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379B1 - 고신뢰 저지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신뢰 저지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379B1
KR102661379B1 KR1020200049715A KR20200049715A KR102661379B1 KR 102661379 B1 KR102661379 B1 KR 102661379B1 KR 1020200049715 A KR1020200049715 A KR 1020200049715A KR 20200049715 A KR20200049715 A KR 20200049715A KR 102661379 B1 KR102661379 B1 KR 102661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nsmission
base station
csi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509A (ko
Inventor
고영조
김석기
백승권
신우람
윤찬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6/857,86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33097B2/en
Publication of KR2020012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509A/ko
Priority to US17/976,148 priority patent/US1200330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3Auxiliary parameters, e.g. power control [PCB] or not acknowledged commands [NACK], used as feedback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고신뢰 저지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단말의 동작 방법은, 타겟 전송점들 중에서 제1 CSI를 기초로 결정된 제1 전송점들의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송점들로부터 제2 CSI-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요구 조건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구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제2 CSI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신뢰 저지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레벨 스케줄링 방법, 직교 전송과 비직교 전송의 결합 방법 및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피드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장 자동화의 제어는 제어장치와 센서(sensor) 및 엑츄에이터(actuator) 사이의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장 자동화의 제어에 사용되는 통신 패킷들은 길이가 짧을 수 있고, 매우 짧은 주기로 발생될 수 있다. 공장 자동화 폐루프 제어 과정은 제어장치로부터 엑츄에이터로의 명령어 전달, 엑츄에이터에 의한 명령 실행, 그리고 명령 실행 후 센서에 의한 측정 및 측정값의 제어장치로의 보고의 순서로 사이클을 이룰 수 있고, 사이클은 연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유선 기반의 폐루프 제어를 무선화하기 위해서는 무선 기반의 폐루프 제어도 유선 기반의 폐루프 제어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저지연 및 고신뢰도가 보장되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통신은 5G NR(new radio)의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영역에 속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제어장치는 기지국일 수 있고, 센서 및 엑츄에이터는 단말일 수 있다. 제어장치로부터 엑츄에이터로의 전송은 하향링크 전송일 수 있고, 센서로부터 제어장치로의 전송은 상향링크 전송일 수 있다.
일부 공장 자동화 기계들은 BLER(block error rate) 10-9 이하의 높은 신뢰도와 E2E(end-to-end) 통신지연 1ms 이하를 요구할 수 있다. 기계가 오류 없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기계의 동작에 관련된 제어장치와 센서 및 엑츄에이터 간의 모든 통신이 신뢰도 및 지연 조건을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공장 자동화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는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효율을 유지하면서 요구되는 신뢰도와 지연을 만족할 수 있는 통신 링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레벨 스케줄링 방법, 직교 전송과 비직교 전송의 결합 방법 및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피드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송점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송점들 중에서 제1 CSI의 보고 대상인 타겟 전송점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전송점들로부터 제1 CSI-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CSI-RS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제1 CSI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전송점들 중에서 상기 제1 CSI를 기초로 결정된 제1 전송점들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송점들의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제1 전송점들로부터 제2 CSI-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요구 조건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구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제2 CSI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CSI는 장기적 CSI일 수 있고, 상기 제1 CSI는 상기 타겟 전송점들로부터 상기 단말로의 무선 채널들에 대한 SNR 추정 정보 및 제2 자원에서의 상기 무선 채널들에 대한 INR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자원은 상기 타겟 전송점들이 전송에 사용하지 않는 자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구 조건의 정보는 목표 BLER 및 목표 전송률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CSI는 상기 목표 BLER 및 상기 목표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표 전송률은 전송될 패킷의 미리 결정된 크기 또는 전송될 패킷을 위해 미리 결정된 주파수 이용효율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은 프리코더 정보, MCS 정보, 송신 전력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패킷이 복수의 전송 블록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패킷 중 제1 전송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전송 블록에 대하여 복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호가 실패한 경우, 상기 단말이 제2 전송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블록에 대하여 복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패킷이 복수의 전송 블록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패킷 중 제1 전송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전송 블록에 대하여 복호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가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 패킷 전송 중단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패킷에 포함된 모든 전송 블록을 이용하여 복호를 수행하였으나 상기 복호가 실패한 경우, 상기 기지국에 NACK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패킷에 포함된 전송 블록들이 직교 자원에 할당된 직교 전송 블록들 및 비직교 자원에 할당된 비직교 전송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비직교 전송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직교 전송 블록들과 상기 비직교 전송 블록에 대하여 복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송점들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전송점들 중에서 제1 CSI의 보고 대상인 타겟 전송점들의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전송점들을 통해 제1 CSI-RS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CSI-RS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제1 CSI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CSI를 기초로 결정된 제1 전송점들의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송점들의 정보가 지시하는 제1 전송점들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제2 CSI-RS를 전송하는 단계, 및 요구 조건의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CSI는 장기적 CSI일 수 있고, 상기 CSI는 상기 타겟 전송점들로부터 상기 단말로의 무선 채널들에 대한 SNR 추정 정보 및 제2 자원에서의 상기 무선 채널들에 대한 INR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자원은 상기 타겟 전송점들이 전송에 사용하지 않는 자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요구 조건 정보가 목표 BLER 및 목표 전송률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자원에서 상기 목표 BLER 및 상기 목표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표 전송률은 전송될 패킷의 미리 결정된 크기 또는 전송될 패킷을 위해 미리 결정된 주파수 이용효율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은 프리코더 정보, MCS 정보, 송신 전력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패킷이 복수의 전송 블록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자원 할당 정보가 지시하는 제1 자원에서 상기 요구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후보 전송 파라미터들이 포함된 제2 CSI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전송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상기 패킷 중 제1 전송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패킷 전송 중단 요청이 없으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제2 전송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NACK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상기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패킷에 포함된 전송 블록들이 직교 자원에 할당된 직교 전송 블록들 및 비직교 자원에 할당된 비직교 전송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송점들을 통해 상기 단말에 상기 비직교 전송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목표 BLER 및 목표 전송률을 포함하는 요구 조건의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BLER 및 상기 목표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실행된다.
여기서, 상기 목표 전송률은 전송될 패킷의 미리 결정된 크기 또는 전송될 패킷을 위해 미리 결정된 주파수 이용효율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은 프리코더 정보, MCS 정보, 송신 전력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 레벨 스케줄링(multi-level scheduling)에 의하면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L1/L2 제어 시그널링에 따른 오버헤드가 줄어들 수 있고, 수신 신뢰도에 따른 문제도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400)은 할당된 자원에서 패킷 전체를 수신하여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패킷의 일부만을 수신한 경우에도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직교 전송과 비직교 전송의 결합 방법에 의하면 초기 전송자원 블록은 직교 자원을 사용하고 이후 전송블록은 비직교 자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패킷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들이 미리 할당될 수 있어 자원이용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피드백 방법에 의하면 두 종류의 CSI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타입 CSI를 통해서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할 TP(transmission point)가 결정될 수 있고, 제2 타입 CSI를 통해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채널 상태가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TP를 통해 단말에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레벨 스케줄링(multi-level scheduling) 방식에 따른 자원 할당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신호 수신 및 응답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자원과 비직교 자원의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점 전송이 수행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다중점 전송이 수행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700) 간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예를 들어,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gNB, ng-eN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f(flexible)-TRP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s)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OBU(on board uni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레벨 스케줄링(multi-level scheduling) 방식에 따른 자원 할당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신호 수신 및 응답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송 블록 #1(301), 전송 블록 #2(302), 전송 블록 #3(303)은 하나의 패킷에 포함된 전송 블록들일 수 있고, ACK/NACK 블록 #1(311), ACK/NACK 블록 #2(312), ACK/NACK 블록 #3(313)은 HARQ ACK/NACK 전송을 위한 ACK/NACK 전송자원일 수 있다.
URLLC(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에서 목표로 하는 신뢰도는 통신링크 당 10-9에서 10-5의 BLER(block error rate)일 수 있다. 스케줄러는 데이터를 저지연 및 고신뢰도 요구사항을 동시에 충족하는 자원할당 및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할 수 있다. 원샷 스케줄링(one-shot scheduling)은 한 번의 스케줄링을 통해 주어진 시간 지연 한계와 목표 BLER을 만족하는 자원할당 및 MCS 선택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목표 BLER이 낮을수록 원샷 스케줄링을 통해 할당되는 자원의 양은 늘어날 수 있다. 목표 BLER이 매우 낮은 경우, 원샷 스케줄링을 통해 할당된 자원이 모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도 대부분의 경우 단말(400)은 신호의 복조 및 복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시간 지연에 대한 요구사항이 엄격하지 않은 경우라면, 초기 자원 할당량이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초기 목표 BLER은 너무 높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수신 실패가 확인된 경우에만 추가적인자원 할당을 통해 재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초기 자원 할당량을 줄임으로써 자원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셀의 스루풋(throughput)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매우 높은 수준의 저지연과 신뢰도를 요구하는 URLLC 통신에서는 일반적인 HARQ 전송방식을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URLLC 통신에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멀티 레벨 스케줄링 방식은 목표 BLER을 중간 목표 BLER과 최종 목표 BLER로 구분하고, 각 목표 BLER(즉, 중간 목표 BLER, 최종 목표 BLER)에 대한 독립적인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하에서, 패킷을 전송하는 기지국(410)과 패킷을 수신하고 응답신호인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400)의 동작이 설명된다.
공장 자동화에서 수행되는 통신과 같이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가 일정한 시간적 패턴을 가지며 발생하는 트래픽의 경우, 주기적으로 일정한 시간-주파수 자원이 할당되는 반지속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방식이 적합할 수 있다. 동적인 스케줄링 방식은 기지국(410)이 패킷을 전송할 때마다 단말(400)에 자원 할당 정보 및 MCS를 알려주기 위한 L1/L2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반지속적 스케줄링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L1/L2 제어 시그널링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L1/L2 반지속적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경우, L1/L2 제어 시그널링에 따른 오버헤드 및 수신 신뢰도 하락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기지국(410)은 반지속적 스케줄링을 통해 일정한 주기마다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하향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 및 MCS를 단말(400)에 알려줄 수 있다(S401). 하향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 및 MCS는 패킷에 포함된 전송 블록들(예를 들어, 전송 블록 #1(301), 전송 블록 #2(302), 전송 블록 #3(303))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전송 블록 #1(301)의 목표 BLER보다 전송 블록 #2(302)의 목표 BLER이 더 낮게 설정될 수 있고, 전송 블록 #2(302)의 목표 BLER보다 전송 블록 #3(303)의 목표 BLER이 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패킷에 포함된 전송 블록들 중 먼저 전송되는 전송 블록은 나중에 전송되는 전송 블록보다 더 낮은 신뢰도가 요구될 수 있고, 나중에 전송되는 블록은 먼저 전송되는 전송 블록보다 더 높은 신뢰도가 요구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410)은 DCI를 통해 패킷에 포함된 전송 블록들(전송 블록 #1(301), 전송 블록 #2(302), 전송 블록 #3(303)) 각각에 대한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패킷에 포함된 전송 블록들(전송 블록 #1(301), 전송 블록 #2(302), 전송 블록 #3(303)) 각각에 대한 ACK/NACK 전송 자원(ACK/NACK 블록 #1(311), ACK/NACK 블록 #2(312), ACK/NACK 블록 #3(313))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410)은 S401에서 전송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400)에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S402). 패킷은 복수의 전송 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패킷의 전송을 위해 복수 개의 전송 블록(전송 블록 #1(301), 전송 블록 #2(302), 전송 블록 #3(303))들이 사용될 수 있다. 각 전송 블록들에 대응되는 ACK/NACK 자원(ACK/NACK 블록(311), ACK/NACK 블록(312), ACK/NACK 블록(313))이 주어질 수 있다. 패킷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이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차지하는 경우, 전송에 사용되는 각 OFDM 심볼에 대응하는 ACK/NACK 자원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CK/NACK 자원들은 서로 분리된 시간-주파수 자원일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ACK/NACK 자원의 양을 줄이기 위해 ACK/NACK 자원들은 일부가 서로 겹치거나, 전체가 서로 겹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블록 #1(301)의 ACK/NACK 자원인 ACK/NACK 블록(311)과 전송 블록 #2(302)의 ACK/NACK 자원인 ACK/NACK 블록(312) 전체가 동일한 자원일 수 있고, 또는 ACK/NACK 블록(311)과 ACK/NACK 블록(312)의 일부가 동일한 자원일 수 있다.
단말(400)은 기지국(410)으로부터 수신된 DCI를 통해 하향링크 전송 자원 할당 정보 및 MCS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400)은 수신된 DCI를 기초로 기지국(410)으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대한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S403). URLLC 통신에서 반지속적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경우, 목표 BLER을 만족할 수 있는 자원을 미리 할당하면 지나치게 많은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자원이 지나치게 많이 할당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단말(400)은 할당된 자원에서 패킷 전체를 수신한 후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패킷의 일부만을 수신한 경우에도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킷 일부만을 수신한 경우에도 복조 및 복호가 가능한 방식으로 채널코딩 되어야 할 수 있다. 단말(400)은 전체 패킷 중 일부만을 수신한 경우에도 수신 성공으로 판단되면 기지국(410)에 수신 성공을 알려줄 수 있다(S404). 기지국(410)은 단말(400)로부터 수신 성공 메시지(예를 들어, ACK)를 수신하면 패킷 전송을 중단할 수 있고, 단말(400)로부터 수신 실패 메시지(예를 들어, NACK)를 수신하면 패킷 전송을 계속할 수 있다.
기지국(410)은 ACK/NACK 자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ACK/NACK 자원에서 ACK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400)의 패킷 수신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패킷을 계속 전송할 것인지 또는 패킷 전송을 중단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반지속적 스케줄링의 경우 전송 블록들(전송 블록 #1(301), 전송 블록 #2(302), 전송 블록 #3(303))은 목표 BLER을 만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자원에 할당될 수 있다. 기지국(410)은 단말(400)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400)로의 패킷 전송을 중단하고 전송이 중단된 전송 블록에 할당된 자원은 다른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ACK에 해당하는 시퀀스와 NACK에 해당하는 시퀀스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패킷 단말(400)은 패킷 수신이 성공하면 ACK 시퀀스를 기지국(410)에 전송할 수 있고, 패킷 수신이 실패하면 NACK 시퀀스를 기지국(4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400)은 수신이 성공한 경우에만 미리 지정된 ACK 시퀀스를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전송 블록들에 대응하는 ACK/NACK 전송자원들의 시퀀스는 각각의 전송 블록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410)은 ACK/NACK 시퀀스 검출을 통해 수신에 성공한 전송 블록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단말(400)은 수신이 성공한 경우에는 바로 ACK를 전송하고, 전송 블록의 수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NACK을 전송하지 않고 다음 전송 블록을 함께 이용하여 다시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최종적으로 모든 전송 블록을 수신하여도 복호를 실패한 경우에만 NACK을 전송할 수 있다(S404). 아래에서는 단말(400)이 기지국(410)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복호하는 구체적인 동작 방법이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패킷은 도 3의 패킷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패킷은 3개의 전송 블록(전송 블록 #1(301), 전송 블록 #2(302), 전송 블록 #3(303))으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한다. 도 5의 단말은 도 4의 단말(400)일 수 있다.
단말은 복호가 수행되는 전송 블록 개수를 지시하는 K를 0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S500). 단말은 복호가 수행되는 전송 블록 개수를 지시하는 K값을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S501). 단말은 첫 번째 전송 블록(즉, 전송 블록 #1(301))이 수신되면 첫 번째 전송 블록(즉, 전송 블록 #1(301))에 대한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S402). 단말은 복호된 전송 블록 #1(301)에 대해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수행할 수 있다(S503). 단말은 CRC 결과를 통해 수신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04). CRC 결과 수신 성공인 경우, 단말은 복호를 중지하고 복호에 사용된 마지막 전송자원 블록인 전송 블록 #1(301)에 대응하는 ACK/NACK 전송 자원인 ACK/NACK 블록 #1(311)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ACK를 전송할 수 있다(S505). CRC 결과 수신 실패인 경우, 단말은 복호가 수행된 전송 블록의 개수를 지시하는 K가 수신할 총 전송 블록의 개수를 지시하는 Kmax와 동일한지 확인할 수 있다(S506). K가 Kmax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S501로 돌아갈 수 있다. 단말은 K값을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S501). 단말은 전송 블록 #1(301) 및 전송 블록 #2(302)에 대하여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S502). 단말(400)은 복호된 전송 블록 #1(301) 및 전송 블록 #2(302)에 대해 CRC를 수행할 수 있다(S503). 단말은 CRC 결과를 통해 수신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04). CRC 결과 수신 성공인 경우, 단말은 복호를 중지하고 복호에 사용된 마지막 전송 블록인 전송 블록 #2(302)에 대응하는 ACK/NACK 전송 자원인 ACK/NACK 블록 #2(312)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ACK를 전송할 수 있다(S505). CRC 결과 수신 실패인 경우, 단말은 복호가 수행된 전송 블록의 개수를 지시하는 K가 수신할 총 전송 블록의 개수를 지시하는 Kmax와 동일한지 확인할 수 있다(S506). K가 Kmax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S501로 돌아갈 수 있다. 단말은 K값을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S501). 단말은 전송 블록 #1(301), 전송 블록 #2(302) 및 전송 블록 #3(303)에 대하여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S502). 단말(400)은 복호된 전송 블록 #1(301), 전송 블록 #2(302) 및 전송 블록 #3(303)에 대해 CRC를 수행할 수 있다(S503). 단말은 CRC 결과를 통해 수신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04). CRC 결과 수신 성공인 경우, 단말은 복호를 중지하고 복호에 사용된 마지막 전송 블록인 전송 블록 #3(303)에 대응하는 ACK/NACK 전송 자원인 ACK/NACK 블록 #3(313)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ACK를 전송할 수 있다(S505). CRC 결과 수신 실패인 경우, 단말은 복호가 수행된 전송 블록의 개수를 지시하는 K가 수신할 총 전송 블록의 개수를 지시하는 Kmax와 동일한지 확인할 수 있다(S506). K가 Kmax와 동일한 경우, 단말가 모든 패킷 전송자원 블록을 모두 수신하여 복호를 수행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가 모든 패킷 전송자원 블록을 수신하여 복호를 수행하였음에도 CRC 결과 수신 실패인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NACK을 전송할 수 있다(S507). 즉, 전송 블록 #1(301), 전송 블록 #2(302) 및 전송 블록 #3(303)을 모두 이용하여 복호를 수행하고, 복호된 전송 블록들의 CRC 결과 수신 실패인 경우, 단말은 마지막 전송 블록인 전송 블록 #3(303)에 대응하는 ACK/NACK 전송 자원인 ACK/NACK 블록 #3(313)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NACK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자원과 비직교 자원의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블록 A(610)는 직교 자원일 수 있고, 블록 B(620)는 비직교 자원일 수 있다. 기지국(410)은 단말(400)에 전송할 패킷의 일부는 직교 자원을 사용해 전송할 수 있고, 나머지는 비직교 자원을 사용해 전송할 수 있다. 비직교 자원은 여러 통신 노드가 공유할 수 있다. 비직교 자원은 반지속적 스케줄링을 통해 미리 할당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에서 처음 일부의 전송 블록들(예를 들어, 블록 A(610))은 직교 자원에 할당되고, 나머지 전송 블록들(예를 들어, 블록 B(620))은 비직교 자원에 할당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들은 직교 자원에서 수신된 패킷만으로 패킷을 복호할 수 있다. 다만, 직교 자원에서 패킷 수신을 실패한 단말들은 비직교 자원도 사용하여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직교 자원에서 수신된 패킷의 복호에 실패한 단말들은 직교 자원 및 비직교 자원에서 수신된 패킷들을 모두 이용하여 패킷의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ACK를 수신하면 ACK를 전송한 단말에 대한 패킷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NACK을 수신하면 NACK을 전송한 단말에 대한 패킷 전송을 지속할 수 있다. 기지국은 ACK를 전송한 단말에는 패킷 전송을 중지하므로, 아직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단말들은 기지국이 다른 단말들에 전송하는 패킷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향상된 품질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향링크 전송에서 처음 일부의 전송 블록들(예를 들어, 블록 A(610))은 직교 자원에 할당되고, 나머지 전송 블록들(예를 들어, 블록 B(620))은 비직교 자원에 할당될 수 있다. 기지국은 직교 자원에서 수신한 패킷만으로 패킷을 복호할 수 있다. 다만, 직교 자원에서 수신을 실패한 기지국은 비직교 자원도 사용하여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직교 자원에서 수신된 패킷의 복호에 실패한 기지국은 직교 자원 및 비직교 자원에서 수신된 패킷들을 모두 이용하여 패킷의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상향링크의 경우, 기지국은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사용하여 각 단말이 보낸 데이터에 대한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단말로부터 수신된 패킷은 복호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일부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패킷은 복호가 실패할 수 있다. 하나의 패킷에 포함되는 전송 블록들 중에서,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전송 블록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성공적으로 복호되는 단말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패킷을 전송한 단말에게 패킷 전송을 중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전송이 중지된 단말의 수가 증가하면, 비직교 전송 자원에서 서로 간섭을 주고 받는 신호들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들에게 전송 중지 신호를 보내지 않더라도, 기지국은 직교 자원에서 수신된 패킷만으로 복호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단말들의 신호를 이용하여 비직교 자원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단말의 패킷 전송을 중단시키거나, 또는 수신 신호에서 간섭제거를 수행함으로써 비직교자원에서 수신된 신호들의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초기 전송 블록들은 직교 자원에 할당되고, 이후 전송 블록들은 비직교 자원에 할당되는 방식은 패킷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들이 미리 할당될 수 있으므로 자원 이용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모든 전송 블록들이 비직교 자원에 할당될 수 있다. 모든 전송 블록들이 비직교 자원에 할당되는 경우에도 기지국은 패킷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들을 미리 할당할 수 있으므로 자원 이용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반지속적 스케줄링에 적합한 단말 피드백 방법이 설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점 전송이 수행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다중점 전송이 수행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700) 간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단말(700) 및 복수의 전송점(transmission point, TP)들(701, 702, 703, 711, 712, 713, 721, 722, 723, 72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점은 송신 및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송점은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일 수 있다.
반지속적 스케줄링을 통한 자원할당 방식에 적합한 단말 피드백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하향링크 전송의 경우, 기지국은 하향링크 채널 품질을 단말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피드백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 TDD(time division duplex) 하향링크 전송의 경우에도 기지국은 하향링크 채널 품질을 단말의 CSI 피드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단말(700)은 무선채널의 장기적 특성을 반영한 장기적(long-term) CSI인 1타입 CSI를 생성하고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1타입 CSI를 기초로 신호 전송에 사용될 전송점, 전력 제어, 반지속적 스케줄링을 통한 자원할당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700)과 기지국 간의 신호 송수신은 복수의 전송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복수의 전송점을 통해 단말(700)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이동성은 낮은 편이라고 가정한다. 기지국은 장기적 CSI인 1타입 CSI 보고의 대상이 되는 타겟 전송점들을 단말(700)에게 알려줄 수 있다(S801). 예를 들어, 1타입 CSI 보고의 대상이 되는 타겟 전송점들은 전송점 #1(701), 전송점 #2(702), 전송점 #3(703), 전송점 #4(711), 전송점 #5(712) 및 전송점 #6(713)일 수 있다. 타겟 전송점들(전송점 #1(701), 전송점 #2(702), 전송점 #3(703), 전송점 #4(711), 전송점 #5(712), 전송점 #6(713))은 단말(700)에게 신호를 전송할 가능성이 있는 전송점들과 단말(700)에게 큰 간섭을 줄 수 있는 전송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700)은 타겟 전송점들로부터 참조 신호(예를 들어, CSI-RS(reference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S802). 단말(700)은 참조 신호를 기초로 타겟 전송점 각각에 대해 장기적 SNR(signal to noise ratio)을 추정하여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SNR 추정은 미리 정해진 전송 블록들 각각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700)은 복수의 RB(resource block) 또는 RB 묶음에 대한 SNR 값을 추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700)은 사용 가능한 전체 대역에 대해 SNR을 추정할 수 있다. 단말(700)은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특정 자원을 사용하여 INR(interference-to-noise ratio)을 추정할 수 있다. INR 추정에 사용되는 자원은 타겟 전송점들이 전송에 사용하지 않는 자원일 수 있다. INR에서의 간섭량(interference)은 열잡음(thermal noise)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700)은 타겟 전송점들을 통해 기지국에 1타입 CSI를 전송할 수 있다(S803). 1타입 CSI는 SNR 및 INR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700)의 1타입 CSI를 기초로 단말(700)에게 패킷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점(예를 들어, 전송점 #1(701), 전송점 #2(702), 전송점 #3(703))을 결정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이 하나의 전송점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전송에 사용할 전송점을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장기적 CSI인 1타입 CSI 보고의 대상이 되는 타겟 전송점은 기지국이 사용하는 상기 하나의 전송점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에서 기술한 1타입 CSI는 상기 전송점으로부터 단말로의 무선 채널에 대한 SNR 및/또는 INR 일 수 있다. 이하에서 패킷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전송점을 제1 전송점이라 한다.
기지국은 제1 전송점(예를 들어, 전송점 #1(701), 전송점 #2(702), 전송점 #3(703))을 이용하여 단말(700)에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의 각 전송 블록에 대한 유효 SINR(effective 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을 추정할 수 있다. 비 코히어런트(non-coherent) 다중점 전송의 경우, 기지국은 수학식 1과 같이 전송 블록 N에 대한 유효 SINR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TTP}는 타겟 전송점들 중에 전송에 참여하는 전송점(예를 들어, 전송점 #1(701), 전송점 #2(702), 전송점 #3(703))으로 구성된 전송점 집합을 의미할 수 있고, {ITP}는 타겟 전송점들 중에서 전송에 참여하지 않는 전송점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전송 방식에 따라 {ITP}는 공집합일 수 있다. {ITP}가 공집합인 경우 모든 타겟 전송점들이 단말(700)로의 패킷 전송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1타입 CSI를 통해 기지국은 타겟 전송점에 속하는 전송점 각각의 전력을 조절하였을 때 단말(700)이 경험하는 SINR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1타입 CSI를 통해 단말(700)을 위해 전송에 사용될 전송점, 자원 및 송신 전력에 따른 단말의 SINR을 추정할 수 있으므로, 단말(700)에 패킷을 전송하기에 가장 적합한 전송점, 자원 및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1 전송점(예를 들어, 전송점 #1(701), 전송점 #2(702), 전송점 #3(703)) 정보를 단말(700)에 전송할 수 있다(S804).
기지국은 반지속적 스케줄링을 통해 단말(700)에게 2타입 CSI 추정에 사용될 자원 할당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제1 전송점(예를 들어, 전송점 #1(701), 전송점 #2(702), 전송점 #3(703))은 할당된 자원에서 참조 신호(예를 들어, CSI-RS)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805). 또한, 기지국은 단말(700)에게 목표 BLER 및 목표 전송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806). 단말(700)은 참조 신호를 기초로 2타입 CSI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2타입 CSI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S807). 기지국은 단말(700)로부터 2타입 CSI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2타입 CSI를 기초로 목표 전송률과 목표 BLER을 모두 달성하기 위한 송신 전력, 프리코더(precoder), MCS, 자원 할당 정보 등을 포함한 실제 전송에 사용될 전송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목표 전송률은 기지국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패킷을 전송할 때 미리 결정된 전송할 패킷의 크기(bits) 또는 미리 결정된 전송 패킷의 주파수 이용효율(bps/Hz)를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자원은 기지국이 단말(700)에게 하향링크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일 수 있다. 단말(700)은 할당된 자원 내에 포함된 참조 신호를 통해 2타입 CSI를 추정할 수 있다. 단말(700)은 2타입 CSI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807).
단말(700)은 2타입 CSI를 추정할 때 프리코더, MCS, 송신 전력, 전송에 사용하는 자원 등 전송 파라미터들의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미리 결정된 전송 파라미터 값들을 단말(700)에게 알려줄 수 있고, 단말(700)은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 값들을 사용하여 2타입 CSI를 추정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되지 않은 전송 파라미터들에 대해서 단말(700)은 직접 결정되지 않은 전송 파라미터들의 값을 결정할 수 있고, 이를 2타입 CSI로서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기지국에 보고하는 2타입 CSI는 프리코더, MCS, 송신 전력, 전송에 사용하는 자원 등을 포함하는 전송 파라미터들의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한 정보일 수 수 있다.
2타입 CSI 피드백 방법은 트래픽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 트래픽을 위한 2타입 CSI 피드백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1타입 CSI를 기초로 단말(700)이 2타입 CSI 추정에 사용할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할당된 자원과 단말(700)의 목표 BLER을 단말(700)에게 알려줄 수 있다. 단말(700)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자원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 목표 BLER을 만족하기 위한 프리코더, MCS 및 송신 전력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정할 수 있다. 단말(700)은 추정된 값과 함께 추정된 값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전송률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전송률은 기지국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패킷을 전송할 때 목표 BLER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대 주파수 이용 효율(bps/Hz) 또는 전송 가능한 패킷의 최대 크기(bits)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단말(700)은 프리코더, MCS 및 송신 전력은 미리 정해진 값을 사용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프리코더, MCS 및 송신 전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전송률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700)로부터 보고된 2타입 CSI를 기초로 단말(700)에 패킷을 전송할 때 사용할 프리코더, MCS, 송신 전력, 추가적인 자원 할당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트래픽(deterministic traffic)을 위한 2타입 CSI 피드백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공장 자동화를 위한 폐루프 제어(closed loop control)에서 발생되는 트래픽은 트래픽의 발생 시점, 크기 등이 미리 결정된 트래픽일 수 있다. 일정한 크기의 패킷이 미리 알려진 시간 주기를 가지고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한 번의 전송에서 기지국이 단말(700)에게 또는 단말(700)이 기지국에 전송할 패킷의 크기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기지국은 1타입 CSI를 기초로 단말(700)이 2타입 CSI 추정에 사용할 자원을 결정할 수 있고, 할당된 자원, 단말(700)의 목표 BLER 및 목표 전송률을 단말(700)에게 알려줄 수 있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목표 전송률은 기지국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패킷을 전송할 때 미리 결정된 전송할 패킷의 크기(bits) 또는 미리 결정된 전송 패킷의 주파수 이용효율(bps/Hz)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700)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자원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 목표 BLER 및 목표 전송률을 만족하기 위한 프리코더, MCS, 송신 전력의 변화량, 및 자원 할당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정할 수 있다. 단말(700)은 추정된 값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또는, 단말(700)은 프리코더, MCS, 송신 전력, 및 자원 할당 정보는 미리 정해진 값을 사용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프리코더, MCS, 송신 전력, 및 자원 할당 정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전송률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700)로부터 보고된 2타입 CSI를 기초로 단말(700)에 패킷을 전송할 때 실제 사용할 프리코더, MCS, 송신 전력, 자원 할당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CSI는 비주기적(aperiodic)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700)은 수신 중인 패킷의 링크 품질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패킷의 링크 품질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단말(700)은 수신된 패킷의 복호가 성공한 경우 ACK를 전송할 수 있고, 복호가 실패한 경우 CSI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700)로부터 ACK를 수신하면 패킷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고, 단말(700)로부터 CSI를 수신하면 CSI를 기초로 패킷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송신 전력, 자원 할당 등을 조절할 수 있다. CSI는 목표 BLER 달성에 필요한 송신 전력 정보(예를 들어, 송신 전력 절대값 혹은 송신 전력 변화량), 목표 BLER 달성에 필요하다고 추정되는 자원 할당 정보(예를 들어, 자원 할당 혹은 자원 할당 변화량), 하나 혹은 복수의 자원 할당 각각에 대해 목표 BLER을 만족하면서 달성 가능한 주파수 이용 효율(bps/Hz) 또는 전송 패킷의 크기(bit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1타입 CSI를 통해 제1 전송점(예를 들어, 전송점 #1(701), 전송점 #2(702), 전송점 #3(703))을 결정할 수 있고, 2타입 CSI를 통해 전송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멀티 레벨 스케줄링 방식을 통해 단말(700)에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복수의 전송 블록들을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할 수 있고, 단말은 패킷에 포함된 전송 블록들을 모두 수신하기 전이라도 수신된 전송 블록에 대한 복호를 수행할 수 있고 복호가 성공한 경우 ACK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패킷을 전송 중이더라도 ACK를 수신하면 패킷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단말(700)에 전송하는 패킷에 할당되는 자원은 도 6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기지국이 단말(700)에 전송하는 패킷에 할당되는 자원은 직교 자원뿐만 아니라 비직교 자원일 수 있다. 기지국이 전송하는 패킷의 일부는 직교 자원을 통해서 전송되고, 일부는 비직교 자원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복수의 전송점(transmission point)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송점들 중에서 장기적(long-term) 제1 CSI(channel state information)의 보고 대상인 타겟 전송점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전송점들로부터 제1 CSI-RS(CSI-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CSI-RS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타겟 전송점들 각각에 대한 상기 장기적 제1 CSI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전송점들 중에서 상기 장기적 제1 CSI를 기초로 결정된 제1 전송점들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송점들의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제1 전송점들로부터 반지속적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통해 제2 CSI-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요구 조건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구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제2 CSI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기적 제1 CSI는 상기 타겟 전송점들로부터 상기 단말로의 무선 채널들에 대한 SNR(signal to noise ratio) 추정 정보 및 상기 반지속적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된 자원에서의 상기 무선 채널들에 대한 INR(interference to noise ratio)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반지속적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된 자원은 상기 타겟 전송점들 중 상기 제1 전송점들을 제외한 전송점들이 전송에 사용하지 않는 자원인, 단말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구 조건의 정보는 목표 BLER(block error rate) 및 목표 전송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CSI는 상기 목표 BLER 및 상기 목표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목표 전송률은 전송될 패킷의 미리 결정된 크기 또는 전송될 패킷을 위해 미리 결정된 주파수 이용효율인, 단말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은 프리코더(precoder)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송신 전력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패킷이 복수의 전송 블록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패킷 중 제1 전송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전송 블록에 대하여 복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호가 실패한 경우, 상기 단말이 제2 전송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블록에 대하여 복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패킷이 복수의 전송 블록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패킷 중 제1 전송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전송 블록에 대하여 복호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가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 패킷 전송 중단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패킷에 포함된 모든 전송 블록을 이용하여 복호를 수행하였으나 상기 복호가 실패한 경우, 상기 기지국에 NACK(negative acknowledgement)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패킷에 포함된 전송 블록들이 직교 자원에 할당된 직교 전송 블록들 및 비직교 자원에 할당된 비직교 전송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비직교 전송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직교 전송 블록들과 상기 비직교 전송 블록에 대하여 복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복수의 전송점(transmission point)들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송점들 중에서 장기적(long-term) 제1 CSI(channel state information)의 보고 대상인 타겟 전송점들의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전송점들을 통해 제1 CSI-RS(CSI-reference signal)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CSI-RS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장기적 제1 CSI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기적 제1 CSI를 기초로 결정된 제1 전송점들의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송점들의 정보가 지시하는 제1 전송점들에서 반지속적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제2 CSI-RS를 전송하는 단계; 및
    요구 조건의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장기적 제1 CSI는 상기 타겟 전송점들로부터 상기 단말로의 무선 채널들에 대한 SNR(signal to noise ratio) 추정 정보 및 상기 반지속적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된 자원에서의 상기 무선 채널들에 대한 INR(interference to noise ratio)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반지속적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된 자원은 상기 타겟 전송점들 중 상기 제1 전송점들을 제외한 전송점들이 전송에 사용하지 않는 자원인, 기지국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요구 조건의 정보가 목표 BLER(block error rate) 및 목표 전송률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반지속적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된 자원에서 상기 목표 BLER 및 상기 목표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목표 전송률은 전송될 패킷의 미리 결정된 크기 또는 전송될 패킷을 위해 미리 결정된 주파수 이용효율인, 기지국의 동작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은 프리코더(precoder)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송신 전력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패킷이 복수의 전송 블록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반지속적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된 자원에서 상기 요구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후보 전송 파라미터들이 포함된 제2 CSI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전송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상기 패킷 중 제1 전송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패킷 전송 중단 요청이 없으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제2 전송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NACK(negative acknowledgement)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상기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패킷에 포함된 전송 블록들이 직교 자원에 할당된 직교 전송 블록들 및 비직교 자원에 할당된 비직교 전송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송점들을 통해 상기 단말에 상기 비직교 전송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8.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전송점(transmission point)들 중에서 장기적(long-term) 제1 CSI(channel state information)의 보고 대상인 타겟 전송점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전송점들로부터 제1 CSI-RS(CSI-reference signal)를 수신하고;
    상기 제1 CSI-RS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타겟 전송점들 각각에 대한 상기 장기적 제1 CSI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타겟 전송점들 중에서 상기 장기적 제1 CSI를 기초로 결정된 제1 전송점들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전송점들의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제1 전송점들로부터 반지속적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통해 제2 CSI-RS를 수신하고;
    목표 BLER(block error rate) 및 목표 전송률을 포함하는 요구 조건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BLER 및 상기 목표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도록 야기하는, 단말.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목표 전송률은 전송될 패킷의 미리 결정된 크기 또는 전송될 패킷을 위해 미리 결정된 주파수 이용효율인, 단말.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들은 프리코더(precoder)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송신 전력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KR1020200049715A 2019-04-26 2020-04-24 고신뢰 저지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61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57,864 US11533097B2 (en) 2019-04-26 2020-04-24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S17/976,148 US12003301B2 (en) 2019-04-26 2022-10-28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9253 2019-04-26
KR1020190049253 2019-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509A KR20200125509A (ko) 2020-11-04
KR102661379B1 true KR102661379B1 (ko) 2024-04-26

Family

ID=7357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715A KR102661379B1 (ko) 2019-04-26 2020-04-24 고신뢰 저지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3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7601A1 (en) * 2011-08-05 2014-06-26 Panasonic Corporation Terminal, transmitting device, reception quality reporting method and reception method
US20150270917A1 (en) * 2014-03-21 2015-09-24 Nvidia Corporation Estimating channel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746B1 (ko) * 2016-10-18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규모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7601A1 (en) * 2011-08-05 2014-06-26 Panasonic Corporation Terminal, transmitting device, reception quality reporting method and reception method
US20150270917A1 (en) * 2014-03-21 2015-09-24 Nvidia Corporation Estimating channe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509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7189B1 (ko) 데이터 및 제어 정보에 대한 수신 신뢰성 향상
KR102591641B1 (ko) 동적 구조를 가진 ul 제어 채널의 송신
JP6722301B2 (ja) ワイヤレスデバイスに対するアップリンク送信の設定
US202103606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communication system
US115234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402773B1 (ko) 슬롯 집성을 위한 harq 프로세스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96578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signaling of control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7210596B2 (ja) 通信デバイス、基地局及び方法
KR20190131552A (ko) 유연한 그랜트 프리 자원 구성 시그널링
KR102589185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dmrs 구조에 대한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90005988A (ko) 다운링크 송신들의 구성
US20180152961A1 (en) Radio terminal, base station, and processor
US202201169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s with different reliability conditions
US111538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US115330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KR20220047167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661379B1 (ko) 고신뢰 저지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108452A (ko)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20063725A (ko)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및 harq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47166A (ko) 서로 다른 신뢰 조건들을 가지는 상향링크 전송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50766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20033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KR1024255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및 전력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139153A (ko)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00087692A (ko)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