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256B1 -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1256B1 KR102661256B1 KR1020230100812A KR20230100812A KR102661256B1 KR 102661256 B1 KR102661256 B1 KR 102661256B1 KR 1020230100812 A KR1020230100812 A KR 1020230100812A KR 20230100812 A KR20230100812 A KR 20230100812A KR 102661256 B1 KR102661256 B1 KR 1026612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mobile terminal
- signal
- application
- execution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08000032953 Device battery issu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240602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휴대 단말 사용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모듈은, 모듈이 설치된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휴대 단말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음파 신호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 모듈의 상태에 따라 신호 송신부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상태를 조정하도록 신호 송신부를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 및 기 설정된 그룹 별로 신호에 포함된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마이너 넘버의 코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신호 설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공 장소 등에서 휴대 단말의 사용을 방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전화 연결, 무선 인터넷 연결, 문자 메시지 송수신,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 스마트폰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사고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운전 중에는 전화 통화 이외에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전방 주시 소홀로 인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현재 스마트폰은 기존의 문자 메시지뿐 아니라 카카오톡, 페이스북, 이메일 등과 같은 터치입력 기능이 포함된 프로그램이 대중화되어 있으나, 안전 운전을 위해 운전자가 운전 중에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강의실, 도서관, 공연장(문화 센터, 시민 회관 등), 사진 촬영 금지 구역(영화관, 박물관, 기업 연구소 등) 등 공공 장소에서의 스마트폰 사용은 전화 벨소리, 메시지 알람, 사진 촬영 등으로 인해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이처럼, 장소나 상황에 따라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의 사용을 강제로 금지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의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나 장소에서 휴대 단말의 사용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공공 장소에서 타인에게 미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모듈이 설치된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휴대 단말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음파 신호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 모듈의 상태에 따라 신호 송신부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상태를 조정하도록 신호 송신부를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 및 기 설정된 그룹 별로 신호에 포함된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마이너 넘버의 코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신호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휴대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특정 장소에 설치된 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의 화면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는 블럭창을 실행시키되, 휴대 단말의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화면 터치 차단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화면 터치 차단 기능,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기능, 및 휴대 단말의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음향 조절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의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나 장소에서 휴대 단말의 사용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공공 장소에서 타인에게 미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신호 설정부에서 UUID 마이너 넘버의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신호 설정부에서 UUID 마이너 넘버의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서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10)은 서버(100)와,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모듈(200)과, 사용자가 보유한 휴대 단말(3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에 통신하는 구조를 갖는 시스템일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0)는 모듈(200)의 각 위치, 신호의 동작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로그인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듈(200)이 설치되는 특정 장소란 자동차의 운전석, 버스, 항만, 수업 중인 강의실, 수업 중인 학교, 공공 도서관 및 대학 도서관, 공공 공연장(문화 센터, 시민회관, 강당 등), 성당, 교회, 기타 사진 촬영 금지 구역(기업 연구소, 박물관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듈(200)은 특정 장소의 일정 구역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각 구역의 천장이나 벽 등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휴대 단말(300)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데이터베이스(110), 통신부(120) 및 서버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에는 모듈과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110)에는 관리자의 아이디 및 암호 입력/수정, 관리자 저장 확인/취소, 사용자 아이디 및 암호 입력/수정, 로그인 확인/취소, 개인 사용자 관리, 미접속자 관리, 그룹 사용자 관리, 푸시 관리, 코드(회원등록번호)관리, 단체 소속 관리, 모듈 관리, 사용 기록 관리, 메시지 처리에 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개인 사용자 관리는 로그인 관리 기능으로 정의되며,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한 결과 목록으로서, 사용자 ID, 로그인 시간(년/월/일/시), 음파/BLE 신호에 관련된 데이터값, 로그인 경과 시간, 이메일, 휴대폰의 입력, 수정, 삭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미접속자 관리는 미접속자 알람 기능으로 정의되며, 예를 들면, 사용자의 미접속 1일차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인지하고, 2일차에는 관리자에게 주의 통보하며, 3일을 초과한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 알람 경보 및 단체 관리자 문자 메시지 통보가 수행되도록 하며, 관리자가 사용하는 태블릿에서 알람 팝업 생성 및 미접속자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그룹 사용자 관리는 단체 고객사 담당관리자 연락처 목록으로 정의되며, 단체, 담당 관리자, 이메일, 휴대폰의 입력, 수정, 삭제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푸시 관리는 고객사 담당자 및 책임자 연락처 목록으로 정의되며, 고객사, 담당자, 이메일, 핸드폰. 책임자, 이메일, 휴대폰의 입력, 수정, 삭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회원 등록 번호)관리는 사용자의 회원 등록 번호, 즉, 최초로 모듈의 신호 수신시 등록된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시작을 위한 개별 애플리케이션의 코드 번호 관리(입력, 수정, 삭제)를 포함하며, 단체 소속 관리는 기업 코드 관리(예를 들면, 부산시 교통과, 부산시 산림과, 선정 운수, 부산 운수 등을 식별 가능하도록 고유 코드 부여)하고, 개인과 기업 회원을 분리하여 관리하여 미접속자 알람 경보를 원활히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모듈 관리는 각각의 장소와 위치에 설치된 모듈의 제품번호를 등록하여, 최초 모듈 음파 수신시 등록된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자동 시작을 위한 개별 모듈 코드 번호 관리(입력, 수정, 삭제)를 포함하고, 사용 기록 관리는 사용자 운행 정보(속도, 거리, 주행 패턴 등)에 관하여, 총년별 관리 데이터 수집 통계, 총월별 관리 데이터 수집 통계, 총일별 관리 데이터 수집 통계를 열람,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처리 항목은 애플리케이션 삭제 및 모듈 탈거시 단체 고객 관리자에게 푸시 메시지 발송 처리 내역 확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10)는 각 모듈의 위치 및 제품 번호와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의 정보(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휴대 단말의 제품 번호 등의 정보), 즉 사용자의 신상 정보, 사용자 ID, 로그인 내역, 신호 관련 데이터값, 강제 탈거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서버(100)와 휴대 단말(30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간에 실시간으로 동기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120)는 휴대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모듈의 강제 탈거시 알람 정보, 애플리케이션 미접속 여부 및 삭제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30)는 앞서 설명한 관리자의 아이디 및 암호 입력/수정, 관리자 저장 확인/취소, 사용자 아이디 및 암호 입력/수정, 로그인 확인/취소, 개인 사용자 관리, 미접속자 관리, 그룹 사용자 관리, 푸시 관리, 코드(회원등록번호)관리, 단체 소속 관리, 모듈 관리, 사용 기록 관리, 메시지 처리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서버 제어부(130)가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버(100)와 애플리케이션(300)의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210)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강의실, 도서관, 박물관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는 모듈(210)로서, 신호 송신부(211), 감지 센서(212), 통신부(213) 및 모듈 제어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송신부(211)는 특정 장소의 모듈(210)이 설치된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0.2초)으로 제1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송신부(211)에서 지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는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신호이다. 이 때, 신호는 음파 신호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신부(21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모듈(210)의 상태, 예를 들면, 모듈(210)이 강제로 탈거되거나 배터리 이상 등이 발생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가 초음파 신호인 경우, 각각의 신호는 (예를 들면,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등)는 주파수를 달리하여 구별 가능하며, 신호가 저전력 블루투스(BLE) 신호인 경우, 각각의 신호는 신호 내의 데이터를 달리하여 구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신호 송신부(21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듈 제어부(2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부(21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초음파 신호인 경우, 「정상 상태일 때 10ms 동안 19.5kHz(제1 신호), 모듈 탈착시에는 10ms 동안 13.5kHz(제2 신호), 배터리 이상시에는 10ms 동안 16.5kHz(제3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신부(21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BLE(통신 속도: 9600/8/1/N, 통신 거리: 10m, 비콘 모드(비콘 이름: T_ISLAND))인 경우, FFE1(읽기 데이터 채널)에 있어서 신호 전송시 「AT+MINO0x0000: 정상(제1 신호), AT+MINO0x0010: 모듈 탈착(제2 신호), AT+MINO0x0001: 배터리 이상(제3 신호), AT+MINO0x0011: 배터리 이상 및 모듈 탈착(제2 신호 및 제3 신호), AT+SLEEP: 슬립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신호 송신부(211)는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송신하는 신호의 세기(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모듈(210)이 설치되는 위치와 장소의 넓이 등에 기초하여 신호의 송신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신부(211)는 신호가 송신되는 시간을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학교, 강의실의 경우 수업 시간, 도서관이나 박물관 등의 경우 운영 시간에 따라서 적절하게 시간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감지 센서(212)는 모듈(210)이 강제로 탈거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 센서(212)는 모듈(210)의 바닥 부분에 메탈 바(bar)가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모듈(210)이 벽이나 바닥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메탈 바가 접히게 되고, 탈거시에는 메탈 바가 다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감지 센서(21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감지 센서(212)는 추가적으로 모듈(210)의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213)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기능을 한다. 만약, 모듈(210)의 통신부(213)에서 서버(100)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모듈(210) 내에 통신 칩을 추가적으로 구비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력의 소모가 더 심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듈(210)의 통신부(213)에서는 전력 소모를 최대한으로 저감시키기 위해, 직접 서버(100)와 통신하지 않고, 휴대 단말(300)을 거쳐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모듈 제어부(214)는 모듈(210)의 상태에 따라 신호 송신부(211)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상태를 조정하도록 신호 송신부(2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 센서(212)에 의해 모듈(210)이 강제로 탈거되는 것이 감지되면, 모듈 제어부(214)는 신호 송신부(211)로부터의 신호가 제1 신호와 구별되는 제2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센서(212)에 의해 모듈(210)의 배터리 이상이 감지되면, 모듈 제어부(214)는 신호가 제1 신호 및 제2 신호와 구별되는 제3 신호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듈(210)은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온/오프(on/off)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210)이 수업 중인 강의실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강의실 내 관리자(예를 들면, 강사)가 필요에 따라 모듈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스피커나 LED 등의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모듈의 동작 상태(시스템 시작이나 시스템 정지, 또는 배터리 이상)를 나타내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는 신호로서 초음파를 사용하는 경우에 신호 송신부(211)로서 사용되는 스피커일 수도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스피커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LED의 점멸 상태, 발광색 등을 통하여 마찬가지로 모듈의 동작 상태(시스템 시작이나 시스템 정지, 또는 배터리 이상)를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220)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는 모듈(220)로서, 신호 송신부(221), 감지 센서(222), 통신부(223), 모듈 제어부(224) 및 진동 센서(2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모듈(220)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송신부(221), 감지 센서(222), 통신부(223) 및 모듈 제어부(224)는 도 3의 모듈(210)의 신호 송신부(211), 감지 센서(212), 통신부(213) 및 모듈 제어부(2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 센서(225)는 모듈(220)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진동 센서(225)는 모듈(220)에 가해지는 진동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임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진동 센서(22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진동 센서(225)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신호 송신부(221)는 휴대 단말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여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진동 센서(225)에서 기준치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지 않아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신호 송신부(221)는 신호의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230)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학교)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는 모듈(230)로서, 신호 송신부(231), 감지 센서(232), 통신부(233), 모듈 제어부(234) 및 신호 설정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의 실시예에서, 신호 설정부(235)가 모듈 제어부(234) 내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신호 설정부(235)는 모듈 제어부(234) 외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a의 모듈(230)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송신부(231), 감지 센서(232), 통신부(233) 및 모듈 제어부(234)는 도 3의 모듈(210)의 신호 송신부(211), 감지 센서(212), 통신부(213) 및 모듈 제어부(2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송신부(231)는 특정 장소의 모듈(230)이 설치된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에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한다.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음파 신호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미리 정해진 패턴(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펄스 폭을 갖는 구형파 패턴)을 갖는 음파 신호(예를 들면, 초음파 신호)인 경우, 음파 신호의 발생 간격을 특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3초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송신부(23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300)은 신호 송신부(231)로부터 특정 시간(예를 들면, 12초) 내에 여러 번(예를 들면, 3번) 연속해서 미리 정해진 패턴을 갖는 음파 신호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신호 송신부(231)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특정 시간 내에 여러 번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휴대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송신부(231)에서 휴대 단말(300)에 제공되는 신호를 일상 생활에서 우연히 발생하는 노이즈와 구별함으로써, 휴대 단말(30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BLE 신호인 경우,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TM) 통신 규격의 페어링 모드(pairing mode)가 아닌 브로드캐스팅 모드(broadcasting mode)에서 이용되는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로드캐스팅 모드에서 이용되는 신호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범용 고유 식별자) 마이너 넘버를 포함할 수 있고, UUID 마이너 넘버는 신호 설정부(235)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신호 송신부(231)는 신호 설정부(235)에 의해 설정된 UUID 마이너 넘버를 포함하는 신호를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에 브로드 캐스팅 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 전송 범위는 블루투스 통신의 유효 전송 범위(예를 들어, 약 10m)를 의미할 수 있으나, 모듈(230)의 성능 및 모듈(230)이 설치된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포함된 UUID 마이너 넘버는 실행 제어 코드(235)와, 상태 코드(23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제어 코드(235)는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그룹의 휴대 단말(300)에 설치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코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태 코드(237)는 모듈(230)의 상태를 나타내는 코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실행 제어 코드(235)는 2개의 비트들(bit)로 구성되고, 상태 코드(237)는 3개의 비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UUID 마이너 넘버는 실행 제어 코드(235)와 상태 코드(237)에 해당하는 5개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앞의 2개의 비트들은 실행 제어 코드(235)를 나타낼 수 있고, 뒤의 3개의 비트들은 상태 코드(237)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230)이 설치되는 특정 장소가 “교실”이고, 교실의 개수가 5개이며, 1반부터 5반까지 순차적으로 일렬로 위치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각 반에 모듈(230)이 설치될 수 있고, 각 반에 대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야 하며, 1반에 설치된 모듈(230)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1반 내지 4반은 포함되고, 5반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면, 제 1그룹(1반)의 경우 UUID 마이너 넘버가 “00”의 실행 제어 코드(236)로 설정될 수 있다. 제 2그룹(2반)의 경우 UUID 마이너 넘버가 “01”의 실행 제어 코드(236)로 설정될 수 있다. 제 3그룹(3반)의 경우 UUID 마이너 넘버가 “10”의 실행 제어 코드(236)로 설정될 수 있다. 제 4그룹(4반)의 경우 UUID 마이너 넘버가 “11”의 실행 제어 코드(236)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각 반에 설치된 모듈(230)은 서로 다른 UUID 마이너 넘버를 갖는 신호를 유효 전송 범위 내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그리고, 제 5그룹(5반)의 경우 제 1그룹(1반)과 동일하게 UUID 마이너 넘버가 “00”의 실행 제어 코드(236)로 설정될 수 있다. 즉, 1반에 설치된 모듈(230)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5반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1반과 5반은 실행 제어 코드(236)가 같아도 BLE 신호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1반과 5반은 거리가 멀어, 5반은 1반에 설치된 모듈(230)로부터 전송되는 BLE 신호의 유효 전송 범위를 벗어나게 되므로, 1반과 5반은 동일한 실행 제어 코드(236)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만일 1반에 설치된 모듈(230)이 1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해 '00'의 실행 제어 코드(236)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더라도, 1반에 설치된 모듈(230)의 유효 전송 범위를 벗어난 5반의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2반 내지 4반의 휴대 단말(300)은 1반에 설치된 모듈(230)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긴 하나, 서로 다른 실행 제어 코드(236)(예컨대, '01', '10', 또는 '11')를 가지게 되어, 2반 내지 4반의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는 신호 설정부(235)를 통해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UUID 마이너 넘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신호 설정부(235)를 통해 교실의 위치, 교실의 넓이, 교실 간의 간격 등에 기초하여 UUID 마이너 넘버를 설정 및 변경하거나, 신호의 송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신호 설정부(235)를 통해 신호가 송신되는 시간을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학교의 경우 수업 시간에 따라서 적절하게 시간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모듈(230)의 상태, 예를 들면, 모듈(230)이 강제로 탈거되거나 배터리 이상 등이 발생함에 따라 서로 다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신호 설정부(235)에 의해 UUID 마이너 넘버의 상태 코드(237)를 달리하여 구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UUID 마이너 넘버는 001, 010, 011, 111 등의 코드로 설정될 수 있다.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BLE 신호인 경우를 가정한다. 그러면, 정상 상태일 때 UUID 마이너 넘버가 “001”의 상태 코드(237)로 설정될 수 있다. 모듈 탈착시에는 UUID 마이너 넘버가 “010”의 상태 코드(237)로 설정될 수 있다. 배터리 이상 시에는 UUID 마이너 넘버가 “011”의 상태 코드(237)로 설정될 수 있다. 이상 동작 시에는 UUID 마이너 넘버가 “111”의 상태 코드(237)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모듈(230)은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온/오프(on/off)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230)이 수업 중인 교실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교실 내 관리자(예를 들면, 선생님)가 필요에 따라 모듈(230)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행 제어 코드(236) 및 상태 코드(237)가 5개의 비트들로 설정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최소한의 리소스(각 코드에 할당되는 비트 개수) 만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 사용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모듈의 상태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실행 제어 코드(236) 및 상태 코드(237)의 개수 및 비트 수는 충분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듈(230)이 설치된 위치에서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는 독립적으로 제어가 필요한 집단의 개수를 고려하여(위의 예시에서 1반에 설치된 모듈(230)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1반 내지 4반이 위치함) 실행 제어 코드(236)의 개수 및 비트 수는 충분히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실행 제어 코드(236)는 BLE 신호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는 독립적으로 제어가 필요한 집단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은 수에 해당하는 비트 수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코드(237)에 포함된 비트의 개수는 모듈(230)이 전달하고자 하는 모듈(230)의 상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200(210, 220 또는 230을 포함함))은 CPU(11), RAM(12), 통신 I/F(13), ROM(14) 및 센서 모듈(15)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는 모듈(200)에서의 신호의 송신, 강제 탈거 및 진동에 대한 감지 등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즉, CPU(11)는 모듈 제어부(214, 224, 또는 234)로서 기능할 수 있다.
RAM(12) 및 ROM(14)의 메모리에는 모듈(200)이 송신하는 신호의 종류와 강제 탈거 및 진동에 관한 센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ROM(14)에는 모듈(2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CPU(11)에 의해 RAM(12)에 전개되어 실행됨으로써 상술한 모듈(210, 220 또는 230)의 각 기능 블록의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ROM(1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가 CPU(1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신호 송신부(211, 221, 또는 231), 통신부(213, 223, 또는 233) 등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통신 I/F(13)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 신호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 I/F(13)는 통신부(213, 223, 또는 233)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센서 모듈(15)은 모듈(200)의 강제 탈거 여부에 관한 감지와 모듈(200)의 진동 크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전 여부에 관한 감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 내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휴대 단말(3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휴대 단말(300)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300)은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 사용자 정보 기록 모듈(320) 통신 모듈(330), GPS 분석 모듈(340) 및 음향 조절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7에서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에 GPS 분석 모듈(340)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GPS 분석 모듈(34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
특히, 휴대 단말(300)에서는 모듈에서 초음파 신호 사용시에는 주파수를 검출하거나, 단위 시간(예를 들어, 10ms) 동안에 수신되는 초음파의 개수를 산출함으로써, 각각의 신호(예를 들면,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를 구별할 수 있으며, BLE 신호 사용시에는 BLE 신호 내의 특정 영역의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각각의 신호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300)의 사용자는 휴대폰 번호, 카카오톡, 페이스북 계정 등을 이용하여 계정을 등록할 수 있으며, 만약 사용자가 모듈의 신호의 송신 거리 내에 진입하여 휴대 단말(300)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고, 사용자의 로그인 화면이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개인 뿐 아니라, 회사나 학교 등 공공 기관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기관의 분류 코드(회사명 또는 학교명에 따라 코드를 부여함)와 휴대 단말의 번호(예를 들면, 휴대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설치, 가입, 로그인 이후에는 휴대폰의 백그라운드 상에서 대기 모드(혹은 수면 모드)로서 상시 구동되고 있을 수 있으며, 초음파, BLE 신호 등 모듈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면 웨이크업 되어 활성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본인이 애플리케이션(300)을 직접 실행하여 로그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서버(100)에서는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나 팝업창 등의 형태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로 발송하여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화면 터치 차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특정 장소에 설치된 모듈(210, 220 또는 230)로부터 전술한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300)의 화면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는 블럭창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휴대 단말(300)이 특정 위치(교실)에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1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실행 제어 코드가 “00”으로 사전 설정되고, 2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실행 제어 코드가 “01”로 사전 설정되고, 3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실행 제어 코드가 “10”으로 사전 설정되고, 4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실행 제어 코드가 “11”로 사전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그러면, 도 5a에 도시된 모듈(230)의 신호 송신부(231)로부터 UUID 마이너 넘버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1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수신된 UUID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와 기 설정된 실행 제어 코드를 비교하여 실행 제어 코드가 “00”으로 일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송신부(231)로부터 UUID 마이너 넘버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2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수신된 UUID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와 기 설정된 실행 제어 코드를 비교하여 실행 제어 코드가 “01”로 일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신호 송신부(231)로부터 UUID 마이너 넘버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3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수신된 UUID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와 기 설정된 실행 제어 코드를 비교하여 실행 제어 코드가 “10”으로 일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신호 송신부(231)로부터 UUID 마이너 넘버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4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수신된 UUID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와 기 설정된 실행 제어 코드를 비교하여 실행 제어 코드가 “11”로 일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이 휴대 단말(300)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교실)에 진입하여 모듈(210, 220 또는 2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또는 저장 매체)(300)에 저장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블럭창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300)을 사용하기 위해 터치하더라도 휴대 단말(300)이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의 경우 휴대 단말(300)의 화면 자체가 안보이게 불투명한 화면을 띄우는 방식, 화면을 차단하는 창을 투명 내지 반투명하게 하여 화면 확인은 가능하게 하는 방식 등이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투명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300)의 문자 입력 화면(예를 들면, 키보드, 터치 패드 등)이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휴대 단말(300)의 디바이스 환경(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IOS)에 따라 화면 터치 차단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휴대 단말(300)의 화면에 특정 이미지(사진 등)을 띄워 화면 상의 애플리케이션 등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300)은 모듈(210, 220 또는 23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휴대 단말(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특정 이미지는 사라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듈(210, 220 또는 230)로부터 휴대 단말(300)로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다는 것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고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의 잠금 화면을 해지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휴대 단말(300)에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다는 알림창을 반복적으로 띄울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알림음, 진동 또는 알림 메지시 팝업 등을 통해 알림창을 띄울 수 있다. 휴대 단말(300)의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이 알림창을 확인하고 자신의 휴대 단말(300)에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휴대 단말(300)의 사용을 자제할 수 있다.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휴대 단말(300)에 다시 잠금 화면이 설정되는 경우 알림창의 디스플레이가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기록 모듈(320)은 사용자 정보 기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이다. 즉,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이 상술한 모듈에 의해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이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예를 들면, 신호의 주파수나 수신 간격 등)이 애플리케이션 상에 사용자 정보로서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이후에 서버(100)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모듈(330)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와 통신하는 기능이다. 또한, 휴대 단말(300)에 저장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210, 220, 또는 230)과도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록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모듈(210, 220, 또는 230)이 강제로 탈거된 경우, 휴대 단말(300)이 모듈로부터 제1 신호와 구별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3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모듈의 강제 탈거에 대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모듈의 강제 탈거에 대한 알람은 관리자의 태블릿 PC 등에서 사용자 정보에 관한 팝업창이 생성되거나,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이 휴대 단말을 통해서 서버로 탈거 등의 상태를 통보하도록 함으로써, 모듈에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칩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GPS 분석 모듈(340)은 GPS 분석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휴대 단말(300)에 탑재된 GPS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이다. 즉, 휴대 단말(300)의 GPS에서 사용자의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블럭창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블럭창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GPS에서 감지된 속도값이 5km/h 이상으로 5초 이상 유지되면, 블럭창이 활성화되며, 속도가 0km/h로 10초 이상 유지되면 블럭창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220)에 포함된 진동 센서에 의해 진동이 감지됨으로써 모듈(220)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휴대 단말(300)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삭제된 것에 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의 관리자는 휴대 단말(300)에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300)이 삭제되었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을 재설치하도록 권장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의 배터리 이상이 발생한 경우 휴대 단말이 모듈로부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와 구별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모듈의 배터리 이상에 대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배터리 이상이 발생한 모듈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300)에 일정 기간 이상 로그인하지 않는 경우, 서버(100)로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300)의 사용자가 3일 이상 로그인하지 않는 경우, 서버(100)를 통해 관리자에게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사용자가 휴대 단말(300)에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모듈(210, 220, 또는 2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300)에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자동 설치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조절 모듈(35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이 휴대 단말(300)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도서관)에 진입하여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휴대 단말(300)의 음향을 조절함으로써 휴대 단말(300)의 음향을 무음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음향 조절 모듈(350)은 휴대 단말(300)의 디바이스 환경(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IOS)에 따라 음향 조절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음향 조절 모듈(350)은 모듈(210, 220 또는 230)의 신호 송신부(211, 221 또는 23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조작과 상관없이 휴대 단말(300)의 음향 크기를 “0”(무음)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300)이 특정 장소에서 벗어나 신호 송신부(211, 221 또는 23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범위 밖에 위치한 경우, 음향 조절 모듈(350)은 휴대 단말(300)의 음향 크기를 원래의 크기로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향 조절 모듈(350)은 모듈(210, 220 또는 230)의 신호 송신부(211, 221 또는 23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300)의 음향 크기를 “0”(무음)으로 설정하라는 알림창을 반복적으로 띄울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조절 모듈(350)은 알림음, 진동 또는 알림 메지시 팝업 등을 통해 알림창을 띄울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300)의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이 알림창을 확인하고 자신의 휴대 단말(300)에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휴대 단말(300)의 음향 크기를 무음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음향 조절 모듈(350)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300)의 음향 크기를 무음으로 변경하는 경우 알림창의 디스플레이가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CPU(21), RAM(22), 통신 I/F(23), ROM(24), 입출력 I/F(25) 및 GPS 모듈(26)을 포함할 수 있다.
CPU(21)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애플리케이션의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AM(22) 및 ROM(24)의 메모리에는 사용자 ID, 로그인 시간(년/월/일), 음파/BLE 신호값, 로그인 경과 시간, 이메일, 휴대폰 번호 등의 사용자 정보, 사용자의 GPS에 관한 정보, 모듈의 강제 탈거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ROM(14)에는 휴대 단말(3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CPU(21)에 의해 RAM(22)에 전개되어 실행됨으로써 상술한 휴대 단말(300)의 각 기능 블록의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ROM(2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가 CPU(2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 사용자 정보 기록 모듈(320), 통신 모듈(330), GPS 분석 모듈(340), 음향 조절 모듈(350) 등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통신 I/F(23)는 휴대 단말(300)로부터 서버(100)로 상기 사용자 정보, 모듈의 강제 탈거에 관한 알람 정보,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미접속 또는 삭제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통신 I/F(23)는 통신 모듈(330)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입출력 I/F(25)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과 휴대 단말(300)의 출력 신호에 대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I/F(25)는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일 수도 있으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상에 표시된 GUI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지시가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GPS 모듈(26)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모듈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1 신호를 휴대 단말에 송신한다(S110).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신호란 사용자의 휴대 단말(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다음으로, 감지 센서에 의해 모듈이 강제로 탈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판단 결과, 모듈이 탈거되지 않았으면(NO) 신호의 송신을 계속 진행하며, 만약 모듈이 강제로 탈거된 경우(YES)에는 모듈 제어부가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상태를 제1 신호와 구별되는 제2 신호로 제어한다(S130).
그리고, 모듈은 다시 제2 신호를 휴대 단말에 송신하여(S140), 모듈이 강제 탈거되었다는 것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휴대 단말(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모듈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블럭창을 활성화 시킨다(S210). 이 때, 휴대 단말 상에 블럭창이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을 사용하고자 터치하더라도 휴대 단말이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상에 기록하며(S220), 기록된 사용자 정보는 서버로 송신된다(S230).
한편, 모듈이 강제로 탈거되어 모듈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모듈의 강제 탈거에 대한 알람을 송신한다(S240).
이처럼, 모듈이 서버와 직접 통신하지 않고, 휴대 단말을 통해서 서버로 탈거 등의 상태를 알리도록 함으로써, 모듈에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칩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모듈(210)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교실, 강의실, 도서관, 박물관 등)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로 휴대 단말 사용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특정 장소에 설치된 모듈(210)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1 신호를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휴대 단말(300)로 송신한다(S110). 여기서, 모듈(210)로부터 특정 주파수로 송신되는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에 설치되어 있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활성화)시키는 신호이다.
사용자가 모듈(210)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범위에 진입하면, 신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300)에 설치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휴대 단말(300)의 화면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는 블럭창을 활성화시킨다(S120).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300)을 터치하더라도 휴대 단말의 각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상에 기록한다(S130).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기록된 사용자 정보는 이후에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전송된다(S140).
모듈(210)은 감지 센서를 통해 모듈이 강제로 탈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만약 모듈이 강제로 탈거되었다고 판단되면(YES), 기존의 제1 신호와는 구별되는 제2 신호를 휴대 단말(300)에 송신한다(S160).
휴대 단말(300)이 모듈(210)의 강제 탈거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모듈(210)의 강제 탈거에 대한 알람을 송신한다(S170). 따라서, 서버의 관리자는 모듈(210)이 강제로 탈거되었다는 것을 인지하고, 탈거된 모듈(210)을 다시 부착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모듈이 휴대 단말을 통해서 서버로 탈거 등의 상태를 통보하도록 함으로써, 모듈에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칩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에서는 모듈(220)에 구비된 진동 센서(225)에 의해 감지된 진동이 소정의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S310), 감지된 진동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만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점 이외에는 그 이후의 동작(S320 내지 S350)은 도 9에서의 모듈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모듈(220)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로 휴대 단말 사용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7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모듈(220)에는 진동 센서(225)가 포함되어,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모듈(220)의 진동 센서에 의해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만약 감지된 진동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모듈(220)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1 신호를 휴대 단말로 송신한다(S220).
휴대 단말(300)이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휴대 단말의 화면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는 블럭창을 활성화한다(S230).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고(S240-), 기록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한다(S250).
모듈(220)은 감지 센서를 통해 모듈이 강제로 탈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 만약 모듈(220)이 강제로 탈거되었다고 판단되면(YES), 제1 신호와 구별되는 제2 신호를 휴대 단말(300)에 송신한다(S270).
휴대 단말(300)이 모듈(220)의 강제 탈거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모듈(220)의 강제 탈거에 대한 알람을 송신한다(S280).
도 13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은 모듈(220)이 진동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운전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1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모듈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GPS를 통해 사용자의 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만 블럭창을 활성화시키는 구성(S420)만이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S410, S430 내지 S460)은 도 10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모듈(210)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로 휴대 단말 사용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15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또는 휴대 단말(300))에는 GPS 분석 기능이 포함되어, GPS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운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듈(210)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모듈(210)로부터 신호를 송신한다(S310).
휴대 단말(300)이 모듈(2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GPS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속도를 감지한다. 만약, GPS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이라면(YES),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이라고 판단한다(S320).
GPS 분석 모듈(340)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이라고 판단되면, 휴대 단말(300)의 화면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는 블럭창을 활성화한다(S330).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고(S340-), 기록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100)로 송신한다(S350).
모듈(210)은 감지 센서를 통해 모듈이 강제로 탈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60). 만약 모듈(210)이 강제로 탈거되었다고 판단되면(YES), 제1 신호와 구별되는 제2 신호를 휴대 단말(300)에 송신한다(S370).
휴대 단말(300)이 모듈(210)의 강제 탈거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모듈(210)의 강제 탈거에 대한 알람을 송신한다(S380).
도 15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은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또는 휴대 단말(300))이 GPS 분석 기능을 포함하여, GPS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운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1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3 및 도 15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모듈(220)의 진동 센서(225)에서 감지된 진동이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고, 만약 진동이 기준치 이상이라면, 모듈(220)로부터 휴대 단말(300)로 신호를 송신하며, 휴대 단말(300)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GPS를 통해 휴대 단말의 이동 속도를 판단함으로써,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을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 진동 센서(225)로 진동을 감지할 때에만 모듈(220)이 제1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 단말(300)은 제1 신호를 수신할 때 대기(수면) 모드에서 웨이크업 되며, 그 이후에는 GPS 모듈을 활용하여 실제 이동중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2중의 판단으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듈 및 휴대 단말이 상시 활성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므로 배터리 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의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나 장소에서 휴대 단말의 사용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운전 중 휴대 단말 사용으로 인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공공 장소에서 타인에게 미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는 모듈로서,
상기 모듈이 설치된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상기 휴대 단말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음파 신호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상기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모듈의 상태에 따라 상기 신호 송신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신호의 상태를 조정하도록 상기 신호 송신부를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 및
기 설정된 그룹 별로 상기 신호에 포함된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마이너 넘버의 코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신호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범용 고유 식별자 마이너 넘버는 상기 신호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는 그룹의 상기 휴대 단말에 설치된 상기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실행 제어 코드와, 상기 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설정부는 복수로 구비되는 모듈의 실행 제어 코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각 모듈 별 실행 제어 코드와 동일한 실행 제어 코드가 설정된 휴대 단말이 상기 모듈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도록 하고,
각 모듈 별 실행 제어 코드와 다른 실행 제어 코드가 설정된 휴대 단말이 상기 모듈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지 않으며,
상기 실행 제어 코드의 값은 상기 모듈이 설치된 간격에 따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 단말의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화면 터치 차단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듈의 탈착, 배터리 이상, 이상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상태 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상태 코드에 대한 알람을 상기 모듈을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일정 기간 이상 로그인하지 않은 경우 해당 알람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신호 설정부는 상기 모듈의 유효 전송 범위를 벗어나는 두 모듈에 대하여 상기 실행 제어 코드의 값을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모듈이 설치된 장소의 위치, 상기 모듈이 설치된 장소의 넓이와 상기 모듈이 설치된 장소 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범용 고유 식별자 마이너 넘버를 설정 및 변경하고,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신호가 미리 정해진 패턴을 갖는 음파 신호인 경우 상기 음파 신호를 미리 설정된 특정 시간 간격으로 발생시켜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특정 시간 간격으로 발생된 상기 음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로 연속해서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행 제어 코드는
상기 신호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는 독립적으로 제어가 필요한 그룹의 개수 보다 크거나 같은 수에 해당하는 비트 수를 갖도록 설정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설정부는
상기 모듈이 설치된 위치 간의 간격에 따라, 상기 모듈이 설치된 위치가 특정 간격 미만인 경우 상기 실행 제어 코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모듈이 설치된 위치가 특정 간격 이상인 경우, 상기 실행 제어 코드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설정부는
상기 신호가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인 경우, 상기 모듈의 정상, 상기 탈착, 상기 배터리 이상, 상기 이상 동작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 코드를 다르게 설정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모듈이 설치된 위치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있는 다수의 휴대 단말에 상기 신호를 브로드 캐스팅 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 삭제
-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휴대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특정 장소에 설치된 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는 블럭창을 실행시키되, 상기 휴대 단말의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화면 터치 차단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화면 터치 차단 기능;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상기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기능; 및
상기 휴대 단말의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음향 조절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 단말에 따라 범용 고유 식별자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가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제어 코드가 설정된 휴대 단말이 상기 모듈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모듈의 신호 송신부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자 마이너 넘버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유 식별자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와 상기 휴대 단말에 기 설정된 실행 제어 코드를 비교하여 실행 제어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활성화된 후 상기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수신된 고유 식별자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와 상기 휴대 단말에 기 설정된 실행 제어 코드를 비교하여 실행 제어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활성화되지 않으며,
상기 실행 제어 코드의 값은 상기 모듈이 설치된 간격에 따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 단말의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화면 터치 차단 방식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듈의 탈착, 배터리 이상, 이상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상태 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상태 코드에 대한 알람을 상기 모듈을 관리하는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일정 기간 이상 로그인하지 않은 경우 해당 알람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고유 식별자 마이너 넘버는 상기 모듈이 설치된 장소의 위치, 상기 모듈이 설치된 장소의 넓이와 상기 모듈이 설치된 장소 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설정 및 변경되고,
상기 실행 제어 코드의 값은 상기 모듈의 유효 전송 범위를 벗어나는 두 모듈에 대하여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신호가 미리 정해진 패턴을 가지고 미리 설정된 특정 시간 간격으로 발생되는 음파 신호이고 상기 음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로 연속해서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에 특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어 상기 블럭창을 실행시키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화면이 해지되면 상기 휴대 단말에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다는 알림창을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잠금 화면이 다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알림창의 디스플레이가 사라지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조작과 상관없이 상기 휴대 단말의 음향 크기가 무음으로 조정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특정 장소에서 벗어나 상기 수신하는 범위 밖에 위치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음향 크기를 원래의 크기로 복구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신호의 수신시 상기 휴대 단말의 음향 크기를 무음으로 설정하라는 알림창을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0812A KR102661256B1 (ko) | 2021-04-30 | 2023-08-02 |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6775A KR20220149307A (ko) | 2021-04-30 | 2021-04-30 |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
KR1020230100812A KR102661256B1 (ko) | 2021-04-30 | 2023-08-02 |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6775A Division KR20220149307A (ko) | 2021-04-30 | 2021-04-30 |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8541A KR20230118541A (ko) | 2023-08-11 |
KR102661256B1 true KR102661256B1 (ko) | 2024-04-29 |
Family
ID=840412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6775A KR20220149307A (ko) | 2021-04-30 | 2021-04-30 |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
KR1020230100812A KR102661256B1 (ko) | 2021-04-30 | 2023-08-02 |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6775A KR20220149307A (ko) | 2021-04-30 | 2021-04-30 |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20149307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5871B1 (ko) * | 2018-08-22 | 2019-12-13 | 주식회사 컬쳐아일랜드 |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
WO2020086210A1 (en) * | 2018-10-24 | 2020-04-30 | Jamf Software, Llc | Group-based mobile device managemen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4590B1 (ko) * | 2016-03-22 | 2022-02-17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 단말기 |
KR101868959B1 (ko) * | 2016-09-19 | 2018-06-21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 IoT 의자 및 착석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
-
2021
- 2021-04-30 KR KR1020210056775A patent/KR20220149307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
- 2023-08-02 KR KR1020230100812A patent/KR1026612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5871B1 (ko) * | 2018-08-22 | 2019-12-13 | 주식회사 컬쳐아일랜드 |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
WO2020086210A1 (en) * | 2018-10-24 | 2020-04-30 | Jamf Software, Llc | Group-based mobile device manag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8541A (ko) | 2023-08-11 |
KR20220149307A (ko) | 2022-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56505B2 (en) | Managing iOS-bas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by creative use of callkit API protocols | |
US10649825B2 (en) | Preventing access to functions on a mobile device | |
US1018751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couraging inappropriate use of a mobile device | |
WO2014173189A1 (en) | Control method for incoming mess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US9026779B2 (en) | Mobile communicator device including user attentiveness detector | |
US20140323111A1 (en) | Control method for incoming mess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EP2697788A1 (en) | Mobile communicator device including user attentiveness detector | |
US20130052945A1 (en) | Mobile communicator and system | |
CN104519126A (zh) | 多设备共享闹钟的方法和系统 | |
US2014012548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ituational Awareness | |
US20210358291A1 (en) | Alerthub system with two touch badge | |
US20190164411A1 (en) | Alerthub System with Two Touch Badge | |
US20210219095A1 (en) | Alert generation based on distance between two wirelessly connected electronic devices | |
KR102661256B1 (ko) |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 |
Jovanovic et al. | SOSerbia: Android‐Based Software Platform for Sending Emergency Messages | |
US10104224B2 (en) |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a vehicle | |
CN114217961A (zh) | 校园信息的获取系统、获取方法、教学服务器及移动终端 | |
KR102055871B1 (ko) |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 |
KR102017015B1 (ko) | 스마트폰 사용제한 시스템 | |
CN104166899A (zh) | 语音互动的方法及终端 | |
CN106325738A (zh) | 一种操作管理的方法和装置 | |
CN101083018A (zh) | 一种具路况提示的汽车防护系统与装置 | |
WO2021253926A1 (zh) | 一种儿童遗留车辆内的报警方法、报警装置及穿戴设备 | |
CN107134162A (zh) | 车载自动报站器系统 | |
AU2016355656A1 (en) |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a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