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343B1 - 응축기 - Google Patents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343B1
KR102653343B1 KR1020180070622A KR20180070622A KR102653343B1 KR 102653343 B1 KR102653343 B1 KR 102653343B1 KR 1020180070622 A KR1020180070622 A KR 1020180070622A KR 20180070622 A KR20180070622 A KR 20180070622A KR 102653343 B1 KR102653343 B1 KR 102653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densation
area
region
cool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091A (ko
Inventor
이상용
장준일
신현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0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343B1/ko
Priority to US16/113,054 priority patent/US10935288B2/en
Priority to DE102018120965.7A priority patent/DE102018120965A1/de
Priority to CN201810987757.2A priority patent/CN109425149B/zh
Priority to JP2018159379A priority patent/JP6722242B2/ja
Publication of KR2019014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3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compress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3Condensers made by assembling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랭식 응축기에 있어서 냉매의 비체적 변화에 따른 유속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제1응축영역, 제1구획 플레이트 및 제2응축영역을 통해 응축이 일어나는 냉매의 유로가 지그재그방식으로 연장되어, 비체적의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유속이 감소하지 않고, 제2응축영역에서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과, 배출된 냉매가 연결플레이트를 통해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부분인 냉매유입통로가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냉매의 유속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축기{Condenser}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랭식 응축기에 있어서 냉매의 비체적 변화에 따른 유속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 사이클에서는 액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는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액화된 열교환매체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여,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즉, 응축기는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하는데, 냉매의 열교환매체에 따라 공기를 이용하는 공랭식과 액체를 이용하는 수랭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수랭식 응축기(1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는 응축영역(20), 기액분리기(30) 및 과냉각영역(4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된다.
냉매는 응축영역(20)에서 이상(Two-phase)상태가 되면서 비체적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종래 수랭식 응축기는 이러한 비체적의 변화를 고려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냉매의 유속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153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의 목적은 응축영역에서 냉매의 비체적의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냉매의 유속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응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는, 길이 방향으로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가 다수 교번 적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체유동부(130)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부(140)가 교번되어 형성되는 응축영역(200), 길이방향으로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가 다수 교번 적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체유동부(130)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부(140)가 교번되어 형성되는 과냉각영역(300), 상기 응축영역(200)과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응축영역(200)과 과냉각영역(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기 응축영역(200) 및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적층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기액분리기(500)를 포함하되, 상기 응축영역(200)은 길이 방향으로 구획된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 각각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응축영역(210)에서 유체의 진행 방향은 상기 제2응축영역(220)에서 유체의 진행 방향과 반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400)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과 상기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상기 제1플레이트(110)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12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에 상기 제2응축영역(220)과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냉각유체유동홀(154)이 연통되도록 중공되는 냉각유체연결파이프(4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는 냉각수연결파이프(420)가 관통되어 냉각유체유동부(130)를 서로 연결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152)과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냉매유입부를 연통시키는 냉매유입통로(431)와,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냉매배출부와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냉매유동홀(152)을 연통시키는 냉매배출통로(4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매연결파이프(430)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유입통로(431)는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의 중공된 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152)과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냉매 유입부와 연통시키고, 상기 냉매배출통로(432)는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의 중공된 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냉매배출부와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냉매유동홀(152)과 연통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 몸체(410)의 일 면 및 타면은 상기 제 1 플레이트(110) 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120)의 일 면에 접하되, 상기 제 1 플레이트(110) 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일면(120)의 모든 모서리와 접하며 결합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 몸체(410)의 일면 및 타면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연결 플레이트(40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2개 이상의 중공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기 연결플레이트 몸체(410)의 일면과 타면 사이를 상기 응축영역(200)과 상기 과냉각 영역(300)의 적층방향으로 연결하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냉각유체연결파이프(420)와 상기 냉매연결파이프(43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영역(200)은 길이 방향 중단에 형성되어 상기 응축영역(200)을 상기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으로 구획하되, 상기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 각각의 냉매유동부(140)를 연결시키는 제1연결구가 높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1구획 플레이트(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영역(200)은 상기 제1응축영역(210) 또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을 구획하는 제2구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대상유체는 물 또는 공기이고, 상기 제1응축영역(210)의 길이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을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부 및 기액분리된 냉매를 상기 과냉각영역으로 배출시키는 냉매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응축영역(220)에서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과 상기 냉매유입부의 입구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매유동부(140)간에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는 냉매유출입홀(151)과 냉매유동홀(152) 및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각유체유동부(130) 간에 연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는 냉각유체유출입홀(153)과 냉각유체유동홀(154)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유출입홀(151)은 둘레에 냉각유체유동부(130) 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유동홀(152)은 둘레에 상기 냉각유체유동부(130) 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162)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유체유출입홀(153)은 둘레에 상기 냉매유동부(140) 측으로 돌출되는 제3돌출부(163)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체유동홀(154)은 둘레에 상기 냉매유동부(140) 측으로 돌출되는 제4돌출부(164)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응축영역(210)에 포함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응축영역(220)에 포함되는 플레이트는 서로 동일한 면을 바라보도록 적층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400)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과 상기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상기 제1플레이트(110)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12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에 상기 제2응축영역(220)과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냉각유체유동홀(154)이 연통되도록 중공되는 냉각유체연결파이프(420)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152)과 상기 냉매유입부를 연통시키는 냉매유입통로(431)와, 상기 냉매배출부와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냉매유동홀(152)을 연통시키는 냉매배출통로(4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매유동통로(4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400)는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개방된 형태로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기액분리기(500)와 결합되는 기액분리기 결합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에 의하면, 제1응축영역, 제1구획 플레이트 및 제2응축영역을 통해 응축이 일어나는 냉매의 유로가 지그재그방식으로 연장됨으로써, 냉매의 비체적의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유속이 감소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응축영역에서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과 배출된 냉매가 연결플레이트를 통해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부분인 냉매유입부의 입구가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냉매의 유속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수랭식 응축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의 적층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는 응축영역(200), 과냉각영역(300), 연결플레이트(400) 및 기액분리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영역(200)은 제1응축영역(210), 제2응축영역(220) 및 제1구획 플레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응축영역(210)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체유동부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부가 교번되어 형성된다. 냉각유체유동부에서 유동하는 냉각대상유체는 물, 공기 또는 기타 유체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대상유체가 물, 즉 냉각수인 경우를 설명한다.
제1응축영역(210)을 구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일 수 있다. 도 4에는 제1플레이트(110)가 전면에 노출된 상태의 적층체가, 제5에는 제2플레이트(120)가 전면에 노출된 상태의 적층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적층된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매유동부(140)간에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는 냉매유출입홀(151)과 냉매유동홀(152)이 형성되며, 적층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각유체유동부(130)에 연통되어 냉각수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는 냉각유체유출입홀(153)과 냉각유체유동홀(15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냉매유출입홀(151), 냉매유동홀(152), 냉각유체유출입홀(153) 및 냉각유체유동홀(154)은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 내에서 각 코너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유출입홀(151)은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매유동부(140)간에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어 형성되며, 그 둘레에는 냉각유체유동부(130) 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161)가 형성된다.
냉매유동홀(152)은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매유동부(140)간에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어 형성되며, 그 둘레에는 냉각유체유동부(130) 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162)가 형성된다.
냉각유체유출입홀(153)은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각유체유동부(130)간에 돌출되어 냉각수가 유동되도록 중공되어 형성되며, 그 둘레에는 냉매유동부(140) 측으로 돌출되는 제3돌출부(163)가 형성된다.
냉각유체유동홀(154)은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각유체유동부(130)간에 냉각수가 유동되도록 중공되어 형성되며, 그 둘레에는 냉매유동부(140) 측으로 돌출되는 제4돌출부(164)가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는 제1응축영역(210)을 구성할 뿐 아니라, 제2응축영역(220) 및 과냉각영역(300)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응축영역(210)은 제2응축영역(220) 및 과냉각영역(300)과 동일하되,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은 냉매가 우선적으로 유입되고, 과냉각영역(300)은 냉각수가 우선적으로 유입된다는 점이 다르다.
단, 제1응축영역(210)의 길이는 제2응축영역(22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즉,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을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가 동일한 것이고,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적층된다고 했을 때, 제1응축영역(210)을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의 개수 총 합은 제2응축영역(220)을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의 개수 총 합보다 많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는 길이 방향 최외곽에 위치한 냉매유출입홀(151)에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구(51) 및 냉매가 배출되는 냉매배출구(5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냉매유입구(51)는 제1응축영역(210)의 높이 방향 일측(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획 플레이트(230)는 응축영역(200)의 길이 방향 중단에 형성되어 응축영역(200)을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으로 구획하여, 제1응축영역(210)의 길이방향 일측 최외곽에 형성된 냉각유체유동부 또는 냉매유동부를 차폐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획 플레이트(230)는 높이 방향 타측(도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제1응축영역(210)의 냉매유동부와 연결되어, 제1응축영역(210)의 냉매를 제2응축영역(220)으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는 제1연결구(231)가 형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유입구(51)로 제1응축영역(210) 내부의 냉매유동부로 유입된 냉매는 제1응축영역(210)의 높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 뒤, 제1연결구(231)를 통해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부로 유동한다. 이는 제1 및 제2응축영역(210, 220)에서 응축되며 비체적의 변화가 일어나는 냉매를 고려하여 유턴 구조로 냉매의 유로를 구성한 것으로, 냉매의 유속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을 통과한 냉매는 연결플레이트(400)를 통해 기액분리기(500)로 유입된 후, 기액분리기(500)에서 과냉각영역(300)으로 다시 유입되며, 이후 냉매배출구(52)를 통해 배출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을 통해, 응축이 일어나 비체적의 변화가 일어나는 냉매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유로를 연장시키되, 유턴구조를 통해 냉매의 유속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필요시 제2응축영역(220)과 연결플레이트(400의 사이, 즉 제2응축영역(220)의 일측에 제1구획 플레이트(230) 및 제2응축영역(22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2구획 플레이트(미도시) 및 제3응축영역(미도시)을 부가하여, 냉매의 유로를 연장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단면을 기준으로 봤을 때,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 각각을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서로 동일한 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가 적층된 방향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제1구획 플레이트(230)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적층될 수 있는데, 이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구성된 제1응축영역(210)의 냉매유동부를 통과하여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부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속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동일한 목적을 위해, 제2응축영역(220)에서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의 높이와, 제2응축영역(220)에서 배출된 냉매가 연결플레이트(400)를 통해 기액분리기(500)로 유입되는 부분인 냉매유입통로(431)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400)는 길이 방향으로 제2응축영역(220)과 과냉각영역(300)사이에 배치되어, 제2응축영역(220)과 과냉각영역(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며, 연결플레이트(400)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2응축영역(220)과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배치되어 제1플레이트(110) 또는 제2플레이트(120)와 결합됨으로써,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가 적층된 엔드플레이트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중량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400)는 제2응축영역(220)과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제1플레이트(110) 또는 제2플레이트(12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몸체(410)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강도를 가질 수 있다면, 중량의 최소화를 위해 간소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400)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되, 냉각유체유동부(130)를 연결하는 냉각수연결파이프(420)를 포함한다.
냉각수연결파이프(42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각유체유동부(130)를 연통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냉각수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냉각수연결파이프(420)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되, 연결플레이트몸체(410)와 별도로 제작되어 필요 시 브레이징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냉각수연결파이프(420)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에 냉각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된 냉각수연결파이프(420)를 통해 냉각수를 유동시키므로, 불필요한 중량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플레이트몸체(410)에 냉각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시간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연결플레이트몸체(410)는 냉각수연결파이프(420)가 관통되어 냉각유체유동부(130)를 서로 연결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400)는 냉매유동통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유동통로(430)는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과 기액분리기(500) 및 과냉각영역의 냉매유동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크게 냉매유입통로(431)와 냉매배출통로(4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몸체(410) 내부에 형성되되,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과 기액분리기(500)의 냉매유입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며, 냉매유입통로(431)는 길이 방향으로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과 연통되되, 기액분리기는 연결플레이트(400)의 폭 방향 일측에 설치되므로, 연결플레이트몸체(410) 내부에서 절곡되어 기액분리기(500)의 냉매유입부와 연통될 수 있다.
냉매배출통로(432)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 내부에 형성되되, 기액분리기(500)의 냉매배출부와 과냉각영역(300)의 냉매유동홀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며, 냉매배출통로(432)는 연결플레이트(400)의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된 기액분리기(500)의 냉매배출부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과냉각영역(300)의 냉매유동홀(154)과 연통되도록, 연결플레이트몸체(410) 내에서 절곡되어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400)는 폭 방향 일측으로 기액분리기(500)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 기액분리기결합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액분리기결합부(4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액분리기(500)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완곡되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액분리기(500)를 연결플레이트(400) 폭 방향 일측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1000)는 연결플레이트(400)를 통해 기액분리기(500)를 폭 방향 일측에 위치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기액분리기(500)의 배치 및 고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이는 응축기(1000)가 구비되는 차량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플레이트(400)의 기액분리기결합부(440)를 폭 방향 양측 중 선택되는 위치에 위치시켜 기액분리기(500)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응축기(1000)가 구비되는 다양한 차량 내에서 간편하게 배치시킬 수 있어, 다양한 차량에 적용이 수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 몸체(410)는, 중공부와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는 연결 플레이트 몸체(410)의 일면 및 타면에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의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도 3의 상하방향과 응축영역(200) 및 과냉각 영역(300)이 연결 플레이트 몸체(410)에 적층되는 방향에 모두 수직한 방향(이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격벽은 상술한 중공부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연결플레이트 몸체(410)의 일면과 타면 사이를 응축영역(200)과 과냉각 영역(300)의 적층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영역(200), 과냉각영역(300)의 사이에 배치되는 냉각유체연결파이프(420)와 냉매연결파이프(430) 및 기액분리기(500)가 응축영역(200)과 과냉각영역(300)을 지지하지 않도록 보호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 될 수 있으며, 연결 플레이트 몸체(410)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됨(중공부, 및 격벽을 포함)으로써 재료비 절감 및 내구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격벽은 냉각유체연결파이프(420)와 냉매연결파이프(43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가 필요한 주요지점인 냉각유체연결파이프(420)와 냉매연결파이프(430)의 사이에 격벽이 형성됨으로써 냉각유체연결파이프(420)와 냉매연결파이프(430) 또는 기액분리기(500)의 교체 및 보수가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수랭식 응축기
20 : 응축영역
30 : 기액분리기
40 : 과냉각영역
51 : 냉매유입구 52 : 냉매배출구
110 : 제1플레이트 120 : 제2플레이트
130 : 냉각유체유동부 140 : 냉매유동부
151 : 냉매유출입홀 152 : 냉매유동홀
153 : 냉각유체유출입홀 154 : 냉각유체유동홀
161 : 제1돌출부 162 : 제2돌출부
163 : 제3돌출부 164 : 제4돌출부
200 : 응축영역
210 : 제1응축영역 220 : 제2응축영역
230 : 구획 플레이트 231 : 제1연결구
300 : 과냉각영역
400 : 연결플레이트 410 : 연결플레이트몸체
420 : 냉각유체연결파이프 430 : 냉매연결파이프
431 : 냉매유입통로 432 : 냉매배출통로
440 : 기액분리기결합부 500 : 기액분리기

Claims (12)

  1. 길이 방향으로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가 다수 교번 적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체유동부(130)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부(140)가 교번되어 형성되는 응축영역(200);
    길이방향으로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가 다수 교번 적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체유동부(130)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부(140)가 교번되어 형성되는 과냉각영역(300);
    상기 응축영역(200)과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응축영역(200)과 과냉각영역(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기 응축영역(200) 및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적층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기액분리기(500);
    를 포함하되,
    상기 응축영역(200)은 길이 방향으로 구획된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 각각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응축영역(210)에서 유체의 진행 방향은 상기 제2응축영역(220)에서 유체의 진행 방향과 반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400)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과 상기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상기 제1플레이트(110)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12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에 상기 제2응축영역(220)과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냉각유체유동홀(154)이 연통되도록 중공되는 냉각유체연결파이프(4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는 냉각수연결파이프(420)가 관통되어 냉각유체유동부(130)를 서로 연결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152)과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냉매유입부를 연통시키는 냉매유입통로(431)와,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냉매배출부와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냉매유동홀(152)을 연통시키는 냉매배출통로(4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매연결파이프(430)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유입통로(431)는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의 중공된 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152)과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냉매 유입부와 연통시키고,
    상기 냉매배출통로(432)는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의 중공된 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냉매배출부와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냉매유동홀(152)과 연통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 몸체(410)의 일 면 및 타면은 상기 제 1 플레이트(110) 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120)의 일 면에 접하되, 상기 제 1 플레이트(110) 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일면(120)의 모든 모서리와 접하며 결합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 몸체(410)의 일면 및 타면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연결 플레이트(40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2개 이상의 중공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기 연결플레이트 몸체(410)의 일면과 타면 사이를 상기 응축영역(200)과 상기 과냉각 영역(300)의 적층방향으로 연결하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냉각유체연결파이프(420)와 상기 냉매연결파이프(43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영역(200)은 길이 방향 중단에 형성되어 상기 응축영역(200)을 상기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으로 구획하되, 상기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 각각의 냉매유동부(140)를 연결시키는 제1연결구가 높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1구획 플레이트(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영역(200)은 상기 제1응축영역(210) 또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을 구획하는 제2구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대상유체는 물 또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응축영역(210)의 길이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을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부 및
    기액분리된 냉매를 상기 과냉각영역으로 배출시키는 냉매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응축영역(220)에서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과 상기 냉매유입부의 입구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매유동부(140)간에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는 냉매유출입홀(151)과 냉매유동홀(152) 및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각유체유동부(130) 간에 연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는 냉각유체유출입홀(153)과 냉각유체유동홀(1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출입홀(151)은 둘레에 냉각유체유동부(130) 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유동홀(152)은 둘레에 상기 냉각유체유동부(130) 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162)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유체유출입홀(153)은 둘레에 상기 냉매유동부(140) 측으로 돌출되는 제3돌출부(163)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체유동홀(154)은 둘레에 상기 냉매유동부(140) 측으로 돌출되는 제4돌출부(16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응축영역(210)에 포함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응축영역(220)에 포함되는 플레이트는 서로 동일한 면을 바라보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400)는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개방된 형태로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기액분리기(500)와 결합되는 기액분리기 결합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KR1020180070622A 2017-08-28 2018-06-20 응축기 KR102653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22A KR102653343B1 (ko) 2018-06-20 2018-06-20 응축기
US16/113,054 US10935288B2 (en) 2017-08-28 2018-08-27 Condenser
DE102018120965.7A DE102018120965A1 (de) 2017-08-28 2018-08-28 Kondensator
CN201810987757.2A CN109425149B (zh) 2017-08-28 2018-08-28 冷凝器
JP2018159379A JP6722242B2 (ja) 2017-08-28 2018-08-28 凝縮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22A KR102653343B1 (ko) 2018-06-20 2018-06-20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091A KR20190143091A (ko) 2019-12-30
KR102653343B1 true KR102653343B1 (ko) 2024-04-02

Family

ID=6910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622A KR102653343B1 (ko) 2017-08-28 2018-06-20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5794A1 (de) * 2020-10-02 2022-04-07 Michael Rehberg Plattenwärmeübertrager und Heizungs- oder Kühlanlage
KR102588981B1 (ko) * 2021-11-23 2023-10-13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통합 판형 열교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8907A1 (fr) * 2009-03-24 2010-09-30 Valeo Systemes Thermiques Condenseur a deux blocs d'echange de chaleur pour circuit de climatis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1534A (ko) 2010-12-03 2012-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냉식 응축기
KR101906812B1 (ko) * 2011-10-21 2018-10-12 주식회사 두원공조 리시버 드라이어 일체형 응축기
KR102477289B1 (ko) * 2015-12-30 2022-12-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일체형 수냉식 응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8907A1 (fr) * 2009-03-24 2010-09-30 Valeo Systemes Thermiques Condenseur a deux blocs d'echange de chaleur pour circuit de climati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091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5288B2 (en) Condenser
KR102228167B1 (ko) 응축기
EP2869000B1 (en) Refrigeration cycle of refrigerator
JP6497262B2 (ja) 積層型熱交換器
US10041710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JP4358981B2 (ja) 空調用凝縮器
KR20170079223A (ko) 일체형 수냉식 응축기
CN103727709A (zh) 用于车辆的冷凝器
EP3141859B1 (en) Micro channel type heat exchanger
KR102653244B1 (ko) 응축기
KR102653343B1 (ko) 응축기
US20220065542A1 (en) Heat exchanger
KR102653331B1 (ko) 응축기
JP2001174103A (ja) 冷媒凝縮器
KR102617945B1 (ko) 수냉식 응축기
US11885569B2 (en) Heat exchanger
KR101144262B1 (ko) 응축기
KR102593768B1 (ko) 수냉식 응축기
JPH10170098A (ja) 積層型蒸発器
KR100842209B1 (ko) 리시버 드라이어를 가진 열교환기
KR101773014B1 (ko) 응축기
KR20230056194A (ko) 수냉식 응축기
KR20240067455A (ko) 열교환기
KR100664537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적층형 2차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JP2001227843A (ja) レシーバタンク付き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