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088B1 -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088B1
KR102657088B1 KR1020230113372A KR20230113372A KR102657088B1 KR 102657088 B1 KR102657088 B1 KR 102657088B1 KR 1020230113372 A KR1020230113372 A KR 1020230113372A KR 20230113372 A KR20230113372 A KR 20230113372A KR 102657088 B1 KR102657088 B1 KR 10265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ipe
insulation
shap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호
Original Assignee
이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호 filed Critical 이수호
Priority to KR102023011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 설비용 파이프 중 복잡형상(T자, L자 등)의 파이프 단열재의 피복을 위해 마련되는 단열재를 효과적으로 재단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는, 공조 설비 파이프의 피복을 위한 단열재에 있어서, 길이 및 두께가 형성되는 판상으로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전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를 복수의 형상으로 재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메인재단부, 상기 바디부 후측 상부에 형성되어, 길이가 형성되는 테잎을 복수의 갈래로 절단할 수 있게 마련되는 테잎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재단부는, T형 파이프, L형 파이프 피복을 위한 단열재의 재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는 단열재 재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단열재의 재단 시, 길이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Pipe insulation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 설비용 파이프 중 복잡형상(T자, L자 등)의 파이프 단열재의 피복을 위해 마련되는 단열재를 효과적으로 재단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 설비의 시공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는 배관이 설치되는데, 해당 배관은 단열을 위해 필수적으로 단열재의 피복이 요구된다.
이때, T자 배관, L자 배관 등의 형상이 있는 파이프의 경우, 기존에는 작업자들의 눈대중을 통해 단열재를 임의로 재단하여 피복을 실시하였는데, 작업 능숙도에 따라 편차가 높아 단열재의 피복 품질이 떨어질 수 있었고, 복잡 형상의 파이프 단열재를 재단하기 위한 작업 자체에 난이도가 높아, 대응 방안이 필요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단열재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3-0072701호에 게시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3-0072701호 (2023.05.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열재 재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재의 길이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재단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는, 길이 및 두께가 형성되는 판상으로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전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를 복수의 형상으로 재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메인재단부, 상기 바디부 후측 상부에 형성되어, 길이가 형성되는 테잎을 복수의 갈래로 절단할 수 있게 마련되는 테잎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재단부는, T형 파이프, L형 파이프 피복을 위한 단열재의 재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는 단열재 재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재의 재단 시, 길이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L자배관 및 T자배관의 형상과 이에 따른 단열재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좌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길이결정부 및 제 1 재단부의 전방 단부 사이의 거리(j1)에 따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길이결정부 및 제 1 재단부의 전방 단부 사이의 거리(j2)에 따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길이결정부 및 제 1 재단부의 전방 단부 사이의 거리(j3)에 따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제 2 재단부를 평면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제 2 재단부를 (p-p’)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제 2 재단부를 (p-p’)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제 2 재단부에서 파이프부가 부가된 형태를 (p-p’)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제 2 재단부의 길이 변화에 따른 형태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제 2 재단부에서 파이프부가 안착되어오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제 2 재단부에서 파이프부가 안착되어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길이결정부의 구성을 평면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길이결정부의 구성을 정단면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테잎절단부의 구성을 평면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테잎절단부에서 경로유도부의 간격이 넓어진 형태를 평면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테잎절단부의 구성에 접착테이프가 유입된 형태를 평면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d)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테잎절단부에서 경로유도부의 간격이 넓어진 형태에 접착테이프가 유입된 형태를를 평면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돌출재단부가 적용된 형태를 평면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돌출형상부가 돌출재단수용홈에 끼움결합되기 전 상태를 (e-e’)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돌출형상부가 돌출재단수용홈에 끼움결합 된 상태를 (e-e’)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의 돌출형상부가 돌출재단수용홈에 끼움결합 된 상태를 (f-f’)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에 단열재를 삽입하여 칼날유입부를 통해 1차 재단(Q1)을 실시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에 단열재를 칼날유입부를 통해 1차 재단(Q1) 후, 사선재단부를 통해 2차 재단(Q2)하기 위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P) 재단 디바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설비 파이프의 피복을 위한 단열재(P)에 있어서, 길이 및 두께가 형성되는 판상으로 마련되는 바디부(1), 상기 바디부(1) 전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P)를 복수의 형상으로 재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메인재단부(2), 상기 바디부(1) 후측 상부에 형성되어, 길이가 형성되는 테잎(T)을 복수의 갈래로 절단할 수 있게 마련되는 테잎절단부(3)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재단부(2)는, T형 파이프, L형 파이프 피복을 위한 단열재(P)의 재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P) 재단 디바이스는, 공조 설비 시공 과정에서 사용되는 파이프 배관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P)를 피복하기 위한 과정에서 상기 단열재(P)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재단하여 시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에 대한 것이다.
먼저, 상기 바디부(1)는, 길이 및 두께가 형성되는 판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바디부(1)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기본 골격이 되는 구성으로, 길이 및 두께가 형성되는 판상의 소재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재단부(2)는, 상기 바디부(1) 전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P)를 복수의 형상으로 재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메인재단부(2)는, 상기 단열재(P)를 재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특히, T형 파이프, L형 파이프 피복을 위한 단열재(P)의 재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재단부(2)를 통해, L형파이프에 적용시킬 단열재(P) 재단 시, 일측이 사선으로 절단된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재단이 실시될 수 있다.(도 1의 (a), (b) 형상)
또한, 상기 메인재단부(2)를 통해, T형 파이프에 적용시킬 단열재(P) 재단 시, 일측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는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재단이 실시될 수 있다.(도 1의 (c) 형상)
도 1의 (d) 형상과 같이, 파이프 형상의 단부가 파이프 측면 홀(도 1의 (c))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단열재(P) 재단시에는, 하기의 돌출재단부(4)를 통해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상기 메인재단부(2)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재단부(21), 제 2 재단부(22), 칼날유입부(23), 길이결정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1 재단부(21)는, 상기 바디부(1)에 길이 방향에 평행한 길이 방향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되, 전측은 하향 경사지는 형태의 사선으로 형성되는 사선재단부(211)가 마련되고, 일측에는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원형재단부(21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재단부(21)는, 내부 공간에 상기 단열재(P)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단열재(P)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P)의 단부를 사선으로 재단하거나, 측면에 원형홀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로 재단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재단부(21)의 단부는 전방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면이 내려가는 형태의 빗면이 형성되는 사선재단부(211)가 마련된다.
상기 사선재단부(211)는, 45°각도의 빗면으로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사선재단부(211)의 빗면을 따라 재단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가 절단수단(커터 칼 등)을 이용하여 상기 단열재(P)의 단부를 사선으로 용이하게 재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선재단부(211)의 빗면은 반복적인 절단수단과의 마찰에 대응할 수 있는 강도가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재단부(21)의 일측에는 원형의 홀 형태로 마련되는 원형재단부(212)가 더 마련된다.
상기 단열재(P)가 상기 제 1 재단부(21)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원형재단부(212)의 형상을 따라 작업자가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원형의 절단면을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사선재단부(211) 역시 반복적인 절단수단과의 마찰에 대응할 수 있는 강도가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재단부(22)는,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 1 재단부(21)의 후측에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재단부(21) 후단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 2 재단부(22)는, 상기 제 1 재단부(21)의 후측에 연속되는 형태로 마련되되, 소정간격 이격되는 부분이 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이, 이격되는 부분이 하기의 칼날유입부(23)가 되며, 이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상기 제 2 재단부(22)는, 선택적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재단부(22)가 가변되는 정도는 상기 제 1 재단부(21)의 전방단부와 하기의 길이결정부(24) 사이의 간격(j)과 동일한 크기(k)로 형성된다.(도 2의 (b) 참고)
상기 제 1 재단부(21)의 전방단부는, 내주면 기준의 단부로 형성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재단하고자 하는 상기 단열재(P)의 길이가 비교적 길어질 때는, 도 3의 (b), (c)와 같이, 하기의 길이결정부(24)가 상기 바디부(1)의 전측으로 향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 1 재단부(21)의 전방단부와 하기의 길이결정부(24)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어 상기 단열재(P)가 유입되는 길이(j2, j3)가 늘어난다.
이때, 상기 제 2 재단부(22)는, 멀어지게 되는 상기 간격과 동일한 길이(k2, k3)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단하고자 하는 상기 단열재(P)의 최종길이(L)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재단부(22)의 전방단부로부터 상기 길이결정부(24)까지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상기 단열재(P)를 재단 후, 상기 단열재(P)의 후방단부(절단면)를 상기 제 2 재단부(22)의 후방단부에 맞추게 되면, 상기 단열재(P)의 전방단부가 상기 제 1 재단부(21)의 전방단부와 일치하게 되어, 상기 사선재단부(211)에 의해, 바람직한 사선 형태의 절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2 재단부(22)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부(221), 받침부(222), 걸림부(223), 자력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파이프부(221)는, 상기 제 1 재단부(21)와 연속되는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되 철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부(221)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재단부(21)와 동일한 크기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기의 받침부(222)에 거치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부(221)의 길이(k)가 상기 제 1 재단부(21)의 전방단부와 상기 길이결정부(24) 사이의 거리(j)가 되며, 상기 제 1 재단부(21)의 전방단부와 상기 길이결정부(24) 사이의 거리의 변화(j1, j2, j3)에 따라 상기 파이프부(221)의 길이 변화(k1, k2, k3)가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파이프부(221)는 자석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부(221)는, 전측 하부 일부에만 자력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는, 하기의 받침부(222) 내부에 구성되는 자력부(224)에 용이하게 반응시키기 위함으로, 물리적 충격에 의해, 쉽게 탈착됨과 동시에, 하기의 자력부(224)에 의해, 장착이 용이해질 수 있으므로, 선택적으로 상기 파이프부(221)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부(222)는, 상기 제 1 재단부(21)의 후방단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부(221)의 하부를 수용하여 안착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받침부(222)는, 상기 파이프부(221)를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부(222)는, 상기 파이프부(221)의 하부 형상에 대응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 형태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이프부(221)는 상기 제 1 재단부(2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일치하는 경로에 형성되어야 하므로 도 2의 (b)에 확대하여 나타낸 그림과 같이, 상기 바디부(1) 내측으로 일정부분 삽입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받침부(222)의 상부 표면상에 상기 파이프부(221)가 안착되는 부분이 상기 바디부(1)의 표면과 연속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제 1 재단부(21)와 상기 파이프부(221)가 일치되는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부(223)는, 상기 받침부(222)의 전방단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파이프부(221)의 두께 높이 만큼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부(221)의 진행을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걸림부(223)는, 상기 파이프부(221)가 상기 받침부(222)에 안착 시, 상기 제 1 재단부(21)와 밀착 형성되지 않도록 제한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걸림부(223)는, 도 5의 (a), (b) 및 도 6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부(221)가 전방을 향해 진입되는 정도를 제한시킴과 동시에 상기 파이프부(221)의 내부에 상기 단열재(P)가 용이하게 삽입 및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부(221)의 내부 경로상에 장애가 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파이프부(221)의 두께 높이 만큼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자력부(224)는, 상기 받침부(222)의 내부 양측에 자력을 형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 마련된다.
상기 자력부(224)는, 상기 받침부(222) 내부에 형성되며, 강한 자력을 형성할 수 있는 자력수단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력부(22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부(221)의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칼날유입부(23)는, 상기 제 1 재단부(21) 및 제 2 재단부(2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칼날 유입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칼날유입부(23)는, 상기 제 1 재단부(21) 및 제 2 재단부(22) 사이의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칼날유입부(23)가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단열재(P)를 상기 제 1 재단부(21) 및 제 2 재단부(22)에 삽입 후, 작업자가 절단수단(커터 칼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길이결정부(24)는, 상기 바디부(1) 상부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 1 재단부(21) 전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 1 재단부(21)를 관통하여 진입하는 단열재(P)의 진행을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길이결정부(2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재단부(21) 내부로 유입되어 진입하는 상기 단열재(P)의 진입 정도를 제한하여 재단하고자 하는 길이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길이결정부(24)는, 기설정된 거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P)의 전측방향으로의 진입을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1) 상부에서 전측 및 후측으로 이동되며, 용이하게 간격(j)을 제어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결정부는, 양측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였다가 해제할 경우, 상기 바디부 상부에 고정이 해제되었다가 탄력적으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형태의 수단이 구성되어, 물리적인 힘을 통해 용이하게 간격(j)을 제어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길이결정부(2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홈부(241), 가이드수용부(242), 베이스부(243), 수직부(244), 가이드돌출부(245), 고정부(2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레일홈부(241)는, 상기 바디부(1) 전측 중심부에서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낮아지는 단차 형태의 홈이 마련된다.
상기 레일홈부(241)는, 상기 바디부(1) 상부 전측에 형성되며, 하기의 베이스부(243)가 전방 및 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홈부(241)는, 상기 바디부(1)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소정 간격으로 낮아지는 단차를 형성하여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수용부(242)는, 상기 레일홈부(241)의 양측방향으로 소정깊이의 홈이 형성되되, 상기 레일홈부(241)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수용부(242)는, 하기의 가이드돌출부(245)를 수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수용부(242)는 하기의 가이드돌출부(245)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이탈하지 않고, 전방 및 후방으로 하기의 베이스부(243)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부(243)는,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레일홈부(241)에 수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부(243)는 상기 레일홈부(241)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판상의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부(244)는, 상기 베이스부(243)의 후측단부로부터 수직의 판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244)는, 실질적으로 상기 단열재(P)가 전방을 향해 진입 시, 상기 단열재(P)의 단부와 접촉을 통해 이동경로를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돌출부(245)는, 상기 베이스부(243)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수용부(242)에 수용가능한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출부(245)는, 상기 베이스부(243)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수용부(242)의 형태에 대응하여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가이드수용부(242)에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246)는, 상기 베이스부(243) 중심에서 수직하게 체결 및 해제 가능한 나사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246)는, 상기 베이스부(243) 중심에 형성되며,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나사홈에 체결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46)는, 상기 베이스부(24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길이결정부(24)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247), 손잡이부(248), 집게가이드부(249)로 구성되는 돌출재단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도 1의 (d)와 같이, 일단부를 아치형으로 재단하여 측면에 홀이 형성되는 배관과 결합시킬 수 있는 T형 배관의 일부를 재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먼저, 상기 수직부(244)의 가운데 측방향 길이가 형성되는 관통홀이 형태의 집게가이드부(249)가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집게부(247)는, 상기 수직부(244)의 후측에 연결되며, 반원형상으로 한쌍이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부(244) 기준으로 상기 집게부(247)의 반대쪽에는 상기 집게부(247)와 연결 형성되는 손잡이부(248)가 마련되며, 상기 집게가이드부(249)를 통해 측방향으로 움직임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집게부(247), 손잡이부(248), 집게가이드부(249)의 구성을 통해, 도 12와 같이, 파이프 단열재(P)를 선택적으로 압착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집게부(247)의 반원형 라인을 따라 칼 등의 재단 도구를 이용하여 재단을 실시하여, 도 1의 (d)와 같은 형상의 재단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집게부(247), 손잡이부(248), 집게가이드부(249)의 구성은 파이프 단열재(P)의 단부를 용이하게 압착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테잎절단부(3)는, 상기 바디부(1) 후측 상부에 형성되어, 길이가 형성되는 테잎(T)을 복수의 갈래로 절단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테잎(T)은 접착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P)를 재단 후, 공조 배관(파이프)에 피복하여 개방된 부분을 봉합하기 위한 접착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테잎절단부(3)가 형성되는 이유는 T자 배관 및 L자 배관의 단열재(P) 피복을 위한 조립 시, 보다 폭이 얇은 형태의 테이핑이 요구되기 때문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 테잎(T)을 선택적으로 복수개의 갈래로 나누어 보다 얇은 폭의 테이핑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잎절단부(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31), 경로유도부(32), 누름부(33), 날형성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31)는, 상기 바디부(1)의 후측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1)에 비해 다소 낮은 단차가 플랫하게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31)가 상기 바디부(1)의 표면에 비해 낮은 단차로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단열재(P)를 상기 제 1 재단부(21) 및 제 2 재단부(22)에 진입시킬 시, 경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경로유도부(32)는, 상기 바닥부(31)의 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바 형상으로 마련되되, 1~2mm 두께의 형성되며, 접착 테잎(T)의 폭 넓이만큼 간격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바닥부(31) 일측 방향으로 단부가 돌출되어, 상기 테잎(T)의 유입이 용이하게 마련된다.
상기 경로유도부(32)는, 도 8의 (c), (d)와 같이, 접착용 테잎(T)이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경로유도부(32)는, 접착용 테잎(T)이 유입되는 경로를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한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접착용 테잎(T)의 폭넓이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경로유도부(32)는, 1~2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한데, 이는, 접착용 테잎(T)의 두께를 고려하였을 때, 해당범위를 초과하면, 높이 범위가 커져 하기의 날형성부(34)를 지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절단되지 않을 수 있고, 해당범위 미만으로 형성되면, 너무 낮은 높이로 인해, 상기 테잎(T)의 유입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해당범위로 높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누름부(33)는,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경로유도부(32)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경로유도부(32)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테잎(T)의 상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누름부(33)는, 판상으로 상기 경로유도부(32)의 상부에 형성되어, 테잎(T)이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누름부(33)는 상기 경로유도부(32)의 간격보다 다소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상기 테잎(T)의 폭의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하기 위함으로, 도 8의 (b), (d)와 같이, 보다 넓은 폭의 테잎(T)을 적용시킬 때, 상기 누름부(33)의 범위적 여유가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경로유도부(32)의 간격을 넓히는 형태로 고정 사용함으로 인해, 테잎(T)의 폭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날형성부(34)는, 칼날이 형성되되, 상기 경로유도부(32)의 타측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경로유도부(32)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테잎(T)을 가를 수 있는 형태로 절단할 수 있는 경로에 형성된다.
상기 날형성부(34)는, 칼날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테잎(T)이 상기 경로유도부(32)를 통과하여 상기 날형성부(34)를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테잎(T)의 갈래를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상기 날형성부(34)는 상시 칼날이 거치되거나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재단부(2) 및 테잎절단부(3)는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재단부(2) 및 테잎절단부(3)는, 상기 바디부(1)에 모듈 형태로 측방향으로 끼움 결합 될 수 있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에는, 상기 메인재단부(2) 및 테잎절단부(3)가 끼움결합 가능한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재단부(2) 및 테잎절단부(3)는, 선택적으로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파이프 단열재 재단 및 테잎 절단을 실시할 수 있는 구성 모듈이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교체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는 돌출재단부(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재단부(4)는, 도 1의 (d)와 같이, 일단부를 아치형으로 재단하여 측면에 홀이 형성되는 배관과 결합시킬 수 있는 T형 배관의 일부를 재단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이다.
통상적으로 도 1의 (d)와 같은 구성의 재단은 작업자의 능률에 의해 수작업으로 재단이 실시되고 있고, 재단의 정밀도를 크게 요구하지 않는 구성이지만 선택적으로 재단 정밀도가 요구될 수 있으므로 선택적으로 상기 돌출재단부(4)를 이용하여 재단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돌출재단부(4)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돌출형상부(42)로 마련된다.
상기 돌출재단부(4)의 단부는 T자 배관 중 일측에 형성되는 원형 홀에 대응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1)의 상부측 일부에는 상기 돌출재단부(4)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의 원형의 단차홈이 내측으로 형성되는 형태의 돌출재단수용홈(4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열재(P) 재단 디바이스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P)를 상기 제 2 재단부(22)의 후단부를 통해 삽입하여 상기 제 1 재단부(21)를 통과 후, 상기 길이결정부(24)까지 진입 시킨다.
다음으로, 절단수단(커터 칼)을 이용하여 상기 칼날유입부(23)를 통해 컷팅(Q1)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컷팅 된 상기 단열재(P)의 일단부를 도 10의 (b)와 같이, 상기 제 2 재단부(22)의 후방단부에 정렬시킨 후, 상기 사선재단부(211)의 빗면을 이용하여 상기 절단수단(커터 칼)을 이용하여 컷팅(Q2)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도 1의 (a), (b)의 형상을 생성하여, L자배관을 피복할 수 있는 단열재(P)를 재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P)의 길이가 길어지면, 도 3의 (b), (c)와 같이, 상기 길이결정부(24)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동시킨 후, 상기 길이결정부(24) 및 상기 제 1 재단부(21)의 전방단부의 길이(j1, j2, j3)에 맞춰, 상기 제 2 재단부(22)의 길이(k1, k2, k3)을 교체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재단을 실시한다.
T자 배관을 재단시에는, 도 10의 (a)와 같이, 상기의 칼날유입부(23)를 통해 컷팅(Q1)을 실시 후, 상기 원형재단부(212)를 통해 측방향 원형홀을 형성하여, 도 1의 (c)와 같은 재단을 실시한다.
이후, 선택적으로 돌출재단부(4)를 사용하여, 도 2의 (d)와 같은 형태의 재단을 실시하여 T자배관의 단열재(P) 피복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단열재
T : 테잎
1 : 바디부
2 : 메인재단부
21 : 제 1 재단부
211 : 사선재단부
212 : 원형재단부
22 : 제 2 재단부
221 : 파이프부
222 : 받침부
223 : 걸림부
224 : 자력부
23 : 칼날유입부
24 : 길이결정부
241 : 레일홈부
242 : 가이드수용부
243 : 베이스부
244 : 수직부
245 : 가이드돌출부
246 : 고정부
247 : 집게부
248 : 손잡이부
249 : 집게가이드부
3 : 테잎절단부
31 : 바닥부
32 : 경로유도부
33 : 누름부
34 : 날형성부
4 : 돌출재단부
41 : 돌출재단수용홈
42 : 돌출형상부

Claims (5)

  1. 길이 및 두께가 형성되는 판상으로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전측 상부에 형성되어, 단열재를 복수의 형상으로 재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메인재단부;
    상기 바디부 후측 상부에 형성되어, 길이가 형성되는 테잎을 복수의 갈래로 절단할 수 있게 마련되는 테잎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재단부는,
    T형 파이프, L형 파이프 피복을 위한 단열재의 재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메인재단부는,
    상기 바디부에 길이 방향에 평행한 길이 방향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되, 전측은 하향 경사지는 형태의 사선으로 형성되는 사선재단부;가 마련되고, 일측에는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원형재단부;가 마련되는 제 1 재단부;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 1 재단부의 후측에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재단부 후단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제 2 재단부;
    상기 제 1 재단부 및 제 2 재단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칼날 유입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칼날유입부; 및
    상기 바디부 상부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 1 재단부 전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 1 재단부를 관통하여 진입하는 단열재의 진행을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되는 길이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재단부는,
    상기 제 1 재단부와 연속되는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되 철로 구성되는 파이프부;
    상기 제 1 재단부의 후방단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부의 하부를 수용하여 안착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전방단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파이프부의 두께 높이 만큼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부의 진행을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되는 걸림부; 및
    상기 받침부의 내부 양측에 자력을 형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 마련되는 자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재단부는,
    상기 제 1 재단부의 전방 단부와 상기 길이결정부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재단부 및 테잎절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바디부 상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
KR1020230113372A 2023-08-29 2023-08-29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 KR10265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372A KR102657088B1 (ko) 2023-08-29 2023-08-29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372A KR102657088B1 (ko) 2023-08-29 2023-08-29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088B1 true KR102657088B1 (ko) 2024-04-11

Family

ID=9066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372A KR102657088B1 (ko) 2023-08-29 2023-08-29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0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789U (ja) * 1993-05-19 1993-12-21 雅春 吐前 テープカッター
KR960034040A (ko) * 1995-03-23 1996-10-22 도철기 단열 테이프 권취 방법 및 장치
JP3065498U (ja) * 1999-07-06 2000-02-02 裕次 佐藤 パイプ状発泡樹脂断熱材の切断装置
KR20110109149A (ko) * 2010-03-30 2011-10-06 백광대 단열재 절단용 지그
KR101831921B1 (ko) * 2017-09-27 2018-02-26 이승원 배관 단열용 보호커버 센터 커팅장치
KR20230072701A (ko) 2021-11-18 2023-05-25 조동환 단열재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789U (ja) * 1993-05-19 1993-12-21 雅春 吐前 テープカッター
KR960034040A (ko) * 1995-03-23 1996-10-22 도철기 단열 테이프 권취 방법 및 장치
JP3065498U (ja) * 1999-07-06 2000-02-02 裕次 佐藤 パイプ状発泡樹脂断熱材の切断装置
KR20110109149A (ko) * 2010-03-30 2011-10-06 백광대 단열재 절단용 지그
KR101831921B1 (ko) * 2017-09-27 2018-02-26 이승원 배관 단열용 보호커버 센터 커팅장치
KR20230072701A (ko) 2021-11-18 2023-05-25 조동환 단열재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8907B1 (en)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vertical moment connection
KR102657088B1 (ko) 파이프 단열재 재단 디바이스
CN107386112B (zh) 一种聚焦式超长后锚梁的制作方法
KR20100008533A (ko) 배선용 전선보호 덕트 절단 장치
US20130344191A1 (en) Insertion block for the formation of a hook field on an injection-moulded object, and a moulded object comprising a hook field of this type
JP4827488B2 (ja) 制水扉の設置方法および制水扉
KR200465016Y1 (ko) 티형강 제조를 위한 에이치형강 절단 장치
JP2010100415A (ja) 遮煙部材の挿入治具
JP6261887B2 (ja) 把持切断装置
CN209887130U (zh) 工件定位工装
EP1612434B1 (en) Method for cracking a motor connection rod, and the relative connecting rod
KR200413038Y1 (ko)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부재용 노칭 가공장치
EP0795370B1 (de) Badsicherungsband zum Abdecken eines Schweissfugenspaltes zwischen miteinander zu verschweissenden Bauteilen
US117956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bsea wall insertion
KR102117440B1 (ko) 전선관 고정용 채널 클램프
KR20140005528A (ko) 심용접 시험용 소재고정장치
US7179027B2 (en) Tool for positioning templates with respect to curved rail
CN107570851B (zh) 横向焊接方法
CN214352782U (zh) 一种纵向快速切割皮带的工装器具
DE102009055876A1 (de) Verfahren zum Verbinden zweier Werkstücke mittels Laser
CA2859481A1 (en) Cutting tool
JP3761044B2 (ja) 発泡体の加工装置
CN110426786A (zh) 一种多功能皮线钳及其使用方法
KR101535429B1 (ko) H빔 개선용 면취기
CN114753218B (zh) 断面打孔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