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037B1 - Built-in seasoning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Built-in seasoning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037B1
KR102655037B1 KR1020210109830A KR20210109830A KR102655037B1 KR 102655037 B1 KR102655037 B1 KR 102655037B1 KR 1020210109830 A KR1020210109830 A KR 1020210109830A KR 20210109830 A KR20210109830 A KR 20210109830A KR 102655037 B1 KR102655037 B1 KR 102655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storage space
disposed
storage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7718A (en
Inventor
주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컬그룹
주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컬그룹, 주영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컬그룹
Priority to KR102021010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037B1/en
Publication of KR2023002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7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0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의 주방에 내장된 형태로 배치되어 요리에 사용되는 다양한 양념(조미료)을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양념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청결한 주방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요리를 하는 과정에서 양념을 꺼내거나 다시 수납할 때 허리를 굽히는 동작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이를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전면에 마련되는 커버를 포함한 바디; 양념보관함 또는 양념병이 수납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트레이와,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트레이를 포함한 수납모듈; 상기 상부트레이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저장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모듈; 및 상기 커버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수단과 상기 냉장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트레이는, 양념보관함 또는 양념병이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바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built-in type refrigerator that can store various seasonings (seasonings) used in cooking and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stored seasoning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that can provide a clean kitchen environment and, in particular, can reduce user fatigue by minimizing bending motions when taking out or putting back seasoning during cooking.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 a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inside, an entrance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and the outside, a partition plate dividing the storage space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a cover provided on the front; A storage module that stores a seasoning box or seasoning bottle and includes an upper tray disposed at the top of the storage space and a lower tray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Elevating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tray; A refrigeration module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storage space; and a control module disposed on the cov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ans and the refrigeration module, wherein the upper tray includes a storage portion for storing a seasoning box or a seasoning bottle, and a storage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rranged support body.

Description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Built-in seasoning refrigerator}Built-in seasoning refrigerator {Built-in seasoning refrigerator}

본 발명은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의 주방에 내장된 형태로 배치되어 요리에 사용되는 다양한 양념(조미료)을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양념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청결한 주방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요리를 하는 과정에서 양념을 꺼내거나 다시 수납할 때 허리를 굽히는 동작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built-in type refrigerator that can store various seasonings (seasonings) used in cooking and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stored seasonings. This relates to a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that can provide a clean kitchen environment and, in particular, can reduce user fatigue by minimizing the bending motion when taking out or putting back seasoning during the cooking process.

양념(조미료)은 음식 재료를 조리하는데 다양한 맛을 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마늘, 간장, 된장, 고추장, 후추, 소금, 설탕뿐만 아니라 천연조미료 등이 있고 이러한 양념은 음식 재료 또는 조리방법에 따라 다양한 양념이 사용된다.Seasoning (seasoning) is used to create various flavors when cooking food ingredients. It includes garlic, soy sauce,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pepper, salt, sugar, as well as natural seasonings. These seasonings vary depending on the food ingredients or cooking method. Seasoning is used.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양념은 소량씩 소분하여 보관한 양념보관함을 주방의 조리대 상면에 배치하여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낮은 양념은 주방의 수납장에 보관한 후 필요할 때마다 꺼내서 사용한 후 다시 수납한다.In a typical home, frequently used seasonings are stored in small quantities in a spice storage box placed on the kitchen counter top, while less frequently used seasonings are stored in a kitchen cabinet and taken out and used whenever needed and then stored again. do.

그러나 양념이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되는 경우 쉽게 변질되거나 심한 경우 섞어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주방 조리대에 양념보관함이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조리대를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이 좁아지고, 조리대가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seasoning is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easily deteriorates or, in severe cases, cannot be mixed and used, and when the seasoning storage box is placed on the kitchen counter, the area where the user can use the counter is narrowed, and the counter is easily contaminated.

또한 종래 주방의 수납장에 보관되는 양념의 경우 조리대의 상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 또는 하방에 구비되는 수납장에 보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팔을 높이 들어 양념을 꺼내거나 허리를 굽혀서 양념을 꺼내거나 보관해야 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easonings stored in conventional kitchen cabinets, they are stored in cabinets located relatively above or below the top surface of the kitchen counter, so the user has to raise his arm high to take out the seasoning or bend down to take out or store the seasoning.

이때 팔을 들거나 허리를 굽히는 동작은 사용자 즉, 요리를 하는 당사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노약자나 허리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는 양념보관함을 집거나 올리는 과정에서 통증이 발생하고, 실수로 양념보관함 또는 양념병을 바닥에 떨어뜨려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lifting the arm or bending the waist increases the fatigue of the user, that is, the person cooking, and for the elderly or patients with back problems, pain occurs in the process of picking up or lifting the seasoning storage box, and accidentally seasoning is caused. There was a problem with storage boxes or seasoning bottles being damaged when dropped on the floor.

또한 종래에는 양념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는 경우가 있는데, 냉장고에 보관하는 양념을 사용한 후 다시 보관하는 과정에서 양념보관함 또는 양념병의 외주면에 흘러 내리거나 묻어 있는 양념이 냉장고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seasonings are sometimes stored in the refrigerator to maintain their freshness.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seasoning stored in the refrigerator again after use, the seasoning that spills or remai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soning box or seasoning bottle can contaminat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Of course,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bad odor.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8022호(2018.09.14., 공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폴딩 도어를 가지는 양념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A prior art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08022 (published on September 14, 2018), which relates to a ‘seasoning refrigerator with a folding door.’

그리고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250호(2014.01.21., 공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냉장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양념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Another prior art is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3250 (published on January 21, 2014), which relates to ‘a seasoning cabinet for a sink with a refrigeration function.’

특히 상기 종래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250호는 싱크대용 양념 수납장을 제공하되, 내부에 양념이 저장되는 공간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는 몸체와, 독립된 다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한 것으로, 이송수단을 통해 수납부를 승강시키면서 양념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among the above-described prior technologies,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3250 provides a seasoning cabinet for a sink, which has a space for storing seasoning inside, a body with open upper and lower sections, and a plurality of independent storage spaces. It includes a storage unit and a transfer means for raising or lowering the storage unit, and is configured to use the seasoning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transfer unit.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수납부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수납부의 상승시 필요한 공간이 몸체의 상방에 구비되어야 하고, 조리대의 상면에서 많은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공간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리대 상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몸체의 크기를 줄이게 되면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양념의 개수도 줄어들고, 나아가 병이나 용기에 저장된 양념을 소분해야만 저장할 수 있어 양념병 자체와 여기에서 양념을 소분한 것을 각각 보관하여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오히려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raise the storage unit, the space required for raising the storage unit must be provided above the body, and since it occupies a large are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itchen counter, there is a problem of low space utilization. In addition, if the size of the body is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area occupied on the counter top, the number of seasonings that can be stored inside also decreases. Furthermore, the seasoning stored in the bottle or container can only be stored by dividing it into small portions, so the seasoning bottle itself and the seasonings divided there are separat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pace required for storage actually increas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8022호(2018.09.14.,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08022 (2018.09.14, publish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250호(2014.01.21., 공개)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3250 (2014.01.21., publish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주방에 구성된 싱크대에 매립된 형태로 배치되어 조리대의 활용도를 유지할 수 있고, 수납된 양념의 신선도를 보장할 수 있어 장시간 양념의 사용이 가능한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placed in a form embedded in a sink configured in the kitchen to maintain the usability of the kitchen counter and ensure the freshness of the stored seasoning,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seasoning for a long ti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양념을 꺼내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허리를 굽히는 것을 최소화하여 피로도를 낮출 수 있고, 노약자나 허리 질환이 있는 환자도 양념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that can reduce fatigue by minimizing the user's bending of the waist while taking out or storing seasoning, and does not cause pain in the process of using seasoning even for the elderly or patients with back problems.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병 또는 용기에 저장된 양념을 보관하되, 병 또는 용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클립이 구비되어 이동과정에서 병 또는 용기가 쓰러지거나 상호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다양한 형태 및 직경을 갖는 병 또는 용기를 보관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seasoning stored in a bottle or container, and is provided with a clip that can safely store the bottle or container. This solves the problem of bottles or containers being damaged by falling or colliding with each other during the movement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allows various shapes and diameter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that is highly usable as it can store bottles or container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전면에 마련되는 커버를 포함한 바디; 양념보관함 또는 양념병이 수납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트레이와,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트레이를 포함한 수납모듈; 상기 상부트레이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저장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모듈; 및 상기 커버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수단과 상기 냉장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트레이는, 양념보관함 또는 양념병이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바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space formed inside, an entrance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and the outside, a partition plate dividing the storage space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a cover provided on the front. A body containing; A storage module that stores a seasoning box or seasoning bottle and includes an upper tray disposed at the top of the storage space and a lower tray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Elevating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tray; A refrigeration module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storage space; and a control module disposed on the cov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ans and the refrigeration module, wherein the upper tray includes a storage portion for storing a seasoning box or a seasoning bottle, and a storage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rranged support body.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구획판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바텀바디와, 상기 다수 개의 바텀바디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되, 상호 출입 가능한 다단으로 구성된 승강로드와, 상기 지지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가 출입하는 출입공과, 상기 승강로드의 선단부와 상기 출입공의 천정을 연결하는 결합볼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bottom bodies arranged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on the partition plate, an elevating ro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ottom bodies and composed of multiple stages that are mutually accessible, and the suppor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entrance hole formed in the body through which the lifting rod enters and exits, and a coupling bolt connecting the front end of the lifting rod and the ceiling of the entrance hole.

이때 상기 승강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레그와, 상기 상부트레이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레그의 길이 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고정지그와, 상기 구획판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레그의 길이 방향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고정지그와, 상기 하부고정지그를 구획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에 배치되며 인입된 상기 하부고정지그를 탄성 가압하는 지지패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ifting means includes a pair of support leg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to intersect each other, an upper fixing jig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tray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le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wer fixing jig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artition plat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leg, a moving rail supporting the lower fixing jig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plate; It is disposed on the moving rail and includes a support pad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inserted lower fixing jig.

또한 상기 승강수단에는,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로드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체와, 상기 상부트레이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means includes a lifting drive unit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a power transmission unit connecting the lifting drive unit and the lifting rod, and a sensor that detects the height of the upper tray.

또한 상기 하부트레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클립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다수 개의 클립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 인접한 타 클립과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lower tray, a plurality of clips are arranged to be independently rotatable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clips are arranged to be independently rotatabl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when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ther adjacent clip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양한 양념의 관리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주방에 구비된 싱크대에 매립된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조리대의 활용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고,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mproves the convenience of managing and using various seasonings, and further maximizes the usable area of the kitchen counter by being placed in a buried form in a sink provided in the kitchen.

사용자의 허리 굽힘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낮추어 건강 유지는 물론 허리 질환이 있는 사용자에게도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By minimizing the bending of the user's back, it can reduce user fatigue, maintain health, and provide high convenience to users with back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 및 직경을 가지는 양념병 또는 용기를 안전하게 보관함은 물론 바디의 이동 과정에서 상호 부딪히거나 일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에 대한 염려를 줄일 수 있고,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afely stores seasoning bottles or containers of various shapes and diameters, but also prevents them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or falling to one side during the movement of the body, thereby reducing concerns about damage.

냉장모듈에서 제공되는 냉기를 통해 보관된 양념의 신선도를 유지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나아가 신규 설치는 물론 기존 주방 싱크대에도 적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the stored seasoning through the cold air provided by the refrigeration module. Furthermor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highly economical as it can be applied to existing kitchen sinks as well as new installations.

또한 본 발명은 양념만을 별도로 보관하면서도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고, 양념이 내부를 오염시키더라도 세척이 용이하여 악취 발생의 원인 제거가 용이함은 물론 주방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fresh state while storing only the seasoning separately, and even if the seasoning contaminates the interior, it is easy to clean, making it easy to remove the cause of bad odor and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kitch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가 주방 수납장에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의 일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승강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승강수단에서 승강구동부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승강수단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bedded in a kitchen cabinet.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artially disassembled state of the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lift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lifting unit is provided in the lift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ft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purpos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purposes will be clearly revealed through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양념 냉장고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양념 냉장고(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공간(11)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11)과 외부를 연통하는 출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11)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구획판(13)과 전면에 마련되는 커버(14)를 포함한 바디(10)와, 양념보관함 또는 양념병이 수납되며, 상기 저장공간(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트레이(21)와, 상기 저장공간(1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트레이(22)를 포함한 수납모듈(20)과, 상기 상부트레이(2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수단(30)과, 상기 저장공간(11)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모듈(40) 및 상기 커버(14)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수단(30)과 상기 냉장모듈(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50)을 포함한다.First, the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has a storage space 11 formed inside, and an entrance 12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11 and the outside. ) is formed, a body 10 including a partition plate 13 dividing the storage space 11 into an upper and lower part and a cover 14 provided on the front, and a seasoning storage box or seasoning bottle ar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 storage module 20 including an upper tray 21 disposed at the top of the space 11 and a lower tray 22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1, and the location of the upper tray 21. It is disposed on the elevating means 30 for adjustment, the refrigeration module 40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storage space 11, and the cover 14, and includes the elevating means 30 and the refrigeration module 40. Includes a control module 50 that controls operation.

먼저 상기 바디(10)는 싱크대에서 출입 가능하게 매립되는 것으로, 다수 개의 각관을 상호 연결하여 사각의 틀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내부에 저장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11)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출입구(12)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구획판(13)이 배치된다.First, the body 10 is embedded in the sink so that it can be accessed,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frame by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square pipes. A storage space 11 is formed inside, and the storage space 11 and An entrance 12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and a partition plate 13 is disposed to divide the storage space into upper and lower parts.

그리고 상기 바디(10)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11)을 형성하는 일측의 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41)가 구비된 커버(14)가 결합된다.Additionally, a cover 14 provided with a handle 141 for the user to hold while providing a wall on one side forming the storage space 11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바디(10)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의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되, 길이 및 높이는 바디(10)가 매립되는 싱크대에 대응하여 조절된다.Here, the body 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enclosur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length and height ar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sink in which the body 10 is embedded.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11)과 외부를 연통하는 출입구(12)는 상기 저장공간(11)의 상방 또는 측방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어 양념을 소분하여 보관한 양념보관함 또는 양념병을 원하는 방향에서 꺼내거나 넣을 수 있도록 한다.And the entrance 12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11 and the outside is formed above, on the side, or both of the storage space 11, so that the seasoning storage box or seasoning bottle in which the seasoning is divided and stored can be taken out or inserted from a desired direction. make it possible

상기 구획판(13)은 상기 저장공간(11)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구획판(13)을 통해 저장공간(11)을 구획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사용 빈도가 높은 양념보관함은 사용자가 꺼내기 용이한 상부에 보관하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사용 빈도가 낮고 무게가 무거운 양념병은 하부에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The partition plate 13 is for dividing the storage space 11 into upper and lower parts. The storage space 11 is partitioned through the partition plate 13 to store seasonings that are relatively small in size and frequently used. It is stored in the upper part where it is easy for the user to take out, and seasoning bottles that are relatively large in size, used less frequently and are heavy in weight are stored in the lower part.

또한 상기 구획판(13)은 후술하는 승강수단(30)의 구성 중 일부가 배치되는 것으로, 배치된 구성의 하중을 지지하고 나아가 승강하는 상부트레이(21)의 승강 압력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획판(13)은 강도(剛度)가 높으면서도 부식의 염려가 적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partition plate 13 is a part of the lifting means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upports the load of the placed structure and further supports the lifting pressure of the upper tray 21 that is lifted. For this purpose, the partition plate 13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has high strength and is less likely to corrode, but is of course not limited thereto.

상기 커버(14)는 상기 저장공간(11)의 일측벽을 형성하도록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노출된 일면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41)가 구비된다.The cover 14 is mad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to form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space 11,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141 for the user to hold on on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커버(14)에는 후술하는 승강수단(30)의 승강구동부(310)와 냉장모듈(40)의 동작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50)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모듈(50)에 의해 동작하는 승강구동부(310) 및 냉장모듈(40)의 동작 상태,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11)의 온도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51) 및 조작패널(도면 중 미도시됨)이 더 구비된다.And on the cover 14, a control module 50 is dispo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drive unit 310 and the refrigeration module 40 of the elevating means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operated by the control module 50. A display 51 and an operation panel (not shown in the drawing) are further provided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fting unit 310 and the refrigeration module 40,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space 11.

한편, 상기 바디(10)의 하단부에는 싱크대에 구비된 안내레일(도면 중 미도시됨)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캐스터(도면 중 미도시됨)이 더 구비되어 싱크대에서 출입시 전후 및 좌우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한다.Meanwhile,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aster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movably disposed on a guide rail (not shown in the drawing) provided in the sink, so that it can be moved horizontally forward an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sink. move while maintaining

상기 수납모듈(20)은 상기 저장공간(11)에 배치되며 양념보관함 또는 양념병이 수납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구획판(13)에 의해 구획된 저장공간(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와 가벼운 무게를 갖는 양념보관함(B1)이 수납되는 상부트레이(21)와, 상기 저장공간(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큰 부피와 무거운 무게를 양념병(B2)이 수납되는 하부트레이(22)를 포함한다.The storage module 20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11 and stores a seasoning box or a seasoning bottle. At this time, the storage module 20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11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13 and has a relatively small volume. and an upper tray (21) in which a seasoning storage box (B1) having a light weight is stored, and a lower tray (22)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space (11) in which a seasoning bottle (B2)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heavy weight is stored. ) includes.

상기 상부트레이(21)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고 사용 빈도 많은 양념보관함(B1)이 수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양념보관함이 수납되는 수납부(211)와, 상기 수납부(211)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바디(212)를 포함한다.The upper tray 21 accommodates the seasoning storage box (B1), which is relatively small in volume, light in weight, and frequently used. To this end, it has a storage section 211 in which the seasoning storage box is stored, and the length of the storage section 211. It includes support bodies 212 disposed on both sides of each direction.

이때 상기 수납부(211)를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어느 하나의 공간은 양념보관함(B1)을 수납하고 다른 하나의 공간은 양념병 중에서도 부피가 작은 것 또는 주방에서 사용하는 조리 용품이나 소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211 is divided into two spaces as shown in the drawing, one space stores the seasoning storage box B1, and the other space stores small volume spice bottles or cooking items used in the kitchen. It can be used to store supplies or small items.

상기 지지바디(212)는 상기 수납부(211)의 길이 방향 양측단에 각각 배치되며, 후술하는 승강수단(30)의 일부 구성이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211)와 결합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수단(30)의 수리 및 교체와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높인다.The support body 212 is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art 211, and is a part of the lifting means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part 211 such as a coupling bolt. It is detachably coupled through a mean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work such as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lifting means (30).

그리고 상기 지지바디(212)는 상기 수납부(2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바닥부가 수납부(211)의 바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수납부(211)가 구획판(13)에 근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승강수단(30)의 바텀바디(31)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body 212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hort length compared to the receiving part 211, and the bottom is dispos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compar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art 211, so that the receiving part 211 is partitioned. In a state disposed close to the plate 13, a space is provided in which the bottom body 31 of the lifting means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상기 하부트레이(22)는 상기 구획판(13)에 의해 구획된 저장공간(11)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양념병 또는 용기가 수납된다.The lower tray 22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1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13, and stores relatively heavy and bulky seasoning bottles or containers.

이러한 하부트레이(22)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바닥판(221)과, 상기 바닥판(221)의 테두리에서 수직하게 배치된 측판(222)과, 상기 측판(222)을 연결하는 보강리브(225)를 포함한다.This lower tray 22 includes a bottom plate 221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 side plate 222 disposed perpendicularly at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221, and a reinforcing rib 225 connecting the side plates 222. ) includes.

한편 상기 하부트레이(22)에는 상기 측판(2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클립(223)이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상기 클립(223)은 양념병(B2)이 끼움 결합되어 바디(10)의 이동 과정에서 양념병이 넘어지거나 상호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on the lower tray 22, a plurality of clips 223 are arranged to be rotat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222. The clips 223 are fitted with the seasoning bottle B2 to form a body ( 10) This is to prevent the seasoning bottles from falling over or colliding with each other during the movement process.

이러한 클립(223)은 편평한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양념병(B2)의 외주면이 출입하도록 반원형의 개구부(223a)가 형성되고, 타측단은 상기 측판(222)에 힌지(22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미사용시 측판(222)에 밀착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This clip 223 is mad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semicircular opening 223a is formed on one side to allow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soning bottle B2 to enter and exit,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e through a hinge 224 on the side plate 222. It is coupled tightly and plac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late 222 when not in use.

즉, 상기 클립(223)은 양념병(B2)이 상기 개구부(223a)에 인입되지 않은 경우 측판(222)과 밀착하도록 배치되어 양념병 이외에 주방에서 사용하는 조리용기 또는 소품 등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at is, the clip 223 is arrang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late 222 when the seasoning bottle (B2) is not inserted into the opening 223a, creating a space where cooking containers or accessories used in the kitchen other than the seasoning bottle can be placed. to provide.

한편, 상기 클립(223)은 다수 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인접한 타 클립(223)과 서로 다른 높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Meanwhile, a plurality of the clips 223 are arranged to be rotatable independently and at different heights from other adjacent clips 223.

즉, 상기 클립(223)을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교호(交互)적으로 배치하여 각각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타 클립(223)과 맞닿아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 편의성을 높인다.That is, the clips 223 are alternately arranged to have different heights to prevent each clip 223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and interfering with other adjacent clips 223 during the rotation process, thereby increasing rotation convenience.

그리고 상기 클립(223)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판(222)에 배치되는 가이드봉(226)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클립(223)의 위치를 조절하여 대형의 양념병도 수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lip 223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rod 226 disposed on the side plate 222, and the position of the clip 223 sta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djusted to create a large Condiment bottles can also be stored.

또한, 상기 클립(223)의 일면에는 위치 고정용 자석(223b)이 구비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측판(222)에 자력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sition fixing magnet 223b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lip 223,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side plate 222 through magnetic force when standing vertically.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상부트레이(2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트레이(2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lifting means 30 is us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upper tray 21 and provides convenience of use by raising or lowering the upper tray 21.

이를 위해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구획판(13)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바텀바디(31)와, 상기 다수 개의 바텀바디(31)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되, 상호 출입 가능한 다단으로 구성된 승강로드(32)와, 상기 지지바디(212)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32)가 출입하는 출입공(33)과, 상기 승강로드(32)의 선단부와 상기 출입공(33)의 천정을 연결하는 결합볼트(34)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elevating means 30 includes a plurality of bottom bodies 31 disposed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on the partition plate 13,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ottom bodies 31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ottom bodies 31. , a lifting rod 32 composed of multiple stages that can enter and exit each other, an entrance hole 33 formed in the support body 212 through which the lifting rod 32 enters and exits, and the tip of the lifting rod 32 and the entering and exiting hole 33. It includes a coupling bolt (34) connecting the ceiling of the ball (33).

상기 바텀바디(31)는 상기 구획판(13)의 상면에 배치되되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상부트레이(21)에 구비된 지지바디(212)의 수직으로 하방의 위치에 배치된다.The bottom body 31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13, and a plurality of the bottom bodies 31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located vertically below the support body 212 provided on the upper tray 21. It is placed.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상기 바텀바디(31)가 구획판(13)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구획판(13)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13)의 길이 방향 양단에 한 쌍이 대칭되게 배치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bottom body 31 is shown to be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partition plate 13, but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rtition plate 13. A pair is arranged symmetrically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승강로드(32)는 상기 바텀바디(31)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되 상호 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단의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상기 바텀바디(31)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인출된 봉의 최상단은 상기 지지바디(212)의 천정면에 고정된다.The lifting rod 32 is arranged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body 31 and is made in the form of a multi-stage rod configured to be mutually accessible, and the lower end is the uppermost end of the rod disposed on the bottom body 31 and drawn outward. is fixed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support body 212.

이러한 승강로드(32)는 상부트레이(21)를 상승시킬 때 다단의 봉 중 내측에 배치된 봉이 인출되면서 상승한 상부트레이(21)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이때 인출된 봉은 위치가 고정된 봉과 마찰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This lifting rod 32 supports the raised upper tray 21 from below as the rod disposed on the inside among the multi-stage rods is pulled out when the upper tray 21 is raised, and at this time, the pulled out rod is against the friction force with the rod whose position is fixed. The position is fixed by

한편 상기 승강로드(32)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로드가 출입하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실린더는 제어모듈(50)을 통해 동작이 제어된다.Meanwhile, the lifting rod 32 may be composed of a cylinder through which the rod moves in and out while operating by applied power and signals, and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50.

상기 출입공(33)은 상기 지지바디(212)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32)가 출입하는 것으로, 지지바디(212)의 하단에서 중앙을 향해 요입 형성된다.The entrance hole 33 is formed in the support body 212 through which the lifting rod 32 enters and exits, and is recessed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body 212 toward the center.

그리고 상기 결합볼트(34)는 상기 승강로드(32)의 최상단과 상기 출입공(33)의 천정면을 결합하는 것으로, 승강로드(32)의 일단을 출입공(33)에 고정한다.And the coupling bolt 34 couples the uppermost end of the lifting rod 32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entrance hole 33, and fixes one end of the lifting rod 32 to the entrance hole 33.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승강수단(30)은 상부트레이(21)를 구성하는 지지바디(212)를 승강시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양념보관함(B1)을 상부트레이(21)에서 꺼내거나 넣을 수 있는 것이다.The lifting means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levates the support body 212 constituting the upper tray 21 so that the seasoning storage box B1 can be taken out or placed in the upper tray 21 without the user having to bend his or her waist. .

한편 상기 승강수단(30)은 상승 및 하강 안정성은 물론 상승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레그(35)와, 상기 상부트레이(21)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레그(35)의 길이 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고정지그(36)와, 상기 구획판(13)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레그(35)의 길이 방향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고정지그(37)와, 상기 하부고정지그(37)를 구획판(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레일(38)과, 상기 이동레일(38)에 배치되며 인입된 상기 하부고정지그(37)를 탄성 가압하는 지지패드(39)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lifting means 30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tray 21 and a pair of support legs 35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to intersect each other in order to maintain the raised position as well as raising and lowering stability. and an upper fixing jig (36) to which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leg (35) is rotatably coupled, and an upper fixing jig (36) that i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artition plate (13)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leg (35). A lower fixing jig (37)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fixing jig (37), a moving rail (38) supporting the lower fixing jig (37)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plate (13), and the moving rail (38) It is disposed in and includes a support pad 39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inserted lower fixing jig 37.

상기 한 쌍의 지지레그(35)는 각각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교차된 ‘X’형태로 배치되되,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X’ 형태로 배치된다.Each of the pair of support legs 35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rranged in the shape of an ‘X’ crossed with each other, and one pair is arranged in the shape of an ‘X’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상부고정지그(36)는 상부트레이(21)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레그(35)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고정지그(37)는 구획판(13)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레그(35)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The upper fixing jig 36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tray 21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leg 35, and the lower fixing jig 37 is disposed on the partition plate 13 to support the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leg 35 is rotatably coupled.

상기 하부고정지그(37)는 구획판(13)에 형성된 이동레일(38)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지지레그(35)의 배치 각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레그를 하방에서 지지한다.The lower fixing jig 37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moving rail 38 formed on the partition plate 13, and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upport leg 35, and moves the support leg from below. I support it.

이때 상기 이동레일(38)에는 결합된 하부고정지그(37)를 탄성 가압하는 지지패드(39)가 이동레일(38)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데, 상기 지지패드(39)는 탄성복원력을 가진 실리콘, 고무와 같은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맞닿은 하부고정지그(37)를 탄성 가압한다.At this time, a support pad 39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lower fixing jig 37 coupled to the moving rail 38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rail 38. The support pad 39 h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It is made of soft materials such as silicone and rubber, and elastically pressurizes the lower fixing jig (37) that is in contact.

한편, 상기 승강수단(3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모듈(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승강구동부(310)와, 상기 승강구동부(310)와 상기 승강로드(32)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체(311)와, 상기 상부트레이(21)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312)가 구비된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lifting means 30, the lifting drive unit 310, the operation of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50, and the power connecting the lifting drive unit 310 and the lifting rod 32 A transmitter 311 and a sensor 312 that detects the height of the upper tray 21 are provided.

상기 승강구동부(310)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체(311)는 상기 실린더에 배치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로드로 구성되어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로드가 인출되면서 상부트레이(2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The lifting drive unit 310 is composed of a cylinder that operates by applied power and signals, and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11 is composed of a rod that is placed in the cylinder and is drawn in or out. The rod is pulled out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and the upper Raise or lower the tray 21.

상기 센서(312)는 상기 상부트레이(21)의 높이를 감지하여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여 승강수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보관된 양념보관함(B1)이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ensor 312 detects the height of the upper tray 21 and prevents the lifting means from being damaged by rising above a certain height and further prevents the stored seasoning storage box B1 from falling to the outside.

이러한 센서(312)는 공지의 위치감지센서이며 감지한 감지값은 제어모듈(50)로 전달되어 저장된 기준값에 대비하여 상부트레이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센서와 제어모듈의 동작 관계 및 구조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is sensor 312 is a known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detect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50 to detect the height of the upper tray compared to the stored reference value.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and structure of this sensor and the control module are known.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냉장모듈(40)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저장공간(11)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냉매가 이동하는 냉각관으로 구성되거나 펠티에소자를 이용한 냉각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The refrigeration module 40 supplies cold air to the storage space 11 while operating by applied power and signals, and may be composed of a cooling pip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moves or a cooling plate using a Peltier ele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as it is a known technology.

상기 제어모듈(50)은 상기 커버(14)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수단(30)과 상기 냉장모듈(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14)에 구비된 디스플레이(51)와, 승강수단(30)과 냉장모듈(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312)에서 전달된 감지값을 확인하여 상부트레이(21)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이러한 제어모듈(50)의 동작 관계 및 구조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trol module 50 is disposed on the cover 14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ans 30 and the refrigeration module 40, and includes a display 51 provided on the cover 14,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eans 30 and the refrigeration module 40, and detects the height of the upper tray 21 in real time by checking the detection value transmitted from the sensor 312. Since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and structure of the control module 50 are well known,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as well as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is patent claim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
10 : 바디
11 : 저장공간 12 : 출입구
13 : 구획판 14 : 커버
20 : 수납모듈
21 : 상부트레이 22 : 하부트레이
211 : 수납부 212 : 지지바디
213 : 탑요홈
221 : 바닥판 222 : 측판
223 : 클립 224 : 힌지
225 : 보강리브 226 : 가이드봉
30 : 승강수단
31 : 바텀바디 32 : 승강로드
33 : 출입공 34 : 결합볼트
35 : 지지레그 36 : 상부고정지그
37 : 하부고정지그 38 : 이동레일
39 : 지지패드 310 : 승강구동부
311 : 동력전달체 312 : 센서
40 : 냉장모듈
50 : 제어모듈
1: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10: body
11: storage space 12: entrance
13: partition plate 14: cover
20: Storage module
21: upper tray 22: lower tray
211: storage unit 212: support body
213 : Top Yo Home
221: bottom plate 222: side plate
223: Clip 224: Hinge
225: Reinforcement rib 226: Guide rod
30: lifting means
31: Bottom body 32: Elevating rod
33: entrance hole 34: coupling bolt
35: support leg 36: upper fixing jig
37: Lower fixing jig 38: Moving rail
39: support pad 310: eastern part of elevator shaft
311: Power transmission body 312: Sensor
40: Refrigeration module
50: Control module

Claims (5)

내부에 저장공간(11)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11)과 외부를 연결하는 출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11)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구획판(13)과 전면에 마련되는 커버(14)를 포함한 바디(10);
양념보관함 또는 양념병이 수납되며, 상기 저장공간(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트레이(21)와, 상기 저장공간(1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트레이(22)를 포함한 수납모듈(20);
상기 상부트레이(2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수단(30);
상기 저장공간(11)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모듈(40); 및
상기 커버(14)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수단(30)과 상기 냉장모듈(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5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트레이(21)는,
양념보관함 또는 양념병이 수납되는 수납부(211)와,
상기 수납부(211)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바디(212)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구획판(13)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바텀바디(31)와,
상기 다수 개의 바텀바디(31)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되, 상호 출입 가능한 다단으로 구성된 승강로드(32)와,
상기 지지바디(212)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32)가 출입하는 출입공(33)과,
상기 승강로드(32)의 선단부와 상기 출입공(33)의 천정을 연결하는 결합볼트(3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
A storage space 11 is formed inside, an entrance 12 connecting the storage space 11 and the outside is formed, a partition plate 13 dividing the storage space 11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a front panel are provided. A body 10 including a cover 14 provided therein;
A storage module 20 that stores a seasoning box or a seasoning bottle and includes an upper tray 21 disposed at the top of the storage space 11 and a lower tray 22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1;
Elevating means (3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tray (21);
A refrigeration module (40)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storage space (11); and
A control module 50 disposed on the cover 14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ans 30 and the refrigeration module 40,
The upper tray 21 is,
A storage unit 211 where a seasoning storage box or seasoning bottle is stored,
It includes a support body 21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fting means 30 is,
A plurality of bottom bodies 31 arranged at mutually spaced apart positions on the partition plate 13,
A lifting rod 32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ottom bodies 31 and composed of multiple stages that can be entered and exited from each other,
An entrance hole 33 formed in the support body 212 through which the lifting rod 32 enters and exits,
A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upling bolt (34) connecting the tip of the lifting rod (32) and the ceiling of the entrance hole (33).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레그(35)와,
상기 상부트레이(21)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레그(35)의 길이 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고정지그(36)와,
상기 구획판(13)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레그(35)의 길이 방향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고정지그(37)와,
상기 하부고정지그(37)를 구획판(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레일(38)과,
상기 이동레일(38)에 배치되며 인입된 상기 하부고정지그(37)를 탄성 가압하는 지지패드(39)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fting means (30) is:
A pair of support legs (35)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to intersect each other,
An upper fixing jig (36)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tray (21)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leg (35),
A lower fixing jig (37) arrang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artition plate (13)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support leg (35),
A moving rail (38) supporting the lower fixing jig (37)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plate (13),
A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upport pad (39) disposed on the moving rail (38)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inserted lower fixing jig (37).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2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클립(223)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다수 개의 클립(22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 인접한 타 클립(223)과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tray (22) includes:
A plurality of clips 223 are arranged to be independently rotatable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e plurality of clips 223 are arranged to be independently rotatable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 built-in type seasoning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lac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other adjacent clips (223) when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KR1020210109830A 2021-08-20 2021-08-20 Built-in seasoning refrigerator KR1026550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830A KR102655037B1 (en) 2021-08-20 2021-08-20 Built-in seasoning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830A KR102655037B1 (en) 2021-08-20 2021-08-20 Built-in seasoning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718A KR20230027718A (en) 2023-02-28
KR102655037B1 true KR102655037B1 (en) 2024-04-05

Family

ID=8532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830A KR102655037B1 (en) 2021-08-20 2021-08-20 Built-in seasoning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03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623Y1 (en) 2000-07-15 2001-01-15 한문기 Vertical drawer of container for keeping condiments and kitchen tools
KR101649076B1 (en) 2015-05-11 2016-08-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Self of refrigerator
KR102293702B1 (en) 2021-02-01 2021-08-26 최정우 Easy-to-use refrigerator of drawer typ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961Y1 (en) * 1988-07-05 1991-06-08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a main button cover of a controlling panel
JPH06245829A (en) * 1993-02-23 1994-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Up and down device for a drawer of storage box
JPH09154647A (en) * 1995-12-05 1997-06-17 Sekisui Chem Co Ltd Kitchen cabinet
KR20060031113A (en)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ith food lifting apparatus
KR200473250Y1 (en) 2012-07-11 2014-06-25 박삼권 Spice cabinet with cold storage capability
KR101750232B1 (en) * 2015-10-19 2017-06-23 박미경 Seasoning refrigerator with freezer room
KR101908022B1 (en) 2017-03-06 2018-10-15 주식회사 정지시스템 Spice refrigerator with folding do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623Y1 (en) 2000-07-15 2001-01-15 한문기 Vertical drawer of container for keeping condiments and kitchen tools
KR101649076B1 (en) 2015-05-11 2016-08-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Self of refrigerator
KR102293702B1 (en) 2021-02-01 2021-08-26 최정우 Easy-to-use refrigerator of drawer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718A (en)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905B1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O2007054132A1 (en) Table and cooling unit combination with liftable, cooling goods containing box
US20070199334A1 (en) Apparatus for elevating the interior contents of a refrigeration unit
AU2010247644A1 (en) Item of furniture
JP2010183981A (en) Storage cabinet
TWI488600B (en) Storage box
US20110156564A1 (en) Space efficient multi-function kitchen appliance
KR102655037B1 (en) Built-in seasoning refrigerator
CN113272611B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KR101748414B1 (en) Height adjustable storage funiture using an empty space
CN207613446U (en) A kind of Telescopic cabinet
US20150130343A1 (en) Cooling appliance with interior lift
JPH07313262A (en) Dining table with refrigerator
CN209575325U (en) A kind of adjustable Aseptic sterilisation cabinet
CN211584442U (en) Disinfection device
KR200414468Y1 (en) Cupboard
CN207291818U (en) A kind of caravan combination sideboard sofa and caravan
KR101333085B1 (en) Versatile kitchen furniture
KR200442769Y1 (en) Multipurpose shelf of kimchi refrigerator
JP2001299478A (en) Cooking utensil elevating device
US2996151A (en) Dumb waiter
CN211559345U (en) Disinfection type kitchen ware storage cabinet
JP3145753U (en) Cooking table unit
CN217575253U (en) Height-adjustable mute trolley for kitchen
CN216985756U (en) Table type disinfection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