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492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492B1
KR102660492B1 KR1020170022946A KR20170022946A KR102660492B1 KR 102660492 B1 KR102660492 B1 KR 102660492B1 KR 1020170022946 A KR1020170022946 A KR 1020170022946A KR 20170022946 A KR20170022946 A KR 20170022946A KR 102660492 B1 KR102660492 B1 KR 10266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changed
beam training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346A (ko
Inventor
정도영
백인길
손이빈
정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2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492B1/ko
Priority to CN201780086966.3A priority patent/CN110326237B/zh
Priority to US16/486,012 priority patent/US10879980B2/en
Priority to EP17898198.1A priority patent/EP3573259B1/en
Priority to PCT/KR2017/002761 priority patent/WO2018155758A1/ko
Publication of KR2018009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방법은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의 변경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범부처 Giga KOREA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 BASE ST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 및 단말의 채널 열화 상태에서의 빔 트레이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범부처 Giga KOREA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기지국 및 단말 사이의 채널 열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 및 단말이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 또는 링크 어댑테이션(link adaptation)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 및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채널 열화 상황에 따라 빔 트레이닝 또는 링크 어댑테이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방법은,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의 변경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하고,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의 변경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 방법은,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의 변경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하고,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의 변경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및 기지국은 채널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빔 트레이닝 또는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불필요한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의 수행 및 링크 어댑테이션의 수행을 지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5G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빔 트레이닝을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일반적으로 링크 어댑테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4a 및 도 4b는 링크 어댑테이션을 먼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빔 트레이닝을 먼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빔 잠금 상태에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빔 트레이닝 트리거 조건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단말은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시스템에 기 가입되어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는 기기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같은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일 예시에 해당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일반적인 5G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10, 120) 이 안정적으로 모바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5G 기지국(130 내지 160) 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130 내지 160) 안테나의 빔 커버리지, 그리고 등가 등방 복사 전력(equivalent isotropic radiated power, EIRP)과 같은 안테나의 방사 출력 등에 기반하여, 5G 통신 시스템(100)이 설계될 수 있다.
상기 5G 통신 시스템(100)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단 및 수신단 사이의 채널 상태의 열화가 발생하면, 새로운 링크를 찾기 위해 빔 트레이닝(bean training)을 수행하여, 송신단 및 수신단 간의 각 빔 페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열화가 발생한 채널에 대해 링크 어댑테이션(link adaptation)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빔 트레이닝은 상기 송신단 및 수신단이 빔(beam)을 스위핑(sweeping)해가며, 각 빔 페어(pair) 사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전송 빔을 고정하고, 단말의 상기 전송 빔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스위핑하면서 각 빔 페어 사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는 빔 트레이닝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200) 및 단말(210)은 빔 트레이닝을 통해 송신단의 빔과 수신단의 빔 사이에 형성되는 빔 페어들 각각의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단의 빔과 수신단의 빔 사이의 경로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링크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200) 및 단말(210)은 측정된 채널 상태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적합한 빔 페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채널 이득이 가장 큰 빔 페어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빔들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 상기 채널 이득이 가장 큰 빔 페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채널 이득이 가장 큰 빔 페어를 최적 빔으로 지칭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트레이닝을 수행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링크(20)가 최적 빔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링크(20)를 통해 기지국(200) 및 단말(210)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의 주기가 도래한 경우, 또는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이 트리거되거나 채널 열화가 감지된 경우에는, 기지국(200) 및 단말(210)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제2 링크(21)를 최적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링크 어댑테이션은 송신단 및 수신단 사이의 최적의 전송률을 결정하거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링크 어댑테이션은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모듈레이션 코딩 스킴(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먼저, 도 3a는 다운 링크 데이터 전송의 전송률을 제어함으로써,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단계 S300에서, 기지국(300)은 단말(310)로 임의의 전송률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300)은 채널 상태에 기반하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1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05에서, 기지국(300)은 단말(310)로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CSI-RS는 한 개의 셀(cell)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위해 전송되는 기준신호로써,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300)은 CRS(common reference signal)을 단말(3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CRS는 한 개의 셀에 속한 모든 단말을 위해 전송되는 기준신호일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기지국(300)은 단말(310)로 CSI 리포트(report)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300)은 DCI를 통해 단말(310)로 상기 CSI 리포트(report)를 요청할 수 있다.
S305에서 수신된 CSI-RS를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 단말(310)은, 단계 S315에서, 기지국(300)으로 CSI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310)은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CSI 리포트를 기지국(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기지국(300)은 적응 변조 및 코딩(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300)은 수신된 CSI 리포트에 기반하여, MCS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300)은 CSI 리포트에 기반하여 MCS 레벨을 10에서 5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325에서, 기지국(300)은 변경된 MCS 5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 링크 데이터 전송의 전송률을 제어함으로써,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330에서, 단말(310)이 업 링크 데이터를 MCS 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35에서, 단말(310)은 기지국(300)으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RS는 업 링크 채널의 품질을 추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기지국(300)은 상기 SRS를 이용하여 채널 의존적인(다시 말해, 주파수 선택적인)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기지국(300)은 적응적 변조 및 코딩(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300)은 수신된 SRS에 기반하여, MCS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45에서, 기지국(300)은 단말(310)로 변경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경된 전송률이 MCS 5인 경우, 단계 S350에서, 단말(310)은 상기 MCS 5로 업 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3c는 전송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단말(310)의 전원이 온(on)되는 경우, 단말(310)은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단계 S355에서, 단말(310)은,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을 통해, 기지국(300)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310)은 임의의 전송 전력으로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310)의 기지국(300)에 대한 랜덤 액세스가 성공하게 되면, 기지국(300)은 단말(310)로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단말(310)은 전송 전력을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TPC)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R이 미수신시, 단말(310)은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전송전력을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365에서, 단말(310)은 증가된 전송 전력으로 RACH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랜덤 액세스에 성공하는 경우, 단계 S370에서, 기지국(300)이 단말(310)로 RAR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RAR에 스케줄링 정보 등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에 성공한 단말(310)은, 단계 S375에서, RRC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 3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3d는 기지국(300)이 전송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단계 S380에서, 단말(310)이 기지국(300)으로 임의의 전송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85에서, 단말(310)은 가용 전송 전력 (power headroom report, PHR)을 보고할 수 있다.
단계 S390에서, 기지국(300)은 상기 수신된 PHR에 기반하여, TPC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95에서, 기지국(300)은 TPC command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300)은 DCI를 이용하여 상기 TPC command를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98에서, 단말(310)은 수신된 TPC command에 기반하여, 변경된 전송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채널 상태의 열화 발생 시에,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빔 트레이닝을 먼저 수행할지 또는 도 3a 내지 도 3d를 통해 설명한 링크 어댑테이션을 먼저 수행할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빔 트레이닝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된 빔이 최적 빔이 아닌 경우,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하면, 최적 빔에 대한 링크 어댑테이션이 아니므로 채널 열화를 극복할 수 없게 된다. 반면, 빔 트레이닝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된 빔이, 최적 빔임에도 불구하고 빔 트레이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불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은 최적 빔이 제대로 선택되지 않았음에도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하는 경우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 결과에 기반하여, 제1 링크(40) 및 제2 링크(45)를 채널 이득이 양호한 링크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링크(40)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은 -40dBm이고, 제2 링크(41)의 RSRP는 -80dBm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및 기지국은 상기 제1 링크(40)를 최적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적인 장애물이 상기 제1 링크(40)를 관통하는 경우, 일시적인 채널 열화의 발생으로 상기 제1 링크(40)의 RSRP값이 작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링크(40)의 RSRP 값이 작아짐에 따라 즉시 빔 트레이닝이 트리거된다면,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링크(41)를 최적 빔으로 결정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일시적인 장애물이 이동한다면, 상기 제1 링크(40)가 여전히 채널 이득이 가장 양호한 빔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및 기지국은 불필요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채널 이득이 가장 양호한 링크가 아닌 다른 링크를 최적 빔으로 결정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단말 및 기지국이 제2 링크(45)에 대해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한다면, 최적 빔에 대한 링크 어댑테이션이 아니므로 여전히 채널 열화를 극복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빔 트레이닝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된 빔이, 최적 빔임에도 불구하고 빔 트레이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불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트레이닝을 수행한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된 채널 이득이 양호한 빔이 제1 링크(50)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예로 든다. 따라서,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단말 및 기지국은 상기 제1 링크(50)를 최적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적인 장애물이 상기 제1 링크(50)를 관통하는 경우, 상기 제1 링크(50)의 RSRP값이 작아질 수 있다. RSRP 값이 작아진다는 것은 채널 열화가 발생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빔 트레이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도, 채널 이득이 양호한 빔을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1 링크(50)의 RSRP 값이 작아짐에 따라 즉시 빔 트레이닝이 트리거된다면,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고도 여전히 제1 링크(50)를 최적 빔으로 결정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단말 및 기지국은 불필요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한 것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효율적으로 채널 열화를 극복하기 위해, 빔 트레이닝 또는 링크 어댑테이션 중에서 먼저 수행할 동작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빔 트레이닝 또는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600에서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 트레이닝은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이 빔(beam)을 스위핑(sweeping)해가며, 각 빔 페어(pair) 사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전송 빔을 고정하고, 단말의 상기 전송 빔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스위핑하면서 각 빔 페어 사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빔 트레이닝은 주기적으로 트리거되거나, 비주기적으로 트리거될 수도 있다. 상기 빔 트레이닝이 비주기적으로 트리거되는 경우는 채널의 열화가 발생된 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빔 트레이닝은 단말 또는 기지국에 의해 비주기적으로 트리거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의 변경 여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최적 빔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최적 빔의 변경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은 상기 최적 빔이 변경된 경우에만, 상기 변경된 최적 빔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20에서, 상기 빔 트레이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를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각각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를 중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가 중단되는 것을 빔 잠금(beam lock)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한편, 판단 결과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이 변경된 경우, 단계 S630에서,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해,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DCI에 포함된 CSI-RS 요청 필드(request field)를 이용하여 단말의 CSI report를 트리거 할 수 있는데, 상기 트리거시키는 빈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해,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단말이 CSI-RS report의 트리거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의 도면부호 700은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최적 빔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으로써, 링크 어댑테이션 우선 프로세스로 지칭할 수 있다.
한편, 도면부호 710은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최적 빔이 변경된 경우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으로써, 빔 트레이닝 우선 프로세스로 지칭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 열화가 발생하면, 단말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각 빔을 스위핑(sweeping)해가며, 각 빔 페어 사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 최적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정된 최적 빔이 기존의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최적 빔과 동일한 경우, 다시 말해 최적 빔이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후에도 변경되지 않은 경우(S725), 링크 어댑테이션 우선 프로세스(700)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어댑테이션 우선 프로세스(700)로 진행하면, 단계 S730에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상기 빔 트레이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를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각각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를 중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가 중단되는 것을 빔 잠금(beam lock)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빔 잠금 상태에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변경되지 않은 최적 빔에 대해 링크 어댑테이션(S735)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상기 최적 빔에 대해, 상기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DCI에 포함된 CSI-RS 요청 필드(request field)를 이용하여 단말의 CSI report를 트리거 할 수 있는데, 상기 트리거시키는 빈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해,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단말이 CSI-RS report의 트리거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의 CSI-RS report의 트리거에 기반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CSI-RS report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740에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까지, 상기 링크 어댑테이션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빔 트레이닝 주기가 도래하거나, 가능한 전송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no rate availabl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빔 잠금 상태는,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이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을 트리거하지 않도록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빔 트레이닝의 수행 주기가 도래한 경우에는, 상기 링크 어댑테이션 동작을 중단하고 다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능한 전송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가능한 상기 최적 빔에 대해 적합한 MCS 레벨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하여, 상기 기지국이 상기 최적 빔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MCS 레벨을 조정하고, 조정 결과 가장 낮은 MCS 레벨을 결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일 수 있다.
또는, 임의의 서비스가 요청되고, 상기 최적 빔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특정 MCS 레벨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는 비교적 높은 MCS 레벨을 요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이 최적 빔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CS 레벨을 조정한 결과,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MCS 레벨로 조정할 수 없는 경우, 가능한 전송률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740에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720으로 진행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 최적 빔이 변경된 경우(S745), 빔 트레이닝 우선 프로세스(710)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이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해,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750에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변경됨 최적 빔에 대해, 링크 어댑테이션을 한 번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어댑테이션이 한 번 수행된 결과, 상기 최적 빔에 대해 가능한 전송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no rate available)(S755), 상기 빔 트레이닝을 재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비주기적 빔 트레이닝을 트리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 어댑테이션이 한 번 수행된 결과, 상기 변경된 최적 빔에 대한 적합한 전송률 등이 결정된 경우(S760),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상기 최적 빔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전송률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765).
단계 S765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에러율이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주기적 빔트레이닝의 수행 주기가 도래한 경우(S770),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을 재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임계 개수 이상의 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에러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빔 트레이닝의 수행 주기가 도래한 경우에는,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을 다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빔 잠금 상태에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800에서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 트레이닝은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이 빔(beam)을 스위핑(sweeping)해가며, 각 빔 페어(pair) 사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전송 빔을 고정하고, 단말의 상기 전송 빔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스위핑하면서 각 빔 페어 사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빔 트레이닝은 주기적으로 트리거되거나, 비주기적으로 트리거될 수도 있다. 상기 빔 트레이닝이 비주기적으로 트리거되는 경우는 채널의 열화가 발생된 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빔 트레이닝은 단말 또는 기지국에 의해 비주기적으로 트리거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의 변경 여부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최적 빔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최적 빔의 변경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은 상기 최적 빔이 변경된 경우에만, 상기 변경된 최적 빔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단말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를 통해 획득한 단말의 빔과 기지국의 빔에 대한 빔 페어(pair)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이전의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른 빔 페어 정보와, 다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여 획득한 빔 페어 정보를 비교하여 최적 빔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및 기지국 간에서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는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은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 최적 빔의 인덱스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최적 빔)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820에서, 빔 잠금(beam lock)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빔 잠금 상태에서는, 단계 S830에서, 단말 또는 기지국은 최적의 MCS 또는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의 CSI-RS report 트리거에 따라, 상기 단말이 CSI-RS report를 전송하면, 상기 기지국은 수신된 CSI-RS report에 기반하여 최적의 MCS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상기 최적 빔에서의 적합한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상기 최적 빔에 대한, 최적의 MCS 또는 전송 전력 결정 성공 여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최적 빔에 대해 최적의 MCS 또는 전송 전력이 결정된 것으로 판단 되면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상기 최적 빔을 이용하여, 상기 최적의 MCS 또는 전송 전력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최적 빔에 대해 최적의 MCS 또는 전송 전력이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850에서 빔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을 트리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810에서,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의 변경된 경우에도 빔 고정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여전히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을 트리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는 적응적으로 빔 트레이닝의 트리거링 조건을 학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단계 S900에서,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 열화가 발생하면, 단말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각 빔을 스위핑(sweeping)해가며, 각 빔 페어 사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 최적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정된 최적 빔이 기존의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최적 빔과 동일한 경우, 다시 말해 최적 빔이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후에도 변경되지 않은 경우(S905), 단계 S910에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상기 빔 트레이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를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각각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를 중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빔 잠금(beam lock) 상태가 될 수 있다.
빔 잠금 상태에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변경되지 않은 최적 빔에 대해 링크 어댑테이션(S915)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상기 최적 빔에 대해, 상기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DCI에 포함된 CSI-RS 요청 필드(request field)를 이용하여 단말의 CSI report를 트리거 할 수 있는데, 상기 트리거시키는 빈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해,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단말이 CSI-RS report의 트리거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의 CSI-RS report의 트리거에 기반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CSI-RS report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915의 변경되지 않은 최적 빔에 대한 링크 어댑테이션은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까지,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빔 트레이닝 주기가 도래하거나, 상기 최적 빔에 대해 가능한 전송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no rate available)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빔 잠금 상태는,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이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을 트리거하지 않도록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빔 트레이닝의 수행 주기가 도래한 경우에는, 상기 링크 어댑테이션 동작을 중단하고 다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최적 빔에 대해 가능한 전송률이 존재하지 않는 것(no rate available) 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 및 기지국 중에서 어느 하나는 빔 트레이닝을 트리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915의 변경되지 않은 최적 빔에 대한 링크 어댑테이션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링크 어댑테이션에 의해 전송률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S925)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적 빔에 대한 링크 어댑테이션에 의해 결정된 전송률이 링크에 대한 최적의 전송률인 경우, 링크 어댑테이션을 반복하여 수행하여도 동일한 전송률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단계 S930에서, 빔트레이닝에 대한 임계값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적 빔에 대한 링크에서, 평균 블록 에러율(block error rate, BLER)이 5%이고, 에러 간헐성(error burstiness)가 100TBs이고, 설정이 BLER 임계값은 10%이며, BLER 계산 윈도우가 50TBs인 경우를 예로 든다.
링크 어댑테이션에 의해 동일한 전송률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설정은 강화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정은 BLER 임계값은 10%, BLER 계산 윈도우는 200TBs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빔 트레이닝 임계값 조정은 단말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상기 단말이 빔 트레이닝 임계값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조정된 빔 트레이닝 임계값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기지국이 빔 트레이닝 임계값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조정된 빔 트레이닝 임계값을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935에서, 조정된 조건에 기반하여, 단말 및 기지국은 최적 빔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에러율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결과, 단계 S940에서, 에러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을 재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 최적 빔이 변경된 경우(S945),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해,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950에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변경됨 최적 빔에 대해, 링크 어댑테이션을 한 번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어댑테이션이 한 번 수행된 결과, 가능한 전송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no rate available) (S955), 상기 빔 트레이닝을 재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비주기적 빔 트레이닝을 트리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 어댑테이션이 한 번 수행된 결과, 상기 변경된 최적 빔에 대한 적합한 전송률 등이 결정된 경우(S960),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상기 최적 빔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전송률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935).
그리고 단계 S935에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에러율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결과, 단계 S940에서, 에러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을 재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임계 개수 이상의 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에러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빔 트레이닝의 수행 주기가 도래한 경우에는,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빔 트레이닝을 다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은 빔 트레이닝 트리거 조건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1000에서, 단말 및 기지국은 빔 고정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빔 고정 상태는 상기 단말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의해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이 트리거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1010에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최적의 MCS 또는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의 CSI-RS report 트리거에 따라, 상기 단말이 CSI-RS report를 전송하면, 상기 기지국은 수신된 CSI-RS report에 기반하여 최적의 MCS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상기 최적 빔에서의 적합한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이전 탐색 결과와 대비하여, 상기 최적의 MCS 또는 전송 전력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CSI report에 기반하여 결정된 MCS 레벨이 동일한 값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또는 단말은 TPC를 통해 결정된 전송 전력이 동일한 값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상기 단말 및 기지국은 비주기적 빔 트레이닝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주기적 빔 트레이닝의 조건을 강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단말 및 기지국은 채널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빔 트레이닝 또는 링크 어댑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불필요한 비주기적인 빔 트레이닝의 수행 및 링크 어댑테이션의 수행을 지양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성능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단말(1100)은 송수신부(1110) 및 제어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1110)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1100)은 상기 송수신부(1110)를 통해 기지국 등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20)는 상기 단말(11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20)는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하고,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의 변경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20)는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빔 트레이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를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20)는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를 중단하는 동안,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해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1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까지, 상기 변경된 빔 및 상기 결정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1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빔 포밍 주기가 도래하거나, 에러 발생률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커지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해 결정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20)는 상기 빔 트레이닝을 재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20)는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해,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한 번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까지, 상기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반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빔 트레이닝 주기가 도래하거나, 상기 전송 전력 및 상기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기지국(1200)은 송수신부(1210) 및 제어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1210)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송수신부(1110)를 통해 단말 등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상기 기지국(12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20)는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하고,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의 변경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20)는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빔 트레이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를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20)는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를 중단하는 동안,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해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2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까지, 상기 변경된 빔 및 상기 결정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1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빔 포밍 주기가 도래하거나, 에러 발생률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커지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해 결정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20)는 상기 빔 트레이닝을 재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20)는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해, 상기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한 번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까지, 상기 전송 전력 및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반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빔 트레이닝 주기가 도래하거나, 상기 전송 전력 및 상기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상술한 단말 또는 기지국의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단말 또는 기지국의 제어부는 플래시 메모리나 기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제어부의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단말 또는 기지국의 제어부는 CPU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의 CPU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상술한 프로그램들을 RAM으로 복사한 후, 복사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켜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단말 또는 기지국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이다.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프로세서, 운용체제(operating system) 등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 또는 기지국의 제어부는 단말 또는 기지국에 포함된 통신 모듈 등의 다른 기능부와 함께 단일칩 시스템 (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또는 기지국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5G 통신 시스템
110, 120: 사용자 단말
130, 140, 150, 160: 기지국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을 결정하는 단계;
    채널 이득에 기반하여, 상기 빔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빔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또는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변경된 빔 및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한 상기 전송 전력 또는 상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빔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의 결정과 관계없이, 채널 이득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하기 위한 빔을 결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빔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한 상기 전송 전력 및 상기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반복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주기가 도래하거나, 에러 발생률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커지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트랜시버;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하고,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을 결정하고,
    채널 이득에 기반하여 상기 빔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빔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또는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변경된 빔 및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한 상기 전송 전력 또는 상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빔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의 결정과 관계없이, 채널 이득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하기 위한 빔을 결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도록 더 설정된,
    단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한 상기 전송 전력 및 상기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반복하여 결정하도록 더 설정된,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주기가 도래하거나, 에러 발생률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커지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을 결정하는 단계;
    채널 이득에 기반하여, 상기 빔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빔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또는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변경된 빔 및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한 상기 전송 전력 또는 상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빔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트랜시버;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수행하고,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따라,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이득이 최대인 빔을 결정하고,
    채널 이득에 기반하여, 상기 빔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빔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한 전송 전력 또는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변경된 빔 및 상기 변경된 빔에 대한 상기 전송 전력 또는 상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빔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상기 빔 트레이닝에 대한 트리거의 중단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기지국.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022946A 2017-02-21 2017-0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6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46A KR102660492B1 (ko) 2017-02-21 2017-0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1780086966.3A CN110326237B (zh) 2017-02-21 2017-03-14 无线通信系统中的基站和终端及其控制方法
US16/486,012 US10879980B2 (en) 2017-02-21 2017-03-14 Base station and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17898198.1A EP3573259B1 (en) 2017-02-21 2017-03-14 Base station and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7/002761 WO2018155758A1 (ko) 2017-02-21 2017-03-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46A KR102660492B1 (ko) 2017-02-21 2017-0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346A KR20180096346A (ko) 2018-08-29
KR102660492B1 true KR102660492B1 (ko) 2024-04-25

Family

ID=6325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946A KR102660492B1 (ko) 2017-02-21 2017-0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79980B2 (ko)
EP (1) EP3573259B1 (ko)
KR (1) KR102660492B1 (ko)
CN (1) CN110326237B (ko)
WO (1) WO2018155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6320B2 (en) * 2017-04-28 2021-11-02 Lg Electronics Inc. Random access performing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same
CN111279738A (zh) * 2017-10-30 2020-06-1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波束成形无线电接入网络中的链路自适应
KR20200020538A (ko) 2018-08-17 2020-0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US11159251B2 (en) * 2019-04-12 2021-10-26 Gemtek Technology Co., Ltd. Antenna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TWI728416B (zh) * 2019-04-12 2021-05-21 正文科技股份有限公司 天線控制方法及通訊系統控制方法
US11924781B2 (en) * 2021-06-17 2024-03-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power control for intercell interference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3785B2 (en) * 2004-05-0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Continuous beamforming for a MIMO-OFDM system
US8687561B2 (en) 2007-05-04 2014-04-0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link adaptation using metric feedback
US7899129B2 (en) 2007-09-11 2011-03-01 Intel Corporatio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with fast adaptive beamforming
KR101527110B1 (ko) 2009-04-13 201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20287797A1 (en) * 2011-05-12 2012-11-15 Wilocity, Ltd. Techniques for minimizing the beam forming ti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04270224B (zh) 2011-06-24 2018-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链路自适应反馈方法和发送端设备
US20130286960A1 (en) 2012-04-30 201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channel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system with a large number of antennas
WO2014074894A1 (en) * 2012-11-09 2014-05-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eamforming methods and methods for using beams
US9312985B2 (en) 2013-01-02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rate selection in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systems
KR101606240B1 (ko) * 2013-06-27 2016-03-24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공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05393467B (zh) * 2013-06-28 2019-04-02 财团法人中央大学校产学协力团 波束训练装置
KR102171561B1 (ko) * 2014-04-07 2020-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셀룰러 시스템의 상향링크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WO2015199252A1 (ko) 2014-06-24 2015-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고주파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5959966B (zh) * 2016-04-26 2019-10-22 深圳前海智讯中联科技有限公司 一种多波束选择智能天线通信装置及其通信方法
US10333672B2 (en) * 2016-07-28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measurement reference signal (MRS) configuration
US10680689B2 (en) * 2017-01-05 2020-06-09 Futurewei Technologies, Inc. Beam management techniques for beam calibration
US10742295B2 (en) * 2018-05-04 2020-08-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for early stoppage of beam refinement in millimeter wave system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9514*
3GPP R1-1610269*
KIM JOONGHEON ET AL, "Fast millimeter-wave beam training with receive beamforming",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IEEE, vol. 16, no. 5(2014.10.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3259A1 (en) 2019-11-27
CN110326237B (zh) 2022-04-15
EP3573259A4 (en) 2020-01-22
US10879980B2 (en) 2020-12-29
EP3573259B1 (en) 2022-02-09
WO2018155758A1 (ko) 2018-08-30
CN110326237A (zh) 2019-10-11
US20200052754A1 (en) 2020-02-13
KR20180096346A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49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420090B2 (en) Communication technique using CSI-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2021204028A1 (en) Semi-persistent CSI feedback over PUSCH
US106014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 restricting CSI reporting in multi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tilizing unused bit resources
US11063653B2 (en) Wireless device for determining a best antenna beam and method thereof
US8315221B2 (en) Reducing feedback overhead for multiple component carriers
US10498405B2 (en) Codebook restriction
US202000448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uplink reference signal information, and storage medium
TWI559696B (zh) 無線通信系統內之方法及配置
US1104474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signalling, apparatus, base station and terminal
JP6899898B2 (ja) 基準信号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101615927B1 (ko) 피드백 손실을 고려하는 다중 사용자 mimo 통신 시스템
US92528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k override
US102055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inter-cell information for cancelling inter-cell interference
US11510149B2 (en) Closed loop power control for beam specific uplink traffic transmission
US10375720B2 (en) Beam management of a radio transceiver device
EP35168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status by a transceiver
EP3254381B1 (en) A network node and method therein for determining a precoder for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102382912B1 (ko)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피드백 방법 및 장치
EP41710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rminal resident network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563063B1 (ko)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방법 및 장치
EP4331123A1 (en) Determination of uplink mimo transmission state for a 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