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324B1 - Polyester film with silicone incorporation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 Google Patents

Polyester film with silicone incorporation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324B1
KR102660324B1 KR1020207001201A KR20207001201A KR102660324B1 KR 102660324 B1 KR102660324 B1 KR 102660324B1 KR 1020207001201 A KR1020207001201 A KR 1020207001201A KR 20207001201 A KR20207001201 A KR 20207001201A KR 102660324 B1 KR102660324 B1 KR 10266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layer
food
polyes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2688A (en
Inventor
잔 모리츠
펫 앤드류
근석 피. 장
크리스토퍼 노스나글
스테파노스 사켈라리데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플라스틱스 아메리카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663,142 external-priority patent/US11027523B2/en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플라스틱스 아메리카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도레이 플라스틱스 아메리카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6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324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6Cans, t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원의 실시양태는 비스페놀 A-프리, 다층 2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BOPET) 필름에 관한 것이다. BOPET 필름은 식품의 방출을 보조하는 방출 층을 갖는다. BOPET 필름은 식품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속에 적층될 수 있되, 외부 방출 층이 노출되어서 외부 방출 층의 표면과 식품 사이의 직접적인 식품 접촉을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외부 방출 층 수지 조성물을 형성하는 성분에 촉매/첨가제 패키지로서, 외부 방출 층 수지 조성물의 중합 동안, 첨가되는 알칼리-금속 포스페이트 및 인산; 및 초-고 분자량의 실록산 중합체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신규한 외부 방출 층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왁스 성분은 외부 방출 층에, 보다 강력한 방출 성능을 위해 첨가된다. Embodiments herein relate to bisphenol A-free, multilayer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BOPET) films. BOPET films have a release layer that assists the release of food. BOPET films can be laminated to metals used in the manufacture of food containers, leaving the outer release layer exposed, allowing direct food contact between the surface of the outer release layer and the fo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talyst/additive package to the components forming an external release lay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lkali-metal phosphate and phosphoric acid added during polymerization of the external release layer resin composition; and novel outer release layer resin compositions comprising ultra-high molecular weight siloxane polymer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 wax component is added to the outer release layer for stronger release performance.

Description

통조림화된 육류 제품의 방출을 위해 실리콘을 도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Silicone-incorporated polyester film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본 발명은, 식품 용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시트 위로의 적층을 위한, 비스페놀 A("BPA")-프리(free) 다층 필름, 예를 들어,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BOPET)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층 필름은 외부 방출 층(outer release layer)을 갖는데, 이는, 상기 외부 방출 층과 직접 접촉한 상태로 식품이 조리 및 멸균될 때, 식품, 예를 들어 고 단백질 식품 공급원의 방출을 돕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isphenol A (“BPA”)-free multilayer films, such as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BOPET) films, for lamination onto metal sheets, which can be used for food containers. will be. More specifically, the multilayer film has an outer release layer, which prevents the release of food, such as high protein food sources, when the food is cooked and steriliz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release layer. Helping.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본원에서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되는, 2017년 7월 28일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5/663,142호의 이점을 주장한다. 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5/663,142, filed July 28, 2017,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식품 통조림화의 원리Principles of Food Canning

내열성 미생물의 생존이 허용되는 저온-멸균된(pasteurized) "조리된" 육류 제품과는 달리, 육류 제품의 멸균의 목적은 오염 세균의 포자를 포함하는 모든 오염 세균의 파괴이다. 이러한 제품의 열처리는 바실루스(Bacillus) 및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의 포자인, 가장 내열성인 박테리아 미생물을 불활성/사멸하기에 충분히 강할 수 있다. 실제로, 밀폐 용기에 채워진 육류 제품은 압력솥에서 100℃ 초과의 온도에 노출된다. 제품 유형에 따라, 일반적으로 110-130℃ 범위인 100℃ 초과의 온도가 제품 내부에서 도달할 수 있다. 제품 유형 및 용기 크기에 따라 멸균에 필요한 온도 수준에서 제품이 정해진 기간 동안 유지된다. Unlike pasteurized "cooked" meat products in which heat-resistant microorganisms are allowed to survive, the goal of sterilization of meat products is the destruction of all contaminating bacteria, including their spores. The heat treatment of these products can be strong enough to inactivate/kill the most heat-resistant bacterial microorganisms, which are spores of Bacillus and Clostridium. In practice, meat products filled in closed containers are exposed to temperatures exceeding 100°C in pressure cookers.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 temperatures exceeding 100°C can be reached inside the product, typically in the range of 110-130°C.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 and container size, the product is maintained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at the temperature level required for sterilization.

통조림화된 상품에서 포자가 완전히 불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조건이 다시 유리하게(favorable) 되자마자, 식물성(vegetative) 미생물이 상기 포자로부터 성장할 것이다. 열-처리 가공된 육류의 경우에, 열처리가 완료되고 제품이 주위 온도로 저장될 때, 유리한 조건이 존재할 것이다. 생존 미생물은 방부처리된 육류 제품을 손상시키거나 소비자에게 식중독을 유발하는 독소를 생산할 수 있다. If the spores in the canned product are not completely inactivated, vegetative microorganisms will grow from the spores as soon as conditions become favorable again. In the case of heat-treated processed meat, favorable conditions will exist when the heat treatment is completed and the product is stored at ambient temperature. Surviving microorganisms can produce toxins that can damage preservative meat products or cause food poisoning in consumers.

포자-생성 미생물의 2 그룹 중에서도, 클로스트리디움이 바실루스보다 내열성이다. 110℃의 온도는 짧은 시간 내에 대부분의 바실루스 포자를 사멸할 것이다. 클로스트리디움의 경우,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포자를 죽이기 위해서는 최대 121℃의 온도가 요구된다. Among the two groups of spore-producing microorganisms, Clostridium is more heat-resistant than Bacillus. A temperature of 110°C will kill most Bacillus spore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In the case of Clostridium, a temperature of up to 121°C is required to kill spore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상기 멸균 온도는 바실루스 또는 클로스트리디움의 포자의 (수 초 이내의) 단기간 불활성화를 위해 요구된다. 이러한 포자는 또한 약간 낮은 온도에서 사멸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동일한 수준의 열처리에 도달하기 위해서 보다 긴 열처리 기간이 적용될 수 있다.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is required for short-term inactivation (within a few seconds) of Bacillus or Clostridium spores. These spores can also be killed at slightly lower temperatures, but in this case a longer heat treatment period can be applied to reach the same level of heat treatment.

미생물의 관점에서, 임의의 생존 미생물의 위험을 제거하는, 매우 강한 열처리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통조림화된 육류 제품은, 매우 부드러운 질감, 젤리(jelly)와 지방의 분리, 변색, 원치않는 열처리 맛 및 영양가 손실(비타민 및 단백질 성분의 파괴)과 같은 그들의 감각적인 품질 저하를 겪지 않으면서, 이러한 강한 열 스트레스에 노출될 수 없다. From a microbial point of view, it would be ideal to use a very strong heat treatment, eliminating the risk of any surviving microorganisms. However, most canned meat products do not suffer from any loss of their organoleptic quality, such as very soft texture, separation of jelly and fat, discoloration, undesirable heat treatment taste and loss of nutritional value (destruction of vitamins and protein components). Therefore, it cannot be exposed to such strong heat stress.

전술한 양태에 따르기 위해서, 열 멸균을, 제품의 미생물적 안전을 위해 충분하지만, 제품 품질의 이유로 가능한 한 온건(moderate)하도록 유지하기 위해서 절충에 도달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ollow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compromise must be reached to keep the heat sterilization sufficient for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 product, but as moderate as possible for product quality reasons.

통조림화에 적합한 육류 제품Meat products suitable for canning

소비를 위한 제조 동안 열처리를 요구하는 사실상 모든 가공된 육류 제품은 열 보존(heat preservation)에 적합하다. 소비되기 전에 어떠한 형태의 열처리도 받지 않은 육류 제품, 예를 들어 건조된 육류, 생 햄 또는 건조 소시지는, 낮은 pH 및/또는 낮은 수분 활동에 의해 보존되기 때문에, 자연히 통조림화에 적합하지 않다. Virtually all processed meat products that require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e for consumption are suitable for heat preservation. Meat products that have not undergone any form of heat treatment before consumption, such as dried meat, raw ham or dried sausages, are naturally unsuitable for canning, as they are preserved by low pH and/or low water activity.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의 육류 제품의 그룹은 통조림화된 제품으로서 종종 제조된다: 조리된 햄 또는 돼지 어깨 고기; 푸랑크푸르트(frankfurter) 유형의 짠 소시지; 볼로냐(bologna)의 소세지 믹스 또는 간(liver) 소시지 유형; 원료육(meat preparation), 예를 들어 콘 비프(corned beef), 다진 돼지 고기; 및 육류 성분-포함 레디-투-잇 식품(ready-to-eat dish), 예를 들어, 국물 내 쇠고기, 쌀과 닭고기, 육류 성분 포함 스프, 예를 들어 닭고기 스프 또는 쇠꼬리 수프. Without being limiting, the following groups of meat products are often prepared as canned products: cooked ham or pork shoulder; salty sausage of the frankfurter type; sausage mix of bologna or liver sausage type; Meat preparations, such as corned beef, minced pork; and ready-to-eat dishes containing meat ingredients, such as beef, rice and chicken in broth, soups containing meat ingredients, such as chicken soup or oxtail soup.

캔 라이닝(can lining)can lining

금속 식품 및 음료 용기, 예를 들어, 캔은 내면에 코팅으로 라이닝되어 있다. 이 코팅은 용기의 부식 및 용해된 금속에 의한 식품과 음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수적이다. 또한, 코팅은 박테리아 오염으로 인해 통조림화된 식품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보조하다. 식품 용기를 위한 내부 코팅의 주요 유형은, 인성, 접착성, 성형성(formability)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조합 때문에, 보호 코팅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광범위한 허용가능성을 달성해 온 에폭시 수지로 구성된다. 이러한 코팅은 본질적으로 불활성이며 40년 이상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코팅은, 내용물을 부패로부터 보호하는 것 이외에, 식품의 품질과 맛을 유지하면서 유통 기한을 연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Metal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such as cans, are lined on the inside with a coating. This coating is essential to prevent corrosion of containers and contamination of food and beverages by molten metals. Additionally, the coating helps prevent canned food from becoming contaminated or damaged due to bacterial contamination. The main type of interior coating for food containers consists of epoxy resins, which have achieved wide acceptance for use as protective coatings due to their excellent combination of toughness, adhesion, form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These coatings are essentially inert and have been used for over 40 years. In addition to protecting the contents from spoilage, these coatings make it possible to extend the shelf life of food while maintaining its quality and taste.

그러나, 이러한 에폭시 중합체는 BPA로 지칭되는 화학적 빌딩 블록(chemical building block)을 잔류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 BPA는 소비자 변호 단체(consumer advocacy groups)로부터의 많은 조사에 직면하고 있다. 법안 65에 따라, 캘리포니아는 두 번째로 BPA를 번식 독성(reproductive toxicity)의 원인으로서 열거할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보호 코팅으로서 BPA-계 에폭시 수지를 배제하려는 요구가 있다. However, these epoxy polymers can contain residual amounts of a chemical building block referred to as BPA, which has faced much scrutiny from consumer advocacy groups. Under Proposition 65, California proposed for the second time to list BPA as a cause of reproductive toxicity. Therefore, there is a desire to exclude BPA-based epoxy resins as protective coatings.

지난 10년, 소비자와 보건 전문가들은 식품 포장에서의 BPA의 사용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상기 분자는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므로 내분비 교란 물질로서 작용할 수 있다. Over the past decade, consumers and health experts have been raising concerns about the use of BPA in food packaging. This molecule has a form similar to estrogen and can therefore act as an endocrine disruptor.

따라서, 식품 회사는 BPA계 식품 포장으로부터 멀어지기를 간절히 원한다. 코팅 제조업체와 그들의 공급업체는 BPA를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켜 만들어지는, 아주 흔한 에폭시의 대체품을 찾기 위해 초과 근무를 하고 있다. 단언하자면, 식품 용기를 위한 BPA-프리 코팅에 대한 요구가 시급하다. 본 발명의 BPA-프리 BOPET 필름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킨다. Therefore, food companies are eager to move away from BPA-based food packaging. Coating manufacturers and their suppliers are working overtime to find replacements for the all-too-common epoxy, which is made by reacting BPA with epichlorohydrin. In short, the need for BPA-free coatings for food containers is urgent. The BPA-free BOPE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se needs.

용기 파트를 형성하기 이전에 금속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적층하는 것은 에폭시 코팅으로 라이닝된 용기를 대체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이다. 이축 배향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BOPET) 필름은 여러가지 용도, 예를 들어 식품 포장, 장식 및 예를 들어 라벨로서 사용된다. Laminating a polyester film to metal prior to forming the container part is one solution to replace containers lined with epoxy coating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BOPET) films are used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food packaging, decoration and, for example, as labels.

식품 포장 산업은, BOPET에 식품이 직접 접촉하는 많은 열-밀봉성 트레이 적용례에서 BOPET 필름을 사용하지만, BOPET 필름 표면으로부터의 식품 방출은 부적절하다. The food packaging industry uses BOPET film in many heat-sealable tray applications where foo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PET, but food release from the BOPET film surface is inadequate.

식품 방출food release

용기 내의 식품, 특히 육류 제품과 같은 상당량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식품의 조리 및 멸균으로부터 유발되는 하나의 문제는 고체 식품 입자가 내부 용기 표면에 접착하는 것이며, 이것은 전체 통조림 내용물의 배출을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 문헌에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에는 왁스(미국특허 제6,652,979호, 미국특허 제6,905,774호, 미국특허 제7,198,856호, 미국특허 제7,435,465호) 또는 실리콘 화합물(미국특허 제6,905,774호)의 도입을 포함한다. One problem that arises from the cooking and sterilization of food in containers, especially those containing significant amounts of solids such as meat products, is the adhesion of solid food particles to the inner container surface, making discharge of the entire canned contents difficult. To solve this phenomenon,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 the patent literature, and these methods include wax (US Patent No. 6,652,979, US Patent No. 6,905,774, US Patent No. 7,198,856, US Patent No. 7,435,465) or silicone compound (US Patent No. 7,435,465). Includes the introduction of Patent No. 6,905,774).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원에서 실시양태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층이 (a) 폴리에스테르 수지 P1 1톤 당 1.3mol 내지 3.0mol의 양의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몰 기준으로 상기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의 0.4 내지 1.5배 양의 인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P1, 0.1-99.9중량%; (b) 폴리디메틸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실리콘 수지, 0.1 내지 2중량%; 및 (c) 임의로 왁스 성분, 0.001 내지 0.09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비스페놀 A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P1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구성 성분으로서 50중량% 이상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층은 식품 방출 시험(Food Release Test)에 따라 측정될 때 약 10% 이하의 식품 면적 도포율(food area coverage)을 갖는 외부 방출 층을 포함한다. Embodiments herein are polyester films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wherein the one or more layers comprise (a) an alkali metal phosphate in an amount of 1.3 mol to 3.0 mol per ton of polyester resin P1, and the alkali on a molar basis; Polyester resin P1, 0.1-99.9% by weight, containing phosphoric acid in an amount 0.4 to 1.5 times that of metal phosphate; (b) silicone resin containing polydimethylsiloxane resin, 0.1 to 2% by weight; and (c) optionally a wax component, 0.001 to 0.09% by weight, wherein the polyester film is free of bisphenol A. In one embodiment, the polyester resin P1 comprises an aromatic polyester. In one embodiment, the aromatic polyester comprises at least 50% by weight ethylene terephthalate as a constituent of the aromatic polyester. In one embodiment, the one or more layers comprise an outer release layer having a food area coverage of less than or equal to about 10% as measured according to the Food Release Test.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외부 방출 층 A를 포함하는 필름 구조물은, 추가로, (a) 결정화가능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P1과는 상이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P2, 0.1-100중량%; (b)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P2의 융점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무정형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0.1-100중량%; 및 (c) 유기 또는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안티블록, 0.1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열-밀봉성 층 B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열-밀봉성 층 B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성을 갖는 열-밀봉성 층 C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열-밀봉성 층 B와 상이한 조성을 갖는 열-밀봉성 층 C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P2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P2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P2의 구성 성분으로서 50중량% 이상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P2의 융점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성분(b)는 본질적으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이다. In one embodiment, the film structure comprising at least an outer release layer A further comprises: (a) 0.1-100% by weight of polyester resin P2, which is crystallizable and different from polyester resin P1; (b) 0.1-100% by weight of an amorphous copolyester resin or polyester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at least 20° C.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ester resin P2; and (c) a heat-sealable layer B comprising 0.1 to 15% by weight of antiblock comprising organic or inorganic particles. In one embodiment, the polyester film further comprises a heat-sealable layer C having the same or substantially the same composition as the heat-sealable layer B. In one embodiment, the polyester film further comprises a heat-sealable layer C having a different composition than the heat-sealable layer B. In one embodiment, polyester resin P2 comprises an aromatic polyester. In one embodiment, the polyester resin P2 includes at least 50% by weight ethylene terephthalate as a constituent of the polyester resin P2. In one embodiment, component (b) of the polyester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at least 20° C.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polyester resin P2 is essentially a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resin.

또 다른 실시양태는 본원의 실시양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된 금속 시트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실리콘 수지는 실온에서 10-50 x106 센티스톡 범위의 동점도를 갖는다. Another embodiment relates to a laminated metal sheet comprising the polyester film of an embodiment herein. In one embodiment, the silicone resin has a kinematic viscosity in the range of 10-50 x10 6 centistokes at room temperature.

특허 또는 출원서 파일은 칼라로 작성된 하나 이상의 도면을 포함한다. 칼라 도면을 포함하는 본 특허 또는 특허 출원 공개공보의 사본은, 신청하고 필요한 수수료를 지불하면 사무국에 의해 제공할 것이다.
도 1은 식품 방출 테스트를 위한 식품 믹스(food mix)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상이한 성분들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BOPET 적층된 금속 디스크 및 비-적층된 BOPET 필름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3은 BOPET 적층된 금속 디스크를 갖는 캡(cap)으로 밀봉된 단지(jar)에 식품 믹스를 넣되, BOPET 필름이 식품 믹스와 접촉하는 사진을 나타낸다.
도 4는 가열된 스토브 위의 압력솥 내에 있는, 식품 믹스를 함유하는 여러 개의 밀봉된 단지들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5는 조리된 식품 믹스로부터 BOPET 적층된 금속 디스크의 제거를 나타내는 사진을 나타낸다.
도 6은 BOPET 적층된 금속 디스크의 BOPET 필름 표면으로부터 조리된 식품 믹스의 양호한 및 불량한 방출을 나타내는 BOPET 적층된 금속 디스크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7은 조리된 식품 믹스가 BOPET 필름에 붙어있는 채로 남아 있는 식품 면적 도포율의 백분율을 계산하기 위해서 BOPET 적층된 금속 디스크 상에 중첩된 그리드(grid)에 의한 식품 방출 테스트 이후의 BOPET 적층된 금속 디스크("테스트 샘플")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8은 초-고 분자량 실리콘의 중량%의 함수로서, 조리된 식품 믹스가 BOPET 필름에 붙어있는 채로 남아 있는 식품 면적 도포율의 백분율의 플롯이다.
도 9는 지시된 적층 및 포스트-베이크 온도 설정에서의 스틸(steel) 적층 이후에, 비교예 8의 필름의 상이한 위치에서 측정된 XRD(X-선 회절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상대 결정화도(카운트/초)의 플롯을 도시한다.
도 10은 지시된 예열 및 포스트-가열 온도 설정에서의 스틸 적층 이후에, 실시예 7의 필름의 상이한 위치에서 측정된 XRD(X-선 회절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상대 결정화도(카운트/초)의 플롯을 도시한다.
A patent or application file contains one or more drawings in color. Copies of this patent or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including color drawings, will be provided by the Bureau upon request and payment of the necessary fee.
Figure 1 shows photographs of different ingredients used to prepare food mixes for food release testing.
Figure 2 shows a photograph of a BOPET laminated metal disk and a non-laminated BOPET film.
Figure 3 shows a photograph of a food mix placed in a jar sealed with a cap having a BOPET laminated metal disk, with the BOPET film in contact with the food mix.
Figure 4 shows a photograph of several sealed jars containing food mix in a pressure cooker on a heated stove.
Figure 5 shows a photograph showing the removal of a BOPET laminated metal disk from a cooked food mix.
Figure 6 shows photographs of BOPET laminated metal discs showing good and poor release of cooked food mix from the BOPET film surface of the BOPET laminated metal discs.
Figure 7 shows BOPET laminated metal after food release testing with a grid superimposed on a BOPET laminated metal disk to calculate the percentage of food area coverage at which the cooked food mix remains attached to the BOPET film. Shows a picture of the disk ("test sample").
Figure 8 is a plot of the percentage of food area coverage at which the cooked food mix remains attached to the BOPET film as a function of weight percent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silicone.
Figure 9 shows the relative crystallinity (count/ sec) shows the plot.
Figure 10 shows the relative crystallinity (counts per second) measured by Show the plot.

본원의 실시양태는, 레토르트 멸균 온도와 관련된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우수한 내열성, 및 식품 제품에 의한 금속 용기에 대한 내부식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배리어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즉 BOPET 필름에 관한 것이다. BOPET 필름은 용기 형성 공정 동안 금속판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BOPET 필름은 고열 멸균 후 용기로부터 고 단백질 식품(육류 제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충분한 방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초-고 분자량 실록산을 포함하는 실리콘을 도입함으로써 부여된 방출 작용은, 중합 동안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인산과 함께 배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캐리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 강화됨을 발견하였다.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인산의 원래 목적은, 가수분해 내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실리콘의 방출 작용의 개선인 추가된 장점이 놀라운 발견이었다.Embodiments herein relate to polyester films, namely BOPET films, which have excellent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temperatures associated with retort sterilization temperatures and barrier properties that can provide corrosion resistance to metal containers by food products. . BOPET films can be formed by lamination to a metal plate during the container forming process. Additionally, BOPET films can provide sufficient release surface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high protein foods (meat products) from containers after high heat sterilization. Surpris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release action imparted by incorporating silicones containing ultra-high molecular weight siloxanes is further enhanced when using a polyester resin carrier blended with alkali metal phosphate and phosphoric acid during polymerization. . The original purpose of alkali metal phosphate/phosphoric acid was to improve hydrolysis resistance, and the added advantage of improved silicon release behavior was a surprising discovery.

BOPET 필름은 하나 이상의 층,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화된 BOPET 필름은, 용기쪽 또는 내부 층(즉, 열 밀봉 또는 금속 결합 층), 식품 또는 외부 층, 식품 방출 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용기 내부에 저장된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식품쪽 층과 금속 표면에 결합된 층 사이의 하나 이상의 코어 층이 있을 수 있다.The BOPET film may comprise one or more layers, preferably two or more layers. The multilayered BOPET film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ontainer side or interior layer (i.e., a heat seal or metal bonding layer), a food or exterior layer, and a food release layer. Additionally, there may be one or more core layers between a food side layer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ood stored inside the container and a layer bonded to the metal surface.

BOPET 필름BOPET FILM

통조림화를 위해 금속판에 적층될 수 있는 필름은 전형적으로 주석-프리 스틸(TFS), 전기-주석-도금 스틸(ETP),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상기 필름은 연속적인 적층 공정 중 일부로서 210℃의 열처리 이후 2.0% 이하의 치수 변화에 의해 특징화된다. Films that can be laminated to metal plates for canning are typically made of tin-free steel (TFS), electro-tin-plated steel (ETP), or aluminum, and the films are stored at 210°C as part of a continuous lamination process. It is characterized by a dimensional change of less than 2.0% after heat treatment.

본원에 개시된 필름은 2층 또는 3층 공압출되고 2축 당김(drawn) 구조물을 포함한다. 외부 방출 층 및 임의의 하부 "스킨" 층은 일반적으로 코어 "주요" 층보다 얇다. 외부 방출 층(이후에 "스킨 A"로 지칭됨)은 초-고 분자량의 실리콘(실록산 기반) 수지를 전형적으로 함유하는데, 이는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예비-블렌딩되어서 '마스터배치'를 형성하며, 이는 공압출 동안 외부 방출 층에 낮은 수준으로 첨가된다.The films disclosed herein are two- or three-layer coextruded and include a biaxially drawn structure. The outer release layer and any lower “skin” layers are generally thinner than the core “main” layer. The outer release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kin A”) typically contains an ultra-high molecular weight silicone (siloxane-based) resin, which is pre-blended with a copolyester elastomer resin to form a ‘masterbatch’. , which is added at low levels to the outer release layer during coextrusion.

"초-고 분자량 실리콘" 또는 "UHMW PDMS"(여기서, PDMS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나타낸다)라는 용어는 PDMS 수지를 지칭하며, 여기서 UHMW PDMS는 실온에서 10-50x106 센티스톡의 범위의 동점도를 갖는다(G. Shearer; Silicones in the Plastics Industry, article 15 published in chapter 2: "Silicones in Industrial Applications", in Inorganic Polymers, edited by Roger de Jaeger, Nova Science Publishers, 2007). 전술한 인용 문헌에 따르면, UHMW PDMS의 장점은, 이것이 펠렛으로서 다양한 열가소성 캐리어에서 안정한 액적 도메인을 형성하여, 가공 도중에 열가소체에 직접 첨가제를 용이하게 첨가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점이다. UHMW PDMS의 또 다른 장점은, 이것이 BOPET 필름의 표면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BOPET로부터 브리드-아웃(bleed out)되지 않아서, 바람직한 방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term "ultra-high molecular weight silicone" or "UHMW PDMS" (where PDMS stands for polydimethylsiloxane) refers to a PDMS resin, wherein UHMW PDMS has a kinematic viscosity in the range of 10-50x10 6 centistokes at room temperature. (G. Shearer; Silicones in the Plastics Industry, article 15 published in chapter 2: "Silicones in Industrial Applications", in Inorganic Polymers, edited by Roger de Jaeger, Nova Science Publishers, 2007). According to the literature cited above, the advantage of UHMW PDMS is that it forms stable droplet domains in various thermoplastic carriers as pellets, allowing for easy addition of additives directly to the thermoplastic during processing. Another advantage of UHMW PDMS is that it migrates to the surface of the BOPET film and does not bleed out from the BOPET, providing desirable release properties.

마스터배치 내의 전형적인 UHMW 실리콘 농도는 50중량%이다. 외부 방출 층에서의 마스터배치 첨가 수준은 0.2 내지 4중량%의 범위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0.1-2% 범위의 순(net) 실리콘 함량을 유발한다. 외부 방출 층의 나머지 성분은 1.3mol/톤 내지 3.0mol/톤 양의, 인 화합물로서의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보다 0.4배 내지 1.5배(몰 기준으로)의 양의, 또 다른 인 화합물로서의 인산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조성물(주요 성분)이고, 선택적으로 안티-블록킹 목적을 위한 무기 입자이다. 이러한 경우의 전형적인 무기 입자 조성물은 수-서브마이크론에서 수 마이크론의 범위의 크기의 실리카(이산화규소, SiO2)이다. 실리카 입자는 전형적으로 중합에 실리카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되는 농축물 PET 칩("실리카 마스터칩")의 형태로 공압출 동안 전형적으로 첨가된다. 실리카 마스터칩에서의 전형적인 실리카 함량은 1-3중량%이고; 외부 방출 층 내의 실리카 마스터칩의 전형적인 첨가 수준은 1-15중량%이어서, 약 0.1-3중량%의 순 실리카 함량을 유발한다. A typical UHMW silicon concentration in the masterbatch is 50% by weight. The masterbatch addition level in the outer release layer ranges from 0.2 to 4% by weight, resulting in a net silicon content in the range of 0.1-2%.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outer release layer are an alkali metal phosphate as a phosphorus compound in an amount of 1.3 mol/ton to 3.0 mol/ton, and another phosphorus compound in an amount of 0.4 to 1.5 times (on a molar basis) the alkali metal phosphate. It i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phosphoric acid (main ingredient) and optionally inorganic particles for anti-blocking purposes. A typical inorganic particle composition in this case is silica (silicon dioxide, SiO 2 ) with sizes ranging from a few submicrons to several microns. Silica particles are typically added during coextrusion in the form of concentrate PET chips (“silica masterchips”), which are typically prepared by adding silica to the polymerization. Typical silica content in silica masterchips is 1-3% by weight; Typical addition levels of silica masterchips in the outer release layer are 1-15% by weight, resulting in a net silica content of approximately 0.1-3% by weight.

방출 층 A는 보다 강력한(robust) 방출 성능을 위한 왁스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왁스 성분"이라는 용어는 왁스 또는 왁스-유사 물질을 함유하는 성분을 지칭한다. 왁스는 실온 부근에서 소수성이고 가단성(malleable) 고체인 유기 화합물의 폭넓은 부류이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융점이 약 40℃(104℉) 초과이어서 녹으면 저 점도의 액체가 되는, 고급 알칸 및 지질을 포함한다. 왁스는 물에 불용성이지만 유기, 비극성 용매에 가용성이다. 상이한 유형의 천연 왁스는 식물 및 동물에 의해 제조되며 석유에서 발생한다(공급원: https://en.wikipedia.org/wiki/Wax). "왁스-유사 물질"은 왁스의 특성을 갖지만 왁스가 아닌 물질을 지칭한다. Release layer A may additionally contain a wax component for more robust release performance. The term “wax component” refers to a component containing wax or wax-like substances. Waxes are a broad class of organic compounds that are hydrophobic, malleable solids around room temperature. These typically include higher alkanes and lipids, which have melting points above about 40° C. (104° F.), so that when melted they form a low-viscosity liquid. Wax is insoluble in water but soluble in organic, non-polar solvents. Different types of natural waxes are manufactured by plants and animals and originate from petroleum (Source: https://en.wikipedia.org/wiki/Wax ). “Wax-like material” refers to a material that has the properties of wax but is not a wax.

첨가된 왁스 성분의 양은 0.001 내지 0.090중량%이다. 이러한 왁스의 예는 본원에서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되는 미국특허 제6,905,774호에서 언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왁스 화합물의 예는 지방족 카복실산 화합물과 지방족 알콜 화합물과의 에스테르, 및 지방족 카복실산 화합물과 지방족 아민 화합물의 아미드이고, 바람직하게는 왁스는, 탄소의 총 수가 30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인 화합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서,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라이스 왁스(rice wax), 펜타에리트리톨 풀 에스테르, 베헤닐 베헤네이트, 팔미틸 미리스테이트 및 스테아릴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합성 또는 천연 왁스가 폴리에스테르와의 상용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The amount of added wax component is 0.001 to 0.090% by weight. Examples of such waxes are mentioned in U.S. Patent No. 6,905,774,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Specifically, examples of wax compounds that can be used herein are esters of aliphatic carboxylic acid compounds and aliphatic alcohol compounds, and amides of aliphatic carboxylic acid compounds and aliphatic amine compounds, preferably the wax has a total number of carbons of 30 to 120, More preferably, it is composed of 40 to 100 compounds. Examples of such compounds include stearyl stearate, carnauba wax, candelilla wax, rice wax, pentaerythritol full ester, behenyl behenate, palmityl myristate and stearyl triglyceride. Synthetic or natural waxes containing aliphatic esters such as are preferred in terms of compatibility with polyester.

특히, 반복 사용, 제조 이후의 사용 및 수성 환경에서의 사용 이후의 뛰어난 방출 특성의 관점에서, 및 비-흡착성을 나타내고 식품 포장 적용례에서 위생을 개선시키는 등의 관점에서, 카나우바 왁스, 특히 정제된 카나우바 왁스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Carnauba wax, especially purified wax, in particular in view of its excellent release properties after repeated use, use after manufacture and use in aqueous environments, and because it is non-adsorbent and improves hygiene in food packaging applications. Addition of carnauba wax is preferred.

"강력한 성능"이란 용어는, 공정 제한점으로 인하여, 열 이력의 측면 및 상응하게 적층된 필름의 최종 형태의 측면에서, 웹 폭을 가로질러 가변성(variability)이 존재하는 상업적인 금속 적층 설비와 구체적으로 관련된다. 이러한 설비는 미국특허 제9,358,766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업적인 금속 적층 라인은 이러한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2개의 주요 인자를 갖는다: 하나는 적층 시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접촉하기 직전의 스틸 시트의 예열 온도이다(한쌍의 닙 롤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예열되어 있음). 2축 배향된 PET계 필름의 경우, 이러한 온도는 320-430℉, 바람직하게는 360-430℉이다. 두번째는 포스트-가열 스테이션(예를 들어, 적외선(IR)-가열된 오븐)에서 설정된 온도인데, 이는 적층 단계 동안 발생하는 플라스틱 필름과 스틸 사이의 초기 결합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2축-배향 PET 필름의 경우에, 이 온도는 350-500℉, 바람직하게는 420-460℉이다. 적층된 시트가 포스트-처리("포스트-베이크(post-bake)") 스테이션을 빠져나감에 따라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형태에서의 가변성은 예를 들어, 적층체 폭을 가로지르는 상이한 점들에서의 결정도(예를 들어, X-선 회절-XRD에 의해 측정됨)에 의해 나타나기 때문에, 결정도는 예열 온도 및 포스트-가열 온도 둘 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필름에 대한 XRD에 의해 결정된 상대 결정화도(카운트/초)의 프로파일은 도 9에 나타내고, 왁스를 포함하는 필름에 대해서는,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왁스의 첨가는, 소정의 적층 및 포스트-베이크 온도 설정에서 스틸 적층 이후에 필름의 상이한 위치에서 측정된 XRD(X-선 회절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상대 결정화도(카운트/초)가, 어떠한 왁스 성분도 포함하지 않는 도 9의 필름의 것보다 낮음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또한, 도 10의 필름은 도 9의 필름보다 우수한 식품 방출을 가짐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실록산과 PET 수지 P1(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인산을 포함하는 PET 수지)을 조합하는 경우에, 육류 방출을 위해 요구되는 왁스의 양은 방출 특성을 위해 왁스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필름(예를 들어, 토레이 인더스트리즈(Toray Industries)로부터의 Lumirror(상표) 등급 FN8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필름은 미국특허 제6,652,979호에서의 수준(0.1 - 2중량%) 또는 미국특허 제6,905,774호에서의 수준(0.1 - 5중량%)으로 배합된 카나우바 왁스로 함침되어 있다)에 존재하는 것보다 낮다. The term "robust performance" relates specifically to commercial metal lamination facilities where, due to process limitations, there is variability across the web width, both in terms of thermal history and correspondingly in terms of the final form of the laminated film. do. Such equipment is described in U.S. Patent No. 9,358,766. Commercial metal laminating lines have two main factors that influence this morphology: one is the preheating temperature of the steel sheet just before contact with the polyester film at the time of laminating (one or both of the pair of nip rolls are preheated); ). For biaxially oriented PET-based films, this temperature is 320-430°F, preferably 360-430°F. The second is the temperature set in the post-heating station (e.g., an infrared (IR)-heated oven), which serves to stabilize the initial bond between the plastic film and the steel that occurs during the lamination step. For biaxially-oriented PET films, this temperature is 350-500°F, preferably 420-460°F. As the laminated sheets exit the post-processing (“post-bake”) station, variability in the form of the laminated polyester film can occur, for example, at different points across the width of the laminate. As indicated by crystallinity (as measured, for example, by X-ray diffraction-XRD), crystallinity is affected by both the preheating temperature and the post-heating temperature. Profiles of relative crystallinity (counts per second) determined by XRD for films containing no wax are shown in Figure 9 and for films containing wax are shown in Figure 10. As shown in Figure 10, the addition of wax increases the relative crystallinity (count) measured by /sec) is surprisingly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film of Figure 9, which does not contain any wax component. Additionally, it was surprisingly found that the film of Figure 10 had superior food release than the film of Figure 9. When combining siloxane with PET resin P1 (PET resin containing alkali metal phosphate and phosphoric acid), the amount of wax required for meat release is comparable to that of films that use wax alone for release properties (e.g. Toray Industries Lumirror(TM) grade FN8 polyester film from Toray Industries at the level in U.S. Patent No. 6,652,979 (0.1 - 2% by weight) or at the level in U.S. Patent No. 6,905,774 (0.1 - 5% by weight). ) is impregnated with carnauba wax formulated with ).

나머지 2개의 층들은 이후에 코어 층에 대해서는 층 "B"로 명명하고 A 스킨 층에 비해 반대쪽에 놓인 스킨 층에 대해서는 스킨 층 "C"로 지칭될 것이다. 두께 분포는 전체 필름 두께를 기준으로 층 A, B, 및 C에 대해 각각 5-30%, 40-95%, 및 0-30%의 범위이다. 2축 연신(stretching) 이후의 전형적인 총 필름 두께는 10-25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12 미크론 - 23 미크론이다.The remaining two layers will hereafter be referred to as layer “B” for the core layer and skin layer “C” for the skin layer lying opposite to the A skin layer. Thickness distribution ranges from 5-30%, 40-95%, and 0-30% for layers A, B, and C, respectively, based on total film thickness. Typical total film thickness after biaxial stretching is 10-25 microns, preferably 12-23 microns.

2층 또는 3층 필름 구조물은 금속 시트(스틸 또는 알루미늄) 위에 적층되고, 그 다음 용기로 만들어진다. 금속 시트의 양쪽이 플라스틱 필름으로 적층될 수도 있으나, 실리콘을 함유하는 외부 방출 층이 식품-접촉 층(즉, 캔의 금속 기재로부터 떨어져 있는 층)이 되도록, 본 발명의 필름은 용기의 내면이 될 금속 시트 쪽 위에 적층하는 것으로 의도된다.The two- or three-layer film structure is laminated onto a metal sheet (steel or aluminum), which is then made into a container. Although both sides of the metal sheet may be laminated with a plastic film,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such that the outer release layer containing silicone is the food-contact layer (i.e., the layer away from the metal substrate of the can). It is intended to be laminated on top of a metal sheet.

코어 층 B는 100중량% PET 수지("베이스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C 층도 없다면, 층 B는 또한 선택적인 층 C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하기에서 기술된 안티-블록-함유 마스터배치 또는 저-융점 코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할 수도 있다. Core layer B may include 100% PET resin (“base resin”) by weight. If there is no C layer, layer B may also contain an anti-block-containing masterbatch or low-melting copolyester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or optional layer C.

선택적인 스킨 층 C는 저-융점(결정성 PET에 비해) 또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저온 용융(또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와 PET 베이스 수지의 블렌드일 수 있다. 저온-용융 폴리에스테르의 하나의 예는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 단위,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와 이들과 다른 디카복실산 또는 디올,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복실산, 아젤라산, 세박산,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4-사이클로헥실디메탄올 등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의 적합한 예의 비-배타적인 목록은 하기일 수 있다: 듀퐁(Dupont)으로부터의 Crastin(등록상표) FG6129, Crastin(등록상표) FG6130, 티코나(Ticona)로부터의 Celanese 1600, Celanex(등록상표) 1700, 토레이 인더스트리즈(Toray Industries)로부터의 Toraycon(상표) 1100M, Toraycon(상표) 1200M. 저온 용융 폴리에스테르의 또 다른 예는, 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예를 들어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및 이들과 다른 디카복실산 또는 디올,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복실산, 아젤라산, 세박산,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4-사이클로헥실디메탄올 등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의 적합한 예의 비-배타적인 목록은 하기와 같을 수 있다: Sorona(등록상표)(듀퐁), Corterra(등록상표)(쉘), Ecoriex(등록상표)(SK 케미칼). 상기 층에 저온 용융 또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목적은 열 적층 동안 금속에 대한 보다 용이한 접착(adhesion)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중합체의 첨가는 금속 접촉 층을 열-밀봉성으로 만들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그 이유는 금속-접촉하는 쪽이 금속에 결합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끈적이도록 만드는 온도로 적층 온도 및 후속적인 오븐 처리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PET 폴리에스테르가 약 250℃의 융점 피크를 갖는 반면, 용융 개시는 약 205℃(400F)에서 발생하며, 이는 적층 온도 조건과 일관되며 적층 닙 롤의 압력에서 초기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결합은 약 460℉에서의 적층된 구조물의 오븐 처리에 의해 추가로 강화된다. The optional skin layer C may be a low-melting (relative to crystalline PET) or amorphous polyester copolymer or a blend of a low-melting (or amorphous) polyester copolymer with a PET base resin. One example of a cold-melt polyester is butylene terephthalate repeat units, such as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resins and their other dicarboxylic acids or diols, such as isophthalic acid, naphthalene diols, etc. It is a resin containing copolymers with carboxylic acid, azelaic acid, sebacic acid, adipic acid, ethylene glycol, 1,3-propanediol, 1,2-propanediol, neopentyl glycol, and 1,4-cyclohexyldimethanol. . A non-exclusive list of suitable examples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may be: Crastin® FG6129, Crastin® FG6130 from Dupont, Celanese from Ticona. 1600, Celanex (trademark) 1700, Toraycon (trademark) 1100M, Toraycon (trademark) 1200M from Toray Industries. Other examples of cold melt polyesters include resins containing trimethylene terephthalate repeat units, such as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resin and dicarboxylic acids or diols other than these, such as isophthalic acid, Resins containing copolymers with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azelaic acid, sebacic acid, adipic acid, ethylene glycol, 1,4-butanediol, 1,2-propanediol, neopentyl glycol, 1,4-cyclohexyldimethanol, etc. am. A non-exclusive list of suitable examples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resins may be as follows: Sorona (registered trademark) (DuPont), Corterra (registered trademark) (Shell), Ecoriex (registered trademark) (SK Chemicals) ). The purpose of adding a cold melt or amorphous polyester copolymer to the layer is to facilitate easier adhesion to the metal during thermal lamination. However, the addition of these copolymers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metal contact layer heat-sealable, since the lamination temperature and subsequent oven temperature are such that the metal-contacting side becomes sticky enough to bond to the metal. This is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can be adjusted. While PET polyester has a melting peak around 250°C, melt onset occurs at around 205°C (400F),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lamination temperature requirements and facilitates initial bonding at the pressure of the lamination nip roll, which Additional strengthening is achieved by oven treatment of the laminated structures at approximately 460°F.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polyester resin composition

층 A의 수지는 에틸렌 글리콜에서 가용성인 완충제를 포함하고 이온 해리를 보이는 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P1"이다. 이러한 완충제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프탈산, 시트르산, 카본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인산, 아인산, 차아인산의 염; 폴리아크릴산 화합물 등의 알칼리 금속 염 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칼리 금속은 칼륨 또는 나트륨이고, 따라서 구체적인 알칼리 금속 염은 예를 들어 나트륨 디하이드로젠 하이드록시시트레이트, 칼륨 시트레이트, 칼륨 하이드로젠 하이드록시시트레이트, 나트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타르트레이트, 칼륨 타르트레이트, 나트륨 락테이트, 나트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칼륨 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칼륨 포스페이트, 나트륨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나트륨 하이포포스파이트, 나트륨 하이포클로라이트,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The resin of layer A is a polyester resin, “P1”, containing a buffering agent that is soluble in ethylene glycol and contains a material that exhibits ionic dissociation. Such buffering agents are preferably alkali metal salts, for example salts of phthalic acid, citric acid, carboxylic acid, lactic acid, tartaric acid, phosphoric acid, phosphorous acid, hypophosphorous acid; Alkali metal salts such as polyacrylic acid compounds, etc. More specifically, the alkali metal is potassium or sodium, and therefore specific alkali metal salts are for example sodium dihydrogen hydroxycitrate, potassium citrate, potassium hydrogen hydroxycitrate, sodium carbonate, sodium tartrate, potassium Tartrate, sodium lactate, sodium carbonate, sodium hydrogen phosphate, potassium hydrogen phosphate, potassium phosphate, sodium dihydrogen phosphate, sodium hypophosphite, sodium hypochlorite, sodium polyacrylate, etc.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P1은, 제1 인 화합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1톤 당 1.3mol 내지 3.0mol의 양의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제 2 인 화합물로서 상기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의 (몰 기준으로) 0.4 내지 1.5배 양의 인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경우에 그의 산 성분이 95% 이상의 몰량으로 디카복실산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테레프탈산 성분이 기계적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의 관점에서, 글리콜 성분이 몰 기준으로 95% 이상의 양으로 2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P1 is an alkali metal phosphate as the first phosphorus compound in an amount of 1.3 to 3.0 mol per tonne of polyester resin, and 0.4 to 1.5 mole of said alkali metal phosphate as the second phosphorus compound. It is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cultured amount of phosphoric acid. In the case of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its acid component contains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 a molar amount of 95% or more. In particular, the terephthalic acid component is preferred from the viewpoint of mechanical properties. Additionally, from the viewpoint of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it is preferred that the glycol component contains straight-chain alkylene glycol having 2 to 4 carbon atoms in an amount of 95% or more on a molar basis.

특히,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에틸렌 글리콜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성형성 및 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 글리콜 부가 폴리에스테르 원료 물질 이외에, 예를 들어, 이산,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복실산, 또는 디올, 예를 들어 1,4-사이클로헥실디메탄올, 디에틸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1,4-부틸렌 글리콜이,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중합 믹스에 공중합된 성분으로서 총 이산 또는 디올의 5몰% 이하의 수준으로 존재할 수 있다. 공중합된 성분의 함량이 5몰%를 초과하면, 이것은 융점의 감소로 인한 내열성의 감소를 유발할 것이고 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도의 감소로 인하여 가수분해 저항성의 감소를 유발할 것이다. 가수분해 저항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1톤 당 1.3mol 내지 3.0mol의 양의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톤 당 1.5mol 내지 2.0mol이다.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1톤 당 1.3mol 미만인 경우에, 장기간 가수분해 저항성은 불충분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1톤 당 3.0mol 초과의 양으로 함유되는 경우, 이것은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의 상 분리(침전)를 유발하기 쉽다. In particular, ethylene glycol having two carbon atoms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moldability and crystallization of the polyester resin. In addition to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addition polyester raw materials, for example diacids such as isophthalic acid,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or diols such as 1,4-cyclohexyldimethanol, diethylene glycol, 1,3- Propylene glycol, 1,4-butylene glycol, may be present as a copolymerized component in the polymerization mix of the polyester composition at a level of up to 5 mole percent of the total diacid or diol. If the content of the copolymerized component exceeds 5 mol%, this will cause a decrease in heat resistance due to a decrease in melting point and a decrease in hydrolysis resistance due to a decrease in the crystallinity of the polyester. From the viewpoint of hydrolysis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ntains alkali metal phosphate in an amount of 1.3 mol to 3.0 mol per ton of polyester resin. Preferably it is 1.5 mol to 2.0 mol per ton of polyester resin. If the content of alkali metal phosphate is less than 1.3 mol per ton of polyester resin, long-term hydrolysis resistance may be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if the alkali metal phosphate is contained in an amount exceeding 3.0 mol per ton of polyester resin, this is likely to cause phase separation (precipitation) of the alkali metal phosphate.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의 예는 나트륨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디나트륨 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트리나트륨 포스페이트, 칼륨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디칼륨 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트리칼륨 포스페이트, 리튬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디리튬 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트리리튬 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Examples of alkali metal phosphates include sodium dihydrogen phosphate, disodium hydrogen phosphate, trisodium phosphate,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dipotassium hydrogen phosphate, tripotassium phosphate, lithium dihydrogen phosphate, dilithium hydrogen phosphate, Contains trilithium phosphate.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의 바람직한 예는 알칼리 금속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및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이다. 알칼리 금속이 Na 또는 K인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는 장기간 가수분해 저항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의 특히 바람직한 예는 나트륨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및 칼륨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이다. 장기간 가수분해 저항성의 관점에서, 인산은 몰 비에서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의 0.4 내지 1.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4배이다. 0.4배보다 작은 경우에, 장기간 가수분해 저항성은 더 나빠질 수 있다. 이것이 1.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중합 촉매는 과량의 인산에 의해 탈활성화되며; 이것은 중합의 지연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말단 기 COOH의 양의 증가를 유발할 것이고, 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가수분해 저항성의 저하에 기여할 것이다. Preferred examples of alkali metal phosphates are alkali metal dihydrogen phosphate and alkali metal phosphate. Alkali metal phosphates where the alkali metal is Na or K are preferred from the viewpoint of long-term hydrolysis resistance. Particularly preferred examples of alkali metal phosphates are sodium dihyd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From the viewpoint of long-term hydrolysis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hat phosphoric acid is 0.4 to 1.5 times that of alkali metal phosphate in molar ratio. Preferably it is 0.8 to 1.4 times. If it is less than 0.4 times, the long-term hydrolysis resistance may be worse. If this exceeds 1.5 times, the polymerization catalyst is deactivated by excess phosphoric acid; This will not only cause a delay in polymerization but also cause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end group COOH, which will contribute to a decrease in the hydrolysis resistance of the polyester resin.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인산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는 계산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1톤 당 1.3mol 내지 9.0mol의 양의 알칼리 금속 원소,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1톤 당 1.8mol 내지 7.5mol의 양의 인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의 유형의 측면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톤 당 1.3mol 내지 6.0mol의 양의 알칼리 금속 원소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1톤 당 1.8mol 내지 7.5mol의 양의 인을 함유한다. According to calculations based on the contents of alkali metal phosphate and phosphoric acid,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ntains an alkali metal element in an amount of 1.3 mol to 9.0 mol per ton of polyester resin, and 1.8 mol to 7.5 mol per ton of polyester resin. Contains an amount of phosphorus. In terms of the type of alkali metal phosphate preferred,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an alkali metal element in an amount of 1.3 mol to 6.0 mol per ton of polyester resin and an amount of 1.8 mol to 7.5 mol per ton of polyester resin. Contains phosphorus.

말단 기 COOH의 양의 감소 및 이물질 형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본 조성물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함유된 인 화합물의 총 함량은 인 원소의 양의 측면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0PPM 내지 15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함량이 60PPM 내지 150PP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amount of end group COOH and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foreign substances, the total content of the phosphorus compound contained in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composition is 30PPM to 30PPM based on the weight of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n terms of the amount of elemental phosphoru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50PPM.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is content is 60PPM to 150PPM.

폴리에스테르 수지 P1의 조성물은, 금속 원소가 Na, Li 및 K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재(member)인 금속-함유 화합물("금속 화합물"), 금속 원소가 Mg, Ca, Mn, 및 Co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재인 금속 화합물, 및 금속 원소가 Sb, Ti 및 Ge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재인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되, 이러한 금속 원소의 총량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전체에 기초하여 30PPM 이상 500PPM 이하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금속 원소의 총량을 조절함으로써, 말단 기 COOH의 양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서 감소되어서 그의 내열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함량이 40PPM 내지 300PP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원소 Na, Li 및 Ka는 알칼리 금속 원소이다. 2가 금속 원소인 원소 Mg, Ca, Mn, 및 Co는 에스테르교환(transesterification) 촉매이고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정전기 특성, 예를 들어 저항을 부여한다. Sb, Ti 및 Ge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합을 촉매작용하는 능력을 갖고 중합 촉매로서 작용하는 금속 부재이다. The composition of polyester resin P1 is a metal-containing compound (“metal compound”) wherein the metal element is one or more memb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 Li, and K, and the metal element is Mg, Ca, Mn, and Co. A metal compound in which the metal element is one or more memb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b, Ti, and Ge, wherein the total amount of these metal elements is based on the entir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djust it to 30PPM or more and 500PPM or less. By adjusting the total amount of metal elements within this range, the amount of end group COOH can be reduced in the polyester resin to improve its heat resistanc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is content is 40PPM to 300PPM. The elements Na, Li and Ka are alkali metal elements. The divalent metal elements Mg, Ca, Mn, and Co are transesterification catalysts and impart electrostatic properties, such as resistance, to the polyester resin. Sb, Ti and Ge are metal members that have the ability to catalyze the polymerization of polyester resin and act as a polymerization catalyst.

BOPET 필름 가공BOPET Film Processing

바람직하게는, 다층 PET 필름은 이것을 금속 기재에 적층하기 이전에 2축 배향된다. 전형적으로, 원료 물질인 PET 수지는 고체 형태로 용융 가공 장치, 바람직하게는 연속 스크류 압출기에 공급된다. PET 수지가 그의 융점보다 높지만 중합체 열화 온도보다는 낮게 유지되도록 용융 가공기(melt processor)의 가열이 제어된다. 녹은(molten) PET 수지는 적절하게 성형된 다이(die)로부터 압출되어 중합체 용융물의 얇고 평평한 리본을 형성한다. 중합체 리본은 공기 중 및/또는 냉각된 롤 위에서 급랭되어서 고체의 자가-지지형(self-supporting) 필름을 형성한다. 필름은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 세트에 의해 잡혀서(take up) 필름을 기계 방향("MD")으로 지칭되는 연속적인 전진 방향으로 연신한다. 연신은 MD에서 결정 배향(crystal orientation)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름의 가열이 수반될 수 있다. 1방향 배향된 필름은 그의 맞은편 가장자리에서 클램핑되고 텐터 오븐(tenter oven)에서 상기 MD에 측방향으로 수직인 횡기계 방향("TD")으로 연신된다. 텐터 오븐은 TD에서 결정 배향을 달성하도록 작동되는 온도로 가열되어, 2축 배향된 PET 필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2축 배향된 PET 필름은 MD로 약 100%-400% 연신되고 TD로 100%-600% 연신된다. 2축 배향된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약 300℉ 내지 약 49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0℉ 내지 약 460℉의 온도에서 열-경화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multilayer PET film is biaxially oriented prior to lamination thereof to a metal substrate. Typically, the raw material PET resin is fed in solid form to a melt processing device, preferably a continuous screw extruder. Heating in the melt processor is controlled so that the PET resin remains above its melting point but below the polymer degradation temperature. Molten PET resin is extruded from an appropriately shaped die to form a thin, flat ribbon of polymer melt. The polymer ribbon is quenched in air and/or on a chilled roll to form a solid, self-supporting film. The film is taken up by a set of rollers rotating at different rotational speeds, stretching the film in a continuous forward direction, referred to as the machine direction (“MD”). Stretching may be accompanied by heating the film to achieve crystal orientation in MD. A unidirectional film is clamped at its opposite edges and stretched in a tenter oven in the transverse machine direction (“TD”) laterally perpendicular to the MD. The tenter oven is heated to a temperature operating to achieve crystal orientation in TD, forming a biaxially oriented PET film. Preferably, the biaxially oriented PET film is stretched about 100%-400% in MD and 100%-600% in TD. The biaxially oriented film can be heat-cured at a temperature preferably between about 300°F and about 490°F, more preferably between about 350°F and about 460°F.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전체 범주 내에서 구체적인 실시양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보다 잘 이해될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는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within the overall scope of the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수지 재료resin material

실시예에 언급된 필름을 위한 수지 재료는 하기와 같다:The resin materials for the films mentioned in the examples are as follows:

PET 수지 P1(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인산을 포함하는 PET 수지): 토레이 필름 유럽(Toray Films Europe)에 의해 공급되는 Toray F1CCS64(IV = 0.65; Tm=255℃).PET resin P1 (PET resin containing alkali metal phosphate and phosphoric acid): Toray F1CCS64 (IV = 0.65; Tm = 255° C.) supplied by Toray Films Europe.

PET 수지 P2(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통상의 필름-등급 PET 수지): 토레이 플라스틱스 아메리카(Toray Plastics America)에 의해 제조되는 Toray F21MP(IV = 0.65; Tm=255℃).PET resin P2 (conventional film-grade PET resin, free of alkali metal phosphates): Toray F21MP (IV = 0.65; Tm = 255° C.) manufactured by Toray Plastics America.

PET 수지 P3: IV가 0.75인, 인비스타(Invista)로부터의 보틀-등급(Bottle-grade) PET 수지 8712A.PET Resin P3: Bottle-grade PET resin 8712A from Invista, with an IV of 0.75.

PET 수지 P4:PET Resin P4:

토레이 플라스틱스 아메리카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서, 평균 크기 2μm의 실리카 입자(Fuji Silysia 310P) 2%를 함유하는 PET 수지 안티-블록 마스터배치 유형 F18M(IV = 0.62; Tm = 255℃).PET resin anti-block masterbatch type F18M (IV = 0.62; Tm = 255° C.) containing 2% silica particles (Fuji Silysia 310P) with an average size of 2 μm, manufactured by Toray Plastics America.

무정형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CoP1: (CHDM(1,4-사이클로헥실디메탄올)/에틸렌글리콜)의 33:67 몰 부 조합과 반응되는 테레프탈산 기준으로) 이스트만 케미칼(Eastman Chemical)에 의해 공급된 Eastar(등록상표) 6763 PETG; IV = 0.76.Amorphous copolyester resin CoP1: Eastar (registered) supplied by Eastman Chemical (based on terephthalic acid reacted with a 33:67 mole parts combination of 1,4-cyclohexyldimethanol (CHDM)/ethylene glycol) trademark) 6763 PETG; IV = 0.76.

저속-결정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CoP2: 에틸렌 글리콜과 반응된 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의 19:81 몰(이 경우에는 중량) 부 조합에 기초한, 토레이 플라스틱스 아메리카스에 의해 제조된, IPET F55M 수지(IV=0.69; Tm=205℃).Slow-crystallization copolyester resin CoP2: IPET F55M resin (IV=0.69 ;Tm=205℃).

실리콘 수지 마스터배치: 50%의 초-고 분자량의 중합된 실록산("실리콘 수지") 및 50%의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캐리어 수지를 함유하는 Dow Corning MB50-010.Silicone Resin Masterbatch: Dow Corning MB50-010 containing 50%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merized siloxane (“silicone resin”) and 50% polyester elastomer carrier resin.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P5: 융점 223℃를 갖는, 이.아이.듀퐁 드 네무아르(E.I. DuPont De Nemours)로부터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Crastin(등록상표) FG6130.Low-melting point polyester resin P5: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resin Crastin® FG6130 from E.I. DuPont De Nemours, with a melting point of 223°C.

카나우바 왁스 성분은, 토레이 인더스트리즈로부터의 상품명 WO30으로 시판 중인, 2중량% 왁스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왁스 MB")의 형태로 첨가되었다. The carnauba wax component was added in the form of a masterbatch containing 2% wax by weight (“Wax MB”), commercially available under the trade name WO30 from Toray Industries.

일반적인 필름 제조 절차General film manufacturing procedure

다층 공압출된 BOPET 필름은 1.5m 폭의 파일롯-라인의 순차적인 배향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공압출된 필름은 정전기 피너(pinner)를 사용하여 냉각 드럼 위에서 주조되고, 가열되고 상이하게 이동하는 일련의 롤을 통과하여 기계 방향으로 배향되고, 그 다음 텐터 오븐에서 횡방향 연신된다. Multilayer coextruded BOPET films were prepared using a 1.5 m wide pilot-line sequential orientation process. The coextruded film is cast on a cooling drum using an electrostatic pinner, heated and oriented in the machine direction through a series of differently moving rolls, and then transversely stretched in a tenter oven.

다층 공압출된 적층체 시트는, 코어 블렌드를 용융하고 다이로 수송하기 위한 주 압출기에 의해 및 스킨 블렌드를 용융하고 다이로 수송하기 위한 하나 또는 2개의 서브-압출기에 의해 공압출된다. 주 압출기를 통한 압출은 270℃ 내지 285℃의 가공 온도에서 수행된다. 서브-압출기를 통한 압출은 약 270℃ 내지 280℃의 가공 온도에서 수행된다. 주요 중합체 용융 스트림 및 서브 중합체 용융 스트림 둘 다는 다이를 통해 유동하여 적층된 공압출된 구조물을 형성하고, 표면의 온도가 약 21℃로 제어된 냉각 드럼에서 주조되어 약 9mpm의 주조 속도로 비-배향된 적층체 시트를 고화시킨다. 비-배향된 적층체 시트를 약 75℃ 내지 85℃에서 길이 방향으로 원래 길이의 약 3배의 연신율로 연신시키고 얻어진 연신된 시트를 약 70℃에서 어닐링하여 1축 배향된 적층체 시트를 수득하였다. The multilayer coextruded laminate sheet is coextruded by a main extruder to melt and transport the core blend to the die and by one or two sub-extruders to melt and transport the skin blend to the die. Extrusion via the main extruder is carried out at a processing temperature of 270°C to 285°C. Extrusion through the sub-extruder is carried out at a processing temperature of about 270°C to 280°C. Both the main polymer melt stream and the subpolymer melt stream flow through a die to form a layered coextruded structure, which is then cast in a cooling drum with a surface temperature controlled to about 21° C., non-oriented at a casting speed of about 9 mpm. The laminate sheet is solidified. The non-oriented laminate sheet wa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bout 75°C to 85°C to an elongation rate of about 3 times the original length, and the resulting stretched sheet was annealed at about 70°C to obtain a uniaxially oriented laminate sheet. .

1축 배향된 적층체 시트를 약 27mpm의 선속도로 텐터에 도입하고 사전에 80℃로 가열하고, 약 90℃에서 원래 폭의 약 4배의 연신율로 횡방향으로 연신하고 그 다음 약 210℃에서 열-경화 또는 어닐링하여 배향으로 인한 내부 응력을 줄이고 수축을 최소화하고 상대적으로 열적으로 안정한 2축 배향된 시트를 제공하였다. The uniaxially oriented laminate sheet is introduced into the tenter at a linear speed of about 27 mpm, previously heated to 80°C, stretched transversely at about 90°C to a stretch of about 4 times the original width, and then at about 210°C. Heat-curing or annealing reduced internal stresses due to orientation, minimized shrinkage, and provided biaxially oriented sheets that were relatively thermally stable.

금속 시트로의 필름 열적 적층 절차Thermal lamination procedure of film to metal sheet

두께가 0.0075"인 주석-프리 스틸(TFS)을 400℉로 예열하였다(다르게 언급되는 경우는 제외함). 스틸 및 필름은 한 세트의 니핑 롤(nipped roll)을 통과시켜, 스틸에 대한 필름의 초기 결합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필름 및 스틸 적층체 구조물을, 20초 동안 460F에서 제 2 가열 작업("포스트-베이크")을 통과시키고, 그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Tin-free steel (TFS), 0.0075" thick, was preheated to 400°F (except where otherwise noted). The steel and film were passed through a set of nipped rolls, allowing the film to adhere to the steel. An initial bond was formed and the film and steel laminate structure was then passed through a second heating operation (“post-bake”) at 460 F for 20 second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스틸에 적층된 필름 쪽은 실리콘-포함하는 쪽(식품과 접촉하는 쪽; 실시예에서 A쪽)과는 반대쪽이었다. 즉, 적층하는 쪽은 실시예에서 B쪽 또는 C쪽이었다. The side of the film laminated to the steel was opposite the silicone-containing side (the side in contact with food; side A in the example). That is, the side to be laminated was side B or side C in the example.

테스트 방법How to test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다양한 특성들을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Various propertie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필름 및 수지의 고유 점도(IV)는 ASTM D 4603에 따라 테스트하였다. 이러한 테스트 방법은, 유리 모세관 점도계에 의해,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 용액의 60/40비에서 0.50% 농도로 가용성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IV 측정을 위한 것이다. Intrinsic viscosity (IV) of films and resins was tested according to ASTM D 4603. This test method involves the IV determination of solub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t a concentration of 0.50% in a 60/40 ratio of phenol/1,1,2,2-tetrachloroethane solution by a glass capillary viscometer. It is for.

코폴에스테르 수지의 융점은 TA 인스트루먼트(TA Instruments)의 시차 주사 열량계 모델 2920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0.007g 수지 샘플을, 실질적으로 ASTM D3418-03에 따라 테스트한다. ASTM 표준의 주석 6과 일관되게, 예비 열적 사이클은 사용하지 않는다. 그 다음, 열 유동 및 온도 데이타를 기록하면서, 샘플을 10℃/분의 속도로 최대 300℃의 온도로 가열한다. 융점은 흡열성 피크에서의 온도로서 기록한다. The melting point of the copolester resin is measured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model 2920 from TA Instruments. A 0.007 g resin sample was tested substantially according to ASTM D3418-03. Consistent with Note 6 of the ASTM standard, prethermal cycles are not used. The sample is then heated at a rate of 10°C/min to a temperature of up to 300°C, while recording heat flow and temperature data. The melting point is reported as the temperature at the endothermic peak.

필름 결정도는, Cu X-선 공급원(40kV, 20mA) 및 Xe 가스 비례 유형의 검출기를 갖는 PANalytical X'Pert PRO 시스템 상에서 X-선 회절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입사 X-선 빔은 각도의 스펙트럼에 걸쳐서 샘플로 향하고 회절된 빔의 세기는 1초 당 펄스의 수의 카운트로서 각각의 각도에서 측정된다. "카운트/초"(cps)로서 특정된 결정도의 측정치는 회절된 빔의 피크 세기에서 펄스의 갯수의 카운트에 기초하여 보고된다. 샘플은 18°로부터 32°로 스캐닝되어서, [100] 결정상 면(피크 세기의 각)에 대해 PBT 및 PET 최대 회절각, 2θ=23.38°및 2θ=25.8°둘 다를 다뤘다. 적층 이전에 바람직한 cps 값은 1500 이상이고, 적층 이후에는 900 이상이다.Film crystallinity was measured by the X-ray diffraction method on a PANalytical X'Pert PRO system with a Cu X-ray source (40 kV, 20 mA) and a Xe gas proportional type detector. The incident X-ray beam is directed to the sample over a spectrum of angles and the intensity of the diffracted beam is measured at each angle as counts of pulses per second. A measure of crystallinity, specified as “counts per second” (cps), is reported based on the count of the number of pulses at the peak intensity of the diffracted beam. The sample was scanned from 18° to 32° to cover both the PBT and PET maximum diffraction angles, 2θ=23.38° and 2θ=25.8°, relative to the [100] crystal phase plane (angle of peak intensity). A desirable cps value before lamination is 1500 or higher, and after lamination, it is 900 or higher.

식품 방출 테스트:Food release testing:

스틸에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식품과 접촉하는 쪽에서의 식품 면적 도포율이 본원에서 "식품 방출 테스트"로서 지칭되는 식품 방출 테스트에 따라 측정된다. 식품 방출 테스트의 절차는 하기에 기술되어 있다. The food area coverage of the polyester film laminated to steel on the food-contacting side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food release test, referred to herein as the "food release test". The procedure for food release testing is described below.

3/2/1 비의 계란/간 쇠고기/밀가루의 식품 혼합물을 하기와 같이 준비하였다: A 3/2/1 ratio egg/ground beef/flour food mixture was prepared as follows:

A. 도 1에 나타낸 식품 방출 믹스 준비 단계A. Food release mix preparation steps shown in Figure 1

* 8-10개 단지(jar) 테스트: 1 lb의 간 쇠고기를 믹스 용기, 예를 들어 플라스틱 단지에 넣었다. * 8-10 jar test: 1 lb of ground beef was placed in a mix container, such as a plastic jar.

* 5개의 등급 A의 큰 계란인 내용물을 상기 믹스 용기에 넣고 주걱 또는 금속 막대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혼합하였다. * The contents, which were 5 large grade A eggs, were placed in the above mixing container and mixed manually using a spatula or metal bar.

* 혼합이 완전할 때까지, 혼합하면서, 8 oz의 다목적 백색 밀가루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 Slowly add 8 oz of all-purpose white flour, mixing until combined.

B.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리 테스트 단지 내로의 샘플 배치 B. Sample placement into glass test jar as shown in Figures 2 and 3

* 전단기(shear)를 사용하여 단지의 바닥부에 정합하기에 충분히 작게, 전술한 바와 같은 필름/금속 적층체로부터 디스크를 절단하였다(도 2): 실시예에서, 47 mm 직경 디스크를 사용하여 1/2 파인트 폭의 입구를 갖는 Ball(등록상표) 단지 내부에 정합시켰다. * Disks were cut from the film/metal laminate as described above, small enough to fit into the bottom of the jar, using a shear (Figure 2): in the examples, 47 mm diameter disks were used. It was fitted inside a Ball(registered trademark) jar with a 1/2 pint wide opening.

* BOPET 필름은, 단지에 정합하고 하기 단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식품 믹스를 보유하기에(hold) 충분히 큰 크기의 시트로 절단하였다.* BOPET film was cut into sheets of a size large enough to fit into the jar and hold the food mix as described in the steps below.

* 필름 시트를 단지 캔(육류를 방출하는 쪽을 상향으로)의 위에 놓고 그 다음 그 위에 금속 디스크를 놓되, 식품과 접촉하는 쪽이 위를 향하도록 하였다. * The film sheet was simply placed on top of the can (meat releasing side upward) and then the metal disk was placed on top of it, with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food facing up.

* 식품 방출 믹스의 스프-스푼 크기의 2개의 덩어리를 상기 샘플 디스크의 위에 놓았다. * Two soup-spoon sized dollops of food release mix were placed on top of the sample disk.

* 필름으로 식품 방출 믹스 주위를 둘러싸고 디스크는 식품 방출 믹스 밑에 놓여 있었다. * A film was wrapped around the food release mix and the disc was placed underneath the food release mix.

* 둘러싼 식품 믹스(바닥부에 샘플 디스크를 포함함)를 상기 단지에 넣고 단지 뚜껑을 덮었다. * The surrounding food mix (including the sample disk at the bottom) was placed in the jar and the jar was capped.

C. 레토르트화 및 테스트(도 4 및 5) C. Retortation and Testing (Figures 4 and 5)

"레토르트"(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압력솥)를, 천공된 증기판(perforated steam plate)의 밑으로 0.5"까지 물로 채웠다. A "retort" (pressure cooker as shown in Figure 4) was filled with water to 0.5" below the perforated steam plate.

* 테스트 단지를 상기 증기판 위에 놓고 레토르트(압력솥) 뚜껑을 단단히 닫았다. * The test jar was placed on the steam plate and the retort (pressure cooker) lid was tightly closed.

* 레토르트를, 중간-고온으로 설정된 핫 플레이트 위에 놓고 압력 밸브가 진동하기 시작한 후 90분 동안 레토르트화하였다(내부 압력 14.7psig, 온도 약 260℉).* The retort was placed on a hot plate set to medium-high temperature and retorted for 90 minutes after the pressure valve began to oscillate (internal pressure 14.7 psig, temperature approximately 260°F).

* 압력솥을 열로부터 제거하고 이것을 열기에 안전함을 나타내는, 밸브가 내려갈 때까지 냉각되도록 두었다. * Remove the pressure cooker from the heat and allow it to cool until the valve lowers, indicating that it is safe to open.

* 압력솥을 열고, 집게로 단지를 빼서, 밤새 정치시켰다. * Open the pressure cooker, remove the jar with tongs, and let it sit overnight.

* 식품 믹스로부터 필름을 풀었다(식품 믹스는 여전히 금속 디스크에 붙어있었다).* Release the film from the food mix (the food mix was still attached to the metal disc).

* 수직방향 움직임(orthogonal motion)으로 식품 믹스로부터 디스크를 박리하고 방출 성능에 대해 평가하였다. 식품 방출의 양호한 예 및 불량한 예에 대해서는 도 6을 참고한다. * The disc was peeled from the food mix in an orthogonal motion and evaluated for release performance. See Figure 6 for good and bad examples of food release.

"레토르트 공정"은, 금속 기재의 내부, 외부 또는 양쪽에 중합체 필름이 적층된 금속 기재의 복합체로 구성된 벽을 갖는 금속 용기의 내부 또는 외부가 생(live) 증기 또는 과열된 물로 일정 시간 처리되는 절차를 의미한다. “Retort process” is a procedure in which the inside or outside of a metal container having walls consisting of a composite of a metal substrate with a polymer film laminated on the inside, outside or both of the metal substrate is tre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 live steam or superheated water. means.

"생 증기"란, 증기가 직접 용기의 표면과 접촉함을 의미한다. 증기는 일반적으로 과열, 즉 물의 비점보다 높은 상태이다. 명목상 레토르트 공정은 90분 동안 260℉의 온도에서 증기에 노출되는 것을 지칭한다. 레토르트 공정의 노출의 지속성 및 온도는, 적절하게 동등한 멸균 및 식품 파스퇴르화 효과를 제공하도록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는 단기간 동안 높거나 장기간 동안 낮을 수도 있다. “Live vapor” means that the vapo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Steam is generally superheated, i.e. above the boiling point of water. Nominally, the retort process refers to exposure to steam at a temperature of 260°F for 90 minutes. The duration of exposure and temperature of the retort process can be varied as appropriate to provide equivalent sterilization and food pasteurization effects. For example, temperatures may be high for short periods of time or low for long periods of time.

방출 성능은 방출 이후에 테스트 적층된 디스크의 사진을 찍고 Microsoft Paint(상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직사각형 그리드 이미지를 중첩함으로써 등급화하였다. 그 다음, 붙어있는 잔류 식품에 의해 점유하는 그리드 사각형의 갯수를 세고 그리드 사각형의 총 수의 백분률로서 표현하였다. 백분율이 낮을 수록, 식품 방출 성능이 우수하다(도 7). 백분율을 기준으로 할 때, 허용 등급은 하기와 같다(미국특허 제6,905,774호에 기초함): Release performance was rated by taking photographs of the test stacked disks after release and superimposing a rectangular grid image using Microsoft Paint(TM) software. The number of grid squares occupied by attached residual food was then counted and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grid squares. The lower the percentage, the better the food release performance (Figure 7). On a percentage basis, the acceptance ratings are as follows (based on U.S. Patent No. 6,905,774):

등급 A("우수함"): 0-5%Grade A (“Excellent”): 0-5%

등급 B("양호함"): 5-10%Grade B (“Good”): 5-10%

등급 C("허용가능함"): 10-20%Grade C (“Acceptable”): 10-20%

등급 D("불량함"): 20-50%Grade D (“Poor”): 20-50%

등급 E("매우 불량함"): 50-100%Grade E (“Very Poor”): 50-100%

식품 이동 테스트food transfer test

미국 연방 규정집, 타이틀 21CFR177.1630, 조건 (f), (g), (h)에 의해 규정된 조건 하에서 자격을 갖춘 실험실(테스트 시점에서 하기와 같이 명명됨; 미국 위슨콘신주 매디슨 소재의 코반스 래버러토리즈(Covance Laboratories))에 의해 테스트하였다. 테스트는, 각각의 사용 조건에 대해 하기 사양 하에 식품-접촉면(이 경우에는 층 A)을 노출하고, 그 다음 노출 매체에 존재하는 클로로포름-가용성 추출물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A qualified laboratory (named as follows at the time of testing; Covance, Madison, Wis.) under the conditions prescribed by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CFR177.1630, Conditions (f), (g), and (h). Tested by Covance Laboratories. The test consists of exposing the food-contact surface (in this case layer A) under the following specifications for each use condition and then determining the level of chloroform-soluble extractables present in the exposure medium:

조건 (f): 250℉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서 알콜성 음료를 배제한 식품에 대해서는 허용됨-추출가능한 한계치: 150℉의 n-헵탄 및 250℉의 증류수에 2시간 노출 후, 0.5 mg/in2.Condition (f): Acceptable for food excluding alcoholic beverages at a temperature not exceeding 250°F - Extractable limit: 0.5 mg/in 2 after 2 hours exposure to n-heptane at 150°F and distilled water at 250°F.

조건 (g): 50% 알콜을 초과하지 않는 알콜성 음료에 대해서는 허용됨-추출가능한 한계치: 120℉에서 50% 에탄올에서의 24시간 노출 이후에 0.5 mg/in2.Condition (g): Acceptable for alcoholic beverages not exceeding 50% alcohol - Extractable limit: 0.5 mg/in 2 after 24 hours exposure in 50% ethanol at 120°F.

조건 (h): 2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베이킹 또는 오븐 조리 동안 식품을 보유하는 것이 허용됨-추출가능한 한계치: 150℉의 n-헵탄에서 2시간 노출 후, 0.02 mg/in2.Condition (h): Permitted to hold food during baking or oven cooking at temperatures exceeding 250°F - Extractable Limit: 0.02 mg/in 2 after 2 hours exposure to n-heptane at 150°F.

실시예 1 및 1aExamples 1 and 1a

각각 표 1, 2 및 3에 나타낸 층 A, B 및 C에 해당하는 수지 블렌드를 공급하는 3개의 압출기로부터 용융 압출함으로써 3층 BOPET 필름 구조물을 제조하였다. 층 A에서의 실리콘 마스터배치 함량은 0.5%이었고, 이는 0.25중량%의 실리콘 함량에 해당한다. 조성물 1과 조성물 1a 사이의 차이점은 층 A에서의 안티블록 마스터배치(P4)의 함량 및 층 C에서의 무정형 코폴리에스테르(CoP1)의 함량에 관한 것이다(그리고, 각각 층 A 및 층 C에서 주요 수지 밸런스 P1 및 P2의 함량의 결과적인 차이가 유발된다.). 주조 필름은 82℃의 온도에서 기계 방향을 따라 3배 연신하고 연신 대역에서 85-93℃ 및 어닐링 대역에서 204℃의 온도로 고정된 오븐을 통해 횡방향을 따라 4배 연신함으로써 2축 배향된 필름을 만들고, 32 m/분의 선속도로 회전하는 권취기(winder)에 의해 롤 형태로 수집되었다. Three-layer BOPET film structures were prepared by melt extrusion from three extruders feeding resin blends corresponding to layers A, B, and C shown in Tables 1, 2, and 3, respectively. The silicone masterbatch content in layer A was 0.5%, which corresponds to a silicone content of 0.25% by weight. The difference between composition 1 and composition 1a concerns the content of antiblock masterbatch (P4) in layer A and the content of amorphous copolyester (CoP1) in layer C (and the main The resulting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the resin balance P1 and P2 is caused). The cast film is biaxially oriented by stretching 3 times along the machine direction at a temperature of 82°C and 4 time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an oven held at a temperature of 85-93°C in the stretching zone and 204°C in the annealing zone. was made and collected in roll form by a winder rotating at a linear speed of 32 m/min.

필름은, 후속적으로 C 쪽이 금속 시트 표면에 접착하도록 하여 주석-프리 금속 시트 위에 적층하였다. 필름 A 쪽은 그 다음 전술한 절차에 따라 식품 방출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남은 식품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 면적의 백분율로서 표현되는 점수는 표 4에 열거된다. The film was subsequently laminated onto the tin-free metal sheet with the C side adhered to the metal sheet surface. Side A of the film was then tested for food release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above. The score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total area occupied by remaining food, are listed in Table 4.

실시예 2 및 2aExamples 2 and 2a

실시예 1 및 1a를 반복하는데, 단지 주요 차이점은 각각 표 1,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C 3층 구조물을 사용하되, 층 A 내의 실리콘 마스터배치 함량이 1.0%이었고, 이 함량은 실리콘 함량 0.5중량%에 해당한다는 점이었다. 식품 방출 테스트의 결과는 표 4에 열거된다.Examples 1 and 1a were repeated, with the only major difference being that the A/B/C three-layer structure was used as shown in Tables 1, 2, and 3, respectively, but the silicon masterbatch content in layer A was 1.0%, and the content was equivalent to a silicon content of 0.5% by weight. The results of the food release tests are listed in Table 4.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를 반복하는데, 단지 주요 차이점은 각각 표 1,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C 3층 구조물을 만들되, 층 A의 실리콘 마스터배치 함량이 2.0%이었고, 이 함량은 실리콘 함량 1.0중량%에 해당한다는 점이었다. 식품 방출 테스트의 결과는 표 4에 열거된다. Example 1 was repeated, with the only major difference being that an A/B/C three-layer structure was made as shown in Tables 1, 2, and 3, respectively, but the silicon masterbatch content of layer A was 2.0%, which was The content was equivalent to 1.0% by weight. The results of the food release tests are listed in Table 4.

실시예 4Example 4

2-층 BOPET 필름 구조물은, 각각 표 1 및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층 A 및 층 B에 해당하는 수지 블렌드를 공급하는 2개의 압출기로부터의 용융 압출에 의해 제조되었다. 층 B는 15% PBT를 함유한다. 압출 조건은 비교예 5에 열거된 것과 동일하였다. 층 A의 실리콘 마스터배치 함량은 0.5%이었고, 이 함량은 실리콘 함량 0.25중량%에 해당하였다. Two-layer BOPET film structures were prepared by melt extrusion from two extruders feeding resin blends corresponding to layer A and layer B, as shown in Tables 1 and 2, respectively. Layer B contains 15% PBT. The extrusion conditions were the same as those listed in Comparative Example 5. The silicone masterbatch content of layer A was 0.5%, which corresponds to a silicone content of 0.25% by weight.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4를 반복하는데, 단지 차이점은 층 B의 PBT의 중량비가 30%로 증가되었다는 점이었다. Example 4 was repeated, with the only difference being that the weight fraction of PBT in layer B was increased to 30%.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5를 반복하는데, 단지 차이점은 층 B의 PBT의 중량비가 45%로 증가되었다는 점이었다.Example 5 was repeated, with the only difference being that the weight fraction of PBT in layer B was increased to 45%.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a를 반복하는데, 단지 주요 차이점은 각각 표 1,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C 3층 구조물을 제조하되, 어떠한 실리콘 마스터배치도 층 A에 첨가되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식품 방출 테스트의 결과는 표 4에 열거된다. Example 1a was repeated, with the only major difference being that the A/B/C three-layer structure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s 1, 2, and 3, respectively, but no silicone masterbatch was added to layer A. The results of the food release tests are listed in Table 4.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이러한 비교예를 위하여, 토레이 플라스틱스 아메리카로부터 입수가능한, 2층(층 B가 내부 재생품(internal recycle)을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층 A 및 층 B는 동일하다) 시판 중인 2축 필름인 등급 "Lumirror(상표) 48G PA66"을 사용하였다. 상기 필름 생성물은 각각 베이스 수지로서 P2, 및 안티블록 마스터배치로서 P4에 기초한다. A/B 구조물은 표 1 및 2에 나타내고, 식품 방출 테스트의 결과는 표 4에 열거된다. For this comparative example, grade "Lumirror", a commercially available biaxial film with two layers (layer A and layer B are identical except that layer B contains internal recycling) available from Toray Plastics America. (Trademark) 48G PA66" was used. The film products are based on P2 as the base resin and P4 as the antiblock masterbatch, respectively. The A/B structure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and the results of the food release tests are listed in Table 4.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1a를 반복하는데, 단지 차이점은 각각 표 1, 2,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C 3층 구조물을 제조하되, 주요 폴리에스테르 수지(베이스 수지)가 P2(표준 필름-등급 PET)였고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인산을 포함하는 어떠한 PET 수지(예컨대, P1)도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실시예 1과 같이, 이 비교예는 0.5중량%의 실리콘 마스터배치로 구성되었다. 식품 방출 테스트의 결과는 표 4에 열거된다. Example 1a is repeated, except that the A/B/C three-layer structure is prepared as shown in Tables 1, 2, and 3, respectively, but the main polyester resin (base resin) is P2 (standard film-grade PET). and that no PET resin (eg, P1) containing alkali metal phosphate and phosphoric acid was used. Like Example 1, this comparative example consisted of 0.5% by weight silicone masterbatch. The results of the food release tests are listed in Table 4.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2a를 반복하는데, 단지 차이점은 각각 표 1, 2,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C 3층 구조물을 제조하되, 주요 폴리에스테르 수지(베이스 수지)는 P2(표준 필름-등급 PET)이었고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인산을 포함하는 어떠한 PET 수지(예컨대, P1)도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실시예 2와 같이, 이 비교예는 층 A에 1.0중량%의 실리콘 마스터배치로 구성되었다. 식품 방출 테스트의 결과는 표 4에 열거된다. Example 2a is repeated, except that the A/B/C three-layer structure is prepared as shown in Tables 1, 2, and 3, respectively, but the main polyester resin (base resin) is P2 (standard film-grade PET). and that no PET resin (eg, P1) containing alkali metal phosphate and phosphoric acid was used. Like Example 2, this comparative example consisted of 1.0% by weight silicone masterbatch in layer A. The results of the food release tests are listed in Table 4.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2층 BOPET 필름 구조물은 층 A 및 층 B에 해당하는 수지 블렌드들을 공급하는 2개의 압출기를 통한 용융 압출에 의해 제조되었고 그 다음 21℃로 유지된 냉각 드럼 위에서 주조하고, 82℃의 온도로 기계 방향을 따라 3배 연신하고, 연신 대역에서 85-93℃의 온도로 유지되고 어닐링 대역에서 204℃로 유지되는 오븐을 통해 횡방향을 따라 4배 연신함으로써 2축 배향된 필름으로 형성되었고, 32m/분의 선속도로 회전 권취기에 의해 롤 형태로 수집하였다. 최종 A/B 2축-배향 2층 구조물은 각각 표 1 및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과 유사하게, 이 비교예는 층 A에서의 2.0중량%의 실리콘 마스터배치로 구성되며, 이는 1중량%의 실리콘 함량에 해당된다. 식품 방출 테스트의 결과는 표 4에 열거된다. The two-layer BOPET film structure was manufactured by melt extrusion through two extruders feeding the resin blends corresponding to layer A and layer B and then casting on a cooling drum maintained at 21°C and machine direction at a temperature of 82°C. It was formed into a biaxially oriented film by stretching 3 time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stretching 4 time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an oven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85-93°C in the stretching zone and 204°C in the annealing zone, at 32 m/min. It was collected in roll form by a rotating winder at a linear speed of . The final A/B biaxially-oriented two-layer structure is shown in Tables 1 and 2, respectively. Similar to Example 3, this comparative example consists of 2.0% by weight silicone masterbatch in layer A, which corresponds to a silicon content of 1% by weight. The results of the food release tests are listed in Table 4.

비교예 6 Comparative Example 6

비교예 5를 반복하는데, 단지 차이점은 각각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 2층 구조물을 제조하되, 층 A의 실리콘 마스터배치 함량은 4.0중량%였고 이는 2.0중량%의 실리콘 함량에 해당한다는 점이었다. 식품 방출 테스트의 결과는 표 4에 열거된다. Comparative Example 5 was repeated, with the only difference being that A/B two-layer structures were prepared as shown in Tables 1 and 2, respectively, but the silicon masterbatch content of layer A was 4.0% by weight, which corresponds to a silicon content of 2.0% by weight. The point was to do it. The results of the food release tests are listed in Table 4.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비교예 3을 반복하되(A 층에서의 0.5중량% 실리콘 마스터배치는 0.25중량%의 실리콘에 해당한다), 단지 차이점은 각각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C 3층 구조물을 제조하되, 층 A의 주요 수지는 P3이라는 점이었다. 식품 방출 테스트의 결과는 표 4에 열거된다. Comparative Example 3 was repeated (0.5 wt% silicon masterbatch in layer A corresponds to 0.25 wt% silicon), with the only difference being that A/B/C three-layer structures were fabricated as shown in Tables 1 and 2, respectively. However, the main resin of layer A was P3. The results of the food release tests are listed in Table 4.

참고예Reference example

참고예는 식품 방출 특성을 갖는 내부 용기 라이너에 적합한 것으로 현재 고려되는 시판 중인 필름, 즉 토레이 인더스트리즈로부터의 Lumirror(상표) 등급 FN8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대표되었다. 상기 필름은 미국특허 제6,652,979호(0.1 - 2중량%) 또는 미국특허 제6,905,774호(0.1 - 5중량%)에 의해 기술된 범위의 수준으로 배합된 카나우바 왁스로 함침된다. The reference example was represented by a commercially available film currently considered suitable for inner container liners with food release properties, namely Lumirror® grade FN8 polyester film from Toray Industries. The film is impregnated with carnauba wax formulated at levels in the range described by U.S. Patent No. 6,652,979 (0.1 - 2% by weight) or U.S. Patent No. 6,905,774 (0.1 - 5% by weight).

[표 1][Table 1]

[표 2][Table 2]

[표 3][Table 3]

[표 4][Table 4]

이러한 결과는, 식품 방출 층에 폴리에스테르 P1(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인산-포함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필름이, 식품 방출 층에 표준(즉,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인산을 포함하지 않음) 폴리에스테르이지만 동일한 실리콘 수준을 함유하는 비교용 조성물에 비해 보다 우수하게 작동함을 보여준다.These results show that films comprising polyester P1 (alkali metal phosphate/phosphoric acid-containing polyester) in the food release layer are identical to those of a standard (i.e. alkali metal phosphate/phosphoric acid-free) polyester in the food release layer. It is shown to perform better than comparative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 levels.

보다 철저한 분석을 위해서, 도 8은 하기 방식으로 A 층에서의 실리콘 함량에 대한 이들 결과를 도시한다: 하나의 데이타 시리즈는 층 A에 주요 PET 수지로서 수지 P1를 포함하는 필름에 해당하는 데이타(비교예 1 및 실시예 1, 1a, 2, 2a, 및 3)를 모으고; 또 다른 데이타 시리즈는 층 A에 주요 수지로서 수지 P2를 포함하는 데이타(비교예 2, 4, 5, 6)를 모은다. 단일 데이타 포인트는 비교예 7(수지 P3 및 0.25% 실리콘을 포함함)의 필름에 대한 데이타를 플롯한다. 하기 사항은 명백하다:For a more thorough analysis, Figure 8 shows these results for the silicone content in layer A in the following manner: one data series corresponds to a film containing resin P1 as the main PET resin in layer A (compare Example 1 and Examples 1, 1a, 2, 2a, and 3) are collected; Another data series collects data containing resin P2 as the main resin in layer A (Comparative Examples 2, 4, 5, 6). A single data point plots data for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7 (containing Resin P3 and 0.25% silicone). The following points are clear:

(1) 시리즈 P1에 대한 경향 선은 시리즈 P2에 대한 경향 선보다 훨씬 낮게 놓이며, 이것은 표준 수지로부터, 촉매/첨가제 포장재에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인산을 도입함으로써 달성되는, 본 발명의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수지로 개선됨을 암시한다. (1) The trend line for series P1 lies much lower than that for series P2, which shows the improved hydrolytic st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d by introducing alkali metal phosphate/phosphoric acid into the catalyst/additive packaging, from standard resins. It is implied that it is improved with a resin having .

(2) 실시예 7, 즉 (높은 IV로 지칭되는 고체에 의해 달성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상이한 주요 수지, 즉 수지 P3에 해당하는 단일 데이타 점은, 일반적으로 시리즈 P2에 대한 경향 선 내부에 높이는데, 즉 이 수지는 표준 수지에 비해 어떠한 개선점도 나타내지 않는다.(2) Example 7, i.e. a single data point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main resin with hydrolytic stability (achieved by the solid referred to as high IV), i.e. resin P3, is generally inside the trend line for series P2. In other words, this resin does not show any improvement over the standard resin.

(3) 실록산계 초-고 분자량의 실리콘을 도입함으로써 두 시리즈 모두에서의 식품 방출 성능에서의 추가 개선이 주목된다; 그러나, 약 1중량%의 실리콘 혼입 후에는 안정기(plateau)에 도달한다.(3) Further improvement in food release performance in both series is noted by introducing siloxane-based ultra-high molecular weight silicones; However, a plateau is reached after incorporation of about 1% by weight of silicon.

(4) 시리즈 P1의 경우에, 실리콘 함량이 대략 0.1중량%를 초과하면, 이 안정기가 참고예인 시판 중인 BOPET 필름(필름 유형 FN8)에 의해 설정된 벤치마크 아래에 놓인다. (4) For series P1, if the silicone content exceeds approximately 0.1% by weight, this plateau lies below the benchmark set by the reference example, a commercially available BOPET film (film type FN8).

(5) 반면, 시리즈 P2는 FN8에 의해 설정된 벤치마크 라인을 유의하게 상회하는 안정기를 보이는데, 이는 어떠한 실리콘 첨가 수준에서도 벤치마크 값에 도달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5) On the other hand, series P2 shows a plateau significantly above the benchmark line set by FN8, indicating that the benchmark value cannot be reached at any silicon addition level.

안정기 외에, 현실적인 관점에서, 식품 접촉 층에서의 상한(upper) 실리콘 수준을 결정하는 또 다른 인자는, 하기 표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품으로의 실리콘 이동이, FDA 규정 21 CFR 177.1630의 특정 섹션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것보다 높은 수준에 도달해야 한다는 점이다:Besides ballast, from a practical standpoint, another factor that determines the upper silicone level in the food contact layer is silicone migration into the food, as shown in Table 5 below: The point is that you have to reach a higher level than what makes passing possible:

[표 5][Table 5]

상기 결과는, 식품 접촉 층에서의 2중량% 이상의 실리콘 수준은, 전형적으로 250℉를 초과하는 식품 멸균 공정에 적용되는 용기에 대한 용기 라이너로서 사용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조건 (h)를 필름이 통과하는 것을 방해함을 나타낸다. The results indicate that a silicone level greater than 2% by weight in the food contact layer will ensure that the film passes the most critical condition (h) for use as a container liner for containers subjected to food sterilization processes typically exceeding 250°F. It indicates that it prevents something from being done.

적층 동안 금속과 접촉하게 되는 층(이 경우에는 층 B)에 PBT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에서의 성공적인 적층 및 포스트-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저온은, PBT를 블렌드 성분(폴리에스테르 수지 P2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으로서 사용하는 효과를 설명한다. The lower temperatures required for successful lamination and post-processing in the case of embodiments comprising PBT in the layer (in this case Layer B) that will be in contact with the metal during lamination are the lower temperatures required for the PBT as a blend component (20°C lower than the polyester resin P2). The effects of using it as a (representing a category of polyester resin with a low melting point) are described above.

이전의 실시예에서, 적층된 디스크 샘플은 금속-코팅된 웹 위에서 무작위 위치로부터 취하였다. 뒤따르는 실시예에서, 결정도 및 식품 방출에 대한 위치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실시예는 결정도의 영향의 이동을 개선하는 데에 왁스를 도입하는 것의 장점을 설명하는 것을 보조한다. In the previous examples, samples of laminated disks were taken from random locations on the metal-coated web. In the examples that follow, the influence of crystallinity and location on food release is evaluated: these examples help to demonstrate the advantage of introducing wax in improving the shift in influence of crystallinity.

비교예 8: (이것은 뒤따르는 왁스 추가 실시예 7에 대한 비교예{왁스 없음}이다). 표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층 조성물을 갖는, 2층 2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주 압출기와 서브 압출기, 주조 드럼, 기계-방향 연신 및 횡방향 연신(텐터 오븐)으로 구성된 필름 제조 라인 위에서 제조하였다. 연신율은 MD 방향으로 4.8이었고 TD 방향으로 3.7이었다. 최대 연신 온도는 MD에서 121℃이었고 TD에서 104℃였다. TD 배향에 따라서, 233℃에서 5% 완화 섹션이 있었다. 최종 선속도는 288m/분이었다. 최종 필름 생성물은 후속적으로 하기 조건 하에서 B-층 쪽 위의 주석-프리 금속 시트의 시트 위에 적층되었다: 적층 온도 370-380℉(188-193℃); 포스트 베이크 430-440℉(221-227℃). 식품 방출은 적층 기기 내의 하기 위치에 따라, 적층체 폭을 가로질러 6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전술한 절차에 따라 테스트하였다: 드라이브 쪽(drive side; DS), 드라이브 쪽과 중앙 사이의 중간 위치(distance)("DSC"), 실제 중앙(true center)의 양쪽의 중앙인 2 개의 점, 즉 중앙 좌측("C-L") 및 중앙-우측("C-R"), 텐딩(tending) 쪽과 중앙 사이의 중간 위치(distance)("TSC"), 및 텐팅 쪽("TS"). 남아있는 식품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 면적 중의 %로서 표현되는 점수는 표 4에 열거된다. Comparative Example 8: (This is a comparative example {no wax} to Example 7 with added wax that follows). Two-layer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s, with layer compositions as shown in Tables 1 and 2, were prepared by film production consisting of a main extruder and a sub-extruder, a casting drum, machine-direction stretching and transverse stretching (tenter oven). Manufactured on line. The elongation was 4.8 in the MD direction and 3.7 in the TD direction. The maximum stretching temperature was 121°C in MD and 104°C in TD. Depending on the TD orientation, there was a 5% relaxation section at 233°C. The final linear speed was 288 m/min. The final film product was subsequently laminated onto a sheet of tin-free metal sheet on the B-layer side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lamination temperature 370-380°F (188-193°C); Post bake 430-440°F (221-227°C). Food release was tes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above at six different locations across the width of the laminate, depending on the following locations within the laminate device: drive side (DS), midway between the drive side and the center. ("DSC"), two points centered on either side of the true center, i.e. center-left ("C-L") and center-right ("C-R"), midway between the tending side and the center. (distance) (“TSC”), and tenting side (“TS”). The scores, expressed as percent of total area occupied by remaining food, are listed in Table 4.

추가 적층은, 스틸-적층 공정 이후에 필름에 남아 있는 결정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이한 적층 및 포스트-베이크 온도에서 수행되었다. 결과는 도 9에 플롯한다. Additional laminations were performed at different lamination and post-bake temperatures to evaluate the effect on the crystallinity remaining in the film after the still-lamination process. The results are plotted in Figure 9.

실시예 7: 비교예 8을 반복하는데, 예외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5중량% 왁스 마스터배치(0.9중량% 왁스를 유발함)를 층 A에 첨가하였다는 점이다. 층 B의 PBT 수준(수지 "P5")은 본 발명의 범주와 관련되지 않는다는 이유 때문에 35중량%까지 증가하였고 방출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틀림없었다. 실시예 7에 비해 공정 변화는 낮은 MD 비(4.5), 및 MD와 TD 최대 온도(각각 116℃ 및 123℃)에서의 작은 조정이고; 또한 TD 완화 온도는 216℃였다. 그 다음, 최종 필름 생성물은 하기 조건에서 B-층 쪽 위의 주석-프리 금속 시트의 시트 위에 적층되었다: 적층 온도 370-380(188-193℃), 포스트-베이크 430-440℉(221-227℃). 식품 방출은 적층 기기 내의 하기 위치에 따라, 적층체 폭을 가로질러 5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전술한 절차에 따라 테스트하였다: 드라이브 쪽(DS), 드라이브 쪽과 중앙 사이의 중간 위치("DSC"), 중앙(center), 텐딩 쪽과 중앙 사이의 중간 위치("TSC"), 및 텐팅 쪽("TS"). 남아있는 식품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 면적 중의 %로서 표현되는 점수는 표 6에 열거된다. Example 7: Comparative Example 8 was repeated except that 4.5% wax masterbatch (resulting in 0.9% wax by weight) was added to Layer A, as shown in Table 1. The PBT level in layer B (resin “P5”) was increased to 35% by weight for reasons not relevant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affect the release results. The process changes compared to Example 7 are a lower MD ratio (4.5), and small adjustments in MD and TD maximum temperatures (116°C and 123°C,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TD relaxation temperature was 216°C. The final film product was then laminated onto a sheet of tin-free metal sheet on the B-layer side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lamination temperature 370-380°C (188-193°C), post-bake 430-440°F (221-227°C). ℃). Food release was tes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above at five different locations across the width of the stack, depending on the following locations within the laminate device: drive side (DS), midway between the drive side and center (“DSC”); center, midway between the tenting side and the center (“TSC”), and the tenting side (“TS”). The scores, expressed as percent of total area occupied by remaining food, are listed in Table 6.

스틸-적층 공정 이후에 필름에 남아 있는 결정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이한 적층 및 포스트-베이크 온도 조건에서 추가 적층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도 10에 플롯한다. Additional laminations were performed under different lamination and post-bake temperature conditions to evaluate the effect on the crystallinity remaining in the film after the still-lamination process. The results are plotted in Figure 10.

[표 6][Table 6]

결정도 테스트와 함께, 실시예 7 및 비교예 8에서의 식품 방출 테스트의 결과는, 왁스의 첨가가, 결정화를 개선하지는 못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품 방출 특성에서의 결정도의 손실의 영향을 완화하는 것을 보조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대조군(비교예 8)에 비해 왁스-함유 샘플(실시예 7)의 경우가 보다 우수한 중앙 주변(여기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 둘 다에서 결정도가 거의 사라짐)의 식품 방출 점수를 갖는 것에 의해 분명하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는, 특정 적층 상황 하에서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는, 원래 디자인(촉매 포장재에서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를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및 실리콘을 포함하는 식품-접촉 스킨 A)에 왁스를 첨가하면, 육류 방출 특성에 양호함이 부가됨을 입증한다. The results of the food release tests in Example 7 and Comparative Example 8, along with the crystallinity tests, show that the addition of wax does not improve crystallization, but nonetheless mitigates the effect of loss of crystallinity on food release properties. It supports the fact that it is assisting. This has, for example, a food release score around the center that is better for the wax-containing sample (Example 7) compared to the control (Comparative Example 8), where crystallinity is almost gone in both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t is clear by this. Overall, these examples demonstrate that the addition of wax to the original design (food-contact skin A comprising polyester and silicone using alkali metal phosphates in catalytic packaging) may result in meat release, which may not be appropriate under certain lamination situations. It demonstrates that goodness is added to the characteristics.

본원에서 인용하는 모든 미국특허 및 공개공보는 참고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인용된다. All U.S. patents and publications cited herein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Claims (32)

외부 방출 층(층 A) 및 코어 층(층 B)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외부 방출 층이
(a) (i) 폴리에스테르 수지 P1 1톤 당 1.3mol 내지 3.0mol의 양의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ii) 몰 기준으로 상기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의 0.4 내지 1.5배 양의 인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P1 93-99.9중량%
(b) 왁스 성분 및
(c) 실리카 0.1-3중량%
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층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P2,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15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비스페놀 A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a), 상기 (b), 상기 (c) 및 외부 방출 층에서 임의의 선택적인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의 중량 백분율이 총 100중량%이고;
외부 방출 층은 식품 방출 테스트에 따라 측정 시 10% 이하의 식품 면적 도포율(food area coverage)을 갖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A polyester film comprising an outer release layer (layer A) and a core layer (layer B),
The outer emitting layer is
(a) A polyester resin comprising (i) an alkali metal phosphate in an amount of 1.3 mol to 3.0 mol per ton of polyester resin P1 and (ii) phosphoric acid in an amount of 0.4 to 1.5 times the alkali metal phosphate on a molar basis. P1 93-99.9% by weight
(b) wax component and
(c) 0.1-3% by weight of silica
Includes;
wherein the core layer includes polyester resin P2 and 15 to 45% by weigh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wherein the polyester film is free of bisphenol A and the weight percentages of (a), (b), (c) and any optional one or more additional components in the outer release layer total 100% by weight;
The outer release layer has a food area coverage of 10% or less as measured according to a food release test,
Polyest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코어 층이 PBT 30 내지 45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paragraph 1,
A polyester film, wherein the core layer comprises 30 to 45% by weight PBT.
제1항에 있어서,
(a) 결정화가능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P1과는 상이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P2, 67-85중량%;
(b)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P2의 융점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무정형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5-30중량%; 및
(c) 유기 또는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안티블록, 0-3중량%
를 포함하는 열-밀봉성 층(층 C)를 추가로 포함하고,
외부 방출 층, 코어 층 및 열-밀봉성 층을 이 순서로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paragraph 1,
(a) 67-85% by weight of polyester resin P2, which is crystallizable and different from polyester resin P1;
(b) 15-30% by weight of an amorphous copolyester resin or polyester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at least 20° C.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ester resin P2; and
(c) Antiblock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particles, 0-3% by weight.
It further comprises a heat-sealable layer (layer C) comprising,
having an outer release layer, a core layer and a heat-sealing layer in this order,
Polyester film.
제3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P2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paragraph 3,
A polyester film, wherein polyester P2 comprises an aromatic polyester.
제3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P2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P2의 구성 성분으로서, 50중량% 이상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paragraph 3,
A polyester film, wherein the polyester resin P2 contains 50% by weight or more of ethylene terephthalate as a component of the polyester resin P2.
제3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P2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paragraph 3,
A polyester film, wherein the polyester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at least 20° C. lower than that of polyester resin P2 includes butylene terephthalate repeating units.
제1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된 금속 시트. A laminated metal sheet comprising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claim 1. 제3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된 금속 시트. A laminated metal sheet comprising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claim 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7001201A 2017-07-28 2018-07-26 Polyester film with silicone incorporation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KR10266032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63,142 US11027523B2 (en) 2015-11-30 2017-07-28 Polyester film incorporating silicone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US15/663,142 2017-07-28
PCT/US2018/043801 WO2019023411A1 (en) 2017-07-28 2018-07-26 Polyester film incorporating silicone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688A KR20200032688A (en) 2020-03-26
KR102660324B1 true KR102660324B1 (en) 2024-04-26

Family

ID=6329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201A KR102660324B1 (en) 2017-07-28 2018-07-26 Polyester film with silicone incorporation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658611A1 (en)
JP (1) JP7228142B2 (en)
KR (1) KR102660324B1 (en)
WO (1) WO201902341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0167A (en) * 2018-09-19 2020-03-2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Boiling-resistant discoloring iron-clad film and metal plate clad with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9316A1 (en) 1999-12-03 2004-11-04 Kohzo Takahashi Biaxially-oriented polyester film for fabric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17093914A1 (en) * 2015-11-30 2017-06-08 Toray Plastics (America), Inc. Silicone coated polyester film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5365B2 (en) * 1999-12-03 2011-03-23 東レ株式会社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for molding
JP4524858B2 (en) * 2000-05-25 2010-08-18 東洋紡績株式会社 Laminating polyester film, laminated metal plate and metal container
CA2440334C (en) 2001-03-14 2010-08-17 Jfe Steel Corporation Film-laminated metal sheet for container
JP2006326902A (en) * 2005-05-24 2006-12-07 Nippon Steel Corp Composite-layered polyester film laminated metal sheet for contai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9358766B2 (en) 2005-09-13 2016-06-07 Toray Plastics (America), Inc. Applying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onto a metal substrate
US20130253145A1 (en) * 2010-12-02 2013-09-26 Adeka Corporatio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of same
WO2015125185A1 (en) * 2014-02-21 2015-08-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Resin-coated metal sheet for container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KR20180116294A (en) * 2016-02-29 2018-10-24 도레이 플라스틱스 아메리카 인코오포레이티드 Polyester film containing silicone for the discharge of canned meat produc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9316A1 (en) 1999-12-03 2004-11-04 Kohzo Takahashi Biaxially-oriented polyester film for fabric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17093914A1 (en) * 2015-11-30 2017-06-08 Toray Plastics (America), Inc. Silicone coated polyester film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688A (en) 2020-03-26
EP3658611A1 (en) 2020-06-03
JP7228142B2 (en) 2023-02-24
JP2021521319A (en) 2021-08-26
WO2019023411A1 (en)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52075A1 (en) Silicone coated polyester film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EP1945512B1 (en) Polymeric film packaging
EP2527142A1 (en) Multilayer polyester film for ready meals
US10016963B2 (en) Method of packaging product in container with blush and chemical resistant polyester film
US20210394486A1 (en) Anti-blush and chemical resistant polyester film
KR102660324B1 (en) Polyester film with silicone incorporation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JP7153560B2 (en) Silicone-loaded polyester film for the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EP0625091B1 (en) Elevated temperature dimensionally stable polyester with low gas permeability
US20170152356A1 (en) Polyester film incorporating silicone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US11027523B2 (en) Polyester film incorporating silicone for release of canned meat products
EP3848404A1 (en)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4029801B9 (en)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4168466B2 (en) Laminate for can manufacturing and seamless can
JP7430649B2 (en) Polymer coating compositions for metal substrates and their uses
JP4105782B2 (en) Laminated sheet and packaging container
JP4127983B2 (en)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metal plate lamination
JP2005154640A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metal-laminating film
JPH11334013A (en) Laminate polyester sheet and packaging container body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