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338B1 - 단말기 위치 정보에 근거한 위치 범위와 약속 시간 정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 위치 정보에 근거한 위치 범위와 약속 시간 정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338B1
KR102653338B1 KR1020210086369A KR20210086369A KR102653338B1 KR 102653338 B1 KR102653338 B1 KR 102653338B1 KR 1020210086369 A KR1020210086369 A KR 1020210086369A KR 20210086369 A KR20210086369 A KR 20210086369A KR 102653338 B1 KR102653338 B1 KR 102653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location
server
end time
saf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5531A (ko
Inventor
이지희
Original Assignee
이지희
윤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희, 윤서정 filed Critical 이지희
Priority to KR102021008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338B1/ko
Publication of KR20230005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5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는 위치 정보 획득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단말기들과 서버 사이에 통신을 매개하는 네트워크에 의해서 수행된다.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만남 장소 및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약속 시간을 포함하는 만남 정보를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거쳐, 서버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거친다. 그런 다음,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생성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생성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그 다음 서버가 종료 시각 초과 여부를 점검하고,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와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또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 경우, 서버가 위험 상황이라고 판정하고 위험 상황을 알리는 과정을 진행한다.

Description

단말기 위치 정보에 근거한 위치 범위와 약속 시간 정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Employing Location Area Obtained from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nd Appointment Time}
본 발명은 약속된 만남 또는 대면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위성항법시스템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산정하고, 여기에 약속 시간 종료 시각을 결합하여 이동 단말기의 안전 여부를 판정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정한 경우 그에 적절한 조처를 취하기 위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서로 간의 직거래, 여행안내, 배달, 및 세대 방문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대면 서비스의 증가에 따른 범죄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대면 서비스의 안전을 위한 안심 서비스로, 만나는 사람의 사진, 신분증, 약속 시간 등의 정보들을 문자, 사진, 음성 및 영상으로 미리 전송하여, 신분을 밝히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상 버튼을 눌러 위험 상황을 주변과 관계기관에 알려서 도움을 요청하도록 도와주는 안심 서비스들이 종래의 기술로써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신상정보와 약속 시간의 제공 또는 비상 버튼만으로는 우발적이거나 계획적으로 발생하는 폭행, 납치, 협박 등의 각종 범죄의 위험에 대해서는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특히, 피해 측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빼앗기거나, 단말기의 파손 등, 물리력으로 제압당하여 저항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면, 단말기만을 이용한 서비스들은 아무런 조처를 할 수 없게 되며, 신체적 상해를 입었을 때도 신속한 후속 조처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비상 버튼 기술들은 피해 측의 위치와 주변 환경에 대해서는 방범 기관에 알려줄 수는 있으나, 가해 측의 실시간 위치 및 이동 경로에 대해서는 알려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번호 1014209060000 (2014.07.11) 한국특허번호 1009322570000 (2009.12.0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수신되어 생성되는 이동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에 범위 개념을 부여하여 위치 범위를 산정하고, 여기에 단말기 사용자들이 서로 만나는 약속 시간을 결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들을 비교분석 하여, 약속 시간이 초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동 단말기들 각각의 위치 범위가 중첩되어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정하여 방범 관계기관 및 주변의 단말기들에 위험 상황을 알려주는 안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단말기가 물리적으로 손실된 위험 상황에서도 피해 측은 물론 가해 측의 위치 및 이동 경로 정보를 방범 관계기관 및 주변에 알려줌으로써, 위험 상황에 대해 더욱더 신속하게 가해 측을 격리, 추격, 검거하는 등의 후속 조처가 좀 더 빠르게 이루어지게 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위치 정보 획득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제1 사용자 단말기, 위치 정보 획득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제2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상기 단말기들과 상기 서버 사이에 통신을 매개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환경에서 수행된다.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만남 장소 및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약속 시간을 포함하는 만남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종료 시각 초과 여부를 점검하고, 상기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위험 상황이라고 판정하고 위험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적재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위치 정보 획득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위치 정보 획득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만남 장소 및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약속 시간을 포함하는 만남 정보를 등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생성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종료 시각 초과 여부를 점검하고, 상기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 경우, 위험 상황이라고 판정하고 위험 상황을 알리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약속된 만남 또는 대면 서비스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위성항법시스템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와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시스템(GPS) 또는 무선네트워크(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위치 정보 및 이동 경로 조회와 만남 전 서버에 등록하는 약속 시간 정보를 결합하여 위험 상황을 분석하는 안심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대 측에게 물리력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손실이 일어난 상황에서라도 약속 시간이 초과하면, 위험 상황에 대한 후속 조처를 자동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서로의 만남, 직거래 및 방문 서비스 등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만남 중 약속 시간을 초과한 단말기가 물리적인 손실이 발생하여 서버로 위치 정보 송신을 할 수 없는 위험 상황에서도, 마지막 실시간 위치 정보와 만남 전 미리 서버에 등록된 다른 만남 단말기들의 지속적인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이동 경로를 관계기관에 전송하여 지속적인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안심 서비스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안심 서비스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심 서비스 앱을 실행 시 화면에 나타나는 특히 비상 버튼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각각의 이동 단말기의 출발 위치로부터 만남 장소에 이르는 이동 경로에 대한 안심 서비스 서버에 나타나는 예시적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들의 위치 범위 중첩 여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6a는 이동 단말기들 각각의 위치 범위가 서로 겹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6b는 서로 겹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심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여러 유형의 통신 장치들(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수많은 대면 서비스들과 관련하여, GPS 수신기와 같은 위성항법시스템용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들로부터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서버에 등록된 약속시간과 단말기들 각각의 위치 범위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며, 위험 상황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 제1 사용자 단말기(200), 제2 사용자 단말기(300), 네트워크(400), 및 방범 등 관계기관 연락망(500)을 포함한다. 유념할 것은, 이러한 시스템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들 구성요소들은 실제 본 발명의 구현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내장된 GPS 수신기와 같은 위성항법시스템용 수신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집한 위치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단말기들(200, 300)의 이동 경로를 작성하여 관리하며, 안심 서비스의 시작부터 종료 시점까지 각각의 단말기들(200, 300)에 의해 입력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말기들(200, 300)의 위치 범위의 중첩 여부를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상황에 따라 각각의 단말기들(200, 300) 및/또는 관계기관 연락망(500) 등에 적절한 조처를 취한다. 여기서, 위치 범위란, 뒤에서 상술하겠지만, 각각의 단말기들(200, 300)의 위치 정보로부터 얻은 GPS 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반경을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위치기반서비스(LBS)와도 연동되어 각각의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얻은 위치 정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안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정보로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안심 서비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쌍방향 상호작용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00) 각각은 이동 단말기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이동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일 수 있으며, 그 유형에 제한되지 않고, GPS, DGPS(Differential GPS) 또는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반 위치 정보 획득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이면 충분하다.
도 1에는 2개의 사용자 단말기(200, 300)가 도시 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그 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기(2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00)가 각각 하나씩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200, 300)는 다수일 수 있으며, 이렇게 다수일 경우 그 단말기 사용자들은 동일한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게 된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만남 서비스의 당사자로서, 에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200)는 만남 서비스의 수혜자일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만남 서비스의 제공자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00) 각각은 본 발명의 안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의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으로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앱(application)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관계기관 연락망(500)은 제1 사용자 단말기(2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에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판단한 경우, 이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가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등록한 비상연락망이나 경찰서, 보안 서비스대행사 또는 통제센터 등의 방범 관계기관에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위험 상황으로 판단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단말기들(200, 300) 중 어느 곳으로부터 설치된 앱을 통해 비상 버튼이 활성화된 것으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신호 수신한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40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안심 서비스 요청 등록부(110), 단말기 위치 확인부(120), 이동경로 생성부(130), 통신부(140), 상황 분석부(150), 안전 여부 확인부(160), 위험상황 알림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안심 서비스 요청 등록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안심 서비스와 관련한 각종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00) 사용자는 제2 단말기(300) 사용자와의 대면 만남과 관련하여 약속 장소, 만남 장소를 향해 출발하거나 대면 서비스 시작을 뜻하는 시작 시각 및 만남 서비스의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약속 시간, 만남 대상자가 다수인 경우 각자의 신분을 구분할 수 있는 개인 정보(예를 들면, 휴대전화 번호 등), 필요한 경우 비상연락망 등을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등록한다. 아울러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300)의 어느 일방에 의해 등록이 이루어지는 경우 만남의 상대방 연락처(이동 단말기 주소, 예로 휴대전화 번호)도 필수 정보로 입력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안심 서비스 개시 등록은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진행되던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진행되던 또는 양측 모두로부터 적절히 진행되든 만남 서비스의 대상자들, 만남 장소, 약속 시간, 당사자들과 서버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식별 정보(휴대전화 번호 등) 등 안심 서비스를 확정할 수 있는 필요한 정보가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등록이 되면 충분하다. 안심 서비스 등록이 어느 한 당사자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대편 당사자의 단말기에 만남 서비스 등록이 이루어진 사실을 통지하고 안심 만남 서비스의 개시를 위해 필요한 추가 정보를 요청하여 처리하게 된다.
안심 서비스 등록 시,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배포하는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함으로써 단말기들(200, 300)과 서버(1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원활히 진행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안심 서비스가 서버(100)에 의해 개시가 되면,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단말기 위치 확인부(120)는 만남 대상자들의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예로 GPS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아 저장한다. 나아가 단말기 위치 확인부(120)는 각각의 단말기(200, 30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위치 범위를 정한다. 여기서, 위치 범위는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위치 정보로부터 얻은 GPS 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반경(예로, 10m)을 갖는 범위를 뜻한다. 반경의 크기는 만남 서비스의 성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만남이 일반적으로 위험이 높은 경우에 속하거나 만남 당사자가 느끼는 위험도가 높을 때에는 큰 반경을 가지게 될 것이다. 위치 범위의 반경 변수는 안심 만남 서비스를 등록하는 당사자, 즉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300)에 의해 안심 서비스 등록 시 지정할 수도 있으며, 아니면 안심 서비스 서버(100)에서 정하는 안내 지침에 따라 정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각 사용자 단말기들(200, 300)의 위치 정보와 위치 범위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자 단말기들(200, 300) 중 어느 한 쪽에만 제공되거나(이 경우는 보통 만남 서비스의 수혜자가 요청한 때에 해당할 것임), 아니면 모두에게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양 당사자가 모두 동의한 경우).
이동 경로 생성부(130)는 각 사용자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수신 받은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이동 경로를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지도에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 경로는 안심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참고로 하기 위한 것이다.
상황 분석부(150)는 안심 서비스 요청 등록부(110)를 통해 등록된 약속 시간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만남 서비스 종료시각의 도과 여부를 확인한다. 점검 결과 종료 시각이 초과한 경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위치 범위를 단말기 위치 확인부(120)를 통해 점검한다. 확인 결과 종료 시각이 초과하였고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위치 범위가 서로 겹치지 않는 때에는 만남 서비스가 안전하게 종료된 것으로 상황 분석부(150)에서 판정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에 따라 종료 시각은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요청되는데, 왜냐하면 종료 시각을 엄격히 적용하여 종료 시각이 도래하자마자 안심 만남 서비스가 종료되었다고 가정하고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위치 범위를 적용하는 것은 물리적 현실적으로 성급한 판단에 이르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심 서비스 요청 등록부(110)를 통해 등록된 종료 시각이 등록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황 분석부(150)에서 상황 분석의 토대로 삼는 종료 시각은 “종료 시각+일정 추가 시간”으로 산정하여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일정 추가 시간은 안심 만남 서비스를 신청하는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가 지정할 수도 있으며(이 경우 안심 서비스 요청 등록부(100)를 통해 지정할 수 있을 것임), 아니면 안심 서비스 서버(100)가 만남 서비스의 성질을 고려하여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달리, 상황 분석부(150)가 분석한 결과 종료 시각이 초과하였고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위치 범위가 서로 겹쳐 있는 때에는 만남 서비스가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때의 종료 시각은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가 안심 서비스 요청 등록부(100)를 통해 등록한 종료 시각부터 약속 시간 초과 여부를 판단하며, 또한 위에서 설명한 이유로 “종료 시각+일정 추가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상황 판정을 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유념할 것은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의 기산점인 종료 시각은 엄격히 적용해야 하며, 따라서 종료 시각이 초과한 그 시점부터 기산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위치 범위가 서로 겹쳐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위험 상황을 판정해야 한다.
상황 분석부(150)에서 위험 상황으로 판정하면, 안전 여부 확인부(160)는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에 문자, 긴급알림 푸시, 또는 전화 등으로 안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등 정보를 전송하여 안전 여부를 확인한다. 위험 상황 시 안전 여부 확인을 위한 정보에는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를 식별하기 위한 특별 메시지(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일부, 특별한 문구나 어구 등)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특별 메시지는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에 의해 만남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것일 수 있다. 확인 결과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위험하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면, 위험 상황 알림부(170)는 위험 상황을 비상연락망, 안심 서비스 앱 사용 중인 주변의 단말기들, 경찰서, 보안 서비스사 및 통제센터 등의 방범 관계기관 연락망(500)에 위험 상황 알림과 함께 단말기들(200, 300)의 이동 경로,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하여, 신속한 출동과 후속 조치 및 도움을 요청한다.
통신부(140)는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40)는 상술한 컴퓨팅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선 인터넷 모듈, 이동통신 모듈 또는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각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의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 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제 도3을 참조하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안심 서비스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 버스(1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4), 프로세서(101)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적재하는 메모리(102)와, 안심 서비스 소프트웨어(106)를 저장하는 저장장치(10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101)는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02)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저장장치(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6)을 적재할 수 있다. 메모리(102)의 예시로 RAM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버스(103)는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03)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4)는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4)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4)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장치(105)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6)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6)의 예시로 안심 서비스 소프트웨어(106)가 도시되어 있다.
저장장치(105)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심 서비스 소프트웨어(10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안심 서비스 소프트웨어(106)는 메모리(102)에 적재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에 의해, 위치 정보 획득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위치 정보 획득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만남 장소 및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약속 시간을 포함하는 만남 정보를 등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생성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종료 시각 초과 여부를 점검하고, 상기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 경우, 위험 상황이라고 판정하고 위험 상황을 알리는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심 서비스 앱을 실행 시 화면에 나타나는 특히 비상 버튼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앱을 설치하여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통신하게 되는데, 안심 서비스 앱을 실행 시 위험 상황을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언제든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비상 버튼(SOS)(250)이 제공된다.
안심 서비스 앱은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와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의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비상 버튼(250)이 작동될 경우, 위험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송신한다. 나아가, 비상 버튼(250)이 작동될 경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비상 알림음을 활성화하여 외부로 송출하고,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주변 상황을 촬영하여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각각의 이동 단말기의 출발 위치로부터 만남 장소에 이르는 이동 경로에 대한 안심 서비스 서버에 나타나는 예시적 화면이다. 이동 경로는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가 만남 장소에 이르기까지 특이한 행동 등을 점검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위험 상황 발생 시 관계기관(500) 등에 참고 자료로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 단먈기들의 위치 범위 중첩 여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6a는 이동 단말기들 각각의 위치 범위가 서로 겹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6b는 서로 겹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술한 것처럼 위치 범위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GPS 위치 정보로부터 얻은 GPS 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반경을 갖는 범위를 뜻한다. 도 6a에서와 같이, 만남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위치 범위가 서로 겹치지(중첩되지) 않는 상황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안전한 상황으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판정한다. 도 6a에서, A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를, B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를 나타낸다.
이와는 달리 도 6b에서와 같이, 만남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위치 범위가 서로 겹치는(중첩되는) 상황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위험한 상황으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판정한다. 도 6b에서, A1과 A2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가 복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예시한 것이고 B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심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도7과 함께 도 2를 같이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안심 서비스의 개시를 위해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각 단말기 사용자 사이의 대면 만남과 관련하여 약속 장소, 만남 장소를 향해 출발하거나 대면 서비스 시작을 뜻하는 시작 시각 및 만남 서비스의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약속 시간, 만남 대상자가 다수인 경우 각자의 신분을 구분할 수 있는 개인 정보(예를 들면, 휴대전화 번호 등), 필요한 경우 비상연락망, 만남 상대방 연락처(이동 단말기 주소, 예로 휴대전화 번호) 등을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등록한다(단계 605) (도 2의 안심 서비스 요청 등록부(110)). 여기서, 안심 서비스 등록이 어느 한 당사자(제 1 단말기(200) 또는 제2 단말기(300))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대편 당사자의 단말기에 만남 서비스 등록이 이루어진 사실을 통지하고 안심 만남 서비스의 개시를 위해 필요한 추가 정보를 요청하여 처리하게 된다.
안심 서비스가 서버(100)에 의해 개시가 되면, 단말기 위치 확인부(120)에 의해 만남 대상자들의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GPS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아 저장한다(단계 610). 나아가 수신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 위치 확인부(120)에 의해 각각의 단말기(200, 300)의 위치 범위를 정한다. 여기서, 위치 범위는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위치 정보로부터 얻은 GPS 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반경(예로, 20m)을 갖는 범위를 뜻한다. 반경의 크기는 만남 서비스의 성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안심 서비스가 계속 진행되는 동안, 상황 분석부(150)에 의해 약속 시간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만남 서비스 종료시각의 도과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615). 또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위치 범위를 점검한다(단말기 위치 확인부(120)).
확인 결과 종료 시각(약속 시간)이 초과하였고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위치 범위가 서로 겹쳐 있는 때(서로 동일 위치)에는 만남 서비스가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620). 이때의 종료 시각은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가 안심 서비스 요청 등록부(100)를 통해 등록한 종료 시각을 기산점으로 하여 약속 시간 초과 여부를 판단하며, 또한 “종료 시각+일정 추가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상황 판정을 한다. 여기서 유념할 것은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의 기산점인 종료 시각은 엄격히 적용해야 하며, 따라서 종료 시각이 초과한 그 시점부터 기산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위치 범위가 서로 겹쳐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위험 상황을 판정해야 한다. 그리고 종료 시각 초과 시점에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위치 범위가 서로 겹쳐 있는 때에는 일단 위험 상황으로 판정하고서 상황의 진행을 추적해야 할 것이다.
여전히 단계 620에서, 확인 결과 종료 시각(약속 시간)이 초과하였고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각각의 위치 범위가 서로 겹치지 않는 때에는 만남 서비스가 안전하게 종료된 것으로 상황 분석부(150)에서 판정한다(단계 640). 여기서, 종료 시각은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요청되며, 따라서, “종료 시각+일정 추가 시간”으로 산정하여 상황의 변화를 주시해야 할 것이다.
다시 단계 620에서, 만남 서비스가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정되면, 안전 여부 확인부(160)에 의해, 제 1 및/또는 제2 단말기(200, 300)에 안전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625). 안전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였으나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단계 630),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645), 위험 상황을 비상연락망 등을 통해 알리고(단계 650) 관계기관에 위험 상황을 알린다(단계655).
다시 단계 630에서, 안전 확인 메시지에 응답하여 안전하다는 응답이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의해 수신되면(단계 635) 위험 상황 없음으로 판정한다(단계 640).
다시 단계 615에서, 약속 시간이 초과하지 않았으나 비상 버튼이 활성화된 경우(단계 660),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645), 위험 상황을 비상연락망 등을 통해 알리고(단계 650) 관계기관에 위험 상황을 알린다(단계655).
다시 단계 615에서, 약속 시간이 초과하지 않았고(단계 615), 비상 버튼도 활성화되지 않았으나(단계 660) 사용자가 종료를 요청한 경우(단계 670)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서비스를 종료한다.
여기서, 약속 시간이 초과하지 않았고(단계 615), 비상 버튼도 활성화되지 않았으며(단계 660), 사용자가 종료를 요청하지도 않은 경우(단계 670),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각 단말기(200, 300)의 위치 정보를 반복적으로 수신하게 되며, 이하의 절차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진행이 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 200: 제1 사용자 단말기
300: 제2 사용자 단말기 400: 네트워크
500: 관계기관 연락망 110: 안심 서비스 요청 등록부
120: 단말기 위치 확인부 130: 이동 경로 생성부
140: 통신부 150: 상황 분석부
160: 안전 여부 확인부 170: 위험 상황 알림부
180: 제어부

Claims (12)

  1. 위치 정보 획득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제1 사용자 단말기, 위치 정보 획득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제2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상기 단말기들과 상기 서버 사이에 통신을 매개하는 네트워크에 의해서 수행되는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안심 서비스의 개시를 위해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약속 시간 및 만남 장소를 포함하는 만남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종료 시각의 초과 여부를 점검하고, 상기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위험 상황이라고 판정하고 위험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가 겹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가 안전하다고 판정하고 안심 서비스 제공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반경 변수가 상기 서버에 상기 만남 정보를 등록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지정되는,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안전 여부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여부 확인 정보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만남 정보는, 위험 상황 시 안전 여부 확인을 위한 특별 메시지를 더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만남 정보는, 만남 대상자가 다수인 경우 각자의 신분을 구분할 수 있는 개인 정보, 및/또는 비상연락망을 더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와의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심 서비스 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심 서비스 앱은 실행 시 위험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비상 버튼을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버튼이 작동될 경우,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비상 알림음을 활성화하여 외부로 송출하고,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주변 상황을 촬영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시각은 일정한 추가 시간을 더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적재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안심 서비스의 개시를 위해, 위치 정보 획득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위치 정보 획득 기능 및 증강 현실 기능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약속 시간 및 만남 장소를 포함하는 만남 정보를 등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위치 범위를 생성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종료 시각의 초과 여부를 점검하고, 상기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 경우, 위험 상황이라고 판정하고 위험 상황을 알리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범위가 겹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가 안전하다고 판정하고 안심 서비스 제공을 종료하는 오퍼레이션을 더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시각이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위치 범위가 겹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안전 여부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안전 여부 확인 정보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가 수신하는 오퍼레이션;을 더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210086369A 2021-07-01 2021-07-01 단말기 위치 정보에 근거한 위치 범위와 약속 시간 정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53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69A KR102653338B1 (ko) 2021-07-01 2021-07-01 단말기 위치 정보에 근거한 위치 범위와 약속 시간 정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69A KR102653338B1 (ko) 2021-07-01 2021-07-01 단말기 위치 정보에 근거한 위치 범위와 약속 시간 정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531A KR20230005531A (ko) 2023-01-10
KR102653338B1 true KR102653338B1 (ko) 2024-04-03

Family

ID=84893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369A KR102653338B1 (ko) 2021-07-01 2021-07-01 단말기 위치 정보에 근거한 위치 범위와 약속 시간 정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3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600B1 (ko) * 2005-11-02 2008-02-20 주정윤 실시간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미팅서버 및 그동작방법
KR100932257B1 (ko) 2007-10-08 2009-12-16 주식회사 케이티 긴급 위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063915B1 (ko) * 2009-06-02 2011-09-14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사고예방 시스템 및 사고예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1420906B1 (ko) 2010-12-24 2014-07-17 주식회사 케이티 Gps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조회 및 안심 서비스 방법
KR101583378B1 (ko) * 2014-04-04 2016-01-19 김명환 개인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15600B1 (ko) * 2015-05-11 2017-03-14 주식회사 이엑스크리에이티브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52755B1 (ko) * 2019-11-07 2021-05-20 주식회사 링커 안심만남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안심만남 서비스 제공서버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7454호 (2007.05.07.)*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9859호 (2010.12.10.)*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5405호 (2015.10.14.)*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3024호 (2016.11.22.)*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55246호 (2021.05.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531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5988B2 (en) Disaster event managment
US113990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US11259165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mergency responses and safety
US9521517B2 (en) Utilizing information about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with respect to an area of interest
US99051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law enforcement officers of armed intruder situations
US20140308915A1 (en) No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for Mobile Devices
US201400827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Authentication
US119085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response data acquisition and retrieval
US20150222672A1 (en) Situational crowd-sourced response system
US10735936B1 (en) Leveraging fifth generation (5G) cellular capabilitie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emergency notifications and responses
US9380144B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mergency mode
US109978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50223053A1 (en) Enabling Learning Access on a Mobile Device
KR102653338B1 (ko) 단말기 위치 정보에 근거한 위치 범위와 약속 시간 정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41821A (ko) 위급상황에서 음성에 의한 스마트폰 제어 및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KR20150044454A (ko)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방법
US10602338B2 (en) Emergency authorization to access data on proximate computing devices
KR20200093152A (ko) 해외 여행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 대응 시스템과 그 방법
US20230162307A1 (en) Public safety integrated platform
KR101289255B1 (ko) 학교 내 위급상황 알림용 스마트폰
JP5487642B2 (ja) 防犯情報通知方法、防犯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
US202203358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one or more users in an emergency
KR102161221B1 (ko) Url 기반의 긴급 신고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서버
Lanfranchi et al. GPS-based solution for tracking and protecting humanitarians in conflict zones.
KR20160104819A (ko) 재난 발생 신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