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607B1 - System for treating and managing urine and feces - Google Patents

System for treating and managing urine and fe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607B1
KR102658607B1 KR1020220120702A KR20220120702A KR102658607B1 KR 102658607 B1 KR102658607 B1 KR 102658607B1 KR 1020220120702 A KR1020220120702 A KR 1020220120702A KR 20220120702 A KR20220120702 A KR 20220120702A KR 102658607 B1 KR102658607 B1 KR 102658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storage unit
management
u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41556A (en
Inventor
김남두
Original Assignee
(주)메디엔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엔비테크 filed Critical (주)메디엔비테크
Priority to KR102022012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607B1/en
Publication of KR2024004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5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6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r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배변한 대소변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사용자의 배변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한 착용유닛과, 상기 착용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한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센싱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배변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신호를 생성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ing unit having a receiving part that accommodates urine and feces defecated by the user and a first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user has defecated, and a storage part connected to the wearing unit and storing the urine and feces. and a urine and feces disposal device including a storage unit with a second sensor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and a determination unit that receives sensing results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to determine the user's defecation status. and a processor including a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a management signal for managing the use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Description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System for treating and managing urine and feces}System for treating and managing urine and feces}

본 발명은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소변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vices and systems, and more particularly to a urine and feces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feces and urine treatment device.

각종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중증 환자, 심각한 신체장애나 노인성 질환자 등과 같이 자력으로 움직일 수 없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대부분 침대 등에 누운 상태로 생활하게 되고, 누운 상태에서 타인의 도움으로 투병과 일상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데, 특히 고령화 인구가 증가되면서 타인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간병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은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하는 문제이다.Patients with limited mobility who are unable to move on their own, such as those with serious illnesses due to various accidents or diseases, those with serious physical disabilities or geriatric diseases, usually live lying down in bed, and while lying down, they fight their illness and maintain daily life with the help of others. In particular, as the aging population increases, the demand for help from others is also increasing. As such, the biggest difficulty in caring for patients with impaired mobility is the problem of disposing of the patient's urine and feces.

이에, 환자가 착용한 상태로, 환자의 용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용변부의 세정 및 건조 기능과, 대소변으로 인한 세균, 감염 등을 방지하기 위한 살균 기능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자의 체형에 맞춰 사용 가능한 대소변 처리 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환자가 존재하는 경우, 환자들 각각의 상태에 맞춰 적절한 관리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 가능한 관리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 역시 증가하고 있다.Accordingly, an automatic urine disposal device that discharges the patient's urine to the outside while worn by the patient is being used. However, the need for a toilet treatment device that not only includes a cleaning and drying function for the toilet area of patients with impaired mobility and a sterilization function to prevent bacteria and infections caused by urine and feces, but also can be used to suit the body types of various patients, is increasing. there is.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atients, the need for a management system that can quickly and efficiently perform appropriate management according to each patient's condition is also increas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대소변을 자동으로 처리하고, 환자 건강상태를 실시간 체크가 가능하고, 다수의 환자들 각각 상태에 따른 맞춤형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process the stool and urine of patients with impaired mobility, to check the patient's health status in real time, and to efficiently perform customized manage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onditions of multiple patients. To provide a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배변한 대소변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사용자의 배변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한 착용유닛과, 상기 착용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한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센싱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배변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신호를 생성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urine and feces processing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able unit having a receiv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feces and urine defecated by the user and a first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user defecates. And, a urine disposal device connected to the wearing unit and including a storage unit hav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rine and feces, and a second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and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It may include a processor including a determination unit that receives the sensing result from and determines the user's defecation state, and a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a management signal for managing the use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처리 장치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판단부는, 복수 개의 상기 대소변 처리 장치로부터 각각 센싱 결과를 전달받아 다수의 사용자의 배변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 각각의 배변상태에 대응되는 관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urine and feces treatment devices are provided, the determination unit receives sensing results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urine and feces treatment devices and determines the defecation status of a plurality of users, and the management unit determines the defecation status of the plurality of users. It is possible to generate management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defecation status of each of multiple us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 내로 대소변 안착 여부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저장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대소변 저장량에 기초한 상기 저장부의 무게 변화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is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to sense whether a stool or urine is se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generates a first signal including the sensing result and transmits it to the processor, and The second sensor may be disposed below the storage unit, sense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storage amount of urine and feces, generate a second signal including the sensing result, and transmit it to the process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관리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관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지시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단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unit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unit that receives the management signal from the processor and externally displays an instruction signal for managing the user based on the management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보호자가 상기 사용자에게 수행한 관리 내역이 저장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사용하며 상기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에게 수행한 관리 내역이 저장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s used by the user's guardian, and the user terminal stores management details performed on the user by the guardian, and is used by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user's health. It may include an administrator terminal in which management details performed by the administrator on the user are stor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각각에 저장된 관리 내역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관리 내역 정보를 상호 보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may transmit and receive management details information stored in each, thereby complementing the management details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관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관리조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may generate an instruction signal for instructing management actions for the user based on the manag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process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배변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 base)화하여 시계열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 data unit that converts the user's bowel movement status information into a database and stores it in time seri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다양한 각도로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한 사용자의 용변부와 착용유닛을 세척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여러 종류의 센서들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 배설활동 정보 및 배설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맞춤형 관리조치를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toilet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leanliness of users with impaired mobility by cleaning the user's toilet area and wearing unit with cleaning liquid sprayed at various angles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Moreover, through real-time monitoring through various types of sensors, the user's health status information, excretion activity information, and excretion status information can be obtained. Using thi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efficient management of multiple users by performing customized management actions on the user's statu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유닛를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착용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저장유닛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자정유닛의 일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shows a urine and feces disposal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toilet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rine and feces disposal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a wea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wearable unit of Figure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torage unit of Figure 6 as seen from one direc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elf-cleaning unit of Figure 6 as seen from another direc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mean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es cases where it is. 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ad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shows a urine and feces disposal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toilet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rine and feces disposal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와 같이 스스로 용변을 처리할 수 없는 사람(이하, 사용자)(P)의 배변상태 및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및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은 대소변 처리 장치(10)와, 프로세서(20)와, 통신장치(C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30)와, 관리자 단말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urine and feces disposal and management system 1 monitors and manages the defecation status and health status of a pers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er) (P) who cannot handle his or her own toilet, such as a patient with impaired mobility. It may be a system for doing so. At this time, the toilet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1 may include a toilet treatment device 10, a processor 20, and a communication device (CD). In addition, the toilet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user terminal 30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4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유닛를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착용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a wea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wearable unit of Figure 4.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대소변 처리 장치(10)는 사용자(P)의 하체부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배변한 대소변을 자동적으로 처리 및 세정하고, 사용자의 체온 등 사용자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대소변 처리 장치(10)는 착용유닛(100)과, 저장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4, and 5, the urine and feces disposal device 10 is worn on the lower body of the user P, automatically processes and cleans the feces and urine excreted by the user, and monitors the user's condition, such as the user's body temperature. It may be a device for monitoring. At this time, the urine and feces disposal device 10 may include a wearing unit 100 and a storage unit 200.

착용유닛(100)은 사용자(P)가 착용하여, 대소변을 1차로 수용할 수 있다. 착용유닛(100)은 착용커버(D)와 결합되어, 사용자(P)의 신체 중 일부(이하, 착용부)에 착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P)의 착용부는, 대소변이 배변되는 용변부를 포함하는 부분일 수 있다.The wearable unit 100 can be worn by the user (P) to primarily accommodate urine and feces. The wearing unit 100 is combined with the wearing cover D and can be worn on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P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wearing part). Here, the worn part of the user (P) may be a part that includes a toilet part where urine and feces are excreted.

착용유닛(100)은 제1 하우징(110)과, 안착부(120)와, 세정부(130)와, 체온센서(1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착용유닛(100)은 접촉부(T)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wearing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110, a seating part 120, a cleaning part 130, and a body temperature sensor 140. Additionally, the wear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ortion (T).

제1 하우징(110)은 착용유닛(100)의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는 부분으로, 사용자(P)의 용변부를 감싸도록, 착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10 is a part where other components of the wearable unit 100 are placed,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earing part so as to surround the toilet part of the user P.

제1 하우징(100)은 내부에, 대소변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00)은 사용자(P)가 착용시, 용변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개구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00 may b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111 inside which urine and feces are accommodated. Additionally, the first housing 1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112 at a position where the toilet unit is placed when worn by the user P.

개구부(112)는 수용공간(111)과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P)가 배변한 대소변은 개구부(112)를 통해 수용공간(111) 내부에 안착되어 수용될 수 있다.The opening 112 may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111. In this case, the urine and feces defecated by the user P may be seated and accommodat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1 through the opening 112.

개구부(112)는 밀착부(112a)를 구비할 수 있다. 밀착부(112a)는 개구부(112)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112a)는 개구부(1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밀착부(112a)의 일단이 타단과 연결되는 도넛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밀착부(112a)는 사용자(P)가 착용유닛(100)을 착용할 때, 착용부와 개구부(112) 사이에 배치되어, 착용부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밀착부(112a)는 실리콘(silicone)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P)의 착용부 하측과 밀착 접촉하여 개구부(112)를 밀폐시킴으로써, 후술할 세정부(130)에 의해 세정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세정액이 개구부(112)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pening 112 may include a close contact portion 112a. The close contact portion 112a may be arrang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112. Additionally, the close contact portion 112a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pening 112 and have a donut shape in which one end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112a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In this case, the close contact portion 112a is disposed between the wearing portion and the opening portion 112 when the user P wears the wearing unit 100, so that the wearing portion can be in direct contact. At this time, the close contact portion 112a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As a result, the opening 112 is sealed by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user P's worn part, thereby preventing the cleaning liquid from leaking out of the opening 112 while th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cleaning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prevented.

안착부(120)는 사용자(P) 착용 시, 착용부 하측(즉, 둔부 또는 엉덩이)이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120)는 제1 하우징(110)의 일단에 배치되며, 사용자(P)의 착용부 하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안착부(120)는 측면방향(예컨대, ZX평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하우징(110)에서 외측(예컨대, X축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user P wears the seating unit 120, the lower side of the wearing unit (i.e., the buttocks or buttocks) may be seated. The seating portion 12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portion worn by the user P. As an embodiment, the seating portion 120 has a thickness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irst housing 110 to the outside (e.g., the X-axis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e.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ZX plane). It can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안착부(120)는 안착홈(121)을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121)은 안착부(12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1)은 안착부(12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안착홈(121)의 위치는, 사용자(P)가 착용유닛(100) 착용시 착용부에서 돌출 부분(예컨대, 꼬리뼈 부분)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120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121. The seating groove 121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20. The seating groove 121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120.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seating groove 121 may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a protruding portion (eg, tailbone portion) of the wearing unit when the user P wears the wearing unit 100.

접촉부(T)는 사용자(P)가 착용유닛(100)을 착용할 때, 착용부 하측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접촉부(T)는 안착부(120)의 상면에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P)가 착용유닛(100)을 착용하는 경우, 접촉부(T)는 안착부(120)와 사용자(P)의 착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T)는 실리콘(silicone)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쿠션(cushion)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T may be a portion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wearing unit when the user P wears the wearing unit 100. The contact portion T may b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20. In this case, when the user (P) wears the wearing unit 100, the contact part (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ating part 120 and the wearing part of the user (P). The contact portion (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and can serve as a cushion.

접촉부(T)의 하면 전체 면적 중 대부분은, 안착부(120)의 상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접촉부(T)의 하면 중 안착홈(121)의 상측에 배치된 부분은, 안착부(120)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T)와 안착부(120) 사이에는, 안착홈(121)과 접촉부(T)의 하면에 의해 구획된 이격공간(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P)는 착용유닛(100)을 착용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착용부의 통증 발생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함에 따른 사용자(P)의 체중에 의한 욕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Most of the total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T may be tight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20. At this time, th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T disposed above the seating groove 12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portion 120. Accordingly, a separation space E defined by the seating groove 12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art T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tact part T and the seating part 120. In this case, the user (P) distributes the pressure applied while wearing the wearing unit 100, thereby preventing not only pain in the wearing part but also pressure ulcers caused by the user's (P) body weight when worn for a long time. .

접촉부(T)는 통기홈(groove for ventilation)(T10)을 구비할 수 있다. 통기홈(T10)은 접촉부(T)의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120)의 상면 중 통기홈(T10)에 대응되는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The contact part (T)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for ventilation (T10). The ventilation groove T10 may be formed from the top of the contact portion T to penetrate the bottom.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20 corresponding to the ventilation groove T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통기홈(T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통기홈(T10)은 접촉부(T)의 전체 면적에 걸쳐, 서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분포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접촉부(T)가 동일한 육각기둥 형상의 복수 개의 통기홈(T10)을 갖는 벌집 형상인 실시예를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T10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T10 may be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contact portion 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though the drawing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T has a honeycomb shape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T10 having the same hexagonal pillar shap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안착부(120)는 미세한 크기의 공기분사홀(A)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기분사홀(A)은 복수 개의 통기홈(T10) 중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공기분사홀(A)은 안착부(120)의 내부 또는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공기분사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분사장치에서 분사된 공기는, 공기분사홀(A) 및 통기홈(T10)을 차례로 지나 사용자(P)의 착용부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이처럼 분사된 공기에 의해, 사용자(P)의 착용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120 may be provided with a fine-sized air injection hole (A). The air injection hole (A)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T10). At this time, the air injection hole (A) may be connected to an air injection device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seating portion 120 or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In this case, the air sprayed from the air spray device may pass through the air spray hole (A) and the ventilation groove (T10) in order and be sprayed toward the user's (P) worn part. The user P's worn part can be dried by the air sprayed in this way.

세정부(130)는 사용자(P)의 착용부를 세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정부(130)는 사용자(P)의 용변부 및 그 주변부, 또는 제1 하우징(110)의 개구부 및 수용공간을 세정할 수 있다. 이때, 세정부(130)는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unit 130 can clean the worn part of the user (P). More specifically, the cleaning unit 130 may clean the toilet area of the user P and its surrounding area, or the opening and receiving space of the first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cleaning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that spray the cleaning liquid.

세정부(130)는 제1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노즐은 개구부(11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노즐은 개구부(1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노즐 중 일부는 개구부(112)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노즐 중 나머지 일부는 개구부(1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구부(112) 상측에 배치된 노즐들을 상부노즐(131)이라고 지칭하고, 개구부(112) 하측에 배치된 노즐들을 하부노즐(132)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The cleaning unit 13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housing 110 .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nozzle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ing 112. A plurality of nozzl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pening 112. Som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112, and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nozzles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112. Hereinafter, nozzles disposed above the opening 112 will be referred to as upper nozzles 131, and nozzles disposed below the opening 112 will be referred to as lower nozzles 132.

상부노즐(131)과 하부노즐(132)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노즐(131)들은 서로 상이한 각도로, 사용자(P)의 용변부를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우 상부노즐(131)들이 서로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노즐(131)들은 용변부의 상측에서 용변부를 향해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정액 분사로 인한 배설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 과정에서 오염된 세정액 및 배설물은 제1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upper nozzle 131 and lower nozzle 132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upper nozzles 131 may be arranged to spray the cleaning liquid toward the toilet area of the user P at different angles. More specifically, the left and right upper nozzles 131 may spray the cleaning liquid in an inclined direction toward each other. Additionally, the upper nozzles 131 can spray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upper side of the toilet unit towards the toilet unit. As a result, not only can the scattering of excrement due to spraying of the cleaning liquid be prevented, but also the cleaning liquid and excrement contaminate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can be mov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first housing 110.

하부노즐(132)들은, 서로 상이한 각도로, 수용공간(111)을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하부노즐(132)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수용공간(111)을 향해 세정액을 분사함으로써, 수용공간(111)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분사 압력으로 분사된 세정액을 통해 수용공간(111) 내부에 배설물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wer nozzles 132 may be provided to spray the cleaning liquid toward the receiving space 111 at different angles. In this way, the lower nozzles 132 spray the cleaning liquid toward the receiving space 111 in different directions, thereby cleaning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1.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rement from being adsorb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1 through the cleaning liquid sprayed at a predetermined spraying pressure.

이처럼, 개구부(112)의 상측 및 하측에 서로 다른 각도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P)의 용변부 세정과, 배설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1) 내부 세척을 동시에, 또는 이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노즐(131) 및 하부노즐(132)의 개수는 상이해질 수 있다.In this way, by providing a plurality of nozzles that spray the cleaning liquid at different angle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pening 112, cleaning the toilet area of the user P and cleaning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1 where excrement is accommodated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Alternatively, it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number of upper nozzles 131 and lower nozzles 132 may be different.

체온센서(140)는 착용유닛(100)을 착용한 사용자(P)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체온센서(140)는 제1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체온센서(140)는 수용공간(111) 내부에 배치되어, 착용유닛(100)을 착용 중인 사용자(P)의 용변부 및 그 주변부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체온센서(140)는 체온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체온 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후술할 프로세서(20)로 전달할 수 있다.The body temperature sensor 140 can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wearing the wearing unit 100.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40 may be placed in the first housing 110. As an embodiment,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40 is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1 and can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toilet area and surrounding areas of the user P wearing the wearing unit 100.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40 may generate a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ignal including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result and transmit it to the processor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1 센서(150)는 착용유닛(100)을 착용한 사용자(P)의 배변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센서(150)는 수용공간(1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150)는, 사용자(P)가 배변한 대소변이 안착되는 수용공간(111)의 대소변 안착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P)로부터 배출된 대소변이 수용공간(111) 내부로 이동 후 대소변 안착면에 안착되면, 제1 센서(150)는 대소변 안착에 따른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P)의 배변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first sensor 150 can detect whether the user P wearing the wearing unit 100 has a bowel movement. As an example, the first sensor 150 may be plac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1.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ensor 150 may be disposed on the toilet seating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1 where the urine and faeces defecated by the user P are placed. In this case, when the urine discharged from the user (P) moves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1 and settles on the toilet seating surface, the first sensor 150 detects the change in weight due to the seating of the toilet and urine, and detects the change in weight of the user (P). It can detect whether there is a bowel movement or not.

다만,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센서(150)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센서(150)는 대소변이 안착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소변 안착면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P)의 배변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센서(150)는 대소변 안착면 상면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1) 내로 안착된 대소변과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P)의 배변 활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1 센서(150)는 대소변 안착 여부 감지를 통한 사용자(P)의 배변활동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20)로 전달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ensor 150 may be a temperature sensor. In this case, the first sensor 150 may detect the user P's bowel activity by detecting a change in temperature of the stool seating surface that occurs as the stool is placed.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ensor 15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and detect contact with the toilet se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thereby detecting the user P's bowel activity. The first sensor 150 may generate a first signal including a result of sensing the user P's bowel activity by detecting whether the toilet is seated and transmit it to the processor 20 .

제1 연결부(C10)는 중간연결부(C)의 일단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C10)는 제1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과 연통될 수 있다. 사용자(P)가 배변하여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배설물은 제1 연결부(C10)를 통해, 중간연결부(C)를 지나 저장유닛(200)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C10 is a part where one end of the middle connection part C is coupled, and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part C10 may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111 of the first housing 110. The excrement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after the user (P) defecates may move to the storage unit 20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C10)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C).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저장유닛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의 자정유닛의 일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torage unit of Figure 6 as seen from one direction. An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elf-cleaning unit of Figure 6 as seen from another direction.

도 2,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저장유닛(200)은 착용유닛(100)에 수용된 대소변이 2차로 수용되는 부분으로, 중간연결부(C)를 통해 착용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착용유닛(100)에 수용된 사용자(P)의 대소변은, 중간연결부(C)를 통해 저장유닛(200)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6 to 8, the storage unit 200 is a part that secondarily accommodates the urine and feces contained in the wearing unit 10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wearing unit 100 through an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C). . The user's urine and feces contained in the wearing unit 100 can be moved to the storage unit 200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C.

저장유닛(200)은 제2 하우징(210)과, 저장부(220)와, 펌프부(M)와, 제2 센서(2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저장유닛(200)은 살균부(240)와, 필터부(250)와, 추가 필터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00 may include a second housing 210, a storage unit 220, a pump unit (M), and a second sensor 230.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ing unit 240, a filter unit 250, and an additional filter unit (not shown).

제2 하우징(210)은 저장유닛(200)의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는 부분으로, 내부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저장부(220), 제2 센서(230), 살균부(240) 및 펌프부(M) 등 저장유닛(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하우징(210)은 커버부(210a)와, 차륜부(21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차륜부(210b)는 제2 하우징(210)의 하단 양측에 한 쌍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차륜부(210b)를 이용하여, 제2 하우징(210)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210 is a part where other components of the storage unit 200 are placed, and an internal space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storage unit 200, such as the storage unit 220, the second sensor 230, the sterilization unit 240, and the pump unit (M), are inside the second housing 210. Can be placed in space. At this time, the second housing 210 may include a cover portion 210a and a wheel portion 210b. At this time, a pair of wheel portions 210b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ousing 210. The second housing 210 can be moved using this pair of wheel portions 210b.

커버부(210a)는 제2 하우징(210)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210a)를 이용하여, 제2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커버부(210a)에는 디스플레이브(DP)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DP)를 통해 체온센서(140)에서 측정된 체온 측정값 및 제2 센서(230)에서 측정된 저장부(220)의 무게 측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10a)에는 대소변 처리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제어용 버튼(button)이 구비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210a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210 in an openable and closed manner. Using this cover portion 210a,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housing 210 can be selectively opened or closed. The cover part 210a is equipped with a display unit (DP), and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40 and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230 through the display unit (DP) Measured values can be displayed. Additionally, the cover portion 210a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control buttons for controlling the urine and feces disposal device 10.

제2 하우징(210)은 제2 연결부(C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부(C20)는 중간연결부(C)의 일단이 결합되며, 이때 제2 연결부(C20)가 연결되는 중간연결부(C)의 단부는 제1 연결부(C10)가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일 수 있다. 제2 연결부(C20)는 제2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을 통해 연장되어 저장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배설물은, 중간연결부(C)를 지나 제2 연결부(C20)를 통해 저장부(220)로 유입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21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20. The second connection part (C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iddle connection part (C), and at this time, the end of the middle connection part (C) to which the second connection part (C20) is connected is the end opposite to the end 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part (C10) is connected. You can. The second connection part C20 may extend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housing 210 and be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220. In this case, excrement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of the first housing 110 may flow into the storage unit 220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C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C20.

상술한 배설물의 이동은 펌프부(M)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펌프부(M)는 착용유닛(100)에 수용된 배설물 및 세정액을 흡입하여, 저장부(220)로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펌프부(M)는 배관을 통해 저장부(220), 제2 연결부(C20), 중간연결부(C), 제1 연결부(C10) 및 제1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과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펌프부(M)는 공기를 빨아들여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P)의 대소변 및 세정액 등이 저장부(220)로 빨려 들어올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above-described excrement can be achieved by the pump unit (M). The pump unit (M) can generate suction force to suction the excrement and cleaning liquid contained in the wearing unit 100 and move them to the storage unit 220. The pump unit (M)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220, the second connection part (C20),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C), the first connection part (C10), and the receiving space 111 of the first housing 110 through piping. can be connected In this case, the pump unit (M) sucks in air and generates suction force, so that the user's (P) urine, urine, cleaning fluid, etc. can be sucked into the storage unit 220.

저장부(220)는 사용자(P)가 배변한 배설물이 2차 수용되어 저장되는 용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저장부(220)는 제2 하우징(2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저장부(220)에 배설물이 미리 설정된 용량 이상 저장되는 경우, 저장부(220)를 분리하여, 배설물을 비운 후 다시 장착하거나, 새로운 저장부(220)로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20)는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O)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O)는 저장부(220)의 상면에 배치되고,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20 may be a container in which excrement defecated by the user (P) is secondarily accommodated and stored. As an example, the storage unit 220 may be disposed to be separable from the second housing 210 . In this case, when excremen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more than a preset capacity, the storage unit 220 can be separated and reinstalled after emptying the excrement, or replaced with a new storage unit 220.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220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O) for discharging excrement to the outside. This outlet (O)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22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open and closed.

저장부(220)는 제2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20)는 후술할 제2 센서(2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20)는 저장유닛(200)의 높이방향(예컨대, Z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상하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장부(220)는, 내부에 배설물이 저장되어 무게가 증가하는 경우, 증가하는 무게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아래(-Z축 방향)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저장부(220)는, 내부에 저장되었던 배설물을 배출시켜 무게가 감소하는 경우, 감소된 무게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위(Z축 방향)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20)는 돌출부(221)와, 가이드돌기(222)와, 만곡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20 may b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housing 210. More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220 may be placed above the second sensor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220 may be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height direction (eg, Z-axis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200. As a result, when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increases due to excrement being stored therein, the storage unit 220 can move downward (in the -Z-axis direction)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d weight. Conversely, when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is reduced by discharging the excrement stored therein, the storage unit 220 may move upward (in the Z-axis direction)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reduced weight.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220 may include a protrusion 221, a guide protrusion 222, and a curved portion 223.

돌출부(221)는 저장부(2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돌출부(221)는 저장부(220)의 하면 가운데 또는 저장부(220)의 하면 가운데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21)는 저장부(220)의 하면에서, 하측(-Z축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1)의 끝단은, 제2 센서(230)의 상단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220)가 내부에 배설물이 점차 축적됨에 따라 하강 이동하는 경우, 돌출부(221)는 저장부(220)의 총 무게[즉, 저장부(220) 자체의 무게와 저장된 배설물의 무게의 합]에 대응되는 힘으로 제2 센서(230)를 가압할 수 있다.The protrusion 221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220. In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221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220 or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220. The protrusion 221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Z-axis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220. At this time, the end of the protrusion 221 may contact the top of the second sensor 230. Accordingly, when the storage unit 220 moves downward as excrement gradually accumulates therein, the protrusion 221 is subj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i.e.,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itself and the stored excrement). The second sensor 230 may be pressed with a force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weights.

제2 하우징(210)은 저장부(220)의 상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G)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G)는 저장부(220)의 이동방향(Z축 방향)과 평행하고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20)의 하단에는 하측(-Z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222)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22)는 일 실시예로서, 저장부(220)의 하단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가이드돌기(220)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21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art (G) that guides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torage part 220. The guide unit (G) may be provided to extend and be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220. At this time, a guide protrusion 222 protruding downward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220. In one embodiment, the guide protrusion 222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220,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protrusion 220 may be connected.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돌기(222)는 저장부(220)의 하단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저장부(220)의 하단 둘레 길이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부(G)는 가이드돌기(222)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가이드부(G)의 일면(이하, 가이드면)이, 가이드돌기(222)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220)가 상하방향(Z측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돌기(222)가 가이드부(G)의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저장부(220)가 승강 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guide protrusion 222 extends along the bottom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220, but may be formed only on a portion of the bottom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storage unit 220. In this case, the guide part G extends parallel to the guide protrusion 222, and one surface of the guide part G (hereinafter referred to as guide surface) may be arranged to face one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 222. Accordingly, when the storage unit 22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Z direction or -Z axis direction), the guide protrusion 222 slides along the guide surface of the guide unit (G), thereby causing the storage unit 220 )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when lifting.

만곡부(223)는 저장부(220)의 일단에 배치되고, 저장부(220) 내측으로 만곡된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만곡부(223)는 저장부(22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곡부(223)는 저장부(220)의 하단 일측에서, 상측(Z축 방향)을 향해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때, 만곡부(223)는 저장부(220)의 폭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만곡부(223)를 구비함으로써, 저장부(220)는 하측에는, 상측으로 만곡된 빈 공간(이하, 만곡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The curved portion 223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torage portion 220 and may be a portion curved toward the inside of the storage portion 220. As an example, the curved portion 223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portion 220. More specifically, the curved portion 223 may be curved at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from one low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220 toward the upper side (Z-axis direction). At this time, the curved portion 223 may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storage portion 220. In this way, by providing the curved portion 223, an empty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urved space) curved upward can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220.

제2 센서(230)는 저장부(22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센서(230)는 저장부(2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저장부(22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센서(230)는 예를 들어, 로드셀(load cell)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센서(230)는 그 중심이, 저장유닛(200)의 상부 또는 XY평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돌출부(221)의 중심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센서(230)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편향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돌출부(221)가 제2 센서(230)를 가압 시, 제2 센서(230)로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돌출부(221)를 통해 제2 센서(230)로 힘을 집중하여 전달함으로써, 저장부(220)의 무게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센서(230)는 저장부(220)의 무게 변화를 센싱한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20)로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230 can measure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The second sensor 230 is disposed below the storage unit 220 and can measure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The second sensor 230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load cell. As an example, the center of the second sensor 23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221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storage unit 200 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Y plane. In this cas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protrusion 221 is biased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second sensor 230, when the protrusion 221 presses the second sensor 230,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second sensor 230 is Dispersion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the accuracy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can be improved by concentrating and transmitting force to the second sensor 230 through the protrusion 221. The second sensor 230 may generate a second signal including a sensing result of sensing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and transmit it to the processor 20 .

살균부(240)는 저장부(220)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저장부(220)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예로 살균부(240)는 UV 램프를 포함하고, UV램프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이용하여 저장부(220)를 살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살균부(240)가 UV램프를 이용하여 살균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sterilizing unit 2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torage unit 220 to sterilize the storage unit 220. For example, the sterilizing unit 240 includes a UV lamp, and the storage unit 220 can be sterilized using ultraviolet rays generated from the UV lamp.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be centered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erilizing unit 240 performs sterilization using a UV lamp.

일 실시예로서, 살균부(240)는 저장부(220)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균부(240)는 전술한 만곡부(223)에 의해 형성된 만곡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곡부(223)의 하측에 배치된 살균부(240)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이 저장부(220)의 하단 일측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방사됨으로써, 저장부(220) 및 그 내부에 대한 살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살균부(240)가 저장부(220)의 하단 일측에 구비된 만곡 공간 내에 배치됨으로써, 공간적 제한이 존재하는 제2 하우징(210) 내부의 배치 및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terilizing unit 240 may be placed below the storage unit 220. More specifically, the sterilizing unit 240 may be disposed within the curved space formed by the curved part 223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ultraviolet rays generated from the sterilizing unit 240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urved part 223 are radiated from one lower side of the storage unit 220 toward the top, thereby performing a sterilization operation on the storage unit 220 and its interior. can be performed. In this way, by arranging the sterilizing unit 240 in the curved space provided on one lower side of the storage unit 220, arrangement and space efficiency within the second housing 210, where space is limited, can be improved.

필터부(250)는 대소변 처리 장치(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250)는 사용자(P)의 착용부로 분사되기 전에, 대소변 처리 장치(10)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로부터 냄새(악취) 및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필터부(250)는 저장부(2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250 can purify the air inside the urine and feces treatment device 10. More specifically, the filter unit 250 can remove odors (bad smells) and bacteria from the air circulating inside the urine and feces treatment device 10 before being sprayed onto the user's (P) worn part. As an example, the filter unit 250 may be placed on top of the storage unit 220.

추가 필터부(미도시)는 사용자(P)의 착용부로 분사되기 전, 공기를 2차로 정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 필터부(미도시)는 필터부(250)를 지나면서1차로 정화된 공기를, 착용유닛(100)으로 이동하기 앞서 2차로 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추가 필터부(미도시)는 플라즈마 살균기일 수 있다. 이때, 추가 필터부(미도시)는 펌프부(M)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추가 필터부(미도시)는, 저장부(220)를 통과한 공기가 제2 연결부(C20)를 향해 이동할 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An additional filter unit (not shown) can purify the air secondarily before it is sprayed onto the user's (P) wearing part. More specifically, the additional filter unit (not shown) can purify the air that is primarily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250, and then secondarily before moving to the wearing unit 100. In one embodiment, the additional filter unit (not shown) may be a plasma sterilizer. At this time, an additional filter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pump unit (M). In this case, the additional filter unit (not shown) uses plasma to remove harmful substances such as bacteria and dust contained in the air w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torage unit 220 moves toward the second connection unit C20. can do.

이처럼, 필터부(250) 및 추가 필터부(미도시)를 통과한 공기는 중간연결부(C)를 지나, 안착부(120)에 구비된 공기분사홀(A)을 통해 사용자(P)의 착용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터부(250) 및 추가 필터부(미도시)에 의해 2중 정화된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P)의 착용부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세균 등에 의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250 and the additional filter unit (not shown) passes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C) and is worn by the user (P)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A) provided in the seating part (120). It can be sprayed as a spray. As a result, the double-purified air is sprayed by the filter unit 250 and the additional filter unit (not shown), so that the wearing part of the user (P) who has difficulty moving can be kept in a clean state and infection by bacteria, etc. can be prevented. can do.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통신장치(CD)는, 대소변 처리 장치(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프로세서(20)로 전달하거나, 프로세서(20)에서 생성된 신호를 대소변 처리 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장치(CD)는 대소변 처리 장치(10)에서 측정된 데이터, 또는 프로세서(20)에서 생성된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3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40)로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기(3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40)에서 생성된 신호를 대소변 처리 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the communication device (CD) transmits data measured by the urine and feces treatment device 10 to the processor 20, or transmits a signal generated by the processor 20 to the urine and feces treatment device 10. ) can be transmitt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CD) transmits data measured by the urine and feces disposal device 10 or signals generated by the processor 20 to the user terminal 30 and/or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or to the user terminal 30 ) and/or the signal generated by the manager terminal 40 may be transmitted to the urine and feces treatment device 10.

통신장치(CD)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이동 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장치(CD)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N)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 communication device (C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Communication methods may include, for example, communication methods utiliz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wired Internet, wireless Internet, and broadcasting networks, as well a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device (CD) is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campus area network (C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broadband network (BBN). ), it may include one or more arbitrary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N)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network topologies including a bus network, star network, ring network, mesh network, star-bus network, tree or hierarchical network, etc. Not limited.

프로세서(processor)(20)는 사용자(P)의 배변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P)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는 대소변 처리 장치(10)와 별도로 구비된 '제어장치(미도시)'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세서(20)는 대소변 처리 장치(10)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장치(미도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The processor 20 may determine the defecation status of the user P and generate a management signal for managing the user P. At this time, the processor 20 may be a component of a 'control device (not shown)'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urine and feces disposal device 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rocessor 2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urine and feces disposal device 10. At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not shown) may be driven as included in a hardware device such as a microprocessor or general-purpose computer system.

프로세서(2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프로세서(20)는 판단부(21)와, 데이터부(22)와, 관리부(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 may mean, for example, a data processing device built into hardware that has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a function expressed by code or instructions included in a program. Examples of data processing devices built into hardware include microprocessor, central processing unit (CPU), processor core, multiprocessor, and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ASIC). Circuit),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etc.,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the processor 20 may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21, a data unit 22, and a management unit 23.

판단부(21)는 체온센서(140)에서 측정된 체온 측정값을 기초로 사용자(P)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1)는, 체온센서(140)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측정된 체온 측정값은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주기는 사용자(P)의 성별, 나이, 건강상태 등에 맞춰 변경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determine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P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40. 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receive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measured at each preset cycle by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40. At this time, the preset cycl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gender, age, health status, etc. of the user (P).

판단부(21)는 체온 측정값이 정상 체온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사용자(P)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1)는 예를 들어, 체온 측정값이 정상 체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사용자(P)의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판단부(21)는 체온 측정값이 정상 체온 범위 내에 포함된 경우, 해당 사용자(P)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판단부(21)는 체온 측정값이 정상 체온 범위 내에 포함되지만, 정상 체온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에 인접한 경우, 해당 사용자(P)의 건강상태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determine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P based on whether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is within the normal body temperature range. For example, if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is outside the normal body temperature range, 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determine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user P is abnormal. As another example, if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is within the normal body temperature range, 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determine that the user P's health condition is normal. As another example, if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is within the normal body temperature range but is adjacent to the upper or lower limit of the normal body temperature range, 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determine that attention to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P is necessary. .

판단부(21)는 사용자(P)의 건강상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제1 판단신호를 생성하여, 후술할 사용자 단말기(3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1)는 제1 판단신호를 저장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DP)는 제1 판단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generate a first determination signal including the health status determination result of the user P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30 and/or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dditionally, 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transmit the first determination signal to the storage unit 20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DP may externally display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P based on the first judgment signal.

판단부(21)는 제1 센서(150)로부터 제1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P)의 배변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1)는 제1 센서(150)에 의해, 수용공간(111) 내부의 무게 변화, 수용공간(111)의 대소변 안착면의 온도 변화, 또는 제1 센서(150)와 대소변의 접촉 중 어느 하나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P)가 배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receive the first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150 and determine whether the user P has defecated. More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21 determines the weight change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1,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toilet seat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1, or the first sensor 150 by the first sensor 150. If any contact with urine or feces is detect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P) has defecated.

판단부(21)는 사용자(P)의 배변여부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제2 판단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3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1)는 제2 판단신호를 저장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DP)는 제2 판단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P)의 배변활동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generate a second determination signal including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 has defecated or not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30 and/or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Additionally, 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transmit the second determination signal to the storage unit 20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DP may externally display the user P's bowel activity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judgment signal.

판단부(21)는 제2 센서(230)에서 측정된 무게 측정값을 기초로 사용자(P)의 배변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센서(230)는 배설물이 저장부(220)에 저장됨에 따라 발생하는 저장부(220)의 무게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21)는 제2 센서(230)로부터, 저장부(220)의 무게 측정값을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실시간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determine the defecation state of the user P based on the weight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230. The second sensor 230 can sense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generated as excremen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receive a second signal including the weight measurement value of the storage unit 220 from the second sensor 230 in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판단부(21)는 제2 신호에 포함된 무게 측정값을 이용하여 저장부(220)의 무게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21)는 저장부(220)의 무게 변화가 발생한 경우, 판단부(21)는 이전에 측정된 저장부(220)의 무게 측정값과, 현재 측정된 저장부(220)의 무게 측정값을 비교하여, 사용자(P)의 배변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1)는 저장부(220)의 무게 변화 발생 횟수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P)의 배변 횟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 회의 배변활동이 감지된 경우, 판단부(21)는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사용자(P)의 배변 횟수 및 평균 배변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determine the change in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using the weight measurement value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At this time, when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occurs, the determination unit 21 determines the previously measured weight measurement value of the storage unit 220 and the currently measured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By comparing the weight measurements, the amount of defecation of the user (P) can be determined. Additionally, 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determine the number of bowel movements of the user P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220 changes. When multiple bowel movements are detected in this way, 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calculate the number of bowel movements and the average amount of bowel movements of the user P during a preset period.

판단부(2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P)의 배변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판단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3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1)는 제3 판단신호를 저장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DP)는 제3 판단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P)의 배변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generate a third determination signal including the defec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P as described above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30 and/or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Additionally, the determination unit 21 may transmit a third determination signal to the storage unit 20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DP may externally display information on the defecation status of the user P based on the third judgment signal.

데이터부(22)는, 체온센서(140)로부터 수신한 '체온 측정값', 제1 센서(150)로부터 수신한 '배변여부 감지 결과(즉, 배변 활동 감지 결과)' 및 제2 센서(230)로부터 수신한 저장부(220)의 '무게 측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 데이터부(22)가 프로세서(20)의 구성요소로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데이터부(22)는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마련될 수도 있다.The data unit 22 includes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40, the 'defecation detection result (i.e., defecation activity detec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150, and the second sensor 230. ) can store the 'weight measurement value' of the storage unit 220 received from. At this time, although the data unit 22 is shown in the drawing as being provided as a component of the processor 2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data unit 22 is installed on a separate server (not shown). It may be provided in .

보다 구체적으로, 체온센서(140), 제1 센서(150) 및 제2 센서(230)에 의해 각각 센싱된 센싱 결과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데이터부(22)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부(22)는 사용자(P)의 체온 측정값, 배변여부 감지 결과 및 무게 측정값을 각각 시계열 순으로 데이터 베이스(Data base)화(이하, DB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부(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단부(21)에서 판단결과를 기초로 생성된 '건강상태 정보',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를 각각 DB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nsing results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40, the first sensor 150, and the second sensor 230 may be transmitted to the data unit 22 at preset intervals. At this time, the data unit 22 may store the user P's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defecation detection result, and weight measurement value in time series order, respectively, into a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atabase). In addition, the data unit 22 can store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defecation activity information', and 'defecation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judgment results in the determination unit 21 into a database,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there is.

데이터부(22)에 저장된 정보들은 통신장치(CD)를 통해, 저장유닛(200),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P), 보호자(미도시) 및 관리자(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DP), 사용자 단말기(30) 또는 관리자 단말기(40)를 통해, 데이터부(22)에 저장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인 사용자(P)의 가족, 간병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사용자(P)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사, 간호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unit 22 may be transmitted to the storage unit 200,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CD). Accordingly, the user (P), guardian (not shown), and manager (not shown) can check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unit 22 through the display unit (DP), user terminal 30, or manager terminal 40. You can. Here, the guardian may include the family, caregivers, etc. of the user (P), who is a patient with difficulty moving, and the manager may include a doctor, nurse, etc. who manages the health of the user (P).

관리부(23)는 판단부(21)의 판단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P)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management unit 23 may generate a management signal for managing the user P in response to the decis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21.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부(23)는 사용자(P)의 “건강상태 판단결과(또는 제1 판단신호에 포함된 건강상태 정보)”, 사용자(P)의 “배변여부 판단결과(또는 제2 판단신호에 포함된 배변활동 정보)” 및 사용자(P)의 “배변상태 판단결과(또는 제3 판단신호에 포함된 배변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관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nagement unit 23 provides the “health status determination result (or health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judgment signal)” of the user (P), the “determination result of defecation (or the second judgment signal)” of the user (P). A management signal can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defecation activity information included in” and “defecation status determination result (or defec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hird judgment signal)” of the user (P).

예를 들어, 관리부(23)는 사용자(P)의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보호자 또는 관리자를 호출하거나 사용자(P)의 비정상적인 건강상태를 알리기 위한 제1 관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부(23)는 배변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220)에 저장된 배설물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저장부(220)에 저장된 배설물의 처리(배출)가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제2 관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관리부(23)는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를 종합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의 배변 횟수, 배변량 등이 정상 수치를 벗어난 경우, 보호자 또는 관리자를 호출하거나 사용자(P)의 비정상적인 배변상태를 알리기 위한 제3 관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관리부(23)는 제1, 제2 및 제3 관리신호를 단말부[예컨대,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P's health condition is abnormal, the management unit 23 may call a guardian or administrator or generate a first management signal to notify the user P of the abnormal health condition. As another example, based on the defecation status information, if the amount of excrem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is more than the standard value, the management unit 23 is used to inform the guardian or manager that treatment (discharge) of the excrem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is necessary. A second management signal may be generated. As another example, the management unit 23 compiles the defecation activity information and defecation status information, and if the number of defecation, amount of defecation, etc. during a preset cycle is outside the normal values, the management unit 23 calls the guardian or manager or detects abnormal defecation of the user (P). A third management signal can be generated to notify the status. At this time, the management unit 23 may transmit the first, second and third management signals to the terminal units (eg,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manager terminal 40).

단말부는 프로세서(20)로부터 관리신호를 수신하고, 관리신호에 상기 사용자(P)를 관리를 위한 지시신호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부는 사용자(P)나 보호자가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30)와, 사용자(P)를 모니터링하고, 건강관리 및 치료 등을 수행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unit may receive a management signal from the processor 20 and externally display an instruction signal for managing the user P in the management signal. At this time, the terminal unit may include a user terminal 30 for use by the user (P) or guardian,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40 used by an administrator who monitors the user (P) and performs health management and treatment. there is.

사용자 단말기(30)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프로세서(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를 제3 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제3 자는 전술한 관리자를 제외한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여 사용자(P)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may be a fixed terminal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or a mobile terminal. The user terminal 30 may be a device for providing health status information, bowel movement information, and bowel movement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P received from the processor 20 to a third party. At this time, the third party may mean a person who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user (P) using the toilet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1), excluding the above-mentioned manager.

사용자 단말기(3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장치(CD)를 통해 프로세서(20)와 통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mobile phone, navigation device, computer, laptop,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Portable Media Player (PMP), tablet PC, etc. The user terminal 30 may communicate with the processor 20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CD) using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사용자 단말기(30)는 프로세서(20)로부터 제1 관리신호, 제2 관리신호 및 제3 관리신호를 전달받고, 수신한 관리신호에 대응되는 지시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는 제1 관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된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1-1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1 지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보호자는 사용자(P)의 건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may receive the first management signal, the second management signal, and the third management signal from the processor 20, generate an instru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management signal, and display it externally.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30 receives the first management signal, it may generate a 1-1 instruction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P determined to be abnormal. The user terminal 30 outputs the 1-1 instruction signal to the outside using a display device (not shown), thereby allowing the guardian to check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P.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기(30)는 제2 관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저장부(220)의 배설물 저장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2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2 지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보호자는 저장부(220)로부터 배설물 배출이 필요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기(30)는 제3 관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된 사용자(P)의 배변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1-3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3 지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보호자는 사용자(P)의 배변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receiving the second management signal, the user terminal 30 may generate a 1-2 instruction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excrem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The user terminal 30 outputs the 1-2 instruction signal to the outside using a display device (not shown), whereby the guardian can confirm that excrement discharge is required from the storage unit 220. As another example, when receiving the third management signal, the user terminal 30 may generate a 1-3 instruction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defecation condition of the user P determined to be abnormal. The user terminal 30 outputs the first to third instruction signals to the outside using a display device (not shown), thereby allowing the guardian to check the defecation status of the user P.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30)는, 프로세서(20)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P)의 건강상태, 배변상태 및 저장부(220) 내부의 배설물 저장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호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호자는 사용자(P)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신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P) 관리조치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용자(P)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terminal 3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user P's health status, defecation status, and excrement storage status inside the storage unit 220, etc., determined by the processor 20, to the guardian in real time. As a result, the guardian can not only immediately determine the status of the user (P), but also efficiently monitor and manage the user (P) by performing management measures for the user (P)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사용자 단말기(30)는 제1 메모리부 및 제1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메모리부에는, 프로세서(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보호자는 제1-1, 제1-2 및 제1-3 지시신호에 따라 사용자(P)에 대한 관리조치를 수행한 경우, 수행된 관리조치 내역(이하, 보호자 관리 내역)을 제1 입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된 '보호자 관리 내역'은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보호자 관리 내역'은 시계열적으로 DB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may include a first memory unit and a first input unit. In the first memory unit, health status information, bowel movement information, and bowel movement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P received from the processor 20 may be stored. When the guardian performs management measures for the user (P) according to the 1-1, 1-2, and 1-3 instruction signals, the guardian records the details of the performed management measu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guardian management details)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This can be input into the user terminal 30. In this case, the input ‘guardian management details’ may be stored in the first memory unit. At this time, the ‘guardian management details’ can be converted into a DB and stored in time series.

사용자 단말기(30)는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보호자 관리 내역'에 관한 정보를 통신장치(CD)를 통해, 프로세서(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0)는 수신한 '보호자 관리 내역'을 데이터부(22)에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guardian management details' stored in the first memory unit to the processor 20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CD). In this case, the processor 20 may store the received ‘guardian management details’ in the data unit 22.

관리자 단말기(40)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프로세서(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를 제3 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제3 자는 전술한 사용자(P)와 보호자를 제외한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여 사용자(P)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P)의 건강관리 및 치료를 수행하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may be a fixed terminal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or a mobile terminal.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may be a device for providing health status information, bowel movement information, and bowel movement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P received from the processor 20 to a third party. At this time, the third party, excluding the user (P) and guardian described above, is a person who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user (P) using the toilet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1) and performs health management and treatment of the user (P). It can mean.

관리자 단말기(4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장치(CD)를 통해 프로세서(20)와 통신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mobile phone, navigation device, computer, laptop,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tablet PC, etc.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may communicate with the processor 20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CD) using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관리자 단말기(40)는 프로세서(20)로부터 제1 관리신호, 제2 관리신호 및 제3 관리신호를 전달받고, 수신한 관리신호에 대응되는 지시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40)는 제1 관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된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1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1 지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관리자는 사용자(P)의 건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manager terminal 40 may receive the first management signal, the second management signal, and the third management signal from the processor 20, generate an instru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management signal, and display it externally.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first management signal, the manager terminal 40 may generate a 2-1 instruction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P determined to be abnormal.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outputs the 2-1 instruction signal to the outside using a display device (not shown), thereby allowing the administrator to check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P.

다른 예로, 관리자 단말기(40)는 제2 관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저장부(220)의 배설물 저장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2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2 지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관리자는 저장부(220)로부터 배설물 배출이 필요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관리자 단말기(40)는 제3 관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된 사용자(P)의 배변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3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3 지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관리자는 사용자(P)의 배변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receiving the second management signal, the manager terminal 40 may generate a 2-2 instruction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excrem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The manager terminal 40 outputs the 2-2 instruction signal to the outside using a display device (not shown), whereby the manager can confirm that excrement discharge is required from the storage unit 220. As another example, when receiving the third management signal, the manager terminal 40 may generate a 2-3 instruction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defecation condition of the user P determined to be abnormal. The manager terminal 40 outputs the 2-3 instruction signal to the outside using a display device (not shown), thereby allowing the manager to check the defecation status of the user P.

이처럼, 관리자 단말기(40)는, 프로세서(20)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P)의 건강상태, 배변상태 및 저장부(220) 내부의 배설물 저장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리자는 사용자(P)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신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P) 관리조치 또는 치료행위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용자(P)를 모니터링하고,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manager terminal 4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user P's health status, defecation status, and excrement storage status inside the storage unit 220, etc., determined by the processor 20, to the manager in real time. As a result, the administrator can not only immediately determine the status of the user (P), but also efficiently monitor the user (P) and manage health by performing management measures or treatment actions for the user (P)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관리자 단말기(40)는 제2 메모리부 및 제2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메모리부에는, 프로세서(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관리자는 제2-1, 제2-2 및 제2-3 지시신호에 따라 사용자(P)에 대한 관리조치를 수행한 경우, 수행된 관리조치 내역(이하, 관리자 관리 내역)을 제2 입력부를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4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된 '관리자 관리 내역'은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관리자 관리 내역'은 예를 들어, 사용자(P)의 진료 기록 및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관리 내역'은 시계열적으로 DB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may include a second memory unit and a second input unit. In the second memory unit, health status information, bowel movement information, and bowel movement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P received from the processor 20 may be stored. When the manager performs management measures for the user (P) according to the 2-1, 2-2, and 2-3 instruction signals, the manager records the details of the performed management measu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nager management details)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This can be input in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In this case, the input 'administrator management details' may be stored in the second memory unit. ‘Administrator management details’ may include, for example, medical records a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P). 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management details’ can be converted into a DB and stored in time series.

관리자 단말기(40)는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관리자 관리 내역'에 관한 정보를 통신장치(CD)를 통해, 프로세서(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0)는 수신한 '관리자 관리 내역'을 데이터부(22)에 저장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administrator management details' stored in the second memory unit to the processor 20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CD). In this case, the processor 20 may store the received 'administrator management details' in the data unit 22.

사용자 단말기(30)와 관리자 단말기(40)는 사용자(P)에 관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0)는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보호자 관리 내역'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기(40)는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관리자 관리 내역'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는 각각 전달받은 정보를 제1 메모리부 및 제2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30)와 관리자 단말기(40)는, 각 단말기에 저장되는 정보들(즉, 보호자 관리 내역 및 관리자 관리 내역)을 서로 송수신하여 각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상호 보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P)의 관리 내역에 관하여 누락되는 정보를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user P with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3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guardian management details' stored in the first memory unit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Additionally,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administrator management details' stored in the second memory unit to the user terminal 30.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manager terminal 40 may store the received information in the first memory unit and the second memory unit, respectively. In this way,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can mutually complement the information stored in each terminal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i.e., guardian management details and administrator management details) stored in each terminal. As a result, efficient management can be performed by minimizing miss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management details of the user (P).

한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와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된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통신장치(CD) 또는 별도의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는 서버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ilet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1 is implemented with a computer device or a plurality of computer devices that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to provide commands, codes, files, contents, services, etc. Additional servers (not shown) may be included. The server can provide files for application installation to the user terminal 30 and administrator terminal 40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CD) or a separat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can install the application using files provided from the server.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 connect to the server under the control of an operating system (OS) and at least one program (for example, a browser or an installed application) to run services or services provided by the server. Content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모니터링 및 관리 대상인 사용자(P)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은 대소변 처리 장치(10)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사용자(P)들은 모두 대소변 처리 장치(10)를 착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대소변 처리 장치(10)는, 전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각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P)의 건강상태, 배변활동 및 배변상태를 센싱 및 판단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multiple users (P) subject to monitoring and management, the urine and feces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feces and urine treatment devices 10 to correspond thereto. At this time, multiple users P can all wear the urine and feces disposal device 1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urine and feces treatment devices 10 can sense and determine the health status, bowel activity, and bowel movement status of the user P wearing each device 10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described above. .

이처럼, 판단된 다수의 사용자(P)들의 건강상태 정보,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는, 사용자(P)별로 DB화되어 데어터부(22) 또는 별도의 외부 서버(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는 각 사용자(P)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신호들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사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 및 관리자는 거동이 불편한 다수의 사용자(P)들을 사용자 단말기(30) 또는 관리사 단말기(40)를 이용하여, 한 번에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사용자(P)에게 필요한 관리조치를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bowel activity information, and bowel movement status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multiple users (P) can be converted into a database for each user (P) and stored in the data unit 22 or a separate external server (not shown). there is. Additionally, the processor 20 may generate management signals containing information on each user (P) and transmit them to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manager terminal 40. Accordingly, guardians and managers can efficiently monitor multiple users (P) with impaired mobility at once using the user terminal 30 or the manager terminal 40, and accordingly provide information to each user (P). Necessary management actions can be taken immediately.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은,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다양한 각도로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한 사용자(P)의 용변부와 착용유닛(100)을 세척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P)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여러 종류의 센서들(140, 150, 230)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 배설활동 정보 및 배설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P)의 상태에 대한 맞춤형 관리조치를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P)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toilet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leans the toilet area of the user P and the wearing unit 100 with a cleaning liquid sprayed at various angles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By doing so, the cleanliness of the user (P) who has difficulty moving can be improved. Moreover, through real-time monitoring through various types of sensors 140, 150, and 230, it is possible to obtain health status information, excretion activity information, and excre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P. Using thi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efficient management of multiple users (P) by performing customized management measures for the status of the user (P).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10: 대소변 처리 장치
100: 착용유닛
200: 저장유닛
20: 프로세서
21: 판단부
22: 데이터부
23: 관리부
30: 사용자 단말기
40: 관리자 단말기
CD: 통신장치
1: Urine and feces disposal and management system
10: Urine disposal device
100: Wearing unit
200: storage unit
20: processor
21: Judgment unit
22: data unit
23: Management
30: user terminal
40: Administrator terminal
CD: communication device

Claims (8)

사용자가 배변한 대소변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사용자의 배변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한 착용유닛과, 상기 착용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부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한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장치; 및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센싱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배변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신호를 생성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착용부 하측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착용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용유닛을 착용할 때, 상기 사용자의 착용부 하측과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의 하면 전체 면적 중 일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접촉부의 하면 중 상기 안착홈의 상측에 배치된 부분은, 상기 안착홈과 이격되어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의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기홈을 복수개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통기홈은, 상기 접촉부의 전체 면적에 서로 이격되어 분포되고,
상기 저장부는, 상하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 유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부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센서와 접촉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부와 상기 제2 센서 사이에는, 상기 저장부의 상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부의 하단 일측에서 상측으로 만곡된 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저장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빈 공간 내에서 상기 저장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살균부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만곡부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만곡부를 향해 자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 내부를 살균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A wearing unit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defecated by the user and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has defecated, a storage portion connected to the wearing unit and storing the urine and feces, and a low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A urine disposal device including a storage unit with a second sensor disposed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and
It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that receives sensing results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to determine the user's bowel movement status, and a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a management signal for managing the use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Includes a processor;
The wearing unit has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user's wearing portion is seated,
The seating portion has a seating groove formed concavely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The wearing unit has a contact portion that directly contacts the lower side of the user's wearing unit when the user wears the wearing unit,
A portion of the total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is tight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disposed above the seating groove is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groove to form a space,
The contact portion has a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formed to pas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contact portion,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are distribut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ver the entire area of the contact portion,
The storage unit is disposed inside the storage unit to enable up and down reciprocating movement, and ha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and contacts the second sensor,
A guide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storage unit and the second sensor to guide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torage unit,
The storage unit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and has a curved portion curved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The storage unit includes a sterilization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storage unit in an empty space form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storage unit,
The sterilizing unit is disposed in an empty space formed by the curved portion and radiates ultraviolet rays toward the curved portion to sterilize the storage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처리 장치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판단부는, 복수 개의 상기 대소변 처리 장치로부터 각각 센싱 결과를 전달받아 다수의 사용자의 배변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 각각의 배변상태에 대응되는 관리신호를 생성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e urine and feces treatment devices are provided,
The determination unit receives sensing results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urine and feces treatment devices and determines the defecation status of the plurality of users,
The management unit is a toilet processing and management system that generates a managem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fecation statu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 내로 대소변 안착 여부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저장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대소변 저장량에 기초한 상기 저장부의 무게 변화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nsor is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senses whether a toilet or toilet is placed in the accommodating part, generates a first signal including the sensing result, and transmits it to the processor,
The second sensor is disposed below the storage unit, senses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urine storage amount, generates a second signal including the sensing result, and transmits it to the processor. A urine processing and management system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관리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관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지시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단말부;를 더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terminal unit that receives the management signal from the processor and externally displays an instruction signal for managing the user based on the management signal.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보호자가 상기 사용자에게 수행한 관리 내역이 저장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사용하며 상기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에게 수행한 관리 내역이 저장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4,
The terminal is,
A user terminal that is used by the user's guardian and stores the management details performed by the guardian on the user, and is used by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user's health and stores the management details performed by the administrator on the user. A toilet processing and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an administrator terminal.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각각에 저장된 관리 내역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관리 내역 정보를 상호 보완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A toilet processing and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 user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transmit and receive management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each, thereby complementing each other with management history informa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관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관리조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신호를 생성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user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based on the manag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processor, generate an instruction signal for instructing management actions for the us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배변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 base)화하여 시계열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부를 더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further includes a data unit that converts the user's bowel movement status information into a database and stores it in time series.

KR1020220120702A 2022-09-23 2022-09-23 System for treating and managing urine and feces KR102658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702A KR102658607B1 (en) 2022-09-23 2022-09-23 System for treating and managing urine and fe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702A KR102658607B1 (en) 2022-09-23 2022-09-23 System for treating and managing urine and fe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556A KR20240041556A (en) 2024-04-01
KR102658607B1 true KR102658607B1 (en) 2024-04-18

Family

ID=9066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702A KR102658607B1 (en) 2022-09-23 2022-09-23 System for treating and managing urine and fe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60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912A (en) * 2006-08-24 2008-03-06 Nakamura Minoru Automatic bowel evacuation apparatus
KR101606901B1 (en) * 2015-10-22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fit for human body for supplying discriminated information by distance and method thereof
JP6194431B2 (en) * 2014-04-04 2017-09-06 蘇州欧聖電気工業有限公司 Central integrated nursing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488B1 (en) * 2014-08-18 2016-06-24 주식회사 엔젤윙즈 Automatic toileting aid system and measuring weight of defecation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912A (en) * 2006-08-24 2008-03-06 Nakamura Minoru Automatic bowel evacuation apparatus
JP6194431B2 (en) * 2014-04-04 2017-09-06 蘇州欧聖電気工業有限公司 Central integrated nursing equipment
KR101606901B1 (en) * 2015-10-22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fit for human body for supplying discriminated information by distanc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556A (en) 202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9937A1 (en) Integrated system for assessing wound exudates
US11241525B2 (en) Wound exudate monitor accessory
JP5285600B2 (en) Moisture monitoring system
RU2604587C2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onitoring use of an absorbent product
JP2016145809A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US20150362351A1 (en) Fluid outpu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KR20210136056A (en) Internet of Things (IOT) Solutions for Incontinence Management
WO2017065420A1 (en) Human body-customized excreta treatment device that analyzes urination/defecation status of user, user monitoring system using human body-customized excreta treatment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therefor
JP2002311025A (en) Health management system combining disposition of humor and excrement, and server connectable to same system
KR20190064158A (en) Diaper alarm group management cloud Systems
KR102658607B1 (en) System for treating and managing urine and feces
JP4329123B2 (en) Urine analysis method
JP2017189444A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WO2016121247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JP2017096890A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WO2017069423A1 (en) Human body-customized excreta treatment device for providing distance-wise differentiated information and method therefor
US20220257163A1 (en) Anticipating patient needs associated with toileting
KR102629018B1 (en) Apparatus for treating urine and feces
JP2022072767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processing information
KR101656510B1 (en) detecting system of defecation for diaper
KR20240010850A (en) Measuring apparatus for amount of urination with sterilizing function
KR20240068309A (en) Measuring apparatus for amount of urination capable of hematuria measurement
JP2022072766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22072769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15052569A (en) Estimation device, estimation method, and estima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