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094B1 -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094B1
KR102654094B1 KR1020240003090A KR20240003090A KR102654094B1 KR 102654094 B1 KR102654094 B1 KR 102654094B1 KR 1020240003090 A KR1020240003090 A KR 1020240003090A KR 20240003090 A KR20240003090 A KR 20240003090A KR 102654094 B1 KR102654094 B1 KR 102654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groove
storage
support
typ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호
곽민환
박성진
김상진
이혜림
김미진
김경배
이경희
이상민
김학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인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4000139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5409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인투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인투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2Cards defining paid or billed services or qua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맹업체로 결제한 카드 결제금액에 따른 암호화폐 지급한 뒤 상품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비자가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로서, 선불카드 결제가 가능한 쇼핑몰을 접속한 뒤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쇼핑 단말부; 및 선불카드 결제가 가능한 쇼핑몰을 전용 웹페이지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며, 상기 전용 웹페이지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경우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가격에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리워드로서 적립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Blockchain-based cryptocurrency payment system}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맹업체로 결제한 카드 결제금액에 따른 암호화폐 지급한 뒤 상품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판매자는 사용자의 재이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품 구매 시마다 쿠폰을 발행해주거나 구매대금의 일부를 마일리지로 적립하여 주는 방법으로 중개사업자의 시스템을 이용함에 있어 판매자와 구매자의 거래이력, 쿠폰발급 이력, 마일리지 적립 이력을 관리하고, 사용자와의 쿠폰 거래 시스템 및 마일리지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고, 중개사업자는 판매자로부터 서비스 이용요금으로 판매자에게 월 서비스 이용요금을 부과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사용자의 상품 구매 대금의 일부를 서비스 이용요금으로 부과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3611호 (2016.10.26. 공개)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가맹업체로 결제한 카드 결제금액에 따른 암호화폐 지급한 뒤 상품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은, 소비자가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로서, 선불카드 결제가 가능한 쇼핑몰을 접속한 뒤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쇼핑 단말부; 선불카드 결제가 가능한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가맹점이 사용하는 가맹점 단말부; 및 선불카드 결제가 가능한 쇼핑몰을 전용 웹페이지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며, 상기 전용 웹페이지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경우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가격에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리워드로서 적립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부는, 소비자가 쇼핑몰의 가맹점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카드 결제 금액의 100%에 해당하는 암호화폐를 리워드로서 적립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부는, 소비자가 쇼핑몰의 비가맹점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카드 결제 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암호화폐를 리워드로서 적립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부는,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경우 소비자의 선불카드와 적립한 암호화폐를 합산하여 결제가 가능한 유저 결제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 단말부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정보를 출력하는 수납형 디스플레이;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가 안착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에 함몰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수납홈;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디스플레이 연결부; 및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와 연동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의 하단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에서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으로부터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도록 승강 이동시켜 주는 제1 승강 유도부;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의 전단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의 하단 타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에서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으로부터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도록 승강 이동시켜 주는 제2 승강 유도부;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의 바닥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딩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을 지지하여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후진 이동한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주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수납되는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홈의 바닥면에 밀착 안착되며,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가 직립됨에 따라 함께 직립되어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가 후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직립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승강 유도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곡선형 지지대; 상기 곡선형 지지대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의 전단 일측으로부터 상기 곡선형 지지대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는 지지대 안착홈; 상기 지지대 안착홈의 상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곡선형 지지대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지지대 안착홈으로 상기 곡선형 지지대를 삽입시켜 주거나 상기 지지대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곡선형 지지대를 노출시켜 주는 구동 기어; 상기 곡선형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사각 평판 형상의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이 맞물려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승강 유도부는, 상기 체결편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1 자성체와 반대 극성을 형성하면서 상기 다수 개의 제1 자성체와 대향하면서 상기 체결홈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직립 스탠드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스탠드 바디; 상기 스탠드 바디가 직립된 후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탠드 바디의 전단 하측에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거치턱;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3 자성체; 및 상기 제3 자성체와 반대 극성을 형성하면서 상기 스탠드 바디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스탠드 바디에 의한 지지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자성체에 체결되는 제4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판매자는 서비스 이용의 절약된 비용을 구매자에게 할인 적립금을 적립률을 상향 시킴으로서 구매자의 구매 만족도 및 재구매를 촉진시키고, 플랫폼 제공자는 인프라를 구축하여 추가 부가서비스를 개발 보급하여 이익을 창출함으로서 판매자와 구매자의 서비스 이용 만족도를 극대화 하며, 판매자는 구매자의 할인 적립금의 신속한 지급과 구매자의 할인 적립금 결제의 활용에 있어 즉시 정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플랫폼 사업자에게 구매자에게 지급할 할인 적립금에 대한 현금을 예치하여 할인 적립금의 현금 가치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카드 결제 대금에 따른 암호화폐 적립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쇼핑 단말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승강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직립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카드 결제 대금에 따른 암호화폐 적립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카드 결제 대금에 따른 암호화폐 적립 시스템(10)은, 쇼핑 단말부(100), 가맹점 단말부(200) 및 쇼핑몰 서버부(300)를 포함한다.
쇼핑 단말부(100)는, 소비자가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로서, 선불카드 결제가 가능한 쇼핑몰을 접속한 뒤 상품을 구매한다.
가맹점 단말부(200)는, 선불카드 결제가 가능한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가맹점이 사용한다.
여기서, 쇼핑 단말부(100) 및 가맹점 단말부(2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쇼핑몰 서버부(300)는, 선불카드 결제가 가능한 쇼핑몰을 전용 웹페이지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며, 전용 웹페이지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경우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가격에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암호화폐를 리워드로서 적립 제공한다.
여기서,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쇼핑몰 서버부(300)는, 소비자가 쇼핑몰의 가맹점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카드 결제 금액의 100%에 해당하는 암호화폐를 리워드로서 적립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쇼핑몰 서버부(300)는, 소비자가 쇼핑몰의 비가맹점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카드 결제 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암호화폐를 리워드로서 적립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쇼핑몰 서버부(300)는,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경우 소비자의 선불카드와 적립한 암호화폐를 합산하여 결제가 가능한 유저 결제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카드 결제 대금에 따른 암호화폐 적립 시스템(10)은, 판매자는 서비스 이용의 절약된 비용을 구매자에게 할인 적립금을 적립률을 상향 시킴으로서 구매자의 구매 만족도 및 재구매를 촉진시키고, 플랫폼 제공자는 인프라를 구축하여 추가 부가서비스를 개발 보급하여 이익을 창출함으로서 판매자와 구매자의 서비스 이용 만족도를 극대화 하며, 판매자는 구매자의 할인 적립금의 신속한 지급과 구매자의 할인 적립금 결제의 활용에 있어 즉시 정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플랫폼 사업자에게 구매자에게 지급할 할인 적립금에 대한 현금을 예치하여 할인 적립금의 현금 가치를 보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쇼핑 단말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쇼핑 단말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수납형 디스플레이(120), 디스플레이 수납홈(130), 디스플레이 연결부(140) 및 LED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바닥면에 안착되며, 수납형 디스플레이(120), 디스플레이 수납홈(130), 디스플레이 연결부(140) 및 LED 프레임(15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수납형 디스플레이(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정보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수납홈(130)은, 수납형 디스플레이(120)가 안착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형 디스플레이(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에 함몰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연결부(140)는, 디스플레이 수납홈(130)의 전단에 설치되어 수납형 디스플레이(120)를 디스플레이 수납홈(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LED 프레임(150)은, 수납형 디스플레이(120)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수납형 디스플레이(120)와 연동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쇼핑 단말부(100)는,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상품의 검색 및 구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접어서 부피를 줄여 수납 시 용이하게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연결부(140)는, 제1 승강 유도부(141), 제2 승강 유도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슬라이딩홈(143), 슬라이더(144), 지지 스프링(145) 및 직립 스탠드(146)를 포함한다.
제1 승강 유도부(141)는, 디스플레이 수납홈(130)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되, 수납형 디스플레이(120)의 하단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수납홈(130)에서 수납형 디스플레이(120)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수납홈(130)으로부터 수납형 디스플레이(120)가 노출되도록 승강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승강 유도부(141)는, 곡선형 지지대(1411), 지지대 안착홈(1412), 구동 기어(1413), 구동 모터(1414), 체결편(1415), 체결홈(1416), 다수 개의 제1 자성체(1417) 및 다수 개의 제2 자성체(1418)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지지대(1411)는,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된다.
지지대 안착홈(1412)은, 곡선형 지지대(1411)가 수납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수납홈(130)의 전단 일측으로부터 곡선형 지지대(14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된다.
구동 기어(1413)는, 지지대 안착홈(1412)의 상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지지대 안착홈(1412)에 안착되어 있는 곡선형 지지대(1411)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지지대 안착홈(1412)으로 곡선형 지지대(1411)를 삽입시켜 주거나 지지대 안착홈(1412)으로부터 곡선형 지지대(1411)를 노출시켜 준다.
구동 모터(1414)는, 곡선형 지지대(1411)의 상단에 설치된다.
체결편(1415)은, 구동 모터(1414)의 구동축에 축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체결홈(1416)은, 체결편(1415)이 맞물려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형 디스플레이(12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다.
다수 개의 제1 자성체(1417)는, 체결편(1415)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다수 개의 제2 자성체(1418)는, 제1 자성체(1417)와 반대 극성을 형성하면서 다수 개의 제1 자성체(1417)와 대향하면서 체결홈(1416)에 설치된다.
제2 승강 유도부는, 디스플레이 수납홈(130)의 전단 타측에 설치되되, 수납형 디스플레이(120)의 하단 타측에 연결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수납홈(130)에서 수납형 디스플레이(120)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수납홈(130)으로부터 수납형 디스플레이(120)가 노출되도록 승강 이동시켜 준다.
여기서, 제2 승강 유도부는, 상술한 제1 승강 유도부(14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승강 유도부(141)의 곡선형 지지대(1411), 지지대 안착홈(1412), 구동 기어(1413), 구동 모터(1414), 체결편(1415), 체결홈(1416), 다수 개의 제1 자성체(1417) 및 다수 개의 제2 자성체(1418) 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슬라이딩홈(143)은, 디스플레이 수납홈(130)의 바닥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슬라이더(144)는, 슬라이딩홈(143)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지지 스프링(145)은, 슬라이딩홈(143)의 전단에 설치되어 슬라이더(144)의 전단을 지지하여 슬라이딩홈(143)을 따라 후진 이동한 슬라이더(144)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직립 스탠드(146)는, 슬라이더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더(144)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딩홈(143)에 수납되는 수납형 디스플레이(120)에 의해 슬라이딩홈(143)의 바닥면에 밀착 안착되며, 수납형 디스플레이(120)가 직립됨에 따라 함께 직립되어 수납형 디스플레이(120)가 후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직립 스탠드(146)는, 스탠드 바디(1461), 거치턱(1462), 제3 자성체(1463) 및 제4 자성체(146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바디(1461)는, 슬라이더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거치턱(1462)는, 스탠드 바디(1461)가 직립된 후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탠드 바디(1461)의 전단 하측에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3 자성체(1463)는, 수납형 디스플레이(120)의 후단에 설치된다.
제4 자성체(1464)는, 제3 자성체(1463)와 반대 극성을 형성하면서 스탠드 바디(1461)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스탠드 바디(1461)에 의한 지지 각도에 대응하여 제3 자성체(1463)에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연결부(140)는, 수납형 디스플레이(120)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회동시켜 줌은 물론, 수납형 디스플레이(120)의 사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개인 단말기 사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은,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100: 쇼핑 단말부
200: 가맹점 단말부
300: 쇼핑몰 서버부

Claims (2)

  1. 소비자가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로서, 선불카드 결제가 가능한 쇼핑몰을 접속한 뒤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쇼핑 단말부; 및
    선불카드 결제가 가능한 쇼핑몰을 전용 웹페이지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며, 상기 전용 웹페이지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경우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가격에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리워드로서 적립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쇼핑 단말부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정보를 출력하는 수납형 디스플레이;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가 안착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에 함몰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수납홈;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디스플레이 연결부; 및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와 연동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의 하단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에서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으로부터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도록 승강 이동시켜 주는 제1 승강 유도부;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의 전단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의 하단 타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에서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으로부터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도록 승강 이동시켜 주는 제2 승강 유도부;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의 바닥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딩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을 지지하여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후진 이동한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주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수납되는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홈의 바닥면에 밀착 안착되며,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가 직립됨에 따라 함께 직립되어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가 후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직립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승강 유도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곡선형 지지대;
    상기 곡선형 지지대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홈의 전단 일측으로부터 상기 곡선형 지지대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는 지지대 안착홈;
    상기 지지대 안착홈의 상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곡선형 지지대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지지대 안착홈으로 상기 곡선형 지지대를 삽입시켜 주거나 상기 지지대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곡선형 지지대를 노출시켜 주는 구동 기어;
    상기 곡선형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사각 평판 형상의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이 맞물려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형 디스플레이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2. 삭제
KR1020240003090A 2023-11-23 2024-01-08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KR102654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4080 2023-11-23
KR20230164080 2023-11-23
KR1020240001395A KR102654091B1 (ko) 2023-11-23 2024-01-04 선불카드 결제 대금에 따른 암호화폐 적립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1395A Division KR102654091B1 (ko) 2023-11-23 2024-01-04 선불카드 결제 대금에 따른 암호화폐 적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094B1 true KR102654094B1 (ko) 2024-04-03

Family

ID=9066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3090A KR102654094B1 (ko) 2023-11-23 2024-01-08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0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611A (ko) 2015-04-16 2016-10-26 김용식 마일리지 적립 활용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전자상거래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80119488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모아플래닛 암호화폐를 이용한 할인 적립금 지급 방법, 플랫폼 서버 및 시스템
KR102040908B1 (ko) * 2019-03-27 2019-11-07 주식회사 유니버셜그룹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암호화폐 캐시백 자동지급 방법
KR20200004493A (ko) *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빗썸코리아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KR20210049291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샵이오 암호화폐를 이용한 소비자 리펀드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611A (ko) 2015-04-16 2016-10-26 김용식 마일리지 적립 활용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전자상거래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80119488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모아플래닛 암호화폐를 이용한 할인 적립금 지급 방법, 플랫폼 서버 및 시스템
KR20200004493A (ko) *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빗썸코리아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KR102040908B1 (ko) * 2019-03-27 2019-11-07 주식회사 유니버셜그룹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암호화폐 캐시백 자동지급 방법
KR20210049291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샵이오 암호화폐를 이용한 소비자 리펀드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9436B1 (en) A syste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s on a mobile phone
Gans Mobile application pricing
TWI684935B (zh) 一種獲取位置資訊的方法及裝置
US9805405B2 (en) Mobile device payment system and method
US20210383446A1 (en) Mobile device payment system and method
JP2021163344A (ja) ウォレットサーバ、ウォレットプログラムおよびウォレットシステム
CN102741870A (zh) 移动交易的价值确定
KR1017192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판매중개 방법
KR102654094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KR102654091B1 (ko) 선불카드 결제 대금에 따른 암호화폐 적립 시스템
KR10265409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적립금을 이용한 제품 결제 시스템
KR102654102B1 (ko) 암호화폐 기반의 적립금을 이용한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102558411B1 (ko) 콘텐츠 공유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
KR102434834B1 (ko) Nft 스마트 계약 시스템
US20120323792A1 (en) Multi platform and operating system digital content vending, delivery, and maintenance system
JP4688182B2 (ja) 販売システムおよび販売管理方法
KR102261065B1 (ko) Ai 기반의 실시간 정보 노출 시스템
KR102434838B1 (ko) 하이브리드 nft 마켓 시스템
US104028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inhibiting theft of payment cards
US2019033308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cking and rewarding distributors of gift cards
KR102426490B1 (ko) 스마트 통합결제 시스템
KR102469729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338564B2 (ja) 決済プログラム、決済システムおよび決済サーバ
KR102426477B1 (ko) 비대면 통합 결제 시스템
Shukla et al. Mapping the Merchant’s Mind: An Analysis of Digital Payment Behaviors by Fixed Store Merchants in Jaip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