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834B1 - Water defence device for window - Google Patents

Water defence device for wind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834B1
KR102654834B1 KR1020230099954A KR20230099954A KR102654834B1 KR 102654834 B1 KR102654834 B1 KR 102654834B1 KR 1020230099954 A KR1020230099954 A KR 1020230099954A KR 20230099954 A KR20230099954 A KR 20230099954A KR 102654834 B1 KR102654834 B1 KR 10265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ndow
support frame
front pl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9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두영
진정식
Original Assignee
(주)한국알앤디
에이아이지하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알앤디, 에이아이지하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한국알앤디
Priority to KR102023009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8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834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창문과 방범창의 변경 없이도 창틀 프레임의 외측 단에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창문용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 프레임의 저면과 양 측면의 일정 높이만큼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저면부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배면 둘레가 상기 실링 부재와 압착되어 수밀을 이루도록 하는 차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blocking device for windows that can be simply and quickly installed on the outer edge of a window frame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windows and security windows. A support frame is fixedly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 A sealing member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an order plate that is installed to be retrac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rotatable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and whose back circumference is pressed against the sealing member in a vertical state to make it watertight. It consists of:

Description

창문용 차수장치{Water defence device for window}Water defense device for window

본 발명은 창문용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는 창틀 프레임에 이미 설치된 창문이나 방범창 등의 구조 변경 없이도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한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blocking device for windows, and more specifically, to a water block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window frame located close to the ground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a window or security window already installed.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상가, 오피스텔 등의 건축물 외벽에는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면서도 외부의 조망 및 채광을 위한 창문이 다수 형성된다.In general, many windows are formed on the exterior walls of buildings such as houses, apartments, shopping malls, and officetels to ventilate indoor air and provide a view of the outside and lighting.

이러한 창문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태의 미닫이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미닫이는 사각틀 형상의 창틀 프레임 내측에 두 짝의 창문이 삽입되어 있는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창문의 양 측단에는 대향되는 잠금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For these windows, the most widely used type of sliding door is mainly used. These sliding doors have two pairs of windows inserted inside a square-shaped window frame, and opposing locking device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se windows. It is equipped.

그런데, 창문은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는 통로가 되기도 하므로, 하절기 등에 창문을 열어 개방하게 되면, 개방된 창문을 통해 외부인의 침입이 용이해지므로 도난 및 강도사고 등이 발생될 우려가 있게 된다.However, since windows are also a passage connecting the indoors and outdoors, if the windows are opened during the summer, etc., it is easy for outsiders to break in through the open windows, raising the risk of theft and robbery.

따라서, 층고가 높지 않거나 지면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는 창틀 프레임에는 창문과 별도로 방범창이 설치되고 있다.Therefore, security windows ar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windows in window frames where the floor height is not high or close to the ground.

방범창은 다수의 세로대 및 링크로 된 절첩식 방범창과, 절곡관을 교차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 형성한 그물형태의 고정식 방범창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Security windows are mainly used as folding security windows made of multiple vertical bars and links, and fixed security windows in the form of a net formed by continuously connecting bent pipes in the cross direction.

한편, 상습 침수지역인 저지대의 경우 밀집된 주택가 또는 지하지하주택 및 지하상가, 공장 등과 같은 곳에서 매년 장마철이면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우려되어 불안한 생활을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in low-lying areas that are prone to flooding, dense residential areas, underground houses, underground shopping malls, factories, etc. are experiencing flood damage due to heavy rain every year during the rainy season, leading to an unstable life.

또한, 지선도로는 지역주민의 일상생활에 밀착된 도로로서, 도시 내에 있어서는 구획도로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지선도로는 대개 도로의 폭이 좁고 지역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집중호우가 발생하게 되면 여름철 홍수기인 7,8월경에 주간선도로에서 유입된 빗물에 의해서 습관적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여 많은 재산피해나 인명피해를 야기하고 있다.In addition, feeder roads are roads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ves of local residents, and are also called section roads within a city. Since these feeder roads are usually narrow and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ves of local residents, when heavy rain occurs, flooding damage occurs habitually due to rainwater flowing in from the main road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around July and August. It is causing a lot of property damage and casualties.

특히, 한국의 기후 특성 상 여름철 홍수기에 집중적인 호우가 쏟아져 많은 침수피해를 주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대규모의 택지조성, 도로건설 등과 같이 치밀한 도시계획 없이 개발된 시가지화 증대 등으로 물의 집중현상이 크게 변화되어 예상되지 않았던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저지대의 주택가 밀집지역이나 지선도로와 인접되어 있는 지역의 주민들은 침수피해를 조기에 방지하기 위한 방편의 일환으로 건물 출입구에 차수장치를 설치하고 있다.In particula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climate, heavy rain falls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causing a lot of flooding damage. In recent years, the concentration of water has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increase in urbanization developed without detailed urban planning, such as large-scale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and road construction. There is a risk that unexpected damage may occur due to changes, so as a precautionary measure, residents in low-lying residential areas or areas adjacent to feeder roads are advised to install water barriers at building entrances as a way to prevent flood damage at an early stage. is installing.

그러나, 저지대 지역, 반지하 세대 또는 경사로 등에 건축된 건물의 경우 출입문뿐만 아니라 창문을 통해서도 빈번하게 침수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창문에 설치하기 적합한 차수장치의 개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buildings built in low-lying areas, semi-basements, or on ramps, it is reported that flooding occurs frequently not only through the doors but also through the windows. However, to date, there has been little development of water blocking devices suitable for installation on windows. .

또한, 종래에 제공되는 창문형 차수장치의 경우, 창틀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됨으로 인해, 창문의 제 기능(환기 등)을 저해하게 되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window-type water blocking devices provided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oper function of the window (ventilation, etc.) is impaired due to being fixedly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한국등록특허 제10-1173259호(2012.08.06.)Korean Patent No. 10-1173259 (2012.08.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창틀 프레임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창문 및/또는 방범창의 구조는 변경하지 않으면서, 창틀 프레임의 외측에 간단히 착탈 식으로 설치하되, 수밀성이 우수하여 호우 시에 창문을 통해 우수 등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시킬 수 있는 창문용 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with an eye on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window and/or security window already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It provides a water blocking device for windows that can be simply installed in a detachable manner, but has excellent watertightness and can completely block the inflow of rainwater, etc. through the window during heavy rain.

특히,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집중 호우에 따른 침수피해의 우려가 크지 않은 경우, 간단히 탈거하여 통풍에 의한 환기를 저해하지 않도록 하고, 집중 호우에 따른 침수피해의 우려가 큰 경우에만 간단하게 설치하여 침수피해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창문용 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simply remove it so that ventilation is not impeded by ventilation in cases where there is a small risk of flooding damage due to torrential rain, and in cases where there is a high risk of flooding damage due to torrential rain. The goal is to provide a water blocking device for windows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to eliminate concerns about flood damag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창틀 프레임 일 측에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 수위감지센서가 물이 설정수위만큼 차오른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실내 거주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하여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창문용 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install a water level sensor on one side of the window frame, and when this water level sensor detects that the water has risen to the set level, it promptly notifies the indoor occupants. By enabling evacuation, we provide a water blocking device for windows that can eliminate concerns about safety accident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차수장치는, 창문 또는 방범창이 설치된 창틀 프레임의 외측 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창틀 프레임의 저면과 양 측면의 일정 높이만큼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저면부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배면 둘레가 상기 실링 부재와 압착되어 수밀을 이루도록 하는 차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water blocking device for wind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is installed on the outer end of a window or a window frame on which a security window is installed, and is fixedly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frame; A sealing member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an order plate that is installed to be retrac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rotatable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and whose back circumference is pressed against the sealing member in a vertical state to make it watertight. It may be composed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여기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창틀 프레임의 저면 외측 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양 측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로 구성되되, 상기 저면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선단 및 후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을 이루어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 전면판 및 제1 후면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전면판과 제1 후면판 사이에 제1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선단 및 후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을 이루어 일정 폭만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 전면판 및 제2 후면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전면판과 제2 후면판 사이에 제2 삽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frame is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fixed to the outer bottom edge of the window frame and a pair of side portions installed to be connect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wherein the bottom portion is a bottom plate. and a first front plate and a first rear plate extending at a certain heigh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ttom plate, and a first insertion space between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first rear plate. is formed, and the side portion is composed of a side plate, a second front plate and a second rear plate formed to extend by a certain wid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ide plate, the second front plate and A second inser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rear plates.

이 때, 상기 측면부의 측면판 폭은 상기 저면부의 바닥판 폭보다 커서, 상기 측면부의 제2 전면판이 상기 저면부의 제1 전면판보다 전방 쪽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전면판과 제1 전면판 사이에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side plate of the side por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of the bottom portion, so that the second front plate of the side portion is located forward of the first front plate of the bottom portion, between the second front plate and the first front plate. A separation space may be formed at a certain interval.

또한, 상기 측면부의 제2 전면판 폭에 비하여 상기 제2 후면판의 폭이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제2 후면판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dth of the second back plate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front plate of the side portion, and the sealing member may be fixedly installed to the second back plate.

한편, 상기 차수 플레이트의 양 측에는 잠금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차수 플레이트가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쇠가 상기 이격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차수 플레이트의 수직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Meanwhile, locking membe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order plate, and when the order plate is vertical, the lock of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thereby maintaining the vertical state of the order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차수장치는, 창틀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창틀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알람부 및,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알람부에 알람 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blocking device for wind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an alarm unit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window frame, and a signal received from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at a set value. If this is the cas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alarm generation signal to the alarm unit.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차수장치에 의하면, 창틀 프레임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창문 및/또는 방범창의 구조는 변경하지 않으면서, 창틀 프레임의 외측에 간단히 착탈 식으로 설치되되, 수밀성이 우수하여 호우 시에 창문을 통해 우수 등의 유입이 완벽히 차단됨으로써, 침수에 따른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blocking device for wind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imply installed in a detachable manner on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window and/or security window already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and has excellent watertightness. By completely blocking the inflow of rainwater through windows during heavy rain,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due to flooding can be provid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차수장치에 의하면, 집중 호우에 따른 침수피해의 우려가 크지 않은 경우, 간단히 탈거하여 통풍에 의한 환기를 저해하지 않게 되고, 집중 호우에 따른 침수피해의 우려가 큰 경우에는 간단하게 설치하여 침수피해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water blocking device for wind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isk of flooding damage due to torrential rain is not significant, it can be easily removed to prevent ventilation from being impeded, and there is no risk of flooding damage due to torrential rain. In cases where is large, simple installation can provide the effect of eliminating concerns about flood da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차수장치에 의하면, 프레임 일 측에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이 수위감지센서가 물이 설정수위만큼 차오른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실내 거주자에게 이를 알리게 되어 신속히 대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사고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ater blocking device for wind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level senso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when this water level sensor detects that the water has risen to the set level, it promptly notifies the indoor occupants. Being able to evacuate can also provide the effect of eliminating concerns about safety accidents.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수장치가 창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도 1에서 차수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D-D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wa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indow fram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1.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
Figure 7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ure 7.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hutoff device in Figure 1 in an open state.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ure 9.
Figure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relationship of the water shutof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provid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ambiguous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not excluding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or operations other than the mentioned components, steps and/or operations. Use it a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erspective views, cross-sectional views, side views, and/or schematic diagram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form of the illustration may be modifi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form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Additionally, in each drawing show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hown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차수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ater blocking device for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ttached illustration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수장치가 창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hutof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window fram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hutof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또한,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또한, 도 7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Additionally, Figure 7 is a front view of Figure 1, an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ure 7.

그리고, 도 9는 도 1에서 차수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D-D선 단면도이다.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hutoff device in FIG. 1 in an open state,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9.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차수장치(100)는, 창문(30) 및/또는 방범창(40)이 설치된 창틀 프레임(20)의 외측 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창틀 프레임(20)의 저면과 양 측면의 일정 높이만큼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10)과, 이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실링 부재(120) 및 지지 프레임(110)에 대하여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되, 지지 프레임(110)의 저면부(115)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수 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1 to 10, the window water bl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outer end of the window frame 20 on which the window 30 and/or the security window 40 are installed. As such, a support frame 110 is fixedly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20, a sealing member 120 and a support frame 110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1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rder plate 130 that is installed to be packable with respect to and rotatable by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portion 115 of the support frame 110.

지지 프레임(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10)의 창틀 프레임(20) 저면 외측 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저면부(115)와, 이 저면부(115)의 양 측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111)로 구성되어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frame 110 includes a bottom portion 115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of the window frame 20 of the building 10, and a bottom portion 115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portion 115. It is composed of a pair of side parts 111 installed to be connect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and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U-shape.

여기서, 지지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저면부(115)는, 바닥판(118)과, 이 바닥판(118)의 선단 및 후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을 이루어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 전면판(116) 및 제1 후면판(117)으로 구성되어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ottom portion 115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110 includes a bottom plate 118 and a first front plate formed to extend at a certain heigh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ttom plate 118. It is composed of (116) and the first back plate 117,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U-shape.

따라서, 제1 전면판(116)과 제1 후면판(117) 사이에는 일정 간격만큼의 제1 삽입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 first insertion space S1 of a certain distan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front plate 116 and the first rear plate 117.

한편, 지지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부(111)는, 측면판(112)과, 이 측면판(112)의 선단 및 후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을 이루어 일정 폭만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 전면판(113) 및 제2 후면판(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air of side parts 111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110 include a side plate 112 and a second side formed to extend by a certain wid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ide plate 112. It may be composed of a front plate 113 and a second rear plate 114.

따라서, 제2 전면판(113)과 제2 후면판(114) 사이에도 일정 간격만큼의 제2 삽입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 second insertion space S2 of a certain distan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front plate 113 and the second rear plate 114.

이 때, 제2 전면판(113)의 폭(너비)에 비하여 제2 후면판(114)의 폭(너비)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idth) of the second back plate 114 is formed longer than the width (width) of the second front plate 113.

그 이유는, 차수 플레이트(130)가 저부를 기점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reason is to allow the order plate 130 to rotate at a certain angle based on the bottom,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또 한편, 저면부(115)의 제1 후면판(117)과 측면부(111)의 제2 후면판(114)은 동일 면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반면, 저면부(115)의 제1 전면판(116)과 측면부(111)의 제2 전면판(113)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 전면판(116)과 제2 전면판(113) 사이에는 이격 공간(S3)이 형성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back plate 117 of the bottom portion 115 and the second rear plate 114 of the side portion 111 are coupled to form the same surface, while the first front plate 116 of the bottom portion 115 ) and the second front plate 113 of the side portion 111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and are coupled to form a space S3 between the first front plate 116 and the second front plate 113. You can.

즉, 측면부(111)의 측면판(112) 폭이 저면부(115)의 바닥판(118) 폭보다 큰 것이 적용됨으로써, 측면부(111)의 제2 전면판(113)이 저면부(115)의 제1 전면판(116)보다 전방 쪽에 위치되어, 제2 전면판(113)과 제1 전면판(116) 사이에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 공간(S3)이 형성되게 된다.That is, the width of the side plate 112 of the side portion 111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118 of the bottom portion 115, so that the second front plate 113 of the side portion 111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118 of the bottom portion 115. is located ahead of the first front plate 116, and a space S3 is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ront plate 113 and the first front plate 116.

참고로, 지지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저면부(115)와 측면부(111)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bottom portion 115 and the side portion 111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fixedly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실링 부재(120)는,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지지 프레임(110)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제공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20 is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that undergoes elastic deformation, and may be provided to be formed in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shape to the support frame 110 so as to be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10.

즉, 실링 부재(120) 또한 지지 프레임(110)과 같이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ealing member 120 may also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U-shape like the support frame 110.

이러한 실링 부재(120)는 지지 프레임(110)의 저면부(115)를 구성하는 제1 후면판(117)과, 측면부(111)를 구성하는 제2 후면판(114)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각각 저면부(115)의 제1 삽입공간(S1) 및 측면부(111)의 제2 삽입공간(S2)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sealing member 1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irst back plate 117 constituting the bottom portion 115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rear plate 114 constituting the side portion 111.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located in the first insertion space (S1) of the bottom portion (115) and the second insertion space (S2) of the side portion (111), respectively.

차수 플레이트(130)는,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와 경도를 갖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제공될 수 있다.The water blocking plate 13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hardness to withstand water pressure.

이러한 차수 플레이트(130)는 저면이 지지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저면부(115)의 제1 삽입공간(S1)에 삽입되고, 양 측면이 지지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측면부(111)의 제2 삽입공간(S2)에 삽입되는 크기로 제작된 것이 제공될 수 있다.This order plate 1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S1) of the bottom portion 115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110, and both sides of the side portion 111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110. One manufactured in a size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space (S2) may be provided.

여기서, 차수 플레이트(130)의 전면 양 측에는 측 방향 이동하는 잠금부재(13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Here, locking members 132 that move laterally may be install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order plate 130, respectively.

또한, 차수 플레이트(130)의 상면에는 지지 바(136)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지지 바(136)는 단부가 방범창(40)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수압 발생 시 차수 플레이트(130)가 방벙창 및 창문(30) 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support bar 136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blocking plate 130. The end of this support bar 136 is supported by the security window 40, so that when water pressure is generated, the water blocking plate 130 is protected from the security window. And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supporting it so that it is not pushed toward the window 30.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지지 바(136)가 중앙 부위에 하나만 설치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방범창(40)을 이루는 복수의 세로 봉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in the drawing to suppor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as an example that only one support bar 136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forming the security window 40 are shown. Of course, it can b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창문(30)용 차수장치(100)의 설치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water blocking device 100 for the window 30, which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이미 창문(30)과 방범창(40)이 설치된 창틀 프레임(20)의 선단 측에 지지 프레임(110)을 고정되게 설치한다.First, the support frame 1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the window frame 20 on which the window 30 and the security window 40 are already installed.

즉, 창틀 프레임(20)의 바닥 면과 양 측면에 대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110)을 설치한다.That is, the support frame 110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20.

다음에, 지지 프레임(110)의 제1 삽입공간(S1) 및 제2 삽입공간(S2)에 삽입되게 하여 제1 후면판(117) 및 제2 후면판(114)에 대하여 고정되게 실링 부재(120)를 결합킨다.Next, a sealing member ( 120) are combined.

마지막으로, 지지 프레임(110)의 제1 삽입공간(S1)에 차수 플레이트(130)의 저부를 삽입시킨 후, 차수 플레이트(130)의 저부를 기점으로 회전시켜서 차수 플레이트(130)가 도 1에서와 같이 수직을 이루도록 한 다음 양 측의 잠금부재(132)를 작동시켜서 잠금부재(132)의 걸림쇠(134)가 이격 공간(S3)으로 삽입되도록 한다.Finally, after inserting the bottom of the order plate 130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S1) of the support frame 110, the order plate 130 is rotated based on the bottom of the order plate 130 as shown in FIG. After making it vertical as shown, the locking members 132 on both sides are operated so that the latch 134 of the locking member 132 is inserted into the space S3.

이와 같이 잠금부재(132)의 걸림쇠(134)가 이격 공간(S3)으로 삽입되면, 걸림부가 지지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측면부(111)의 제2 전면판(113)에 걸림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차수 플레이트(130)가 저부를 기점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latch 134 of the locking member 132 is inserted into the space S3, the latch part is caught on the second front plate 113 of the side part 111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110. , the order plate 130 cannot rotate forward from the bottom and can maintain a vertical state.

이 때, 차수 플레이트(130)의 배면 둘레 즉, 저부와 양 측면의 둘레 면은 실링 부재(120)와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수밀이 완벽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ircumference of the back of the water plate 130, that is,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and both sides, is maintained in a pressed state with the sealing member 120, so that watertightness can be completely maintained.

따라서, 집중 호우에 의해 창틀 프레임(20)의 저부 이상으로 물이 차게 되더라도, 차수 플레이트(130)에 의해 물이 방범창(40) 및 창문(3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됨이 차단되게 된다.Therefore, even if water fills more than the bottom of the window frame 20 due to heavy rain, water is blocked from flowing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urity window 40 and the window 30 by the water blocking plate 130.

특히, 차수 플레이트(130)의 배면이 실링 부재(120)와 압착되어 완벽히 수밀성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침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back of the water blocking plate 130 is pressed against the sealing member 120 to completely secure watertightness, making it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flooding.

이 때, 설정 높이만큼 물이 차게 되어 차수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수압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차수 플레이트(130)와 방범창(4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바(136)에 의해 지지력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차수 플레이트(130)가 변형될 우려가 불식되는바, 안정적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침수를 보다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water fills up to the set height and water pressure is generated against the water stop plate 130, a support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support bar 136 disposed between the water stop plate 130 and the security window 40. , the fear of deformation of the water blocking plate 130 is eliminated, and flooding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by stably blocking the inflow of water.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집중 호우에 따른 침수 피해의 우려가 크지 않은 경우, 잠금부재(132)를 해제하여 차수 플레이트(130)를 경사지게 배치시킴으로써, 환기에 따른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9 and 10, when there is no significant risk of flooding damage due to heavy rain, the locking member 132 is released and the water blocking plate 130 is placed at an angle, so that ventilation is smoothly achieved. You can let it go.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가이 차수 플레이트(130)가 수직을 이루게 되는 경우, 창문(30)을 개방시키더라도 차수 플레이트(130) 높이만큼 차폐가 이루어져서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guy stop plate 130 is vertical as shown in FIG. 1, even if the window 30 is opened, the window 30 is shielded by the height of the stop plate 130, so ventilation may not be smoothly achieved.

따라서, 침수 피해의 우려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132)를 해제하게 되면, 차수 플레이트(130)가 저부를 기점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창문(30)의 개방 공간을 확대시켜 줌으로써, 보다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risk of flood damage is not high, when the locking member 132 is released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water blocking plate 130 rotates by a certain angle from the bottom to close the window 30. ) By expanding the open space, smoother ventilation can be achieved.

이 때, 차수 플레이트(130)의 저부 배면은 실링 부재(120)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인 상태로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bottom rear surface of the order plate 130 is supported by the sealing member 120 so that it can be tilted and positioned in a stable state.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측면부(111)에서, 제2 전면판(113)의 폭이 좁고, 제2 후면판(114)의 폭이 넓게 형성됨에 따라 차수 플레이트(130)가 저부를 기점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 the side portion 111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110, the width of the second front plate 113 is narrow and the width of the second back plate 114 is formed wide, so that the order plate ( 130) can rotate based on the bottom.

즉, 차수 플레이트(130)는, 양 측면 사이의 너비가 한 쌍을 이루는 측면부(111)의 제2 전면판(113)들 각 단부 사이의 간격과 같거나 작고, 한 쌍을 이루는 측면부(111)의 제2 후면판(114)들 각 단부 사이의 간격보다는 큰 것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order plate 130 has a width between both side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gap between each end of the second front plates 113 of the pair of side parts 111, and the pair of side parts 111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gap larger than the gap between each end of the second back plates 114.

참고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수장치(100)는, 창틀 프레임(20)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위감지부(150)와, 창틀 프레임(20)의 내측 즉,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알람부(160) 및 수위감지부(15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설정 값 이상이면 알람부(160)에 알람 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2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reference, Figure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relationship of the water shutof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water sh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20. I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50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20, the alarm unit 160 installed inside the indoor space,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50 are greater than the set value, the alarm unit 160 )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200 that transmits an alarm generation signal.

따라서, 외부 공간 즉, 창틀 프레임(20) 외측에 설정 수위만큼 물이 차오르게 되면, 수위감지부(15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이를 알람부(160)에 송신하여 알람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거주자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water rises to the set level in the external space, that is, outside the window frame 20,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50 detects this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200 sends this to the alarm unit. By transmitting to (160) to generate an alarm, it is possible to eliminate concerns about safety accidents by allowing indoor residents to evacuate.

참고로, 여기서 알람부는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빛을 점등시키는 경광등이 제공될 수 있다.For reference, here, the alarm unit may be provided with a warning light that generates a sound or lights up.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30)용 차수장치(100)에 의하면, 창틀 프레임(20)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창문(30) 및/또는 방범창(40)의 구조는 변경하지 않으면서, 창틀 프레임(20)의 외측에 간단히 착탈 식으로 설치되되, 수밀성이 우수하여 호우 시에 창문(30)을 통해 우수 등의 유입이 완벽히 차단됨으로써, 침수에 따른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ater blocking device 100 for the window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window 30 and/or the security window 40 already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20 is It is simply installed in a detachable manner on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20 without modification, and has excellent watertightness so that the inflow of rainwater, etc. through the window 30 during heavy rain is completely blocked, thereby preventing damage due to flooding. The effect can be provid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30)용 차수장치(100)에 의하면, 집중 호우에 따른 침수피해의 우려가 크지 않은 경우, 간단히 탈거하여 통풍에 의한 환기를 저해하지 않게 되고, 집중 호우에 따른 침수피해의 우려가 큰 경우에는 간단하게 설치하여 침수피해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water blocking device 100 for the window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no significant risk of flooding damage due to heavy rain, it can be simply removed to prevent ventilation from being impeded by heavy rain. In cases where there is a high risk of flood damage, simple installation can provide the effect of eliminating concerns about flood da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30)용 차수장치(100)에 의하면, 프레임 일 측에 수위감지부(150)가 설치되고, 이 수위감지부(150)가 물이 설정수위만큼 차오른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실내 거주자에게 이를 알리게 되어 신속히 대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사고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ater blocking device 100 for the window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15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this water level detection unit 150 detects that the water has risen to the set level. If it is detected, indoor residents will be notified and can evacuate quickly, thereby eliminating concerns about safety accid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 건축물 20 : 창틀 프레임
30 : 창문 40 : 방범창
100 : 차수장치 110 : 지지 프레임
111 : 측면부 112 : 측면판
113 : 제2 전면판 114 : 제2 후면판
115 : 저면부 116 : 제1 전면판
117 : 제1 후면판 120 : 실링 부재
130 : 차수 플레이트 132 : 잠금부재
134 : 걸림쇠 136 : 지지 바
150 : 수위감지부 160 : 알림부
200 : 제어부 S1 : 제1 삽입공간
S2 : 제2 삽입공간 S3 : 이격 공간
10: Building 20: Window frame
30: Window 40: Security window
100: Water blocking device 110: Support frame
111: side portion 112: side plate
113: second front panel 114: second rear panel
115: bottom portion 116: first front plate
117: first rear plate 120: sealing member
130: Order plate 132: Locking member
134: catch 136: support bar
150: water level detection unit 160: notification unit
200: Control unit S1: First insertion space
S2: Second insertion space S3: Separation space

Claims (6)

창문 또는 방범창이 설치된 창틀 프레임의 외측 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창틀 프레임의 저면과 양 측면의 일정 높이만큼 고정되게 설치되는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저면부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배면 둘레가 상기 실링 부재와 압착되어 수밀을 이루도록 하는 차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창틀 프레임의 저면 외측 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양 측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로 구성되되,
상기 저면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선단 및 후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을 이루어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 전면판 및 제1 후면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전면판과 제1 후면판 사이에 제1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선단 및 후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을 이루어 일정 폭만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 전면판 및 제2 후면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전면판과 제2 후면판 사이에 제2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의 측면판 폭은 상기 저면부의 바닥판 폭보다 커서, 상기 측면부의 제2 전면판이 상기 저면부의 제1 전면판보다 전방 쪽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전면판과 제1 전면판 사이에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차수장치.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edge of the window frame where the window or security window is installed,
A support frame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A sealing member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It is installed to be retrac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and is rotatable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and includes an order plate whose back circumference is pressed against the sealing member in a vertical state to make it watertight. do,
The support frame is,
It is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fixed to the outer bottom edge of the window frame and a pair of side portions installed to be connect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from both side ends of the bottom portion,
The bottom part,
It consists of a bottom plate, a first front plate and a first back plate formed to extend at a certain heigh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ttom plate, and a first front plate and a first rear plate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first rear plate. An insertion space is formed,
The side part,
It consists of a side plate, a second front plate and a second rear plate formed to extend a certain wid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ide plate, and a second rear plat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front plate and the second rear plate. An insertion space is formed,
The width of the side plate of the side por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of the bottom portion, so that the second front plate of the side portion is located forward of the first front plat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front plate and the first front plate. A water blocking device for a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is formed as much as the separation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제2 전면판 폭에 비하여 상기 제2 후면판의 폭이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제2 후면판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차수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width of the second back plate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front plate of the side portion,
A water blocking device for a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member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econd rear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 플레이트의 양 측에는 잠금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차수 플레이트가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쇠가 상기 이격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차수 플레이트의 수직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차수장치.
According to clause 1,
Locking membe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order plate,
A water shutoff device for windows, w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shutoff plate is vertical, the lock of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to maintain the vertical state of the water shutoff plate.
제 1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창틀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알람부 및,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알람부에 알람 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차수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paragraphs 1, 4, and 5,
A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An alarm unit installed inside the window frame,
A water blocking device for window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alarm generation signal to the alarm unit whe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s greater than a set value.
KR1020230099954A 2023-07-31 2023-07-31 Water defence device for window KR1026548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954A KR102654834B1 (en) 2023-07-31 2023-07-31 Water defence device for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954A KR102654834B1 (en) 2023-07-31 2023-07-31 Water defence device for wind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834B1 true KR102654834B1 (en) 2024-04-11

Family

ID=9066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9954A KR102654834B1 (en) 2023-07-31 2023-07-31 Water defence device for wind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83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7465A (en) * 2010-10-15 2012-05-10 Daito Kogyo Kk Inlay type waterproof plate
KR101173259B1 (en) 2012-05-18 2012-08-10 호승호 Apparatus of protection for inflow rain
KR20130001606U (en) *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 드림건설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dam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7465A (en) * 2010-10-15 2012-05-10 Daito Kogyo Kk Inlay type waterproof plate
KR20130001606U (en) *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 드림건설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damage
KR101173259B1 (en) 2012-05-18 2012-08-10 호승호 Apparatus of protection for inflow r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61522A1 (en) Flood Protection Device
KR101575708B1 (en) Sliding windows having blind window and insect net window
US5832666A (en) Window storm shield and guard assembly
US668153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water from entering a building
US9456581B2 (en) Security gate combined with a cattle guard
KR102654834B1 (en) Water defence device for window
US2355803A (en) Window unit
US3421259A (en) Storm shutters
KR101244224B1 (en) Assembly camping tent
US20040250477A1 (en) Weather protector kit
US10358866B2 (en) Floodgate
KR20230060281A (en) A floodgate
KR102162039B1 (en) Falling typ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12225005A (en) Rainproof panel for dwelling
KR200385577Y1 (en) Safety window
JP2011163085A (en) Sliding door or door of building
GB2471182A (en) Flood barrier
US20070033881A1 (en) Safety and security block window system
KR102599636B1 (en) Security grille for emergency escape and water defence
CN111197297A (en) Landscape water retaining flood prevention wall
KR200417841Y1 (en) Rainwater blcking apparatus for window
KR102596556B1 (en) Openable window structure that maximizes watertightness at various installation angles
CN212925950U (en) Landscape water retaining flood prevention wall
KR102488732B1 (en) Flood prevention and escape structure of Resident Building
JP2014114668A (en) Door of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