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334B1 - Bistable mechanism and docking system allowing self-alignment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istable mechanism and docking system allowing self-alignment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334B1
KR102659334B1 KR1020220111614A KR20220111614A KR102659334B1 KR 102659334 B1 KR102659334 B1 KR 102659334B1 KR 1020220111614 A KR1020220111614 A KR 1020220111614A KR 20220111614 A KR20220111614 A KR 20220111614A KR 102659334 B1 KR102659334 B1 KR 102659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hitch
gear
vertica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7454A (en
Inventor
최 헨리
Original Assignee
최 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 헨리 filed Critical 최 헨리
Priority to PCT/KR2022/0134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38422A1/en
Publication of KR2023003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4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3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8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 B62D53/0807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adjustable coupling saddles mounted on sub-frames; Mounting plat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3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facilitating connection, e.g. hitch catchers, visual guide means, signall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horizontally in a crosswise direction, combined or not with a vertical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4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only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8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 B62D53/12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engaging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3/00Cams ; Non-rotary cams; or cam-followers, e.g. roller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3/02Single-track cams for single-revolution cycles; Camshafts with such cams
    • F16H53/025Single-track cams for single-revolution cycles; Camshafts with such cam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g. assembling or manufacturing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안정 기구와, 이를 이용한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장비의 도움없이 트레일러와 이송차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자가 정렬이 가능하며 편리하게 도킹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안정 기구와, 이를 이용한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의 일면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캠로드와, 상기 캠로드의 타단에 결합되어 직선운동하는 잠금키와, 일단은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기어의 타면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잠금키가 돌출되어 잠금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프링이 상기 기어의 제1 접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안정위치, 또는 상기 잠금키가 함몰되어 개방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프링이 상기 기어의 제2 접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안정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안정 기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stable mechanism and a docking system that self-align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trailer and transport vehicle can self-align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dock conveniently without the help of external equipment. It relates to a bistable mechanism characterized by a bistable mechanism and a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ed docking system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motor, a gear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 cam rod with one end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gear and reciprocating as the gear rotates, and a lock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am rod to move in a straight line. It includes a key and a spring,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gear, wherein the spring is disposed in a first tangential direction of the gear so that the lock key protrudes and is locked by the spring. A bistable mechanism is provided, wherein the spring maintains a first stable position or a second stable position in which the spring is disposed in a second tangential direction of the gear so that the lock key is retracted and opened.

Description

쌍안정 기구와, 이를 이용한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Bistable mechanism and docking system allowing self-alignment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using the same}Bistable mechanism and docking system for self-alignment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the same {Bistable mechanism and docking system allowing self-alignment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쌍안정 기구와, 이를 이용한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장비의 도움없이 트레일러와 이송차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자가 정렬이 가능하며 편리하게 도킹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안정 기구와, 이를 이용한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stable mechanism and a docking system that self-align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trailer and transport vehicle can self-align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dock conveniently without the help of external equipment. It relates to a bistable mechanism characterized by a bistable mechanism and a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ed docking system using the same.

최근 코로나 등 전염성 감영병이 유행함에 따라 온라인 쇼핑 및 배송 서비스의 이용률이 증가하여 물류이송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virus, the use of online shopping and delivery services has increased, expanding the scope of logistics transportation.

이에 따라서, 자율주행 트럭을 이용한 무인 배송과 관련된 산업이 발전하고 있으며, 무인배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련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the industry related to unmanned delivery using autonomous trucks is developing, and products related to unmanned delivery programs and systems are being developed.

상술한 대량의 물류이송을 위해, 대부분 한쌍 이상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트레일러에 트럭이 도킹하여 견인하거나 바퀴없는 트레일러를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카고 트럭에 싣고 운반한다. For the above-described large-scale logistics transport, most trucks dock and tow trailers equipped with one or more pairs of wheels, or wheelless trailers are loaded onto cargo trucks using external devices and transported.

종래의 기술은 트럭 차량이 트레일러에 도킹을 시도할 때, 상하 방향 또는 측부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도킹이 가능한 단점이 있었고, 피치 자유도가 없어 차량이 트레일러와 연결되어 언덕을 오르거나 물류가 앞뒤로 흔들리는 경우에 도킹부재가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d the disadvantage that when a truck attempted to dock with a trailer, it could only dock in either the up-down or side direction, and there was no degree of pitch freedom, so the vehicle was connected to the trailer and had to climb a hill or move the logistics back and forth.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ocking member was very vulnerable in case of shaking.

US 2021-0061034 A1 (발명의 명칭 : Automatic Tractor Trailer Coupling, 공개일:2021.03.04)US 2021-0061034 A1 (Name of invention: Automatic Tractor Trailer Coupling, Publication date: 2021.03.0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기기의 도움없이 정렬오차가 있어도 스스로 정렬을 맞추어 도킹가능한 쌍안정 기구와, 이를 이용한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bistable mechanism that can self-align and dock even if there is an alignment error without the help of an external device, and a docking system that self-align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the same. It has a purpos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의 일면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캠로드와, 상기 캠로드의 타단에 결합되어 직선운동하는 잠금키와, 일단은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기어의 타면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잠금키가 돌출되어 잠금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프링이 상기 기어의 제1 접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안정위치, 또는 상기 잠금키가 함몰되어 개방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프링이 상기 기어의 제2 접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안정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안정 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motor, a gear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 cam rod whose one end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gear and reciproc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and the cam rod. It includes a lock key tha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and moves in a straight line, and a spring that has one end fixed to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gear, wherein the spring moves the gear so that the lock key protrudes and is locked. A bis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maintains a first stable position disposed in the first tangential direction of the gear, or a second stable position disposed in the second tangential direction of the gear so that the lock key is retracted and opened. Provides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은 쌍안정 기구와, 트레일러 저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트레일러를 이송하는 이송차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와 체결되는 히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히치부가 개폐되어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걸어 잠금으로써(쇄문함으로써) 상기 히치부와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며, 상기 쌍안정 기구가 상기 히치부에 삽입 또는 상기 히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히치부와 상기 고정부의 결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stability mechanism, a fixing part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a hitch par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a transport vehicle for transporting the trailer and fastened to the fixing part, wherein the hitch part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fixing part The hitch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are coupled by locking (lock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itch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and the combination of the hitch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is maintained by inserting the bi-stability mechanism into the hitch portion or supporting the hitch portion. It provides a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걸림편과,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편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1 지지부와,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편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1-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xing part includes a latch piece configured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 1-1 support par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supporting one end of the latch piece, and a 1-1 support par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latch piece. It may include a first-second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end.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걸림편과,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편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1 지지부와,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편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1 지지부와 제2-2 지지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트레일러 저면 방향으로 향할수록 좁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includes a latching piece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 2-1 support portion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supporting one end of the latching piece,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latching piece. It includes a 2-2 support part supporting an en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2-1 support part and the 2-2 support part may become narrower toward the bottom of the trailer.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에 수직하게 부착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 하단부로부터 돌출형성되되, 단면의 폭이 상기 걸림편의 단면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디스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may include a locking piece perpendicular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a disk portion that protrudes from a lower end of the locking piece and has a cross-sectional width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locking piece.

본 발명에 따른 쌍안정 기구와, 이를 이용한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bist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ed docking system using the same,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첫째, 외부 장비의 도움없이 트레일러와 이송차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자가 정렬이 가능하며 편리하게 도킹할 수 있다. First, the trailer and transport vehicle can self-alig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ithout the help of external equipment and can be conveniently docked.

둘째, 쌍안정 기구의 적용으로 개방 또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 도킹 체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Second, the efficiency of docking can be increased by maintaining the open or locked state by applying a bistable mechanism.

셋째, 쌍안정 기구를 이용해 모터의 구동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ird, operating costs can be reduced by shortening the driving time of the motor using a bistable mechanism.

넷째, 트레일러와 이송차의 결합시 피치(pitch) 또는 요(yaw) 자유도를 형성함으로써 운행 유연성이 높고, 고정부와 히치부의 수명이 연장된다. Fourth, when combining a trailer and a transport vehicle, a degree of freedom in pitch or yaw is created, which increases operational flexibility and extends the lifespan of the fixing part and hitch par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쌍안정 기구의 주요구성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잠금상태, (b)는 개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을 포함하는 트레일러와 이송차의 전체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트레일러의 우측면도, (c)는 트레일러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의 트레일러에 포함된 고정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의 트레일러에 포함된 고정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의 트레일러에 포함된 고정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의 이송차에 포함된 히치부의 제1 실시예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의 이송차에 포함된 히치부의 제2 실시예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의 이송차에 포함된 히치부의 제3 실시예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bist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wing the locked state and (b) showing the open state.
Figure 2 (a)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trailer and a transport vehicle including a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right side view of the trailer, and (c) is a view of the trailer. This is a drawing showing the front view.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included in the trailer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included in the trailer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included in the trailer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is a diagram showing the locked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hitch part included in the transport vehicl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 is a diagram showing the open state. .
Figure 7 (a) is a diagram showing the locked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hitch included in the transport vehicl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 is a diagram showing the open state. .
Figure 8 (a) is a diagram showing the locked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hitch part included in the transport vehicl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 is a diagram showing the open state.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sizes and shap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figuration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in each drawing. Additionally,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known technologies that are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o describe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 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upper surface, lower surface, top, bottom,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istinguish the relative positions of components. For example, for convenience, if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is called upper and the lower part of the drawing is called lower, in reality, the upper part can be called lower, and the lower part can be called upp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각 구성요소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한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each component from another, and are not limited by the manufacturing order, and the names may not match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No.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explain a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쌍안정 기구의 주요구성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잠금상태, (b)는 개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bist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wing the locked state and (b) showing the open stat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쌍안정 기구는 구동모터(1100), 기어(1200), 캠로드(1300), 잠금키(1400) 및 스프링(15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bist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motor 1100, a gear 1200, a cam rod 1300, a lock key 1400, and a spring 1500.

상기 구동모터(1100)는 상기 기어(1200)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을 제공하며, 후술하는 상기 잠금키(1400)의 잠금 상태와 개방 상태의 변경을 위하여 상기 기어(1200)를 일부만 회전시킴으로써 압축되어 안정된 상태인 상기 스프링(1500)이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길이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The drive motor 1100 provides power to enable rotation of the gear 1200, and partially rotates the gear 1200 to change the locked state and open state of the lock key 1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doing so, the spring 1500, which is in a compressed and stable state, can return to its original length by restoring force.

상기 기어(1200)는 상기 구동모터(11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1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동시에 상기 스프링(1500)에 결합되어 기어(1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프링(1500)의 타단 위치와 길이가 변경된다. 상기 스프링(1500)의 길이변화에 따라 스프링의 복원력이 결정되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gear 1200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100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e motor 1100. At the same time, it is coupled to the spring 1500 and moves the spring 15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1200. The location and length of the other end are changed.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length of the spring 1500, and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캠로드(1300)는 상기 기어(1200)의 일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기어(1200)가 회전함에따라 상기 캠로드(1300)는 왕복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기어(1200)의 회전운동이 상기 캠로드(1300)의 직선운동으로 변경된다. One end of the cam rod 130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gear 1200, and as the gear 1200 rotates, the cam rod 1300 reciprocates. That i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gear 1200 is changed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cam rod 1300.

상기 잠금키(1400)는 상기 캠로드(130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캠로드(1300)의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이동함으로써 직선운동한다.The lock key 14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am rod 1300 and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am rod 1300 to move in a straight line.

즉, 상기 잠금키(1400)는 직선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함에 따라 개방상태 또는 돌출된 잠금상태로 설정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스프링(1500)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at is, the locking key 1400 is set to an open state or a protruding locked state as its position moves in a straight direction, an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spring 1500.

상기 스프링(1500)의 일단은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기어(1200)의 일면에 결합된다.One end of the spring 1500 is fixed to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gear 1200.

먼저, 상기 잠금키(1400)가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스프링(1500)은 상기 기어(1200)의 법선방향에 위치하여 최대 압축된 상태인 압축위치에 배치된다.First, when the lock key 1400 is in a standby state, the spring 1500 is located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gear 1200 and is placed in a compressed position, which is the maximum compressed state.

상기 스프링(1500)은 후술하는 제1 안정위치 또는 제2 안정위치에 배치하게 되며, 상기 압축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안정위치 및 상기 제2 안정위치가 결정된다.The spring 1500 is placed in a first stable position or a second stable posi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rst stable position and the second stable position are determined based on the compressed position.

상기 구동모터(1100)가 상기 기어(1200)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기어(1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스프링(1500)은 제1 안정위치 또는 제2 안정위치에 배치된다.When the drive motor 1100 transmits power to the gear 1200 to rotate, the spring 1500 is placed in the first stable position or the second stable position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ear 1200. .

도 1의 (a)에 따르면, 상기 기어(1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1500)은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 길이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하여 압축이 해제되고, 이때, 상기 스프링(1500)은 상기 기어(1200)의 제1 접선방향에 배치됨으로써 스프링력이 '0'이 되는 상기 제1 안정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According to (a) of FIG. 1, when the gear 1200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spring 1500 is decompressed by a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its original length due to elastic force, and at this time, the spring 1500 1500 is disposed in the first tangential direction of the gear 1200 and maintains a stable state as it is disposed in the first stable position where the spring force is '0'.

이때, 상기 제1 접선 방향은 상기 스프링(1500)의 하우징 고정위치와 상기 기어(12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접선 방향으로 정의된다.At this time, the first tangential direction is defined as a tangential direction formed on the housing fixing position of the spring 15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gear 1200.

상기 스프링(1500)이 상기 제1 접선 방향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캠로드(1300)는 상기 기어(12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캠로드(130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캠로드(1300)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잠금키(1400) 또한 직선이동하여 상승하게 됨에 따라, 돌출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As the spring 1500 is disposed in the first tangential direction, the cam rod 1300 rises upward based on the center of the gear 1200, and as the cam rod 1300 rises, the cam rod 1300 rises upward. As the lock key 1400 coupled to the end of the cam rod 1300 also moves linearly and rises, it protrudes and enters a locked state.

또한, 상기 기어(1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1500)은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 길이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하여 압축이 해제되고, 이때, 상기 스프링(1500)은 상기 기어(1200)의 제2 접선방향에 배치됨으로써 스프링력이 '0'이 되는 상기 제2 안정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when the gear 1200 rotates clockwise, the spring 1500 is decompressed by a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its original length due to elastic force, and at this time, the spring 1500 is ), it maintains a stable state by being placed in the second stable position where the spring force is '0'.

이때, 상기 제2 접선 방향은 상기 스프링(1500)의 하우징 고정위치와 상기 기어(1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선 방향으로 정의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tangential direction is defined as a tangential direction formed on the housing fixing position of the spring 15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ear 1200.

상기 스프링(1500)이 상기 제2 접선 방향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캠로드(1300)는 상기 기어(12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부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캠로드(130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캠로드(1300)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잠금키(1400) 또한 직선이동하여 하강하게 됨에 따라, 함몰되어 개방 상태가 된다.As the spring 1500 is disposed in the second tangential direction, the cam rod 1300 descends downward based on the center of the gear 1200, and as the cam rod 1300 descends, the cam rod 1300 descends downward. As the lock key 1400 coupled to the end of the cam rod 1300 also moves linearly and descends, it is depressed and becomes open.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쌍안정 기구는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에 포함되어, 고정부와 히치부의 도킹(결합)시 결합 동선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개방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고정부와 히치부의 도킹이 완료되는 경우, 쌍안정 기구는 잠금 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고정부와 히치부의 도킹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bi-st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nclud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maintained in an open st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upling movement line when docking (combining) the fixing part and the hitch part. , When the docking of the fixing unit and the hitch unit is completed, the bi-stable mechanism is converted to a locked state to firmly maintain the docking of the fixing unit and the hitch unit.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을 포함하는 트레일러와 이송차의 전체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트레일러의 우측면도, (c)는 트레일러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로,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은 상술한 상기 쌍안정 기구, 고정부 및 히치부를 포함한다.Figure 2 (a)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trailer and a transport vehicle including a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right side view of the trailer, and (c) is a view of the trailer. According to Figure 2, which is a front view,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bi-stabilization mechanism, fixing part, and hitch part.

상기 쌍안정 기구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며, 이와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bistable mechanism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and since it corresponds to thi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고정부는 상기 트레일러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히치부와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의 여러가지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fixing par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coupled to the hitch part,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fixing par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상기 히치부는 상기 트레일러를 이송하는 이송차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와 체결된다.The hitch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vehicle transporting the trailer and is fastened to the fixing part.

상기 트레일러는 상기 이송차(2)에 의해 보관장소에서 이송장소로 이송되며, 상기 이송차(2)와 결합을 위한 고정부(2000)는 상기 트레일러(1) 저면에 구비된다. 상기 트레일러(1)는 내부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이동식 하우스일 수 있다.The trailer is transported from the storage location to the transfer location by the transfer vehicle 2, and a fixing part 2000 for coupling to the transfer vehicle 2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railer 1. The trailer 1 can be loaded with cargo inside and, in another embodiment, can be a mobile house.

상기 이송차(2)는 바퀴와 차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트레일러(1)와 도킹하여 상기 트레일러(1)를 운반하고 이송장소에 도착한 후 도킹을 해제한다. The transfer vehicle 2 consists of wheels and axles, docks with the trailer 1, transports the trailer 1, and undocks after arriving at the transfer location.

상기 히치부(3000)는 상기 이송차(2)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부(2000)와 도킹 및 도킹해제를 위해 개폐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히치부(3000)는 상기 쌍안정 기구에 의하여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히치부의 여러가지 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hitch part 300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vehicle 2 and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for docking and undocking with the fixing part 2000, and the hitch part 3000 is locked by the bi-stability mechanism. The state can be maintained stably,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hitch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의 트레일러에 포함된 고정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included in the trailer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의 제1 실시예는 상기 트레일러 저면에 결합되어 형성되되, 걸림편(2100), 제1-1 지지부(2200), 제1-2 지지부(2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is formed by being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includes a locking piece 2100, a 1-1 support part 2200, and a 1-2 support part 2300. .

상기 걸림편(2100)은 상기 트레일러(1)의 저면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트레일러(1)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걸림편(2100)의 길이방향과 상기 트레일러(1) 저면은 평행하게 구성되며,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관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iece 2100 is disposed below the bottom of the trailer 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trailer 1 at a certain distanc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ece 2100 and the bottom of the trailer 1 are parallel. It is configured to have a tubular cross-section that is circular or polygonal, or it can be formed in a column shape.

상기 제1-1 지지부(2200)는 일단은 상기 트레일러(1)의 저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편(2100)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트레일러(1) 저면과 상기 걸림편(2100)의 일단을 결합시킨다.One end of the 1-1 support part 220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latching piece 2100 to form a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of the trailer 1 and the latching piece 2100. Combine one part.

상기 제1-2 지지부(2300)는 일단은 상기 트레일러(1)의 저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편(2100)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트레일러(1) 저면과 상기 걸림편(2100)의 타단을 결합시킨다.One end of the 1-2 support part 230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atching piece 2100 to form a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of the trailer 1 and the latching piece 2100. Join the other ends.

즉, 상기 제1-1 지지부(2200)와 상기 제1-2 지지부(2300)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걸림편(2100)의 양단을 상기 트레일러(1) 저면과 연결하여, 상기 걸림편(2100)이 상기 트레일러(1) 저면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되, 수평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며, 수평방향의 상기 걸림편(2100)은 수직으로 개폐되는 후술하는 히치부와 수직방향으로 도킹되며 피치(Pitch) 자유도가 보장된다. That is, the 1-1 support part 2200 and the 1-2 support part 2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nect both ends of the latching piece 2100 with the bottom of the trailer 1, so that the latching piece 2100 I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railer 1, bu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locking piece 2100 is do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hitch part described later that opens and closes vertically, and has a pitch ( Pitch) freedom is guaranteed.

또한, 상기 제1-1 지지부(2200)와 상기 제1-2 지지부(2300)가 상기 걸림편(2100)의 양단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걸림편(2100)이 상기 히치부에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히치부가 상기 걸림편(2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as the 1-1 support portion 2200 and the 1-2 support portion 2300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atching piece 2100, the latching piece 2100 may be coupled to the hitch portion. When the hitch part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ece 2100, it prevents the coupling from being releas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의 트레일러에 포함된 고정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included in the trailer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2000)의 제2 실시예는 걸림편(2110), 제2-1 지지부(2210) 및 제2-2 지지부(23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2000 includes a locking piece 2110, a 2-1 support part 2210, and a 2-2 support part 2310.

상기 걸림편(2110)은 상술한 상기 고정부의 제1 실시예에 포함되는 걸림편(2110)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locking piece 2110 corresponds to the locking piece 2110 includ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described above, its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제2-1 지지부(2210)의 일단은 상기 트레일러(1)의 저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편(2110)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트레일러(1) 저면과 상기 걸림편(2110)의 일단을 결합시킨다.One end of the 2-1 support part 221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latching piece 2110 to form a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of the trailer 1 and the latching piece 2110. Combine one part.

상기 제2-2 지지부(2310)의 일단은 상기 트레일러(1)의 저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편(2110)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트레일러(1) 저면과 상기 걸림편(2110)의 타단을 결합시킨다.One end of the 2-2 support part 231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atching piece 2110 to form a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of the trailer 1 and the latching piece 2110. Join the other ends.

이때, 상기 제2-1 지지부(2210)와 제2-2 지지부(2310) 사이의 거리는 상기 트레일러(1) 저면 방향으로 향할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1 지지부(2210)와 제2-2 지지부(2310)는 상기 걸림편(2110)과 비스듬하게 결합하여 상기 히치부(3000)와 도킹시 입구부가 넓고 트레일러(1) 저면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2-1 support part 2210 and the 2-2 support part 2310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of the trailer 1. That is, the 2-1 support part 2210 and the 2-2 support part 2310 are obliquely coupled to the locking piece 2110, so that when docked with the hitch part 3000, the entrance part is wide and is direct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1. It can be configur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it moves toward you.

이에 따라, 상기 제2-1 지지부(2210)와 상기 제2-2 지지부(2310)는 상기 히치부와의 결합이 시작되는 입구부가 넓게 비스듬히 구성됨에 따라 상기 히치부(3000)와 도킹시 정렬오차가 있더라도 상기 히치부(3000)는 비스듬한 면을 따라 상기 걸림편(2110)으로 이동하여 스스로 도킹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let portion of the 2-1 support portion 2210 and the 2-2 support portion 2310 where coupling with the hitch portion begins is configured to be wide and slanted, thereby reducing alignment errors when docked with the hitch portion 3000. Even if there is, the hitch part 3000 can move to the locking piece 2110 along an oblique surface and align itself to the docking position.

즉, 상기 제2-1 지지부(2210)와 상기 제2-2 지지부(2310)는 서로 이격되어 걸림편(2110)의 양단을 상기 트레일러(1) 저면과 연결하여, 상기 걸림편(2110)이 상기 트레일러(1) 저면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되, 수평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며, 수평방향의 상기 걸림편(2110)은 수직으로 개폐되는 후술하는 히치부와 수직방향으로 도킹되며 피치(Pitch) 자유도가 보장된다. That is, the 2-1 support part 2210 and the 2-2 support part 2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nect both ends of the locking piece 2110 with the bottom of the trailer 1, so that the locking piece 2110 is I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railer 1, bu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locking piece 2110 is do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hitch part described later that opens and closes vertically, and has a pitch (Pitch) ) The degree of freedom is guaranteed.

상기 제2-1 지지부(2210)와 상기 제2-2 지지부(2310)는 상기 걸림편(2110)의 양단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걸림편(2110)이 상기 히치부에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히치부가 상기 걸림편(2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As the 2-1 support portion 2210 and the 2-2 support portion 2310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cking piece 2110, when the locking piece 2110 is coupled to the hitch portion, The hitch part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ece 2110 to prevent the coupling from being releas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의 트레일러에 포함된 고정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included in the trailer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의 제3 실시예는 걸림편편(2400) 및 디스크부(2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third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includes a locking piece 2400 and a disk portion 2500.

상기 걸림편(2400)은 상기 트레일러(1)의 저면에 수직하게 부착되어 수평으로 개폐되는 상기 히치부와 수평방향 도킹될 수 있으며, 도킹 체결시 요(Yaw)자유도가 보장된다. The locking piece 2400 is vertical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1 and can be horizontally docked with the hitch portion that opens and closes horizontally, and yaw freedom is guaranteed when docked.

상기 디스크부(2500)는 상기 걸림편(2400) 하단부로부터 돌출형성되되, 단면의 폭이 상기 걸림편(2400)의 단면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히치부가 상기 걸림편(2400)에 도킹 후 트레일러(1)나 이송차(2)의 상하 움직임으로 상기 걸림편으로부터 상기 히치부가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disk portion 2500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ece 2400, and has a cross-sectional width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locking piece 2400, so that after the hitch portion is docked with the locking piece 2400, It prevents the hitch part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locking piece due to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trailer (1) or the transport vehicle (2).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의 이송차에 포함된 히치부의 제1 실시예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6 (a) is a diagram showing the locked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hitch part included in the transport vehicl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 is a diagram showing the open state. .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히치부의 제1 실시예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도킹되어 트레일러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히치부의 제1 실시예는 U형 끼움편(3100), 고리형 날개(3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embodiment of the hitch unit can transport a trailer by docking with th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first embodiment of the hitch unit has a U-shaped fitting. It includes a wing (3100) and a ring-shaped wing (3200).

상기 U형 끼움편(3100)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심 영역에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The U-shaped fitting piece 3100 is formed in a U shape, and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locking piece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area.

구체적으로 상기 U형 끼움편(3100)은 상기 안착홈를 기준으로 일측 단부인 제1 단부와 타측 단부인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도록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면은 곡선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haped fitting piece 3100 may include a first end that is one end and a second end that is the other end with respect to the seating groov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is the seating groove. The surfaces where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face each other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y become farther away from each other in the end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걸림편이 상기 U형 끼움편(3100)의 정중앙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안착홈의 중앙에 정렬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정렬 구성 및 단계 없이 상기 히치부와 상기 고정부의 도킹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locking piece is not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act center of the U-shaped fitting piece 3100, it can move along the side of the first end or the second end and be align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This allows docking of the hitch unit and the fixing unit to be performed more easily without separate alignment configurations and steps.

상기 고리형 날개(3200)는 상기 U형 끼움편(3100)의 일측에 힌지로 고정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안착홈을 개폐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고리형 날개(3200)는 제1 날개부(3230), 제2 날개부(3240), 힌지홀(3210), 날개홈(3220) 포함한다.The annular wing 320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shaped fitting piece 3100 with a hinge, and opens and closes the seating groov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Specifically, the annular wing 3200 is a first wing portion ( 3230), second wing portion 3240, hinge hole 3210, and wing groove 3220.

상기 고리형 날개(320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날개부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 날개부는 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정 각도로 배치된다.The annular wing 3200 is formed in an L-shape, and the first wing part extends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and the second wing part extends in the other direction and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힌지 홀은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가 연결되는 중심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U형 끼움편의 일측에 힌지로 고정된다.The hinge hole is formed in a central area where the first wing part and the second wing part are connected,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shaped fitting piece with a hinge.

상기 날개홈은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가 연결되는 중심영역 중 서로 마주보는 내측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가 배치된다.The wing groove is disposed in an inner region facing each other among the central region where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wing portion are connected, and the fixing portion is disposed.

즉, 상기 U형 끼움편에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지 않은 개방상태인 경우, 상기 고리형 날개는 상기 제2 날개부가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날개부는 상기 제1 단부영역에 배치된다.That is, when the fixing part is not fixed to the U-shaped fitting piece and is in an open state, the ring-shaped wing has the second wing part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 and the first wing part is disposed in the first end area. is placed in

이후, 상기 U형 끼움편에 상기 고정부가 도킹되기 시작하면서, 상기 고정부의 걸림편은 상기 제1 날개부를 눌러 상기 고리형 날개를 회전시키며, 상기 걸림편이 상기 안착부와 상기 날개홈에 동시에 끼워지게 된다.Thereafter, as the fixing part begins to be docked to the U-shaped fitting piece, the locking piece of the fixing part presses the first wing portion to rotate the annular wing, and the locking piece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and the wing groove. You lose.

동시에 상기 고리형 날개(32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날개부는 상기 U형 끼움편(3100)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에 위치하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U형 끼움편(31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잠금상태를 구형한다.At the same time, as the annular wing 3200 rotates, the first wing part is disposed in an area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U-shaped fitting piece 3100, so that the catching piece located on the seating part is The locking state is achieved by preventing the mold fitting piece 3100 from leaving the mold fitting piece 3100.

상기 쌍안정 기구(3300)는 상기 U형 끼움편(3100)의 타측, 즉 제2 단부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잠금키(3310)가 상기 제1 날개부의 상면과 맞닿게 형성된다. 상기 고리형 날개(3200)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상기 트레일러나 이송차의 이동에 의한 의도치 않은 도킹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bi-stable mechanism 330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shaped insert 3100, that is, the second end area, and the lock key 3310 is form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ing portion. By firmly supporting the locked state of the annular wing 3200, unintentional undocking due to movement of the trailer or transport vehicle can be prevented.

구체적으로 상기 히치부와 상기 고정부의 도킹 체결후 상기 모터(3350)가 구동하여 기어 개방상태의 제2 안정위치에서 상기 잠금키(3310)가 돌출되는 잠금상태의 제1 안정위치로 이동한다.Specifically, after the hitch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docked, the motor 3350 is driven to move from the second stable position in the gear open state to the first stable position in the locked state where the lock key 3310 protrudes.

상기 모터(3350)는 상기 스프링(3320)의 복원력이 최대가 되는 분기점까지 동력을 제공하며, 나머지 거리는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제1 안정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The motor 3350 provides power up to the branching point where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320 is maximum, and the remaining distance can be moved to the first stable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이외, 본 실시예에 따른 쌍안정 기구의 구동은 도 1에서 상술한 쌍안정 기구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Other than that, the operation of the bi-st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content of the bi-stable mechanism described above in FIG. 1, so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추가적으로, 상기 잠금키(331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기 상기 U형 끼움편(3100)의 제2 단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G1)와 제2 가이드부(G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개방상태 시 상기 제2 날개부의 개방홈은 제2 가이드부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uide part (G1) and a second guide part (G2) formed in the second end area of the U-shaped fitting piece (3100)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lock key (3310). In the open state, the opening groove of the second wing part may be engaged and fixed to the second guide part.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의 이송차에 포함된 히치부의 제2 실시예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7 (a) is a diagram showing the locked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hitch included in the transport vehicl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 is a diagram showing the open state. .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히치부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도킹되어 트레일러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히치부의 제2 실시예는 제1 칼라형 날개(4100) 및 제2 칼라형 날개(4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hitch unit can transport a trailer by docking with th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hitch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llar. It includes a shaped wing 4100 and a second collar shaped wing 4200.

상기 제1 칼라형 날개(4100)는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이 수직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1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칼라형 날개(4200)는 상기 제1 칼라형 날개(4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칼라형 날개(4100)와 축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칼라형 날개(41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걸림편이 수직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2 안착홈이 형성된다.The first collar-type wing 4100 is formed in a semi-disc shape, and a 2-1 seating groove is formed into which the locking piece is vertically inserted and seated, and the second collar-type wing 4200 is formed in the first collar. It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wing 4100, but is axially symmetrical with the first collar wing 4100, and is arranged to face the first collar wing 4100, and the locking piece is inserted vertically. A 2-2 seating groove is formed to be seated.

이때, 상기 제1 칼라형 날개(4100)와 제2 칼라형 날개(4200)는 각각 힌지로 고정되어 개폐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ollar-type wing 4100 and the second collar-type wing 4200 are respectively fixed with a hinge and opened and closed.

상기 제1 칼라형 날개(4100)와 상기 제2 칼라형 날개(4200)가 개방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칼라형 날개(4100)와 상기 제2 칼라형 날개(4200) 사이에 상기 걸림편이 이동한다.When the first collar-type wing 4100 and the second collar-type wing 4200 are in an open state, the locking piece moves between the first collar-type wing 4100 and the second collar-type wing 4200. do.

이후, 상기 제1 칼라형 날개(4100)와 상기 제2 칼라형 날개(4200)가 회전함으로써 잠금상태에 도달한 경우, 제1 칼라형 날개(4100)의 제2-1 안착홈(4100H)과 제2 칼라형 날개(4200)의 제2-2 안착홈(4200H)에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어 고정된다.Afterwards, when the first collar-type wing 4100 and the second collar-type wing 4200 rotate and reach a locked state, the 2-1 seating groove 4100H of the first collar-type wing 4100 and The locking piece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2-2 seating groove (4200H) of the second collar-type wing (4200).

또한 제1 칼라형 날개(4100)와 제2 칼라형 날개(4200)의 원호방향 양단부의 Z방향 두께에 단차를 구성하여 낮은 두께를 형성한다. 제1 칼라형 날개(4200)와 제2 칼라형 날개(4200)가 잠금상태일 때, 상기 단차를 구성한 양 날개의 낮은 두께 단부는 중첩 부분을 형성하여 도킹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날개의 중앙부에 구성하는 상기 제1 힌지홀(4110) 및 제2 힌지홀(4210)을 중심으로 제1 칼라형 날개(4100) 및 제2 칼라형 날개(4200)가 회전하여 개방상태 또는 잠금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ep is formed in the Z-direction thickness of both ends in the arc direction of the first collar-type wing 4100 and the second collar-type wing 4200 to form a low thickness. When the first collar-type wing 4200 and the second collar-type wing 4200 are in a locked state, the low-thickness ends of both wings forming the step form an overlapping portion to solidify the docking coupling. The first collar-type wing 4100 and the second collar-type wing 4200 rotate around the first hinge hole 4110 and the second hinge hole 421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ing to be in an open or locked state. can be converted to

상기 쌍안정 기구는 상기 제1 칼라형 날개(4100)와 상기 제2 칼라형 날개(4200)의 결합시 상기 제1 칼라형 날개(4100)와 상기 제2 칼라형 날개(4200)의 단부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잠금홈(H')에 삽입된다.When the first collar-type wing 4100 and the second collar-type wing 4200 are combined, the bi-stability mechanism is formed between the end area of the first collar-type wing 4100 and the second collar-type wing 4200. It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H') formed in.

잠금키와 함께 구성되는 쌍안정 기구(4300)는 상술한 U형 끼움편(3100)에 구비되는 쌍안정 기구(33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은 갈음한다. Since the bi-stable mechanism 4300 configured with the lock key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bi-stable mechanism 3300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U-shaped fitting piece 3100, the description is omitted.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의 이송차에 포함된 히치부의 제3 실시예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8 (a) is a diagram showing the locked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hitch included in the transport vehicl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 is a diagram showing the open state. .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히치부의 제3 실시예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도킹되어 트레일러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히치부의 제3 실시예는 안착부(5500), 제1 이탈방지 날개(5100) 및 제2 이탈방지 날개(5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third embodiment of the hitch unit can transport a trailer by docking with th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third embodiment of the hitch unit is a seating unit ( 5500), a first separation prevention wing 5100, and a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wing 5200.

상기 안착부(5500)는 상기 이송차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면에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는 걸림편 지지홈(5500H)이 형성된다.The seating portion 55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vehicle, and a latching piece support groove 5500H into which the latching piece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제1 이탈방지 날개(5100)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지지홈과 마주보는 면에 제1 이탈방지홈(5100H)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이탈방지 날개(5200)는 상기 안착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지지홈과 마주보는 면에 제2 이탈방지홈(5200H)이 형성된다.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wing 5100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first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5100H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support groove, and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wing 5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5200H) is formed on the side facing the support groov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탈방지 날개(5100)와 제2 이탈방지 날개(5200)는 상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1 이탈방지 날개(5100)와 제2 이탈방지 날개(5200)가 잠금상태일 때에도 상기 고정부의 걸림편이 상부곡면을 따라 중심부로 유도되어 자가정렬이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wing 5100 and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wing 5200 have upper surfaces formed as curved surfaces, so that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wing 5100 and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wing 5200 are in a locked state. Even when the fixing part is guided to the center along the upper curved surface, self-alignment is possible.

제1 이탈방지 날개(5100)와 제2 이탈방지 날개(5200)가 잠금상태일 때 상기 제1 이탈방지홈(5100H) 및 상기 제2 이탈방지홈(5200H)과 상기 걸림편 지지홈(5500H)에는 상기 걸림편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히치부와 상기 고정부가 도킹된다. When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wing 5100 and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wing 5200 are in the locked state,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5100H),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5200H), and the locking piece support groove (5500H) The hitch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docked by inserting the locking piece.

상기 안착부(5500)의 양측면에 상부 곡면을 형성하는 지지핸들(5400)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지지핸들(5400)은 반달형상의 잠금판(5410)과 H형상의 지지바(5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5420)의 일단은 상기 안착부(5500)에 힌지로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잠금판(5410)와 결합되며, 중심부는 상기 쌍안정 기구(5300)와 연결되어 상기 쌍안정 기구(53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쌍안정 기구(5300)의 직선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1 이탈방지 날개(5100)와 제2 이탈방지 날개(5200)의 잠금상태 및 개방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Each side of the seating portion 5500 is provided with a support handle 5400 forming an upper curved surface, and the support handle 5400 is composed of a half-moon shaped locking plate 5410 and an H-shaped support bar 5420. You can. One end of the support bar 5420 is fixed to the seating portion 5500 with a hinge,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locking plate 5410, and the center is connected to the bi-stable mechanism 5300 to be connected to the bi-stable mechanism ( 5300), the linear motion of the bistable mechanism 5300 is changed into a rotational motion to change the locked and open states of the first breakaway prevention wing 5100 and the second breakaway prevention wing 5200. You can.

상기 쌍안정 기구(5300)는 상기 제1 이탈방지 날개(5100)와 제2 이탈방지 날개(5200)가 상기 안착부(550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핸들(540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 날개(5100)와 제2 이탈방지 날개(5200)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2중 잠금될 수 있도록 한다.The bi-stability mechanism 5300 is coupled to the support handle 5400 to maintain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wing 5100 and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wing 5200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5500. Double locking is possible by supporting the ends of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wing 5100 and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wing 5200.

이하, 상기 지지핸들(5400)과 함께 구성되는 쌍안정 기구(5400)는 상술한 U형 끼움편(3100)에 구비되는 쌍안정 기구(330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갈음한다. Hereinafter, since the bi-stable mechanism 5400 configured with the support handle 5400 is the same as the bi-stable mechanism 3300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U-shaped fitting piece 3100,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replaced.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patent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트레일러
2 : 이송차
1000 : 쌍안정 기구
1100 : 모터
1200 : 기어
1300 : 캠로드
1400 : 잠금키
1500 : 스프링
2000 : 고정부
2100, 2110 : 걸림편
2200, 2210 : 제1 지지부
2300, 2310 : 제2 지지부
2400 : 걸림편
2500 : 디스크부
3000 : 히치부
3100 : “U”형 시트
3200 : 고리형 날개
3210 : 힌지홀
3220 : 날개홈
3230 : 제1 날개부
3240 : 제2 날개부
3300, 4300, 5300 : 쌍안정 기구
3310, 4310, 5310 : 잠금키
3320, 4320, 5320 : 스프링
3330, 4330, 5330 : 캠로드
3340, 4340, 5340 : 기어
3350, 4350, 5350 : 모터
5400 : 지지핸들
5410: 잠금판
5420: 지지바
4000 : 칼라형 히치부
4100 : 제1 칼라형 날개
4110 : 제1 힌지홀
4200 : 제2 칼라형 날개
4210 : 제2 힌지홀
5000 : 집게형 히치부
5100 : 제1 집게형 날개
5200 : 제2 집게형 날개
5500 : 안착부
1: trailer
2: Transport vehicle
1000: Bistable mechanism
1100: motor
1200: gear
1300: Cam rod
1400: lock key
1500: Spring
2000: Fixed part
2100, 2110: Jamming piece
2200, 2210: first support
2300, 2310: second support portion
2400: Jamming piece
2500: Disk part
3000: Hitch part
3100: “U” shaped seat
3200: Ring-shaped wings
3210: Hinge hole
3220: Wing groove
3230: first wing part
3240: second wing part
3300, 4300, 5300: Bistable mechanism
3310, 4310, 5310: Lock key
3320, 4320, 5320: spring
3330, 4330, 5330: Cam rod
3340, 4340, 5340: Gears
3350, 4350, 5350: Motor
5400: Support handle
5410: lock plate
5420: support bar
4000: Collar type hitch part
4100: 1st collar type wing
4110: 1st hinge hole
4200: 2nd collar type wing
4210: 2nd hinge hole
5000: Clamp type hitch part
5100: 1st pincer-type wing
5200: 2nd pincer-type wing
5500: Seating part

Claims (5)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기어;
상기 기어의 일면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캠로드;
상기 캠로드의 타단에 결합되어 직선운동하는 잠금키; 및
일단은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기어의 타면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잠금키가 돌출되어 잠금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프링이 상기 기어의 제1 접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안정위치, 또는
상기 잠금키가 함몰되어 개방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프링이 상기 기어의 제2 접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안정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안정 기구.
drive motor;
A gear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 cam rod,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gear and which reciproc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a lock ke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am rod and moving in a straight line; and
One end is fixed to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spring fix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gear,
A first stable position in which the spring is disposed in a first tangential direction of the gear so that the lock key is protruded by the spring and is in a locked state, or
A bistabl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maintains a second stable position disposed in a second tangential direction of the gear so that the lock key is retracted and opened.
제1항에 따른 쌍안정 기구;
트레일러 저면에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트레일러를 이송하는 이송차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와 체결되는 히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히치부가 개폐되어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걸어 잠금으로써(쇄문함으로써) 상기 히치부와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며,
상기 쌍안정 기구가 상기 히치부에 삽입 또는 상기 히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히치부와 상기 고정부의 결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
A bistable mechanism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xing part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It includes a hitch par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vehicle for transporting the trailer and fastened to the fixing part,
The hitch part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hitch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coupled by locking (lock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xing part,
A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hitch unit and the fixing unit is maintained by inserting the bi-stability mechanism into the hitch unit or supporting the hitch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걸림편;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편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1 지지부; 및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편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1-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xing part
A locking piece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 1-1 support par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supporting one end of the locking piece; and
A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comprising a first-second support par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hitch pie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걸림편;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편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1 지지부; 및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편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1 지지부와 제2-2 지지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트레일러 저면 방향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xing part,
A locking piece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 2-1 support par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supporting one end of the locking piece; and
It includes a 2-2 support par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hitch piece,
A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2-1 support part and the 2-2 support par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of the trai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저면에 수직하게 부착되는 걸림편; 및
상기 걸림편 하단부로부터 돌출형성되되, 단면의 폭이 상기 걸림편의 단면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디스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수평 방향 자가정렬 도킹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xing part,
A locking piece attached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of the trailer; and
A vertical and horizontal self-aligning docking system comprising a disk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ece and has a cross-sectional width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locking piece.
KR1020220111614A 2021-09-09 2022-09-02 Bistable mechanism and docking system allowing self-alignment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using the same KR1026593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3427 WO2023038422A1 (en) 2021-09-09 2022-09-07 Bistable device, and vertical- and horizontal-self-alignment docking system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654 2021-09-09
KR20210120654 2021-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454A KR20230037454A (en) 2023-03-16
KR102659334B1 true KR102659334B1 (en) 2024-04-19

Family

ID=859853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614A KR102659334B1 (en) 2021-09-09 2022-09-02 Bistable mechanism and docking system allowing self-alignment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using the same
KR1020220111613A KR102656860B1 (en) 2021-09-09 2022-09-02 Container transport system and container transport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613A KR102656860B1 (en) 2021-09-09 2022-09-02 Container transport system and container transport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5933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7925A1 (en) 2005-08-11 2007-08-16 Lindeman Thomas W Self-adjusting fifth wheel trailer and hitch assembly
US20150047312A1 (en) 2013-08-19 2015-02-19 Forage Innovations B.V. Individually Articulating Automatic Transport Locks for Folding Imp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2413A (en) * 1975-03-17 1976-09-28 Stone Richard A King pin lock for semi-trailers
US4962945A (en) * 1989-07-03 1990-10-16 Scott Manatt Easy hitching mechanism
DE19953833A1 (en) * 1999-11-09 2001-05-10 Hans Sauermann Coupl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DE102009052382A1 (en) * 2009-11-09 2011-05-12 Cargobeamer Ag Method and cargo handling terminal for handling semi-trailers from rail to road and vice versa, as well as towing vehicles for semi-trailers and semitrailer tractors therefor, as well as methods of transhipping semi-trailers from rail to road and vice versa and for transporting semi-trailers on rail
DE102013203155A1 (en) * 2013-02-26 2014-09-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ystem for transporting containers on a container port terminal
DE102017103097A1 (en) 2017-02-15 2018-08-16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Automatically guided transport vehicle for containe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system with an automatically guided transport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7925A1 (en) 2005-08-11 2007-08-16 Lindeman Thomas W Self-adjusting fifth wheel trailer and hitch assembly
US20150047312A1 (en) 2013-08-19 2015-02-19 Forage Innovations B.V. Individually Articulating Automatic Transport Locks for Folding Imp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860B1 (en) 2024-04-12
KR20230037454A (en) 2023-03-16
KR20230037453A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77020A1 (en) Industrial cart comprising a mother or primary cart and a secondary or daughter cart
US8118524B2 (en) Overrideable guide and vertical restraint for an air cargo system
JP5027095B2 (en)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a container
US9463675B2 (en) Dolly
US82156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multiple carts
US9815509B2 (en) Fifth wheel hitch retention system
EP1597983B1 (en) Buckle and seat belt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CN101484334B (en) Seat track for vehicle having walk-in memory device
US20100000843A1 (en) Screw Driven Conveyance Device
US5871317A (en) Cargo latch
US20200158263A1 (en) Easy lock p-clamp
JP7449524B2 (en) Unmanned vehicle with removable functional modules
KR102659334B1 (en) Bistable mechanism and docking system allowing self-alignment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using the same
WO2008030786B1 (en) Attachment device for moving cargo containers
US6450744B1 (en) Overrideable vertical restraint for cargo handling systems
CN110722938B (en) Hook assembly and traction system
JP6552432B2 (en) Towed truck
CN110667734A (en) Formula of hiding AGV material car is with stopping back device
JP2019156382A (en) Traction truck
JP2952503B2 (en) Equipment for automatic introduction and alignment of cargo containers
CN108455016B (en) Tray for holding food
JP4432036B2 (en) Transportation cart connection bracket
KR102386668B1 (en) GUIDE DEVICE THAT COMPLEMENTS THE DOCKING ACCURACY OF Autonomous Mobile Robot
CN211495519U (en) Unmanned transport mechanism
JP7491253B2 (en) Box delivery mechanism and box deli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