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304B1 -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304B1
KR102656304B1 KR1020230023847A KR20230023847A KR102656304B1 KR 102656304 B1 KR102656304 B1 KR 102656304B1 KR 1020230023847 A KR1020230023847 A KR 1020230023847A KR 20230023847 A KR20230023847 A KR 20230023847A KR 102656304 B1 KR102656304 B1 KR 102656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
fed
milk
concentration
bod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왕용
Original Assignee
정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왕용 filed Critical 정왕용
Priority to KR1020230023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4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e.g. magnes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6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유의 급여횟수를 조절하여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건물 농도를 가지는 대용유를 한우 송아지에 급여 시, 급여횟수에 따라 한우 송아지의 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더라도 증체량, 일당증체량을 증진시키고 설사나 연변 등을 억제하면서 혈액 성분과 대사물질을 정상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한우 송아지를 자연 포유 방식이 아닌 인공 포유 방법으로 한우 송아지를 대량으로 사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Method for feeding milk replacer to Hanwoo Calves}
본 발명은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우 번식우 사육 두수가 증가하고 한우 송아지 가격이 상승하면서 한우 번식 전문 농가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 농가들의 개량 효과 및 송아지 사육 기술이 상승함에 따라 점점 우량 송아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는 농장 수익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우 송아지는 어미의 포유 능력이 포유기 및 이유 후 성장과 질병, 면역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송아지 시기의 건강과 우량함이 송아지가 성우가 되었을 때의 우유생산능력 및 비육우의 도체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송아지를 잘 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찍부터 유우에서는 어미소와 분리한 인공포유 기술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돼 왔다. 그러나 한우의 사육은 어미소와 함께 사육되는 자연포유 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자연포유 상태에서 송아지 성장을 극대화하고 이유 후 입붙이 사료 섭취를 극대화하는 데 집중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사육 기술이 전문화될수록 한우 송아지 인공포유에 대한 농가의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나 한우 송아지를 이용한 인공포유 실험이나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자연포유를 하는 송아지는 어미소의 보호 아래 생후 첫 주 동안 하루에 약 8~12회 어미의 젖을 먹으며, 1개월에서 6개월로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포유 횟수는 줄어들고 고형사료 섭취가 늘어난다. 그러나, 송아지에게 인공포유를 하는 경우, 송아지를 돌볼 노동력 부족으로 농장에서는 대용유 급여 횟수를 늘리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최근 자동 인공포유 기계가 계발되면서 인력으로 불가능했던 급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인공포유 시 송아지의 섭취량과 성장을 극대화하려면 대용유의 적정 급이량을 설정해야 한다. 생후 송아지의 우유 공급량을 높이면, 이유 시 입붙이 사료 섭취가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으며, 우유 공급량을 지나치게 낮추면 성장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인공포유시 송아지 성장을 최대한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대용유의 농도와 급여량 그리고 대용유의 급여횟수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우 송아지의 인공포유 시 적절한 대용유 급여량 및 급여 농도와 급여횟수를 적정한 수준으로 설정하여 한우 송아지의 연변이나 설사를 줄이면서 한우 송아지의 성장을 최대한 높이고자 하였다.
등록특허 제10-1761261호(2017년07월19일)
본 발명에서는 한우 송아지의 인공포유 시 적절한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 그리고 급여횟수를 설정하고자, 한우 송아지의 대용유의 급여 수준과 급여 농도 변화에 따른 대용유 섭취량, 입붙이 사료 섭취량, 성장 특성과 혈액 지표를 분석하고 최적의 성장을 도출할 수 있는 대용유의 급여 수준과 급여 농도를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동일한 건물 농도의 대용유를 한우 송아지에 급여 시, 최적의 급여횟수를 규명하여 증체량, 일당증체량을 증진시키고 설사나 연변 등을 억제하면서 혈액 성분과 대사물질을 정상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한우 송아지를 자연 포유 방식이 아닌 인공 포유 방법으로 최대한 성장시킬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농도 15~25% (w/v)를 포함하는 대용유를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10~30% (v/w) 수준으로 하루 3~5회 4.5~5.5 시간 간격으로 분할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에 대한 다른 설명 및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에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문구 또는 문장에서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은 수단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 농도 15~25% (w/v)를 포함하는 대용유를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10~30% (v/w) 수준으로 하루 3~5회 4.5~5.5 시간 간격으로 분할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은 건물 농도 15~25% (w/v)를 포함하는 대용유를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10~30% (v/w) 수준으로 하루 3~5회 4.5~5.5 시간 간격으로 분할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물"은 dry matter(DM)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남은 고형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대용유"는 어미의 젖(모유) 대신에 어린 송아지에게 급여하는 것으로, 단백질, 지방, 비타민 등을 포함하며, 급여 시 물에 타서 환원유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입붙이 사료"는 젖먹이 송아지가 반추동물로써 반추위 발달을 위해 먹는 이유식으로, 반추위의 유두 및 근육 성장, 반추위 점막의 색소 침착을 포함해 반추위 발달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한우 송아지는 출생 후 24시간 이내 생시 체중이 25~40kg인 송아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우 송아지는 출생 후 10~14시간 이내에 분말 초유를 급여하여 IgG를 1일 100g 이상 섭취한 송아지로, 비타민 A, D3, E가 함유된 보충제와 셀레늄 제제 그리고 항생제인 트리메토프림을 투여 받은 상태이다. 또한 출생 후 1주일 내에 소 전염성비기관염,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3 및 호흡기합포체성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을 위해 호흡기 백신이 투여된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용유는 출생 후부터 총 60~90일 동안 하루 3~5회 4.5~5.5 시간 간격으로 분할 급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생 후부터 총 60~90일 동안 하루 4회 5 시간 간격으로 분할 급여할 수 있다. 하루 4회 분할 급여 시, 상기 대용유는 총 25~35일 동안 오전 6시, 오전 11시, 오후 16시 및 오후 21시에 급여할 수 있다.
상기 대용유는 초유를 급여한 후 가능한 일찍 시작하는 것이 좋다. 한우 송아지가 입붙이 사료를 하루에 800g 이상 섭취 시 대용유 급여를 멈추고, 이유를 할 수 있다.
상기 이유는 모유 또는 대용유 대신 고형식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충분한 우유를 공급받고 자란 송아지는 신속히 고형사료 섭취를 늘려야 한다. 고형 사료 섭취는 이유 후 송아지의 성장 및 반추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송아지의 우량함이 성우가 된 후의 도체 성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유 시까지의 송아지의 성장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유 전 우량한 송아지를 사육할 수 있는 최적의 대용유의 건물 농도와 체중 대비 급여하는 대용유의 함량 그리고 대용유의 급여 횟수를 규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우 송아지에 건물 농도 15~25% (w/v)를 포함하는 대용유를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10~30% (v/w)를 급여할 수 있으며, 이는 1회 기준 급여량으로 하루에 총 4회 급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용유의 건물 급여량은 1회 기준으로 1.5% DM~7.5% DM(dry matter, 건물)을 급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용유의 1회 기준 건물 급여량은 한우 송아지 체중당 3.0~6.0% DM(건물)을 급여할 수 있다.
도 6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를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으로 환산하여 대용유 섭취량과 대용유 건물 섭취량에 대해 모델링한 결과다. 또한, 도 10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를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 DM of BW)으로 환산하여 증체량과 사료효율에 대하여 모델링한 결과이다. 도 10의 모델링 결과에서 일당증체량은 대용유 1회 급여량 4.5% DM of BW(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에서 나타났으며(도 10), 대용유 1회 급여량 4.5% DM of BW(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을 초과 급여해도 대용유 섭취량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도 6).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할 경우 0~30일 동안 섭취 가능한 최대 대용유 양은 평균 1,100g DM에 수렴하여, 한우 송아지의 대용유 최대 섭취량이 하루에 약 1.10kg DM/d로 나타났는데(도 6), 이는 30일령 기준으로 단위체중당 약 0.024kg DM/d으로 환산 가능하다. 이는 체중의 4.5% DM 이상을 4번에 걸쳐 급여하면 송아지가 먹을 수 있는 최대 급여량에 해당된다.
또한,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 DM of BW) 증가에 따른 증체량과 사료효율을 살펴보면, 4.5% DM of BW까지 증가한 후 6.0% DM of BW을 넘어서면서 점차 감소한다(도 10).
따라서, 대용유 섭취량, 일당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고려하면 한우 송아지 체중당 3.0~6.0% DM(건물)을 급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우 송아지 체중당 3.0~4.5% DM(건물)을 급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우 송아지에 건물 농도 15% (w/v)를 포함하는 대용유를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20~30% (v/w)를 급여할 수 있다.
송아지 체중당 3.0% DM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의 건물 급여량(% DM of BW)이 3.0%으로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의 건물 농도가 15% (w/v)인 대용유 20% (v/w)를 급여하는 것이다. 송아지 체중당 4.5% DM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의 건물 급여량(% DM of BW)이 4.5%으로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의 건물 농도가 15% (w/v)인 대용유 30% (v/w)를 급여하는 것이다.
상기 대용유의 1회 기준 건물 급여량은 생후 0~10일 이내에는 한우 송아지 체중당 3.0% DM(건물)을 급여하고 생후 11~30일에는 4.5% DM(건물)을 급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용유의 1회 기준 건물 급여량은, 생후 0~10일 이내에 한우 송아지 체중당 3.0% DM(건물)을 급여하는 경우, 송아지 체중당 3.0% DM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의 건물 급여량(% DM of BW)이 3.0%으로,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의 건물 농도가 15% (w/v)인 대용유 20% (v/w)를 급여할 수 있다. 또한, 생후 11~30일에는 4.5% DM(건물)을 급여하는 경우 송아지 체중당 4.5% DM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의 건물 급여량(% DM of BW)이 4.5%으로,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의 건물 농도가 15% (w/v)인 대용유 30% (v/w)를 급여할 수 있다.
상기 대용유는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조섬유, 락토스, 칼슘, 인, 라이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비타민 A, 오메가 3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성분으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용유는 건물 함량이 총 90~100%로, 건물 함량기준으로 조단백 20~30%, 조지방 15~25%, 조회분 5~10%, 락토스 35~45%, 칼슘 0.2~1.5%, 인 0.2~1.5%, 라이신 0.5~5%, 메티오닌 0.1~1% 및 트레오닌 0.5~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용유는 비타민 A는 10,000~50,000 IU/kg, 오메가 3 2,000~4,000 ppm 및 프로바이오틱스 0.5×109~2×109 CFU/kg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20~30% (v/w)를 급여 시, 대용유 섭취량이 증가한다.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10% (v/w)를 급여 시, 입붙이 사료 섭취량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건물 농도가 15~25% (w/v)인 대용유를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10~30% (v/w)를 급여 시 음수량이 증가하거나, 또는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20~30% (v/w)를 급여 시 유기물 섭취량, 조단백 섭취량 및 조지방 섭취량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20~30% (v/w)를 급여 시, 체중이 증가하거나,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이 증가하거나, 또는 사료 효율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붙이 사료는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조섬유, 칼슘 및 인을 성분으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붙이 사료는 건물 함량이 총 85~95%로, 조단백 20~30%, 조지방 1~10%, 조회분 5~15%, 조섬유 5~15%, 칼슘 0.2~1.5%, 인 0.2~1.5%, 총 소화가능 영양소 50~100%를 포함한다. 상기 총 소화가능 영양소는 가소화 단백질, 가소화 지방, 가소화 탄수화물을 포함하며, 이를 합한 총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대용유를 하루 4회 5시간 간격으로 분할 급여 시,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은 증가하면서 설사발생율이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물 농도 15% (w/v)를 포함하는 대용유를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30% (v/w)를 하루 4회 5시간 간격으로 분할 급여 시, 섭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더라도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은 증가하면서 설사발생율이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일반 혈액 성분과 대사 물질도 정상 수준으로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대용유의 급여횟수를 조절하여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건물 농도를 가지는 대용유를 한우 송아지에 급여 시, 급여횟수에 따라 한우 송아지의 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더라도 증체량, 일당증체량을 증진시키고 설사나 연변 등을 억제하면서 혈액 성분과 대사물질을 정상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한우 송아지를 자연 포유 방식이 아닌 인공 포유 방법으로 한우 송아지를 대량으로 사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한우 송아지(n=10)의 30일 동안 대용유 급여량과 건물 농도에 따른 대용유 섭취량 변화를 나타낸다.
도 2는 한우 송아지(n=10)의 30일 동안 대용유 급여량과 건물 농도에 따른 대용유 건물 섭취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은 한우 송아지(n=10)의 30일 동안 대용유 급여량과 건물 농도에 따른 입붙이 사료 섭취량 변화를 나타낸다.
도 4는 한우 송아지(n=10)에서 30일 동안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총 건물 섭취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5는 한우 송아지(n=10)의 30일 동안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음수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를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으로 환산하여 대용유 섭취량과 대용유 건물 섭취량에 대해 모델링한 결과다.
도 7은 한우 송아지(n=10)의 30일간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체중변화를 나타낸다.
도 8은 한우 송아지(n=10)의 30일간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일평균 증체량 변화를 나타낸다.
도 9는 한우 송아지(n=10)의 30일간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사료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를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 DM of BW)으로 환산하여 증체량과 사료효율에 대하여 모델링한 결과이다.
도 11은 한우 송아지의 1일 대용유 급여량과 대용유 농도에 따른 설사 발생 횟수를 나타낸다(□, DM의 15%; ▩, DM의 20%; ▧, DM의 25%).
도 12는 대용유 급여 횟수에 따른 한우 송아지의 연변발생 횟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험 I. 대용유 급이량 및 농도가 한우 송아지의 성장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재료 및 시험방법]
1. 공시동물, 사육시설 및 사양관리
본 실험은 건국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KU21065), 전라북도 정읍의 서우농장에서 2021년 04월 25일부터 09월 26일까지 총 155일 동안 수행하였다.
한우 송아지 총 90두(암소 45두, 수소 45두)를 공시하여(평균 30.84 ± 3.61 kg; 암, 29.22 ± 3.47 kg; 수, 32.46 ± 2.99 kg) 실험에 이용하였다. 송아지는 태어난 후 배꼽 소독을 실시하고, 12시간 이내에 시판 분말 초유를 온수에 250g/L로 혼합하여 IgG를 1일 100g 이상 섭취하도록 총 2회 급여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송아지는 출생 후 비타민 A, D3, E가 함유된 보충제(Vitamin A, 300,000 IU; Vitamin D3, 100,000 IU; Vitamin E, 50 mg) 2mL와 셀레늄제제(Selevit, Fatro, Canada) 1mL,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트리메토프림(Amphoprim, Virbac, France)을 1mL 주사하였다. 또한 1주일 안에 소 전염성비기관염,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3형 및 호흡기합포체성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을 위해 호흡기 백신(Inforce 3, Zoetis, NJ, USA)을 송아지의 양쪽 콧구멍에 1mL씩 총 2mL 투여하였다. 실험에는 초유와 백신이 투여된 송아지 중 24시간 이내 생시체중이 25~40kg 이내인 송아지를 선별하여 배치하였다.
실험 송아지의 사육공간은 한쪽 벽면에 윈치 커튼이 설치된, 개방 가능한 우사로서 자연 환기가 가능하고 송아지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공간에서 실험하였다. 또한 송아지는 실내 온도를 15~25℃로 유지할 수 있는 냉난방 장치가 설치된, 개별 입식이 가능한 송아지 전용 팬에서 사육되었다(가로 Х 세로 Х 높이, 1.33m Х 1.85m Х 1.00m). 송아지 사육 팬의 문에는 음수통과 사료통을 고정하는 틀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우측 벽면에 송아지가 외부 오염 없이 빠르게 입붙이 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사료병을 섭취가 용이한 80cm 높이에 설치하였다. 입붙이 사료병의 사료와 음수통의 물은 매일 새것으로 교체하였다.
실험 농장의 표준 사육프로그램에 따라 송아지의 보온과 안락함을 위해 톱밥을 5~6cm 높이로 깔았으며, 깔짚은 매일 9시에 육안으로 확인하여 대략 50% 이상 분뇨로 오염된 경우 전부 교체하였고, 필요에 따라 오염된 부분만 새 톱밥으로 보충하였다.
2. 실험 설계
공시동물은 각 처리구당 평균 체중이 유사하도록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대용유 급여 수준과 대용유 농도는 3 Х 3 배열로 총 9개의 처리구를 배치하였으며, 대용유 급여 수준은 송아지 체중의 10%, 20% 및 30%로 나누어 급여하고 대용유의 농도 15%, 20% 및 25%로 급여하였다. 실험 단위는 각 송아지이고, 실험결과는 개체별로 분석하였다.
표 1은 실험 디자인으로 한우 송아지에게 급여할 대용유 급여량과 대용유 농도를 표시한 것이다. 표 1에서 V, Milk replacer volume, % of BW (체중)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 수준%]; C, Milk replacer concentration, %DM(dry matter, 건물) [대용유의 건물 함량 %]; G, Gender (F, female 암; M, male 수); N, Number of animals(송아지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체중대비 대용유 급여량 10%를 급여하는 경우 대용유의 건물 함량은 15%, 20%, 25%로 설계하여,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 DM of BW)은 1.5%, 2%, 2.5%로 급여하게 된다.
모든 송아지는 인공 젖꼭지(직경 2 cm; 길이 7.5 cm)가 장착된 2.5리터 용량의 젖병으로 1일 4회로 나누어 대용유를 급여하였으며, 젖병은 매번 포유가 끝나면 세척 후 건조하였다. 송아지에게 급여한 대용유는 매일 6시, 11시, 16시 및 21시에 급여하고 잔량을 기록하였다. 대용유는 송아지에 급여하기 전에 42℃ 미온수에 대용유 분말을 혼합하여 각각의 처리구에 맞게 농도를 설정하였으며, 계량컵을 이용하여 대용유를 정확하게 계량 후 젖병에 담아 급여하였다.
송아지는 매 급이 시간마다 송아지가 젖병을 빠는 행동과 포만감을 표현할 때까지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하였고, 거부하는 경우 강제로 급여하지 않았다. 입붙이 사료(표 2)는 매일 오후 4시에 송아지들의 포유가 끝난 후 새로 교체되었으며, 실험 시작 0일부터 30일까지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입붙이 사료병에 무제한 공급하였다. 물은 사료 급여 시간과 동일한 시간에 스테인레스로 된 물통에 실험 시작과 함께 공급되었으며 매일 깨끗한 물로 교체하였다.
표 2는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의 화학적 조성을 나타낸다.
표 2에서 Milk replacer는 대용유, Starter feed는 입붙이 사료, DM, dry matter(건물); CP, crude protein(조단백); EE, ether extract(조지방); Ash, 조회분; CF, crude fiber(조섬유);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총 소화가능한 영양소) ; NA; not analysis를 나타낸다. 또한 대용유는 표 2에 기재된 성분 이외에 Vitamin A, 25,000 IU/kg; Omega 3, 2,750 ppm; Probiotics, 1Х109 CFU/kg를 포함한다.
상기 총 소화가능한 영양소는 가소화 단백질, 가소화 지방, 및 가소화 탄수화물을 의미하고, 함량은 이들을 합한 총량이다.
3. 조사 항목
송아지에게 급여한 대용유, 사료 및 물의 섭취량을 매일 기록하였다. 대용유 급이량은 매 급이 시간마다 잔량을 체크하여 섭취량을 계산하였고, 사료와 물은 매일 16시에 전날 급여량에서 당일 남은 잔량을 계산하여 기록하였다.
체중은 생시 체중을 시작으로 10일 간격으로 매번 오전 11시에 전자저울(DW-150, CAS, Yangju-si, South Korea)을 이용하여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줄자를 이용하여 송아지의 흉위 사이즈를 측정하고 접촉식 전자 체온계(KD-1211, Dongguan polygreen Technology, Seoul, South Korea)를 이용하여 직장내 체온을 측정 기록하였다. 기록된 체중은 실험 기간 동안 송아지 대용유의 급여량을 계산하는데 이용하였다. 설사 발생율은 송아지가 설사를 하면 하루를 기준으로 설사 횟수를 1회로 기록하고 실험기간동안 총 몇 회 설사하였는지 기록하였다.
혈액은 0, 10, 20 및 30일에 매번 동일한 시간에 멸균된 일회용 주사기(20 ml, 18 G, 33 mm; JS-20, Jung rim medical industrial, South Korea)를 이용하여, 송아지의 경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각 송아지로부터 채취한 혈액은 EDTA 진공 튜브(BD Vacutainer® #367856, Becton Dickinson, USA) 및 혈청 분리 튜브(BD Vacutainer® SST?? II Advance tube # 367955, Becton Dickinson, UK)에 각각 2.5~3.0 ml을 수집하였다. 전혈은 일반혈액검사를 24시간 내에 분석하였으며, 혈청 추출을 위하여 4℃에서 15분 동안 3,000 rpm 원심분리(MF 80, Hanil, South Korea) 후 마이크로 튜브에 1ml씩 나누어 대사산물 분석 전까지 -70℃ 초저온냉동고(Deep freezer, South Korea)에 보관하였다.
4. 분석 항목
4.1. 일반 성분 분석
사료 및 대용유의 건물함량(Dry matter, DM), 조회분(Ash), 및 조지방(ether extract, EE)은 AOAC (2005)의 방법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건물함량은 열풍 건조기(HB-503-LF, Hanbaek scientific technology, Korea)를 사용하여 60℃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여 측정하였다. 조회분은 전기회화로 (Isotemp muffle furnace 550-126,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Hampton, USA)를 이용하여 550℃ 조건에서 3시간반 동안 회화한 후 계산된 무게를 건물함량에서 감하여 유기물(Organic matter, OM) 함량을 계산하였다. 조지방은 조지방 산분해 시스템(ANKOM HCl Hydrolysis System, ANKOM Technology, New York, USA)를 이용하여 Mertens and Collaborators (2002)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조단백은 자동 Kjeldahl 분석기 (Kjeltec 8400, FOSS, Hilleroed, Denmark)를 이용하여 Kjeldahl 방법(AOAC 968.06)에 따라 함량을 측정하였다. 칼슘(Ca)과 인(P)은 전처리 후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ICP-OES iCAP PRO, Thermo Fisher Scientific, M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2. 혈액 분석
일반혈액분석(CBC, common blood cell)은 전혈로부터 적혈구(RBC, red blood cell), 혈액 중 적혈구 비중(HCT, hematocrit), 헤모글로빈(Hb, hemoglobin), 적혈구 체적(MCV, mean cell voulme), 적혈구 당 평균 헤모글로빈 수(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적혈구 당 평균 헤모글로빈 농도(MCH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적혈구 용적 분포폭(RDW, Red cell distribution width), 망상적혈구 수(RETIC, reticulocytes), 백혈구(WBC, white blood cell), 호중구(NE, neutrophil), 림프구(LY, lymphocyte), 단핵구(MO, monocyte), 호산구(EO, eosinophil), 호염구(BA, basophil), 혈소판(PLT, platelet), 평균 혈소판 용적(MPV, mean platelet volume), 혈소판 용적 분포폭(PDW, platelet distribution width) 및 프락칼시토닌(PCT, Procalcitonin)에 대하여 혈액 분석기(VetScan HM2, Abaxis, Union City, CA,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혈청의 대사물질 분석은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FUJI DRI-CHEM SLIDE GOT/AST-P Ⅲ, Fuji Film, Tokyo, Japan), 혈중 요소질소(BUN, blood urea nitrogen; FUJI DRI-CHEM SLIDE BUN-PⅢ, Fuji Film, Tokyo, Japan), 포도당(Glucose; FUJI DRI-CHEM SLIDE GLUPⅢ, Fuji Film, Tokyo, Japan), 알부민(Albumin; FUJI DRI-CHEM SLIDE ALB-P, FUJIFILM Corp., Tokyo, Japan) 및 총 단백질(TP, total protein; FUJI DRI-CHEM SLIDE TP-PⅢ, Fuji Film, Tokyo, Japan)에 대하여 임상 화학 자동 분석기(FUJI DRI CHEM 7000i biochemistry analyzer, Fuji Film,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혈액분석 데이터의 정상수치 판단을 위해 Abaxis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the IDEXX ProCyte Dx* hematology analyze, Bovine)와 한우를 대상으로 분석한 Kim 등(2021)의 분석치를 참고하였다(표 3). 표 3은 소(bovine), 임신한 한우 소(pregnant Hanwoo cows)와 송아지(calves)의 혈액분석 데이터이다.
1Kim et al., 2021.
RBC, 적혈구; HCT, 혈액 중 적혈구 비중; Hb, 헤모글로빈; MCV, 적혈구 체적; MCHC, 적혈구 당 평균 헤모글로빈 농도; RDW, 적혈구 용적 분포폭; WBC, 백혈구; NE, 호중구; LY, 림프구; MO, 단핵구; EO, 호산구; BA, 호염구; PLT, 혈소판; MPV, 평균 혈소판 용적
5. 통계 분석
한우 송아지에서 대용유 급여량 및 농도의 효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SAS, 2013, release. 9.5 version, SAS inc., Cary, NC, USA)의 PROC MIXED procedure를 이용하였다. 모델 모형은,
Yjikl=μ + MRi + MCj + Gk + Tl + Ejikl(m)
모델에서 μ는 평균값, MRi는 대용유 급여량, MCj는 대용유의 농도, Gk는 성별, Ti는 시간에 대한 영향 및 Ejijkl(m)는 실험오차를 나타낸다. 모델의 고정 변수는 대용유 급여량 및 농도이며, 임의 변수는 송아지 성별에 대하여 고려하였다.
처리구의 효과를 명확하게 판별하고 시간의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CONTRAST 옵션을 이용하여 Repeated measurement analysis(Littell et al., 1998)를 수행하였다. 각 대용유의 전체 급여량에 따라 설사발생률에 대한 비교는 PDIFF 옵션을 이용하여 multiple comparison을 수행하였다. 대용유의 전체 급여량에 따른 선형 및 비선형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CONTRAST 및 NLIN 옵션을 이용하여 Orthogonal polynomial contrast 및 quadratic line test를 수행하였다.
처리구의 유의성은 p<0.05 수준에서 검정하였으며, 경향성을 0.05 ≤ p<0.10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모든 평균은 최소자승평균(least square means)으로 나타냈다.
[시험결과]
1. 섭취량 분석 결과
본 실험에서는 송아지 체중을 기준으로 대용유 급여량을 측정하고자 수행하였다. 9개의 수준을 설정하고 그 수준 내에서 송아지 체중 대비 급여량 3수준과 대용유의 농도 3수준에 대한 상호작용을 알아볼 수 있도록 표 1과 같이 실험을 설계하였다.
표 4는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및 급여 농도에 따른 대용유 섭취량(MRI), 입붙이 사료 섭취량(SI), 음수량(WI), 유기물 섭취량(OMI), 조단백질 섭취량(CPI) 및 조지방 섭취량(EEI)이다.
표 4에서 대용유 부피(Milk replacer volume %)는 체중(body weight, BM) 당 급여량의 비율을 나타내고(첫번째 줄 10, 20, 30), 대용유의 농도(Milk replacer concentration, %DM)는 대용유의 건물 함량(dry matter, DM content)를 나타낸다(두번째 줄 각각 15, 20, 25). 또한, 표 4에서 약어 MR, milk replacer(대용유); MRI, milk replacer intake(대용유 섭취량); SI, starter feed intake(입붙이 사료 섭취량); WI, water intake(음수량); OMI, organic matter intake(유기물 섭취량); CPI, crude protein intake(조단백 섭취량); EEI, ether extract intake(조지방 섭취량)를 나타낸다. 성별과 대용유 급여량 그리고 대용유의 건물 함량 사이에 유의성은 없었다.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및 급여 농도에 따른 대용유 섭취량]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용유 섭취량(MRI)은 급여량에 따라 체중의 20%와 30%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10% 급여한 처리구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대용유의 급여 농도가 15%에서 25%로 증가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p<0.001). 모든 처리구에서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라 시간이 증가할수록 대용유 섭취량도 증가했다(p<0.001). 대용유 섭취량에서 전체 처리구간에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및 급여 농도에 따른 입붙이 사료 섭취량]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붙이 사료 섭취량(SI)은 대용유를 10% 급여한 처리구가 각각 20%와 30% 급여한 처리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p=0.001). 처리구별 입붙이 사료 섭취량은 급여 농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입붙이 사료 섭취량에서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모든 처리구에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용유 섭취량의 증가가 나타났다(p<0.001). 입붙이 사료 섭취량에서 전체 처리구간에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 결과, 대용유 급여량이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한우 송아지의 입붙이 사료의 섭취량을 감소시켰다.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및 급여 농도에 따른 음수량]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수량(WI)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대용유의 급여 농도가 15%에서 25%로 증가함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0.01). 음수량에서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 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음수량에서 시간이 증가하면서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모든 처리구의 대용유 섭취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0.001). 음수량에서는 전체 처리구간에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유기물 섭취량, 조단백 섭취량 및 조지방 섭취량]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라 유기물 섭취량(OMI), 조단백 섭취량(CPI) 및 조지방 섭취량(EEI)은 체중의 20%와 30%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10% 급여한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유기물 섭취량, 조단백 섭취량 및 조지방 섭취량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 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입붙이 사료 섭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했다(p<0.001). 유기물 섭취량, 조단백 섭취량 및 조지방 섭취량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성장 특성 분석 결과
표 5는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및 급여 농도에 따른 체중(BW), 증체량(BWG), 일당증체량(ADG), 사료효율(FCR), 체온(BT) 및 흉위(Heart girth)에 대한 결과이다.
표 5에서 대용유 부피(Milk replacer volume %)는 체중(body weight, BM) 당 급여량의 비율을 나타내고(첫번째줄 10, 20, 30: 단위%), 대용유의 농도(Milk replacer concentration)는 대용유의 건물 함량(dry matter, DM content)를 나타낸다(두번째 줄 15, 20, 25: 단위%). 표 5에서 약어 BW, 체중; BWG, 증체량; ADG, 일당 증체량; FCR, 사료효율; BT, 체온; Heart grith, 흉위를 나타낸다.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체중]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아지의 초기 체중(BW)은 처리 구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중 결과는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20%와 30% 급여 처리구에서 10% 급여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대용유의 급여 농도에 따라서는 전체 처리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송아지 체중 대비 30% 급여 처리구에서 대용유의 농도가 25%일 때 체중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p=0.098).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체중이 증가하였으며(p<0.001), 송아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증체량과 일당증체량]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증체량(BWG)과 일당증체량(ADG)에서는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20%와 30% 급여 처리구가 10% 급여 처리구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01).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에서 대용유 급여 농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p<0.001), 송아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사료효율]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료효율(FCR)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20% 및 30% 급여 처리구에서 10% 급여 처리구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대용유 급여 농도 간의 상호작용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20% 및 30% 급여 처리구가 10% 처리구에 비하여 사료효율이 높았다.
대용유를 25% 농도로 급여했을 때 대용유 이용성 저하에 따라 사료효율에도 부정적인 영향과 이용성 저하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고농도의 대용유를 급여할 경우 이용성 감소와 질병 유발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요약하면, 대용유 최대 섭취량에 도달하기 전에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료효율이 증가하였고, 대용유 섭취가 최대 섭취량에 도달한 후에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료효율이 감소한다. 이는 한우에게 충분한 양의 대용유를 급여할 경우 대용유의 농도 증가가 한우 송아지의 대용유 이용성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체온과 흉위크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온(BT)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를 20%와 30% 급여한 처리구에서 체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p=0.053), 동일한 처리구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폭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p=0.073). 체온 결과에서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 간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간 및 송아지의 성별에 따른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의 섭취량이 많았던, 체중 대비 20%와 30% 대용유 급여 처리구가 1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 비해 체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실제 사료 섭취량이 높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특이한 점은 25% 대용유 농도 급여 처리구가 대용유 농도 15% 및 20% 급여 처리구에 비해 체온이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송아지가 저온에 노출된 상태에서 사료를 섭취하여 소화를 시키지 못할 경우 식체가 유발되어 송아지의 활력이 낮아지고 체온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체온은 질병 상태가 아닌 정상 범위 내에서 감소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나타난 대용유 농도에 따른 체온 감소는 식체 등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가능성 보여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대용유를 25% 농도로 급여했을 때 대용유 이용성 저하에 따라 사료효율에도 부정적인 영향과 이용성 저하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고농도의 대용유를 급여할 경우 이용성 감소와 질병 유발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송아지의 흉위(Heart girth) 크기는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20%와 30% 급여 처리구에서 10% 급여 처리구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p<0.001). 송아지의 흉위 크기에서 대용유 급여 농도,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대용유 급여 농도 간의 상호작용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든 송아지의 흉위는 증가하였다(p<0.001). 모든 처리구에서 성별은 송아지 흉위 크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소의 흉위는 체중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우 송아지에게 체중 대비 대용유를 20%와 30% 급여한 처리구에서 체중 대비 10% 급여한 처리구에 비해 유의미하게 섭취량이 높았고, 증체량과 일당증체량 결과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체중 대비 20% 및 30% 처리구가 10% 급여한 처리구보다 흉위 크기가 큰 것은 섭취량에 따른 체중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대용유를 급여할 때, 대용유의 농도를 15% DM 이하로 설정하고 하루에 체중 대비 30% 이상 대용유를 급여하는 것이 송아지의 질병 위험을 낮추면서 최대로 성장시키는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3. 급여량에 따른 적정 급여수준 모델 도출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및 급여 농도에 따른 대용유 및 대용유 건물 섭취량]
도 1은 한우 송아지(n=10)의 30일 동안 대용유 급여량과 건물 농도에 따른 대용유 섭취량 변화를 나타낸다.
송아지 체중 대비 1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대용유의 농도와 관계없이 약 3000~3500g/d의 대용유 섭취량이 나타났다. 송아지 체중 대비 2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농도가 15%, 20%, 25%로 증가함에 따라 대용유 최대 섭취량이 각각 약 7,500g/d, 6,500g/d, 6,000g/d로 줄어들었다. 또한, 체중 대비 2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 농도 15%와 20% 처리구는 0~5일째 대용유 섭취량이 약 4,000~4,500g/d에 분포하고 있으며, 농도 25% 처리구는 2,500~3,000g/d의 섭취량을 보였다. 송아지 체중 대비 3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대용유 농도가 15%, 20%, 25%로 증가함에 따라 대용유 최대 섭취량이 각각 약 8,500g/d, 8,000g/d, 6,000g/d로 나타났다. 체중 대비 3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 농도 15%와 20% 처리구는 0~5일째 대용유 섭취량이 약 4,000~4,500g/d에 분포하였으며, 농도 25% 처리구는 섭취량이 2,500g/d 근처에 분포되어 있다.
도 2는 한우 송아지(n=10)의 30일 동안 대용유 급여량과 건물 농도에 따른 대용유 건물 섭취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송아지(n=10)의 30일 동안 송아지 체중 대비 1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대용유의 농도가 15%, 20%, 25%로 증가함에 따라 대용유 건물 섭취량의 분포가 각각 약 300~500g DM/d, 500~750g DM/d 및 750~900g DM/d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송아지 체중 대비 2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농도가 15%, 20%, 25%로 증가함에 따라 대용유 최대 건물 섭취량이 각각 약 1,200g DM/d, 1,350g DM/d, 1,500g DM/d로 증가하였다. 체중 대비 2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 농도 15% 처리구는 0~5일째 대용유 건물 섭취량이 약 500 ~750g DM/d에 분포하고 있으며, 농도 20%와 25% 처리구의 대용유 건물 섭취량 분포는 800~1,000g DM/d에 집중되어 있다. 송아지 체중 대비 3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농도가 15%, 20%, 25%로 증가함에 따라 대용유 최대 건물 섭취량이 각각 약 1,250g DM/d, 1,600g DM/d, 1,650g DM/d로 증가하였다. 체중 대비 3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 0~5일째 대용유 건물 섭취량은 농도 15% 처리구는 약 650~700g DM/d에, 농도 20% 처리구는 650~900d DM/d에, 25% 처리구는 500~900g DM/d에 분포되어 있다.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및 급여 농도에 따른 입붙이 사료 섭취량]
도 3은 한우 송아지(n=10)의 30일 동안 대용유 급여량과 건물 농도에 따른 입붙이 사료 섭취량 변화를 나타낸다.
그 결과, 송아지 체중 대비 1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대용유의 농도가 15%, 20%, 25%로 증가함에 따라 입붙이 최대 사료 섭취량이 각각 55.0g DM/d, 125.0g DM/d, 75.0g DM/d가량으로 나타났다. 송아지 체중 대비 2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 입붙이 사료 섭취량은 대용유 농도 20%와 25% 처리구에서 0~30g DM/d로, 대용유 농도 15%처리구의 약 55.0g DM/d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송아지 체중 대비 3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농도에 관계없이 입붙이 사료 섭취량의 분포가 0~30g DM/d로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대용유 급여량이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한우 송아지의 입붙이 사료의 섭취량을 감소시켰다.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및 급여 농도에 따른 총 건물 섭취량]
도 4는 한우 송아지(n=10)에서 30일 동안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총 건물 섭취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송아지 체중 대비 1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대용유의 농도가 15%, 20%, 25%로 증가함에 따라 총 건물 섭취량의 분포가 약 300~500g DM/d, 500~800g DM/d, 700~900g DM/d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송아지 체중 대비 2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농도가 15%, 20%, 25%로 증가함에 따라 최대 총 건물 섭취량이 약 1,200g DM/d, 1,400g DM/d, 1,550g DM/d로 증가하였다. 0~5일째 총 건물 섭취량은 체중 대비 2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 농도 15% 처리구는 약 500~750g DM/d에, 농도 20%와 25% 처리구는 850~ 1,050g DM/d에 분포되어 있다. 송아지 체중 대비 3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농도가 15%, 20%, 25%로 증가함에 따라 최대 총 건물 섭취량이 약 1,300g DM/d, 1,650g DM/d, 1,700g DM/d로 증가하였다. 0~5일째 총 건물 섭취량은 체중 대비 3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 농도 15% 처리구는 약 650~700g DM/d에, 농도 20% 처리구는 650~900 d DM/d에, 농도 25% 처리구는 500~950g DM/d에 분포되어 있다.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 및 급여 농도에 따른 음수량]
도 5는 한우 송아지(n=10)의 30일 동안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음수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송아지 체중 대비 1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대용유의 농도가 15%, 20% 및 25%로 증가함에 따라 음수량의 분포가 약 150~290 g, 190~350 g 및 250~670 g로 증가하였다. 송아지 체중대비 20%와 3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도 농도가 15%, 20% 및 25%로 증가함에 따라 음수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각 체중의 10%, 20% 및 30% 대용유 급여량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각각의 농도가 15%, 20% 및 25%로 증가함에 따라 최소 음수량은 각각 100g, 140g 및 220g이었고, 최대 음수량은 약 390g, 450g 및 670g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음수량은 대용유의 농도가 15%에서 25%까지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급여 대용유의 농도 증가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분의 함량이 감소함으로써 송아지가 추가적으로 물을 섭취하여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대용유 섭취량과 건물 섭취량 모델링 결과]
도 6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를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으로 환산하여 대용유 섭취량과 대용유 건물 섭취량에 대해 모델링한 결과다.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 DM of BW)이 1.5%에서 7.5%로 증가함에 따라 대용유 섭취량과 대용유 건물 섭취량은 비선형적으로(quadratic) 증가하였다(p<0.001). 체중 대비 급여 수준에 따라 도출된 대용유 섭취량 모델은 Y= -226.57×x2 + 2354.6×x - 333.42 (R2=0.6616, p<0.001)이며, 체중 대비 급여 수준에 따라 도출된 대용유 건물 섭취량 모델은 Y= -29.403×x2 + 373.45×x - 3.2132 (R2=0.9626, p<0.001)였다.
도 6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대용유 1회 급여량 4.5% DM of BW(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을 초과 급여해도 대용유 섭취량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도 6).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할 경우 0~30일 동안 섭취 가능한 최대 대용유 양은 평균 1,100g DM에 수렴하여, 한우 송아지의 대용유 최대 섭취량이 하루에 약 1.10kg DM/d로 나타났는데(도 6), 이는 30일령 기준으로 단위체중당 약 0.024kg DM/d으로 환산 가능하다. 이는 체중의 4.5% DM 이상을 4번에 걸쳐 급여하면 송아지가 먹을 수 있는 최대 급여량에 해당된다.
4. 성장특성에 따른 적정 급여수준 모델 도출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체중]
도 7은 한우 송아지(n=10)의 30일간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체중변화를 나타낸다.
최종 체중 평균은 송아지 체중 대비 1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 대용유 농도 15% 급여 처리구는 33.8kg, 대용유 농도 20%와 25% 급여 처리구는 각각 40.0kg과 40.3kg으로 나타났다. 송아지 체중 대비 2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대용유 농도 15%, 20%, 25% 급여 처리구에서 각각 46.4kg, 48.4kg, 47.4kg이었고, 송아지 체중 대비 30% 대용유 급여 처리구에서는 대용유 농도 15%, 20%, 25% 급여 처리구에서 각각 48.5kg, 48.0kg, 45.6kg으로 나타났다.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증체량과 일당증체량]
도 8은 한우 송아지(n=10)의 30일간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일평균 증체량 변화를 나타낸다.
일당증체량은 송아지 체중 대비 10% 대용유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15% 농도로 급여한 경우 10일경 -0.11g/d에서 30일경 0.21g/d까지 증가하였고, 20%의 농도로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10일경 0.2g/d에서 30일경 0.4g/d까지 증가하였으며, 30%의 대용유 농도로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10일경 0.01g/d에서 30일경 0.5g/d까지 증가하였다. 대용유를 체중 대비 20%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대용유 농도 15%, 20%, 25%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10일경은 각각 0.35, 0.24, 0.29로 나타났으며, 30일경은 각각 0.64, 0.80, 0.80으로 나타났다. 대용유를 체중 대비 30% 급여한 처리구에서 대용유 농도 15%, 20%, 25%를 급여한 처리구는 10일경 각각 0.34, 0.32, 0.18에서, 30일경 각각 0.80, 0.72, 0.79으로 증가하였다.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사료효율]
도 9는 한우 송아지(n=10)의 30일간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사료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사료효율의 경우, 대용유를 체중 대비 10% 급여한 처리구에서 대용유 농도 15%, 20%, 25%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10일경에는 각각 -7.34, -3.63, -15.88이였으며, 30일경은 각각 5.68, 2.31, 1.88로 나타났다. 대용유를 체중대비 10% 급여한 처리구에서 대용유 농도 15%, 20% 및 25%를 급여한 처리구의 사료효율은 10일에서 30일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대용유를 체중 대비 20% 급여한 처리구에서의 사료효율은 대용유 농도 15%, 20%, 25%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각각 10일경에는 2.71, 3.53, 2.68로, 30일경에는 2.36, 1.88 및 1.26으로 나타났다. 대용유를 체중 대비 30% 급여한 처리구에서 대용유 농도 15%, 20% 및 25%를 급여한 처리구의 10일경 사료효율은 각각 3.80, 2.93 및 2.18로 나타났으며, 30일경 사료효율은 각각 1.75, 2.60 및 2.22로 나타났다. 대용유를 체중대비 10%, 20% 및 30% 급여한 처리구에서 급여량에서 처리구는 10일에서 30일까지 쿼드래틱(quadratic)하게 변화하였다.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증체량과 사료효율 모델링 결과]
도 10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를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 DM of BW)으로 환산하여 증체량과 사료효율에 대하여 모델링한 결과이다.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 DM of BW)이 1.5%에서 7.5%로 증가함에 따라 증체량과 사료효율은 비선형적으로(quadratic) 증가하였다(p<0.001). 체중 대비 급여 수준에 따라 도출된 일당증체량 모델과 사료효율 모델은 각각 Y= -0.0917×x2 + 0.9915×x - 0.8429 (R2=0.9564, p<0.001)과 Y= 0.1534×x2 - 1.3018×x + 4.8292 (R2=0.5317, p<0.001)이다.
도 10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 DM of BW) 증가에 따른 증체량과 사료효율을 살펴보면, 4.5% DM of BW까지 증가한 후 6.0% DM of BW을 넘어서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따라서 한우 송아지 체중당 3.0~6.0% DM(건물)을 급여할 수 있다.
5. 설사발생율 분석 결과
도 11은 한우 송아지의 1일 대용유 급여량과 대용유 농도에 따른 설사 발생 횟수를 나타낸다(□, DM의 15%; ▩, DM의 20%; ▧, DM의 25%).
대용유 급여량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25% 농도에서 연변의 발생률이 15%와 20% 농도 처리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 간에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한 번에 급여하는 대용유 농도가 높으면 송아지가 한 번에 섭취하는 대용유의 양도 많아진 것으로 미루어 대용유 농도가 높아지면 설사의 빈도 또한 높아질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용유 농도가 높은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많은 양의 대용유가 소장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장내 삼투압 상승으로 인해 설사 빈도가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한우 송아지에 농도가 높은 대용유를 급여하면 유의미하게 음수량이 증가한 것(표 4; p=<0.0001)으로 보아 음수량 증가도 설사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설사를 포함한 연변의 빈도를 줄이고 송아지에게 안정적으로 영향을 공급하려면 대용유 농도를 20% 이하로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일반 혈액 성분 분석 결과
표 6은 한우 송아지의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일반 혈액 성분의 분석 결과이다.
표 6에서 약어 RBC, 적혈구; HCT, 혈액 중 적혈구 비중; Hb, 헤모글로빈; MCV, 적혈구 체적; MCH, 적혈구 당 평균 헤모글로빈 수; MCHC, 적혈구 당 평균 헤모글로빈 농도; RDW, 적혈구 용적 분포폭; RETIC, 망상적혈구 수; WBC, 백혈구; NE, 호중구; LY, 림프구; MO, 단핵구; EO, 호산구; BA, 호염구; PLT, 혈소판; MPV, 평균 혈소판 용적, PDW, 혈소판 용적 분포폭; PCT, 프락칼시토닌을 나타낸다.
일반 혈액 성분 결과는 한우 송아지에서 대용유 급여량(p=0.003) 및 농도(p=0.008)에 따라 평균 혈소판 용적 수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간에 유의적으로 상호작용을 나타냈다(p=0.004). 다른 혈구 수치들은 모두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혈구 수치는 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모든 혈구 값이 일반적으로 한우에서 나타나는 일반 수치를 벗어나지 않는 결과를 나타냈기 때문에(이, 2014), 전반적으로 대용유의 급여량과 농도는 혈구 수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혈소판의 용적은 심근경색, 허혈성 뇌경색, 전자간증 및 동맥협착 등의 다양한 질환을 검출하는 지표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적혈구와 백혈구의 수치 변화에도 영향을 주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Giles, 1981). 임상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혈소판 용적은 염증성장질환이 있을 경우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Giles, 1981).
본 발명에서 송아지의 평균 혈소판 용적은 모든 처리구에서 정상 수치에 해당되지만 급이량 및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낮은 급여 처리구 대비 높은 급여 처리구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는 송아지 소화기관으로 유입되는 대용유의 양이 높을수록 장내에 염증을 유발시킬 확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질병발생빈도 결과에서 25% 농도 처리구가 15% 및 20% 농도 처리구보다 높은 설사발생을 보이는 결과와 같은 방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부분의 혈액 지표에서 송아지의 정상 수치를 나타냈지만 대용유의 급여량과 농도가 혈소판의 용적(PLT)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안정적으로 송아지를 사육하기 위해서는 20% 이하의 농도로 급이 하는 것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7. 혈중 대사지표 분석 결과
표 7은 한우 송아지의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혈중 대사 물질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에 따라 한우 송아지의 혈액 내 대사물질 중 포도당 수치는 급여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p=0.012), 글루탐산 옥살로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혈중 요소 질소(BUN), 알부민 및 총 단백질(TP) 수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액 내 대사물질 지표 중 GOT(p=0.093)와 알부민(p=0.070)에서 각각 급여량과 농도에 따른 경향성이 나타났다. 시간에 따른 효과는 혈중 요소 질소(p=0.056), 포도당(p<0.001) 및 알부민 수치(p<0.001)에서는 나타났으나, GOT와 총 단백질 수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대용유의 급여량이 높은 처리구의 혈당이 높게 나타난 것은 대용유의 급여량 증가에 따라 송아지 체내로 유입되는 탄수화물 함량이 높아져 나타난 결과로 분석된다.
GOT는 동물의 체내에서 몸의 구성요소인 아미노산 형성 작용을 하는 효소로(Foldager et al., 1980), 장기의 세포가 파괴되면 혈중에 대량으로 존재하게 되는데, 특히 간과 연관성이 매우 높다. 간이 파괴되거나 지방간이 발병한 경우에 GOT 수치가 높아지는데, 이는 탄수화물 섭취와도 연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나타난 혈중 대사물질 수치와 한우 송아지의 체중이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 모든 처리구의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가 대사성 질환을 유도할 정도의 함량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혈중 요소태 질소와 알부민 및 혈중 총 단백질은 혈청을 통해 가축의 단백질 대사를 살펴볼 수 있는 지표(Marczuk et al., 2018)로, 대체로 전분과 같은 비구조 탄수화물을 과잉급여함에 따라 세 지표(혈중 요소태 질소와 알부민 및 혈중 총 단백질)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l-Dehneh et al., 1997). 본 발명에서는 세 지표 모두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한우 송아지의 대용유 최대 섭취량에 근접하게 급여하는 것이 단백질 대사에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알부민의 경우에는 15%의 대용유 농도 처리구 대비 20%와 25%의 농도 처리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충분한 단백질 공급을 위해서는 20% 이상의 대용유 농도가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8.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급여 농도에 따른 모델 분석 결과 요약
대용유 섭취량과 대용유 건물 섭취량 및 총 건물 섭취량 결과에서 송아지의 체중 대비 10%는 하루에 충분히 모두 먹을 수 있는 양이며, 송아지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충분하게 공급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송아지 체중 대비 10%를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농도에 관계없이 송아지의 체중이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섭취하는 사료의 양도 완만하게 증가하는 형태였다(도 1, 도 2 및 도 4). 반면 송아지 체중의 20% 이상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송아지 성장에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빠르게 체중이 증가하였고, 그에 따른 체중 대비 급여량과 섭취량이 증가하였다.
송아지에게 충분한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는 20%와 30% 처리구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용유 섭취량의 최대값이 낮아진 것은 농도 증가함에 따라 음수량이 증가함으로써 전체적인 대용유 섭취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값을 건물 기준으로 환산하였을 때, 체중 대비 20%와 30%의 대용유를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대용유 농도가 증가할수록 건물 섭취량은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도 2 및 도 4). 따라서, 송아지에게 급여하는 대용유 농도가 증가하면 송아지의 대용유 건물 섭취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송아지 체중 대비 20%와 30%의 대용유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대용유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0~10일 동안 초기에는 사료효율이 점차 낮아지고(도 9), 일당증체량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난다(도 8). 따라서, 대용유 급여 시 송아지 인공포유 초기에 안정적으로 대용유를 급여하기 위해서는 15%의 농도가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료효율 결과에서 15% 농도를 기준으로 체중 대비 20%와 30%의 대용유를 급여한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10일째 사료효율이 20%를 급여한 처리구가 30%를 급여한 처리구보다 높다. 반면 20일이 경과하면서부터는 대용유를 30% 급여한 처리구가 20% 급여한 처리구보다 높아진다(도 9).
어린 송아지에게 너무 많은 양의 사료를 급여하면 사료의 장관 통과 속도에 따라 이용성이 떨어지며, 급여한 사료의 소화가 잘되지 않을 경우 식체와 같은 송아지 질병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결과에 따라 송아지 출생 초기인 0~10일까지는 대용유 농도 15%를 기준으로 체중의 20%를 급여하고, 10일이 경과한 후부터 같은 농도로 체중 대비 30%를 급여한다면 안정적으로 송아지의 성장을 최대로 유도할 수 있다.
모델링 결과에서 일당증체량은 대용유 1회 급여량 4.5% DM of BW(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에서 나타났으며(도 10), 이를 초과하여 급여하여도 대용유 섭취량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도 6).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할 경우 0~30일 동안 섭취 가능한 최대 대용유 양은 평균 1,100g DM에 수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도 6). 본 실험에서는 한우 송아지의 대용유 최대 섭취량이 하루에 약 1.10kg DM/d로 나타났는데(도 6), 이는 30일령 기준으로 단위체중당 약 0.024kg DM/d으로 환산 가능하다. 이는 체중의 4.5% DM 이상을 4번에 걸쳐 급여하면 송아지가 먹을 수 있는 최대 급여량에 해당된다.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량(% DM of BW) 증가에 따른 증체량과 사료효율을 살펴보면, 4.5% DM of BW까지 증가한 후 6.0% DM of BW을 넘어서면서 점차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도 10).
본 실험은 송아지 체중 대비 대용유 급여량과 농도를 교차해 설계하였고, 한우 송아지의 대용유 1일 최대 섭취량이 4.5 % DM of BW 이상 급여한 처리구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6.0% DM of BW 이상 급여한 처리구에서 증체량과 사료효율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대용유 농도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 시 잠재 소화력은 사료의 장관 통과 속도의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서 영양성분의 급여 형태는 수분 함량이 높은 대용유로, 액체이기 때문에 고형분 사료에 비해 통과 속도가 빠르다. 대용유의 건물 함량 증가에 따라 건물 및 조단백 소화율이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높은 농도(대용유 농도 25%)의 급여 처리구에서 대용유 내 고형분의 장관 통과 속도가 빨라 증체량과 일당증체량 및 사료효율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한우 송아지의 체중 대비 대용유 건물 급여 수준에 따른 대용유 섭취량 실험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섭취량이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난 것도 농도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우 송아지에게 하루 급여하는 대용유의 건물 기준 급여량을 송아지 체중당 4.5% DM(송아지 체중 대비 30%, 대용유 농도 15%)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초기 송아지의 대용유 이용성 및 식체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10일 이전에는 송아지 체중당 3.0% DM(송아지 체중 대비 20%, 대용유 농도 15%)를 급여하고 이후에는 4.5% DM(송아지 체중 대비 30%, 대용유 농도 15%)를 급여할 수 있다.
실험 II. 대용유 급이횟수가 한우 송아지의 성장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재료 및 시험방법]
1. 공시동물, 사육시설 및 사양관리
본 실험은 건국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KU21065), 전라북도 정읍의 서우농장에서 동안 수행하였다.
한우 송아지 총 18두(30.51 ± 3.31kg)로, 수송아지 9두(33.12 ± 1.6kg)와 암송아지 9두(27.89 ± 2.31kg)를 공시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은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수행하였으며(온도, 25.49 ± 0.34℃, 습도, 72.93 ± 8.17%) 태어난 송아지는 배꼽 소독을 실시하고 시판 분말 초유를 온수에 250g/L로 혼합하여 12시간 내에 총 2회 급여하였으며, IgG을 1일 100g 이상 섭취하도록 인공포유를 실시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송아지는 출생 후 비타민 A, D3, 및 E가 함유된 보충제(Vitamin A, 300,000 IU; Vitamin D3, 100,000 IU; Vitamin E, 50 mg) 2mL, 셀레늄제제(Selevit, Fatro, Canada) 1mL,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트리메토프림(Amphoprim, Virbac, France) 1mL를 주사하였다. 또한 1주일 안에 소 전염성비기관염,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3형, 호흡기합포체성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을 위해 호흡기 백신(Inforce 3, Zoetis, NJ, USA)을 송아지의 양쪽 콧구멍에 1mL씩 총 2mL 비강 투여하였다. 초유와 백신이 투여된 송아지 중 24시간 이내에 생시체중 25~40kg인 송아지를 선별하여 실험에 배치하였다.
실험 한쪽 벽면에 윈치 커튼이 설치된 개방 가능한 우사로, 자연 환기가 가능하고 송아지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공간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송아지는 실내 온도를 15~25℃로 유지할 수 있는 냉난방 장치가 설치된, 개별 입식 가능한 송아지 전용 팬에서 사육되었다(가로 × 세로 × 높이, 1.33m × 1.85m × 1.00m). 송아지 사육 팬 문에는 음수통과 사료통을 고정하는 틀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우측 벽면에 송아지가 외부 오염 없이 빠르게 입붙이 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입붙이 사료병을 섭취가 용이한 80cm 높이에 설치하였다. 입붙이 사료병의 사료와 통의 물은 매일 새것으로 교체하였다. 실험 농장의 표준 사육 프로그램에 따라 송아지의 보온과 안락함을 위해 톱밥을 5~6cm 높이로 깔아주었으며, 깔짚은 매일 오전 9시에 확인하여 대략 50% 이상이 분뇨로 젖으면 전부 교체하였고, 필요에 따라 젖은 자리만 새 톱밥으로 보충하였다.
2. 실험 설계
실험 처리구는 앞선 실험 I(대용유 급이량 및 농도가 한우 송아지의 성장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용유를 15%(w/v)농도로 희석하여 송아지 체중의 30%(v/w)만큼 대용유를 하루에 2, 4 및 6회로 나누어 실험 송아지들에게 급여하고 잔량을 체크하였다. 2회 급여 처리구는 06시와 18시에 4회 급여 처리구는 6, 11, 16 및 21시에 6회 급여 처리구는 6, 9, 12, 15, 18 및 21시에 대용유를 급여하였다. 처리구별로 각각 6두씩(수송아지 3두; 암송아지 3두)를 배치하여 개체별로 성적을 도출하였고, 실험 I과 동일하게 입붙이 사료와 물은 매일 1회(16시) 급여량과 잔량을 체크하고 새로 교체해주어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다.
3. 조사 항목
체중, 흉위, 체온 및 혈액은 0일부터 실험이 끝나는 30일까지 10일간격으로 실험 I(대용유 급이량 및 농도가 한우 송아지의 성장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총 4회 측정 및 채취를 수행하였다. 혈액은 각 샘플링 일자별로 동일한 시간에 실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전 6시에 일일 첫 대용유를 급여한 후 11시에 채취하였으며, 각 송아지로부터 채취한 혈액은 EDTA 진공 튜브(BD Vacutainer® #367856, Becton Dickinson, USA) 및 혈청 분리 튜브(BD Vacutainer® SST™ II Advance tube # 367955, Becton Dickinson, UK)에 각각 2.5~3.0 ml을 나누어 수집하였다. EDTA튜브를 이용하여 확보한 전혈은 24시간안에 일반혈액분석을 수행하였고, SST튜브에 수집된 혈액은 혈청 추출을 위하여 4℃에서 15분 동안 3,000 rpm 원심분리(MF 80, Hanil, South Korea) 후 마이크로 튜브에 1 ml씩 나누어 대사산물 분석 전까지 -70℃ 초저온냉동고(Deep freezer, South Korea)에 보관하였다.
4. 분석 방법
4.1. 일반 성분 분석
사료 및 대용유의 건물함량(Dry matter, DM), 조회분(Ash), 및 조지방(ether extract, EE), 칼슘 및 인은 AOAC (2005)의 방법에 따라 실험 I(대용유 급이량 및 농도가 한우 송아지의 성장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4.2. 혈액 분석
전혈의 혈구세포 분석은(CBC, common blood cell)은 적혈구(RBC, red blood cell), 혈액 중 적혈구 비중(HCT, hematocrit), 헤모글로빈(Hb, hemoglobin), 적혈구 체적(MCV, mean cell volume), 적혈구 당 평균 헤모글로빈 수(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적혈구 당 평균 헤모글로빈 농도(MCH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적혈구 용적 분포폭(RDW, Red cell distribution width), 망상적혈구 수(RETIC, reticulocytes), 백혈구(WBC, white blood cell), 호중구(NE, neutrophil), 림프구(LY, lymphocyte), 단핵구(MO, monocyte), 호산구(EO, eosinophil), 호염구(BA, basophil), 혈소판(PLT, platelet), 평균 혈소판 용적(MPV, mean platelet volume), 혈소판 용적 분포폭(PDW, platelet distribution width) 및 프락칼시토닌(PCT, Procalcitonin)에 대하여 실험 I(대용유 급이량 및 농도가 한우 송아지의 성장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혈액 내 대사물질 분석은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FUJI DRI-CHEM SLIDE GOT/AST-P Ⅲ, Fuji Film, Tokyo, Japan), 혈중 요소질소(BUN, blood urea nitrogen; FUJI DRI-CHEM SLIDE BUN-PⅢ, Fuji Film, Tokyo, Japan), 포도당(Glucose; FUJI DRI-CHEM SLIDE GLUPⅢ, Fuji Film, Tokyo, Japan), 알부민(Albumin; FUJI DRI-CHEM SLIDE ALB-P, FUJIFILM Corp., Tokyo, Japan) 및 총 단백질(TP, total protein; (FUJI DRI-CHEM SLIDE TP-PⅢ, Fuji Film, Tokyo, Japan)에 대하여 실험 I(대용유 급이량 및 농도가 한우 송아지의 성장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5. 통계분석
한우 송아지에서 급여횟수의 효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SAS, 2013) (2013, release. 9.5 version, SAS inc., Cary, NC, USA)의 PROC MIXED procedure를 이용하였다. 모델 모형은,
Yjik=μ + FFi + Gj + Tk + Ejik(l)
모델에서 μ는 평균값, FFi는 급여횟수, Gj는 송아지 성별, Tk는 시간에 대한 영향 및 Ejijk(l)는 실험오차를 나타낸다. 모델의 고정 변수는 대용유 급여 횟수이며, 임의 변수로 송아지 성별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처리구의 효과를 적확하게 판별하기 위해서 MIXED PROCEDURE 내 CONTRAST 옵션을 이용하여 Repeated measurement analysis(Littell et al., 1998)를 수행하였다. 각 대용우의 전체 급여량에 따라 설사발생률에 대한 비교는 PDIFF 옵션을 이용하여 multiple comparison을 수행하였다.
처리구의 유의성은 p<0.05 수준에서 검정하였으며, 경향성을 0.05 ≤ p<0.10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모든 평균은 최소자승평균 (least square means)으로 나타냈다.
[시험결과]
1. 섭취량 분석 결과
표 8은 대용유 급여 횟수에 따른 한우 송아지의 대용유 섭취량(MRI), 스타터 사료 섭취량(SI), 음수량(WI), 총 건물 섭취량(TDMI)를 나타낸 것이다.
표 8에서 MRI, milk replacer intake(대용유 섭취량); SI, starter feed intake(입붙이 사료 섭취량); WI, water intake(음수량); TDMI, total dry matter intake (총 건물 섭취량); kg DM/d, 하루당 섭취하는 건물 kg; g DM/d, 하루당 섭취하는 건물 g, FF는 급여 횟수의 영향, DAY는 시간의 효과, FF*D는 급여횟수와 시간 효과 사이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대용유 섭취량, 스타터 사료 섭취량, 음수량, 총 건물섭취량에서 대용유 급여 횟수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총 건물섭취량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10~20일까지 총 건물섭취량 평균이 4회 급여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p=0.049).
15%(w/v) 농도의 대용유를 송아지 체중의 30%(v/w) 만큼 2회, 4회, 6회로 나누어 급여할 때 각각의 급여횟수가 송아지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하루 동안 송아지에게 급여하는 총 급여량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실험에서 대용유의 전반적인 섭취량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보이며, 대용유를 나누어 급여하는 것은 한우 송아지의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에 큰 차이가 거의 없었다.
2. 성장특성 분석 결과
표 9는 한우 송아지에서 대용유의 급여횟수에 따른 체중(BW), 증체량(BWG), 일당증체량(ADG), 사료효율(FCR), 체온(BT) 및 흉위(Heart girth)에 대한 결과이다.
한우 송아지에서 대용유의 급여횟수에 따라 시작체중, 종료체중, 사료효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증체량(BWG), 일당증체량(ADG) 및 직장체온(BT)에서 대용유 급여횟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체온은 4회급여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40). 흉위(Heart girth)는 0일~30일에 가까워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급여횟수에 따라 섭취량에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증체량은 급여 횟수에 따라 2회 급여 시 평균 3.80, 4회 급여 시 평균 5.92 및 6회 급여 시 평균 6.78 kg으로 증가하였고, 일당증체량은 2회 급여 시 평균 0.127, 4회 급여 시 0.197 및 6회 급여 시 평균 0.226 kg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의 증가는 소의 흉위변화와 매우 밀접한 연관성(Dingwell et al., 2006)이 있는 만큼 송아지가 커 감에 따라 송아지의 흉위크기가 커졌다. 어린 송아지 시기부터 다량의 대용유를 송아지에게 급여할 경우 급여횟수를 하루에 여러 번 나눠 급여하는 것이 체중 증가 등 송아지의 성장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설사발생률
도 12는 대용유 급여 횟수에 따른 한우 송아지의 연변발생 횟수를 나타냈다. 대용유 급여 횟수에 따른 차이는 6회 급여했을 경우가 2회나 4회 급여했을 경우에 비하여 설사발생 횟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p=0.097).
대용유의 급여 횟수와 연변발생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실험 I(대용유 급이량 및 농도가 한우 송아지의 성장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연변발생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 급여횟수에 따라 총 섭취량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표 8 참조), 6회로 나누어 대용유를 급여한 처리구의 설사발생 빈도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급여횟수의 증가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들이 나타났다. 하지만 설사발생율에서는 대용유를 1일 2회와 4회 급여한 송아지보다 6회 급여한 송아지에서 높은 설사 발생율이 나타났다. 따라서 1일 4회 급여하는 것이 송아지의 성장과 건강을 고려할 때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4. 일반 혈액 성분 분석 결과
표 10은 한우 송아지의 대용유 급여횟수에 따른 일반 혈액 성분의 분석 결과이다.
일반 혈액 성분 결과에서 대용유 급여횟수와 시간에 따른 변화는 서로 유의적인 상호작용 없이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0).
표 10에서 약어 RBC, 적혈구; HCT, 혈액 중 적혈구 비중; Hb, 헤모글로빈; MCV, 적혈구 체적; MCH, 적혈구 당 평균 헤모글로빈 수; MCHC, 적혈구 당 평균 헤모글로빈 농도; RDW, 적혈구 용적 분포폭; RETIC, 망상적혈구 수; WBC, 백혈구; NE, 호중구; LY, 림프구; MO, 단핵구; EO, 호산구; BA, 호염구; PLT, 혈소판; MPV, 평균 혈소판 용적, PDW, 혈소판 용적 분포폭; PCT, 프락칼시토닌을 나타낸다. FF는 급여 횟수의 영향, DAY는 시간의 효과, FF*DAY는 급여횟수와 시간 효과 사이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한우 송아지에서 대용유 급여횟수에 따라 체중, 체온, 흉위 및 일반혈액성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체온, 적혈구, 적혈구용적 및 헤모글로빈 수치를 제외하고 모든 처리구에서 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표 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한우 송아지의 일반 혈액 분석 결과 모든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었다. 이는 실험 I(대용유 급이량 및 농도가 한우 송아지의 성장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의 결과에 따라 한우 송아지가 섭취 가능한 최대한의 대용유를 섭취하였을 경우에도 일반 혈액의 분석 결과에서 이상치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급여횟수에 따른 본 실험의 결과도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용유의 급여횟수가 일반혈액의 성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 할 것으로 판단된다.
5. 혈중 대사지표 분석 결과
표 11은 한우 송아지의 한우 송아지의 대용유 급여횟수에 따른 혈중 대사 물질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FF는 급여 횟수의 영향, DAY는 시간의 효과, FF*DAY는 급여횟수와 시간 효과 사이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한우 송아지에서 대용유 급여횟수에 따라 혈액 내 대사물질의 수치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총 단백질(TP) 수치를 제외하고 모든 처리구에서 시간에 따른 유의성이 관찰되었다(표 11; p<0.05). 혈중 대사물질 중 포도당 수치에서 대용유 급여횟수와 시간 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p=0.048), 다른 모든 처리구에서는 대용유 급여횟수와 시간 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I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급여한 대용유의 양은 심각한 대사성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혈중 포도당의 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고, 이는 성장함에 따라 절대적으로 섭취하는 대용유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시간에 따른 영향을 제외하고 급여횟수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만큼 급여횟수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서 처리구별 총 대용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기 때문에(표 8), 혈당 수치에서 급여횟수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글루탐산 옥살로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결과도 혈당 수치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급여 횟수는 혈액 내 대사지표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우 송아지에서 대용유의 급여횟수의 변화는 혈액의 대사지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6. 한우 송아지 대용유 급여 횟수에 따른 분석 결과 요약
한우 송아지에서 대용유 급여횟수에 따라 섭취량, 일반혈액성분 및 대사지표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에서 급여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성장을 나타냈다. 설사발생율에서는 대용유를 1일 6회 급여한 송아지에서 2회와 4회 급여한 송아지보다 설사발생율이 높았다.
따라서 한우 송아지에서 많은 양의 대용유를 급여시 급여횟수가 늘어날수록 송아지의 성장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송아지 증체량과 낮은 설사발생율을 보이는 1일 4회 급여가 송아지 인공포유시 가장 긍정적인 성적을 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하루에 급여하는 대용유의 급여 횟수가 증가할 경우 작업자의 피로도가 매우 높아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상황에 맞춰 일일 급여 횟수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자동포유 기계장치를 이용하면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건물 농도 20% (w/v)를 포함하는 대용유를 한우 송아지 체중 대비 20~30% (v/w) 수준으로 하루 3~5회 4.5~5.5 시간 간격으로 분할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한우 송아지는 출생 후 24시간 이내 생시 체중이 25~36kg이며,
    상기 대용유 급여 시작일에 입붙이 사료를 함께 공급하며,
    상기 대용유는 오전 6시, 오전 11시, 오후 16시, 및 오후 21시에 급여하며,
    상기 입붙이 사료는 건물(DM) 함량이 총 85~95%로, 조단백 25%, 조지방 3%, 조회분 10%, 조섬유 10%, 칼슘 0.5%, 및 인 0.5%를 포함하며,
    상기 급여 방식에 의해 한우 송아지의 체중과 사료 효율이 증가하며, 연변 발생율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용유는 총 25~35일 동안 하루 4회 5시간 간격으로 분할 급여되는 것인,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대용유는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조섬유, 락토스, 칼슘, 인, 라이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비타민 A, 오메가 3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용유를 하루 4회 5시간 간격으로 분할 급여 시,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은 증가하면서 설사발생율이 감소하는 것인,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
KR1020230023847A 2023-02-22 2023-02-22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 KR102656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847A KR102656304B1 (ko) 2023-02-22 2023-02-22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847A KR102656304B1 (ko) 2023-02-22 2023-02-22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304B1 true KR102656304B1 (ko) 2024-04-09

Family

ID=9070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847A KR102656304B1 (ko) 2023-02-22 2023-02-22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3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260A (ko) * 2008-02-29 2009-09-0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젖먹이 송아지를 위한 모유수준 대용유 조성물, 이를이용하여 대용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송아지의 대용유포유방법
KR20120135502A (ko) * 2012-11-12 2012-12-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젖먹이 송아지를 위한 모유수준 대용유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대용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송아지의 대용유 포유방법
KR20130036575A (ko) * 2011-10-04 2013-04-12 김상준 번식용 한우 사양방법
KR20130036571A (ko) * 2011-10-04 2013-04-12 김상준 육용 미경산 한우 사양방법
KR101761261B1 (ko) 2017-02-22 2017-07-25 주식회사 로터스에이씨티 송아지 이유용 tmr 사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260A (ko) * 2008-02-29 2009-09-0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젖먹이 송아지를 위한 모유수준 대용유 조성물, 이를이용하여 대용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송아지의 대용유포유방법
KR20130036575A (ko) * 2011-10-04 2013-04-12 김상준 번식용 한우 사양방법
KR20130036571A (ko) * 2011-10-04 2013-04-12 김상준 육용 미경산 한우 사양방법
KR20120135502A (ko) * 2012-11-12 2012-12-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젖먹이 송아지를 위한 모유수준 대용유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대용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송아지의 대용유 포유방법
KR101761261B1 (ko) 2017-02-22 2017-07-25 주식회사 로터스에이씨티 송아지 이유용 tmr 사료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청호바이오 한우의 품격 송아지 전용사료’(2020.03.23., 주소: https://blog.naver.com/chunghobio1212/221868983602)* *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한우 송아지 맞춤형 복합대용유 개발 및 효율적인 대용유 급여 체계 확립(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연구보고서. 2010.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ckert et al. Weaning age affects growth, feed intake, gastrointestinal development, and behavior in Holstein calves fed an elevated plane of nutrition during the preweaning stage
Quigley et al. Formulation of colostrum supplements, colostrum replacers and acquisition of passive immunity in neonatal calves
Von Keyserlingk et al. Maternal behavior in cattle
Roth et al. Influence of artificial vs. mother-bonded rearing on sucking behaviour, health and weight gain in calves
Mohri et al. Effects of parenteral supply of iron on RBC parameters, performance, and health in neonatal dairy calves
Muns et al. Effect of oral supplementation with different energy boosters in newborn piglets on pre-weaning mortality, growth and serological levels of IGF-I and IgG
Moosavian et al. Effects of parenteral over-supplementation of vitamin A and iron on hematology, iron biochemistry, weight gain, and health of neonatal dairy calves
Berends et al. Effects of exchanging lactose for fat in milk replacer on ad libitum feed intake and growth performance in dairy calves
Chen et al. Serum protein levels and neonatal growth rate of Nubian goat kids in Taiwan area
Bondo et al. Administration of RRR‐α‐tocopherol to pregnant mares stimulates maternal IgG and IgM production in colostrum and enhances vitamin E and IgM status in foals
Zwierzchowski et al. Colostrum-supplemented transition milk positively affects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humoral immunity indicators and the growth performance of calves
Quigley et al. Effects of fatty acids and calf starter form on intake, growth, digestion, and selected blood metabolites in male calves from 0 to 4 months of age
Bokharaeian et al. Effects of dietary curcumin nano-micelle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tioxidant status, immun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fattening lambs under heat-stress conditions
Baek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rumen pH, milk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blood metabolites of Holstein cattle fed different forage levels for the establishment of objective indicators of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
KR102656304B1 (ko) 한우 송아지에게 대용유를 급여하는 방법
KR102655892B1 (ko) 대용유를 급여하여 한우 송아지를 사육하는 방법
KR102655893B1 (ko) 자동포유 시스템을 이용하여 한우 송아지를 인공포유하는 방법
Kozenko et al. Influence of farm conditions on sows’ morphological blood indicators
Wynn et al. Perinatal nutrition of the calf and its consequences for lifelong productivity
Kassab et al. Impact of betaine supplementation as anti stress on some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thermoregulatory responses of aberdeen angus cows in arid subtropical regions
Muns Welfare and management strategies to reduce pre-weaning mortality in piglets
Lopreiato et al. Maternal treatment with pegbovigrastim influences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metabolic status of calves during the pre-weaning period
Matsumoto et al. Effects of gamma-aminobutyric acid administration on health and growth rate of group-housed Japanese black calves fed using an automatic controlled milk feeder
Gusarova et al. The influence of drugs containing polyhydroxy acids on metabolic processes and physiological vital signs of rabbits
JP2008231066A (ja) 免疫グロブリン吸収促進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