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969B1 - 창호용 방풍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방풍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969B1
KR102659969B1 KR1020220098027A KR20220098027A KR102659969B1 KR 102659969 B1 KR102659969 B1 KR 102659969B1 KR 1020220098027 A KR1020220098027 A KR 1020220098027A KR 20220098027 A KR20220098027 A KR 20220098027A KR 102659969 B1 KR102659969 B1 KR 102659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epdm
windows
support
fo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20050A (ko
Inventor
송창근
송상원
서진열
조환연
Original Assignee
삼우에프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에프엔지(주) filed Critical 삼우에프엔지(주)
Priority to KR102022009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969B1/ko
Publication of KR2024002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6EPM, i.e.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EPDM, i.e.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s; EPT, i.e. ethylene-propylene ter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29K2105/04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with open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창호용 방풍부재는, EPDM 솔리드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EPDM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돌기부; 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돌기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 및 지지부의 상면에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창호용 방풍부재의 기밀성, 단열성, 내마모성, 열가소성 및 수밀성 중 적어도 한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용 방풍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windshield for window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manufacturing device of the same}
본 발명은 창호용 방풍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관련된다.
건물에서 사용되는 창호(문이나 창문)은 미닫이 또는 여닫이 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창호가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유격을 확보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문이나 창문을 닫는 경우에도 유격에 의한 틈새로 인하여 밀폐도가 감소되므로 건축물의 단열성 확보에 한계가 있었다.
창호의 밀폐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창호 등의 틈새를 막을 수 있는 모헤어 등의 방풍부재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모헤어는, 일반적으로 수직 상태로 서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창문을 닫았을 때 모헤어의 선단부가 창문 프레임 내면에 눌리게 되는 것으로 수많은 가닥의 모헤어가 여러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방풍, 방음, 방습, 완충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창호용 방풍부재는, 창문이나 창틀의 프레임에 형성된 설치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방풍, 방음, 방습, 완충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바, 탄성력, 복원력, 내구성, 내부식성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모헤어는 눈이나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실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장시간 사용시 모헤어의 털들이 빠지거나 마모되어 창문틈 사이를 밀폐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단열성능이 급감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특허문헌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159730호
특허문헌2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011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밀성, 단열성, 내마모성 및 수밀성 중 적어도 한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창호용 방풍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밀성, 단열성, 내마모성 및 수밀성 중 적어도 한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밀성, 단열성, 내마모성 및 수밀성 중 적어도 한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는, EPDM 솔리드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EPDM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돌기부; 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돌기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 및 지지부의 상면에 상기 돌기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포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기부는 발포 후 부피가 3배 내지가 4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 상면에 구비되는 코팅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EPDM 스펀지의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일부가 파괴된 오픈 셀 구조에서 발포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는, 상기 EPDM 솔리드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 상기 EPDM 스펀지를 공급하는 제2 공급부; 상기 제1 공급부 및 상기 제2 공급부에 의해 제공받은 상기 EPDM 솔리드 및 상기 EPDM 스펀지를 결합시켜서 압출하는 압출부; 및 상기 압출부를 통과한 EPDM 스펀지의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일부를 파괴하는 파포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출부는 상기 EPDM 솔리드 및 상기 EPDM 스펀지를 50℃ 내지 70℃에서 압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출부에 의해 압출된 상기 EPDM 스펀지의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일부를 파괴하여 오픈 셀 구조로 변화시키는 파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파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포부를 통과한 상기 EPDM을 발포시켜서 상기 돌기부의 부피를 발포 전 보다 3배 내지 4배 증가시키는 발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부를 통과한 상기 돌기부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방법은, 상기 EPDM 솔리드 및 상기 EPDM 스펀지를 제공받아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돌기부를 압출하는 단계; 상기 돌기부를 파포하여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일부를 파괴하는 단계; 상기 돌기부를 발포하여 상기 돌기부의 부피를 3배 내지 4배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돌기부에 우레탄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돌기부는 50℃ 내지 70℃에서 압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창호용 방풍부재의 기밀성, 단열성, 내마모성, 열가소성 및 수밀성 중 적어도 한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의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의 발포 전 및 발포 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세부 크기, 형태, 두께, 곡률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도식화된 것으로서, 허용 오차 등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100)의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20)의 발포 전 및 발포 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부(2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10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100)는 지지부(110) 및 돌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10) 및 돌기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는 내열성, 내화학성, 내구성, 신축성 등이 뛰어나 케이블 절연, 호스, 산업용 벨트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합성 고무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10)는 EPDM 솔리드로 이루어지고, 돌기부(120)는 EPDM 스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EPDM 솔리드는 경도가 90 이상인 특성을 가지고, EPDM 스펀지는 비중이 0.1 이하인 특성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10)의 상면에 돌기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10)는 돌기부(120)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11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지지돌기(115) 및 지지부(110)의 상면에 돌기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창호 내측으로 삽입되어 창호용 방풍부재(100)를 창호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기부(120)는 EPDM 스펀지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포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돌기부(120)는 발포 공정 후 부피가 3배 내지 4배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발포 전 돌기부(120)의 비중이 1.1일 때, 발포 공정 후 돌기부(120)의 비중은 0.1이 되어 부피가 대략 3배 내지 4배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120)가 창틀 등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각종 소음이나 먼지, 냉기나 온기 등이 창호용 방풍부재(100)와 창틀 사이를 통과하기 어렵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기부(120)는 파포 공정에 의해 EPDM 스펀지의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일부가 파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120)의 클로즈 셀 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오픈 셀 구조로 변경되면서 조직들 사이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압출하중이 감소되고 그 결과 발포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오픈 셀 구조로 변경된 상태로 발포과정이 진행되어 돌기부가 형성됨에 따라, 돌기부를 이루는 셀들 사이에 공기흐름이 발생되어 반발 탄성이 감소되고 창틀과 돌기부 사이의 접촉저항이 감소되어 창문이 창틀 사이에서 보다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기부(120)는 상면에 구비되는 코팅층(1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코팅층(130)은 우레탄 및 실리콘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면 마찰력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창문이 보다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100)는 종래의 모헤어에 비하여 제조효율이 현저히 개선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면서도 기밀성, 수밀성 및 내구성이 월등하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200)는 제1 공급부(210), 제2 공급부(220), 압출부(230) 및 파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출부(230)는 제1 공급부(210)에서 지지부(110) 및 제2 공급부(220)에서 돌기부(120)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압출부(230)에서 지지부(110) 및 돌기부(120)를 압출하여 노즐(231)을 통해 압출된 지지부(110) 및 돌기부(120)를 파포부(240)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출부(230)는 지지부(110) 및 돌기부(120)를 50℃ 내지 70℃에서 압출할 수 있다. 이때, 압출 온도가 50℃ 이하면 압출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으며, 70℃ 이상이면 지지부(110) 내지 돌기부(120)가 익어버려 압출 진행 중 금형이 막히는 불안정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200)는 파포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포부(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여 돌기부(12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파포부(240)에 의한 파포공정을 통해서 EPDM 스펀지의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일부를 파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120)의 클로즈 셀 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오픈 셀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200)는 발포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포부(240)를 통과한 지지부(110) 및 예비 돌기부(120-1)가 발포부(250)로 진입되며, 예비 돌기부(120-1)가 발포되어 돌기부(120)로 변화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돌기부(120)는 예비 돌기부(120-1) 3배 내지 4배의 부피를 가지도록 발포공정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120)의 부피가 예비 돌기부(120-1) 부피의 3배 미만이 되면 돌기부(120)의 경도가 과도하게 급증하여 창문 또는 창틀 표면과 돌기부(12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됨에 따라 창문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이 급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돌기부(120)의 부피가 예비 돌기부(120-1) 부피의 4배를 초과하면 돌기부(120)의 경도가 과도하게 급감하며, 돌기부의 부피가 과도하게 증가됨에 따라 창문 또는 창틀 표면에 돌기부(120)가 강하게 밀착됨에 따라 창문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이 급증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예비 돌기부(120-1)의 최초 크기를 감소시켜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겠지만, 예비 돌기부(120-1)의 최초 크기를 감소시키려면 금형을 변경해야 하므로 돌기부(120)의 팽창 정도를 제어하는 것이 공정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예비 돌기부(120-1)의 비중은 약 0.9~1.1 이고, 돌기부(120)의 비중은 약 0.08~0.12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돌기부가 이상발포되어 문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발포부(250)의 온도는 175도 내지 195도 정도가 되도록 하고, 발포부(250)를 통과하는 시간은 4 내지 6분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비 돌기부(120-1)이 돌기부(120)으로 발포되는 최적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즉, 위의 온도범위 및 시간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돌기부(120)의 부피가 급변하므로 요구되는 수준으로 제조과정을 진행하기 어렵다.
일 실시예에서,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200)는 코팅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팅부(260)를 활용하여 발포부(250)를 통과한 돌기부(120)의 상면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팅층(130)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120) 외면에 코팅층(130)이 형성되어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창호용 방풍부재(100)가 설치된 창문의 개폐과정이 더욱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방풍부재(100) 제조방법은, EPDM 솔리드 및 EPDM 스펀지를 제공받아서 지지부(110) 및 돌기부(120)를 압출하는 단계; 돌기부(120)를 파포하여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일부를 파괴하는 단계; 돌기부(120)를 발포하여 돌기부(120)의 부피를 3배 내지 4배 증가시키는 단계; 및 돌기부(120)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공급부(210)에서 압출부(230)로 지지부(110)를 공급하고, 제2 공급부(220)에서 압출부(230)로 돌기부(120)를 공급하여, 압출부(230)에서 지지부(110) 및 돌기부(120)를 압출시킬 수 있다.
이때, 압출부(230)는 50℃ 내지 70℃의 온도로 지지부(110) 및 돌기부(120)를 압출하며, 압출 온도가 50℃ 미만이면 온도가 너무 낮아 압출이 진행되지 않으며, 압출 온도가 70℃를 초과하면 지지부(110) 내지 돌기부(120)가 액체화되어 압출 과정 중 금형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압출 공정이 끝난 지지부(110) 및 돌기부(120)는 압출부(230)에 구비된 노즐(231)을 통해 압출된 결과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압출부(230)를 통해서 압출된 결과물은 지지부(110) 및 예비 돌기부(120-1)가 복수개가 한 묶음이 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8쌍의 지지부(110) 및 예비 돌기부(120-1)들이 한 묶음이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후속 공정들을 거친 후 슬리팅(slitting) 공정을 통해서 지지부(110) 및 돌기부(120)가 구비된 단일 줄 구조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 효율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이때, 단일 창호용 방풍부재(100)의 지지부(110)의 폭은 창호 규격에 따라 6.7mm, 7mm 및 8mm 등의 치수로 구현될 수 있다. 압출 공정이 끝난 지지부(110) 및 예비 돌기부(120-1)는 파포부(240)에 구비된 롤러에 의해 EPDM 스펀지의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일부를 파괴시켜 오픈 셀 구조로 변화시키는 파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비 돌기부(120-1)에 대한 파포 공정이 끝나면, 지지부(110) 및 예비 돌기부(120)는 발포부(250)에 진입하여 돌기부(120)에 대한 발포 과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비 돌기부(120-1)를 이루는 EPDM 스펀지에 함유된 발포제의 작용 등에 의하여 예비 돌기부(120-1)가 발포되며, 발포과정을 거친 후 돌기부(120)의 부피는 예비 돌기부(120-1)의 3배 내지 4배가 될 수 있다.
돌기부(120)에 대한 발포 과정이 끝나면, 지지부(110) 및 돌기부(120)는 코팅부(260)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코팅부(260)에 의해 돌기부(120)의 외부 표면에 우레탄 코팅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팅층(130)에 의해 마찰력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창문이 보다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본 발명의 범위가 정해져서는 안될 것이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써, 전술된 실시예가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창호용 방풍부재
110 : 지지부
115 : 지지돌기
120 : 돌기부
130 : 코팅층
200 :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
210 : 제1 공급부
220 : 제2 공급부
230 : 압출부
231 : 노즐
240 : 파포부
250 : 발포부
260 : 코팅부

Claims (10)

  1. EPDM 솔리드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EPDM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돌기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고,
    상기 돌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포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기부는 발포 후 부피가 발포 전 부피보다 크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EPDM 스펀지의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일부가 파괴된 오픈 셀 구조에서 발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상면에 구비되는 코팅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4. 삭제
  5. EPDM 솔리드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EPDM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돌기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창호용 방풍부재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EPDM 솔리드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
    상기 EPDM 스펀지를 공급하는 제2 공급부;
    상기 제1 공급부 및 상기 제2 공급부에 의해 제공받은 상기 EPDM 솔리드 및 상기 EPDM 스펀지를 결합시켜서 압출하는 압출부; 및
    상기 압출부를 통과한 EPDM 스펀지의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일부를 파괴하는 파포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출부는 상기 EPDM 솔리드 및 상기 EPDM 스펀지를 50℃ 내지 70℃에서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에 의해 압출된 상기 EPDM 스펀지의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일부를 파괴하여 오픈 셀 구조로 변화시키는 파포공정을 수행하는 파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포부를 통과한 상기 EPDM을 발포시켜서 상기 돌기부의 부피를 발포 전 보다 3배 내지 4배 증가시키는 발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부를 통과한 상기 돌기부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장치.
  9. EPDM 솔리드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EPDM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돌기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창호용 방풍부재를 제조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EPDM 솔리드 및 상기 EPDM 스펀지를 제공받아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돌기부를 압출하는 단계;
    상기 돌기부를 파포하여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일부를 파괴하는 단계;
    상기 돌기부를 발포하여 상기 돌기부의 부피를 3배 내지 4배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돌기부에 우레탄을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돌기부는 50℃ 내지 70℃에서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제조방법.
KR1020220098027A 2022-08-05 2022-08-05 창호용 방풍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659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027A KR102659969B1 (ko) 2022-08-05 2022-08-05 창호용 방풍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027A KR102659969B1 (ko) 2022-08-05 2022-08-05 창호용 방풍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1688A Division KR20240070467A (ko) 2024-04-17 창호용 방풍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050A KR20240020050A (ko) 2024-02-14
KR102659969B1 true KR102659969B1 (ko) 2024-05-13

Family

ID=8989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027A KR102659969B1 (ko) 2022-08-05 2022-08-05 창호용 방풍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9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9730A (ja) * 2013-01-22 2014-09-04 Sekisui Chem Co Ltd 建材用熱膨張性パッキ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115U (ko) * 2008-04-02 2009-10-07 정종희 신축/이완 방지 및 탄성력을 향상시킨 창호용 개스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9730A (ja) * 2013-01-22 2014-09-04 Sekisui Chem Co Ltd 建材用熱膨張性パッ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050A (ko)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8287A (en) Extrusion method of producing a polymeric sealing/spring strip
CA1324868C (en) Cohesive bonding process for forming a laminate of a wear resistant thermoplastic and a weather resistant rubber
EP1040950B1 (en) Seals for vehicles
UA65534C2 (en) Unitary sealing gasket, its composite structure (variants) and multi-cavity extrusion die for forming the flexible laminate
KR102190913B1 (ko) 기밀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KR102659969B1 (ko) 창호용 방풍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FR2856003A1 (fr) Procede de surmoulage de vitrages, joint d'etancheite et moule utilisable pour le procede
KR20240070467A (ko) 창호용 방풍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EP1077844B1 (en) Extrusion of a foamable melt consisting of mixed polyolefin and rubber copolymer
US20050193636A1 (en) Thermoplastic vehicle weather stripping
CA2516156A1 (en) Weather seal construction including a weather-strip
EP1457305B1 (en) Thermally expandabl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1998019036A1 (de) Wärmedämmender abstandhalter für isolierverglasungen
US20180283089A1 (en) Sealed weatherstrip corner pads
US20180266752A1 (en) Thermal insulating profile
US7430835B1 (en) Door and frame for air handling unit
KR20120043536A (ko) 구조 및 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가스켓
WO1984003659A1 (en) Gasket
KR102226816B1 (ko) 고 기밀성 고무발포 폼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0396B1 (ko) 창호용 방풍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044572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181377A1 (en) Sealing or damping profiled element
EP2010805A1 (en) Sealing system
KR20240006172A (ko)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WO2005021307A1 (en) Weatherseal with sealing surface having strips of material exhibiting reduced adhesion bonding to frozen water of 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