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374B1 -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374B1
KR102662374B1 KR1020230098677A KR20230098677A KR102662374B1 KR 102662374 B1 KR102662374 B1 KR 102662374B1 KR 1020230098677 A KR1020230098677 A KR 1020230098677A KR 20230098677 A KR20230098677 A KR 20230098677A KR 102662374 B1 KR102662374 B1 KR 102662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brushing
user terminal
user
time
b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러쉬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러쉬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러쉬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다. 본 개시의 동작 방법은 살균 장치가,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살균 장치가, 살균 장치에 구비된 양치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입력 정보를 바탕으로 양치의 시작 및 종료를 식별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양치의 시작 및 종료가 각각 식별된 시점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다.

Description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Method of operating a tooth brush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steriliz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본 개시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 장치를 통해 식별된 양치 시간을 모니터링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다.
종래의 칫솔 살균기는, 칫솔걸이 내부에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칫솔의 탈부착을 통해 칫솔의 이탈 횟수 및 양치 정보를 제공하였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칫솔 살균기는, 칫솔의 탈부착만으로는 사용자의 양치 정보를 관리하는 점에 어려움이 존재하였고, 살균 장치 및 그룹화 된 사용자의 양치 정보를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1321호(칫솔 감지센서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등록특허공보 제10-2250631호(치아 관리용 스마트 칫솔)
본 개시는,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살균 장치에 구비된 양치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입력 정보를 바탕으로 양치의 시작 및 종료를 식별하고, 양치의 시작 및 종료가 각각 식별된 시점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식별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살균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살균 장치가, 상기 살균 장치에 구비된 양치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입력 정보를 바탕으로 양치의 시작 및 종료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양치의 시작 및 종료가 각각 식별된 시점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살균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어 칫솔의 헤드 부분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 상기 살균부의 살균 범위로 칫솔의 헤드 부분이 투입되거나 또는 이탈하기 위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도어가 폐쇄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종료가 식별되는 경우, 상기 살균 장치가 상기 살균부를 통해 살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가 폐쇄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종료가 식별된 상태에서 상기 살균 장치가 충전 중인 경우, 제1 시간 동안의 살균 및 제2 시간 동안의 휴지를 순차적으로 반복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종료가 식별된 상태에서 상기 살균 장치가 충전 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시간 동안의 살균을 한 차례 수행한 이후 휴지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살균 장치가, 상기 도어가 폐쇄되고 양치의 종료가 식별된 상태에서 상기 살균 장치가 충전 중이지 않으면, 살균을 한 차례 수행한 이후 휴지를 유지하되, 도어가 개방되기까지 휴지가 유지된 휴지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살균 장치가, 일정 기간 동안 저장된 상기 휴지 시간을 바탕으로 평균 휴지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일정 기간 이후, 상기 도어가 폐쇄되고 양치의 종료가 식별된 상태에서 상기 살균 장치가 충전 중이지 않으면, 살균을 한 차례 수행한 이후 휴지를 유지하되, 휴지가 상기 평균 휴지 시간에서 상기 제1 시간을 차감한 만큼 유지된 시점에 추가 살균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는, 양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시작이 식별된 경우, 상기 살균 장치가 상기 복수의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는 단계는, 제1 시간 구간 동안, 제1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고, 상기 제1 시간 구간 다음의 제2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1 램프의 점등을 유지하되 제2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고, 상기 제2 시간 구간 다음의 제3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1 램프 및 상기 제2 램프의 점등을 유지하되 제3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고, 상기 제3 시간 구간 다음의 제4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3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종료가 마지막으로 식별된 시점 이후 양치의 시작이 식별되지 않은 상태가 지속된 시간에 따라 사용자의 양치 레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실시간으로 식별되는 상기 양치 레벨에 따라 디자인이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살균 장치와 각각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살균 장치 각각에 매칭되는 대상자의 명칭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한 명의 대상자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그룹에 속한 대상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하나의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포함하는 양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신된 양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각 사용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하나의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에게 상기 살균 장치의 도어의 개방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살균 장치의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살균 장치가 도어의 개방을 알리는 제1 페어링 신호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페어링 신호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살균 장치의 도어의 폐쇄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살균 장치의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살균 장치가 도어의 폐쇄를 알리는 제2 페어링 신호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페어링 신호에 포함된 제2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살균 장치의 도어의 개방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살균 장치의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살균 장치가 도어의 개방을 알리는 제3 페어링 신호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3 페어링 신호에 포함된 제3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상기 제3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3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살균 장치를 페어링의 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등록된 살균 장치가 근접한 것으로 인식될 때마다 상기 등록된 살균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살균 장치를 통해 식별된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포함하는 양치 정보를 바탕으로 치아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양치 정보, 칫솔의 교체 주기, 칫솔의 종류,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성별, 및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바탕으로, 치아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양치 시간, 양치 횟수, 양치 주기, 및 칫솔 교체 주기 등의 양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양치 정보를 바탕으로 치아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고 복수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하여 그룹 별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의 최초 페어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가 양치 버튼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램프를 순차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가 충전 중이거나 충전 중이 아닌 경우, 살균 장치가 칫솔을 살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6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를 등록, 추가, 및 수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a 내지 7b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양치 리포트를 제공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그룹을 생성 및 관리하고 양치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살균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살균 장치(100)는 칫솔을 살균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자 단말로 양치의 시작 및 종료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센싱 데이터를 바탕으로 양치의 시작 또는 종료를 식별하고, 식별된 양치의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리는 데이터를 (페어링 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살균 장치(100)는 양치의 시작 또는 종료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ex. 버튼, 터치 패널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살균 장치(100)는 살균 장치(100) 내부에 투입된 칫솔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살균 장치(100)는 투입되어 있는 칫솔의 이탈이 감지됨에 따라 양치의 시작을 식별하고, 칫솔의 투입이 감지됨에 따라 양치의 종료를 식별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로, 살균 장치(100)는 블루투스, NFC 등 근접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후술할 서버가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살균 장치(100)와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관련하여, 구체적인 페어링 과정의 일 실시 예는 이하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살균 장치(100)와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살균 장치(100)로부터 양치의 시작 및/또는 종료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단말 기기에 해당하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웨어러블 장치 등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살균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에 페어링이 수행된 상태를 가정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살균 장치(100)는, 살균 장치(100)에 구비된 양치 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S210).
구체적으로,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식별됨에 따라, 살균 장치(100)는 버튼이 눌림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살균 장치(100)는 버튼이 눌림에 따라 식별되는 양치의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바탕으로 양치의 시작 및 종료를 식별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버튼이 최초에 눌리면 양치의 시작이 식별되고, 다음으로 버튼이 눌리면 양치의 종료가 식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양치의 시작 및 종료가 각각 식별된 시점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S230).
일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양치의 시작 시점과 양치의 종료 시점 사이의 구간에 매칭되는 양치 시간을 식별하고, 개별적인 양치 시간이 산출된 횟수를 통해 양치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살균 장치(100)는 도어 센서(110), 살균부(120), 버튼부(130), 통신부(140), 출력부(150), 내부 센서(160)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 센서(110)는, 살균 장치(100)의 도어(: 뚜껑)의 개방 및 폐쇄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레이더 센서,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등 다양한 근접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는 살균 장치(100) 내부의 살균 범위로 칫솔의 헤드 부분이 투입되거나 또는 이탈하기 위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살균 장치(100)는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살균부(120)는 칫솔의 헤드 부분을 살균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살균부(120)는 살균 장치(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칫솔의 헤드 부분을 살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부(120)에 이용되는 램프는 UV, UV-C LED램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버튼부(130)는, 양치의 시작 및 종료를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양치 버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버튼이 눌릴 때마다 사용자의 양치 시작 또는 양치 종료가 식별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130)는 페어링을 시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페어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페어링 버튼이 일정 시간(ex. 3초) 이상 눌림을 전제로 페어링이 시작되어 살균 장치(100)의 신호가 사용자 단말(200)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버튼부(130)는 물리적으로 구비된 버튼이나 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고,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예로, 통신부(140)는, Wi-Fi, Zigbee, NFC 등 다양한 근접 통신 방식을 이용하기 위한 칩/모듈/회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청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오디오 단자(이어폰/헤드셋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하나 이상의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50)는 양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복수의 램프를 포함할 수 있는 바, 관련된 실시 예는 도 5a를 통해 후술한다.
내부 센서(160)는, 살균 장치(100) 내부에 투입된 칫솔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내부 센서(160)는 칫솔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부(230), 디스플레이(240), 사용자 입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모리(210)는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등으로 구성된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210)는 사용자의 양치의 시작 및 종료에 대한 입력 정보, 사용자의 양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양치 정보는 양치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걸린 양치 시간, 양치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살균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연결되는 한편 메모리(2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지능 모델의 훈련 내지는 이용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양치의 시작 및 종료가 각각 식별된 시점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누적 양치 시간, 시간대 별로 양치의 시작/종료가 식별되는 빈도/횟수 등을 식별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 모듈,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영역 또는 규모에 따라 개인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개방성에 따라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또는 인터넷(Internet) 등일 수 있다.
통신부(230)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0)는 이더넷(Ethernet),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선더볼트(ThunderBolt)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통신부(230)는 향후 새롭게 고안되는 다양한 통신 방식/기술을 활용한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통신부(230)는 무선의 근접 통신 방식(ex. 블루투스, BLE, NFC 등)을 통해 살균 장치(100)에 포함된 통신부(1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로, 통신부(230)는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ex. Service Provider)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웹 페이지를 통해 후술할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기능 내지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후술할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기능 및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스플레이(2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Micro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밖에 종래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25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 내지는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구성으로, 터치 패널로 구성된 디스플레이와 연동될 수 있으며, 다양한 버튼,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입력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 장치(100)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다양한 기능(ex. 페어링, 양치 정보의 모니터링/제공, 그룹 생성/관리 등) 각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의 최초 페어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최초의 페어링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제공하는 화면(410, 420, 430)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살균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살균 장치로서 최초로 등록되는 과정이기도 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살균 장치(100)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살균 장치(100)의 도어(: 뚜껑)의 개폐에 따라 살균 잘치(100)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도 4의 화면(410)과 같이 사용자에게 살균 장치(100)의 도어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100)의 도어가 개방되면, 살균 장치(100)는 도어의 개방을 알리는 제1 페어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페어링 신호는 살균 장치(100)의 식별 정보, 도어의 개방을 알리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살균 장치(100)의 페어링 동작을 활성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한 사용자 조작(ex. 살균 장치(100) 뒷면의 버튼이 3초 이상 눌림)이 식별됨을 전제로, 살균 장치(100)가 페어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살균 장치(100)로부터 제1 페어링 신호가 출력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제1 페어링 신호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도 4의 화면(420)과 같이 사용자에게 살균 장치(100)의 도어의 폐쇄를 요청할 수 있다. 살균 장치(100)의 도어가 폐쇄되면, 살균 장치(100)는, 도어의 폐쇄를 알리는 제2 페어링 신호 출력할 수 있다. 제2 페어링 신호는 살균 장치(100)의 식별 정보, 도어의 폐쇄를 알리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식별 정보가 제2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도 4의 화면(430)과 같이 사용자에게 재차 살균 장치(100)의 도어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살균 장치(100)의 도어가 개방되면, 살균 장치(100)는 도어의 개방을 알리는 제3 페어링 신호 출력할 수 있다. 제3 페어링 신호는 살균 장치(100)의 식별 정보, 도어의 개방을 알리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식별 정보가 제3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제3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살균 장치(100)를 페어링의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다.
등록 이후에는, 등록된 살균 장치(100)가 근접한 것으로 인식될 때마다. 사용자 단말(200)은 등록된 살균 장치(1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페어링이 수행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실시간으로 살균 장치(100)가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양치의 시작/종료에 대한 시점/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양치 버튼 및 램프를 통한 동작 및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양치 버튼(510)에 대한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시작이 식별된 경우, 살균 장치(100)는 복수의 램프(520)의 점등 및 소등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5a의 복수의 램프(520)는 좌측부터 순서대로 제1 램프, 제2 램프, 제3 램프로 명명한다.
일 실시 예로, 살균 장치(100)는 양치 버튼(510)이 짧게 클릭됨을 전제로 양치의 시작을 식별하고, 살균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램프(520)로 양치 시간을 가시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살균 장치(100)는 양치 시작 전 대기 시간 동안 제1 램프, 제2 램프, 제3 램프에 대해 순차적으로 점등을 수행하면서 카운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초에 양치의 시작을 위한 버튼이 입력되면, 3초의 카운트 이후 양치가 시작된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여기서, 1초, 2초, 3초 각각에 해당하는 카운트 시점에 있어서, 우측부터 제3 램프 -> 제2 램프 -> 제1 램프가 점등되어 카운트를 나타낼 수 있다.
카운트 이후 양치가 시작된 것으로 식별되면, 살균 장치(100)는 제1 시간 구간(ex. 0 ~ 1분) 동안, 제1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할 수 있다. 이때, 0.5초의 점등 및 0.5초의 소등이 반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시간 구간 다음의 제2 시간 구간(ex. 1분 ~ 2분) 동안, 살균 장치(100)는 제1 램프의 점등을 유지하되 제2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0.5초의 점등 및 0.5초의 소등이 반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시간 구간 다음의 제3 시간 구간(ex. 2분 ~ 3분) 동안, 살균 장치(100)는 제1 램프 및 제2 램프의 점등을 유지하되 제3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0.5초의 점등 및 0.5초의 소등이 반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시간 구간 다음의 제4 시간 구간(ex. 3분 ~ 10분) 동안, 살균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램프 전체에 대하여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든 램프에 대해 0.5초의 점등 및 0.5초의 소등이 반복될 수 있다.
즉, 3분 이상 양치가 이어지는 상태인 경우, 3개의 램프가 모두 깜빡이면서 양치의 종료를 촉구하거나 혹은 (실제 양치가 종료되었음에도 버튼을 안 누르는 경우 등에 있어서) 양치의 종료를 알리는 버튼을 누르도록 촉구할 수 있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가 충전 중이거나 충전 중이 아닌 경우, 살균 장치가 칫솔을 살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관련하여, 살균 장치(100)는 도어(: 뚜껑)의 폐쇄 및 양치의 종료를 조건으로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 장치(100)의 도어(: 뚜껑)가 폐쇄되었음이 도어 센서(110)를 통해 감지되고,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종료가 식별되는 경우, 살균 장치(100)는, 살균부(120)를 통해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살균 과정에서, 살균 장치(100)에 대한 충전이 진행 중인지 여부에 따라 살균의 주기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 장치(100)가 충전 중인 경우(도 5b의 310), 살균 장치(100)는 제1 시간 동안의 살균 및 제2 시간 동안의 휴지를 순차적으로 반복하고, 살균 장치(100)의 도어가 폐쇄되고,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종료가 식별된 상태에서 살균 장치(100)가 충전 중이지 않은 경우, 제1 시간 동안의 살균을 한 차례 수행한 이후 휴지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살균 장치(100)가 충전 중인 경우, 살균 장치(100)는 3분 살균, 1시간 휴지, 다시 3분 살균 다시 1시간 휴지를 반복하여 칫솔의 살균/보관 성능을 높이고, 변색이나 환경호르몬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제1 시간 및 제2 시간은 각각 3분 및 1시간 외에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면, 살균 장치(100)가 충전 중이지 않은 경우(도 5b의 320), 살균 장치(100)는 제1 시간 동안의 살균을 한 차례 수행한 이후 휴지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 장치(100)는 최초의 3분 살균 이후 지속적으로 휴지를 유지할 수 있다.
UVC LED 등을 통해 너무 과도한 시간 동안 살균이 수행되는 경우, 칫솔의 플라스틱이 변색되거나 소재에 따라서는 과도한 열에 의해 환경호르몬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살균 장치(100)는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살균 시간을 적절한 간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 장치(100)가 충전 중이지 않은 경우라도, 살균 장치(100)는 최초의 살균 이후 휴지를 거쳐 (양치의 시작 전에) 추가적으로 살균이 진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 장치(100)는, 살균 장치(100)의 도어가 폐쇄되고 양치의 종료가 식별된 상태에서 살균 장치(100)가 충전 중이지 않을 때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살균을 한 차례 수행한 이후 휴지를 유지하되, 살균 장치(100)의 도어가 개방되기까지 휴지가 유지된 휴지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살균 장치(100)는 충전 중이 아닌 상태에서 양치 종료 후 3분 살균 후 도어가 다시 개방될 때까지 휴지가 유지된 휴지 시간을 매번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살균 장치(100)는, 일정 기간 동안 저장된 휴지 시간을 바탕으로 평균 휴지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살균 장치(100)는 도어가 폐쇄되고 양치의 종료가 식별된 상태에서 살균 장치(100)가 충전 중이지 않으면, 살균을 한 차례 수행한 이후 휴지를 유지하되, 휴지가 평균 휴지 시간에서 상술한 제1 시간(ex. 3분)을 차감한 만큼 유지된 시점에 추가 살균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살균 장치(100)는 살균이 수행되지 않은 채 휴지가 너무 오래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양치가 시작될 확률이 높은 시점 직전에 살균을 자동으로 시작하여 위생적인 양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6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를 등록, 추가, 및 수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6d는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등록,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각 사용자 추가, 및 사용자 정보를 수정하는 과정을 제공하는 화면(610 내지 650)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의 화면(6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과정에서 UI(6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본인의 정보(ex. 이름)를 입력할 수 있고, 가족(ex. 자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한 명의 대상자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도 6a의 화면(620)과 같이, 복수의 살균 장치 각각에 매칭되는 대상자의 명칭을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애플리케이션에 먼저 가입한 다른 가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UI(621) 내에서 적어도 한 명의 다른 가족(ex. 박지은, 박송은, 박다은, 김혜진 등)을 사용자의 친구 목록에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친구 요청 보내기”(622) 선택)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친구 요청을 선택된 다른 가족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b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살균 장치(100)와 페어링을 수행하면서 각 살균 장치(100)에 매칭되는 다른 사용자를 사용자의 친구 목록에 추가(: 멤버 추가)할 수 있다.
도 6b의 화면(630)을 참조하면, UI(631)를 통해, 다른 사용자의 살균 장치의 페어링 버튼을 3초 이상 눌러달라는 요청이 제공될 수 있으며, 페어링 버튼이 눌림에 따라 현재 페어링 신호를 출력하는 살균 장치가 주변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페어링 신호를 출력하는) 다른 사용자의 살균 장치가 식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다른 사용자의 살균 장치의 페어링 신호를 통해 다른 사용자의 이름을 식별하여 멤버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UI(632)를 통해, 살균 장치는 보유하고 있으나 사용자 단말을 보유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ex. 자녀)의 살균 장치를 등록하는 기능도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도 4와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아 전용 사용자 단말이 설정되지 않은 살균 장치의 경우, 출력되는 페어링 신호에 사용자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살균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칭시키기 위한 다른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다른 사용자의 이름을 멤버로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도 6b의 화면(640)을 참조하면, UI(64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은 앞서 UI(631)를 통해 등록된 다른 사용자의 이름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중 선택(체크)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친구 요청을 보내는 '친구 요청 보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 친구/멤버로 추가된 다른 사용자의 정보 등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도 6c의 UI(650)를 통해 사용자의 프로필(ex. 이름, 사진 등)을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c의 UI(66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본인과 다른 사용자 각각에 매칭되는 캐릭터를 선택 받을 수도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복수의 캐릭터(ex. 휘바, 푸기, 팅코, 그린킹)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캐릭터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된 각 사용자의 양치 상태(ex. 살균 중, 살균 완료, 양치 중 등)에 매칭되는 컬러/형상/표정 등으로 나타나도록 제어될 수 있는 바 도 6d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d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본인 및 친구/멤버로 등록된 사용자들(내 브러쉬업(: 사용자 본인), 박건우, 박지은, 김혜진)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사용자(ex. 사용자 본인 - 내 브러쉬업)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된 사용자의 양치 상태(ex. 양치 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I(670)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캐릭터의 컬러, 형상, 표정 중 적어도 하나가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양치 상태에 따라 변경되도록 하여 제공할 수 있다.
양치 상태는 살균 완료, 살균 중, 양치 중, 도어 열림(기기 열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 열림은, 살균 중 도어(: 뚜껑)가 열렸을 때 또는 양치 종료 후 도어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살균이 수행되지 않는 휴지의 경우 도어가 열리더라도 기기 열림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양치 상태는 양치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양치 레벨이란, 살균 장치(100)의 버튼의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종료가 마지막으로 식별된 시점 이후 양치의 시작이 식별되지 않은 상태가 지속된 시간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치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가까울수록 양치 레벨이 더 높을 수 있으며, 양치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오랜 시간이 경과된 만큼 양치 레벨이 낮아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실시간으로 식별되는 양치 레벨에 따라 디자인이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잇다. 즉, 사용자에 매칭되는 캐릭터의 컬러, 형상, 표정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양치 레벨이 낮을수록 더욱 부정적이거나 어두운 느낌(ex. 우는 표정, 괴로운 표정, 어두운 컬러, 찌그러진 형상 등)의 디자인이 적용되고, 양치 레벨이 높을수록 더욱 긍정적이거나 밝은 느낌(ex. 웃는 표정, 당당한 표정, 밝은 컬러, 매끈한 형상 등)의 디자인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현재 레벨에 상관없이 양치 직후는 무조건 Level 5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최종 양치 이후 0시간 이상 4시간 이하는 Level 5, 최종 양치 이후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는 Level 4, 최종 양치 이후 8시간 이상 12시간 이하는 Level 3, 최종 양치 이후 12시간 이상 16시간 이하는 Level 2, 최종 양치 이후 16시간 이상은 Level 1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이렇듯 레벨의 변경에 따라 디자인이 변경되는 캐릭터(730)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I(670)를 참조하면, 양치 상태가 '양치 중'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캐릭터와 함께 캐릭터를 닦고 있는 칫솔에 대한 이미지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UI(670)를 참조하면, 양치가 지속되고 있는 시간에 따라 캐릭터를 둘러싸는 원형의 게이지가 채워지는 형태로 그래픽 UI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치가 3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원형의 게이지가 모두 채워질 수 있으며, 양치 레벨이 초기화(ex. Level 5)되고 (기존에 어두운 느낌이던) 캐릭터의 디자인이 밝은 느낌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이후 양치의 종료가 식별되면 게이지는 다시 초기화될 수 있다.
도 7a 내지 7c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양치 리포트를 제공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양치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제공하는 화면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UI(710)와 같이 양치 정보에 대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양치의 시작 및 종료가 각각 식별된 시점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식별하여, 일정 기간(ex.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등) 별로 양치 시간, 양치 횟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UI(720)를 통해 양치 시간의 누적치, 누적 사용 칫솔의 개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누적 사용 칫솔의 개수는 사용자가 사용해온 칫솔의 개수를 의미하며, 누적 사용 칫솔의 개수를 산출하기 위해 칫솔의 교체 시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칫솔의 교체가 식별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실시간으로 식별되는 각 사용자의 양치 레벨에 따라 각 사용자가 설정한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각 사용자 별로 캐릭터의 이름이나 기본 디자인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ex. '내 브러쉬업' : 사용자 본인)의 양치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도 7a의 UI(730)와 같이, 선택된 사용자의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캐릭터의 디자인은 해당 사용자의 양치 레벨에 매칭되도록 설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양치 종료 후 경과된 시간, 시간대 등에 따라 기설정된 다양한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양치 종료 후 경과된 시간이 제1 기준 시간(ex. 5시간) 미만인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오늘 하루의 양치 횟수 내지 양치 시간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늘 하루 1번 23분 이를 닦았어요!'라는 문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양치 종료 후 경과된 시간이 제1 기준 시간(ex. 5시간) 이상이고 제2 기준 시간(ex. 24시간) 미만이며, 기설정된 식사 시간대(ex. 17시 내지 21시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식사 후 반드시 양치를 해야 해요.' 라는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취침 시간대(ex. 21시 내지 (오전) 3시)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취침 전 반드시 양치를 해야 해요.” 라는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기상 시간대(ex. 5시 내지 9시)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기상 후 반드시 양치를 해야 해요.”라는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양치 레벨이 최하 레벨(ex. Level 1)에 해당하거나 및/또는 양치 후 경과된 시간이 제3 기준 시간(ex. 24 시간) 이상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김태희님 오랫동안 양치를 하지 않았어요'라는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간 양치 횟수가 일정 횟수(ex. 3회) 이상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오늘 하루 3번 총 12분 이를 잘 닦았어요!'와 같이 칭찬이 포함된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준 시간(ex. 제1 내지 제3 기준 시간), 기설정된 식사/취침/기상 시간대 등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 본인 및 등록된 친구/멤버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관리자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그룹을 생성 및 관리하고 양치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관리자는 부모, 어린이집/유치원 교사, 요양 보호사 등 보호 대상 인원(ex. 자녀, 유치원생, 노인 등)에 대한 보호, 훈육, 간호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사용자를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도 8의 UI(810)와 같이, 복수의 살균 장치 각각에 매칭되는 대상자의 명칭/이름을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한 명의 대상자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관리자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를 포함한 그룹(ex. 햇님반, 달님반, 별님반)을 생성하고, 그룹화된 사용자 간의 일정 시간 이상/미만(ex. 3분 이상/미만)을 기준으로 한 양치 시간을 UI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그룹 각각이 선택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정 그룹(ex. 햇님반)이 선택되면,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대상자들의 양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그룹(ex. 햇님반)에 속한 대상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가 도 8과 같이 하나의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UI(82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룹 내 대상자를 추가, 삭제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그룹 내 대상자의 총 인원수(ex. 23명)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00)은 각각의 대상자의 양치 정보를 대상자의 살균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제1 통신 방식), 또는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제2 통신 방식).
동일한 그룹 내에서도, 각 대상자의 양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통신 방식이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를 수도 있다.
일 예로, 동일한 그룹에 제1 대상자 및 제2 대상자가 포함된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제1 대상자의 양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제1 대상자의 살균 장치와 근접 통신을 바탕으로 페어링을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제1 대상자의 양치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단말(200)은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제2 대상자의 양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제2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근접 통신도 가능하고,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된 원거리 통신(ex. 이더넷, 인터넷, 와이파이, LTE, 5G 등)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2 대상자의 살균 장치에 페어링된 제2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은 제2 대상자의 양치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칫솔 등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사용자 단말(200)이 제공하는 화면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동일한 사용자에 대하여 둘 이상의 살균 장치를 등록하고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사용자에 대하여 자택에 구비된 살균 장치와 회사(직장)에 구비된 살균 장치가 각각 등록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장소 별로 등록된 살균 장치 각각에 근접한 상태에서 살균 장치 각각으로부터 양치 정보를 획득하되, 사용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는 합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9a는, 사용자 단말(200)이 회사에 구비된 살균 장치와 페어링된 상태를 전제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UI(910)를 통해 회사 내 살균 장치와 관련된 살균 상태(ex. 살균 중, 살균 완료(휴지), 도어 열림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양치 종료 이후 살균 장치에서 살균이 수행된 시간을 바탕으로 칫솔의 살균 상태를 퍼센트(%)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UI(920)를 통해 칫솔의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칫솔의 사용 일수(ex. 31일), 칫솔의 사용 횟수(ex.100+회)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칫솔의 상태(ex. 교체 필요, 상태 양호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칫솔의 상태는, 칫솔의 사용 일수 및 사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식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칫솔의 사용 일수가 기설정된 기간을 도과하였거나 및/또는 칫솔의 사용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한 경우, 칫솔의 상태를 '교체 필요'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칫솔의 사용 정보는, 페어링 되었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특정한 살균 장치(ex. 회사의 살균 장치)를 통해 수집된 양치 정보를 토대로 산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의 살균 장치를 통해 식별된 양치의 시작/종료를 바탕으로 모니터링된 양치 횟수 및 양치 시간에 따라 회사에서 사용되는 칫솔의 사용 정보가 산출되며, 집의 살균 장치를 통해 식별된 양치의 시작/종료를 바탕으로 모니터링된 양치 횟수 및 양치 시간에 따라 집에서 사용되는 칫솔의 사용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이때, 회사의 살균 장치와 페어링 된 상태에서는, UI(920)를 통해, 회사의 칫솔의 사용 정보가 제공되며, 여기에 다른 장소(ex. 집)의 살균 장치와 관련된 양치 정보는 반영/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장소 별로 칫솔이 별도로 구비된 경우를 전제로 한 것이며, 다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서로 다른 장소의 살균 장치에 대해 동일한 칫솔이 사용되는 것으로 등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칫솔의 사용 정보는 당연히 복수의 살균 장치로부터 수신된 양치 정보가 모두 반영된 결과에 해당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칫솔을 교체하기 위한 UI 항목(930)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칫솔을 교체하기 위한 UI 항목(930)은 칫솔의 상태가 '교체 필요'인 경우에만 활성화되고, 칫솔의 상태가 '상태 양호'인 경우에는 활성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해당 UI 항목(930)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칫솔의 사용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의 사용 일수 및 사용 횟수가 모두 0으로 초기화될 수 있으며, 칫솔의 상태는 '상태 양호'로 초기화될 수 있다. 또한, 해당 UI 항목(930)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칫솔 및 양치 건강에 관련된 온라인/오프라인 쇼핑몰에 대한 정보(ex. 웹페이지 링크, 쇼핑몰 애플리케이션 링크, 광고, 상품 정보, 주소, 영업 시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칫솔의 사용 일수가 일정 기간(ex. 31일) 미만이면 사용 일수가 제1 컬러(ex. blue)의 텍스트로 제공될 수 있고, 반면 칫솔의 사용 일수가 일정 기간(ex. 31일) 이상이면 사용 일수가 제2 컬러(ex. red)의 텍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칫솔의 사용 횟수가 일정 횟수(ex. 100회) 미만이면 사용 횟수가 제1 컬러(ex. blue)의 텍스트로 제공될 수 있고, 반면 칫솔의 사용 횟수가 일정 횟수(ex. 100회) 이상이면 사용 횟수가 제2 컬러(ex. red)의 텍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기간 및 일정 횟수는, 상술한 칫솔의 '교체 필요' 상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건과 일치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순차적으로 수행된 양치 각각에 대하여 장소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UI(940)를 통해 회사, 집, 기타 장소 각각에서 진행된 양치 시간을 건 별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각 장소는 아이콘으로 나타나고, 양치 시간은 막대그래프 형태의 그래픽 UI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칫솔의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본인 외에 친구/멤버로 등록된 다양한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사용자(멤버)에 대하여 칫솔의 사용 일수, 사용 횟수, 칫솔의 상태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과 직접 페어링된 살균 장치에 매칭되는 멤버(ex. 스스로 직접 관리가 어려운 자녀)의 칫솔의 사용 정보는 UI(95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반면, 등록된 멤버의 살균 장치와 사용자 단말(200)이 직접 연결되지 않고, 등록된 멤버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양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멤버의 칫솔의 사용 정보는 UI(96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UI(950)의 직접 추가 멤버 각각에 대해서는 관리자에 해당하는 사용자(: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직접 각각의 사용자를 위한 '칫솔 교체하기'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UI 항목이 제공될 수 있다. 반면, UI(960)의 이메일 추가 멤버에 대해서는 '칫솔 교체하기' 기능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직접적인 관리가 필요한 멤버(ex. 어린 자녀 등)와 그렇지 않은 멤버(ex. 성인 가족)를 구분하여 관리한다는 특징이 반영된 것이다.
또한, 일 실시 예로, 일 멤버에 대한 '칫솔 교체하기'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칫솔의 상태가 '교체 필요'에 해당하는 멤버의 수를 바탕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쇼핑몰에 대한 정보(ex. 웹페이지 링크, 쇼핑몰 애플리케이션 링크, 광고, 상품 정보, 주소, 영업 시간 등)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칫솔의 상태가 '교체 필요'에 해당하는 멤버의 수와 같거나 많은 수의 상품에 대한 그룹 상품(ex. 복수 개의 칫솔)을 검색하여 그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의 교체가 필요한 멤버가 3명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3개 이상의 칫솔을 묶음으로 판매하는 그룹 상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룹 상품 내 개별 물품의 단가가 단일 상품의 단가보다 저렴하다는 점, 현재 필요한 수의 칫솔을 한 번에 구매할 수 있도록 '교체 필요'에 해당하는 멤버의 수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서치 결과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한편, 일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살균 장치(100)를 통해 식별된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포함하는 양치 정보를 바탕으로 치아 보험료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치아 보험료를 산출하기 위해, 양치 정보, 칫솔의 교체 주기, 칫솔의 종류,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성별, 및 사용자의 건강 정보(ex. 구강 질환 여부, 만성 질환 여부(당뇨병, 고혈압 등) 등)를 바탕으로, 치아 보험료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항목(ex. 양치 정보, 칫솔의 교체 주기, 칫솔의 종류, 사용자의 나이 등) 별로 가중치가 반영되어 치아 보험료가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양치 횟수/양치 시간이 정상 범위에서 멀어질수록, 칫솔의 교체 주기가 길수록, 사용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치아 보험료는 상승할 수 있다.
칫솔의 종류는 칫솔을 제공하는 제조사, 칫솔의 상품명 등에 해당할 수 있다. 각 칫솔의 소재, 수명, 기능성 등을 바탕으로 칫솔의 종류 별로 가중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칫솔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는 가중치는 다양한 종류의 칫솔을 대상으로 수행되어 공개되는 표준 실험의 결과에 따라 일정 주기(ex. 매년 시험 결과 발표됨) 별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치아 보험료와 관련된 상술한 다양한 항목 각각에 매칭되는 가중치의 설정, 치아 보험료의 산출 등의 과정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service provider)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서로 저촉되거나 모순되지 않는 한 두 개 이상의 실시 예가 서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로봇, 서버 등 전자 장치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 사용자 단말, 서버 등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술한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살균 장치
110: 도어 센서
120: 살균부
130: 버튼부
140: 통신부
150: 출력부
160: 내부 센서
200: 사용자 단말
210: 메모리
220: 프로세서
230: 통신부
240: 디스플레이
250: 사용자 입력부
510: 양치 버튼
520: 복수의 램프

Claims (10)

  1.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살균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살균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살균 장치에 구비된 양치 버튼이 클릭됨에 따라 상기 양치 버튼의 입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입력 정보를 바탕으로 양치의 시작 및 종료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양치의 시작 및 종료가 각각 식별된 시점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살균 장치의 도어가 폐쇄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종료가 식별된 상태에서 상기 살균 장치가 충전 중인 경우, 제1 시간 동안의 살균 및 제2 시간 동안의 휴지를 순차적으로 반복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종료가 식별된 상태에서 상기 살균 장치가 충전 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시간 동안의 살균을 한 차례 수행한 이후 휴지를 유지하고,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살균 장치가, 상기 도어가 폐쇄되고 양치의 종료가 식별된 상태에서 상기 살균 장치가 충전 중이지 않으면, 살균을 한 차례 수행한 이후 휴지를 유지하되, 도어가 개방되기까지 휴지가 유지된 휴지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살균 장치가, 일정 기간 동안 저장된 상기 휴지 시간을 바탕으로 평균 휴지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일정 기간 이후, 상기 도어가 폐쇄되고 양치의 종료가 식별된 상태에서 상기 살균 장치가 충전 중이지 않으면, 살균을 한 차례 수행한 이후 휴지를 유지하되, 휴지가 상기 평균 휴지 시간에서 상기 제1 시간을 차감한 만큼 유지된 시점에 추가 살균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포함하는 양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신된 양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각 사용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하나의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칫솔 교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UI(User Interface)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UI를 바탕으로 상기 칫솔 교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각 사용자의 양치 정보를 바탕으로 칫솔의 교체가 필요한 사용자의 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칫솔의 교체가 필요한 사용자의 수에 따른 복수의 칫솔로 구성된 그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살균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어 칫솔의 헤드 부분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
    상기 살균부의 살균 범위로 칫솔의 헤드 부분이 투입되거나 또는 이탈하기 위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도어가 폐쇄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종료가 식별되는 경우, 상기 살균 장치가 상기 살균부를 통해 살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장치는,
    양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시작이 식별된 경우, 상기 살균 장치가 상기 복수의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는 단계는,
    제1 시간 구간 동안, 제1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고,
    상기 제1 시간 구간 다음의 제2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1 램프의 점등을 유지하되 제2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고,
    상기 제2 시간 구간 다음의 제3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1 램프 및 상기 제2 램프의 점등을 유지하되 제3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고,
    상기 제3 시간 구간 다음의 제4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3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양치의 종료가 마지막으로 식별된 시점 이후 양치의 시작이 식별되지 않은 상태가 지속된 시간에 따라 사용자의 양치 레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실시간으로 식별되는 상기 양치 레벨에 따라 디자인이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살균 장치와 각각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살균 장치 각각에 매칭되는 대상자의 명칭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한 명의 대상자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그룹에 속한 대상자의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하나의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살균 장치를 통해 식별된 양치 시간 및 양치 횟수를 포함하는 양치 정보를 바탕으로 치아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양치 정보, 칫솔의 교체 주기, 칫솔의 종류,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성별, 및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바탕으로, 치아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30098677A 2023-07-05 2023-07-28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662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066 2023-07-05
KR20230087066 2023-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374B1 true KR102662374B1 (ko) 2024-04-30

Family

ID=9088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8677A KR102662374B1 (ko) 2023-07-05 2023-07-28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37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321A (ko)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휴로 칫솔 감지센서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KR20150141387A (ko) * 2014-06-10 2015-12-18 지예은 양치 관리 시스템
KR101759898B1 (ko) * 2017-03-31 2017-07-20 루나소사이어티 유한책임회사 칫솔 탈착형 양치관리장치 및 양치관리시스템
KR101951643B1 (ko) * 2018-08-06 2019-02-25 노블웍스 주식회사 노리개 젖꼭지 살균기
KR20200105557A (ko) * 2019-02-28 2020-09-08 비아이에스그룹 주식회사 스마트 칫솔을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KR102214712B1 (ko) * 2020-08-18 2021-02-10 주식회사 텐핑 칫솔 살균 장치
KR102250631B1 (ko) 2019-11-28 2021-05-10 염진학 치아 관리용 스마트 칫솔
KR102269549B1 (ko) * 2019-12-26 2021-06-25 (주)에코 단체 칫솔 관리를 통한 덴탈 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321A (ko)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휴로 칫솔 감지센서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KR20150141387A (ko) * 2014-06-10 2015-12-18 지예은 양치 관리 시스템
KR101759898B1 (ko) * 2017-03-31 2017-07-20 루나소사이어티 유한책임회사 칫솔 탈착형 양치관리장치 및 양치관리시스템
KR101951643B1 (ko) * 2018-08-06 2019-02-25 노블웍스 주식회사 노리개 젖꼭지 살균기
KR20200105557A (ko) * 2019-02-28 2020-09-08 비아이에스그룹 주식회사 스마트 칫솔을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KR102250631B1 (ko) 2019-11-28 2021-05-10 염진학 치아 관리용 스마트 칫솔
KR102269549B1 (ko) * 2019-12-26 2021-06-25 (주)에코 단체 칫솔 관리를 통한 덴탈 케어 시스템
KR102214712B1 (ko) * 2020-08-18 2021-02-10 주식회사 텐핑 칫솔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0156A1 (en) Family sleep monitoring system
JP6551110B2 (ja) 口腔ケアサポートシステム
RU2721939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галитоза
CN206532398U (zh) 刷牙提醒系统
WO2018153241A1 (zh) 刷牙提醒系统
Kader et al. Design & implementation of an automated reminder medicine box for old people and hospital
US20130144743A1 (en) Ophthalmic lens storing unit with programmable and communication elements for monitoring the use and automated ordering
JP2006235809A (ja) 歯科衛生商品販売促進装置
Muirhead et al. Life course experiences and lay diagnosis explain low‐income parents' child dental decisions: a qualitative study
TWI556127B (zh) 用於監測鏡片狀態及其對geo-social現象之反應的一種具可程式化及通信元件的鏡片儲存單元
KR102662374B1 (ko) 살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양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WO2018153242A1 (zh) 刷牙提醒系统
CN106913063A (zh) 用户提醒方法及装置
Judah et al.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Real Time Location System to reliably monitor everyday activities in natural contexts
EP3441764A1 (en) Method for determining stage of periodontal disease
Baker‐Ward et al. Predicting children's recall of a dental procedure: Contributions of stress, preparation, and dental history
CN206532399U (zh) 刷牙提醒系统
Caraban et al. Social toothbrush: fostering family nudging around tooth brushing habits
TWI655936B (zh) 單邊咀嚼監測設備及監測方法
JP6181083B2 (ja) 使用及び自動化された発注をモニタリングするプログラム可能な要素及び通信要素を有する眼用レンズ保管ユニット
Yeo et al. Effect of dental caries management using ‘CAMBRA‐kids’ mobile application for children under 5 years old
Moulster et al. A new learning disability nursing framework
US11321677B1 (en) Action reminder device and method
FR3068815A1 (fr) Systeme, dispositif et procede pour surveiller de maniere personnalisee l’etat de sante d’au moins un patient a risque
US202201678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indications of cognitive dec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