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638B1 -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 - Google Patents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638B1
KR102658638B1 KR1020220020228A KR20220020228A KR102658638B1 KR 102658638 B1 KR102658638 B1 KR 102658638B1 KR 1020220020228 A KR1020220020228 A KR 1020220020228A KR 20220020228 A KR20220020228 A KR 20220020228A KR 102658638 B1 KR102658638 B1 KR 10265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pulling
monument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3277A (ko
Inventor
이병순
Original Assignee
이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순 filed Critical 이병순
Priority to KR102022002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638B1/ko
Publication of KR2023012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수구가 형성되는 문틀; 상기 문틀의 일측에 위치하고, 종바의 상하 이동으로 인해 승하강하여 상기 통수구를 개폐하는 문비;를 포함하고, 상기 문비는 상기 문틀을 따라 하강할 때 당김수단에 의해 상기 문틀에 밀착되어 상기 통수구를 밀폐시키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수구가 형성된 문틀에 통수구를 개폐하는 문비가 당김수단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당김수단은 문비와 문틀의 후방에서 작용점이 위치할 수 있고, 따라서 문비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과 문틀의 밀착을 위한 부재가 문비의 앞쪽에 위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수문에 대한 접근이 간편해져 문비의 취급이 용히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Floodgate with Axial Position Watertightness}
본 발명은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비의 승하강을 위한 축부분을 문틀방향으로 당겨 문틀과 문비의 수밀을 향상시키고, 수압에 의한 문비의 절곡을 방지할 수 있는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이라 함은 수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로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강 또는 하천의 댐, 저수지, 상하수도의 정수처리장, 하수처리장, 산업폐수처리장 등 다양한 장소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문은 유체의 통로가 형성되는 판과, 통로를 개폐하는 문비가 구비되어 문비의 통로 개폐에 의해 수문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수문의 일 예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5906호의 수문은, 도 1에 도면부호 10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플레이트(130)가 하강할 때, 제 2 밀착부(163)의 경사면이 제 1 밀착부(162)의 경사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도어플레이트(130)가 개구부(111) 둘레에 구비된 실링부재(115)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실링성 향상 및 누수 방지 즉, 도어플레이트(130)와 실링부재(115) 사이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수문은 제 1 밀착부(162)와 제 2 밀착부(163)에 의해 도어플레이트(130)가 실링부재(115)에 밀착시킴에 있어, 도어플레이트(130)를 밀기 위한 제 1 밀찰부(162) 및 제 2 밀착부(163)와 이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이 도어플레이트(130)의 앞쪽에 위치하므로, 수문에 대한 접근이 불편하게 되는 등 도어플레이트(130)에 대한 취급상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제 1 밀착부(162)와 제 2 밀착부(163)에 의해 도어플레이트(130)의 양측에서 밀어내어 도어플레이트(130)가 실링부재(115)에 밀착되도록 하더라도, 도어플레이트(130)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을 밀착시키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도어플레이트(130)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이 개구부(111)로부터 도어플레이트(130)가 받는 수압에 의해 휘게되어 절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플레이트(130)가 절곡되어 실링부재(115)와 벌어진 틈으로 유체가 누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축(151)이 하강하면 도어플레이트(130)가 함께 하강함으로써 개구부(111)를 폐쇄하는데, 이때 승하강축(151)이 하강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위한 나사 이송부의 나사산 경사 등으로 인해 승하강축(151)이 수직으로 서있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틀어지게 되면, 승하강축(151)과 함께 도어플레이트(130)가 틀어지게 되고, 이로인해 개구부(111)와 도어플레이트(130)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여 유체가 누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55906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수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비가 하강하여 폐쇄될 때, 하강하는 문비를 문틀로 당기는 방식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비가 하강하여 폐쇄될 때 문비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이 수압에 의해 휘어져 들뜨지 않고 통수구를 형성하는 문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비가 하강하여 문틀의 통수구가 폐쇄될 때, 문비를 승하강시키는 종바가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문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수구가 형성되는 문틀; 상기 문틀의 일측에 위치하고, 종바의 상하 이동으로 인해 승하강하여 상기 통수구를 개폐하는 문비;를 포함하고, 상기 문비는 상기 문틀을 따라 하강할 때 당김수단에 의해 상기 문틀에 밀착되어 상기 통수구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문비와 연결되는 제1당김부; 및 상기 문틀과 연결되고, 상기 제1당김부를 상기 문틀 방향으로 당겨 상기 문비를 상기 문틀에 밀착시키는 제2당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당김부는, 상기 종바의 일부분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문틀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문비가 하강할 때 상기 제2당김부와 접하면서 상기 종바를 상기 문틀 방향으로 당기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당김부는, 상기 문틀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문비가 하강할 때 상기 후크부가 접하면서 상기 종바가 상기 문틀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당김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에 따르면,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수구가 형성된 문틀에 통수구를 개폐하는 문비가 당김수단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당김수단은 문비와 문틀의 후방에서 작용점이 위치할 수 있고, 따라서 문비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과 문틀의 밀착을 위한 당김수단이 문비의 앞쪽에 위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수문에 대한 접근이 간편해져 문비의 취급이 용히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문비를 승하강시키는 종바에 제1당김부를 형성하고, 문틀에 제2당김부를 형성하여 문비가 하강할 때 제1당김부가 제2당김부에 의해 문틀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문비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이 수압에 의해 절곡되지 않고 문틀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어 문비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과 문틀 사이의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문비의 하단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문비가 종바의 하강에 의해 하강할 때 돌출부가 삽입되어 문비를 문틀방향으로 미는 홈부가 형성되어, 문비가 하강할 때 문비의 하단이 돌출부에 의해 문비의 하단이 절곡되지 않고 문틀방향으로 밀착되므로, 문비의 하단과 문틀 사이의 수밀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문비가 종바의 하강에 의해 하강할 때, 종바가 수직으로 위치하지 않고 틀어져 위치하여도, 돌출부가 홈부에 정렬되어 삽입되도록 하여 종바가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비와 문틀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여 유체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이 개방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이 폐쇄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이 폐쇄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4의 B를 확대도시한 부분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은 도 1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문틀(10) 및 문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문틀(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1)의 격벽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수구(11a)가 형성되며, 벽체(11), 가이드프레임(12) 및 제1밀착부재(13)를 포함한다.
벽체(11)는 수문(1)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통수구(11a)가 형성되어, 유체를 배수할 때 유체가 수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프레임(1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비(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체(11)의 양측단에 설치되며, 양측이 상호 대칭으로 꺾여서 형성되어 문비(20)의 양단이 세로로 삽입되어 상하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밀착부재(13)는 문비(20)를 문틀(10)방향으로 밀어 문비(20)가 문틀(10)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12)에 설치되어 문틀(10)에서 문비(20) 방향으로 돌출되고, 말단이 ㄱ자로 꺾여 일면이 문비(20)를 바라보도록 위치하며, 문비(20)를 바라보는 일면에는 경사져서 형성된 제1경사부(13a)가 형성된다.
또한, 제1밀착부재(13)는 문틀(10)의 좌우에 위치하여 문비(20)의 좌우가 문틀(10)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며, 제1밀착부재(1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2쌍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문비(20)는 통수구(11a)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12)에 끼워져 벽체(11)의 전방에 위치하고, 통수구(11a)보다 크게 형성되어 통수구(11a)를 완전히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개폐판(21), 보강바(22), 종바(23) 및 제2경사부(24)를 포함한다.
개폐판(21)은 문틀(10)과 밀착되어 통수구(11a)를 개폐하는 판으로서,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0)과 접하여 위치한다.
보강바(22)는 개폐판(21)을 보강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21)의 전면에 가로로 결합되며, 개폐판(21)의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다수 위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종바(23)는 문비(2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축부재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강바(22)를 관통하여 개폐판(21)의 전면에 세로로 위치하며, 다수의 보강바(22)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측이 승강수단(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승강될 때, 보강바(22)가 함께 승강하여 보강바(22)와 결합된 개폐판(21)이 승강해 통수구(11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제2경사부(24)는 제1경사부(13a)에 의해 밀려 개폐판(21)이 문틀(10)과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비(20)가 하강하여 제1경사부(13a)와 접했을 때, 제1경사부(13a)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따라 개폐판(21)이 문틀(10)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도록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부(13a)의 경사면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경사부(13a)와 마찬가지로 문비(20)의 좌우에 위치하여 문비(20)의 좌우가 제1경사부(13a)에 의해 문틀(10)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며, 개폐판(21)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됨으로써 문비(20)가 하강하면서 제1경사부(13a)의 경사면에 연속적으로 밀려나 문틀(10)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비(20)는 문틀(10)의 가이드프레임(12)을 따라 하강할 때, 문비(20)와 문틀(10) 양쪽에 함께 형성된 당김수단(30)에 의해 문비(20)의 종바(23)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이 문틀(10)에 밀착되어 통수구(11a)를 밀폐시키도록 하며, 당김수단(30)은 제1당김부(31) 및 제2당김부(32)를 포함한다.
제1당김부(31)는 문비(2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1a), 연장부(31b) 및 후크부(31c)를 포함한다.
연결부(31a)는 문비(20)와 직접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바(23)의 외둘레에 결합되고, 개폐판(21)의 상측에 위치한다.
연장부(31b)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1a)에서 문틀(10)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어, 후크부(31c)가 문틀(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후크부(31c)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1b)의 말단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문비(20)가 하강할 때 제2당김부(32)와 접하면서 종바(23)를 문틀(10) 방향으로 당기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비(20)를 바라보는 면이 제1경사면(61)으로 형성되어 제2당김부(32)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제2당김부(32)는 문비(20)가 하강할 때 제1당김부(31)를 문틀(10) 방향으로 당겨 문비(20)를 문틀(10)에 밀착시키는 부분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비(20)가 하강하여 통수구(11a)를 폐쇄했을 때 제1당김부(31)가 당겨질 수 있도록, 통수구(11a)를 폐쇄했을 때 제1당김부(31)가 대응하여 위치하는 벽체(11)의 상단 후면에 설치되는 당김부재(32a)로 형성된다.
또한, 제1경사면(61)과 대응하도록 후면에 제2경사면(62)이 형성되어, 문비(20)가 하강할 때 제1경사면(61)이 제2경사면(62)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 후크부(31c)가 연장부(31b)를 문틀(10)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문비(20)가 하강할 때, 후크부(31c)의 제1경사면(61)이 당김부재(32a)의 제2경사면(6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경사면(61)과 제2경사면(62)의 경사각에 의해 연장부(31b)가 문틀(10)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연장부(31b)와 종바(23)를 연결시키는 연결부(31a)가 종바(23)를 당기게 되고, 종바(23)가 당겨짐에 따라서 종바(23)가 위치한 개폐판(21)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 또한 문틀(10)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개폐판(21)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이 절곡되지 않고 문틀에 밀착되게 된다.
위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수구(11a)가 형성된 문틀(10)에 통수구(11a)를 개폐하는 문비(20)가 당김수단(30)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당김수단(30)은 당겨지는 작용점인 제1당김부(31)의 후크부(31c)와 당김부재(32a)가 문틀(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따라서 문비(20)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과 문틀(10)의 밀착을 위한 당김수단(30)이 문비(20)의 앞쪽에 위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수문(1)에 대한 접근이 간편해져 문비(20)의 취급이 용히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문비(20)를 승하강시키는 종바(23)에 제1당김부(31)를 형성하고, 문틀에 제2당김부(32)를 형성하여 문비(20)가 하강할 때 제1당김부(31)가 제2당김부(32)에 의해 문틀(10)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문비(20)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이 수압에 의해 절곡되지 않고 문틀(1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어 문비(20)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과 문틀(10) 사이의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은 문비(20)와 문틀(10)의 하부를 밀착 및 정렬시킬 수 있도록 문비(20)의 하단에 돌출부(41)를 형성하고, 문틀(10)의 하부에 홈부(4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41)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비(20)의 하단에 형성되며, 단순히 개폐판(21)이나 보강바(22)에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종바(23)를 문비(20)의 하부까지 돌출되도록 연장형성하여 종바(23)의 하단부가 돌출부(41)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홈부(42)는 문비(20)가 하강할 때, 돌출부(41)가 삽입되어, 문비(20)를 문틀(10) 방향으로 미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0)의 하측에 위치하는 가로판(14)의 중앙에 위치하여 돌출부(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바(23)가 삽입되었을 때 종바(23)의 외주가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돌출부(41)보다 정렬되어있지 않고 문틀(10)과 더 가깝게 위치한다.
이에 따라, 문비(20)가 하강하여 돌출부(41)가 홈부(42)에 끼워지기 시작하면, 돌출부(41)가 홈부(42)의 구멍에 맞게 문틀(10) 방향으로 밀려나게 되고, 돌출부(41)가 문틀(10) 방향으로 밀려남에 따라 문비(20)의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하부가 함께 밀려나게 되어, 문비(20)가 하강할 때 돌출부(41)에 의해 문비(20)의 하단이 절곡되지 않고 문틀(10) 방향으로 밀착되므로, 문비(20)의 하단과 문틀(10) 사이의 수밀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41)와 홈부(42)는 돌출부(41)가 홈부(42)에 삽입될 때 더 쉽게 가이드되어 돌출부(41)가 밀려나면서 삽입될 수 있으면서도, 돌출부(41)와 홈부(42)가 정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서, 돌출부(41)의 하단이 테이퍼져서 형성되도록 하면, 돌출부(41)의 테이퍼진 하단이 홈부(42)의 상단면을 슬라이딩하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돌출부(41)가 쉽게 홈부(42)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딩되어 문틀(10) 방향으로 밀려나 돌출부(41)와 홈부(42)가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홈부(42)의 내주면이 테이퍼져서 형성되도록 하면, 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돌출부(41)의 하단이 테이퍼진 홈부(42)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하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돌출부(41)가 쉽게 홈부(42)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딩되어 문틀(10) 방향으로 밀려나 돌출부(41)와 홈부(42)가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또 다른 예로서 위의 두 예를 모두 적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1)의 하단을 테이퍼져서 형성되도록 하고, 홈부(42)의 내주면이 테이퍼져서 형성되도록 하면, 양쪽의 테이퍼진 빗면에 의해 돌출부(41)가 더 쉽게 홈부(42)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되어 문틀(10) 방향으로 밀려나 돌출부(41)와 홈부(42)가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돌출부(41)와 홈부(42)를 구비하는 수문(1)은, 문비(20)의 하단에 돌출부(41)가 형성되고, 문비(20)가 종바(23)의 하강에 의해 하강할 때 돌출부(41)가 삽입되어 문비(20)를 문틀방향으로 미는 홈부(42)가 형성되어, 문비(20)가 하강할 때 문비(20)의 하단이 돌출부(41)에 의해 문비(20)의 하단이 절곡되지 않고 문틀(10)방향으로 밀착되므로, 문비(20)의 하단과 문틀(10) 사이의 수밀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문비(20)가 종바(23)의 하강에 의해 하강할 때, 종바(23)가 수직으로 위치하지 않고 틀어져 위치하여도, 돌출부(41)가 홈부(42)에 정렬되어 삽입되도록 하여 종바(23)가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비(20)와 문틀(10)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여 유체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 수문 10 : 문틀
11a : 통수구 20 : 문비
23 : 종바 30 : 당김수단
31 : 제1당김부 32 : 제2당김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수구(11a)가 형성되는 문틀(10);
    상기 문틀(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종바(23)의 상하 이동으로 인해 승하강하여 상기 통수구(11a)를 개폐하는 문비(20);를 포함하고,
    상기 문비(20)는 상기 문틀(10)을 따라 하강할 때 당김수단(30)에 의해 상기 문틀(10)에 밀착되어 상기 통수구(11a)를 밀폐시키되,
    상기 당김수단(30)은,
    상기 문비(20)와 연결되는 제1당김부(31); 및
    상기 문틀(10)과 연결되고, 상기 제1당김부(31)를 상기 문틀(10) 방향으로 당겨 상기 문비(20)를 상기 문틀(10)에 밀착시키는 제2당김부(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당김부(31)는,
    상기 종바(23)의 일부분에 연결되는 연결부(31a);
    상기 연결부(31a)에서 상기 문틀(10)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31b); 및
    상기 연장부(31b)의 말단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문비(20)가 하강할 때 상기 제2당김부(32)와 접하면서 상기 종바(23)를 상기 문틀(10) 방향으로 당기는 후크부(3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당김부(32)는,
    상기 문틀(10)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문비(20)가 하강할 때 상기 후크부(31c)가 접하면서 상기 종바(23)가 상기 문틀(10)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당김부재(32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
KR1020220020228A 2022-02-16 2022-02-16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 KR102658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228A KR102658638B1 (ko) 2022-02-16 2022-02-16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228A KR102658638B1 (ko) 2022-02-16 2022-02-16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277A KR20230123277A (ko) 2023-08-23
KR102658638B1 true KR102658638B1 (ko) 2024-04-17

Family

ID=8784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228A KR102658638B1 (ko) 2022-02-16 2022-02-16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6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652A (ja) * 2001-08-27 2003-03-05 Takashi Kubota 水 門
KR200355906Y1 (ko) * 2004-04-20 2004-07-09 주식회사 화일프로세스 수문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652A (ja) * 2001-08-27 2003-03-05 Takashi Kubota 水 門
KR200355906Y1 (ko) * 2004-04-20 2004-07-09 주식회사 화일프로세스 수문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277A (ko)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884B1 (ko) 수로 측으로 밀착되거나 이격되게 동작되어 밀폐력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수문
AU5850990A (en) Threshold construction for a tilting weir
KR102658638B1 (ko) 축선을 따르는 중간부분의 수밀이 가능한 수문
KR200355906Y1 (ko) 수문의 구조
KR101563886B1 (ko)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CN215891935U (zh) 新型煤气防泄漏装置
KR200246774Y1 (ko) 수문 개폐장치
KR101926810B1 (ko) 상향 밀폐식 비금속 수문
KR200325075Y1 (ko) 수문장치의 도어 안내구조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CN210950011U (zh) 一种阀门
KR200392553Y1 (ko) 이중 열림 구조를 갖는 수문 장치
KR100637608B1 (ko) 신도시 하수관의 역류방지장치
JP2005171691A (ja) ピアレス型ゲート
CN211143010U (zh) 一种排水闸
CN210240561U (zh) 一种用于水池排水的闸阀
CN214789212U (zh) 一种鱼腹式可调堰
CN219671273U (zh) 一种新式拍弧式自动控制闸门
CN217104969U (zh) 一种斜压闸门
CN215828452U (zh) 一种分水控流井
KR20230113678A (ko) 수문
CN216712951U (zh) 一种底轴驱动翻板闸门穿墙水封消压装置
CN210134493U (zh) 一种带有导水结构的进水装置
CN220598367U (zh) 一种底部驱动钢坝闸
CN202215769U (zh) 闸门机械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