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101B1 -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101B1
KR102654101B1 KR1020230057657A KR20230057657A KR102654101B1 KR 102654101 B1 KR102654101 B1 KR 102654101B1 KR 1020230057657 A KR1020230057657 A KR 1020230057657A KR 20230057657 A KR20230057657 A KR 20230057657A KR 102654101 B1 KR102654101 B1 KR 102654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ze prevention
pressure
pipe
wat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케이
Priority to KR1020230057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5Arrangement of devices for control of pressure or flow 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or pump cylinders, wherein the flow-path through the stages can be changed, e.g. from series to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상수를 공급하거나, 상수처리장에서 멀리 떨어진 원거리 지역으로 상수를 공급할 때, 충분한 상수 압력을 얻기 위해, 상수도관 내의 상수를 충분한 압력으로 가압하며, 동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는 흡입관(L1)과 토출관(L2) 사이에 제 1 가압관(L3), 제 2 가압관(L4) 및 바이패스관(L5)이 병렬로 배치되고, 흡입관(L1)에 제 1 압력센서(11)가 장착되고, 토출관(L2)에 제 2 압력센서(12) 및 온도센서(13)가 장착되고, 토출관(L2)에 압력탱크(14)가 연결되고, 제 1 가압관(L3)에 제 1 펌프(P1)가 장착되고, 제 2 가압관(L4)에 제 2 펌프(P2)가 배치되고, 바이패스관(L5)에 제 3 및 제 4 제수밸브(V3, V4)와 제 1 체크밸브(CV1)가 장착되고, 흡입관(L1)과 토출관(L2)이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L6)에 의해 연결되고,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L6)에 릴리프 밸브(15)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WATER SUPPLY PRESSURIZATION DEVICE TO PREVENT FREEZ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상수를 공급하거나, 상수처리장에서 멀리 떨어진 원거리 지역으로 상수를 공급할 때, 충분한 상수 압력을 얻기 위해, 상수도관 내의 상수를 충분한 압력으로 가압하며, 동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관과 토출관 사이에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이 연결되어, 동절기에 온도센서에서 감지한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지고, 사용처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아 물의 흐름이 없으면, 토출관의 압력이 릴리프 밸브의 개방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펌프를 구동하여, 동파가 방지되도록 물이 바이패스관을 통해 순환하게 되는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830622호(2018년 2월 13일, 등록)에 "지중매설형 상수도 가압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지중매설형 상수도 가압장치는 제 1 가압관의 내부에 제 1 수중모터펌프가 장착되고, 제 2 가압관의 내부에 제 2 수중모터펌프가 장착되며, 제 1 가압관과 제 2 가압관이 서로 평행하게 상하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제 1 가압관의 상단 및 제 2 가압관의 상단이 함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며, 제 1 가압관 또는 제 2 가압관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흡입관에 장착되는 스트레이너 및 수도미터와, 제 1 가압관의 에어벤트 및 수위감지센서)와, 제 2 가압관의 에어벤트 및 수위감지센서와, 제 1 가압관 또는 제 2 가압관에서 토출되는 물을 상수도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관에 장착되는 체크밸브, 압력계 및 개폐밸브와 같은 부속품이 함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토출관에 연결되는 압력탱크가 별도의 하우징에 내장됨으로써, 함체의 크기가 최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지중매설형 상수도 가압장치는 동절기에 가압관 및 펌프 등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대한 설명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관과 토출관 사이에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이 연결되어, 동절기에 온도센서에서 감지한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지고, 사용처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아 물의 흐름이 없으면, 토출관의 압력이 릴리프 밸브의 개방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펌프를 구동하여, 물이 바이패스관을 통해 순환하게 됨으로써, 동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는 흡입관과 토출관 사이에 제 1 가압관, 제 2 가압관 및 바이패스관이 병렬로 배치되고, 흡입관에 제 1 압력센서가 장착되고, 토출관에 제 2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가 장착되고, 토출관에 압력탱크가 연결되고, 제 1 가압관에 제 1 펌프가 장착되고, 제 2 가압관에 제 2 펌프가 배치되고, 바이패스관에 제 3 및 제 4 제수밸브와 제 1 체크밸브가 장착되고, 흡입관과 토출관이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에 의해 연결되고,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에 릴리프 밸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에 제 1 제수밸브가 장착되고, 토출관에 제 2 제수밸브가 장착되고,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에 제 5 제수밸브가 장착되고, 제 1 가압관에 제 6 제수밸브, 제 7 제수밸브 및 제 2 체크밸브가 장착되어, 제 6 제수밸브와 제 7 제수밸브 사이에 제 1 펌프가 배치되고, 제 2 가압관에 제 8 제수밸브, 제 9 제수밸브 및 제 3 체크밸브가 장착되어, 제 8 제수밸브와 제 9 제수밸브 사이에 제 2 펌프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릴리프 밸브는 개방압력이 토출관에 걸리는 기본 설정압력보다 높고, 동파방지 기능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의 제어방법은,
토출관에 걸리는 기본 설정압력, 동파방지 기능압력, 릴리프 밸브의 개방압력, 동파방지 운전온도,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 및 동파방지 운전시간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S110)와,
펌프를 운전하는 단계(S120)와,
펌프의 구동이 정지된 운전 대기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30)와,
운전 대기 상태이면,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 온도를 압력받아, 측정 온도가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온도보다 낮은가?를 판단하는 단계(S140)와,
측정 온도가 동파방지 운전온도보다 낮으면, 펌프정지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보다 긴가?를 판단하는 단계(S150)와,
펌프정지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보다 길면, 기본 설정압력이 제 2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현재의 측정압력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60)와,
기본 설정압력이 현재의 측정 압력보다 낮으면, 동파방지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의 제어방법은,
펌프의 구동이 정지된 운전 대기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30)에서, 운전 대기 상태가 아니면, S120단계로 피드백하고,
측정 온도가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온도보다 낮은가?를 판단하는 단계(S140)에서, 측정 온도가 동파방지 운전온도보다 높으면, S120단계로 피드백하고,
펌프정지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보다 긴가?를 판단하는 단계(S150)에서, 펌프정지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보다 길지 않으면, S120단계로 피드백하고,
기본 설정압력이 제 2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현재의 측정압력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60)에서, 기본 설정압력이 현재의 측정 압력보다 높으면, S120단계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파방지모드(S170)는
가압관의 물이 동파방지 바이패스관을 통해 순환하도록, 기본 설정압력을 동파방지 기능압력으로 변경하고, 동파방지 기능압력에 대응하는 동파방지운전 최저 주파수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171)와,
펌프가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중에 사용처에서 물의 사용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72)와,
물의 사용이 없으면,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중인 펌프의 운전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시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파방지모드는 가압관의 물이 동파방지 바이패스관을 통해 순환하도록, 기본 설정압력을 동파방지 기능압력으로 변경하고, 동파방지 기능압력에 대응하는 동파방지운전 최저 주파수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171)에서, 동파방지 기능압력은 릴리프 밸브의 개방압력보다 높게 설정되어, 메인 펌프가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하게 되면, 릴리프 밸브가 개방되어, 토출관의 물이 동파방지 바이패스관을 통해 순환하게 되고,
펌프가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중에 사용처에서 물의 사용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72)에서, 사용처에서 물의 사용이 있으면, 동파방지모드를 해제하고, 동파방지 기능 압력을 기본 설정압력으로 변경하고, S120단계로 피드백하고,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중인 펌프의 운전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시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73)에서, 펌프의 운전시간이 동파방지 운전시간 이상이면, S120 단계로 피드백하고, 펌프의 운전시간이 동파방지 운전시간보다 적으면, S161 단계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는 노말 상태에서 릴리프 밸브의 개방압력이 토출관의 압력보다 높게 설정되어, 동파방지 바이패스관으로 물이 흐르지 않고, 동절기에 온도센서에서 감지한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지고, 사용처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아 물의 흐름이 없으면, 토출관의 압력이 릴리프 밸브의 개방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펌프를 구동하여, 물이 바이패스관을 통해 순환하게 됨으로써, 동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의 동파방지를 위한 순서도
도 3은 도 2의 동파방지모드를 설명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는 흡입관(L1)과 토출관(L2) 사이에 제 1 가압관(L3), 제 2 가압관(L4) 및 바이패스관(L5)이 병렬로 배치되고, 흡입관(L1)에 제 1 압력센서(11)가 장착되고, 토출관(L2)에 제 2 압력센서(12) 및 온도센서(13)가 장착되고, 토출관(L2)에 압력탱크(14)가 연결되고, 제 1 가압관(L3)에 제 1 펌프(P1)가 장착되고, 제 2 가압관(L4)에 제 2 펌프(P2)가 배치되고, 바이패스관(L5)에 제 3 및 제 4 제수밸브(V3, V4)와 제 1 체크밸브(CV1)가 장착되고, 흡입관(L1)과 토출관(L2)이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L6)에 의해 연결되고,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L6)에 릴리프 밸브(15)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는 흡입관(L1)에 제 1 제수밸브(V1)가 장착되고, 토출관(L2)에 제 2 제수밸브(V2)가 장착되고,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L6)에 제 5 제수밸브(V5)가 장착되고, 제 1 가압관(L3)에 제 6 제수밸브(V6), 제 7 제수밸브(V7) 및 제 2 체크밸브(CV2)가 장착되어, 제 6 제수밸브(V6)와 제 7 제수밸브(V7) 사이에 제 1 펌프(P1)가 배치되고, 제 2 가압관(L4)에 제 8 제수밸브(V8), 제 9 제수밸브(V9) 및 제 3 체크밸브(CV3)가 장착되어, 제 8 제수밸브(V8)와 제 9 제수밸브(V9) 사이에 제 2 펌프(P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펌프(P1) 및 제 2 펌프(P2)는 어느 하나가 메인 펌프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가 보조 펌프로 사용된다.
상기 릴리프 밸브(15)는 개방압력이 토출관(L2)에 걸리는 기본 설정압력보다 높고, 동파방지 기능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기본 설정압력이 8.5kgf/cm2이면, 릴리프 밸브(15)는 개방압력이 9.0kgf/cm2 정도로 설정되고, 릴리프 밸브(15)는 개방압력이 9.0kgf/cm2 으로 설정되면, 동파방지 기능압력은 9.3kgf/cm2 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노말 상황에서 물이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L6)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내지 제 9 제수밸브(V1 ~ V9)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는 온도센서(13)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노말 상태에서 릴리프 밸브(15)의 개방압력이 토출관(l2)의 기본 설정압력보다 높게 설정되어, 동파방지 바이패스관(l6)으로 물이 흐르지않고, 온도센서(13)에서 감지한 측정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토출관(L2)의 압력을 릴리프 밸브(15)의 개방압력보다 높게 형성하도록, 메인 펌프인 제 1 펌프(P1)가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되어, 사용처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아 물의 흐름이 정지되었을 때, 물이 바이패스관(L6)을 통해 순환하게 됨으로써, 동절기에 상수도 가압장치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의 동파방지 운전방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의 동파방지 운전방법은 제어부를 기준으로 제어부에서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토출관(L2)에 걸리는 기본 설정압력, 동파방지 기능압력, 릴리프 밸브(15)의 개방압력, 동파방지 운전온도,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 및 동파방지 운전시간을 각각 설정한다(S110).
펌프를 운전한다(S120).
펌프의 구동이 정지된 운전 대기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130). 이때, 운전 대기 상태가 아니면, S120단계로 피드백한다.
운전 대기 상태이면, 온도 센서(13)로부터 측정 온도를 압력받아, 측정 온도가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온도보다 낮은가?를 판단한다(S140). 이때, 측정 온도가 동파방지 운전온도보다 높으면, S120단계로 피드백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에 설정되는 동파 방지 운전온도를 2℃로 설정할 수 있으며, 운전 대기 상태에서 온도센서(13)에서 측정한 측정 온도가 2℃보다 낮은가?를 비교하게 된다.
측정 온도가 동파방지 운전온도보다 낮으면, 펌프정지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보다 긴가?를 판단한다(S150). 이때, 펌프정지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보다 길지 않으면, S120단계로 피드백한다.
예를 들어,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은 10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펌프정지시간이 10분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펌프정지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보다 길면, 기본 설정압력이 제 2 압력센서(12)에서 측정한 현재의 측정압력 이하인가?를 판단한다(S160). 이때, 기본 설정압력이 현재의 측정 압력보다 높으면, S120단계로 피드백한다.
예를 들어, 기본 설정압력은 8.5kgf/cm2로 설정할 수 있으며, 측정압력이 기본 설정압력인 8.5kgf/cm2 이하인가?를 판단한다.
기본 설정압력이 현재의 측정 압력보다 낮으면, 동파방지모드로 진입한다(S17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동파방지모드(S170)는 가압관의 물이 동파방지 바이패스관(L6)을 통해 순환하도록, 기본 설정압력을 동파방지 기능압력으로 변경하고, 동파방지 기능압력에 대응하는 동파방지운전 최저 주파수로 펌프를 구동한다(S171).
예를 들어, 상기 동파방지 기능압력은 9.3kgf/cm2 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9.3kgf/cm2의 압력에 대응하는 운전 최저 주파수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릴리프 밸브는 9.0kgf/cm2 으로 개방 압력이 설정되어 있고, 동파방지 기능 압력은 9.3kgf/cm2 으로 설정되어, 메인 펌프인 제 1 펌프(P12)가 9.3kgf/cm2에 대응하는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하게 되면, 릴리프 밸브(15)가 개방되어, 토출관(L2)의 물이 동파방지 바이패스관(L6)을 통해 순환하게 된다.
펌프가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중에 사용처에서 물의 사용하는가?를 판단한다(S172).
사용처에서 물의 사용이 있으면, 동파방지모드를 해제하고, 동파방지 기능 압력을 기본 설정압력으로 변경하고, S120단계로 피드백한다.
물의 사용이 없으면,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중인 펌프의 운전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시간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173).
예를 들어, 동파방지 운전시간은 5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중인 펌프의 운전시간이 5분 이상인가를 판단한다.
펌프의 운전시간이 동파방지 운전시간 이상이면, S120 단계로 피드백한다.
펌프의 운전시간이 동파방지 운전시간보다 적으면, S161 단계로 피드백한다.
여기서, 물의 사용은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버터로부터 운전 주파수가 운전 최저 주파수보다 설정값(예를 들어, 5Hz) 이상 높은가?를 비교하여, 높으면 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높지않으면 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토출관(L2)에 장착된 제 2 압력센서(12)의 측정압력에 따라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가 가변되므로, 제어부는 인버터로부터 입력되는 운전 주파수가 운전 최저 주파수보다 설정값(aHz) 이상이면, 동파방지모드를 해제하고, S120 단계로 피드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L1 : 흡입관 L2 : 토출관
L3 : 제 1 가압관 L4 : 제 2 가압관
L5 : 바이패스관 L6 :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
P1 : 제 1 펌프 P2 : 제 2 펌프
11 : 제 1 압력센서 12 : 제 2 압력센서
13 : 온도센서 14 : 압력탱크
15 : 릴리프 밸브

Claims (7)

  1. 흡입관(L1)과 토출관(L2) 사이에 제 1 가압관(L3), 제 2 가압관(L4) 및 바이패스관(L5)이 병렬로 배치되고, 흡입관(L1)에 제 1 압력센서(11)가 장착되고, 토출관(L2)에 제 2 압력센서(12) 및 온도센서(13)가 장착되고, 토출관(L2)에 압력탱크(14)가 연결되고, 제 1 가압관(L3)에 제 1 펌프(P1)가 장착되고, 제 2 가압관(L4)에 제 2 펌프(P2)가 배치되고, 바이패스관(L5)에 제 3 및 제 4 제수밸브(V3, V4)와 제 1 체크밸브(CV1)가 장착되고, 흡입관(L1)과 토출관(L2)이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L6)에 의해 연결되고,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L6)에 릴리프 밸브(15)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L1)에 제 1 제수밸브(V1)가 장착되고, 토출관(L2)에 제 2 제수밸브(V2)가 장착되고, 동파방지용 바이패스관(L6)에 제 5 제수밸브(V5)가 장착되고, 제 1 가압관(L3)에 제 6 제수밸브(V6), 제 7 제수밸브(V7) 및 제 2 체크밸브(CV2)가 장착되어, 제 6 제수밸브(V6)와 제 7 제수밸브(V7) 사이에 제 1 펌프(P1)가 배치되고, 제 2 가압관(L4)에 제 8 제수밸브(V8), 제 9 제수밸브(V9) 및 제 3 체크밸브(CV3)가 장착되어, 제 8 제수밸브(V8)와 제 9 제수밸브(V9) 사이에 제 2 펌프(P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15)는 개방압력이 토출관(L2)에 걸리는 기본 설정압력보다 높고, 동파방지 기능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4. 토출관(L2)에 걸리는 기본 설정압력, 동파방지 기능압력, 릴리프 밸브(15)의 개방압력, 동파방지 운전온도,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 및 동파방지 운전시간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S110)와,
    펌프를 운전하는 단계(S120)와,
    펌프의 구동이 정지된 운전 대기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30)와,
    운전 대기 상태이면, 온도 센서(13)로부터 측정 온도를 압력받아, 측정 온도가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온도보다 낮은가?를 판단하는 단계(S140)와,
    측정 온도가 동파방지 운전온도보다 낮으면, 펌프정지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보다 긴가?를 판단하는 단계(S150)와,
    펌프정지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보다 길면, 기본 설정압력이 제 2 압력센서(12)에서 측정한 현재의 측정압력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60)와,
    기본 설정압력이 현재의 측정 압력보다 낮으면, 동파방지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펌프의 구동이 정지된 운전 대기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30)에서, 운전 대기 상태가 아니면, S120단계로 피드백하고,
    측정 온도가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온도보다 낮은가?를 판단하는 단계(S140)에서, 측정 온도가 동파방지 운전온도보다 높으면, S120단계로 피드백하고,
    펌프정지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보다 긴가?를 판단하는 단계(S150)에서, 펌프정지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대기시간보다 길지 않으면, S120단계로 피드백하고,
    기본 설정압력이 제 2 압력센서(12)에서 측정한 현재의 측정압력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60)에서, 기본 설정압력이 현재의 측정 압력보다 높으면, S120단계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파방지모드(S170)는
    가압관의 물이 동파방지 바이패스관(L6)을 통해 순환하도록, 기본 설정압력을 동파방지 기능압력으로 변경하고, 동파방지 기능압력에 대응하는 동파방지운전 최저 주파수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171)와,
    펌프가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중에 사용처에서 물의 사용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72)와,
    물의 사용이 없으면,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중인 펌프의 운전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시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가압관의 물이 동파방지 바이패스관(L6)을 통해 순환하도록, 기본 설정압력을 동파방지 기능압력으로 변경하고, 동파방지 기능압력에 대응하는 동파방지운전 최저 주파수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171)에서, 동파방지 기능압력은 릴리프 밸브의 개방압력보다 높게 설정되어, 메인 펌프가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하게 되면, 릴리프 밸브(15)가 개방되어, 토출관(L2)의 물이 동파방지 바이패스관(L6)을 통해 순환하게 되고,
    펌프가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중에 사용처에서 물의 사용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72)에서, 사용처에서 물의 사용이 있으면, 동파방지모드를 해제하고, 동파방지 기능 압력을 기본 설정압력으로 변경하고, S120단계로 피드백하고,
    운전 최저 주파수로 구동중인 펌프의 운전시간이 설정된 동파방지 운전시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73)에서, 펌프의 운전시간이 동파방지 운전시간 이상이면, S120 단계로 피드백하고, 펌프의 운전시간이 동파방지 운전시간보다 적으면, S161 단계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30057657A 2023-05-03 2023-05-03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5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657A KR102654101B1 (ko) 2023-05-03 2023-05-03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657A KR102654101B1 (ko) 2023-05-03 2023-05-03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101B1 true KR102654101B1 (ko) 2024-04-03

Family

ID=9066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657A KR102654101B1 (ko) 2023-05-03 2023-05-03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1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985B2 (ko) * 1985-02-18 1988-06-16 Sanyo Electric Co
JPH07229174A (ja) * 1994-02-21 1995-08-29 Iwaya Denki Seisakusho:Kk 給水制御装置
CN106836383A (zh) * 2016-12-22 2017-06-13 广州市白云泵业集团有限公司 一种给水设备
KR20170083367A (ko) * 2016-01-08 2017-07-18 기우홍 공동주택용 가압 직결 급수시스템
KR101783221B1 (ko) * 2017-03-27 2017-09-29 화랑시스템(주) 하이브리드 급수시스템의 제어방법
JP6329985B2 (ja) 2016-04-22 2018-05-23 株式会社川本製作所 給水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985B2 (ko) * 1985-02-18 1988-06-16 Sanyo Electric Co
JPH07229174A (ja) * 1994-02-21 1995-08-29 Iwaya Denki Seisakusho:Kk 給水制御装置
KR20170083367A (ko) * 2016-01-08 2017-07-18 기우홍 공동주택용 가압 직결 급수시스템
JP6329985B2 (ja) 2016-04-22 2018-05-23 株式会社川本製作所 給水ユニット
CN106836383A (zh) * 2016-12-22 2017-06-13 广州市白云泵业集团有限公司 一种给水设备
KR101783221B1 (ko) * 2017-03-27 2017-09-29 화랑시스템(주) 하이브리드 급수시스템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1190B2 (en) Pump control system
US8727737B2 (en) Submersible pump system
US5749711A (en) Automatic pneumatic pump including a tank with inlet and outlet and a pump connected to the inlet
US5901744A (en) Water supply system for a water source with limited flow capability
KR102654101B1 (ko) 동파방지 상수도 가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80258924A1 (en) Compensating device for volumetric pumps
US11359623B2 (en) Pump control method and pressure-boosting device
US5131262A (en) Apparatus for detecting leaks in fuel dispensing systems
AU2010342588A1 (en) Deep-well pump system
KR100551941B1 (ko) 무정전 상태에서의 변압기 절연유 절연보강장치
US11002277B2 (en) Compressor system and system for maintaining a desired oil level
US3225696A (en) Valve arrangement for well pumps
GB2437175A (en) Water heating system control
CN110439881B (zh) 一种循环加载控制装置及方法
US20130228227A1 (en) Siphon actuated filtration process
US3297236A (en) Apparatus for replenishing the air cushion in the surge tank of a hydraulic system
KR20030093425A (ko) 카고 오일 펌프용 자동 진공 스트리핑 시스템의 유량제어방법
CN219735027U (zh) 船用清洁燃料供应系统及船用清洁燃料供应撬
JP3530913B2 (ja) 給水装置
US20210372097A1 (en) Emptying Tube in the Riser Pipe for Water-Conducting Lines at Risk of Frost in Winter
NO761511L (ko)
JP5412173B2 (ja) 増圧給水ユニット及び増圧給水装置
EP3697506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fire protection water distribution system
RU22159U1 (ru) Установка индивидуально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JP3122769B2 (ja) 排水ポンプのエアーロック運転時間短縮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