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661B1 -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661B1
KR102654661B1 KR1020210014287A KR20210014287A KR102654661B1 KR 102654661 B1 KR102654661 B1 KR 102654661B1 KR 1020210014287 A KR1020210014287 A KR 1020210014287A KR 20210014287 A KR20210014287 A KR 20210014287A KR 102654661 B1 KR102654661 B1 KR 10265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hion
curriculum
production
onli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146A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ublication of KR2021010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은 회원단말에서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실행한 후, 연령 또는 학습난이도에 상응하는 커리큘럼 서비스에 가입하는 단계; 상기 회원단말에서 가입한 커리큘럼의 단계별 학습과정에서 학습한 패션 디자인 지식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 및 제작의도를 온라인 제출하는 단계;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패션 디자인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이해도의 등급에 따라 클리스의 난이도를 조절한 커리큘럼을 상기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fashion design education and support for the start-up of fashion items}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 융합형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지속적 성장 및 기술 융합 성장 동력 산업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과 예술을 창의적으로 융합해낼 수 있는 인재의 육성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 과학기술 및 IT기술과 디자인교육의 만남으로 눈부신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며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있다. 창조 경제의 신 분야로서의 디지털 패션산업의 신시장을 창출하고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패션 콘텐츠 시장의 신시장 진출을 위해 융합형 교육프로그램들의 개발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276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회원단말에서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실행한 후, 연령 또는 학습난이도에 상응하는 커리큘럼 서비스에 가입하는 단계; 상기 회원단말에서 가입한 커리큘럼의 단계별 학습과정에서 학습한 패션 디자인 지식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 및 제작의도를 온라인 제출하는 단계;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패션 디자인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이해도의 등급에 따라 클래스의 난이도를 조절한 커리큘럼을 상기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은 아트 클래스 UI(11), 패션클래스 UI(12) 및 창업지원 UI(13)을 포함하고, 상기 아트 클래스UI(11)는 만 17세 이하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패션 커리큘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정보를 기초로 어린이들이 직접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온라인 전시 및 어린이들이 직접 착용하여 촬영된 패션쇼 영상을 소셜 서비스에 공유할 수 있는 전시/공유 기능을 지원하고, 어린아이들의 연령(8~10, 11~13, 14~17)에 따라 상이한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을 제공하며,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①사고/구상, ②나만의 브랜드 꼴라주 맵 제작, ③패브릭을 이용한 텍스트타일 창작, ④칼라&패턴 플레이 제작, ⑤패션 일러스트 아트 위크, ⑥의상 디자인 체험, ⑦매장 인테리어 구성, ⑧포트폴리오 완성&공유 기능을 포함하는 성인들의 패션 디자이너 체험 커리큘럼을 지원하고,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성인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사용자(회원)이 상기 패션 디자이너 체험 커리큘럼에서 소개한 정보를 기초로 제작한 제작물을 온라인 상에 등록한 후, 회원들 간에 공유하는 기능, 해당 커리큘럼과 연계 또는 기원이 되는 패션, 아트, 타 학문에 관한 지식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지식검색기능, 해당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온라인 등록할 수 있는 기능, 회원들이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가상 런웨이의 아바타에 적용시켜, 회원 마다의 가상의 런웨이 쇼를 론칭하여 타 회원들과 공유할 수 있는 런웨이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창업지원 UI(13)는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로 선발된 회원단말에서 활성화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창업에 대한 교육 정보, 창업과정, 패션경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서, 개인 온라인 전시공간을 지원하고, 회원은 개인 온라인 전시공간을 개인 브랜드의 홍보장인 마케팅 공간 활용되는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연령 또는 학습난이도에 상응하는 패션디자인 커리큘럼 서비스에 가입하고, 가입한 패션디자인 커리큘럼의 단계별 학습과정에서 학습한 패션 디자인 지식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 및 제작의도를 온라인 제출하는 회원단말; 및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패션 디자인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하고, 상기 이해도의 등급에 따라 클래스의 난이도를 조절한 커리큘럼을 상기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은 아트 클래스 UI(11), 패션클래스 UI(12) 및 창업지원 UI(13)을 포함하고, 상기 아트 클래스UI(11)는 만 17세 이하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패션 커리큘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정보를 기초로 어린이들이 직접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온라인 전시 및 어린이들이 직접 착용하여 촬영된 패션쇼 영상을 소셜 서비스에 공유할 수 있는 전시/공유 기능을 지원하고, 어린아이들의 연령(8~10, 11~13, 14~17)에 따라 상이한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을 제공하며,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①사고/구상, ②나만의 브랜드 꼴라주 맵 제작, ③패브릭을 이용한 텍스트타일 창작, ④칼라&패턴 플레이 제작, ⑤패션 일러스트 아트 위크, ⑥의상 디자인 체험, ⑦매장 인테리어 구성, ⑧포트폴리오 완성&공유 기능을 포함하는 성인들의 패션 디자이너 체험 커리큘럼을 지원하고,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성인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사용자(회원)이 상기 패션 디자이너 체험 커리큘럼에서 소개한 정보를 기초로 제작한 제작물을 온라인 상에 등록한 후, 회원들 간에 공유하는 기능, 해당 커리큘럼과 연계 또는 기원이 되는 패션, 아트, 타 학문에 관한 지식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지식검색기능, 해당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온라인 등록할 수 있는 기능, 회원들이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가상 런웨이의 아바타에 적용시켜, 회원 마다의 가상의 런웨이 쇼를 론칭하여 타 회원들과 공유할 수 있는 런웨이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창업지원 UI(13)는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로 선발된 회원단말에서 활성화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창업에 대한 교육 정보, 창업과정, 패션경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서, 개인 온라인 전시공간을 지원하고, 회원은 개인 온라인 전시공간을 개인 브랜드의 홍보장인 마케팅 공간 활용되는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면, 남녀노소 누구나 패션디자인 분야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패션 디자인 교육, 창업에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리큘럼에 대한 지식을 이용하여 제작된 작품에 대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지식 적용도를 평가받을 수 있고, 더 나아가 커리큘럼에서 제공한 지식에 대한 왜곡정도 및 수정되어야 하는 지식이해 및 제작방향을 제작한 작품을 통해 판단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다양한 롤 모델(패션학과 교수, 제작자, 디자이너)이 출시한 디자인 및 제품들에 대한 고유특징들에 대한 정보를 머신러닝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한 후, 패션디자인 교육에 참여한 수강자들이 선정한 롤 모델들의 특징들에 대한 지식이 반영 커리큘럼을 제공함으로써, 수강자들의 교육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션디자인 커리큘럼을 이수한 수강생을 대상으로 패션분야의 창업에 대한 정보를 지원해 줌으로서, 패션디자인 교육부터 창업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대한 교육 서비스를 지원해 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리큘럼 플랫폼 관리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디자인 클래스 교육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회원단말(200) 및 플랫폼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단말(200)과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네트워크 통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할 것이다.
먼저, 회원단말(200)은 후술하는 플랫폼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실행한 후, 연령 또는 학습난이도에 상응하는 커리큘럼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패션 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10)을 이용하여 패션, 뷰티, 조소, 공예 디자인 등에 대한 등급별 패션디자인 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받고, 상기 등급별 패션디자인 커리큘럼의 챕터가 완료되는 시점 마다에 해당 챕터에서 학습하거나 또는 소개된 교육정보를 기초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후술하는 플랫폼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원단말(200)은 후술하는 플랫폼 관리서버(300)로부터 해당 이미지를 기초로 분석한 커리큘럼에 대한 이해도 평가정보를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회원단말(200)은 이해도 평가에 따라 난이도가 조정된 커리큘럼을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회원단말(200)은 회원이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의 모든 커리큘럼을 이수할 경우, 커리큘럼의 채터별 또는 챕터들에서 학습한 교육정보를 기초로 제작한 패션 디자인 제작물을 착용한 착용영상을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회원단말(200)은 패션 디자인 제작물을 착용한 착용영상을 회원간 및 SNS 상에 일반인에게 공유하고, 제작 결과물에 대한 감상평을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회원단말(200)은 후술하는 플랫폼 관리서버(300)에서 지원하는 가상 런웨이에 접속가능한 단말일 수 있고, 커리큘럼의 챕터별 또는 챕터들에서 학습한 교육정보를 기초로 제작한 패션 디자인 제품의 이미지를 착용한 아바타의 런웨이를 실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패션 디자인 제품의 이미지는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3차원 입체이미지로 가공하여 가상 런웨이에 활보하는 아바타에 적용되고, 회원은 아바타의 런웨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런웨이 가상공간은 회원이 가입한 커리큘럼의 전 과정을 이수한 경우에 한하여 개인 또는 그룹별로 제공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원단말(200)은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의 단말일 경우, 창업에 대한 교육정보를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원단말(200)은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상기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 내에 개인 전시공간을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원단말(200)은 패션 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10)에서 지원하는 커리큘럼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작가능한 제품에 대한 제작방법, 제품제작에 필요한 자재의 구입처 등에 대한 1:1 맞춤정보를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패션 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10)과 접속가능한 단말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2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에서 제시하는 상기 패션 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10, KAART)은 아트 클래스 UI(11), 패션클래스 UI(12) 및 창업지원 UI(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트 클래스UI(11)는 만 17세 이하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패션 커리큘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정보를 기초로 어린이들이 직접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온라인 전시 및 어린이들이 직접 착용하여 촬영된 패션쇼 영상을 소셜 서비스에 공유할 수 있는 전시/공유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아트 클래스 UI(11)는 어린아이들의 연령(8~10, 11~13, 14~17)에 따라 상이한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을 제공하며,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아트 클래스 UI(11)는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성인들의 패션 디자이너 채험 커리큘럼(일 예로, ①사고/구상, ②나만의 브랜드 꼴라주 맵 제작, ③패브릭을 이용한 텍스트타일 창작, ④칼라&패턴 플레이 제작, ⑤패션 일러스트 아트 위크, ⑥의상 디자인 체험, ⑦매장 인테리어 구성, ⑧포트폴리오 완성&공유 등)을 제공한다.
상기 패션 클래스 UI(11)는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성인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패션 클래스 플랫폼(12)은 사용자(회원)이 패션 디자인 체험 커리큘럼에서 소개한 정보를 기초로 제작한 제작물을 온라인 상에 등록한 후, 회원들 간에 공유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해당 커리큘럼과 연계 또는 기원이 되는 패션, 아트, 타 학문에 관한 지식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지식검색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온라인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회원들이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가상 런웨이의 아바타에 적용시켜, 회원 마다의 가상의 런웨이 쇼를 론칭하여 타 회원들과 공유할 수 있는 런웨이 공유 서비스를 지원한다.
다음으로, 창업지원 UI(13)는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로 선발된 회원단말에서 활성화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창업에 대한 교육 정보, 창업과정, 패션경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창업 UI(13)는 개인 온라인 전시공간을 지원하고, 회원은 개인 온라인 전시공간을 마케팅 공간, 예컨대, 개인 브랜드의 홍보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패션 디자인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하고, 상기 이해도의 등급에 따라 클리스의 난이도를 조절한 커리큘럼을 상기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상기 회원단말에서 가입한 커리큘럼의 전 과정을 이수한 경우, 전 과정에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개인 또는 그룹별 가상 런웨이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런웨이 공간을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창업에 대한 교육정보를 상기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상기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 내에 개인 전시공간을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수강자 관리부(310), 커리큘럼 제공부(320), 인공지능 학습부(330), 평가부(340), 가상서비스부(350) 및 창업지원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수강자 관리부(310)는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의 회원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강자 관리부(310)는 연령 대별로 등록한 회원들을 신규회원 및 기존회원으로 분류하고, 기존회원의 경우, 후술하는 평가부의 평가결과에 따라 난이도가 조정된 커리큘럼 등급으로 회원의 수강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수강자 관리부(310)는 회원단말(200)에서 제공한 이미지(회원이 제작한 패션 디자인 제품의 이미지 및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회원 별로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320)는 연령별 맞춤식 패션디자인 커리큘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예로,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320)는 패션 디자인에 대한 학문, 유명 브랜드의 특징교육, 패션 디자인 설계-제작, 상품런칭 및 패션쇼 과정, 개인 브랜드의 창업 등에 대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320)는 후술하는 평가부(340)의 회원별 평가결과를 기초로 해당 회원에게 제공되는 표준 커리큘럼의 난이도를 조절한 맞춤식 커리큘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320)는 회원이 지정한 유명 패션디자이너, 유명제품 등에 대한 패션특징을 후술하는 인고지능 학습부(330)로부터 제공받아 회원의 패션디자인 커리큘럼 내에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인공지능 학습부(330)는 상술한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320)에서 제공하는 표준 커리큘럼 프로그램을 학습한 회원의 평가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연령에 부합하는 맞춤형 표준난이도를 자가학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 학습부(330)는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며, 상기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은 Deep Belief Network, Autoencoder,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rural Network), Deep Q-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열거한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은 일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앞에서 열거한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인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적용시켜, 본원의 패션 디자인 교육 서비스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평가부(340)는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회원단말에서 제공한 패션 디자인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평가부(340)는 상술한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320)에서 제공하는 커리큘럼 프로그램들 각각의 세부 챕터에서 중요시하는 평가 포인트 정보를 제공받고, 평가 포인트 정보가 포함되는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상서비스부(350)는 회원단말에서 가입한 커리큘럼의 전 과정을 이수한 경우, 전 과정에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개인 또는 그룹별 가상 런웨이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런웨이 공간을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서비스부(350)는 회원단말에서 가입한 커리큘럼의 전 과정을 이수한 경우, 전 과정에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3차원 커스터마이징 기법을 이용하여 3D 입체화한 후, 회원이 지정한 인종, 신체, 워킹동작이 적용된 가상 아바타에 착용시켜 가상 런웨이 공간에 적용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서비스부(350)는 가상 런웨이 공간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해당 회원이 제시한 제품 이미지에 대한 평가를 표시하기 위한 감정표시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창업지원부(360)는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창업에 대한 교육정보를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창업에 대한 교육정보는 패션디자인 경영, 특성화, 선배들의 실전경험 등에 지식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창업지원부(360)는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상기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 내에 개인 전시공간을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방법(S700)은 회원단말에서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실행한 후, 연령 또는 학습난이도에 상응하는 커리큘럼 서비스에 가입(S710)한다.
이후, 상기 회원단말에서 가입한 커리큘럼의 단계별 학습과정에서 학습한 패션 디자인 지식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 및 제작의도를 온라인 제출(S720)한다.
다음으로, 플랫폼 관리서버(300)에서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패션 디자인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S730)한 후, 상기 이해도의 등급에 따라 클리스의 난이도를 조절한 커리큘럼을 상기 회원단말로 제공(S740)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방법(S700)은 상기 회원단말에서 가입한 커리큘럼의 전 과정을 이수한 경우, 전 과정에서 제작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개인 또는 그룹별 가상 런웨이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런웨이 공간을 제공하는 과정(S750)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방법(S700)은 상기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를 대상으로 창업에 대한 교육정보 및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 내에 개인 전시공간을 제공하는 과정(S7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에서 제시하는 상기 패션 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10, KAART)은 아트 클래스 UI(11), 패션클래스 UI(12) 및 창업지원 UI(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트 클래스UI(11)는 만 17세 이하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패션 커리큘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정보를 기초로 어린이들이 직접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온라인 전시 및 어린이들이 직접 착용하여 촬영된 패션쇼 영상을 소셜 서비스에 공유할 수 있는 전시/공유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아트 클래스 UI(11)는 어린아이들의 연령(8~10, 11~13, 14~17)에 따라 상이한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을 제공하며,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아트 클래스 UI(11)는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성인들의 패션 디자이너 채험 커리큘럼(일 예로, ①사고/구상, ②나만의 브랜드 꼴라주 맵 제작, ③패브릭을 이용한 텍스트타일 창작, ④칼라&패턴 플레이 제작, ⑤패션 일러스트 아트 위크, ⑥의상 디자인 체험, ⑦매장 인테리어 구성, ⑧포트폴리오 완성&공유 등)을 제공한다.
상기 패션 클래스 UI(11)는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성인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과 관련된 지식 또는 기술 또는 특징이 반영된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커리큘럼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패션 클래스 플랫폼(12)은 사용자(회원)이 패션 디자인 체험 커리큘럼에서 소개한 정보를 기초로 제작한 제작물을 온라인 상에 등록한 후, 회원들 간에 공유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해당 커리큘럼과 연계 또는 기원이 되는 패션, 아트, 타 학문에 관한 지식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지식검색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온라인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회원들이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가상 런웨이의 아바타에 적용시켜, 회원 마다의 가상의 런웨이 쇼를 론칭하여 타 회원들과 공유할 수 있는 런웨이 공유 서비스를 지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패션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패션 디자인 교육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온/오프라인으로 새로운 형태의 패션 양성 교육 서비스 및 커뮤니케이션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고, 창조 경제의 신 분야로서의 디지털 패션산업의 신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시스템
200: 회원단말
300: 플랫폼 관리서버
310: 수강자 관리부
320: 커리큘럼 프로그램 제공부
330: 인공지능 학습부
340: 평가부
350: 가상서비스부
360: 창업지원부

Claims (8)

  1. 회원단말에서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실행한 후, 연령 또는 학습난이도에 상응하는 커리큘럼 서비스에 가입하는 단계;
    상기 회원단말에서 가입한 커리큘럼의 단계별 학습과정에서 학습한 패션 디자인 지식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 및 제작의도를 온라인 제출하는 단계;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패션 디자인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이해도의 등급에 따라 클래스의 난이도를 조절한 커리큘럼을 상기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은
    아트 클래스 UI(11), 패션클래스 UI(12) 및 창업지원 UI(13)을 포함하고,
    상기 아트 클래스UI(11)는
    만 17세 이하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패션 커리큘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정보를 기초로 어린이들이 직접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온라인 전시 및 어린이들이 직접 착용하여 촬영된 패션쇼 영상을 소셜 서비스에 공유할 수 있는 전시/공유 기능을 지원하고, 어린아이들의 연령(8~10, 11~13, 14~17)에 따라 상이한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을 제공하며,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①사고/구상, ②나만의 브랜드 꼴라주 맵 제작, ③패브릭을 이용한 텍스트타일 창작, ④칼라&패턴 플레이 제작, ⑤패션 일러스트 아트 위크, ⑥의상 디자인 체험, ⑦매장 인테리어 구성, ⑧포트폴리오 완성&공유 기능을 포함하는 성인들의 패션 디자이너 체험 커리큘럼을 지원하고,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성인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사용자(회원)이 상기 패션 디자이너 체험 커리큘럼에서 소개한 정보를 기초로 제작한 제작물을 온라인 상에 등록한 후, 회원들 간에 공유하는 기능, 해당 커리큘럼과 연계 또는 기원이 되는 패션, 아트, 타 학문에 관한 지식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지식검색기능, 해당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온라인 등록할 수 있는 기능, 회원들이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가상 런웨이의 아바타에 적용시켜, 회원 마다의 가상의 런웨이 쇼를 론칭하여 타 회원들과 공유할 수 있는 런웨이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창업지원 UI(13)는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로 선발된 회원단말에서 활성화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창업에 대한 교육 정보, 창업과정, 패션경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서,
    개인 온라인 전시공간을 지원하고, 회원은 개인 온라인 전시공간을 개인 브랜드의 홍보장인 마케팅 공간 활용되는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연령 또는 학습난이도에 상응하는 패션디자인 커리큘럼 서비스에 가입하고, 가입한 패션디자인 커리큘럼의 단계별 학습과정에서 학습한 패션 디자인 지식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 제작물 및 제작과정에 대한 이미지 및 제작의도를 온라인 제출하는 회원단말; 및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패션 디자인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하고, 상기 이해도의 등급에 따라 클래스의 난이도를 조절한 커리큘럼을 상기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패션디자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은
    아트 클래스 UI(11), 패션클래스 UI(12) 및 창업지원 UI(13)을 포함하고,
    상기 아트 클래스UI(11)는
    만 17세 이하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패션 커리큘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정보를 기초로 어린이들이 직접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온라인 전시 및 어린이들이 직접 착용하여 촬영된 패션쇼 영상을 소셜 서비스에 공유할 수 있는 전시/공유 기능을 지원하고, 어린아이들의 연령(8~10, 11~13, 14~17)에 따라 상이한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을 제공하며, 패션 아이템 제작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①사고/구상, ②나만의 브랜드 꼴라주 맵 제작, ③패브릭을 이용한 텍스트타일 창작, ④칼라&패턴 플레이 제작, ⑤패션 일러스트 아트 위크, ⑥의상 디자인 체험, ⑦매장 인테리어 구성, ⑧포트폴리오 완성&공유 기능을 포함하는 성인들의 패션 디자이너 체험 커리큘럼을 지원하고,
    AI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성인들이 제작한 제작물, 제작과정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커리큘럼에서 소개된 학업내용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화한 결과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패션 클래스 UI(12)는
    사용자(회원)이 상기 패션 디자이너 체험 커리큘럼에서 소개한 정보를 기초로 제작한 제작물을 온라인 상에 등록한 후, 회원들 간에 공유하는 기능, 해당 커리큘럼과 연계 또는 기원이 되는 패션, 아트, 타 학문에 관한 지식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지식검색기능, 해당 커리큘럼에 따라 제작된 제작 아이템을 커리큘럼의 제작과정 과정마다 온라인 등록할 수 있는 기능, 회원들이 제작한 패션 아이템을 가상 런웨이의 아바타에 적용시켜, 회원 마다의 가상의 런웨이 쇼를 론칭하여 타 회원들과 공유할 수 있는 런웨이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창업지원 UI(13)는
    가상 런웨이 공간 내에 참여한 온라인 참여자(관객)들의 호응도가 가장 높은 수강자로 선발된 회원단말에서 활성화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창업에 대한 교육 정보, 창업과정, 패션경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서,
    개인 온라인 전시공간을 지원하고, 회원은 개인 온라인 전시공간을 개인 브랜드의 홍보장인 마케팅 공간 활용되는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14287A 2020-02-07 2021-02-01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654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14917 2020-02-07
KR1020200014917 2020-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146A KR20210101146A (ko) 2021-08-18
KR102654661B1 true KR102654661B1 (ko) 2024-04-05

Family

ID=7746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287A KR102654661B1 (ko) 2020-02-07 2021-02-01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08B1 (ko) * 2021-03-15 2023-08-29 김현수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983A (ko) * 2012-01-20 2013-08-13 오창현 유무선 데이터 통신 기반의 디자인 등록, 제품 생산 및 수익분배를 위한 오픈형 통합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10898A (ko) * 2013-07-19 2015-01-29 (주)애니컴씨앤씨 미술 교육 방법 및 미술 교육을 통하여 생성된 창작물의 활용 방법
KR101586829B1 (ko) * 2013-08-01 2016-01-20 김태경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4268603B (zh) * 2014-09-16 2017-04-12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用于文字性客观题的智能阅卷方法及系统
KR20160082761A (ko) 2014-12-29 2016-07-1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1인 창업을 위한 디지털 패션 인력양성 교육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146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ggin Facebook’s mobile career
Farrugia Towards a spatialised youth sociology: The rural and the urban in times of change
Nijholt Towards playful and playable cities
Lehtonen et al. The four faces of creative industries: visualising the game industry ecosystem in Helsinki and Tokyo
Zurita et al. Using the cloud to develop applications supporting geo-collaborative situated learning
KR102654661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패션디자인 교육 및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Zhang et al. Opinion formation with time-varying bounded confidence
Cao et al. Construction of sports safety information mining platform based on multimedia data sharing technology
Fan Research on innovation and application of 5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mage and speech recognition technologies
Vattano Smart Technology for smart regeneration of cultural heritage: Italian smart cities in comparison
KR102184162B1 (ko) 반응형 웹툰 제작 시스템 및 방법
Balestrini et al. Onboarding communities to the IoT
Davies et al. Evolving atomic aesthetics and dynamics
Arrigoni et al. Understanding artistic prototypes between activism and research
CN112115703B (zh) 文章评估方法及装置
Stratton Platform politics: Software as strategy in Apple’s platform ecosystem
Wan et al. Discussion on the application of WeChat mini program in the lifelong education of basic computer knowledge in the age of mobile learning
Keating et al. Information systems design theory for location-based educational services i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s
Yaldiz et al. Scenario Creation for Supporting Inclusivity in a Product Life Cycle
Bodnarchuk et al. Use of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in Scenarios Design for a Digital Museum with XR components.
KR102495903B1 (ko) Diy 패션북 키트 및 diy 패션북 키트가 적용가능한 패션커리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Predescu et al. A case study for emerging technologies and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AR in higher education
Yunanto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 Prayer Reminder Application using KISS Principle based on User Centered Design
KR102638736B1 (ko) 메타버스 기반의 체험 및 학습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Hasan et al. Training and development of Internet of Things creative industry entrepreneurship models for UPI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