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066B1 -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 Google Patents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066B1
KR102658066B1 KR1020230154150A KR20230154150A KR102658066B1 KR 102658066 B1 KR102658066 B1 KR 102658066B1 KR 1020230154150 A KR1020230154150 A KR 1020230154150A KR 20230154150 A KR20230154150 A KR 20230154150A KR 102658066 B1 KR102658066 B1 KR 102658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zone
modular
separate
insertion groove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규
송경섭
최윤아
조호영
이호현
전난호
이승준
양유정
Original Assignee
(주)플랜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랜엠 filed Critical (주)플랜엠
Priority to KR102023015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07Elements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 또는 외벽이 결합되는 실외 프레임과, 내벽이 결합되는 실내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듈러 본체; 및 상기 실외 프레임과 상기 실내 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분리형 아존을 포함하는,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Modular building with detachable azone}
본 발명은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모듈러 건축물은 박스 형태의 철골구조로 이루어진 모듈러 본체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이들을 적층한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모듈러 건축물은 모듈러 본체의 주요 구조재 및 설비, 수장재료 등을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적층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듈러 건축물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의 인접 부위를 접착제와 나사로 결합하여, 건축물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모듈러 건축물은 학교나 군대시설 등 저층 위주의 건물에 사용하여 왔으나 고강도재료와 경량형강의 개발, 공장제작으로 인한 시공상의 편이 및 공기단축의 필요성 등으로 인하여 고층건물에서도 도입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러 본체는 외벽과 결합되고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 프레임과, 실외 프레임과 결합되고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 프레임을 포함하는데, 동절기에는 실외 프레임의 냉기가 실내 프레임으로 전달되면서 실외 프레임과 실내 프레임의 연결 부위에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종래의 모듈러 건축물은 실외 프레임과 실내 프레임의 연결 부위에 결로로 인한 부식과 곰팡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22396호(2007.05.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 프레임과 실내 프레임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분리형 아존이 마련됨으로써, 실외 프레임으로부터 실내 프레임 사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은 지붕 또는 외벽이 결합되는 실외 프레임과, 내벽이 결합되는 실내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듈러 본체; 및 상기 실외 프레임과 상기 실내 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분리형 아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외 프레임은 실외 삽입홈이 형성된 실외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 프레임은 실내 삽입홈이 형성된 실내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아존은, 상기 실외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아존 바디; 상기 실내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아존 바디; 및 상기 제1아존 바디와 상기 제2아존 바디를 연결하는 제3아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삽입홈, 상기 실내 삽입홈, 상기 제1아존 바디 및 상기 제2아존 바디는 단차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형 아존은, 상기 제1아존 바디에 형성되는 제1아존 관통부; 상기 제2아존 바디에 형성되는 제2아존 관통부; 상기 제3아존 바디에 형성되는 제3아존 관통부; 및 상기 제1아존 관통부, 상기 제2아존 관통부 및 상기 제3아존 관통부에 점탄성 상태로 주입된 후, 경화되어 팽창되는 아존 주입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러 본체는 복수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모듈러 본체는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배열되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오픈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픈 조인트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커넥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상기 커넥터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제1형강;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제2형강; 상기 제1형강의 상기 제2형강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는 삽입홈; 상기 제2형강의 상기 제1형강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연동되는 상기 제2형강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홈에 삽입 또는 배출되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의 외측 둘레로부터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삽입홈의 내측 둘레로부터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2형강의 상기 제1형강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형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형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형강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고정된 상기 고정돌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에 마련되는 제1자성체; 및 상기 삽입홈 또는 상기 제1형강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 고정될 때, 상기 제1자성체와 자성 결합되는 제2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형강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형강의 사이에 단차홈을 형성하며, 상기 단차홈에 삽입된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커넥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1형강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형강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는 복수의 스프링; 복수의 상기 스프링의 말단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슬립부재;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스프링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논슬립부재; 상기 제1형강의 상기 커넥터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는 제2슬립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1형강의 상기 커넥터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슬립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2슬립부재를 상기 커넥터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임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모듈러 도어; 및 우천시, 상기 모듈러 도어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의 사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도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구동부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의 사이의 상측에 마련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채워지는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수조에 마련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플로터; 및 상기 모듈러 도어와 상기 플로터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우천시, 상기 수조에 채워진 우수에 의해 상기 플로터는 상승되고 상기 와이어는 하강되며 상기 모듈러 도어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은 실외 프레임과 실내 프레임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분리형 아존이 마련됨으로써, 실외 프레임으로부터 실내 프레임 사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실외 프로파일, 실내 프로파일 및 분리형 아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분리형 아존과 아존 주입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분리형 아존에 아존 주입재가 주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의 글라스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러 도어와 도어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러 도어와 도어 구동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실외 프로파일, 실내 프로파일 및 분리형 아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은 모듈러 본체(100) 및 분리형 아존(200)을 포함한다.
모듈러 본체(100)는 본 발명의 기본 몸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러 본체(10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모듈러 본체(100)는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시말해, 복수의 모듈러 본체(100)는 격자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모듈러 본체(100)는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각각 조립되어, 모듈러 건축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모듈러 본체(100)는 상호 동일한 상하방향 폭, 상호 동일한 좌우방향 폭 및 상호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의 모듈러 본체(100)는 상호 상이한 상하방향 폭, 상호 상이한 좌우방향 폭 및 상호 상이한 전후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모듈러 본체(100)는 실외 프레임(110) 및 실내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외 프레임(110)과 실내 프레임(120)은 모듈러 본체(100)의 골조일 수 있다.
실외 프레임(110)은 모듈러 본체(100)의 실외에 대향하게 배치되며, 지붕 또는 외벽이 결합될 수 있다. 실외 프레임(110)은 실외 패널(111), 실외 브라켓(112) 및 실외 프로파일(11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 패널(111)은 지붕 또는 외벽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실외 패널(111)은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외 브라켓(112)은 실외 패널(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외 브라켓(112)에는 실외 프로파일(113)이 마련될 수 있다.
실외 프로파일(113)은 실외 브라켓(112)에 마련되어, 실외 삽입홈(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실외 프로파일(113)은 실외 브라켓(11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외 삽입홈(113a)은 실외 프로파일(113)의 일면에 단차진 형태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외 삽입홈(113a)은 후술할 실내 삽입홈(123a)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내 프레임(120)은 모듈러 본체(100)의 실내에 대향하게 배치되며, 지붕 또는 외벽이 결합될 수 있다. 실내 프레임(120)은 실내 패널(121), 실내 브라켓(122) 및 실내 프로파일(123)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 패널(121)은 내벽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실내 패널(121)은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내 브라켓(122)은 실내 패널(1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내 브라켓(122)에는 실내 프로파일(123)이 마련될 수 있다.
실내 프로파일(123)은 실내 브라켓(122)에 마련되어, 실외 삽입홈(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실내 프로파일(123)은 실내 브라켓(12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내 삽입홈(123a)은 실내 프로파일(123)의 일면에 단차진 형태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삽입홈(123a)은 실외 삽입홈(113a)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리형 아존(200)은 실외 프레임(110)과 실내 프레임(120)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리형 아존(200)은 실외 프레임(110)과 실내 프레임(120)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은 실외 프레임과 실내 프레임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분리형 아존이 마련됨으로써, 실외 프레임으로부터 실내 프레임 사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분리형 아존(200)은 제1아존 바디(210), 제2아존 바디(220) 및 제3아존 바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아존 바디(210)는 실외 삽입홈(113a)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1아존 바디(210)는 실외 삽입홈(113a)의 단차진 형태에 대응하는 단차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아존 바디(210)가 실외 삽입홈(113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아존 바디(220)는 실내 삽입홈(123a)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2아존 바디(220)는 실내 삽입홈(123a)의 단차진 형태에 대응하는 단차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아존 바디(220)가 실내 삽입홈(123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3아존 바디(230)는 제1아존 바디(210)와 제2아존 바디(220)를 연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 삽입홈(113a), 실내 삽입홈(123a), 제1아존 바디(210) 및 제2아존 바디(220)는 단차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외 삽입홈(113a)에 삽입된 제1아존 바디(21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실내 삽입홈(123a)에 삽입된 제2아존 바디(2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분리형 아존과 아존 주입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분리형 아존에 아존 주입재가 주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아존(200)은 제1아존 관통부(211), 제2아존 관통부(221), 제3아존 관통부(231) 및 아존 주입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아존 바디(210), 제2아존 바디(220) 및 제3아존 바디(230)는 탄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들면, 탄성 있는 재질은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제1아존 관통부(211)는 제1아존 바디(2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제1아존 관통부(211)는 제1아존 바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아존 관통부(221)는 제2아존 바디(2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제2아존 관통부(221)는 제2아존 바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3아존 관통부(231)는 제2아존 바디(2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제3아존 관통부(231)는 제3아존 바디(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아존 주입재(240)는 제1아존 관통부(211), 제2아존 관통부(221) 및 제3아존 관통부(231)에 점탄성 상태로 주입된 다음, 경화되어 팽창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아존 관통부(211)에 주입된 아존 주입재(240)의 팽창에 의해 제1아존 바디(210)가 팽창되어 실외 삽입홈(113a)의 내면에 밀착됨에 따라, 제1아존 바디(210)와 실외 삽입홈(113a)의 사이의 빈틈이 제거될 수 있고, 제1아존 바디(210)와 실외 삽입홈(113a)의 사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아존 관통부(221)에 주입된 아존 주입재(240)의 팽창에 의해 제2아존 바디(220)가 팽창되어 실내 삽입홈(123a)의 내면에 밀착됨에 따라, 제2아존 바디(220)와 실내 삽입홈(123a)의 사이의 빈틈이 제거될 수 있고, 제2아존 바디(220)와 실내 삽입홈(123a)의 사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아존 관통부(231)에 주입된 아존 주입재(240)의 팽창에 의해 제3아존 바디(230)가 팽창되어 실외 프레임(110)과 실내 프레임(120) 간의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분리형 아존(200)이 실외 프레임과 실내 프레임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단열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예로, 아존 주입재(240)는 석고 분말, 수분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바인더는 시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아존 주입재(240)는 점탄성 상태의 아존 주입재(240)가 채워진 주입기를 통해 제1아존 관통부(211), 제2아존 관통부(221) 및 제3아존 관통부(231)에 주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은 오픈 조인트(3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모듈러 본체(10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모듈러 본체(100)는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오픈 조인트(30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의 사이에 마련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의 사이를 커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오픈 조인트(300)는 커넥터(301), 레일(302), 이동부재(303), 제1형강(304), 제2형강(305), 삽입홈(306), 삽입부재(307), 걸림돌기(308), 고정돌기(309), 지지부(310), 제1자성체(311), 제2자성체(312) 및 스토퍼(31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01)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에 결합될 수 있고, 레일(302)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에 결합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커넥터(301)는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모듈러 본체(100)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에 자성 결합될 수 있고, 레일(302)은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모듈러 본체(100)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301)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과 제1형강(304)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레일(302)은 커넥터(301)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30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동부재(303)는 레일(302)에 커넥터(301)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레일(302)과 이동부재(303)는 도브테일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302)에는 도브테일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동부재(303)는 도트테임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브테일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형강(304)은 커넥터(30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형강(304)은 내부가 중공될 수 있다.
제2형강(305)은 이동부재(30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형강(305)은 내부가 중공될 수 있다.
삽입홈(306)은 제1형강(304)의 상기 제2형강(305)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삽입홈(306)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재(307)는 제2형강(305)의 제1형강(304)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고, 이동부재(303)의 이동에 연동되는 제2형강(305)의 이동에 따라 삽입홈(306)에 삽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삽입부재(307)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걸림돌기(308)는 삽입부재(307)의 외측 둘레로부터 이동부재(303)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걸림돌기(308)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한 쌍의 걸림돌기(308)는 삽입부재(307)의 외측 둘레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재(307)의 외측 둘레의 양측은 삽입부재(307)의 좌측 외면과 우측 외면일 수 있다.
고정돌기(309)는 삽입홈(306)의 내측 둘레로부터 이동부재(303)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돌기(309)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한 쌍의 고정돌기(309)는 삽입홈(306)의 내측 둘레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홈(306)의 내측 둘레의 양측은 삽입홈(306)의 좌측 내면과 우측 내면일 수 있다.
한편, 걸림돌기(308)는 제2형강(305)의 제1형강(304)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이동에 의해 고정돌기(309)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형강(305)의 제1형강(304)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이동에 의해 걸림돌기(308)가 고정돌기(309)에 걸림 고정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2형강(305)이 제1형강(30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걸림돌기(308)도 고정돌기(309)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고정돌기(309)를 통과한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308)가 고정돌기(309)를 통과하는 동안, 걸림돌기(308)는 고정돌기(309)의 푸싱에 의해 제1형강(30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후, 걸림돌기(308)가 고정돌기(309)를 완전히 통과하면, 걸림돌기(308)가 고정돌기(309)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걸림돌기(308)는 제1형강(30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지며, 고정돌기(309)는 제2형강(30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308)가 고정돌기(309)에 걸림 고정된 후, 걸림돌기(308)가 고정돌기(309)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310)는 제2형강(305)으로부터 걸림돌기(308)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돌기(308)와 걸림 고정된 고정돌기(309)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310)는 고정돌기(309)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제1자성체(311)는 삽입부재(307)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자성체(311)는 삽입부재(307)의 삽입홈(306)에 대향하는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자성체(312)는 삽입홈(306) 또는 제1형강(304)에 마련되고, 걸림돌기(308)가 고정돌기(309)에 걸림 고정될 때, 제1자성체(311)와 자성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자성체(312)는 제1형강(304)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자성체(311)와 제2자성체(312)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스토퍼(313)는 커넥터(301)와 제1형강(304)의 사이에 개재되어, 커넥터(301)와 제1형강(304)의 사이에 단차홈(314)을 형성하며, 단차홈(314)에 삽입된 이동부재(303)의 커넥터(30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2형강(305)의 제1형강(30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이동과 삽입부재(307)의 삽입홈(30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이동도 제한됨에 따라, 스토퍼(313)는 삽입부재(307)가 삽입홈(306)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토퍼(313)는 삽입부재(307)가 삽입홈(306)에 삽입되는 깊이를 걸림돌기(308)가 고정돌기(309)에 걸림 고정되는 지점까지로 제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의 글라스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은 삽입홈(306)과 삽입부재(307)에 복수의 제2미세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부재(307)의 내부에 글라스울(315)이 충진될 수 있다.
글라스울(315)은 삽입홈(306)과 삽입부재(307)의 주변 습기를 흡수함으로써, 삽입홈(306)과 삽입부재(307)의 주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글라스울(315)이 흡수한 습기는 삽입홈(306)과 삽입부재(307)의 복수의 제2미세홀을 통해 건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은 일 실시예와 달리, 오픈 조인트(300)는 복수의 스프링(316), 제1슬립부재(317), 복수의 논슬립부재(318), 제2슬립부재(319) 및 조임볼트(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316)은 커넥터(301)의 제1형강(304)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고, 제1형강(304)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슬립부재(317)는 복수의 스프링(316)의 말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슬립부재(317)는 슬립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논슬립부재(318)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스프링(316)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에로, 논슬립부재(318)는 논슬립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슬립부재(319)는 제1형강(304)의 커넥터(301)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슬립부재(319)는 슬립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임 볼트는 일측이 제1형강(304)의 상기 커넥터(301)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이 제2슬립부재(319)와 결합되며, 제2슬립부재(319)를 커넥터(301)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제1슬립부재(317)는 초기 상태에서 탄성부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복수의 논슬립부재(318)보다 재1형강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논슬립부재(318)는 초기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스프링(316) 사이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 참조)
따라서, 단차홈(314)으로 삽입된 이동부재(303)는 적어도 하나의 제1슬립부재(317)와 제2슬립부재(319)를 따라 슬립될 수 있다. (도 10 참조) 이후, 조임 볼트가 제2슬립부재(319)와 이동부재(303)를 커넥터(30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1슬립부재(317)도 커넥터(301)를 향해 이동되고, 복수의 스프링(316)은 압축되며, 이동부재(303)는 논슬립부재(318)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도 11 참조)
이와 같이, 이동부재(303)가 단차홈(314)으로 삽입될 때, 이동부재(303)가 제1슬립부재(317)와 제2슬립부재(319)를 따라 슬립되며 단차홈(314)으로 삽입됨에 따라, 이동부재(303), 커넥터(301) 및 제1형강(304) 간의 마찰로 인한 이동부재(30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단차홈(314)에 삽입된 이동부재(303)는 조임볼트(320)의 조임에 의해 커넥터(30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논슬립부재(318)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러 도어와 도어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러 도어와 도어 구동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은 일 실시예와 달리, 모듈러 도어(400) 및 도어 구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러 도어(400)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들어, 모듈러 도어(400)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 구동부(500)는 우천시 모듈러 도어(400)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의 사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우천시, 도어 구동부(500)에 의해 모듈러 도어(400)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의 사이를 커버함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의 사이로 침투한 과도한 양의 우수로 인하여, 제1글라스울(204)과 글라스울(315)이 습기 포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500)는 수조(501), 배출부(502), 고정축(503), 회전축(504), 플로터(505) 및 와이어(50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01)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의 사이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조(501)는 모듈러 건축물의 지붕에 마련될 수 있다.
배출부(502)는 우천시, 수조(501)에 채워지는 우수를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배출부(502)는 수조(501)의 좌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배출부(502)는 수조(501)의 하면, 앞면, 뒷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축(503)은 수조(501)에 마련되며, 지주 역할을 할 수 있다.
회전축(504)은 고정축(50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플로터(505)는 회전축(504)의 일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플로터(505)는 부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플로터(505)는 수조(501)에 우수가 채워진 경우, 부력에 의해 상승될 수 있고, 이 때, 회전축(504)의 일단부가 수조(501)의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플로터(505)는 수조(501)에 우수가 채워지지 않은 경우, 플로터(505)의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될 수 있고, 이 때, 회전축(504)의 일단부가 수조(501)의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와이어(506)는 모듈러 도어(400)와 플로터(505)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 구동부(500)는 무게추(507), 보조 회전축(508), 마개(509) 및 보조 플로터(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507)는 회전축(504)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플로터(505)보다 작은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우천시, 수조(501)에 우수가 채워진 경우, 플로터(505)의 부력으로 인하여, 플로터(505)가 마련된 회전축(504)의 일단부가 수조(501)의 상측으로 회전 되는데, 이 때, 무게추(507)는 회전축(504)의 타단부를 하강시키는 하중을 제공함으로써, 플로터(505)가 마련된 회전축(504)의 일단부가 수조(501)의 상측으로 회전되는 회전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5 참조)
보조 회전축(508)은 수조(501)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회전축(508)의 하단부에는 보조 회전축(508)의 회전에 따라 배출부(502)를 개폐하는 마개(509)가 결합될 수 있다.
마개(509)는 보조 회전축(508)의 회전에 따라 배출부(502)를 개폐할 수 있다.
보조 플로터(510)는 보조 회전축(508)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조(501)에 우수가 채워지지 않은 경우, 보조 플로터(510)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되고, 보조 회전축(508)이 수조(501)의 하측으로 회전되며 마개(509)가 하강됨에 따라, 마개(509)가 배출부(502)를 폐쇄할 수 있다. (도 14 참조) 다른 예로, 수조(501)에 우수가 채워진 경우, 보조 플로터(510)는 부력에 의해 상승되고, 보조 회전축(508)이 수조(501)의 상측으로 회전되며 마개(509)가 상승됨에 따라, 마개(509)가 배출부(502)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수조(501)에 채워지는 우수는 마개(509)가 개방한 배출부(50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5 참조)
이하, 우천시와 비우천시, 모듈러 도어(400)와 도어 구동부(5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천시, 수조(501)에 우수가 채워지면, 플로터(505)는 부력에 의해 상승하고 회전축(504)의 일단부는 수조(501)의 상측으로 회전되며 와이어(506)는 하강됨에 따라, 모듈러 도어(400)는 자체 하중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의 사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의 사이를 커버할 수 있다.
그 결과, 우천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의 사이로 침투하는 과도한 양의 우수로 인하여 제1글라스울(204)과 글라스울(315)이 습기 포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보조 플로터(510)는 부력에 의해 상승되고, 보조 회전축(508)이 수조(501)의 상측으로 회전되며 마개(509)가 상승됨에 따라, 마개(509)가 배출부(502)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수조(501)에 채워지는 우수는 마개(509)가 개방한 배출부(50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천종료시, 수조(501)에 채워진 우수는 배수부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수조(501)는 우수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플로터(505)는 자체 하중으로 인하여 하강되며 와이어(506)를 당겨주고, 회전축(504)의 일단부는 수조(501)의 하측으로 회전되며 와이어(506)는 플로터(505)의 당김으로 인해 상승됨에 따라, 모듈러 도어(400)는 와이어(506)의 상승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의 사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러 본체(100)의 사이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제1글라스울(204)과 글라스울(315)이 흡수된 습기가 건조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14에서는 모듈러 본체(100)의 외벽과 내벽과 같은 벽체를 제외하고, 골조만 도시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모듈러 본체
110: 실외 프레임
111: 실외 패널
112: 실외 브라켓
113: 실외 프로파일
113a: 실외 삽입홈
120: 실내 프레임
121: 실내 패널
122: 실내 브라켓
123: 실내 프로파일
123a: 실내 삽입홈
200: 분리형 아존
210: 제1아존 바디
211: 제1아존 관통부
220: 제2아존 바디
221: 제2아존 관통부
230: 제3아존 바디
231: 제3아존 관통부
240: 아존 주입재
300: 오픈 조인트
301: 커넥터
302: 레일
303: 이동부재
304: 제1형강
305: 제2형강
306: 삽입홈
307: 삽입부재
308: 걸림돌기
309: 고정돌기
310: 지지부
311: 제1자성체
312: 제2자성체
313: 스토퍼
314: 단차홈
315: 글라스울
316: 스프링
317: 제1슬립부재
318: 논슬립부재
319: 제2슬립부재
320: 조임볼트
400: 모듈러 도어
500: 도어 구동부
501: 수조
502: 배출부
503: 고정축
504: 회전축
505: 플로터
506: 와이어
507: 무게추
508: 보조 회전축
509: 마개
510: 보조 플로터

Claims (10)

  1. 지붕 또는 외벽이 결합되는 실외 프레임과, 내벽이 결합되는 실내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듈러 본체;
    상기 실외 프레임과 상기 실내 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분리형 아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모듈러 도어; 및
    우천시, 상기 모듈러 도어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의 사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구동부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의 사이의 상측에 마련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채워지는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수조에 마련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플로터; 및
    상기 모듈러 도어와 상기 플로터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우천시, 상기 수조에 채워진 우수에 의해 상기 플로터는 상승되고 상기 와이어는 하강되며 상기 모듈러 도어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프레임은 실외 삽입홈이 형성된 실외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 프레임은 실내 삽입홈이 형성된 실내 프로파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아존은,
    상기 실외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아존 바디;
    상기 실내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아존 바디; 및
    상기 제1아존 바디와 상기 제2아존 바디를 연결하는 제3아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삽입홈, 상기 실내 삽입홈, 상기 제1아존 바디 및 상기 제2아존 바디는 단차진 형태를 갖는,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아존은,
    상기 제1아존 바디에 형성되는 제1아존 관통부;
    상기 제2아존 바디에 형성되는 제2아존 관통부;
    상기 제3아존 바디에 형성되는 제3아존 관통부; 및
    상기 제1아존 관통부, 상기 제2아존 관통부 및 상기 제3아존 관통부에 점탄성 상태로 주입된 다음, 경화되어 팽창되는 아존 주입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아존 바디, 상기 제2아존 바디, 상기 제3아존 바디는 탄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본체는 복수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모듈러 본체는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배열되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오픈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픈 조인트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커넥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모듈러 본체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상기 커넥터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제1형강;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제2형강;
    상기 제1형강의 상기 제2형강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는 삽입홈;
    상기 제2형강의 상기 제1형강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연동되는 상기 제2형강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홈에 삽입 또는 배출되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의 외측 둘레로부터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삽입홈의 내측 둘레로부터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2형강의 상기 제1형강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 고정되는,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형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형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강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고정된 상기 고정돌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에 마련되는 제1자성체; 및
    상기 삽입홈 또는 상기 제1형강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 고정될 때, 상기 제1자성체와 자성 결합되는 제2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형강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형강의 사이에 단차홈을 형성하며, 상기 단차홈에 삽입된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커넥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1형강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형강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는 복수의 스프링;
    복수의 상기 스프링의 말단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슬립부재;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스프링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논슬립부재;
    상기 제1형강의 상기 커넥터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는 제2슬립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1형강의 상기 커넥터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슬립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2슬립부재를 상기 커넥터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임볼트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10. 삭제
KR1020230154150A 2023-11-09 2023-11-09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KR102658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4150A KR102658066B1 (ko) 2023-11-09 2023-11-09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4150A KR102658066B1 (ko) 2023-11-09 2023-11-09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066B1 true KR102658066B1 (ko) 2024-04-18

Family

ID=9084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4150A KR102658066B1 (ko) 2023-11-09 2023-11-09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06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820A (en) * 1986-02-21 1989-04-11 Tcs Containers Pty. Ltd. Cargo containers
JPH062457A (ja) * 1992-06-22 1994-01-11 Takenaka Komuten Co Ltd トイレ用自動開錠装置
JPH09165828A (ja) * 1995-12-18 1997-06-24 Sekisui Chem Co Ltd ワンタッチジョイント
KR100722396B1 (ko) 2005-12-21 2007-05-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시스템
KR101122247B1 (ko) * 2009-11-20 2012-03-20 박성배 공기조화기의 결로방지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1902097B1 (ko) * 2017-02-08 2018-09-27 황종철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
KR102040229B1 (ko) * 2019-01-23 2019-11-06 (주)유니온 기초 바닥판과 기둥, 벽체로 이루어지는 일체 결합형 건축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콘크리트 건물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820A (en) * 1986-02-21 1989-04-11 Tcs Containers Pty. Ltd. Cargo containers
JPH062457A (ja) * 1992-06-22 1994-01-11 Takenaka Komuten Co Ltd トイレ用自動開錠装置
JPH09165828A (ja) * 1995-12-18 1997-06-24 Sekisui Chem Co Ltd ワンタッチジョイント
KR100722396B1 (ko) 2005-12-21 2007-05-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시스템
KR101122247B1 (ko) * 2009-11-20 2012-03-20 박성배 공기조화기의 결로방지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1902097B1 (ko) * 2017-02-08 2018-09-27 황종철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
KR102040229B1 (ko) * 2019-01-23 2019-11-06 (주)유니온 기초 바닥판과 기둥, 벽체로 이루어지는 일체 결합형 건축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콘크리트 건물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8482A (en) Building block construction
US7562507B2 (en) Vacuum insulated building panel
US8898983B2 (en) Waffle slab interlocking wall
RU2543396C2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й
US5313753A (en) Construction wall panel and panel structure
CN212506882U (zh) 用于预制夹心保温外墙的水平接缝
US4702058A (en) Thermal structural wall panel
US6098367A (en) Constructive system applied for buildings
CN213897682U (zh) 一种装配式内隔墙
US4726157A (en) Building
KR102658066B1 (ko) 분리형 아존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US4274242A (en) Building systems
US202200495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ofitting an existing building
US4109430A (en) Demountable partition wall
KR101385558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2658062B1 (ko) 길이 확장이 용이한 친환경 모듈러 건축물
KR102658065B1 (ko)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친환경 모듈러 건축물
KR102658067B1 (ko) 오픈 조인트를 구비한 친환경 모듈러 건축물
KR102658061B1 (ko) 마그넷 조인트를 구비한 친환경 모듈러 건축물
KR102658063B1 (ko) 모듈러 본체 간의 내부 이동이 가능한 모듈러 건축물
KR102658064B1 (ko) 패널라이징 방식의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모듈러 건축물
CN213448980U (zh) 一种装配式轻钢住宅建筑系统
US2094265A (en) Building construction
CN109838031B (zh) 一种可快速拼装的耗能填充墙板
CN113047441A (zh) 装配式建筑的安装结构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