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277B1 -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및 블라인드 볼트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및 블라인드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277B1
KR102652277B1 KR1020200169429A KR20200169429A KR102652277B1 KR 102652277 B1 KR102652277 B1 KR 102652277B1 KR 1020200169429 A KR1020200169429 A KR 1020200169429A KR 20200169429 A KR20200169429 A KR 20200169429A KR 102652277 B1 KR102652277 B1 KR 102652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sleeve
groove
inner diameter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384A (ko
Inventor
주호선
정진안
이기호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6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2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45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1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of the buckl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Abstract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볼트를 구성하는 볼트부재의 축부에 삽입되는 슬리브는 볼트부재의 헤드와 마주하는 일단으로부터 일단 반대측 타단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를 갖는 중공 원통형상의 몸체를 포함하고, 몸체의 외주면에는 길이의 중간 지점을 사이에 두고 길이방향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1 홈 및 제2 홈이 구비되고, 몸체의 내주면에는 제1 홈과 제2 홈 사이에 위치되는 몸체의 최소 두께 지점인 꼭짓점을 기준으로 각각 일단과 타단을 향할수록 몸체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경사진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이 구비된다.

Description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및 블라인드 볼트{SLEEVE FOR BLIND BOLT AND BLIND BOL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라인드 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 확장 헤드 형성이 가능한 블라인드 볼트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뼈대를 구성하는 철골 구조물은 안정적인 체결력을 갖추기 위해 구조용 볼트를 이용해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철골 구조물에는 H형강과 I형강이 있으며, 개방된 형태이기 때문에 구조용 볼트 체결이 수월하게 이뤄진다. 하지만, 부재의 접근이 일측에서만 허용되거나, 폐단면이 형성되는 중공형 강관 구조물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구조용 볼트로는 체결이 어렵기 때문에 용접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용접에 의한 체결 방식은 볼트 체결에 비해 체결력이 낮기 때문에 구조물의 안정성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블라인드 볼트이다. 블라인드 볼트는 한쪽 방향에서의 조임으로 체결할 수 있는 패스너의 일종으로 기존의 폐단면 부재의 접합에 사용되는 용접 방식을 대체할 수 있다.
블라인드 볼트는 구조물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하는 구멍에 블라인드 볼트를 삽입하여 일측면에서 너트를 체결시 반대 측면에서 확장 머리부(블라인드 헤드)가 형성되며 구조물이나 부재들을 결합한다
블라인드 볼트는 체결시 압축력에 의해 슬리브가 좌굴 변형되며 블라인드 헤드가 형성되어 체결이 이뤄진다. 이때, 구조물과의 안정적인 체결력을 갖추기 위해 체결시 형성된 확장 머리부는 몸통과 직각을 이루고 안정적인 형상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일반적인 일자 형태의 튜브로는 안정적인 확장 머리부를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어, 슬리브의 형상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4060호(2015.10.12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안정적 확장 헤드 형성이 가능한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및 블라인드 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라인드 볼트를 구성하는 볼트부재의 축부에 삽입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와 마주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 반대측 타단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를 갖는 중공 원통형상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길이의 중간 지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길이방향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1 홈 및 제2 홈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몸체의 최소 두께 지점인 꼭짓점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향할수록 상기 몸체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경사진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이 구비되는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 상기 제2 홈 및 상기 꼭짓점은 상기 몸체의 좌굴 변형 시 접힘에 의해 상기 꼭짓점 부근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확장 헤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꼭짓점은 상기 길이의 중간 지점 근방에서 상기 타단보다 상기 일단 쪽에 가깝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을 제외한 상기 몸체의 외면은 일정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은 상기 길이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제1 홈의 중심까지의 제1 길이와,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2 홈의 중심까지의 제2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길이의 비율 및 상기 몸체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2 길이의 비율은 각각 0.25보다 작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와 마주하는 상기 일단의 표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및 함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주면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제1 경사면의 단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 내경면과, 상기 타단에서 제2 경사면의 단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내경면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내경면 길이의 비율은 0.25보다 작지 않고, 상기 몸체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2 내경면 길이의 비율은 1/8보다 작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헤드와 나사산이 마련된 축부를 갖는 볼트부재; 상기 축부에 삽입되며, 상기 헤드와 마주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 반대측 타단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를 갖는 슬리브; 및 상기 축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은 상기 길이의 중간 영역에 위치된 상기 슬리브의 최소 두께인 꼭짓점을 기준으로 상기 일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상기 슬리브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연장되는 제1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의 단부에서 상기 일단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 내경면, 상기 꼭짓점을 기준으로 상기 타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연장되는 제2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의 단부에서 상기 타단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내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은 상기 꼭짓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길이방향 양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슬리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1 홈 및 제2 홈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볼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꼭짓점은 상기 길이의 중간 지점과 상기 일단 사이에서 상기 길이의 중간 지점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의 상기 길이에 대한 제1 내경면 길이의 비율은 0.25보다 작지 않고, 상기 슬리브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2 내경면 길이의 비율은 1/8보다 작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제1 홈의 중심까지의 제1 길이와,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2 홈의 중심까지의 제2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길이의 비율 및 상기 슬리브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2 길이의 비율은 각각 0.25보다 작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와 상기 너트 사이에서 상기 축부에 삽입되며 상기 너트의 체결시 발생하는 축력을 상기 슬리브에 전달하는 축력전달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축력전달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축력전달부재와 상기 너트 사이에 삽입되는 와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좌굴 변형 시 슬리브의 안정적 확장 헤드가 형성됨에 의해 블라인드 볼트의 체결력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제1,2 홈만을 갖는 슬리브의 좌굴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제1,2 경사면과 제1,2 내경면만을 갖는 슬리브의 좌굴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슬리브의 좌굴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슬리브에 구비된 꼭짓점의 다양한 위치에 따른 슬리브의 좌굴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슬리브에 구비된 제1 및 제2 내경면의 길이에 따른 슬리브의 좌굴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의 슬리브에 구비된 제1 홈 및 제2 홈의 위치에 따른 슬리브의 좌굴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라인드 볼트(10)는 볼트부재(20)와, 볼트부재(20)의 축부(21)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슬리브(60), 축력전달부재(30), 와셔(40) 및 너트(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블라인드 볼트(10)는 폐단면을 갖는 두 부재를 관통하여 삽입된 후 한쪽 방향에서의 조임으로 인하여 두 부재를 서로 견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볼트부재(20)는 블라인드 볼트(10)의 뼈대가 되는 구성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나사산(22)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축부(21)를 포함하고, 축부(21)의 일단에는 축부(21)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23)가 마련되고, 축부(21)의 타단에는 설치 공구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4)가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60)는 너트(50)의 체결 시 발생하는 축력에 의해 좌굴 변형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확장 헤드가 형성되는 부재이다.
슬리브(60)는 볼트부재(20)의 헤드(23)와 마주하는 일단(61)으로부터 일단(61)과 마주보는 타단(62)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L)를 갖는 중공 원통 형상의 몸체(63)를 포함한다.
축력전달부재(30)는 너트(50)의 체결 시 발생하는 축력을 슬리브(6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축력전달부재(30)는 중공 원통 형상의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축력전달부재(30)는 슬리브(60)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축력전달부재(30)는 슬리브(60)보다 큰 좌굴강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와셔(40)는 볼트부재(20)의 축부(21)가 관통되는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너트(50)와 축력전달부재(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너트(50)는 볼트부재(20)의 축부(21)에 구비된 나사산(22)에 체결됨으로써 슬리브(60)의 좌굴 변형을 가하는 축력을 제공한다. 너트(50)가 체결됨에 의해 발생하는 축력은 와셔(40)와 축력전달부재(30)를 통해 슬리브(60)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슬리브(60)는 좌굴 변형되게 된다.
슬리브(60)의 안정적 좌굴 변형을 위해 볼트부재(20)의 헤드(23)와 접촉하는 슬리브(60)의 일단(61) 표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된 지지부(64)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64)는 볼트부재(20)의 헤드(23)에 돌출된 돌기(25)와 맞물림에 의해 좌굴 변형 시 슬리브(60)와 볼트부재(20)의 헤드(23)가 맞닿는 면의 슬립을 최소화하여 안정적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지지부(64)가 함몰된 홈 형상을 개시하나, 지지부(64)는 돌출된 형상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볼트부재(20)의 헤드(23)에는 돌출된 지지부(64)가 맞물리는 홈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슬리브(60)는 축력이 미칠 때 좌굴 변형을 유도하기 위해 몸체(63)의 외주면(65)에 마련된 홈(66,67)과, 몸체(63)의 내주면(70)에 마련된 경사면(71,72) 및 내경면(73,74)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63)의 외주면(65)에 구비된 홈(66,67)과, 몸체(63)의 내주면(70)에 마련된 경사면(71,72) 및 내경면(73,74)은 좌굴 변형 시 몸체(63)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확장 헤드(68)(도 6의 도면번호 68)가 돌출되는 안정적 형상을 가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몸체(63)의 외주면(65)에 구비된 홈(66,67)은 몸체(63)의 길이(L)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길이방향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1 홈(66)과 제2 홈(67)을 포함한다.
제1 홈(66)과 제2 홈(67)은 몸체(63)의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패인 반원 단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V'자, 사각 단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63)의 길이(L) 중앙을 기준으로 제1 홈(66)은 몸체(63)의 일단(61) 쪽에 가깝게 위치되고, 제2 홈(67)은 몸체(63)의 타단(62) 쪽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몸체(63)의 내주면(70)에 마련된 제1 경사면(71)과 제2 경사면(72)은 몸체(63)의 길이(L) 중간 영역에서 몸체(63)의 최소 두께를 형성하는 꼭짓점(75)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꼭짓점(75)은 제1 경사면(71)과 제2 경사면(72)이 만나는 점이다.
제1 경사면(71)은 꼭짓점(75)을 기준으로 몸체(63)의 일단(61)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고, 제2 경사면(72)은 꼭짓점(75)을 기준으로 몸체(63)의 타단(62)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제1 경사면(71)은 꼭짓점(75)에서 몸체(63)의 일단(61)을 향할수록 몸체(63)의 두께(T)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질 수 있도록 경사지고, 제2 경사면(72)은 꼭짓점(75)에서 몸체(63)의 타단(62)을 향할수록 몸체(63)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질 수 있도록 경사진다.
제1 내경면(73)은 꼭짓점(75) 맞은편 제1 경사면(71)의 단부에서부터 몸체(63)의 일단(61)까지 직선상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제2 내경면(74)은 꼭짓점(75) 맞은편 제2 경사면(72)의 단부에서부터 몸체(63)의 타단(62)까지 직선상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제1,2 홈만을 갖는 슬리브의 좌굴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의 제1,2 경사면과 제1,2 내경면만을 갖는 슬리브의 좌굴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슬리브의 좌굴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제1,2 홈(66,67)만이 형성된 슬리브(60)는 압축 하중이 작용하여 좌굴 변형된 경우, 도 4(b)에서와 같이 확장 헤드(68)가 충분히 접히지 않은 상태로 나타남을 알 수 있고, 도 5(a)에 도시된 제1,2 경사면(71,72)과 제1,2 내경면(73,74)만이 형성된 슬리브(60)는 압축 하중이 작용하여 좌굴 변형된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헤드(68)가 슬리브(6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지 않고 위쪽 방향을 향하게 형성됨에 따라 두 부재를 결속시키기에는 부적합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6(a)에 도시된 본 실시 예의 슬리브(60)는 압축 하중이 작용하여 좌굴 변형된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헤드(68)는 슬리브(60)의 중앙부가 충분히 올바르게 접힌 상태로 슬리브(6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정적 형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슬리브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슬리브에 구비된 꼭짓점의 다양한 위치에 따른 슬리브의 좌굴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짓점(75)이 슬리브(60) 길이(L)의 중간 지점에 위치된 경우에는 좌굴 변형 시 생성되는 확장 헤드(68)는 하부방향을 향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짓점(75)이 슬리브(60) 길이(L)의 중간 지점 근방에서 슬리브(60)의 타단(62)보다 일단(61)에 가깝도록 위치되는 경우에는 좌굴 변형 시 생성되는 확장 헤드(68)는 슬리브(6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정적 형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짓점(75)의 슬리브(60) 길이(L)의 중간 지점 근방에서 일정 간격 이상 떨어진 경우에는 좌굴 변형 시 생성되는 확장 헤드(68)는 위쪽 방향을 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60)에 형성되는 꼭짓점(75)은 슬리브(60) 길이(L)의 중간 지점과 슬리브(60)의 일단(61) 사이에서 슬리브(60) 길이(L)의 중간 지점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제1 경사면(71)의 길이방향 길이는 제2 경사면(72)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슬리브에 구비된 제1 및 제2 내경면의 길이에 따른 슬리브의 좌굴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60)의 길이(L)에 대한 제1 내경면(73)의 길이 비율과 슬리브(60)의 길이(L)에 대한 제2 내경면(74)의 길이 비율이 각각 1/8(도 8a), 3/16(도 8b), 1/4(도 8c)인 경우 제1,2 내경면(73,74)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좌굴 변형에 따른 확장 헤드(68)의 발생 시 제1 내경면(73)과 볼트부재(20)의 축부(21) 외면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A영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확장 헤드(68)의 두께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슬리브(60)의 제2 내경면(74)과 볼트부재(20)의 축부(21) 외면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제2 내경면(74) 부분이 블라인드 볼트(10)에 의해 고정되는 부재(12)에 의해 제2 내경면(74)이 바깥쪽으로 밀리는 현상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60)의 길이(L)에 대한 제1 내경면(73) 길이의 비율은 0.25이상이고, 슬리브(60)의 길이(L)에 대한 제2 내경면(74)의 길이의 비율은 1/8이상인 것이 좋다.
도 9는 본 실시 예의 슬리브에 구비된 제1 홈 및 제2 홈의 위치에 따른 슬리브의 좌굴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슬리브(60)의 일단(61)에서 제1 홈(66)의 중심까지의 길이를 제1 길이(L1)로, 슬리브(60)의 타단(62)에서 제2 홈(67)의 중심까지의 길이를 제2 길이(L2)로 정의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60)의 길이(L)에 대한 제1,2 길이(L1,L2)의 비율이 각각 3/16인 경우에는 좌굴 변형 시 제1,2 홈(66,67)의 영역(B)이 완전히 닫히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60)의 길이(L)에 대한 제1,2 길이(L1,L2)의 비율이 각각 1/4인 경우 좌굴 변형 시 제1,2 홈(66,67)의 영역(B)이 완전히 닫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60)의 길이(L)에 대한 제1 길이(L1)의 비율 및 슬리브(60)의 길이(L)에 대한 제2 길이(L2)의 비율은 각각 0.25이상인 것이 좋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블라인드 볼트, 20: 볼트부재,
21: 축부, 23: 헤드,
30: 축력전달부재, 40: 와셔,
50: 너트, 60: 슬리브,
63: 몸체, 64: 지지부,
66: 제1 홈, 67: 제2 홈,
68: 확장 헤드, 71: 제1 경사면,
72: 제2 경사면, 73: 제1 내경면,
74: 제2 내경면, 75: 꼭짓점.

Claims (16)

  1. 블라인드 볼트를 구성하는 볼트부재의 축부에 삽입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와 마주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 반대측 타단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를 갖는 중공 원통형상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길이의 중간 지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길이방향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1 홈 및 제2 홈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몸체의 최소 두께 지점인 꼭짓점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향할수록 상기 몸체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경사진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을 제외한 상기 몸체의 외면은 일정한 외경을 갖고,
    상기 꼭짓점은 상기 길이의 중간 지점 근방에서 상기 타단보다 상기 일단 쪽에 가깝도록 위치되고,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제1 홈의 중심까지의 제1 길이와,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2 홈의 중심까지의 제2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길이의 비율 및 상기 몸체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2 길이의 비율은 각각 0.25보다 작지 않고,
    상기 몸체의 내주면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제1 경사면의 단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 내경면과, 상기 타단에서 제2 경사면의 단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내경면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내경면 길이의 비율은 0.25보다 작지 않고, 상기 몸체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2 내경면 길이의 비율은 1/8보다 작지 않는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상기 제2 홈 및 상기 꼭짓점은 상기 몸체의 좌굴 변형 시 접힘에 의해 상기 꼭짓점 부근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확장 헤드를 형성하는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은 상기 길이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와 마주하는 상기 일단의 표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및 함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지지부가 구비되는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8. 삭제
  9. 삭제
  10. 헤드와 나사산이 마련된 축부를 갖는 볼트부재;
    상기 축부에 삽입되며, 상기 헤드와 마주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 반대측 타단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를 갖는 슬리브; 및
    상기 축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은 상기 길이의 중간 영역에 위치된 상기 슬리브의 최소 두께인 꼭짓점을 기준으로 상기 일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상기 슬리브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연장되는 제1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의 단부에서 상기 일단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 내경면, 상기 꼭짓점을 기준으로 상기 타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연장되는 제2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의 단부에서 상기 타단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내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은 상기 꼭짓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길이방향 양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슬리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1 홈 및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을 제외한 상기 슬리브의 외면은 일정한 외경을 갖고,
    상기 꼭짓점은 상기 길이의 중간 지점과 상기 일단 사이에서 상기 길이의 중간 지점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슬리브의 상기 길이에 대한 제1 내경면 길이의 비율은 0.25보다 작지 않고, 상기 슬리브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2 내경면 길이의 비율은 1/8보다 작지 않고,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제1 홈의 중심까지의 제1 길이와,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2 홈의 중심까지의 제2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길이의 비율 및 상기 슬리브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2 길이의 비율은 각각 0.25보다 작지 않는 블라인드 볼트.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제1 홈의 중심까지의 제1 길이와, 상기 타단에서 상기 제2 홈의 중심까지의 제2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길이의 비율 및 상기 슬리브의 상기 길이에 대한 상기 제2 길이의 비율은 각각 0.25이상인 블라인드 볼트.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와 상기 너트 사이에서 상기 축부에 삽입되며 상기 너트의 체결시 발생하는 축력을 상기 슬리브에 전달하는 축력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볼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축력전달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블라인드 볼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축력전달부재와 상기 너트 사이에 삽입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볼트.
KR1020200169429A 2020-12-07 2020-12-07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및 블라인드 볼트 KR10265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429A KR102652277B1 (ko) 2020-12-07 2020-12-07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및 블라인드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429A KR102652277B1 (ko) 2020-12-07 2020-12-07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및 블라인드 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384A KR20220080384A (ko) 2022-06-14
KR102652277B1 true KR102652277B1 (ko) 2024-03-29

Family

ID=81980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429A KR102652277B1 (ko) 2020-12-07 2020-12-07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및 블라인드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520B1 (ko) * 2022-08-05 2023-03-10 주식회사 굿비 나사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315Y1 (ko) * 2003-10-10 2004-01-13 김창언 스테인레스 블라인드 리벳
KR101571841B1 (ko) * 2014-03-31 2015-11-2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블라인드 볼트
KR101931144B1 (ko) * 2016-12-15 2018-12-20 김백기 블라인드 볼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6130B2 (ja) * 1994-10-03 2006-08-30 ハ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回転防止装置付き高強度トルク型ブラインドボル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315Y1 (ko) * 2003-10-10 2004-01-13 김창언 스테인레스 블라인드 리벳
KR101571841B1 (ko) * 2014-03-31 2015-11-2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블라인드 볼트
KR101931144B1 (ko) * 2016-12-15 2018-12-20 김백기 블라인드 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384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6425B2 (ja) 可変グリップ式ブラインドリベット
JP2647617B2 (ja) 拡張栓及びその製作法
US5645383A (en) Blind rivet
US7887273B2 (en) Blind rivet and method
US4692076A (en) Expansion dowel with anchored state indicator
JP4451989B2 (ja) 高強度ブラインドヘッドを有する高締付および高せん断負荷抵抗ブラインドファスナ
US20140030018A1 (en) Spring latching connectors
US4752168A (en) Expansion dowel assembly
JP2009509103A5 (ko)
HUT62381A (en) High-strength case fastening binding
JP7152316B2 (ja) せん断壁性能改善型留め具
KR102652277B1 (ko) 블라인드 볼트용 슬리브 및 블라인드 볼트
US9188144B2 (en) Plastic blind rivet
US4773803A (en) Expansion dowel assembly with extension on expansion member
KR102101699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US3531903A (en) Composite structure including hollow rivet shear connect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4052925A (en) Expansion stud
JP2007321488A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US5716177A (en) Expansible plug for anchoring to a building component
KR100200997B1 (ko) 충격식 앵커
CN111486164B (zh) 具有呈波浪形的套筒的锚栓
US4869630A (en) Expansion peg having first and second expansion members frangibly connected together
US4642008A (en) Expansion dowel
US20030108399A1 (en) Expansion bolt
US4690598A (en) Expansion dow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