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015B1 - A variable capacity fuse - Google Patents

A variable capacity f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015B1
KR102661015B1 KR1020210182686A KR20210182686A KR102661015B1 KR 102661015 B1 KR102661015 B1 KR 102661015B1 KR 1020210182686 A KR1020210182686 A KR 1020210182686A KR 20210182686 A KR20210182686 A KR 20210182686A KR 102661015 B1 KR102661015 B1 KR 102661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ductor
fuse
cap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93783A (en
Inventor
허희무
정선철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015B1/en
Publication of KR2023009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7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0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량 가변 퓨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먼트의 면적이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전류 용량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퓨즈로 다양한 전류 용량의 전장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 용량 가변 퓨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양측이 관통된 중공(中空)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제공된 한 쌍의 캡;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일단부만 어느 하나의 캡에 솔더링되며, 내부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된 엘리먼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일단부만 다른 하나의 캡에 솔더링된 도전체; 상기 도전체와 상기 엘리먼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엘리먼트와 상기 도전체를 따라 양측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가변수단을 포함하는 용량 가변 퓨즈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capacity fuse. More specifically, the area of the element is formed to gradually become wider or narrower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current capacity can be varied, so that a single fuse can provide various current capacities. This relates to a variable capacity fuse that can be applied to electrical equipment.
For this purpose, a housing forming a hollow inner space penetrated on both sides; A pair of cap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housing to shield the internal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an element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with only one end soldered to a cap, and having a different area from one side of the inner space to the other; A conductor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with only one end soldered to another cap; A variable capacity fuse is provide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element and includes variable means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on both sides along the element and the conductor.

Description

용량 가변 퓨즈{A variable capacity fuse}A variable capacity fuse}

본 발명은 용량 가변 퓨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먼트의 면적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커지거나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하나의 퓨즈로 전류 용량이 다른 여러 개의 전장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 용량 가변 퓨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capacity fus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riable capacity fuse in which the area of the element is made larger or small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allowing one fuse to be applied to several electrical appliances with different current capacities. It's about.

일반적으로, 퓨즈는 배터리 등의 전기공급원에서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신속하게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여 전장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부품이다. 정상 전류시 엘리먼트에서 발열이 발생되더라도 주위환경과의 열적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 전류시 엘리먼트에는 주위환경으로 방출되는 열보다 발생하는 열이 커지므로 엘리먼트에서 연화-용융의 과정을 통하여 전류를 차단하고 아크를 소멸시켜 회로를 차단하게 되어 있다. 즉, 전장품에 용량 대비 과부하가 걸릴 경우, 퓨즈는 내측에 있는 엘리먼트가 녹아 용단됨으로써 전장품으로의 전원 전달을 차단하여 전장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퓨즈에서 일반적으로 10A 이하의 전류에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엘리먼트가 사용되며, 10A 이상의 경우에는 일정한 굵기를 갖거나 일정한 동 재질로 된 판 형상의 엘리먼트가 사용된다.In general, a fuse is a component that prevents damage to electrical components by quickly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when the electrical components are overloaded when supplying power from an electrical supply source such as a battery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Even if heat is generated from the element during normal current, it maintains a state of thermal equilibrium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owever, in the case of an abnormal current, the heat generated by the element becomes greater than the heat emitted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o the element blocks the current and extinguishes the arc through a softening-melting process to block the circuit. In other words, when an electrical component is overloaded relative to its capacity, the element inside the fuse melts and blows, thereby blocking power transmission to the electrical component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electrical component. At this time, in the fuse, an element made of wire is generally used for currents of 10A or less, and for currents of 10A or more, a plate-shaped element with a certain thickness or made of a certain copper material is used.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다른 퓨즈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퓨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양단에 장착되어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캡(20) 및 제2캡(20')과,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양단의 절곡부(17,18)가 상기 제1캡(20) 및 제2캡(20')과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과부하 시에 녹아 용단되는 용단부가 있는 엘레먼트(16)를 포함하고, 절곡부(17,18)는 제1캡(20)과 제2캡(20')과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Let us look at fuse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with reference to FIG. 1. The fuse includes a housing 10 with an internal space, a first cap 20 and a second cap 20' that are mounted on both ends of the housing 10 to shield the internal space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and a housing. I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10), and the bent portions 17 and 18 at both end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ap 20 and the second cap 20' by soldering, and the melting portion melts and melts when overloaded. It includes an element 16, and the bent portions 17 and 18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ap 20 and the second cap 20' by soldering.

한편, 종래의 퓨즈는 고정된 전류 용량을 가지기 때문에, 소요되는 전류 용량에 맞는 퓨즈가 요구되고 있다. 즉, 각각의 전장품이 요구하는 전류 용량에 맞는 퓨즈 사용이 요구되고, 각 전장품에 맞는 퓨즈를 각각 준비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 용량의 퓨즈는 산업 현장의 전장품 유지 보수시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한다.Meanwhile, since conventional fuses have a fixed current capacity, a fuse suitable for the required current capacity is required. In other words, the use of a fuse appropriate for the current capacity required by each electrical component is required, and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of having to prepare a fuse appropriate for each electrical component. These fixed-capacity fuses cause the problem of low efficiency when maintaining electrical equipment in industrial sites.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2080041호Republic of Korea Registration No. 10-208004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먼트의 형상 변경을 통해 전류 용량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퓨즈로 다양한 전류 용량의 전장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 용량 가변 퓨즈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current capacity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element, so that a single fuse can be applied to electrical equipment of various current capacities. The intention was to provide a fus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이 관통된 중공(中空)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제공된 한 쌍의 캡;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일단부만 어느 하나의 캡에 솔더링되며, 내부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된 엘리먼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일단부만 다른 하나의 캡에 솔더링된 도전체; 상기 도전체와 상기 엘리먼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엘리먼트와 상기 도전체를 따라 양측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가변수단을 포함하는 용량 가변 퓨즈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forming a hollow inner space through which both sides are penetrated; A pair of cap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housing to shield the internal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an element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with only one end soldered to a cap, and having a different area from one side of the inner space to the other; A conductor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with only one end soldered to another cap; A variable capacity fuse is provide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element and includes variable means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on both sides along the element and the conductor.

이때, 상기 엘리먼트는 내부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element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as it moves from one side of the internal space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도전체와 상기 엘리먼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된 변경 스위치; 상기 접점부와 상기 변경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variable means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element; a change switch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nection part connected between the contact part and the change switch.

이때,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일부는 변경 스위치의 이동을 위한 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연결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공을 차폐시키는 차폐판이 형성되되, 상기 차폐판은 변경 스위치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이동공을 차폐시킬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moving hole for moving the change switch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shielding plate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shield the moving hole, and the shield plate is form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change switch. It is desirable to have a size that can shield the moving hole.

본 발명에 따른 용량 가변 퓨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variable capacity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판형의 엘리먼트 형태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거나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통전을 위한 전류 용량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퓨즈로 다양한 전장품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산업현장의 전장품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시에, 전류 용량에 따른 각각의 퓨즈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장품 유지 보수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urrent capacity for electricity to be varied by making the area of the plate-shaped element smaller or larger as it go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pplicable to various electrical equipment with one fuse.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need to provide individual fuses according to current capacity when performing maintenance work on electrical equipment in an industrial fiel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electrical equipment maintenance work.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 퓨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 퓨즈의 가변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 퓨즈의 전류 용량을 가변시키는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 퓨즈의 전류 용량을 가변시키는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view of a fu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a is a diagram showing a variable capacity fu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diagram showing the variable means of the capacity variable fu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plan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capacity of a variable capacity fu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4A and 4B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capacity of the variable capacity fu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from the sid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2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 퓨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variable capacity fu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2A to 4B.

용량 가변 퓨즈는 하나의 퓨즈로 전류 용량이 각기 다른 전장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용량 가변 퓨즈는 전장품 유지 보수에 대한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 variable capacity fuse allows a single fuse to be applied to electrical equipment with different current capacities. Accordingly, the capacity variable fuse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electrical equipment maintenance.

용량 가변 퓨즈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캡(200)과, 엘리먼트(300)와, 도전체(400)와, 가변수단(5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A, the variable capacity fuse includes a housing 100, a cap 200, an element 300, a conductor 400, and a variable means 500.

하우징(100)은 통전을 위한 엘리먼트(30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110)을 제공하며, 양측이 관통된 중공(中空)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투명 재질이며, 하우징(100)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외부가 관통된 이동공(120)이 형성된다. 이동공(120)은 전류 용량 가변을 위한 변경 스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통로로써,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이동공(120)의 주변 하우징(100)에는 이동공(120)의 길이 방향으로, 전류 용량이 단계적으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100)의 내측면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가변수단(500)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편(130)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편(130)은 가변수단(50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여 정해진 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이드편(130)은 하우징(100)의 이동공(120)이 형성된 하방에 형성되며, 하우징(100)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슬라이드홈(131)을 형성한다. 이때, 슬라이드홈(131)의 높이는 후술하는 차폐판의 두께에 대응된다.The housing 100 provides an internal space 110 in which the element 300 for energizing is installed, and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holes on both sides. The housing 1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moving hole 120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The moving hole 120 is a passage through which a change switch for changing current capacity can be moved, and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rent capacity is displayed step by ste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hole 120 on the housing 100 surrounding the moving hole 120. Meanwhile, as shown in FIG. 4A, a guide piece 130 for moving the variable means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eferab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he guide piece 130 is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variable means 500 to prevent it from deviating from the designated path. The guide piece 130 is formed below the moving hole 120 of the housing 100, and is spaced downward from the housing 100 to form a slide groove 131.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slide groove 131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shielding pl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캡(200)은 개방된 하우징(100)의 양측을 차폐하며,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캡(200)은 하우징(100)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으로 제공되며, 각 캡(200)에는 엘리먼트(300) 및 도전체(400)가 솔더링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설명의 편의상, 엘리먼트(300)가 솔더링된 캡(200)은 제1캡(210)이라 하고, 도전체(400)가 솔더링된 캡(200)은 제2캡(220)이라 한다. The cap 200 shields both sides of the open housing 1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The caps 200 are provided as a pai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and each cap 200 is provided so that the element 300 and the conductor 400 can be solder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p 200 to which the element 300 is soldered is referred to as the first cap 210, and the cap 200 to which the conductor 400 is soldered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cap 220.

엘리먼트(300)는 외부단자와 전장품간 통전시키며,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용단됨으로써 전장품으로의 전류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엘리먼트(300)는 판형으로 제공되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110)에 설치된다. 엘리먼트(300)는 제1캡(210)에만 솔더링되는데, 정확하게는 엘리먼트(300)의 일단부만 제1캡(210)에 솔더링된다. 이때, 엘리먼트(300)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평면에서 봤을 때 면적이 점점 크거나 작게 형성된다. 즉, 엘리먼트(300)는 전류 용량 가변을 위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제1캡(210)에서 제2캡(220)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 형태를 예로 한다. 이러한 엘리먼트(300)의 형태는 도면상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봤을 때, 삼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삼각의 엘리먼트(300) 양변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엘리먼트(300)의 형태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계단형으로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element 300 conducts electricity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electrical equipment, and serves to block the current to the electrical equipment by melting when overcurrent occurs. The element 30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110 of the housing 100. The element 300 is soldered only to the first cap 210. To be precise, only one end of the element 300 is soldered to the first cap 210.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element 300 becomes larger or smaller when viewed in plan as it mov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That is, the element 300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area from one side to the other in order to vary the current capacity, and in this specification, the area is formed to become gradually narrower from the first cap 210 to the second cap 220. Take as an example. The shape of this element 300 is triangular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housing 100 in the drawing. More preferably, both sides of the triangular element 300 are formed to be rounded.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the shape of the element 3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where the area becomes smaller in a step-like mann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도전체(400)는 엘리먼트(300)와의 통전을 위한 구성이며, 하우징(100)의 제2캡(220)에 솔더링된다. 도전체(400)는 일단부만 제2캡(220)에 솔더링되며, 제2캡(220)으로부터 엘리먼트(300)를 향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전체(400)와 엘리먼트(300) 사이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된 구간이 제공된다. 도전체(400)의 형상은 특정되지 않지만, 직선의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The conductor 400 is configured to conduct electricity with the element 300 and is soldered to the second cap 220 of the housing 100. Only one end of the conductor 400 is soldered to the second cap 220 and is installed from the second cap 220 toward the element 300. Accordingly, an overlapped se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conductor 400 and the element 300 as shown in FIG. 3A. The shape of the conductor 400 is not specified, but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가변수단(500)은 엘리먼트(300)와 도전체(400)를 통전시키되 통전 용량을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변수단(500)은 엘리먼트(300)의 넓은 면적과 좁은 면적을 이동하면서 전류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변수단(50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510)와, 변경 스위치(520)와, 연결부(530)와, 차폐판(540)을 포함한다. 접점부(510)는 엘리먼트(300)와 도전체(400)에 접점되어 통전시키는 구성이다. 접점부(510)는 사각의 바(bar)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변경 스위치는 전류 용량을 가변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접점부(510)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며, 하우징(100)의 외부에 위치된다. 변경 스위치(520)는 이동공(120)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동공(120)의 길이에 대하여 접점부(510)를 왕복 이동시킨다. 연결부(530)는 변경 스위치(520)와 접점부(510)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써, 변경 스위치(520)와 접점부(510) 사이에 수직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차폐판(540)은 이동공(120)을 차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연결부(530)로부터 외측을 향해 형성된다. 차폐판(540)은 이동공(120)을 충분히 차폐시킬 수 있도록 이동공(120)의 면적에 비해 큰 면적을 갖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00)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차폐판(54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슬라이드홈(1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되며, 차폐판(540)의 길이는 이동공(120)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변경 스위치(520)가 이동공(120)의 어느 곳에 위치되더라도, 이동공(120)이 개방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변경 스위치(520), 연결부(530), 차폐판(540)은 부도체로 제공된다. 이때, 차폐판(540)은 이동공(120)의 기밀 유지를 위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The variable means 500 serves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element 300 and the conductor 400 and to vary the current carrying capacity. The variable means 500 allows the current capacity to be varied while moving between the large and small areas of the element 300. As shown in FIG. 2B, the variable means 500 includes a contact part 510, a change switch 520, a connection part 530, and a shielding plate 540. The contact portion 510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element 300 and the conductor 400 to conduct electricity. The contact portion 510 is preferably formed as a square bar. The change switch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move the contact portion 510 to change the current capacity, and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100. The change switch 520 moves along the moving hole 120 and reciprocates the contact portion 510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moving hole 120. The connection portion 530 connects the change switch 520 and the contact portion 510, and is preferably formed vertically between the change switch 520 and the contact portion 510. The shielding plate 540 serves to shield the moving hole 120 and is formed out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530. The shielding plate 540 is formed in a square shape with a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moving hole 120 so as to sufficiently shield the moving hole 120, and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do. As shown in FIG. 4A, the shielding plate 540 is positioned to move along the slide groove 131 of the housing 100, and the length of the shielding plate 54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oving hole 120. Thus, no matter where the change switch 520 is located in the moving hole 120, the moving hole 120 does not open. Meanwhile, the change switch 520, the connection part 530, and the shielding plate 540 are provided as non-conductors. At this time, the shielding plate 540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elasticity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moving hole 120.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용량 변경 퓨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apacity change fus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작업자는 전장품에 통전되는 전류 용량을 고려하여 변경 스위치(520)를 조작한다. 전류 용량이 비교적 큰 전장품에 퓨즈가 적용되는 경우, 작업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 스위치(520)를 도면상 좌측에 이동시켜, 접점부(510)가 엘리먼트(300)의 면적이 큰 부위와 도전체(400)를 연결시키게 한다. 이때, 가변수단(500)의 연결부(530)는 이동공(120)의 단부에 걸려 가변수단(500)의 움직임은 구속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엘리먼트(300)의 용단 면적은 커지기 때문에 용량 가변 퓨즈는 전류 용량을 늘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The worker operates the change switch 520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capacity flowing through the electrical equipment. When a fuse is applied to an electrical device with a relatively large current capacity, the operator moves the change switch 520 to the left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 3A, so that the contact portion 510 is moved to the area of the element 300 with a large area. and connect the conductor 40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530 of the variable means 500 is caught at the end of the moving hole 120, and the movement of the variable means 500 is restricted. Accordingly, since the melting area of the element 300 increases, the capacity variable fuse is in a state where the current capacity can be increased.

한편, 전류 용량이 비교적 작은 전장품에 퓨즈가 적용되는 경우, 작업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 스위치(520)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켜, 접점부(510)가 엘리먼트(300)의 면적이 비교적 작은 부위와 도전체(400)를 연결시키게 한다. 즉, 도 3a 및 도 3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도 3b에 도시된 접점부(510)는 도 3a에 도시된 접점부(510)에 비해 엘리먼트(300)의 면적이 줄어든 부위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차폐판(54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131)을 따라 이동되며, 변경 스위치(520)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이동공(120)을 지속적으로 차폐시킴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용량 가변 퓨즈는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 비해 용단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용량 가변 퓨즈는 전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Meanwhile, when a fuse is applied to an electrical equipment with a relatively small current capacity, the operator moves the change switch 520 to the right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 3b, so that the contact portion 510 increases the area of the element 300. The conductor 400 is connected to a relatively small area. That is, as can be seen through FIGS. 3A and 3B, the contact portion 510 shown in FIG. 3B is located in a region where the area of the element 300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tact portion 510 shown in FIG. 3A.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b, the shielding plate 540 moves along the slide groove 131, and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hange switch 520 changes, it can be seen that it continuously shields the moving hole 120. there is. Since the blown area of the capacity variable fuse in this state is reduced compared to the state shown in FIG. 3A, the capacity variable fuse is in a state where the current capacity can be reduce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량 가변 퓨즈는 하나의 퓨즈로 전류 용량이 상이한 여러 개의 전장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류 용량에 맞는 여러 개의 퓨즈를 각각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퓨즈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장품 유지 보수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s explained so far, the variable capacity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one fuse to be applied to several electrical equipment with different current capacitie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fuse manufacturing costs and increase convenience for maintenance of electrical equipment since there is no need to manufacture multiple fuses each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capacity.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naturall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100 : 하우징 110 : 내부공간
120 : 이동공 130 : 가이드편
131 : 슬라이드홈 200 : 캡
210 : 제1캡 220 : 제2캡
300 : 엘리먼트 400 : 도전체
500 : 가변수단 510 : 접점부
520 : 변경 스위치 530 : 연결부
540 : 차폐판
100: Housing 110: Internal space
120: moving ball 130: guide
131: slide groove 200: cap
210: first cap 220: second cap
300: element 400: conductor
500: variable means 510: contact part
520: change switch 530: connection part
540: shielding plate

Claims (4)

양측이 관통된 중공(中空)의 내부공간을 갖고 외주면 일부에 이동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제공된 한 쌍의 캡;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일단부만 어느 하나의 캡에 솔더링되며, 내부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된 엘리먼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일단부만 다른 하나의 캡에 솔더링된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와 상기 엘리먼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엘리먼트와 상기 도전체를 따라 양측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가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도전체와 상기 엘리먼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상기 이동공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변경 스위치 및;
상기 접점부와 상기 변경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에는 연결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공을 차폐시키는 차폐판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판은 변경 스위치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이동공을 차폐시킬 수 있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 퓨즈.
A housing with a hollow interior space penetrated on both sides and a moving hole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air of cap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housing to shield the internal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An element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with only one end soldered to a cap, and having a different area from one side of the inner space to the other;
A conductor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with only one end soldered to another cap; an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element, and includes variable means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on both sides along the element and the conductor,
The variable means is,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element;
a change switch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be movable along the moving hole;
It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nnected between the contact part and the change switch,
A variable capacity fuse, wherein a shielding plate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shield the moving hole, and the shielding plate is sized to shield the moving hol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change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는 내부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 퓨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lement is a variable capacity f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element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from one side of the internal space to the other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82686A 2021-12-20 2021-12-20 A variable capacity fuse KR1026610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86A KR102661015B1 (en) 2021-12-20 2021-12-20 A variable capacity f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86A KR102661015B1 (en) 2021-12-20 2021-12-20 A variable capacity f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783A KR20230093783A (en) 2023-06-27
KR102661015B1 true KR102661015B1 (en) 2024-04-26

Family

ID=86947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686A KR102661015B1 (en) 2021-12-20 2021-12-20 A variable capacity f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015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765A (en) * 1995-09-18 1997-04-30 배순훈 Fuse rating change system of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536355B1 (en) * 2004-04-23 2005-1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use assembly having plural capacity
KR100931097B1 (en) * 2007-12-11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xtended fuse assembly
KR20170042852A (en) * 2015-10-12 2017-04-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Multi fuse
KR102649647B1 (en) * 2016-08-09 2024-03-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High voltage fuse
KR102080041B1 (en) 2018-10-18 2020-02-21 전태화 A fuse with a easily processable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783A (en)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152B2 (en) High voltage compact fuse assembly with magnetic arc deflection
US6614340B2 (en) Full-range high voltage current limiting fuse
US7473487B2 (en) Temperature fuse, and battery using the same
US5770994A (en) Fuse element for a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US9224564B2 (en) Fuse with counter-bore body
KR940008191B1 (en) High breaking capacity micro-fuse
KR102661015B1 (en) A variable capacity fuse
US2914636A (en) Miniaturized high current-carrying capacity current-limiting fuses with built-in indicating plungers
KR20000035137A (en) Power circuit breaker
KR20220127928A (en) Current limiting fuse
KR102005625B1 (en) Circuit breaker for direct current
KR102232139B1 (en) Protection element for high current
KR102080041B1 (en) A fuse with a easily processable element
CN116635971A (en) Protection device
US20160359312A1 (en) Surge protector having both fuse and alert functions
KR200471376Y1 (en) Fuse
US20210050171A1 (en) Fuse
JP7460804B2 (en) Circuit breakers, distribution boards, and coil units
US4524344A (en) Electric fuse
CN219811456U (en) Fuse element for fuse and fuse with same
WO2024042813A1 (en) Fuse
CN209982826U (en) Fuse support and PCB
KR20230062478A (en) fuse
KR20170021403A (en) Circuit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3169847A (en) Protection element having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