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503B1 -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for preventing curing carryng materials - Google Patents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for preventing curing carryng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503B1
KR102659503B1 KR1020230185851A KR20230185851A KR102659503B1 KR 102659503 B1 KR102659503 B1 KR 102659503B1 KR 1020230185851 A KR1020230185851 A KR 1020230185851A KR 20230185851 A KR20230185851 A KR 20230185851A KR 102659503 B1 KR102659503 B1 KR 102659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shing water
conveyed material
body cas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58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경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경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경엔텍
Priority to KR102023018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5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5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0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 B65G53/12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the gas flow acting directly on the materials in a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65G53/4608Turnable elements, e.g. rotary wheels with pockets or passages for material
    • B65G53/4625Turnable elements, e.g. rotary wheels with pockets or passages for material with axis of turning perpendicular to flow
    • B65G53/4658Turnable elements, e.g. rotary wheels with pockets or passages for material with axis of turning perpendicular to flow the element having passages simultaneously connectable to both inlet and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25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셀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본체 케이스 내부에 일정중량의 이송물이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세정수단을 제어하여 돔밸브를 세정하고, 호퍼로부터 본체 내부로 더 이상의 이송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개폐수단을 제어하여 본체 내부의 이송물이 저장수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며, 로드셀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본체 내부에 이송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퍼로부터 본체 내부로 다시 이송물이 투입되도록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이송물이 투입되는 이송물 투입 호퍼; 이송물을 하강시키는 슈트가 내부 설치된 본체 케이스; 상기 이송물 투입 호퍼의 출구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물 투입 호퍼로부터 배출된 이송물을 본체 케이스 내 슈트로 전달하는 중간 연결관;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배출된 이송물을 이송물 저장 수단으로 전달하는 이송물 배출 관로;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중간 연결관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기 이송물 투입 호퍼 안의 이송물을 본체 케이스 안으로 들여보내거나 들여보내지 않는 개폐수단;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슈트 안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슈트 내 이송물이 압축 공기의 추진력에 의해 이송물 배출 관로를 거쳐 이송물 저장수단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의 돔밸브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돔밸브에 점착된 침사물을 제거하는 세정수단; 본체 케이스 내부에 적제되는 이송물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 및 상기 세정수단의 세정수 공급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oad cel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certain weight of conveyed material has been input into the main body case, controls the cleaning means for a time set by a timer to clean the dome valve and prevents further transfer from the hopper into the main bod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re controlled to prevent water from being introduced so that the conveyed material inside the main body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transported material inside the main body by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oad cell, the transported material is transferred from the hopper back into the main body.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cycle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be turned on repeatedly; A conveyed material input hopper into which the transported material is input; A main body case with a chute installed inside to lower the conveyed material; An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installed between the outlet of the conveyed material input hopper and the inlet of the main body case to deliver the transport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transported material input hopper to a chute within the main body case; a transfer material discharge pipe that delivers the transfer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case to a transfer material storage means; Opening/closing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the inlet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to allow or not allow the transported material in the transported material input hopper into the main body cas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into the chute of the main body cas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so that the conveyed material in the chute is moved to the transported material storage means through the transported material discharge pip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compressed air; a cleaning means for removing sediment adhering to the dome valve by spraying cleaning water on the dome val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A load cell that detects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case; and a timer for counting the cleaning water supply time of the cleaning means.

Description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FOR PREVENTING CURING CARRYNG MATERIALS}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that can prevent hardening of conveyed material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FOR PREVENTING CURING CARRYNG MATERIALS}

본 발명은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that can prevent hardening of conveyed material.

본 발명은 특히, 호퍼로부터 본체 케이스로 이송물을 투입하기 위해 개폐되는 돔밸브를 일정주기로 세정하여, 돔밸브에 침사물이 점착됨에 인해 발생되는 돔밸브 표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함으로써 에어 누출로 인한 이송물의 이송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leans the dome valve that opens and closes at regular intervals to feed the conveyed material from the hopper to the main body case, preventing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dome valve caused by sediment adhering to the dome valve, thereby preventing transportation due to air leakage. This is to prevent a decrease in water transfer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이송 효율 저하로 인해 본체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는 이송물이 방치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본체 케이스 내부에서의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hardening of the conveyed material inside the main case, which may occur when the conveyed material remaining inside the main case is left unattended due to a decrease in transport efficiency.

일반적으로 폐수처리장이나 환경사업소등 폐수와 분뇨처리의 과정에 있어서,기계설치시 불필요한 공간이나 장소 및 기타 청결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공 기압을 이용한 컨베이어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in the process of wastewater and excrement treatment at wastewater treatment plants or environmental business facilities, conveyor devices using pneumatic pressure are widely used to solve unnecessary space or location and other cleanliness problems when installing machines.

이러한 공기압을 이용한 컨베이어는 압축된 공기를 사용하며, 기계구조상 밀폐용기 내부에 이송시키고자 하는 물체를 저장한 후, 상기 저장용기 상부의 투입구 을 봉쇄하여 압축된 공기를 기계 내부에 순간적으로 불어 주입하여 내부에 있는 이 송물이 공기압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되고 있다.Conveyors using such pneumatic pressure use compressed air. Due to the mechanical structure,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is stored inside a sealed container, and then the inlet at the top of the storage container is closed and the compressed air is instantly blown into the machine to inject it. The material inside is transported through the pipeline by air pressure.

이러한 이송방법은 기계 설치시 컨베이어 설치에 따른 장소 및 공간 등에 대한 규제가 없고, 수직, 수평 및 곡면관 이송 등이 자유로우며 밀폐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폐기물을 이송함으로써 악취 및 주변환경에 폐해를 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장거리 이송이 매우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This transport method has no restrictions on the location and space of the conveyor when installing the machine, and allows free transport of vertical, horizontal, and curved pipes, and transports waste through a sealed pipeline, which causes bad odor and harmful effects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be solved, and long-distance transport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very economical.

이러한 종래의 공기압을 이용한 협작물 및 슬러지 이송장치는 이송배관 내부및 기계 내부에 점성 및 물성의 특성으로 인한 이송중 막힘 현상이 발생된다.In such conventional pneumatically used transport equipment for contaminants and sludge, clogging occurs during transpor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viscosity and physical properties inside the transport pipe and inside the machine.

즉, 공기압 콘베이어의 이송물중 점도가 강한 슬러지나, 협작물 중 비닐성분같은 것이나, 공기가 밀어내기 어려운 이송물은 공기압의 컨베이어와 이송설비상 짧은 시간 내에 이송되지 못하면 관내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In other words, materials transported on a pneumatic conveyor, such as highly viscous sludge or vinyl components among crops, or materials that are difficult to push out with air, will remain in the pipe if they cannot be transport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the pneumatic conveyor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그리고 압축된 공기가 이송물을 밀어내지 못하면 투입밸브가 열릴 때 압축된 공기가 역으로 빠져나가면서 굉음과 함께 밀폐저장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이송 물이 그대로 외부로 튀어나와 컨베이어 주변 및 밀폐저장용기 내부를 더럽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And if the compressed air does not push out the conveyed material, when the input valve opens, the compressed air escapes in the opposite direction, making a loud noise, and the conveyed water contained inside the sealed storage container jumps out to the outside and around the conveyor and the sealed storage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with the interior becoming dirty.

이러한 현상은 전기적으로 자동 운전되는 방식으로 투입밸브가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며, 기계 내부 및 관내에 있는 이송물이 이송여부에 관계없이 시간이 되면, 열고 닫히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작동하는 과정에서 생기게 된다.This phenomenon is an electrically automatic operation in which the input valve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when the time is right, and the series of processes of opening and closing when the time is right is continuously repea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transported material inside the machine and pipe is transported. It arises during the operating process.

따라서 상기의 종래 기술은 공기압 컨베이어의 막힘시 배관 라인을 사람이 직접 분리시켜 관내를 막고 있던 슬러지 이송물을 강제로 완전히 제거시켜 배관을 청소하고, 재조립하여야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청소 및 분해조립의 번거럽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y can only be used by manually disconnecting the piping line when the pneumatic conveyor is blocked, completely removing the sludge that was blocking the pipe, cleaning the piping, and reassembling it, so it requires cleaning and disassembly. There is a cumbersome and inconvenient problem.

또한, 공기압 컨베이어는 하·폐수처리장에서 발생된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해 타이머 이송 방식도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pneumatic conveyors also use a timer transfer method to transport waste generated at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타이머 이송방식은 하·폐수처리장에 기기 설치 후, 각 현장마다 다르게 배출되는 폐기물의 양을 육안으로 가늠하여 평균적인 데이터를 토대로 타이머 초기 셋팅을 함으로써 폐기물의 양이 충분치 않을 경우에도 타이머에 의해 불필요한 이송동작이 이루어지고, 특히 우기때와 같이 하·폐수 유입량이 많을 경우 폐기물의 양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싸이클 타임을 좀더 빠르게 셋팅하는 등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폐기물이 기기밖으로 넘쳐버려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원활한 운영이 어렵게 된다.In the timer transfer method, after installing a device at a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amount of waste discharged differently at each site is visually estimated and the timer is initially set based on average data,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transfer by the timer even when the amount of waste is not sufficient.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re is a large amount of sewage and wastewater inflow, especially during the rainy season, the amount of waste increases. If you do not respond quickly, such as by setting the cycle time faster, the waste may overflow out of the device, contaminating the surrounding area or preventing smooth operation. Operation becomes difficult.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기기내 폐기물의 유입되는 양을 측정하여 원하는 양 도달시 이송하는 방식인 중량감지 정량 이송방식이 개발되었다.To improve this problem, a weight-sensing fixed-quantity transfer method was developed, which measures the amount of waste flowing into the device and transfers it when the desired amount is reached.

그러나 이러한 방식도 폐기물의 량이 일정량 도달해야만 이송이 이루어지므로 폐기물의 량이 적거나 갑자기 많은 량이 배출될 경우에는 적절하게 대응이 가능하지만, 비교적 거주하는 사람이 적은 지방의 하·폐수처리장에서는 폐기물의 량이 적은 것이 보통이므로, 통상적으로 하루에 한번 또는 몇일에 한번 이송하는 경우가 발생됨으로 인하여 컨베이어 내부에 적체되는 폐기물이 단단하게 굳어지는 경화현상이 발생되어 막상 이송시점에는 이송배관 초기지점이 막혀서 원활한 이송운전을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method is also transferable only when the amount of waste reaches a certain amount, so it is possible to respond appropriately when the amount of waste is small or a large amount is suddenly discharged. However, in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rural areas where there are relatively few people living, the amount of waste is small. As this is normal, transfer is usually carried out once a day or once every few days. As a result, a harden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waste accumulated inside the conveyor hardens, and at the time of transfer, the initial point of the transfer pipe is blocked, preventing smooth transfer operation.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또한,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에 구성된 돔밸브는 침사물 이송에는 적합하지 않은 밸브이다. 특히 돔밸브 표면과 고무패킹 사이에 모래 성분이 달라붙어 실링(sealing)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뿐만 아니라, 돔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이송물이 본체 내에서 이송될 때 돔밸브 몸체 내부 벽에 모래 성분이 점착되고, 이로 인해 마찰에 의해 돔밸브 표면이 긁히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를 통해 에어(air)가 누출되어 침사물 이송에 커다란 지장을 초래한다.. In addition, the dome valve configured in the pneumatic conveyor system is not suitable for transporting sediment. In particular, sand sticks between the dome valve surface and the rubber packing, which not only seriously affects sealing, but also causes sand to form on the inner wall of the dome valve body when the conveyed material is transported within the body while the dome valve is closed. It sticks, and as a result, the surface of the dome valve is scratched due to friction, and air leaks through this, causing great disruption to the transport of sediment.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35906호는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탈수기 및 협작물처리기에서 배출되는 탈수케이크 또는 협작물 등을 모으는 밀폐저장용기와, 상기 밀폐저장용기의 하부중심부와 연결되고 밀폐저장용기 내의 배출물을 지정된 장소로 이송을 이루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밀폐저장용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밀폐저장용기 내로 공기압의 개폐를 이루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지는 공기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폐저장용기의 일측에 설치되고 밀폐저장용기) 내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게이지와; 상기 밀폐저장용기의 내측에 부착되어 밀폐저장용기로 유입된 내용물의압축으로 중량측정을 이루는 스트레인게이지와, 상기 밀폐저장용기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관로 상에 부착되어 소정의 수압분출이 가능한 수압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압력게이지와 스트레인게이지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및 수압솔레노이드밸브를 연결하여 컨트롤이 가능한 컨트럴패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기존의 타이머에 의한 자동운전 방식에서 벗어나 컨베이어의 1회 이송량을 정확히 하고, 불필요한 공압 소모를 방지하여 동력 손실을 예방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고, 공기압 컨베이어의 막힘시 사람이 배관라인을 분리하지 않고도 관내의 이송물을 손쉽게 제거하여 안정적이고 편리하고 신뢰적인 폐기물 이송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35906 relates to a waste transport device using pneumatic and hydraulic pressure, which includes an airtight storage container for collecting dehydrated cakes or grains discharged from a dehydrator and a grain processor, and a lower center portion of the airtight storage container. In the waste transport device using pneumatic pressure, which consists of a transfer pipe that is connected to and transports the discharged matter in the sealed storage container to a designated location, and a solenoid val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aled storage container to open and close the air pressure into the sealed storage container, A pressure gaug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aled storage container and checking the pressure within the sealed storage container; A strain gauge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ealed storage container and measures the weight by compressing the contents flowing into the sealed storage container, and is attached to the pipe of the solenoid valv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ealed storage container to emit a predetermined water pressure. A hydraulic solenoid valve capable of thi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panel that can be controlled by connecting the pressure gauge, strain gauge, solenoid valve, and water pressure solenoid valve, and deviates from the existing automatic operation method based on a timer to accurately transfer the conveyor per time and eliminate unnecessary pneumatic consumption. It prevents power loss and achieves economical use at the same time, and when the pneumatic conveyor is clogged, the conveyed material within the pipe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a person disconnecting the piping line, enabling the use of a stable, convenient, and reliable waste transportation device. We are making it possible.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73499호는 공압 이송시스템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폐재료 등 물질의 폐기물 이송 시스템 등 공압 물질 이송 시스템에서의 공급 탱크 또는 피드 슈트의 탱크 공간을 컨베이어 파이프로 드레이닝하기 위해,; 상기 탱크 공간은 물질을 상기 탱크 공간으로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입 개구와, 상기 탱크 공간을 컨베이어 파이프로 드레이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측 개구, 및 상기 컨베이어 파이프 및 탱크 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출구측 밸브로 이루어지며, 물질의, 물질 컨테이너의 출구측 개구를 통한 컨베이어 파이프로의 접근이 조정되고, 드레이닝 단계에서 컨베이어 파이프 내에 적용된 부압이, 공급 탱크 내에 적용된 주변 기압과 함께, 물질을 공급 탱크로부터 컨베이어 파이프로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장치로서, 상기 공급 탱크 내에서, 상기 공급 탱크의 출구측 개구로부터 및/또는 출구측 밸브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된 벽 부재가, 두 개의 위치, 즉, 상기 벽 부재가 상기 공급 탱크의 출구측 개구 근처로의 물질의 접근을 규제하는 제1위치와, 상기 벽 부재가 상기 공급 탱크의 출구측 개구 근처로의 물질의 접근을 기본적으로 규제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벽 부재의 이동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공급 탱크로부터 컨베이어 파이프로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드레이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73499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a pneumatic transfer system, which involves converting the tank space of a supply tank or feed chute into a conveyor pipe in a pneumatic material transfer system, such as a waste transfer system for materials such as waste materials. To drain; The tank space includes at least one injection opening for injecting material into the tank space, at least one outlet opening for draining the tank space with a conveyor pipe, and an outlet provided between the conveyor pipe and the tank space. side valve, which regulates the access of the material to the conveyor pipe through the outlet opening of the material container, wherein the negative pressure applied within the conveyor pipe during the draining phase, together with the ambient air pressure applied within the supply tank, allows the material to enter the supply tank. 1. A device provided for transfer from a conveyor pipe to a conveyor pipe, wherein a wall member located within the supply tank is positioned away from an outlet opening of the supply tank and/or away from an outlet valve in two positions, namely: so that the wall member operates between a first position in which access of material near the outlet opening of the supply tank is regulated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wall member essentially does not restrict access of material near the outlet opening of the supply tank. and configured to include means for movement of the wall member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o effect rapid and effective draining from the supply tank to the conveyor pipe.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3739호는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슬러지나 폐비닐과 같은 폐기물을 이송하여 정해진 위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에 있어서, 정해진 용량의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폐기물이 저장되는 폐기물 저장조와;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벨트의 끝단부가 상기 폐기물 저장조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폐기물 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을 전달받아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게 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폐기물 분배구를 구비하여 상기 폐기물 분배구가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폐기물의 높이가 균일해지도록 하는 분배기를 포함하되; 상기 분배기는 상기 컨베이어의 정해진 위치 상에 정해진 높이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동축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일단부가 핀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에 타단부가 핀결합되는 링크 바 및;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폐기물 분배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상기 회전판의 회전운동이 상기 링크 바를 통해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축과 폐기물 분배구가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전후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어, 폐기물 분배구의 전후 왕복운동으로 폐기물이 일정 높이 이하로 고르게 퍼져 이송될 수 있음에 따라, 폐기물을 목적하는 위치에 정량 공급할 수 있고, 슬러지의 처리에 활용될 시 슬러지가 이송벨트의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슬러지에 대한 각종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03739 relates to a conveyor-type fixed-quantity distribution waste supply device. It is a supply device for transporting waste such as sludge or waste vinyl and supplying it to a designated location, and has a storage space of a certain capacity. a waste storage tank formed to store waste; A conveyor consisting of a transfer belt driven by an actuator, the end of the transfer belt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waste storage tank, and the conveyor receives the waste discharged from the waste storage tank and transfers it to a designated location; It is provided with a waste distribution port installed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belt, and the waste distribution port reciprocates back and forth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ansport belt, and the height of the waste loaded and trans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belt Includes a distributor to ensure that is uniform; The distributor includes a fixed fram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nveyor; a driving motor fixed to the fixed frame; a rotating plat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 drive shaft whose both ends are rotatably fixed to the fixed frame; a link bar, one end of which is pin-connect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in-connected to the drive shaft; It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and extends downward, but is installed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belt, and includes a waste distribution port in the shape of a plate, wherei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pl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moves the link bar. It is transmitted to the drive shaft through the drive shaft and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back and forth between the drive shaft and the waste distribution port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so that the waste can be evenly spread and transported below a certain height through the front and back reciprocation of the waste distribution port. It can be supplied in a fixed quantity to the desired location, and when used for sludge treatment, the sludge is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transport belt,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sludge treatmen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중래기술들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이송물 이송동작이 수행되도록 한 것일뿐, 로드셀과 타이머 정보를 적절하게 연계하여 이송물 이송동작을 가변적으로 수행하거나, 외부 온도 등의 기상변화, 여름철 및 겨울철 등의 계절조건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효과적으로 이송동작을 수행하기에는 부족한 기술들이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technologies only allow the transport operation of the transported object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preset standards, and the transport operation of the transported object is performed variably by appropriately linking the load cell and timer information, or weather changes such as external temperature, summer These technologies were insufficient to effectively perform transfer operations by appropriately combining seasonal conditions such as winter and winter.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35906호(2005. 12. 05. 등록, 명칭 :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35906 (registered on December 5, 2005, name: waste transport device using pneumatic and hydraulic pressure)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73499호(2011. 06. 29. 공개, 명칭 : 공압 이송시스템의 방법 및 장치)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73499 (published on June 29, 2011, name: method and device of pneumatic conveying system)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3739호(2012. 11. 15. 등록, 명칭 :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3.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03739 (Registered on November 15, 2012, Name: Conveyor-type fixed-quantity distribution waste supply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호퍼로부터 본체 케이스로 이송물을 투입하기 위해 개폐되는 돔밸브를 일정주기로 세정하여, 돔밸브에 침사물이 점착됨에 인해 발생되는 돔밸브 표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함으로써 에어 누출로 인한 이송물의 이송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dome valve caused by sediment adhering to the dome valve by cleaning the dome valve that opens and closes at regular intervals to feed the conveyed material from the hopper to the main body case, thereby preventing air leakage. The goal is to provide a pneumatic conveyor operation system that prevents the transfer efficiency of transported materials from decreas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 효율 저하로 인해 본체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는 이송물이 방치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본체 케이스 내부에서의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that can prevent the hardening of the conveyed material inside the main case, which may occur when the conveyed material remaining inside the main case is left unattended due to a decrease in conveying efficiency. .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prevent hardening of conveyed material is

로드셀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본체 케이스 내부에 일정중량의 이송물이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세정수단을 제어하여 돔밸브를 세정하고, 호퍼로부터 본체 내부로 더 이상의 이송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개폐수단을 제어하여 본체 내부의 이송물이 저장수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며, 로드셀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본체 내부에 이송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퍼로부터 본체 내부로 다시 이송물이 투입되도록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If it is determined that a certain weight of conveyed material has been input into the main body case by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oad cell, the dome valve is cleaned by controlling the cleaning means for the time set by the timer, and no more transported material is input into the main body from the hopper.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controlled so that the conveyed material inside the main body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transported material inside the main body by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oad cell,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conveyed material is fed back into the main body from the hopp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cycle of controlling the means to be repeatedly performed;

이송물이 투입되는 이송물 투입 호퍼;A conveyed material input hopper into which the transported material is input;

이송물을 하강시키는 슈트가 내부 설치된 본체 케이스;A main body case with a chute installed inside to lower the conveyed material;

상기 이송물 투입 호퍼의 출구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물 투입 호퍼로부터 배출된 이송물을 본체 케이스 내 슈트로 전달하는 중간 연결관;An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installed between the outlet of the conveyed material input hopper and the inlet of the main body case to deliver the transport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transported material input hopper to a chute within the main body case;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배출된 이송물을 이송물 저장 수단으로 전달하는 이송물 배출 관로;a transfer material discharge pipe that delivers the transfer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case to a transfer material storage means;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중간 연결관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기 이송물 투입 호퍼 안의 이송물을 본체 케이스 안으로 들여보내거나 들여보내지 않는 개폐수단;Opening/closing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the inlet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to allow or not allow the transported material in the transported material input hopper into the main body case;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슈트 안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슈트 내 이송물이 압축 공기의 추진력에 의해 이송물 배출 관로를 거쳐 이송물 저장수단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Compressed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into the chute of the main body cas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so that the conveyed material in the chute is moved to the transported material storage means through the transported material discharge pip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compressed air;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의 돔밸브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돔밸브에 점착된 침사물을 제거하는 세정수단;a cleaning means for removing sediment adhering to the dome valve by spraying cleaning water on the dome val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본체 케이스 내부에 적제되는 이송물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 및A load cell that detects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case; and

상기 세정수단의 세정수 공급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timer that counts the cleaning water supply time of the cleaning means.

본 발명에서, 제어수단은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is

개폐수단의 돔밸브를 개방하여 이송물 투입 호퍼 내 이송물을 본체 케이스 내로 투입시키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opening the dome val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inject the conveyed material in the conveyed material input hopper into the main body case;

로드셀에 의해 감지되는 본체 케이스 내 적제된 이송물 중량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analyzing in real time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in the main body case detected by the load cell;

본체 내부에 적제된 이송물이 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세정수단을 제어하여돔밸브를 세정하는 제3 단계; A third step of controlling the cleaning means to clean the dome valve when the conveyed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body reaches the set weight;

돔밸브에 대한 일정시간의 세정이 종료되면, 개폐수단의 돔밸브를 폐쇄하여 호퍼로부터 본체 내부로 더 이상의 이송물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4 단계;When the cleaning of the dome val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completed, a fourth step of closing the dome val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block further transfer material from being input into the main body from the hopper;

본체 내부에 적제된 이송물이 이송관로를 통해 저장수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5 단계; 및A fifth step of allowing the transfer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body to be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through the transfer pipe; and

본체 케이스 내에 적제되었던 이송물이 모두 저장수단으로 이송되면, 개폐수단의 돔밸브를 개방하여 다시 이송물이 호퍼로부터 본체 케이스 내로 투입되도록 하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진 이송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ll the conveyed material loaded in the main case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the dome val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opened to allow the conveyed material to be introduced from the hopper into the main case again; the transport operation is controlled. .

본 발명에서, 제어수단은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is

본체 내부에 적제된 이송물 중량에 따라 세정수단을 통해 돔밸브에 분사되는 세정수 분사시간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by variably setting the spray time of the cleaning water sprayed onto the dome valve through the cleaning mean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body.

본 발명에서, 세정수단은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means is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중간 연결관 및 본체 케이스의 슈트에 대한 세정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intermediate connector and the chute of the main body cas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본 발명에서, 세정 수단은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means is

링(Ring) 형태의 관으로서 중간 연결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링형 세정수 공급관;A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상기 중간 연결관의 외벽에 관통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과 연결되며, 링형 세정수 공급관에 세정수를 전달하는 메인 세정수 공급관;a main washing water supply pipe installed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th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and delivering washing water to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의 외부 둘레면에 장착되어 중간 연결관의 내부, 슈트 내부 및 돔밸브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 노즐;a washing water spray nozzle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and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the inside of the chute, and the dome valve;

상기 메인 세정수 공급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으로 세정수를 공급 또는차단하는 세정수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및 A solenoid valve for washing water control, which is installed in the main washing water supply pipe and opens or closes the valv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to supply or block washing water to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And

상기 세정수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 사이에 배치된 메인 세정수 공급관에 설치되어 링형 세정수 공급관 방향으로 흐르는 세정수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세정수 제어용 체크 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heck valve for washing water control is installed on the main washing water supply pipe disposed between the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from flowing back.

본 발명의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에 따르면, 호퍼로부터 본체 케이스로 이송물을 투입하기 위해 개폐되는 돔밸브를 일정주기로 세정하여, 돔밸브에 침사물이 점착됨에 인해 발생되는 돔밸브 표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에어 누출로 인한 이송물의 이송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prevent hardening of transported materials, the dome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o input the transported materials from the hopper into the main case is cleaned at regular intervals, causing sediment to adhere to the dome valve. By preventing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dome valve, a decrease in transfer efficiency due to air leakage can be prevented.

또한, 본체 케이스 내부, 특히 슈트 등에 미처 저장수단으로 이송되지 못한 일부 이송물이 잔류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이송물 이송동작이 장시간 수행되지 않으면 잔류 이송물이 경화되는데, 이렇게 되면 저장수단으로 이송되도록 본체 케이스 내부에 적제되는 이송물 중량 판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본체 케이스 내부에 적제되는 이송물 중량이 일정중량에 도달하면 이송동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이송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세정수단을 통해 돔밸브를 세정하여 돔밸브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ome transfer material that has not yet been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remains inside the main body case, especially in the chute, etc., and if the transfer operation of the transfer material is not performed for a long time in this state, the remaining transfer material hardens. When this happens, the main body can be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inside the case cannot be accurately determin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weight of the transfer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case reaches a certain weight to improve transfer efficiency, and the durability of the dome valve can also be improved by cleaning the dome valve through a cleaning means. there is.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effec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세정수단의 평면도,
도 4는 세정수단의 측면도,
도 5는 돔밸브의 에어 누출로 인한 모래 및 슬러지 코팅 현상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의 제어 구성도.
도 7는 본 발명에서 세정수단의 동작이 포함되지 않은 기본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세정수단의 동작을 포함한 기본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
상기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명확한 실시예를 도시하였고 하기 내용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은 그 어떤 방식으로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특정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개념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hardening of conveye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3 is a plan view of the cleaning means;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cleaning means;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and and sludge coating phenomenon caused by air leakage from the dome valve.
Figure 6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hardening of conveye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basic cycle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basic cycle includ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rough the drawings and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These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but are intended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세정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세정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돔밸브의 에어 누출로 인한 모래 및 슬러지 코팅 현상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서 세정수단의 동작이 포함되지 않은 기본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세정수단의 동작을 포함한 기본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hardening of conveye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top view of a cleaning means, Figure 4 is a cleaning means This is a side view.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and and sludge coating phenomenon caused by air leakage from the dome valve. Figure 6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that can prevent hardening of conveye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basic cycl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means.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basic cycle includ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operational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은, 도 1, 도 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이 투입되는 이송물 투입 호퍼(110); 이송물을 하강시키는 슈트(121)(Chute)가 내부에 설치된 본체 케이스(120); 상기 이송물 투입 호퍼(110)의 출구와 상기 본체 케이스(120)의 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물 투입 호퍼(110)로부터 배출된 이송물을 본체 케이스(120) 내 슈트(121)로 전달하는 중간 연결관(130); 상기 본체 케이스(120)로부터 배출된 이송물을 이송물 저장수단으로 전달하는 이송물 배출관로(140); 제어수단(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중간 연결관(130)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기 이송물 투입 호퍼(110) 내의 이송물을 본체 케이스(120) 내로 들여보내거나 차단하는 개폐수단(150); 제어수단(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본체 케이스(120)의 슈트(121) 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슈트(121) 내 이송물이 압축공기의 추진력에 의해 이송물 배출 관로(140)를 거쳐 이송물 저장수단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160); 제어수단(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세정수를 개폐수단(150)의 돔밸브(151)에 분사하여 점착된 침사물 등을 제거하는 세정수단(170); 및 상기 개폐수단(150)을 개방 또는 폐쇄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120)의 슈트(121) 내로 이송물이 투입된 후 개폐수단(150)이 폐쇄되면 압축공기 공급수단(160)을 작동시키며, 상기 세정수단(170)을 작동시켜 돔밸브(151)를 세정하는 제어수단(1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2, and 6, the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that can prevent the hardening phenomenon of the conveye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ed material input hopper 110 into which the transported material is input; A main body case 120 with a chute 121 installed therein for lowering the conveyed material; An intermediate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outlet of the conveyed material input hopper 110 and the inlet of the main body case 120 to deliver the convey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transported material input hopper 110 to the chute 121 within the main body case 120. Connector 130; A transfer material discharge pipe 140 that delivers the transfer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main case 120 to the transfer material storage means; Opening and closing means ( 150); Compressed air is supplied into the chute 121 of the main case 12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100, and the conveyed material in the chute 121 is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ed material discharge pipe 140 by the driving force of the compressed air. Compressed air supply means (160) for moving to the water storage means; A cleaning means 170 for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dome valve 151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100 to remove stuck sediment, etc.; And opening or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and operating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16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is closed after the conveyed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chute 121 of the main case 120, It includes a control means (100) that operates the cleaning means (170) to clean the dome valve (151).

상기 개폐수단(150)은, 중간 연결관(130)의 내부에서 중간 연결관(130)의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돔밸브(151)를 상기 중간 연결관(130)의 내부에 축 고정시키되, 한쪽 끝이 중간 연결관(130)의 바깥으로 돌출된 축 회전수단(152)과, 상기 중간 연결관(130)에 설치되고, 상기 축 회전수단(152)을 지지함과 더불어 축 회전수단(152)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축받이 수단(153)과, 상기 본체 케이스(120)의 외부에 '1'자 형태로 세워지되, 제어수단(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Stroke)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154)와, 상기 액츄에이터(154)의 하부를 본체 케이스(120)의 외면에 연결하고, 상기 액츄에이터(154)의 하부가 본체 케이스(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120)의 전후 방향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 하부 축 회전수단(155)과, 상기 중간 연결관(130)의 바깥으로 돌출된 축 회전수단(152)의 단부와 상기 액츄에이터(154)의 피스톤 로드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어 축 회전수단(152)을 회전시키는 운동 변환수단(156)으로 구성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secures the dome valve 151, which opens or closes the inlet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130, to the in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130, A shaft rotation means 152, at one end of which protrudes outward from the middle connector 130, is installed on the middle connector 130, and supports the shaft rotation means 152, as well as a shaft rotation means 152. ) is erected in the shape of a '1'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ase 120, and a bearing means 153 for smoothly rotating, and the stroke of the piston rod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100. The adjusting actuator 154 and the lower part of the actuator 154 ar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20, and the lower part of the actuator 154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case 120. Between the actuator lower shaft rotation means 155 that rotates the axis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end of the shaft rotation means 152 protruding out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130, and the end of the piston rod of the actuator 154. It is installed and consists of a motion conversion means (156) that changes the linear motion of the piston rod into a rotary motion and rotates the shaft rotation means (152).

상기 개폐수단(150)에서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가 축소되면, 돔밸브(151)는 중간 연결관(130)의 입구를 폐쇄하여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로의 이송물 투입을 차단하고,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가 연장되면 돔밸브(151)는 중간 연결관(130)의 입구를 개방하여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로의 이송물 투입이 가능하게 한다.When the stroke of the piston rod is reduc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the dome valve 151 closes the inlet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130 to block the input of conveyed material from the hopper 110 to the main body case 120, When the stroke of the piston rod is extended, the dome valve 151 opens the inlet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130 to enable the input of conveyed material from the hopper 110 to the main case 120.

상기 이송물 배출관로(140)는, 기역자 형태로 굽어지되, 입구가 상기 본체 케이스(120)의 출구와 플랜지 결합된 엘보관(141)과, 입구가 상기 엘보관(141)의 출구와 연결된 레듀샤(142)와, 입구가 상기 레듀샤(142)의 출구와 플랜지 결합되되 유연하게 굽어지는 플렉서블(Flexible)관(143)과, 입구가 상기 플렉서블 관(143)의 출구와 플랜지 결합된 인플렉서블(Inflexible) 관(144)으로 구성된다.The conveyed material discharge pipe 140 is bent in the shape of a cross-section, and has an elbow pipe 141 whose inlet is flange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main body case 120, and an elbow pipe 141 whose inlet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elbow pipe 141. A reducer 142, a flexible pipe 143 whose inlet is flange-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reducer 142 and is flexibly bent, and an inflexible tube 143 whose inlet is flange-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lexible pipe 143. (Inflexible) It consists of a pipe (144).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160)은, 본체 케이스(120) 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관(161)과,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161)에 설치되고, 제어수단(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본체 케이스(120) 내로 압축공기를 자동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압축공기 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162)와,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161)에 설치되되, 압축공기 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162)의 전단에서 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압축공기 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162)로 압축공기를 전달 또는 차단하는 압축공기 제어용 수동밸브(163)과, 상기 압축공기 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162)와 본체 케이스(120) 사이에 배치된 압축공기 공급관(161)에 설치되어 본체 케이스(120) 내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공기압 측정수단(164)으로 구성된다.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160 is installed in the compressed air supply pipe 161 and a compressed air supply pipe 161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into the main body case 120, and is installed in the compressed air supply pipe 16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200. A solenoid valve 162 for compressed air control that automatically supplies or blocks compressed air into the main case 120 is installed on the compressed air supply pipe 161, and the valve is opened at the front of the solenoid valve 162 for compressed air control. Or, a manual valve 163 for compressed air control that transmits or blocks compressed air to the solenoid valve 162 for compressed air control by closing it, and compressed air disposed between the solenoid valve 162 for compressed air control and the main body case 120. It consists of an air pressure measuring means 164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161 to measure the air pressure within the main case 120.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20) 내 공기 압력을 낮추기 위해 본체 케이스(120)에 채워진 압축공기를 본체 케이스(120) 바깥으로 내보내는 해압수단(190)을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pressure release means 190 that discharges the compressed air filled in the main body case 12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ase 120 in order to lower the air pressure within the main body case 120.

상기 해압수단(190)은, 상기 압축공기 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162)와 공기압 측정수단(164) 사이에 배치된 압축공기 공급관(161)으로부터 분기된 압축공기 배출관(191)과, 상기 압축공기 배출관(191)에 설치되고 제어수단(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여 본체 케이스(120) 내부에 채워진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배출관(191)을 통해 배출하는 압축공기 해압용 솔레노이드밸브(192)와, 상기 압축공기 배출관(191)에 설치되되, 상기 압축공기 해압용 솔레노이드밸브(192)의 전단에서 밸브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본체 케이스(120) 내부에 채워진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해압용 솔레노이드밸브(192)로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는 압축공기 해압용 수동밸브(193)로 구성된다.The pressure release means 190 includes a compressed air discharge pipe 191 branched from the compressed air supply pipe 161 disposed between the compressed air control solenoid valve 162 and the air pressure measurement means 164, and the compressed air discharge pipe A solenoid valve (192) for compressed air release, which is installed in (191) and opens and closes the valv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100) to discharge the compressed air filled inside the main case (120) through the compressed air discharge pipe (191). and a solenoid valve for compressed air release ( It consists of a manual valve 193 for releasing compressed air pressure that is delivered or not delivered to 192).

상기 세정수단(170)은, 링(Ring) 형태의 세정수 공급관(171)과, 상기 중간 연결관(130)의 외벽에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과 연결되며,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에 세정수를 전달하는 메인 세정수 공급관(172)과,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의 외부 둘레면에 하나 이상 장착되어 돔밸브(151)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노즐(173)로 구성된다.The cleaning means 170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ring-shaped cleaning water supply pipe 171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130, and has an end connected to the ring-shaped cleaning water supply pipe 171, and has a ring-shaped A main washing water supply pipe 172 that delivers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171, and one or more washing machine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171 to spray washing water on the dome valve 151. It consists of a water spray nozzle (173).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은, 중간 연결관(130)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의 내부 반지름은 돔밸브(151)의 회전 반경보다 커 돔밸브(151)가 축 회전시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 안으로 출입된다.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171 is installed at the inner top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130, and the inner radius of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171 is larger than the rotation radius of the dome valve 151, so that the dome valve 151 When the axis rotates, it goes in and out of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171).

상기 세정수 분사노즐(173)은,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에서 본체 케이스(120) 내 슈트(121)를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의 둘레면과,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에서 수평면 대비 90°각도로 지면을 마주보는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의 둘레면에 설치된다.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173 includes a peripheral surface of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171 diagonally facing the chute 121 in the main body case 120, and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It is install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171 facing the ground at an angle of 90° relative to the horizontal plane in the supply pipe 171.

상기 세정수단(170)은, 상기 메인 세정수 공급관(172)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으로 세정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세정수 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174)와, 상기 세정수 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174)와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 사이에 배치된 메인 세정수 공급관(172)에 설치되고, 링형 세정수 공급관(171) 방향으로 흐르는 세정수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세정수 제어용 체크밸브(175)를 포함한다.The washing means 170 is installed in the main washing water supply pipe 172 and is used for controlling washing water to supply or block washing water to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17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100. It is installed on the solenoid valve 174 and the main washing water supply pipe 172 disposed between the solenoid valve 174 for controlling washing water and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171, and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171. It includes a check valve 175 for controlling the washing wat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back.

본 발명은 또한, 상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12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12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3개 이상의 지지대(210)와, 각각의 상기 지지대(210) 하부에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대(210)를 통해 전달되는 무게를 측정하도록 지지대(210)를 통해 전달되는 무게에 비례 또는 반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로드셀(221)을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three or more supports 210, the upper part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case 120, and which separates the main body case 120 from the ground, and each support 210 is installed below, It further includes a load cell 221 that outputs a voltage proportional or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weight transmitted through each support 210 to measure the weight transmitted through each support 210.

상기 제어수단(100)은 각 로드셀(221)로부터 측정된 무게를 합산하여 합산 무게를 계산하며, 본체 케이스(120)의 내부에 일정중량의 이송물이 적제되었을 때 돔밸브(151)를 세정하도록 세정수단(170)을 작동시킨다.The control means 100 calculates the total weight by adding up the weight measured from each load cell 221, and cleans the dome valve 151 when a certain weight of conveyed material is loaded inside the main case 120. Operate the cleaning means (170).

즉, 상기 돔밸브(1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침사물 이송시 패킹과 디스크 사이에 모래 알갱이와 같은 이물질(G)이 끼어 기밀(sealing)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이를 통해 에어가 누출되어 모래 및 슬러지 코팅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dome valve 151 allows air to flow through the dome valve 151, as foreign substances (G) such as sand grains become stuck between the packing and the disk when transporting sediment, making sealing impossible. It leaks, causing sand and sludge coating.

따라서, 돔밸브(151)에 브러쉬를 장착하여 디스크 청소가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버터플라이 밸브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세정수단(170)을 작동시켜 디스크를 세정한다.Therefore,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mounting a brush on the dome valve 151 to enable disk cleaning or by using a butterfly val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k is cleaned by operating the cleaning means 17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영시스템은, 제어수단(100)과, 개폐수단(150)과, 압축공기 공급수단(160)과, 세정수단(170)과, 타이머(220)와, 로드셀(2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6,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eans 100,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a compressed air supply means 160, a cleaning means 170, and a timer 220. ,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ad cell 221.

제어수단(100)은 로드셀(221)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본체 케이스(120) 내부에 일정중량(설정된 중량)의 이송물이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머(220)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세정수단(170)을 제어하여 돔밸브(151)를 세정하고,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 내부로 더 이상의 이송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개폐수단(150)을 제어하여 본체 케이스 (120) 내부의 이송물이 이송관로(140)를 통해 저장수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며, 로드셀(221)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본체 케이스(120) 내부에 이송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퍼(110)로부터 본체(120) 내부로 다시 이송물이 투입되도록 개폐수단(150)을 제어한다.The control means 100 analyz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oad cell 221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certain weight (set weight) of transported material has been input into the main case 120, the cleaning means ( 170) is controlled to clean the dome valve 15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is controlled to prevent any more conveyed material from being input from the hopper 110 into the main body case 120 to transfer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120. Water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through the transfer pipe 14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transfer material inside the main body case 120 by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oad cell 221, the main body 120 is transferred from the hopper 110.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is controlled so that the conveyed material is introduced back inside.

즉 호퍼(110)로부터 본체(120) 내부로의 이송물 투입을 위한 개폐수단(150) 제어, 본체 케이스(120) 내부에 적제되는 이송물 중량분석, 본체 케이스(120) 내부에 적제되는 이송물 중량에 따른 세정수단(170) 제어, 돔밸브(151)에 대한 세정동작 제어,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 내부로의 이송물 투입을 차단하기 위한 개폐수단(150) 제어, 본체 케이스(120) 내부의 이송물을 이송관로(140)를 통해 저장수단으로 이송하는 동작 제어, 본체(120) 내부의 이송물 존재 여부 판단을 위한 분석, 호퍼(110)로부터 본체(120) 내부로의 이송물 재투입을 위한 개폐수단(150) 제어로 이루어지는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한다.That is, control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for inputting the transported material from the hopper 110 into the main body 120, analysis of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20, and conveyed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20. Control of the cleaning means 170 according to weight, control of the cleaning operation for the dome valve 151, control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for blocking the input of conveyed material from the hopper 110 into the main body case 120, main body case (120) Operation control for transferring the internal conveyed material to the storage means through the transfer pipe 140,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the transported material exists inside the main body 120, and transfer from the hopper 110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20. The cycle consisting of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means 150 for re-introducing the conveyed material is controlled to be performed repeatedly.

개폐수단(150)은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로 이송물을 투입 또는 차단하기 위해 제어수단(1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개폐수단(150)에 구성된 돔밸브(151)에 의한 중간 연결관(130)의 개폐에 따라 이송물이 투입되거나 차단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100 to input or block the conveyed material from the hopper 110 to the main case 120, and is controlled by the dome valve 151 configur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The conveyed material is input or blocked depending 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130.

압축공기 공급수단(160)은 상기 본체 케이스(120) 내부에 이송물이 일정중량으로 적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본체 케이스(120) 내부의 이송물이 이송물 배출관로(140)를 통해 저장수단으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의해 본체 케이스(120)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When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160 determines that the conveyed material is loaded at a certain weight inside the main body case 120, the transported material inside the main case 120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through the transported material discharge pipe 140. Compressed air is supplied into the main body case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100 to ensure smooth transfer.

세정수단(170)은 상기 본체 케이스(120) 내부에 이송물이 일정중량으로 적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의해 돔밸브(151)를 세정한다. When the cleaning means 170 determines that a certain weight of conveyed material is loaded inside the main case 120, the cleaning means 170 cleans the dome valve 15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100.

즉 돔밸브(151)가 폐쇄된 상태에서, 호퍼(110)에 적제되는 이송물, 특히 침사물이 돔밸브(151)에 표면에 점착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돔밸브(151)를 개방하여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로 이송물이 투입되도록 하고, 투입이 종료된 후 다시 돔밸브(151)를 폐쇄하는 동작을 반복하다 보면, 돔밸브(151) 표면에 점착된 침사물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면서 스크래치를 유발하고, 이를 통해 에어가 유출되면서 이송동작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일부 이송물이 본체 케이스(120)에 잔류하면서 경화되게 된다.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dome valve 151 is closed, the conveyed material loaded into the hopper 110, especially sediment,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dome valve 151. In this state, the dome valve 151 is opened to open the hopper.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injecting the conveyed material from (110) into the main case 120 and closing the dome valve 151 again after the input is completed, the sediment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dome valve 151 is removed. If it remains in an untreated state, scratches may occur, and air may leak out through this, making the transfer operation inefficient. As a result, some of the transfer material will remain in the main body case 120 and harde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로 이송물 투입이 가능하도록 돔밸브(151)가 개방된 상태에서, 돔밸브(151)에 대해 일정시간 동안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돔밸브 표면에 접착된 침사물 등을 제거하게 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me valve 151 is opened to allow the transfer material to be input from the hopper 110 to the main body case 120, and the surface of the dome valve is cleaned by spraying cleaning water on the dome valve 151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ediment adhering to the surface is removed.

타이머(220)는 세정수단(170)을 통해 돔밸브(151)로 세정수가 분사되는 시간이 설정된다.The timer 220 is set to the time at which cleaning water is sprayed to the dome valve 151 through the cleaning means 170.

로드셀(221)은 상기 돔밸브(151)가 개방되어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로 이송물이 투입되면서 적제되는 이송물 중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로드셀(221)에 의해 감지되는 적제 이송물 중량이 미리 설정된 중량이 되면, 제어수단(100)은 돔밸브(151)를 세정하도록 일정시간 동안 세정수단(170)을 제어하고, 본체 케이스(120)로부터 저장수단으로 이송물이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The load cell 221 detects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when the dome valve 151 is opened and the transported material is input from the hopper 110 to the main case 120. The loaded transport detected by the load cell 221 When the water weight reaches a preset weight, the control means 100 controls the cleaning means 17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clean the dome valve 151, and controls the transfer material to be transferred from the main case 120 to the storage means. do.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에서 세정동작이 포함되지 않은 기본 사이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밸브(151)가 개방되어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로 이송물(M)이 투입되고(a), 로드셀(221)에 의해 본체 케이스(120)에 적제되는(투입되는) 이송물의 중량이 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는지를 감지하여 이송물의 중량이 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b), 돔밸브(151)를 폐쇄한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120)로부터 저장수단으로 이송물(M)을 이송시키고(c), 로드셀(221)에 의해 본체 케이스(120)에 적제되었던 이송물(M)이 모두 저장수단으로 이송되었는지 감지하고(d), 다시 돔밸브(151)를 개방하여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로 이송물(M)이 재투입되도록 하는 동작(e)이 반복된다.In the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basic cycle that does not include a cleaning operation is as shown in FIG. 7, where the dome valve 151 is opened and the conveyed material ( M) is input (a), and the load cell 221 detects whether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object loaded (input) into the main case 120 reaches the set weight, and determines whether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object reaches the set weight ( b), with the dome valve 151 closed, the conveyed material (M)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body case 120 to the storage means (c), and the transported material is loaded into the main body case 120 by the load cell 221 Detecting whether all (M) has been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d), and opening the dome valve 151 again to allow the transferred material (M) to be re-introduced from the hopper 110 to the main case 120 (e) This is repeated.

반면, 본 발명의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에서 세정동작이 포함된 사이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밸브(151)가 개방되어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로 이송물(M)이 투입되고(a), 본체 케이스(120)에 적제되는(투입되는) 이송물의 중량이 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는지를 로드셀(221)에 의해 감지하고(b), 침사물 등이 점착되어 개방된 상태로 있는 돔밸브(151)를 세정수단(170)을 통해 세정하고(c), 침사물 등이 제거된 돔밸브(151)를 폐쇄하여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로 더 이상의 이송물 투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120)로부터 저장수단으로 이송물(M)을 이송시키고(d), 본체 케이스(120)에 적제되었던 이송물(M)이 모두 저장수단으로 이송된 것으로 로드셀(221)에 의해 감지되고(e), 다시 돔밸브(151)를 개방하여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로 이송물(M)이 재투입되도록 하는 동작(f)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cycle including the cleaning operation in the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dome valve 151 is opened and the conveyed material (M) is transferred from the hopper 110 to the main case 120. It is detected by the load cell 221 (b) whether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introduced) into the main case 120 reaches the set weight (b), and the sediment, etc. is adhered and remains in an open state. The dome valve 151 is cleaned through the cleaning means 170 (c), and the dome valve 151 from which sediments have been removed is closed to prevent further input of conveyed material from the hopper 110 to the main case 120. In the blocked state, the conveyed material (M)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ase 120 to the storage means (d), and the load cell 221 indicates that all the transported materials (M) loaded on the main case 120 have been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It is detected by (e), and the operation (f) of opening the dome valve 151 again to re-introduce the conveyed material (M) from the hopper 110 to the main case 120 is repeatedly performed.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흐름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verall operational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as follows.

제어수단(100)은 돔밸브(151)를 개방하여 호퍼(110) 내 이송물을 본체 케이스(120) 내로 투입시킨다.(S10)The control means 100 opens the dome valve 151 to inject the transported material in the hopper 110 into the main case 120 (S10).

다음에, 제어수단(100)은 로드셀(221)에 의해 감지되는 본체(120) 내 이송물 중량을 실시간으로 분석한다.(S20)Next, the control means 100 analyzes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in the main body 120 detected by the load cell 221 in real time (S20).

다음에, 제어수단(100)의 분석결과, 본체 케이스(120) 내부에 적제된 이송물 중량이 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세정수단(170)을 작동시켜 돔밸브(151)를 세정한다.(S30) Nex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the control means 100, when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case 120 reaches the set weight, the cleaning means 170 is operated to clean the dome valve 151. (S30) )

다음에, 제어수단(100)은 돔밸브(151)에 대한 일정시간의 세정이 종료되면, 개폐수단(150)을 제어하여 돔밸브(151)를 폐쇄함으로써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 내부로 더 이상의 이송물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한다.(S40)Next, when the cleaning of the dome valve 151 is comple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ntrol means 10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to close the dome valve 151, thereby removing the main body case 120 from the hopper 110. Blocks any further transfer material from entering the interior (S40).

다음에, 제어수단(100)은 본체 케이스(120) 내부에 적제된 이송물이 이송관로(140)를 통해 저장수단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한다.(S50)Next, the control means 100 controls the transfer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case 120 to be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through the transfer pipe 140 (S50).

다음에, 제어수단(100)은 로드셀(221)에 의한 감지신호를 분석한 결과, 본체(120) 내부에 이송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본체 케이스(120)로부터 저장수단으로 이송물이 모두 이송된 것으로 판단되면, 개폐수단(150)을 제어하여 돔밸브(151)를 개방시킴으로써 다시 이송물이 호퍼(110)로부터 본체 케이스(120) 내부로 투입되도록 한다.(S60)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by the load cell 221, the control means 10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transported material inside the main body 120, that is, all of the transported material from the main body case 120 to the storage means is If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been transferre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is controlled to open the dome valve 151 so that the transferred material is again introduced from the hopper 110 into the main body case 120 (S60).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케이스(120)에 적제되는 이송물 중량을 로드셀(221)을 통해 정확하게 감지한 후, 타이머(220)에 의해 시간을 카운트하면서 세정수단(170)을 작동시킴으로써 세정수 절약은 물론, 돔밸브(151) 주변과 본체 케이스(120) 내 슈트(121) 내벽에 이송물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eaning water is saved by accurately detecting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on the main case 120 through the load cell 221 and then operating the cleaning means 170 while counting the time by the timer 220. Of course, transfer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transferred material from hardening around the dome valve 151 and on the inner wall of the chute 121 within the main body case 120.

즉, 공기압 컨베이어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돔밸브에 침사물 등이 점착되어 고착화되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돔밸브 동작시 부하를 주는 상황이 주로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돔밸브(151) 주변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어 돔밸브(151) 회전시 이송물 끼임에 의한 과부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pneumatic conveyor is used for a long time, sediment, etc. adheres to the dome valve and becomes stuck, which usually causes a load when operating the dome valv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around the dome valve 151 is always kept clean. As it can be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load caused by the conveyed material being caught when the dome valve (151) rotat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100 : 제어수단 110 : 이송물 투입 호퍼
120 : 본체 케이스 121 : 슈트
130 : 중간 연결관 140 : 이송물 배출 관로
150 : 개폐수단 160 : 압축공기 공급수단
170 : 세정수단 190 : 해압수단
210 : 지지대 220 : 타이머
221 : 로드셀
100: Control means 110: Transport material input hopper
120: main body case 121: suit
130: middle connector 140: conveyed material discharge pipe
150: opening and closing means 160: compressed air supply means
170: cleaning means 190: depressurizing means
210: support 220: timer
221: load cell

Claims (5)

로드셀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본체 케이스 내부에 일정중량의 이송물이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세정수단을 제어하여 돔밸브를 세정하고, 호퍼로부터 본체 내부로 더 이상의 이송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개폐수단을 제어하여 본체 내부의 이송물이 저장수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며, 로드셀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본체 내부에 이송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퍼로부터 본체 내부로 다시 이송물이 투입되도록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이송물이 투입되는 이송물 투입 호퍼;
이송물을 하강시키는 슈트가 내부 설치된 본체 케이스;
상기 이송물 투입 호퍼의 출구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물 투입 호퍼로부터 배출된 이송물을 본체 케이스 내 슈트로 전달하는 중간 연결관;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배출된 이송물을 이송물 저장 수단으로 전달하는 이송물 배출관로;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중간 연결관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기 이송물 투입 호퍼 안의 이송물을 본체 케이스 안으로 들여보내거나 들여보내지 않는 개폐수단;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슈트 안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슈트 내 이송물이 압축공기의 추진력에 의해 이송물 배출관로를 거쳐 이송물 저장수단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의 돔밸브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돔밸브에 점착된 침사물을 제거하는 세정수단;
본체 케이스 내부에 적제되는 이송물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 및
상기 세정수단의 세정수 공급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중간 연결관 및 본체 케이스의 슈트에 대한 세정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
If it is determined that a certain weight of conveyed material has been input into the main body case by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oad cell, the dome valve is cleaned by controlling the cleaning means for the time set by the timer, and no more transported material is input into the main body from the hopper.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controlled so that the conveyed material inside the main body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transported material inside the main body by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oad cell,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conveyed material is fed back into the main body from the hopp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cycle of controlling the means to be repeatedly performed;
A conveyed material input hopper into which the transported material is input;
A main body case with a chute installed inside to lower the conveyed material;
An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installed between the outlet of the conveyed material input hopper and the inlet of the main body case to deliver the transport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transported material input hopper to a chute within the main body case;
a conveyed material discharge pipe that delivers the convey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case to a conveyed material storage means;
Opening/closing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the inlet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to allow or not allow the transported material in the transported material input hopper into the main body cas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into the chute of the main body cas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so that the conveyed material in the chute is moved to the transported material storage means through the transported material discharge pip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compressed air;
a cleaning means for removing sediment adhering to the dome valve by spraying cleaning water on the dome val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A load cell that detects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cas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timer counting the cleaning water supply time of the cleaning means,
A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hardening of convey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ing means performs a cleaning operation on the chute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and the main body cas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개폐수단의 돔밸브를 개방하여 이송물 투입 호퍼 내 이송물을 본체 케이스 내로 투입시키는 제1 단계;
로드셀에 의해 감지되는 본체 케이스 내 적제된 이송물 중량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제2 단계;
본체 내부에 적제된 이송물이 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세정수단을 제어하여돔밸브를 세정하는 제3 단계;
돔밸브에 대한 일정시간의 세정이 종료되면, 개폐수단의 돔밸브를 폐쇄하여 호퍼로부터 본체 내부로 더 이상의 이송물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4 단계;
본체 내부에 적제된 이송물이 이송관로를 통해 저장수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5 단계;
본체 케이스 내에 적제되었던 이송물이 모두 저장수단으로 이송되면, 개폐수단의 돔밸브를 개방하여 다시 이송물이 호퍼로부터 본체 케이스 내로 투입되도록 하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진 이송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
In claim 1,
The control means is
A first step of opening the dome val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inject the conveyed material in the conveyed material input hopper into the main body case;
A second step of analyzing in real time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loaded in the main body case detected by the load cell;
A third step of controlling the cleaning means to clean the dome valve when the conveyed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body reaches the set weight;
When the cleaning of the dome val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completed, a fourth step of closing the dome val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block further transfer material from being input into the main body from the hopper;
A fifth step of allowing the transfer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body to be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through the transfer pipe;
When all the conveyed material loaded in the main case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means, the dome val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opened to allow the conveyed material to be introduced from the hopper into the main case again; Characterized in controlling the conveying operation consisting of the following.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that can prevent hardening of conveyed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본체 내부에 적제된 이송물 중량에 따라 세정수단을 통해 돔밸브에 분사되는 세정수 분사시간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
In claim 1,
The control means is
A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that can prevent hardening of conveyed material, characterized by variably setting the spray time of the cleaning water sprayed to the dome valve through the cleaning mean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nveyed material loaded inside the main bod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은
링(Ring) 형태의 관으로서 중간 연결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링형 세정수 공급관;
상기 중간 연결관의 외벽에 관통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과 연결되며, 링형 세정수 공급관에 세정수를 전달하는 메인 세정수 공급관;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의 외부 둘레면에 장착되어 중간 연결관의 내부, 슈트 내부 및 돔밸브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 노즐;
상기 메인 세정수 공급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으로 세정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세정수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세정수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링형 세정수 공급관 사이에 배치된 메인 세정수 공급관에 설치되어 링형 세정수 공급관 방향으로 흐르는 세정수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세정수 제어용 체크 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
In claim 1,
The cleaning means is
A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a main washing water supply pipe installed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th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and delivering washing water to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a washing water spray nozzle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and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ipe, the inside of the chute, and the dome valve;
A solenoid valve for washing water control, which is installed in the main washing water supply pipe and opens or closes the valv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to supply or block washing water to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and
A check valve for washing water control installed on the main washing water supply pipe disposed between the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ring-shaped washing water supply pipe from flowing back.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that can prevent hardening.
KR1020230185851A 2023-12-19 2023-12-19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for preventing curing carryng materials KR1026595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5851A KR102659503B1 (en) 2023-12-19 2023-12-19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for preventing curing carryng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5851A KR102659503B1 (en) 2023-12-19 2023-12-19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for preventing curing carryng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503B1 true KR102659503B1 (en) 2024-04-22

Family

ID=9088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5851A KR102659503B1 (en) 2023-12-19 2023-12-19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for preventing curing carryng materi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503B1 (en)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018A (en) * 1993-10-13 1995-04-25 Printing Bureau Ministry Of Finance Japan Powder carrying chute equipment having porous inner tube
KR100535906B1 (en) 2004-03-29 2005-12-12 이태경 Factory Cake Conveyer System for Air Pressure and Water Pressure
KR20110073499A (en) 2008-09-10 2011-06-29 마리캡 오이 Method and arrangement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KR101203739B1 (en) 2010-10-27 2012-11-21 (주)유성 A supply equipment of waste material with conveyor
KR101282723B1 (en) * 2013-03-22 2013-07-05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neumatic conveyor for transferring an adulteration
KR101413256B1 (en) * 2013-02-28 2014-06-27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Sludge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transport sludge using air pressure
KR101671849B1 (en) * 2016-09-30 2016-11-0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Sealing device for pneumatic conveyor
KR101750097B1 (en) * 2017-04-18 2017-07-03 주식회사 태경엔텍 Waste Transfer System with High Running Efficiency Applied Rotary Wing Hopper and Reducing Pressure Device
KR101773292B1 (en) * 2016-04-05 2017-09-0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Urinal
KR101935211B1 (en) * 2018-12-13 2019-01-03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neumatic conveyor with dome type inlet valve with automatic lubrication function
KR102282421B1 (en) * 2020-10-30 2021-07-26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Food-waste disposal vessel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018A (en) * 1993-10-13 1995-04-25 Printing Bureau Ministry Of Finance Japan Powder carrying chute equipment having porous inner tube
KR100535906B1 (en) 2004-03-29 2005-12-12 이태경 Factory Cake Conveyer System for Air Pressure and Water Pressure
KR20110073499A (en) 2008-09-10 2011-06-29 마리캡 오이 Method and arrangement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KR101203739B1 (en) 2010-10-27 2012-11-21 (주)유성 A supply equipment of waste material with conveyor
KR101413256B1 (en) * 2013-02-28 2014-06-27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Sludge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transport sludge using air pressure
KR101282723B1 (en) * 2013-03-22 2013-07-05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neumatic conveyor for transferring an adulteration
KR101773292B1 (en) * 2016-04-05 2017-09-0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Urinal
KR101671849B1 (en) * 2016-09-30 2016-11-0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Sealing device for pneumatic conveyor
KR101750097B1 (en) * 2017-04-18 2017-07-03 주식회사 태경엔텍 Waste Transfer System with High Running Efficiency Applied Rotary Wing Hopper and Reducing Pressure Device
KR101935211B1 (en) * 2018-12-13 2019-01-03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neumatic conveyor with dome type inlet valve with automatic lubrication function
KR102282421B1 (en) * 2020-10-30 2021-07-26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Food-waste disposal vess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6994B (en) Metabolism cage for pig breeding
US6979116B2 (en) Apparatus for injecting dry bulk amendments for water and soil treatment
KR101647133B1 (en) Waste Transfer System Using Compressed Air
EP2731420B1 (en) Manure-removal device
KR100892258B1 (en) Sediment separating unit
CN207698671U (en) A kind of mixing plant aggregate conveyer
US94755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salt
CN207040539U (en) A kind of breeding layer chicken cage
CN1913983B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slurry delivery pipe
CN108945968A (en) One kind avoiding the remaining bucket elevator of material
KR102659503B1 (en) Pneumatic conveyor operating system for preventing curing carryng materials
KR100801964B1 (en) Sediment separating unit
KR102670726B1 (en) Waste carrying system with an automatic switching operation mode of weight detection and timer method to prevent the hardening of carried waste
KR101744502B1 (en) Dreding apparatus of vacuum suction type
KR100823999B1 (en) Sludge moving apparatus using of air pressure
KR101071324B1 (en) Conveyor system for sludge cake transfer be minimised and optimised by air pressure and cohesive agents
CN107600969A (en) Joint clearing apparatus
KR101750097B1 (en) Waste Transfer System with High Running Efficiency Applied Rotary Wing Hopper and Reducing Pressure Device
KR102625411B1 (en) Waste transfer system with automatic cleaning function
KR101282723B1 (en) Pneumatic conveyor for transferring an adulteration
CN210236520U (en) Stone dust-proof system
CN210943651U (en) Cleaning device
KR101733573B1 (en) Air compressing conveyer apparatus for transfer sludge
CN206345391U (en) The cleaning device and conveying equipment of a kind of conveying equipment
US8814012B2 (en) Material spreader for use with an exca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