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219B1 - 미션 크리티컬 디바이스에 대한 plmn 선택 - Google Patents

미션 크리티컬 디바이스에 대한 plmn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219B1
KR102660219B1 KR1020207016819A KR20207016819A KR102660219B1 KR 102660219 B1 KR102660219 B1 KR 102660219B1 KR 1020207016819 A KR1020207016819 A KR 1020207016819A KR 20207016819 A KR20207016819 A KR 20207016819A KR 102660219 B1 KR102660219 B1 KR 102660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mn
list
network
partner
identif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801A (ko
Inventor
니콜라스 제임스 러셀
아드리안 버클리
잔 헨드릭 루카스 백커
Original Assignee
블랙베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랙베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블랙베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UE를 등록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에 등록하려는 시도가 성공하면 PLMN 식별자와 관련된 IMS(Internet Protocol(IP) Multimedia Sub-system)에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션 크리티컬 디바이스에 대한 PLMN 선택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서, 미션 크리티컬 푸시-투-토크(Mission Critical Push-To-Talk, MCPTT), 미션 크리티컬 비디오(Mission Critical Video, MCVideo), 미션 크리티컬 데이터(Mission Critical Data, MCData) 등과 같은 다수의 3GPP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MC) 서비스가 정의된다.
MC 서비스는 공안(public safety)과 같은 조직 또는 경비, 경찰, 소방 및 구조 서비스 등과 같은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유틸리티 회사, 운송 회사 등을 포함한 상업 조직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1차(primary) MC 시스템에 연결(attach)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는 특정 조건에서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연결하기 위한 UE의 디폴트 메커니즘으로 인하여 UE는 파트너 MC 시스템에 연결(connectivity)을 제공할 수 없는 PLMN을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사용자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의 블록도이다.
도 12a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12b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본 개시는 사용자 디바이스(UE)에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사용하여 UE를 네트워크에 등록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에 등록하려는 시도가 성공하면 PLMN 식별자에 관련된 IMS(Internet Multimedia(IP) Multimedia Sub-system)에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프로세서 및 통신 서브 시스템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를 추가로 제공하며, 프로세서 및 통신 서브 시스템은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하고,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UE를 등록하려고 시도하며, 네트워크에 등록하려는 시도가 성공하면 PLMN 식별자와 관련된 IMS에 SIP 등록을 수행하기 위하여 협력한다.
본 개시는 사용자 장비(UE)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코드를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하며, 코드는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하고,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UE를 등록하려고 시도하며, 네트워크에 등록하려는 시도가 성공하면 PLMN 식별자와 관련된 IMS에 SIP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또한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사용자 장비(UE)로부터 UE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싶어한다는 표시 및 상기 UE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각각 파트너 MC 시스템과 관련된 PLMN을 식별하는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상기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또한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미션 크리티컬(MC) 서비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PLMN 식별자를 검출하는 단계, MC 서비스를 액세스하기 위한 PLMN 선택에 대한 필요성을 결정하는 단계, 현재 RPLMN(Registered 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제1 값 및 현재 PLMN 선택 모드의 제2 값을 저장하는 단계, PLMN 선택의 자동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및 PLMN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선택된 PLMN의 식별자는 MC 서비스에 대한 PLMN 식별자들로부터 나온 것이다.
본 개시의 예들은 LTE(Long Term Evolution), EPS(Enhanced Packet System) 및 E-UTRAN(Enhanced Universal Mobile Telephony System(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예에 특유한 것인 반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은 그러한 시스템 또는 무선 액세스 기술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시스템 또는 무선 액세스 기술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은 3GPP GERAN(General Packet Radio Service(GPRS) Enhanced Data Rate for Global Evolution(EDGE) Radio Access Network), UTRAN, 2G 또는 3G 코어 네트워크, 3GPP 5G, 3GPP NR(New Radio)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시스템과 같은 비-3GPP 시스템이 제외되지 않는다.
LTE 네트워크는 LTE 무선 네트워크 및 EPC(Enhanced Packet Core)로 구성되며, 이들은 함께 EPS(Enhanced Packet System)로서 알려져 있다. 5G 시스템의 경우, 이것은 NG(Next Generation) 무선 및 NG 코어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둘 다로 구성된다. EPS/5G 시스템은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로만 또는 HPLMN과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로 구성될 수 있다. VPLMN은 UE의 HPLMN 또는 EHPLMN(Equivalent HPLMN)이 아닌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이다.
UE는 네트워크 선택을 수행한 후 EPS 또는 PLMN에 연결(attach) 또는 등록(register)한다. UE가 VPLMN에 연결 또는 등록할 때, 이는 "로밍(roaming)"으로 알려져 있다. "연결" 및 "등록"이라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UE는 모바일 엔티티(Mobile Entity, ME) 및 범용 IC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로 구성된다. UICC에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있다. USIM은 예를 들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비롯한 EPS 사용자 또는 가입자를 고유하고 세계적으로 식별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보안 관련 데이터, PLMN 선택자 목록 등과 같은 다른 데이터를 포함한다. USIM 내의 특정 필드는 원격으로 구성 가능하고 업데이트 가능할 수 있다. USIM에서 필드를 원격으로 업데이트하는 일반적인 메커니즘은 "SIM-OTA"(Over The Air[OTA])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ME가 UICC에 데이터를 투명하게 보내도록 트리거하는 특수 페이로드가 포함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ME에 보내는 것을 수반하고, UICC는 UICC 상의 USIM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USIM 필드가 업데이트된 후 UICC는 3GPP TS(Technical Specification) 31.111,“USAT(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USIM) Application Toolkit)"(v.11.6.0, 2013년 7월)에 정의된 대로 REFRESH 커맨드를 UE에 보내고, 이는 결국 네트워크 선택을 실행하는 다른 절차를 트리거할 수 있다.
UE는 무엇보다 모바일 국가 코드(Mobile Country Code, MCC),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obile Network Code, MNC),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 위치 지역 코드, 추적 지역 코드, 라우팅 지역 코드, PLMN 식별자,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와 자신의 위치를 공유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 내에서 "위치(location)"라는 용어는 무엇보다 MCC, MNC, GPS 좌표, 위치 지역 코드, 추적 지역 코드, 라우팅 지역 코드, PLMN 식별자, SSID 중 임의의 것을 지칭할 수 있다.
3GPP 시스템을 통한 셀룰러 데이터 연결(connectivity) 및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UE는 하나 이상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를 사용할 수 있고 PDN은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로도 알려질 수 있다. EPS에서, UE는 PDN 접속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시그널링 및 제어 평면 데이터, 사용자 평면 데이터, 음성 매체 및 비디오 매체와 같은 포인트-투-포인트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한다. E-UTRAN(Enhanc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 EPC는 일반적으로 셀룰러 사업자에 속하는 반면, PDN은 사업자 또는 다른 엔티티에 속할 수 있다.
UE 및 ME이라는 용어는 본 개시 내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ME는 단말 장비(Terminal Equipment, TE), 단말기 어댑터(Terminal Adapter, TA) 및 모바일 터미네이션(Mobile Termination, M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가 UE가 기능을 수행하는 것, 예를 들어 PLMN에 등록 또는 연결하는 것을 설명할 때, 기능은 TE, TA 또는 MT 중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선택 및 PLMN 선택자 목록(Network Selection and PLMN Selector Lists)
UE가 LTE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기 전에, UE는 UE가 어느 LTE 네트워크 또는 PLMN에 연결/등록을 시도할 것인지를 선택해야 한다. 또한, UE는 주기적으로 새로운 PLMN을 선택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UE에 의한 네트워크 선택의 프로세스는 2 개의 PLMN 선택자 목록을 이용할 수 있다; 3GPP TS 31.102, "USIM 애플리케이션의 특성(Characteristics of the USIM application)"(버전 14.3.0, 2016년 6월)에 정의된 사업자 제어 PLMN 선택자(Operator Controlled PLMN Selector) 목록 및 사용자 제어 PLMN 선택자(User Controlled PLMN Selector) 목록이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USIM이 상주하는 UICC의 프로비저닝 또는 제조시 USIM 상에 구성되지만, 또한 (예를 들어, SIM-OTA 메커니즘에 의해) HPLMN에 의해 원격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후자는 USIM의 실제 사용자에 의하여, 예를 들어 USIM의 UICC가 삽입된 UE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구성 가능하다. 사용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서만 수정될 수 있고, 사업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은 HPLMN에 의해서만 수정될 수 있다.
UE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언제라도 변경할 수 있는 2 가지 네트워크 선택 모드가 있다: UE가 자율적으로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자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 및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UE에 의해 제시된 이용 가능한 PLMN의 목록으로부터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이다. 자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서, 사용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에 나열된 PLMN은 사업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에만 나열된 것 이상으로 선택된다.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서, 사용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 및 사업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은 선택에 사용되지 않지만, 사용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에 나열된 PLMN은 사업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에만 나열된 것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고 사용자에게 나열될 수 있다.
UE는 또한 USIM 상의 필드에서 EHPLMN(equivalent HPLMN) 목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EHPLMN 목록은 네트워크 선택을 수행할 때 UE가 HPLMN으로 간주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우선 순위 정렬 PLMN 아이덴티티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EHPLMN 목록에서 구성된 PLMN 아이덴티티는 사용자 제어 PLMN 선택 목록 및 사업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에서 구성된 PLMN 아이덴티티보다 우선한다.
PLMN이 선택되면, UE는 선택된 PLMN에 연결 또는 등록을 시도한다. 자동 선택 모드에서, 등록이 실패하면, UE는 상이한 허용된 PLMN을 선택하고 등록이 성공하거나 이용 가능한 모든 PLMN이 시도될 때까지 등록을 재시도할 수 있다. 수동 선택 모드에서, 등록이 실패하면, UE는 사용자에게 PLMN을 재선택하도록 프롬프트할 수 있다.
UE가 PLMN에 성공적인 등록을 수행한 후, UE는 상이한 시간에 또는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 UE가 RPLMN(registered PLMN)과 동등(equivalent)하다고 가정해야 하는 PLMN 아이덴티티의 목록을 RPLMN으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동등한 PLMN 목록은 전형적으로 전용 다운링크 연결 수락 메시지에서 RPLMN으로부터 UE에 의해 수신된 후, 목록이 수신되었된 RPLMN의 현재 PLMN 식별자와 함께 ME에 저장된다. 동등한 PLMN 목록의 모든 PLMN은 PLMN 선택, 셀 선택, 핸드오버 등의 목적으로 서로 및 현재 RPLMN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된다.
언제든지, 자동 선택 모드에 있는 UE는 자신의 HPLMN에 의해 다른 특정 VPLMN을 검색하도록 지시받을 수 있고, 특정 VPLMN이 이용 가능하고 이동이 허용되면 가능한 한 빨리 해당 VPLMN으로 이동한다. 이 VPLMN은 사업자가 정의한 최고 우선 순위 VPLMN으로 간주되지만 사용자 제어 PLMN 목록의 HPLMN, EHPLMN 및 PLMN은 여전히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업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에서 얻은 최고 우선 순위 PLMN을 원하는 VPLMN으로 대체함으로써 달성된다.
일부 경우에, UE가 로밍 중이고 VPLMN에 등록을 시도할 때, VPLMN은 HPLMN으로부터 인증 정보를 요청한다. 그 후, HPLMN은 UE에 전달되는 일시적인 실패 메시지로 VPLMN에 응답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UE는 UE가 자동 선택 모드인지 수동 선택 모드인지와 같은 요인에 따라 다시 시도하거나 새로운 VPLMN을 선택할 수 있다.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Mission Critical Services)
3GPP에서, 미션 크리티컬 푸시-투-토크(MCPTT), 미션 크리티컬 비디오(MCVideo), 미션 크리티컬 데이터(MCData) 등과 같은 다수의 3GPP 미션 크리티컬(MC) 서비스가 정의된다.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는 온-네트워크 통신 및 오프-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온-네트워크 MC 통신은 다른 연결 유형 중에서 EPS를 통한 PDN 접속을 통하여 실행되도록 정의되는 반면, 오프-네트워크 통신은 UE-대-UE 근접 서비스 사용에 의존한다. 온-네트워크 MC 통신은 일부 통신에 IMS(IP Multimedia(core network) Subsystem)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코어를 사용하므로 MC 서비스 UE는 MC 서비스의 모든 측면을 사용할 수 있기 위하여 PDN 접속을 셋업한 후 IMS/SIP 등록을 수행해야 한다.
온-네트워크 미션 크리티컬에 대한 일반적인 아키텍처는 예를 들어 3GPP TS 23.380,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능 아키텍처; 단계 2(Common functional architecture to support mission critical services; Stage 2)"(버전 14.1.0, 2016년 12월)에 정의된다.
3GPP TS 23.380의 섹션 7.2 및 7.3은 아래에서 발췌된다:
7.2 평면 설명
다음 평면이 식별된다:
a) 애플리케이션 평면: 애플리케이션 평면은 MC 서비스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기능과 함께 사용자에게 필요한 모든 서비스(예를 들어, 호 제어, 플로어 제어, 비디오 제어, 데이터 제어)를 제공한다. 그것은 시그널링 제어 평면의 서비스를 사용하여 이러한 요구 사항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MCPTT 서비스 내에서 애플리케이션 평면은 또한 미디어 회의, 톤 및 알림 제공을 제공한다;
b) 시그널링 제어 평면: 시그널링 제어 평면은 MCPTT 호출 또는 다른 유형의 MC 서비스와 같은 MC 서비스에 관련된 사용자의 연관을 확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그널링 지원을 제공한다. 시그널링 제어 평면은 또한 MC 서비스 전반에 걸쳐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 및 서비스의 제어를 제공한다. 시그널링 제어 평면은 베어러 평면의 서비스를 사용한다. 이러한 평면을 지원하는 베어러는 3GPP TS 23.401[17] 내에서 LTE에 대하여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평면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자원 제어는 3GPP TS 23.203[8] 내에 정의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평면은 또한 3GPP TS 23.468[18] 및 3GPP TS 23.246[11]에 정의된 절차를 통하여 설정된 멀티캐스트 베어러의 사용에 의존한다.
7.3 기능 모델 설명
7.3.1 온-네트워크 기능 모델
각각의 MC 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 평면 기능 모델로 표현될 수 있다. MC 서비스에 걸친 기능 모델은 유사할 수 있지만 해당 MC 서비스에 속하는 개별 기능 엔티티 및 참조 점(reference point)에 의해 설명된다. MC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평면 내에는 기능의 공통 세트와 참조 점이 있다. 공통 세트는 여러 서비스에서 공유된다. 이 기능의 공통 세트와 참조 점은 공통 서비스 코어라고 알려져 있다.
표 1: 3GPP TS 23.380의 섹션 7.2 및 7.3
MC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복수의 서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버에는 MC 서비스 서버, 그룹 관리 서버, 구성 관리 서버,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 키 관리 서버 및 위치 관리 서버가 포함된다. 이러한 각 서버에는 MC UE에서 실행되는 상대방 클라이언트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MC UE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 그룹 관리 클라이언트, 구성 관리 클라이언트, 아이덴티티 관리 클라이언트, 키 관리 클라이언트 및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 UE 상에 상주하는 클라이언트는 MC 서비스를 UE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서버와 협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클라이언트는 그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일반적인 MC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서,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MCPTT 클라이언트, MCVideo 클라이언트 및 MCData 클라이언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미션 크리티컬 조직은 그 자신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미션 크리티컬 조직은 PLMN 사업자의 셀룰러 네트워크, 예를 들어, EPS를 이용한다. 미션 크리티컬 조직이 MC 사용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를 위하여 사용하는 PLMN은 이하 미션 크리티컬 조직의 HPLMN으로 알려져 있으며, MC 서비스 UE 내의 USIM 내의 데이터에 의하여 식별되는 HPLMN이다.
일부 배치(deployment) 시나리오에서, 상업용 PLMN 사업자는 미션 크리티컬 조직의 MC 서비스를 위하여 IMS(Internet Protocol(IP) Multimedia Subsystem) 및/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코어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지만, MCPTT 서버, MCVideo 서버, MCData 서버 및 기타 애플리케이션 계층 네트워크 엔티티와 같은 MC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미션 크리티컬 조직에 의해 운영되거나, 하나 이상의 미션 크리티컬 조직을 대신하여 미국 FirstNet(First Responders Network Authority)와 같은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일부 미션 크리티컬 조직의 통신, 예를 들어, 공안 기관 및 그들의 사용자에 의한 통신은 실제 미디어 통신의 측면뿐만 아니라 통신 및 그 통신의 본질에 관련된 사용자/당사자의 아이덴티티 측면에서도 프라이버시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간주된다.
마이그레이션은 MC 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의 미션 크리티컬 조직의 MC 시스템이 아닌 파트너 MC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MC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미션 크리티컬 프레임 워크의 측면이고, 이는 홈 MC 시스템 또는 1차 MC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MC 서비스 사용자가 온-네트워크 MC 통신을 마이그레이션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MC 서비스 UE는 PLMN 또는 EPS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의 1차 MC 시스템의 HPLMN과 상이한 5GS에 연결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는 1차 MC 시스템 HPLMN의 MC 서비스 UE의 위치에서 무선 커버리지가 부족하거나 1차 MC 시스템의 HPLMN으로부터 MC 서비스 사용자가 마이그레이션하길 희망하는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PDN 접속이 부족하기 때문일 수 있다. 파트너 MC 시스템의 HPLMN에 연결한 후 MC 서비스 UE는 파트너 시스템으로 MC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고 파트너 MC 시스템으로부터 MC 서비스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마이그레이션은 예를 들어 UE에서 이러한 단계들, 즉 파트너 MC 시스템의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로 아이덴티티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 파트너 MC 시스템의 IMS 또는 SIP 코어에 대한 IMS/SIP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맥락 내에서, 용어 IMS 코어 및 SIP 코어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MC 사용자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희망하고 파트너 MC 시스템의 HPLMN이 1차 MC 시스템의 HPLMN과 상이한 경우, MC 사용자의 UE는 파트너 MC 시스템에 액세스를 제공하는 올바른 PDN에 접속하기 위하여 파트너 MC 시스템의 HPLMN에 VPLMN으로서 등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MC 서비스 UE가 파트너 MC 시스템의 HPLMN이 아닌 VPLMN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파트너 MC 시스템의 HPLMN이 MC 서비스 사용자 UE의 USIM에서 사업자 선호 PLMN 목록 및 사용자 선호 PLMN 목록이 둘 다 없기 때문이거나, MC 서비스 사용자 UE의 USIM에 파트너 MC 시스템의 HPLMN이 사업자 선호 PLMN 목록 및 사용자 선호 PLMN 목록에 있지만 다른 이용 가능한 PLMN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기 때문 등일 수 있다.
MC 서비스 사용자 인증(authentication) 및 인가(authorization) 절차는 예를 들어 Refresh_token 등과 같은 다른 토큰들 중에서도 ID_token 및 Access_token을 포함하는 3GPP의 OpenID 프레임 워크를 이용한다. 토큰은 3GPP TS 33.180에 정의된 절차,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의 보안(Security of the mission critical service)"(버전 14.1.0, 2017년 9월)을 통하여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RFC(Request for Comments) 7523, "공개인증 2.0 클라이언트 인증 및 인가 승인을 위한 JSON 웹 토큰 프로파일(JSON Web Token(JWT) Profile for OAuth 2.0 Client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Grants)"(2015년 5월)에 정의된 공개인증 2.0 프로토콜에 따라 획득된다.
UE는 또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사용하지 않고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ProSe는 UE가 근접한 다른 UE들을 발견한 다음 네트워크 인프라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UE들과 직접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일련의 기능들을 제공한다. 후자는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 PC5 통신 또는 사이드링크(sidelink) 통신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 유형의 통신은 전용 또는 특정 무선 스펙트럼 세트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즉, 이러한 통신은 PLMN 사업자의 무선 인프라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상이한 무선 스펙트럼에서 발생할 필요가 없다. 스펙트럼은 유한한 자원이므로 제한된 수의 네트워크와 PLMN이 단일 지리적 지역에서 이러한 통신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와 같이 ProSe 특유의 PLMN 선택 절차인 "ProSe 직접 통신에 의해 트리거된 PLMN 선택(PLMN selection triggered by ProSe direct communication)"은 UE가 3GPP TS 23.122의 섹션 3.1B, "유휴 모드에서 이동국과 관련된 NAS 기능(Non-Access-Stratum(NAS) functions related to Mobile Station(MS) in idle mode)"(버전 15.1.0, 2017년 9월)에서 그러한 스펙트럼을 찾을 수 있도록 정의되었다.
3GPP TS 24.334의 하위 조항 5.1.1,“근접 서비스(ProSe) 사용자 장비(UE) 대 ProSe 기능 프로토콜 측면; 단계 3(Proximity-services (ProSe) User Equipment (UE) to ProSe function protocol aspects; Stage 3)"(Rel-15)(버전 15.0.0, 2017 년 9월)은 현재 "이 사양의 릴리스에서 E-UTRA 기술을 사용한 ProSe 직접 통신은 공공 안전 ProSe 가능 UE에 대하여서만 지원된다."라고 언급한다. 그러나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다른 액세스 기술을 사용한 ProSe 직접 통신은 다른 UE 및 서비스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제외되지 않는다. 또한 차량 대 차량 또는 차량 대 인프라(Vehicle-to-Infrastructure, V2X)는 또한 3GPP TS 24.286의 섹션 6.1.2.3 "사용자 장비 대 V2X 제어 기능; 프로토콜 측면; 단계 3(User Equipment(UE) to V2X control function; protocol aspects; Stage 3)"(버전 14.0.0, 2017년 3월) 및 3GPP TS 23.122의 섹션 3.1C에 명시된 바와 같이 E-UTRAN을 통한 ProSe("PC5를 통한 V2X 통신에 의해 트리거되는 PLMN 선택(PLMN selection triggered by V2X communication over PC5)")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데이터 연결(Data Connectivity)
셀룰러 데이터 연결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UE는 적어도 하나의 E-UTRAN(Evolved-Universal Mobile Telephony System(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PC(Enhanced Packet Core) 및 PDN(Packet Data Network)을 이용할 수 있다. E-UTRAN과 EPC의 조합이 EPS(Enhanced Packet System)로서 알려져 있다. 5G 시스템의 경우 이는 NG(Next Generation) 무선 및 NG 코어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의 예에서, UE(110)는 PDN 접속(122)을 사용하여 PDN(120)과 접속한다. 이러한 PDN 접속은 일부 실시 예에서 2 세대(2G) 또는 3 세대(3G) 네트워크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컨텍스트로 지칭될 수 있거나 5 세대(5G) 네트워크에서 PDU(Packet Data Unit) 세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PDN 접속(122)은 UE(110)와 PDN(120) 사이의 다른 데이터 옵션들 중에서 시그널링 또는 제어 평면 데이터, 사용자 평면 데이터, 음성/오디오 미디어, 비디오 미디어와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라고도 알려질 수 있는 PDN은 UE가 PDN에 연결되거나 PDN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엔티티와 통신(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PDN 접속(122)은 도 1에 제공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E-UTRAN(132) 및 EPC(134)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 연결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및 EPC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개시는 특정 PDN 접속(122)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E-UTRAN(132) 및 EPC(134)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전형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 또는 셀룰러 캐리어에 속하는 반면, PDN(120)은 사업자 또는 다른 엔티티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N은 회사 또는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에 속할 수 있다.
EPS(130)는 HPLMN(제1 서비스 제공자)만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HPLMN 및 VPLMN(Visit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제2 서비스 제공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자는 로밍에 사용된다. 이러한 HPLMN 및 VPLMN은 간략화를 위하여 도 1에 표시되지 않았다.
EPS(130)는 다양한 엔티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 중에서 eNB(Enhanced Node B), MME(Mobile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또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PDN 접속(122)은 UE(110)와 PDN(120) 사이의 데이터에 대한 경로를 제공한다. PDN 접속 설정 동안, PDN(120)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 APN)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Data Network Name, DNN)에 의해 식별되고, 그 후에 설정된 PDN 접속의 다른 파라미터에 의해 식별된다. APN은 무엇보다도 PDN(120)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EPC(134)에서 게이트웨이 노드(예를 들어, P-GW, GGSN(Gateway General Packet Radio Service(GPRS) Support Node))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7년 3월 버전 14.3.0에 제공된 3GPP TS 23.003, "넘버링, 어드레싱 및 식별(Numbering, addressing and identification)"에 정의된 바와 같이, APN은 네트워크 아이덴티티(network identity, NI) 및 사업자 아이덴티티(operator identity, OI) 부분으로 구성된다. NI와 OI 부분 둘다 점으로 구분된 문자열로 구성된다. 점 사이의 문자를 "라벨(label)"이라고 한다.
일 실시 예에서, NI 부분의 내용은 정의되지 않을 수 있는 반면, OI 부분의 내용은 엄격하게 정의된다. OI 부분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 의해 NI의 끝에 추가된다. 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는 특히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MME, S-GW, P-GW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UE가 특정 PLMN에서 PDN에 대한 브레이크 아웃을 구체적으로 요청하기를 희망한다면, UE는 NI 및 OI를 모두 제공할 수 있고, UE에 의해 OI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는 정의된 로직을 사용하여 NI에 첨부(append)할 OI를 결정한다. 이러한 정의된 로직은 예를 들어, 2017년 6 월 v.14.4.0에서 제공되는 3GPP TS 23.060,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서비스 설명(Service description); 단계 2"에서 발견될 수 있다.
UE는 자신의 홈 PLMN 또는 EHPLMN(extended HPLMN)인 PLMN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로밍 중이다. UE가 로밍 중인 경우, PDN 접속은 VPLMN 또는 HPLMN에서 PDN에 접속할 수 있다. VPLMN에서의 PDN으로의 접속을 때때로 "로컬 브레이크 아웃(local break-out, LBO)"이라고 한다. HPLMN에서의 PDN으로의 접속을 때때로 "홈 라우팅(home routed)" 또는 "S8HR(S8 Interface Home Routed)"이라고 한다.
UICC 기반 선택 솔루션(UICC-Based Selection Solution)
이제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 2를 참조한다.
프로세스는 블록(200)에서 시작하여 제1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는 블록(210)으로 진행한다. 제1 트리거 이벤트는 아마 다음 중 하나 또는 조합일 수 있다:
MC 서비스 UE는 새로운 또는 상이한 PLMN에 등록한다;
타이머가 만료된다;
1차 MC 시스템의 HPLMN은 UE에 이용 불가능하게 된다;
UE는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해야 한다고 표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UE는 MC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인가를 수신한다;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UE에서 프로비저닝되거나 활성화된다;
UE는 특정 위치에 진입한다.
다른 이벤트는 블록(210)에 대한 트리거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상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 후 프로세스는 블록(22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UE는 네트워크 요소에 표시(indication)를 전송한다. 표시는 블록(210)의 트리거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표시는 또한 UE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이용 가능한 PLMN의 목록과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요소는 1차 MC 시스템 또는 파트너 MC 시스템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른 옵션 중에서도 구성 관리 서버,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 MC 서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표시가 네트워크 요소로 전송되었으면, 프로세스는 블록 23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UE는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한다. UE에 의해 수신된 PLMN 식별자에 대응하는 PLMN은 UE가 새로운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게 할 수 있는 PLMN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서, 수신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은 UE가 UE의 현재 위치 및/또는 UE에 이용 가능한 PLMN에 기초하여 UE가 새로운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게 하는 PLMN에 대응한다.
그 후, 블록(240)에서 UE는 수신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내부 메모리 또는 UICC 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필드, 예를 들어 USIM의 필드에 저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UICC 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필드는 USIM에서 사용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이다.
그 후 프로세스는 블록(250)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UE는 수신된 PLMN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PLMN들 중 하나에 등록한다. 등록 시도는 예를 들어 UICC 애플리케이션의 필드에 수신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저장하거나,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세스에 의해 발행된 AT 커맨드를 따르는 결과로서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AT 커맨드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이 예를 들어 모뎀 칩셋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위 계층에 의하여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또는 절차의 실행을 강제할 수 있게 한다. AT 커맨드는 3GPP TS 27.007“사용자 장비(UE)에 대한 AT 커맨드 세트”(버전 14.5.0, 2017년 9월)에 설명되어 있다.
본 개시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AT 커맨드는 다음을 포함한다:
선호되는 PLMN 목록의 선택 +CPLS: 3GPP TS 27.007의 섹션 7.20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이 AT 커맨드는 UICC 애플리케이션 상에 프로비저닝되거나 지원되는 PLMN 선택자 목록을 결정하기 위하여 UE의 상위 계층에 대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선호되는 PLMN 목록 +CPOL: 3GPP TS 27.007의 섹션 7.19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이 AT 커맨드는 UE의 상위 계층이 하위(lower) 계층에게 사용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 및 사업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정보를 ME의 상위 계층에 제공하고; 지정된 데이터를 사용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 및 사업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에 기입하도록 지시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PLMN 선택 +COPS: 3GPP TS 27.007의 섹션 7.3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이 AT 커맨드는 UE의 상위 계층이 "모드" 파라미터에 따라 PLMN을 선택하여 등록하는 시도를 강제하도록 하위 계층에 지시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모드(mode)"가 0으로 설정될 때, UE는 이용 가능한 RPLMN에 등록한다. "모드"가 1로 설정될 때, UE는 등록이 실패할 경우 다른 네트워크로의 폴백(fallback) 없이 특정 PLMN에 등록한다. "모드"가 4로 설정될 때, UE는 등록이 실패할 경우 다른 네트워크로의 폴백을 가지고 특정 PLMN에 등록한다.
블록(26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블록(250)에서 PLMN의 등록이 성공적이면, UE는 나중에 블록(270)에서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MC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프로세스는 블록(290)에서 종료된다. 블록(26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블록(250)에서 PLMN의 등록이 성공적이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블록(280)에서 실패하고 블록(290)에서 종료한다. 프로세스가 블록(280)에서 실패하면, UE는 하나 이상의 특정 동작을 취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 중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상에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가청, 진동 등을 통하여 표시를 제시하는 것;
다른 네트워크 PLMN 선택 절차를 수행하는 것;
1차 MC 시스템 내의 기능 엔티티로 메시지(예를 들어, 수신된 하나 이상의 PLMN 식별자를 선택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함)를 전송하는 것;
오프-네트워크 MC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다.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하여, UE는 PLMN 식별자와 관련된 IMS에 등록한다. MC 마이그레이션은 또한 참조로 포함된 특허 출원 US 2017/0134444에 정의된 기능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반복 선택 솔루션(Iterative Selection Solution)
이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의 프로세스는 블록(300)에서 시작하여 제1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는 블록(310)으로 진행한다. 블록(310)에서 검출된 트리거 이벤트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MC 서비스 UE는 새로운 또는 상이한 PLMN에 등록한다;
타이머가 만료된다;
1차 MC 시스템의 HPLMN은 UE에 이용 불가능하게 된다;
UE는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해야 한다고 표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UE는 MC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인가를 수신한다;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UE에서 프로비저닝되거나 활성화된다;
UE는 특정 위치에 진입한다.
다른 이벤트는 블록(310)에 대한 트리거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상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 후 프로세스는 블록(32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UE는 네트워크 요소에 표시를 전송한다. 표시는 블록(310)의 트리거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는 또한 UE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이용 가능한 PLMN의 목록과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는 무선 디바이스가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기를 원하거나 암시적일 수 있다는 표시일 수 있다는 점에서 표시는 명시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시 적 표시는 UE가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요소는 1차 MC 시스템 또는 파트너 MC 시스템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른 옵션 중에서도 구성 관리 서버,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 MC 서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표시가 네트워크 요소로 전송되었으면, 프로세스는 블록(33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UE는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한다. UE에 의해 수신된 PLMN 식별자에 대응하는 PLMN은 UE가 새로운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게 할 수 있는 PLMN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서, 수신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은 UE가 UE의 현재 위치 및/또는 UE에게 이용 가능한 PLMN에 기초하여 새로운 MC 파트너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게 하는 PLMN에 대응한다. 현재 이용 가능한 PLMN의 목록은 스캔을 수행하는 동안 U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스캔은 블록(340) 전에 또는 블록(3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스는 블록(34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UE는 블록(330)에서 수신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PLMN 식별자의 서브 세트를 선택적으로 생성한다. 서브 세트는 블록(330)에서 수신된 목록 내의 PLMN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어느 PLMN이 UE에게 현재 이용 가능한지 결정함으로써 생성된다.
이어서, 프로세스는 PLMN 식별자가 서브 세트로부터 선택되는 블록(350)으로 진행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서브 세트는 우선 순위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우선 순위 순서는 블록(330)에서 수신된 목록의 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어떤 다른 요인들에 기초하여 UE에서 결정될 수 있다. PLMN 식별자가 우선 순위 순서에 의해 정렬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PLMN 식별자는 UE에 의한 등록을 위하여 선택된다.
일단 PLMN 식별자가 선택되면, UE는 단계(351)에서 UE에 의한 등록을 위하여 선택된 PLMN으로 등록을 시도한다. 블록(351)에서 PLMN의 등록이 성공적이면, 블록(36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UE는 후속적으로 블록(380)에서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프로세스는 블록(390)에서 종료된다.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하여, UE는 PLMN 식별자와 관련된 IMS에 등록한다.
블록(351)에서 PLMN의 등록이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블록(36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는 블록(352)으로 진행하여 서브 세트의 모든 PLMN 식별자가 등록을 시도했는지를 확인한다. 모든 PLMN 식별자가 이미 시도된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370)에서 실패하고 블록(390)에서 종료한다. 프로세스가 블록(370)에서 실패하면, UE는 하나 이상의 특정 동작을 취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 중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상에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를 제시하는 것;
다른 네트워크 PLMN 선택 절차를 수행하는 것;
1차 MC 시스템 내의 기능 엔티티로 메시지(예를 들어, 수신된 하나 이상의 PLMN 식별자를 선택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함)를 전송하는 것;
오프-네트워크 MC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블록(350)으로 돌아가서 서브 세트로부터 새로운 PLMN 식별자를 선택한다. 이 새로 선택된 PLMN 식별자는 그 후 블록(351)에서 등록을 시도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 방법은 등록이 성공할 때까지 또는 서브 세트의 모든 PLMN 식별자가 시도될 때까지 서브 세트로부터 모든 PLMN 식별자로 등록을 반복적으로 시도한다.
도 3의 프로세스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3GPP 표준에 대한 변경의 예는 부록(Appendix) B 및 부록 C에 나타나 있다.
구성 관리 서버 구성 솔루션(Configuration Management Server Configuration Solution)
이제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도 2의 블록(220 및 230) 동안의 메시지 교환, 또는 대안으로, 위에서 논의된 도 3의 블록(320 및 330) 동안의 메시지 교환을 도시한다.
UE(400)는 1차 MC 시스템의 구성 관리 서버(이하, 1차(primary) 서버(420))에게 파트너 MC 시스템의 접속 세부 사항을 요청하는 메시지(430)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430)는 UE(4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모바일 국가 코드(MCC) 및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 글로벌 포지셔닝 좌표, 글로벌 셀 ID, PLMN 식별자, 사업자 ID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430)는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UE(400)의 ISIM(IMS Subscriber Identity Module)로부터 이용 가능한 PLMN의 목록, MC 사용자의 MC 사용자 아이덴티티(MC ID), 디폴트 SIP 개인 사용자 아이덴티티, 및 디폴트 SIP 공개 아이덴티티 및 UE(400)가 파트너 MC 시스템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PLMN 식별자를 요구한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430)를 수신하면, 1차 서버(420)는 선택적으로 파트너 MC 시스템(이하, 파트너 서버(410))의 구성 관리 서버, 파트너 MC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는 메시지(440)를 전송한다. 메시지(440)는 UE(400)와 연관된 MC ID, 1차 MC 시스템의 마이그레이션 관리 서버의 식별자, 1차 MC 시스템의 SIP 아이덴티티, 및 어느 PLMN 및 어느 RAT(Radio Access Technology)가 UE(400)에게 이용 가능한지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450)에서, 메시지(440)를 수신한 후, 파트너 서버(410)는 1차 MC 시스템 및 UE(400)가 파트너 MC 시스템에 액세스하도록 인가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1차 MC 시스템 및 UE(400)가 인가되면, 파트너 서버(410)는 UE(400)가 파트너 MC 시스템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어느 PLMN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그 후 파트너 서버(410)는 응답 메시지(460)로 요청 메시지(440)에 응답한다. 응답 메시지(460)는 1차 서버(420)에 의해 수신되고, UE(400)가 파트너 MC 시스템에 액세스하기 위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PLMN의 목록은 우선 순위 별로 정렬될 수 있으므로 목록의 제1 항목이 먼저 시도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목록 내의 각각의 PLMN 식별자는 PLMN에서 사용될 RAT의 표시자가 수반된다.
1차 서버(420)는 이어서 요청 메시지(430)에 응답하고, 응답 메시지(47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파트너 서버(410)로부터 수신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UE(400)에 제공할 수 있다. UE(400)는 이 정보를 수신하여 UE(400)에 설치된 MC 클라이언트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지(440, 450 및 460)는 생략되고, PLMN 식별자들의 목록 및 선택적으로 RAT가 파트너 서버(410)와 통신하지 않고 1차 서버(420)로부터 UE(400)로 제공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UE(300)는 메시지(330)를 파트너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파트너 서버는 그 후 메시지(340)를 1차 서버로 전송하고, 1차 서버는 그 후 블록(350)에서 UE(300)에게 제공할 PLMN 식별자를 결정하고, 메시지(360)를 파트너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메시지(340)에 응답한다. 1차 서버가 메시지(360)를 수신하면 메시지(370)를 UE(300)에 전송한다.
UE에서 수신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은 단일 파트너 MC 시스템에 대한 PLMN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은 복수의 파트너 MC 시스템에 대한 상이한 PLMN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목록은 제1 MC 시스템 식별자와 그 뒤에 제1 MC 시스템 식별자와 관련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포함한다. 그 다음에 제2 MC 시스템 식별자 및 제2 MC 시스템 식별자와 관련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 등이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은 임의의 수의 잠재적 파트너 MC 시스템에 대한 PLMN 정보를 UE에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은 0 개 이상의 항목 사이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PLMN 식별자는 다음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모바일 국가 코드,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등)
액세스 기술
네트워크 슬라이스
DNS 서버 어드레스
P-CSCF(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어드레스
예를 들어 로컬 브레이크 아웃, S8HR 등을 위한 APN(Access Point Name)
홈 라우팅 서비스를 위한 APN.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 구성 솔루션(Identity Management Server Configuration Solution)
이제 도 5를 참조한다. 도 5는 네트워크 엔티티가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일 때의 메시지 교환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500)는 2 개의 하위 컴포넌트, 즉 MC 클라이언트(502) 및 아이덴티티 관리 클라이언트(503)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3GPP TS 33.180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의 보안"(버전 14.1.0, 2017년 9월)에 정의된 바와 같이, 아이덴티티 관리 클라이언트(503)는 요청 메시지(52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510)에 인증 요청을 발행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요청은 "code_challenge" 값을 포함하는 MC 시스템에서 OIDC(OpenID Connect) 기반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에 대한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d) 인증 요청이다. 3GPP TS 33.180에 지정된 것 외에도, 아이덴티티 관리 클라이언트(503)는 요청 메시지(520)에서, UE(500)가 파트너 MC 시스템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PLMN 아이덴티티를 필요로 한다는 표시 및 UE(5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MCC(Mobile Country Code) 및 MNC(Mobile Network Code); 글로벌 포지셔닝 좌표, 글로벌 셀 ID, PLMN 식별자, 사업자 ID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520)를 수신하면,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510)는 블록(530)에서 인증 절차를 개시한다.
이어서, 아이덴티티 관리 클라이언트(503)는 메시지(54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540)로부터 사용자 자격 증명(credential)을 획득하고 이들 자격 증명을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510)에 전달할 수 있다. 자격 증명은 MC 사용자 아이덴티티 및 다른 관련 자격 증명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덴티티 관리 클라이언트는 또한 UE(500)가 파트너 MC 시스템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PLMN 아이덴티티를 필요로 한다는 표시 및 UE(5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모바일 국가 코드(MCC) 및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 글로벌 포지셔닝 좌표, 글로벌 셀 ID, PLMN 식별자, 사업자 ID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510)는 그 후 화살표(550)로 도시된 바와 같이 MC 클라이언트(502)에 대한 MC 액세스를 부여하기 위한 사용자 동의를 선택적으로 획득한다.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510)는 그 후 메시지(541)에서 획득된 자격 증명을 인증하고 인증 응답(560)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응답(560)은 HTTPS Found 메시지이고, 요청 메시지(520)에 제공된 "code_challenge"와 연관된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510)에 의해 생성된 인가 코드를 포함한다.
아이덴티티 관리 클라이언트(503)는 그 후 메시지(57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510)로부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지(570)는 인가 코드를 "code_challenge"와 암호화적으로 관련된 코드 검증기(code-verifier) 문자열을 포함하는 액세스 토큰과 교환하기 위한 HTTP POST 요청으로 구성된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메시지(570)는 UE(500)가 파트너 MC 시스템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PLMN 아이덴티티를 필요로 한다는 표시 및 UE(5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모바일 국가 코드(MCC) 및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 글로벌 포지셔닝 좌표, 글로벌 셀 ID, PLMN 식별자, 사업자 ID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510)는 그 후 코드 검증기 문자열이 정확하다고 검증하고 응답 메시지(58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큰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발행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응답 메시지(580)는 MC 클라이언트가 MC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액세스 토큰과 ID 토큰이 포함된 HTTPS 200 OK 메시지로 구성된다. ID 토큰은 또한 파트너 MC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은 JWT(JavaScript Object Notation(JSON) Web Token)에 포함된다.
UE에서 수신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은 단일 파트너 MC 시스템에 대한 PLMN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은 복수의 파트너 MC 시스템에 대한 상이한 PLMN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목록은 제1 MC 시스템 식별자와 그 뒤에 제1 MC 시스템 식별자와 관련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포함한다. 그 다음에 제2 MC 시스템 식별자 및 제2 MC 시스템 식별자와 관련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 등이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은 임의의 수의 잠재적 파트너 MC 시스템에 대한 PLMN 정보를 UE에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PLMN 식별자는 다음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모바일 국가 코드,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 서비스 세트 식별자)
액세스 기술
네트워크 슬라이스
DNS 서버 어드레스
P-CSCF 어드레스
예를 들어 로컬 브레이크 아웃, S8HR 등을 위한 APN
홈 라우팅 서비스를 위한 APN.
아이덴티티 관리 클라이언트(503)가 액세스 토큰 및 ID 토큰을 획득하면, 이들은 메시지(59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MC 클라이언트(502)로 전달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510)는 1차 MC 시스템의 일부이고, 다른 실시 예에서,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510)는 파트너 MC 시스템의 일부이다.
추가적인 실시 예들에서, 아이덴티티 관리 클라이언트(503)가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획득하면, 아이덴티티 관리 클라이언트(503)는 목록을 UE(500) 내의 구성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의 프로세스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3GPP 표준에 대한 변경의 예는 부록 A에 도시되어 있다.
수신된 PLMN 식별자를 처리하는 방법 결정(Determining how to process received PLMN identifiers)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 예들에서, UE는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한 후에 위에서 논의된 UICC 기반 선택 솔루션 및 반복 선택 솔루션 중 어느 것을 실행할지 런타임에 결정할 수 있다. 수신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처리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U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절차를 도시한 도 6을 이제 참조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 상의 TE(600)는 단말기 어댑터(620)를 통하여 UICC 애플리케이션(610)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UICC 애플리케이션은 USIM일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6의 방법은 특정 MC 시스템에 대한 PLMN 선택자 목록을 저장할 수 있는 예를 들어 MC 특유의 UICC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상이한 UICC 애플리케이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말기 어댑터(620)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과 UICC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E의 운영 체제의 일부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TE(600)는 MC 클라이언트, 구성 관리 클라이언트, 아이덴티티 관리 클라이언트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담당하는 UE의 컴포넌트이다.
요청(63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TE(600)가 어느 PLMN 선택자 목록이 UICC 애플리케이션(61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한 요청을 단말기 어댑터(620)에 전송할 때 도 6의 프로세스가 시작된다. 단말기 어댑터(620)는 메시지(63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요청을 UICC 애플리케이션(610)에 전달하고, 응답(632)을 수신한다. 그 후, 단말기 어댑터(620)는 응답(633)으로서 TE(600)에 응답을 전달한다.
그 다음, TE(600)는 요청(64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PLMN 선택자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요청을 단말기 어댑터(620)에 전송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서, 선택된 PLMN 선택자 목록은 사용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이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에서, 선택된 PLMN 선택자 목록은 사업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이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에서, 선택된 PLMN 선택자 목록은 MC 조직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이다.
블록(641)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어댑터(620)는 그 후 어느 PLMN 선택자 목록이 선택되었는지 저장하고, 응답(64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TE(600)에 응답을 전송한다.
응답(642)을 수신한 후, TE(600)는 요청(65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PLMN 선택자 목록에 대한 판독 요청을 단말기 어댑터(620)에 전송한다. 단말기 어댑터(620)는 이 요청을 요청(651)으로서 UICC 애플리케이션(610)에 전달하고 UICC 애플리케이션(610)으로부터 응답(652)을 수신한다. 그 후, 단말기 어댑터(620)는 응답(653)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PLMN 선택자 목록의 내용을 다시 TE(600)로 전송한다. TE(600)는 그 후 PLMN 목록을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UE는 예를 들어 도 2의 프로세스의 블록(230) 이후 및 도 3의 프로세스의 블록(330) 이후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할 때 도 6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의 방법이 UICC 애플리케이션이 수신된 PLMN 식별자로 채워질 수 있는 PLMN 선택자 목록을 가지고 있음을 표시하면, UE는 도 2에 도시된 UICC 기반 선택 솔루션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 6의 방법은 이용 가능한 UICC 애플리케이션이 없음을 나타내며, UE는 도 3에 도시된 반복 선택 솔루션으로 진행한다.
이제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 예들에 따라 제1 트리거가 충족되었다고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 7을 참조한다. 도 7의 실시 예에서, 제1 트리거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의 변경, 예를 들어 RPLMN의 변화, SSID의 변화 등에 대응한다. 이 실시 예는 도 2의 블록(210) 및 대안적으로 도 3의 블록(310)에 대응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프로세스는 TE(700)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 변경 시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요청(730)을 단말기 어댑터(720)에 전송할 때 시작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서, 통지는 모바일 터미네이션(MT)으로부터 요청되지 않은(unsolicited) 응답 코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요청(730)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가 변경될 때 요청되지 않은 응답 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들로 MT를 구성하는 AT 커맨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어서, 블록(74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어댑터(720) 및 UICC 애플리케이션(710)은 모든 현재 액세스 기술에서 현재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를 결정하기 위하여 협력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기 어댑터(720)는 자체적으로 현재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들을 결정한다.
메시지(75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어댑터는 그 후 확인 응답(acknowledgement)을 TE(700)로 다시 전송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 예에서, 메시지(750)는 현재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의 목록을 포함한다. 현재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의 목록은 PLMN 식별자, SSID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중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가 변경되고, 이 변경은 블록(760)에서 단말기 어댑터에 의해 검출된다. 그 후, 단말기 어댑터는 메시지(77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가 변경되었다는 통지를 TE(700)에 전송한다.
이제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UICC 기반 선택 솔루션에 따라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나타내는 도 8을 참조한다.
도 8의 프로세스는 도 2의 블록(240 및 250)에 대응한다. 따라서, 프로세스의 시작에서, UE는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이미 수신했다.
프로세스는 요청(83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TE(800)가 PLMN 선택자 목록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때 시작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서, PLMN 선택자 목록은 사용자 제어 PLMN 선택자 목록이지만, 본 개시는 그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PLMN 선택자 목록이 사용될 수 있다. 요청에는 이전에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이 포함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서, 요청은 AT 커맨드 +CPOL로 구성된다.
블록(831)에서, 단말기 어댑터(820) 및 UICC 애플리케이션(810)은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 PLMN 선택자 목록을 업데이트하도록 협력한다. 전형적으로, 단말기 어댑터(820)는 UICC 애플리케이션(810)의 적절한 필드를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메시지를 UICC 애플리케이션(810)에 전송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서, UICC 애플리케이션(810)은 USIM이다.
적절한 PLMN 선택자 목록이 업데이트되었으면, 단말기 어댑터(820)는 PLMN 선택자 목록이 업데이트되었음을 표시하는 응답(832)을 TE(800)로 전송한다.
그 다음, TE(800)는 메시지(84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자동 네트워크 선택을 수행하도록 단말기 어댑터에 지시한다. 일부 경우에, 이 단계는 블록(831)에서 PLMN 선택자 목록이 업데이트된 결과, 네트워크 선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생략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 예에서, 메시지(840)는 "모드"가 0으로 설정된 AT 커맨드 +COPS로 구성된다. 0의 값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 다음, TE(800)는 메시지(85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파트너 MC 시스템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네트워크가 선택되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현재 RPLMN을 요청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 예에서, 메시지(850)는 AT 커맨드로 구성된다. 이어서, 단말기 어댑터(820)는 블록(851)에서 RPLMN을 결정하고, 응답(86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RPLMN으로 TE(800)에 응답한다.
블록(870)에서, TE(800)는 RPLMN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PLMN의 목록의 일부라는 것을 검증한다. RPLMN이 목록의 일부이면, UE는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UE는 예를 들어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예를 들어 반복 선택 솔루션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PLMN의 목록으로부터 PLMN을 선택하려고 재시도하는 것과 같은 일부 오류 처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반복 선택 솔루션에 따라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나타내는 도 9를 참조한다.
도 9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도 3의 블록(340, 350 및 351)에 대응한다. 따라서, 프로세스의 시작시에, UE는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이미 수신하였다.
메시지(93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TE(900)가 단말기 어댑터(920)에게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때, 프로세스는 시작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지(930)는 AT 커맨드로 구성된다.
블록(931)에서, 단말기 어댑터(920)는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응답(932)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의 목록으로 TE(900)에 응답한다.
블록(940)에서, TE(900)는 메시지(932)에서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 및 단말기 어댑터(920)로부터 수신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의 목록에 기초하여 PLMN 식별자의 서브 세트를 생성한다. 블록(940)에서 생성된 서브 세트는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 및 단말기 어댑터로부터 수신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의 목록 모두에 공통인 모든 PLMN 식별자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서, 서브 세트는 정렬된 우선 순위 목록이다. 우선 순위는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의 기존 우선 순위에 기초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다른 요인들에 기초하여 UE에서 생성될 수 있다.
후보 PLMN 식별자의 서브 세트가 생성되면, TE(900)는 메시지(95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서브 세트로부터 선택된 PLMN 식별자의 등록을 요청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PLMN 식별자가 서브 세트의 마지막 식별자가 아닌 경우 메시지(950)는 "모드"가 1로 설정된 AT 커맨드로 구성되고, PLMN 식별자가 서브 세트의 마지막 식별자인 경우 "모드"가 4로 설정된 AT 커맨드로 구성된다. 이것은 UE가 서브 세트의 마지막 PLMN 식별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등록하려고 시도할 때 자동 네트워크 선택 폴백을 허용하지만, 이전에는 그렇지 않다.
블록(951)에서, 단말기 어댑터(920)는 선택된 PLMN 식별자로 등록을 시도하고, 화살표(95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이 성공적이었는지 여부를 TE(900)로 다시 보고한다. 등록이 성공적이면, UE는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UE는 예를 들어 오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PLMN의 목록으로부터 PLMN을 선택하려고 재시도하는 것과 같은 일부 오류 처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1차 MC 시스템으로 돌아가기(Returning to Primary MC System)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한 UE가 자신의 1차 MC 시스템으로 돌아 가기를 희망하면,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UE를 자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로 되돌릴 수 있다. UE는 사용자 입력으로 인해, UE가 재부팅되거나 전원이 꺼졌다가 켜진 것으로 인하여, 또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비활성화 및 재활성화된 경우 또는 다른 유사한 이유로 자신의 1차 MC 시스템으로 돌아올 수 있다. UE가 위에서 설명한 UICC 기반 선택 솔루션을 사용하여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고 UICC 애플리케이션에서 PLMN 선택자 목록을 업데이트했다면, TE에 의해 저장된 PLMN 선택자 목록의 이전(old) 값이 UICC 애플리케이션에 다시 기입된다.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가 도 10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사용자 장비(1000)는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능력 또는 둘 다를 갖는 양방향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00)는 일반적으로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능력을 갖는다. 제공되는 정확한 기능에 따라, 사용자 장비는 예로서 데이터 메시징 디바이스, 양방향 호출기, 무선 전자 메일 디바이스, 스마트 폰, 데이터 메시징 기능을 갖춘 셀룰러 폰, 무선 인터넷 기기, 무선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내장 셀룰러 모뎀 또는 데이터 통신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00)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경우, 그것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요소(1016 및 1018),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 LO)(1013), DSP(digital signal processor)(1020)와 같은 처리 모듈과 같은 관련 컴포넌트뿐만 아니라 수신기(1012) 및 송신기(1014)를 포함하는 통신 서브 시스템(1011)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통신 서브 시스템(1011)의 특정 설계는 사용자 장비가 동작하도록 의도된 통신 네트워크에 의존할 것이다.
네트워크 액세스 요건은 또한 네트워크(1019)의 유형에 따라 변할 것이다. 일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액세스는 사용자 장비(1000)의 가입자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다.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내장형 또는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또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또는 USIM(UMTS SIM)을 필요로 할 수 있다. USIM/SIM/RUIM 인터페이스(1044)는 일반적으로 USIM/SIM/RUIM 카드가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는 카드 슬롯과 유사하다. USIM/SIM/RUIM 카드는 메모리를 가질 수 있고 많은 주요 구성들(1051), 및 식별과 같은 다른 정보(1053) 및 가입자 관련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네트워크(1019) 대신에, 사용자 장비(1000)는 차량, 길가 인프라, 다른 사용자 장비, 또는 다른 피어-투-피어 통신과 같은 비-액세스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필요한 네트워크 등록 또는 활성화 절차가 완료되었을 때, 사용자 장비(1000)는 네트워크(1019)를 통하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1019)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019)를 통하여 안테나(1016)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신호 증폭, 주파수 다운 변환, 필터링, 채널 선택 등과 같은 일반적인 수신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신기(1012)에 입력된다. 수신된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은 복조 및 디코딩과 같은 보다 복잡한 통신 기능이 DSP(1010)에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전송될 신호가 DSP(1020)에 의해 변조 및 인코딩을 포함하여 처리되고,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 주파수 업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안테나(1018)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1019)를 통한 전송을 위하여 송신기(1014)에 입력된다. DSP(1020)는 통신 신호를 처리할 뿐만 아니라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1012) 및 송신기(1014)에서 통신 신호에 적용되는 이득은 DSP(1020)에서 구현된 자동 이득 제어 알고리즘을 통하여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00)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038)를 포함한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 기능은 통신 서브 시스템(1011)을 통하여 수행된다. 프로세서(1038)는 또한 디스플레이(1022), 플래시 메모리(1024),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26), 보조 입/출력(I/O) 서브 시스템(1028), 직렬 포트(1030), 하나 이상의 키보드 또는 키패드(1032), 스피커(1034), 마이크로폰(1036), 단거리 통신 서브 시스템 또는 DSRC 서브 시스템과 같은 다른 통신 서브 시스템(1040) 및 일반적으로 1042로 지정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서브 시스템과 같은 추가 디바이스 서브 시스템과 상호 작용한다. 직렬 포트(1030)는 USB 포트, OBD(On-Board Diagnostics) 포트 또는 당 업계에 알려진 다른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서브 시스템 중 일부는 통신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다른 서브 시스템은 "상주(resident)" 또는 온 디바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키보드(1032) 및 디스플레이(1022)와 같은 일부 서브 시스템은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위한 문자 메시지 입력과 같은 통신 관련 기능 및 계산기 또는 작업 목록과 같은 디바이스 상주 기능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038)에 의해 사용되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플래시 메모리(1024)와 같은 영구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대신에 ROM(read-only memory) 또는 유사한 저장 요소(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당업자는 운영 체제, 특정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그 일부가 RAM(1026)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로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수신된 통신 신호는 또한 RAM(1026)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1024)는 컴퓨터 프로그램(1058) 및 프로그램 데이터 스토리지(1050, 1052, 1054 및 1056) 모두에 대하여 상이한 영역으로 분리(segregate)될 수 있다. 이들 상이한 스토리지 유형은 각각의 프로그램이 자체 데이터 스토리지 요구 사항을 위하여 플래시 메모리(1024)의 일부를 할당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프로세서(1038)는 그 운영 체제 기능 외에 사용자 장비 상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재적인 데이터 및 음성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기본 동작을 제어하는 미리 결정된 애플리케이션 세트는 일반적으로 제조 동안 사용자 장비(1000) 상에 설치될 것이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후속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광학(예를 들어, CD, DVD 등), 자기(예를 들어, 테이프)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다른 메모리와 같은 유형의(tangible) 또는 일시적/비일시적 매체일 수 있다.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메일, 메시지, 캘린더 이벤트, 음성 메일, 약속 및 작업 항목과 같은(이에 제한되지 않음) 사용자 장비의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 항목을 조직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개인 정보 관리자(personal information manager, PIM)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무엇보다 생산성 애플리케이션,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등을 포함하는 추가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네트워크(1019), 보조 I/O 서브 시스템(1028), 직렬 포트(1030), 근거리 통신 서브 시스템(104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서브 시스템(1042)을 통하여 사용자 장비(1000)에 로드될 수 있고, 프로세서(1038)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RAM(1026) 또는 비휘발성 저장소(도시되지 않음)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다. 애플리케이션 설치에서의 이러한 유연성은 디바이스의 기능성을 증가시키고 향상된 온-디바이스 기능, 통신 관련 기능 또는 둘 다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문자 메시지 또는 웹 페이지 다운로드와 같은 수신된 신호는 통신 서브 시스템(1011)에 의해 처리되고 프로세서(1038)에 입력될 것이고, 이는 수신된 신호를 디스플레이(1022)로 또는 대안적으로 보조 I/O 디바이스(1028)로 출력하기 위하여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00)의 사용자는 또한 예를 들어, 키보드(1032)를 사용하여 메시지와 같은 데이터 항목을 작성(compose)할 수 있으며, 키보드는 디스플레이(1022) 및 가능하게는 보조 I/O 디바이스(1028)와 함께 무엇보다도 물리적이든 가상이든 완전한 영숫자 키보드 또는 전화형 키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작성된 항목은 그 후 통신 서브 시스템(1011)을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음성 통신이 제공되는 경우, 수신된 신호가 전형적으로 스피커(1034)로 출력될 수 있고 송신을 위한 신호가 마이크로폰(1036)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사용자 장비(1000)의 전체 동작은 유사하다. 음성 메시지 녹음 서브 시스템과 같은 대안적인 음성 또는 오디오 I/O 서브 시스템은 사용자 장비(1000) 상에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 출력은 바람직하게는 스피커(1034)를 통하여 주로 달성되지만, 디스플레이(1022)는 또한 예를 들어 발신자의 아이덴티티의 표시, 음성 통화 시간 또는 기타 음성 통화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의 직렬 포트(1030)는 사용자의 데스크탑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와의 동기화가 바람직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선택적 디바이스 컴포넌트이다. 이러한 포트(1030)는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선호도(preference)를 설정할 수 있게 하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사용자 장비(1000)에 정보 또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장비(1000)의 능력을 확장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직렬 포트(1030)는 또한 사용자 장비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모뎀으로서 동작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 상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단거리 통신 서브 시스템과 같은 다른 통신 서브 시스템(1040)은 사용자 장비(1000)와 상이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컴포넌트이며, 이것은 반드시 유사한 디바이스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서브 시스템(1040)은 유사하게 활성화된 시스템 및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외선 디바이스 및 관련 회로 및 컴포넌트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시스템(1040)은 WUR 무선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시스템(1040)은 DSRC 무선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시스템(1040)은 Wi-Fi 또는 WiMAX와 같은 비-셀룰러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무선 기기는 일부 환경에서 분할(split)될 수 있다.
전술한 네트워크 요소는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가 도 11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다. 네트워크 요소(1110)는 프로세서(1120) 및 통신 서브 시스템(1130)을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세서(1120) 및 통신 서브 시스템(1130)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협력한다.
프로세서(1120)는 도 11의 예에서 메모리(1140)로서 도시된, 네트워크 요소(1110) 상에 데이터와 함께 저장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로직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140)는 광학(예를 들어, CD, DVD 등), 자기(예를 들어, 테이프),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다른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tangible)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메모리(1140)에 부가하여, 서버(1110)는 예를 들어 통신 서브 시스템(1130)을 통하여 외부 저장 매체로부터 데이터 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에 액세스할 수 있다.
통신 서브 시스템(1130)은 서버(1110)가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서버(1110)의 다양한 요소들 사이의 통신은 일 실시 예에서 내부 버스(116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통신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 예는 본 출원의 기법의 요소에 대응하는 요소를 갖는 구조, 시스템 또는 방법의 예이다. 이러한 기재된 설명은 당업자가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기법의 요소에 대응하는 대안의 요소를 갖는 실시 예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기법의 의도된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기법과 상이하지 않은 다른 구조, 시스템 또는 방법을 포함하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출원의 기법과 사소한(insubstantial) 차이가 있는 다른 구조, 시스템 또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동작들이 특정 순서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될 것을 요구하거나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수행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 멀티 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위에서 설명된 구현에서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모든 구현에서 이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신호 소프트웨어 제품에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구현에서 별개로 또는 별도로 설명되고 도시된 기법, 시스템, 서브 시스템 및 방법은 다른 시스템, 모듈, 기법 또는 방법과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서로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거나 논의된 다른 항목들은 전기적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일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또는 중간 컴포넌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통신할 수 있다. 변경(change), 대체(substitution) 및 교체(alternation)의 다른 예가 당업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으며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현에 적용되는 본 개시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을 도시하고 설명하고 지적하였지만, 도시된 시스템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생략, 대체 및 변경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방법 단계의 순서는 청구항에 나타나는 순서에 의해 암시되지 않는다.
메시지가 전자 디바이스로/로부터 전송될 때, 그러한 동작은 즉각적(immediate)이거나 서버로부터 직접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방법/시스템을 지원하는 서버 또는 다른 컴퓨팅 시스템 인프라로부터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는 디바이스/인프라와의 동기/비동기 통신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로부터의 통신은 네트워크 상의 하나 이상의 엔드 포인트로의 통신일 수 있다. 이들 엔드 포인트는 서버, 분산 컴퓨팅 시스템, 스트림 프로세서 등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다.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은 또한 전자 디바이스에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전형적인 서버 응답이 아니라, 전자 디바이스의 후속 활동과 같이 나중에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다운로드를 대기하기 위하여 CDN(content delivery network)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는 서버로부터, 또는 시스템의 일부로서 또는 시스템과 별도로 분산 인프라 또는 CDN과 같은 다른 인프라로부터 직접 전송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저장 매체는 동적 또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또는 SRAM)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EPROM, 및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고정, 플로피 및 이동식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테이프를 포함하는 다른 자기 매체; CD(compact disk) 또는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학 매체; 또는 다른 유형의 저장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 또는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명령어들은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또는 머신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제공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가능한 복수의 노드를 갖는 큰 시스템에 분산된 다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또는 머신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제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또는 머신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매체들은 물품(또는 제조 물품)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된다. 물품 또는 제조 물품은 임의의 제조된 단일 컴포넌트 또는 다중 컴포넌트를 지칭할 수 있다. 저장 매체 또는 매체들은 머신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머신 내에 위치되거나, 머신 판독 가능 명령어들이 실행을 위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될 수 있는 원격 사이트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세부 사항이 설명된다. 그러나, 일부 이러한 세부 사항들 없이 구현이 실시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은 위에서 논의된 세부 사항들로부터의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첨부된 청구 범위는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 내용의 추가 양태는 다음 절에서 제공된다.
A.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UE를 등록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에 등록하려는 시도가 성공하면 PLMN 식별자와 관련된 IMS(Internet Protocol(IP) Multimedia Sub-system)에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B. 제A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 전에,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표시 및 상기 UE에 대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C. 제A항에 있어서, 상기 IMS는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MC) 시스템과 관련되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D. 제C항에 있어서, 상기 MC 시스템은 파트너 MC 시스템이고,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은 상기 UE의 1차 MC 시스템과 구별되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E. 제A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MC 서비스 UE인 것인 PLMN 선택 방법.
F. 제A항에 있어서, 상기 UE의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G. 제D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구성 관리 서버인 것인 PLMN 선택 방법.
H. 제G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관리 서버는 1차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I. 제G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관리 서버는 1차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J. 제A항에 있어서, PLMN 식별자의 서브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세트는 상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이용 가능한 PLMN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K. 제D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인 것인 PLMN 선택 방법.
L. 제K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는 1차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M. 제K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는 1차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N. 제J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시도는 성공적인 등록까지 상기 서브 세트로부터 각각의 PLMN 식별자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O. 제B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UE가 PLMN을 변경하는 것, 타이머 만료, 상기 UE의 PLMN이 상기 UE에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 및 상기 UE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PLMN 선택 방법.
P. 제F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 전에: 상기 UE의 USIM(Universal Mobile Telephony System(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PLMN 식별자들로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갖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Q. 제J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 전에: 상기 UE의 USIM이 PLMN 식별자들로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갖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R. 제B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UE에서의 이용 가능한 PLMN의 목록을 더 포함하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S. 제F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store) 단계 전에 상기 UICC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필드의 값을 저장(save)하는 단계; 제2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드에 상기 저장(save)된 값을 저장(stor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PLMN 선택 방법.
T. 사용자 장비(UE)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통신 서브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 서브 시스템은: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하고;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UE를 등록하려고 시도하며; 네트워크에 등록하려는 시도가 성공하면 PLMN 식별자와 관련된 IMS에 SIP 등록을 수행하기 위하여 협력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U. 제T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 서브 시스템은 또한, 상기 수신 전에: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표시 및 상기 UE에 대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송하기 위하여 협력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V. 제T항에 있어서, 상기 IMS는 미션 크리티컬(MC) 시스템과 연관된 것인 사용자 장비.
W. 제V항에 있어서, 상기 MC 시스템은 파트너 MC시스템이고,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은 상기 UE의 1차 MC 시스템과 구별되는 것인 사용자 장비.
X. 제T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MC 서비스 UE인 것인 사용자 장비.
Y. 제T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 서브 시스템은 또한 상기 UE의 UICC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저장하기 위하여 협력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Z. 제W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구성 관리 서버인 것인 사용자 장비.
AA. 제Z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관리 서버는 상기 1차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사용자 장비.
BB. 제Z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관리 서버는 상기 1차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사용자 장비.
CC. 제T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 서브 시스템은 또한 PLMN 식별자의 서브 세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협력하고, 상기 서브 세트는 상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이용 가능한 PLMN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DD. 제W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인 것인 사용자 장비.
EE. 제DD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는 상기 1차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사용자 장비.
FF. 제DD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는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사용자 장비.
GG. 제CC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시도는 성공적인 등록까지 상기 서브 세트로부터 각각의 PLMN 식별자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HH. 제U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UE가 PLMN을 변경하는 것, 타이머 만료, 상기 UE의 PLMN이 상기 UE에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 및 상기 UE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사용자 장비.
II. 제Y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 서브 시스템은 또한 상기 저장 전에: 상기 UE의 USIM(Universal Mobile Telephony System(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PLMN 식별자들로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갖는다고 결정하기 위하여 협력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JJ. 제CC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 서브 시스템은 또한 상기 생성 전에: 상기 UE의 USIM이 PLMN 식별자들로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갖지 않는다고 결정하기 위하여 협력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KK. 제U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UE에서의 이용 가능한 PLMN의 목록을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LL. 제Y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 서브 시스템은 또한 상기 저장 전에: 상기 UICC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필드의 값을 저장(save)하고; 제2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하며; 상기 결정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드에 상기 저장(save)된 값을 저장(store)하기 위하여 협력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MM. 사용자 장비(UE)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코드를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하고;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UE를 등록하려고 시도하며; 네트워크에 등록하려는 시도가 성공하면 PLMN 식별자와 관련된 IMS에 SIP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NN. 제MM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수신 전에: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표시 및 상기 UE에 대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OO. 제MM항에 있어서, 상기 IMS는 미션 크리티컬(MC) 시스템과 연관된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PP. 제OO항에 있어서, 상기 MC 시스템은 파트너 MC시스템이고,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은 상기 UE의 1차 MC 시스템과 구별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QQ. 제MM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MC 서비스 UE인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RR. 제MM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UE의 UICC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저장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SS. 제PP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구성 관리 서버인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TT. 제SS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관리 서버는 상기 1차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UU. 제SS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관리 서버는 상기 1차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VV. 제MM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PLMN 식별자의 서브 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세트는 상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이용 가능한 PLMN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WW. 제PP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인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XX. 제WW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는 상기 1차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YY. 제WW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덴티티 관리 서버는 상기 1차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ZZ. 제VV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시도는 성공적인 등록까지 상기 서브 세트로부터 각각의 PLMN 식별자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AAA. 제NN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UE가 PLMN을 변경하는 것, 타이머 만료, 상기 UE의 PLMN이 상기 UE에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 및 상기 UE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BBB. 제RR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저장 전에: 상기 UE의 USIM(Universal Mobile Telephony System(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PLMN 식별자들로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갖는다고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CC. 제VV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생성 전에: 상기 UE의 USIM이 PLMN 식별자들로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갖지 않는다고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DDD. 제NN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UE에서의 이용 가능한 PLMN의 목록을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EEE. 제SS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저장(store) 전에 상기 UICC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필드의 값을 저장(save)하고; 제2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하며; 상기 결정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드에 상기 저장(save)된 값을 저장(store)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FFF.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상기 UE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고 싶어한다는 표시 및 상기 UE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각각 파트너 MC 시스템과 관련된 PLMN을 식별하는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상기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방법.
GGG. 제FFF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C UE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방법.
HHH. 제FFF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UE에서 이용 가능한 PLMN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방법.
III. 제FFF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방법.
JJJ. 제FFF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UE에 대한 1차 MC 시스템의 일부인 것인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방법.
KKK. 제JJJ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에 대한 상기 UE 액세스를 허용해달라는 요청을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방법.
LLL. 제KKK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UE와 관련된 MC ID, 상기 1차 MC 시스템의 마이그레이션 관리 서버의 식별자, 1차 MC 시스템의 SIP 아이덴티티, 및 어느 PLMN 및 어느 RAT(Radio Access Technology)가 상기 UE에 이용 가능한지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방법.
MMM. 제KKK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의 서버로부터 상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방법.
NNN. 제FFF항에 있어서, 상기 MC UE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방법.
OOO. 제FFF항에 있어서, 상기 MC 서버는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의 일부인 것인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방법.
PPP.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미션 크리티컬(MC) 서비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PLMN 식별자를 검출하는 단계; MC 서비스를 액세스하기 위한 PLMN 선택에 대한 필요성을 결정하는 단계; 현재 RPLMN(Registered 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제1 값 및 현재 PLMN 선택 모드의 제2 값을 저장하는 단계; PLMN 선택의 자동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및 PLMN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PLMN의 식별자는 MC 서비스에 대한 PLMN 식별자들로부터 나온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방법.
QQQ. 제PPP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MC 서비스에 대한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방법.
RRR. 제PPP항에 있어서, 상기 PLMN의 네트워크에 등록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상기 PLMN의 네트워크에 등록하려고 시도하는 것에 후속하여, 상기 PLMN의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IMS에 SIP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방법.
SSS. 제QQQ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UE에 대한 1차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방법.
TTT. 제QQQ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UE에 대한 파트너 MC 시스템에 있는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방법.
부록 A
A.1 3GPP TS 33.180에 대한 변경 제안
B2.1 ID 토큰
B.2.1.1 일반
ID 토큰은 JSON 웹 토큰(JSON Web Token, JWT)이며 다음 표준 및 MCX 토큰 클레임을 포함한다. 토큰 클레임은 추가 클레임 뿐만 아니라 IdM 서버에 의한 MCX 사용자의 인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절은 MCX Connect 프로파일에 대한 필요한 표준 및 MC 클레임을 프로파일한다.
B.2.1.3PLMN 클레임
PLMN 프로파일은 표 B.2.1.3-1에 표시된 추가 클레임으로 OpenID Connect 표준 클레임을 확장한다.
표 B.2.1.3-1: ID 토큰 UICC 클레임
B.3.1.3 토큰 요청
인가(authorization) 코드를 ID 토큰, 액세스 토큰 및 리프레시 토큰과 교환하기 위해 MCX 클라이언트는 HTTP 요청 엔티티 본문에서 UTF-8의 문자 인코딩을 사용하여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포맷을 사용하여 다음 파라미터를 전송함으로써 인가 서버의 토큰 엔드 포인트에 요청한다. 인가 코드를 액세스 토큰으로 교환하려면 (PKCE를 사용하는) 원시(native)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클라이언트 인증이 요구된다(REQUIRED)는 것을 주목한다. 클라이언트 시크릿이 사용된다고 가정하면 클라이언트 시크릿이 HTTP 인가 헤더에서 전송된다. 토큰 요청 표준 파라미터가 표 B.3.1.3-1에 도시되어 있다.
표 B.3.1.3-1: 토큰 요청 표준 필요 파라미터
MCX Connect에 대한 토큰 요청의 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예:
B.3.1.4 토큰 응답
액세스 토큰 요청이 유효하고 인가되면, IdM 서버는 ID 토큰, 액세스 토큰 및 리프레시 토큰을 MCX 클라이언트에 리턴하고; 그렇지 않으면 오류를 리턴할 것이다.
성공적인 응답의 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예:
MCX 클라이언트는 이제 ID 토큰으로 사용자를 확인하고 사용자를 위하여 (예를 들어, ID 토큰으로부터 MC 서비스 ID를 추출함으로써) 자신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MCX 클라이언트는 액세스 토큰을 사용하여 최종 사용자 대신 MCX 자원 서버(MCPTT 서버, MCVideo 서버, MCData 서버, KMS 등)에 인가된 요청을 한다.
부록 C(정보 제공):
OpenID connect 세부 흐름
C.1 OpenID Connect를 이용한 MC 사용자 인증 및 등록에 대한 세부 흐름
도 12A와 12B는 부록 B에 설명된 OpenID Connect 메시지를 사용한 MC 사용자 인증 및 등록에 대한 세부 흐름을 보여준다.
단계 0: UE(1200)는 3GPP TS 33.401[14]에 정의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정상적인 접속을 설정하고 네트워크 보안을 셋업한다. 홈 IMS 네트워크에서 로컬 P-CSCF가 이 시점에 발견된다.
단계 1: UE IMS/SIP 클라이언트(1203)는 1차(primary) IMS/SIP 코어(1206)에 인증한다. IMS 인증의 경우, 3GPP TS 33.203[9]가 적용된다.
단계 2: IMS/SIP 코어(1206)는 MCX 애플리케이션 서버(들)(1207)에 SIP 제3자 등록을 전송하여 이들에게 MC UE SIP 등록을 통지한다. 제3자 REGISTER 메시지에는 등록된 IMPU 및 S-CSCF의 SIP-URI 또는 IP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단계 3a: UE의 IdM 클라이언트(1203)는 MC 네트워크(1209)의 OIDC 기반 IdM 서버(1208)에 HTTPS 인증 요청을 발행한다. 클라이언트는 이 요청에서 code_challenge 값을 포함한다.
단계 3b: MC 사용자 아이덴티티 및 관련 자격 증명이 IdM 서버(1208)에 제공된다. 자격 증명은 IdM 서버(1208)에 의해 성공적으로 인증(및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a) 단계 3a, 3b 또는 3e의 일부로서, UE는 IdM 서버로 전송된 메시지에 다음 정보를 포함한다:
b) MC UE의 위치.
c) 파트너 MC 시스템에 액세스하려면 PLMN ID가 필요하다.
단계 3c: IdM 서버(1208)는 선택적으로 MCX 클라이언트(1202)에게 MCX 서버의 MCX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 동의를 요청할 수있다.
단계 3d: IdM 서버(1208)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된 code_challenge와 관련된 인가 코드를 생성한다. IdM 서버(1208)는 인가 코드가 포함된 인가 응답과 함께 브라우저 리디렉트 HTTP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3e: UE IdM 클라이언트(1203)는 HTTP POST 요청을 수행하여 인가 코드를 액세스 토큰과 교환한다. 요청에서 클라이언트는 코드-검증자(code-verifier) 문자열을 포함한다. 이 문자열은 단계 3a의 인가 요청에 제공된 code_challenge 값과 암호로 연관된다.
단계 3f: IdM 서버(1208)는 수신된 코드-검증자 문자열에 기초하여 IdM 클라이언트(1203)를 검증하고 그에 포함된 (MC 사용자 및 MCX 서비스(들)에 특유한) ID 토큰 및 액세스 토큰을 가진 200 OK를 발행한다. ID 토큰에는 파트너 MC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어야 하는 PLMN 아이덴티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JSON 웹 토큰 클레임이 포함된다.
참고: 서버는 수신된 code_verifier로부터 코드 챌린지를 계산하고 이를 단계 3a에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된 code_challenge 값과 비교함으로써 검증한다.
단계 3g : 액세스 토큰 및 ID 토큰이 MCX 클라이언트(들)(1202)에 이용 가능하게 된다.
단계 4: MC UE(1200)는 사용자 서비스 인가를 수행한다.
부록 B
3GPP TS 23.122에 대한 변경 제안
3.1D MC 마이그레이션에 의해 트리거된 PLMN 선택
MS가 하나 이상의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를 지원하고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PLMN 선택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MS는 다음과 같이 진행해야 한다.
i)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으로 인한 PLMN 선택이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으로 인한 다른 PLMN 선택 또는 하위 조항 4.4.3.1.3.3에 명시된 수동 CSG 선택을 따르지 않는 한, MS는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으로 인한 PLMN 선택이 개시되기 전에 RPLMN의 중복(duplicate) 값과 PLMN 선택 모드의 중복을 저장해야 한다.
ii) MS는 아래 항목 iii)에서 x)까지의 추가 요건을 고려하여 하위 조항 4.4에 규정된 대로 PLMN 선택의 자동 모드로 진입해야 한다.
iii) 3GPP TS 2x.MCstage3[xx] 또는 3GPP TS 31.102[40]에 명시된 바와 같이 MC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MS에 프로비저닝된 무선 자원에서 동작하는 E-UTRA 셀에 의해 광고되는 PLMN 중에서, MS는 다음을 만족하는 하나의 허용 가능한 PLMN을 선택해야 한다:
1) 필요한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무선 리소스를 제공한다;
2) 3GPP TS 2x.MCstage3[xx]에 명시된 바와 같이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인가된 PLMN의 목록 내에 있다;
3) 하위 조항 3.1에 명시된 바와 같이 "E-UTRAN이 있는 PLMN은 허용되지 않음(PLMNs with E-UTRAN not allowed)"의 목록에 없다.
위의 1)부터 3)까지의 조건이 충족되면 MS는 해당 PLMN에 등록을 시도해야 한다. 어떤 PLMN도 상기 1) 내지 3)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MS는 저장된 중복 PLMN 선택 모드로 되돌아가서 추가 조치를 위해 저장된 RPLMN의 중복 값을 사용해야 한다.
iv) "PLMN이 허용되지 않음(PLMN not allowed)" 또는 "EPS 서비스가 허용되지 않음(EPS services not allowed)"으로 인해 등록에 실패한 경우 MS는 하위 조항 3.1에 명시된 바와 같이, 금지된 PLMN의 적절한 목록을 업데이트해야 하며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해야 한다:
A) 저장된 복제 PLMN 선택 모드로 돌아가서 추가 조치를 위해 저장된 RPLMN 복제 값을 사용하거나;
B) MS가 등록하지 못한 PLMN을 추가로 제외하고 PLMN을 선택하여 iii)에 설명된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MS가 상기 A) 또는 B)를 수행하는지 여부는 MS 구현에 달려있다.
v) "PLMN이 허용되지 않음" 또는 "EPS 서비스가 허용되지 않음" 이외의 원인으로 인해 등록에 실패한 경우, MS는:
- 실패의 처리가 금지된 PLMN의 목록을 업데이트할 것을 요구한다면, (3GPP TS 24.301[23A]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 실패의 처리가 (3GPP TS 24.301[23A]에 명시된 바와 같이) 금지된 PLMN의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PLMN을 MS가 등록하지 못한 PLMN으로서 기억한다.
참고 1: MS가 등록에 실패한 PLMN을 얼마나 오래 기억하는가는 구현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MS는:
A1) 저장된 복제 PLMN 선택 모드로 돌아가서 추가 조치를 위해 저장된 RPLMN 복제 값을 사용하거나;
B1) MS가 등록에 실패한 PLMN을 추가로 제외하고 PLMN을 선택하여 iii)에 설명된 동작을 다시 수행해야 한다.
MS가 상기 A1) 또는 B1)을 수행하는지 여부는 MS 구현에 달려있다.
vi) MS가 더 이상 선택된 PLMN의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다면, MS는 저장된 복제 PLMN 선택 모드로 되돌아가서 추가 조치를 위해 저장된 RPLMN의 중복 값을 사용해야 한다.
vii) MS가 선택된 PLMN에서 적절한 셀을 찾을 수 없다면, MS는 저장된 복제 PLMN 선택 모드로 되돌아가서 추가 조치를 위해 저장된 RPLMN의 중복 값을 사용해야 한다.
viii) 선택된 PLMN에 있는 동안 MS를 스위치 오프했다가 다시 스위치 온하면, MS는 저장된 RPLMN의 중복 값을 RPLMN으로서 사용하고 하위 조항 4.4.3.1에 명시된 바와 같이 동작해야 한다.
ix) 사용자가 선택된 셀에 있는 동안 PLMN 선택을 개시하면, MS는 저장된 PLMN 선택 모드의 중복 값을 삭제하고, 저장된 RPLMN의 중복 값을 RPLMN으로서 사용하고, 하위 조항 4.4.3.1에서의 (스위치 온 또는 커버리지 부족으로 인한 복구에 대하여 명시된) 절차를 따라야 한다. MS가 선택된 PLMN에 성공적으로 등록하면 MS는 저장된 RPLMN의 중복 값을 삭제해야 하고;
x) 만약 MS가 더 이상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면, MS는 저장된 중복 PLMN 선택 모드로 되돌아가서 추가 조치를 위해 저장된 RPLMN의 중복 값을 사용해야 한다.
참고 2: MS가 선택한 PLMN에 등록하지 못해 RPLMN으로 돌아오면, MS의 상위 계층은 PLMN 선택을 다시 트리거하여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을 개시할 수 있다.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선택된 PLMN이 VPLMN인 경우, MS는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의 기간 동안 우선 순위가 더 높은 PLMN을 주기적으로 스캔하지 않아야 한다.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선택된 PLMN과 RPLMN 간의 잠재적인 핑퐁을 방지하는 솔루션은 MS 구현에 따라 다르다.
부록 C
A.3 3GPP TS 24.379에 대한 변경 제안
A.3.1 대안 1
7 등록 및 서비스 인가
7.1 일반
이 조항은 MCPTT 클라이언트 및 MCPTT 서비스에 대한 MCPTT 서비스 인가 및 SIP 등록을 위한 절차를 설명한다. MCPTT UE는 MCPTT 서비스 설정을 위해 SIP REGISTER 또는 SIP PUBLISH를 사용하여, MCPTT에 대한 서비스 인가를 수행할 수 있다. 어느 방법을 사용할지의 결정은 3GPP TS 24.482[49]에 설명된 대로 사용자 인증 절차의 결과로서 수신된 액세스 토큰의 가용성 및 구현에 기초한다. MCPTT 클라이언트 및 MCPTT 서비스에 대한 MCPTT 서비스 인가 및 SIP 등록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UE가 선호하는 PLMN을 사용하려는 경우, UE는 3GPP TS23.122[9]에 명시된 바와 같이 미션 크리티컬 등록 및 서비스 인가에 의해 트리거된 PLMN 선택을 수행한다.
다른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MCVideo, MCData)가 MCPTT 클라이언트와 동일한 MC UE에서 동시에 동작하고 있다면, MCPTT 클라이언트는 다른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와 동일한 SIP 등록을 공유한다. 이 조항의 SIP REGISTER 절차는 다른 동작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대한 SIP REGISTER 절차와 결합하여 단일 SIP REGISTER 요청을 생성한다. MCPTT 클라이언트가 등록할 때 다른 MC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이미 동작 중인 경우, 다른 동작 MC 서비스에 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재 등록이 수행된다.
SIP REGISTER를 사용하는 다른 MC 서비스와 함께 MCPTT에 대한 서비스 인가를 수행할 때 다른 MC 서비스의 경우 액세스 토큰이 MCPTT 서비스에 대하여 동일할 수 있지만 각 MC 서비스에 대한 멀티 파트 MIME 본문(body)이 SIP REGISTER 요청에 포함된다. 따라서 MCPTT 서버는 SIP REGISTER 요청에서 멀티 파트 MIME 본문을 수신할 수 있다. 다수의 연락(contact) 어드레스(MC 서비스 클라이언트 당 하나)가 제공된 SIP REGISTER 요청에 포함될 수 있고, 이들은 모두 동일한 IP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한다(단일 SIP REGISTER 요청에 다수의 연락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에 대한 추가 상세 내용은 3GPP TS 24.229[4]를 참조한다).
MCPTT 클라이언트가 MCPTT 서비스에서 로그 오프하지만 다른 MC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등록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 MC UE는 SIP REGISTER 요청의 Contact 헤더 필드에 "urn:urn-7:3gpp-service.ims.icsi.mcptt" 값을 포함한 g.3gpp.icsi-ref 미디어 피처 태그 및 g.3gpp.mcptt 미디어 피처 태그가 없지만 나머지 동작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대한 파라미터를 가지고 3GPP TS 24.229[4]에 명시된 바와 같이 재등록을 수행한다.
UE가 선호(preferred) PLMN을 사용하고자 하는 단계는 UE가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에 선호되는 적어도 하나의 PLMN을 갖는 목록을 갖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호 PLMN을 사용하고자 하는 단계는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PLMN이 이용 가능하다는 UE의 하위 계층으로부터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PLMN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하나의 선호 PLMN을 갖는 목록 상의 PLMN과 일치하는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PLMN은 셀을 통해 이용 가능한 PLM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E가 선호 PLMN을 사용하고자 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선호 PLMN을 사용하고자 한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3.2 대안 2
7 등록 및 서비스 인가
7.1 일반
이 조항은 MCPTT 클라이언트 및 MCPTT 서비스에 대한 MCPTT 서비스 인가 및 SIP 등록에 대한 절차를 설명한다. MCPTT UE는 MCPTT 서비스 설정을 위해 SIP REGISTER 또는 SIP PUBLISH를 사용하여 MCPTT에 대한 서비스 인가를 수행할 수 있다. 어느 방법을 사용할지의 결정은 3GPP TS 24.482[49]에 설명된 대로 사용자 인증 절차의 결과로서 수신된 액세스 토큰의 가용성 및 구현에 기초한다. MCPTT 클라이언트 및 MCPTT 서비스에 대한 MCPTT 서비스 인가 및 SIP 등록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UE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려는 경우, UE는 3GPP TS23.122[9]에 명시된 바와 같이 PLMN 선택이 트리거한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MC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한다.
다른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MCVideo, MCData)가 MCPTT 클라이언트와 동일한 MC UE에서 동시에 동작하고 있다면, MCPTT 클라이언트는 다른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와 동일한 SIP 등록을 공유한다. 이 조항의 SIP REGISTER 절차는 다른 동작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대한 SIP REGISTER 절차와 결합하여 단일 SIP REGISTER 요청을 생성한다. MCPTT 클라이언트가 등록할 때 다른 MC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이미 동작 중인 경우, 다른 동작 MC 서비스에 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재 등록이 수행된다.
SIP REGISTER를 사용하는 다른 MC 서비스와 함께 MCPTT에 대한 서비스 인가를 수행할 때 다른 MC 서비스의 경우 액세스 토큰이 MCPTT 서비스에 대하여 동일할 수 있지만 각 MC 서비스에 대한 멀티 파트 MIME 본문이 SIP REGISTER 요청에 포함된다. 따라서 MCPTT 서버는 SIP REGISTER 요청에서 멀티 파트 MIME 본문을 수신할 수 있다. 다수의 연락 어드레스(MC 서비스 클라이언트 당 하나)가 제공된 SIP REGISTER 요청에 포함될 수 있고, 이들은 모두 동일한 IP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한다(단일 SIP REGISTER 요청에 다수의 연락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에 대한 추가 상세 내용은 3GPP TS 24.229[4]를 참조한다).
MCPTT 클라이언트가 MCPTT 서비스에서 로그 오프하지만 다른 MC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등록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 MC UE는 SIP REGISTER 요청의 Contact 헤더 필드에 "urn:urn-7:3gpp-service.ims.icsi.mcptt" 값을 포함한 g.3gpp.icsi-ref 미디어 피처 태그 및 g.3gpp.mcptt 미디어 피처 태그가 없지만 나머지 동작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대한 파라미터를 가지고 3GPP TS 24.229[4]에 명시된 바와 같이 재등록을 수행한다.
UE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고자 하는 단계는 UE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PLMN을 가진 목록을 갖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고자 하는 단계는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PLMN이 이용 가능하다는 UE의 하위 계층으로부터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PLMN 중 하나 이상이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PLMN을 가진 목록 상의 PLMN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PLMN은 셀을 통해 이용 가능한 PLM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E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고자 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고자 한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3)

  1.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의 각각의 PLMN 식별자는 상기 UE가 새로운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을 허용하는 PLMN에 대응함 ― ;
    상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UE를 등록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에 등록하려는 시도가 성공하면, 상기 PLMN 식별자와 관련된 IMS(Internet Protocol(IP) Multimedia Sub-system)에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UE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이고,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은 상기 IMS와 관련된 것인, UE에서 PLMN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MS는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MC) 시스템과 관련되는 것인, UE에서 PLMN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C 시스템은 파트너 MC 시스템이고,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은 상기 UE의 1차(primary) MC 시스템과 구별되는 것인, UE에서 PLMN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의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UE에서 PLMN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PLMN 식별자의 서브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세트는 상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이용 가능한 PLMN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UE에서 PLMN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려고 시도하는 단계는, 성공적인 등록까지 상기 서브 세트로부터 각각의 PLMN 식별자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인, UE에서 PLMN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전에:
    상기 UE의 USIM(Universal Mobile Telephony System(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PLMN 식별자들로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갖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UE에서 PLMN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UE의 USIM이 PLMN 식별자들로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갖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UE에서 PLMN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9. 사용자 장비(UE)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통신 서브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 서브 시스템은: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을 수신하고 ― 상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의 각각의 PLMN 식별자는 상기 UE가 새로운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MC)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을 허용하는 PLMN에 대응함 ― ;
    상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UE를 등록하려고 시도하며;
    상기 네트워크에 등록하려는 시도가 성공하면, 상기 PLMN 식별자와 관련된 IMS에 SIP 등록을 수행하기 위하여
    협력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UE가 파트너 MC 시스템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이고, 상기 파트너 MC 시스템은 상기 IMS와 관련된 것인, 사용자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 서브 시스템은 또한, 상기 UE의 UICC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를 저장하기 위하여 협력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 서브 시스템은 또한, PLMN 식별자의 서브 세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협력하고, 상기 서브 세트는 상기 PLMN 식별자들의 목록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이용 가능한 PLMN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성공적인 등록까지 상기 서브 세트로부터 각각의 PLMN 식별자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207016819A 2017-11-17 2018-11-15 미션 크리티컬 디바이스에 대한 plmn 선택 KR102660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16,607 2017-11-17
US15/816,607 US11202253B2 (en) 2017-11-17 2017-11-17 PLMN selection for mission critical devices
PCT/US2018/061328 WO2019099705A2 (en) 2017-11-17 2018-11-15 Plmn selection for mission critical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801A KR20200087801A (ko) 2020-07-21
KR102660219B1 true KR102660219B1 (ko) 2024-04-23

Family

ID=6466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819A KR102660219B1 (ko) 2017-11-17 2018-11-15 미션 크리티컬 디바이스에 대한 plmn 선택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202253B2 (ko)
EP (1) EP3711391A2 (ko)
JP (2) JP7291137B2 (ko)
KR (1) KR102660219B1 (ko)
CN (2) CN111527777B (ko)
CA (1) CA3082596A1 (ko)
WO (1) WO20190997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6220B2 (ja) * 2017-10-30 2022-02-2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VoLTEのための手動ローミングのサポート
US11202253B2 (en) 2017-11-17 2021-12-14 Blackberry Limited PLMN selection for mission critical devices
WO2019143154A1 (ko) * 2018-01-19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248357B (zh) * 2019-06-24 2022-05-06 深圳市优克联新技术有限公司 搜网配置方法、注册方法、装置、及系统
US11570679B2 (en) 2019-07-03 2023-01-31 Mediatek Inc. Modem and application interaction for voice calls
KR20230002409A (ko) * 2020-04-21 2023-01-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로밍 사용자 장비에 대한 네트워크 선택
CN113709764B (zh) * 2020-05-21 2023-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20240031223A (ko) * 2021-07-09 2024-03-07 지티이 코포레이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613601B1 (ko) * 2021-12-22 2023-12-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WO2023215265A1 (en) * 2022-05-03 2023-11-09 Apple Inc. At commands for new radio quality of experience (qoe) mana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05914A1 (en) * 2015-07-05 2017-01-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of an evolved packet data gateway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to an evolved packe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1706B2 (en) 2001-08-21 2006-04-18 Nokia Corporation Internet protocol (IP) multimedia subsystem (IMS) availability detection
CN102474523B (zh) * 2009-07-09 2014-11-2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发起在ip多媒体子系统网络的hss中对订户数据进行预配置的方法和装置
KR20110091305A (ko) 2010-02-05 2011-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Mocn에서 긴급 호를 위한 plmn 선택 방법 및 장치
EP2901726A1 (en) * 2012-05-15 2015-08-0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medium for delivers short message service sms between user equipment without 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msisdn) i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with inter-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handling
US20140177506A1 (en) * 2012-12-20 2014-06-2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mbms) are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15256B2 (en) * 2013-08-21 2015-12-15 Qualcomm Incorporated Updating contact information for client devices registered to the same user for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US10462691B2 (en) * 2014-05-09 2019-10-29 Nokia Technologies Oy PLMN restriction for MBSFN measurement reporting
EP3253160B1 (en) * 2015-01-28 2020-07-29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and method
TWI670979B (zh) * 2015-02-02 2019-09-0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於無線通訊系統中公共陸地行動網路選擇的方法及裝置
WO2016163635A1 (ko) * 2015-04-06 201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163859A1 (ko) * 2015-04-09 201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우선 순위 정보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11297111B2 (en) 2015-06-30 2022-04-05 Blackberry Limited Establishing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ession
EP3332577B1 (en) * 2015-08-07 2020-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US10587656B2 (en) * 2015-08-09 2020-03-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lecting P-CSCF and transmitting SIP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10291662B2 (en) * 2015-08-26 2019-05-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btaining operator network identification number of visited network
EP3700262B1 (en) 2016-01-14 2022-11-09 Nokia Technologies Oy Enhancements to the e-pdg selection process in a user equipment in a visited country
US10716152B2 (en) * 2016-01-22 2020-07-14 Blackberry Limited Access point name determination for mission critical services
JP2019054314A (ja) * 2016-02-02 2019-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方法
US10271370B2 (en) * 2016-02-12 2019-04-23 Ofinno Technologies, Llc Mission critical communications
US10966128B2 (en) * 2016-02-15 2021-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enabling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961713B2 (en) * 2016-02-23 2018-05-01 Motorola Mobility Llc Procedures to support network slic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25450B2 (en) * 2016-02-27 2019-09-24 Ofinno, Llc Mission critical communications
US20170257751A1 (en) * 2016-03-05 2017-09-07 Ofinno Technologies, Llc Off-Network Wireless Mission Critical Session Initiation
US10965479B2 (en) * 2016-04-02 2021-03-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rer modification for V2X communications
US10057927B2 (en) 2016-05-16 2018-08-21 Apple Inc. Emergency services support for non-cellular wireless access
US10505995B2 (en) * 2016-06-25 2019-12-10 Ofinno, Llc Wireless device media control session
US11128673B2 (en) * 2017-08-04 2021-09-2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and use of multiple ISIM or ISIM credentials
US11202253B2 (en) 2017-11-17 2021-12-14 Blackberry Limited PLMN selection for mission critical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05914A1 (en) * 2015-07-05 2017-01-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of an evolved packet data gateway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to an evolved packet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23.781 v1.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82596A1 (en) 2019-05-23
KR20200087801A (ko) 2020-07-21
WO2019099705A2 (en) 2019-05-23
US11202253B2 (en) 2021-12-14
EP3711391A2 (en) 2020-09-23
CN111527777B (zh) 2023-08-11
US20220104116A1 (en) 2022-03-31
US11997592B2 (en) 2024-05-28
CN116782368A (zh) 2023-09-19
WO2019099705A3 (en) 2019-07-04
CN111527777A (zh) 2020-08-11
JP2021503822A (ja) 2021-02-12
JP7291137B2 (ja) 2023-06-14
US20190159115A1 (en) 2019-05-23
JP2023106614A (ja)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219B1 (ko) 미션 크리티컬 디바이스에 대한 plmn 선택
EP3646629B9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and use of multiple isim or isim credentials
US202001000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Codes to a Mobile Device
US10834208B2 (en) User device determines whether to create a new session based on session type information
EP3637811B1 (en) Method for transceiving signal in association with multi-homing based psa add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240856B2 (en) Access point name determination for mission critical services
CN111066332B (zh) 用于供给紧急号码的方法和系统
US11895612B2 (en) Managing local emergency numbers
CN112655274B (zh) Ue以及其通信控制方法
US202003517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obile data configuration access point n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