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640B1 -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및 그의 분석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및 그의 분석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640B1
KR102659640B1 KR1020210190240A KR20210190240A KR102659640B1 KR 102659640 B1 KR102659640 B1 KR 102659640B1 KR 1020210190240 A KR1020210190240 A KR 1020210190240A KR 20210190240 A KR20210190240 A KR 20210190240A KR 102659640 B1 KR102659640 B1 KR 102659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nsor
feet
swa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825A (ko
Inventor
곽재경
오지원
박환일
한정민
Original Assignee
(주)모어씽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어씽즈 filed Critical (주)모어씽즈
Priority to KR1020210190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640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36Morpholog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20044Skeletonization; Medial axis trans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21Sports video; Sports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및 그의 분석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양발 간격 및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석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분석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다수 개의 압력 센서들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에 상응하여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 및 양발 간격 산출 및 상체 기준선을 추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며, 상기 저장부에 기록한 기록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하고, 상기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한 기록 데이터를 상기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한 사용자의 스웨이를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및 그의 분석 방법 및 프로그램{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ANALYZING GOLF SWAY}
본 발명은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골프 자세 중 스웨이를 분석할 수 있는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및 그의 분석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과제고유번호] E2121010
[부처명] 경기도
[과제관리전문기관명]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연구사업명] 소부장 기업 육성 지원사업
[연구과제명] 무선통신이 가능한 골프스윙 분석 압력 분배 측정시스템
[기여율] 1/1
[과제수행기관명] (주)모어씽즈
[연구기간] 2021.05.01~2021.12.31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이 어드레스,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피니쉬로 진행되는 동안에 골퍼는, 코일링을 하기 위해 골반을 중심으로 상체를 회전시켜 코일링을 극대화시킨다.
이 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골퍼는, 골반 중심부에서 머리까지의 상체부가 수직선상에 있지 않게 되고 전후좌우로 이동하게 되어 신체의 축이 움직이게 됨으로서 스윙의 궤도가 흐트러지게 되는 스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스웨이는, 골퍼가 자세를 잡는 과정에서 왼발과 오른발의 간격에 따른 자세의 안전성에 영향을 받게 되며 이는 골퍼의 신장 등의 신체조건에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골퍼는, 신장 조건에 적합한 발 간격을 제안받거나 가장 스웨이가 적게 발생되는 발 간격을 재현할 수 있다면 자세 안전성을 높힐 수 있다.
기존의 스웨이 분석 방식은, 골퍼의 양발 간격을 측정하기 위해 카메라로 촬영된 신체 영상에서 골퍼의 골격정보를 추정하여 스켈레톤을 추출하고 스켈레톤을 기준으로 골퍼의 양 발사이의 거리를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스웨이 분석 방식은,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동일한 자세에서도 양발 간격의 거리를 상이하게 계산하고, 스켈레톤의 추출을 위해 높은 연산처리 성능을 요구하는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기존 방식에 대비하여 낮은 연산처리 성능만으로도 발 간격 산출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높여 스웨이 분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골프 스웨이 분석 방식의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5303호 (2011. 10. 13.)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다수 개의 센서들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된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발 간격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함으로써, 낮은 연산처리로 양발 간격 산출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높여 스웨이 분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및 그의 분석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는, 사용자의 양발 간격 및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석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분석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다수 개의 압력 센서들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에 상응하여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 및 양발 간격 산출 및 상체 기준선을 추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며, 상기 저장부에 기록한 기록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하고, 상기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한 기록 데이터를 상기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한 사용자의 스웨이를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 저항성 압력센서, 그리고 하이브리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 센서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센서들이 상기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왼발의 위치와 오른발의 위치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한 왼발의 위치로부터 상기 왼발의 힐 위치와 토우 위치를 구분하며, 상기 구분한 오른발의 위치로부터 상기 오른발의 힐 위치와 토우 위치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을 산출할 때,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발 간격 산출할 때, 상기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왼발과 오른발 사이의 센서 개수 및 센서 배열 간격을 산출하고, 상기 센서 개수 및 센서 배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양발 간격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체 기준선을 추정할 때, 상기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과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체 기준선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한 추천 양발 간격과 상기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양발 간격을 비교한 제1 분석 데이터, 사용자 선택에 의해 선정된 사용자 선호 양발 간격과 상기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양발 간격을 비교한 제2 분석 데이터,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COP(Center or Pressure) 이동 궤적 및 족저압 변화를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와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COP 이동 궤적 및 족저압 변화를 포함하는 실제 데이터를 비교한 제3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스윙 자세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스윙 자세에 상응하는 스켈레톤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영상에서의 제1 사용자 양발 간격을 산출하고,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스윙 자세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양발 간격을 산출하며, 상기 제2 사용자 양발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에서의 제1 사용자 양발 간격을 보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양발 간격에 대한 보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에서의 사용자 신체 길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웨이 분석 방법은,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의 골프 스웨이 분석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에 상응하여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 및 양발 간격 산출 및 상체 기준선을 추정하여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 양발 간격 및 상체 기준선에 상응하는 기록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한 기록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석한 사용자의 스웨이를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의 골프 스웨이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개의 센서들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된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발 간격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함으로써, 낮은 연산처리로 양발 간격 산출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높여 스웨이 분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도 1의 센서부의 센서 배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사용자의 정상 자세와 스웨이 자세에 따른 센서부의 센싱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영상에서의 사용자 양발 간격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웨이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는, 사용자의 양발 간격 및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부(100), 센서부(100)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하는 제어부(200), 제어부(200)로부터 분석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 그리고 분석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00)는, 다수 개의 압력 센서들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 개의 센서들은, 정전용량성 압력센서, 저항성 압력센서, 그리고 하이브리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 센서이거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센서부(100)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 저항성 압력센서, 그리고 하이브리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 센서들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일 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일 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횡방향으로 비등간격으로 배열되고, 매트 플레이트의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단일 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중앙영역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다가 중앙영역에서 타측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부(100)는, 다수 개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 그룹과 다수 개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 그룹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다수 개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 그룹과 다수 개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 그룹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2차원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배열되어 골프 클럽 헤드의 궤적을 센싱하고,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배열되어 사용자의 골프자세에 상응하는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골프 클럽은, 드라이버, 복수의 우드(일 예로, 3번 내지 5번 우드 등등), 복수의 유틸리티(일 예로, 3번 내지 5번 유틸리티 등등) 및 복수의 아이언(일 예로, 3번 내지 9번 아이언, 피칭 Ÿ‡지, 샌드 Ÿ‡지 등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스윙 속도가 측정되는 골프 클럽은 상기 언급된 클럽 중 어느 하나가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골프 클럽을 “드라이버”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비단 “드라이버” 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된 모든 클럽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상단부에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간격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들의 간격과 동일하고,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간격은,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들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비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간격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들의 간격과 다르고,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간격은,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들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간격은, 매트 플레이트의 상단부 일측에서 중앙영역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다가 중앙영역에서 타측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개수는,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그 이유는, 드라이버의 속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개수가 사용자의 골프자세를 측정하는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의 개수보다 많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최소의 센서를 이용하여 매트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컴팩트하게 제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센서부(100)는, 다수 개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 그룹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으로 배열되고 다수 개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 그룹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2차원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다수 개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 그룹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2차원으로 배열되고 다수 개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 그룹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배열되어 드라이버 헤드의 궤적을 센싱하고,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배열되어 사용자의 골프자세에 상응하는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상단부에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간격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들의 간격과 동일하고,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간격은,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들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비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간격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들의 간격과 다르고,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간격은,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들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간격은, 매트 플레이트의 상단부 일측에서 중앙영역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다가 중앙영역에서 타측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개수는,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00)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는, 드라이버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하고, 센서부(100)의 저항성 압력센서는, 드라이버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며, 센서부(100)의 하이브리드 압력센서는, 드라이버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정전용량 및 저항이 변화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200)는, 센서부(100)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골프 스윙에 상응하여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 및 양발 간격 산출 및 상체 기준선을 추정하여 저장부(400)에 기록하며, 저장부(400)에 기록한 기록 데이터를 사용자의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하고,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한 기록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하며, 분석한 사용자의 스웨이를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할 때,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받으면 센서부(100)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면 사용자의 양발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왼발의 위치와 오른발의 위치를 구분하고, 구분한 왼발의 위치로부터 왼발의 힐 위치와 토우 위치를 구분하며, 구분한 오른발의 위치로부터 오른발의 힐 위치와 토우 위치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윙 준비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을 산출할 때, 입력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양발 간격 산출할 때,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왼발과 오른발 사이의 센서 개수 및 센서 배열 간격을 산출하고, 센서 개수 및 센서 배열 간격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양발 간격 산출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200)는, 상체 기준선을 추정할 때,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과 입력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체 기준선을 추정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200)는, 기록 데이터를 사용자의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할 때, 기록 데이터를 사용자의 골프 스윙 자세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단계, 테이크어웨이(takeaway) 단계, 백스윙탑 단계, 트랜지션(transition) 단계, 다운스윙 단계, 임팩트 단계, 팔로우스루 및 피니쉬(follow through and finish) 단계로 각각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할 때,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한 기록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각각 개별적으로 비교하여 골프 스윙 단계별로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200)는, 분석 데이터를 표시할 때,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한 추천 양발 간격과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양발 간격을 비교한 제1 분석 데이터, 사용자 선택에 의해 선정된 사용자 선호 양발 간격과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양발 간격을 비교한 제2 분석 데이터,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COP(Center or Pressure) 이동 궤적 및 족저압 변화를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와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COP 이동 궤적 및 족저압 변화를 포함하는 실제 데이터를 비교한 제3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부(100)로부터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는, 센서부(10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제어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윙 자세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윙 자세에 상응하는 스켈레톤 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에서의 제1 사용자 양발 간격을 산출하고, 센서부(100)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윙 자세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양발 간격을 산출하며, 제2 사용자 양발 간격을 기반으로 영상에서의 제1 사용자 양발 간격을 보정하고, 제1 사용자 양발 간격에 대한 보정값을 기반으로 영상에서의 사용자 신체 길이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 신체 길이를 보정할 때, 제1 사용자 양발 간격에 대한 보정값을 기반으로 스켈레톤 데이터에서 사용자 신체의 각 부위별로 길이를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센서들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된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발 간격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함으로써, 낮은 연산처리로 양발 간격 산출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높여 스웨이 분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는, 도 1의 센서부의 센서 배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센서부는, 다수 개의 센서들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 개의 센서들은, 정전용량성 압력센서, 저항성 압력센서, 그리고 하이브리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 센서이거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센서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센서부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 저항성 압력센서, 그리고 하이브리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 센서(160)들이 매트 플레이트(150)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는, 드라이버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하고, 저항성 압력센서는, 드라이버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며, 하이브리드 압력센서는, 드라이버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정전용량 및 저항이 모두 변화할 수 있다.
도 2의 단일 센서(160)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에 바(bar) 형태로 1차원으로 배열되고, 매트 플레이트(150)의 횡방향으로 동일한 길이 L1을 가지고, 등간격 d1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3의 단일 센서(160)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에 바 형태로 1차원으로 배열되고, 매트 플레이트(150)의 횡방향으로 비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단일 센서(160)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중앙영역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다가 중앙영역에서 타측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단일 센서(160)들은, 중앙영역에 위치하는 센서들간의 간격 d3가 가장자리영역에 위치하는 센서들간의 간격 d2보다 더 좁을 수 있다.
또한, 도 4의 단일 센서(160)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에 도트(dot) 형태로 2차원으로 배열되고, 매트 플레이트(150)의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등간격 d4로 배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5의 단일 센서(160)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에 도트 형태로 2차원으로 배열되고, 매트 플레이트(150)의 횡방향으로 비등간격으로 배열되고, 매트 플레이트의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단일 센서(160)들은, 매트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중앙영역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다가 중앙영역에서 타측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단일 센서(160)들은, 중앙영역에 위치하는 센서들간의 간격 d6가 가장자리영역에 위치하는 센서들간의 간격 d5보다 더 좁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센서부는, 다수 개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 그룹(170)과 다수 개의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 그룹(180)이 매트 플레이트(150) 위에 1차원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다수 개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 그룹(170)과 다수 개의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 그룹(180)이 매트 플레이트(150) 위에 2차원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센서 그룹(170)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상단부에 배열되어 드라이버 헤드의 궤적을 센싱하고, 제2 센서 그룹(180)의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하단부에 배열되어 사용자의 골프자세에 상응하는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제1 센서 그룹(170)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상단부에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제2 센서 그룹(180)의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하단부에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의 간격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의 간격과 동일하고,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의 간격은,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7과 같이, 제1 센서 그룹(170)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비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제2 센서 그룹(180)의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하단부에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의 간격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의 간격과 다르고,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의 간격은,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의 간격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상단부 일측에서 중앙영역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다가 중앙영역에서 타측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 그룹(170)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의 개수는, 제2 센서 그룹(180)의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그 이유는, 드라이버의 속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들의 개수가 사용자의 골프자세를 측정하는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들의 개수보다 많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최소의 센서를 이용하여 매트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컴팩트하게 제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와 같이, 센서부는, 다수 개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 그룹(170)이 매트 플레이트(150) 위에 1차원으로 배열되고 다수 개의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 그룹(180)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2차원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 그룹(170)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상단부에 배열되어 드라이버 헤드의 궤적을 센싱하고, 제2 센서 그룹(180)의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하단부에 배열되어 사용자의 골프자세에 상응하는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제1 센서 그룹(170)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제2 센서 그룹(180)의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하단부에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의 간격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9와 같이, 제1 센서 그룹(170)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비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제2 센서 그룹(180)의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하단부에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의 간격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이때,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의 간격은, 매트 플레이트(150)의 상단부 일측에서 중앙영역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다가 중앙영역에서 타측까지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 그룹(170)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의 개수는, 제2 센서 그룹(180)의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센서부는, 다수 개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172)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 그룹(170)이 매트 플레이트(150) 위에 2차원으로 배열되고 다수 개의 저항성 압력센서(182)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 그룹(180)이 매트 플레이트(150) 위에 1차원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센서부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는, 드라이버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하고, 센서부의 저항성 압력센서는, 드라이버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며, 센서부의 하이브리드 압력센서는, 드라이버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정전용량 및 저항이 변화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사용자의 정상 자세와 스웨이 자세에 따른 센서부의 센싱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트 플레이트에 내장된 센서들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골프 스윙에 상응하여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 및 양발 간격 산출 및 상체 기준선을 추정하며, 산출된 데이터들을 사용자의 골프 스윙 단계별로 기록하여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할 수 있다.
도 10a와 같이, 사용자가 정상 자세로 정상 스윙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양발 위치와 간격, 그리고 상체 기준선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으며, 도 10b와 같이, 사용자가 스웨이 자세로 스웨이 스윙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양발 위치와 간격, 그리고 상체 기준선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데이터들을 스윙 단계별로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한 추천 양발 간격과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양발 간격을 비교한 제1 분석 데이터, 사용자 선택에 의해 선정된 사용자 선호 양발 간격과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양발 간격을 비교한 제2 분석 데이터,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COP(Center or Pressure) 이동 궤적 및 족저압 변화를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와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COP 이동 궤적 및 족저압 변화를 포함하는 실제 데이터를 비교한 제3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영상에서의 사용자 양발 간격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윙 자세에 상응하는 스켈레톤 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에서의 제1 사용자 양발 간격 (b)을 산출하고,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윙 자세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양발 간격 (a)을 산출하며, 제2 사용자 양발 간격 (a)을 기반으로 영상에서의 제1 사용자 양발 간격 (b)을 보정하고, 제1 사용자 양발 간격 (b)에 대한 보정값을 기반으로 영상에서의 사용자 신체 길이 (c)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사용자 신체 길이 (c)를 보정할 때, 제1 사용자 양발 간격 (b)에 대한 보정값을 기반으로 스켈레톤 데이터에서 사용자 신체의 각 부위별로 길이를 보정할 수 있다.
이처럼, 영상 자체를 이용한 방법과 영상에서 사람 및 사물의 특징점 좌표를 찾아 스켈레톤을 추출하여 분석하는 방법은, 카메라의 위치와 각도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지게 된다.
즉, 영상 및 스켈레톤의 경우,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길이가 각각 다르게 분석되어 오차를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력센서가 내장된 매트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압력센서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발 간격을 산출하여 절대값으로 결정하고, 절대값을 이용하여 영상에서의 사용자 양발 간격을 보정하고, 그에 상응하여 사용자의 키, 팔길이 등과 같이 몸 신체의 길이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웨이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정보가 입력되면 센서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10).
여기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면 사용자의 양발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왼발의 위치와 오른발의 위치를 구분하고, 구분한 왼발의 위치로부터 왼발의 힐 위치와 토우 위치를 구분하며, 구분한 오른발의 위치로부터 오른발의 힐 위치와 토우 위치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골프 스윙에 상응하여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 및 양발 간격 산출 및 상체 기준선을 추정하여 기록할 수 있다(S20).
여기서, 본 발명은, 입력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왼발과 오른발 사이의 센서 개수 및 센서 배열 간격을 산출하고, 센서 개수 및 센서 배열 간격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양발 간격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과 입력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체 기준선을 추정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 양발 간격 및 상체 기준선에 상응하는 기록 데이터를 사용자의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할 수 있다(S30).
다음, 본 발명은,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한 기록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할 수 있다(S40).
여기서, 본 발명은,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한 기록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각각 개별적으로 비교하여 골프 스윙 단계별로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석한 사용자의 스웨이를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50).
여기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한 추천 양발 간격과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양발 간격을 비교한 제1 분석 데이터, 사용자 선택에 의해 선정된 사용자 선호 양발 간격과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양발 간격을 비교한 제2 분석 데이터,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COP(Center or Pressure) 이동 궤적 및 족저압 변화를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와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COP 이동 궤적 및 족저압 변화를 포함하는 실제 데이터를 비교한 제3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은, 스웨이 분석 종료 요청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S60), 스웨이 분석 종료 요청이 수신되면 스웨이 분석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센서들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된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발 간격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함으로써, 낮은 연산처리로 양발 간격 산출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높여 스웨이 분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양발 간격 및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석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분석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다수 개의 압력 센서들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에 상응하여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 및 양발 간격 산출 및 상체 기준선을 추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며, 상기 저장부에 기록한 기록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하고, 상기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한 기록 데이터를 상기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한 사용자의 스웨이를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윙 준비 완료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체 기준선을 추정할 때, 상기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과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체 기준선을 추정하며,
    상기 센서부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 저항성 압력센서, 그리고 하이브리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 센서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센서들이 상기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되되,
    상기 센서부는,
    다수 개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제1 센서 그룹 및 다수 개의 저항성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제2 센서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 그룹은 상기 매트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을 통해 드라이버 헤드의 궤적으로 센싱하고,
    상기 제2 센서 그룹은 상기 매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골프자세에 상응하는 압력을 센싱하며,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는 횡방향에 대해 비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종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는 횡방향과 종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의 개수가 상기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의 개수보다 적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왼발의 위치와 오른발의 위치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한 왼발의 위치로부터 상기 왼발의 힐 위치와 토우 위치를 구분하며, 상기 구분한 오른발의 위치로부터 상기 오른발의 힐 위치와 토우 위치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발 간격 산출할 때, 상기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왼발과 오른발 사이의 센서 개수 및 센서 배열 간격을 산출하고, 상기 센서 개수 및 센서 배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양발 간격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한 추천 양발 간격과 상기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양발 간격을 비교한 제1 분석 데이터, 사용자 선택에 의해 선정된 사용자 선호 양발 간격과 상기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양발 간격을 비교한 제2 분석 데이터,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COP(Center or Pressure) 이동 궤적 및 족저압 변화를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와 사용자의 실제 스윙에 따른 COP 이동 궤적 및 족저압 변화를 포함하는 실제 데이터를 비교한 제3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스윙 자세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스윙 자세에 상응하는 스켈레톤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영상에서의 제1 사용자 양발 간격을 산출하고,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스윙 자세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양발 간격을 산출하며, 상기 제2 사용자 양발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에서의 제1 사용자 양발 간격을 보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양발 간격에 대한 보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에서의 사용자 신체 길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9.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의 골프 스웨이 분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에 상응하여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 및 양발 간격 산출 및 상체 기준선을 추정하여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 양발 간격 및 상체 기준선에 상응하는 기록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골프 스윙 단계별로 구분한 기록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웨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석한 사용자의 스웨이를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양발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윙 준비 완료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체 기준선을 추정할 때, 상기 사용자의 무게 중심점과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체 기준선을 추정하며,
    상기 센서부는,
    정전용량성 압력센서, 저항성 압력센서, 그리고 하이브리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 센서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센서들이 매트 플레이트 위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열되되,
    상기 센서부는,
    다수 개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제1 센서 그룹 및 다수 개의 저항성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제2 센서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 그룹은 상기 매트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을 통해 드라이버 헤드의 궤적으로 센싱하고,
    상기 제2 센서 그룹은 상기 매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골프자세에 상응하는 압력을 센싱하며,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는 횡방향에 대해 비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종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는 횡방향과 종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센서 그룹의 정전용량성 압력센서의 개수가 상기 제2 센서 그룹의 저항성 압력센서의 개수보다 적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웨이 분석 방법.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제9 항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의 골프 스웨이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90240A 2021-12-28 2021-12-28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및 그의 분석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59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240A KR102659640B1 (ko) 2021-12-28 2021-12-28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및 그의 분석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240A KR102659640B1 (ko) 2021-12-28 2021-12-28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및 그의 분석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825A KR20230100825A (ko) 2023-07-06
KR102659640B1 true KR102659640B1 (ko) 2024-04-24

Family

ID=8718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240A KR102659640B1 (ko) 2021-12-28 2021-12-28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및 그의 분석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6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9856A (ja) * 2005-05-06 2008-11-20 ブライアン フランシス ムーニー ゴルフスイング中の足に関連した力の測定及び分析
KR101847503B1 (ko) * 2016-03-24 2018-05-11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시스템 양 발의 압력 데이터를 이용한 모션 분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303B1 (ko) 2008-12-08 2011-10-19 박정규 골프 스웨이 감지 장치
KR101999717B1 (ko) * 2017-12-19 2019-07-12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격자형 압력센서를 이용한 골프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69945B1 (ko) * 2020-04-02 2022-03-04 주식회사 마이다스에이치앤티 압력을 이용한 운동 자세 구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9856A (ja) * 2005-05-06 2008-11-20 ブライアン フランシス ムーニー ゴルフスイング中の足に関連した力の測定及び分析
KR101847503B1 (ko) * 2016-03-24 2018-05-11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시스템 양 발의 압력 데이터를 이용한 모션 분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825A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121B1 (ko) 골프 스코어 기록 방법, 이를 제공하는 골프 스코어 기록 장치 및 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
KR101458931B1 (ko) 운동 자세 분석 장치 및 운동 자세 분석 정보 생성 방법
KR101504538B1 (ko) 운동 자세 분석 장치 및 운동 자세 분석 정보 생성 방법
US110899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spasticity and clonus evaluation using inertial sensor
US9348953B2 (en) Swing simulation system, swing simulation apparatus, and swing simulation method
KR101775581B1 (ko) 사용자 운동 동작 분석 정보 제공을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운동 동작 분석장치와, 사용자 골프 스윙 분석정보 제공을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스윙 분석 장치
US10786717B2 (en) Impact point estimation apparatus
CN113926172A (zh) 使用被配置为检查重叠状态下两个高尔夫图像和结果数据的应用程序的姿势比较和校正方法
CN115569344A (zh) 立定跳远成绩评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659640B1 (ko) 골프 스웨이 분석 장치 및 그의 분석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47503B1 (ko) 양 발의 압력 데이터를 이용한 모션 분석 방법 및 장치
US20160153777A1 (en) Movement-trace sensing system and motion model constructing method by using the same
US20180169471A1 (en) Selection support apparatus, selection support system, and selection support method
KR20160035497A (ko) 스켈레톤 추출정보를 이용한 동작분석 기반의 체형분석 시스템
KR102468648B1 (ko) 영상에 대한 원격 광용적맥파신호를 이용하여 사람의 심박수를 산출하는 방법
US20220386936A1 (en) A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ynamic visual, vestibular and somatosensory ability
US11998822B2 (en) Mat, method and program for measuring golf posture capable of measuring golf club swing speed
EP4201492B1 (en) Mat, method and program for measuring golf posture capable of measuring golf club swing speed
JP5032415B2 (ja) 運動推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44144B2 (ja) スイング解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55978B1 (ko) 열감지 센서를 이용한 골프 샷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361166B1 (ko) 엑스 펙터 개선을 위한 피드백 장치 및 방법
US20240017409A1 (en) Recommended load determining device, capability parameter estimation model train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2609745B1 (ko) 가상 조작반 제공 장치와 그의 가상 조작반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EP43009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