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749B1 -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749B1
KR102653749B1 KR1020230167683A KR20230167683A KR102653749B1 KR 102653749 B1 KR102653749 B1 KR 102653749B1 KR 1020230167683 A KR1020230167683 A KR 1020230167683A KR 20230167683 A KR20230167683 A KR 20230167683A KR 102653749 B1 KR102653749 B1 KR 102653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rum
roller
bicycle training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문상
Original Assignee
나인어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인어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인어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6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A63B2069/16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on rollers without furthe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1Special aerodynamic features, e.g. airfoil shapes, wings or ai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6Coo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가 개신된다.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는 외부드럼, 및 외부드럼 내부에 그와 동심적으로 배치되며, 유체가 포함된 유체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Fluid rollers and fluid roller devices for bicycle training}
본 발명은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위에 올려 놓고 탈 수 있게 하는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훈련을 위한 롤러 장치에는 공통적으로 자전거의 구동휠인 후륜 바퀴가 올려지는 롤러가 구비된다. 여기서, 롤러는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면에 올려지는 후륜 바퀴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름이 충분히 크게 제작될 수 있다.
자전거 훈련을 위한 롤러 장치로 크게 평롤러 장치와 고정 롤러 장치가 있다. 평롤러 장치는 수평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위에 자전거를 올려놓고 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평롤러 장치에 자전거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페달을 밟아 후륜 바퀴가 회전되도록 하면, 후륜 바퀴에 밀착된 롤러가 회전되고 자이로효과에 의해 자전거가 쓰러지지 않게 될 수 있다. 평롤러 장치의 롤러는 부여된 부하와 관성이 변화가 없어 같은 강도로 고정됨으로써 페달의 회전력에 따라 훈련강도가 조절되는 단점은 있으나, 롤러 위에서 타기 때문에 실제 자전거를 타는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고정 롤러 장치는 자전거 뒷바퀴의 프레임을 삼각지지대 등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롤러의 움직임에 따라 강도가 결정될 수 있어, 라이더가 훈련강도를 직접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고정된 상태에서 타기 때문에 직접타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전거 훈련의 현장감 및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동일한 무게의 유체량 내에서 유체 롤러의 부하 및 관성력을 보다 증강시킬 수 있는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유체 롤러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열이 자전거의 바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유체 롤러의 열을 냉각시킬 수 있는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공기의 이동량을 증가시켜 유체 롤러의 열을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는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열전도성을 증가시켜 유체 롤러의 열을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는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는, 외부드럼, 및 상기 외부드럼 내부에 그와 동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포함된 유체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드럼은, 옆면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는, 상기 유체드럼의 두 밑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돌기부 사이에 공기가 흐르기 위한 에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드럼은, 밑면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 및 다른 밑면에 형성되며,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홀의 옆면 중 일부는, 내측으로 상기 유입홀이 넓어지게 경사지고, 상기 배출홀의 옆면 중 일부는, 외측으로 상기 배출홀이 넓어지게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유체드럼은, 상기 외부드럼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외부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외부드럼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는, 상기 유체드럼 내부에서 상기 외부드럼 양 밑면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드럼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외부드럼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는 상기 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유체드럼 내의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서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 서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하측 블레이드, 서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좌측 블레이드, 및 서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된 우측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하측 블레이드는 상기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 중 하나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좌측 블레이드는 상기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와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는, 베어링 하우징이 상기 외부드럼 밑면에 결합되며, 홀에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상기 유체 롤러가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 롤러 전방에 배치된 전륜 롤러,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 롤러 후방에 배치된 후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에 의하면, 유체가 포함된 유체 롤러가 유체의 흐름으로 인한 부하 및 관성력의 변화를 일으켜 자전거 훈련의 현장감 및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유체 롤러의 회전축 기능을 하는 샤프트에 배치된 복수의 블레이드가 유체의 흐름에 저항력을 일으킴에 따라 동일한 유체량 내에서 유체 롤러의 부하 및 관성력을 보다 증강시킬 수 있어, 자전거 훈련의 현장감 및 운동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드럼 및 유체드럼의 이중 구조로 유체롤러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드럼에 자전거의 바퀴가 밀착될 뿐이고 유체드럼에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 유체 롤러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열이 자전거의 바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유체드럼을 냉각시킬 수 있고,
외부드럼의 밑면에 형성된 유입홀 및 배출홀을 통해 외부드럼 내부로의 공기의 유입량 및 배출량을 늘여 공기의 이동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유체드럼의 열을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으며,
유체드럼에 복수의 돌기부로 인해 공기와 유체드럼 사이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열전도성이 증가하여 유체드럼의 열을 보다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의 구성요소를 다양한 형태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의 구성요소를 다른 방향에서 다양한 형태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의 구성요소를 또 다른 방향에서 다양한 형태로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의 구성요소를 또 다른 방향에서 다양한 형태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의 구성요소의 밑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의 밑면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의 유체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의 유체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의 샤프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의 발판이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의 발판이 분해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의 발판이 분해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에 자전거가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의 구성요소를 다양한 형태로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의 구성요소를 다른 방향에서 다양한 형태로 도면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의 구성요소를 또 다른 방향에서 다양한 형태로 도면이고, 도 1d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의 구성요소를 또 다른 방향에서 다양한 형태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1)는 외부드럼(10, 10-2), 유체드럼(20), 샤프트(30), 블레이드(40) 및 베어링(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의 구성요소의 밑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드럼(10, 10-2)은 내부에 공간부(18)가 형성되고, 하나 또는 복수개의 유입홀(11) 및 배출홀(15)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홀(11)은 외부드럼(10, 10-2) 밑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외부드럼(10, 10-2) 내부 공간부(18)로 유입시킬 수 있다. 유입홀(11)의 옆면 중 일부(111)는 외측으로 유입홀(11)이 넓어지게 경사지고, 옆면 중 다른 일부(113)는 내측으로 유입홀(11)이 넓어지게 경사질 수 있다. 외부드럼(10, 10-2)이 유입홀(11)의 다른 일부(113)에서 일부(111) 방향(A)으로 회전하면, 일부(111)의 경사면 및 다른 일부(113)의 경사면을 통해 공기가 안내되어 외부드럼(10, 10-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배출홀(15)은 외부드럼(10, 10-2) 다른 밑면에 형성되며, 외부드럼(10, 10-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홀(15)의 옆면 중 일부(151)는 내측으로 배출홀(15)이 넓어지게 경사지고, 옆면 중 다른 일부(153)는 외측으로 배출홀(15)이 넓어지게 경사질 수 있다. 외부드럼(10, 10-2)이 배출홀(15)의 다른 일부(153)에서 일부(151) 방향(A)으로 회전하면, 일부(151)의 경사면 및 다른 일부(153)의 경사면을 통해 외부드럼(10, 10-2) 내부의 공기가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의 밑면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체드럼(20)은 외부드럼(10) 내부에 배치되며,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윤활유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유체드럼(20)은 외부드럼(10)과 동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유체드럼(20)은 외부드럼(10)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배치되며, 외부드럼(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외부드럼(1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드럼(20)은 베어링 하우징(51)에 결합되거나, 유체드럼(20)의 밑면이 외부드럼(10)의 밑면과 결합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의 유체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의 유체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유체드럼(20)은 옆면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돌기부(21)는 유체드럼(20)의 두 밑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돌기부(21, 21-2) 사이에 공기가 흐르기 위한 에어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드럼(10)의 유입홀(1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에어홈(23)을 통과하면서 돌기부(21, 21-2)와 유체드럼(20)의 옆면을 접촉하여 유체드럼(20)을 냉각시키고 배출홀(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의 샤프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샤프트(30)는 유체드럼(20) 내부에서 외부드럼(10) 양 밑면을 관통하여 외부드럼(10)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외부드럼(10)의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유체드럼(20)이 외부드럼(10)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경우에는, 샤프트(30)는 유체드럼(20)의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블레이드(40)는 샤프트(30)의 외면을 따라 설치되어, 유체드럼(20) 내의 유체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유체 롤러(1)는 샤프트(30)의 외면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40)는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41), 복수의 하측 블레이드(43), 복수의 전측 블레이드(45) 및 복수의 후측 블레이드(4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41)는 서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하측 블레이드(43)는 서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하측 블레이드(43) 각각은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41) 중 하나와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샤프트(30)를 회전시키면, 복수의 하측 블레이드(43)는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41)가 있었던 지점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복수의 전측 블레이드(45)는 서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측 블레이드(45) 각각은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41)와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샤프트(30)를 회전시키면, 복수의 전측 블레이드(43)는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41)가 있었던 지점에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측 블레이드(45)는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41) 및 복수의 하측 블레이드(43) 사이 지점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후측 블레이드(47)는 서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후측 블레이드(47) 각각은 복수의 전측 블레이드(45) 중 하나와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샤프트(30)를 회전시키면, 복수의 후측 블레이드(47)는 복수의 전측 블레이드(45)가 있었던 지점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후측 블레이드(45)는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41) 및 복수의 하측 블레이드(43) 사이 지점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41)는 복수의 전측 블레이드(45) 및 복수의 후측 블레이드(47) 사이 지점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유체가 이동을 하는 경우에, 복수 상측 블레이드(41) 사이를 통과한 유체는 복수의 후측 블레이드(47)의 방해를 받게 될 수 있고, 복수 후측 블레이드(47) 사이를 통과한 유체는 복수의 하측 블레이드(43)의 방해를 받게 될 수 있으며, 복수 하측 블레이드(43) 사이를 통과한 유체는 복수의 전측 블레이드(45)의 방해를 받게 될 수 있고, 복수 전측 블레이드(45) 사이를 통과한 유체는 복수의 상측 블레이드(41)의 방해를 받게 될 수 있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베어링(50)은 베어링 하우징(51)이 외부드럼(10) 밑면에 결합되며, 홀에 상기 샤프트(30)가 삽입될 수 있다. 샤프트(30)는 베어링(50)의 홀을 통해 외부드럼(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샤프트(30)가 고정된 경우에, 외부드럼(10)은 베어링(50)으로 인해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외부드럼(1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유체드럼(20)은 외부드럼(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체드럼(20) 내부의 유체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a은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200)는 프레임(210), 전륜 롤러(220), 후륜 롤러(230), 중간 롤러(240), 발판(250) 및 전륜연결선(260) 및 후륜연결선(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의 발판이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의 발판이 분해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의 발판이 분해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프레임(210)은 지면 또는 바닥면 등에 안착되어 전륜 롤러(220), 후륜 롤러(230), 중간 롤러(240) 및 발판(250)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좌측 연결부(310), 우측 연결부(320), 전방 지지부(330), 중간 지지부(340), 좌측 전방 다리부(350), 우측 전방 다리부(355), 좌측 중간 다리부(360), 우측 중간 다리부(365), 좌측 후방 다리부(370) 및 우측 후방 다리부(375)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연결부(310) 및 우측 연결부(320)는 서로 이격되고, 전후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지지부(330) 및 중간 지지부(340)은 좌측 연결부(310) 및 우측 연결부(3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전방 지지부(330)는 좌측 연결부(310) 및 우측 연결부(320) 사이에 배치되며, 좌측 일단은 좌측 연결부(310)에 결합되고 우측 일단은 우측 연결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중간 지지부(340)는 전방 지지부(330) 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좌측 연결부(310) 및 우측 연결부(320)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 일단은 좌측 연결부(310)에 결합되고 우측 일단은 우측 연결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좌측 전방 다리부(350)는 좌측 연결부(310)에 결합되고, 하측이 지면 또는 바닥면 등에 안착가능하여 좌측 연결부(310)가 지면 또는 바닥면 등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우측 전방 다리부(355)는 우측 연결부(320)에 결합되고, 하측이 지면 또는 바닥면 등에 안착가능하여 우측 연결부(320)가 지면 또는 바닥면 등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좌측 중간 다리부(360)는 좌측 전방 다리부(350) 및 좌측 후방 다리부(370) 사이에 배치되며, 좌측 연결부(310)에 결합되고, 하측이 지면 또는 바닥면 등에 안착가능하여 좌측 연결부(310)가 지면 또는 바닥면 등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우측 중간 다리부(365)는 우측 전방 다리부(355) 및 우측 후방 다리부(375) 사이에 배치되며, 우측 연결부(320)에 결합되고, 하측이 지면 또는 바닥면 등에 안착가능하여 우측 연결부(320)가 지면 또는 바닥면 등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좌측 후방 다리부(370)는 좌측 연결부(310)에 결합되고, 하측이 지면 또는 바닥면 등에 안착가능하여 좌측 연결부(310)가 지면 또는 바닥면 등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우측 후방 다리부(375)는 우측 연결부(320)에 결합되고, 하측이 지면 또는 바닥면 등에 안착가능하여 우측 연결부(320)가 지면 또는 바닥면 등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에 자전거가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륜 롤러(220)는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프레임(21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륜 롤러(220)는 회전축부의 일단이 좌측 연결부(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우측 연결부(320)에 결합될 수 있고, 전방 지지부(330) 및 중간 지지부(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륜 롤러(220)의 드럼이 자전거(9)의 전륜 바퀴(91)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전륜 롤러(220)의 드럼 내부에 유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전륜 롤러(220)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1)일 수 있다. 즉 전륜 롤러(220)의 샤프트(30)의 일단이 좌측 연결부(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우측 연결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륜 롤러(220)의 외부드럼(10)이 자전거(9)의 전륜 바퀴(91)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후륜 롤러(230)는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프레임(21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륜 롤러(230)는 회전축부의 일단이 좌측 연결부(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우측 연결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후륜 롤러(230)의 드럼이 자전거(9)의 후륜 바퀴(93)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후륜 롤러(230)의 드럼 내부에 유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후륜 롤러(230)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1)일 수 있다. 즉 후륜 롤러(230)의 샤프트(30)의 일단이 좌측 연결부(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우측 연결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륜 롤러(230)의 외부드럼(10)이 자전거(9)의 후륜 바퀴(93)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중간 롤러(240)는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전륜 롤러(220) 및 후륜 롤러(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 롤러(240)의 드럼 내부에 유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중간 롤러(230)의 드럼이 자전거(9)의 후륜 바퀴(93)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중간 롤러(240)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1)일 수 있다. 즉 중간 롤러(240)의 샤프트(30)의 일단이 좌측 연결부(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우측 연결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중간 롤러(240)의 외부드럼(10)이 자전거(9)의 후륜 바퀴(93)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발판(250)은 중간 지지부(340) 및 중간 롤러(240) 사이에 배치되며, 하면이 좌측 연결부(310) 및 우측 연결부(320)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전륜연결선(260)은 일단은 전륜 롤러(220)의 드럼에 감겨지고 타단을 중간 롤러(240)의 드럼에 감겨지게 배치될 수 있다.
후륜연결선(270)은 일단은 중간 롤러(240)의 드럼에 감겨지고 타단을 후륜 롤러(230)의 드럼에 감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전륜연결선(260) 및 후륜연결선(270)은 전륜 롤러(220), 중간 롤러(230) 및 후륜 롤러(240)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1 외부드럼 10, 10-2
유체드럼 20 샤프트 30
블레이드 40 베어링 50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장치 200 프레임 210
전륜 롤러 220 후륜 롤러 230
중간 롤러 240 발판 250
전륜연결선 260 후륜연결선 270

Claims (6)

  1. 삭제
  2. 외부드럼; 및
    상기 외부드럼 내부에 배치되며, 유체가 포함된 유체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드럼은,
    옆면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3. 외부드럼; 및
    상기 외부드럼 내부에 배치되며, 유체가 포함된 유체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드럼은,
    밑면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 및
    다른 밑면에 형성되며,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홀의 옆면 중 일부는,
    내측으로 상기 유입홀이 넓어지게 경사지고,
    상기 배출홀의 옆면 중 일부는,
    외측으로 상기 배출홀이 넓어지게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4. 외부드럼; 및
    상기 외부드럼 내부에 배치되며, 유체가 포함된 유체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드럼은,
    상기 외부드럼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외부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외부드럼과 결합되며,
    상기 유체드럼 내부에서 상기 외부드럼 양 밑면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드럼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외부드럼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유체드럼 내의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 롤러; 및
    상기 유체 롤러가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장치.
KR1020230167683A 2023-11-28 2023-11-28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 KR102653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7683A KR102653749B1 (ko) 2023-11-28 2023-11-28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7683A KR102653749B1 (ko) 2023-11-28 2023-11-28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749B1 true KR102653749B1 (ko) 2024-04-24

Family

ID=9088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7683A KR102653749B1 (ko) 2023-11-28 2023-11-28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7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78B1 (ko) * 2015-02-27 2016-07-27 김근우 자전거 운동장치
JP2022547856A (ja) * 2019-09-03 2022-11-16 株式会社リアルデザインテック 自転車シミューレ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78B1 (ko) * 2015-02-27 2016-07-27 김근우 자전거 운동장치
JP2022547856A (ja) * 2019-09-03 2022-11-16 株式会社リアルデザインテック 自転車シミューレー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7040Y1 (ko) 실내운동용 흔들자전거
US9044635B2 (en) Exercise bicycle with magnetic flywheel brake
CN107530588B (zh) 自行车式游戏模拟装置
US20110233884A1 (en) Bubble-generating scooter for childredn
KR102653749B1 (ko) 자전거 훈련을 위한 유체 롤러 및 유체 롤러 장치
US5888175A (en) Structure of step exercising machine
US7070191B2 (en) Safety driving arrangement for twist vehicle
US20160304149A1 (en) Tricycle with two riding modes
US5133569A (en) Training wheel assembly for bicycle
US10130864B2 (en) Cycling training apparatus with stationary movement
JP2005334365A (ja) パチンコ機
US5283957A (en) Inclinometer for wheeled cycles
US20010044363A1 (en) Exerciser having foot pedals moving along an elliptical path
KR20170129030A (ko) 날개 없는 선풍기용 틸팅장치
IT201900015605A1 (it) Dispositivo di supporto per ruota anteriore di bicicletta
MXPA01007695A (es) Vehiculo para montar, con una rueda de flotacion libre.
KR200247777Y1 (ko) 승마운동기구
ES2577136T3 (es) Dispositivo de entrenamiento para ciclistas
US20090212519A1 (en) Swing structure for a kick scooter
KR200334981Y1 (ko) 사이클 운동기구
KR100256492B1 (ko) 자전거를 활용한 운동기구
CN207917054U (zh) 电动平衡扭扭车
KR19980067552U (ko) 승마식 자전거
CA2430504C (en) Stroller with a rotatable seat disposed rotatably on a stroller frame through bearings and connected fixedly to a fork member
TWM622097U (zh) 寵物用之運動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