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816B1 -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816B1
KR102661816B1 KR1020160174658A KR20160174658A KR102661816B1 KR 102661816 B1 KR102661816 B1 KR 102661816B1 KR 1020160174658 A KR1020160174658 A KR 1020160174658A KR 20160174658 A KR20160174658 A KR 20160174658A KR 102661816 B1 KR102661816 B1 KR 102661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convex
emit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030A (ko
Inventor
장지향
조소영
구원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4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816B1/ko
Priority to US15/846,812 priority patent/US10381601B2/en
Priority to CN202010099029.5A priority patent/CN111276626B/zh
Priority to CN201711382965.1A priority patent/CN108232020B/zh
Publication of KR2018007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030A/ko
Priority to US16/505,489 priority patent/US10714709B2/en
Priority to US16/898,041 priority patent/US11289683B2/en
Priority to US17/678,973 priority patent/US1181263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62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coating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는 제 1 전극,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볼록한 굴곡 또는 복수의 오목한 굴곡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높이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는 하부 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큰 유기발광층 및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는 전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장치의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은 유기발광장치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통과하여 유기발광장치 외부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유기발광장치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유기발광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들이 존재하게 되어, 유기발광장치의 광 추출 효율이 문제가 된다.
특히, 유기발광장치 중 하부발광 구조의 유기발광장치에서 애노드 전극에 의해 전반사 또는 광 흡수가 일어나 상기 유기발광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은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50%이고, 기판에 의해 전반사 또는 광흡수가 일어나 유기발광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은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30%정도이다. 이와 같이,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80%의 광이 유기발광장치 내부에 갇히게 되고, 약 20%의 광만이 외부로 추출되므로 광 효율이 매우 낮다.
이러한 유기발광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발광장치의 기판 외측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MLA)를 부착하거나, 유기발광장치의 내부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발광장치의 기판 외측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도입하거나, 장치 내부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소자 안에 갇히는 광이 많음으로써, 외부로 추출되는 광 량이 적은 문제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마이크로 렌즈를 적용함으로써, 기판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일부가 편광판의 편광축과 동일한 상태로 반사된다. 이로 인해, 유기발광 장치의 반사율(또는 확산반사율)이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사율을 낮출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장치는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되고,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정상부 또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복수의 오목부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복수의 정상부의 경사면의 기울기가 큰 오버코트층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장치는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장치는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장치는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장치는 발광영역 및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 오버코트층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는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는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고, 발광영역에서 볼록하거나 오목한 복수의 굴곡을 포함하며, 볼록한 굴곡을 이루는 경사면의 기울기는 오목한 굴곡을 이루는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큰 유기발광층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는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고, 유기발광층의 상면의 형상을 따르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는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볼록한 굴곡 또는 복수의 오목한 굴곡을 구비하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높이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는 하부 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큰 유기발광층을 포함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는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는 발광영역에서 오버코트층의 오목부를 이루는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정상부를 이루는 경사면의 기울기가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반사율을 낮추는 동시에 전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 영역에서 유기발광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X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오버코트층의 정상부의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들을 개념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오버코트층의 정상부의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간격(G)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상부의 최대 기울기를 갖는 위치에서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오버코트층의 정상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오버코트층의 정상부의 형상에 따른 전류 효율(Current Efficiency)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대한 정상부의 종횡비(A/R)에 따른 확산반사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게이트 전극(121), 액티브층(122), 소스전극(124) 및 드레인 전극(123)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120) 및 박막 트랜지스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전극(150), 유기발광층(160) 및 제 2 전극(170)을 구비하는 유기발광소자(EL)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전극(121)이 배치되고, 게이트 전극(121) 및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전극(121)과 액티브층(122)을 절연시키기 위한 게이트 절연층(131)이 배치되고, 게이트 절연층(131) 상에 액티브층(122)이 배치되고, 액티브층(122) 상에 에치 스토퍼(etch stopper; 132)가 배치되고, 액티브층(122) 및 에치 스토퍼(132) 상에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이 배치된다.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은 액티브층(122)과 접하는 방식으로 액티브층(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에치 스타퍼(132)의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된다. 에치 스토퍼(132)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 중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1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120)가 액티브층(122)을 기준으로 게이트 전극(121)이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의 반대 편에 위치하는 인버티드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 또는 바텀 게이트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나 액티브층(122)을 기준으로 게이트 전극(121)이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과 같은 편에 위치하는 코플래너(coplanar) 구조 또는 탑 게이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도 사용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20) 상에 패시베이션층(133)이 배치되고, 패시베이션층(133) 상에는 오버코트층(140)이 배치된다.
한편,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패시베이션층(133)과 오버코트층(140) 사이에는 컬러필터층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컬러필터층은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오버코트층(140) 상에는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50)이 배치된다. 그리고, 오버코트층(140)과 제 1 전극(150)의 상면의 일부에는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뱅크 패턴(136)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전극(150) 및 뱅크 패턴(136) 상에는 유기발광소자(EL)의 유기발광층(160) 및 제 2 전극(170)이 배치된다.
유기발광층(160)은 백색광을 발광하기 위해 복수의 유기층이 적층된 구조(tandem white)로 배치된다. 유기발광층(160)은 청색광을 발광하는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 1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고, 청색과 혼합하여 백색이 되는 색의 광을 발광하는 제 2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유기발광층은 예를 들어, 황녹색(yellowgreen) 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일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층(160)은 청색광, 적색광, 녹색광 중 하나를 발광하는 유기발광층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유기발광층(160) 및 제 2 전극(170)은 발광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 및 복수의 오목한 굴곡(141a)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굴곡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을 이루는 경사면(즉, 복수의 오목한 굴곡(142b)으로부터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까지의 높이(H1)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는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오목한 굴곡(141a)을 이루는 경사면(즉, 복수의 오목한 굴곡(142b)으로부터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까지의 높이(H1)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 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유기발광층(160)이 영역별로 적절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표시장치의 전류 효율 및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에서의 두께는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오목한 굴곡(141a)에서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소자(EL)는 유기발광층(160)의 두께가 가장 얇게 이루어지는 영역(복수의 볼록한 굴곡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유기발광소자(EL)의 전기장이 가장 크게 걸리게 되고, 전기장이 가장 크게 걸리는 영역에서 유기발광소자(EL)는 주 발광하게 된다. 즉,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에서 유기발광소자(EL)가 주 발광 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층(160)의 형상, 다시 말하면,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 또는 복수의 오목한 굴곡(141a)의 형상에 따라 유기발광층(160)의 영역별로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 및 복수의 오목한 굴곡(141a)의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들에는 유기발광층(160)의 볼록한 굴곡(142a)의 지름(D1(Diameter)), 높이(H1 (Height)), 종횡비(A/R1(Aspect Ratio)), 반높이 너비(F1(Full Width Half Max)), 반높이 너비 종횡비(F1_A/R1(=H/F)), 기울기(S1(Slope)),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Rm1(Ratio of MLA=(F_A/R)/(A/R))) 등이 있다.
유기발광층(160)의 볼록한 굴곡(142a)의 지름(D1)은 두 개의 볼록한 굴곡(142a) 사이의 중심들 간의 길이를 의미하고, 높이(H1)는 볼록한 굴곡(142a)의 바닥(즉, 유기발광층(160)의 오목한 굴곡(141a)의 저면)에서부터 정상(즉, 유기발광층(160)의 볼록한 굴곡(142a)의 상면)까지의 수직 길이를 의미한다. 반높이 너비(F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의 절반 위치에서 볼록한 굴곡(142a)의 폭을 의미한다. 볼록한 굴곡(142a)의 종횡비(A/R1)는 볼록한 굴곡(142a)의 높이(H1)를 볼록한 굴곡(142a)의 반지름(D1/2)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층(160)의 볼록한 굴곡(142a)의 지름(D1)은 1㎛ 내지 5㎛이고, 볼록한 굴곡(142a)의 종횡비(A/R1)는 0.3 내지 0.5일 수 있다. 그리고, 볼록한 굴곡(142a)의 반높이 너비(F1)는 0.975㎛ 내지 1.5㎛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볼록한 굴곡(142a)의 반높이 너비 종횡비(F1_A/R1)는 0.4 내지 0.75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발광층(160)의 볼록한 굴곡(142a)의 종횡비(A/R1)가 0.3 내지 0.5일 때, 반높이 너비 종횡비(F1_A/R1)의 증가로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Rm1)가 1.2 이상인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한편, 볼록한 굴곡(142a)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Rm1)의 비는 반높이 종횡비(F1_A/R1)와 종횡비(A/R1)의 비율로서 가장 급격한 최대 기울기(Smax)을 가지는 영역을 결정짓는 변수라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유기발광층(160)의 볼록한 굴곡(142a)의 종횡비(A/R)는 0.3 내지 0.5로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볼록한 굴곡(142a)의 종횡비(A/R)의 범위로 인해 반높이 너비 종횡비(F1_AR1)의 값은 0.4 내지 0.7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Rm1)가 1.2 이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기발광층(160)의 최대 기울기(Smax)를 갖는 영역은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층(160)의 두께가 가장 얇게 이루어지는 영역은 유기발광층(160)의 최대 기울기(Smax)를 갖는 영역일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유기발광층(160)은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이 구비되는 영역에서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유기발광층(160)의 볼록한 굴곡(142a) 높이(H1)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은 최대 기울기(Smax)를 갖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층(160)의 볼록한 굴곡(142a) 높이(H1)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는 상부 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작을 수 있다.
유기발광층(160)의 경사면의 기울기가 큰 영역일 수록 제 1 전극(150)과 제 2 전극(170) 사이에 위치한 유기발광층(160)의 최단 두께가 얇아지면서 전기장이 국부적으로 모이는 유효 발광 영역이 발생한다. 이 때, 유기발광소자(EL)를 구동하면 이러한 유효 발광 영역에서 전기장이 국부적으로 집중되고 주된 전류 경로가 형성되어 주된 발광이 일어나게 된다. 반면에,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오목한 굴곡(141a)과 대응되는 영역은 유기발광소자(EL) 비유효 발광 영역일 수 있다.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의 최대 기울기(Smax)는 2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여기서, 유기발광층(160)의 최대 기울기(Smax)는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의 하면의 접선과 수평면 사이 각도가 최대인 기울기를 의미한다.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의 최대 기울기(Smax)가 20도 미만이거나 60도를 초과할 경우, 유기발광소자(EL)의 주 발광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굴곡에 대응하여 유기발광소자(EL)의 제 2 전극(170) 역시 복수의 굴곡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이 다중 반사되어, 표시장치 외부로 많은 양의 광이 추출 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굴곡에 대응하여, 오버코트층(140)은 복수의 정상부 또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유기발광층(160)이 복수의 굴곡을 구비함에 따라 오버코트층(140)의 상면은 유기발광층(160)의 모폴로지(morphology)를 따르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50) 역시, 유기발광층(160)이 복수의 굴곡을 구비함에 따라 제 1 전극(150)의 상면은 유기발광층(160)의 모폴로지를 따르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코트층(140) 및 제 1 전극(150)의 상면이 발광영역에서 유기발광층(160)의 모폴로지를 따르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오버코트층(140) 또는 제 1 전극(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이 발광영역에서 유기발광층(160)의 모폴로지를 따르는 구성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도 1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층(160) 및 제 2 전극(170)만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굴곡을 가진 형상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하부발광(bottom emission)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 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필요에 따라서 상부발광(top-emission)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X 영역에서 유기발광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발광층(140)은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과 복수의 오목한 굴곡(141a)을 포함하는데, 복수의 오목한 굴곡(142b)으로부터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까지의 높이(H1)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영역은 백색으로 도시하고, 복수의 오목한 굴곡(142b)으로부터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까지의 높이(H1)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영역은 흑색으로 도시한다. 이 때,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오목한 굴곡(141a)은 평면상으로 전체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층(160)의 복수의 볼록한 굴곡(142a)은 복수의 오목한 굴곡(141a)을 둘러싸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오목한 굴곡(141a)의 형상은 원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 또는 반타원체 형상,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X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코트층(140)은 복수의 정상부(142) 및 복수의 오목부(141)를 구비한다. 복수의 정상부(142) 및 복수의 오목부(141)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140) 상에는 유기발광소자(EL)의 유기발광층(160) 및 제 2 전극(170)이 오버코트층(140)의 모폴로지를 따를 수 있다.
즉, 유기발광소자(EL)의 유기발광층(160) 및 제 2 전극(170)은 오버코트층(140)의 복수의 정상부(142) 및 복수의 오목부(141)가 구비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볼록하거나 오목한 복수의 굴곡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50) 역시 오버코트층(140)의 복수의 정상부(142) 및 복수의 오목부(141)가 구비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볼록하거나 오목한 복수의 굴곡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소자(EL)의 유기발광층(160)이 볼록하거나 오목한 복수의 굴곡을 포함함으로써, 발광영역에서 유기발광층(160)의 두께는 영역별로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서술되는 유기발광층(160)의 두께는 오버코트층(140)의 오목부(141) 및 정상부(142)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유기발광층(160)의 굴곡의 접선으로부터 수직한 길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와 오목부(141) 사이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 1 전극(150)에 수직한 유기발광층(160)의 두께(d1)와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정상영역과 대응되는 영역(B)에서의 유기발광층(160)의 두께(d2)는 오버코트층(140)의 오목부(141)와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유기발광층(160)의 두께(d3)보다 얇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층(160)을 형성하는 방법 중, 증착 방법으로 유기발광층(160)을 형성하는 경우, 기판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증착되는 유기발광층(160)의 두께는 동일하지만, 유기발광층(160)이 오버코트층(140)의 모폴로지를 따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증착 공정의 특성상 유기발광층(160)의 기울기가 가장 큰 위치에서 유기발광층(160)의 두께는 가장 얇게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A 지점, B 지점 및 A지점과 B지점 사이 영역에서 유기발광층(160)의 두께는 가장 얇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기발광층(160)의 두께가 가장 얇게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유기발광소자(EL)의 전기장이 가장 크게 걸리게 되고, 전기장이 가장 크게 걸리는 영역에서 유기발광소자(EL)는 주 발광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최대 기울기(Smax)를 갖는 영역(143, 이하 연결부로 명명함)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유기발광층(160)의 두께(d1)는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와 오목부(141)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유기발광층(160)의 두께(d2, d3)보다 얇게 이루어지므로, 유기발광소자(EL)는 오버코트층(140)의 연결부(143)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주발광하게 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상부(142)의 최대 기울기(Smax)를 갖는 영역을 연결부(143)로 명명하였으나, 연결부(143)는 정상부(142)를 이루는 경사면 전체일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EL)가 외부 광 추출 효율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구조를 가지는 경우, 패턴의 특성상 유기발광소자(EL) 표면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에 의해 볼록한 굴곡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기울기가 큰 영역일 수록 제 1 전극(150)과 제 2 전극(170) 사이에 위치한 유기발광층(160)의 최단 두께(d1)가 얇아지면서 전기장이 국부적으로 모이는 유효 발광 영역(Y), 즉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와 연결부(143)를 포함하는 영역이 발생한다.
이 때, 유기발광소자(EL)를 구동하면 이러한 유효 발광 영역에서 전기장이 국부적으로 집중되고 주된 전류 경로가 형성되어 주된 발광이 일어나게 되는 반면에 오버코트층(140)의 오목부(141)에서는 비유효 발광 영역(Z)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영역에서 오버코트층(140)은 복수의 오목부(141), 복수의 정상부(142) 및 복수의 연결부(143)로 구성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패턴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유기발광층(160)에서 발광된 광이 제 1 전극(150)과 유기발광층(160) 내부에 전반사되면서 갇히던 것이 삽입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구조에 의해 전반사되던 광원들의 경로가 전반사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변경되면서 외부로 추출되는 광원의 증가를 통해 외부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삽입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에 의해 유기발광층(160)에서 발광된 광의 진행 각도가 바뀌게 되는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형상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서도 광의 진행 각도가 확연히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버코트층(140)에 구비된 정상부(142)의 형상에 따라 광의 진행 각도가 다르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 광 추출 효율 역시 달라지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외부 광 추출 효율 향상을 위해 삽입된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 형상에 따라 변화되는 광 경로를 통해 유기발광소자(160) 내부에 전반사되어 갇히던 광들이 외부로 추출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광 추출 효율 향상을 위해 삽입된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 또는 오목부(141) 형상에 따른 광 경로 변화가 광 추출 효율 개선의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를 중심으로 그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오버코트층(140)의 볼록부의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들은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지름(D(Diameter)), 높이(H (Height)), 종횡비(A/R(Aspect Ratio)), 반높이 너비(F(Full Width Half Max)), 반높이 너비 종횡비(F_A/R(=H/F)), 기울기(S(Slope)), 정상부(142)의 바닥에서 이격 거리(G(Gap)),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Rm(Ratio of MLA=(F_A/R)/(A/R))) 등이 있다.
도 4는 오버코트층의 정상부의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들을 개념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오버코트층의 정상부의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간격(G)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지름(D)은 두 개의 정상부(142) 사이의 중심들 간의 길이를 의미하고, 높이(H)는 오목부(141)의 바닥(즉, 오버코트층(140)의 오목부(141)의 저면)에서부터 정상부(142)(즉,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상면)까지의 수직 길이를 의미한다. 반높이 너비(F)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의 절반 위치에서 정상부(142)의 폭을 의미한다. 정상부(142)의 종횡비(A/R)는 정상부(142)의 높이(H)를 정상부(142)의 반지름(D/2)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는 지름(D)은 1㎛ 내지 5㎛이고, 높이(H)는 0.6㎛ 내지 1.3㎛일 수 있다. 정상부(142)의 지름(D)과 높이(H)가 상술한 범위로 이루어질 때, 정상부(142)의 종횡비(A/R)는 0.24 내지 2.6이하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상부(142)의 종횡비(A/R)는 0.3 내지 0.5일 수 있다. 그리고, 정상부(142)의 반높이 너비는 0.975㎛ 내지 1.5㎛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상부(142)의 반높이 너비 종횡비(F_A/R)는 0.4 내지 0.75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종횡비(A/R)가 0.3 내지 0.5일 때, 반높이 너비 종횡비(F_A/R)의 증가로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Rm)가 1.2 이상인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한편, 정상부(142)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Rm)의 비는 반높이 종횡비(F_A/R)와 종횡비(A/R)의 비율로서 가장 급격한 최대 기울기(Smax)을 가지는 영역을 결정짓는 변수라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종횡비(A/R)는 0.3 내지 0.5로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상부(142)의 종횡비(A/R)의 범위로 인해 반높이 너비 종횡비(F_AR)의 값은 0.4 내지 0.75의 값을 가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유기발광소자(EL)가 배치되는 표면은 상술한 조건을 갖는 정상부(142)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140)의 상면일 수 있다.
한편,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가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정상부(142)를 구비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비해 전류효율 상승률이 높아질 수 있는데, 이러한 효과는 추후 설명하는 도 8 및 도 9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하도록 한다.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형상을 정의하는 변수로 종횡비(A/R)만 적용하였을 때, 종횡비(A/R)이 동일하여 지름(D)와 높이(H)로만 정의하는 그 비율이 동일하더라도 반높이 너비(F)나 볼록부들 사이 간격(G) 등 나머지 변수들로 정의되는 값들이 달라질 때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 내의 정상부(142)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140)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상부의 최대 기울기를 갖는 위치에서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는 최대 기울기(Smax)가 위치하는 영역(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높이(H)를 기준으로 이등분할 때, 오목부(141)에 가까운 제 1 영역(B) 및 오목부(141)로부터 제 1 영역(B)보다 먼 제 2 영역(A)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정상부(142)는 제 2 영역(A)에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질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정상부(142) 높이(H)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은 최대 기울기(Smax)를 갖는 제 2 영역(A)이고, 하부 영역은 제 2 영역(A)의 기울기보다 낮은 기울기를 갖는 제 1 영역(B)이다.
한편,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상부(142)는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Rm)가 1.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상부(142)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Rm)의 비가 1.2 미만인 경우,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지는 영역이 제 1 영역(B)이다. 정상부(142)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Rm)의 비가 1.2 이상일 경우,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지는 영역이 제 2 영역(A)이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상부(142)는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Rm)가 1.2 이상이므로,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지는 영역이 제 2 영역(A)일 수 있다.
한편,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를 이루는 경사면의 전 영역은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코트층(140)의 오목부(141)의 기울기(즉, 오목부(141)로부터 정상부(142)까지의 높이(H)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는 정상부(142)의 기울기(S)(즉, 오목부(141)로부터 정상부(142)까지의 높이(H)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낮은 기울기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코트층(140)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오목부(141)에서 정상부(142)로 갈수록 경사면의 기울기가 커지는 형상이며, 이로 인해 오목부(141)에서 정상부(142)로 갈수록 홀쭉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부(142)의 기울기(S)는 정상부(142)의 하면의 접선과 수평면 사이 각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최대 기울기는 정상부(142)의 하면의 접선과 수평면 사이 각도가 최대인 기울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정상부(142)의 기울기(S)는 2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정상부(142)이 기울기(S)가 상술한 범위에 속하지 않을 때, 오버코트층(140)을 통해 추출되는 광량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코트층(140) 상에 배치되치되는 유기발광층(160)은 정상부(142)의 최대 기울기(Smax)가 위치하는 영역(A)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두께가 가장 얇을 수 있다. 유기발광층(160)의 두께는 정상부(142)의 최대 기울기(Smax)가 위치하는 영역(A)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유기발광층(160) 굴곡의 접선으로부터 수직한 길이를 의미한다. 이로 인해,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전기장이 집중되므로 유기발광소자는 최대 발광 효율을 낼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가 홀쭉한 형상을 이루므로 측면 방향의 광 경로가 감소하여 외부 광 추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유기발광소자가 최대 발광 효율을 갖는 동시에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에서 광 추출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한편,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종횡비(A/R)가 유사할지라도, 정상부(142)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종횡비(A/R)를 갖는 정상부일지라도, 정상부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상부(142)의 형상과는 다르게 뚱뚱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상부(142)와 종횡비(A/R)가 동일하거나 유사할 지라도, 정상부(142)의 반높이 너비(F)가 다를 시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이를 도 8과 비교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오버코트층의 정상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오버코트층(240)의 정상부(242)의 종횡비(A/R)와 도 7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종횡비(A/R)는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에 따른 오버코트층(240)의 정상부(242)의 반높이 너비(F')는 도 7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반높이 너비(F)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비교예에 따른 오버코트층(240)의 정상부(242) 최대 기울기(Smax)가 위치하는 영역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코트층(140)의 정상부(142)의 최대 기울기(Smax)가 위치하는 영역보다 오목부(241)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이로 인해, 오버코트층(140, 240)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진행하는 경로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버코트층(140, 240)의 최대 기울기(Smax)를 갖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유기발광소자는 주발광하게 되며, 이 영역에서 발광된 광은 오버코트층(140, 240)의 정상부(142, 242)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 기판 밖으로 추출되는 경로가 달라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오버코트층(240)이 최대 기울기(Smax)를 갖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발광된 광의 일부는 오버코트층(240)이 최대 기울기(Smax)를 갖는 영역의 일 측에 부딪혀 기판 밖으로 추출되나, 나머지 일부는 기판 밖으로 추출되지 못하고 갇히게 된다. 즉, 비교예의 경우 광 추출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반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코트층(140)이 최대 기울기(Smax)를 갖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발광된 광의 대부분이 오버코트층(140)의 최대 기울기(Smax)를 갖는 영역의 일 측에 부딪혀 기판 밖으로 추출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류 효율을 도 9를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오버코트층의 정상부의 형상에 따른 전류 효율(Current Efficiency)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상부의 종횡비(A/R)가 0.5 이하일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전류 효율이 비교예(도 8참조)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전류 효율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즉, 오버코트층의 종횡비(A/R)가 동일하거나 유사할 지라도, 정상부의 반높이 너비(F)가 작아짐에 따라 전류 효율이 달리짐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오버코트층을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전류 효율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따른 정상부 상에 두께가 얇은 유기발광층이 적층됨으로써, 유기발광소자가 최적 구조를 가짐으로 전류 효율이 더욱 향상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정상부의 종횡비(A/R)는 패널의 확산반사율과 비례관계를 갖는다. 즉, 정상부의 종횡비(A/R)가 증가하면, 확산반사율 역시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확산 반사율은 기판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일부가 편광판의 편광축과 동일한 상태로 반사되어 향상된 표시장치의 반사율을 의미한다. 전류 효율이 높더라도, 확산 반사율이 높을 경우,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블랙(black) 시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확산 반사율을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전류 효율이 향상된 구조가 필요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임을 도 10을 통해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실시예에 대한 정상부의 종횡비(A/R)에 따른 확산반사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정상부를 구비하는 구조는 정상부의 종횡비(A/R)가 증가함에 따라 확산 반사율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가 삽입된 패널에서 확산 반사율이 약 20 % 이하일 때, 시청자가 블랙(black) 시감이 저하된 것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상부를 구비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0.6 미만의 종횡비(A/R)에서 확산 반사율이 약 20%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9 및 도 10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상부를 구비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정상부의 종횡비(A/R)가 0.5 이하일 때 높은 전류 효율을 갖는 동시에 낮은 확산 반사율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코트층의 정상부의 경사면의 기울기가 오목부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정상부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유기발광소자의 주발광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전류 효율이 상승하고,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낮은 확산 반사율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등의 유기발광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10: 기판
140: 오버코트층
141: 오목부
142: 정상부
150: 제 1 전극
160: 유기발광층
170: 제 2 전극

Claims (32)

  1.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볼록한 굴곡 및 복수의 오목한 굴곡을 구비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높이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복수의 오목한 굴곡의 저면에서부터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상면까지의 수직 길이로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높이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는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높이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큰 유기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유기발광층의 모폴로지(morphology)를 따르는 유기발광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을 이루는 경사면에서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는 상기 복수의 오목한 굴곡에서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보다 얇은 유기발광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종횡비는 0.3 내지 0.5인 유기발광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지름은 1㎛ 내지 5㎛인 유기발광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반높이 너비는 0.975㎛ 내지 1.5㎛ 이하인 유기발광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반높이 너비 종횡비는 0.4 내지 0.75인 유기발광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가 1.2 이상인 유기발광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최대 기울기가 20도 내지 60도인 유기발광소자.
  10. 삭제
  11.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정상부 및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상기 복수의 정상부의 경사면의 기울기가 큰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발광층은 복수의 볼록한 굴곡 및 복수의 오목한 굴곡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높이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복수의 오목한 굴곡의 저면에서부터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상면까지의 수직 길이로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높이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는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높이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큰 유기발광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상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보다 얇은 유기발광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상부의 종횡비는 0.3 내지 0.5인 유기발광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상부의 높이는 0.6㎛ 내지 1.3㎛인 유기발광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상부의 지름은 1㎛ 내지 5㎛인 유기발광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상부의 반높이 너비는 0.975㎛ 내지 1.5㎛ 이하인 유기발광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상부의 반높이 너비 종횡비는 0.4 내지 0.75인 유기발광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상부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가 1.2 이상인 유기발광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상부의 최대 기울기가 20도 내지 60도인 유기발광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부 높이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에서 최대 기울기를 갖는 유기발광장치.
  21. 발광영역 및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영역에서 볼록한 굴곡 및 오목한 굴곡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면의 형상을 따르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한 굴곡의 높이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오목한 굴곡의 저면에서부터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볼록한 굴곡의 상면까지의 수직 길이로 정의되고,
    상기 볼록한 굴곡의 높이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는 상기 볼록한 굴곡의 높이의 절반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큰 유기발광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는 상기 볼록한 굴곡을 이루는 영역에서 가장 얇은 유기발광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상면과 상기 오버코트층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은 상기 유기발광층의 모폴로지를 따르는 형상을 갖는 유기발광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은 상기 유기발광층의 복수의 굴곡에 대응하여 복수의 정상부 및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유기발광장치.
  2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은 상기 복수의 오목한 굴곡의 저면에서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상면으로 갈수록 경사면의 기울기가 커지는 형상을 갖는 유기발광장치.
  2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은 상기 복수의 오목한 굴곡의 저면에서 상기 복수의 볼록한 굴곡의 상면으로 갈수록 홀쭉한 형상을 갖는 유기발광장치.
  2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의 상면은 상기 유기발광층의 모폴로지를 따르는 형상을 갖는 유기발광장치.
  2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오버코트층에 직접 접촉되는 유기발광장치.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은 상기 오목한 굴곡의 저면에서 상기 볼록한 굴곡의 상면으로 갈수록 경사면의 기울기가 커지는 형상을 갖는 유기발광장치.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은 상기 오목한 굴곡의 저면에서 상기 볼록한 굴곡의 상면으로 갈수록 홀쭉한 형상을 갖는 유기발광장치.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 굴곡의 지름은 두 개의 상기 볼록한 굴곡 사이의 중심들 간의 길이로 정의되고,
    상기 볼록한 굴곡의 반높이 너비는 상기 볼록한 굴곡의 높이의 절반 위치에서 상기 볼록한 굴곡의 폭으로 정의되고,
    상기 볼록한 굴곡의 종횡비는 상기 볼록한 굴곡의 높이를 상기 볼록한 굴곡의 반지름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고,
    상기 볼록한 굴곡의 반높이 너비 종횡비는 상기 볼록한 굴곡의 높이를 상기 볼록한 굴곡의 반높이 너비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고,
    상기 볼록한 굴곡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는 상기 볼록한 굴곡의 반높이 너비 종횡비를 상기 볼록한 굴곡의 종횡비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고,
    상기 볼록한 굴곡은, 0.3 내지 0.5의 종횡비, 0.4 내지 0.75의 반높이 너비 종횡비, 1.2 이상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종횡비를 갖는 유기발광장치.
  3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오버코트층에 직접 접촉되는 유기발광장치.
KR1020160174658A 2016-12-20 2016-12-20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KR102661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658A KR102661816B1 (ko) 2016-12-20 2016-12-20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US15/846,812 US10381601B2 (en) 2016-12-20 2017-12-19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including convex curve or concave curv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2010099029.5A CN111276626B (zh) 2016-12-20 2017-12-20 有机发光二极管和包括该有机发光二极管的有机发光装置
CN201711382965.1A CN108232020B (zh) 2016-12-20 2017-12-20 有机发光二极管和包括该有机发光二极管的有机发光装置
US16/505,489 US10714709B2 (en) 2016-12-20 2019-07-08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including convex curve or concave curv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6/898,041 US11289683B2 (en) 2016-12-20 2020-06-1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ing convex curve or concave curv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7/678,973 US11812636B2 (en) 2016-12-20 2022-02-23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overcoat lay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658A KR102661816B1 (ko) 2016-12-20 2016-12-20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030A KR20180072030A (ko) 2018-06-29
KR102661816B1 true KR102661816B1 (ko) 2024-04-29

Family

ID=6255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658A KR102661816B1 (ko) 2016-12-20 2016-12-20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10381601B2 (ko)
KR (1) KR102661816B1 (ko)
CN (2) CN1112766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0365A (ko) 2016-09-13 2018-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61816B1 (ko) * 2016-12-20 2024-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KR102365022B1 (ko) * 2017-09-12 2022-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7057147B2 (ja) 2018-01-31 2022-04-19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CN110649174B (zh) * 2018-06-26 2022-06-28 乐金显示有限公司 发光显示装置
KR102583619B1 (ko) * 2018-06-29 2023-09-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505170B1 (ko) 2018-08-14 2023-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557743B1 (ko) * 2018-08-14 2023-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497287B1 (ko) * 2018-08-16 2023-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11061499B2 (en) * 2018-12-12 2021-07-1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CN109728178B (zh) * 2019-01-02 2021-03-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元件、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面板
CN110649182B (zh) * 2019-10-16 2022-03-22 苏州大学 一种有机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KR20210079007A (ko) * 2019-12-19 2021-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N111969131A (zh) * 2020-08-31 2020-11-20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4528A (ja) * 2003-07-22 2005-02-17 Toyota Industries Corp 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el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135B1 (ko) * 2006-11-27 2013-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76774A (ja) * 2009-09-29 2011-04-14 Sony Corp 発光装置および表示装置
WO2011111629A1 (ja) * 2010-03-08 2011-09-15 旭硝子株式会社 有機led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67376B1 (ko) * 2013-05-21 2020-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7261A (ko) * 2013-12-27 2015-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04022144B (zh) 2014-06-23 2017-02-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结构及其制作方法
CN104466006A (zh) 2014-12-02 2015-03-2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KR102601128B1 (ko) * 2016-09-29 2023-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661816B1 (ko) * 2016-12-20 2024-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4528A (ja) * 2003-07-22 2005-02-17 Toyota Industries Corp 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el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76626A (zh) 2020-06-12
CN108232020A (zh) 2018-06-29
US20200303685A1 (en) 2020-09-24
US20220181588A1 (en) 2022-06-09
US11289683B2 (en) 2022-03-29
US10381601B2 (en) 2019-08-13
US10714709B2 (en) 2020-07-14
KR20180072030A (ko) 2018-06-29
US20190334126A1 (en) 2019-10-31
US11812636B2 (en) 2023-11-07
CN108232020B (zh) 2020-03-17
US20180175327A1 (en) 2018-06-21
CN111276626B (zh)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816B1 (ko)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JP6612380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596763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CN109962174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20240041896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30157279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6653798B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52095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80062548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00751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8258134B (zh) 顶部发光型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CN111969121A (zh) 发光显示装置
KR20200134752A (ko) 발광 표시 장치
KR10228591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76671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645606B1 (ko)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08318B1 (ko) 유기발광장치
KR101802778B1 (ko) 상부발광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51563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9827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40069198A (ko) 표시 장치
KR20200133653A (ko)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