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122B1 - Existing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 Google Patents

Existing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122B1
KR102655122B1 KR1020190133174A KR20190133174A KR102655122B1 KR 102655122 B1 KR102655122 B1 KR 102655122B1 KR 1020190133174 A KR1020190133174 A KR 1020190133174A KR 20190133174 A KR20190133174 A KR 20190133174A KR 102655122 B1 KR102655122 B1 KR 102655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indoor
air
window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2973A (en
Inventor
최태환
서명하
최동환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20012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9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122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와, 발코니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배치되는 실외측 창호 및 실내측 창호에 구비되며, 실외 공기를 이용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실외측 창호에 장착되며, 외부의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환기장치; 실내측 창호에 장착되며, 제1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고 실내 공기를 제1 환기장치로 전달하는 제2 환기장치; 및 제1 환기장치 및 제2 환기장치와 연결되며, 제1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외 공기와 제2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내 공기를 열 교환 시키도록 마련된 전열교환장치; 를 포함한다.
A ventilation system for existing homes using windows is launched.
A system for ventilating polluted indoor air using outdoor air is provided on a balcon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n an outdoor window and an indoor window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balcony in between, and is installed on the outdoor window, a first ventilation device that introduces outdoor air into the room and exhausts indoor air outside; a second ventilation device that is mounted on the indoor window and discharges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into the room and delivers indoor air to the first ventilator; and a total heat exchange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or and the second ventilator, and configured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first ventilator and the indoor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ventilator. Includes.

Description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EXISTING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Existing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EXISTING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본 발명은 주택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축주택의 창호를 활용하여 실내 공기의 환기를 시킬 수 있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ventila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built-up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that can ventilate indoor air using the windows of a built-up house.

창호란 건물 벽면에 설치된 상틀과 창틀에 설치된 창짝을 포함한다. 이러한 창호는 외부의 빛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채광기능,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 기능, 실내와 실외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냉/난방 기능과 같이 많은 기능을 수행한다. Windows include frames installed on the walls of a building and window frame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s. These windows perform many functions, such as a daylighting function that lets outside light into the room, a ventilation function that ventilates indoor air, and a cooling/heating function that blocks heat transfer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최근에는 실내활동 시간의 증가 및 건물의 밀집화에 따라 실내 환경은 물론이고 실내 공기 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with the increase in indoor activity time and the density of building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ndoor air quality as well as the indoor environment is increasing.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주택의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해서는 창호를 개방하여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가 맞교환되도록 하면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In general, to ventilate indoor air in apartments, officetels, and houses, windows are opened to exchange outdoor air with indoor air and allow outdoor air to flow indoors.

그러나, 산업화 및 건물의 밀집화 등에 따라 실외 공기가 매우 나빠지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창호를 개방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특히, 아파트, 오피스텔과 같이 고층건물이 밀집한 주거 형태의 경우에는 오염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염려 때문에 창호를 개방하여 환기시키에는 어려움이 있다. However, since outdoor air is becoming very poor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densification of buildings,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ventilate indoor air by opening window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sidential types such as apartments and officetels where high-rise buildings are densely located, it is difficult to ventilate by opening the windows due to concerns about polluted outdoor air flowing indoors.

이에 따라, 별도의 환기 시스템이 마련되지 않는 한 실내 공기의 질적 저하를 피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avoid deterioration in indoor air quality unless a separate ventilation system is provided.

이에, 자동차 등의 기계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미세먼지 등의 각종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실내로 유입된 실외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공기 청정기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Accordingly, when outdoor air containing various pollutants such as exhaust gas and fine dust emitted from mechanical devices such as automobiles flows into the indoor space, air purifier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widely for the purpose of purifying the outdoor air that has flowed indoors. there is.

공기 청정기는 실외 공기의 실내로의 유입은 차단한 상태로, 창호 등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실내에서 반복 순환시키는 것이다. An air purifier blocks the inflow of outdoor air indoors, purifies air introduced indoors through windows, etc., and repeatedly circulates the purified air indoors.

한편, 주거 형태의 대부분이 아파트인 상황에서 기축 주택의 경우 환기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제약이 많다. Meanwhile, in a situation where most residential types are apartments,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installing ventilation systems in built-up houses.

예를 들어, 실내 및 실외를 통하게 하는 급/배기구는 지름이 크기 때문에 안정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개공하는 것이 어렵다. For example, the supply/exhaust port that connects the indoor and outdoor spaces has a large diameter, so it is difficult to open it due to stability restrictions.

기축 주택의 개/보수를 할 때, 반자 철거 후 재시공을 하게 되면 실내에 급/배기관 매설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기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지만, 반자 철거 후 재시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내에 급/배기관 매설이 불가능 한 문제점이 있다. When remodeling/repairing an existing house, if the half house is demolished and then rebuilt, a ventilation system can be installed because it is possible to bury the supply/exhaust pipes indoors. However, if the half house is not demolished and rebuilt, the supply/exhaust pipes cannot be buried indoors. There is an impossible problem.

이에, 기존에 지어진 기축주택에서도 창호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ventilation system that can be installed using windows even in existing built houses is on the rise.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3-0067206호 (발명의 명칭: 전열식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공개일: 2003.08.14)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related prior art documents includ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67206 (title of the invention: Including an electric heat exchanger) There is a ventilation device, publication date: 2003.08.14).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건축된 기축주택에서 기존에 설치된 창호를 활용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for a built-in house using windows that can ventilate polluted indoor air by using the windows and doors already installed in an existing built hou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발코니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배치되는 실외측 창호 및 실내측 창호에 구비되며, 실외 공기를 이용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실외측 창호에 장착되며, 외부의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환기장치; 실내측 창호에 장착되며, 제1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고 실내 공기를 제1 환기장치로 전달하는 제2 환기장치; 및 제1 환기장치 및 제2 환기장치와 연결되며, 제1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외 공기와 제2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내 공기를 열 교환 시키도록 마련된 전열교환장치; 를 포함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ystem for ventilation of polluted indoor air using outdoor air, which is provided on outdoor windows and indoor windows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balcony in between, on the outdoor windows and doors. A first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which introduces outdoor air into the room and exhausts indoor air outside; a second ventilation device that is mounted on the indoor window and discharges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into the room and delivers indoor air to the first ventilator; and a total heat exchange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or and the second ventilator, and configured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first ventilator and the indoor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ventilator. This can be achieved by a basic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including.

전열교환장치는, 실외측 창호와 실내측 창호 사이에 위치한 발코니에 배치되거나, 실외측 창호와 인접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실내측 창호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may be placed on a balcony located between an outdoor window and an indoor window, installed adjacent to an outdoor window, or installed adjacent to an indoor window.

제1 환기장치는, 실외측 창호에 장착되는 실외측 관통재; 실외측 관통재와 연통되되 외부에서 유입된 실외 공기를 실외측 급기관을 통해 전열교환장치로 전달하고, 실외측 배기관을 통해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실외측 환기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includes an outdoor penetrating member mounted on an outdoor window; An outdoor ventil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and transmits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heat exchanger through the outdoor air supply pipe, and discharges indoor air received from the heat exchanger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ipe to the outside; may include.

실외측 환기모듈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실외 공기를 전열교환장치로 전달하기 전에 실외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부재; 가 구비될 수 있다.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includes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before transferring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heat exchanger; may be provided.

또한, 실외측 환기모듈에는, 전열교환장치로의 실외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댐퍼부재 가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may be provided with a damper member that blocks the inflow of outdoor air in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실외측 관통재에는, 실외측 환기모듈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막이 커버; 가 마련될 수 있다.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includes a water barrier cov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can be prepared.

제2 환기장치는, 실내측 창호에 장착되며,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실외 공기를 공급받거나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공부가 형성되는 케이싱 몸체; 케이싱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열교환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장치로 전달 하는 제1 케이싱; 및 케이싱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케이싱; 을 포함하며, 제1 케이싱은 실내측 급기관를 통해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실외 공기를 전달 받고, 실내측 배기관을 통해 전열교환장치로 실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includes a casing body that is mounted on an indoor window and has at least one opening formed for receiving outdoor air from a total heat exchange device or delivering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A first casing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body and supplying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to the room or delivering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and a second casing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body; It includes, and the first casing can receive outdoor air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through the indoor air supply pipe and supply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through the indoor exhaust pipe.

케이싱 몸체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되 실내 공기를 제1 케이싱으로 전달하기 위한 배기 개공부가 형성되며, 제1 케이싱에는,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상부 급기부와, 배기 개공부와 연통되며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상부 배기부가 형성되고, 제2 케이싱에는, 실내 공기를 케이싱 몸체로 전달하기 위하여 케이싱 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 배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asing body is hollow on the inside and has an exhaust opening for delivering indoor air to the first casing, and the first casing includes an upper air supply part for discharging outdoor air received from the heat exchanger into the room; An upper exhaust part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xhaust opening to supply indoor air to the heat exchanger, and a lower exhaust part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casing body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asing to transmit indoor air to the casing body. .

또한, 케이싱 몸체의 일 측에는 급기 개공부가 관통 형성되고 타 측에는 배기 개공부가 관통 형성되며, 제1 케이싱에는, 급기 개공부와 연통되며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상부 급기부와, 배기 개공부와 연통되며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상부 배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ir supply opening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casing body and an exhaust opening is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and in the first casing, the upper air supply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opening and supplies outdoor air received from the total heat exchanger to the room. An upper exhaust portion may be formed that communicates with the base and the exhaust opening and supplies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또한, 케이싱 몸체의 전면에는 급기 개공부 및 배기 개공부를 덮기 위한 전면커버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front cover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asing body to cover the air supply opening and the exhaust opening.

제2 환기장치에는 환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조작패널이 마련되고, 조작패널은 케이싱 몸체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커버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nel that controls the ventilation system, and the operation panel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asing body.

제1 환기장치는, 실외측 창호를 구성하는 창틀의 내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일단부는 창틀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실외측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창틀의 외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일단부는 실외측 창호의 창틀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실외측 창호를 지지하는 실외측 벽체와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제2 환기장치는, 실내측 창호를 구성하는 창틀의 내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일단부는 창틀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실내측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창틀의 외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일단부는 창틀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실내측 창호를 지지하는 실내측 벽체와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is located inside the window frame constituting the outdoor window,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so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constituting the outdoor window, and when located outside the window frame,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One end is provided to contact the window frame of the outdoor window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contact the outdoor wall supporting the outdoor window, and when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is located inside the window frame constituting the indoor window, one end is provide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constituting the indoor window. When located outside the window frame,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door wall supporting the indoor window. It can be.

제2 환기장치는, 케이싱 몸체의 내부를 관통하는 지지 가이드; 및 케이싱 몸체를 실내측 창호의 창틀 외부와 실내측 벽체 사이에 고정시키거나, 실내측 창호의 창틀과 창짝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지 가이드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includes a support guide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asing body; and a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upport guide to fix the casing body between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of the indoor window and the indoor wall, or between the window frame and the window panel of the indoor window. It may further include.

전열교환장치는, 그 일단부는 제1 환기장치와 직결되고, 타단부는 제2 환기장치의 실내측 급기관 및 실내측 배기관이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indoor air supply pipe and the indoor exhaust pipe of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코니와, 발코니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배치되는 실외측 창호 및 실내측 창호에 구비되며, 실외 공기를 이용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실외측 창호에 장착되며, 외부의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환기장치; 실내측 반자 공간에 배치되며, 제1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고 실내 공기를 제1 환기장치로 전달하는 제2 환기장치; 및 제1 환기장치 및 제2 환기장치와 연결되며, 제1 환기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실외 공기와 제2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내 공기를 열 교환 시키도록 마련된 전열교환장치; 를 포함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is provided on a balcony, an outdoor window and an indoor window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balcony in between, and uses outdoor air to ventilate polluted indoor air, comprising: A first ventilation device mounted on the outdoor window and bring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and exhausting indoor air outside; a second ventilation device disposed in the indoor semi-space, discharging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into the room and delivering indoor air to the first ventilator; and a total heat exchange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or and the second ventilator, and configured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outdoor air received from the first ventilator and the indoor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ventilator. This can be achieved by a basic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including.

제2 환기장치는, 전열교환장치와 연결되며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는 실내측 급기관; 및 전열교환장치와 연결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전열교환장치로 공급 하는 실외측 배기관; 를 포함하고, 실내측 급기관 및 실내측 배기관은 실내측 반자 공간에 매립 설치되며, 실내와 직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includes an indoor air supply pipe that is connect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and discharges outdoor air received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into the room; and an outdoor exhaust pipe that is connect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and sucks indoor air and supplies it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It includes, and the indoor air supply pipe and the indoor air exhaust pipe are installed buried in the indoor half space and can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indoor space.

본 발명의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은, 기존에 건축된 기축주택에서 설치된 실내측 창호 및 실외측 창호를 활용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환기 시스템 설치를 위한 주택의 개/보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환기 시스템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The existing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window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ventilate polluted indoor air by utilizing the indoor and outdoor windows installed in an existing built house. Furthermore,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renovation/repair of the house to install the ventilation system, the construction cost required to install the ventilation system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은,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열교환장치가 발코니에 설치됨으로써, 전열교환장치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고풍량의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기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ic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window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nois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by installing the heat exchanger that makes up the ventilation system on the balcony, and thereby operate the high air volume. Because this is possible, ventil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활용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창호를 활용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1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2 환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2 환기장치의 내부의 공기 순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제2 환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에 도시한 제2 환기장치의 내부의 공기 순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제2 환기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실내측 창호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창호를 활용한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열교환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전열교환장치가 제1 환기장치와 직결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창호를 활용한 환기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and do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cation where the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windows shown in FIG. 1 is installed.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shown in Figure 1.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shown in FIG. 1.
FIG. 6 is a diagram showing air circulation inside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shown in FIG. 5.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shown in Figure 5.
FIG. 8 is a diagram showing air circulation inside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shown in FIG. 7.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connection with the indoor window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shown in FIGS. 5 and 7.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cation where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windows shown in FIG. 1 is installed.
FIG. 11 is a diagram showing when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shown in FIG. 1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windows shown in FIG. 1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Please note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illustrative only and are not limiting. And for identical structures, elements, or parts that appear in two or mor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similar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drawing are expec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also includes changes in shape due to manufacturing, for 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10, 이하 '환기 시스템'이라 함)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ventilation system for an existing house using the window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ventil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10)은 발코니(202), 실외측 창호(102) 및 실내측 창호(302)에 구비되며 오염된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기 위한 것이다. First, the ventil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balcony 202, the outdoor window 102, and the indoor window 302, and is used to ventilate polluted indoor air.

즉, 환기 시스템(10)은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여 깨끗해진 실외 공기는 실내로 공급하고 오염된 실내 공기는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That is, the ventilation system 10 improves indoor air quality by exchanging heat between outdoor air and polluted indoor air brought indoors from outdoors, supplying clean outdoor air indoors, and discharging polluted indoor air to the outside. It is for.

한편,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10)은 실외측 창호(102)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오염된 실내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환기장치(100), 실내측 창호(302)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제1 환기장치(100)로부터 공급 받은 실외 공기는 실내로 배출시키고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제1 환기장치(100)로 전달하는 제2 환기장치(300) 및 일 측은 제1 환기장치(100)와 연결되고 타 측은 제2 환기장치(300)와 연결되며 제1 환기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은 실외 공기와 제2 환기장치(300)로부터 공급 받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여 제2 환기장치(300)로는 깨끗해진 실외 공기를 전달하고 제1 환기장치(100)로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전달하는 전열교환장치(200)를 포함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1 to 12, the ventil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outdoor window 102 and introduces outdoor air into the room and removes polluted indoor air.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which discharges air to the outside,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ndoor window 302, and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s discharged indoors and the contaminated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The second ventilator 300 is delivered to the device 100,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or 1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ventilator 300, and the outdoor supply is supplied from the first ventilator 100. By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and the polluted indoor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ventilator 300, clean outdoor air is delivered to the second ventilator 300 and polluted indoor air is delivered to the first ventilator 100. Includes a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환기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고 오염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부재이다. 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s a member for sucking indoor air from the outside, supplying it to the inside, and discharging the polluted indoor air to the outside.

이러한, 제1 환기장치(100)는 실외측 창호(102)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This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outdoor window 102.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환기장치(100)는 실외측 창호(102)의 창틀(101)의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환기장치(100)가 실외측 창호(102)의 창틀(101)의 외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그 일단부는 창틀(101)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실외측 창호(102)를 지지하는 실외측 벽체(104)와 접촉되도록 마련된다.As shown in (a) of FIG. 2,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may be located outside the window frame 101 of the outdoor window 102. At this time, when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s located outside the window frame 101 of the outdoor window 102, one end of it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101 and the other end supports the outdoor window 102. It is provided to contact the outdoor wall 104.

또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환기장치(100)는 실외측 창호(102)를 구성하는 창틀(101)의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환기장치(100)가 실외측 창호(102)의 창틀(101)의 내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그 일단부는 창틀(101)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실외측 창호(102)를 구성하는 창짝(103)과 접촉되도록 마련된다.Additionally, as shown in (b) of FIG. 2,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may be located inside the window frame 101 constituting the outdoor window 102. At this time, when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s located inside the window frame 101 of the outdoor window 102, one end of it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101 and the other end forms the outdoor window 102. It is provided to contact the window 103.

한편, 제1 환기장치(100)는 실외측 관통재(110), 실외측 환기모듈(120)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ncludes an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and an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측 관통재(110)는 실외측 창호(102)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제1 환기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가 조금씩 달라지게 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is a part installed adjacent to the outdoor window 102, and its installed location depends on the location where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It changes little by little.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환기장치(100)가 실외측 창호(102)의 내부에 위치되면, 실외측 관통재(110)는 실외측 창호(102)의 창틀(101) 및 창짝(103)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제1 환기장치(100)가 실외측 창호(102)의 외부에 위치되면, 실외측 관통재(110)는 실외측 창호(102)의 창틀(101)과 실외측 창호(102)를 지지하는 실외측 벽체(104) 사이에 위치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s located inside the outdoor window 102,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is positioned between the window frame 101 and the window panel 103 of the outdoor window 102. is installed in In addition, when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s located outside the outdoor window 102,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supports the window frame 101 of the outdoor window 102 and the outdoor window 102. It is located between the outdoor wall 104.

한편, 실외측 관통재(110)에는 외부에서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급기 개공부(116) 및 오염된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 개공부(117)가 형성된다. Meanwhile, an air supply opening 116 that allows outdoor air to flow in from the outside and an exhaust opening 117 that allows polluted indoor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re formed in the outdoor penetration material 110.

실외측 환기모듈(120)은 실외측 관통재(110) 상에 설치되어 실외측 관통재(110) 상에 형성된 급기 개공부(116) 및 배기 개공부(117)와 연통된다.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is installed on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and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opening 116 and the exhaust air opening 117 formed on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다시 말해서, 실외측 환기모듈(120)의 실외측 급기구(127)는 급기 개공부(116)와 연통되고, 실외측 배기구(128)는 배기 개공부(117)와 연통된다. In other words,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7 of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opening 116, and the outdoor air exhaust port 128 communicates with the exhaust air opening 117.

실외측 환기모듈(120)은 외부에서 유입된 실외 공기를 후술할 전열교환장치(200)로 전달하거나 전열교환장치(200)로부터 전달 받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부분이다.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is a part that transfers outdoor air brought in from the outside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discharges polluted indoor air received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to the outside.

이때, 실외측 환기모듈(120)에는 급기관 연결구(125) 및 배기관 연결구(126)가 형성된다. 급기관 연결구(125)에는 실외측 급기관(121)이 연결되고, 배기관 연결구(126)에는 실외측 배기관(123)이 연결된다. 참고로, 실외측 급기관(121) 및 실외측 배기관(123)은 후술한 전열교환장치(200)와도 연결된다. At this time, an air supply pipe connector 125 and an exhaust pipe connector 126 are formed in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The outdoor air supply pipe 121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connector 125, and the outdoor exhaust pipe 123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connector 126. For reference, the outdoor air supply pipe 121 and the outdoor exhaust pipe 123 are also connect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실외측 환기모듈(120)은 외부에서 유입된 실외 공기를 실외측 급기관(121)을 통해 전열교환장치(200)로 전달하고, 실외측 배기관(123)을 통해 전열교환장치(200)로부터 전달 받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transmits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heat exchanger 200 through the outdoor air supply pipe 121 and from the heat exchanger 200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ipe 123. Discharge the contaminated indoor air received to the outsid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외측 환기모듈(120)에는 필터부재(122)가 구비된다. 필터부재(122)는 외부에서 유입된 실외 공기를 전열교환장치(200)로 전달하기 전에 실외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is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122. The filter member 122 is used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before delivering it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필터부재(122)는 실외측 환기모듈(120)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이 용이하도록 실외측 환기모듈(120)의 실외측 급기구(127)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의 유로 상에 설치되게 된다. The filter member 122 is provided inside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and flows through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7 of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to facilitate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It is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incoming external air.

실외측 환기모듈(120)의 내부 구조는 필요에 따라 필터부재(122)의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마련되나, 그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통상의 기술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is provided in such a way that the filter member 122 can be easily replaced as needed, but the structure may vary depending on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측 환기모듈(120)에는 교체구(122a)가 형성된다. 교체구(122a)는 실외측 환기모듈(120)에 슬롯(slot)의 형태로 형성되어 필터부재(122)를 실외측 환기모듈(120)에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3, a replacement port 122a is formed in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The replacement port 122a is formed in the form of a slot in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and is a part for mounting the filter member 122 to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교체구(122a)가 실외측 환기모듈(120)에 슬롯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필터부재(122)는 실외측 환기모듈(120)에 서랍 형태로 삽입 장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분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Since the replacement port 122a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lot in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the filter member 122 can be inserted and mounted in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in the form of a drawer, and can be easily separated or removed as needed. It can be replaced.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측 환기모듈(120)에는 댐퍼부재(124)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댐퍼부재(124)는 실외측 환기모듈(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열교환장치(200)로의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4,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is provided with a damper member 124. In other words, the damper member 124 is provided inside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to block outdoor air from flowing in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특히, 댐퍼부재(124)는 전열교환장치(200)의 작동이 중단되었을 경우, 제1 환기장치(100)로부터 전열교환장치(200)로의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damper member 124 blocks outdoor air from flowing in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from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when the opera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stopped.

참고로, 필터부재(122) 및 댐퍼부재(124)의 위치는 실외측 환기모듈(120)에 형성되는 실외측 급기구(127) 및 실외측 배기구(128)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positions of the filter member 122 and the damper member 124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7 and outdoor exhaust port 128 formed in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실외측 관통재(110)에는 물막이 커버(129)가 마련된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3, a water blocking cover 129 is provided on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구체적으로, 실외측 관통재(110)는 실외측 창호(102)의 창틀(101)및 창짝(103) 사이에 설치되거나, 실외측 창호(102)의 창틀(101)과 실외측 벽체(104) 사이에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실외측 관통재(110)의 일면은 실외측 창호(102)의 내측에 위치되고 실외측 관통재(110)의 타면은 실외측 창호(102)의 외측에 위치되게 되어 외부 환경에 대해 노출되게 된다.Specifically,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is installed between the window frame 101 and the window 103 of the outdoor window 102, or between the window frame 101 of the outdoor window 102 and the outdoor wall 104. It is installed between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is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outdoor window 102,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outdoor window 102, protecting against the external environment. become exposed.

더욱이, 실외측 관통재(110)에는 실외측 급기구(127) 및 실외측 배기구(128)가 관통 형성된다. Furthermore, an outdoor air supply port 127 and an outdoor exhaust port 128 are formed through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이에 따라, 눈이나 비가 오거나 외부의 공기 질이 나쁠 경우, 실외측 관통재(110)의 외부로 노출된 실외측 급기구(127) 및 실외측 배기구(128)의 내부로 눈, 비 및 이물질이 유입될 수 밖에 없다. 그럴 경우, 실외측 관통재(110)의 실외측 급기구(127)를 통해 외부에서 많은 양의 실외 공기가 유입되기 어렵고 유입되는 양이 적을 수 있다. 또한, 실외측 관통재(110)의 실외측 배기구(12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 오염된 실내 공기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거나 배출되는 양이 현저하게 적을 수 있다. Accordingly, when it snows or rains or the outside air quality is poor, snow, rain, and foreign matter do not enter the inside of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7 and the outdoor air outlet 128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It has no choice but to come in. In that case, it may be difficult for a large amount of outdoor air to flow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7 of the outdoor penetrating member 110, and the amount introduced may be small. Additionally, contaminated indoor air that shoul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ort 128 of the outdoor penetrating member 110 may not be properly discharged or the amount discharged may be significantly small.

따라서, 실외측 창호(102)를 기준으로 외부 측에 위치된 실외측 관통재(110)의 타면에 물막이 커버(129)를 설치하여, 실외측 급기구(127) 및 실외측 배기구(128)로 눈, 비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water barrier cover 129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located on the outside side with respect to the outdoor window 102, and is connected to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7 and the outdoor air exhaust port 128. It is desirable to block snow, rain and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환기장치(300)는 제1 환기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은 실외 공기는 실내로 배출시키고, 오염된 실내 공기는 제1 환기장치(100)로 전달하기 위한 부재이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discharges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nto the room and delivers the contaminated indoor air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t is an absence for.

제2 환기장치(300)는 실내측 창호(302)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ndoor window 302.

이때, 도 2의 (c) 및 (d)를 참조하면, 제2 환기장치(300)는 실내측 창호(302)를 구성하는 창틀(301)의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의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c) and (d) of FIG. 2,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may be located inside the window frame 301 constituting the indoor window 302. ) may be located outside the window frame 301.

구체적으로,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환기장치(300)가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의 외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제2 환기장치(300)의 일단부는 창틀(301)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실내측 창호(302)를 지지하는 실내측 벽체(304)와 접촉되도록 마련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c) of FIG. 2, when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is located outside the window frame 301 of the indoor window 302, one end of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301,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door wall 304 supporting the indoor window 302.

또한, 도 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환기장치(300)가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의 내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그 일단부는 창틀(301)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실내측 창호(302)를 구성하는 창짝(303)과 접촉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d) of FIG. 2, when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is located inside the window frame 301 of the indoor window 302, one end of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301.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contact the window panel 303 constituting the indoor window 302.

이러한, 제2 환기장치(300)는 케이싱 몸체(310), 제1 케이싱(320) 및 제2 케이싱(330)을 포함한다. This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includes a casing body 310, a first casing 320, and a second casing 330.

케이싱 몸체(310)은 실내측 창호(302)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전열교환장치(200)로부터 실외 공기를 공급 받거나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장치(200)로 전달하기 위한 부분이다. The casing body 310 is a part installed adjacent to the indoor window 302, and is a part for supplying outdoor air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or delivering polluted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이때, 케이싱 몸체(3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공부(312)가 형성되며, 개공부(312)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장치(200)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1 케이싱(320)과 연통된다. At this time, at least one opening 312 is formed in the casing body 310, and the opening 312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asing 320 to transfer contaminated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

제1 케이싱(320)은 케이싱 몸체(3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1 케이싱(320)은 전열교환장치(200)로부터 전달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장치(200)로 전달한다. The first casing 32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body 310. The first casing 320 supplies outdoor air received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to the indoor space or delivers contaminated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구체적으로, 제1 케이싱(320)에는 상부 급기구(322) 및 상부 배기구(324)가 형성된다. 이때, 제1 케이싱(320)의 상부 급기구(322)는 실내측 급기관(210)과 연결되어 전열교환장치(200)로부터 실외 공기를 전달 받고, 제1 케이싱(320)의 상부 배기구(324)는 실내측 배기관(212)과 연결되어 전열교환장치(200)로 오염된 실내 공기를 공급한다. Specifically, an upper air supply port 322 and an upper exhaust port 324 are formed in the first casing 320. At this time, the upper air supply port 322 of the first casing 320 is connected to the indoor air supply pipe 210 and receives outdoor air from the heat exchanger 200, and the upper exhaust port 324 of the first casing 320 ) is connected to the indoor exhaust pipe 212 and supplies contaminated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제2 케이싱(330)은 케이싱 몸체(3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2 케이싱(330)은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싱 몸체(310)으로 전달한다. 이때, 케이싱 몸체(310)으로 전달된 오염된 실내 공기는 제1 케이싱(320)을 거쳐서 제1 케이싱(320)과 연결된 실내측 배기관(212)을 통해 전열교환장치(200)로 공급된다. The second casing 330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body 310. The second casing 330 sucks in contaminated indoor air and delivers it to the casing body 310. At this time, the contaminated indoor air delivered to the casing body 310 is suppli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casing 320 and the indoor exhaust pipe 212 connected to the first casing 320.

한편, 케이싱 몸체(310), 제1 케이싱(320) 및 제2 케이싱(330)은 케이싱 몸체(310)에 형성되는 개공부(312)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Meanwhile, the casing body 310, the first casing 320, and the second casing 330 may have different shapes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number of openings 312 formed in the casing body 310.

우선,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케이싱 몸체(310)은 내부가 빈 중공의 형태로 형성되며, 사각형 형태의 관(PIPE)의 형태로 형성된다. 참고로, 케이싱 몸체(310)는 설치하고자 하는 실내측 창호(302)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casing body 3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interior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shaped pipe (PIPE). For reference, the casing body 310 can be cu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indoor window 302 to be installed.

케이싱 몸체(310)의 상부에는 배기 개공부(312b)가 형성된다. An exhaust opening 312b is formed at the top of the casing body 310.

이때, 케이싱 몸체(310)의 배기 개공부(312b)는 제1 케이싱(320)의 상부 배기구(324)와 연통된다. 다시 말해서, 케이싱 몸체(310)은 제2 케이싱(330) 및 제1 케이싱(320)의 상부 배기구(324)와 연통되어, 제2 케이싱(330)에 유입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케이싱 몸체(310)를 통해 제1 케이싱(320)의 배기 개공부(312b)로 빠져나가게 된다. At this time, the exhaust opening 312b of the casing body 310 communicates with the upper exhaust port 324 of the first casing 320. In other words, the casing body 3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asing 330 and the upper exhaust port 324 of the first casing 320, so that the contaminated indoor air flowing into the second casing 330 is transmitted to the casing body 310. ) and exits through the exhaust opening 312b of the first casing 32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320)의 상부 급기부(322)는 실내측 급기관(210)을 통해 전열교환장치(200)로부터 실외 공기를 전달 받고, 제1 케이싱(320)의 상부 배기구(324)는 실내측 배기관(212)을 통해 전열교환장치(200)로 오염된 실내 공기를 공급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ir supply portion 322 of the first casing 320 receives outdoor air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through the indoor air supply pipe 210, and the upper air supply portion 322 of the first casing 320 The upper exhaust port 324 supplies contaminated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through the indoor exhaust pipe 212.

이때, 상부 급기부(322)의 일측은 전열교환장치(200)와 연결된 실내측 급기관(210)이 연결되고, 상부 급기부(322)의 타측은 실내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제1 케이싱(320)은 상부 급기부(322)를 통해 전열교환장치(200)로부터 실외 공기를 전달 받음과 동시에 전달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upper air supply unit 322 is connected to the indoor air supply pipe 210 connect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ir supply unit 32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oom. Accordingly, the first casing 320 can receive outdoor air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through the upper air supply unit 322 and simultaneously discharge the received outdoor air indoors.

제2 케이싱(330)에는 실내와 연통되어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하부 배기부(334)가 형성된다. A lower exhaust part 334 is formed in the second casing 33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room and can suck in polluted indoor air.

이때, 하부 배기부(334)는 제2 케이싱(33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 하부 배기부(334a)와 제2 케이싱(330a)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하부 배기부(334b)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lower exhaust unit 334 includes a first lower exhaust unit 334a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asing 330 and a second lower exhaust unit 334b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asing 330a. do.

이에 따라, 제2 케이싱(330)의 제2 하부 배기부(334b)를 통해 오염된 실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실내 공기는 제2 케이싱(330)의 제1 하부 배기부(334a)를 통해 케이싱 몸체(310)의 내부로 전달된다. 케이싱 몸체(310)의 내부로 전달된 실내 공기는 배기 개공부(312b)를 통해 제1 케이싱(320)으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제1 케이싱(320)으로 전달된 실내 공기는 제1 케이싱(320)의 상부 배기구(324)를 통해 전열교환장치(200)로 공급된다. Accordingly, contaminated indoor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second lower exhaust portion 334b of the second casing 330, and the sucked indoor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first lower exhaust portion 334a of the second casing 330. It is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casing body 310. The indoor air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casing body 310 is delivered to the first casing 320 through the exhaust opening 312b, and the indoor air finally delivered to the first casing 32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casing 320. ) is suppli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through the upper exhaust port 324.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싱 몸체(310)의 전면에는 전면커버부재(340)가 부착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ure 5, a front cover member 34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asing body 310.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 몸체(310)에는 배기 개공부(312b)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커버부재(340)를 부착하여 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haust opening 312b is formed in the casing body 310, it is desirable to cover it by attaching a front cover member 340.

이때, 제1 케이싱(320)에도 상부 급기구(322) 및 상부 배기구(324)가 형성되기 때문에 서브커버부재(340a)를 부착하여 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air supply port 322 and the upper exhaust port 324 are formed in the first casing 320, it is preferable to cover them by attaching a sub-cover member 340a.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싱 몸체(310)은 사각형의 관(Pipe)의 형태로 형성된다. 참고로, 케이싱 몸체(310)은 실내측 창호(302)의 길이에 맞춰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casing body 3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pe. For reference, the casing body 310 can be cut and us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indoor window 302.

케이싱 몸체(310)에는 급기 개공부(312a) 및 배기 개공부(312b)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급기 개공부(312a)는 케이싱 몸체(310)의 일 측에 관통 형성되고, 배기 개공부(312b)는 케이싱 몸체(310)의 타 측에 관통 형성된다. An air supply opening 312a and an exhaust opening 312b are formed in the casing body 310. In other words, the air supply opening 312a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casing body 310, and the exhaust opening 312b is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body 310.

이때, 급기 개공부(312a)는 실내와 연통되어, 제1 케이싱(320)으로부터 전달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At this time, the air supply opening 312a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and supplies outdoor air received from the first casing 320 to the interior.

케이싱 몸체(310)의 급기 개공부(312a) 및 배기 개공부(312b)는 제1 케이싱(320)과 연통된다. The air supply opening 312a and the exhaust air opening 312b of the casing body 310 communicate with the first casing 320.

제1 케이싱(320)의 상부 급기부(322)는 급기 개공부(312a)와 연통되고, 제1 케이싱(320)의 상부 배기부(324)는 배기 개공부(312b)와 연통된다. The upper air supply portion 322 of the first casing 320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opening 312a, and the upper exhaust portion 324 of the first casing 320 communicates with the exhaust opening 312b.

이때, 제1 케이싱(320)의 상부 급기부(322)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상부 급기부(322a)와, 제1 상부 급기부(322a)에 대해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상부 급기부(322b)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upper air supply portion 322 of the first casing 320 includes a first upper air supply portion 322a protruding upward and a second upper air supply portion protruding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upper air supply portion 322a. Includes donations (322b).

제1 상부 급기부(322a)는 실내측 급기관(210)을 통해 전열교환장치(200)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공급받는 부분이고, 제2 상부 급기부(322b)는 케이싱 몸체(310)의 급기 개공부(312a)와 연통되어 제1 상부 급기부(322a)를 통해 공급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부분이다. The first upper air supply part 322a is connected to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through the indoor air supply pipe 210 and receives outdoor air, and the second upper air supply part 322b is a part of the casing body 310. It is a part that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opening 312a and discharges outdoor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upper air supply part 322a into the room.

이에 따라, 제1 상부 급기부(322a)을 통해 실외 공기가 공급되고, 공급된 실외 공기는 제2 상부 급기부(322b)를 거쳐서 상부 급기부(322)로 빠져나와서 실내로 배출된다. Accordingly, outdoor air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upper air supply part 322a, and the supplied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second upper air supply part 322b and exits the upper air supply part 322 and is discharged indoors.

참고로, 제2 상부 급기부(322b)의 하단부는 폐쇄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제1 상부 급기부(322a)를 통해 공급된 실외 공기가 케이싱 몸체(310)의 하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케이싱 몸체(310)에 형성된 급기 개공부(312a)를 통해서만 실내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For reference, sinc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air supply portion 322b has a closed shape, the outdoor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upper air supply portion 322a does not flow to the lower side of the casing body 310, and the casing body 310 It is discharged into the room only through the air supply opening (312a) formed in (310).

이때, 상부 배기부(324)는 상술한 제2 상부 급기부(322b)와는 다르게 케이싱 몸체(310)과 연통된 상태로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exhaust portion 324 is formed in a st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casing body 310, unlike the second upper air supply portion 322b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배기 개공부(312b)를 통해 흡입된 오염된 실내 공기는 케이싱 몸체(310)를 통해 상부 배기부(324)를 통해 전열교환장치(200)로 공급된다. Accordingly, the contaminated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exhaust opening 312b is suppli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through the upper exhaust portion 324 through the casing body 310.

참고로, 케이싱 몸체(310)의 내부 중에서 급기 개공부(312a)가 형성된 일 측과 케이싱 몸체(310)의 내부 중에서 배기 개공부(312b)가 형성된 타 측은 서로 연통되지 않고, 케이싱 몸체(310)의 급기 개공부(312a)가 형성된 일 측은 제1 케이싱(320)의 상부 급기부(322)와 연통되고 케이싱 몸체(310)의 배기 개공부(312b)가 형성된 타 측은 제1 케이싱(320)의 상부 배기부(324)와 연통된다. For reference,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asing body 310 where the air supply opening 312a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casing body 310 where the exhaust opening 312b is formed are not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casing body 310 One side on which the air supply opening 312a is formed communicates with the upper air supply part 322 of the first casing 320, and the other side on which the exhaust opening 312b of the casing body 310 is formed is connected to the first casing 320. It communicates with the upper exhaust part 324.

즉, 케이싱 몸체(310)로의 실외 공기의 공급 및 실내 공기의 배출은 이원화 되게 된다. That is, the supply of outdoor air and the discharge of indoor air to the casing body 310 are dualized.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케이싱 몸체(310)의 전면에는 전면커버부재(340)가 부착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8,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5, a front cover member 34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asing body 310.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 몸체(310)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 개공부(312a) 및 배기 개공부(312b)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커버부재(340)를 부착하여 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since at least one air supply opening 312a and an exhaust opening 312b are formed on the front of the casing body 310, it is preferable to cover them by attaching a front cover member 340.

참고로, 전면커버부재(340)는 케이싱 몸체(310) 및 케이싱 몸체(310)에 형성된 급기 개공부(312a) 및 배기 개공부(312b)를 가릴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전면커버부재(340)는 알루미늄, ABS 등 경질의 소재로 마련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reference, the front cover member 340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that can cover the casing body 310 and the air supply opening 312a and the exhaust air opening 312b formed in the casing body 310. Additionally, the front cover member 340 is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AB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때, 제1 케이싱(320)은 전술한 제1 케이싱(320)과는 다르게 상부 급기구(322) 및 상부 배기구(324)가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로 서브커버부재(340a)를 부착할 필요는 없다. At this time, unlike the above-described first casing 320, the first casing 320 does not have an upper air supply port 322 and an upper exhaust port 324 formed on the front, so a sub-cover member 340a is attached separately. You don't have to.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환기장치(300)에는 사용자가 환기 시스템(1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작패널(400)이 마련된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nel 400 to allow the user to control the ventilation system 10 .

예를 들어, 조작패널(400)를 통해, 제1 환기장치(100)에 의한 실외 공기의 흡입 양을 조절하거나 제2 환기장치(300)에 의한 오염된 실내 공기의 흡입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제1 환기장치(100) 및 제2 환기장치(300)에 의해 흡입된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의 양에 따라 전열교환장치(200)의 작동을 설정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rough the operation panel 400, the amount of outdoor air taken in by the first ventilator 100 can be adjusted or the amount of polluted indoor air taken in by the second ventilator 300 can be adjusted, The opera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may be set according to the amount of outdoor air and indoor air sucked by the first ventilator 100 and the second ventilator 300.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제2 환기장치(300)는 지지 가이드(306) 및 고정부재(308)를 더 포함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9,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further includes a support guide 306 and a fixing member 308.

지지 가이드(306)는 케이싱 몸체(310)에 삽입되는 부재이다. 지지 가이드(306)는 속이 빈 중공의 형태로 형성되며, 케이싱 몸체(3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위치된다. The support guide 306 is a member inserted into the casing body 310. The support guide 306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is position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asing body 310.

지지 가이드(306)는 케이싱 몸체(310)의 폭과 동일한 길이 및 형태를 가진다. The support guide 306 has a length and shape equal to the width of the casing body 310.

이에 따라, 지지 가이드(306)의 일단부는 케이싱 몸체(310)의 일 측에 고정되고, 지지 가이드(306)의 타단부는 케이싱 몸체(310)의 타 측에 고정된다. Accordingly, one end of the support guide 306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asing body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guide 306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body 310.

참고로, 지지 가이드(306)는 볼트(bolt) 형태의 제1 지지부재(306a) 및 제2 지지부재(306b)가 결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제1 지지부재(306a)와 제2 지지부재(306b)는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나, 제2 지지부재(306b)의 내부에 제1 지지부재(306a)가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1 지지부재(306a)가 제2 지지부재(306b)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reference, the support guide 306 has a bolt-shaped first support member 306a and a second support member 306b combined. The first support member 306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306b are provided in the same form, but since the first support member 306a must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member 306b, the first support member 306a must be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member 306b.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member 306a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support member 306b.

고정부재(308)는 지지 가이드(308)의 내부에 삽입되어 케이싱 몸체(310)를 실내측 창호(302)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The fixing member 308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uide 308 to fix the casing body 310 to the indoor window 302.

고정부재(308)는 일종의 볼트(blot)와 같은 체결 수단의 형태로 마련되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어 지지 가이드(306)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케이싱 몸체(310)를 실내측 창호(302)에 대해 고정시킨다. The fixing member 308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but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upport guide 306 to connect the casing body 310 to the indoor window 302. fixed on.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환기장치(300)는 실내측 창호(302)를 구성하는 창틀(301)의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의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 몸체(310)도 실내측 창호(302)를 구성하는 창틀(301)의 내부에 위치되거나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의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may be located inside the window frame 301 constituting the indoor window 302, or may be located outside the window frame 301 of the indoor window 302. It may be located. Accordingly, the casing body 310 may also be located inside the window frame 301 constituting the indoor window 302 or may be located outside the window frame 301 of the indoor window 302.

참고로,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싱 몸체(310)의 일측에는 지지 가이드(306) 및 고정부재(308)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311)가 형성된다. 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 7, a fastening portion 3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ing body 310 to fasten the support guide 306 and the fixing member 308.

체결부(311)는 구멍(hole)의 형태로서, 케이싱 몸체(310)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체결부(311)의 직경의 크기 및 형태는 체결부(311)에 삽입 결합되는 지지 가이드(306) 및 고정부재(308)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fastening portion 311 is in the form of a hole and is provided to penetrate one surface of the casing body 310. At this time, the size and shape of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part 311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upport guide 306 and the fixing member 308 that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311.

또한, 도 5 에 도시한 케이싱 몸체(310)에는 체결부(311)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7에 도시한 케이싱 몸체(310)와 마찬가지로 체결부(311)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 311 is not shown in the casing body 310 shown in FIG. 5, but the fastening part 311 is formed similarly to the casing body 310 shown in FIG. 7.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환기장치(300)의 케이싱 몸체(310)를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 외부와 실내측 벽체(304) 사이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 고정부재(308)를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 케이싱 몸체(310)와 지지 가이드(306) 및 실내측 벽체(304)를 순차적으로 관통되도록 한다. As shown in (a) of FIG. 10, the casing body 310 of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is to be fix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301 of the indoor window 302 and the indoor wall 304. 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308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window frame 301 of the indoor window 302, the casing body 310, the support guide 306, and the indoor wall 304.

이에 따라, 고정부재(308)의 일단부가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에 고정되고 고정부재(308)의 타단부가 실내측 벽체(304)에 고정됨에 따라 케이싱 몸체(310)이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 외부와 실내측 벽체(304)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는 것이다. Accordingly,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308 is fixed to the window frame 301 of the indoor window 302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308 is fixed to the indoor wall 304, so that the casing body 310 It is stably position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301 of the indoor window 302 and the indoor wall 304.

또한,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환기장치(300)의 케이싱 몸체(310)를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 내부에 위치시켜 창틀(301)과 창짝(303) 사이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 고정부재(308)를 케이싱 몸체(310)와 지지 가이드(306),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 및 실내측 벽체(304)를 순차적으로 관통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10, the casing body 310 of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is located inside the window frame 301 of the indoor window 302 to form the window frame 301 and the window panel ( 303), the fixing member 308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casing body 310, the support guide 306, the window frame 301 of the indoor window 302, and the indoor wall 304. .

이에 따라, 고정부재(308)의 일단부가 케이싱 몸체(310)의 일측에 고정되고 고정부재(308)의 타단부가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을 관통하여 실내측 벽체(304)에 고정됨에 따라 케이싱 몸체(310)이 실내측 창호(302)의 창틀(301)과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실내측 창호(302)의 창짝(303)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는 것이다. Accordingly,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308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asing body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308 penetrates the window frame 301 of the indoor side window 302 to the indoor wall 304. As it is fixed, the casing body 310 is stably positioned between the window frame 301 of the indoor window 302 and the window panel 303 of the indoor window 302, which is not shown in the drawing.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환기장치(300)에는 조작패널(400)이 마련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nel 400.

조작패널(400)은 케이싱 몸체(3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커버부재(340)에 설치되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ration panel 40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member 340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asing body 310 and exposed to the outside.

참고로, 사용자는 조작패널(400)을 조작함으로써 환기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실내로 오염된 실내 공기 대신에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For reference,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panel 400, the user can use the ventilation system 10 to discharge polluted indoor air to the outside or allow outdoor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room instead of polluted indoor air.

도 1,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전열교환장치(200)는 공급 받은 실외 공기와 전달 받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는 부분이다. Referring to FIGS. 1, 10, and 12,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a part that exchanges heat between supplied outdoor air and supplied contaminated indoor air.

전열교환장치(2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열 교환기(Heat Exchanger)의 형태로 마련되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열 교환시킨다.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monly used heat exchanger and exchanges heat between outdoor air and indoor air.

구체적으로, 전열교환장치(200)의 일 측은 제1 환기장치(100)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공급 받고, 타 측은 제2 환기장치(300)와 연결되어 오염된 실내 공기를 공급 받는다.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to receive outdoor air,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to receive contaminated indoor air.

이때, 전열교환장치(200)는 제1 환기장치(100)로부터 공급 받은 실외 공기와 제2 환기장치(300)로부터 공급 받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한다. At this time,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exchanges heat between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first ventilator 100 and the contaminated indoor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ventilator 300.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열교환장치(2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미도시)가 마련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t least one filter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는 전열교환장치(200)의 내부에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 상에 마련되어 유입된 실외 공기 중에 포함됨 오염물질을 걸러낸 후에 제2 환기장치(300)로 전달한다. 또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필터부재는 전열교환장치(200)의 내부에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 상에 마련되어 유입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낸 후에 제1 환기장치(100)로 전달한다. Here, at least one filter member is provided on a passage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in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filters out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flow outdoor air, and then transfers them to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In addition, at least one other filter member is provided on the passage through which indoor air flows in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to primarily filter out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troduced indoor air and then returns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Pass it to

이에 따라, 전열교환장치(200)에 의해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에 가까운 온습도를 가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Accordingly, the outdoor air supplied indoors by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has the effect of having a temperature and humidity close to indoor ai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장치(200)는 실외측 창호(102)에 설치되는 제1 환기장치(100)와 실내측 창호(302)에 설치되는 제2 환기장치(300) 사이에 마련되며, 특히 발코니(202)에 마련된다. Meanwhile,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nstalled on the outdoor window 102 and a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installed on the indoor window 302. It is provided in between, especially on the balcony 202.

예를 들어, 도 1 및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장치(200)는 실외측 창호(102)와 실내측 창호(302) 사이에 형성된 발코니(202), 즉 발코니(202)의 천정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장치(200)는 실외측 창호(102) 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측 창호(302)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S. 1 and 10,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has a balcony 202 formed between the outdoor window 102 and the indoor window 302, that is, the balcony ( 202) can be provided on the ceiling.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3,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may be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window 102, and as shown in (c) of FIG. 3, the heat exchanger 200 may be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window 302. It may be provided on the side.

참고로, 전열교환장치(200)가 실내측 창호(302)에 마련될 경우, 진동 및 소음에는 취약하지만 실내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이점이 있다. For reference, when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provided on the indoor window 302, it is vulnerable to vibration and noise, but has an excellent design advantage because it is not visible from the interior.

또한, 전열교환장치(200)가 실외측 창호(102)에 마련될 경우, 진동 및 소음이 실내에서 들리지 않아서 전열교환장치(200)를 고풍량으로 운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실내에서 실외를 바라볼 때 전열교환장치(200)가 보이기 때문에 디자인적으로는 그리 우수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provided on the outdoor window 102, vibration and noise are not heard indoors, s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can be operated at a high air volume, thereby increasing ventilation efficiency. . However, since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visible when look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t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very good in terms of design.

더욱이, 전열교환장치(200)가 발코니(202), 즉 발코니(202)의 천정에 마련될 경우, 진동 및 소음이 실내에서 들리지 않기 때문에 전열교환장치(200)를 고풍량으로 운전함으로써 전열교환장치(200)의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내 또는 실외에서 전열교환장치(200)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디자인 적으로 우수한 점이 있다. 그러나, 전열교환장치(200)가 발코니(202), 즉 발코니(202)의 천정에 마련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있어서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Moreover, when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provided on the balcony 202, that is, on the ceiling of the balcony 202, vibration and noise are not heard indoors, s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operated at a high air volume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200) can be improv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design because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not visible indoors or outdoors. However, since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provided on the balcony 202, that is, on the ceiling of the balcony 202,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maintenance is difficult.

상기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장치(200)를 실외측 창호(102), 발코니(202), 실내측 창호(302) 중 어디에 마련하느냐에 따라서 장점 및 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환기 시스템(10)을 설치하는 기축 주택의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전열교환장치(200)를 적절한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re clear depending on whether the heat exchanger 200 is provided on the outdoor window 102, the balcony 202, or the indoor window 30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at an appropriate lo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basic house where the ventilation system 10 is installed.

여기서,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장치(200)는 제1 환기장치(100)와 직결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c) of FIG. 10,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그러면, 전열교환장치(200)는 실외측 급기관(121) 및 실외측 배기관(123) 없이, 제1 환기장치(100)의 급기관 연결구(125) 및 배기관 연결구(126)에 연결되게 된다. Then,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connector 125 and the exhaust pipe connector 126 of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without the outdoor air supply pipe 121 and the outdoor exhaust pipe 123.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측 관통재(110)의 급기 개공부(116)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는 실외측 환기모듈(120)의 필터부재(122)를 거친 후에 급기관 연결구(125)에 연결된 전열교환장치(200)로 공급되고, 공급된 실외 공기는 실내측 급기관(210)을 통해 제2 환기장치(300)로 전달되어 실내로 배출(공급)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1,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opening 116 of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110 passes through the filter member 122 of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and then enters the air supply pipe. It is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r 2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125, and the supplied outdoor air is delivered to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through the indoor air supply pipe 210 and discharged (supplied) indoors.

반대로, 제2 환기장치(300)에 의해 흡입된 오염된 실내 공기는 실내측 배기관(212)을 통해 전열교환장치(200)로 공급되고, 공급된 실내 공기는 전열교환장치(200)와 직결된 배기관 연결구(126)를 통해 제1 환기장치(100)의 실외측 환기모듈(120)로 공급된다. 공급된 실내 공기는 실외측 환기모듈(120)의 실외측 배기구(128) 및 배기 개공부(117)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Conversely, the contaminated indoor air sucked in by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is suppli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through the indoor exhaust pipe 212, and the supplied indoor ai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t is supplied to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of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through the exhaust pipe connector 126. The supplied indoor air is discharged outdoors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ort 128 and the exhaust opening 117 of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한편, 전열교환장치(200)의 미사용시에는 실외측 환기모듈(120)의 댐퍼부재(124)에 의해 전열교환장치(200)로의 외부 공기의 이동이 차단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not in use, the movement of external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blocked by the damper member 124 of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120.

참고로, 전열교환장치(200)가 제1 환기장치(100)와 직결되어 있더라도, 전열교환장치(200)의 내부에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모두 공급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열 교환은 이루어 지게 된다. For reference, even if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both outdoor air and indoor air ar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so heat exchange between outdoor air and indoor air is normal. will come tru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1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건축된 기축주택의 반자(303)의 재시공이 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ventil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cases where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half panel 303 of an existing built house.

만약,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에 건축된 반자(303)의 재시공이 불가능한 경우, 전열교환장치(200)가 발코니에 설치되면 설치된 전열교환장치(200)의 일단부에는 제1 환기장치(100)의 실외측 급기관(121) 및 실외측 배기관(123)이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제2 환기장치(300)의 실내측 급기관(210) 및 실내측 배기관(212)이 연결된다. If, as shown in FIG. 12, it is impossible to re-build the previously built banja 303, and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installed on the balcony, a first ventilation device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stalled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The outdoor air supply pipe 121 and the outdoor exhaust pipe 123 of (100) a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the indoor air supply pipe 210 and the indoor exhaust pipe 212 of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a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에 건축된 반자(303)의 재시공이 가능한 경우에는 실내 천정에 실내측 급기관(210) 및 실내측 배기관(212)을 매립 설치한다. 전열교환장치(200)가 발코니에 설치되면 설치된 전열교환장치(200)의 일단부에는 제1 환기장치(100)의 실외측 급기관(121) 및 실외측 배기관(123)이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실내 천정에 매립 설치된 실내측 급기관(210) 및 실내측 배기관(212)이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 when it is possible to re-build the previously built banja 303, the indoor air supply pipe 210 and the indoor exhaust pipe 212 are buried and installed in the indoor ceiling. When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is installed on the balcony, the outdoor air supply pipe 121 and the outdoor exhaust pipe 123 of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stalled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and to the other end. The indoor air supply pipe 210 and the indoor exhaust pipe 212 installed embedded in the indoor ceiling are connected.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측 급기관(210) 및 실내측 배기관(212)의 일단부는 전열교환장치(200)에 연결되고, 실내측 급기관(210) 및 실내측 배기관(212)의 타단부는 실내와 직접적으로 연통된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indoor air supply pipe 210 and the indoor exhaust pipe 212 is connect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and the other ends of the indoor air supply pipe 210 and the indoor exhaust pipe 212 ar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200. The end communicates directly with the interior.

이에 따라, 제1 환기장치(100)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실외 공기는 제1 환기장치(100)에 연결된 실외측 급기관(121)을 통해 전열교환장치(200)로 공급되고, 공급된 실외 공기는 실내측 급기관(210)을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Accordingly, the outdoor air sucked in from the outside by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is suppli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through the outdoor air supply pipe 121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and the supplied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r 200. Air is discharged indoors through the indoor air supply pipe 210.

또한, 실내측 배기관(212)에 의해 흡입된 오염된 실내 공기는 전열교환장치(200)로 공급되고, 공급된 실내 공기는 실외측 배기관(123)을 통해 제1 환기장치(100)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In addition, the contaminated indoor air sucked in by the indoor exhaust pipe 212 is suppli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200, and the supplied indoor air is delivered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ipe 12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참고로, 기존에 건축된 반자(303)의 재시공이 가능한 경우, 제2 환기장치(300)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1 환기장치(100) 및 전열교환장치(200)의 구성 및 특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For reference, if it is possible to re-build the previously built half (303),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100) and the heat exchange device (200), exclu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300), are as described above. Same as the example.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10)은, 기존에 건축된 기축주택에서 설치된 실내측 창호(302) 및 실외측 창호(102)를 활용하여 실외 공기를 내부로 흡입함으로써 오염된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환기 시스템(10) 설치를 위한 주택의 개/보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환기 시스템(10)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xisting house ventilation system 10 using the window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ndoor windows 302 and the outdoor windows 102 installed in the existing built house to bring outdoor air inside. By inhaling, polluted indoor air can be effectively ventilated. Furthermore, since no renovation/repair of the house is required to install the ventilation system 10, the construction cost required to install the ventilation system 10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10)은, 환기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전열교환장치(200)가 발코니(202)에 설치됨으로써, 전열교환장치(20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고풍 량의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기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ic house ventilation system 10 utilizing the window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200 by installing the heat exchanger 200, which constitutes the ventilation system 10, on the balcony 202. The noise generated by this can be minimized and ventil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ecause operation at a high air volume is possib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claim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창호를 활용한 환기 시스템
100: 제1 환기장치
110: 실외측 관통재
120: 실외측 환기모듈
200: 전열교환장치
210: 케이싱 몸체
220: 제1 케이싱
230: 제2 케이싱
300: 제2 환기장치
400: 조작패널
10: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100: first ventilation device
110: Outdoor side penetration material
120: Outdoor ventilation module
200: Total heat exchange device
210: Casing body
220: first casing
230: second casing
300: second ventilation device
400: Control panel

Claims (16)

발코니와, 발코니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배치되는 실외측 창호 및 실내측 창호에 구비되며, 실외 공기를 이용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일단부는 실외측 창호의 창틀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실외측 창호의 창짝 및 실외측 벽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외부의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오염된 실내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환기장치;
일단부는 실내측 창호의 창틀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실내측 창호의 창짝 및 실내측 벽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제1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제1 환기장치로 전달하는 제2 환기장치; 및
제1 환기장치 및 제2 환기장치와 연결되며, 제1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외 공기와 제2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시키고, 열 교환된 후의 실외 공기를 제2 환기장치로 전달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고, 열 교환된 후의 실내 공기를 제1 환기장치로 전달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전열교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환기장치는, 일면은 실외측 창호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면은 실외측 창호의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 환경에 노출되도록 장착된 실외측 관통재 및 상기 실외측 관통재와 연통되며, 외부에서 실외측 관통재를 통과하여 유입된 실외 공기를 실외측 급기관을 통해 전열교환장치로 전달하고, 실외측 배기관을 통해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실내 공기를 실외측 관통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실외측 환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실외측 환기모듈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실외 공기를 전열교환장치로 전달하기 전에 실외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부재 및 전열교환장치로의 실외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댐퍼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실외측 관통재에는, 실외측 환기모듈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막이 커버가 마련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In a system provided on a balcony, an outdoor window and an indoor window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balcony in between, the system is used to ventilate polluted indoor air using outdoor air, comprising: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of the outdoor window,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contact at least one of the window frame of the outdoor window and the outdoor wall, and is a device that allows outdoor air from outside to enter the room and discharges polluted indoor air to the outside. 1 Ventilator;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of the indoor window,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contact at least one of the window frame of the indoor window and the indoor wall, and supplies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to the indoor room and removes contaminated indoor air. a second ventilator transmitting to the first ventilator; and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or and the second ventilator, heat exchanges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first ventilator and the contaminated indoor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ventilator, and heat-exchanges the outdoor air to the second ventilator. and a total heat exchange device provided to deliver the heat-exchanged indoor air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has one side located inside the outdoor window and the other side located outside the outdoor window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and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from the outside. The outdoor air flowing in through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is delivered to the heat exchanger through the outdoor air supply pipe, and the indoor air delivered from the heat exchanger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ip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Includes a side ventilation module,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before delivering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and a damper member to block the inflow of outdoor air in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become,
A ventilation system for an existing house using windows, wherein the outdoor penetration material is provided with a water barrier cov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전열교환장치는,
실외측 창호와 실내측 창호 사이에 위치한 발코니에 배치되거나, 실외측 창호와 인접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실내측 창호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at exchanger is,
A basic house ventilation system utilizing windows that is placed on a balcony located between an outdoor window and an indoor window, installed adjacent to an outdoor window, or installed adjacent to an indoor window.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제2 환기장치는,
실내측 창호에 장착되며,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실외 공기를 공급받거나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공부가 형성되는 케이싱 몸체;
케이싱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열교환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장치로 전달 하는 제1 케이싱; 및
케이싱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케이싱; 을 포함하며,
제1 케이싱은 실내측 급기관를 통해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실외 공기를 전달 받고, 실내측 배기관을 통해 전열교환장치로 실내 공기를 공급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is,
A casing body that is mounted on an indoor window and has at least one opening for receiving outdoor air from a total heat exchange device or delivering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A first casing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body and supplying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to the room or delivering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and
a second casing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body; Includes,
The first casing is a basic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that receives outdoor air from the heat exchanger through the indoor air supply pipe and supplies indoor air to the heat exchanger through the indoor exhaust pipe.
제7항에 있어서,
케이싱 몸체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되 실내 공기를 제1 케이싱으로 전달하기 위한 배기 개공부가 형성되며,
제1 케이싱에는,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상부 급기부와, 배기 개공부와 연통되며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상부 배기부가 형성되고,
제2 케이싱에는, 실내 공기를 케이싱 몸체로 전달하기 위하여 케이싱 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 배기부가 형성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In clause 7,
The casing body has a hollow interior and an exhaust opening is formed to transmit indoor air to the first casing.
The first casing is formed with an upper air supply part for discharging outdoor air received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into the room, and an upper exhaust part that communicates with the exhaust opening and supplies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In the second casing, a lower exhaust par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asing body is formed in order to transfer indoor air to the casing body. A basic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제7항에 있어서,
케이싱 몸체의 일 측에는 급기 개공부가 관통 형성되고 타 측에는 배기 개공부가 관통 형성되며,
제1 케이싱에는, 급기 개공부와 연통되며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상부 급기부와, 배기 개공부와 연통되며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상부 배기부가 형성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In clause 7,
An air supply opening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casing body, and an exhaust opening is formed through it on the other side,
The first casing is formed with an upper air supply part that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opening and supplies outdoor air received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to the room, and an upper exhaust part that communicates with the exhaust opening part and supplies indoor air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 Ventilation system for basic houses using windows.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케이싱 몸체의 전면에는 급기 개공부 및 배기 개공부를 덮기 위한 전면커버부재가 부착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8 or 9,
A basic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in which a front cover member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asing body to cover the air supply opening and exhaust opening.
제10항에 있어서,
제2 환기장치에는 환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조작패널이 마련되고,
조작패널은 케이싱 몸체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커버부재에 설치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nel that controls the ventilation system,
The operation panel is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asing body, and is a basic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제2 환기장치는,
케이싱 몸체의 내부를 관통하는 지지 가이드; 및
케이싱 몸체를 실내측 창호의 창틀 외부와 실내측 벽체 사이에 고정시키거나, 실내측 창호의 창틀과 창짝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지 가이드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is,
A support guide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asing body; and
A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upport guide to fix the casing body between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of the indoor window and the indoor wall, or between the window frame and the window panel of the indoor window; A ventilation system for an existing building using windows,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전열교환장치는,
그 일단부는 제1 환기장치와 직결되고, 타단부는 제2 환기장치의 실내측 급기관 및 실내측 배기관이 연결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at exchanger is,
A basic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one end of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door air supply pipe and indoor exhaust pipe of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발코니와, 발코니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배치되는 실외측 창호 및 실내측 창호에 구비되며, 실외 공기를 이용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일단부는 실외측 창호의 창틀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실외측 창호의 창짝 및 실외측 벽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외부의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오염된 실내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환기장치;
실내측 반자 공간에 매립 설치되며, 제1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제1 환기장치로 전달하는 제2 환기장치; 및
제1 환기장치 및 제2 환기장치와 연결되며, 제1 환기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실외 공기와 제2 환기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실내 공기를 열 교환시키고, 열 교환된 후의 실외 공기를 제2 환기장치로 전달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고, 열 교환된 후의 실내 공기를 제1 환기장치로 전달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전열교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환기장치는, 일면은 실외측 창호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면은 실외측 창호의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 환경에 노출되도록 장착된 실외측 관통재 및 상기 실외측 관통재와 연통되며, 외부에서 실외측 관통재를 통과하여 유입된 실외 공기를 실외측 급기관을 통해 전열교환장치로 전달하고, 실외측 배기관을 통해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실내 공기를 실외측 관통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실외측 환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실외측 환기모듈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실외 공기를 전열교환장치로 전달하기 전에 실외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부재 및 전열교환장치로의 실외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댐퍼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실외측 관통재에는, 실외측 환기모듈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막이 커버가 마련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In a system provided on a balcony, an outdoor window and an indoor window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balcony in between, the system is used to ventilate polluted indoor air using outdoor air, comprising: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of the outdoor window,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contact at least one of the window frame of the outdoor window and the outdoor wall, and allows outdoor air from outside to enter the room and discharges polluted indoor air to the outside. first ventilator;
a second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embedded in the semi-java space on the indoor side, supplying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to the room and delivering polluted indoor air to the first ventilator; and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or and the second ventilator, exchanges heat between the outdoor air received from the first ventilator and the indoor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ventilator, and transfers the heat-exchanged outdoor air to the second ventilator. It includes a total heat exchange device provided to supply the indoor air to the indoor space and transfer the heat-exchanged indoor air to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e first ventilation device has one side located inside the outdoor window and the other side located outside the outdoor window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penetrating member and the outdoor penetrating member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penetrating member from the outside. The outdoor air that flows in through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is deliver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through the outdoor air supply pipe, and the indoor air received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ip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penetrating material. Includes a side ventilation module,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before delivering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and a damper member to block the inflow of outdoor air in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become,
A ventilation system for an existing house using windows, wherein the outdoor penetration material is provided with a water barrier cov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outdoor ventilation module.
제15항에 있어서,
제2 환기장치는,
전열교환장치와 연결되며 전열교환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는 실내측 급기관; 및
전열교환장치와 연결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전열교환장치로 공급 하는 실외측 배기관; 를 포함하고,
실내측 급기관 및 실내측 배기관은 실내측 반자 공간에 매립 설치되며 실내와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5,
The second ventilation device is,
An indoor ai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and discharging the outdoor air received from the total heat exchange device into the room; and
An outdoor exhaust pipe that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and sucks indoor air and supplies it to the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indoor air supply pipe and indoor exhaust pipe are installed buried in the indoor semi-circular space and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indoor space. This is a basic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KR1020190133174A 2019-04-19 2019-10-24 Existing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KR1026551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5996 2019-04-19
KR1020190045996 2019-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973A KR20200122973A (en) 2020-10-28
KR102655122B1 true KR102655122B1 (en) 2024-04-08

Family

ID=7301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174A KR102655122B1 (en) 2019-04-19 2019-10-24 Existing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12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4590A1 (en) 2006-03-31 2007-10-11 Dong Kyu Kim Ventilating system
KR100787920B1 (en) * 2006-12-18 2007-12-24 강소기 Structure to set up inhalation-exhaust duct for movable recovery ventilation and movable recovery ventilation apparatu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527B1 (en) * 2010-10-07 2012-10-17 대림산업 주식회사 Heat and Humidity Controlled Ventilation System
KR20130026186A (en) * 2011-09-05 2013-03-13 심용섭 Ventilation system for windows without heat lo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4590A1 (en) 2006-03-31 2007-10-11 Dong Kyu Kim Ventilating system
KR100787920B1 (en) * 2006-12-18 2007-12-24 강소기 Structure to set up inhalation-exhaust duct for movable recovery ventilation and movable recovery ventilation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973A (en)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186B1 (en) Natural ventilating device for building
JP2008032347A (en) Wind direction control mechanism for air outlet and ductless ventilating system
JP2005003345A (en) Ventilation-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052348B1 (en) Vantilation
KR101251221B1 (en) Window ventilation system
JP2007100437A (en) Double window ventilation system
KR102655122B1 (en) Existing house ventilation system using windows
KR20210064778A (en) Air conditioner and piping instal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KR100893073B1 (en) Bathroom ventilating system combined with funcion of ventilating a balcony
KR200442779Y1 (en) Repeater having multi function
JP2555186B2 (en) Heat exchange ventilation equipment
KR102419435B1 (en) Duct module having heat recovery function
KR102654976B1 (en) Ventilation apparatus for window
KR100598130B1 (en) Filtering ventilation system
KR101167864B1 (en) The suction and exhaust device for circulation of indoor air
KR100506405B1 (en) Ventilation Apparatus Using Heat Exchange by Double Duct
KR200391419Y1 (en) Natural ventilating device for building
KR100670668B1 (en) Supply system of air
RU91412U1 (en) VENTILATION UNIT
JP2006023065A (en) Ventilation function-equipped air conditioner, ventilation device for ventilation function-equipped air conditioner and ventilation method for ventilation function-equipped air conditioner
JP2020148386A (en) Pressure heat exchange ventilation type building
KR200419410Y1 (en) Ventilation system using replacement of duct by ceiling space
KR102563224B1 (en) Ventilation cap used in heat recovery ventilator
KR102235582B1 (en) Ventilation
JP4432561B2 (en) Residential venti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