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431B1 -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431B1
KR102659431B1 KR1020210157350A KR20210157350A KR102659431B1 KR 102659431 B1 KR102659431 B1 KR 102659431B1 KR 1020210157350 A KR1020210157350 A KR 1020210157350A KR 20210157350 A KR20210157350 A KR 20210157350A KR 102659431 B1 KR102659431 B1 KR 102659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nasal
cooling gas
brai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654A (ko
Inventor
홍지만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8/039,07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00608A1/en
Priority to PCT/KR2021/016782 priority patent/WO2022114645A1/ko
Publication of KR2022007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2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internal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66Nasal cannulas or tu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61F2007/005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f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5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dical 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를 따라 내부가 중공인 관체로, 일측으로 통해 유입된 냉각기체를 타측으로 유도하는 냉각기체 유도호스;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의 타측과 연결되면서, 환자의 윗입술 주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를 통해 유도된 냉각기체를 한 쌍의 유출리플로 분배하여 유출하는 어댑터; 및 길이를 따라 내부가 중공인 관체로, 일측은 상기 어댑터의 유출리플에 결합되면서, 타측은 환자의 비강 내부로 삽입되고, 길이 중 어느 한 지점에 냉각기체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배출공을 형성한 비강냉각튜브;를 포함하여, 환자의 윗입술에 고정되면서 냉각기체 유도호스를 통해 유입된 냉각기체를 분할하여 유출하는 어댑터에 연결된 비강냉각튜브를 환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강인두부로 삽입하고,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냉각기체(저온 산소)를 뇌와 근접하는 비강에 배출하여, 비강인두 기도를 유지하면서 빠르고 손쉽게 안정적인 국소부위의 뇌 냉각을 유도하는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유지장치{Nasopharyngeal airway maintenance device for brain-nasal cooling}
본 발명은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뇌병변(뇌졸중, 뇌외상, 저산소성뇌병증 등)이 발생하였을 때, 상당한 뇌조직손상이 발생하기 전에 비강으로 냉각기체가 배출되는 비강냉각튜브를 삽입하고,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길이 중 비강에 대응하는 위치상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냉각기체를 배출하여, 환자의 기도를 유지시키면서, 비강냉각튜브를 통해 배출된 냉각기체로 뇌조직의 저체온 치료를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는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다른 조직에 비해 중추신경계의 손상은 비가역적이기 때문에 뇌손상이 발생하면 사망하거나 많은 후유증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뇌손상은 시간적으로 원발 손상의 원인 기전에 따라 일차손상과 그 이후 다양한 조직 폭포반응(cascade)에 의한 이차손상으로 나누어진다.
저체온치료(Therapeutic hypothermia)는 심정지, 뇌졸중, 중첩간질 등에 의한 심각한 일차 뇌손상(primary brain injury) 후, 비가역적인 이차 뇌손상(secondary brain injury)이 발생하는 것을 다양한 기전으로 방지하는 강력한 신경보호요법 중의 하나이다.
저체온치료는 허혈-재관류 손상의 기전에서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어 특히 심정지 상황에서 주요한 신경보호방법으로 적극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뇌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저체온 치료법은 전신의 온도를 모두 낮추는 방법과 뇌의 온도만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나뉠 수 있는데, 전신의 온도를 낮추는 것은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오한, 서맥, 이뇨, 저칼륨혈증, 고혈당, 출혈, 30도 이하가 되면 사망할 수도 있어 정확한 온도조절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환자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와 이와 연계해서 작동하는 정확한 온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잡한 냉각장치(카테터나 냉각패드)가 사용되어야 하나, 잘 조절되지 않은 지나친 냉각은 오히려 환자에게 해를 끼치게 된다.
이에 반해 선택적 뇌-냉각은 상술한 전신부작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온도인 33도보다 조금 더 낮은 온도로 셋팅된 상황에서도 치료냉각이 가능하다.
선택적 뇌-냉각은 전신냉각에 비교하여 전신에 나타나는 부작용을 이론적으로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판단되고 있다.
실제 2018년도 JAMA(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에 실렸던 심정지 대규모 연구에서도 코피가 약간 더 나는 것 이외의 전신부작용은 더 심하지 않았고 Shockable 리듬인 경우 선택적 뇌 냉각을 한 경우 예후가 좋았던 환자의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
지금까지 선택적 뇌-냉각은 뇌로 향하는 동맥을 이용하여 냉각하는 방식과 비강냉각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비강 냉각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체외 순환장치를 가동시켜야 했기 때문에 경량화가 어려웠고 제작이 어려웠을 뿐 아니라 119대원들의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냉매의 온도가 너무 낮아 직접 피부나 점막에 닿는 경우 신체가 동상을 입을 수 있어, 안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뇌 냉각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2023650호(2019.09.16)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윗입술에 고정되면서 냉각기체 유도호스를 통해 유입된 냉각기체를 분할하여 유출하는 어댑터에 연결된 비강냉각튜브를 환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강인두부로 삽입하고,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냉각기체(저온 산소)를 뇌와 근접하는 비강에 배출하여, 비강인두 기도를 유지하면서 빠르고 손쉽게 안정적인 국소부위의 뇌 냉각을 유도하는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는 길이를 따라 내부가 중공인 관체로, 일측으로 통해 유입된 냉각기체를 타측으로 유도하는 냉각기체 유도호스;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의 타측과 연결되면서, 환자의 윗입술 주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를 통해 유도된 냉각기체를 한 쌍의 유출리플로 분배하여 유출하는 어댑터; 및 길이를 따라 내부가 중공인 관체로, 일측은 상기 어댑터의 유출리플에 결합되면서, 타측은 환자의 비강 내부로 삽입되고, 길이 중 어느 한 지점에 냉각기체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배출공을 형성한 비강냉각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를 통해 유입된 냉각기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딜리버리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딜리버리챔버는 그 일측이 상기 유출리플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중공으로 삽입되는 삽입바와; 상기 삽입바의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중공을 밀폐하는 밀폐버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어댑터는 상기 딜리버리챔버의 정면에 형성되고, 상기 딜리버리챔버의 내부에 수용된 냉각기체를 유출하는 한 쌍의 유출리플과, 상기 딜리버리챔버의 하측에 구비되고, 환자의 윗입술 주변에 안착되어 상기 딜리버리챔버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삭제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밀폐버는 상기 삽입바의 중공에서 상, 하 또는 좌, 우로 벌어져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중공을 밀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강냉각튜브는 어느 한 방향으로 구부러진 만곡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배출공은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길이 중 뇌와 근접하는 비강의 위치에 대응 위치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환자의 윗입술에 고정되면서 냉각기체 유도호스를 통해 유입된 냉각기체를 분할하여 유출하는 어댑터에 연결된 비강냉각튜브를 환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강인두부로 삽입하고,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냉각기체(저온 산소)를 뇌와 근접하는 비강에 배출하여, 비강인두 기도를 유지하면서 빠르고 손쉽게 안정적인 국소부위의 뇌 냉각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의 사용예시를 보인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를 보인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에서 비강냉각튜브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강냉각튜브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브라켓을 보인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에서 비강냉각튜브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뇌병변(뇌졸중, 뇌외상, 저산소성뇌병증 등)이 발생하였을 때, 상당한 뇌조직손상이 발생하기 전에 비강으로 냉각기체가 배출되는 비강냉각튜브를 삽입하고,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길이 중 비강에 대응하는 위치상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냉각기체를 배출하여, 환자의 기도를 유지시키면서, 비강냉각튜브를 통해 배출된 냉각기체로 뇌조직의 저체온 치료를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는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는 냉각기체 유도호스(100)와, 어댑터(200)와, 비강냉각튜브(300)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는 길이를 따라 내부가 중공인 관체로, 일측으로 통해 유입된 냉각기체를 타측으로 유도한다.
이때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는 그 일측이 냉각기체를 수용한 봄베와 연결되어, 상기 봄베의 개방으로 상기 봄베에서 유출되는 냉각기체를 유입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는 그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외주면에 코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댑터(200)는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의 타측과 연결되면서, 환자의 윗입술 주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를 통해 유도된 냉각기체를 한 쌍의 방출리플(220)로 분배하여 유출한다.
이때 상기 어댑터(200)는 딜리버리챔버(210)와, 한 쌍의 유출니플(220)과 지지대(230)을 구비하는데, 상기 딜리버리챔버(210)는 일측이 형성된 유입구(211)에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를 통해 유입된 냉각기체를 내부에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딜리버리챔버(210)의 정면에는 한 쌍의 유출리플(220)을 형성하는데, 상기 한 쌍의 유출리플(220)은 상기 딜리버리챔버(210)의 내부에 수용된 냉각기체를 유출한다.
또한, 상기 딜리버리챔버(210)의 하측에는 지지대(230)를 구비하는데, 상기 지지대(230)는 환자의 윗입술 주변에 안착되어 상기 딜리버리챔버(210)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230)는 환자의 윗입술 주변에 밀착되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인 고무 도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환자의 윗술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좌, 우측 양단에는 끈이나 밴드 등의 끝단이 결속되어, 상기 끈이나 밴드가 환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해 상기 어댑터(200)가 환자의 윗입술 주변 위치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딜리버리챔버(210)는 삽입바(240)를 포함하는데, 상기 삽입바(240)는 그 일측이 상기 유출리플(22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비강냉각튜브(300)의 중공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바(240)는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의 중공 내부에서 냉각기체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두께가 0.1mm ~ 0.9mm인 얇은 바 형태로, 부식되지 않는 스텐인리스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무게 절감 및 냉각기체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면에는 길이를 따라 다수의 타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바(240)의 끝단에는 밀폐버(241)를 구비하는데, 상기 밀폐버(241)는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의 중공을 밀폐한다.
이때 상기 밀폐버(241)는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로, 상기 삽입바(240)의 끝단을 중심에 두고, 상, 하 또는 좌, 우에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누운 사선으로 구비되어, 상기 밀폐버(241)가 구비된 상기 삽입바(240)의 끝단을 측면 또는 평면에서 보면 화살표(→)모양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삽입바(240)가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의 중공으로 삽입될 시, 상기 밀폐버(241)는 누워서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의 중공으로 진입하게 되고, 상기 삽입바의 삽입이 완료되면, 그 탄성에 의해 상기 비강냉각튜브(300) 중공의 내측면을 향해 벌어져,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의 중공 내측면과 밀접하여,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의 중공 타측이 폐쇄된다.
또한, 상기 밀폐버(241)는 상기 삽입바(240)의 끝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밀폐버(241)를 사용 가능하고, 상기 밀폐버(241)에 복수 개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비강냉각튜브(300)를 따라 유동하는 냉각기체 일부가 빠져나가도록 하여, 상기 비강냉각튜브(300)가 완전폐쇄 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비강냉각튜브(300)는 길이를 따라 내부가 중공인 관체로, 일측은 상기 어댑터(200)의 유출리플(220)에 결합되면서, 타측은 환자의 비강 내부로 삽입되고, 길이 중 어느 한 지점에 냉각기체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배출공(30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비강냉각튜브(300)는 통상의 비강인두 기도기와 같이 길이를 따라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비강을 통해 비강인두에 용이하게 위치하도록 어느 한 측으로 구부러진 만곡형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비강냉각튜브(30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탄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코 안에 삽입 시 비강을 긁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의 선단은 깔대기 형상의 확관부(301)를 형성하여, 상기 비강냉각튜브(300)가 비강 내에 삽입될 시,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강냉각튜브(300)는 상기 배출공(302)을 형성하는데, 상기 배출공(302)은 복수 개로,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의 길이 중 비강에 대응하는 위치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비강냉각튜브(300)는 환자의 코를 통해 삽입되어 비강인두 기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의 중공을 유동하는 냉각기체(저온의 산소)가 상기 배출공(30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냉각기체가 비강인두부를 냉각하여, 빠르고 손쉽고 안정적인 국소적인 뇌의 냉각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관부(301)는 인공호흡기와 연결된 다른 튜브와 연결할 수 있도록, 튜브커넥터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는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의 중공 내부로 냉각기체를 주입하기 위해 보텍스튜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텍스튜브는 압축된 기체를 뜨거운 흐름과 차가운 흐름으로 분리시켜, 선택적으로 상대적으로 차가운 기체, 즉 찬공기(저온 산소)만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고압산소가 수용된 휴대용 봄베와 연결되어, 상기 봄베에서 방출되는 고압의 산소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저온 산소를 생성하여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의 중공 내부로 냉각기체(저온 산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는 소방차량에서 구비한 이동용 산소봄베에 보텍스튜브(400)를 연결하고, 상기 보텍스튜브와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를 연결하면서 상기 튜브체(110)를 환자의 비강을 통해 비강인두에 위치시켜, 이송 중에도 기도를 유지하면서 국소적 뇌 냉각을 함께 실시하면서 병원까지 이송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비강냉각튜브(300)는 보조브라켓(500)을 구비하는데, 상기 보조브라켓(500)은 통상의 집게와 같이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손잡이부의 하측에 고리형태의 집게부가 형성된 것으로, 한쌍이 대칭으로 포개어지면서 힌지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에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고리 형태의 집게부가 토션스프링의 탄성으로 서로 면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브라켓(500)은 중앙에 형성된 힌지축을 축으로 손잡이부를 좌우에서 가압하면 집게부가 벌어지게 되고, 벌어진 집게부에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의 확관부(301)를 수용한 상태에서 좌우에서 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집게부가 서로 면접하여 상기 보조브라켓(500)이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에 체결된다.
상기 보조브라켓(500)은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을 어댑터(20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에서 비강냉각튜브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200)는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의 타측과 연결되면서, 환자의 윗입술 주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를 통해 유도된 냉각기체를 한 쌍의 방출리플(220)로 분배하여 유출한다.
이때 상기 어댑터(200)는 딜리버리챔버(210)와, 한 쌍의 유출니플(220)과 지지대(230)을 구비하는데, 상기 딜리버리챔버(210)는 일측이 형성된 유입구(211)에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100)를 통해 유입된 냉각기체를 내부에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딜리버리챔버(210)의 정면에는 한 쌍의 유출리플(220)을 형성하는데, 상기 한 쌍의 유출리플(220)은 상기 딜리버리챔버(210)의 내부에 수용된 냉각기체를 유출한다.
이때 상기 유출리플(220)은 다양한 내경을 갖는 비강냉각튜브(300)들과 호환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단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유출리플(220)가 다단으로 형성됨에 따라 환자의 콧구멍 사이즈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비강냉각튜브(30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딜리버리챔버(210)는 삽입바(240)를 포함하는데, 상기 삽입바(240)는 그 일측이 상기 유출리플(22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비강냉각튜브(300)의 중공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바(240)는 상기 비강냉각튜브(300)의 중공 내부에서 냉각기체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강성을 유지하도록 수직단면이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냉각기체 유도호스
200: 어댑터
210: 딜리버리챔버
220: 유출리플
230: 지지대
240: 삽입바
241: 밀폐버
300: 비강냉각튜브
301: 확관부
302: 배출공
500: 보조브라켓

Claims (6)

  1. 길이를 따라 내부가 중공인 관체로, 일측으로 통해 유입된 냉각기체를 타측으로 유도하는 냉각기체 유도호스;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의 타측과 연결되면서, 환자의 윗입술 주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를 통해 유도된 냉각기체를 한 쌍의 유출리플로 분배하여 유출하는 어댑터; 및
    길이를 따라 내부가 중공인 관체로, 일측은 상기 어댑터의 유출리플에 결합되면서, 타측은 환자의 비강 내부로 삽입되고, 길이 중 어느 한 지점에 냉각기체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배출공을 형성한 비강냉각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냉각기체 유도호스를 통해 유입된 냉각기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딜리버리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딜리버리챔버는
    그 일측이 상기 유출리플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중공으로 삽입되는 삽입바와;
    상기 삽입바의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중공을 밀폐하는 밀폐버를 포함하는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딜리버리챔버의 정면에 형성되고, 상기 딜리버리챔버의 내부에 수용된 냉각기체를 유출하는 한 쌍의 유출리플과;
    상기 딜리버리챔버의 하측에 구비되고, 환자의 윗입술 주변에 안착되어 상기 딜리버리챔버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버는
    상기 삽입바의 중공에서 상, 하 또는 좌, 우로 벌어져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중공을 밀폐하는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강냉각튜브는
    어느 한 방향으로 구부러진 만곡형을 이루는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배출공은
    상기 비강냉각튜브의 길이 중 뇌와 근접하는 비강의 위치에 대응 위치 상에 형성되는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장치.
KR1020210157350A 2020-11-26 2021-11-16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유지장치 KR10265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39,074 US20240000608A1 (en) 2020-11-26 2021-11-16 Nasopharyngeal airway management device for brain-nasal cavity cooling
PCT/KR2021/016782 WO2022114645A1 (ko) 2020-11-26 2021-11-16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61392 2020-11-26
KR1020200161392 2020-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654A KR20220073654A (ko) 2022-06-03
KR102659431B1 true KR102659431B1 (ko) 2024-04-23

Family

ID=8198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350A KR102659431B1 (ko) 2020-11-26 2021-11-16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865B1 (ko) * 2023-01-26 2024-04-16 주식회사 아스트론 저압 환경에 맞는 의료용 보텍스 튜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0370A1 (en) 2003-05-28 2007-05-03 Rose Biomedical Development Corporation Inflatable nasal packing device with two non-elastic, flexible bags oversized relative to nasal cavities
JP2012530554A (ja) * 2009-06-19 2012-12-06 ベネチ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鼻腔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
JP2020036910A (ja) 2014-05-01 2020-03-12 レスメド・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患者インタフェー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9253B2 (en) * 2004-03-16 2007-03-13 Quickcool Ab Cerebral temperature control
KR102235185B1 (ko) * 2019-02-22 2021-04-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 분사 및 광선을 이용한 비염 치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0370A1 (en) 2003-05-28 2007-05-03 Rose Biomedical Development Corporation Inflatable nasal packing device with two non-elastic, flexible bags oversized relative to nasal cavities
JP2012530554A (ja) * 2009-06-19 2012-12-06 ベネチ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鼻腔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
JP2020036910A (ja) 2014-05-01 2020-03-12 レスメド・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患者インタフェ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654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61980C1 (en) Ventilation mask
ES2637362T3 (es) Aparato de respiración artificial con oscilador de alta frecuencia continuo
JP6109980B2 (ja) 脳の冷却のための装置
RU2476247C2 (ru) Комплексная маска и канюли для интраназального положительного непрерывного давления в воздухоносных путях
EP2701786B1 (en) Nasal interface device
US201400538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non-invasive anatomical and systemic cooling and neuroprotection
JP2012530554A (ja) 鼻腔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
US11896521B2 (en) Devices, methods and uses for removing heat, energy and fluids from a mammal
ITTO20130126U1 (it) Maschera respiratoria.
KR102659431B1 (ko) 뇌-비강 냉각을 위한 비강인두 기도유지장치
EP3110486B1 (en) Laryngeal mask
US20240000608A1 (en) Nasopharyngeal airway management device for brain-nasal cavity cooling
CN206167578U (zh) 交替式充气双层硅胶面罩
CN105963098B (zh) 神经外科用脑部手术辅助装置
JP4988320B2 (ja) 吸入用ガス供給用マスク
CN205094943U (zh) 一种气管异物阻塞物理动力急救冲击床
US11351321B2 (en) Delivery tube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particles into the respiratory system
EP3535005B1 (en) Therapy delivery device
CN205814438U (zh) 用于斜坡卧位的安全保暖袖套
CN208911194U (zh) 蝶形面具式经鼻气管插管固定器
CN215135246U (zh) 一种麻醉科用麻醉呼吸器
CN104799951A (zh) 一种眼科手术用呼吸罩
CN214129844U (zh) 一种可上下分离的无创呼吸机面罩减压垫
CN203379451U (zh) 新型面罩供氧器
CN206007760U (zh) 一种无创通气面罩用的防漏减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