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038B1 -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038B1
KR102659038B1 KR1020220015699A KR20220015699A KR102659038B1 KR 102659038 B1 KR102659038 B1 KR 102659038B1 KR 1020220015699 A KR1020220015699 A KR 1020220015699A KR 20220015699 A KR20220015699 A KR 20220015699A KR 102659038 B1 KR102659038 B1 KR 102659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in
insulin pump
information
blood sugar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9486A (ko
Inventor
양충일
이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투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투이
Priority to KR1020220015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038B1/ko
Publication of KR2023011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61B5/4839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combined with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61M2005/172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the body parameters being measured at, or proximate to, the infusion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9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including concentration se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인슐린펌프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로그 수신 단계; 상기 로그 데이터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로그 전송 단계; 상기 전자 장치에 입력된 설정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설정 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볼러스 주입량을 추천받는 주입량 추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METHOD BASED ON PLATFORM FOR CONTROLLING INSULIN PUMP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본 개시는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슐린펌프는 췌장과 같은 역할을 하는 의료기기로서, 환자의 몸에 부착된 상태에서 일정한 양의 인슐린을 체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인슐린펌프를 몸에 부착한 후, 인슐린을 적절히 공급하여 정상 혈당을 유지하면 췌장 기능의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6336호에는 인슐린펌프에 대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인슐린펌프 제품에는 식사 전 환자의 체내에 주입하는 인슐린의 양(즉, 볼러스 주입량)을 계산할 수 있는 볼러스 계산기가 탑재되어 있었다. 즉, 기존에는 사용자가 인슐린펌프의 화면에서 인슐린 주입이력을 확인하고, 현재 혈당치와 먹을 탄수화물량을 입력하면 볼러스 계산기가 자동으로 볼러스 주입량을 계산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시판 중인 인슐린 약제의 종류가 다양하고, 체내 작용시간이 각 약제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약제별로 볼러스 주입량이 달라질 수 있고, 새로운 약물이 출시될 때마다 해당 약물정보를 반영하여 볼러스 주입량을 계산하려면 인슐린펌프의 펌웨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데이터의 연계나 확장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슐린펌프나 사용자 단말기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하지 않아도 최신 약물 정보를 반영하여 볼러스 주입량을 산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인슐린펌프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로그 수신 단계; 상기 로그 데이터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로그 전송 단계;상기 전자 장치에 입력된 설정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설정 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볼러스 주입량을 추천받는 주입량 추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로그 데이터는 상기 인슐린펌프에서 배출된 인슐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는 인슐린 약제의 종류에 대한 종류 정보,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서 작용하는 시간에 대한 작용시간 정보 및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 주입된 이후에 혈중 인슐린 농도가 최대가 되는 시점에 대한 피크타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로그 수신 단계에서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인슐린펌프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인슐린펌프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명령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은 서버에 의해 구현되며, 혈당측정장비로부터 혈당측정치를 수신하는 혈당정보 수신 단계; 전자 장치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로그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설정 정보 수신 단계; 기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볼러스 주입량을 산출하는 주입량 산출 단계; 및 산출된 볼러스 주입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주입량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그 데이터는 상기 인슐린펌프에서 배출된 인슐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정보는 인슐린 약제의 종류에 대한 종류 정보,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서 작용하는 시간에 대한 작용시간 정보 및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 주입된 이후에 혈중 인슐린 농도가 최대가 되는 시점에 대한 피크타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새롭게 출시된 인슐린 약제에 대한 약물정보는 플랫폼의 알고리즘에 반영되며, 플랫폼은 인슐린펌프가 생성한 로그 데이터와 전자 장치가 생성한 설정 정보를 취합하고 볼러스 주입량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전자 장치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인슐린펌프나 사용자 단말기(일 예로, 스마트폰)의 펌웨어(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지 않아도 최신 약물정보를 반영하여 볼러스 주입량을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 전자 장치 및 인슐린펌프 간의 신속한 데이터 연계가 가능하며, 확장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인슐린펌프는 전자 장치가 인슐린펌프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에 한해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하고 전자 장치(일 예로, 스마트폰)로 전송하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검증한 이후에 동일한 일회용 인증키를 인슐린펌프로 전송한다. 인슐린펌프는 전자 장치가 송신한 일회용 인증키를 검증한 이후에 인슐린의 배출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게 되므로 전자 장치에 의한 인슐린펌프 제어시 보안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인슐린펌프의 버튼을 직접 누르거나 조작하지 않아도 전자 장치를 통해 인슐린펌프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인슐린펌프의 제어가 용이하며, 인슐린펌프의 조작 과정을 타인에게 노출하지 않고 환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슐린펌프를 직접 조작하는 경우에는 인슐린펌프가 원격으로 제어되지 않도록 인슐린 배출에 관여하는 일회용 인증키를 삭제함으로써, 인슐린펌프의 원격 제어시 인슐린펌프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사용상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 인슐린펌프, 플랫폼 서버 및 혈당측정장비 간에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슐린 약제 종류에 따른 시간별 활성 인슐린 비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슐린펌프의 출력부에 출력되는 화면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언급들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것은 아니며, 이들은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즉, 본원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의 각 단계는 명세서 상에서 달리 언급되거나 문맥상 명백히 상충되지 않는 한 임의의 순서로 적절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생체정보 입력부(130), 장치 통신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1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다. 메모리(110)에는 전자 장치(100) 내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10)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플래시 메모리 형태, 하드디스크 형태, 카드 타입의 메모리(일 예로, SD 메모리), 램(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이 있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메모리(110)는 인터넷 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 또는 클라우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 요소(예를 들어, 메모리(110), 생체정보 입력부(130), 장치 통신부(140), 디스플레이부(150))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정보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생체정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사용자의 지문정보, 안면정보, 혈관정보, 음성정보, 홍채정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정보 입력부(130)는 지문인식 센서, 안면인식 센서, 혈관인식 센서, 음성인식 센서 및 홍채인식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 통신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예를 들어, 무선랜, 블루투스, UWB(UltraWideBand),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등)을 통해 후술될 인슐린펌프(200)와 통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50)는 전자 장치(100) 내에 설치되어 시청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장치 통신부(140)는 인슐린펌프(200)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고, 플랫폼 서버(300)로 로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그 데이터는 인슐린펌프(200)에서 배출된 인슐린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로그 데이터에는 인슐린이 배출된 시각 및 인슐린 배출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슐린펌프(200)의 제어부(230)는 인슐린의 배출이 이루어질 때마다 로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정보 입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입력부(160)를 통해 인슐린 약제의 종류에 대한 종류 정보,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서 작용하는 시간에 대한 작용시간 정보,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 주입된 이후에 혈중 인슐린 농도가 최대가 되는 시점에 대한 피크타임 정보, 탄수화물 계수, 교정계수, 교정목표 혈당치 등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장치 통신부(140)를 제어하여 해당 정보들을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혈당측정장비(400)가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여 연동될 경우, 혈당측정장비(400)에서 측정된 현재 혈당치 정보가 전자 장치(100)에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인슐린펌프(200)는 인증키 생성부(210), 통신부(220), 제어부(230), 배출부(240), 출력부(250) 및 인증키 저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키 생성부(210)는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키 생성부(210)는 숫자,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n(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자리의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220)는 통신망(예를 들어, 무선랜, 블루투스, UWB, WPAN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인슐린펌프(200)와 별개로 존재하는 전자 장치(100)(일 예로, 스마트폰)를 의미한다. 제어부(230)는 인슐린펌프(200)에서 인슐린이 배출될 때마다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며, 통신부(220)는 전자 장치(100)로 로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30)는 인슐린펌프(200)의 각 구성들(예를 들어, 인증키 생성부(210), 통신부(220), 배출부(240), 출력부(250), 인증키 저장부(26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인슐린펌프(200)로 제어 명령(예를 들어, 인슐린의 배출을 실행하라는 명령)이 송신되면 인슐린펌프(200)의 통신부(220)가 이를 수신하며, 제어부(230)는 인증키 생성부(210)를 제어하여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통신부(220)를 제어함으로써, 인증키 생성부(210)가 만든 일회용 인증키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인증키 생성부(210)가 만든 일회용 인증키가 외부 장치로 전송된 이후, 외부 장치로부터 인슐린펌프(200)로 일회용 인증키가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수신된 일회용 인증키가 일회용 인증키 생성부(210)에서 만들고 외부 장치로 전송했던 인증키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할 경우에는 인슐린이 배출되도록 배출부(2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출부(240)는 인슐린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인슐린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지정된 주기마다 일정한 양의 인슐린이 배출되도록 배출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250)는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50)는 인슐린펌프(200)에서 인슐린이 배출되도록 실행할 것인지를 묻는 선택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인슐린펌프(200)에서 배출부(240)가 작동되어 인슐린이 배출 중인 경우에는 도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린 배출을 중지할 것인지를 묻는 선택 메시지를 출력부(250)가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키 저장부(260)는 인증키 생성부(210)가 생성한 일회용 인증키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는 통신부(220)가 외부 장치로 일회용 인증키를 전송한 이후, 제어부(230)가 출력부(250)를 제어하여 배출부(240)의 작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배출부(240)를 작동시켜 인슐린을 배출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시지(즉, 도8의 (a)) 및 배출부(240)의 작동 중에 배출부(240)의 작동을 중지시킬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시지(즉, 도8의 (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제어부(230)가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배출부(240)의 작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시지가 출력된 이후, 사용자가 해당 메시지를 확인하고 출력부(250)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인슐린펌프(200)에 별도로 구비된 버튼부(미도시)를 눌러 배출부(240)의 작동 여부를 선택하면, 배출부(240)의 작동 여부 선택에 대한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제어부(230)는 이를 인지하여 인증키 저장부(260)에 저장된 일회용 인증키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인슐린펌프(200)를 직접 조작함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인슐린펌프(200)에서 생성된 일회용 인증키를 즉시 삭제함으로써, 전자 장치(100)가 원격으로 인슐린펌프(200)를 제어하지 못하도록 조치할 수 있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제어부(230)는 인증키 생성부(210)에서 일회용 인증키를 만든 시점으로부터 기지정된 시간(일 예로, 20초)이 경과하면 인증키 저장부(260)에 저장된 일회용 인증키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인슐린펌프(200)를 원격으로 제어하려면 짧은 시간 이내에 신속하게 일회용 인증키를 전송해야만 하므로 인슐린펌프(200)의 원격 제어시 보안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10), 서버 메모리부(320) 및 서버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통신부(310)는 혈당측정장비(400)와 통신하여 혈당측정장비(400)로부터 혈당측정치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혈당측정장비(400)는 연속혈당측정기 및 자가혈당측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서버 통신부(31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여 전자 장치(100)로부터 로그 데이터와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볼러스 주입량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메모리부(320)에는 볼러스 주입량을 산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은 아래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볼러스 주입량 = A + B - C + D
(여기서, A는 탄수화물 계수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 B는 교정계수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 C는 체내에 남아있는 활성 인슐린의 추정량, D는 혈당 추세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
수학식 1의 A는 아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탄수화물 계수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 = 먹을 탄수화물 양/탄수화물 계수
예를 들어, 탄수화물 계수가 12g/U인 사용자가 24g의 과자를 먹으려고 할 경우, 탄수화물 계수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은 2U이 된다. 본 명세서에서 탄수화물 계수는 인슐린 1단위(unit)를 투여할 때 조절할 수 있는 탄수화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슐린 주입량을 표현하는 U는 인슐린 단위를 의미하며, 인슐린 1단위는 인슐린 0.01ml로 적용될 수 있다.
수학식 1의 B는 아래 수학식 3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3]
교정계수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 = (현재 혈당치 - 교정목표 혈당치)/교정계수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혈당치가 165mg/dL이고 교정목표 혈당치가 100mg/dL이고 교정계수가 65mg/dL/U일 때, 교정계수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은 1U이 된다. 본 명세서에서 교정계수는 인슐린 1단위가 조절할 수 있는 혈당값을 의미한다.
수학식 1의 C는 체내에 남아있는 활성 인슐린의 추정량으로서, 서버 제어부(330)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인슐린 약제의 활성 인슐린 비율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활성 인슐린의 추정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 인슐린 비율은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 주입된 이후에 체내에 남아있는 인슐린의 양을 나타낸 것으로서, 체내에 최초 주입시 활성 인슐린 비율은 1이고, 체내에서 인슐린이 완전히 분해되면 활성 인슐린 비율은 0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인슐린 약제는 체내에 투입된 이후에 시간이 경과되면서 활성 인슐린 비율이 1에서 0까지 변화되는데, 서버 메모리부(320)에는 인슐린 약제의 종류별로 활성 인슐린 비율 데이터가 맵핑되어 기저장될 수 있다. 도7은 5종의 인슐린 약제의 활성 인슐린 비율을 그래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7에서 가로축은 인슐린의 작용시간을 분 단위로 표기한 것이고, 세로축은 활성 인슐린 비율로서, 활성 인슐린 비율 1은 인슐린 약제의 함량이 100부피%임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슐린 약제들은 각 인슐린의 작용시간과 피크타임 정보별로 분류되어 서버 메모리부(320)에 기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슐린의 작용시간은 체내에 투입된 인슐린이 작용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인슐린의 피크타임은 혈중 인슐린 농도가 최대가 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는 인슐린의 종류와 작용시간과 피크타임 정보별로 활성 인슐린 비율을 산정한 데이터가 서버 메모리부(32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7의 그래프에서 실선은 인슐린 약제의 종류가 노보래피드이고 인슐린 약제의 작용시간이 300분이고 피크타임은 75분으로 설정된 인슐린 제품의 활성 인슐린 비율 데이터로서 적용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이므로 전술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제어부(330)는 수신된 로그 데이터를 통해 인슐린의 주입시각을 확인하고, 체내에 남아있는 활성 인슐린의 추정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이 인슐린 주입시각으로부터 300분이 경과했다면 수학식 1에서 활성 인슐린의 추정량은 0이라고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수학식 1에서 혈당 추세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은 일정한 기준으로 맵핑된 추세 데이터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메모리부(320)에는 혈당 추세를 혈당치의 증감량에 따라 복수의 단계(일 예로, 7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별로 일정한 인슐린 주입량 값을 맵핑시킨 추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혈당 추세는 A단계, B단계, C단계, D단계, E단계, F단계 및 G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혈당측정장비(400)에 의해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30mg/dL 이하 수준에서 증가한 경우에는 A단계에 해당되고,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30mg/dL 초과 내지 60mg/dL 이하 수준으로 증가한 경우에는 B단계에 해당되고,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60mg/dL 초과 내지 90mg/dL 이하 수준으로 증가한 경우에는 C단계에 해당되고,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90mg/dL 초과 수준으로 증가한 경우에는 D단계에 해당되고,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30mg/dL 초과 내지 60mg/dL 이하 수준으로 감소한 경우에는 E단계에 해당되고,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60mg/dL 초과 내지 90mg/dL 이하 수준으로 감소한 경우에는 F단계에 해당되고,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90mg/dL 초과 수준으로 감소한 경우에는 G단계에 해당된다.
일 구체예에서는 혈당 추세가 A단계일 때, 혈당 추세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은 0이라고 맵핑된 추세 데이터가 서버 메모리부(32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혈당 추세는 전자 장치(100)의 정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로부터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되는 설정 정보에는 혈당 추세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혈당 추세에 대한 정보가 A단계일 경우, 서버 제어부(330)는 수신된 설정 정보를 확인하고 서버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추세 데이터를 확인하여 수학식 1의 D값에 0을 대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제어부(330)는 수학식 1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볼러스 주입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도4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사용자 정보 등록 단계<S401>
본 단계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프로세서(120)가 메모리(110) 또는 별도의 관리서버(일 예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2. 연결 단계<S402>
본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장치 통신부(140)가 인슐린펌프(200)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슐린펌프(200)와 전자 장치(100) 간의 페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방식에 의해 인슐린펌프(200)와 전자 장치(100) 간의 페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3. 생체정보 등록 단계<S403>
본 단계에서는 사용자(즉, 단계 S401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메모리(110) 또는 별도의 관리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생체정보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생체정보는 메모리(110) 또는 관리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수집된 생체정보는 단계 S401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결합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4. 로그 수신 단계<S404>
본 단계에서는 장치 통신부(140)가 인슐린펌프(200)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 데이터 내에는 인슐린이 배출된 시각과 인슐린 배출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근거리 통신방식(일 예로, 블루투스)을 통해 인슐린펌프(200)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5. 로그 전송 단계<S405>
본 단계에서는 단계 S404에서 수신한 로그 데이터를 장치 통신부(140)가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통신부(140)는 원거리 통신방식(예를 들어,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위성 통신망 등)을 통해 로그 데이터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6. 설정 정보 전송 단계<S406>
본 단계에서 장치 통신부(140)는 정보 입력부(160)에 의해 입력된 설정 정보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 정보에는 인슐린 약제의 종류에 대한 종류 정보,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서 작용하는 시간에 대한 작용시간 정보,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 주입된 이후에 혈중 인슐린 농도가 최대가 되는 시점에 대한 피크타임 정보, 탄수화물 계수, 교정계수, 교정목표 혈당치, 먹을 탄수화물 양, 혈당측정치 및 혈당 추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7. 주입량 추천 단계<S407>
본 단계에서는 플랫폼 서버(300)에 의해 산출된 볼러스 주입량을 장치 통신부(140)가 수신함으로써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볼러스 주입량을 추천받을 수 있다.
8. 명령 전송 단계<S408>
본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가 장치 통신부(140)를 제어하여 인슐린펌프(2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407에서 추천받은 볼러스 주입량만큼 인슐린펌프(200)가 인슐린을 배출하도록 프로세서(120)는 배출부(240)의 작동을 실행시키는 제어 명령을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9. 인증키 수신 단계<S409>
본 단계에서는 장치 통신부(140)가 인슐린펌프(200)로부터 전송된 일회용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10. 사용자 확인 단계<S410>
본 단계에서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단계에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해당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단계 S401에서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11. 연결 상태 확인 단계<S412>
본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100)와 인슐린펌프(200) 간의 페어링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프로세서(120)가 확인할 수 있다.
12. 생체정보 수집 단계<S413>
본 단계에서는 생체정보 입력부(130)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정보 입력부(130)는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 안면정보, 혈관정보, 음성정보 및 홍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13. 검증 단계<S414>
본 단계에서는 단계 S413에서 수집된 생체정보가 단계 S403에서 저장된 생체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프로세서(120)가 확인할 수 있다.
14. 인증키 전송 단계<S415>
단계 S414에서 생체정보가 일치할 경우, 본 단계에서는 인슐린펌프(200)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키를 인슐린펌프(200)로 다시 전송하도록 프로세서(120)가 장치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인슐린펌프(200)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키를 인슐린펌프(200)로 다시 전송함으로써, 단계 S408에서 인슐린펌프(200)에게 전송한 제어 명령을 인슐린펌프(200)가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5. 인증키 초기화 단계<S411>
본 단계에서는 단계 S409에서 인증키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지정된 시간(일 예로, 20초)이 경과하면 인슐린펌프(200)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키를 프로세서(120)가 삭제함으로써, 인증키를 초기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내에서 인증키가 초기화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가 일회용 인증키를 인슐린펌프(200)로 전송할 수 없게 되어 인슐린펌프(200)의 인슐린 배출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 제한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로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도5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1. 혈당정보 수신 단계<S501>
본 단계에서는 서버 통신부(310)가 혈당측정장비(400)로부터 혈당측정치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통신부(310)는 일정한 주기마다 지속적으로 혈당측정치를 수신할 수 있다.
2. 로그 데이터 수신 단계<S502>
본 단계에서는 서버 통신부(310)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통신부(310)는 원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로그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3. 설정 정보 수신 단계<S503>
본 단계에서는 서버 통신부(310)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통신부(310)는 장치 통신부(140)와 원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하기에 따라, 본 단계는 단계 S502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단계 S502의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4. 주입량 산출 단계<S504>
본 단계에서 서버 제어부(330)는 서버 메모리부(320)에 기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볼러스 주입량을 산출할 수 있다.
5. 주입량 정보 전송 단계<S505>
본 단계에서 서버 통신부(310)는 단계 S504에서 산출된 볼러스 주입량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 인슐린펌프, 플랫폼 서버 및 혈당측정장비 간에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6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하고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1. 혈당측정치 전송 단계<S601>
본 단계에서는 혈당측정장비(400)가 측정한 사용자의 현재 혈당측정치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본 단계시 혈당측정장비(400)는 현재 혈당치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2. 혈당정보 수신 단계<S602>
본 단계에서는 서버 통신부(310)가 혈당측정장비(400)로부터 현재 혈당 정보(일 예로, 165mg/dL)를 수신할 수 있다.
3. 앱 실행 단계<S603>
본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가 인슐린펌프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4. 사용자 정보 등록 단계<S604>
본 단계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가 메모리(110) 또는 별도의 관리서버(일 예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5. 연결 단계<S605>
본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장치 통신부(140)가 근거리 통신방식(일 예로, 블루투스)을 통해 인슐린펌프(200)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슐린펌프(200)와 전자 장치(100) 간의 페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6. 생체정보 등록 단계<S606>
본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생체정보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즉, 단계 S604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생체정보는 메모리(110) 또는 관리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7. 로그 전송 단계<S607>
본 단계에서는 인슐린펌프(200)의 통신부가 로그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8. 로그 수신 단계<S608>
본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장치 통신부(140)가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9. 로그 전송 단계<S609>
본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장치 통신부(140)가 로그 데이터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10. 로그 데이터 수신 단계<S610>
본 단계에서는 플랫폼 서버(300)의 서버 통신부(310)가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로그 데이터는 서버 메모리부(320)에 저장될 수 있다.
11. 설정 정보 전송 단계<S611>
본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장치 통신부(140)가 설정 정보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되는 설정 정보에는 인슐린 약제의 종류에 대한 종류 정보(일 예로, 노보래피드),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서 작용하는 시간에 대한 작용시간 정보(일 예로, 300분),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 주입된 이후에 혈중 인슐린 농도가 최대가 되는 시점에 대한 피크타임 정보(일 예로, 75분), 탄수화물 계수(일 예로, 12g/U), 교정계수(일 예로, 65mg/dL/U), 교정목표 혈당치(일 예로, 100mg/dL), 혈당 추세(일 예로, A단계), 현재 혈당치(일 예로, 165mg/dL), 먹을 탄수화물 양(일 예로, 24g) 등이 포함될 수 있다.
12. 설정 정보 수신 단계<S612>
본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300)의 서버 통신부(3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설정 정보는 서버 메모리부(320)에 저장될 수 있다.
13. 주입량 산출 단계<S613>
본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300)의 서버 제어부(330)는 서버 메모리부(320)에 기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볼러스 주입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볼러스 주입량이 산출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학식 1의 A값은 수학식 2를 통하여 산출되며, 서버 제어부(330)는 설정 정보 내에 포함된 탄수화물 계수 정보와 먹을 탄수화물 양 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 1에 들어갈 A값이 2U라고 도출할 수 있다.
수학식 1의 B값은 수학식 3을 통해 산출되며, 서버 제어부(330)는 설정 정보 내에 포함된 현재 혈당치, 교정목표 혈당치, 교정계수 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 1에 들어갈 B값이 1U라고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330)는 설정 정보 내에 포함된 인슐린 약제의 종류 정보(일 예로, 노보래피드), 인슐린 약제의 작용시간 정보(일 예로, 300분), 피크타임 정보(일 예로, 75분)를 확인하고, 그에 해당하는 인슐린 제품의 활성 인슐린 비율 데이터를 서버 메모리부(320)에서 검색하고, 단계 S610에서 수신된 로그 데이터의 인슐린 주입시각을 확인하여 현재 시간이 인슐린 주입시각으로부터 300분이 경과했다면 검색된 활성 인슐린 비율 데이터에서 300분에 해당하는 y값을 확인하고, 300분에 해당하는 활성 인슐린 비율 값이 0이라면, 수학식 1의 C값은 0이라고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330)는 설정 정보 내에 포함된 혈당 추세 정보를 확인하고, 혈당 추세 정보가 A단계라면, 서버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추세 데이터를 검색하여 수학식 1의 D값은 0이라고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제어부(330)는 수학식 1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볼러스 주입량이 3U라고 도출할 수 있다.
14. 주입량 정보 전송 단계<S614>
본 단계에서는 서버 통신부(310)가 전자 장치(100)로 볼러스 주입량을 전송할 수 있다.
15. 주입량 추천 단계<S615>
본 단계에서 장치 통신부(140)는 플랫폼 서버(300)에서 산출된 볼러스 주입량을 수신함으로써, 볼러스 주입량을 추천받을 수 있다.
16. 명령 전송 단계<S616>
본 단계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인슐린펌프(200)가 볼러스 주입량만큼 인슐린을 배출하도록 배출부(240)의 작동을 실행시키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17. 일회용 인증키 생성 단계<S617>
단계 S616에서 전송된 제어 명령을 인슐린펌프(200)가 수신하면, 제어부(230)는 인증키 생성부(210)를 제어하여 n자리의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할 수 있다.
18. 인증키 저장 단계<S6171>
본 단계에서는 단계 S617에서 생성된 일회용 인증키를 인증키 저장부(260)에 저장할 수 있다.
19. 선택 메시지 출력 단계<S6172>
본 단계에서는 제어부(230)가 출력부(250)를 제어하여 배출부(240)의 작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배출부(240)를 작동시켜 인슐린을 배출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시지(즉, 도8의 (a)) 및 배출부(240)의 작동 중에 배출부(240)의 작동을 중지시킬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시지(즉, 도8의 (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제어부(230)가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20. 인증키 삭제 여부 판단 단계<S6173>
본 단계에서는 제어부(230)가 인증키 저장부(260)에 저장된 일회용 인증키를 삭제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6172에서 출력부(250)에 출력된 선택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출력부(250)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인슐린펌프(200)에 별도로 구비된 버튼부를 눌러 배출부(240)의 작동 여부를 선택하면, 배출부(240)의 작동 여부 선택에 대한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제어부(230)는 이를 인지하여 인증키 저장부(260)에 저장된 일회용 인증키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단계 S6172에서 입력신호가 발생하지 않거나, 단계 S617에서 일회용 인증키가 만들어진 시점부터 기지정된 시간(일 예로, 20초)이 경과하지 않는다면 제어부(230)는 인증키 저장부(260)에 저장된 일회용 인증키를 삭제하지 않을 수 있다.
21. 일회용 인증키 전송 단계<S618>
본 단계에서는 단계 S617에서 생성된 일회용 인증키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22. 인증키 수신 단계<S619>
본 단계에서는 인슐린펌프(200)로부터 전송된 일회용 인증키를 장치 통신부(140)가 수신할 수 있다.
23. 사용자 확인 단계<S620>
본 단계에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해당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단계 S604에서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24. 연결 상태 확인 단계<S621>
본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100)와 인슐린펌프(200) 간의 페어링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프로세서(120)가 확인할 수 있다.
25. 생체정보 수집 단계<S622>
본 단계에서 생체정보 입력부(130)는 단계 S606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 안면정보, 혈관정보, 음성정보 및 홍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26. 검증 단계<S623>
본 단계에서는 단계 S622에서 수집된 생체정보가 단계 S606에서 저장된 생체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프로세서(120)가 확인할 수 있다.
27. 일회용 인증키 전송 단계<S624>
단계 S623에서 생체정보가 일치할 경우, 본 단계에서 전자 장치(100)는 인슐린펌프(200)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키를 인슐린펌프(200)로 다시 전송함으로써, 단계 S616에서 인슐린펌프(200)에게 전송한 제어 명령을 인슐린펌프(200)가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실시하기에 따라, 단계 S619에서 인증키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지정된 시간(일 예로, 20초)이 경과하면, 인슐린펌프(200)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키를 프로세서(120)가 삭제함으로써, 인증키를 초기화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 내에서 인증키가 초기화되는 경우, 본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일회용 인증키를 인슐린펌프(200)로 전송할 수 없게 되어 인슐린펌프(200)의 인슐린 배출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 제한될 수도 있다.
28. 인증키 일치 여부 확인 단계<S625>
본 단계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인슐린펌프(200)로 일회용 인증키가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수신된 일회용 인증키가 일회용 인증키 생성부(210)에서 만든 인증키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할 경우에는 인슐린이 배출되도록 배출부(2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29. 인슐린 배출 단계<S626>
본 단계에서 제어부(230)는 볼러스 주입량만큼 인슐린이 배출되도록 배출부(2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새롭게 출시된 인슐린 약제에 대한 약물정보는 플랫폼 서버(300)의 알고리즘에 반영되며, 플랫폼 서버(300)는 인슐린펌프(200)가 생성한 로그 데이터와 전자 장치(100)가 생성한 설정 정보를 취합하고 볼러스 주입량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전자 장치(1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인슐린펌프(200)나 사용자 단말기(일 예로, 스마트폰)의 펌웨어(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지 않아도 최신 약물정보를 반영하여 볼러스 주입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최신 약물 정보를 비롯한 다양한 약물별 알고리즘이 저장된 플랫폼 서버(300)에 의해 볼러스 주입량이 산출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나 인슐린 펌프 내에 볼러스 주입량을 계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하지 않아도 손쉽게 볼러스 주입량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소프트웨어의 지속적인 설치, 관리 또는 업그레이드를 생략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와 인슐린 펌프는 근거리 통신방식에 의해 연결되므로 원거리 통신방식에 비해 해킹 위협을 낮추고, 인슐린펌프(200)의 제어시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생체 인증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보안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한 주기마다 측정된 혈당치의 최근 변동 추세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인슐린의 종류와 작용시간과 피크타임 정보별로 산정된 활성 인슐린 비율 데이터를 이용하여 볼러스 주입량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주입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혈당측정장비(400), 플랫폼 서버(300), 전자 장치(100) 및 인슐린펌프(200) 간의 신속한 데이터 연계가 가능하며, 확장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인슐린펌프(200)는 전자 장치(100)가 인슐린펌프(2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에 한해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하고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검증한 이후에 동일한 일회용 인증키를 인슐린펌프(200)로 전송한다. 인슐린펌프(200)는 전자 장치(100)가 송신한 일회용 인증키를 검증한 이후에 인슐린의 배출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게 되므로 전자 장치(100)에 의한 인슐린펌프(200) 제어시 보안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인슐린펌프(200)의 버튼을 직접 누르거나 조작하지 않아도 전자 장치(100)를 통해 인슐린펌프(200)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인슐린펌프(200)의 제어가 용이하며, 인슐린펌프(200)의 조작 과정을 타인에게 노출하지 않을 수 있어 환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슐린펌프(200)를 직접 조작하는 경우에는 인슐린펌프(200)가 원격으로 제어되지 않도록 인슐린 배출에 관여하는 일회용 인증키를 삭제함으로써, 인슐린펌프(200)의 원격 제어시 인슐린펌프(200)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사용상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메모리
120 : 프로세서
130 : 생체정보 입력부
140 : 장치 통신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정보 입력부
200 : 인슐린펌프
210 : 인증키 생성부
220 : 통신부
230 : 제어부
240 : 배출부
250 : 출력부
260 : 인증키 저장부
300 : 플랫폼 서버
310 : 서버 통신부
320 : 서버 메모리부
330 : 서버 제어부
400 : 혈당측정장비

Claims (10)

  1.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생체정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생체정보 등록 단계;
    상기 인슐린펌프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로그 수신 단계;
    상기 로그 데이터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로그 전송 단계;
    상기 전자 장치에 입력된 설정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설정 정보 전송 단계;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볼러스 주입량을 추천받는 주입량 추천 단계;
    상기 주입량 추천 단계에서 추천받은 볼러스 주입량만큼 상기 인슐린펌프가 인슐린을 배출하도록 상기 인슐린펌프의 배출부의 작동을 실행시키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명령 전송 단계;
    상기 인슐린펌프로부터 전송된 일회용 인증키를 수신하는 인증키 수신 단계;
    상기 생체정보 입력부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 수집 단계;
    상기 생체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생체정보가 상기 생체정보 등록 단계에서 저장된 생체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검증 단계;
    상기 검증 단계에서 생체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인증키 수신 단계에서 상기 인슐린펌프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키를 상기 인슐린펌프로 다시 전송함으로써, 상기 명령 전송 단계에서 상기 인슐린펌프에게 전송한 제어 명령을 상기 인슐린펌프가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인증키 전송 단계; 및
    상기 인증키 수신 단계에서 인증키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인슐린펌프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키를 삭제함으로써, 상기 인슐린펌프의 인슐린 배출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 제한되도록 인증키를 초기화하는 인증키 초기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인슐린펌프에서 배출된 인슐린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인슐린 약제의 종류에 대한 종류 정보,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서 작용하는 시간에 대한 작용시간 정보 및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 주입된 이후에 혈중 인슐린 농도가 최대가 되는 시점에 대한 피크타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수신 단계에서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인슐린펌프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인슐린펌프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명령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으로서,
    혈당측정장비로부터 혈당측정치를 수신하는 혈당정보 수신 단계;
    전자 장치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로그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설정 정보 수신 단계;
    기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볼러스 주입량을 산출하는 주입량 산출 단계; 및
    산출된 볼러스 주입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주입량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량 산출 단계에서는 상기 서버의 서버 제어부가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볼러스 주입량을 산출하며, 하기 수학식 1에서 혈당 추세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은 일정한 기준으로 맵핑된 추세 데이터를 통해 도출되고,
    [수학식 1]
    볼러스 주입량 = A + B - C + D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탄수화물 계수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이고, B는 교정계수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이고, C는 체내에 남아있는 활성 인슐린의 추정량이고, D는 혈당 추세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이고,
    상기 추세 데이터는 혈당 추세를 혈당치의 증감량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별로 일정한 인슐린 주입량 값을 맵핑시킨 추세 데이터이며, 상기 혈당 추세는 A단계, B단계, C단계, D단계, E단계, F단계 및 G단계로 세분화되고, 상기 혈당측정장비에 의해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30mg/dL 이하 수준에서 증가한 경우에는 상기 A단계에 해당되고,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30mg/dL 초과 내지 60mg/dL 이하 수준으로 증가한 경우에는 상기 B단계에 해당되고,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60mg/dL 초과 내지 90mg/dL 이하 수준으로 증가한 경우에는 상기 C단계에 해당되고,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90mg/dL 초과 수준으로 증가한 경우에는 상기 D단계에 해당되고,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30mg/dL 초과 내지 60mg/dL 이하 수준으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E단계에 해당되고,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60mg/dL 초과 내지 90mg/dL 이하 수준으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F단계에 해당되고, 30분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가 90mg/dL 초과 수준으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G단계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인슐린펌프에서 배출된 인슐린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인슐린 약제의 종류에 대한 종류 정보,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서 작용하는 시간에 대한 작용시간 정보 및 인슐린 약제가 체내에 주입된 이후에 혈중 인슐린 농도가 최대가 되는 시점에 대한 피크타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20015699A 2022-02-07 2022-02-07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KR102659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699A KR102659038B1 (ko) 2022-02-07 2022-02-07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699A KR102659038B1 (ko) 2022-02-07 2022-02-07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486A KR20230119486A (ko) 2023-08-16
KR102659038B1 true KR102659038B1 (ko) 2024-04-22

Family

ID=8784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699A KR102659038B1 (ko) 2022-02-07 2022-02-07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0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3855B (zh) * 2009-02-27 2014-06-25 生命扫描有限公司 用于药物递送笔的医疗模块
KR20120102048A (ko) * 2009-09-30 2012-09-17 모르 리서치 애플리케이션즈 리미티드 인슐린 전달의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KR20200059800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지투이정보기술 건강관리 플랫폼과 연동되는 지능형 인슐린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486A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20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continuous glucose data
US10758670B2 (en) Diabetes management system
US20210280309A1 (en) Medical device and secure control system
AU20193097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prescription of medication-dosing regimens
KR102515618B1 (ko)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JP2023514708A (ja) 人工膵臓における機械学習
KR102659038B1 (ko) 플랫폼 기반의 인슐린펌프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KR102659042B1 (ko)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인슐린 펜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US20230310741A1 (en) Automatic drug delivery system having multiple communication options
CN115475305A (zh) 药液输注控制方法、输注系统以及输注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