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178B1 -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178B1
KR102659178B1 KR1020220191060A KR20220191060A KR102659178B1 KR 102659178 B1 KR102659178 B1 KR 102659178B1 KR 1020220191060 A KR1020220191060 A KR 1020220191060A KR 20220191060 A KR20220191060 A KR 20220191060A KR 102659178 B1 KR102659178 B1 KR 102659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noise
driver unit
inlet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9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민근
홍성철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9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84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the enclosure structure, i.e. strengthening or shape of the enclosure
    • H04R1/2888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the enclosure structure, i.e. strengthening or shape of the enclosur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버 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자기회로부; 및 상기 자기회로부가 발생시킨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외부로부터 상기 노이즈가 유입되기 위한 내측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노이즈가 상기 내측유입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한 후,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기기{DRIVER UNIT FOR SPEAKER AND SOUND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음향기기에 설치되는 드라이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의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향을 복사하는 음향기기이다. 이러한 스피커는 확성기 또는 라우드 스피커라고도 한다. 진동판이 공기중에 직접 놓이는 종류를 복사형 스피커라 하고, 진동판이 혼(horn) 속에 놓이는 종류를 혼형 스피커라고 한다. 직접 복사형은 보통 라디오 스테레오 장치에 많이 쓰이는 콘(cone)스피커가 대부분이며, 금속진동판을 사용한 것도 있다. 이러한 스피커는 TV, 오디오 기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내장되어 음향기기로 이용된다.
최근에는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의 질을 높이기 위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잡음) 등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처럼, 주변 소음을 차단 또는 상쇄시켜 잡음 없이 소리를 잘 들리도록 하는 기술을 노이즈 캔슬링(Noise Cancelling)이라 한다. 이러한 노이즈 캔슬링은 엑티브 노이즈 캔슬링(Active Noise Cancelling, ANC)과 패시브 노이즈 캔슬링(Passive Noise Cancelling, PNC)으로 나눌 수 있다. 엑티브 노이즈 캔슬링이란 소리의 상쇄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소음(잡음) 등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엑티브 노이즈 캔슬링은 제거하려는 노이즈(잡음)의 위상 및 진폭을 파악하여 이와 반대되는 위상과 진폭을 연산한 뒤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소음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반면에, 패시브 노이즈 캔슬링은 노이즈(잡음)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물질을 이용한 기술이다. 예를 들어, 패시브 노이즈 캔슬링에는 방음재 및 흡음재 등을 부착하여 노이즈(잡음)를 제거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엑티브 노이즈 캔슬링은 노이즈(잡음)를 제거하기 위한 마이크가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피드백(Feed Back)형과 피드포워드(Feed Forward)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피드백형은 마이크를 음향기기에 내부에 설치되는 드라이버 유닛에 근처에 설치하는 방식이고, 피드포워드형은 마이크를 음향기기 외부에 마이크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이 두 가지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Hybrid)형 방식의 엑시브 노이즈 캔슬링도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음향기기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잡음)를 제거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기기(100)는 하우징(110) 및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드라이버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유닛(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121) 및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이즈(잡음)가 유입되기 위해 상기 하우징(110)에는 제1잡음유입홀(111a)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21)에는 제2잡음유입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기기(100)는 상기 제1잡음유입홀(111a)과 상기 제2잡음유입홀(121a)을 통해 유입된 노이즈(잡음) 중 일부는 상기 케이스(121)의 내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로 이동되고, 노이즈(잡음)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자기회로부(122)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구현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기기(100)는 상기 자기회로부(122)가 내자형 자기회로(122a)와 외자형 자기회로(122b)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기회로부(122)의 상부로 이동된 노이즈(잡음)가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122a)와 외자형 자기회로(122b)의 사이에 유입되도록 구현되었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기기(100)는 드라이버 유닛(120)으로 유입된 노이즈의 경로가 분산됨에 따라 노이즈 제거를 위한 위상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노이즈(잡음)의 정확한 위상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라이버 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자기회로부; 및 상기 자기회로부가 발생시킨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외부로부터 상기 노이즈가 유입되기 위한 내측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가 상기 내측유입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한 후,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라이버 유닛;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노즐부;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외측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자기회로부; 및 상기 자기회로부가 발생시킨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외부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기 위한 내측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가 상기 외측유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한 후 상기 내측유입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노이즈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부가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노이즈가 케이스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케이스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이드부를 통해 노이즈의 이동방향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노이즈의 정확한 위상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기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에 있어서 가이드부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Ⅰ-Ⅰ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기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드라이버 유닛(1)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된 자기회로부(3), 및 상기 자기회로부(3)가 발생시킨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음향발생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는 외부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기 위한 내측유입홀(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이즈가 상기 내측유입홀(23)을 통해 상기 케이스(2)의 내부로 이동한 후 상기 케이스(2)의 내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내측유입홀(23)을 통해 유입된 상기 노이즈(Noise, 잡음)가 상기 가이드부(5)에 의해 상기 케이스(2)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노이즈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서 단일 경로로 이동됨에 따라, 노이즈에 대한 위상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케이스(2), 상기 자기회로부(3), 상기 음향발생부(4)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케이스(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1)의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1)의 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상기 자기회로부(3), 및 상기 음향발생부(4)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2)는 하부케이스(21) 및 상부케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1)는 상기 상부케이스(22)의 하측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하부케이스(21)는 상기 상부케이스(22)의 하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1)의 내부에는 상기 자기회로부(3) 및 상기 음향발생부(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1)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상측을 통해 상기 자기회로부(3) 및 상기 음향발생부(4)가 상기 하부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2)는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상측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스(22)는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상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하부케이스(21)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케이스(22)는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상측을 덮도록 상기 하부케이스(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22)는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상측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2)는 상기 하부케이스(21)의 내부에 상기 자기회로부(3)와 상기 음향발생부(4)가 결합된 후에 상기 하부케이스(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2)는 내측유입홀(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유입홀(23)은 외부로부터 상기 노이즈가 유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측유입홀(23)은 상기 케이스(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유입홀(23)은 상기 하부케이스(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내측유입홀(23)을 통해 상기 케이스(2)의 내부와 상기 케이스(2)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유입홀(23)은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자기회로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회로부(3)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자기회로부(3)는 상기 하부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자기회로부(3)는 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요크(미도시), 마그네트(미도시) 및 폴피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크는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폴피스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그네트는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폴피스는 상기 자기장의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자기회로부(3)는 내자형 자기회로(31) 및 외자형 자기회로(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에 있어서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는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는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에 대해 내측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는 상기 하부케이스(2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는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에 대해 외측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는 상기 하부케이스(2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는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의 외측면과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의 내측면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축(A)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와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는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와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의 사이에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와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는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음향발생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발생부(4)는 상기 자기회로부(3)가 발생시킨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 음향발생부(4)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음향발생부(4)는 상기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축(A)을 따라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음향발생부(4)가 진동되면서 음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음향발생부(4)가 음을 재생시키기 위해 상기 음향발생부(4)는 우퍼(Woofer)진동계(41) 및 트위터(Tweeter)진동계(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우퍼진동계(41)는 저음역대를 담당하는 것이다. 상기 우퍼진동계(41)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우퍼진동계(41)는 상기 하부케이스(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우퍼진동계(41)는 상기 자기회로부(3)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우퍼진동계(41)는 상기 트위터진동계(42)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트위터진동계(42)는 고음역대를 담당하는 것이다. 상기 트위터진동계(42)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우퍼진동계(41)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우퍼진동계(41)는 상기 자기회로부(3)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우퍼진동계(41)는 우퍼보이스코일(411) 및 우퍼진동판(4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퍼보이스코일(411)은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와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가 발생시킨 자기력에 의해 진동되는 것이다. 상기 우퍼보이스코일(41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우퍼보이스코일(411)은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축(A)을 따라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우퍼보이스코일(411)에는 상기 우퍼진동판(41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퍼보이스코일(411)은 자기력에 의해 진동되면서 상기 우퍼진동판(412)을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우퍼보이스코일(411)에 의해 상기 우퍼진동판(412)이 진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에 있어서 상기 우퍼진동판(412)은 상기 우퍼보이스코일(411)이 진동함에 따라 함께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우퍼보이스코일(411)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우퍼보이스코일(411)은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퍼보이스코일(411)의 상측에는 상기 우퍼진동판(41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퍼보이스코일(411)은 보빈에 코일이 여러 번 감겨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우퍼보이스코일(411)은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와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트위터진동계(42)는 트위터보이스코일(421) 및 트위터진동판(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위터보이스코일(421)은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가 발생시킨 자기력에 의해 진동되는 것이다. 상기 트위터보이스코일(42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트위터보이스코일(421)은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축(A)을 따라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트위터보이스코일(421)에는 상기 트위터진동판(42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위터보이스코일(421)은 자기력에 의해 진동되면서 상기 트위터진동판(422)을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트위터보이스코일(421)에 의해 상기 트위터진동판(422)이 진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진동판(422)은 상기 트위터보이스코일(421)이 진동함에 따라 함께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트위터보이스코일(421)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위터보이스코일(421)은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위터보이스코일(421)의 하측에는 트위터진동판(42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위터보이스코일(421)은 보빈에 코일이 여러 번 감겨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트위터보이스코일(421)은 상기 내자형 자기회로(31)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가이드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는 상기 케이스(2)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5)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는 상기 하부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5)는 상기 내측유입홀(23)로 유입되는 상기 노이즈가 상기 케이스(2)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내측유입홀(23)을 통해 유입된 노이즈가 상기 가이드부(5)에 의해 상기 케이스(2)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노이즈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서 단일 경로로 이동됨에 따라, 노이즈에 대한 위상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가이드부(5)를 통해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노이즈의 정확한 위상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독립통기구조'라 일컫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독립통기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부(5)는 가이드본체(50), 지지부재(51), 가이드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본체(50)는 상기 케이스(2)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본체(50)는 상기 하부케이스(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본체(50)는 상기 하부케이스(21)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2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본체(50)는 상기 진동축(A)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본체(50)는 상기 하부케이스(21)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본체(50)는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자기회로부(3)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자기회로부(3)와 상기 가이드본체(50)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자기회로부(3)의 상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자기회로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자기회로부(3)에 결합되어서 상기 가이드본체(5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내측유입홀(23)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내측유입홀(23)로 유입된 상기 노이즈가 상기 케이스(2)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지지부재(51)를 통해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52)는 상기 노이즈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노이즈이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에 대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이즈는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 상기 내측유입홀(23)에서 상기 케이스(2)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노이즈는 상기 내측유입홀(23)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2)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은 상기 노이즈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부재(52)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이즈는 상기 가이드부재(52)의 외면(52a)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51)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노이즈가 상기 지지부재(51)로 전달되면서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은 수평방향에서 수직 아래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은 상기 지지부재(51)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이 전환된 상기 노이즈는 상기 유도부재(53)에 의해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에 상기 케이스(2)의 하측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이즈는 상기 케이스(2)의 내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노이즈는 상기 케이스(2)의 내면을 따라 이동한 후에 상기 케이스(2)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이즈는 노즐부(12, 도 9에 도시됨)에 결합된 수신부(14, 도 9에 도시됨)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2)는 상기 지지부재(5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52)는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가이드부재(52)가 상기 내측유입홀(23)을 통해 유입된 상기 노이즈가 상기 지지부재(51)로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2)는 상기 가이드본체(50)에 결합되어서 상기 지지부재(5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52)의 외면(52a)과 상기 지지부재(51)의 외면(51a)은 서로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케이스(2)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노이즈가 상기 가이드부재(52)의 외면(52a)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지지부재(51)의 외면(51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가이드부재(52) 및 상기 지지부재(51)를 통해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노이즈가 상기 내측유입홀(23)로 유입되는 방향에서 수직 아래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케이스(2)의 내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노이즈가 독립된 경로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노이즈에 대한 위상신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52)의 외면(52a)과 상기 지지부재(51)의 외면(51a)이 결합된 부분이 서로 굴곡진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이즈는 상기 가이드부재(52)의 외면(52a)과 상기 지지부재(51)의 외면(51a)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부(5)는 유도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53)는 상기 가이드본체(5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유도부재(53)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가이드본체(5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1)은 상기 유도부재(53)를 통해 상기 노이즈가 상기 케이스(2)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53)는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에 대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도부재(53)와 함께 상기 외자형 자기회로(32)의 외면 및 상기 케이스(2)의 내면은 상기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노이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10)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에 결합된 노즐부(12) 및 상기 하우징(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외측유입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상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된 자기회로부(3) 및 상기 자기회로부(3)가 발생시킨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음향발생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는 외부로부터 상기 노이즈가 유입되기 위한 내측유입홀(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가 상기 외측유입홀(111)을 통해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로 이동한 후 상기 내측유입홀(23)을 통해 상기 케이스(2)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2)의 내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 상기 하우징(11), 상기 노즐부(12), 안착부(13), 및 수신부(14)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앞서 설명한 상기 케이스(2), 상기 자기회로부(3), 상기 음향발생부(4) 및 상기 가이드부(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 상기 자기회로부(3), 상기 음향발생부(4) 및 상기 가이드부(5)의 하부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10)의 상기 케이스(2), 상기 자기회로부(3), 상기 음향발생부(4) 및 상기 가이드부(5)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상기 케이스(2), 상기 자기회로부(3), 상기 음향발생부(4) 및 상기 가이드부(5)와 일치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음향기기(10)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안착부(13)를 통해 상기 하우징(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3)는 상기 하우징(11) 및 상기 드라이버 유닛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부(13)는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결합된 드라이버 유닛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외측유입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유입홀(111)은 상기 하우징(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외측유입홀(111)은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측유입홀(111)은 상기 내측유입홀(23)과 인접합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유입홀(111)은 상기 내측유입홀(23)과 같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측유입홀(111)이 상기 하우징(11)의 우측에 형성된 경우 상기 내측유입홀(23)은 상기 케이스(2)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이즈는 상기 외측유입홀(111)을 통해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노이즈는 상기 내측유입홀(23)을 통해 상기 케이스(2)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이즈는 상기 케이스(2)의 내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10)는 상기 케이스(2) 내에서의 상기 노이즈의 이동경로가 단일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독립통기구조'라 일컫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10)기는 독립통기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노즐부(12)는 상기 하우징(1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노즐부(12)는 상기 음향발생부(4)에서 재생된 음을 사람의 청각기관(미도시)으로 내보낼 수 있다. 상기 노즐부(12)는 양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부(12)의 일측은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노즐부(12)의 타측은 상기 청각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12)의 일측은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10)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음향발생부(4)에 의해 재생된 음이 상기 노즐부(12)를 통해 상기 청각기관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12)는 상기 청각기관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청각기관은 사람의 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12)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부(12)의 상부와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하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음향발생부(4)에서 재생된 음은 상기 노즐부(12)의 입구에서 상기 노즐부(12)의 출구 쪽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청각기관에 전달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10)는 수신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4)는 상기 노즐부(1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수신부(14)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를 포집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4)는 상기 노이즈에 대한 위상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수신부(14)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를 통과한 노이즈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신부(14)는 상기 이동방향(NM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노이즈에 대한 위상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10)는 단일 경로로 이동하는 상기 노이즈에 대한 위상신호를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노이즈에 대한 정확한 위상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음향기기(10)는 상기 노이즈의 위상신호에 그 위상이 반대되는 신호를 보냄으로써, 상기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10)는 상기 음향발생부(4)에서 발생되는 음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14)는 상기 노즐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신부(14)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과 상기 청각기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4)는 상기 음향발생부(4)에서 재생된 음이 최종적으로 상기 청각기관으로 전달되는 위치의 부근에 배치되어서 상기 노이즈를 포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10)는 상기 수신부(14)가 청각기관으로 전달되는 음에 상기 노이즈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음질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2: 케이스
21: 하부케이스
22: 상부케이스
23: 내측유입홀
3: 자기회로부
31: 내자형 자기회로
32: 외자형 자기회로
4: 음향발생부
41: 우퍼진동계
411: 우퍼보이스코일
412: 우퍼진동판
42: 트위터진동계
421: 트위터보이스코일
422: 트위터진동판
5: 가이드부
50: 가이드본체
51: 지지부재
51a: 외면
52: 가이드부재
52a: 외면
53: 유도부재
10: 음향기기
11: 하우징
111: 외측유입홀
12: 노즐부
13: 안착부
14: 수신부

Claims (13)

  1. 드라이버 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자기회로부; 및
    상기 자기회로부가 발생시킨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외부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기 위한 내측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노이즈가 상기 내측유입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한 후,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측유입홀로 유입되는 상기 노이즈가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가이드본체, 및 상기 내측유입홀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가이드본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노이즈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노이즈의 이동방향에 대해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자기회로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가이드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노이즈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면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지지부재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이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전환되도록 상기 내측유입홀과 마주보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본체에 결합된 유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노이즈가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면과 상기 지지부재의 외면이 결합된 부분이 서로 굴곡진 형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내측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상기 노이즈에 대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본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는 단일 경로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9. 드라이버 유닛;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노즐부;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외측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자기회로부; 및
    상기 자기회로부가 발생시킨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외부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기 위한 내측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노이즈가 상기 외측유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한 후 상기 내측유입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노이즈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측유입홀로 유입되는 상기 노이즈가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노이즈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가이드본체, 및 상기 내측유입홀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가이드본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노이즈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노이즈의 이동방향에 대해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에 결합된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한 후 상기 수신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과 상기 음향기기가 착용되는 청각기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자기회로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가이드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노이즈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면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지지부재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KR1020220191060A 2022-12-30 2022-12-30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기기 KR102659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1060A KR102659178B1 (ko) 2022-12-30 2022-12-30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1060A KR102659178B1 (ko) 2022-12-30 2022-12-30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178B1 true KR102659178B1 (ko) 2024-04-19

Family

ID=9088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91060A KR102659178B1 (ko) 2022-12-30 2022-12-30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1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762B1 (ko) * 2020-05-28 2021-06-07 부전전자 주식회사 2way 타잎 마이크로스피커의 DSF구조
KR102442961B1 (ko) * 2021-04-09 2022-09-15 주식회사 이엠텍 기압 평형홀와 백홀을 구획하는 덕트 유닛을 구비하는 이어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762B1 (ko) * 2020-05-28 2021-06-07 부전전자 주식회사 2way 타잎 마이크로스피커의 DSF구조
KR102442961B1 (ko) * 2021-04-09 2022-09-15 주식회사 이엠텍 기압 평형홀와 백홀을 구획하는 덕트 유닛을 구비하는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405624U (zh) 具备气压平衡装置的耳机
US9100761B2 (en) Earphone assembly
JP3205787U (ja) 気流集中管を具えたイヤフォン装置
CN105191344A (zh) 用于定位误差麦克风以最小化或减少声换能器波径的阻碍的系统及方法
CN105612760A (zh) 骨传导扬声器
US10225644B2 (en) Speaker system
KR101767467B1 (ko) 소음 차폐 이어셋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6653B1 (ko) 어쿠스틱 필터를 갖는 소음 차폐 이어셋
JP6924962B2 (ja) スピーカ装置
US7499562B2 (en) Virtual multi-channel speaker unit
JPWO2019069568A1 (ja) 音響出力装置、イヤホン、補聴器及び携帯型端末装置
JP6379239B2 (ja) 聴取器用スピーカモジュールおよび聴取器
JP2008270879A (ja) 受話装置
KR102659178B1 (ko) 스피커용 드라이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기기
US20230353921A1 (en) Sound device
EP3788795B1 (en) An electroacoustic earcup for open-back headphones
CN101483796B (zh) 头戴式受话器
JP2003299193A (ja) スピーカ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ピーカ装置
JPS62277000A (ja) ヘッドホン
JPH04347997A (ja) ヘッドホン
WO2023053958A1 (ja) 振動子及び聴取装置
CN220776052U (zh) 一种具有降噪功能的耳机及耳机组件
KR20230036259A (ko) 드라이버 유닛
US20230412971A1 (en) Loudspeaker device
JP2022030765A (ja) ヘッ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