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970B1 -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970B1
KR102657970B1 KR1020210191390A KR20210191390A KR102657970B1 KR 102657970 B1 KR102657970 B1 KR 102657970B1 KR 1020210191390 A KR1020210191390 A KR 1020210191390A KR 20210191390 A KR20210191390 A KR 20210191390A KR 102657970 B1 KR102657970 B1 KR 102657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data
energy efficiency
facility grou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1356A (ko
Inventor
서천석
박재화
권달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플랫폼
Priority to KR102021019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970B1/ko
Publication of KR2023010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6Energy services, e.g. dispersed generation or demand or load or energy savings aggre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으로서, 대상기업에 설치되어 에너지절감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장치; 및 상기 데이터수집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제1 기간 동안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에너지절감량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산출하여 상기 대상기업에 할당하는 포인트할당부를 구비하는 중개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A BROKERAGE SYSTEM FOR ENERGY EFFICIENCY PROJECTS}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기업의 참여의욕을 고취시켜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중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사회로 접어들면서 에너지(특히, 화석 연료)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온실 가스 배출량이 증가하고, 온실 가스에 의한 지구 온난화에 기인하여 각종 기상 이변, 해수면 상승, 사막화 등 각종 기후 변화의 심각성이 국제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수요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해, 에너지 수요를 관리하는 수요관리투자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에너지 절감과 관련된 효율성향상분야는 대부분 에스코 사업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특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103265호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특허는, 대상기업에 대해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력 절감량을 산출하고, 온실가스배출권으로 계량한 후 온실가스검증기관으로 전송하고, 인증기관에 의해 인증된 온실가스 배출권을 수신하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특허에서는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기반으로 전력 절감량을 산출하여 배출권을 수신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는데, 현행제도상 에너지 절감량을 배출권으로 환산받기 위해서는, 적어도 1년 이상, 일반적으로 3년 이상의 전력사용량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제도의 변경없이 단기간의 실시간 전력사용량 데이터만으로는 배출권을 취득할 수 없다.
대상기업은 사업기간이 종료하기 전까지 에너지 절감 조치에 대한 현실적인 이익을 받을 수 없고, 에너지 절감량 인증을 위한 번거로운 형식적인 절차를 계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화 사업에 대한 기업의 선호도가 떨어져서 에너지 효율화 사업 활성화에 장애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은, 대상기업에 설치되어 에너지절감량 정보를 포함하는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장치; 및 상기 데이터수집장치로부터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제1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량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산출하고, 상기 포인트를 상기 대상기업에 할당하는 포인트할당부를 구비하는 중개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생성하는 리포트생성부 및 상기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에너지절감 인증서버에 제출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집장치는, 상기 대상기업의 에너지사용량 및 생산량을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에너지사용량 및 생산량에 기반하여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산출하는 데이터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집장치는, 상기 에너지사용량 및 상기 생산량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절감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대상기업 및 상기 중개서버로 데이터 이상유무를 고지하는 데이터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판단부는, 상기 에너지절감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상기업 및 상기 중개서버로 데이터 이상유무를 고지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대상기업의 에너지사용량은,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된 제1 설비군에 대한 제1 에너지사용량;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되지 않은 제2 설비군 중 상기 제1 설비군과 동일공정을 진행하는 제3 설비군에 대한 제3 에너지사용량; 및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되지 않은 제2 설비군 중 상기 제1 설비군과 동일공정을 진행하지 않는 제4 설비군에 대한 제4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하고, 대상기업의 생산량은, 상기 제1 설비군의 생산량, 상기 제3 설비군의 제3 생산량, 상기 제4 설비군의 제4 생산량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판단부는, 상기 제1, 제3, 제4 에너지사용량, 상기 제1, 제3, 제4 생산량을 기반으로 데이터 이상유무를 판단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할당부는, 상기 제1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량에 대응되는 배출권의 가격을 산출하고, 상기 배출권 가격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상기 대상기업에 할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서버는, 대상기업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에너지절감량을 포함한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수신된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제1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량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산출하고, 상기 포인트를 상기 대상기업에 할당하는 포인트할당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생성하는 리포트생성부 및 상기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에너지절감 인증서버에 제공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요청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할당부는, 상기 제1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량에 대응되는 배출권의 가격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배출권의 가격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상기 대상기업에 할당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생성하는 리포트생성부; 및 상기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에너지절감 인증서버에 제출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수행한 대상기업이 에너지절감을 통해 장래에 취득할 배출권을 중개서버가 취득하는 대신, 대상기업은 배출권에 대한 보상으로 일정기간마다 현금화 가능한 포인트를 중개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대상기업들의 에너지 효율화 사업에 대한 동기를 일으켜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판단부가 에너지절감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에너지절감 데이터의 이상에 따른 잘못된 포인트 할당을 방지하여 중개서버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개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판단부의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 시스템에 의하면,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수행한 대상기업이 에너지절감을 통해 장래에 취득할 배출권을 중개서버가 취득하고, 대상기업은 배출권에 대한 보상으로 일정기간마다 현금화 가능한 포인트를 중개서버로부터 제공받는다.
여기서 중개 시스템(10)은 프로그램 감축사업을 등록받은 에스코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시스템이며, 대상기업은 배출권을 포인트로 선급받는 계약을 에스코 사업자와 체결한 기업일 수 있다. 그리고 투자관리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이다.
에스코 사업자와 투자자가 대상기업에 대해 에너지 효율향상 프로젝트를 진행한 경우, 사업기간 동안 에너지절감 금액은 에스코사업자와 투자자의 소유가 되고, 사업기간이 종료되면 에너지절감 금액은 대상기업 소유가 된다.
도 1에서 데이터수집장치(200)는 대상기업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나로 도시되었지만, 대상기업이 복수인 경우 데이터수집장치는 대상기업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될 수도 있고, 대상기업 각각에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기업의 제1 설비군에 대해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된 것을 전제로 하되, 기업은, 제1 설비군 외에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되지 않은 제2 설비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설비군은 제1 설비군과 동일공정을 진행하는 제3 설비군과, 제1 설비군과 동일공정을 진행하지 않는 제4 설비군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유닛 간 통신은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인터넷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개시스템(10)은, 중개서버(100), 데이터수집장치(200)를 포함한다.
중개서버(100)는, 데이터수집장치(200)로부터 에너지절감량정보를 포함한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고, 제1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량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산출하여 대상기업에 할당하고, 제2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생성하고 에너지절감 인증서버(300)에 인증을 요청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개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개서버(100)는, 데이터수신부(110), 데이터저장부(120), 포인트할당부(130), 리포트생성부(140), 인증부(150), 결산부(160)를 포함한다.
데이터수신부(110)는, 대상기업에 설치된 데이터수집장치(200)로부터 제1 기간마다 에너지절감량 정보를 포함한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기간은 분단위, 시간단위, 일단위 또는 월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후술하는 에너지절감량을 인증받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기간인 제2 기간에 비해 제1 기간은 단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에너지절감 데이터는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된 제1 설비군에 대한 제1 에너지사용량과 제1 설비군의 생산량, 그리고 제1 설비군에 대한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되기 이전인 제1 설비군의 과거 에너지사용량과 과거 산량을 기반으로 아래 수식에 의해 산출되는 에너지절감량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에너지절감량 =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되기 전 제1 설비군에 대한 제1 에너지사용량 -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된 이후 제1 설비군에 대한 제1 에너지사용량 + 보정량
여기서 보정량은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된 이전의 생산량과 이후의 생산량에 기초하여 산정하며, 보정량과 관련된 공식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IPMVP에 개시되어 있다.
데이터저장부(120)는 저장장치로서, 제1 기간마다 수신되는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저장한다.
포인트할당부(130)는, 제1 에너지절감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절감량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기업에 제공할 포인트를 산출하고, 산출된 포인트를 기업에 할당한다. 이때 포인트를 기업에 할당하는 시기는 제1 기간이 아닌 제1 기간의 정수배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최종 계산된 에너지절감량과, 장래에 실제로 인증받은 에너지절감량 간 오차를 고려하여, 해당 차이에 대응되는 오차포인트를 제외한 포인트만을 대상기업에 할당할 수 있다. 오차포인트는, 추후 결산부(160)에 의해 정산되어 지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된 에너지절감량과, 실제 인증받은 에너지절감량 간 발생할 수 있는 오차가 5% 내외인 경우, 5%에 해당되는 오차포인트를 제외한 95% 포인트를 대상기업에 할당할 수 있다.
대상기업은 할당된 포인트를 투자관리서버(400)에서 현금화할 수 있다. 투자관리서버(400)가 중개서버(100)로 포인트를 할당하고, 중개서버(100)는 대상기업에 에너지절감량에 기반하여 포인트의 일부를 대상기업에 할당한다.
이에 따르면 대상기업은 포인트를 획득하여 즉시 현금화할 수 있으므로, 대상기업 외의 기업들의 에너지 효율화 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게 되어 에너지 효율화 사업이 활성화될 수 있다.
리포트생성부(140)는, 제2 기간에 대응되는 대상기업의 연속된 복수의 제1 에너지절감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에너지절감 인증서버(300)가 요구하는 리포트는 IPMVP(Intern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protocol)등과 같은 공인된 형식을 따른다. 한편 리포트생성부(140)는 추가정보 입력을 통해 자체적으로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생성하거나, 중개서버 사업자에게 에너지 절감 리포트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기간은 배출권을 인증받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간은 1년, 3년, 5년 등의 연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인증부(150)는 에너지절감 인증서버(300)에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제공하거나 또는 우편으로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인정서버(300)로부터 배출권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배출권은 대상기업에 지급한 포인트의 대가로 중개시스템 소유가 된다.
결산부(160)는 인증부(150)에 의해 취득한 배출권의 현금가치와 대상기업에 대해 지급한 포인트의 현금가치의 차액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대상기업에 제공한다. 여기서 차액은 외부기업 인증실적 취득일을 기준으로 산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수집장치(200)는, 에너지 절감 데이터를 중개서버(100)의 데이터수신부(110)에 제공한다. 이때 에너지 절감 데이터는, 포인트 할당의 기초가 되는, 제1 기간동안의 에너지 절감량을 신속히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에너지 절감량 산출장치(200)는, 데이터수집부(210), 데이터판단부(220), 데이터산출부(230)를 포함한다.
데이터수집부(210)는, 에너지 효율화 사업이 적용된 제1 설비군(M1)에 대한 에너지사용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수집부(210)는 에너지 효율화 사업이 적용되지 않은 제2 설비군(M2)에 대해서도 에너지사용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2 설비군(M2)은 제1 설비군(M1)과 동일 공정을 진행하는 제3 설비군(M3)와, 이전 공정 또는 후속 공정 등의 상이공정을 진행하는 제4 설비군(M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데이터수집부(210)는 제조관리시스템(MES), 공장에너지 관리시스템(FEMS)와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설비가동효율, 설비생산량 등의 생산관련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외에도 데이터수집부(210)는 데이터 누락 등의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가 누락된 경우, 데이터수집부(210)는 데이터수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판단부의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전력사용량의 증감은, 과거 시점에서의 전력사용량 대비 현재 t시점에서의 전력사용량의 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의미한다.
데이터판단부(220)는, 에너지 효율화 사업이 적용된 제1 설비군(M1), 에너지 효율화 사업이 적용되지 않은 동일공정을 진행하는 제3 설비군, 에너지 효율화 사업이 적용되지 않은 제4 설비군(M4) 각각의 에너지사용량 및 생산량을 고려하여 고려하여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산량이란 설비군에서 공정처리한 횟수를 의미하고, 제4 설비군이 상이공정을 진행한다는 의미는, 제1 및 제3 설비군이 진행하는 공정의 후속공정, 이전공정을 진행한다는 의미이다.
제1 설비군과 제3 설비군이 제1 공정을 진행하고, 제4 설비군이 제2 공정을 진행한다고 할 때, 제1 공정처리 횟수는 제2 공정처리 횟수에 비례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1 공정처리 횟수는 증가하는데 제2 공정처리 횟수가 감소하거나, 제1 공정처리 횟수가 감소하는데 제2 공정처리 횟수가 증가하면 에너지절감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공정처리 횟수는 생산량에 해당되며, 전력사용량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구분1에 표시된 제1 설비군과 제3 설비군의 전력사용량이 증가할 때, 제1 및 제3 설비군이 진행하는 공정의 후속공정 또는 이전공정을 진행하는 제4 설비군의 전력사용량의 변화가 없는 경우, 제4 설비군의 전력사용량의 변화가 없는 것에 의해 전체 생산량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는데, 이와 반대로 제1 및 제3 설비군의 전력사용량이 증가하므로 전체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데이터판단부(210)는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구분2, 구분7, 구분8과 같은 상태인 경우, 데이터판단부는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이상판단결과는 고정된 것은 아니며, 기업마다 다른 이상판단결과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판단부가 서로 다른 공정별 에너지사용량을 비교하여 데이터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데이터 이상유무를 중개서버 사용자에게 고지하므로, 에너지절감 데이터의 이상에 따른 잘못된 포인트 할당을 방지하여 중개서버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데이터산출부(230)는, 데이터가 이상없는 경우, 수집된 전략사용량정보에 기초하여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중개서버(100)의 데이터수신부(110)에 제공한다.
에너지절감 데이터는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된 제1 설비군에 대한 제1 에너지사용량과 제1 설비군의 생산량, 그리고 제1 설비군에 대한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되기 이전인 제1 설비군의 과거 에너지사용량과 과거 생산량을 기반으로 수학식1에 의해 산출되는 데이터로서 데이터수신부(11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에너지절감 인증서버(300)는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분석하여 에너지절감량을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인증기관에 의해 운영된다.
투자관리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 컴퓨터로서, 투자관리서버(400)는 중개서버(100)에 포인트를 제공하고, 대상기업이 포인트의 현금화를 요청하면, 중개서버(100)에서 대상기업에 할당된 포인트를 검색하고, 대상기업이 요청한 포인트에 대응되는 현금을 대상기업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수행한 대상기업이 에너지절감을 통해 장래에 취득할 배출권을 중개서버가 취득하는 대신, 대상기업은 배출권에 대한 보상으로 일정기간마다 현금화 가능한 포인트를 중개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대상기업들의 에너지 효율화 사업에 대한 동기를 일으켜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판단부가 에너지절감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에너지절감 데이터의 이상에 따른 잘못된 포인트 할당을 방지하여 중개서버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또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 실시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서,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인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메모리와, 비휘발성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 로딩되는 RAM과, RAM에 로딩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메모리는 하드디스크드 라이브, 플래쉬메모리, ROM, CD-ROMs, 자기테이프(magnetic tapes), 플로피 디스크, 광기억 장치(optical storage)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휘발성메모리는 본 발명의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이 기록된 기록매체(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의 일례이다.
10: 중개시스템
100: 중개서버
110: 데이터수신부
120: 데이터저장부
130: 포인트할당부
140: 리포트생성부
150: 인증부
200: 데이터수집장치
300: 에너지절감 인증서버
400: 투자관리서버

Claims (10)

  1.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으로서,
    대상기업에 설치되어 에너지절감량 정보를 포함하는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장치; 및
    상기 데이터수집장치로부터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제1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량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산출하고, 상기 포인트를 상기 대상기업에 할당하는 포인트할당부를 구비하는 중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수집장치는,
    상기 대상기업의 에너지사용량 및 생산량을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수집된 에너지사용량 및 생산량에 기반하여 에너지절감량 데이터를 산출하는 데이터산출부; 및
    상기 수집된 에너지사용량 및 생산량에 기반하여 데이터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데이터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판단부는,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된 제1 설비군의 에너지사용량 및 생산량을, 상기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되지 않은 제2 설비군 중 동일공정을 진행하는 제3설비군 및 상이공정을 진행하는 제4설비군 각각의 에너지사용량 및 생산량과 비교하여,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생성하는 리포트생성부 및
    상기 에너지 절감 리포트를 에너지절감 인증서버에 제출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판단부는,
    상기 에너지절감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상기업 및 상기 중개서버로 데이터 이상유무를 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할당부는,
    상기 제1 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량에 대응되는 배출권의 가격을 산출하고, 상기 배출권 가격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상기 대상기업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8.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의 데이터수집장치에 있어서,
    대상기업의 에너지사용량 및 생산량을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수집된 에너지사용량 및 생산량에 기반하여 에너지절감량 데이터를 산출하는 데이터산출부; 및
    상기 수집된 에너지사용량 및 상기 수집된 생산량에 기반하여 데이터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데이터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판단부는,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된 제1 설비군의 에너지사용량 및 생산량을, 상기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적용되지 않은 제2 설비군 중 동일공정을 진행하는 제3설비군 및 상이공정을 진행하는 제4설비군 각각의 에너지사용량 및 생산량과 비교하여, 상기 에너지절감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의 데이터수집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91390A 2021-12-29 2021-12-29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KR102657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390A KR102657970B1 (ko) 2021-12-29 2021-12-29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390A KR102657970B1 (ko) 2021-12-29 2021-12-29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356A KR20230101356A (ko) 2023-07-06
KR102657970B1 true KR102657970B1 (ko) 2024-04-17

Family

ID=8718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390A KR102657970B1 (ko) 2021-12-29 2021-12-29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9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236B1 (ko) * 2011-10-10 2011-12-28 주식회사 유비투비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JP2013040754A (ja) 2011-07-15 2013-02-28 Daikin Industries Ltd 設備機器の制御装置
KR101419049B1 (ko) * 2014-01-20 2014-07-14 (주)뉴월드마리타임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시스템을 이용한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방법, 그리고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925A (ko) * 2011-12-23 2013-07-22 주식회사 케이티 발전원에 따른 차등적 탄소배출권을 이용한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807975B1 (ko) * 2016-12-01 2018-01-19 김영민 계측기 하부 설비별로 계측 데이터에 대한 분배율 적용을 통한 제품의 에너지 비용 산출 모듈을 포함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KR20170087059A (ko) * 2017-04-21 2017-07-27 이순성 소규모 전력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통해 전력 소비량을 절감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77908B1 (ko) * 2018-10-17 2020-11-12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0754A (ja) 2011-07-15 2013-02-28 Daikin Industries Ltd 設備機器の制御装置
KR101100236B1 (ko) * 2011-10-10 2011-12-28 주식회사 유비투비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1419049B1 (ko) * 2014-01-20 2014-07-14 (주)뉴월드마리타임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시스템을 이용한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방법, 그리고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356A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507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ergy efficient building equipment and services
US8548833B2 (en) Insurance product, rating system and method
US87256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risking a pension fund
US67855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US20160072287A1 (en) Comfort-driven optimization of electric grid utilization
US20040230443A1 (en)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aggregating, and transferring environmental emisssion reductions
US201003323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ticipation in energy-related markets
EP41603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Dhamija et al. Forecasting volatility of carbon under EU ETS: a multi-phase study
Eichman et al. Operational benefits of meeting California's energy storage targets
Datta Decoupling and demand-side management: Evidence from the US electric industry
WO2022009715A1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657970B1 (ko)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Milligan A chronological reliability model to assess operating reserve allocation to wind power plants
JP4427376B2 (ja) 発電設備運用管理支援システム、その運用管理支援方法およびその運用管理支援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Davidson et al. US residential photovoltaic (PV) system prices, Q4 2013 Benchmarks: cash purchase, fair market value, and prepaid lease transaction prices
Maier Operation & maintenance costs of photovoltaic power plants: A Swiss benchmark and outlook
Hillebrand et al. Evaluation tool and retrofit matrix for office buildings
AU2007202560B2 (en) Electric-power-generating-facility operation management support system, electric-power-generating-facility operation management support method, and program for executing operation management support method on computer
Dean et al. Energ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Technical Resources Report
White et al. Demonstrating Enhanced Demand Response Program Participation for Naval District Washington (NDW)
Kromer et al. National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protocols
CN117217928A (zh) 一种基于协调发展评估模型的电网投资决策方法
Woolf et al.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Cost-Effectiveness of Demand
Thakral Using real options to value optimal threshold for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of a tax credit based on cost of carbon off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