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884B1 -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3884B1 KR102653884B1 KR1020240015597A KR20240015597A KR102653884B1 KR 102653884 B1 KR102653884 B1 KR 102653884B1 KR 1020240015597 A KR1020240015597 A KR 1020240015597A KR 20240015597 A KR20240015597 A KR 20240015597A KR 102653884 B1 KR102653884 B1 KR 1026538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
- confirmed
- power
- value
- suppli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431 greenhous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충전 기기에 구비된 복수의 포트 중에서 어느 하나인 제1 포트에 제1 기기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1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 출력할 때 상기 제1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1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충전 기기에 구비된 복수의 포트 중에서 다른 하나인 제2 포트에 제2 기기가 추가로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2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2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2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기기로 출력할 때 상기 제2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2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기기로 출력할 때 상기 제2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2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수치 및 상기 제2 수치를 합산하여 제3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충전 기기의 공급 전력이 제4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수치가 상기 제4 수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기기로 상기 제2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아래 실시예들은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해 충전 대상 별로 선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기 생산에는 주로 화석 연료가 사용되고 있고, 전기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화석 연료의 소비도 증가하고 있어, 자원 고갈과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가 커지고 있다.
특히, 전기 사용의 증가는 화석 연료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화석 연료의 소비 증가로 인해 온실가스의 배출도 증가하게 되어, 기후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온실가스의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기 사용을 감소시켜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전기 사용을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저감시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고, 에너지 효율 개선을 통해 온실가스의 배출을 감소시켜 탄소 중립 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해 충전 대상 별로 선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충전 기기에 구비된 복수의 포트 중에서 어느 하나인 제1 포트에 제1 기기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1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 출력할 때 상기 제1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1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충전 기기에 구비된 복수의 포트 중에서 다른 하나인 제2 포트에 제2 기기가 추가로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2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2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2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기기로 출력할 때 상기 제2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2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기기로 출력할 때 상기 제2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2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수치 및 상기 제2 수치를 합산하여 제3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충전 기기의 공급 전력이 제4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수치가 상기 제4 수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기기로 상기 제2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은, 상기 제3 수치가 상기 제4 수치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과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 간의 차이를 제1 차이량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과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하는 단계; 배터리 잔량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배터리 잔량의 비교 결과,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량이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기의 소요 전력과 상기 제2 기기의 소요 전력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제1 기기의 소요 전력과 상기 제2 기기의 소요 전력 간의 차이를 제2 차이량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차이량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기의 소요 전력과 상기 제2 기기의 소요 전력을 비교하는 단계; 소요 전력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기기의 소요 전력이 상기 제2 기기의 소요 전력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소요 전력의 비교 결과, 상기 제2 기기의 소요 전력이 상기 제1 기기의 소요 전력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차이량이 상기 제2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도 1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가 1순위로 확인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가 2순위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계속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수치의 전력이 이어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가 2순위로 확인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가 1순위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수치의 전력이 먼저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다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와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가 둘 다 1순위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4 수치를 2로 나눈 값으로 제5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5 수치의 전력이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마다 상기 제1 기기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 가장 최근에 확인된 상기 제1 기기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초로, 제1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비율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최대 출력이 제1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1 기준 비율 보다 낮지 않지만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비율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중간 출력이 제6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6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기준 비율 보다 낮지 않지만 미리 설정된 최대 충전 비율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최소 출력이 제7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7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최대 충전 비율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 선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저감시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고, 에너지 효율 개선을 통해 온실가스의 배출을 감소시켜 탄소 중립 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기들의 상태에 따라 선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기기들에 대한 과충전을 방지하고 과전압을 방지하여, 기기들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고, 기기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기기의 온도를 확인하여 일정 온도를 초과할 시 전력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충전 기기의 과열을 방지하고 화재를 방지하여, 충전 기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기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해 충전 대상 별로 선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설정을 통해 충전 대상 별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와 전력 공급 효율화를 위해 충전 기기의 온도에 따라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기기들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기기들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클래스를 구분하여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클래스 별로 전력을 공급할 때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기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해 충전 대상 별로 선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설정을 통해 충전 대상 별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와 전력 공급 효율화를 위해 충전 기기의 온도에 따라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기기들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기기들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클래스를 구분하여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클래스 별로 전력을 공급할 때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충전 기기(100), 복수의 기기(200) 및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충전 기기(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방전하여, 복수의 기기(2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기기(100)는 SMPS, 외부 전원 등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충전 기기(100)에 구비된 복수의 포트를 통해 충전 기기(100)와 복수의 기기(200)가 연결되면, 복수의 기기(2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충전 기기(100)는 복수의 기기(200)로 전력을 공급할 때, 복수의 기기(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 측정 시, 미리 정해진 전력 측정 프로토콜을 통해 전압과 전류, 저항 등을 측정하여, 전력이 측정될 수 있으며, 충전 기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 전력이 계산될 수 있다.
복수의 기기(200)는 전력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기기로, 전자 기기, 전기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기기(200) 각각은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충전 기기(100)와의 연결을 통해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복수의 기기(200) 각각은 충전 기기(100)에 구비된 복수의 포트를 통해 충전 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충전 기기(100)와 연결되면, 충전 기기(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충전 기기(100)와 복수의 기기(200)가 연결될 때, 별도의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충전 기기(100)와 복수의 기기(200)가 연결될 수 있다.
장치(300)는 장치(3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애플리케이션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3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통신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2C, RS485, RS232, TTL, UTP, Modbus, WiFi, BLE ,RF 등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충전 기기(100)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 기기(100)와 장치(300)는 각각 분리되어 있는 개별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통합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의 통합된 장치로 구현될 경우,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의 프로세서로 충전 기기(1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기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 기기(1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충전 기기(100)는 복수의 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 포트를 통해 복수의 기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충전 기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포트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출력 범위가 각각 설정되어 있으며, 복수의 포트 중 일부는 출력 범위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포트 중 일부는 출력 범위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트의 출력 범위는 20W 내지 40W로 설정되고, 제2 포트의 출력 범위는 20W 내지 40W로 설정되고, 제3 포트의 출력 범위는 30W 내지 50W로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와 복수의 기기(200) 간의 연결을 확인하고, 연결된 기기들의 총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0)는 연결된 기기들의 상태에 따라, 선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0)는 연결된 기기들 중에서 배터리 잔량이 가장 낮은 기기가 먼저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연결된 기기들이 로테이션으로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0)는 일정 수 이상의 기기들이 동시에 연결되었을 때, 각 기기들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전력 공급을 배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300)는 연결된 기기 별로 소요 전력과 배터리 잔량을 계산할 수 있고, 배터리 잔량이 낮은 기기부터 충전되도록 제어하거나, 소요 전력이 높은 기기부터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0)는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장치(300)는 충전 완료 또는 충전 속도가 일정 이하로 감소될 때,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기(200)에 선별적으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기기(200)에 대한 과충전을 방지하고 과전압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기기(200)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고, 불필요한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고,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기기(100)에는 온도 측정을 위한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장치(300)는 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고온을 감지하고 발열을 확인하고, 과열 방지와 전력 공급 효율화를 위해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기기(100)의 온도를 통해 전력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화재를 방지하고, 과열을 방지하고, 충전 기기(100)와 복수의 기기(200)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복수의 기기(200)의 배터리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성능 저하 방지로 제품의 사용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교체 주기를 증가시켜 친환경적인 기술을 구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전력을 공급하는데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여 충전 기기(100)와 복수의 기기(200)에 대한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과열 방지와 화재 방지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대기 전력 저감과 불필요한 전력의 손실을 저감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전력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하여 탄소 중립 정책에 기여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충전 대상 별로 선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고, 탄소 배출을 저감하여, 친환경적인 제품 사용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해 충전 대상 별로 선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에 구비된 복수의 포트 중에서 어느 하나인 제1 포트에 제1 기기(210)가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기기(100)는 제1 포트에 제1 기기(210)가 연결되면, 제1 포트에 제1 기기(210)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제1 감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감지 정보를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제1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제1 포트에 제1 기기(210)가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에 제1 기기(21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기기(100)는 제1 포트에 제1 기기(21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을 통해 제1 기기(2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1 기기(210)로부터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제1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1 배터리 정보를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제1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잔량은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얼마나 남아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예를 들면, 50%, 60% 등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제1 기기(21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한 결과,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최대 충전 비율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기기(210)의 충전 상태를 최대 충전 상태로 확인할 수 있고,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최대 충전 비율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기기(210)의 충전 상태를 최대 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기(210)의 최대 충전 비율은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충전에 대한 최대치로, 제1 기기(210)에서 배터리 충전 시 세류 충전으로 전환될 때의 배터리 충전량으로 제1 기기(210)의 최대 충전 비율이 설정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제1 기기(210)가 최대 충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제1 기기(210)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S3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제1 기기(210)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제1 기기(210)가 최대 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수 있고, 제1 기기(210)가 최대 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S3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1 기기(210)로 출력할 때 상기 제1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1 수치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포트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출력 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제1 기기(210)에는 전력 충전을 위한 출력 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제1 포트의 출력 범위의 최대값과 제1 기기(210)의 출력 범위의 최대값을 비교하여, 더 적은 값이 제1 수치로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트의 출력 범위가 20W 내지 40W로 설정되어 있고, 제1 기기(210)의 출력 범위가 30W 내지 50W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포트의 출력 범위의 최대값은 40W로 확인되고, 제1 기기(210)의 출력 범위의 최대값은 50W로 확인되고, 제1 수치는 확인된 최대값 중 더 적은 값인 40W로 확인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의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제1 포트의 출력 범위를 확인하고, 제1 기기(210)의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기기(210)의 출력 범위를 확인한 후, 각각의 출력 범위를 비교하여 제1 포트를 통해 제1 기기(210)로 출력할 때 제1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1 수치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기기(100)의 설정 정보는 충전 기기(100)에 설정되어 있는 조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치(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고, 제1 기기(210)의 설정 정보는 제1 기기(210)에 설정되어 있는 조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기기(21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기(210)는 제1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제1 수치의 전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기(210)에는 자체의 보호회로 또는 보호용 프로토콜에 의해 충전 전력 상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제1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충전될 때, 제1 기기(210)는 충전 전력 상한이 넘어가지 않도록 충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때,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기기(100)와 연결된 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력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S305 단계 또는 S307 단계 이후, S4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에 구비된 복수의 포트 중에서 다른 하나인 제2 포트에 제2 기기(220)가 추가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포트에는 제1 기기(21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충전 기기(100)는 제2 포트에 제2 기기(220)가 연결되면, 제2 포트에 제2 기기(220)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제2 감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감지 정보를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제2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제2 포트에 제2 기기(220)가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포트에 제2 기기(22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기기(100)는 제2 포트에 제2 기기(22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을 통해 제2 기기(2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2 기기(220)로부터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제2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2 배터리 정보를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제2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제2 기기(22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한 결과,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이 최대 충전 비율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기기(220)의 충전 상태를 최대 충전 상태로 확인할 수 있고,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이 최대 충전 비율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기기(220)의 충전 상태를 최대 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기(220)의 최대 충전 비율은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충전에 대한 최대치로, 제2 기기(220)에서 배터리 충전 시 세류 충전으로 전환될 때의 배터리 충전량으로 제2 기기(220)의 최대 충전 비율이 설정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기기(22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제2 기기(220)가 최대 충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2 기기(220)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S4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2 기기(220)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제2 기기(220)가 최대 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수 있고, 제2 기기(220)가 최대 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S4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전 단계에서 S305 단계가 수행된 경우,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고, 이전 단계에서 S307 단계가 수행된 경우,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포트를 통해 제2 기기(220)로 출력할 때 제2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2 수치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포트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출력 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제2 기기(220)에는 전력 충전을 위한 출력 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제2 포트의 출력 범위의 최대값과 제2 기기(220)의 출력 범위의 최대값을 비교하여, 더 적은 값이 제2 수치로 확인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의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제2 포트의 출력 범위를 확인하고, 제2 기기(220)의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기기(220)의 출력 범위를 확인한 후, 각각의 출력 범위를 비교하여 제2 포트를 통해 제2 기기(220)로 출력할 때 제2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2 수치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407 단계 이후, S4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포트를 통해 제2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기(210)는 제1 포트와 연결되어 있지만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 충전되지 않는 상태이고, 제2 기기(220)는 제2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제2 수치의 전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기(220)에는 자체의 보호회로 또는 보호용 프로토콜에 의해 충전 전력 상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제2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충전될 때, 제2 기기(220)는 충전 전력 상한이 넘어가지 않도록 충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포트를 통해 제2 기기(220)로 출력할 때 제2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2 수치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수치 및 제2 수치를 합산하여 제3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S411 단계에서,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의 공급 전력이 제4 수치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기기(100)에는 복수의 포트를 통한 전력 공급 시, 허용 가능한 공급 전력이 설정되어 있다. 이때,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의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 기기(100)의 공급 전력이 제4 수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41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3 수치 및 제4 수치를 비교하여, 제3 수치가 제4 수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12 단계에서 제3 수치가 제4 수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포트를 통해 제2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기(21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어, 제1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제1 수치의 전력으로 충전되고 있는 상태이고, 제2 기기(220)는 제2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제2 수치의 전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
S412 단계에서 제3 수치가 제4 수치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1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기기(100)와 연결된 기기들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력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포트를 통한 전력 공급 시, 충전 기기(100)의 공급 전력을 넘지 않도록, 전력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설정을 통해 충전 대상 별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S412 단계에서 제3 수치가 제4 수치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과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 간의 차이를 제1 차이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50%로 확인되고,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이 30%로 확인된 경우, 20%를 제1 차이량으로 산출할 수 있고,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40%로 확인되고,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이 50%로 확인된 경우, 10%를 제1 차이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차이량이 제1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0% 내지 5%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제1 차이량이 제1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과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300)는 배터리 잔량의 비교 결과,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고, 제2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이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고,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이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하고, 제2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포트에 복수의 기기가 연결되어 있을 때, 배터리 잔량이 낮은 기기부터 충전될 수 있도록, 배터리 잔량이 낮은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포트의 우선순위를 더 높은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제1 차이량이 제1 기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소요 전력과 제2 기기(220)의 소요 전력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기기(100)는 제1 포트에 제1 기기(21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을 통해 제1 기기(2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1 기기(210)로부터 제1 기기(210)의 소요 전력을 나타내는 제1 기기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1 기기 정보를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제1 기기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기기(210)의 소요 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기기(100)는 제2 포트에 제2 기기(22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을 통해 제2 기기(2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2 기기(220)로부터 제2 기기(220)의 소요 전력을 나타내는 제2 기기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2 기기 정보를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제2 기기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기기(220)의 소요 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소요 전력과 제2 기기(220)의 소요 전력 간의 차이를 제2 차이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소요 전력이 20W로 확인되고, 제2 기기(220)의 소요 전력이 30W로 확인된 경우, 10W를 제2 차이량으로 산출할 수 있고, 제1 기기(210)의 소요 전력이 30W로 확인되고, 제2 기기(220)의 소요 전력이 25W로 확인된 경우, 5W를 제2 차이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차이량이 제2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0W 내지 2W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제2 차이량이 제2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소요 전력과 제2 기기(220)의 소요 전력을 비교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소요 전력의 비교 결과, 제1 기기(210)의 소요 전력이 제2 기기(220)의 소요 전력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제1 기기(210)의 소요 전력이 제2 기기(220)의 소요 전력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고, 제2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제1 기기(210)의 소요 전력이 제2 기기(220)의 소요 전력 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기기(220)의 소요 전력이 제1 기기(210)의 소요 전력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고, 제2 기기(220)의 소요 전력이 제1 기기(210)의 소요 전력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하고, 제2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제2 차이량이 제2 기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2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고, 제2 포트의 우선순위도 1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포트에 복수의 기기가 연결되어 있을 때, 배터리 잔량이 비슷한 경우, 소요 전력이 높은 기기부터 충전될 수 있도록, 소요 전력이 높은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포트의 우선순위를 더 높은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S505 단계 또는 S606 단계 이후, S7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의 우선순위가 1순위로 확인되고, 제2 포트의 우선순위가 2순위로 확인된 경우,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계속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포트의 우선순위가 1순위로 확인되고, 제2 포트의 우선순위가 2순위로 확인되면,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계속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기기(210)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2 포트를 통해 제2 수치의 전력이 이어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을 때,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제1 기기(21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제1 기기(21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제1 기기(210)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2 포트를 통해 제2 수치의 전력이 이어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선순위에 따라 제1 기기(210) 및 제2 기기(220) 순으로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S506 단계 또는 S607 단계 이후, S7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의 우선순위가 2순위로 확인되고, 제2 포트의 우선순위가 1순위로 확인된 경우, 제2 포트를 통해 제2 수치의 전력이 먼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포트의 우선순위가 2순위로 확인되고, 제2 포트의 우선순위가 1순위로 확인되면,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2 포트를 통해 제2 수치의 전력이 먼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기기(220)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다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2 포트를 통해 제2 수치의 전력이 먼저 공급되고 있을 때,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제2 기기(22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제2 기기(22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제2 기기(220)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2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다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선순위에 따라 제2 기기(220) 및 제1 기기(210) 순으로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S608 단계 이후, S7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의 우선순위와 제2 포트의 우선순위가 둘 다 1순위로 확인된 경우, 제4 수치를 2로 나눈 값으로 제5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통해 제5 수치의 전력이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장치(300)는 제5 수치가 제1 수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포트를 통해 제5 수치가 아닌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제2 포트를 통해 조정된 제5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조정된 제5 수치는 제5 수치와 제1 수치 간의 차이를 제5 수치에 더하여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장치(300)는 제5 수치가 제2 수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포트를 통해 제5 수치가 아닌 제2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제1 포트를 통해 조정된 제5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조정된 제5 수치는 제5 수치와 제2 수치 간의 차이를 제5 수치에 더하여 조정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포트의 우선순위와 제2 포트의 우선순위가 둘 다 1순위로 확인되면, 제1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제1 수치에서 제5 수치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제2 포트를 통해 제5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선순위에 따라 제1 기기(210)와 제2 기기(220)가 동시에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기기(210)와 제2 기기(220) 간에 배터리 잔량과 소요 전력이 비슷한 경우, 제1 기기(210)와 제2 기기(220)가 동시에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총 저장량과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총 저장량이 서로 다른 경우, 제1 기기(210)와 제2 기기(220)가 동일한 수치의 전력으로 충전되더라도, 배터리 잔량이 증가하는 속도는 서로 상이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통해 제5 수치의 전력이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할 때,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과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 간에 일정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 경우, 기기들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300)는 기준 기간마다 제1 기기(21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때, 충전 프로토콜 및 잔량 확인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상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준 기간은 0으로 설정되어, 장치(300)는 실시간으로 제1 기기(21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상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충전 상태에 따른 전류, 전압 등의 요소 변화로, 배터리 잔량에 대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300)는 가장 최근에 확인된 제1 기기(21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초로, 제1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기준 기간마다 제1 기기(21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한 결과, 가장 최근에 확인된 배터리 잔량이 50%로 확인되면, 50%를 제1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비율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비율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의 최대 출력이 제1 수치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포트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출력 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출력 범위의 최대값이 제1 수치로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트의 출력 범위가 20W 내지 40W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수치는 40W로 확인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기(210)는 제1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제1 수치의 전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
S805 단계 이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S801 단계로 되돌아가, 제1 기기(21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비율이 제2 기준 비율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비율은 제1 기준 비율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2 기준 비율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의 중간 출력이 제6 수치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포트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출력 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출력 범위의 중간값이 제6 수치로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트의 출력 범위가 20W 내지 40W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6 수치는 30W로 확인될 수 있다.
S8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6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기(210)는 제1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제6 수치의 전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
S808 단계 이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S801 단계로 되돌아가, 제1 기기(21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2 기준 비율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비율이 최대 충전 비율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충전 비율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00%, 90%, 80%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S809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최대 충전 비율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810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의 최소 출력이 제7 수치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포트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출력 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출력 범위의 최소값이 제7 수치로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트의 출력 범위가 20W 내지 40W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7 수치는 20W로 확인될 수 있다.
S81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7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기(210)는 제1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제7 수치의 전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
S811 단계 이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S801 단계로 되돌아가, 제1 기기(21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S809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최대 충전 비율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비율이 최대 충전 비율인 것으로 확인될 수 있고, 제1 비율이 최대 충전 비율인 것으로 확인되면, S81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비율이 40%로 설정되어 있고, 제2 기준 비율이 80%로 설정되어 있고, 최대 충전 비율이 100%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40%가 될 때까지, 제1 포트를 통해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40%를 넘어가면,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80%가 될 때까지, 제1 포트를 통해 제6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80%를 넘어가면,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100%가 될 때까지, 제1 포트를 통해 제7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100%가 되면,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기기(100)와 연결된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해당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수치를 조정하여, 기기의 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기기(100)와 연결된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해당 기기로 공급되는 전력 수치를 단계별로 조정하여, 기기의 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초고속 충전을 기본으로 하여 충전 완료 상태 시 세류 충전으로 변환하고, 세류 충전으로 변환이 감지되면 전력을 차단하여, 기기의 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이 최대 충전 비율이 될 때까지, 제1 포트를 통해 초고속 충전을 위한 최대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기기(210)는 초고속 충전을 기본으로 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이후,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이 현재 배터리 잔량이 최대 충전 비율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포트를 통해 세류 충전을 위한 최소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기기(210)는 충전 완료 상태 시 세류 충전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후,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충전 상태가 세류 충전으로 변환된 것이 감지되면,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제1 기기(21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와 전력 공급 효율화를 위해 충전 기기의 온도에 따라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포트 중에서 둘 이상의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포트 중에서 둘 이상의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제1 기간마다 제1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측정 정보는 충전 기기(100)의 온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기기(100)에는 제1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센서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센서와 장치(300)는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장치(300)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 기기(100)의 현재 온도를 제1 온도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는 제1 기간마다 충전 기기(100)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측정 정보를 제1 기간마다 장치(3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장치(300)는 제1 기간마다 제1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가장 최근에 수신된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 기기(100)의 현재 온도를 제1 온도로 확인할 수 있다.
S9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온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904 단계에서 제1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기간마다 제1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측정 정보의 수신 주기를 변경하지 않고, 제1 기간마다 제1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계속 수신할 수 있다.
S905 단계 이후, S903 단계로 되돌아가, 가장 최근에 수신된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 기기(100)의 현재 온도를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S904 단계에서 제1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온도는 제1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S906 단계에서 제1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기간마다 제1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간은 제1 기간 보다 짧은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기간이 2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2 기간은 1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1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보다 낮지 않지만 제2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측정 정보의 수신 주기를 제1 기간에서 제2 기간으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제1 센서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센서는 명령 신호를 기초로, 제2 기간마다 충전 기기(100)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측정 정보를 제2 기간마다 장치(3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장치(300)는 제2 기간마다 제1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보다 낮지 않지만 제2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측정 정보의 수신 주기를 제1 기간에서 제2 기간으로 변경하여, 제2 기간마다 제1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측정 정보를 더 자주 수신할 수 있다.
S907 단계 이후, S903 단계로 되돌아가, 가장 최근에 수신된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 기기(100)의 현재 온도를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S906 단계에서 제1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준 온도는 제2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S1001 단계에서 제1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02 단계에서, 장치(300)는 둘 이상의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고 있는 기기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트에 제1 기기(210)가 연결되어 있고, 제2 포트에 제2 기기(220)가 연결되어 있고, 제3 포트에 제3 기기(2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 제1 기기(210)가 충전되고 있고, 제2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 제2 기기(220)가 충전되고 있고, 제3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 제3 기기(230)가 충전되지 않고 있는 경우, 장치(300)는 제1 기기(210) 및 제2 기기(220)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S10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 각각에 대해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210) 및 제2 기기(220)가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경우,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과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S10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 각각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한 결과,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들 중에서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10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들 중에서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보다 낮지 않지만 제3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충전하고 있는 기기들 중에서 배터리 잔량이 가장 높은 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이 가장 먼저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05 단계 이후, S907 단계로 되돌아가, 제2 기간마다 제1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S1001 단계에서 제1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온도가 제4 기준 온도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기준 온도는 제3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S1006 단계에서 제1 온도가 제4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07 단계에서, 장치(300)는 둘 이상의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고 있는 기기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S10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 각각에 대해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S10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 각각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한 결과,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들 중에서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1010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들 중에서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둘 이상의 포트 중에서 제2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보다 낮지 않지만 제4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충전하고 있는 기기들 중에서 배터리 잔량이 가장 낮은 기기에만 전력이 공급되고, 나머지 기기들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10 단계 이후, S907 단계로 되돌아가, 제2 기간마다 제1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S1006 단계에서 제1 온도가 제4 기준 온도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11 단계에서, 장치(300)는 둘 이상의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온도가 제4 기준 온도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충전하고 있는 기기들 전체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11 단계 이후, S907 단계로 되돌아가, 제2 기간마다 제1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온도가 50도로 설정되어 있고, 제2 기준 온도가 60도로 설정되어 있고, 제3 기준 온도가 70도로 설정되어 있고, 제4 기준 온도가 80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300)는 충전 기기(100)의 온도가 50도를 넘어가지 않으면, 제1 기간마다 제1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 기기(100)의 온도가 50도를 넘어가게 되면, 제2 기간마다 제1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 기기(100)의 온도가 60도를 넘어가게 되면, 충전하고 있는 기기들 중에서 배터리 잔량이 가장 높은 기기에 대해서만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충전 기기(100)의 온도가 70도를 넘어가게 되면, 충전하고 있는 기기들 중에서 배터리 잔량이 가장 낮은 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기기들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충전 기기(100)의 온도가 80도를 넘어가게 되면, 충전하고 있는 기기들 전체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기기(100)의 온도에 따라, 온도 측정 주기를 조정하고, 전력 공급이 순차적으로 차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충전 기기(100)의 과열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기기들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S1101 단계에서, 장치(300)는 기준 기간마다 제1 기기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기준 기간마다 제2 기기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S1102 단계에서, 장치(300)는 가장 최근에 확인된 제1 기기(21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초로, 제1 비율을 설정하고, 가장 최근에 확인된 제2 기기(22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초로, 제2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S11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비율과 제2 비율 간의 차이를 차이 비율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1 비율이 40%로 확인되고, 제2 비율이 20%로 확인된 경우, 20%를 차이 비율로 산출할 수 있고, 제1 비율이 20%로 확인되고, 제2 비율이 30%로 확인된 경우, 10%를 차이 비율로 산출할 수 있다.
S11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차이 비율이 제3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준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0% 내지 2%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S1104 단계에서 차이 비율이 제3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11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통해 제5 수치의 전력이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105 단계 이후, S1101 단계로 되돌아가, 기기들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S1104 단계에서 차이 비율이 제3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차이 비율이 제3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고, 차이 비율이 제3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S11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차이 비율이 높을수록 제1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차이 비율이 5%로 확인되면, 제1 가중치를 5로 설정할 수 있고, 차이 비율이 10%로 확인되면, 제1 가중치를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S11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5 수치 및 제1 가중치를 더한 값으로 제8 수치를 산출하고, 제5 수치에서 제1 가중치를 뺀 값으로 제9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수치가 30W로 확인되고, 제1 가중치가 5로 확인된 경우, 장치(300)는 (30 + 5)을 통해 산출된 35W를 제8 수치로 산출하고, (30 - 5)을 통해 산출된 25W를 제9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S11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비율 및 제2 비율을 비교하여, 제1 비율이 제2 비율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108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2 비율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11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9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제2 포트를 통해 제8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통해 제5 수치의 전력이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할 때,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과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 간에 일정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서,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포트를 통해 제5 수치 보다 낮은 제9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제2 포트를 통해 제5 수치 보다 높은 제8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기기(210)는 제1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제9 수치의 전력으로 충전되고, 제2 기기(220)는 제2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제8 수치의 전력으로 충전되어, 제1 기기(210)에 공급되는 전력 수치를 감소시키고, 제2 기기(220)에 공급되는 전력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S1109 단계 이후, S1101 단계로 되돌아가, 기기들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S1108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2 비율 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비율이 제1 비율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고, 제2 비율이 제1 비율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1110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8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제2 포트를 통해 제9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통해 제5 수치의 전력이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할 때,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과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 간에 일정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서, 제2 기기(220)의 배터리 잔량이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포트를 통해 제5 수치 보다 높은 제8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제2 포트를 통해 제5 수치 보다 낮은 제9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기기(210)는 제1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제8 수치의 전력으로 충전되고, 제2 기기(220)는 제2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제9 수치의 전력으로 충전되어, 제1 기기(210)에 공급되는 전력 수치를 증가시키고, 제2 기기(220)에 공급되는 전력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S1110 단계 이후, S1101 단계로 되돌아가, 기기들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기기(100)와 연결된 기기들이 동시에 충전되고 있을 때, 기기들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기기들로 공급되는 전력 수치를 조정하여, 기기들의 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기기들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클래스를 구분하여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S1201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포트 중에서 둘 이상의 포트에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1202 단계에서, 장치(300)는 둘 이상의 포트와 연결되어 있는 기기를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트에 제1 기기(210)가 연결되어 있고, 제2 포트에 제2 기기(220)가 연결되어 있고, 제3 포트에 제3 기기(23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장치(300)는 제1 기기(210), 제2 기기(220) 및 제3 기기(230)를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S12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 각각에 대해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S12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들 중에서 배터리 잔량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기기를 제1 클래스로 분류하고, 제2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들 중에서 배터리 잔량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면서 제2 기준치 미만인 기기를 제2 클래스로 분류하고, 제2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들 중에서 배터리 잔량이 제2 기준치 이상이면서 제3 기준치 미만인 기기를 제3 클래스로 분류하고, 제2 그룹으로 분류된 기기들 중에서 배터리 잔량이 제3 기준치 이상인 기기를 제4 클래스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고, 제2 기준치는 제1 기준치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3 기준치는 제2 기준치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치가 15%로 설정되어 있고, 제2 기준치가 50%로 설정되어 있고, 제3 기준치가 70%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300)는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10%로 확인되면, 제1 기기(210)를 제1 클래스로 분류할 수 있고,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30%로 확인되면, 제1 기기(210)를 제2 클래스로 분류할 수 있고,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60%로 확인되면, 제1 기기(210)를 제3 클래스로 분류할 수 있고, 제1 기기(210)의 배터리 잔량이 80%로 확인되면, 제1 기기(210)를 제4 클래스로 분류할 수 있다.
S12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고, 제2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하고, 제3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포트의 우선순위를 3순위로 설정하고, 제4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포트의 우선순위를 4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1 기기(210)가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경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할 수 있고, 제1 기기(210)가 제2 클래스로 분류된 경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할 수 있고, 제1 기기(210)가 제3 클래스로 분류된 경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3순위로 설정할 수 있고, 제1 기기(210)가 제4 클래스로 분류된 경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4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S12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우선순위에 따라, 둘 이상의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1순위로 설정된 포트를 통해 먼저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부터 충전되도록 처리하고,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가 충전될 때,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배터리 잔량이 제1 기준치를 넘어가는 기기를 제2 클래스로 분류하고,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이 전부 제2 클래스로 분류되어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2순위로 설정된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장치(300)는 2순위로 설정된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제2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가 충전되도록 처리하고, 제2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가 충전될 때, 제2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배터리 잔량이 제2 기준치를 넘어가는 기기를 제3 클래스로 분류하고, 제2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이 전부 제3 클래스로 분류되어 제2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3순위로 설정된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장치(300)는 3순위로 설정된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제3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가 충전되도록 처리하고, 제3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가 충전될 때, 제3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배터리 잔량이 제3 기준치를 넘어가는 기기를 제4 클래스로 분류하고, 제3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이 전부 제4 클래스로 분류되어 제3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4순위로 설정된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포트에 복수의 기기가 연결되어 있을 때, 복수의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기준으로 클래스를 나누어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클래스 별로 전력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클래스 별로 전력을 공급할 때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S13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가 둘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 각각에 대해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S13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 중에서 현재 배터리 잔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된 기기를 최대 잔량 기기로 선정하고,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 중에서 현재 배터리 잔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된 기기를 최소 잔량 기기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210), 제2 기기(220) 및 제3 기기(230)가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경우, 장치(300)는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 각각에 대해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한 결과, 제1 기기(21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이 90%로 확인되고, 제2 기기(22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이 85%로 확인되고, 제3 기기(23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이 80%로 확인되면, 제1 기기(210)를 최대 잔량 기기로 설정하고, 제3 기기(230)를 최소 잔량 기기로 선정할 수 있다.
S13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최대 잔량 기기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초로, 제3 비율을 설정하고, 최소 잔량 기기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초로, 제4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S13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3 비율과 제4 비율 간의 차이를 제2 차이 비율로 산출할 수 있다.
S13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차이 비율이 제4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기준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1305 단계에서 제2 차이 비율이 제4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13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과 연결된 포트를 통해 제10 수치의 전력이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0 수치는 제4 수치를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의 수로 나눈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기기(100)의 공급 전력인 제4 수치가 100W이고,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가 4대인 경우, 제10 수치는 25W로 산출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과 연결된 포트를 통해 동일 수치의 전력이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306 단계 이후, S1301 단계로 되돌아가,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 각각에 대해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S1305 단계에서 제2 차이 비율이 제4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차이 비율이 제4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고, 제2 차이 비율이 제4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S13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차이 비율이 높을수록 제2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2 차이 비율이 5%로 확인되면, 제2 가중치를 5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차이 비율이 10%로 확인되면, 제2 가중치를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S13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0 수치 및 제2 가중치를 더한 값으로 제11 수치를 산출하고, 제10 수치에서 제2 가중치를 뺀 값으로 제12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0 수치가 25W로 확인되고, 제2 가중치가 5로 확인된 경우, 장치(300)는 (25 + 5)을 통해 산출된 30W를 제11 수치로 산출하고, (25 - 5)을 통해 산출된 20W를 제12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S13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최대 잔량 기기와 연결된 포트를 통해 제12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최소 잔량 기기와 연결된 포트를 통해 제1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기기와 연결된 포트를 통해 제10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210), 제2 기기(220) 및 제3 기기(230)가 제1 클래스로 분류되고, 제1 기기(210)가 최대 잔량 기기로 선정되고, 제3 기기(230)가 최소 잔량 기기로 선정된 경우, 장치(300)는 제1 포트를 통해 제12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제3 포트를 통해 제1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제2 포트를 통해 제10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309 단계 이후, S1301 단계로 되돌아가,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 각각에 대해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이 동시에 충전되고 있을 때,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로 공급되는 전력 수치를 조정하여,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의 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의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이 동시에 충전되고 있을 때, 제2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의 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제3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이 동시에 충전되고 있을 때, 제3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의 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제4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이 동시에 충전되고 있을 때, 제4 클래스로 분류된 기기들의 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0)는 프로세서(310) 및 메모리(3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0)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3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충전 기기에 구비된 복수의 포트 중에서 어느 하나인 제1 포트에 제1 기기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1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 출력할 때 상기 제1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1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충전 기기에 구비된 복수의 포트 중에서 다른 하나인 제2 포트에 제2 기기가 추가로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2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2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2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기기로 출력할 때 상기 제2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2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기기로 출력할 때 상기 제2 포트의 최대 충전 가능 출력이 제2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수치 및 상기 제2 수치를 합산하여 제3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충전 기기의 공급 전력이 제4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수치가 상기 제4 수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기기로 상기 제2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치가 상기 제4 수치 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과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 간의 차이를 제1 차이량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과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하는 단계;
배터리 잔량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배터리 잔량의 비교 결과, 상기 제2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1 기기의 배터리 잔량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량이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기의 소요 전력과 상기 제2 기기의 소요 전력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제1 기기의 소요 전력과 상기 제2 기기의 소요 전력 간의 차이를 제2 차이량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차이량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기의 소요 전력과 상기 제2 기기의 소요 전력을 비교하는 단계;
소요 전력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기기의 소요 전력이 상기 제2 기기의 소요 전력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소요 전력의 비교 결과, 상기 제2 기기의 소요 전력이 상기 제1 기기의 소요 전력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차이량이 상기 제2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도 1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가 1순위로 확인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가 2순위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계속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수치의 전력이 이어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가 2순위로 확인되고,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가 1순위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수치의 전력이 먼저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기기가 최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다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포트의 우선순위와 상기 제2 포트의 우선순위가 둘 다 1순위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4 수치를 2로 나눈 값으로 제5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5 수치의 전력이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마다 상기 제1 기기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
가장 최근에 확인된 상기 제1 기기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초로, 제1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비율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최대 출력이 제1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1 기준 비율 보다 낮지 않지만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비율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중간 출력이 제6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6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기준 비율 보다 낮지 않지만 미리 설정된 최대 충전 비율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의 최소 출력이 제7 수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7 수치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최대 충전 비율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15597A KR102653884B1 (ko) | 2024-02-01 | 2024-02-01 |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15597A KR102653884B1 (ko) | 2024-02-01 | 2024-02-01 |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3884B1 true KR102653884B1 (ko) | 2024-04-02 |
Family
ID=9071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15597A KR102653884B1 (ko) | 2024-02-01 | 2024-02-01 |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3884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42897B2 (ko) * | 1979-01-22 | 1987-09-10 | Lilly Co Eli | |
KR100993224B1 (ko) | 2010-06-29 | 2010-11-09 | 주식회사 미지에너텍 |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에너지 충전 장치 |
KR101170079B1 (ko) | 2010-11-12 | 2012-07-3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교류 전력을 이용한 전기차량 충전시스템 |
KR20150038347A (ko) * | 2012-09-28 | 2015-04-08 | 인텔 코포레이션 | 전력 공유 제어기 |
KR101545306B1 (ko) | 2012-03-05 | 2015-08-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에너지를 재사용하는 배터리 밸런싱 시스템 및 배터리 밸런싱 방법 |
KR102294290B1 (ko) * | 2021-02-25 | 2021-08-26 | 이온어스(주) | 지주형 전기장치 전력공급용 ess를 이용한 충전 전력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US20220209572A1 (en) * | 2020-12-30 | 2022-06-30 | Sma Solar Technology Ag | Power convert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wer converter |
KR20230098431A (ko) | 2021-12-24 | 2023-07-04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정전시 가용 전력의 선별적인 공급시스템 |
-
2024
- 2024-02-01 KR KR1020240015597A patent/KR102653884B1/ko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42897B2 (ko) * | 1979-01-22 | 1987-09-10 | Lilly Co Eli | |
KR100993224B1 (ko) | 2010-06-29 | 2010-11-09 | 주식회사 미지에너텍 |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에너지 충전 장치 |
KR101170079B1 (ko) | 2010-11-12 | 2012-07-3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교류 전력을 이용한 전기차량 충전시스템 |
KR101545306B1 (ko) | 2012-03-05 | 2015-08-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에너지를 재사용하는 배터리 밸런싱 시스템 및 배터리 밸런싱 방법 |
KR20150038347A (ko) * | 2012-09-28 | 2015-04-08 | 인텔 코포레이션 | 전력 공유 제어기 |
US20220209572A1 (en) * | 2020-12-30 | 2022-06-30 | Sma Solar Technology Ag | Power convert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wer converter |
KR102294290B1 (ko) * | 2021-02-25 | 2021-08-26 | 이온어스(주) | 지주형 전기장치 전력공급용 ess를 이용한 충전 전력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KR20230098431A (ko) | 2021-12-24 | 2023-07-04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정전시 가용 전력의 선별적인 공급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31665B2 (ja) | 電力受電装置 | |
KR102238086B1 (ko) | 배터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연관된 방법 | |
JP7015678B2 (ja) | バッテリ充電方法、バッテリ充電情報生成方法、及びバッテリ充電装置 | |
JP6566097B2 (ja) | 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1865132B1 (ko) | 전력 공유 제어기 | |
KR102120922B1 (ko) | 에너지 공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방법 | |
Shah et al. | Modeling of steady-state convective cooling of cylindrical Li-ion cells | |
JP2018137886A (ja) | 充放電システム用サーバ及び充放電システム | |
US1197249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andomized energy draw or supply requests | |
CN110546846B (zh) | 包括双向充电调节器的混合电池组 | |
JP7038945B2 (ja) | 並列接続構造のバッテリーパックのヒ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 |
JP6967364B2 (ja) | 電力系統安定化装置および電力系統安定化方法 | |
JPWO2015121937A1 (ja) | 電力融通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力融通管理方法 | |
EP2922166B1 (en) |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 |
JP6183576B1 (ja) | 需給調整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12062928B2 (en) | Managing power discharge within a group of devices | |
KR102653884B1 (ko) |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충전 대상 별 선별적 전력 공급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US8438412B1 (en)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nabling an amount of multitasking for use by an operating system | |
CN111316522B (zh) | 输电系统中基于电压下垂的方法 | |
KR102568487B1 (ko) |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
JP2018068052A (ja) | 蓄電管理装置、蓄電管理方法、及び蓄電管理プログラム | |
JP6454929B2 (ja) | 蓄電池制御システム、蓄電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7532311B2 (ja) | 制御装置、電力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 |
US20240022073A1 (en) | Demand response management for a battery charging system | |
CN117352910B (zh) | 电池系统、加热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