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023B1 -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023B1
KR102657023B1 KR1020230198046A KR20230198046A KR102657023B1 KR 102657023 B1 KR102657023 B1 KR 102657023B1 KR 1020230198046 A KR1020230198046 A KR 1020230198046A KR 20230198046 A KR20230198046 A KR 20230198046A KR 102657023 B1 KR102657023 B1 KR 102657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unit
monitoring
cabl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산테크
Priority to KR102023019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악지역에 철탑을 통해 지지되어 가설되는 배전선로를 대상으로 해당 배전선로 내 배전케이블들에 대한 누전 여부를 주기적으로 자동 감시하면서 누전이 의심되는 상황 발생 시 해당 배전선로 구간에 대한 누전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산악지역에 설치되는 배전선로들에서의 누전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은 자율비행드론, 누전 감시 센싱부, 통신모듈 및 비행유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비행유도장치는 스페이서 댐퍼, 레이저 설치 블록 및 레이저 조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누전 감시 센싱부는 센서 몸체 유닛 및 누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Electric leakage preventing system for distribution line of the mountainous region}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악지역에 철탑을 통해 지지되어 가설되는 배전선로를 대상으로 해당 배전선로 내 배전케이블들에 대한 누전 여부를 주기적으로 자동 감시하면서 누전이 의심되는 상황 발생 시 해당 배전선로 구간에 대한 누전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산악지역에 설치되는 배전선로들에서의 누전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로부터 발전된 전력은 가공배전선로를 통해 최종 수용가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가공배전선로의 사고 발생, 즉 주위 환경으로 인한 배전케이블의 훼손 등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는 그 파급 정도가 대단히 크기 때문에 가공배전선로를 감시하는 기술은 가공배전선로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한다.
그러나, 가공배전선로 중 상당 부분은 산악 지역이나 호수 등 상주 인력을 배치하기 어려운 지역에 설치되며, 가공배전선로는 그 선로 길이가 길기 때문에 인력에 의한 가공배전선로 감시는 용이치 못한 것이었다.
따라서 가공배전선로를 안전하게 유지하여 수용가로의 지속적인 전력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유사시에는 즉각적인 검출과 차단으로 사고를 방지하고 복구를 조기에 매듭짓기 위하여 여러 감시장비와 제어장비 및 인력의 필요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가공배전선로 감시의 중요성에 따라 여러 센서와 영상 장비를 구비하고 있는 가공배전선로 감시용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공배전선로 감시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공배전선로 감시시스템은 가공배전선로의 배전케이블에 센서를 장착하거나 철탑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배전케이블 및 그 주위 환경을 감시하며, 해당 배전케이블 및 및 그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가공배전선로 감시시스템에서의 가공배전선로 감시용 장치는 센서나 카메라가 배전케이블이나 철탑에 고정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배전케이블 부식 등의 가공배전선로 훼손 상태 및 가공배전선로 주변의 유해 환경(예를 들어, 수목이 자라는 현상 등)을 세밀하게 관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040732호인 “송배전선로 감시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선행기술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소정 형상의 하우징을 갖는 본체(13) 상단에 설치되어 송배전선로에 권취되도록 결합되며 다수의 권취 코일을 포함하는 CT 하우징(11)으로 구성되고; CT 하우징(11)은 원통형 구조에서 중앙이 절개되어 제1 권취커버(19a) 및 제2 권취커버(19b)로 분리되며, 절개면의 상단에 회동 힌지가 결합되어 제1 권취커버(19a) 및 제2 권취커버(19b)가 회동 개폐 가능하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CT 하우징(11)은 송배전선로를 수용함에 있어, 제1 권취커버(19a)를 개구시킨 후, CT 하우징(11)의 중앙으로 송배전선로의 외주부를 수용토록 한다. 이후, 제1 권취커버(19a)는 회동시켜 제2 권취커버(19b)와 밀착시킨다. 제1 권취커버(19a) 및 제2 권취커버(19b)는 하단부에 마련된 체결홈(15)에 의해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본체(13)는 본체의 기울어진 각도를 인지하고, 상기 코일로부터 유도되는 전류, 전압을 검출하여 송전 또는 배전 전력을 인지하기 위한 센싱 기능과, 상기 센싱 기능을 기반으로 전력상태를 감시하는 전력감시 기능과, 상기 코일로부터 유도된 전력을 시스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 기능을 포함하여, 상기 전력상태를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로 탑재하도록 무선 송출기능 및 시스템 운용을 위한 시스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송배전선로의 케이블에 결합되어 고정된 위치에서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장거리에 걸쳐 설치되는 송배전선로의 특성상 그 감시 기능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송배전선로의 장거리 구간을 대상으로 보다 능동적인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감시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며, 특히 작업자의 접근이 용이치 않으면서도 장거리로 설치되는 산악지역의 배전선로에 대해 보다 능동적인 감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감시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117344호(2020.06.01.공고), “산악지역 가공배전선로의 누전 감시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040732호(2011.06.10.공고), “송배전선로 감시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2252395호(2021.05.14.공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감시장치의 설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감시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2560520호(2023.07.28.공고), “산악지역 가공 전력케이블의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설치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산악지역에 철탑을 통해 지지되어 가설되는 배전선로를 대상으로 해당 배전선로 내 배전케이블들에 대한 누전 여부를 주기적으로 자동 감시하면서 누전이 의심되는 상황 발생 시 해당 배전선로 구간에 대한 누전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산악지역에 설치되는 배전선로들에서의 누전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배전케이블을 인입시키는 동시에 인입된 배전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누전을 감시하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 배전선로 내 배전케이블들 전체 및 전체 배전선로 구간을 대상으로 누전 감시 기능을 진행할 수 있어, 산악지역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배전케이블들을 대상으로 매우 정확한 누전 감시 기능을 주기적으로 자동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은, 산악지역에 철탑을 통해 지지되어 가설되는 배전선로의 배전케이블 누전을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배전선로에서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누전 방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전선로의 인접하는 두 철탑 간 설치되는 배전케이블을 단위배전구간이라 정할 때, 하나의 단위배전구간에서의 배전케이블에 대한 누전 감시 기능이 종료되면 인접하는 다른 단위배전구간으로 비행하여 누전 감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배전선로의 단위배전구간들에 대해 순차적인 비행을 하되, 상기 배전선로 중 사전에 정한 감시구간 내 단위배전구간들에 대해 순차적인 비행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자율비행드론과, 상기 자율비행드론에 장착되며, 상기 단위배전구간별 해당 배전케이블에 착지 후 슬라이딩되면서 해당 배전케이블에서의 누전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누전 감시 센싱부와, 상기 자율비행 드론에 탑재되며, 상기 누전 감시 센싱부에서 전송되는 감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단위배전구간별 설치되어 상기 자율비행드론의 해당 단위배전구간을 따르는 비행을 유도하는 비행유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행유도장치는, 상기 단위배전구간 내 설치되는 배전케이블들이 유동 방지되는 동시에 소정 영역에 모여 설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댐퍼와, 상기 스페이서 댐퍼별 해당 스페이서 댐퍼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인접하는 다른 스페이서 댐퍼의 레이저 설치 블록과는 마주하는 배치 상태로 설치되는 레이저 설치 블록과, 상기 레이저 설치 블록별 동일 방향의 일면에 각각 설치되며, 인접하는 다른 레이저 설치 블록의 타면을 향해 유색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전 감시 센싱부는, 상기 자율비행드론의 하면에 상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하단에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 댐퍼의 상면 폭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상면 부재 및 상기 상면 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절곡되어 하향 연장되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동시에 하부는 개방되어 문형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센서 몸체 유닛과, 상기 센서 몸체 유닛의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의 안쪽 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의 안쪽 공간으로 인입되는 상기 스페이서 댐퍼에 지지된 배전케이블들을 대상으로 누전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누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율비행드론은, 그 비행주기가 야간을 대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레이저 조사기의 광을 식별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상기 레이저 조사기에서 조사되는 유색의 레이저 광을 따라 비행하며, 상기 철탑을 인지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상기 철탑에 대해 사전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 시 다음 단위배전구간으로 점핑 및 우회 비행한 다음 점핑 및 우회 비행한 단위배전구간 내 해당 레이저 조사기의 레이저 광을 식별 후 하향 비행하여 상기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 내로 해당 단위배전구간 내 배전케이블들이 인입되도록 한 다음 해당 단위배전구간 내 레이저 조사기의 레이저 광을 따라 비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산악지역에 철탑을 통해 지지되어 가설되는 배전선로를 대상으로 해당 배전선로 내 배전케이블들에 대한 누전 여부를 주기적으로 자동 감시하면서 누전이 의심되는 상황 발생 시 해당 배전선로 구간에 대한 누전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산악지역에 설치되는 배전선로들에서의 누전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전케이블을 인입시키는 동시에 인입된 배전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누전을 감시하는 방식이 사용됨에 따라, 산악지역 배전선로 내 배전케이블들 전체 및 전체 배전선로 구간을 대상으로 누전 감시 기능을 진행할 수 있고, 따라서 산악지역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배전케이블들을 대상으로 매우 정확한 누전 감시 기능을 주기적으로 자동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송배전선로 감시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에서 비행유도장치를 예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에서 비행유도장치를 도 3의 "A" 방향에서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에서 누전 감시 센싱부를 도 4의 방향을 기준으로 예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에서 비행유도장치를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에서 비행유도장치를 도 3의 "A" 방향에서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에서 누전 감시 센싱부를 도 4의 방향을 기준으로 예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은 산악지역에 철탑(11)을 통해 지지되어 가설되는 배전선로(10)의 배전케이블(12) 누전을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배전선로(10)에서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누전 방지 시스템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은 자율비행드론(100), 누전 감시 센싱부(200), 통신모듈(300) 및 비행유도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율비행드론(100)은 배전선로(10)의 인접하는 두 철탑(11) 간 설치되는 배전케이블(12)을 단위배전구간(A')이라 정할 때, 하나의 단위배전구간(A')에서의 배전케이블(12)에 대한 누전 감시 기능이 종료되면 인접하는 다른 단위배전구간(A')으로 비행하여 누전 감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전선로(10)의 단위배전구간(A')들에 대해 순차적인 비행을 하되, 배전선로(10) 중 사전에 정한 감시구간(A) 내 단위배전구간(A')들에 대해 순차적인 비행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누전 감시 센싱부(200)는 자율비행드론(100)에 장착되며, 이러한 누전 감시 센싱부(200)는 상기 단위배전구간(A')별 해당 배전케이블(12)에 착지 후 슬라이딩되면서 해당 배전케이블(12)에서의 누전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누전 감시 센싱부(200)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비행유도장치(400)에 대한 설명 후 더 언급키로 한다.
통신모듈(300)은 자율비행 드론(100)에 탑재되며, 이러한 통신모듈(300)은 누전 감시 센싱부(200)에서 전송되는 감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관리서버(10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행유도장치(400)는 단위배전구간(A')별 설치되어 자율비행드론(100)의 해당 단위배전구간(A')을 따르는 비행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행유도장치(400)는 스페이서 댐퍼(410), 레이저 설치 블록(420) 및 레이저 조사기(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페이서 댐퍼(410)는 단위배전구간(A') 내 설치되는 배전케이블(12)들이 유동 방지되는 동시에 소정 영역에 모여 설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단위배전구간(A') 내에 복수로 설치된다.
레이저 설치 블록(420)은 스페이서 댐퍼(410)별 해당 스페이서 댐퍼(41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인접하는 다른 스페이서 댐퍼(410)의 레이저 설치 블록(420)과는 마주하는 배치 상태로 설치된다.
레이저 조사기(430)는 레이저 설치 블록(420)별 동일 방향의 일면에 각각 설치되며, 이러한 레이저 조사기(430)는 인접하는 다른 레이저 설치 블록(420)의 타면을 향해 유색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누전 감시 센싱부(200)는 센서 몸체 유닛(210) 및 누전감지센서(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몸체 유닛(210)은 연결봉(211) 및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봉(211)은 자율비행드론(100)의 하면에 상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봉의 자율비행드론(100) 하면에 대한 탈착 가능한 결합은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212)은 연결봉(211)의 하단에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스페이서 댐퍼(410)의 상면 폭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상면 부재(212a)와, 이러한 상면 부재(212a)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절곡되어 하향 연장되는 측면 부재(212b)를 포함하는 동시에 하부는 개방되어 문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 부재(212a)의 연결봉(211)에 대한 탈착 가능한 결합은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누전감지센서(220)는 센서 몸체 유닛(210)의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212)의 안쪽 면에 설치되며,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212)의 안쪽 공간으로 인입되는 스페이서 댐퍼(410)에 지지된 배전케이블(12)들을 대상으로 누전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자율비행드론(100)은 그 비행주기가 야간을 대상으로 설정되며, 레이저 조사기(430)의 광을 식별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레이저 조사기(430)에서 조사되는 유색의 레이저 광을 따라 비행하고, 철탑(11)을 인지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철탑(11)에 대해 사전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 시 다음 단위배전구간(A')으로 점핑 및 우회 비행한 다음 점핑 및 우회 비행한 단위배전구간(A') 내 해당 레이저 조사기(430)의 레이저 광을 식별 후 하향 비행하여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212) 내로 해당 단위배전구간(A') 내 배전케이블(12)들이 인입되도록 한 다음 해당 단위배전구간(A') 내 레이저 조사기(430)의 레이저 광을 따라 비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자율비행드론(100)은 스페이서 댐퍼(410)를 인지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스페이서 댐퍼(410)에 대해 사전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 시 점핑 비행을 통해 다음 스페이서 댐퍼를 통해 지지된 배전케이블 구간으로 이동한 다음, 해당 배전케이블 구간 내 레이저 광을 식별 후 하향 비행하여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212) 내로 해당 배전케이블 구간 내 배전케이블(12)들이 인입되도록 한 다음 레이저 광을 따르는 직선 비행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산악지역에 철탑을 통해 지지되어 가설되는 배전선로를 대상으로 해당 배전선로 내 배전케이블들에 대한 누전 여부를 주기적으로 자동 감시하면서 누전이 의심되는 상황 발생 시 해당 배전선로 구간에 대한 누전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산악지역에 설치되는 배전선로들에서의 누전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배전케이블을 인입시키는 동시에 인입된 배전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누전을 감시하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 배전선로 내 배전케이블들 전체 및 전체 배전선로 구간을 대상으로 누전 감시 기능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산악지역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배전케이블들을 대상으로 매우 정확한 누전 감시 기능을 주기적으로 자동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배전선로 11 : 철탑
12 : 배전케이블 100 : 자율비행드론
200 : 누전 감시 센싱부 210 : 센서 몸체 유닛
211 : 연결봉 212 :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
212a : 상면 부재 212b : 하면 부재
220 : 누전감지센서 300 : 통신모듈
400 : 비행유도장치 410 : 스페이서 댐퍼
420 : 레이저 설치 블록 430 : 레이저 조사가
1000 : 통합관리서버 A : 감시구간
A' : 단위배전구간

Claims (2)

  1. 삭제
  2. 산악지역에 철탑(11)을 통해 지지되어 가설되는 배전선로(10)의 배전케이블(12) 누전을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배전선로(10)에서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누전 방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전선로(10)의 인접하는 두 철탑(11) 간 설치되는 배전케이블(12)을 단위배전구간(A')이라 정할 때, 하나의 단위배전구간(A')에서의 배전케이블(12)에 대한 누전 감시 기능이 종료되면 인접하는 다른 단위배전구간(A')으로 비행하여 누전 감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배전선로(10)의 단위배전구간(A')들에 대해 순차적인 비행을 하되, 상기 배전선로(10) 중 사전에 정한 감시구간(A) 내 단위배전구간(A')들에 대해 순차적인 비행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자율비행드론(100):
    상기 자율비행드론(100)에 장착되며, 상기 단위배전구간(A')별 해당 배전케이블(12)에 착지 후 슬라이딩되면서 해당 배전케이블(12)에서의 누전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누전 감시 센싱부(200):
    상기 자율비행 드론(100)에 탑재되며, 상기 누전 감시 센싱부(200)에서 전송되는 감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관리서버(1000)에 전송하는 통신모듈(300); 및
    상기 단위배전구간(A')별 설치되어 상기 자율비행드론(100)의 해당 단위배전구간(A')을 따르는 비행을 유도하는 비행유도장치(400)를 포함하는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행유도장치(400)는,
    상기 단위배전구간(A') 내 설치되는 배전케이블(12)들이 유동 방지되는 동시에 소정 영역에 모여 설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댐퍼(410);
    상기 스페이서 댐퍼(410)별 해당 스페이서 댐퍼(41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인접하는 다른 스페이서 댐퍼(410)의 레이저 설치 블록(420)과는 마주하는 배치 상태로 설치되는 레이저 설치 블록(420); 및
    상기 레이저 설치 블록(420)별 동일 방향의 일면에 각각 설치되며, 인접하는 다른 레이저 설치 블록(420)의 타면을 향해 유색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기(430)를 포함하고,
    상기 누전 감시 센싱부(200)는,
    상기 자율비행드론(100)의 하면에 상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봉(211)과, 상기 연결봉(211)의 하단에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 댐퍼(410)의 상면 폭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상면 부재(212a) 및 상기 상면 부재(212a)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절곡되어 하향 연장되는 측면 부재(212b)를 포함하는 동시에 하부는 개방되어 문형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212)을 포함하는 센서 몸체 유닛(210); 및
    상기 센서 몸체 유닛(210)의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212)의 안쪽 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212)의 안쪽 공간으로 인입되는 상기 스페이서 댐퍼(410)에 지지된 배전케이블(12)들을 대상으로 누전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누전감지센서(220)를 포함하며,
    상기 자율비행드론(100)은, 그 비행주기가 야간을 대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레이저 조사기(430)의 광을 식별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상기 레이저 조사기(430)에서 조사되는 유색의 레이저 광을 따라 비행하며, 상기 철탑(11)을 인지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상기 철탑(11)에 대해 사전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 시 다음 단위배전구간(A')으로 점핑 및 우회 비행한 다음 점핑 및 우회 비행한 단위배전구간(A') 내 해당 레이저 조사기(430)의 레이저 광을 식별 후 하향 비행하여 상기 케이블 인입형 프레임(212) 내로 해당 단위배전구간(A') 내 배전케이블(12)들이 인입되도록 한 다음 해당 단위배전구간(A') 내 레이저 조사기(430)의 레이저 광을 따라 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
KR1020230198046A 2023-12-30 2023-12-30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 KR102657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8046A KR102657023B1 (ko) 2023-12-30 2023-12-30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8046A KR102657023B1 (ko) 2023-12-30 2023-12-30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023B1 true KR102657023B1 (ko) 2024-04-12

Family

ID=9067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8046A KR102657023B1 (ko) 2023-12-30 2023-12-30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02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732B1 (ko) 2010-11-29 2011-06-10 주식회사 이피이 송배전선로 감시장치
KR101766633B1 (ko) * 2017-03-21 2017-08-09 지티엘테크(주) 가공 송배전선로의 누설전류 검출시스템
KR102117344B1 (ko) 2020-03-02 2020-06-01 이삼종 산악지역 가공배전선로의 누전 감시시스템
KR102252395B1 (ko) 2021-02-23 2021-05-14 주식회사 한국전력전문기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감시장치의 설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감시장치
KR102560520B1 (ko) 2023-01-09 2023-07-28 박용득 산악지역 가공 전력케이블의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설치방법
KR102614913B1 (ko) * 2023-05-22 2023-12-20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인공지능을 이용한 배전선로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732B1 (ko) 2010-11-29 2011-06-10 주식회사 이피이 송배전선로 감시장치
KR101766633B1 (ko) * 2017-03-21 2017-08-09 지티엘테크(주) 가공 송배전선로의 누설전류 검출시스템
KR102117344B1 (ko) 2020-03-02 2020-06-01 이삼종 산악지역 가공배전선로의 누전 감시시스템
KR102252395B1 (ko) 2021-02-23 2021-05-14 주식회사 한국전력전문기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감시장치의 설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감시장치
KR102560520B1 (ko) 2023-01-09 2023-07-28 박용득 산악지역 가공 전력케이블의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설치방법
KR102614913B1 (ko) * 2023-05-22 2023-12-20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인공지능을 이용한 배전선로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313658B (zh) 一种数字孪生变电站智能运维系统
KR101815091B1 (ko) 고압선 점검용 무인비행체 및 그 제어방법
KR102554662B1 (ko) 이동식 무인탐지장치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CN111311967A (zh) 基于无人机的电力线路巡检系统及方法
CN111092492A (zh) 一种高压电缆线路运行监测系统
EP3059716A1 (en) Device for detecting intrusion on security fences
CN110821560A (zh) 隧道巡检系统
KR102657023B1 (ko)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 시스템
EP4200587B1 (de) Verfahren und fluggerät zur überwachung von betriebszuständen und zur ermittlung von ausfallwahrscheinlichkeiten von stromführenden leitungssystemen
CN113018728A (zh) 一种电缆隧道火灾分级研判消防系统
DE112022002097T5 (de) Lokalisierung gefährlicher ereignisse an versorgungsmasten
CN108195470A (zh) 电网设备故障检测方法、无人机及无人机控制站
CN106155091A (zh) 一种无人机避障方法和装置
KR10261491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배전선로 제어 시스템
CN112650101A (zh) 一种基于多维传感的公路隧道智能化巡检机器人系统
CN116433212A (zh) 一种对配电房自动巡检的故障识别处理方法及相关装置
US9437387B1 (en) Tap box assembly with separated annunciator
JP2018114792A (ja) 光ケーブルを利用した鉄道制御システム
CN115152732A (zh) 智能驱鸟系统
CN114155690A (zh) 一种电缆防外破联动预警系统和方法
Plekhanov et al. Determining the Useful Life of Link Circuits in Railway Transport Using a Risk-Based Approach
JP2009273203A (ja) 有線式配電線遠方監視制御用通信ケーブルの障害点またはルートの探査方法および探査装置
CN110222670A (zh) 一种光缆振动中断预警系统的分类器训练方法
EP4074595A1 (en) Aerial vehicle and tower including charging port
KR20200037023A (ko) Atc 지상신호 자율점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