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750B1 -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 Google Patents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750B1
KR102652750B1 KR1020220076856A KR20220076856A KR102652750B1 KR 102652750 B1 KR102652750 B1 KR 102652750B1 KR 1020220076856 A KR1020220076856 A KR 1020220076856A KR 20220076856 A KR20220076856 A KR 20220076856A KR 102652750 B1 KR102652750 B1 KR 102652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information
area
video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0195A (ko
Inventor
박승현
김정태
Original Assignee
박승현
주식회사 와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현, 주식회사 와컴퍼니 filed Critical 박승현
Priority to KR1020220076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750B1/ko
Publication of KR2024000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에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상에 채팅 표출 영역 및 채팅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채팅영역을 제공하는 채팅영역 제공부, 상기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팅 입력 영역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대한 제1포인트 정보를 상기 채팅 메시지에 매칭하여 제1 매칭정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커뮤니케이션 관리부, 상기 제1 매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영상의 스트리밍과 동시에 상기 제1 매칭정보를 이용한 상기 채팅 메시지를 상기 채팅 표출 영역에 표출하도록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서버를 공개한다.

Description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Method for providing multi-view chat service and server therefor}
본 발명은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다중시점 영상 스트리밍과 결합된 채팅 및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기술이다.
영상을 업로드하여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상기 플랫폼들에서는 녹화 영상의 스트리밍뿐만 아니라 실시간 트리밍도 제공하고 있다.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영상을 시청하면서 시청자는 실시간으로 채팅 참여가 가능하다. 그러나 녹화 영상의 경우 실시간 채팅 참여가 불가능하고, 실시간 스트리밍 시에 작성된 채팅메시지들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실시간 강의를 녹화하여 재생하는 것으로 현장감을 느끼게 해줄 뿐 이러한 구조에서는 현재 시점(녹화 시점)에서만 학생들(고객/시청자)과 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간 스트리밍 중 입력된 채팅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영역에는 질문과 채팅의 구분이 없어서, 질문을 입력한 경우 명확한 답변 요청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즉, 질문과 채팅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40686'는 동영상의 구간별 댓글과 통계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중시점에서 채팅과 영상 스트리밍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중시점에서 질의응답과 영상 스트리밍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서버는,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에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상에 채팅 표출 영역 및 채팅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채팅영역을 제공하는 채팅영역 제공부; 상기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팅 입력 영역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대한 제1포인트 정보(mpoint)를 상기 채팅 메시지에 매칭하여 제1 매칭정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커뮤니케이션 관리부; 상기 제1 매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영상의 스트리밍과 동시에 상기 제1 매칭정보를 이용한 상기 채팅 메시지를 상기 채팅 표출 영역에 표출하도록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팅영역에는,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필터링 아이콘이 제공되며,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제1 매칭정보를 포함하는 매칭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에 대한 현재 스트리밍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매칭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복수 개의 포인트 정보에 대한 매칭정보들 중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에 부합하는 매칭정보에 해당하는 채팅 메시지만 상기 채팅 표출 영역에 표출되도록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매칭정보에는 채팅 참여자 ID, 및 채팅 입력 날짜 및 시각 정보가 더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에 대한 현재 스트리밍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채팅 입력 날짜 및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복수 개의 포인트 정보에 대한 매칭정보들 중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에 부합하는 매칭정보에 해당하는 채팅 메시지만 상기 채팅 표출 영역에 표출되도록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은 전체 채팅 한정, 주요 채팅 한정, 실시간 채팅 한정, 및 기간 설정 한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팅영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질문정보를 제공하는 질문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뮤니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 제2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영역에 입력된 제1질문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대한 제2포인트 정보를 상기 제1질문정보에 매칭하여 제2 매칭 정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영상의 스트리밍과 동시에 상기 제2포인트 정보의 플레이 지점에 상기 질문정보가 상기 질문영역에 제공되도록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질문영역는 질문목록이 제공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목록 중 상기 제1질문정보가 선택되었음을 수신하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상기 제1질문정보에 매칭된 상기 제2포인트 정보의 플레이 지점부터 재생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채팅영역은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질문정보에 대한 답변정보를 제공하는 답변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질문정보를 포함한 알림을 상기 제2단말기에게 전송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질문정보에 대한 제1답변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관리부로 하여금 상기 제1답변정보를 상기 제1질문정보 및 상기 제2포인트 정보에 매칭하여 상기 제2 매칭 정보를 갱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갱신된 제2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질문정보에 대한 상기 제1답변정보를 상기 답변영역에 제공되도록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답변정보를 포함한 알림을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버의 처리부가, 영상을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서버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의 채팅영역 제공부가 제공하는 채팅영역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버의 커뮤니케이션 관리부로 하여금, 상기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대한 제1포인트 정보(mpoint)를 상기 채팅 메시지에 매칭하여 제1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서버의 저장부에 상기 제1 매칭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부가, 상기 영상의 스트리밍과 동시에 상기 제1 매칭정보를 이용한 상기 채팅 메시지를 상기 채팅영역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팅영역에는,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이 제공되며,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제1 매칭정보를 포함하는 매칭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부가, 상기 영상에 대한 현재 스트리밍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매칭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복수 개의 포인트 정보에 대한 매칭정보들 중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에 부합하는 매칭정보에 해당하는 채팅 메시지만 상기 채팅영역에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매칭정보에는 채팅 참여자 ID, 영상 시청 시작 날짜 및 시각 정보, 및 채팅 입력 날짜 및 시각 정보가 더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가,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에 부합하는 매칭정보에 해당하는 채팅 메시지만 상기 채팅영역에 표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대한 현재 스트리밍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시청 시작 날짜 및 시각 정보, 및 상기 채팅 입력 날짜 및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에 부합하는 매칭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팅영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질문정보를 제공하는 질문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가, 상기 커뮤니케이션 관리부로 하여금, 상기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 제2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영역에 입력된 제1질문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대한 제2포인트 정보를 상기 제1질문정보에 매칭하여 제2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부는, 상기 채팅영역 제공부로 하여금, 상기 영상의 스트리밍과 동시에 상기 제2포인트 정보의 플레이 지점에 상기 질문정보가 상기 질문영역에 표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시점에서 채팅과 영상 스트리밍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시점에서 질의응답과 영상 스트리밍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출된 영상 재생영역, 댓글 영역, 및 채팅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필터링 영역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된 채팅 메시지만 채팅 표출 영역에 표출되도록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 또는 녹화 스트리밍에 따른 다중시점채팅서비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매칭정보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팅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매칭정보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재생 명령 프로세스의 하위 프로세스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채팅 및 댓글 관리 명령 프로세스의 하위 프로세스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출된 영상 재생영역, 댓글 영역, 및 채팅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1)에 표출되는 영상 재생영역(210), 댓글영역(220), 및 채팅영역(230)은 도 1과 같이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영상 재생영역(210)은 실제 영상이 재생(스트리밍)되는 영역으로서, 컨텐츠명, 실시간 스트리밍 시작일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영상 재생영역(210)에는 강의노트 및 스티커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각각의 아이콘이 제공될 수 있다.
댓글영역(220)은 상기 영상에 대한 댓글들이 표출되는 댓글 표출 영역 및 댓글을 입력하는 댓글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채팅영역(230)은 필터링 영역(41), 채팅 표출 영역(42), 및 채팅 입력 영역(43)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 영역(41)은 채팅 표출 영역(42)에 표출되는 채팅 메시지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즉,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필터링 아이콘(411), 및 포인트 정보(mpoint) 표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포인트 아이콘(4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1)에 표출된 필터링 아이콘(411)을 선택하면, '전체 채팅', '주요 채팅', '실시간 채팅', 및 '기간 설정 채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목록이 표출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체 채팅'이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전체 채팅'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채팅 표출 영역(42)에는 영상의 스트리밍과 동시에 영상의 복수 개의 포인트 정보들에 매칭된 전체 채팅 메시지들이 실시간으로 표출될 수 있다. 이때, '기간 설정 채팅'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기간(특정 일자, 일자+시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 표출되거나, 이미 설정된 기간( 예컨대,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표출될 수 있다.
포인트 아이콘(412)은 채팅 표출 영역(42)에 포인트 정보 표출 영역(421)을 표출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1)에 표출된 포인트 아이콘(412)을 선택하면, '포인트 정보 표출' 또는 '포인트 정보 숨김' 과 같은 목록이 표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목록이 표출되지 않고 포인트 아이콘(412)을 선택함으로써, 포인트 정보 표출 영역(421)이 표출 또는 숨김 처리될 수 있다.
이때, 포인트 정보(mpoint, 타임스탬프)는 해당 채팅 메시지가 영상의 스트리밍 지점(플레이 지점) 중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채팅 표출 영역(42)은 포인트 정보 표출 영역(421), 공개이름 표출 영역(422), 채팅 메시지 내용 표출 영역(423), 및 채팅 메시지 입력 날짜 표출 영역(424)을 포함할 수 있다.
포인트 정보 표출 영역(421)에는 포인트 정보가 표출될 수 있다.
공개이름 표출 영역(422)은 사용자의 이름, 및 별명과 같이 채팅 메시지 입력자를 나타내는 공개적인 이름이 표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채팅 메시지 내용 표출 영역(423)은 채팅 메시지 내용이 표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채팅 메시지 입력 날짜 표출 영역(424)은 채팅 메시지가 입력된 날짜를 표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채팅영역(230)을 참조하면, 영상의 스트리밍 중 영상의 시작으로부터 30초가 흐른 지점의 장면에 대하여 롤리데이라는 시청자가 '안녕하세요~'라는 채팅 메시지를 입력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롤리데이 시청자가 채팅 메시지를 입력한 날짜는 비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영상이 실시간 스트리밍 중에 채팅 메시지가 입력된 것으로서, 이 경우 영상이 실시간 스트리밍된 날짜(예컨대, 21년 4월 5일)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영상의 시작으로부터 20분 55초가 흐른 지점의 장면에 대하여 홍길동이라는 시청자가 '저는 작년에 봤어요'라는 채팅 메시지를 입력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홍길동 시청자가 채팅 메시지를 입력한 날짜는 22년 2월 12일로서, 영상이 실시간 스트리밍된 날짜 이후에 홍길동 시청자가 상기 영상을 시청 중에 채팅 메시지를 입력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상은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것이 아니라 녹화 영상이 스트리밍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채팅 입력 영역(43)은 메시지 입력 영역(431), 이모티콘 아이콘(432), 후원 아이콘(433), 질문 아이콘(434), 전송 아이콘(435), 및 관리자/강사 상태 아이콘(436)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입력 영역(431)은 사용자(시청자)가 자신의 단말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한 단어/문장과 같은 글자가 표시되거나, 이모티콘 아이콘(432)을 선택해 표출되는 복수 개의 이모티콘들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임의의 하나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메시지 입력 영역(431)에 글자 및/또는 이모티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송 아이콘(435)이 선택되면 상기 글자 및/또는 이모티콘이 채팅 메시지 내용 표출 영역(423)에 표출될 수 있다.
후원 아이콘(433)은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 중 또는 녹화 영상의 스트리밍 중에 후원을 할 수 있는 아이콘일 수 있다. 시청자가 시청자의 단말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후원 아이콘(433)을 선택하면, 관리자/강사의 설정에 따라 실시간 알림 및 답장(예컨대, 이모티콘, 자동응답)이 시청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화면)에 표출될 수 있다.
질문 아이콘(434)은 강사에게 질문을 하기 위해 시청자가 단말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일 수 있다. 시청자는 단말기를 통해 영상(즉, 강의 내용) 중 궁금한 내용이 생기는 영상의 스트리밍 지점에 해당 질문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질문은 강사의 단말기로 푸시 방식으로 전송되며, 이때, 강사가 답변을 작성한 경우, 상기 시청자에게 답변 알림이 푸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관리자/강사 상태 아이콘(436)은 해당 영상의 관리자/강사의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는 색깔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강사 상태 아이콘(436)이 파란색인 경우 실시간 알림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고, 빨간색인 경우, 관리자/강사의 응대가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서버(10), 사용자 단말기(20), 데이터 베이스 서버(30), 및 관리자/강사 단말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는 시청자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단말기는 시청자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의 사용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1)에 표출되는 정보들은 서버(1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서버(10)에서 생성된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기(20), 관리자/강사 단말기(40)로부터 수신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 저장될 수 있다.
관리자/강사 단말기(40)는 영상을 서버(10)에 전송하고, 서버(10)로부터 다양한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관리자/강사 단말기(40)는 제2단말기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알림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필터링 영역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된 채팅 메시지만 채팅 표출 영역에 표출되도록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10)는 통신부(11), 채팅영역 제공부(12), 커뮤니케이션 관리부(13), 저장부(14), 및 처리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사용자 단말기(10) 및 관리자/강사 단말기(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는 처리부(15)의 명령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 저장할 데이터(예컨대, 서버에서 생성된 데이터 및 단말기들(20, 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 전송하거나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서버(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채팅영역 제공부(12)는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에 사용자의 단말기(20)의 화면상(디스플레이부)(21)에 필터링 영역(41), 채팅 표출 영역(42) 및 채팅 입력 영역(43)을 포함하는 채팅영역(230)을 제공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관리부(13)는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 특정 스트리밍 시점(예컨대, 2021년 4월 5일 13시 20분 55초)에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채팅 입력 영역(43)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예컨대, 드디어 벚꽃)를 수신한 경우, 상기 특정 스트리밍 시점(예컨대, 2021년 4월 5일 13시 20분 55초)에 대한 제1포인트 정보(mpoint)(예컨대, 20분 50초 지점)를 상기 채팅 메시지(예컨대, 드디어 벚꽃)에 매칭하여 제1 매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매칭정보는 도 6의 매칭정보 테이블(50)의 두 번째 레코드와 같을 수 있다.
저장부(14)에는 상기 제1 매칭정보를 포함하는 매칭정보 테이블(50)이 저장될 수 있다.
처리부(15)는 상기 영상의 스트리밍과 동시에 상기 제1 매칭정보를 이용한 상기 채팅 메시지가 상기 채팅 표출 영역(42)에 표출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처리부(15)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예컨대, 실시간 채팅 한정)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에 대한 현재 스트리밍 시작 시점(예컨대, 21년 5월 4일 16시 00분)을 기준으로 매칭정보 테이블(50)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복수 개의 포인트 정보에 대한 매칭정보들 중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에 부합하는 매칭정보에 해당하는 채팅 메시지만 상기 채팅 표출 영역에 표출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이 반영된 채팅영역(230)은 도 4와 같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필터링 아이콘(411)이 '전체 채팅'에서 '실시간 채팅'으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 또는 녹화 스트리밍에 따른 다중시점채팅서비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매칭정보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매칭정보 테이블(50)은 {포인트 정보, 채팅 참여자 ID, 공개이름(닉네임, 사용자가 설정한 이름), 채팅 메시지 내용, 영상 시청 시작 날짜 및 시각, 채팅 메시지 입력 날짜 및 시각}에 대한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세트의 {포인트 정보, 채팅 참여자 ID, 공개이름, 채팅 메시지 내용, 영상 시청 시작 날짜 및 시각, 채팅 메시지 입력 날짜 및 시각}에 대한 필드 내용들이 서로 매칭된 정보가 레코드로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영상 재생영역(210)에 스트리밍되는 영상은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영상일 수도 있고 녹화 영상일 수도 있다.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경우, 예컨대, 영상은 2021년 4월 5일 1시 (T1)에 스트리밍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영상은 1시간 분량의 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의 스트리밍 종료 시점(T2)은 2021년 4월 5일 2시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의 스트리밍 시점은 스트리밍되는 현재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시작 지점과 영상 종료 지점과 같이 영상의 스트리밍되는 장면의 (플레이) 지점을 예컨대 초단위로 구분하여 mpoint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mpoint를 포인트 정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의 첫 장면이 시작되는 지점의 포인트 정보는 0:00이 될 수 있고, 영상의 마지막 장면의 지점의 포인트 정보는 1:00:00 이 될 수 있다.
롤리데이라는 공개이름을 사용하는 시청자는 2021년 4월 5일 13시(영상 시청 시작 날짜 및 시각)에 즉,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시점(T1)과 동시에 상기 영상을 시청한 것으로 예를 들 수 있다. 롤리데이는 상기 영상을 중지하지 않고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이 종료되는 시점(T2)인 2021년 4월 5일 14시까지 영상을 시청했다. 그리고 롤리데이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영상의 특정 스트리밍 시점 즉, 13:00:30 시점(시각)에 '안녕하세요~'라는 채팅 메시지를 채팅 입력 영역(43)에 입력했다. 이때, 상기 특정 스트리밍 시점인 13:00:30 에 대응하는 포인트 정보는 00:30 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롤리데이의 레코드는 {00:30, ID1, 롤리데이, 안녕하세요~, 2021년 4월 5일 13:00:00, 2021년 4월 5일 13:00:30}으로 매칭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실시간 스트리밍을 시청하다가 중간에 시청 중지 구간이 발생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정민규라는 공개이름을 사용하는 시청자는 2021년 4월 5일 13시(영상 시청 시작 날짜 및 시각)에 즉,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시점(T1)과 동시에 상기 영상을 시청한 것으로 예를 들 수 있다. 정민규는 상기 영상을 시청하다가 중간에 영상을 중지하였다가 다시 시청했다. 정민규는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이 종료되는 시점(T2)이 지난 시점(T12)인 2021년 4월 5일 15시까지 영상을 시청했다. 그리고 정민규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영상의 특정 스트리밍 시점 즉, 14:10:50 시각(T13)에 '드디어 벚꽃' 이라는 채팅 메시지를 채팅 입력 영역(43)에 입력했다. 이때, 14:10:50 시각에 대응하는 포인트 정보는 20:50 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민규의 레코드는 {20:50, ID2, 정민규, 드디어 벚꽃, 2021년 4월 5일 13:00:00, 2021년 4월 5일 14:10:50}으로 매칭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녹화 스트리밍 영상을 시청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홍길동이라는 공개이름을 사용하는 시청자는 2022년 2월 12일 17시(영상 시청 시작 날짜 및 시각, T21)에 즉,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이 종료된 시점(T2) 이후에 상기 영상을 시청한 것으로 예를 들 수 있다. 홍길동은 상기 영상을 중지하지 않고 영상의 녹화 스트리밍이 종료되는 시점(T22)인 2022년 2월 12일 18시까지 영상을 시청했다. 그리고 홍길동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영상의 특정 스트리밍 시점 즉, 17:20:55 시점(시각)(T23)에 '저는 작년에 봤어요'라는 채팅 메시지를 채팅 입력 영역(43)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17:20:55 시각에 대응하는 포인트 정보는 20:55 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홍길동의 레코드는 {20:55, ID3, 홍길동, 저는 작년에 봤어요, 2022년 2월 12일 17:00:00, 2021년 4월 5일 17:20:55}으로 매칭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임의의 시청자가 22년 12월 30일에 녹화 스트리밍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임의의 시청자는 필터링 아이콘(411)이 전체 채팅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 중에 롤리데이가 입력한 채팅 메시지인 '안녕하세요~',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이 이루어진 당일 지연된 스트리밍 영상을 시청한 정민규가 입력한 채팅 메시지인 '드디어 벚꽃', 영상의 녹화 스트리밍을 시청한 홍길동의 채팅 메시지인 '저는 작년에 봤어요'를 영상의 스트리밍과 동시에 채팅 표출 영역(4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임의의 시청자가 필터링 아이콘(411)을 선택해 2021년 동안의 채팅 메시지만 표출되도록 설정한다면, 처리부(15)는 상기 임의의 시청자의 단말기(20)로부터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2021년 동안의 채팅 메시지만 표출)을 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15)는 상기 채팅 입력 날짜 및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복수 개의 포인트 정보에 대한 매칭정보들(도 6의 레코드들) 중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에 부합하는 매칭정보(첫 번째 및 두 번째 레코드)에 해당하는 채팅 메시지(안녕하세요~, 드디어 벚꽃)만 채팅 표출 영역(42)에 표출되도록 채팅영역 제공부(12)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시점 영상 스트리밍과 결합된 채팅 시스템을 통해 녹화 영상(예컨대, 교육, 방송 등)을 시청하면서도 실시간 영상을 시청하는 것과 같은 착각을 갖게 함으로써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채팅 메시지 입력 날짜를 보면서도 시기에 따라 사용자 반응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새로운 재미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작자 입장에서 특정 영상 시청 시점에서 연계되어 시청자들의 반응을 알 수 있어 과거와 미래의 고객과 연결되는 연결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즉 시청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구조가 확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팅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매칭정보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제2 매칭정보 테이블(51)은 {포인트 정보, 채팅 참여자 ID, 공개이름, 질문정보, 답변정보, 영상 시청 시작 날짜 및 시각, 질문 입력 날짜 및 시각}에 대한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세트의 {포인트 정보, 채팅 참여자 ID, 공개이름, 채팅 메시지 내용, 영상 시청 시작 날짜 및 시각, 질문 입력 날짜 및 시각}에 대한 필드 내용들이 서로 매칭된 정보가 레코드로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채팅영역(230)은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질문정보를 표출하는 질문영역(61), 및 관리자/강사 단말기(40)로부터 수신한 상기 질문정보에 대한 답변정보를 표출하는 답변영역(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질문영역(61) 및 답변영역(62)은 도 1의 채팅 메시지 내용 표출 영역(423)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질문영역(61) 및 답변영역(62)은 채팅 메시지 내용 표출 영역(423) 외부의 다른 영역에 표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필터링 영역(41) 중 필터링 아이콘(411)을 선택하면, '전체 채팅', '주요 채팅', '실시간 채팅', 및 '기간 설정 채팅' 뿐만 아니라 '전체 질문', '주요 질문', '실시간 질문', 및 '기간 설정 질문' 중에서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목록이 표출될 수 있다. 이때, 도 7의 실시예는 상기 목록 중 '전체 질문'이 선택된 경우일 수 있다.
답변영역(62)은 바로 답변정보가 표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답변보기 아이콘을 클릭하면 답변정보가 표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롤리데이가 제1질문정보를 입력하는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롤리데이는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 중 제2 특정 스트리밍 시점(13:25:30)에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메시지 입력 영역(431)에 제1질문정보(질문1, 예컨대, '00이 무슨 의미인가요?')을 입력하고, 질문 아이콘(434)을 선택한 후 전송 아이콘(435)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커뮤니케이션 관리부(13)는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 중 상기 제2특정 스트리밍 시점(13:25:30)에 롤리데이의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상기 제1질문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특정 스트리밍 시점(13:25:30)에 대한 제2포인트 정보(25:30)를 상기 제1질문정보(질문1)에 매칭하여 제2 매칭 정보(첫 번째 레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매칭정보 테이블(51)을 참조하면, 제2 매칭 정보는 {25:30, 질문1}을 포함하는 정보들이 매칭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매칭 정보는 {25:30, ID1, 롤리데이, 질문1, 답변1, 2021년 4월 5일 13:00:00, 2021년 4월 5일 13:20:30} 일 수 있다. 이때, 답변정보 필드에 답변1이 저장되어 있는데, 이 경우는 제2단말기(40)로부터 답변정보가 입력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처리부(15)는, 상기 제1질문정보를 포함한 알림을 강사의 제2단말기(4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처리부(15)는, 통신부(11)를 통해 제2단말기(40)로부터 상기 제1질문정보에 대한 제1답변정보를 수신한 경우, 커뮤니케이션 관리부(13)로 하여금 상기 제1답변정보를 상기 제1질문정보 및 상기 제2포인트 정보(25:30)에 매칭하여 상기 제2 매칭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처리부(15)는, 상기 갱신된 제2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질문정보에 대한 상기 제1답변정보를 상기 답변영역(62)에 표출하도록 채팅영역 제공부(12)에 제공할 수 있다.
처리부(15)는, 상기 제1답변정보를 포함한 알림을 사용자 단말기(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들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영상이 실시간 스트리밍 중이 아닌 녹화 영상이 스트리밍 중이더라도 질문정보 및 답변정보가 채팅영역(230)에 표출되는 과정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질문영역(61)에는 질문목록이 제공될 수 있다. 즉, 각 시청자가 입력한 질문들이 하나의 질문목록이 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질문영역(61) 외에 별도의 새로운 팝업창에 질문목록이 제공될 수도 있다. 처리부(15)는 통신부(11)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상기 질문목록 중 상기 제1질문정보(예컨대, 00이 무슨 의미인가요?)가 선택되었음을 수신하면, 처리부(15)는 상기 제2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상기 제1질문정보에 매칭된 상기 제2포인트 정보(20:50)의 플레이 지점부터 재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처리부(15)는 컨텐츠 관리 명령 프로세스(110), 및 커뮤니케이션 관리 명령 프로세스(120)를 실행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명령 프로세스(110)는 컨텐츠 정보 관리 명령 프로세스(111), 시청 정보 관리 명령 프로세스(112), 강의 노트 명령 프로세스(113), 질문 노트 명령 프로세스(114), 스티커 명령 프로세스(115), 및 영상 재생 명령 프로세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관리 명령 프로세스(120)는 수강생 관리 명령 프로세스(121), 채팅 및 댓글 관리 명령 프로세스(122), 질문 관리 명령 프로세스(123), 알림 설정 명령 프로세스(124), 및 자동 응답 설정 명령 프로세스(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명령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코드들은 도 3의 저장부(14)에 저장될 수 있다. 처리부(15)는 상기 명령 코드들을 저장부(14)로부터 읽어 들여 실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재생 명령 프로세스의 하위 프로세스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영상 재생 명령 프로세스(161)는 시간 정보 부여 명령 프로세스(1161), 댓글 정보 매칭 명령 프로세스(1162), 질문정보 매칭 명령 프로세스(1163), 후원 정보 매칭 명령 프로세스(1164), 및 스티커 정보 매칭 명령 프로세스(116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재생 명령 프로세스(161)의 하위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코드들은 도 3의 저장부(114)에 저장될 수 있다.
시간 정보 부여 명령 프로세스(1161)는 영상의 스트리밍 지점별로 포인트 정보(mpoint)를 부여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댓글 정보 매칭 명령 프로세스(1162)는 영상의 스트리밍 시점에 실시간 댓글이 입력된 경우, 상기 댓글과 포인트 정보를 함께 기록하여 상기 영상의 스트리밍 시에 상기 포인트 정보 지점에서 상기 댓글이 함께 노출되도록 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질문정보 매칭 명령 프로세스(1163)는 영상 스트리밍 시점에 질문이 입력된 경우, 상기 질문과 포인트 정보를 함께 기록하고, 질문목록에서 임의의 질문이 선택된 경우 상기 임의의 질문에 매칭된 포인트 정보 지점부터 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하며, 영상이 스트리밍될 때 포인트 정보에 따른 질문정보와 답변정보가 같이 표출되도록 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후원 정보 매칭 명령 프로세스(1164)는 영상의 실시간/또는 녹화 스트리밍 시점에 후원 정보가 발생하면, 상기 후원 정보를 관리자/강의 소유자에게 알림을 발송하고, 실시간 댓글 반응을 제공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스티커 정보 매칭 명령 프로세스(1165)는 영상의 실시간/또는 녹화 스트리밍 시점에 시청자가 시청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티커 아이콘을 선택하여 임의의 스티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임의의 스티커를 선택한 시점의 포인트 정보와 상기 임의의 스티커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시청자가 임의의 스티커를 다시 선택하면 해당 영상의 포인트 정보의 지점부터 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할 수 있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이때, 임의의 스티커는 책갈피 및 메모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스티커는 태그 형식으로 남길 수 있으며, 동일한 유형의 태그(예컨대, 중요, 강의자료, 자기개발, 시험)를 일괄해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채팅 및 댓글 관리 명령 프로세스의 하위 프로세스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채팅 및 댓글 관리 명령 프로세스(122)는 채팅 알림 명령 프로세스(1221), 알림 정보 제공 명령 프로세스(1222), 답글 작성 명령 프로세스(1223), 및 자동답글 제공 명령 프로세스(1224)를 포함할 수 있다.
채팅 알림 명령 프로세스(1221)는 포인트 정보와 함께 녹화 영상(과거 영상)에 대한 시청자(고객)의 반응을 알림으로 제공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이때, 시청자의 반응의 종류는 실시간 채팅, 질문, 후원, 이모티콘, 및 스티커 등을 통한 반응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정보 제공 명령 프로세스(1222)는 영상의 제목, 영상의 배포일시(실시간 스트리밍 시작일시), 포인트 정보 지점(영상 내 위치), 포인트 정보에 대한 링크, 고객반응의 종류, 및 내용(질문, 댓글, 후원금액 등)을 제공하는 명령 프로세스일 수 있다.
답글 작성 명령 프로세스(1223)는 질문에 대한 답변 또는 후원에 대한 답변을 작성하는 기능, 자주 쓰는 댓글 문장을 미리 등록하여 사용하는 기능, 및 이모티콘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스일 수 있다.
자동답글 제공 명령 프로세스(1224)는 질문에 대한 자동답글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일 수 있다. 상기 자동답글은 예컨대, '안녕하세요 홍길동입니다. 문의 주신 내용 확인 후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또는 '안녕하세요 홍길동입니다. 문의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제가 개인 사정으로 현재 답변을 드릴 수 없습니다. 양해 요청 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와 같이 실제 답변을 제공하기 이전에 제공하는 임시 답변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20)는 디스플레이부(21), 처리부(22), 통신부(23), 저장부(24), 및 입력 인터페이스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관리자/강사 단말기(40)의 구성은 사용자 단말기(2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에는 서버(10)가 제공하는 영상 재생영역(210), 댓글영역(220), 채팅영역(230)이 표출될 수 있다.
통신부(23)는 서버(1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1)

  1.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에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상에 채팅 표출 영역, 채팅 입력 영역, 및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필터링 아이콘을 포함하는 채팅영역을 제공하는 채팅영역 제공부;
    상기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팅 입력 영역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대한 제1포인트 정보를 상기 채팅 메시지에 매칭하여 제1 매칭정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커뮤니케이션 관리부;
    상기 제1 매칭정보를 포함하는 매칭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에 대한 현재 스트리밍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매칭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복수 개의 포인트 정보에 대한 매칭정보들 중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에 부합하는 매칭정보에 해당하는 채팅 메시지만 상기 채팅 표출 영역에 표출되도록 상기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영상의 스트리밍과 동시에 상기 제1 매칭정보를 이용한 상기 채팅 메시지를 상기 채팅 표출 영역에 표출하도록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하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칭정보에는 채팅 참여자 ID, 및 채팅 입력 날짜 및 시각 정보가 더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에 대한 현재 스트리밍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채팅 입력 날짜 및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복수 개의 포인트 정보에 대한 매칭정보들 중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에 부합하는 매칭정보에 해당하는 채팅 메시지만 상기 채팅 표출 영역에 표출되도록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하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은 전체 채팅 한정, 주요 채팅 한정, 실시간 채팅 한정, 및 기간 설정 한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영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질문정보를 제공하는 질문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뮤니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 제2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영역에 입력된 제1질문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대한 제2포인트 정보를 상기 제1질문정보에 매칭하여 제2 매칭 정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영상의 스트리밍과 동시에 상기 제2포인트 정보의 플레이 지점에 상기 질문정보가 상기 질문영역에 제공되도록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하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영역는 질문목록이 제공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목록 중 상기 제1질문정보가 선택되었음을 수신하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상기 제1질문정보에 매칭된 상기 제2포인트 정보의 플레이 지점부터 재생하도록 되어 있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영역은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질문정보에 대한 답변정보를 제공하는 답변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질문정보를 포함한 알림을 상기 제2단말기에게 전송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질문정보에 대한 제1답변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관리부로 하여금 상기 제1답변정보를 상기 제1질문정보 및 상기 제2포인트 정보에 매칭하여 상기 제2 매칭 정보를 갱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갱신된 제2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질문정보에 대한 상기 제1답변정보를 상기 답변영역에 제공되도록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답변정보를 포함한 알림을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서버.
  8.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에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상에 채팅 표출 영역, 채팅 입력 영역, 및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필터링 아이콘을 포함하는 채팅영역을 제공하는 채팅영역 제공부, 커뮤니케이션 관리부, 처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서버가 제공하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처리부가, 상기 영상을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팅 입력 영역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커뮤니케이션 관리부로 하여금, 상기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대한 제1포인트 정보를 상기 채팅 메시지에 매칭하여 제1 매칭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처리부가, 저장부에 상기 제1 매칭정보를 포함하는 매칭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부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에 대한 현재 스트리밍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매칭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복수 개의 포인트 정보에 대한 매칭정보들 중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에 부합하는 매칭정보에 해당하는 채팅 메시지만 상기 채팅 표출 영역에 표출되도록 상기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칭정보에는 채팅 참여자 ID, 영상 시청 시작 날짜 및 시각 정보, 및 채팅 입력 날짜 및 시각 정보가 더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채팅영역 제공부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영상에 대한 현재 스트리밍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시청 시작 날짜 및 시각 정보, 및 상기 채팅 입력 날짜 및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채팅 메시지 필터링 조건에 부합하는 매칭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영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질문정보를 제공하는 질문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가, 상기 커뮤니케이션 관리부로 하여금, 상기 영상의 실시간 또는 녹화 스트리밍 중 제2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영역에 입력된 제1질문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특정 스트리밍 시점에 대한 제2포인트 정보를 상기 제1질문정보에 매칭하여 제2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부는, 상기 채팅영역 제공부로 하여금, 상기 영상의 스트리밍과 동시에 상기 제2포인트 정보의 플레이 지점에 상기 질문정보가 상기 질문영역에 표출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20076856A 2022-06-23 2022-06-23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65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856A KR102652750B1 (ko) 2022-06-23 2022-06-23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856A KR102652750B1 (ko) 2022-06-23 2022-06-23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95A KR20240000195A (ko) 2024-01-02
KR102652750B1 true KR102652750B1 (ko) 2024-04-04

Family

ID=8951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856A KR102652750B1 (ko) 2022-06-23 2022-06-23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7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592B1 (ko) * 2021-05-28 2022-01-24 주식회사 잘라컴퍼니 스트리밍 데이터 기반 영상 편집점 추천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924A (ko) * 2007-08-07 2009-02-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광고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광고제공서버와기록매체
KR20210083578A (ko) * 2019-12-27 2021-07-07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592B1 (ko) * 2021-05-28 2022-01-24 주식회사 잘라컴퍼니 스트리밍 데이터 기반 영상 편집점 추천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95A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70698B (zh) 一种在线教学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US9525711B2 (en)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US10505998B1 (en)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US200900836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Collaboration
US20100037151A1 (en)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AU20112024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group content presentations and group communications during the same
US20200410615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esentation to remote participants
US20220014580A1 (en) Smart Storyboard for Online Events
US119482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presenting virtual events
US201201979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media rich, linear and non-linear, interactive communication, education, storytelling environment and development tools therefor
EP2163034B1 (en) Enhanced online collaboration system
KR102652750B1 (ko)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Zissis et al. Competent electronic participation channels in electronic democracy
CN106101192B (zh) 信息交互方法和装置
Avola Changing the Game: The Effects of Social Media on the Business of Sport
Harabor et al. Organizing a successful artificial intelligence online conference: Lessons from the 13th symposium on combinatorial search
US200801272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a virtual dialogue
Daniel Influencer marketing and the perception of consumers
CN111695459B (zh) 状态信息提示方法及相关设备
US20220159344A1 (en) System and method future delivery of content
Sumani et al. Mobile phone use and family literacy practices: Perspectives from Uganda
Kennedy Social media
Bäckström et al. A three-phase user study evaluating the integration of a generalized playback bar for a branched video player
HANAFI CONCEPTUALIZING THE BRAND PERSONALITY OF RTM SPORTS CHANNEL
Brown Traditional and interactive documentaries: an exploration of audience response to September 11 documentaries in different form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