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324B1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324B1
KR102661324B1 KR1020220176076A KR20220176076A KR102661324B1 KR 102661324 B1 KR102661324 B1 KR 102661324B1 KR 1020220176076 A KR1020220176076 A KR 1020220176076A KR 20220176076 A KR20220176076 A KR 20220176076A KR 102661324 B1 KR102661324 B1 KR 102661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groove
line
pillow
s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시현
Original Assignee
황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시현 filed Critical 황시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굴의 주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베개 몸체; 및 상기 베개 몸체 상면부 일 측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1홈 및 상기 베개 몸체 상면부 타 측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2홈을 포함하는 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굴의 주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란 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머리를 괴는 물건으로, 일반적으로 천과 같은 재질 내부에 쿠션 성능을 부가하는 솜, 메모리폼 등과 같은 재질이 채워져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공개특허 제10-2022-0154502호(이하 종래기술)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 몸체의 내부에 형성시킨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한 쌍의 지지판을 상,하부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그 양측 지지판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어 상하로 수축가능한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으로 쿠션성을 갖도록 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어 통기성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통공, 상기 지지판에 도전성금속사와 황토를 함유한 원사를 포함하여 제직한 직물지를 구비시켜 전자파 차폐 및 항균, 소취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일반적으로 후두부가 베개의 상면부(평면부)에 상에 지지되어 사용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 자세가 바뀔 수 있고, 이러할 경우 얼굴의 옆면 등이 베개의 상면부에 눌려짐에 따라 얼굴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고 주름이 깊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얼굴의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가 눌리는 것을 억제하여 수면 호흡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베개 몸체; 및 상기 베개 몸체 상면부 일 측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1홈 및 상기 베개 몸체 상면부 타 측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2홈을 포함하는 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홈의 바닥은 타 측에서 일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상기 제2홈의 바닥은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홈은 타 측에서 일 측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홈은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홈은, 바닥 둘레 후방 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후방 측으로 경사진 제1후방경사측면, 상기 바닥 둘레 전방 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전방 측으로 경사진 제1전방경사측면, 및 상기 제1후방경사측면의 타단과 상기 제1전방경사측면 타단을 연결하되 타 측으로 만곡된 제1만곡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얼굴의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코가 눌리는 것을 억제하여 수면 호흡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기능성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기능성 베개의 저면도이다.
도 4는 기능성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기능성 베개의 배면도이다.
도 6은 기능성 베개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기능성 베개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기능성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기능성 베개의 저면도이다. 도 4는 기능성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기능성 베개의 배면도이다. 도 6은 기능성 베개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기능성 베개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P)는 얼굴 피부의 주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베개’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베개(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P))는 베개 몸체(1) 및 홈부(2)를 포함한다.
베개 몸체(1)는 하면부(12), 하면부(12)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상면부(11), 상기 하면부(12) 둘레와 상기 상면부(11) 둘레를 연결하는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면부(11), 하면부(12), 측면부 각각은 천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개 몸체(1)는 상면부(11), 하면부(12), 및 측면부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쿠션감을 부가하기 위해 충진 되는 솜, 메모리폼 등과 같은 충진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상측(상부, 상면, 상단 등)은 도 4를 기준으로 상측(상부, 상면, 상단 등)을 의미하고, 하측(하부, 하면, 하단 등)은 도 4를 기준으로 하측(하부, 하면, 하단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홈부(2)는 상기 베개 몸체(1) 상면부(11) 일 측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1홈(21), 및 상기 베개 몸체(1) 상면부(11) 타 측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2홈(2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일 측(일단 등)이란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좌측단 등)을 의미하고, 타 측(타단 등)은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우측단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한 상면부(11)(평면부)는 중앙부분과 상기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홈(21)이 형성되는 일측부분 및 상기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홈(22)이 배치되는 타측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일측부분 및 타측부분은 상기한 중앙부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중앙부분은 후두부가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고, 측부(일 측 및 타 측)에서 중앙측(도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과 평행한 중심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만곡 되게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베개는 베개 몸체(1)의 상면부(11) 일 측(상기 일측부분)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1홈(21)과 베개 몸체(1)의 상면부(11) 타 측(상기 타측부분)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2홈(22)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중앙부분에 후두부를 지지하여 누워 있다가 수면 자세를 바꿔 고개를 돌리는 상황에서도 얼굴이 상면부(11)에 눌리는 것을 억제하여 얼굴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고 주름이 깊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홈(21)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타 측(우측)에서 일 측(좌측)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보다 구체적으로는 평면상에서 봤을 때 후술하는 제1후방경사측면(211a)과 제1전방경사측면(211b)이 타 측에서 일 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 제2홈(22)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이란 도 2를 기준으로 하측방향을 의미하는데, 본 베개의 정면 측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랑 도 2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을 의미하는데, 본 베개의 배면측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홈(21)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타 측에서 일 측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홈(22)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후두부가 상기 중앙부분에 지지된 상태에서 등이 바닥에 닿은 상태를 유지한 채 고개를 옆으로 젖히는 경우 턱이 쇄골에 가까워지도록 고개가 젖혀지는데 이에 대응하여 얼굴 옆면이 제1홈(21) 또는 제2홈(22)에 삽입되도록 하여 얼굴의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홈(21) 및 제2홈(22) 상부에 얼굴 옆면을 지지한채로 누운 상태에서 휴대폰 등을 눈보다 아래에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홈(21)은 바닥(211)(제1바닥)과 바닥(211) 둘레 후방 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후방경사측면(211a), 상기 바닥(211) 둘레 전방 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전방경사측면(211b), 및 상기 제1후방경사측면(211a)의 타단과 상기 제1전방경사측면(211b)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1만곡측면(21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홈(21)은 상기 바닥(211)의 둘레 일 측에서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포함하지 않아, 일 측이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홈(22) 또한 바닥(221)(제2바닥), 바닥(221) 둘레 후방 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후방경사측면, 상기 바닥(221) 둘레 전방 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전방경사측면, 및 상기 제2후방경사측면 일단과 제2전방경사측면 일단을 연결하는 제2만곡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홈(22)은 바닥(221)의 둘레 타 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포함하지 않아, 타 측이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홈(21)의 바닥(211)은 타 측에서 일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2홈(22)의 바닥(221)은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중앙부분에 후두부가 지지되도록 누워 있는 상태에서, 고개를 좌우측으로 돌리는 경우, 그 젖히는 정도가 커짐에 따라 얼굴에서 튀어나온 부분인 코가 바닥(211)(221)에 눌려 호흡에 방해가 될 수 있는데, 본 베개는 제1홈(21)의 바닥(211)이 타 측에서 일 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고, 제2홈(22)의 바닥(221)이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고개가 젖혀짐에 따라 코가 바닥(211)(221)에 눌리는 것을 억제하여 수면 중 호흡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후방경사측면(211a)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 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1전방경사측면(211b)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즉, 제1후방경사측면(211a) 및 제1전방경사측면(211b)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호 멀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후두부가 중앙부분에 지지된 상태로 누워 있다가 고개를 일 측으로 젖히는 상태에서 얼굴이 제1홈(21)으로 바로 떨어지지 않고 제1후방경사측면(211a) 및 제1후방경사측(211b)을 따라 경사지게 삽입되어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2후방경사측면 및 제2전방경사측면 또한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 및 전방으로 각각 경사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만곡측면(211c)은 제1후방경사측면(211a)과 제1전방경사측면(211b)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되 타 측으로 만곡된 것이다(평면상에서 봤을 때를 기준).
또한 상기 제2홈(22)은 상기 제2후방경사측면과 제2전방경사측면의 일단을 연결하되 일 측으로 만곡된 제2만곡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21) 및 제2홈(22) 각각의 평면상에서 봤을 때 형상이 사람의 얼굴 옆모습의 형상과 비슷하여 얼굴의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개 몸체(1)의 상기 하면부(12)(저면부)는 일 측에 배치되는 제1직선라인(121), 상기 제1직선라인(121)보다 타 측에 배치되는 제2직선라인(122), 상기 제1직선라인(121) 전단에서 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되 타 측으로 만곡된 제3만곡라인(123), 상기 제2직선라인(122)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되 일 측으로 만곡된 제4만곡라인(124), 제3만곡라인(123)과 타단과 제4만곡라인(124) 일단을 연결하되 후방 측으로 만곡된 제5전방라인(125), 상기 제1직선라인(121) 후단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되되 타 측으로 만곡된 제6만곡라인(126), 상기 제2직선라인(122) 후단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되되 일 측으로 만곡된 제7만곡라인(127), 상기 제6만곡라인(126) 타단과 제7만곡라인(127) 일단을 연결하되 전방으로 만곡된 제8후방라인(128)에 의해 형성된 면 형상체일 수 있다.
이때 본 베개의 측면부는 상기 제8후방라인(128)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방만곡측면부(13)(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본 베개의 측면부는 하면부(12)의 둘레(상기한 제1직선라인(121), 제2직선라인(122), 제3만곡라인(123), 제4만곡라인(124), 제5전방라인(125), 제6만곡라인(126), 제7만곡라인(127), 제8후방라인(128))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한 상면부(11)와 연결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후방만곡측면부(13)는 전방으로 만곡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엎드려서 본 베개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턱 부분이 상기 후방만곡측면부(13)가 형성하는 홈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엎드려서도 본 베개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마사지를 받을 때와 같이 사용자가 엎드려서 본 베개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턱 부분이 상기 후방만곡측면부(13)가 전방으로 만곡 되어 형성된 홈부분에 삽입되어 목이 상측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베개의 측면부는 상기 제6만곡라인(126)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방일측측면부(14), 및 상기 제7만곡라인(127)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방타측측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엎드려서 본 베개를 사용할 경우 양손으로 후방일측측면부(14) 및 후방타측측면부(15) 각각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베개의 측면부는 제5전방라인(125)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전방만곡측면부(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5전방라인(125)은 후방 측으로 만곡된 것이어서, 전방만곡측면부(16) 또한 후방 측으로 만곡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중앙부분에 후두부가 지지되도록 등을 바닥(예시적으로 침대 매트리스 상부)에 지지한 상태에서 어깨를 전방 측으로 가압하여 어깨가 후방 측으로 올라가는 것을 억제, 본 베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어깨를 충분히 이완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측면부는 상기 제1직선라인(121) 및 상기 제3만곡라인(123)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일측면연결부, 및 상기 제2직선라인(122) 및 제4만곡라인(124)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타측면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베개는 상기 베개 몸체(1)의 하면부의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상기 하면부(12)(저면부의 외면에 도포되고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후술하는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상기 하면부(12)에 방수성을 부가한다.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알루미늄 0.2 중량부를 포함하는(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재(G1),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완충재(G2), 폴리에스터를 0.3 중량부를 포함하는(또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이루어지는) 흡음재(G3),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2 중량부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스프링강 0.2 중량부를 포함하는(또는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G5)를 포함한다.
기능성첨가재(G)의 각 성분의 비율은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였다.
상기 내피재(G1)는 상기 열완충재(G2)를 감싸는 구형이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내피재(G1)를 감싸되 외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고,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상기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되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탄성체(G5)의 내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마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5)는 코일 형상이며 상기 삽입홈에 내측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흡음재(G3)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이란 상기 기능성첨가재(G)의 후술하는 단위체(GU)의 중심측을 의미하며, 외측은 상기 중심측에서 방사상 방향을 의미한다.
도 8을 참조하여, 기능성첨가재(G)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내피재(G1)는 구 형상이며, 알루미늄 재질이고, 내측에 후술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방수재(GS)에 혼합되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내피재(G1)는 알루미늄이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알루미늄이 0.2 중량부를 초과 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키며,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 후술하는 열완충재(G2)를 충분히 감싸지 못해 열완충재(G2)가 소실될 우려가 있다.
흡음재(G3)는 상기한 내피재(G1) 외부에 구비되어 내피재(G1)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어 방수재(GS)에서 분산 배치된다.
흡음재(G3)는 폴리에스터를 포함하여 소리 음파를 흡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음재(G3)는 외면(표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어서, 소리 음파와 접촉 면적이 많기 때문에 흡음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흡음재(G3)는 폴리에스터가 0.3 중량부 포함되는데, 폴리에스터가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 흡음 성능이 떨어지고 0.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피재(G1)가 상기한 흡음재(G3)의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흡음재(G3)를 통과하는 소리 음파가 내피재(G1)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한 흡음재(G3)의 내측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내피재(G1)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헥사데케인을 포함할 수 있다.
헥세데케인(C16H34)는 융점이 약 18.2℃인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다.
상변화물질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Phase)이 변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잠열(Latent heat)의 형태로 외부 요인 없이 능동적으로 열을 저장·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일어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다. 이 특징을 이용해서 높은 양의 열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유지 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융점을 변화시키기 위해 헥세데케인 이외에 운데칸(Undecane), 도데칸(Dodecane), 트리데칸(Tridecane), 테트라데칸(Tetra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헥사데칸(Hex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옥타데칸(Octadecane), 노나데칸(Nonadecane) 및 에이코산(Eicosane), 트라이아콘테인(Triacontane)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완충재(G2)의 융점은 상온인 15~25℃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내피재(G1)의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라서 열완충재(G2)가 고온에서 팽창하거나 또는 저온에서 수축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내피재(G1)의 균열에 따른 열완충재(G2)의 소실 억제와, 소리 음파 반사능의 저하를 억제하여 기능성첨가재(G)의 흡음 성능을 온도 변화에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피재(G1) 및 상기한 흡음재(G3)가 상기한 열완충재(G2)와 연교환을 하여 결과적으로 열완충재(G2)와 방수재(GS)가 열교환을 이루도록 하여, 방수재(GS)의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따른 균열, 손상, 변형 발생 등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열완충재(G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헥사데케인 0.1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헥사데케인이 0.1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내피재(G1)가 특정 온도(예시적으로 15~25℃ 또는 약 18.2℃)에서 벗어나는 걸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으며, 헥사데케인이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술한 내피재(G1)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티렌술포닉산을 포함 할 수 있는데, 더하여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피-스티렌술포닉산과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혼합(1:19 비율)하고 UV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흡음재(G3) 외측에 구비된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2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음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0.2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방수재(GS)에 기능성첨가재(G)의 단위체(GU)가 다수 포함될 수 있는데, 도포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단위체(GU)간 정전기적 척력에 의해 상호 밀어내어 본 조성물(기능성첨가재(G) 및 방수재(GS)의 혼합물)에서 다수의 단위체(GU)들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이웃하는 단위체(GU)간의 충돌 또는 본 조성물의 다른 물질과의 충돌을 억제하여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G5)는 상기한 흡음재(G3)의 외부(외면, 표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스프링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음재(G3)는 마루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3)는 내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구조적을 안정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G3)는 코일 형상이며 흡음재(G3)의 마루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단위체(GU)의 탄성을 부가한다.
따라서 다수의 단위체(GU)가 포함된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를 교반하는 과정에서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충돌함에 따라 단위체(GU)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고, 코일 형상의 탄성체(G5)가 압축되어 탄성 복원됨에 따라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상호 멀어지도록 하여 방수재(GS)에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능성 베개: P
베개 몸체: 1 상면부: 11
하면부: 12 제1직선라인: 121
제2직선라인: 122 제3만곡라인: 123
제4만곡라인:124 제5전방라인: 125
제6만곡라인: 126 제7만곡라인: 127
제8후방라인: 128 후방만곡측면부: 13
후방일측측면부: 14 후방타측측면부: 15
전방만곡측면부: 16 홈부: 2
제1홈: 21 바닥: 211
제1후방경사측면: 211a 제1전방경사측면: 211b
제1만곡측면: 211c 제2홈: 22
바닥: 221

Claims (4)

  1. 베개 몸체; 및
    상기 베개 몸체 상면부 일 측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1홈 및 상기 베개 몸체 상면부 타 측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2홈을 포함하는 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의 바닥은 타 측에서 일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상기 제2홈의 바닥은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상기 제1홈은 타 측에서 일 측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홈은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은,
    바닥 둘레 후방 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후방 측으로 경사진 제1후방경사측면, 상기 바닥 둘레 전방 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전방 측으로 경사진 제1전방경사측면, 및 상기 제1후방경사측면의 타단과 상기 제1전방경사측면 타단을 연결하되 타측으로 만곡된 제1만곡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바닥 둘레 후방 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후방 측으로 경사진 제2후방경사측면, 상기 바닥 둘레 전방 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전방 측으로 경사진 제2전방경사측면, 및 상기 제2후방경사측면의 일단과 상기 제2전방경사측면 일단을 연결하되 타측으로 만곡된 제2만곡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은 일 측이 개구된 형태이며,
    상기 베개 몸체는, 하면부, 상기 하면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 둘레와 상기 상면부 둘레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는 일 측에 배치되는 제1직선라인, 상기 제1직선라인에 대해 타 측에 배치되는 제2직선라인, 상기 제1직선라인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되 타 측으로 만곡된 제3만곡라인, 상기 제2직선라인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되 일 측으로 만곡된 제4만곡라인, 상기 제3만곡라인과 타단과 상기 제4만곡라인 일단을 연결하되 후방 측으로 만곡된 제5전방라인, 상기 제1직선라인 후단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되되 타 측으로 만곡된 제6만곡라인, 상기 제2직선라인 후단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되되 일 측으로 만곡된 제7만곡라인, 상기 제6만곡라인 타단과 제7만곡라인 일단을 연결하되 전방으로 만곡된 제8후방라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제8후방라인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방만곡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만곡측면부는 전방으로 만곡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176076A 2022-11-17 2022-12-15 기능성 베개 KR102661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803 2022-11-17
KR20220154803 2022-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324B1 true KR102661324B1 (ko) 2024-04-26

Family

ID=9088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6076A KR102661324B1 (ko) 2022-11-17 2022-12-15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3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511A (ko) * 2005-02-04 2007-11-01 댄-폼 에이피에스 베개
US8161588B1 (en) * 2010-03-18 2012-04-24 Juverest, Llc Anti-aging pillow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511A (ko) * 2005-02-04 2007-11-01 댄-폼 에이피에스 베개
US8161588B1 (en) * 2010-03-18 2012-04-24 Juverest, Llc Anti-aging pil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616Y1 (ko)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US10743675B2 (en) Pillow
US9301561B2 (en) Gel cushion
US10624468B2 (en) Pillow
US20070011813A1 (en) Self-ventilating and self-cooling variable geometry pillow
JP2013500106A (ja) モジュラー支持要素
KR20100006863U (ko) 보냉구
US11528997B2 (en) Pocket spring unit
KR102661324B1 (ko) 기능성 베개
US6553994B2 (en) Orthopaedic support
TWI300702B (en) Gelatinous cushion
US20100125925A1 (en) Body pad
JP6951130B2 (ja) クッション材及び寝具
TWI527539B (zh) Solid-state gel cushions
KR20160076615A (ko) 침구용 매트리스
KR102025896B1 (ko)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TWM550599U (zh) 枕頭結構
KR101998556B1 (ko) 온도제어가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20180006218A (ko) 공기순환 효과가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매트리스
CN112294057A (zh) 一种降噪供氧枕芯及降噪供氧枕头
JP3111467U (ja) 寝具
JP2016123615A (ja) ウレタンフォームのクッション材
CN213664670U (zh) 枕芯和枕头
CN214774460U (zh) 一种包裹支撑床垫绗缝面料层
CN211533745U (zh) 一种眼科护理u形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