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700B1 -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 Google Patents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700B1
KR102662700B1 KR1020180172240A KR20180172240A KR102662700B1 KR 102662700 B1 KR102662700 B1 KR 102662700B1 KR 1020180172240 A KR1020180172240 A KR 1020180172240A KR 20180172240 A KR20180172240 A KR 20180172240A KR 102662700 B1 KR102662700 B1 KR 102662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ocker
filter
wing
shap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3755A (ko
Inventor
공종호
이동희
신현섭
이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8017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7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 설치되어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를 탈착시키기 위한,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는
제1날개형 요홈이 측벽에 형성되고 입구가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부 및 상기 제1날개형 요홈 밑으로 결합공이 형성되는 프레임;
일단에 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이탈방지용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날개형 요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커;
상기 제1날개형 요홈으로부터 상기 로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뒤쪽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니쁠결합공이 형성되는 커넥터;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용되고 상기 로커에 결합되는 제2날개형 요홈이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니쁠결합공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니쁠이 상면에 형성되는 하우징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a mounting device for purifing filter}
본 명세서는 정수필터 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 설치되어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기의 정수필터를 탈착시키기 위한,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언더싱크형 정수기는 주방의 싱크대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부에 외부적으로 은폐되면서 수도전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을 복수개의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하여 소위, 파우셋(faucet) 이라 칭해지는 음료급수밸브를 통해 급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언더싱크형 정수기가 설치되는 싱크대 내부의 수납공간부에는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건축물의 주 배수관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호스가 배치되고, 또한 수납공간부에 여러종류의 물품이 수납된다.
이로 인해, 정수기의 정수필터를 교체시킬 경우 협소한 수납공간부에서 교체작업이 힘들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한편, 데스크탑형 정수기는 주방의 싱크대 내부의 수납공간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과, 싱크대 상부에서 정수기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와 반면에, 데스크탑형 정수기 또한 정수기의 정수필터를 교체시 공간확보가 요구되는 불편한 점과, 정수기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정수기에 연결되는 급수호스 및 배수호스의 처리에도 불편함을 갖게 된다.
한편, 전술한 언더싱크형 정수기, 또는 데스크탑형 정수기의 정수필터를 교체할 경우, 정수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이 정수필터를 교체하는 작업이 힘들어 정수기 전문 기술자(일명, "정수기 코디네이터" 라 칭함)에게 정수필터 교체를 의뢰할 경우, 정수필터 교체가 곧바로 이루어지지않아 기다려야되는 불편함과, 정수기 전문 기술자 방문에 따른 출장비용을 사용자가 부담해야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84363호에 언더싱크형 정수기의 필터 수납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정수기의 정수필터를 로커 회전에 의해 로킹 또는 언로킹시킴에 따라 정수필터의 로킹구조물이 불필요한,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정수필터를 교체시킬 경우 정수기에 정수필터를 회동시키는 동작이 불필요하여 정수기 주변에 배치된 기존 물품에 구애받지 않고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한,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일반 사용자들이 정수기에 정수필터를 원터치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한,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날개형 요홈이 측벽에 관통형성되고 입구가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부 및 상기 제1날개형 요홈 밑으로 결합공이 형성되는 프레임;
일단에 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이탈방지용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날개형 요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커;
상기 제1날개형 요홈으로부터 상기 로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뒤쪽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니쁠결합공이 형성되는 커넥터;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용되고 상기 로커에 결합되는 제2날개형 요홈이 관통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니쁠결합공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니쁠이 상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정수기에 정수필터를 로커 회전에 의해 로킹 또는 언로킹시킴에 따라 정수필터의 로킹구조물이 불필요하여 원가비용을 절감하고, 정수기를 조립하는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를 교체시킬 경우 정수필터를 회동시키는 동작이 불필요하여 정수기 주변에 배치된 기존물품에 구애받지않고 교체시킴에 따라 싱크대 주변의 한정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이 정수기에 정수필터를 원터치방식에 의해 쉽게 교체시킬 수 있어 정수기 전문 기술자에게 정수필터 교체를 의뢰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착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탈착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4(a,b,c,d)는 도 1에 도시된 탈착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탈착장치의 변형예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탈착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는
제1날개형 요홈(10)이 측벽(11)에 관통형성되고 입구가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부(12) 및 제1날개형 요홈(10) 밑으로 결합공(13)이 복수개 형성되는 프레임(14);
일단에 파지부(15)가 형성되고 타단에 이탈방지용 플랜지(16)가 형성되며, 제1날개형 요홈(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커(17);
제1날개형 요홈(10)으로부터 로커(1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레임(14)의 뒤쪽에 형성되고, 결합공(13)에 대응되는 니쁠결합공(18)이 형성되는 커넥터(19);
수납공간부(12)에 수용되고 로커(17)에 결합되는 제2날개형 요홈(20)이 내부에 관통형성되는 헤드(21)와, 니쁠결합공(18)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니쁠(22)이 상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캡(23);을 구비하고,
로커(17)에 헤드(21)의 제2날개형 요홈(20)을 결합시킨 후, 로커(17) 회전방향(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을 말함)에 따라 하우징 캡(23)에 탈착되는 필터하우징(24a)(수돗물 등의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질 등을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범용 정수필터(일 예로서, 세디먼트필터 등을 말함)가 사용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정수필터(24)를 프레임(14)에 로킹 또는 언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로커(17)의 이탈방지용 플랜지(16)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1,2걸림턱(34,35);
측벽(11)의 배면 임의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제1,2걸림턱(34,35)이 선택적으로 걸리는 핀 형태의 스토퍼(36);를 더 구비하여,
로커(17)에 결합되는 헤드(21)를 수납공간부(12)에 수용하여 로커(17)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1걸림턱(34)이 스토퍼(36)에 걸릴 경우(이때, 로커(17)의 파지부(15)는 수평 방향을 유지함) 정수필터(24)를 프레임(14)에 로킹(locking)시키고,
로커(17)에 결합되는 헤드(21)를 수납공간부(12)에 수용하여 로커(17)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2걸림턱(35)이 스토퍼(36)에 걸릴 경우(이때, 로커(17)의 파지부(15)는 수직 방향을 유지함) 정수필터(24)를 프레임(14)에 언로킹(unlocking)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이탈방지용 플랜지(16)에 인접하게 로커(17)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엣지부(37);
엣지부(37)에 대응되게 제2날개형 요홈(20) 내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경사면(미 도시됨);을 더 구비하여,
프레임(14)으로부터 정수필터(24)를 분리하기 위해 로커(17)를 회전시킬 경우 엣지부(37)가 경사면에 밀착되어 헤드(21)를 수납공간부(12)의 개방된 입구측으로 밀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로커(17)는
파지부(15)에 인접하게 돌출형성되고, 로커(17)에 제2날개형 요홈(20)이 결합되는 헤드(21)가 로커(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의한 이탈방지턱(3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납공간부(12)에 헤드(21) 수용이 용이하도록 수납공간부(12) 입구측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12a);
수납공간부(12) 안쪽으로 제1가이드부(12a) 끝단에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수납공간부(12)에 수용되는 헤드(21)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정수필터(24) 흔드림을 방지하기 위한 제2가이드부(12b);를 더 구비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커 회전에 의해 정수필터가 체결되는 정수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프레임(14)의 측벽(11) 상부에 관통형성된 제1날개형 요홈(10)에 로커(17)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되, 로커(17)의 파지부(15)를 제1날개형 요홈(10)을 관통시켜 입구가 개방된 수납공간부(12)쪽으로 밀어넣는다(즉, 로커(17)는 프레임(14)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제1날개형 요홈(10)에 밀어넣어 결합시킨다).
이때, 로커(17)의 일단에 형성된 이탈방지용 플랜지(16) 상면이 측벽(11) 이면에 밀착되므로 로커(17)가 수납공간부(12)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즉, 이탈방지용 플랜지(16)의 외경이 제1날개형 요홈(1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이탈방지용 플랜지(16)의 바닥면이 프레임(14)에 후방에 형성된 커넥터(19)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로커(17)가 제1날개형 요홈(10)으로부터 프레임(14) 후방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날개형 요홈(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로커(17)의 일단에 형성된 파지부(15)가 수직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되, 하우징캡(23)의 헤드(21)를 수납공간부(12)에 수평상태로 밀어넣는다.
이때, 하우징캡(23)에 형성된 니쁠(22)이 커넥터(19)에 형성된 니쁠결합공(18)에 결합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니쁠결합공(18)에 연결(fitting)되는 호스(미 도시됨)를 통해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필터(24)에 유입하거나 또는 정수필터(24)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배수코크(미 도시됨)로 이동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헤드(21) 내부에 형성된 제2날개형 요홈(20)에 로커(17)가 결합되고, 헤드(21)는 수납공간부(12)에 수용된다.
이때, 로커(17)의 이탈방지용 플랜지(16)에 형성된 제2걸림턱(35)이 측벽(11) 배면에 형성된 스토퍼(36)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로커(17)에 형성된 파지부(15)가 수직방향을 유지하게 되므로 헤드(21)의 제2날개형 요홈(20)에 결합된 로커(17)는 언로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로커(17)의 파지부(15)를 파지하여 로커(17)를 시계 방향으로 약 90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헤드(21)를 프레임(14)에 로킹시킬 수 있게 된다(즉, 수납공간부(12)에 수용된 헤드(2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헤드(21) 내부의 제2날개형 요홈(20)에 결합된 로커(17)를 회전시킴에 따라 헤드(21)를 프레임(14)에 로킹시킬 수 있다).
이때, 로커(17)의 이탈방지용 플랜지(16)에 형성된 제1걸림턱(34)이 측벽(11) 배면에 형성된 스토퍼(36)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로커(17)에 형성된 파지부(15)가 수평방향을 유지하게 되므로 헤드(21)의 제2날개형 요홈(20)에 결합된 로커(17)는 로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4)에 정수필터(24)를 결합하기 위해 정수필터(24)의 헤드(21)를 수납공간부(12)에 수용시킬 경우, 헤드(21)가 수납공간부(12) 입구측에 형성된 제1가이드부(12a)에 의해 1차 가이드된 후, 제1가이드부(12a) 끝단에 형성된 제2가이부(12b)에 의해 2차 가이드되어 수납공간부(12)에 수용된다.
즉, 헤드(21)가 수납공간부(12) 안쪽까지 삽입될 경우 제2가이드부(12b)에 의해 헤드(21) 외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프레임(14)에 결합된 정수필터(24)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파지부(15)에 인접하게 로커(17)에 형성된 이탈방지턱(38)에 의해 헤드(21)의 제2날개형 요홈(20) 입구측을 지지하게 되므로 헤드(21)가 정수필터(24)의 중량 및 내부의 수압 등으로 인해 로커(1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캡(23)에 필터하우징(24a)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킴에 따라 정수필터(24)에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정수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하우징캡(23)에 결합된 필터하우징(24a)을 교체하거나 점검하기 위해 정수기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하우징캡(23)의 헤드(21)를 로커(17)에 결합시킨 후, 로커(17)의 회전에 의해 헤드(21)를 프레임(14)에 로킹시키는 순서와 역순에 의해 이루어지므로(즉, 로커(17)로부터 헤드(21)를 분리시키는 동작이 도 4d → 도 4c → 도 4b 순서에 의해 이루어짐)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커넥터(19)의 니쁠결합공(18)에 연결(fitting)된 호스(미 도시됨)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가 니쁠결합공(18) - 하우징캡(23)의 니쁠(22)를 통과하여 정수필터(24)에 유입됨에 따라 원수를 정수치리하는 정수시스템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는
전술한 프레임(14)의 측벽(11)에 제1,2,3날개형 요홈(39,40,41)이 관통형성되고 입구가 개방되는 제1,2,3수납공간부(25,26,27)와, 제1,2,3날개형 요홈(39,40,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커(17)와, 제1,2,3날개형 요홈(39,40,41)에 결합된 로커(17)에 헤드(21)가 결합되어 제1,2,3수납공간부(25,26,27)에 수용되는 제1,2,3하우징 캡(28,29,30)에 탈착되는 제1,2,3필터하우징(31a,32a,33a)을 포함하는 제1,2,3정수필터(31,32,33) 중,
제1정수필터(31)는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전처리 정수필터이고,
제2정수필터(32)는 제1정수필터(31)로부터 유입되는 전처리수 중에 포함되는 중금속을 여과하기 위한 RO필터, UF필터 및 양전하필터 중 어느 하나이며,
제3정수필터(33)는 제2정수필터(32)를 통과하는 정수 맛을 개선하거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정수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술한 프레임(14)에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제1,2,3수납공간부(25,26,27)와, 제1,2,3수납공간부(25,26,27)에 헤드(21)가 수용되는 제1,2,3하우징 캡(28,29,30)에 탈착되는 제1,2,3필터하우징(31a,32a,33a)을 포함하는 제1,2,3정수필터(31,32,33)를 제외한 정수필터 탈착장치의 구성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날개형 요홈
11; 측벽
12; 수납공간부
13; 결합공
14; 프레임
15; 파지부
16; 이탈방지용 플랜지
17; 로커
18; 니쁠결합공
19; 커넥터
20; 제2날개형 요홈
21; 헤드
22; 니쁠
23; 하우징캡
24; 정수필터
25; 제1수납공간부
26; 제2수납공간부
27; 제3수납공간부
28; 제1하우징캡
29; 제2하우징캡
30; 제3하우징캡
31; 제1정수필터
32; 제2정수필터
33; 제3정수필터
34; 제1걸림턱
35; 제2걸림턱
36; 스토퍼
37; 엣지부
38; 이탈방지턱

Claims (6)

  1. 제1날개형 요홈이 측벽에 관통형성되고 입구가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부 및 상기 제1날개형 요홈 밑으로 결합공이 형성되는 프레임;
    일단에 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이탈방지용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날개형 요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커;
    상기 제1날개형 요홈으로부터 상기 로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뒤쪽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니쁠결합공이 형성되는 커넥터;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용되고 상기 로커에 결합되는 제2날개형 요홈이 관통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니쁠결합공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니쁠이 상면에 형성되는 하우징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의 이탈방지용 플랜지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1,2걸림턱;
    상기 측벽의 배면 임의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2걸림턱이 선택적으로 걸리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여,
    상기 로커에 결합되는 상기 헤드를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용하여 상기 로커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걸림턱이 상기 스토퍼에 걸릴 경우 상기 정수필터를 상기 프레임에 로킹시키고,
    상기 로커에 결합되는 상기 헤드를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용하여 상기 로커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2걸림턱이 상기 스토퍼에 걸릴 경우 상기 정수필터를 상기 프레임에 언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용 플랜지에 인접하게 상기 로커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엣지부;
    상기 엣지부에 대응되게 상기 제2날개형 요홈 내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정수필터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로커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엣지부가 상기 경사면에 밀착되어 상기 헤드를 상기 수납공간부의 입구측으로 밀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파지부에 인접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로커에 상기 제2날개형 요홈이 결합되는 상기 헤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의한 이탈방지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에 상기 헤드 수용이 용이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 입구측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
    상기 수납공간부 안쪽으로 상기 제1가이드부 끝단에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용되는 상기 헤드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2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제1,2,3수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2,3수납공간부에 상기 헤드가 수용되는 제1,2,3하우징캡에 탈착되는 제1,2,3필터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2,3정수필터 중,
    상기 제1정수필터는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전처리 정수필터이고,
    상기 제2정수필터는 유입되는 전처리수 중에 포함되는 중금속을 여과하기 위한 RO필터, UF필터 및 양전하필터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3정수필터는 상기 제2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 맛을 개선하거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정수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KR1020180172240A 2018-12-28 2018-12-28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KR102662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240A KR102662700B1 (ko) 2018-12-28 2018-12-28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240A KR102662700B1 (ko) 2018-12-28 2018-12-28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755A KR20200083755A (ko) 2020-07-09
KR102662700B1 true KR102662700B1 (ko) 2024-05-03

Family

ID=7160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240A KR102662700B1 (ko) 2018-12-28 2018-12-28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0626B (zh) * 2021-10-19 2023-01-31 佛山市顺德区阿波罗环保器材有限公司 净水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877B1 (ko) 2015-03-31 2018-02-0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조립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228A (ko) * 2008-07-03 2010-01-13 주식회사 피코그램 손잡이가 형성된 정수용 필터 조립체
KR102520774B1 (ko) * 2015-12-30 2023-04-12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필터 조립체
KR102533256B1 (ko) * 2017-06-12 2023-05-16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장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877B1 (ko) 2015-03-31 2018-02-0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조립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755A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7917B (zh) 水净化过滤组件
KR20080079937A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KR101416048B1 (ko) 회전식 필터 커넥터
KR102633170B1 (ko) 유로를 최적화시킨 정수기용 정수필터
KR101177929B1 (ko) 휴대용 정수기
KR101076047B1 (ko) 정수기용 파우셋
KR102662700B1 (ko) 로커 회전에 의해 탈착되는 정수필터 탈착장치
JP2006525870A (ja) 水処理装置及び該装置用カートリッジ
KR200467519Y1 (ko)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200490277Y1 (ko) 정수필터와 호수 꼬임방지구조를 가지는 샤워 어셈블리
KR20200083754A (ko) 정수필터가 스윙식으로 수납되는 정수기
KR101433533B1 (ko) 휴대용 정수기
KR20100004228A (ko) 손잡이가 형성된 정수용 필터 조립체
KR101935595B1 (ko) 다단 정수 필터
CN207463001U (zh) 一种双向止水卡扣过滤装置
KR100888647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US11745126B2 (en) Point-of-use solids interceptor
BR102021003577A2 (pt) Fixação de filtro
CN211004628U (zh) 一种新型台上式净水器
KR20120004703U (ko) 녹물 제거 필터의 카트리지 구조
KR20200061530A (ko) 정수기용 복합형 정수필터
KR102557680B1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KR0137538Y1 (ko) 정수기
JP2004305796A (ja) 浄水器
KR102011810B1 (ko)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