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905B1 - 항균 에멀전 점착제 및 그를 이용한 점착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에멀전 점착제 및 그를 이용한 점착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905B1
KR102656905B1 KR1020220058151A KR20220058151A KR102656905B1 KR 102656905 B1 KR102656905 B1 KR 102656905B1 KR 1020220058151 A KR1020220058151 A KR 1020220058151A KR 20220058151 A KR20220058151 A KR 20220058151A KR 102656905 B1 KR102656905 B1 KR 10265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water
weight
parts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9725A (ko
Inventor
김정배
송혁진
류솔이
Original Assignee
강남제비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제비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남제비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905B1/ko
Publication of KR2023015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에멀전 점착제 및 그를 이용한 점착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수계 점착제의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것에 따른 단점인 물의 부패로 의한 성능 저하 및 점착 코팅면에서의 곰팡이 균의 생식으로 인하여 유해한 영향을 인체에 끼치는 것을 보완하여 점착제에 항균 성능을 추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수계 용매, 아크릴계 단량체, 유화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며, 유화중합을 통하여 제조되는 점착제로서, 고형분 함량이 55~65%이며 항균제 성분을 투입하여 항균성능을 부여하면서도 비항균 점착제 수준의 점착 물성 및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균 에멀전 점착제 및 그를 이용한 점착코팅 조성물 {Antibacterial emulsion adhesive and adhesive coating compos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존 수계 점착제의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것에 따른 단점인 물의 부패로 의한 성능 저하 및 점착 코팅면에서의 곰팡이 균의 생식으로 인하여 유해한 영향을 인체에 끼치는 것을 보완하여 점착제에 항균 성능을 추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수계 용매, 아크릴계 단량체, 유화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며, 유화중합을 통하여 제조되는 점착제로서, 고형분 함량이 55~65%이며 항균제 성분을 투입하여 항균성능을 부여하면서도 비항균 점착제 수준의 점착 물성 및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공한다.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는 접착제의 한 종류로 물, 용매, 빛, 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작은 압력만으로 다른 물체의 표면에 접착 가능하고, 이것을 다시 떼어낼 때 피착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쉽게 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점착제는 부착 후 짧은 시간 안에 높은 접착강도를 발휘하는 특징으로 인하여 여러 분야에 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량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점착제는 제조 유형에 따라 용제형, 수성형, 무용제형으로 구별될 수 있다. 용제형은 고무계, 아크릴계 및 실리콘계 점착제가 있고, 톨루엔, 벤젠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c Organic Compounds, VOCs)을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된다. 수성형 점착제는 아크릴계와 고무계 점착제가 대표적이고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환경 친화적이지만 내수성 및 접착력 등이 용제형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무용제형은 핫멜트형 점착제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중 아크릴 점착제는 뛰어난 내열성, 접착성, 투명성을 갖는 특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감압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는 접착제를 접착면과 접착시키기 위한 압력의 양에 따라 접착물질의 작용하는 강도가 달라지는 접착제이다. 이는 상온에서 압력만으로 피착제에 접착이 가능하고 접착 후 박리 시 접착 표면에 점착제 잔여물이 남지 않는 접착성을 발휘해야 한다. 이러한 아크릴 점착제의 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는 점착제 수지의 점탄성과 강도(hardness), 고분자 사슬의 유동성 등이 있으며, 이는 가교도, 유리전이 온도(glass-transition temperature, Tg), 분자량 등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
아크릴 점착제는 폴리 아크릴산 에스테르와 폴리 아크릴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라디칼 중합을 통해 합성한다.
한편 수성 접착제로는 주로 비닐계 모노머의 유화중합으로 이루어진 아크릴계 에멀전이 사용되고 있다. 아크릴 에멀전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폭넓은 점도 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도막 강도 및 소지에 대한 부착성, 플럭(flock) 가공성, 내스크래치성 등에서 유기용제형 접착제보다 나은 물성을 나타내지 못한다. 또한 에멀전 점착제의 경우 분산이 잘 되게 하기 위해 분자량이 작고 분자들이 유연성을 지니고 있어, 유지력과 초기점착력이 동시에 뛰어난 접착 물성을 갖추기가 쉽지 않다.
또한 아크릴 에멀전은 과다한 seed 생성 및 에멀전 입자끼리의 응집현상으로 인해 생산 시 발생하는 손실이 매우 크며, 이는 개시제, pH, 계면활성제, 반응 온도 등에 영향을 받으므로 높은 수율과 우수한 생산성을 위한 섬세한 공정이 요구된다.
에멀전은 주로 수성 자유라디칼 개시제의 개시 하에, 에틸렌성 단량체의 유화에 의해서 합성된다. 유화중합은 높은 분자량과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가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100%에 가까운 높은 전환률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물을 매체로 사용하기에 반응열 제거가 용이하며, 반응물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일정한 반응이 진행되도록 한다. 미반응 단량체가 거의 없기 때문에 공해나 인체에 대한 유해요소가 거의 없으나, 단량체를 미리 유화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유화중합에서의 주요 구성 성분은 아래와 같다.
- 물 : 물은 유화되는 물질의 분산 매개체로, 중합 시 열 전달을 용이하게 하고 유화제, 단량체 및 개시제 등의 용매 역할을 한다. 제조된 에멀전의 물성이 물의 질에 크게 좌우된다.
- 단량체 : 에멀전의 최종 물성과 특성은 사용 단량체의 특성과 공중합률 등에 의존된다. 유리전이온도(Tg), 중합열, 비열, 물에 대한 용해도, 중합방지제의 종류와 함량, 순도, 비점, 빙점 등이 단량체 선택과 반응기 설계 등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부분이다.
- 유화제 : 유화제는 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이상에서 미셀(micelle)이라는 지름 약 0.01m 정도의 colloidal cluster를 형성하는데, 단량체 분자가 이 미셀 안에서 반응하여 계속해서 입자를 안정적으로 성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응이 점차 진행되면 입자는 커지고 단량체 액적의 크기는 작아져서 유화제가 단량체 입자에서 입자 표면으로 이동한다. 유화제는 비이온성(nonionic), 음이온성(anionic), 양이온성(cationic), 양쪽이온성(amphoteric)으로 나눌 수 있다.
- 개시제 : 개시제가 분해되며 반응을 일으키는 자유라디칼을 생성하게 되는데, 유화중합에서는 주로 수용성 개시제를 사용한다. Persulfate염이나 과산화수소수물질이 많이 사용된다.
- 환원제, 활성제 : 산화 환원법을 이용한 유화중합에는 개시제를 분해시키는 환원제가 필요하다. 활성제는 환원제의 역할을 보조하여 라디칼 생성을 더 쉽게 해준다.
- Chain transfer agent : 자유라디칼은 주로 단량체를 공격하여 고분자를 형성하지만 반응물 내의 여러 가지 다른 물질로 라디칼이 이동할 수 있다. 주로 수소나 할로겐 원소를 공유하는 탄소를 공격하게 되는데, 성장하는 고분자에 있는 라디칼을 공격할 때는 정지반응이 일어나고, 라디칼이 함유한 새로운 반응장소가 생겨 다시 반응이 진행되게 된다. 이러한 반응은 고분자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 완충제 : 유화중합은 산성에서 반응이 진행되나, 산이나 기능성 단량체를 함유한 경우 반응시의 pH가 변하는 경우가 많이 관찰되는데 완충제는 반응시의 pH를 안정화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완충제는 또한 개시제의 용해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아크릴 에멀전 점착제의 성능을 개선하여 기존 점착제 수준의 물성을 유지하며 기재에 점착제를 코팅 시 점착제 자체의 항균 성능으로 인하여 점착제가 코팅된 테이프 및 필름 표면을 곰팡이 및 대장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수성 아크릴계 항균점착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계 용매, 아크릴계 단량체, 유화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며, 유화중합을 통하여 제조되는 점착제로서,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성 유화제 1종 및 비이온성 유화제 1종을 포함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고형분 함량이 55~65%이며 살진균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 및 비이온성 유화제는 75~80 : 20~25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는 상기 수계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100 내지 200 중량부, 상기 유화제는 4 내지 8 중량부, 상기 개시제는 0.5 내지 4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적어도 2종 이상의 제1 단량체, 적어도 2종 이상의 제2 단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계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 단량체는 100 내지 150 중량부, 제2 단량체는 5 내지 15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는 상기 수계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살진균제는 0.1~0.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량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 (Butyl acrylate), 부틸메타크릴레이트 (Butyl meth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Ethylhexyl acrylate),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Ethylhexyl methacrylate), 메틸아크릴레이트 (Methyl acrylate)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 methacryl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량체는 아크릴산 (Methacrylic acid), 메타크릴산 (Methacrylic acid),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진균제는 BCM(Methyl-N-benzimidazol-2-ylcarbamate), Tebuconazole(a-tert.Butyl-a(p-chlorophenylethyl)-1H-1,2,4-triazole-1-ethanol), DIURON(N’-(3,4-dichlorophenyl) -N,N- dimethyl urea)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성형 아크릴계 점착제 및 소포제, 웨이팅제 및 증점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항균 성능이 있는 점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소포제, 웨이팅제 및 증점제 등은 공지의 성분을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면 된다는 점을 밝힌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점착제의 점착력은 PET 25㎛ 기재, 도포량(Dry 기준) 25㎛에서 500gf/25mm 이상이다. 상기 점착력은 부착 강도 2kgf 압력에 부착 20분 후 점착력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가 갖고 있는 항균성의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기존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에 살진균제를 포함함으로써 기존 점착제 수준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항균성을 높이는 항균 수성 점착제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형 아크릴계 점착제는 수계 용매, 아크릴계 단량체, 적어도 2종 이상의 유화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며, 유화중합을 통하여 제조되어 에멀전 상태에서 살진균제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즉, 아크릴계 단량체와 수계 용매의 혼합물에 두 계면 간에 활성작용을 하는 유화제(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 중합체 라텍스 시드입자(seed particle)가 형성되기 시작하고 이를 중심으로 단량체들이 반응하여 형성된다. 이때, 입자 크기를 크게 또는 입경분포가 넓게 나타나는 다양한 입자크기를 갖는(multimodal) 시드입자가 형성되도록 조절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유화제의 종류, 사용비율의 조절, 투입시점 및 분할 투입 등의 첨가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단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함유량을 나타내는 %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중량비율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형 아크릴계 점착제는 수계 용매, 아크릴계 단량체, 적어도 2종 이상의 유화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여 유화중합을 시키고 반응종료 후 살진균제를 포함하여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때, 중합에 사용되는 총량으로 배합비를 설명하면, 수계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계 단량체는 100 내지 200 중량부, 적어도 2종 이상의 유화제는 4 내지 8 중량부, 개시제는 0.5 내지 4 중량부로 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수계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계 단량체는 140 내지 180 중량부, 적어도 2종 이상의 유화제는 5 내지 7 중량부, 개시제는 1 내지 2 중량부로 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적어도 2종 이상의 제1 단량체, 적어도 2종 이상의 제2 단량체를 포함한다. 각 단량체의 중합에 사용되는 총량은 수계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 단량체는 100 내지 150 중량부, 제2 단량체는 5 내지 15 중량부 포함하여 중합에 사용된다.
상기 제1 단량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부틸메타크릴레이트(Butyl meth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thylhexyl acrylate),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Ethylhexyl methacrylate),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량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Ethylhexyl acrylate)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thylhexyl acrylate)의 혼합 비율은 40~60:40~60인 것이 좋다.
상기 제2 단량체는 아크릴산(Meth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2-하이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량체는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및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단량체는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및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의 혼합 비율은 60~70:40~30인 것이 좋다.
상기 적어도 2종 이상의 유화제는 음이온성 유화제 1종 및 비이온성 유화제 1종을 포함한다.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는 암모늄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알킬벤젠설포네이트, α-올레핀 설포네이트, 소디움 알칸설포네이트와 같은 술폰산염, 알킬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와 같은 황산에스테르염, 황화 노닐페녹시 폴리(에틸렌옥시) 에탄올의 암모늄염, 에테르 카르복시산과 같은 카르복시산염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는 알카릴에테르황산염, 나트륨디옥틸설포석시네이트, 알킬나프탈렌 설포네이트, 설포석시네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 및 비이온성 유화제는 75~80:20~25 비율로 포함된다.
상기 개시제는 과산화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과황화칼륨(Potassium persulf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성형 아크릴계 점착제는 산화환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환원제는 수계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는 중합 시 반응기에 개시제를 투입 후 아크릴 모노머를 유화제로 수계 용매에 유화한 프리에멀전을 반응기에 적하하며 반응한다. 이 때 반응 온도는 81 내지 83℃이며, 반응시간은 5 내지 7 시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이 및 플라스틱 필름상에 코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에 소포제, 웨이팅제 및 증점제를 첨가한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하여 상기 소포제/웨이팅제는 0.2 내지 0.3%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증점제는 5 내지 10%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성 아크릴 점착제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반응 종료 후 살진균제를 첨가한다.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하여 살진균제는 0.5 내지 1.0 중량부 포함된다.
<아크릴 점착제의 제조>
수계 용매 19%에 음이온유화제 1.3%, 비이온유화제 0.4%를 혼합 후 고속교반기로 교반하며 아크릴 모노머를 투입하여 프리에멀전을 제조한다.
이때 아크릴모노머는 부틸아크릴레이트 24.5%,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4.5%,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5%,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 메타크릴레이트산 1%를 차례로 투입한다.
반응기에 수계 용매 14%, 음이온유화제 0.1%를 혼합하여 승온하고 내온 81℃에서 과산화황산암모늄 0.1%를 투입하고 프리에멀전을 10분 후에 적하한다. 이때 과산화황산암모늄 0.2%를 수계 용매에 혼합하여 같이 적하한다. 적하시간은 3~4Hr이며 총 반응 시간은 5~6 시간이다.
반응종료 후 산화환원제를 투입하고 상온까지 냉각되면 소포제, 웨팅제, 증점제를 수계용매에 첨가하여 고형분 60%, 점도 1,000cps로 조정한다.
<점착제의 스펙 측정 방법>
(1) 점도
점도를 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회전수는 분(minute) 당 20회전이었다.
(2) 비휘발성 함량
혼합물을 열풍 순환 건조기 중에서 20분 동안 150℃에서 건조시켰고, 비휘발성 함량을 질량 변화로 계산하였다.
<항균 점착제 제조 (실시예에 살진균제 첨가)>
실시예 1 : 상기 수성 아크릴 점착제에 BCM 0.05% 첨가
실시예 2 : 상기 수성 아크릴 점착제에 Tebuconazole 0.05% 첨가
실시예 3 : 상기 수성 아크릴 점착제에 DIURON 0.05% 첨가
실시예 4 : 상기 수성 아크릴 점착제에 BCM 0.03%, Tebuconazole 0.01%, DIURON 0.01% 첨가
실시예 5 : 상기 수성 아크릴 점착제에 BCM 0.06%, Tebuconazole 0.015%, DIURON 0.015% 첨가
비교예 : 상기 수성 아크릴 점착제 단독
<시험방법 및 평가방법>
1) 시험방법(코팅방법)
- 수성 아크릴 점착제 가공
수성 아크릴 점착제를 실리콘 이형 처리된 이형지에 25㎛(Dry 기준) 두께로 코팅한 후 120℃ 열풍 오븐에서 2분간 건조한다. 건조 후 상온에서 종이 원단과 합지하여 전사코팅을 한다. 코팅 후 40℃ 오븐에서 24Hr 이상 숙성한다.
2) 항균성 평가방법
- ASTM G 21-09 : 합성 폴리머 소재의 곰팡이 저항성 실험
<사용균주>
Aspergillus niger ATCC 9642, Penicillum pinophillus ATCC 11797, Glicladium virens ATCC 9645, Chaetonium globosium ATCC 6205, Aureobasidium pullurans ATCC 15233
<측정>
시편은 4 x 4 cm 크기로 하여 준비한 후, 곰팡이 혼합 포자액이 접종된 한천배지에 시료를 정착시키고 온도 28℃, 습도 85%로 조절된 배양기에서 4주간 배양한다. 배양기간 동안 시료 표면에 곰팡이의 생육 여부 및 저지환 형성(clear Zone)을 확인하여 항곰팡이 효과를 측정한다.
- JIS Z 2801 - 2010 : 항균력
사용공시균주 균주 1 -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균주 2 - Escherichia coli ATCC 8739
시료 표면적 50㎜ x 50㎜, 표준필름 : 40㎜ x 40㎜ Stomacher 400ⓡ POLY-BAG
시료 멸균 UV(254㎚) 2 시간 조사, 접종원의 양 : 0.4 ㎖
항균활성치(R) (Ut - U0) - (At - U0), 감소율(%) : [(10Ut - 10At) / 10Ut] x 100
유효시험조건 (Lmax-Lmin)/(Lmean) ≤ 0.2
U0 접종직후 비처리시험편에서 회수된 생균수의 상용로그 평균 (6.2 x 103 ∼ 2.5 x 104 세포/㎠)
Ut 24시간 후 비처리시험편에서 회수된 생균수의 상용로그 평균 (6.2 x 101 세포 이상/㎠)
At 24시간 후 처리시험편에서 회수된 생균수의 상용로그 평균 (세포/㎠)
3) 점착력 평가 방법
ASTM D 3330에 의거하여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23±2℃, 50%의 온, 습도에서 시험하고자 하는 점착필름을 1인치 x 4인치 길이로 측정 SUS 304에 부착 후 2kg 롤러(roller)를 이용하여 305mm/min의 속도로 1회 왕복하여 접착한다. 이후 20분간 23±2℃, 50%의 온, 습도에서 방치 후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305mm/min의 속도로 점착필름을 SUS 304에서 박리하며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
구분 ASTM G 21-09 JIS Z 2801-2010 (균 감소율) 점착력
저지환(mm)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gf/25mm
비교예 0 0 0 1,030
실시예 1 4 99.5 99.5 1,010
실시예 2 3 99.4 99.4 1,040
실시예 3 3 99.6 99.5 1,030
실시예 4 7 99.8 99.7 1,040
실시예 5 11 99.9 99.9 1,030
비교예의 경우 항균 효과가 없었지만 실시예에서는 항균효과가 나타났으며 한 가지 살진균제를 사용한 것보다 혼합 사용한 실시예 4, 5에서 효과가 더 높았다.
실시예 5는 균 감소율 99.9% 이상으로 항균력이 탁월했으며 이는 살진균제의 함유량이 높아질수록 항균력이 높아지는 것을 나타낸다.
살진균제가 포함된 실시예에서 전반적으로 점착 성능의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기존에 항균성이 없는 제품의 사용 용도에서 항균 점착제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8)

  1. 수계 용매, 아크릴계 단량체, 유화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며, 유화중합을 통하여 제조되는 점착제로서,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성 유화제 1종 및 비이온성 유화제 1종을 포함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유화제로 구성되며,
    살진균제 2종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살진균제는 BCM(Methyl-N-benzimidazol-2-ylcarbamate), Tebuconazole(a-tert.Butyl-a(p-chlorophenylethyl)-1H-1,2,4-triazole-1-ethanol), DIURON(N’-(3,4-dichlorophenyl)-N,N-dimethyl urea)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이며,
    상기 살진균제는 상기 수계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0.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 및 비이온성 유화제는 75~80 : 20~25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는 상기 수계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100 내지 200 중량부, 상기 유화제는 4 내지 8 중량부, 상기 개시제는 0.5 내지 4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적어도 2종 이상의 제1 단량체, 적어도 2종 이상의 제2 단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계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 단량체는 100 내지 150 중량부, 제2 단량체는 5 내지 15 중량부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량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 (Butyl acrylate), 부틸메타크릴레이트 (Butyl meth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Ethylhexyl acrylate),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Ethylhexyl methacrylate), 메틸아크릴레이트 (Methyl acrylate)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 methacryl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이고,
    상기 제2 단량체는 아크릴산 (Methacrylic acid), 메타크릴산 (Methacrylic acid),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 및 소포제, 웨이팅제 및 증점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점착 코팅 조성물.
KR1020220058151A 2022-05-12 2022-05-12 항균 에멀전 점착제 및 그를 이용한 점착코팅 조성물 KR102656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151A KR102656905B1 (ko) 2022-05-12 2022-05-12 항균 에멀전 점착제 및 그를 이용한 점착코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151A KR102656905B1 (ko) 2022-05-12 2022-05-12 항균 에멀전 점착제 및 그를 이용한 점착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725A KR20230159725A (ko) 2023-11-22
KR102656905B1 true KR102656905B1 (ko) 2024-04-15

Family

ID=8897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151A KR102656905B1 (ko) 2022-05-12 2022-05-12 항균 에멀전 점착제 및 그를 이용한 점착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9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892B1 (ko) * 2020-11-18 2021-06-09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항바이러스, 항균, 항곰팡이 및 이지클리닝 특성을 갖는 친환경 수성 도료 조성물
KR102339253B1 (ko) 2020-06-16 2021-12-16 대흥특수화학(주) 인테리어 시트용 수성형 아크릴계 방염 점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16878A (ja) * 2018-12-31 2022-03-03 ダウ シリコーンズ コーポレーション 多官能性有機ケイ素化合物及び関連する方法、化合物、及び組成物
KR102282206B1 (ko) * 2019-11-20 2021-07-28 대흥특수화학(주) Pvc 인테리어 시트용 수성형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0330B1 (ko) * 2020-03-26 2022-03-04 대흥특수화학(주) 인테리어 시트용 수성형 아크릴계 점착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253B1 (ko) 2020-06-16 2021-12-16 대흥특수화학(주) 인테리어 시트용 수성형 아크릴계 방염 점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염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
KR102262892B1 (ko) * 2020-11-18 2021-06-09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항바이러스, 항균, 항곰팡이 및 이지클리닝 특성을 갖는 친환경 수성 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725A (ko) 202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4076B2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aziridine crosslinking agents
KR101589769B1 (ko) 아지리딘 가교결합제를 갖는 아크릴 감압 접착제
EP2504369B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aziridinyl-epoxy crosslinking system
US9932499B2 (en) UV-curable composition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aving breathability derived therefrom, as well a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291478A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aziridine crosslinking agents
US9458360B2 (en) Water-based adhesive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adhesive film
KR20140058382A (ko) 아크릴-실리콘계 하이브리드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1683A (ko) 점착부여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의 제조방법
CN107771201B (zh) 包含(甲基)丙烯酸类聚合物和氨基酸交联剂的压敏粘合剂
JP2006524741A (ja) 可塑剤耐性を有する剥離可能な感圧接着剤
JP2020532625A (ja) 水性感圧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20190104805A (ko)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DE19912253C2 (de) Verwendung einer wäßrigen Polymerdispersion auf Acrylatbasis zur Herstellung von wiederablösbaren Haftkleberfilmen
KR102656905B1 (ko) 항균 에멀전 점착제 및 그를 이용한 점착코팅 조성물
JPH08134423A (ja) アクリル系エマルジョン型粘着剤組成物
KR102282206B1 (ko) Pvc 인테리어 시트용 수성형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RU2760531C2 (ru)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й адгезива, склеивающего при надавливании
US20200392381A1 (en) Polymer additives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s
KR101787043B1 (ko) 틱소트로픽성을 나타내는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840789A (zh) 水基壓敏黏著劑組合物及其製造方法
KR20020083283A (ko) 재박리형 수성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제조 방법
KR101350515B1 (ko) 아크릴계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EP1865038A1 (en) Release coating and process
KR102519549B1 (ko) 우레탄 변성 아크릴 단량체를 이용한 수계 아크릴 에멀젼 조성물
KR20140115166A (ko) 점착부여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