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639B1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639B1
KR102661639B1 KR1020190150979A KR20190150979A KR102661639B1 KR 102661639 B1 KR102661639 B1 KR 102661639B1 KR 1020190150979 A KR1020190150979 A KR 1020190150979A KR 20190150979 A KR20190150979 A KR 20190150979A KR 102661639 B1 KR102661639 B1 KR 102661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information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835A (ko
Inventor
황태환
김대동
예지수
최지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0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639B1/ko
Priority to US16/951,135 priority patent/US11575980B2/en
Publication of KR2021006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G08C19/28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using pulse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복수의 기능 및 복수의 기능의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명령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기능 정보가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기기 상호간에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센트럴 기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를 주변 기기로 호칭할 수 있다.
현재 다양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하나의 주변 기기와 복수의 센트럴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센트럴 기기간의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트럴 기기와 제2 센트럴 기기가 주변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1 센트럴 기기 및 제2 센트럴 기기에서 모두 제어 신호를 주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센트럴 기기에서 제어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주변 기기는 수신되는 신호가 어느 센트럴 기기에서 수신되는 것인지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센트럴 기기의 식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신호 패킷을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주변 기기의 신호 패킷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데이터 포맷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신호 패킷의 수정 또는 새로운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면, 센트럴 기기와 주변 기기의 신호 방식이 복잡해지며 호환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센트럴 기기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동작 번호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트럴 기기에서 2가지 제어 신호를 보내는 경우, 제1 신호에 대응되는 인덱스 정보는 총 2개 중 첫 번째 신호라는 정보이며, 제2 신호에 대응되는 인덱스 정보는 총 2개 중 두 번째 신호라는 정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인덱스 정보를 추가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센트럴 기기에서 동시에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주변 기기는 인덱스 정보에 포함된 모든 신호가 도착할 때까지 대기해야 하므로 응답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단일 제어 신호가 그룹핑된 복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기능 및 상기 복수의 기능의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명령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정보가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기능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제1 기능에 대응되는 제1 코드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의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드 정보 및 상기 제2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은 동일한 타입의 복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동일한 타입의 복수의 기능은 데이터의 읽기 동작(read ope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 또는 데이터의 쓰기 동작(write ope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제1 원격 제어 장치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가 제1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가 제2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제1 원격 제어 장치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가 제1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가 단일 명령 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반환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반환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타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반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반환 정보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반환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 명령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맵핑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된 이력이 없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복합 명령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가 블루투스 통신 연결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능 및 상기 복수의 기능의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명령 정보가 저장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능 정보가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기능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제1 기능에 대응되는 제1 코드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의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드 정보 및 상기 제2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은 동일한 타입의 복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동일한 타입의 복수의 기능은 데이터의 읽기 동작(read ope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 또는 데이터의 쓰기 동작(write ope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제1 원격 제어 장치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가 제1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가 제2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제1 원격 제어 장치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가 제1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가 단일 명령 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반환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반환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타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반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반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반환 정보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반환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 명령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맵핑한 정보인 제어 방법.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된 이력이 없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복합 명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가 블루투스 통신 연결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에서 전자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에서 전자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원격 제어 장치가 복합 명령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복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전자 장치에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가 블루투스로 연결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가 블루투스 연결이 끊어진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명령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명령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명령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단일 제어 신호 및 복합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기본 명령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복합 명령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복합 명령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복합 명령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기본 명령의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복수의 기본 명령을 순서에 따라 수행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복수의 기본 명령을 순서에 따라 수행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LED 마스크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30)에 포함된 롬(ROM)(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3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모리(11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고,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 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모듈은 시 광선과 밀리미터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 인터페이스(120)는LAN(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더넷 모듈, 또는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동일한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상이한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이더넷 모듈 또는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BT 모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복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경우 다양한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GPU(graphics-processing unit)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 ROM,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버스(135)를 포함한다. RAM, ROM,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13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는 메모리(11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 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기능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코드 정보는 한 개의 기능에 한 개의 제어 코드가 맵핑될 수 있다. 한 개의 기능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정보는 단일 명령 정보(단일 명령으로 후술)에 해당할 수 있다. 단일 명령은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을 의미할 수 있고, 복합 명령은 복수의 기능(적어도 두 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제어 신호는 단일 명령 하나만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복합 제어 신호는 복합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기능 및 복수의 기능의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명령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복합 명령 정보는,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을 그룹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하나의 명령 정보로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기능과 제2 기능을 그룹핑하여 하나의 명령 정보로 그룹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능과 제2 기능 중 어느 기능이 먼저 수행되어야 하는지 기 정의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정보는 순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서 정보는 제1 기능이 먼저 수행되고, 제2 기능이 다음에 수행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명령 정보는 복수의 기능 중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이 하나의 명령 정보로 그룹핑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합 명령 정보는 그룹핑된 복수의 기능 중 어느 기능이 먼저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 통신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의미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은 다른 형식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어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들과 동시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복수의 기능 정보가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제어 신호 또는 복합 제어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의 종류(단일 제어 신호인지 아니면 복합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는 제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20에서 후술한다.
제어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3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기능 정보가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기능 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다.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기능 정보는 특정 기능이 다른 기능과 그룹핑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명령 정보에 특정 기능 정보가 포함되면, 해당 특정 기능은 다른 기능과 그룹핑 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능 정보가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능 정보가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이면, 프로세서(130)는 제어 신호가 복합 제어 신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신호가 복합 제어 신호이면,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복수의 기능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순서 정보를 복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기능 정보 및 복수의 기능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기능 정보는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 가능한 제1 기능에 대응되는 제1 코드 정보 및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 가능한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의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코드 정보 및 제2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코드 정보 및 제2 코드 정보는 단일 명령에 대한 코드 정보일 수 있다. 하지만, 복합 명령 정보에 제1 기능과 제2 기능이 그룹핑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서 제1 기능 정보(제1 코드 정보) 및 제2 기능 정보(제2 코드 정보)를 획득하면, 각 기능의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기능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연속적으로 수행한다는 의미는 복수의 동작(예를 들어, 제1 동작 및 제2 동작) 사이에 다른 동작(예를 들어, 제3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식별된 복수의 동작(예를 들어,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을 바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식별된 복수의 동작(예를 들어,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 다른 동작(예를 들어, 제3 동작)을 수행하라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복수의 동작(예를 들어,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동작(예를 들어, 제3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한편,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은 동일한 타입의 복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한 타입의 복수의 기능은 데이터의 읽기 동작(read ope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 또는 데이터의 쓰기 동작(write ope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일 수 있다.
복수의 기능은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타입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능은 제1 타입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기능은 제2 타입에 해당할 수 있다. 타입은 기능의 속성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타입은 기 정의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기능의 속성(또는 제1 기능에 대응되는 제1 코드 정보)이 단순히 데이터를 읽는(또는 불러오는) 기능과 관련된 것이면, 제1 기능은 읽기 동작(read operation) 타입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의 속성(또는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가 데이터의 변경 또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이면, 제2 기능은 쓰기 동작(write operation) 타입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들은 동일한 타입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복합 제어 신호에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제1 기능이 읽기 동작(read operation) 타입이면, 제2 기능도 읽기 동작(read operation) 타입일 수 있다. 복합 명령 정보는 동일한 타입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동일한 타입의 기능들이 그룹핑 된 것일 수 있다.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이 동일한 타입인 경우 전자 장치(100)의 제어 동작은 도 22에서 후술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들은 서로 다른 타입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복합 제어 신호에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제1 기능은 읽기 동작(read operation) 타입이고 제2 기능은 쓰기 동작(write operation) 타입일 수 있다.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이 상이한 타입인 경우 전자 장치(100)의 제어 동작은 도 23에서 후술한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가 제1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가 제2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면,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가능한 원격 제어 장치(200)가 두 개(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인 것을 가정한다. 그리고,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로부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로부터 제2 제어 신호를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제어 신호만을 처리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두 개의 제어 신호 중 하나의 제어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모두가 복합 제어 신호인 경우,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제어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가 복합 제어 신호인 경우를 가정하였으므로 선택된 제어 신호 역시 복합 제어 신호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복합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8에서 후술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모두를 처리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제1 제어 신호, 제2 제어 신호, 순서 정보를 고려하여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제1 제어 신호가 복합 제어 신호이고, 수신된 제2 제어 신호가 단일 제어 신호이면, 프로세서(130)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가 제1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가 단일 명령 정보에 대응되면,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제2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가 제1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된다는 것은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능 정보가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신호가 단일 명령 정보에 대응된다는 것은 제2 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능 정보가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반환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상태이면, 반환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타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고, 타 원격 제어 장치로 반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능이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반환하는 동작이라고 가정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특정 데이터(반환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 반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200)에 특정 데이터(반환 정보)를 반환하기 위해선,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가 통신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특정 데이터(반환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 반환하기 전에 원격 제어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상태이면, 프로세서(130)는 특정 데이터(반환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프로세서(130)는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특정 데이터(반환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전송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반환 정보 및 원격 제어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된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반환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프로세서(130)는 간접적으로 특정 데이터(반환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타 원격 제어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타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반환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도 12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여기서,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원격 제어 장치는 제1 원격 제어 장치일 수 있고,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타 원격 제어 장치는 제2 원격 제어 장치일 수 있다.
한편, 복합 명령 정보는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맵핑한 정보일 수 있다.
복합 명령 정보에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3 내지 도 15에서 후술한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된 이력이 없는 것으로 식별되면, 원격 제어 장치(200)로 복합 명령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가 복합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전자 장치(100)가 복합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석하기 위해선,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사이에 복합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즉, 기존에 어떤 기능들을 그룹핑할 것인지 어떻게 그룹핑할 것인지 상호 약속이 필요할 수 있다. 상호 약속을 정하여 정리한 것이 복합 명령 정보일 수 있다. 복합 명령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제어 신호가 복합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자 장치(100)가 복합 명령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다면, 복합 제어 신호가 수신된다 하더라도 복합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없다. 여기서, 복합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처리란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능을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원격 제어 장치(200)에 복합 명령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복합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복합 명령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원격 제어 장치(200)는 일반 제어 신호(단일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 및 원격 제어 장치(200)에 모두 복합 명령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조 단계 혹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단계를 통해 복합 명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조 단계 또는 전자 장치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또는 업데이트)를 통해 복합 명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원격 제어 장치)와의 통신 연결 이력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자신과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원격 제어 장치(200)가 최초 연결인지 판단할 수 있다. 최초 연결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복합 명령 정보(복합 명령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는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200)가 블루투스 통신 연결된 것으로 식별되면, 복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는 서로 1:1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신호 간섭이 생겨나지 않는다. 하지만, 예외적인 상황에서 1:N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신호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예외적인 상황이란, 하나의 전자 장치(100)와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들이 연결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 및 원격 제어 장치(200)가 복합 명령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 모든 제어 동작은 복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될 필요성이 없을 수 있다. 기본 기능들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합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연산 동작이 필요하므로, 1:1 통신의 상황에서는 복합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1:N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한하여 복합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원격 제어 장치(200)가 하나인 경우, 기존 방식으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자 장치(100)와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원격 제어 장치(200)가 두 개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들에 복합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들은 전자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기존 방식과 다르게 복합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1:1 통신과 1:N 통신을 구분할 수 있으며, 신호 간섭이 이루어지는 상황(1:N 통신)에서만 추가적인 연산 동작(복합 제어 신호 생성 또는 복합 제어 신호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1), 통신 인터페이스(120-1), 프로세서(130-1), 발광부(140-1), 사용자 인터페이스(150-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개시하는 전자 장치(100)는 LED 마스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LED 마스크 장치란 발광부(140-1)에서 출력되는 빛을 사용자의 피부(예를 들어, 얼굴)에 쏘여주는(또는 출력해주는) 피부 미용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의 메모리(110-1), 통신 인터페이스(120-1) 및 프로세서(130-1)는 도 1의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및 프로세서(130)에 대응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발광부(140-1)는 복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또한, 발광부(140-1) 전압이 가해졌을 때 전압의 크기에 따라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발광부(140-1)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한 파장대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40-1)는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40-1)는 특정 파장대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1)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은 전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1000)는 실내기(100-2) 및 실외기(100-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기(100-2)는, 메모리(110-2), 통신 인터페이스(120-2), 프로세서(130-2), 사용자 인터페이스(140-2), 실내기 온도 센서(150-2), 냉방부(160-2), 디스플레이(170-2) 및 스피커(180-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개시하는 전자 장치(100)는 공기 조화기(1000)를 의미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000)는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기(1000)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실내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냉방 기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조화기(1000)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난방, 실내에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 및 실내 습도를 낮추는 제습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기(1000)는, 냉매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실외기(100-3) 및 실외기(100-3)와 냉매를 교류하며 실내 공기의 조화 동작을 수행하는 실내기(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10-2), 통신 인터페이스(120-2), 프로세서(130-2), 메모리(140-3)는 도 1의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및 프로세서(130)에 대응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2)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은 실내기(100-2)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실내기 온도 센서(150-2)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기 온도 센서(150-2)는 프로세서(130-2)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실내기(100-2)가 배치된 공간의 실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 온도 센서(150-2)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설치될 수 있다.
냉방부(160-2)는 온도가 제어된 공기를 배출하여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냉방부(160-2)는 실내 열 교환기, 팽창 밸브, 송풍 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열 교환기는 실내기(100-2)에 유입된 공기와 실외기에서 제공된 냉매와의 열을 교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 열 교환기는 냉방시에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실내 열 교환기는 저압 저온의 안개 상태인 냉매가 기체로 증발하는 상전이에 필요한 잠열을 실내기(100-2)에 유입된 공기로부터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실내 열 교환기는 난방 시에 응축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냉방과 반대로 냉매의 흐름이 역전되면 실내 열 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열이 실내기(100-2)에 유입된 공기로 방출될 수 있다.
팽창 밸브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팽창 밸브는 냉방시에 실외 열 교환기를 통과한 고압 저온의 냉매를 팽창시켜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실내 열 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반대로, 팽창 밸브는 난방 시에 실내 열 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실외 열 교환기로 전달하기 전에 저압 고온의 냉매를 팽창시켜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실외 열 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할 수 있다.
송풍 팬은 외부 공기를 실내기(100-2)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열 교환에 의해 온도가 달라진 공기를 실내기(100-2)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냉방부(160-2)는 프로세서(130-2)의 제어에 따라, 실내 공간에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바람의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구성을 냉방부(160-2)라고 지칭하였으나, 냉방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난방, 실내에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 및 실내 습도를 낮추는 제습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70-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2)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70-2)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180-2)는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180-2)는 비정상 환경에 대한 알림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100-3)는 실외기 온도 센서(110-3), 실외 팬(120-3), 압축기(130-3) 및 메모리(14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온도 센서(110-3)는 실외기(100-3)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실외기(100-3)가 실외에 설치된 경우 실외기 온도 센서(110-3)는 실외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실외기(100-3)가 실외기실에 설치된 경우, 실외기 온도 센서(110-3)는 실외기실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 온도 센서(110-3)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배치(또는 설치)될 수 있다.
실외 팬(120-3)은 실외 열 교환기에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실외 팬 모터에 의해 실외 공기를 강제로 토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실외 팬(120-3)의 회전 속도는 프로세서(130-2)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압축기(130-3)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하는 구성일 수 있다.
메모리(140-3)는 실외기와 관련된 설정 정보, 제어 정보 또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기술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가 복수 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LED 마스크 기기(100-1)일 수 있으며,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LED 마스크 기기(100-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와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원격 제어 장치(200)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모두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LED 마스크 기기(100-1)는 서로 다른 모바일 기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서로 다른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신호 간섭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신호 간섭에 대한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한다.
도 5는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에서 전자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전자 장치(100)에 제어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거의 비슷한 시간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는 A 케어 모드를 설정하는 명령을 수신 (S501) 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B 케어 모드를 설정하는 명령을 수신 (S502) 하였다고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특정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전송 주체의 식별 정보도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그 이후에 A 케어 모드 설정 명령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그 이후에 B 케어 모드 설정 명령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또는 제2 원격 제어 장치(202) 중 어느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제어 신호간의 혼동이 있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가 동시에 전자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제어 신호간의 혼동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는 전자 장치(100)에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5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식별 정보가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대한 것임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전송할 수 있다 (S511).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식별 정보가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대한 것임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도 전송할 수 있다 (S512).
여기서,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전자 장치(100)에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52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식별 정보가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 대한 것임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전송할 수 있다 (S521).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식별 정보가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 대한 것임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도 전송할 수 있다 (S522).
여기서,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B 케어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53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B 케어 모드를 설정하였다는 알림 정보를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전송할 수 있다 (S531).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B 케어 모드를 설정하였다는 알림 정보를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 전송할 수 있다 (S532).
여기서,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는 A 케어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54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A 케어 모드를 설정하였다는 알림 정보를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전송할 수 있다 (S541).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A 케어 모드를 설정하였다는 알림 정보를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 전송할 수 있다 (S542).
전자 장치(1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의 식별 정보를 S510 단계에서 수신한 이후에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의 식별 정보를 S520 단계에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최종적으로 나중에 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의 식별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케어 모드 설정 명령과 관련하여 나중에 수신한 S540 단계의 A 케어 모드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2 원격 제어 장치(202)가 A 케어 모드 설정 명령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S550). 하지만, 실제로, A 케어 모드 설정 명령을 전송한 것은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이며,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B 케어 모드 설정 명령을 전송하였다는 점에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신호의 간섭에 의하여 혼동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에서 전자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는 A 케어 모드를 설정하는 명령을 수신 (S601) 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B 케어 모드를 설정하는 명령을 수신 (S602) 하였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각각 일부 명령을 그룹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식별 정보 및 케어 모드 설정 명령을 그룹핑하여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의 식별 정보 및 A 케어 모드 설정 명령을 함께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6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식별 정보가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대한 것임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전송할 수 있다 (S611).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식별 정보가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대한 것임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도 전송할 수 있다 (S612). 그리고,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A 케어 모드를 설정하였다는 알림 정보를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전송할 수 있다 (S613).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A 케어 모드를 설정하였다는 알림 정보를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 전송할 수 있다 (S614).
또한,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의 식별 정보 및 B 케어 모드 설정 명령을 함께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62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식별 정보가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 대한 것임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전송할 수 있다 (S621).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식별 정보가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 대한 것임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도 전송할 수 있다 (S622).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B 케어 모드를 설정하였다는 알림 정보를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전송할 수 있다 (S623).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B 케어 모드를 설정하였다는 알림 정보를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 전송할 수 있다 (S624).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로부터 일정 제어 신호를 함께 수신함으로써 제어 신호의 간섭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로부터 식별 정보 및 A 케어 모드 설정 명령을 함께 수신하고, 그 이후에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로부터 식별 정보 및 B 케어 모드 설정 명령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2 원격 제어 장치(202)가 식별 정보 및 B 케어 모드 설정 명령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S630).
도 6의 실시 예에서와 달리 도 7의 실시 예에서는 일부 명령을 함께 그룹핑하여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들의 신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원격 제어 장치가 복합 명령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 복합 명령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S7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복합 명령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S706). 여기서,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수신된 복합 명령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S707). 그리고,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는 수신된 복합 명령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S708). 여기서, S705, S706, S707, S708 단계는 최초 1회만 수행될 수 있다.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710). 여기서, 제1 사용자 입력은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의 물리적인 터치 입력을 의미하거나, 기 설정된 제어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1 복합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71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복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720).
한편,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725). 여기서, 제2 사용자 입력은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의 물리적인 터치 입력을 의미하거나, 기 설정된 제어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2 복합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73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복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735).
S720 단계 및 S735 단계에서 수신되는 단일 명령은 복수 개 일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단일 명령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차례대로 단일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00)는 무의미한 단일 명령을 수행하는 대신에 최종 단일 명령만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은 도 8에서 후술한다.
도 8은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복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로부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1 복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805). S805 단계는 도7의 S715 단계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로부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2 복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810). S810 단계는 도 7의 S730 단계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1 복합 제어 신호 및 제2 복합 제어 신호가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S815).
한편, 제1 복합 제어 신호 및 제2 복합 제어 신호가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또는 제2 복합 제어 신호 중 하나의 복합 제어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S820). 구체적으로, 선택 기준은 시간 순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나중에 수신된 복합 제어 신호만을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선택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821).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822).
한편, 제1 복합 제어 신호 및 제2 복합 제어 신호가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복합 제어 신호 및 제2 복합 제어 신호의 순서를 식별할 수 있다 (S83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어느 복합 제어 신호가 먼저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제1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2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831).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832).
한편, 도 8의 설명은 복합 제어 신호가 즉각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이 아닌 경우에 효과적인 실시 예일 수 있다. 임계 시간만큼 전자 장치(100)가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처리 속도가 늦어져 소비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임계 시간을 고려하여 처리하는 도 8의 실시 예는 즉각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제어 신호에 한해서 적용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S815 단계 이전에 제1 복합 제어 신호 및 제2 복합 제어 신호가 즉각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해야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공기 조화기(1000) 중 실내기(100-2)일 수 있으며,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는 모바일 기기일 수 있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원격 제어 장치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1000)의 실내기(100-2)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 및 리모컨으로부터 각각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 예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 후술한다.
도 10은 전자 장치에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가 블루투스로 연결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도10에서는 실내기(100-2)에 대응)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와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와 1:N의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가 블루투스 연결이 끊어진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 제1 원격 제어 장치(201)가 전자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끊어지면,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1:N의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고 있었으므로,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와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를 통해 제어 신호를 곧바로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00)가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반환 정보를 전송하는 도중에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와 블루투스 연결이 끊어진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동작은 도 12에서 후술한다.
도 12는 도 11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1205). 그리고,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1 복합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1210).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복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215). 여기서, 제1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 중 하나의 기능 정보가 전자 장치(100)에서 특정 데이터를 반환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이라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특정 데이터를 획득(또는 센싱)하여 반환할 정보(이하 반환 정보로 기술)를 획득할 수 있다 (S1220).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반환 정보를 전송할 대상인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1225).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와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와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직접 반환 정보를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반환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S122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와 전자 장치(100)사이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이면, 전자 장치(100)는 반환 정보를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전송할 수 있다 (S1230).
한편,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와 전자 장치(100)사이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끊어진 상태이면, 전자 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에 연결 가능한 별도의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S1235).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속한 블루투스 통신에 포함된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가 속한 블루투스 통신에 포함된 외부 장치가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인 것으로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 타겟 기기 식별 정보(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반환 정보를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에 전송할 수 있다 (S1240). S1215 단계 및 S1220 단계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반환하는 동작과 관련된 것이므로, 타겟 기기 식별 정보가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수신된 타겟 기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기기와 연결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S1245). 구체적으로,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타겟 기기 식별 정보가 자신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신된 반환 정보를 타겟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S124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원격 제어 장치(202)와 타겟 기기가 연결 가능하지 않으면,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S124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원격 제어 장치(202)가 타겟 기기와 연결 가능하면,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는 반환 정보를 제1 원격 제어 장치(201)에 전송할 수 있다 (S1250).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명령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기능별 코드 정보 및 복합 명령 정보(1310)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기능별 코드 정보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코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기능별로 코드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기능별 코드 정보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는 기능별 코드 정보를 미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에 특정 기능에 대한 명령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기능별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기능별 코드 정보는 단일 명령에 대한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별 코드 정보는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복수의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1300)는 기능별 코드 정보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표(1300)를 참조하면, 기능별 코드 정보는 실내기(100-2)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별 코드 정보는 식별 정보 전송 기능(1301), 전원 on 기능(1302), 전원 off 기능(1303), 온도 up 기능(1304), 온도 down 기능(1305), 현재 온도 정보 요청 기능(1306), 설정 온도 요청 기능(1307)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별 코드 정보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ID 정보, 길이 정보, 데이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기능별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복합 명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복합 명령 정보는 기능별 코드 정보에 개시된 단일 명령들을 그룹핑한 것일 수 있다.
표(1310)는 복합 명령 정보의 일부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표(1310)를 참조하면, 식별 정보 전송 기능(1301)과 전원 on 기능(1302)은 하나의 복합 명령(1311)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전송 기능(1301)과 전원 off 기능(1303)도 하나의 복합 명령(1312)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또한, 복합 명령 정보는 3개의 단일 명령을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 전송 기능(1301), 현재 온도 정보 요청 기능(1306) 및 설정 온도 요청 기능(1307)은 하나의 복합 명령(1315)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한편, 기능별 코드 정보에서 모든 기능들이 그룹핑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up 기능, 온도 down 기능은 기능별 코드 정보의 온도 up 기능(1304), 온도 down 기능(1305)과 동일하게 단일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 개시하는 복합 명령 정보는 기존의 기능별 코드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며 기 정의된 기능들에 기초하여 그룹핑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명령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도 13과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명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표(1410)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명령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표이다.
도 14의 표(1300) 내지 복수의 기능들(1301 내지 1307)은 도 1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도 14의 표(1410)에서 다양한 복합 명령(1411, 1412, 1415) 에 대한 기능 설명은 도 13의 복합 명령(1311, 1312, 1315)에 대응될 수 있다.
복합 명령(1411)은 식별 정보 전송 기능(1301)과 전원 on 기능(1302)이 그룹핑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복합 명령(1411)은 식별 정보 전송 기능(1301)의 코드 정보와 전원 on 기능(1302)의 코드 정보를 하나의 코드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 전송 기능(1301)의 ID가 “30”이고 전원 on 기능(1302)의 ID가 “00” 이면, 복합 명령(1411)의 ID는 “30 00”일 수 있다. 복합 명령(1411)은 기존의 ID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ID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복합 명령(1412) 및 복합 명령(1415)도 복합 명령(1411)과 같이 기존 기능별 코드 정보를 결합하여 새로운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코드 정보는 기존의 코드 정보를 단순히 결합하는 것이며 기존의 코드 정보를 전혀 다른 코드로 변경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명령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표(1300) 내지 복수의 기능들(1301 내지 1307)은 도 1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도 15의 표(1510)에서 다양한 복합 명령(1511, 1512, 1515)에 대한 기능 설명은 도 13의 복합 명령(1311, 1312, 1315) 에 대응될 수 있다.
복합 명령(1511)은 식별 정보 전송 기능(1301)과 전원 on 기능(1302)이 그룹핑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복합 명령(1511)은 식별 정보 전송 기능(1301)의 코드 정보와 전원 on 기능(1302)의 코드 정보를 별개의 코드 정보로 치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 전송 기능(1301)의 ID가 “30”이고 전원 on 기능(1302)의 ID가 “00” 이면, 복합 명령(1511)의 ID는 “AA 01”일 수 있다. 복합 명령(1511)의 코드 정보는 기존 단일 명령의 코드 정보와 전혀 다른 별개의 코드 정보로 치환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기존 코드 정보와 새로 생성된 코드 정보 사이의 맵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가 “AA 01”이라는 ID를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는 맵핑 정보에 기초하여 “AA 01”이 “30” 과 “00”의 ID 임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6은 단일 명령 및 복합 명령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단일 명령 모듈(1610-1), 복합 명령 모듈(1615-1) 및 맵핑부(162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단일 명령 모듈(1610-2) 및 복합 명령 모듈(16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단일 명령 모듈(1610-1) 및 원격 제어 장치(200)의 단일 명령 모듈(1610-2)은 도 13의 기능별 코드 정보를 처리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의 단일 명령 모듈(1610-1) 및 원격 제어 장치(200)의 단일 명령 모듈(1610-2)은 기능별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단일 명령 모듈과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7에서 후술한다.
전자 장치(100)의 복합 명령 모듈(1615-1) 및 원격 제어 장치(200)의 복합 명령 모듈(1615-2)은 복합 명령 정보를 처리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의 복합 명령 모듈(1615-1) 및 원격 제어 장치(200)의 복합 명령 모듈(1615-2)은 기능별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맵핑부(1620-1)는 복합 명령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복합 명령 모듈(1615-1)에서 수신한 복합 제어 신호를 단일 명령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복합 명령 모듈과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8에서 후술한다.
도 17은 단일 명령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의 단일 명령 모듈(1610-2)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단일 명령 제어 신호(1705)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단일 명령 제어 신호(1705)를 전자 장치(100)의 단일 명령 모듈(1610-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단일 명령 모듈(1610-1)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단일 명령 모듈(1610-2)로부터 단일 명령 제어 신호(1705)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단일 명령 제어 신호(1705)에 포함된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온도 up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복합 명령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의 복합 명령 모듈(1615-2)은 복합 제어 신호(1805)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복합 제어 신호(1805)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복합 명령 모듈(1615-1)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복합 제어 신호(1805)를 전자 장치(100)의 맵핑부(1620-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맵핑부(1620-1)는 수신된 복합 제어 신호(1805)를 복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일 명령 정보(1810)로 변경(또는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맵핑부(1620-1)는 변경(또는 변환)된 복수의 단일 명령 정보(1810)를 전자 장치(100)의 단일 명령 모듈(1610-1)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의 단일 명령 모듈(1610-1)은 복수의 단일 명령 정보(1810)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복수의 단일 명령 정보(1810)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식별 정보 전송 기능 및 전원 on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복합 명령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복합 명령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S1905).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1910).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 입력이 복합 명령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1915).
제1 사용자 입력이 복합 명령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으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 입력을 단일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단일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1920).
한편, 제1 사용자 입력이 복합 명령 리스트에 포함되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 입력 이외에 추가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925). 복합 명령은 복수의 단일 명령을 그룹핑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입력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단일 명령이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단일 명령과 그룹핑 되어 있다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2 사용자 입력이 필요할 수 있다.
S1925 단계에서 추가 사용자 입력이 필요하지 않으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 입력이 포함된 복합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1930). 제1 사용자 입력이 하나의 단일 명령(제1 단일 명령)에 대응되고, 제1 단일 명령은 제2 단일 명령과 그룹핑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단일 명령 및 제2 단일 명령에 기초하여 복합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생성된 복합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1935).
S1925 단계에서 추가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는 추가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S1940).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경우, 그래픽 UI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가 스피커를 포함한 경우, 사운드 UI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1945).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 입력 및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복합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1950).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생성된 복합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1955).
도 19의 실시 예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복합 명령이고 추가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구성을 개시하였다. 복합 명령은 복수의 단일 명령을 그룹핑하는 것이므로, 사용자 입력이 추가로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게 해당 내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0은 복합 명령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2005).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신호가 복합 명령인지 판단할 수 있다 (S2010). 여기서, 복합 명령을 판단하는 일 실시 예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능 정보가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능이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제어 신호가 복합 제어 신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복합 명령을 판단하는 다른 실시 예는, 전송된 제어 신호에 복합 명령 제어 신호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복합 제어 신호를 생성할 때 복합 제어 신호임을 알리는 정보를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신호에 복합 제어 신호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어 신호가 복합 제어 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수신된 제어 신호가 복합 명령이 아니면,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신호가 단일 명령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제어 신호가 단일 제어 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단일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015).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2016).
수신된 제어 신호가 복합 명령이면,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신호가 복합 제어 신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복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020).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S2021).
도 21은 기본 명령의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일 기능 또는 단일 명령은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입 정보는 단일 명령이 어떤 종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입 정보는 읽기 동작(read operation) 또는 쓰기 동작(write oper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표(2105)는 단일 명령들의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타입에 대응되는 기능들(2110)은 읽기 동작(read operat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읽기 동작(read operation)은 현재 온도 반환, 현재 습도 반환, 설정 온도 반환, 설정 모드 반환 등의 동작일 수 있다.
한편, 제2 타입에 대응되는 기능들(2115)은 쓰기 동작(write operat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쓰기 동작(write operation)은 냉방 모드 설정, 제습 모드 설정, 온도 down 설정, 온도 up 설정 등의 동작일 수 있다.
도 22는 복수의 기본 명령을 순서에 따라 수행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복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2205).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복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복합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210).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기능 정보들의 순서(복수의 단일 명령에 대응되는 순서)를 식별할 수 있다 (S2215). 구체적으로, 복합 명령은 복수의 단일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 명령들 사이에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기능 정보(또는 단일 명령)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S2220). 타입은 읽기 동작(read operation) 또는 쓰기 동작(write ope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능 정보(또는 단일 명령)들은 동일한 타입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S2220 단계를 통해 하나의 기능 정보(또는 단일 명령)의 타입을 식별하면, 그 이후의 기능 정보(또는 단일 명령)들에 대한 타입 여부를 식별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타입 및 기능 정보(또는 단일 명령)들의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첫 번째 기능 정보(또는 단일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2225).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기능 정보(또는 단일 명령)들 중 기능 정보(또는 단일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S2230). 모든 기능 정보(또는 단일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다음 순서의 단일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복합 명령에 포함된 단일 명령들의 타입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는 도 23에서 후술한다.
도 23은 복수의 단일 명령을 순서에 따라 수행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복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2305).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복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복합 명령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능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S2310).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기능 정보(또는 단일 명령)들의 순서를 식별할 수 있다 (S2315).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단일 명령들 중 첫 번째 순서의 기능 정보 (제1 기능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1 기능 정보가 제1 타입인지 식별할 수 있다 (S2320). 여기서, 제1 타입은 읽기 동작(read oper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기능 정보가 제1 타입이 아니면, 전자 장치(100)는 제1 기능 정보가 제2 타입인지 식별할 수 있다 (S2325). 여기서, 제2 타입은 쓰기 동작(write operation)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능 정보가 제2 타입이면, 전자 장치(100)는 제2 타입에 기초하여 기능 정보(제1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2330).
제1 기능 정보가 제1 타입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타입에 기초하여 기능 정보(제1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2335).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S2310 단계에서 획득한 복수의 기능 정보들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모두 수행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S2340). 만약 모든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다음 순서의 기능 정보(제2 기능 정보)에 대하여 S232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복수의 기능 및 복수의 기능의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명령 정보가 저장된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2405). 또한, 전자 장치(100) 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410), 또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기능 정보가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S2415).
한편, 복수의 기능 정보는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 가능한 제1 기능에 대응되는 제1 코드 정보 및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 가능한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S2415)는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의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코드 정보 및 제2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은 동일한 타입의 복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한 타입의 복수의 기능은 데이터의 읽기 동작(read ope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 또는 데이터의 쓰기 동작(write ope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일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S2415)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가 제1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가 제2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면,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S2415)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1)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가 제1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가 단일 명령 정보에 대응되면,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제2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반환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상태이면, 반환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는 단계 및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타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고, 타 원격 제어 장치로 반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 원격 제어 장치로 반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반환 정보 및 원격 제어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된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반환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복합 명령 정보는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맵핑한 정보인 제어 방법.
한편, 제어 방법은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된 이력이 없는 것으로 식별되면, 원격 제어 장치(200)로 복합 명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는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200)가 블루투스 통신 연결된 것으로 식별되면, 복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4와 같은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3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110: 메모리
120: 통신 인터페이스130: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기능 및 상기 복수의 기능의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명령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정보가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제1 기능에 대응되는 제1 코드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의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드 정보 및 상기 제2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은,
    동일한 타입의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동일한 타입의 복수의 기능은,
    데이터의 읽기 동작(read ope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 또는 데이터의 쓰기 동작(write ope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인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제1 원격 제어 장치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가 제1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가 제2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제1 원격 제어 장치 및 제2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가 제1 복합 명령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가 단일 명령 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반환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반환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타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반환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반환 정보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타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반환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인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명령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맵핑한 정보인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된 이력이 없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복합 명령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삭제
  11. 복수의 기능 및 상기 복수의 기능의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명령 정보가 저장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능 정보가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합 명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제어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150979A 2019-11-22 2019-11-2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1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79A KR102661639B1 (ko) 2019-11-22 2019-11-2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951,135 US11575980B2 (en) 2019-11-22 2020-11-18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79A KR102661639B1 (ko) 2019-11-22 2019-11-2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35A KR20210062835A (ko) 2021-06-01
KR102661639B1 true KR102661639B1 (ko) 2024-04-29

Family

ID=7597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79A KR102661639B1 (ko) 2019-11-22 2019-11-2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75980B2 (ko)
KR (1) KR1026616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1432A1 (en) 2014-03-24 2015-09-24 Broadcom Corporation Auto-Pairing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9230A1 (en) 2012-03-29 2013-10-03 Broadcom Corporation Bluetooth Low Energy Privacy
JP6166484B2 (ja) * 2014-02-05 2017-07-1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トローラとアクセサリとの通信のための統一的通信プロトコル
KR102352177B1 (ko) * 2015-11-06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전자 시스템
KR102407127B1 (ko) * 2016-01-05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874515B1 (ko) 2016-07-04 2018-07-04 (주)엑스퍼넷 Ble를 이용한 실시간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949344B1 (en) * 2017-07-31 2018-04-17 Amazon Technologies, Inc. Computing-device lighting schemas
JP2019103001A (ja) 2017-12-04 2019-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215961A1 (en) * 2019-01-08 2020-07-09 Reem Jafar ALATAAS Light signal assembly for headwea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1432A1 (en) 2014-03-24 2015-09-24 Broadcom Corporation Auto-Pairing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75980B2 (en) 2023-02-07
US20210160594A1 (en) 2021-05-27
KR20210062835A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7051B2 (en) Multi-processor device
US10484673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US10809679B2 (en)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user environment by server
US2019006503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s
US20200249778A1 (en) Screen configur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031587B2 (en) Electronic device
US20210048890A1 (en) Electronic device,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displayed through electronic device
US10852719B2 (en) Serve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EP3367708A1 (en) Sharing contents
KR102176645B1 (ko)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US108634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electronic de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9160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ndering image
KR20160096422A (ko) 화면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617071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apparatus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694356B2 (en) Mechanism to automatically manage input and output across connected wearable devices
US1146764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5949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images
KR20150099280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210385102A1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661639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534061B (zh) 电子设备和用于控制电子设备的方法
US11770030B2 (en)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data in response to receiving power wirelessly and method thereof
KR20160039864A (ko) 미리보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20200186955A1 (en)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tput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EP3304412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