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658B1 -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658B1
KR102661658B1 KR1020230098207A KR20230098207A KR102661658B1 KR 102661658 B1 KR102661658 B1 KR 102661658B1 KR 1020230098207 A KR1020230098207 A KR 1020230098207A KR 20230098207 A KR20230098207 A KR 20230098207A KR 102661658 B1 KR102661658 B1 KR 102661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orage area
transmission
sensor node
no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식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드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드톡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드톡스
Priority to KR1020230098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게시 데이터(Advertising Data)에 송신하고자 하는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저장하여 송신하는 센서 노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UUID 필드에 센서 노드 장치의 모델명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송신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메이저 필드 및 마이너 필드에 상기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System for sending and receiving sensing data using data segmentation}
본 발명은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 노드 장치가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UUID 필드에 센서 노드 장치의 모델명 정보와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 정보를 저장하고,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메이저 필드 및 마이너 필드에 송신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하고, 해당 게시 데이터를 수신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송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는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PANs)을 위한 산업 표준으로 IEEE 802.15.1 규격을 사용하며, 다양한 기기들이 안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전 세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블루투스는 ISM 대역인 2.45GHz를 사용하며, 버전 1.1, 1.2, 2.0+EDR(Enhanced Data Rate), 2.1+EDR, 3.0+HS(High Speed), 4.0, 4.1와 같이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여 발전하였으며, 블루투스 4.0에서부터 저전력(BLE; Bluetooth Low Energy) 새로운 프로토콜 스택이 제안된다. 여기서, 전력호스트를 위한 "Bluetooth Smart Ready" 와 센서를 위한 "Bluetooth Smart" 가 제공된다.
이러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단말을 비콘(Beacon)이라 한다. 비콘은 통신 단말 간 페어링(pairing)절차가 불필요하고, 저전력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일대다는 물론 다대다 통신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광고, 정보 전송, 홈오토메이션, 결제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기술들은 배터리를 내장한 소형 비콘 단말을 설치하여 소정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기 때문에, 비콘 단말의 배터리 소모시 비콘 단말을 교체해야 하는 등 비콘 단말의 구입과 등록, 비콘 서비스 시스템의 구축, 유지, 보수 등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기술들은 단순히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표지 신호로서의 비콘 신호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송신되는 데이터에 최적화된 프로토콜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 기술들은 복수의 비콘 신호를 교차 송신할 뿐, 비콘 신호를 멀티 송신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3111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노드 장치가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UUID 필드에 센서 노드 장치의 모델명 정보와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 정보를 저장하고,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메이저 필드 및 마이너 필드에 송신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하고, 해당 게시 데이터를 수신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송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게시 데이터(Advertising Data)에 송신하고자 하는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저장하여 송신하는 센서 노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UUID 필드에 센서 노드 장치의 모델명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송신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메이저 필드 및 마이너 필드에 상기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UUID 필드 내의 모델명 영역에 상기 모델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UUID 필드 내의 데이터 종류 영역에 상기 데이터 종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송신 데이터 각각을 제1 분할 데이터와 상기 제1 분할 데이터 보다 상위 비트인 제2 분할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메이저 필드 및 상기 마이너 필드 중 하나 이상 내의 제1 데이터 저장 영역에 상기 제1 분할 데이터가 서로 이웃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마이너 필드 내의 제2 데이터 저장 영역에 상기 제2 분할 데이터가 서로 이웃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마이너 필드 내의 세부 모델명 영역에 상기 센서 노드 장치의 세부 모델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제2 분할 데이터의 총 데이터 크기가 상기 세부 모델명 영역을 제외한 상기 마이너 필드의 저장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알림 여부를 나타내는 알림 여부 정보를 상기 마이너 필드 내의 알림 여부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상기 센서 노드 장치; 및 상기 센서 노드 장치로부터 복수의 송신 데이터가 저장된 게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복수의 송신 데이터가 알림 조건인지 판단하고, 알림 조건으로 판단되면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센서 노드 장치가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UUID 필드에 센서 노드 장치의 모델명 정보와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 정보를 저장하고,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메이저 필드 및 마이너 필드에 송신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하고, 해당 게시 데이터를 수신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송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센서 노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통신 규격의 특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센서 노드 장치가 송신하는 게시 데이터의 포맷과 게시 데이터 중에서 비콘 피처 플래그용 제1 AD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센서 노드 장치가 송신하는 게시 데이터의 포맷과 게시 데이터 중에서 송신 데이터가 저장된 비콘용 제2 AD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UUID 필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메이저 필드 및 마이너 필드 각각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센서 노드 장치가 게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센서 노드 장치가 다른 게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UUID 필드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작동,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 “~부”, “~장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 “~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부”, “~장치”는 기계 구동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센서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센서 노드 장치(100), 수신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노드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는 상호 통신 연결을 구축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센서 노드 장치(100)는 복수의 게시 데이터(Advertising Data) 각각에 송신하고자 하는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저장하여 송신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송신 데이터가 저장된 복수의 게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데이터는 센싱 대상을 센싱한 결과를 나타내는 센싱 데이터일 수도 있고, 센서 노드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시스템 데이터일 수도 있다.
한편, 센서 노드 장치(100)는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UUID 필드에 센서 노드 장치의 모델명 정보 및 복수의 송신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노드 장치(100)는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메이저 필드 및 마이너 필드에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 게시 데이터의 구조 및 구성과 게시 데이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센서 노드 장치(100), 수신 장치(20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블루투스 4.0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에서 규정하는 프로토콜 스택, 레이어 및 프로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센서 노드 장치(100)가 게시 데이터의 구조 및 구성과 게시 데이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센서 노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통신 규격의 특성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센서 노드 장치가 송신하는 게시 데이터의 포맷과 게시 데이터 중에서 비콘 피처 플래그용 제1 AD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센서 노드 장치가 송신하는 게시 데이터의 포맷과 게시 데이터 중에서 송신 데이터가 저장된 비콘용 제2 AD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UUID 필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메이저 필드 및 마이너 필드 각각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면, 센서 노드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일 수 있고, 네트워크 내에서 센트럴 역할과 퍼리퍼럴 역할 모두를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센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최상위 노드일 수 있고, 네트워크 내에서 센트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P 장치(Access Point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노드 장치(100)는 센싱부(110), 통신 모듈(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200)는 통신 모듈(210), 프로세서(220), 표시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노드 장치(100)는 게시 데이터(Advertising Data)에 송신하고자 하는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저장하여 수신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시 데이터는 30바이트(byte) 길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게시 데이터는 2개의 AD(게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시 데이터는 비콘 피처 플래그(Beacon Feature Flag)용 제1 AD 구조와, 실제 비콘 데이터를 가지는 비콘(Beacon)용 제2 A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AD 구조 및 제2 AD 구조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1바이트의 크기 필드(Data Length)와, 해당 데이터 필드(AD Structure Data)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마지막 행은 각 필드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AD 구조의 데이터 필드는 AD type 필드와 AD Flag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AD Flag 값은 센서 노드 장치(100)의 모드(mode)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AD Flag 값이 0x06 = 00000110으로 설정되는 경우, 20bit(OFF): LE Limited Discoverable mode, 21bit(ON): LE General Discoverable mode, 22bit(ON): BR/EDR Not Supported, 23bit(OFF): Simutaneous LE & BR/EDR to Same Device Capable(controller), 24bit(OFF): Simultaneous LE & BR/EDR to Same Device Capable(Host) 등과 같이 센서 노드 장치(100)의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 AD 구조의 데이터 필드는 AD type, Company ID code, 및 비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콘 데이터 필드는 Indicator, Length, UUID, Major, Minor, Tx Powe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Tx Power 값은 1미터 거리에서의 신호 수신 감도(RSSI)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UUID 필드는 모델명 영역(F1)과 데이터 종류 영역(F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UID 필드는 10byte인 모델명 영역(F1)과 4byte인 데이터 종류 영역(F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메이저 필드는 제1 데이터 저장 영역 일부(B1, B2)로 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마이너 필드는 제1 데이터 저장 영역 일부(B3), 제2 데이터 저장 영역(B4, B5, B6) 및 세부 모델명 영역(B7)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이저 필드는 제1 데이터 저장 영역 중 하나이고 8byte인 제1-1 데이터 저장 영역(B1)과 제1 데이터 저장 영역 중 하나이고 8byte인 제1-2 데이터 저장 영역(B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너 필드는 제1 데이터 저장 영역 중 하나이고 8byte인 제1-3 데이터 저장 영역(B3), 제2 데이터 저장 영역 중 하나이고 2byte인 제2-1 데이터 저장 영역(B4), 제2 데이터 저장 영역 중 하나이고 2byte인 제2-2 데이터 저장 영역(B5), 제2 데이터 저장 영역 중 하나이고 2byte인 제2-3 데이터 저장 영역(B6) 및 2byte인 세부 모델명 영역(B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노드 장치(100)는 이러한 게시 데이터에 센서 노드 장치의 모델명 정보, 복수의 송신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류 정보 및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저장하여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노드 장치(100)는 모델명 영역(F1)에 센서 노드 장치의 모델명 정보(GS300-NT-, -)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노드 장치(100)는 데이터 종류 영역(F2)에 복수의 송신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류 정보(SENSOR)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종류 정보는 특정 기체를 센서가 센싱한 결과를 나타내는 “SENSOR”, 센서 노드 장치(100)의 기판 온도 및 배터리, 사용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OTHERS”, 독성가스 농도가 누적된 양을 나타내는 “ACCUMS”, 센서 노드 장치(100)의 펌웨어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GTVERS', 센서 노드 장치(100)의 제품 시리얼 번호를 나타내는 “GTINFO”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센서 노드 장치(100)는 복수의 송신 데이터(D1, D2, D3) 각각을 제1 분할 데이터(D1-1, D2-1, D3-1)와 제1 분할 데이터(D1-1, D2-1, D3-1) 보다 상위 비트인 제2 분할 데이터(D1-2, D2-2, D3-2)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노드 장치(100)는 10byte인 복수의 송신 데이터(D1, D2, D3)로부터 제1 분할 데이터(D1-1, D2-1, D3-1)가 8byte가 되도록 복수의 송신 데이터(D1, D2, D3) 각각을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노드 장치(100)는 10byte인 복수의 송신 데이터(D1, D2, D3)로부터 제2 분할 데이터(D1-2, D2-2, D3-2)가 2byte가 되도록 복수의 송신 데이터(D1, D2, D3) 각각을 분할할 수 있다.
이‹š, 제1 분할 데이터(D1-1, D2-1, D3-1)와 제1 분할 데이터(D1-1, D2-1, D3-1) 각각의 byte 수는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센서 노드 장치(100)는 제1 데이터 저장 영역(B1, B2, B3)에 제1 분할 데이터(D1-1, D2-1, D3-1)가 서로 이웃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1 데이터 저장 영역(B1), 제1-2 데이터 저장 영역(B2) 및 제1-3 데이터 저장 영역(B3)는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노드 장치(100)는 제1-1 데이터 저장 영역(B1)에 제1 분할 데이터 “D1-1”를 저장하고, 제1-2 데이터 저장 영역(B2)에 제1 분할 데이터 “D1-2”를 저장하고, 제1-3 데이터 저장 영역(B3)에 제1 분할 데이터 “D1-3”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센서 노드 장치(100)는 제2 데이터 저장 영역(B4, B5, B6)에 제2 분할 데이터(D1-2, D2-2, D3-2)가 서로 이웃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1 데이터 저장 영역(B4), 제2-2 데이터 저장 영역(B5) 및 제2-3 데이터 저장 영역(B6)는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노드 장치(100)는 제2-2 데이터 저장 영역(B41)에 제2 분할 데이터 “D1-2”를 저장하고, 제2-2 데이터 저장 영역(B5)에 제2 분할 데이터 “D1-2”를 저장하고, 제2-3 데이터 저장 영역(B6)에 제2 분할 데이터 “D1-3”를 저장할 수 있다.
센서 노드 장치(100)는 마이너 필드 내의 세부 모델명 영역(B7)에 센서 노드 장치(100)의 세부 모델명 정보(I)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노드 장치(100)는 제2 분할 데이터(D1-2, D2-2, D3-2)의 총 데이터 크기가 세부 모델명 영역(B7)을 제외한 마이너 필드의 저장 크기 미만인 경우, 송신 데이터에 대한 알림 여부를 나타내는 알림 여부 정보를 마이너 필드 내의 알림 여부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 데이터 “D1”, “D2” 및 “D3” 각각이 9byte, 8byte 및 10byte인 경우, 제2 분할 데이터 “D1-2”, “D2-2” 및 “D3-2” 각각은 1byte, 0byte 및 2byte이므로, 제2 분할 데이터(D1-2, D2-2, D3-2)의 총 데이터 크기는 3byte이고, 이러한 총 데이터 크기는 세부 모델명 영역(B7)을 제외한 마이너 필드의 저장 크기 6byte 미만이므로, 송신 데이터에 대한 알림 여부를 나타내는 알림 여부 정보를 마이너 필드 내의 알림 여부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데이터 저장 영역(B4, B5, B6) 중에서 제2 분할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제2 데이터 저장 영역(상술된 예에 따르면 제2-1 데이터 저장 영역(B4)의 1byte 및 제2-3 데이터 저장 영역(B6)의 모두인 2byte)이 알림 여부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여부 정보는 송신 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가 기준 수치를 초과하면 알림을 수행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수신 장치(200)는 수신된 게시 데이터 내의 알림 여부 정보가, 대응되는 송신 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가 기준 수치를 초과하면 알림을 수행하는 것으로 정해졌음을 나타내고, 해당 송신 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가 기준 수치를 초과하면 알림 조건인 것으로 판단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모듈(120)은 상술된 게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통신 모듈(210)은 상술된 게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수신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의해 프로세서(220)로부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230)는 이미지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술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술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240)에는 프로세서(2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센서 노드 장치(100)가 게시 데이터를 멀티 송신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센서 노드 장치가 게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센서 노드 장치가 다른 게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6의 UUID 필드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더 참조하면, 센서 노드 장치(100)는 복수의 게시 데이터 각각에 송신하고자 하는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저장하여 송신하되, 멀티 송신 개수(Np) 만큼 씩의 게시 데이터를 복수의 송신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반복되는 제1 송신 주기(Pi) 동안 마다 하나의 송신 그룹(Pg)에 포함된 게시 데이터(PK1, PK2)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노드 장치(100)는 동일한 제1 송신 주기(Pi) 동안에 연속하여 송신되는 복수의 게시 데이터(PK1, PK2) 각각의 송신 시점이 멀티 송신 간격(IPi)을 유지하도록 복수의 게시 데이터(PK1, PK2)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노드 장치(100)는 하나의 송신 그룹(Pg)에 포함된 게시 데이터 중에서 제1 데이터 송신 순서가 1번 내지 n-1번(n번은 마지막 송신 순서)인 게시 데이터(PK1)가 송신된 송신 시점에 멀티 송신 간격(IPi) 이용하여 제2 카운팅 시간(Tc2)을 설정한 후 제2 카운팅 시간(Tc2)을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운터는 멀티 송신 간격(IPi)을 제2 카운팅 시간(Tc2)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송신 간격(IPi)는 BLE 통신 규격에 따라 20ms 이상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센서 노드 장치(100)는 제2 카운팅 시간(Tc2)의 카운팅이 완료되면 제1 데이터 송신 순서가 이전에 송신된 게시 데이터(Pk1)의 제1 데이터 송신 순서 다음인 게시 데이터(Pk2)를 송신할 수 있다.
이어서, 타이머는 하나의 송신 그룹(Pg)에 포함된 게시 데이터 중에서 제1 데이터 송신 순서가 마지막 n번인 게시 데이터(PK2)가 송신된 송신 시점에, 제1 송신 주기(Pi), 멀티 송신 간격(IPi) 및 멀티 송신 개수(Np)를 이용하여 제1 카운팅 시간(Tc1)을 설정한 후 제1 카운팅 시간(Tc1)을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노드 장치(100)는 제1 카운팅 시간(Tc1)의 카운팅이 완료되면 그룹 송신 순서가 이전에 송신된 송신 그룹(Pg)의 그룹 송신 순서 다음인 송신 그룹(Pg)에 포함된 게시 데이터(PK1, PK2)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카운터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제1 카운팅 시간(Tc1)을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Tc1은 제1 카운팅 시간이고, Pi는 제1 송신 주기이고, IPi는 멀티 송신 간격이고, Np는 멀티 송신 개수이다.
한편, 센서 노드 장치(100)는 복수의 게시 데이터(PK1, PK2)의 송신과는 별개로 다른 게시 데이터(PK3)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게시 데이터(PK1, PK2)는 센싱 대상을 센싱한 결과를 나타내는 센싱 데이터인 송신 데이터가 저장되고, 다른 게시 데이터(PK3)는 센서 노드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시스템 데이터인 송신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센서 노드 장치(100)는 반복되는 제2 송신 주기(S-Pi) 동안 마다 다른 게시 데이터(PK3)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타이머는 다른 게시 데이터가 송신된 송신 시점에, 제1 송신 주기, 멀티 송신 간격 및 멀티 송신 개수를 이용하여 제3 카운팅 시간을 설정한 후 제3 카운팅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이후, 센서 노드 장치(100)는 제3 카운팅 시간(Tc3)의 카운팅이 완료되면 제2 데이터 송신 순서가 이전에 송신된 다른 게시 데이터(PK3)의 제2 데이터 송신 순서 다음인 다른 게시 데이터(PK3)를 송신할 수 있다.
이‹š, 카운터는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제3 카운팅 시간(Tc3)을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2>
여기서, Tc3은 제3 카운팅 시간이고, Pi는 제1 송신 주기이고, IPi는 멀티 송신 간격이고, Np는 멀티 송신 개수이다.
한편, 센서 노드 장치는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UUID 필드에 센서 노드 장치의 모델명 정보 및 복수의 송신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류 정보 뿐만 아니라,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UUID 필드에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 장치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식별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식별 정보는 모델명과 세부 모델명이 동일한 복수의 장치들 간을 식별할 수 있도록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게시 데이터는 UUID 필드가 모델명 영역(F1), 데이터 종류 영역(F2) 및 장치 식별 영역(F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노드 장치(100)는 장치 식별 영역(F3)에 센서 노드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P0)를 저장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센서 노드 장치
200 : 수신 장치

Claims (7)

  1. 게시 데이터(Advertising Data)에 송신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저장하여 송신하는 센서 노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UUID 필드에 센서 노드 장치의 모델명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송신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게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메이저 필드 및 마이너 필드에 상기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하고,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송신 데이터 각각을 제1 분할 데이터와 상기 제1 분할 데이터 보다 상위 비트인 제2 분할 데이터로 분할하되,
    상기 메이저 필드 및 상기 마이너 필드 내의 제1 데이터 저장 영역에 상기 제1 분할 데이터가 서로 이웃하도록 저장하고,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마이너 필드 내의 제2 데이터 저장 영역에 상기 제2 분할 데이터가 서로 이웃하도록 저장하고,
    상기 메이저 필드 내의 상기 제1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제1-1 데이터 저장 영역과 제1-2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너 필드 내의 상기 제1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제1-3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너 필드 내의 제2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제2-1 데이터 저장 영역, 제2-2 데이터 저장 영역 및 제2-3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1 데이터 저장 영역, 상기 제1-2 데이터 저장 영역 및 상기 제1-3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저장 크기가 동일하고,
    상기 제2-1 데이터 저장 영역, 상기 제2-2 데이터 저장 영역 및 상기 제2-3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저장 크기가 동일하고,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제1-1 데이터 저장 영역, 상기 제1-2 데이터 저장 영역 및 상기 제1-3 데이터 저장 영역 각각의 저장 크기와 상기 제1 분할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가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송신 데이터 각각의 하위 비트부터 상기 제1-1 데이터 저장 영역, 상기 제1-2 데이터 저장 영역 및 상기 제1-3 데이터 저장 영역 각각의 저장 크기 만큼씩 상기 제1 분할 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UUID 필드 내의 모델명 영역에 상기 모델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UUID 필드 내의 데이터 종류 영역에 상기 데이터 종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마이너 필드 내의 세부 모델명 영역에 상기 센서 노드 장치의 세부 모델명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제2 분할 데이터의 총 데이터 크기가 상기 세부 모델명 영역을 제외한 상기 마이너 필드의 저장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알림 여부를 나타내는 알림 여부 정보를 상기 마이너 필드 내의 알림 여부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장치로부터 복수의 송신 데이터가 저장된 게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복수의 송신 데이터가 알림 조건인지 판단하고, 알림 조건으로 판단되면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1020230098207A 2023-07-27 2023-07-27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102661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207A KR102661658B1 (ko) 2023-07-27 2023-07-27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207A KR102661658B1 (ko) 2023-07-27 2023-07-27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658B1 true KR102661658B1 (ko) 2024-04-29

Family

ID=9088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8207A KR102661658B1 (ko) 2023-07-27 2023-07-27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65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514A (ko) * 2007-07-23 2009-01-30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센서노드
KR20090031118A (ko) 2007-09-21 2009-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이동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00059728A (ko) * 2008-11-25 2010-06-04 성종우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센서노드 관리장치 및 방법
KR20130067905A (ko) * 2011-12-14 201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에서 노드 식별자 구성 방법
KR20130067621A (ko) * 2011-12-14 2013-06-2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상황 인지 데이터 중심 저장 기법
KR20190058243A (ko) * 2017-11-21 2019-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분산 저장 장치
KR20200000142A (ko) * 2018-06-22 2020-01-02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들 및 그것과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서버
KR20200139180A (ko) * 2018-04-05 2020-12-11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5g 네트워크에서 접속 설정 동안 확장된 길이를 갖는 임시 구독자 식별자 관리
KR102240040B1 (ko) * 2020-09-02 2021-04-14 주식회사 노드톡스 센서 노드의 통신 효율성 향상 방법
KR102251628B1 (ko) * 2020-12-03 2021-05-13 주식회사 노드톡스 다양한 센서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초저전력 무선 센서 네트워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514A (ko) * 2007-07-23 2009-01-30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센서노드
KR20090031118A (ko) 2007-09-21 2009-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이동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00059728A (ko) * 2008-11-25 2010-06-04 성종우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센서노드 관리장치 및 방법
KR20130067905A (ko) * 2011-12-14 201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에서 노드 식별자 구성 방법
KR20130067621A (ko) * 2011-12-14 2013-06-2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상황 인지 데이터 중심 저장 기법
KR20190058243A (ko) * 2017-11-21 2019-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분산 저장 장치
KR20200139180A (ko) * 2018-04-05 2020-12-11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5g 네트워크에서 접속 설정 동안 확장된 길이를 갖는 임시 구독자 식별자 관리
KR20200000142A (ko) * 2018-06-22 2020-01-02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들 및 그것과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서버
KR102240040B1 (ko) * 2020-09-02 2021-04-14 주식회사 노드톡스 센서 노드의 통신 효율성 향상 방법
KR102251628B1 (ko) * 2020-12-03 2021-05-13 주식회사 노드톡스 다양한 센서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초저전력 무선 센서 네트워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51566B (zh) 改进的无线网络定位技术
US11528235B2 (en) Internet of things resource subscrip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9716976B2 (en) Wireless sensor network controlled low energy link
EP3182765B1 (en) Method and device for bluetooth low power communication
Sikimić et al. An overview of wireless technologies for IoT network
US20190004587A1 (en) Proxy mechanism for communications to establish routes in networks
CN105122783A (zh) 接近度检测
Gorrepotu et al. Sub-1GHz miniature wireless sensor node for IoT applications
CN105956463A (zh) 一种设备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5185071B (zh) 燃气表远程抄表网络数据交换方法
US20130227098A1 (en) Setting system, server, terminal device, setting method, and setting program
KR102661658B1 (ko) 데이터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102661659B1 (ko) 멀티 송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Mohamed et al. IoT networking and communication layer
Srinivasulu et al. Wireless technology over internet of things
GB2598468A (en) System and method for hierarchical computation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CA3110537A1 (en) Optimized objective function for routing determination
KR102661660B1 (ko)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축 방식이 적용된 병렬통신 기반 센싱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CN109286972A (zh) 一种无线通信方法、系统、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A3122439C (en) Adaptive polling based on link quality
Beníček In-door localization and navigation for Android platform
US20210399970A1 (en) Adaptive polling based on link quality
KR102610859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6303949B (zh) Zigbee定位方法及其定位参考点选取方法
KR20240034050A (ko)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지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