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301B1 - 스마트 링 및 스마트링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링 및 스마트링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301B1
KR102659301B1 KR1020210123170A KR20210123170A KR102659301B1 KR 102659301 B1 KR102659301 B1 KR 102659301B1 KR 1020210123170 A KR1020210123170 A KR 1020210123170A KR 20210123170 A KR20210123170 A KR 20210123170A KR 102659301 B1 KR102659301 B1 KR 102659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ring
control command
sensor
smar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052A (ko
Inventor
전상연
최창우
이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랩스
Priority to KR102021012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301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052A/ko
Priority to KR1020240023640A priority patent/KR2024002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87Special user inputs o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링은, 상기 스마트 링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스마트 링의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센서 모듈을 통해 생성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링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링 및 스마트링 제어 방법{SMART RING AND METHOD FOR SMART RING CONTROL}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스마트 링 및 스마트 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링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과 의료서비스의 결합으로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웨어러블 제품들은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심박수, 운동량, 위치 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를 웨어러블 제품과 연결된 모바일 장치에 전송한다.
이 가운데 반지형 웨어러블 기기는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아서 상시 착용에 유리하나, 조작을 위한 입력 장치를 구비하기 어려워 스마트 폰과 같은 다른 전자 기기를 통해 조작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즉, 반지형 웨어러블 기기의 경우 조작 방법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으며, 직관적이면서 사용자 친화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스마트 링 및 스마트 링 제어 방법은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링은, 상기 스마트 링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스마트 링의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센서 모듈을 통해 생성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링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링의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스마트 링의 외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에 기초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생성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링은 상기 생성된 터치 센싱 신호가 기설정된 제스쳐 입력인 경우 상기 제스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링은 원형의 고리 모양으로 스마트 링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터치 센서가 시계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속해서 터치되는 경우 제1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터치 센서가 시계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속해서 터치되는 경우 제2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링의 상기 제어 명령은 전원 설정, 측정, 상태 표시, 동기화 또는 동작 정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링은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생성된 신호에 기초하여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링은 상기 스마트 링이 시계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3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링이 시계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4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링은 상기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응급 상황인 경우 응급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링 제어 방법은, 센서 모듈을 통해 생성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링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스마트 링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링 및 스마트 링 제어 방법을 통해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고, 사용자는 직관적인 제스쳐 입력을 통해 스마트 링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링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링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링에 포함된 센서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링의 형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링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링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링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링(100)은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통신모듈(130), 입력 모듈(150), 센서 모듈(160) 및 디스플레이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을 연결하기 위한 버스(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스마트 링(100) 내의 다양한 구성들의 동작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스마트 링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르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가 수행하는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20)에는 스마트 링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스마트 링 제어 프로그램은 센서 모듈(160)을 통해 생성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링(100)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링(1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 외에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모듈(130)은 접속된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13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스마트 링(100)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센서 모듈(160)에 포함된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센서 모듈(160)은 스마트 링(100)을 착용한 사용자 및 스마트 링(1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센서 모듈(160)은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온도 센서, 생체 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링(100)에 포함된 센서 모듈(160) 중 스마트 링(100)을 제어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센서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70)은 LED(Light-Emitting Diode) 모듈 또는 LCD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 링(100)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70)은 스마트 링(100)의 동작 상태, 전원 상태, 사용자의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70)은 스마트 링(100) 외측에 터치 센서와 동일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LED, LCD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스마트 링(100)은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터치 스크린) 및 별도의 버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버스(140)는 구성들을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System Bus) 기반 연결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버스 규격으로서, ARM(Advanced RISC Machine) 사의 AMBA(Advanced Microcontroller Bus Architecture)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다. AMBA 프로토콜의 버스 타입에는 AHB(Advanced High-Performance Bus), APB(Advanced Peripheral Bus), AXI(Advanced eXtensible Interface), AXI4, ACE(AXI Coherency Extension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된 버스 타입들 중 AXI는 IP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로서, 다중 아웃스탠딩 어드레스(multiple outstanding address) 기능과 데이터 인터리빙(data interleaving)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소닉사(SONICs Inc.)의 uNetwork 나 IBM사의 CoreConnect, OCP-IP의 오픈 코어 프로토콜(Open Core Protocol) 등 다른 타입의 프로토콜이 시스템 버스에 적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링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스마트 링 제어 시스템은 스마트 링(100)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마트 링들과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링(100)과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링 제어 방법은 스마트 링(100)또는 서버(200)에서 실시될 수 있다.
스마트 링(100)은 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링(100)은 사용자가 스마트 링(1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집된 데이터는 서버(200)에 전송되어, 각 사용자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링에 포함된 센서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센서 모듈(160)은 터치 센서(162), 가속도 센서(164) 및 자이로 센서(166)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162)는 정전식 터치 패널, 감압식 터치 패널, 적외선 방식의 터치 패널, 초음파 방식의 터치 패널, 물리적 버튼, 광학키, 키패드, (디지털)펜 센서, 및 음성 입력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링의 구현에 따라, 터치 센서(162)는 도 1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모듈(170)과 하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70)이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70)은 터치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마트 링의 구현에 따라, 터치 센서(162)는 도 4에서 설명하는 절연 유닛(330) 및 탑 커버(340)와 하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64)는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x,y,z 3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자이로 센서(166)는 물체의 회전속도인 각속도의 값을 이용하는 센서이며, 각속도는 어떤 물체가 회전 운동할 때 생기는 코리올리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스마트 링은 물체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164)와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각과 기울기 등을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166)를 통해 스마트 링 또는 스마트 링을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움직임 분석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링의 형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링(300)은 제1 및 제2 전극(310, 330), 절연 유닛(330) 및 탑 커버(340)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어부, 인쇄회로기판 및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310)은 링(ring)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도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손가락에 끼워져 손가락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전극(320)은 상기 제1 전극(310)의 바깥쪽에 조립되고 도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전극(310)이 구비되는 면을 스마트 링(300)의 내측면이라 호칭한다.
스마트 링(300)은 복수의 절연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유닛(330)은 제1 전극(310)과 제2 전극(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전극(310)과 제2 전극(320) 간에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유닛(330)은 생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센서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광전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y, PGG)와 같은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센서는 평평한 판상 형태일 수 있으며,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판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과 밀착도가 증가하여 생체 신호 센싱의 정확도가 상승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생체 센서가 구비되는 부분은 평평한 판상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스마트 링(300) 외부와 마찬가지로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전극(310)과 제2 전극(3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전극(320)이 손가락을 제외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였을 때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320)은 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전극(320)의 한쪽에 탑 커버(340)가 갖춰질 수 있다. 제2 전극(320)은 제1 전극(310) 또는 절연 유닛(330)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조립할 수 있고, 반대쪽에는 탑 커버(340)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320)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과 배터리가 갖춰질 수 있다. 제2 전극(320)이 구비되는 면을 스마트 링(300)의 외측면이라 호칭한다.
인쇄회로기판은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재질일 수 있고, 제어부 및 도 1의 구성들이 탑재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은 외부 전자기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배터리는 제1 및 제2 전극(310, 320)에 전류가 흐르도록 전원을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를 비롯한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링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원형의 고리 모양으로 스마트 링(300)의 외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가 시계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속해서 터치되는 경우 제1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가 시계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속해서 터치되는 경우 제2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링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스마트 링은 센서 모듈을 통해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10). 센서 모듈은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상기 스마트 링의 외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에 기초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마트링의 외측에 배치된 다른 구성과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스마트 링은 생성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링의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S120).
터치 센서는 생성된 터치 센싱 신호가 기설정된 제스쳐 입력인 경우 제스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 링은 원형의 고리 모양으로 스마트 링의 외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가 시계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속해서 터치되는 경우 제1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터치 센서가 시계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속해서 터치되는 경우 제2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 링은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생성된 신호에 기초하여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x, y, z 3방향으로 작용하는 스마트 링의 가속도 또는 충격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스마트 링의 회전각과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링은 스마트 링이 시계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3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스마트 링이 시계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4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명령 내지 제4 제어 명령은 각각 전원 설정, 측정, 상태 표시, 동기화 또는 동작 정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 스마트 링은 스마트링을 착용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스마트 링은 센싱된 손가락 또는 손 움직임에 기초하여 스마트 링을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 링 외 스마트폰, 태블릿, 적외선 리모컨, TV, 에어컨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와 연동되어 연동된 기기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마트 링은 생성된 제어 명령을 통해 스마트 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30).
추가 실시예로, 스마트 링은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응급 상황인 경우 응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이상 상태이거나, 사용자가 넘어지는 등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통신 모듈을 통해 응급 상황 통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링은 응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 요청 또는 스마트 링 스스로 긴급 구조 기관에 위치 및 응급 상황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긴급 구난을 요청하는 긴급호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스마트 링은 생체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링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링은 스마트 링 착용시 전원을 켜고, 측정을 수행하고, 스마트링과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동기화 할 수 있다. 스마트 링은 스마트 링을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빼는 경우 전원을 끄거나 절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링
110 : 프로세서
120 : 메모리
130 : 통신 모듈
140 : 버스
150 : 입력 모듈
160 : 센서 모듈
162 : 터치 센서
164 : 가속도 센서
166 : 자이로 센서
170 : 디스플레이 모듈
200 : 서버

Claims (16)

  1. 생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손가락에 착용되는 스마트 링에 있어서,
    원형의 고리 모양인 상기 스마트 링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스마트 링의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생성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링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링을 제어하며,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스마트 링의 외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에 기초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터치 센싱 신호가 기설정된 제스쳐 입력인 경우 상기 제스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되,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스마트 링의 외주면을 따라 시계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속해서 터치되는 경우 제1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스마트 링의 외주면을 따라 시계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속해서 터치되는 경우 제2 제어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 링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스마트 링의 회전각도를 센싱하는 상기 자이로 센서에서 생성된 신호에 기초하여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링을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손가락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상기 스마트 링이 상기 손가락에 대하여 시계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션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제3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링이 상기 손가락에 대하여 시계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션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제4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전원 설정, 측정, 상태 표시, 동기화 또는 동작 정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링.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응급 상황인 경우 응급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링.
  9. 스마트 링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센서 모듈을 통해 생성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링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스마트 링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는 원형의 고리 모양인 상기 스마트 링의 외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에 기초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터치 센싱 신호가 기설정된 제스쳐 입력인 경우 상기 제스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스마트 링의 외주면을 따라 시계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속해서 터치되는 경우 제1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스마트 링의 외주면을 따라 시계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속해서 터치되는 경우 제2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링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상기 스마트 링의 회전각도를 센싱하는 상기 자이로 센서에서 생성된 신호에 기초하여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링을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손가락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상기 스마트 링이 상기 손가락에 대하여 시계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션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제3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링이 시계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션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제4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링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전원 설정, 측정, 상태 표시, 동기화 또는 동작 정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링 제어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응급 상황인 경우 응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링 제어 방법.
KR1020210123170A 2021-09-15 2021-09-15 스마트 링 및 스마트링 제어 방법 KR102659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170A KR102659301B1 (ko) 2021-09-15 2021-09-15 스마트 링 및 스마트링 제어 방법
KR1020240023640A KR20240026972A (ko) 2021-09-15 2024-02-19 스마트 링 및 스마트링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170A KR102659301B1 (ko) 2021-09-15 2021-09-15 스마트 링 및 스마트링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3640A Division KR20240026972A (ko) 2021-09-15 2024-02-19 스마트 링 및 스마트링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052A KR20230040052A (ko) 2023-03-22
KR102659301B1 true KR102659301B1 (ko) 2024-04-22

Family

ID=860059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170A KR102659301B1 (ko) 2021-09-15 2021-09-15 스마트 링 및 스마트링 제어 방법
KR1020240023640A KR20240026972A (ko) 2021-09-15 2024-02-19 스마트 링 및 스마트링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3640A KR20240026972A (ko) 2021-09-15 2024-02-19 스마트 링 및 스마트링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593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668A (ko) * 2014-08-12 201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464916B1 (ko) * 2016-02-01 202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지형 웨어러블 기기
KR20180096295A (ko) * 2017-02-21 201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KR102278548B1 (ko) * 2019-11-12 2021-07-16 대한민국 제스처 기반의 재난대응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052A (ko) 2023-03-22
KR20240026972A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8775B2 (en) Wearable motion sensing computing interface
US9110505B2 (en) Wearable motion sensing computing interface
KR102561736B1 (ko) 터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지문을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JP6275839B2 (ja) リモコン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30069883A1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US8810514B2 (en) Sensor-based pointing device for natural input and interaction
WO2016072823A2 (ko) 루프 형태의 택타일 멀티터치 입력장치, 제스처와 그 방법
US11275456B2 (en) Finger-wearable input assembly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WO2015122885A1 (en)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422181B1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5153690A1 (en) Wearable motion sensing computing interface
JP2013235468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用カバー
WO2016003365A1 (en) A wearable input device
EP3139246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8369447A (zh) 控制可穿戴电子设备运行状态的方法和装置
TWI510976B (zh) 觸碰輸入來源的選擇方法與電子裝置
CN205050078U (zh) 一种可穿戴设备
JP2016177568A (ja) 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
CN108523281B (zh) 用于虚拟现实系统的手套外设、方法、装置及系统
KR101497829B1 (ko) 모션 입력을 이용하는 손목시계형 장치
KR102659301B1 (ko) 스마트 링 및 스마트링 제어 방법
TWM542809U (zh) 滑鼠裝置及操控系統
WO2021103612A1 (zh) 医疗用远程控制系统
CN211043980U (zh) 医疗用远程控制系统
KR20160096902A (ko) 밴드형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