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091B1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to remove harmful oral bacteria and restore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 Google Patents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to remove harmful oral bacteria and restore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091B1
KR102657091B1 KR1020230107870A KR20230107870A KR102657091B1 KR 102657091 B1 KR102657091 B1 KR 102657091B1 KR 1020230107870 A KR1020230107870 A KR 1020230107870A KR 20230107870 A KR20230107870 A KR 20230107870A KR 102657091 B1 KR102657091 B1 KR 102657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teria
weight
periodontitis
oral
tetracyc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7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동열
Original Assignee
정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열 filed Critical 정동열
Priority to KR1020230107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0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0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5Tetracyc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3Periodo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Abstract

치주질환의 치료에 적당한 농도의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조성물과 치료대상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력과 구강 미생물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도조절제 등을 포함하는 고농도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성분으로 하는 치주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테크라사이클린꼐 항생제 25 내지 35 중량%; 용제 42 내지 50 중량%; 점도조절제 9 내지 12 중량%; 계면활성제 4 내지 9 중량%; 및 습윤제 13 내지 21 중량%을 포함하는 치주염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치주염의 원인이 되는 유해균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구강 내의 세균 다양성이 향상되어 장기적 관점에서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의 회복 및 이를 통한 구강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Periodontal disease made of high-concentration tetracycline-based antibiotics, including a tetracycline-based antibiotic composition at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and a viscosity regulator that can have a stable fixation on the treatment area and a positive effect on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The aim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25 to 35% by weight of tetracycline antibiotic; 42 to 50% by weight of solvent; 9 to 12% by weight of viscosity modifier; 4 to 9% by weight of surfactant; and 13 to 21% by weight of a humectant. According to this, harmful bacteria that cause periodontitis can be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ed. Furthermore, the bacterial diversity in the oral cavity is improved, which can promote the recovery of the oral microbiome and oral health through thi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Description

유해 구강세균 제거 및 구강 미생물 생태계 복원을 위한 고농도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함유하는 치주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TO REMOVE HARMFUL ORAL BACTERIA AND RESTORE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for removing harmful oral bacteria and restoring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ECOSYSTEM}

본 발명은 구강 내에서 발생하는 치주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고농도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함유하는 치주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향상된 치주질환 치료 효능과 함께 구강 내 세균 생태계의 유지까지 고려한 고농도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함유하는 치주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to improve periodontal disease occurring in the oral cavity. More specifically, it provides improved periodontal disease treatment efficacy and maintenance of the bacterial ecosystem in the oral cav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은 풍치라고도 불리며, 특히 염증이 잇몸과 잇몸 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periodontitis)이라고 한다. Periodontal disease is also called periodontal disease, and especially when the inflammation has progressed to the gums and gum bones, it is called periodontitis.

치주염의 주된 원인 중의 하나는 치아 및 잇몸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필름(biofilm: 치태, 세균막이라고도 한다)을 구성하는 박테리아(세균)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구강 내 세균이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어 바이오필름이라는 막을 이루고, 여기서 방출되는 독소 등이 잇몸 주변조직에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것이 치주염을 비롯한 치주질환의 주된 원인이다. It is known that one of the main causes of periodontitis is the action of bacteria that make up the biofilm (also called plaque or bacterial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eeth and gums. In other words, oral bacteria attach to the surface of the teeth to form a film called biofilm, and toxins released from this cause an inflammatory reaction in the tissues surrounding the gums, which is the main cause of periodontal diseases, including periodontitis.

염증이 진행됨에 따라 치주인대 조직이 손상되면 치아와 잇몸이 사이에 주머니 형태의 치주낭이 형성되고, 치주낭 내에 고름(농; pus)이 차면서 악화된다. 그 결과 치아와 잇몸 사이는 더욱 벌어져서 치아가 흔들리게 되고 심한 경우 치아가 탈락되기도 한다. As the inflammation progresses and the periodontal ligament tissue is damaged, a pocket-shaped periodontal pocket is formed between the tooth and the gums, and the periodontal pocket gets worse as pus fills in the periodontal pocket. As a result, the space between the teeth and gums becomes wider, causing the teeth to become loose, and in severe cases, the teeth may fall out.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박테리아로는 바이오필름 내의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타네렐라 포르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등을 들 수 있다. Major bacteria that cause periodontal disease include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and Treponema denticola in biofilms.

예방적으로는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지 않도록 양치질, 스케일링 등의 평소 치아 관리가 중요하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미 급성 또는 만성치주염으로 이행한 경우, 치주낭을 비롯한 치아 주변 조직의 박테리아를 항생제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필요하다. Preventatively, it is important to take care of your teeth regularly, such as brushing and scaling your teeth, to prevent biofilm from forming.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if it has already progressed to acute or chronic periodontitis, it is necessary to use antibiotics to remove bacteria in the tissues surrounding the teeth, including the periodontal pockets.

박테리아 제거를 위해 다양한 항생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구강은 소화기계와 연결되는 입구이고, 물질 침투가 용이한 점막구조를 가지므로, 일반적인 피부표면에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그 선택 및 사용방법이 제한된다.A variety of antibiotics are used to remove bacteria. In particular, the oral cavity is the entrance connected to the digestive system and has a mucous membrane structure that allows substances to easily penetrate, so the selection and method of use are limited compared to those used on general skin surfaces.

특히, 구강 내에는 위에서 언급한 치주염을 유발하는 세균도 있지만,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프레보텔라(Prevotella),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등은 섬유소 등을 먹이로 하여 면역작용 등에 기여하는 짧은사슬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s; SCFAs)을 생성하는 등 구강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나아가 기존에는 유해균으로 알려졌던 세균들이 인체에 긍정적인 작용도 한다는 연구결과도 속속 밝혀지고 있다. In particular, there are bacteria in the oral cavity that cause the periodontitis mentioned above, including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Bacteroides, Prevotella, Streptococcus, etc. It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oral health by feeding on fiber and other nutrients to produce short-chain fatty acids (SCFAs) that contribute to immune function. Furthermore, research results are coming to light that bacteria that were previously known as harmful bacteria als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human body.

즉. 구강 내의 여러 세균들은 미생물 생태계(microbiome)를 이루며, 다양한 세균들이 균형적으로 공존할 때 구강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치주염 치료에 있어 일차적으로는 치주염 유발균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우선시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유해세균이 지나치게 늘어나거나 구강 내 세균 간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항생제를 적절히 선택하고 사용하는 것이 장기적 관점에서 구강건강에 중요하다. in other words. Various bacteria in the oral cavity form a microbial ecosystem (microbiome), and when various bacteria coexist in a balanced manner, it has a positive effect on oral health. Therefore, in treating periodontitis, the priority is to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e periodontitis-causing bacteria, but on the other hand,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all bacteria, but to prevent excessive growth of harmful bacteria or disruption of the balance between oral bacteria. Appropriate selection and use of antibiotics is important for long-term oral health.

즉, 항생제의 선택 못지않게 그 농도 및 약효 지속시간 조절, 점도 조절을 통한 염증부위에서 체류시간 조절 및 미생물 생태계의 복원에 도움이 되는 첨가제의 사용 등도 중요하다. In other words, as important as the selection of antibiotics,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and duration of drug effect, control residence time in the inflamed area by controlling viscosity, and use additives that help restore the microbial ecosystem.

치주염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의 부작용으로 소화불량, 설사뿐만 아니라, 클로스트리듐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 C difficile)이 발병되는 것이 보고되는 것도 이와 같이 미생물 생태계의 훼손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즉, 가능하면 유해세균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항생제의 선택 및 사용이 매우 중요하다.Reports of the development of Clostridium difficile (C difficile) as well as indigestion and diarrhea as side effects of antibiotics used to treat periodontiti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prevent damage to the microbial ecosystem. . In other words, if possible,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and use antibiotics that selectively kill only harmful bacteria.

항생제의 선택면에서 구강의 치주염을 치료하기 위한 사용되는 것으로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 등의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Tetracycline Antibiotics)을 들 수 있다. In terms of antibiotic selection, tetracycline antibiotics such as tetracycline, doxycycline, and minocycline are used to treat oral periodontitis.

종래기술 등에서는 이 중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의 사용과 관련하여 구강질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하거나, 오랜기간 약물이 작용하도록 서방성을 가지도록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In the prior art, there are known methods related to the use of doxycycline, such as adjusting the concentration to improve the effect of treating oral diseases, or providing sustained release so that the drug acts for a long period of time.

농도 조절과 관련하여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의 일종인 독시사이클린은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여 세균뿐 아니라, 리케차, 클라미디아, 미코플라스마 등의 미생물 감염 치료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고농도를 적용하고, 치주질환 개선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저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선행기술들에서도 치주질환에 사용하는 독시사이클린은 비교적 저농도의 범위에서 사용하고 있다. Regarding concentration control, doxycycline, a type of tetracycline antibiotic, inhibits bacterial protein synthesis, so when used as a treatment for microbial infections such as rickettsiae, chlamydia, and mycoplasma as well as bacteria, a high concentration is applied, and it is used to improve periodontal disease. When used, it is generally used in low concentrations. Accordingly, in prior art, doxycycline used for periodontal disease is used in a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range.

하지만, 일부 선행발명에서는 그 사용범위를 대폭 확장하여 2 내지 50중량% 또는 20% 이상 등으로 광범위하게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 고농도의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을 비롯한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사용하면 치주염을 유발하는 세균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나, 한편으로는 과다한 항생제 사용으로 정상적인 구강 미생물 생태계가 파괴되어 장기적 관점에 구강 및 다른 신체기관에 나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의 남용은 치아변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However, in some prior inventions, the range of use has been greatly expanded and is broadly set at 2 to 50% by weight or 20% or more. In this case, the use of tetracycline antibiotics, including high concentrations of doxycycline, can quickly and effectively eliminate the bacteria that cause periodontitis. However, on the other hand, excessive use of antibiotics destroys the normal oral microbial ecosystem, thereby damaging the oral cavity in the long term. It is highly likely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other body organs. Additionally, overuse of doxycycline can cause tooth discoloration.

한편 약의 작용이 천천히 장기간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치주염 치료제 조성물이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70307 (2013.06.27. 공개) 등에 공개되어 있다. 이는 독시사이클린 등의 항생제에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수용성 고분자, 항산화 성분 및 연고기제를 일정한 비율로 사용한 조성물에 의하여 약효가 일정시간에 걸쳐 천천히 나타내도록 한다. 이러한 서방성은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을 비롯한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계 항생제를 치주질환치료에 적용함에 있어 시간적 관점에서 약효의 작용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인 치주질환 치료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 것이다. Meanwhile, a composition for treating periodontitis to ensure that the drug's action appears slowly and over a long period of time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70307 (published on June 27, 2013). This is a composition that uses antibiotics such as doxycycline, polyacrylic acid polymer, water-soluble polymer, antioxidant ingredients, and ointment base in a certain ratio, so that the medicinal effect appears slowly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sustained-release effect is intended to achieve effective periodontal disease treatment by controlling the effect of the drug from a time perspective when applying tetracycline antibiotics, including doxycycline, to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위와 같은 시간의 관점에서의 서방성도 중요하지만, 일반피부와는 다른 다습한 점막환경이며, 저작작용 등으로 구강내의 치아나 잇몸은 계속적으로 움직이므로, 치료제의 점도 조절 등을 통하여 일정시간 치주염 발생 부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와 같이 항생제 등이 치료대상 부위에 안정적으로 일정시간 고정되어 있으면, 결과적으로 항생제의 사용량을 늘리지 않아도 충분한 치료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과다한 항생제 사용에 의한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손상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Sustained release in terms of time as above is important, but it is a humid mucous membrane environment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skin, and teeth and gums in the oral cavity continuously move due to mastication, etc., so the area where periodontitis occur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controlling the viscosity of the treatment agent. It is also important to ensure that it is stably fixed. In this way, if antibiotics are stably fixed to the treatment target a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ufficient therapeutic effect can be achieved without increasing the amount of antibiotics used, and the problem of oral microbiome damage caused by excessive use of antibiotics can also be resolved.

즉, 치주염 치료에 효과적인 독시사이클린을 비롯한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의 농도를 결정하고, 치료대상 부위에 필요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구강 내 미생물 생태계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적절한 점도조절제 등의 첨가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In other words, it determines the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including doxycycline, which are effective in treating periodontitis, and determines the concentration of appropriate viscosity regulators that can be stably fixed to the treatment target area for the required time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icrobial ecosystem environment in the oral cavity. Choosing additives is importa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6106호(2014.06.13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06106 (announced on June 13, 201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06788호(2003.01.23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06788 (published on January 23, 2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8978호(2021.11.19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28978 (announced on November 19, 202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86908호(1999.05.01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186908 (announced on May 1, 1999)

삭제delet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주염을 비롯한 치주질환의 치료에 적당한 농도의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와 치료대상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력과 구강 미생물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도조절제 등을 포함하는 유해 구강세균 제거 및 구강 미생물 생태계 복원을 위한 고농도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함유하는 치주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rmful oral treatment containing tetracycline-based antibiotics at a concentration appropriate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s, including periodontitis, and a viscosity regulator that has a stable fixation force on the treatment target area and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The aim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for removing bacteria and restoring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삭제delete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2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고농도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함유하는 치주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including 25 to 35% by weight of tetracycline antibiotics.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하면, 치주염의 원인이 되는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타네렐라 포르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등의 유해균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e harmful bacteria such as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and Treponema denticola, which cause periodontitis. there is.

또한 치료제 조성물이 치료대상 부위에 6분이상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지속적으로 항균 작용을 하여 적은 치료제를 사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치주염의 원인이 되는 세균들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apeutic composition is stably fixed to the treatment target area for more than 6 minutes and has a continuous antibacterial effect, so that bacteria that cause periodontitis can be effectively removed while using a small amount of therapeutic agent.

나아가, 치료제 조성물에 포함한 세균의 먹이가 되는 식이섬유나 저항성 전분 등의 성분으로 인해, 구강 내의 세균 다양성이 향상되어 장기적 관점에서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의 회복 및 이를 통한 구강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Furthermore, due to ingredients such as dietary fiber and resistant starch that serve as food for bacteria included in the therapeutic composition, bacterial diversity in the oral cavity is improved, thereby promoting the recovery of the oral microbiome and oral health through thi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또한, 액상 또는 연고 형태의 고상 제재의 치료제를 제조할 수 있어 치료의 편리성이 제고되고, 환자들은 신속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함에 따라 시간적 및 경제적 측면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eatment can be manufactured as a solid preparation in liquid or ointment form,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reatment, and patients can receive help in terms of time and economics by enabling rapid and effective treatment.

도 1은 치아-잇몸 모사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독시사이클린의 농도에 따른 시간별 유해균 콜로니의 상대적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는 독시사이클린의 농도에 따른 시간별 유익균 콜로니의 상대적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점도조절제의 농도에 따른 시간별 잔존 조성물의 도포범위의 상대적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tooth-gum replica.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size change of harmful bacteria colonies over tim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doxycycline.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size change of beneficial bacteria colonies over tim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doxycycline.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size change in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remaining composition over tim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viscosity modifier.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고농도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함유하는 치주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하, ‘치주염 개선용 조성물’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periodontitis (hereinafter abbreviated as ‘composition for improving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개선용 조성물은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2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한다. A composition for improving periodontit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25 to 35% by weight of a tetracycline-based antibiotic.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의 항생제로는 대표적으로 독시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일정한 효능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탄저병 등의 감염병, 여드름 등 세균에 의한 질환의 치료 등에 널리 사용된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etracycline-based antibiotics include doxycycline, tetracycline, and minocycline. Although there are certain differences in efficacy, they are generally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anthrax and diseases caused by bacteria such as acne.

상기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과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은 모두 분자식 C22H24N2O8로서, 동일한 분자량 444.440 g/mol을 가진다. 다만 아래 구조식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산화기(-OH)의 위치가 다른 것에 기인하여 일부 다른 작용을 나타낸다. Tetracycline and Doxycycline both have the molecular formula C22H24N2O8 and have the same molecular weight of 444.440 g/mol. However, as can be seen in the structural formula below, it exhibits some different functions due to the different positions of the hydroxyl group (-OH).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한편,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은 아래와 같은 구조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분자량은 다른 상기 테트라사이클린과 달리 457.483g/mol이다. Meanwhile, Minocycline can be expressed by the structural formula below, and its molecular weight is 457.483 g/mol, unlike other tetracyclines.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

세 가지 항생제를 구강질환 치료제로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The pros and cons of using three antibiotics as a treatment for oral diseases are as follows:

테트라사이클린은 세 가지 중 가장 먼저 합성되었지만, 독시사이클린 및 미노사이클린에 비해 반감기가 짧아서 효능면에서 다소 낮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테트라사이클린 반감기 6-11시간, 독시사이클린 반감기 1525 시간, 미노사이클린반감기 14-22시간).Tetracycline was synthesized first among the three, but has a shorter half-life than doxycycline and minocycline, so it has somewhat lower efficacy (tetracycline half-life 6-11 hours, doxycycline 1525 hours, minocycline 14-22 hours).

독시사이클린과 미노사이클린은 테트라사이클린에 비하여 지용성이 강하기 때문에 점막 조직에 더 잘 침투할 뿐만 아니라, 효과도 상대적으로 오래 지속되므로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된다. 통상 미노사이클린은 치주염 치료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약 2중량%의 비교적 저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Doxycycline and minocycline are more lipid-soluble than tetracycline, so they not only penetrate mucosal tissues better, but also have relatively long-lasting effects, so they are widely used to treat periodontal diseases such as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Typically, when minocycline is used to treat periodontitis, it is generally used in a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f about 2% by weight.

한편,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은 나머지 두 항생제보다 칼슘 등에 상대적으로 안정한데, 이는 법랑질로 구성된 치아에 사용하는 경우에 장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독시사이클린은 급성 치주염 치료에서 미노사이클린보다 치아 착색 위험 감소 및 부작용 발생률이 적은 장점이 있다.Meanwhile, Doxycycline is relatively more stable on calcium than the other two antibiotics, which is an advantage when used on teeth composed of enamel. Additionally, studies have shown that doxycycline has the advantage of lower risk of tooth staining and lower incidence of side effects than minocycline in the treatment of acute periodontitis.

이 중 독시사이클린을 치과에서 치주염 치료에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10mg/mL 전후 농도의 액상 치료액으로서 사용한다. 독시사이클린을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여 세균뿐 아니라, 리케차, 클라미디아, 미코플라스마 등의 미생물 감염 치료 목적으로 경구로 사용하는 경우 100mg 용량을 복용하지만, 치주질환에 사용하는 경우 이보다 매우 적은 량인 20mg의 저용량 제품을 복용하여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여 치주질환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 Among these, when doxycycline is used to treat periodontitis in dentistry, it is generally used as a liquid treatment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about 2 to 10 mg/mL. When doxycycline is used orally to treat microbial infections such as rickettsiae, chlamydia, and mycoplasma by inhibiting bacterial protein synthesis, the dose is taken at 100mg. However, when used for periodontal disease, the dose is much lower at 20mg. Taking the product contributes to improving periodontal disease by suppressing the decomposition of collagen.

농(pus)이 가득한 급만성 치주염 등은 치아 표면이나 잇몸 등에 박테리아의 집합체인 바이오필름의 박테리아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치주염 치료를 위해서는 기존의 독시사이클린 등의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의 농도나 사용량 보다 적극적으로 증가시켜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가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각종 미생물 감염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Acute and chronic periodontitis filled with pus are caused by bacteria in biofilm, which is a collection of bacteria on the surface of teeth or gums. To treat periodontitis, the concentration and usage of tetracycline antibiotics such as doxycycline must be increased more actively. It must be done so that tetracycline antibiotics can effectively respond to various microbial infections, including bacteria.

반면, 치주염은 유해균의 지나치게 증가하는 등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 생태계의 이상증(dysbiosis)에 의하여도 발생하는데,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의 농도를 지나치게 높게 하면 유해균뿐만 아니라 구강 건강에 도움이 되는 유익균까지 모두 사멸시키는 부작용이 있다. 또한, 특정 세균이 우점하는 등 건강한 세균 생태계를 위해 필요한 세균간의 비율도 파괴되어 장기적으로 보면 구강 내 다른 부위의 질환이나 나아가 뇌질환, 류마티스, 각종 소화기계 질환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독시사이클린의 과다 사용은 오히려 치아 법랑질의 손상이나 치아 변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periodontitis is also caused by dysbiosis of the bacterial ecosystem present in the oral cavity, such as an excessive increase in harmful bacteria. If the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is excessively high, not only harmful bacteria but also beneficial bacteria that are helpful for oral health are killed. There are side effects. In addition, the ratio between bacteria necessary for a healthy bacterial ecosystem, such as the dominance of certain bacteria, is destroyed, which in the long run can cause diseases in other parts of the oral cavity, brain diseases, rheumatism, and various digestive system diseases. In particular, excessive use of doxycycline can cause damage to tooth enamel or discoloration of teeth.

따라서,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치과질환에 사용함에 있어, 치주염 등에 대한 적극적으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기존 사용 농도(또는 사용량)보다는 높고, 동시에 구강 내 미생물생태계인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에 부정적인 영향이 가해지는 농도보다는 낮은 농도의 범위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발명들에서는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치과질환에 사용함에 있어, 지나치게 광범위하거나 또는 지나치게 낮거나 높은 범위의 사용농도를 제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특정세균에 대한 항균작용만을 염두에 둔 것으로, 구강 내 미생물 생태계의 복원을 통한 장기적 관점에서의 건강한 구강환경 조성이라는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Therefore, when using tetracycline antibiotics for dental diseases, the concentration (or amount) used is higher than the existing use so that a positive therapeutic effect can be expected for periodontitis, etc.,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microbiome, the microbial ecosystem in the oral cavity. It is necessary to find a lower concentration range than this applied concentration. However, in the existing inventions, it can be seen that when using tetracycline antibiotics for dental diseases, the usage concentration range is overly broad or overly low or high. This is because it was simply considering the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specific bacteria and did not recognize the problem of creating a healthy oral environmen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by restoring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전체 조성물에서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가 적어도 25중량% 이상 포함되어야 치주염의 원인 세균으로 알려진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타네렐라 포르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등의 세균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다. 한편, 3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치주질환의 원인균의 감소폭은 현격히 줄어든다. 이 때, 구강 내의 유익균으로 알려져 있는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등 역시 그 감소폭은 상대적으로 크게 줄어들게 된다.The total composition must contain at least 25% by weight of tetracycline antibiotics to protect against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and Treponema denticola, known as the causative bacteria of periodontitis. ) and other bacteria are significantly reduced. On the other hand, even when used in excess of 35% by weight, the decrease in bacteria causing periodontal disease is significantly reduced. At this time, the decrease in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and Bacteroides, which are known as beneficial bacteria in the oral cavity, is also relatively greatly reduced.

항생제에 의한 박테리아 제거 효능은 다음 방법으로 각 박테리아의 증감을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다. The effectiveness of antibiotics in removing bacteria can be confirmed by observing the increase or decrease of each bacteria using the following method.

제1단계 세라믹 성분의 의치와 합성하이드로겔과 같은 고분자 수지 성분의 잇몸으로 고름주머니를 가지는 치아-잇몸 모사체를 만든다. In the first step, a tooth-gum replica with a pus pocket is made using a denture made of ceramic and a gum made of polymer resin such as synthetic hydrogel.

제2단계 치주염 환자에게서 고름을 수집한다. Pus is collected from patients with stage 2 periodontitis.

제3단계 상기 고름을 희석후 배양하여 그람염색으로 분석하여 각 세균의 존재를 확인하고, 콜로니를 현미경이나 육안으로 관찰하여 박테리아의 수를 관찰한다. Step 3: The pus is diluted, cultured, and analyzed by Gram staining to confirm the presence of each bacteria. Colonies are observed under a microscope or with the naked eye to observe the number of bacteria.

제4단계 상기 모사체의 고름주머니에 수집한 고름일부를 투입한다. Step 4: Inject some of the collected pus into the pus bag of the specimen.

제5단계 항생제를 포함하는 치료제 조성물을 해당 부위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도포한다.Step 5: Apply the therapeu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antibiotic to the relevant area in a general manner.

제6단계 일정한 시간 경과 후 상기 고름을 채취하여 희석한 후 배양한 후 배양된 결과를 그람염색으로 분석하여 각 세균의 존재를 확인한다. 또한, 현미경이나 육안으로 콜로니를 관찰한 후 상기 제3단계의 결과와 비교하여 박테리아의 증감을 확인한다. 이는 상기 제3단계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한다.Step 6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us is collected, diluted, cultured, and the culture results are analyzed by Gram staining to confirm the presence of each bacteria. Additionally, colonies are observed under a microscope or with the naked eye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third step to confirm the increase or decrease in bacteria. This is perform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third step above.

여기서 상기 제5단계의 치료제 조성물의 성분비율이나 점도조절제의 양을 달리하면서 실험을 반복하여 가장 적절한 치주염 치료제 조성물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된다. Here, the experiment is repeated while varying the component ratio or the amount of viscosity modifier of the therapeutic composition in the fifth step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most appropriate periodontitis treatment composition.

이하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제6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steps 1 to 3 (step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단계에서 사용되는 인공치아는 통상 치과용 세라믹 또는 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진다. Artificial teeth used in the first stage are usually made of dental ceramic or acrylic resin.

치과용 세라믹은 인공 치아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치과 재료의 일종으로 고온 소성 공정을 통해 함께 융합된 무기 및 비금속 재료의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한편, 아크릴 레진은 가열 및 냉각 시 성형 및 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Dental ceramic is a type of dental material used to make artificial teeth and is made from a mixture of inorganic and non-metallic materials fused together through a high-temperature firing process. Meanwhile, acrylic resin is made using thermoplastic materials that can be molded and molded when heated and cooled.

세라믹은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와 비교하여 우수한 미학 및 생체 적합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제 실험에서는 세라믹 소재의 인공치아를 사용한다. Since ceramic is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superior aesthetics and biocompatibility compared to acrylic resin, artificial teeth made of ceramic material are used in the actual exper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실험실에서 치주염 실험을 위해 인공치아와 합성 하이드로겔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입안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수 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레진 기반 접착제 또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기반 접착제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attach artificial teeth and synthetic hydrogel for periodontitis experiments in the laboratory, a special adhesive that can be safely used in the mouth must be used. For example, you can choose to use a resin-based adhesive or a cyanoacrylate-based adhesive.

제2단계에서 미리 동의를 받은 치주염 환자의 치주낭을 절개하여 얻어지는 농(고름)을 수집한다. 농은 면역반응의 결과 생성되는 산물로서, 주로 죽어가는 호중구(Neutrophil)나 조직의 잔해 또는 박테리아 등으로 구성된다. 즉 이러한 농에는 치주염의 원인이 되는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타네렐라 포르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뿐만 아니라, 흔히 유익균으로 생각되는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등이 남아 있을 수 있다.In the second step, the pus obtained by incising the periodontal pocket of a periodontitis patient who has received prior consent is collected. Pus is a product produced as a result of an immune response and is mainly composed of dying neutrophils, tissue debris, or bacteria. In other words, these pus include not only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and Treponema denticola, which cause periodontitis, but also Bifidobacteria, which are commonly considered beneficial bacteria.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Bacteroides, etc. may remain.

내원한 복수의 치주염 환자 중에서 치주염이 심한 여러 환자로부터 고름을 수집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환자로부터 고름을 수집하는 이유는 일부 환자에서만 분석대상인 6종의 박테리아가 발견되는 경우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Among patients with multiple periodontitis who visit the hospital, pus is collected from several patients with severe periodontitis. The reason for collecting pus from multiple patients like this is to prepare for the case where the six types of bacteria to be analyzed are found in only some patients.

상기 제3단계에서의 박테리아 배양은 다음 방법으로 수행된다. Bacterial culture in the third step is performed by the following method.

농에 상기 예시한 유해균이나 유익균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박테리아를 배양한다. 이러한 세균 배양에서 배지와 혐기성 환경이 중요하다. 상기 6종의 세균들은 각각 서로 다른 배지 및 환경에서만 배양이 된다. Bacteria are cult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above-mentioned harmful or beneficial bacteria exist in the soil. In these bacterial cultures, the medium and anaerobic environment are important. Each of the six types of bacteria is cultured only in different media and environments.

상기 배지는 특정 유형의 박테리아만 성장하고 다른 박테리아의 성장은 억제하도록 설계된 선택적 배지 또는 까다롭거나 영양학적으로 다양한 박테리아의 성장을 촉진하도록 설계된 농축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주 질환에서 발견되는 일부 박테리아는 산소가 있는 곳에서 생존할 수 없는 절대 혐기성균이기 때문에 배양 조건도 혐기성 환경을 유지하여야 한다.The medium is preferably a selective medium designed to grow only certain types of bacteria and inhibit the growth of other bacteria, or a concentrated medium designed to promote the growth of fastidious or nutritionally diverse bacteria. In addition, since some bacteria found in periodontal disease are obligate anaerobes that cannot survive in the presence of oxygen, culture conditions must also be maintained in an anaerobic environment.

예를 들어,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가 필요로 하는 영양분이 있는 배지와 혐기성 환경에서 배양을 하면, 다른 세균들은 성장하지 못하고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만 배양되게 된다. For example, when Porphyromonas gingivalis is cultured in an anaerobic environment with a medium containing the nutrients it needs, other bacteria cannot grow and only Porphyromonas gingivalis is cultured.

이러한 혐기성 조건을 만들기 위해 혐기성 챔버를 사용하거나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는 질소, 수소 및 이산화탄소의 가스 혼합물로 채워진 기밀백이나 기밀용기를 사용한다. 기밀 백이나 기밀용기는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특수 장비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To create these anaerobic conditions, an anaerobic chamber is used or, in a simple and economical way, an airtight bag or airtight container filled with a gaseous mixture of nitrogen, hydrogen and carbon dioxide is used. Airtight bags or airtight containers are easily available and have the advantage of not requiring special equipment.

한편, 박테리아의 존재유무는 그람 염색으로 판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cteria can be determined by Gram staining.

그람 염색은 박테리아를 세포벽 구조의 차이에 따라 그람 양성과 그람 음성의 두 그룹으로 나누는 감별 염색 기술이다. Gram staining is a differential staining technique that divides bacteria into two groups,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sed on differences in cell wall structure.

구체적으로, 먼저 박테리아 세포를 슬라이드에 고정한 후,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하고, 이어서 요오드로 처리한 후, 알코올 또는 아세톤으로 탈색 후 사프라닌으로 대조 염색을 하는 네 가지 주요 단계를 거친다. 이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살아있는 박테리아는 보라색 또는 파란색으로 나타나고 죽은 박테리아는 빨간색 또는 분홍색으로 나타난다. Specifically, the bacterial cells are first fixed on a slide, stained with crystal violet, then treated with iodine, destained with alcohol or acetone, and counterstained with safranin. Afterwards, when observed under a microscope, live bacteria appear purple or blue, and dead bacteria appear red or pink.

상기 6개의 세균의 특징 및 그람염색 특성은 다음과 같다. The characteristics and Gram staining characteristics of the six bacteria are as follows.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는 구강에서 흔히 발견되는 혐기성 그람 음성 세균이다. 잇몸질환의 일종인 만성 치주염의 주요 원인균 중 하나로 꼽힌다. 특히, P. gingivalis는 치주 조직을 손상시키고 박테리아 침입을 촉진할 수 있는 프로테아제 및 리파아제를 생산하며 치주 질환을 유발하는 바이오??름을 형성하는 능력이 있다. Porphyromonas gingivalis is an anaerobic Gram-negative bacterium commonly found in the oral cavity.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ain causative bacteria of chronic periodontitis, a type of gum disease. In particular, P. gingivalis produces proteases and lipases that can damage periodontal tissue and promote bacterial invasion, and has the ability to form biomass that causes periodontal disease.

타네렐라 포르시티아(Tannerella forsythia)는 구강에서 흔히 발견되는 그람 음성 혐기성 박테리아다. 이는 치주 질환의 또 다른 주요 원인 인자이며 치주 조직의 세포외 기질의 분해와 관련이 있다. 또한, 프로테아제, 리파제 및 용혈소를 포함하여 많은 독성 인자를 생성할 수 있다. Tannerella forsythia is a Gram-negative anaerobic bacterium commonly found in the oral cavity. This is another major causative factor in periodontal disease and is associated with the breakdow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of periodontal tissue. Additionally, it can produce many virulence factors, including proteases, lipases, and hemolysins.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도 구강에서 흔히 발견되는 그람 음성 혐기성 스피로헤타 박테리아이다.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 인자 중 하나로 간주되며 치주염의 진행과 관련이 깊다. 이는 치은 상피 세포 내로 침투하여 생존하고 치주 조직의 세포외 매트릭스를 분해할 수 있는 프로테아제를 생성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Treponema denticola is also a Gram-negative anaerobic spirochete bacterium commonly found in the oral cavity.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ain causative factors of periodontal disease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gression of periodontitis. It has the ability to penetrate and survive within gingival epithelial cells and produce proteases that can degrade the extracellular matrix of periodontal tissue.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은 사람의 위장관, 구강 및 질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그람 양성 혐기성 박테리아이다. 유익한 박테리아로 간주되며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된다. 탄수화물을 발효시키고 유해한 박테리아의 성장에 불리한 산성 환경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젖산을 생성한다.Bifidobacterium is a Gram-positive anaerobic bacterium commonly found in the human gastrointestinal tract, oral cavity, and vagina. It is considered a beneficial bacteria and is used as a probiotic. It produces lactic acid, which helps ferment carbohydrates and creates an acidic environment unfavorable to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는 입, 위장관 및 여성 생식기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그람 양성 통성 혐기성 세균이다. 비피도박테리아와 마찬가지로 락토바실러스는 유익한 박테리아로 간주되며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된다. 이는 탄수화물을 발효시키고 유해한 박테리아의 성장에 불리한 산성 환경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젖산을 생성한다.Lactobacillus is a Gram-positive facultative anaerobic bacterium commonly found in the mouth, gastrointestinal tract, and female genital tract. Like Bifidobacteria, Lactobacilli are considered beneficial bacteria and are used as probiotics. This produces lactic acid, which helps ferment carbohydrates and creates an acidic environment unfavorable to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는 위장관과 입에서 흔히 발견되는 그람 음성 절대 혐기성 세균이다.입니다. 일부 종은 기회 병원균일 수 있으나, 다양한 탄수화물을 발효시며 면역작용에 도움이 되는 짧은사슬지방산을 생성할 수 있다.Bacteroides is a Gram-negative obligate anaerobic bacterium commonly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mouth. Some species may be opportunistic pathogens, but they can ferment a variety of carbohydrates and produce short-chain fatty acids that aid immunity.

한편, 박테리아의 양 변화는 박테리아 배양에 의해 얻어지는 콜로니의 수를 세어서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changes in the amount of bacteria can be confirmed by counting the number of colonies obtained by bacterial culture.

박테리아 콜로니는 한천과 같은 고체 배지에서 성장하는 박테리아 그룹으로서, 각 콜로니는 반복적으로 분열되어 유전적으로 동일한 세포의 눈에 보이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단일 박테리아 세포에서 발생한다. 박테리아 콜로니를 세는 것은 샘플이 개별 콜로니의 성장을 허용할 만큼 충분히 희석되는 한 샘플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수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박테리아 콜로니의 수는 존재하는 박테리아의 수에 비례한다. A bacterial colony is a group of bacteria growing on a solid medium, such as agar, where each colony arises from a single bacterial cell that divides repeatedly to form a visible cluster of genetically identical cells. Counting bacterial colonies can estimate the number of bacteria present in a sample as long as the sample is diluted enough to allow for the growth of individual colonies, and generally the number of bacterial colonies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bacteria present.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개선용 조성물은 용제 65 내지 7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periodontit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65 to 75% by weight of a solvent.

상기 용제로는 정제수 또는 식염수 등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의 사용량은 최종 조성물의 원하는 유효성분의 농도와 점도에 따라 달라진다.It is preferable to use water such as purified water or saline solution as the solvent. The amount of solvent used varie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and viscosity of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in the final com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개선용 조성물은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25 내지 35 중량%; 용제 42 내지 50 중량%; 점도조절제 9 내지 15 중량%; 계면활성제 3 내지 9 중량%; 및 습윤제 10 내지 21 중량%를 포함한다. A composition for improving periodontit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25 to 35% by weight of a tetracycline antibiotic; 42 to 50% by weight of solvent; 9 to 15% by weight of viscosity modifier; 3 to 9% by weight of surfactant; and 10 to 21 weight percent of a humectant.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개선용 조성물은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2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한다. First,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periodontit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25 to 35% by weight of a tetracycline-based antibiotic.

상기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로는 독시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을 예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치과에서 치주염 치료에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10mg/mL 전후 농도의 액상 치료액으로서 사용한다.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여 세균뿐 아니라, 리케차, 클라미디아, 미코플라스마 등의 미생물 감염 치료 목적으로 경구로 사용하는 경우 100mg 용량을 복용하지만, 치주질환에 사용하는 경우 이보다 매우 적은 량인 20mg의 저용량 제품을 복용하여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여 치주질환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 Examples of the tetracycline-based antibiotics include doxycycline, tetracycline, and minocycline. Until now, when tetracycline antibiotics are used in dentistry to treat periodontitis, they are generally used as a liquid treatment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about 2 to 10 mg/mL. When tetracycline antibiotics are used orally for the purpose of treating microbial infections such as rickettsiae, chlamydia, and mycoplasma as well as bacteria by inhibiting bacterial protein synthesis, the dose is taken at 100mg, but when used for periodontal disease, the dose is much smaller than this. Taking a low-dose product of 20 mg contributes to improving periodontal disease by suppressing the decomposition of collagen.

상기 독시사이클린은 테트라사이클린에 비하여 지용성이 강하기 때문에 점막 조직에 더 잘 침투할 뿐만 아니라, 효과도 상대적으로 오래 지속된다. 한편, 독시사이클린은 나머지 두 항생제보다 칼슘 등에 상대적으로 안정하여 법랑질로 구성된 치아에 사용하는 경우에 장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독시사이클린은 급성 치주염 치료에서 미노사이클린보다 치아 착색 위험 감소 및 부작용 발생률이 적은 장점이 있다.Since doxycycline is more lipid-soluble than tetracycline, it not only penetrates mucosal tissue better, but also has a relatively long-lasting effect. On the other hand, doxycycline is relatively stable on calcium and other substances than the other two antibiotics, which is an advantage when used on teeth composed of enamel. Additionally, studies have shown that doxycycline has the advantage of lower risk of tooth staining and lower incidence of side effects than minocycline in the treatment of acute periodontitis.

이와 같이 독시사이클린은 구강용 항생제로서 테트라사이클린이나 미노사이클린보다 우수한 장점이 있으므로, 상기 테트라 시이클린계 항생제 중에서 독시사이클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doxycycline has superior advantages over tetracycline or minocycline as an oral antibiotic, so it is preferable to use doxycycline among the tetracycline antibiotics.

전체 조성물에서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는 적어도 25중량% 이상 포함되어야 치주염의 원인 세균으로 알려진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타네렐라 포르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등의 세균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다. 한편, 3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치주질환의 원인균의 감소폭은 현격히 줄어든다. 이 때, 구강 내의 유익균으로 알려져 있는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등 역시 그 감소폭은 상대적으로 크게 줄어들게 된다.The total composition must contain at least 25% by weight of tetracycline antibiotics to protect against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and Treponema denticola, which are known to be the causative bacteria of periodontitis. ) and other bacteria are significantly reduced. On the other hand, even when used in excess of 35% by weight, the decrease in bacteria causing periodontal disease is significantly reduced. At this time, the decrease in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and Bacteroides, which are known as beneficial bacteria in the oral cavity, is also relatively greatly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개선용 조성물은 용제 42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And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periodontit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42 to 50% by weight of a solvent.

상기 용제로는 정제수 또는 식염수 등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의 사용량의 최종 조성물의 원하는 유효성분의 농도와 점도에 따라 달라진다.It is preferable to use water such as purified water or saline solution as the solvent. The amount of solvent used depends on the concentration and viscosity of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in the final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개선용 조성물은 점도조절제 9 내지 15 중량%를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periodontit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9 to 15%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점도조절제는 액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치아 표면에서 적어도 5분 이상 지속하도록 점도는 용액이 치아나 구강의 움직임 등에도 불구하고 시술 부위에서 흘러내리지 않으면서, 동시에 쉽게 도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는 약 50,000~100,000cP(센티푸아즈) 범위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viscosity modifier is used in liquid form, the viscosity must be such that the solution can be easily applied without flowing down from the treatment area despite the movement of the teeth or mouth, so that it lasts on the tooth surface for at least 5 minutes. For this purpose, it is specifically desirable to have a viscosity in the range of about 50,000 to 100,000 cP (centipoise).

상기 점도조절제로는 이눌린(Inulin),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s; FOS), 갈락토올리고당(GOS), 자일로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s; XOS), 락툴로오스(lactulose) 및 저항성 전분(resistant starch)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점도조절제의 역할과 함께 장내 미생물의 먹이가 되어 짧은사슬지방산(SCFA)의 생성을을 촉진할 수 있다. Inulin, fructooligosaccharides (FOS), galactooligosaccharides (GOS), xylooligosaccharides (XOS), lactulose and resistant starch are used as the viscosity modifier. It is desirable to do so. They act as viscosity regulators and serve as food for intestinal microorganisms, promoting the production of short-chain fatty acids (SCFA).

여기서 이눌린은 치커리 뿌리, 예루살렘 아티초크, 아스파라거스를 비롯한 많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수용성 섬유질의 일종으로, 유익한 장내 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프리바이오틱스로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도 조절제로도 작용한다. Here, inulin is a type of soluble fiber found in many plants, including chicory root, Jerusalem artichoke, and asparagus. It can not only act as a prebiotic that promotes the growth of beneficial intestinal bacteria, but also acts as a viscosity regulator.

또한, 프락토올리고당(FOS)은 양파, 마늘, 바나나를 포함한 일부 과일과 채소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또 다른 유형의 프리바이오틱 섬유로서, 유익한 장내 세균의 성장을 촉진하여 마이크로바이옴 생태계 복원에 기여할 수 있다. Additionally, fructooligosaccharides (FOS) are another type of prebiotic fiber found naturally in some fruits and vegetables, including onions, garlic, and bananas, which contribute to restoring the microbiome ecosystem by promoting the growth of beneficial gut bacteria. You can.

특히 곤약 글루코만난(Konjac glucomannan)은 프리바이오틱스의 특성을 가질 수 있어 유익한 장내 세균의 성장을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 particular, Konjac glucomannan is known to have prebiotic properties and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growth of beneficial intestinal bacteria.

짧은사슬 지방산(SCFAs)은 주로 식이 섬유의 발효를 통해 장내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며, SCFA의 일부는 유사한 메커니즘을 통해 구강에서 생성될 수 있다. 특히, SCFAs는 pH 균형 조절, 면역 반응 조절 및 조직 복구 촉진을 포함하여 구강에서 몇 가지 유익한 효과가 있어, 치주염을 포함한 다양한 구강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hort-chain fatty acids (SCFAs) are produced by intestinal microorganisms primarily through fermentation of dietary fiber, and some of SCFAs may be produced in the oral cavity through similar mechanisms. In particular, SCFAs are known to have several beneficial effects in the oral cavity, including regulating pH balance, regulating immune responses, and promoting tissue repair, helping to prevent and treat various oral diseases, including periodontitis.

따라서, 이와 같이 단쇄지방산을 생산하는 점도조절제를 사용하면, 치주염 등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 생태계 복원에 도움이 될 수 있다.Therefore, using a viscosity regulator that produces short-chain fatty acids can help restore the microbial ecosystem that causes periodontitis.

그리고,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개선용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3 내지 9 중량%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periodontit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3 to 9% by weight of a surfactant.

계면활성제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우릴황산나트륨은 자극과 구강 건조를 유발할 수 있으며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는 일부 사람들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이 없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데실글루코사이드, 폴리소르베이트 20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odium lauryl sulfate, a commonly used surfactant, can cause irritation and dry mouth, and cetrimonium chloride can cause allergic reactions in some peop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sodium laureth sulfate, cocamidopropyl betaine, decyl glucoside, polysorbate 20, etc., which do not have these side effect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개선용 조성물은 습윤제 10 내지 21 중량%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periodontit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0 to 21% by weight of a humectant.

상기 습윤제로는 글리세린(Glycerin),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humectant, glycerin, sodium hyaluronate, propylene glycol, etc. can be used.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다만 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상술한 발명의 특정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권리범위 등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are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of specific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rights, etc.

1. 구강모사체 준비1. Preparation of oral simulant

치과에서 사용되는 의치 중에 세라믹으로 제작된 인공치아를 준비하였다. Among the dentures used in dentistry, artificial teeth made of ceramic were prepared.

도 1은 실험에 사용된 치아-잇몸 모사체의 사진이다. 여기서, 치주낭 구조를 모사하기 위하여 인공치아와 잇못구조 사이 일부에 틈새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강모사체를 제작하였다. Figure 1 is a photograph of the tooth-gum replica used in the experiment. Here, in order to simulate the periodontal pocket structure, an oral replica was produced by forming a gap in part between the artificial tooth and the tooth nail structure.

2. 박테리아 배양 및 확인박테리아 배양2. Bacterial culture and confirmationBacterial culture

치과에 내원하는 치주염 환자들에서 고름수집 및 실험에의 활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중 동의한 환자 중에서 고름양이 비교적 많은 5명 환자의 고름을 석션하여 재취하였다. We explained the collection of pus from periodontitis patients visiting the dentist and its use in experiments, and among those who consented, pus from five patients with relatively large amounts of pus was collected by suction.

이들 5명 환자 중 1명 즉 환자 A의 고름에서 유해균으로 알려진 3개의 박테리아 즉,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이하, 유해균 1이라 함), 타네렐라 포르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이하 유해균 2라 함),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이하 유해균 3이라 함)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박테리아용 배지를 선택하여 배양하였다. One of these five patients, that is, patient A, had three bacteria known as harmful bacteria in the pus, namely Porphyromonas gingival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rmful bacteria 1) and Tannerella forsythia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rmful bacteria). In order to confirm the presence of Treponema denticola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rmful bacteria 3), media for each bacteria were selected and cultured.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의 배양을 위하여 헤민 및 메나디온이 함유된 Tryptic Soy Blood Agar를 배지로 사용하였다. 또한 배양조건으로는 1기압의 압력에서 10% 이산화탄소, 10% 수소 및 80% 질소의 가스 혼합물을 사용하는 혐기성 조건을 유지하고, 배양온도는 35-37°C pH: 7.2-7.6의 조건을 유지하였다. For the culture of Porphyromonas gingivalis, Tryptic Soy Blood Agar containing hemin and menadione was used as a medium. In addition, the culture conditions were anaerobic using a gas mixture of 10% carbon dioxide, 10% hydrogen, and 80% nitrogen at a pressure of 1 atm, and the cultur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35-37°C pH: 7.2-7.6. did.

또 다른 유해균으로 알려진 타네렐라 포르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및 유익균으로 알려진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이하 유익균 1이라 함),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 이하 유익균 2라 함),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 이하 유익균 3이라 함)에 대해서도 배지와 배양조건을 달리하면서 각 박테리아를 배양하였다. 6개의 각 박테리별 배지, 배양조건 및 배양기간은 다음 표와 같이 하였다. Other harmful bacteria known as Tannerella forsythia and Treponema denticola, and Bifidobacteri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beneficial bacteria 1) and Lactobacill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eneficial bacteria) known as beneficial bacteria. 2) and Bacteroid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eneficial bacteria 3), each bacteria was cultured under different media and culture conditions. The medium, culture conditions, and culture period for each of the six bacteria were as shown in the table below.

[표 1] 박테리아별 배지 및 배양조건[Table 1] Media and culture conditions for each bacteria

이어서, 그람 염색 방법을 이용하여 배양된 배지를 관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환자 A의 고름에 6개의 세균이 있는지 확인하였다.Next, the cultured medium was observed using the Gram staining metho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whether six bacteria were present in patient A's pus.

이러한 과정을 나머지 4명의 환자 즉, 환자B, 환자C, 환자D, 환자 E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하여 각 환자에서 채취한 고름에 유해균 3종 및 유익균 3종의 세균이 있는 지 여부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로 나타내었다. This process was repeated in the same way for the remaining four patients, that is, Patient B, Patient C, Patient D, and Patient E, and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pus collected from each patient contained three types of harmful bacteria and three types of beneficial bac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표 2} 환자 고름 속의 박테리아 존재 유무[Table 2} Presence or absence of bacteria in patient pus

기 표에 따르면 환자 A 및 환자 E의 고름에서는 6종의 박테리아가 모두 확인되었으나, 나머지 환자들의 고름에서는 일부 박테리아가 배지배양에서는 배양이 안 될 정도로 적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able, all six types of bacteria were confirmed in the pus of Patient A and Patient E, but it can be judged that some bacteria were so small that they could not be cultured in medium culture in the pus of the remaining patients.

환자 A 및 환자 E중에서 고름량이 보다 많은 환자 A의 고름을 이용하여 이어지는 단계의 실험을 하였다. Among Patient A and Patient E, the next step of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the pus of Patient A, which had a larger amount of pus.

3. 치주염을 가진 구강모사체 준비3. Preparation of oral simulants with periodontitis

이와 같이 선택된 환자 A의 고름을 1에서 준비된 치주낭이 형성된 인공 구강구조 모사체의 치주낭 부위에 도포하였다. 이를 통하여 치주염을 유발하는 유해균뿐만 아니라 유익균까지 같이 존재하는 일정한 마이크로바이옴 환경이 조성된 치주염을 가진 구강모사체를 만들었다. The pus of patient A selected in this way was applied to the periodontal pocket area of the artificial oral structure replica where the periodontal pockets were formed prepared in step 1. Through this, an oral mimic with periodontitis was created in which a certain microbiome environment was created where not only harmful bacteria that cause periodontitis but also beneficial bacteria exist.

이러한 과정을 한 번 더 반복하여 구강모사체 1 및 구강모사체 2, 즉 총 2개를 준비하였다. This process was repeated once more to prepare a total of 2 oral simulants, 1 and 2 oral simulants.

4. 독시사이클린의 농도별, 적용시간별 박테리아의 변화4. Changes in bacteria by doxycycline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time

상기 치주염을 가진 구강모사체 1에 대하여 독시사이클린 조성물을 적용하여 시간에 따른 박테리아 제거 효과 및 유익균의 변화양상을 관찰하였다.A doxycycline composition was applied to oral simulant 1 with periodontitis, and the effect of removing bacteria and changes in beneficial bacteria over time were observed.

적용한 독시사이클린 조성물의 성분으로는 독시사이클린 30 중량%; 용제 40 중량%; 점도조절제 9 중량%; 계면활성제 5 중량%; 및 습윤제 16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Components of the applied doxycycline composition include 30% by weight of doxycycline; Solvent 40% by weight; Viscosity modifier 9% by weight; 5% by weight of surfactant; and 16% by weight of a humectant was used.

상기 독시사이클린 30 중량%이고, 용제 40 중량%인 조성물을 상기 준비된 치주염을 가진 구강모사체의 치주낭 뿐 아니라, 잇몸, 치아에도 도포하고 1분에서 7분까지 30초 단위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콜로니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The composition containing 30% by weight of doxycycline and 40% by weight of solvent was applied not only to the periodontal pockets of the oral simulant with periodontitis, but also to the gums and teeth, and the colony size was measured over time from 1 minute to 7 minutes in 30 second increments. was observed.

구체적으로 콜로니의 크기는 최초 콜로니의 면적을 100이라 하고 이를 기준으로 한 시간에 따른 콜로니의 상대적 크기 변화를 단위 5를 기준 크기로 하여 5단위별로 관찰하였다.Specifically, the size of the colony was determined by assuming that the area of the initial colony was 100, and based on this, the relative size change of the colony over time was observed in units of 5, with unit 5 as the standard size.

비교예로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습윤제의 함량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독시사이클린의 농도를 10중량%에서 45중량%까지 5중량% 단위로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 용제의 부피는 감소시키면서 제조한 치주염 치료용 조성물을 준비하여 위와 같은 콜로니의 상대적 크기 변화를 1분에서 7분까지 30초 단위로 관찰하였다. As a comparative example, a periodontitis treatment prepared by keeping the contents of the viscosity modifier, surfactant, and wetting agent the same, changing the concentration of doxycycline in 5% by weight from 10% by weight to 45% by weight, and reducing the volume of the solvent accordingly. The composition was prepared, and the relative size change of the colonies was observed every 30 seconds from 1 to 7 minutes.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독시사이클린의 농도 및 적용시간에 따른 유해균 1의 콜로니의 상대 크기를 아래 표 3에 정리하였고, 유익균 1의 콜로니의 상태크기는 표4에 정리하였다.Through this process, the relative size of the colony of harmful bacteria 1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time of doxycycline is summarized in Table 3 below, and the state size of the colony of beneficial bacteria 1 is summarized in Table 4.

[표 3]독시사이클린의 농도 및 적용시간에 따른 유해균 1의 콜로니의 상대크기[Table 3] Relative size of colonies of harmful bacteria 1 according to doxycycline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time

[표 4]독시사이클린의 농도 및 적용시간에 따른 유익균 1의 콜로니의 상대크기 [Table 4] Relative size of colonies of beneficial bacteria 1 according to doxycycline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time

상기 표의 결과에 따르면 독시사이클린의 적용시간은 약 2분30초 내지 약 6분 정도 적용시키고, 독시사이클린의 농도는 약 25 중량%에서 35중량% 정도인 경우가 가장 효과적으로 유해균 1을 제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익균의 경우, 상기 유해균과 유사한 감소경향을 보였으나, 유해균 보다는 감소폭이 적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험에 사용된 조성물은 유익균 보다는 유해균의 감소에 보다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table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time of doxycycline was about 2 minutes and 30 seconds to about 6 minutes, and the concentration of doxycycline was about 25% to 35% by weight to most effectively remove harmful bacteria 1. . In addition, beneficial bacteria showed a similar decreasing trend as the harmful bacteria, but it was observed that the decrease was less than that of harmful bacteria.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used in the experiment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harmful bacteria than beneficial bacteria.

5. 점도조절제의 농도별, 적용시간별 박테리아의 변화5. Changes in bacteria by concentration of viscosity modifier and application time

다음과 같은 조성비의 치주염 치료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즉, 독시사이클린 30 중량%; 용제 40 중량%; 점도조절제 9 중량%; 계면활성제 5 중량%; 및 습윤제 16 중량%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여 이를 상기 준비된 치주염을 가진 구강모사체의 치주낭 뿐만 아니라 잇몸, 치아에도 도포하고 시간에 따라 도포된 조성물이 시간에 따라 어느정도 유지되는지 상대적인 면적을 관찰하였다. A composition for treating periodontitis was prepared with the following composition ratio. That is, 30% by weight of doxycycline; Solvent 40% by weight; Viscosity modifier 9% by weight; 5% by weight of surfactant; A composition containing 16% by weight of a humectant was prepared and applied not only to the periodontal pockets of the oral simulant with periodontitis, but also to the gums and teeth, and the relative area was observed to see how the applied composition was maintained over time.

도포면적은 최초 도포 면적을 100이라 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간에 따른 잔존 면적의 상대적 크기 변화를 5 단위로 관찰하였다. For the application area, the initial application area was set as 100, and based on this, the relative size change in the remaining area over time was observed in units of 5.

이후 용제와 점도조절제의 양을 변화시켜가며 동일한 방법으로 시간에 따른 도포액의 잔존 면적의 상대적 크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여기서 점도조절제의 함량은 3중량%에서 15중량%까지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용제의 양을 변화시켰다. Afterwards, the relative size of the remaining area of the coating solution over time was observed using the same method while changing the amount of solvent and viscosity modifier. Here, the content of the viscosity modifier was changed from 3% by weight to 15% by weight, and the amount of solvent was changed accordingly.

[표 5]점도조절제의 농도 및 적용시간에 따른 도포액의 잔존면적의 상대크기 [Table 5] Relative size of the remaining area of the coating solu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time of the viscosity modifier

상기 표에 따르면, 점도조절제의 함량이 약 9 내지 12중량%이고, 적용시간이 약 2분 30초 내지 6분 30초인 경우 도포액의 치주염 부위에 충분히 잔존하여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According to the table above, when the content of the viscosity modifier was about 9 to 12% by weight and the application time was about 2 minutes and 30 seconds to 6 minutes and 30 seconds, a sufficient amount of the application solution remained in the periodontitis area, so a continuous treatment effect could be expected.

치료제 조성물의 적용시간과 관련하여 “4. 독시사이클린의 농도별, 적용시간별 박테리아의 변화” 실험에서 약 2분 내지 6분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였고, 본 항목에서는 약 2분 30초 내지 6분 30초인 것이 바람직하였으므로, 이들의 공통구간의 약 2분 30초에서 6분 정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Regarding the application time of the therapeutic composition, “4. In the experiment “Changes in bacteria by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time of doxycycline,” it was preferable to apply it for about 2 to 6 minutes, and in this section, it was preferable to apply it for about 2 minutes and 30 seconds to 6 minutes and 30 seconds, so the common section of these was about 2 minutes. It can be considered desirable to apply it for about 30 seconds to 6 minutes.

6. 점도조절제의 종류에 따른 유해균 및 유익균에 대한 영향6. Effect on harmful and beneficial bacteria depending on the type of viscosity regulator

상기 5의 결과에 따라 점도조절제를 약 10중량%사용한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여기서 점도조절제로는 구강세균의 대사작용에 따라 짧은사슬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s; SCFAs)을 생성하는 곤약글루코만난을 사용하고, 6분 경과 후의 콜로니의 상대적 크기를 측정하였다. According to the results in 5 above, a composition using about 10%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was prepared. Here, konjac glucomannan, which produces short-chain fatty acids (SCFAs) according to the metabolism of oral bacteria, was used as a viscosity regulator, and the relative size of colonies was measured after 6 minutes.

상기 실험례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하되, 점도조절제를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점도조절제인 펙틴을 사용하고 6분 경과 후의 콜로니의 상대적 크기를 측정하였다.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xperimental example, except that pectin, a widely used viscosity regulator, was used as the viscosity regulator, and the relative size of the colonies was measured after 6 minutes.

유해균 1과 유익균 1의 6분 경과후의 콜로니의 상대적 크기를 5회 반복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The relative sizes of colonies of harmful bacteria 1 and beneficial bacteria 1 after 6 minutes were measured five tim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표 6] 점도조절제에 따른 유해균 1의 6분 경과 후 콜로니 크기[Table 6] Colony size of harmful bacteria 1 according to viscosity modifier after 6 minutes

[표 7] 점도조절제에 따른 유익균 1의 6분 경과 후 콜로니 크기[Table 7] Colony size of beneficial bacteria 1 according to viscosity modifier after 6 minutes

상기 표의 결과에 따르면 유해균의 경우 그 감소효과가 점도조절제로 곤약글루콘만난을 사용하거나 펙틴을 사용하거나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하지만, 향후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생태계) 복원에 기여할 유익균이 얼마나 많이 잔존하는 지의 관점에서 보면, 펙틴을 사용한 경우보다 곤약글루코만난을 사용한 경우 유익균 콜로니의 크기가 전반적으로 큰 것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table abov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duction effect of harmful bacteria whether konjac gluconmannan or pectin is used as a viscosity regulator.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how many beneficial bacteria remain that will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the microbiome (microbial ecosystem) in the future,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size of beneficial bacteria colonies is larger when konjac glucomannan is used than when pectin is us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삭제delete

Claims (11)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30 중량%;
용제로서 정제수 40 중량%;
점도조절제 9 중량%;
계면활성제 5 중량%; 및
습윤제 16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는 독시사이클린이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구강 내 미생물 생태계가 회복될 수 있도록 대사작용에 따라 짧은사슬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s; SCFAs)을 생성하는 구강세균의 먹이가 되는 곤약글루코만난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20이고,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Glycerin),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함유하는 치주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0% by weight of tetracycline antibiotic;
40% by weight of purified water as a solvent;
Viscosity modifier 9% by weight;
5% by weight of surfactant; and
Contains 16% by weight of humectant,
The tetracycline antibiotic is doxycycline,
The viscosity regulator is konjac glucomannan, which serves as food for oral bacteria that produce short-chain fatty acids (SCFAs) through metabolism so that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can be restored,
The surfactant is cocamidopropyl betaine or polysorbate 20,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wherein the wetting agent is glycerin, sodium hyaluronate, or propylene glyc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조절제가 상기 조성물이 치주염 부위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2분 30초 내지 6분간 유지되어 있을 수 있도록 50,000 내지 100,000 cP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함유하는 치주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A pharmaceutical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wherein the viscosity modifier has a viscosity of 50,000 to 100,000 cP so that the composition can be maintained for 2 minutes and 30 seconds to 6 minutes without flowing down from the periodontitis area. Com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107870A 2023-08-17 2023-08-17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to remove harmful oral bacteria and restore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KR1026570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870A KR102657091B1 (en) 2023-08-17 2023-08-17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to remove harmful oral bacteria and restore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870A KR102657091B1 (en) 2023-08-17 2023-08-17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to remove harmful oral bacteria and restore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091B1 true KR102657091B1 (en) 2024-04-15

Family

ID=9071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7870A KR102657091B1 (en) 2023-08-17 2023-08-17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to remove harmful oral bacteria and restore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091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459A (en) * 1996-11-27 1998-08-17 김상응 Biodegradable sustained-release topical composition
KR19980084302A (en) * 1997-05-22 1998-12-05 김윤 Topical Dose Biodegradable Sustained Release Periodontitis Therapeu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186908B1 (en) 1996-05-23 1999-05-01 주식회사 삼양사 Topical administration type composition for therapy of paradentitis
KR20010096065A (en) * 2000-04-17 2001-11-07 안민동 Oral composition containing minocycline HCL
KR20030006788A (en) 2001-07-16 2003-01-23 이승진 Sustained release polymeric preparation f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KR20130070307A (en) * 2011-12-19 2013-06-27 동국제약 주식회사 Locally applied composition of sustained-release f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KR102328978B1 (en) 2020-12-21 2021-11-19 주식회사 신의제약디앤에프 An oral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periodontal disease comprising natural complex extract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908B1 (en) 1996-05-23 1999-05-01 주식회사 삼양사 Topical administration type composition for therapy of paradentitis
KR19980039459A (en) * 1996-11-27 1998-08-17 김상응 Biodegradable sustained-release topical composition
KR19980084302A (en) * 1997-05-22 1998-12-05 김윤 Topical Dose Biodegradable Sustained Release Periodontitis Therapeu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010096065A (en) * 2000-04-17 2001-11-07 안민동 Oral composition containing minocycline HCL
KR20030006788A (en) 2001-07-16 2003-01-23 이승진 Sustained release polymeric preparation f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KR20130070307A (en) * 2011-12-19 2013-06-27 동국제약 주식회사 Locally applied composition of sustained-release f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KR101406106B1 (en) 2011-12-19 2014-06-13 동국제약 주식회사 Locally applied composition of sustained-release f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KR102328978B1 (en) 2020-12-21 2021-11-19 주식회사 신의제약디앤에프 An oral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periodontal disease comprising natural complex extra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stamante et al. Probiotics as an adjunct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halitosis,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Meurman et al. Probiotics: evidence of oral health implications
Ribeiro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formulations of chlorhexidine in reducing levels of mutans streptococci in the oral cavity: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US11478423B2 (en) Self-film-forming composition for oral care
CN107794237A (en) A kind of probiotic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product
Kang et al.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Cetylpyridinium Chloride and Zinc Chloride--Containing Mouthrinses on Bacteria of Halitosis and Peri-implant Disease.
CN113144002B (en) Probiotic composition for maintaining oral health and application thereof
JP2012110334A (en) Form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nd use thereof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 and inflammatory condition
MXPA06001167A (en) Novel lactobacillus, living body activating lactobacillus preparation and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against living body infection
CN110772475A (en) Probiotic toothpaste
JP2019518785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and preventing biofilm formation
US20170232048A1 (en) Adherent Dental Synbiotic Lozenge for Oral and General Health
CN111000874A (en) Lactobacillus plantarum with dental caries prevention and treatment effect
Stašková et al. Oral Microbiota from the stomatology perspective
Nicolini et al. Efficacy of ozonated water mouthwash on early plaque formation and gingival inflamm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clinical trial
Leonarto et al. The impact of mouth-rinsing using chlorhexidine gluconate 0.2% to the amount of plaque-causing bacteria colonies in fixed orthodontic users
CN110946778A (en) Toothpaste with anti-inflammation and bacteriostasis functions
Giannini et al. Probiotics-containing mucoadhesive gel for targeting the dysbiosis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s
CN113980844A (en) Probiotic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RU2352345C1 (en) Probiotic agent in form of ointment for treatment of stomatologic diseases
KR102657091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to remove harmful oral bacteria and restore the oral microbial ecosystem
Komariah et al. Efficacy of rhinoceros beetle (Xylotrupes gideon) nano chitosan and calcium mouthwash in reducing quantity oral cavity bacteria among elementary school age children
Choudhari et al. Probiotic way of dental caries prevention
Shehatta et al. Antimicrobial Efficacy of Chlorhexidine and Hyaluronic Acid Mouthwashes on Streptococcus Viridans: An In-Vitro Study
Parasuraman et al. Probiotics: an emerging strategy for oral health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