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771B1 - Receptacle Connector - Google Patents
Receptacl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4771B1 KR102654771B1 KR1020170018521A KR20170018521A KR102654771B1 KR 102654771 B1 KR102654771 B1 KR 102654771B1 KR 1020170018521 A KR1020170018521 A KR 1020170018521A KR 20170018521 A KR20170018521 A KR 20170018521A KR 102654771 B1 KR102654771 B1 KR 1026547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ling
- shell
- support
- coupled
- seal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382 po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전자기기에 결합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 및 상기 쉘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쉘이 갖는 지지부재는 상기 쉘이 갖는 지지홈에 삽입된 실링부재가 전방(前方)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실링부재가 후방(後方)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실링부재를 지지하도록 구현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g connector and a board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an insulating portion where the contacts are coupled; A shell to which the insulating part is coupled; And a cover coupled to the shell, wherein the support member of the shell has a distance at which the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of the shell can move toward the front and the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is rearward ( It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implemented to support a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to limit the distance that can be moved toward the rear.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for connection with a plug connector.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는 이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에 결합된다. 예컨대, 리셉터클 커넥터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결합되어서 충전 기능, 데이터 전송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Generally, a receptacle connector is coupled to a board provid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for connection to a corresponding plug connector. For example, the receptacle connector can be used to perform charging functions, data transmission functions, etc. by being coupled 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portable computers and mobile phones.
이러한 전자기기에 대해 최근 생활방수에 비해 더 강화된 방수성능을 갖출 것이 요구되면서, 방수성능이 강화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As these electronic devices are recently required to have more enhanced waterproofing performance compared to household waterproofing, the development of receptacle connectors with enhanced waterproofing performance is actively underway.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방수성능을 강화하더라도, 리셉터클 커넥터가 전자기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및 전자기기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로 인해 종합적인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even if the waterproofing performance of each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s strengthe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all waterproofing performance is deteriorated due to a gap that occurs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자기기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로 인해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that can prevent waterproof performance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a gap occurring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electronic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및 전자기기에 결합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 상기 쉘에 결합된 커버; 및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쉘에 결합된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은 상기 실링부재가 결합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커버로부터 전방(前方)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커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실링부재가 후방(後方)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실링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g connector and a board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an insulating portion where the contacts are coupled; A shell to which the insulating part is coupled; a cover coupled to the shell; And it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shell to seal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hell. The shell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to which the sealing member is coupled and a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The shell may be coupled to the cover so that the support member protrudes forward from the cover and is located outside the cover. The seal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The support member may support the sealing member to limit a distance that the sealing member can move toward the front and a distance that the sealing member can move toward the rear.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및 전자기기에 결합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 및 상기 쉘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은 상기 전자기기에 접촉되는 실링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 및 상기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커버로부터 전방(前方)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커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실링부재가 상기 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실링부재가 후방(後方)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실링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g connector and a board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an insulating portion where the contacts are coupled; A shell to which the insulating part is coupled; And it may include a cover coupled to the shell. The shell may include a support groove into which a seal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electronic device is inserted, and a support member in which the support groove is formed. The shell may be coupled to the cover so that the support member protrudes forward from the cover and is located outside the cover. The support member supports the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to limit the distance at which the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can move toward the front and the distance at which the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can move toward the rear. can do.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쉘의 외면 및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자기기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에 대해 방수기능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종합적인 방수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seal the outer surface of the shell and the electronic device, so that a waterproof function can be implemented for the gap that occurs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overall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
본 발명은 실링부재가 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실링부재가 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 및 분리되는 과정, 전자기기 사용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실링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가 쉘 및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킨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limit the distance that the sealing member can move toward the front and the distance that the sealing member can move toward the rear, thereby preventing the sealing member from being damaged due to vibration, shaking, etc. that occurs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detaching the plug connector, the process of using electronic devices, etc. Since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he sealing member can be implemented to be firmly maintained in a sealed state between the shell and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실링부재가 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지지홈의 깊이에 해당하는 만큼 실링부재의 단면 두께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쉘 및 전자기기의 사이에 대한 방수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sealing member is inserted and coupled to a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sealing member can be increased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support groove, thereby improving waterproofing performance between the shell and the electronic device. It can be strengthe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이음매가 존재하는 쉘에 대한 개략적인 일부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쉘 및 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부 및 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들 및 절연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들 및 절연부에 대한 개략적인 결합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3 내지 도 19는 실링부재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
도 20 내지 도 22는 방수부를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line II of Figure 1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hell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partial bottom view of the shell with seams present.
Figure 6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ell and cover combined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line II of Figure 1.
Figure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insulation portion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the insulation portion and shell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contacts and insulation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exploded plan view of the insulation portion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contacts and insulation in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11
13 to 19 are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ong line II of FIG. 1 to explain embodiments of the sealing member.
20 to 2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ong line II of FIG. 1 to explain the waterproof por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미도시)에 결합된다.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복수개의 컨택트(2), 쉘(3), 절연부(4), 및 커버(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기판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쉘(3)은 상기 절연부(4)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쉘(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쉘(3)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절연부(4)가 결합된 쉘(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쉘(3)은 지지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는 방수기능을 구현하는 실링부재(6, 도 3에 도시됨)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쉘(3)은 상기 지지부재(31)가 상기 커버(5)로부터 전방(前方)(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커버(5)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1)는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커버(5)의 외부에서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실링부재(6)를 지지할 수 있다.The
상기 쉘(3)은 지지홈(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홈(32)은 상기 지지부재(31)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1)는 상기 실링부재(6)에서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된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실링부재(6)가 후방(後方)(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된 실링부재(6)를 이용하여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 및 상기 전자기기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에 대해 방수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대한 종합적인 방수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First, th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31)를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 및 분리되는 과정, 전자기기 사용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된 실링부재(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된 실링부재(6)가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킨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Second, the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지지부재(31)에 형성된 지지홈(32)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지지홈(32)의 깊이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실링부재(6)의 단면 두께(T, 도 3에 도시됨)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재(6)의 단면 두께(T) 증대를 통해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에 대한 방수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Third, the
이하에서는 상기 컨택트(2), 상기 쉘(3), 상기 절연부(4), 및 상기 커버(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쉘(3)의 내부로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도전성(導電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에는 상기 컨택트(2)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접속부재(21, 도 2에 도시됨) 및 실장부재(22,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접속부재(2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4)의 일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4)의 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의 일면 및 타면은 서로 반대되는 면(面)이다. 상기 절연부(4)의 일면은, 상기 절연부(4)의 상면(上面)일 수 있다. 상기 절연부(4)의 타면은, 상기 절연부(4)의 하면(下面)일 수 있다.The connecting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재(21)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재(21)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실장부재(2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는 표면실장기술(Su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mounting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연결부재(23,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4)의 상면에 위치하는 컨택트(2)들은 각각 상기 연결부재(23)가 부분적으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실장부재(22)들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 상기 실장부재(22), 및 상기 접속부재(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쉘(3)은 상기 절연부(4)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쉘(3)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컨택트(2)들에 접속되는 접속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쉘(3)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3)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6, the
상기 쉘(3)은 상기 절연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쉘(3)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의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쉘(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3)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타원형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절연부(4)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쉘(3)은 이음매(50, 도 5에 도시됨)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쉘(3)의 외면은 이음매(50)로 인한 틈새 없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우선, 상기 쉘(3)이 판재를 절단한 후에 벤딩하는 벤딩공정, 및 벤딩한 판재의 양단을 용접 등의 가공작업을 통해 결합시키는 결합공정을 거처 제조되는 경우, 상기 쉘(3)에는 상기 결합공정을 통해 이음매(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음매(50)는 틈새이기 때문에, 방수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태핑(Tapping)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작업을 통해 메워져야 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쉘(3)은 작업공수 증가로 인한 제조비용 상승 및 제조시간 증대로 인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쉘(3)은 추가작업을 통해 상기 이음매(50)를 메우더라도, 상기 이음매(50)를 통해 수분 등이 침투할 위험이 존재하므로 방수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First, when the
다음, 상기 쉘(3)이 이음매(50)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쉘(3)의 외면은 상기 이음매(50)로 인한 틈새 없이 구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쉘(3)은 상기 이음매(50)를 메우기 위한 태핑 등과 같은 추가작업 없이도, 방수기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쉘(3)이 상기 이음매(50)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작업공수를 줄이면서도 방수기능을 갖출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쉘(3)이 상기 이음매(50) 없이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쉘(3)의 외면이 상기 이음매(50)로 인한 틈새 없이 구현되므로, 상기 쉘(3)은 상기 이음매(50)를 통해 수분 등이 침투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쉘(3)이 상기 이음매(50)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수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Next, when the
상기 쉘(3)은 딥드로잉(Deep Drawing) 공법을 통해 상기 이음매(50)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쉘(3)은 튜브 포밍(Tube Forming) 공법 또는 심 웰딩(Seam Welding) 공법을 통해 상기 이음매(50)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쉘(3)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쉘(3)은 수용공(3a)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수용공(3a)은 상기 쉘(3)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3a)은 상기 절연부(4)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쉘(3)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용공(3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의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수용공(3a)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3)은 상기 수용공(3a)에 위치한 컨택트(2)들 및 상기 절연부(4)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receiving
상기 수용공(3a)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컨택트(2)들에 접속되는 접속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쉘(3)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용공(3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용공(3a)에 위치한 컨택트(2)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용공(3a)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e receiving
상기 쉘(3)은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3)은 일부가 상기 커버(5)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쉘(3)이 갖는 쉘본체(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본체(30)는 상기 쉘(3)에서 상기 커버(5)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기 쉘본체(30)의 내부에는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절연부(4)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쉘본체(30)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타원형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절연부(4)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쉘(3)은 상기 지지부재(31) 및 상기 지지홈(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지지부재(31)는 상기 실링부재(6)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쉘(3)은 상기 지지부재(31)가 상기 커버(5)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커버(5)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된 실링부재(6)는 상기 커버(5)의 외부에서 상기 전자기기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쉘(3)의 외면 및 상기 전자기기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에 대해 방수기능이 구현됨으로써, 전자기기에 대한 종합적인 방수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된 실링부재(6)는 상기 전자기기가 갖는 프레임(미도시)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쉘(3)의 외면 및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자기기가 갖는 케이스일 수 있다.The
상기 지지부재(31)는 상기 쉘본체(30)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쉘본체(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3)은 상기 지지부재(31)가 상기 커버(5)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쉘본체(30)가 상기 커버(5)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절연부(4)는 상기 지지부재(31)의 내부 및 상기 쉘본체(3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3a)은 상기 지지부재(31) 및 상기 쉘본체(30) 모두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타원형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절연부(4)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31) 및 상기 쉘본체(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지지홈(32)은 상기 지지부재(31)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쉘(3)은 상기 지지홈(32)이 상기 커버(5)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커버(5)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32)에는 상기 실링부재(6)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1)는 상기 실링부재(6)에서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된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 및 분리되는 과정, 전자기기 사용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실링부재(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킨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지지홈(32)은 상기 지지부재(3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32)은 상기 지지부재(31)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지지홈(32)의 깊이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실링부재(6)의 단면 두께(T)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재(6)의 단면 두께(T) 증대를 통해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에 대한 방수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The
상기 지지홈(32)은 상기 지지부재(31)의 외면에서 상기 지지부재(31)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32)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지지부재(31)에 의해 지지되도록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31)는 제1지지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311)은 상기 지지홈(32)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면(311)은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된 실링부재(6)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 및 분리되는 과정, 전자기기 사용 과정 등에서 진동, 흔들림 등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지지면(311)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킨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311)은 상기 지지부재(311)에 상기 지지홈(32)을 가공함에 따라 형성된 면(面)들 중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된 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된 경우, 상기 실링부재(6)에서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된 부분 중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부분이 상기 제1지지면(3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Here, the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31)는 제2지지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312)은 상기 지지홈(32)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면(312)은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된 실링부재(6)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 및 분리되는 과정, 전자기기 사용 과정 등에서 진동, 흔들림 등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지지면(312)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킨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312)은 상기 지지부재(311)에 상기 지지홈(32)을 가공함에 따라 형성된 면들 중에서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된 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된 경우, 상기 실링부재(6)에서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된 부분 중에서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부분이 상기 제2지지면(3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Here, the
상기 제2지지면(312) 및 상기 제1지지면(311)은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 방향이다. 상기 제2지지면(312)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면(311)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쉘(3)은 돌출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6, the
상기 돌출부재(33)는 상기 지지부재(3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33)는 상기 지지홈(32)으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3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면(311) 및 상기 돌출부재(33)를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중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된 실링부재(6)가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킨 상태로 더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protruding
상기 돌출부재(33)는 상기 전자기기가 갖는 프레임에 접촉되어서 상기 쉘(3)의 외면 및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31)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에 상기 돌출부재(33)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경우, 상기 돌출부재(33)의 크기(33D, 도 6에 도시됨)는 상기 삽입공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33)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서 상기 프레임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쉘(3)의 외면 및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33)의 크기(33D)는 상기 삽입공의 크기에 비해 더 크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재(33)는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쉘(3)의 외면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대한 밀폐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otruding
상기 돌출부재(33)는 상기 지지부재(31)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31)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33)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재(33)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상기 지지부재(31)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절연부(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쉘(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쉘(3)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쉘(3)의 외부에 위치한 실장부재(22)들이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쉘(3)의 내부에 위치한 접속부재(21)들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10, the insulating
상기 절연부(4)는 절연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ulating
상기 절연부재(41)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연부재(41)는 상기 절연부(4)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절연부재(41)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절연부재(41)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실장부재(22)들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41) 및 상기 컨택트(2)들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insulating
상기 절연부(4)는 차단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ulating
상기 차단부재(42)는 상기 절연부재(41)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차단부재(42)는 상기 절연부재(41)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2) 및 상기 절연부재(4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차단부재(42)가 상기 쉘(3)의 내면(3b)에 접촉되도록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42)는 상기 쉘(3)의 내면(3b)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The blocking
상기 차단부재(42)는 상기 쉘(3)의 내면(3b)에 대한 크기(3D, 도 8에 도시됨)에 비해 더 큰 크기(42D, 도 8에 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4)가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차단부재(42)는 상기 쉘(3)의 내면(3b)에 가압되어서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42)는 상기 쉘(3)의 내면(3b)을 복원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쉘(3)의 내면(3b)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에 대한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blocking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4)는 미드플레이트(4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12 , the insulating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절연부재(41)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상기 절연부재(41)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41)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상기 절연부재(41) 및 상기 차단부재(42) 각각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상기 절연부재(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상기 절연부재(41)의 상면에 위치한 접속부재들(21) 및 상기 절연부재(41)의 하면에 위치한 접속부재(2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43),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절연부재(41)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제한부재(4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한부재(43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상기 제한부재(431)가 상기 차단부재(42)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한부재(431)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재(43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스톱퍼(Stopper)로 기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limiting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431)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431)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쉘(3)의 내부에 과다한 거리로 삽입됨에 따라 손상 내지 파손이 발생하거나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th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미드플레이트(43)에 형성된 제한부재(431)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3)의 일부를 상기 수용공(3a) 쪽으로 돌출되도록 가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하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쉘(3)에 대한 가공 없이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3)의 일부를 상기 수용공(3a) 쪽으로 돌출되도록 가공함에 따라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쉘(3)의 방수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비교예는 상기 쉘(3)의 일부를 상기 수용공(3a) 쪽으로 돌출되도록 가공함에 따라 상기 쉘(3)에 홀(Hole)이 생성된 경우, 생성된 홀을 막기 위해 상기 쉘(3)에 대한 추가작업이 요구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3)에 대한 추가작업 없이도 상기 쉘(3)의 방수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비교예와 대비할 때 공정비용을 줄임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상기 제한부재(43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재(41) 및 상기 차단부재(42)에 형성된 제한돌기(421, 도 12에 도시됨)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한돌기(421)는 상기 차단부재(42)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431) 및 상기 제한돌기(421)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상기 제한부재(431)의 전방면(431a, 도 12에 도시됨) 및 상기 제한돌기(421)의 전방면(421a, 도 12에 도시됨)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선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431)의 전방면(431a)은, 상기 제한부재(431)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이다. 상기 제한돌기(421)의 전방면(421a)은, 상기 제한돌기(421)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이다.The limiting
상기 제한부재(431)는 상기 절연부재(41) 및 상기 차단부재(42) 각각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재(41) 및 상기 차단부재(42)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하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반복적으로 접촉함에 따른 마모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비교예와 대비할 때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제한부재(431)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41)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드플레이트(43)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한부재(431)가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imiting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상기 제한부재(43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한부재(43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재(41)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431)들을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거리로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부재(42)에는 복수개의 제한돌기(4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431)들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재(41) 및 상기 제한부재(43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미드본체(432) 및 접지부재(4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미드본체(432)는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미드본체(432)는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절연부재(41)가 갖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미드본체(432)는 상기 절연부재(41)의 상면에 위치한 접속부재들(21) 및 상기 절연부재(41)의 하면에 위치한 접속부재(2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드본체(43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절연부재(41)가 갖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미드본체(432)는 상기 절연부재(41)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드본체(432)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41)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드본체(432)는 상기 절연부재(41) 및 상기 차단부재(42) 각각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드본체(432)는 일부가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됨과 동시에 일부가 상기 차단부재(42)에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접지부재(433)는 접지(Ground)를 위한 것이다. 상기 접지부재(433)는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을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부재(433)는 상기 기판에 마련된 접지단자에 접속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상기 접지부재(433)의 일부가 상기 차단부재(4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 및 상기 차단부재(4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433)는 상기 미드본체(4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433)는 상기 미드본체(432)로부터 상기 후방(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미드본체(4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433) 및 상기 미드본체(43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접지부재(433)에는 상기 제한부재(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431)는 상기 접지부재(433)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지부재(4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431)는 상기 접지부재(433)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전방면으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지부재(4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433) 및 상기 제한부재(4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imiting
상기 미드플레이트(43)는 상기 접지부재(433)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접지부재(43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미드본체(4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433)들 각각에는 상기 제한부재(431)가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절연부(4)는 설치부재(44,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설치부재(44)가 상기 커버(5)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커버(5)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44)는 상기 차단부재(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부재(42)는 일측이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설치부재(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44), 상기 차단부재(42), 및 상기 절연부재(4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sulating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5)는 상기 쉘(3)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쉘(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쉘(3)은 상기 커버(5)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쉘(3)의 쉘본체(30)을 둘러싸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쉘(3)의 지지부재(31)는 상기 커버(5)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커버(5)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5) 및 상기 쉘(3)은 부분적으로 용접이 수행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13, the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재(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14 , the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3)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3)의 사이에 대한 방수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쉘(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3)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상기 전자기기에 설치된 경우,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전자기기가 갖는 프레임에 밀착됨으로써 수분, 분진 등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와의 관계에서도 방수기능을 갖추도록 구현됨으로써, 종합적인 방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커버(5)의 외부에 위치한 지지부재(3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5)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지지부재(31)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에는 실링공(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공(6a)은 상기 실링부재(6)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공(6a)에 상기 지지부재(31)가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링공(6a)에 상기 지지부재(31)가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액상 사출성형(LIM, Liquid Injection Molding)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지지홈(32)의 깊이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실링부재(6)의 단면 두께(T, 도 3에 도시됨)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재(6)의 단면 두께(T) 증대를 통해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에 대한 방수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31)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지지부재(31)에 의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 및 분리되는 과정, 전자기기 사용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된 실링부재(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된 실링부재(6)가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킨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삽입부재(6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삽입부재(61)는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삽입부재(61)가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는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된 삽입부재(6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61)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되어서 상기 지지부재(31)에 지지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삽입부재(61)는 제1제한면(611, 도 14에 도시됨) 및 제2제한면(612, 도 1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제한면(611)은 상기 삽입부재(61)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삽입부재(61)가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되면, 상기 제1제한면(611)은 상기 제1지지면(311, 도 14에 도시됨)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면(311)은 상기 제1제한면(611)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The first limiting
상기 제2제한면(612)은 상기 삽입부재(61)에서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삽입부재(61)가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되면, 상기 제2제한면(612)은 상기 제2지지면(312, 도 14에 도시됨)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면(312)은 상기 제2제한면(612)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The second limiting
상기 실링부재(6)는 실링본체(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본체(62)는 상기 삽입부재(6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실링본체(62)는 상기 삽입부재(61)에 대해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부재(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방향은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지지부재(31)에서 상기 실링본체(62)를 향하는 방향이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재(61)는 상기 실링본체(62)에서 상기 지지부재(31)를 향하는 내측방향으로 상기 실링본체(6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61)는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되어서 상기 실링부재(62)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유동제한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실링본체(62)는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밀착되어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61)는 유동제한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재(31)에 밀착되어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본체(62) 및 상기 삽입부재(61)를 통해 상기 실링부재(6)의 단면 두께(T)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에 대한 방수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실링본체(62) 및 상기 삽입부재(6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본체(62)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삽입부재(61) 및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 사이를 막을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실링돌기(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돌기(63)는 상기 실링본체(6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실링돌기(62)는 상기 지지부재(31)에서 상기 실링본체(62)를 향하는 외측방향으로 상기 실링본체(6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본체(52), 상기 삽입부재(61), 및 상기 실링돌기(63)를 통해 상기 실링부재(6)의 단면 두께(T)를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에 대한 방수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63), 상기 실링본체(62), 및 상기 삽입부재(6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돌기(63)는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상기 전자기기에 설치된 경우, 상기 실링돌기(62)는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밀착됨으로써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돌기(63)는 상기 실링본체(62)를 대신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63) 및 상기 실링본체(62) 모두가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밀착될 수도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돌기(63)는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지지부재(31)에 설치된 경우, 상기 커버(5)의 외면에 비해 더 돌출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돌기(63)는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밀착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됨으로써,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더 우수한 방수성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63)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밀착되어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When the sealing
상기 실링돌기(63)는 상기 실링본체(62)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링돌기(63)는 사다리꼴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돌기(63)는 사다리꼴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실링돌기(63)는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사다리꼴형의 단면 외에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링돌기(63)는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 외에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돌기(63)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돌기(63)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링본체(62)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aling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재(6)에 관해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링부재(6)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명한다.Here, the
우선, 상기 실링부재(6)의 제1실시예를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돌출부재(33) 및 상기 커버(5)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3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되는 삽입부재(61), 상기 삽입부재(61)에 대해 상기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부재(61)에 결합된 실링본체(62), 및 상기 실링본체(62)에 대해 상기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링본체(62)에 결합된 실링돌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에는 상기 실링공(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공(6a)에 상기 지지부재(31)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재(61)는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63)는 상기 실링본체(62)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돌기(63)는 상기 전자기기가 갖는 프레임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실링본체(62)의 외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쉘(3)의 외면 및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 사이에 대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돌출부재(33) 및 상기 커버(5)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재(33) 및 상기 커버(5) 각각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커버(5)의 전방면(5a, 도 13에 도시됨)으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5)는 상기 전방면(5a)이 상기 실링부재(6)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면(5a)은 상기 커버(5)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전방면(5a)이 상기 지지부재(31)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지지홈(32)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커버(5)는 상기 전방면(5a)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지지면(312) 및 상기 커버(5)의 전방면(5a)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중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커버(5)의 전방면(5a)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쉘(3)로부터 완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돌출부재(33)의 후방면(33a, 도 14에 도시됨)으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재(33)는 상기 후방면(33a)이 상기 실링부재(6)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33a)은 상기 돌출부재(33)에서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돌출부재(33)는 상기 후방면(33a)이 상기 지지부재(31)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지지홈(32)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돌출부재(33)는 상기 후방면(33a)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면(311) 및 상기 돌출부재(33)의 후방면(33a)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중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돌출부재(33)의 후방면(33a)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쉘(3)로부터 완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ling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기 돌출부재(33)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5)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재(33)의 후방면(33a) 및 상기 커버(5)의 전방면(5a)이 서로 이격된 거리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aling
다음, 상기 실링부재(6)의 제2실시예를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되는 삽입부재(61), 및 상기 삽입부재(61)에 대해 상기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부재(61)에 결합된 실링본체(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에는 상기 실링공(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공(6a)에 상기 지지부재(31)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재(61)는 상기 지지홈(32)에 삽입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본체(62)는 상기 돌출부재(33)를 수용하는 수용홈(621, 도 1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돌출부재(33)가 상기 수용홈(621)에 삽입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돌출부재(33)의 외면 및 상기 지지부재(31)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돌출부재(33) 및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33)는 상기 수용홈(621)에 삽입되어서 상기 실링본체(62)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실링본체(6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돌출부재(33)가 상기 실링본체(62)를 지지하는 지지력 및 상기 제1지지면(311)이 상기 삽입부재(61)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력을 더 강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킨 상태로 더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sealing
상기 돌출부재(33)는 상기 후방면(33a)이 상기 실링본체(6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621)은 상기 실링본체(62)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621)은 상기 실링공(6a)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본체(62)의 내면에는 상기 수용홈(621)에 의해 단차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33)의 후방면(33a)은 상기 수용홈(621)에 의해 단차가 생성된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본체(62)를 지지할 수 있다.The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커버(5)의 전방면(5a, 도 15에 도시됨)으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5)는 상기 전방면(5a)이 상기 실링부재(6)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전방면(5a)이 상기 지지부재(31)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지지홈(32)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커버(5)는 상기 전방면(5a)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지지면(312) 및 상기 커버(5)의 전방면(5a)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중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커버(5)의 전방면(5a)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쉘(3)로부터 완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돌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63)는 상기 실링본체(62)에 대해 상기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링본체(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63)는 상기 실링본체(62)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돌기(63)는 상기 전자기기가 갖는 프레임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실링본체(62)의 외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쉘(3)의 외면 및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 사이에 대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sealing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기 수용홈(621)을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재(33)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6)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부재(33) 및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와 대비할 때,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에 비해 방수기능을 구현하는 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와 대비할 때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더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에 비해 재료비 절감 등을 통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aling
다음, 상기 실링부재(6)의 제3실시예를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와 대략 일치하게 구현되므로,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와 대비하여 차이점이 있는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Next,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전자기기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되는 제1실링면(622, 도 17에 도시됨) 및 제2실링면(623, 도 1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면(622)은 상기 실링본체(62)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링면(622)은 상기 실링본체(62)의 전방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면(623)은 상기 실링본체(62)에서 상기 외측방향 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실링면(623)은 상기 실링본체(62)의 외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실링면(622) 및 상기 제2실링면(623)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의 전방(FD 화살표방향) 및 상기 실링부재(62)의 외측방향 모두에 대해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에 대한 방수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The sealing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에 있어서 상기 실링돌기(63)를 통해 구현하는 방수기능을 상기 실링본체(62) 전체를 통해 구현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와 대비할 때, 방수기능을 구현하는 체적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방수기능을 구현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ealing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와 대비할 때, 상기 제1실링면(622)을 통해 상기 실링본체(6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대해서도 추가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본체(6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이 프레임에 의해 가려진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본체(6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이 프레임 없이 개방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When compared to the sealing
한편,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기 제1실링면(622) 및 상기 실링돌기(63)를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의 전방(FD 화살표방향) 및 상기 실링부재(62)의 외측방향 모두에 대해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본체(6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이 프레임에 의해 가려진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돌기(63)만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2)의 외측방향에 대해서만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본체(6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이 프레임 없이 개방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aling
다음, 상기 실링부재(6)의 제4실시예를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술한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와 대략 일치하게 구현되므로,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와 대비하여 차이점이 있는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Next,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는 실링커버(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64)는 상기 실링본체(62)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링본체(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64)는 상기 실링공(6a)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실링본체(6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쉘(3)에 결합되면, 상기 실링커버(64)는 상기 돌출부재(33)의 전방면(33b, 도 18에 도시됨)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재(33)는 상기 실링커버(64) 및 상기 실링본체(6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실링커버(6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실링면(622)은 상기 실링커버(64)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면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링면(622)은 상기 실링부재(6)의 전방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면(623)은 상기 실링커버(64) 및 상기 실링본체(62) 각각에서 상기 외측방향 쪽을 향하는 면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실링면(623)은 상기 실링부재(6)의 외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실링면(622) 및 상기 제2실링면(623)을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의 전방(FD 화살표방향) 및 상기 실링부재(62)의 외측방향 모두에 대해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에 대한 방수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When the sealing
제4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부재(6)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가 상기 실링커버(64)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현되므로, 상술한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와 대비할 때 상기 실링부재(6)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에 대한 방수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ealing
또한, 제4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기 돌출부재(33)가 상기 실링커버(64) 및 상기 실링본체(6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돌출부재(33)에 의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와 대비할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 및 분리되는 과정, 전자기기 사용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쉘(3)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탈방지력이 더 강화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aling
한편, 제4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에 있어서, 상기 실링커버(64)는 상기 쉘(3)의 수용공(3a)을 가리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커버(64)를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에 대한 방수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수용공(3a)을 통해 삽입 및 분리되는 것에 상기 실링커버(64)가 방해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커버(64)의 내면(64a, 도 18에 도시됨)에 대한 크기(64D, 도 18에 도시됨)는 상기 쉘(3)의 내면(3b, 도 18에 도시됨)에 대한 크기(3D, 도 18에 도시됨)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64)의 내면(64a)에 대한 크기(64D)는 상기 쉘(3)의 내면(3b)에 대한 크기(3D)에 비해 더 크게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커버(64)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돌출부재(33)의 전방면(33b)을 가릴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sealing
도 1 내지 도 2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수부(7, 도 2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22, the
상기 방수부(7)는 방수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수부(7)는 상기 절연부(4)의 외면 및 상기 쉘(3)의 내면(3b)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쉘(3)의 내부에 대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재(6)를 통해 상기 쉘(3)의 외면 및 상기 전자기기 사이에 대한 방수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상기 방수부(7)를 통해 상기 쉘(3)의 내부에 대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7)는 상기 컨택트(2)들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에 대한 방수기능을 추가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방수부(7)는 상기 절연부(4)가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쉘(3)의 내부에 포팅액이 도포된 후에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방수부(7)는 상기 쉘(3)의 내부에서 상기 차단부재(42)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차단부재(42) 및 상기 방수부(7)를 이용하여 상기 쉘(3)의 내부에 대해 이중으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대한 종합적인 방수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2)가 상기 쉘(3)의 내면(3b)에 접촉되도록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된 후에, 상기 방수부(7)는 상기 쉘(3)의 내부에 포팅액이 도포된 후에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부재(42)는 상기 쉘(3)의 내면(3b)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쉘(3)의 내면(3b)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통해 포팅액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상기 방수부(7)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통해 상기 쉘(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우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절연부재(41)가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부(7)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을 상기 쉘(3)의 내부로 도포한다. 이 경우,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차단부재(42)가 상기 쉘(3)의 내면(3b)에 접촉되도록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21, in a state in which the insulating
다음, 상기 쉘(3)의 내부에 도포된 포팅액은, 상기 쉘(3)의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상기 쉘(3)의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포팅액은 상기 쉘(3)에 형성된 수용공(3a)에서 상기 차단부재(4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한 부분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쉘(3)의 내부에 포팅액을 도포하는 공정은, 상기 쉘(3)의 내부로 포팅액이 유입되는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팅액은 중력에 의해 상기 쉘(3)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Next, the potting liquid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다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팅액이 상기 쉘(3)의 내부에 채워지면, 포팅액을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포팅액은 상기 방수부(7)로 구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22, when the potting liquid is filled into the interior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들을 거쳐, 상기 방수부(7)는 상기 쉘(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쉘(3)의 내면(3b)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에 대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rough the processes described abov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 리셉터클 커넥터 2 : 컨택트
3 : 쉘 4 : 절연부
5 : 커버 6 : 실링부재
7 : 방수부 21 : 접속부재
22 : 실장부재 23 : 연결부재
31 : 지지부재 32 : 지지홈
33 : 돌출부재 41 : 절연부재
42 : 차단부재 43 : 미드플레이트
44 : 설치부재 61 : 삽입부재
62 : 실링본체 63 : 실링돌기
311 : 제1지지면 312 : 제2지지면
431 : 제한부재 432 : 미드본체
433 : 접지부재 611 : 제1제한면
612 : 제2제한면 621 : 수용홈
622 : 제1실링면 623 : 제2실링면1: Receptacle Connector 2: Contact
3: shell 4: insulation part
5: Cover 6: Sealing member
7: Waterproofing part 21: Connection member
22: mounting member 23: connecting member
31: support member 32: support groove
33: protruding member 41: insulating member
42: blocking member 43: mid plate
44: installation member 61: insertion member
62: sealing body 63: sealing protrusion
311: first support surface 312: second support surface
431: limiting member 432: mid body
433: Ground member 611: First limiting surface
612: second limiting surface 621: receiving groove
622: first sealing surface 623: second sealing surface
Claims (16)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
상기 쉘에 결합된 커버; 및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쉘에 결합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상기 실링부재가 결합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면에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된 지지홈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커버로부터 전방(前方)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커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실링부재가 후방(後方)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 plurality of contact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g connector and the board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 insulating portion where the contacts are coupled;
A shell to which the insulating part is coupled;
a cover coupled to the shell; and
Includes a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shell to seal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hell,
The shell includes a support member to which the sealing member is coupled and a support groove recessed to a certain dept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protrudes forward from the cover and is located outside the cover. It is coupled to the cover,
The sea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The support member supports the sealing member to limit a distance that the sealing member can move toward the front and a distance that the sealing member can move toward the rear.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홈에 대해 상기 전방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제1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면은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support surface disposed to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groove,
The first support surface is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the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to limit the distance that the sealing member can move toward the front.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홈에 대해 상기 후방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제2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면은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econd support surface disposed to be located rearward of the support groove,
The second support surface supports the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to limit the distance that the sealing member can move toward the rear.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삽입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aling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The support member supports the insertion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to limit the distance at which the sealing member can move toward the front and the distance at which the sealing member can move toward the rear.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전방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제한면, 및 상기 후방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2제한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1제한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면, 및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2제한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ccording to clause 4,
The insertion member includes a first limiting surface disposed to face the front, and a second limiting surface disposed to face the rear,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support surface supporting the first limit surface to limit the distance at which the sealing member can move toward the front, and a second limit surface to limit the distance at which the sealing member can move toward the rear. A receptacle connector comprising a second supporting surface.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삽입부재에 결합된 실링본체, 및 상기 실링본체에 결합된 실링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실링본체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는 내측방향으로 상기 실링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실링돌기는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실링본체를 향하는 외측방향으로 상기 실링본체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ccording to clause 4,
The sealing member includes a sealing body coupled to the insertion member, and a sea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sealing body,
The insertion member protrudes from the sealing body in an inward direction from the sealing body toward the support member,
The sealing protrusion is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sealing body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support member toward the sealing body.
상기 쉘은 상기 지지홈으로부터 상기 전방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ccording to paragraph 1,
A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the shell includes a protruding member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support member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the support groove.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돌출부재 및 상기 커버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전방 쪽을 향하는 전방면이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전방면이 상기 실링부재에 대해 상기 후방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후방 쪽을 향하는 후방면이 상기 실링부재에 대해 상기 전방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In clause 7,
The sea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so as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member in the outward direction between the protrusion member and the cover,
The cover is arranged so that a front surface facing the front protrudes from the support member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the front surface is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toward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sealing member,
A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the protruding member is disposed such that a rear surface facing the rear is spaced apart from the sealing member toward the front.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에 결합된 실링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본체는 상기 돌출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실링본체가 상기 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실링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In clause 7,
The sealing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and a sealing body coupled to the insertion member,
The sealing body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rotruding member,
The protrud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to support the sealing body to limit a distance that the sealing body can move toward the front.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본체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실링본체의 외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실링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ccording to clause 9,
The sealing member is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al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sealing body in the outward direction to seal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body and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실링본체는 상기 전자기기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되는 제1실링면과 제2실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실링면은 상기 실링본체에서 상기 전방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실링본체의 전방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키며,
상기 제2실링면은 상기 실링본체에서 상기 외측방향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실링본체의 외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ccording to clause 9,
The sealing body includes a first sealing surface and a second sealing surface that contact different parts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first sealing surface is arranged to face the front of the sealing main body to seal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aling main body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 second sealing surface is disposed in the sealing body toward the outward direction to seal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body and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 및
상기 쉘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상기 전자기기에 접촉되는 실링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 및 상기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커버로부터 전방(前方)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커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홈은 상기 지지부재의 외면에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실링부재가 상기 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실링부재가 후방(後方)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 plurality of contact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g connector and the board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 insulating portion where the contacts are coupled;
A shell to which the insulating part is coupled; and
Includes a cover coupled to the shell,
The shell includes a support groove for inserting a seal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upport member in which the support groove is formed, and the support member protrudes forward from the cover and is located outside the cover. It is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support groove is formed to be recessed to a certain dept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he support member supports the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to limit the distance at which the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can move toward the front and the distance at which the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can move toward the rear.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쉘은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or 12,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ll is formed as one piece so that there are no joints.
상기 쉘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방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컨택트들을 지지하기 위한 절연부재 및 상기 절연부재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쉘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쉘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방수부는 상기 쉘의 내부에서 상기 차단부재에 대해 상기 후방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or 12,
It includes a waterproof part that seals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The insulating portion includes an insula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contacts and a blocking membe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insulating member, a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shell so that the blocking member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A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the waterproof portion is formed to be located rearward of the blocking member inside the shell.
상기 절연부는 상기 컨택트들을 지지하기 위한 절연부재, 상기 쉘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절연부재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부재, 및 상기 절연부재에 결합된 미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미드플레이트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쉘의 내부에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한부재가 상기 차단부재로부터 상기 전방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or 12,
The insulating portion includes an insula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contacts, a blocking membe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insulating member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and a midplate coupled to the insulating member,
The midplate includes a limiting member to limit the distance at which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hell, and the limi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insulating member so that it protrudes from the blocking member toward the front. connector.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절연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 각각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ccording to clause 15,
A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the limiting memb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strength than each of the insulating member and the block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017606 | 2017-02-08 | ||
KR1020170017606 | 2017-02-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2250A KR20180092250A (en) | 2018-08-17 |
KR102654771B1 true KR102654771B1 (en) | 2024-04-04 |
Family
ID=6340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8521A KR102654771B1 (en) | 2017-02-08 | 2017-02-10 | Receptacl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477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07812B2 (en) * | 2018-10-26 | 2022-07-27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s |
CN111656621B (en) * | 2018-11-28 | 2022-09-13 | Ls美创有限公司 | Socket connector |
KR20220108947A (en) * | 2021-01-28 | 2022-08-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3589324U (en) | 2013-11-05 | 2014-05-07 |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 Electric connector |
JP2015005383A (en) | 2013-06-20 | 2015-01-08 |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 Waterproof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
US20160181723A1 (en) | 2014-12-19 | 2016-06-23 | Advanced-Connectek Inc. | Waterproof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22535B1 (en) * | 2010-11-05 | 2011-04-12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CN103208698B (en) * | 2012-01-12 | 2015-05-27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Electric coupler |
JP5781991B2 (en) * | 2012-08-07 | 2015-09-24 |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 connector |
KR20160001090A (en) * | 2014-06-26 | 2016-0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Interface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160042752A (en) * | 2014-10-10 | 2016-04-20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
2017
- 2017-02-10 KR KR1020170018521A patent/KR10265477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05383A (en) | 2013-06-20 | 2015-01-08 |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 Waterproof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
CN203589324U (en) | 2013-11-05 | 2014-05-07 |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 Electric connector |
US20160181723A1 (en) | 2014-12-19 | 2016-06-23 | Advanced-Connectek Inc. | Waterproof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2250A (en) | 2018-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75392B2 (en) | receptacle connector | |
CN211238649U (en) | Socket connector | |
KR102654771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CN108475878B (en) | Socket connector | |
KR20190085601A (en) | Plug connector | |
KR102654772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102446231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20180000084A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102158267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102552927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102308129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20170123174A (en) | Receptacle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ceptacle Connector | |
KR102235004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102566674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US11063383B2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102583336B1 (en) | Connector assembly | |
KR102266624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102220112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102337132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20200101840A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20190097454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Receptacle Connector | |
JP7275387B2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102397522B1 (en) | Connecto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