident prevention system using VMS
KR102662709B1 (en) Safe driving support system
JP2008127979A (en) Traffic safety indicator and traffic safety display system using the traffic safety indicator
KR200428629Y1 (en) Alarm system to notify driving speed of car for preventing from traffic accident
CN108382309A (en) A kind of automobile rear view mirror blind zone monitoring system
KR101492013B1 (en) Real time circumstance sign for t type load
KR101953754B1 (en) Safety system for vehicle side
KR20160021944A (en) Lane departure warnig apprature and method with sensor for automab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