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588B1 - Speaker module capable of tun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 Google Patents

Speaker module capable of tun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588B1
KR102662588B1 KR1020220181494A KR20220181494A KR102662588B1 KR 102662588 B1 KR102662588 B1 KR 102662588B1 KR 1020220181494 A KR1020220181494 A KR 1020220181494A KR 20220181494 A KR20220181494 A KR 20220181494A KR 102662588 B1 KR102662588 B1 KR 102662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peaker module
path
communicates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기상
박민구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1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5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5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3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84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the enclosure structure, i.e. strengthening or shape of the enclosure
    • H04R1/2888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the enclosure structure, i.e. strengthening or shape of the enclosur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04R29/002Loudspeaker ar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피커 모듈은 드라이버가 장착된 상부의 제1공간, 드라이버가 장착된 곳의 반대편에 제1공간과 대향하여 형성된 제3공간 및 상기 제1공간과 제3공간 사이에 장착되며 제1공간과의 경계 또는 제3공간과의 경계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 조절 부재를 장착한 튜닝 구조가 제공하는 제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간은 제1공간 및 제3공간과 동시에 연통하여, 이상 진동의 발생을 제거하고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다.The speak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between a first space at the top where the driver is mounted, a third space formed opposite to the first space on the opposite side of where the driver is mounted, and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third space, and the first space is It includes a second space provided by a tuning structure equipped with at least one ventilation control member at the boundary with the third space or the boundary with the third space, and the second spac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third space simultaneously, The occurrence of vibration can be eliminated and frequency tuning is possible.

Description

주파수 특성 튜닝 가능한 스피커 모듈{Speaker module capable of tuning frequency characteristics}Speaker module capable of tun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이상 진동 제어 및 주파수 응답 특성 튜닝이 가능한 스피커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module capable of controlling abnormal vibration and tuning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마이크로스피커 관련 주파수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많은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미국공개특허 US2019/0082252호는 진동판을 포함한 드라이버의 외측에 음배출구와 가장 거리가 먼 곳에 제1챔버를 두고, 음배출구는 반대편의 공간에 드라이버의 측면에 배치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9362호는 스피커의 방출음과 직접 연통하는 외부에 주파수 제어를 위한 댐핑챔버를 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Many techniques are known for controlling microspeaker-related frequency characteristics. U.S. Patent Publication No. US2019/008225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chamber is placed at the farthest distance from the sound outlet outside the driver including the diaphragm, and the sound outlet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driver in the opposite spac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6936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damping chamber for frequency control is placed on the outside that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sound emitted from the speaker.

그런데, 이상의 마이크로스피커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일체화되는 평판형의 스피커 모듈에 있어 이상 진동을 제어하고 주파수 응답 특성을 제어할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However, the above microspeaker is worn on the user's ear, and recently, the need to control abnormal vibration and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in flat speaker modules integrated in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has been greatly emphasized.

이하 기술하는 도 7의 배경 기술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출원인의 실시 기술을 예로 든 것이며, 공지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FIG. 7 described below is an example of the applicant's implementation technology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known technology.

도 7의 스피커 모듈은 평판형의 스피커 모듈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사각형의 얇은 프레임(1')의 내부 한쪽에 진동판, 마그넷이 위치하는 드라이버(D')를 배치하고 나머지 공간은 주파수 조절을 위하여 남겨 둔 공간(10')이며 드라이버(D')가 배치된 측면(12'; 진동 방향과 수직인 측면)으로 음이 방출되도록 하고 있다. 공간(10')에는 벤트홀(14')을 천공하여 주파수를 조절한다. 그런데 이 경우 2체배 주파수(2f0)에서 피크치가 발생하여 이상 진동이 발생하고 주파수 응답 특성이 열화한 단점이 있다.The speaker module in Figure 7 shows an example of a flat speaker module. The driver (D'), where the diaphragm and magnet are located,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a rectangular thin frame (1'), and the remaining space is used for frequency adjustment. This is the space (10') left for this purpose, and the sound is emitted through the side (12' (sid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vibration) where the driver (D') is placed. The frequency is adjusted by drilling a vent hole 14' in the space 10'.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peak value occurs at the double frequency (2f0), abnormal vibration occurs, and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deteriorate.

본 발명은 이상의 선행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저역주파수 및 2체배 주파수에서의 이상 진동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주파수 특성의 튜닝이 가능한 스피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aker module that prevents abnormal vibrations at low frequencies and double frequencies and enables efficient tuning of frequency characteristic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피커 모듈로서, 상기 스피커 모듈은 드라이버가 장착된 상부의 제1공간, 드라이버가 장착된 곳의 반대편에 제1공간과 대향하여 형성된 제3공간 및 상기 제1공간과 제3공간 사이에 장착되며 제1공간과의 경계 또는 제3공간과의 경계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 조절 부재를 장착한 튜닝 구조가 제공하는 제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간은 제1공간 및 제3공간과 동시에 연통하여, 이상 진동의 발생을 제거하고 주파수 튜닝을 가능하도록 한, 스피커 모듈을 제공한다.
더욱, 본 발명은 제3공간은 드라이브 장착 공간과 차단되어 드라이브 장착공간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고, 스피커모듈은 측면 방사형으로서 제1공간의 일부가 음방출구와 연통하며, 제2공간과 제3공간은 음방출구와 연통되지 않고 차단되며, 제2공간은 제1공간과 연통하는 쪽의 작은 공간과 제3공간과 연통하는 쪽의 큰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스피커 모듈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aker module, wherein the speaker module includes a first space at the top where the driver is mounted, a third space formed opposite the first space on the other side of where the driver is mounted, and the first space. It is mounted between the space and the third space and includes a second space provided by a tuning structure equipped with at least one ventilation control member at the boundary with the first space or the boundary with the third space, and the second space is A speaker module is provided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third space simultaneously, eliminating the occurrence of abnormal vibration and enabling frequency tuning.
Moreo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pace is blocked from the drive mounting space a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ive mounting space, the speaker module is radial on the side, a part of the first space communicates with the sound discharge outlet, and the second space and the third space ar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ive mounting space. A speaker module is provided that is blocked without communicating with the sound discharge outlet, and the second space consists of a small space on the side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pace and a large space on the side that communicates with the third space.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의 경계에 설치되는 통기 조절 부재는 메쉬이며, 제2공간의 입구 또는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통시키는 경로에 설치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control member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is a mesh, and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second space or a path connec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상기 제2공간과 상기 제3공간의 경계에 설치되는 통기 조절 부재는 위의 메쉬보다 통기량이 적은 메쉬 또는 멤브레인일 수 있다.The ventilation control member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space and the third space may be a mesh or membrane with a lower ventilation amount than the above mesh.

상기 제1공간에는 튜닝 구조와 연통하도록 제1경로가 제공되며, 상기 제1경로는 제1공간에서 연장되는 채널이며, 제1공간의 공기는 제1경로를 통하여 제2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A first path is provided in the first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tuning structure, the first path is a channel extending from the first space, and air in the first space can flow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first path. .

상기 튜닝 구조는 제2경로를 더 포함하며, 제2경로는 제2공간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빈 채널이고, 제2공간의 공기는 제2경로를 통하여 제3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tuning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second path, where the second path is an empty channe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pace, and air in the second space can flow into the third space through the second path.

제3공간의 하면에는 덕트홀이 형성되며, 덕트홀은 제2경로의 하단과 연통될 수 있다.A duct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hird space, and the duct hole may communicate with the bottom of the second path.

상기 제3공간의 체적이 가장 크며, 제2공간의 체적이 가장 작을 수 있다.The third space may have the largest volume, and the second space may have the smallest volume.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above speaker module.

본 발명에 의하면 측면 방사형의 평판형 스피커 모듈에 있어 특정 주파수에서 높은 피크치가 발생하여 이상 진동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bnormal vibration from occurring due to a high peak value occurring at a specific frequency in a side radiating flat speaker module.

본 발명에 의하면 중간의 알파공간의 크기와 공기 유동 경로 또는 메쉬나 멤브레인을 개선 또는 변경하여 주파수 튜닝을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equency tuning can be optimally performed by improving or changing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alpha space and the air flow path or mesh or membrane.

도 1은 본 발명의 스피커 모듈을 외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피커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피커 모듈에서 상부를 제거하고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A1, A2를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공간을 확대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현재 실시 기술을 대비한 주파수-음압 그래프이다.
도 7은 현재 기술 수준을 보이는 스피커 모듈의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peak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the outside.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speaker module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speak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upper part remove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cut in the height direction based on A1 and A2.
Figure 5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ac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equency-sound pressure graph compar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urrent implementation technology.
Figure 7 is a diagram of a speaker module showing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본 발명의 특징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나 음향기기에 일체화되는 스피커 모듈(1)에 있어 주파수 대역 튜닝 구조를 구현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예를 제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mplementing a frequency band tuning structure in the speaker module 1 that is integrated in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or audio device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vide examples to support this.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스피커 모듈(1)을 외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peaker modu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the outside.

스피커 모듈(1)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얇은 평판형의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피커 모듈(1)의 내부 한쪽에는 진동판, 마그넷, 요크등으로 이루어지는 드라이버(D)가 배치된다. 드라이버(D)의 진동음은 그 측면에 바로 위치한 음배출구(20)를 통하여 배출된다. The speaker module 1 has a thin, flat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A driver (D) consisting of a diaphragm, magnet, yoke, etc.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terior of the speaker module (1). The vibration sound of the driver (D) is discharged through the sound outlet (20) located right on the side.

드라이버(D)의 왼쪽으로 스피커 모듈(1)의 길이 방향 중간 부근에는 위에서 보아 대략 사각 형상의 튜닝 구조(2)가 배치된다. 튜닝 구조(2)의 왼쪽 그리고 드라이버(D)와 차단된 채로 인접한 공간은, 스피커 모듈(1)의 거의 1/4 ~ 1/3의 면적을 차지하는 “후방공간” 또는 “제3공간(S3)”을 형성한다. 드라이버(D)의 위쪽인 상부, 구체적으로 주로 진동판의 상부 공간은 “전방공간” 또는 “제1공간(S1)”을 형성한다. 튜닝 구조(2)가 이루는 공간은 “튜닝 공간” 또는 “제2공간(S2)”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이상 진동을 해소하고, 주파수를 최적으로 튜닝한다. 특히 2f0부근에서 갑자기 피크치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o the left of the driver D, near the middle of the speaker module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uning structure 2 having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is disposed when viewed from above. The space to the left of the tuning structure (2) and adjacent to and blocked from the driver (D) is the “rear space” or “third space (S3), which occupies approximately 1/4 to 1/3 of the area of the speaker module (1). ” forms. The upper part above the driver (D), specifically the upper space of the diaphragm, forms the “front space” or “first space (S1).” The space formed by the tuning structure (2) forms the “tuning space” or “second space (S2).”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space is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o eliminate abnormal vibration and optimally tune the frequency. In particular, the effect of reducing the sudden occurrence of peak values around 2f0 can be expected.

튜닝 구조(2)는 스피커 모듈(1)의 폭 방향에서 보면 중앙 위치가 아니라 다소 음방출구(20)쪽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데 이는 결국 최종 방출음의 주파수 튜닝 효율성을 고려한 것이다.When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of the speaker module 1, the tuning structure 2 is not placed in the center position, but rather in a position somewhat biased toward the sound emission outlet 20, which ultimately takes into account the frequency tuning efficiency of the final emitted sound.

도 2는 도 1의 스피커 모듈(1)의 저면도이다. 드라이버(D)는 두 개의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다. 드라이버(D)에 비교적 인접하여 제3공간(S3)의 하면에는 덕트홀(40)이 형성된다. FIG. 2 is a bottom view of the speaker module 1 of FIG. 1. The driver (D) is connected to two wires. A duct hole 4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space S3 relatively adjacent to the driver D.

도 3은 본 발명의 스피커 모듈(1)에서 상부를 제거하고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도 3을 A1, A2를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speaker modu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upper part removed, an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cut in the height direction based on A1 and A2.

두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드라이버(D)는 스피커 모듈(1)의 일측에 배치된다. 드라이버(D)는 마그넷, 요크, 플레이트, 코일등을 포함하며, 드라이버(D)의 상부에는 진동판과 엣지, 서스펜션등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드라이버(D)의 상면, 즉 적어도 진동판의 상부와 스피커 모듈(1)의 내부 사이에, 폭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대적으로 높이가 작은 전방공간, 즉 제1공간(S1)이 형성되는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 구조를 제공하는 한 드라이버(D)의 구성, 크기와 형상은 어느 것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two drawings together, the driver (D)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speaker module (1). The driver (D) includes a magnet, yoke, plate, coil, etc., and a diaphragm, edge, and suspension are mounted on the top of the driver (D). In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r D, that is, at least the upper part of the diaphragm, and the inside of the speaker module 1, there is a front space, that is, a first space S1, that extends long in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and has a relatively small height. It is characterized by its formation, and any configuration, size and shape of the driver 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long as this structure is provided.

제1공간(S1)에는 튜닝 구조(2)와 연통하도록 제1경로(10)가 제공된다. 제1경로(10)는 제1공간(S1)의 측단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빈 원기둥 형상의 채널이다. 제1경로(10)는 하나 형성되어, 제1공간(S1)은 제1경로(10)만을 통하여 제2공간(S2)과 연통한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제1경로(10)를 두는 것도 가능하다. 제1경로(10)의 단면적과 길이는 주파수 튜닝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A first path 10 is provided in the first space S1 to communicate with the tuning structure 2. The first path 10 is a hollow cylindrical channel extending upward from the side end of the first space S1. One first path 10 is formed, and the first space S1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pace S2 only through the first path 1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plurality of first paths 10. The cross-sectional area and length of the first path 10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frequency tuning conditions.

제2공간(S2)은 튜닝 구조(2)의 내부의 공간이다. 제2공간(S2)은 제1경로(10)의 상단과 연통하는 입구(24)에서부터 제3공간(S3)과 연통하는 출구(26; 도 5 참조)까지에 걸쳐 형성된다. 입구(24)와 출구(26)는 제1공간(S1)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 개념이며 음이 일방향으로만 흐르는 것은 아니다. 입구(24)에는 통기성의 메쉬(22)가 장착된다. 하지만, 메쉬(22)의 장착은 이를 생략할 수 있다. 튜닝 구조(2)의 상부는 커버(202)에 의하여 차단된다. 커버(202)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해도 좋고, 이와 달리 스피커 모듈(1)의 내부면으로 대체해도 좋다. The second space S2 is a space inside the tuning structure 2. The second space S2 is formed from the inlet 24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th 10 to the outlet 26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space S3 (see FIG. 5). The inlet 24 and the outlet 26 are relative concepts based on the first space (S1), and sound does not flow in only one direction. A breathable mesh 22 is installed at the inlet 24. However, this can be omitted when installing the mesh 22. The top of the tuning structure 2 is blocked by a cover 202. The cover 202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part, or alternatively, it may be replac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peaker module 1.

메쉬(22)는 입구(24)에 설치하지 않고 제1경로(10)의 유입구 등 제1공간(S1)과 접하는 쪽에 설치해도 좋다. 즉 메쉬(22)와 같은 통기조절부재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의 경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공간과 공간의 경계”는 각각의 공간 뿐만 아니라 공간과 연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mesh 22 may not be installed at the inlet 24 but may be installed on a sid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pace S1, such as the inlet of the first path 10. In other words, a ventilation control member such as the mesh 22 can be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between space and space” refers to not only each space, but also space and space. It should be understood in a broad sense that includes communicating passages.

입구(24)에서 커버(202)까지의 높이와 공간 크기는 작은 협소공간(S21)을 형성하고, 이를 벗어난 영역의 높이와 공간은 더욱 크게 형성되어 광역공간(S22)을 이루며, 두 공간(S21, S22)이 합하여 제2공간(S2)을 형성한다. The height and space size from the entrance 24 to the cover 202 form a small narrow space (S21), and the height and space of the area beyond this are formed larger to form a wide space (S22), and the two spaces (S21 , S22) are combined to form the second space (S2).

출구(26)에는 멤브레인(28)을 장착한다. 멤브레인(28)은 나노멤브레인으로,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불투수성을 가진다. 따라서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멤브레인(28)은 상대적으로 메쉬(22)에 비하여 통기량이 적다. 멤브레인(28)은 측면 음방출 특성 상 음배출구(20) 반대편에 가해지는 공기 압력을 배출함으로써 이상 진동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A membrane 28 is installed at the outlet 26. The membrane 28 is a nanomembrane and has impermeability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but does not allow water to pass through. Therefore, a waterproof effect can be expected. The membrane 28 has relatively less ventilation than the mesh 22. The membrane 28 functions to alleviate abnormal vibration by discharging air pressure appli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ound outlet 20 due to the side sound emission characteristics.

나노멤브레인 대신 메쉬(22) 보다 촘촘한 규격의 메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stead of a nanomembran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esh with a tighter standard than the mesh 22.

본 발명의 튜닝 구조(2)는 출구(26)에 연통하여 제2경로(200)를 더 포함한다. 제2경로(200)는 제2공간(S2)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빈 원기둥 형상의 채널이다. 제2경로(200)는 하나 형성되어, 제2공간(S2)은 제2경로(200)만을 통하여 제3공간(S2)과 연통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제2경로(200)를 두는 것도 가능하다. 제2경로(200)의 단면적과 길이는 주파수 튜닝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The tuning structur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path 200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26. The second path 200 is a hollow cylindrical channe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space S2. One second path 200 is formed, and the second space S2 communicates with the third space S2 only through the second path 20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plurality of second paths 200. The cross-sectional area and length of the second path 200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frequency tuning conditions.

본 발명의 제3공간(S3)은 스피커 모듈(1)의 내부 공간 중 제1공간(S1)과 제2공간(S3)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이다. 제3공간(S3)의 하면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덕트홀(40)이 형성되며, 이 덕트홀(40)은 제2경로(200)의 하단과 연통되어 일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제3공간(S3)은 길이 방향을 따라 비교적 단면적이 균일한 평판 형상의 공간이지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third space (S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maining space excluding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3) among the internal spaces of the speaker module (1). A duct hole 40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space S3, and this duct hole 40 communicates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th 200, so that some of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third space S3 is a flat space with a relatively uniform cross-sectional are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본 발명에서는 제3공간(S3)의 체적이 가장 크고, 제2공간(S2)의 체적이 가장 작다. 이 배치는 제2공간(S2)의 특성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f the third space (S3) is the largest, and the volume of the second space (S2) is the smallest. This arrangement is advantageous in that it allows fine control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space (S2).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공간(S1, S2, S3)를 확대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공기의 흐름은 진동음의 방사 방향을 따라 표시하였지만, 공기는 제3공간(S3)에서 제2공간(S2)으로, 다시 제1공간(S1)으로 흐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드라이버(D)의 상부에 위치한 제1공간(S1)의 공기는 제1경로(10)를 통하여 제2공간(S2)과 연통하며, 제2공간(S2)의 공기는 제2경로(200)를 통하여 제3공간(S3)과 연통한다. 이들 공기의 통과 속도와 통과량은 메쉬(22)와 멤브레인(28)에 의하여 조절된다. 뿐만 아니라 제2공간(S2)의 전체 체적 또는 협소 공간과 광역 공간(S21, S22)의 비율을 조정하여 주파수를 튜닝할 수 있다. 이는 제1 또는 제3공간(S1, S3)을 변경하지 않고 제2공간(S2) 즉 튜닝 구조(2)를 바꾸어 주파수를 튜닝하여 음질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고 경제적이다. 제3공간(S3)의 공기는 덕트홀(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Figure 5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aces (S1, S2, and S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 is shown along the direction of radiation of the vibration sound,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ir can flow from the third space (S3) to the second space (S2) and back to the first space (S1). The air in the first space (S1) located at the top of the driver (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pace (S2) through the first path (10), and the air in the second space (S2)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pace (S2) through the second path (200). It communicates with the third space (S3) through . The passing speed and amount of these air are controlled by the mesh 22 and membrane 28. In addition, the frequency can be tuned by adjusting the total volume of the second space (S2) or the ratio of the narrow space and the wide space (S21, S22). This is convenient and economical in that the sound quality can be improved by tuning the frequency by changing the second space (S2), that is, the tuning structure (2), without changing the first or third space (S1, S3). Air in the third space S3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uct hole 40.

제2공간(S2)은 제1공간(S1)과도 연통하고 동시에 제3공간(S3)과도 연통하므로, 입구(24)를 포함한 부재 또는 출구(26)를 포함한 부재를 변경하여 제1공간(S1)과의 음향적 관계 또는 제3공간(S3)과의 음향적 관계를 독립하여 테스트하고 튜닝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하고 정확한 주파수 튜닝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second space (S2)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pace (S1) and at the same time with the third space (S3), the member including the inlet 24 or the member including the outlet 26 is changed to form the first space (S1). ) or the acoustic relationship with the third space (S3) can be tested and tuned independently, which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extensive and accurate frequency tuning data.

도 6은 본 발명의 스피커 모듈(1)과 도 7의 현재 수준 기술을 이용하여 실험한 주파수-음압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스피커 모듈(1)을 적용하면 2체배 주파수(2f0)에서의 피크 발생 현상을 제거 또는 완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상 진동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또 이를 토대로 튜닝 구조(2)와 제2공간(S2)을 변경하면서 최적의 음질을 보장하는 주파수 튜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Figure 6 is a frequency-sound pressure graph tested using the speaker modu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urrent level technology of Figure 7. By applying the speaker modu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enomenon of peak occurrence at the double frequency (2f0) can be removed or alleviated, and thus the abnormal vibration phenomenon can be solved. Also, based on this, frequency tuning work that ensures optimal sound quality can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tuning structure (2) and the second space (S2).

이상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배출구(20)는 스피커 모듈(1)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또는 진동판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ound outlet 20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speaker module 1 or in front of the diaphragm.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ame or equivalent area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Claims (8)

스피커 모듈로서, 상기 스피커 모듈은 드라이버가 장착된 상부의 제1공간, 드라이버가 장착된 곳의 반대편에 제1공간과 대향하여 형성된 제3공간 및 상기 제1공간과 제3공간 사이에 장착되며 제1공간과의 경계 또는 제3공간과의 경계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 조절 부재를 장착한 튜닝 구조가 제공하는 제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간은 제1공간 및 제3공간과 동시에 연통하여, 이상 진동의 발생을 제거하고 주파수 튜닝을 가능하도록 하고,
제3공간은 드라이브 장착 공간과 차단되어 드라이브 장착공간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고,
스피커모듈은 측면 방사형으로서 제1공간의 일부가 음방출구와 연통하며, 제2공간과 제3공간은 음방출구와 연통되지 않고 차단되며,
제2공간은 제1공간과 연통하는 쪽의 작은 공간(S21)과 제3공간과 연통하는 쪽의 큰 공간(S22)으로 이루어지는,
스피커 모듈.
As a speaker module, the speaker module is mounted between a first space at the top where the driver is mounted, a third space formed opposite to the first space on the other side of where the driver is mounted, and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third space. It includes a second space provided by a tuning structure equipped with at least one ventilation control member at the boundary with the first space or the boundary with the third space, and the second spac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third space simultaneously. , eliminates the occurrence of abnormal vibrations and enables frequency tuning,
The third space is blocked from the drive mounting space a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ive mounting space.
The speaker module is radial on the side, and part of the first space communicates with the sound discharge outlet, and the second and third spaces do not communicate with the sound discharge outlet and are blocked.
The second space consists of a small space (S21) on the side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pace and a large space (S22) on the side that communicates with the third space,
Speaker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의 경계에 설치되는 통기 조절 부재는 메쉬이며, 제2공간의 입구 또는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통시키는 경로에 설치된, 스피커 모듈.
According to clause 1,
The ventilation control member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is a mesh, and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second space or a path connec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 speaker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과 상기 제3공간의 경계에 설치되는 통기 조절 부재는 메쉬 또는 멤브레인인, 스피커 모듈.
According to clause 1,
The ventilation control member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space and the third space is a mesh or membra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에는 튜닝 구조와 연통하도록 제1경로가 제공되며, 상기 제1경로는 제1공간에서 연장되는 채널이며, 제1공간의 공기는 제1경로를 통하여 제2공간으로 유동하는, 스피커 모듈.
According to clause 1,
A first path is provided in the first space to communicate with a tuning structure, the first path is a channel extending from the first space, and air in the first spac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first path. modul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구조는 제2경로를 더 포함하며, 제2경로는 제2공간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빈 채널이고, 제2공간의 공기는 제2경로를 통하여 제3공간으로 유동하는, 스피커 모듈.
According to clause 4,
The tuning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second path, wherein the second path is an empty channe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pace, and the air in the second space flows into the third space through the second path. .
제 5항에 있어서,
제3공간의 하면에는 덕트홀이 형성되며, 덕트홀은 제2경로의 하단과 연통되는, 스피커 모듈.
According to clause 5,
A speaker module in which a duct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hird space, and the duct hole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of the second pa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간의 체적이 가장 크며, 제2공간의 체적이 가장 작은, 스피커 모듈.
According to clause 1,
A speaker module wherein the third space has the largest volume and the second space has the smallest volume.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peaker module of any one of claims 1 to 7.
KR1020220181494A 2022-12-22 2022-12-22 Speaker module capable of tun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KR1026625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494A KR102662588B1 (en) 2022-12-22 2022-12-22 Speaker module capable of tun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494A KR102662588B1 (en) 2022-12-22 2022-12-22 Speaker module capable of tun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588B1 true KR102662588B1 (en) 2024-05-03

Family

ID=9107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494A KR102662588B1 (en) 2022-12-22 2022-12-22 Speaker module capable of tun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58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82252A1 (en) * 2017-09-11 2019-03-14 Apple Inc. Front port resonator for a speaker assembly
KR102287937B1 (en) * 2020-05-07 2021-08-09 부전전자 주식회사 Duct Structure of Earphone Speaker Unit
KR102405908B1 (en) * 2021-02-24 2022-06-07 부전전자 주식회사 Tweeter speaker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82252A1 (en) * 2017-09-11 2019-03-14 Apple Inc. Front port resonator for a speaker assembly
KR102287937B1 (en) * 2020-05-07 2021-08-09 부전전자 주식회사 Duct Structure of Earphone Speaker Unit
KR102405908B1 (en) * 2021-02-24 2022-06-07 부전전자 주식회사 Tweeter speake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3703A1 (en) Headphone
US10171905B2 (en) Headphones with frequency-targeted resonance chambers
KR101952909B1 (en) Earphone having pressure equalization structure
US10518716B2 (en) Loudspeaker system for vehicle
US11363370B2 (en)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duct
EP3753262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open audio device
US9800976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CN215121124U (en) Loudspeaker for earphone
JP7150813B2 (en) Moving-coil microphone transducer with secondary port
JP7134467B2 (en) headphone
US20220329926A1 (en) Earphone with Duct Unit Dividing Pressure Equilibirum Hole and Back Hole
KR102662588B1 (en) Speaker module capable of tun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US11696059B2 (en) Two-way receiver having front bass duct
US20040071309A1 (en) Compound sound generator
CN112839284B (en) Sound production monomer and earphone
KR101727020B1 (en) Hybrid type dynamic speaker having two or more nozzle hole
EP2495990B1 (en) Speaker device
US11317194B2 (en) Speaker
KR102559769B1 (en) Unitary type set assembly structure of speaker unit
EP3678383A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2553220B1 (en) Integrated type duct structure of speaker unit
KR102538586B1 (en) Unitary type duct structure of speaker unit for sound effect control
CN213152363U (en) Three-tone cavity shunt frequency division horn module
KR102577024B1 (en) Receiver having pressure equilibrium structure
US11102587B2 (en) Hybrid acoustic apparatus including rectangular micro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